KR101970512B1 - 휴대용 프린터 - Google Patents

휴대용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512B1
KR101970512B1 KR1020170100392A KR20170100392A KR101970512B1 KR 101970512 B1 KR101970512 B1 KR 101970512B1 KR 1020170100392 A KR1020170100392 A KR 1020170100392A KR 20170100392 A KR20170100392 A KR 20170100392A KR 101970512 B1 KR101970512 B1 KR 101970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operating
paper
cutting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0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6636A (ko
Inventor
권순태
Original Assignee
제이스테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스테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스테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0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512B1/ko
Priority to PCT/KR2018/002321 priority patent/WO2019031672A1/ko
Priority to EP18844292.5A priority patent/EP3666530B1/en
Priority to US16/635,541 priority patent/US11090955B2/en
Publication of KR20190016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6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ortability, i.e. hand-held printers or laptop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1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 B26D1/08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of the guillotine type
    • B26D1/08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of the guillotine type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0Hand or foot actuat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41J11/70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cutting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aper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41J29/13Cases or cov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프린터는 용지장착구와 용지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 상기 용지배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용지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용지를 절단하는 커팅부; 및 외력에 의해 적어도 두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커버부 또는 상기 커팅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프린터{PORTABLE PRINTER}
본 발명은 휴대용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동부의 슬라이딩에 따라 휴대용 프린터에 구비된 커팅부에 의해 배출된 용지가 절단되거나 커버부가 오픈되는 휴대용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판매시점관리 시스템 및 자동화인식 시스템 등에서는 영수증이나 라벨을 출력하기 위한 용도로 프린터가 사용되고 있다.
위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프린터는 일반적으로 열전사 방식의 프린터로서, 연속용지를 사용하고 출력된 용지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프린터 내부에 장착되는 연속용지가 모두 사용한 경우에는 용지의 교체가 요구된다.
하지만, 종래의 오토 커팅 방식에 의한 휴대용 프린터의 경우 자동 절단을 위해서는 전원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는 필요한 작동모터 및 회로 구성이 요구되어 제품의 구성의 복잡성 또는 제품 가격의 상승으로 이어지는 등의 단점을 유발하였다.
또한 이 방식은 프린터의 동력원으로 건전지를 이용하게 되어 사용 환경에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상술한 오토 커팅 방식의 휴대용 프린터의 단점 때문에 몇몇의 경우에는 수동 커팅 방식의 절단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프린터가 이용된다.
그러나, 테어바(Tear Bar) 방식 등 수동 커팅 방식의 절단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프린터의 경우 절단면이 깨끗하지 못하고 커팅되면서 발생하는 종이의 잔재들이 휴대용 프린터의 내부에 유입되어 프린터의 구동에 악영향을 미쳐 프린터의 고장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연속 용지를 사용하는 휴대용 프린터의 특성상 용지의 교체가 주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용지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등록특허공보 제 10-1030219 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작동부의 조작에 의해 배출되는 용지의 커팅이 가능한 휴대용 프린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동부의 조작에 따라 오픈되는 커버부가 구비된 휴대용 프린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프린터는 용지장착구와 용지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 상기 용지배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용지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용지를 절단하는 커팅부; 및 외력에 의해 적어도 두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커버부 또는 상기 커팅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부; 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용지배출구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조작부재; 상기 조작부재의 제1방향으로의 슬라이딩에 의해 본체부의 너비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딩 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와 대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슬라이딩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커버부를 오픈 시키는 프레임;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용지배출구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조작부재; 상기 조작부재의 제1방향으로의 슬라이딩에 의해 본체부의 높이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와 대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슬라이딩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커버부를 오픈 시키는 프레임; 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용지배출구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조작부재; 상기 조작부재의 제1방향으로의 슬라이딩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커버부를 오픈 시키는 프레임;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팅부는 상기 용지배출구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커터부재; 및 상기 제1커터부재와 대향하게 구비되고, 상기 조작부재의 제2방향으로의 슬라이딩에 의해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1커터부재와 교차하는 제2커터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커터부재는 제2커터부재의 커터 날의 측면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재가 제1방향으로 일정거리 이상 슬라이딩 시 상기 제2커터부재를 제1방향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커터부재는 제2커터부재의 커터 날의 중앙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커터부재가 상기 제1커터부재와 완전히 교차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작동부의 일 방향으로의 조작으로 배출되는 용지를 깨끗하게 절단함과 동시에 타 방향으로의 조작으로 별도의 과정 없이도 커버부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개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동부의 조작으로 커터날이 프린터에 걸리는 등의 잼(jam)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용 프린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관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6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관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실시 예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대하여 상술한다.
본 발명인 휴대용 프린터는 본체부(100), 커버부(400), 작동부(200) 및 커팅부(3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휴대용 프린터의 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용지장착구(120)와 용지배출구(110)가 구비된다.
용지장착구(120)는 프린터의 작동에 의해 인쇄되어 출력되는 연속용지(10)를 보관하는 부분으로서 본체부(100)의 내부에 위치한다.
용지배출구(110)는 연속용지(10)가 인쇄되어 휴대용 프린터의 외부로 출력되는 부분을 말한다.
커버부(400)는 본체부(100)의 용지장착구(120) 부분을 감싸며 형성된다.
커버부(400)는 본체부(100)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작동부(200)의 슬라이딩 시 커버부(400)가 오픈되게 된다. 이의 구조와 관련하여서는 하기에서 상술한다.
작동부(200)는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가해지는 부분이다.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적어도 두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슬라이딩에 의해 커팅부(300)를 작동시켜 프린팅되어 배출된 용지(10)를 절단하거나 커버부(400)가 오픈되도록 한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프린터의 사용 시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당기는 방향이 제1방향이고, 전방으로 미는 방향이 제2방향이다. 작동부(200)를 제1방향으로 당기면 커버부(400)가 작동되고 제2방향으로 밀면 커팅부(300)가 작동된다.
종래의 휴대용 프린터와 달리 방향성을 달리하는 작동부(200)의 움직임에 의해 용지(10)를 절단하는 커팅부(300)의 작동 외에도 커버부(400)가 오픈된다는 장점이 있다.
작동부(200)는 용지배출구(110)에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본체부(10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사용의 편의성을 위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작동부(200)의 슬라이딩에 따라 커버부(400)가 오픈되는 구조 및 이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작동부(200)는 조작부재(210), 회전부재(220), 가압부재(230) 및 프레임(240)으로 구비될 수 있다.
조작부재(210)는 사용자의 외력이 가해지는 부분으로서, 본체부(100)의 일부에 슬라이딩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두 방향으로 회전 할 수 있으며, 도 2에 따르면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따르면 조작부재(210)는 하면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회전부재(220)에 힘을 전달하기 위함이다. 다만 반드시 도면과 같은 형상을 가질 필요는 없을 것이다.
회전부재(220)는 본체부(100) 내부에 본체부(100)의 너비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조작부재(210)가 제1방향으로 슬라이딩 시 조작부재(210)의 하면의 돌출된 부분에 의해 회전부재(220)는 회전하게 된다. 즉 회전부재(220)의 상단부가 조작부재(210)의 하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과 대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조작부재(210)가 제1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경우 조작부재(210)의 하부방향에 의해 회전부재(220)는 회전 할 수 있다. 도 3을 기준으로 회전부재(220)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압부재(230)에 힘을 전달한다.
가압부재(230)는 본체부(100)의 내부의 회전부재(22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회전부재(220)의 회전에 의해 직선운동 할 수 있다.
즉, 회전부재(220)의 회전에 의해 회전부재(220)의 하단부가 가압부재(230)에 힘을 전달하여 가압부재(230)가 슬라이딩하게 된다.
그리고, 조작부재(210)가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는 경우에는 조작부재(210)와 회전부재(220)는 서로 작용하지 않는다. 회전부재(220)의 일면이 조작부재(210)에 대향되는 형태로 구성되므로, 회전부재(220)가 조작부재(210)의 제1방향으로의 슬라이딩에 의해서만 회전한다. 따라서 가압부재(230)는 회전부재(220)의 회전운동에 의해 조작부재(210)의 슬라이딩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움직인다.
프레임(240)은 가압부재(230)와 대향되게 배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프레임(240)은 상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프레임(240)은 가압부재(230)의 슬라이딩에 의해 회전하여 커버부(400)를 오픈 시킨다.
커버부(400)는 프레임(240)의 일부에 결속되어 있다가 프레임(240)의 회전에 의해 결속이 해제되어 커버부(400)는 열리게 된다.
즉, 커버부(400)는 회전축의 편향력에 의해 오픈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되나 프린터의 사용시에는 프레임(240)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사용자가 조작부재(210)를 제1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면 가압부재(230)는 마주하는 프레임(240)과 맞닿을 때까지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 되고 이 후에는 프레임(240)에 힘을 전달한다.
힘을 전달받은 프레임(240)는 커버부와 체결되는 부분이 도 3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체결조건이 해제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커버부(400)는 오픈 된다.
그리고, 제1탄성부재가 가압부재(230)와 연결되도록 본체부(1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1탄성부재는 조작부재(210)가 제1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커버부(400)가 오픈 된 후 다시 중립위치로 돌아올 수 있도록 가압부재(230)에 복원력을 작용한다.
가압부재(230)가 중립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회전부재(220) 및 조작부재(210) 역시 외력이 가해지기 전의 위치로 이동하여 중립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이 때 프레임과 마주보고 있는 부재 사이에 탄성부재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에 의해 프레임 역시 회전 후 가압부재에 의해 힘을 전달 받기 전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커팅부(300)는 용지배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작동부(200)의 슬라이딩에 의해 용지배출구(110)에서 배출되는 용지(10)를 절단할 수 있다.
커팅부(300)는 적어도 두개의 커터부재가 구비되고, 커터부재가 교차하는 방식으로 용지를 절단할 수 있다. 다만, 용지(10)를 절단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모양이나 작동원리는 문제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응용이 가능하다.
작동부(200)의 슬라이딩에 의해 커버부(400) 또는 커팅부(300)가 작동되는 것이므로 커버부(400)를 작동시키기 위해 작동부(200)가 슬라이딩 되는 방향과 커팅부(300)를 작동시키기 위해 작동부(200)가 슬라이딩 되는 방향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제2실시 예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대하여 상술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생략된 내용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서 언급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며, 하기에서 상술할 내용만으로도 통상의 기술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부(200)는 조작부재(210), 회전부재(220) 및 프레임(240)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조작부재(210)는 용지배출구(110)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외력을 전달받아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 하게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의 회전부재(220)는 후술할 제2커터부재(320)가 장착되는 본체부(100)의 하부에 본체부(100)의 높이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조작부재(210)가 제1방향으로 슬라이딩 시 회전부재(220)는 조작부재(210)와 맞닿는 부분에 힘이 전달되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부재(220)는 프레임(240)에 힘을 전달한다.
프레임(240)은 회전부재(220)와 대향하게 배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프레임(240)은 상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회전부재(220)의 회전에 의해 프레임(240)은 힘을 전달받는다. 그리고, 힘을 전달받은 프레임(240)의 회전에 의해 커버부(400)는 오픈된다. 이와 관련한 구조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제3실시 예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대하여 상술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생략된 내용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서 언급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며, 하기의 내용으로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부(200)는 조작부재(210) 및 프레임(2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조작부재(210)는 용지배출구(110)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외력을 전달받아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 하게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의 프레임(240)은 프레임(240)의 일부가 조작부재(210)의 하부로 돌출된 부분과 맞닿도록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프레임(240)은 하측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조작부재(210)가 제1방향으로 슬라이딩 시 프레임(240)에 힘이 전달된다. 프레임(240)의 커버부를 구속하고 있는 부분이 전달 받은 힘에 의해 구속조건이 해제되어 커버부(400)를 오픈 시킨다.
즉, 프레임(240)과 커버부가 서로 체결되는 부분이 전달 받은 힘에 의해 체결조건이 해제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커버부(400)는 오픈 된다.
제4실시 예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대하여 상술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휴대용 프린터의 조작부재(210)를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 하여 커팅부(300)가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생략된 내용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서 언급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며, 하술할 내용만으로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프린터의 커팅부(300)는 제1커터부재(310) 및 제2커터부재(32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커터부재(310)는 프린팅 된 용지(10)가 배출되는 용지배출구(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용지배출구(110)를 향하도록 날이 구비될 수 있다.
제2커터부재(320)는 용지배출구(110)의 타측에 제1커터부재와(310) 대향하게 구비된다.
조작부재(21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조작부재(210)가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 시 제2커터부재(320)는 조작부재(210)의 힘을 전달받아 동일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다. 제2방향은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제1방향과 반대방향일 수 있다.
제2커터부재(320)는 그 일부가 조작부재(210)의 하단으로 돌출된 부분과 맞닿도록 위치한다. 그리고, 제2커터부재(320)의 일면은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로 동일 평면상에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용지배출구(110)를 향하는 방향으로 날 부분이 구비되어 제1커터부재(310)와 교차에 의한 절단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조작부재(210)는 제2커터부재(320)와 제1커터부재(310)가 교차하여 용지(10)를 절단할 때까지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또한 제2커터부재(320)에는 제2커터부재(320)의 커터 날의 중앙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홈에 의해 인쇄된 용지(10)가 완전히 절단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는 용지(10)가 완전히 커팅 되는 경우 커팅된 용지(10)는 사용자의 작동 범위를 벗어 날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부재(210)에 가해진 외력에 의해 제2커터부재(320)는 제1커터부재(310)와 교차할 때까지 이동된다. 이 때 제2커터부재(320)의 홈을 제외한 부분이 제1커터부재(310)의 일부와 모두 교차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제2커터부재(320)의 중간의 홈 부분은 제1커터부재(310)의 일부는 교차되지 않아 용지(10)가 모두 절단되지 않게 된다.
도 7에 의하면, 제2커터부재(320)는 제2커터부재(320)의 커터 날의 하부의 일부가 측면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돌출부(340)가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체부(100)는 제2커터부재(320)와 제2탄성부재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2탄성부재에 의해 조작부재(210)가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 된 후 다시 중립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그러나, 제2커터부재(320)가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 하여 프린팅 된 용지(10)를 절단한 후에 중립위치로 되돌아 오지 않는 이른 바 잼(jam)현상이 발생할 경우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커터부재(320)의 돌출부(340)는 조작부재(210)가 제1방향으로 일정거리 이상 슬라이딩 시 제2커터부재(320)를 제1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돌출부(340)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 조작부재(210)를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제2커터부재(320)가 끼임 현상으로 인해 중력위치로 복귀하지 않았을 때 커버부(400)를 오픈하여 제2커터부재(320)의 위치를 조정해야 하는 등의 수고가 요구된다.
그러나, 돌출부(340)로 인해 상기와 같이 끼임 현상등이 발생할 때 조작부재(210)를 제1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제2커터부재(320)를 중립위치로 강제로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돌출부(340)가 조작부재(210)와 맞물려 함께 제1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프린터는 조작부재(210)의 적어도 두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에 의해 다 기능성을 갖는 장점이 있다.
즉, 종래와 같이 프린트 된 용지(10)를 절단하는 역할 외에도 커버부(400)를 쉽게 열어 용지장착구(120)에 구비되는 용지(10)의 교환을 빠르게 하거나, 제2커터부재(320)에 끼임 현상등이 발생하더라도 조작부재(210)의 슬라이딩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0: 용지 100: 본체부
110: 용지배출구 120: 용지장착구
200: 작동부 210: 조작부재
220: 회전부재 230: 가압부재
240: 프레임 300: 커팅부
310: 제1커터부재 320: 제2커터부재
340: 돌출부 400: 커버부

Claims (7)

  1. 용지장착구와 용지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
    상기 용지배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용지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용지를 절단하는 커팅부; 및
    외력에 의해 적어도 두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조작부재를 포함하는 작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조작부재가 제1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부를 오픈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조작부재가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에는 상기 커팅부의 절단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린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조작부재의 제1방향으로의 슬라이딩에 의해 본체부의 너비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딩 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와 대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슬라이딩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커버부를 오픈 시키는 프레임;
    을 포함하는 휴대용 프린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조작부재의 제1방향으로의 슬라이딩에 의해 본체부의 높이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와 대향하게 배치되고, 회전하여 상기 커버부를 오픈 시키도록 구비되는 프레임;
    을 포함하는 휴대용 프린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조작부재의 제1방향으로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커버부를 오픈 시키는 프레임;
    을 포함하는 휴대용 프린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는
    상기 용지배출구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커터부재; 및
    상기 제1커터부재와 대향하게 구비되고, 상기 조작부재의 제2방향으로의 슬라이딩에 의해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1커터부재와 교차하는 제2커터부재;
    를 포함하는 휴대용 프린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터부재는 제2커터부재의 커터 날의 하부의 일부가 측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재가 제1방향으로 일정거리 이상 슬라이딩 시 상기 제2커터부재를 제1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휴대용 프린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터부재는 제2커터부재의 커터 날의 중앙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커터부재가 상기 제1커터부재와 완전히 교차되지 않는 휴대용 프린터.
KR1020170100392A 2017-08-08 2017-08-08 휴대용 프린터 KR101970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392A KR101970512B1 (ko) 2017-08-08 2017-08-08 휴대용 프린터
PCT/KR2018/002321 WO2019031672A1 (ko) 2017-08-08 2018-02-26 휴대용 프린터
EP18844292.5A EP3666530B1 (en) 2017-08-08 2018-02-26 Portable printer
US16/635,541 US11090955B2 (en) 2017-08-08 2018-02-26 Portable prin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392A KR101970512B1 (ko) 2017-08-08 2017-08-08 휴대용 프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636A KR20190016636A (ko) 2019-02-19
KR101970512B1 true KR101970512B1 (ko) 2019-04-22

Family

ID=65272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0392A KR101970512B1 (ko) 2017-08-08 2017-08-08 휴대용 프린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90955B2 (ko)
EP (1) EP3666530B1 (ko)
KR (1) KR101970512B1 (ko)
WO (1) WO2019031672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2096A (ja) 2004-08-24 2006-03-09 Seiko Instruments Inc プラテンの移動機構およびサーマルプリンタ
JP2006150858A (ja) 2004-11-30 2006-06-15 Sato Corp ラベルプリンタ
KR100944514B1 (ko) * 2009-08-26 2010-03-03 주식회사 빅솔론 수동 방식의 절단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프린터
KR101297646B1 (ko) * 2012-05-03 2013-08-19 주식회사 신흥정밀 인쇄용지 절단장치와 잠금 및 해제수단이 구비된 프린터
KR101361068B1 (ko) 2012-02-16 2014-02-11 주식회사 세우테크 다기능 탄성부재를 가지는 서멀프린터
JP2016030355A (ja) 2014-07-28 2016-03-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装着部材、及び、印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5447A (en) * 1992-10-13 1997-01-21 Seiko Epson Corporation Tape cartridge and printing device having print medium cartridge
KR100234589B1 (ko) * 1995-11-21 1999-12-15 야스카와 히데아키 절단장치를 구비한 프린터
JP3711734B2 (ja) 1998-02-25 2005-11-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ッタ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プリンタ
JP4107261B2 (ja) * 2003-11-14 2008-06-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ッタ機構を備えたプリンタ
US20090288776A1 (en) * 2008-05-20 2009-11-26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Hand-held printer
KR101030219B1 (ko) 2009-09-23 2011-04-25 주식회사 세우테크 영수증용지 교환을 위한 개폐가 용이한 영수증 출력기.
JP6118153B2 (ja) * 2013-03-26 2017-04-19 サト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プリンター
JP5897656B2 (ja) * 2014-07-10 2016-03-30 サト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プリンタ
KR20160022959A (ko) * 2014-08-20 2016-03-03 주식회사 세우테크 티어바의 슬라이딩 기능을 가지는 서멀프린터
JP5823011B1 (ja) * 2014-11-04 2015-11-25 サト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プリンタ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2096A (ja) 2004-08-24 2006-03-09 Seiko Instruments Inc プラテンの移動機構およびサーマルプリンタ
JP2006150858A (ja) 2004-11-30 2006-06-15 Sato Corp ラベルプリンタ
KR100944514B1 (ko) * 2009-08-26 2010-03-03 주식회사 빅솔론 수동 방식의 절단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프린터
KR101361068B1 (ko) 2012-02-16 2014-02-11 주식회사 세우테크 다기능 탄성부재를 가지는 서멀프린터
KR101297646B1 (ko) * 2012-05-03 2013-08-19 주식회사 신흥정밀 인쇄용지 절단장치와 잠금 및 해제수단이 구비된 프린터
JP2016030355A (ja) 2014-07-28 2016-03-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装着部材、及び、印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66530A4 (en) 2021-02-17
KR20190016636A (ko) 2019-02-19
US20200254790A1 (en) 2020-08-13
EP3666530B1 (en) 2022-11-30
WO2019031672A1 (ko) 2019-02-14
EP3666530A1 (en) 2020-06-17
US11090955B2 (en) 202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8600B1 (en) Printer
US7857534B2 (en) Printer apparatus
US6443645B1 (en) Printer with cutter blades for printing on rolled paper and slipsheet
US8152393B2 (en) Printer device with blade driving motor and platen motor provided on a first frame
JP4174489B2 (ja) カッタ装置及びカッタ装置を備えたプリンタ
US9393818B2 (en) Printer apparatus including a fixed blade pushed toward a movable blade
US10730321B2 (en) Cutter of printer
JP6262429B2 (ja) プリンタ
CN106364174B (zh) 打印装置
KR20150001690A (ko) 프린터
JP2006142835A (ja) テーププリンタ
KR101970512B1 (ko) 휴대용 프린터
EP3002130A2 (en) Printing unit and printer
CN108016143B (zh) 一种掌上打印机
JP5517545B2 (ja) プリンタ装置
CN216596436U (zh) 手持pos机的打印纸收纳机构、手持pos机及收纳装置
CN109968834B (zh) 打印机
JP2008207566A (ja) テーププリンタ
JP6635677B2 (ja) シート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6030355A (ja) 装着部材、及び、印刷装置
KR20160022959A (ko) 티어바의 슬라이딩 기능을 가지는 서멀프린터
US8308157B2 (en) Conveying device
KR20090034752A (ko) 프린터 및 발행 장치
JP2001019176A (ja) 給紙装置
JPH04173666A (ja) シート折り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