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8284B1 - 반도체 기억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기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8284B1
KR100518284B1 KR10-2002-0016990A KR20020016990A KR100518284B1 KR 100518284 B1 KR100518284 B1 KR 100518284B1 KR 20020016990 A KR20020016990 A KR 20020016990A KR 100518284 B1 KR100518284 B1 KR 100518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cell
circuit
disposed
layer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6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9087A (ko
Inventor
호소따니게이지
스노우찌가즈마사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30009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9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8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82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 G11C11/1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thin-film elements
    • G11C11/15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thin-film elements using multiple magnetic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1/00Magnetic memory devices, e.g. magnetoresistive RAM [MRAM] devices
    • H10B61/10Magnetic memory devices, e.g. magnetoresistive RAM [MRAM] devices comprising components having two electrodes, e.g. diodes or MIM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1/00Magnetic memory devices, e.g. magnetoresistive RAM [MRAM] devices
    • H10B61/20Magnetic memory devices, e.g. magnetoresistive RAM [MRAM] devices comprising components having three or more electrodes, e.g. transistors
    • H10B61/22Magnetic memory devices, e.g. magnetoresistive RAM [MRAM] devices comprising components having three or more electrodes, e.g. transistors of the field-effect transistor [FET]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203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 H01L27/0207Geometrical layout of the components, e.g. computer aided design; custom LSI, semi-custom LSI, standard cell techniq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ram Or Spin Memory Techniques (AREA)
  • Hall/Mr Element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Dram (AREA)

Abstract

메모리 셀부는, 제1 자기 저항 효과 소자, 및 이 제1 자기 저항 효과 소자와 쌍으로 1셀마다 배치되며 제1 자기 저항 효과 소자에 데이터를 기입하거나 제1 자기 저항 효과 소자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제1 회로를 포함하고,
주변 회로부는 제1 회로를 제어하는 제2 회로를 포함하며,
이 제2 회로 중 적어도 일부는 메모리 셀부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도체 기억 장치{SEMICONDUCTOR MEMORY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기억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널 자기 저항 효과(TMR: Tunneling Magneto Resistive) 소자를 기억 소자로서 이용한 자기 기억 장치(MRAM: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기억 소자로서, 자기 저항 효과를 이용한 MRAM(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메모리 셀이 제안되었다. 이 MRAM은, 금후, 불휘발성, 고집적성, 고신뢰성, 고속 동작을 겸비한 메로리 디바이스로 발전할 것이 기대되고 있다.
자기 저항 효과 소자로는, 주로 GMR(Giant Magneto Resistive) 소자와 TMR(Tunneling Magneto Resistive) 소자의 2개의 소자가 알려져 있다. GMR 소자는, 2개의 강자성층과 이들 강자성층 사이에 끼워진 도체로 이루어지고, 이 도체의 저항이 상하의 강자성층의 스핀 방향에 따라 변화되는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GMR 소자의 MR(Magneto Resistive)비는 10% 이하로 낮기 때문에, 판독 마진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다. 한편, TMR 소자는, 2개의 강자성층과 이들 강자성층 사이에 끼워진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이 절연체의 터널 저항이 상하의 강자성층의 스핀 방향에 따라 변화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 TMR 소자에서는 현재 50% 이상의 MR비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도 24 내지 도 26은 종래 기술에 따른 TMR 소자를 갖는 대표적인 반도체 기억 장치로, 이 반도체 기억 장치의 메모리 셀부의 셀 구조를 나타낸다.
도 24a는 제1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4b는 도 24a의 XXIVB-XXIVB선을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제1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는, TMR 소자에 접속되는 스위칭 소자로서 MOS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구조이다.
도 24a, 도 2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트선(13)과 기입 워드선(14)이 서로 직교하도록 매트릭스 형상으로 복수개 배치되고, 각각의 크로스 포인트형으로 TMR 소자(11)가 배치되어 있다. 이 TMR 소자(11)는, 상부 전극(표시하지 않음)을 통해 비트선(13)에 접속되고, 하부 전극(70) 및 컨택트층(38)을 통해 MOS 트랜지스터(35)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MOS 트랜지스터(35)의 게이트 전극(33)이 판독 워드선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TMR 소자(11)는, 하부 전극(70)에 접속되는 강자성층의 자화 고착층(41)과, 상부 전극을 통해 비트선(13)에 접속되는 강자성층의 자기 기록층(43)과, 이들 자화 고착층(41)과 자기 기록층(43) 사이에 끼워진 비자성층의 터널 접합층(4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반도체 기억 장치에서는, 이하와 같이 정보의 기입·판독 동작이 행해진다.
자화 고착층(41)은 자기 기록층(43)보다 자화의 반전 임계치가 높다. 이 때문에, 통상의 기입 동작에서는, 자화 고착층(41)의 자화 방향은 반전되지 않고, 자기 기록층(43)의 자화 방향만 반전된다. 따라서, 임의의 선택 셀에 정보를 기입하는 경우, 자기 기록층(43)의 자화 방향을 반전시킴으로써, TMR 소자(11)에 "1", "0"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가 선택 셀에 기입된다. 이 때, 임의의 선택 셀에 정보를 기입하기 위해서는, 최저 2개의 기입선(비트선(13), 기입 워드선(14))을 이용하여, 그 2개의 기입선의 크로스 포인트부만의 자기 기록층(43)의 자화 방향이 반전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자기 기록층(43)의 자화 방향이 자화 고착층(41)의 자화 방향과 동일하게 되었을 때에 터널 접합층(42)의 저항은 가장 낮아지고, 반대로 양자의 자화 방향이 반대로 되었을 때에 터널 접합층(42)의 저항은 가장 높아진다. 그래서, TMR 소자(11)를 외측에서 끼운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70)을 통해 상하로 배치되는 2개의 배선으로부터 TMR 소자(11)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전류를 흘림으로써, 터널 접합층(42)의 저항의 변화를 판독한다. 이에 따라, "1", "0"의 정보 기억 상태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정보가 판독된다.
도 25a는 제2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5b는 도 25a의 XXVB-XXVB선을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제2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는, TMR 소자(11)에 접속되는 스위칭 소자로서 정류 소자(예를 들면 pn 접합 다이오드; 12)를 이용한 구조로, 크로스 포인트형의 셀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심플한 구조이다. 이 구조에서는, 자기 기록층(43)에 정보를 기입하기 위한 기입 배선과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 배선은 어느 것이나 공통이며, 워드선(14)과 비트선(13)의 2개의 배선만으로 정보의 기입·판독 동작이 행해진다. 이 때, 다이오드(12)의 정류성을 활용하여 선택 셀에만 정보의 기입·판독을 할 수 있도록, 워드선(14)과 비트선(13)의 인가 바이어스를 각각 제어할 필요가 있다.
도 26a는 제3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6b는 도 26a의 XXVIB-XXVIB선을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제3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는, 제2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와 동일하게 크로스 포인트형의 구조이지만, 정류 소자를 이용하지 않은 타입이다. 이 구조는, 정류 소자를 이용하지 않은 만큼 프로세스 및 구조는 간단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판독 시에 선택 셀 이외의 셀로도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판독 동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즉, 이 셀에서는 판독 워드선(14b)과 기입 워드선(14a)의 2개를 이용하여 선택 셀에 정보가 기입되고, 비트선(13)과 판독 워드선(14b)의 2개를 이용하여 선택 셀의 정보가 판독된다. 이와 같이, 판독선과 기입선 중 1개만을 공통으로 하여, 합계 3개의 배선으로 셀에 액세스한다.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에서는,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 셀부(10)와 이 메모리 셀부(10)를 제어하는 주변 회로부(20)로 이루어진다. 이 주변 회로부(20)의 회로는 메모리 셀부(10)의 외측의 영역에 배치되기 때문에, 메모리 셀부(10) 내에는 TMR 소자(11) 및 스위칭 소자밖에 배치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도 2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에서는, 메모리 셀부(10) 내에 활용되지 않는 스페이스(45)가 존재한다. 또한, 도 25b, 도 2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제3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에서는,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에 존재하는 반도체 기판(30) 표면에는 전면 소자 분리 영역(32)만이 배치되어 있어, 활용되지 않는 스페이스(45)가 존재하였다. 이와 같이, 이들 스페이스(45)는 MRAM 탑재의 칩 면적을 더욱 축소화하는 데 장해가 되었다.
본 발명의 제1 시점에 따른 메모리 셀부와 주변 회로부를 갖는 반도체 기억 장치에서는, 메모리 셀부는, 제1 자기 저항 효과 소자와, 이 제1 자기 저항 효과 소자와 쌍으로 1셀마다 배치되며, 제1 자기 저항 효과 소자에 데이터를 기입 또는 제1 자기 저항 효과 소자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제1 회로를 포함하고, 주변 회로부는 제1 회로를 제어하는 제2 회로를 포함하며, 이 제2 회로 중 적어도 일부는 메모리 셀부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시점에 따른 메모리 셀부와 주변 회로부와 논리 회로부를 갖는 반도체 기억 장치에서는, 메모리 셀부는, 제1 자기 저항 효과 소자와, 이 제1 자기 저항 효과 소자와 쌍으로 1셀마다 배치되며, 제1 자기 저항 효과 소자에 데이터를 기입 또는 제1 자기 저항 효과 소자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제1 회로를 포함하고, 주변 회로부는 제1 회로를 제어하는 제2 회로를 포함하며, 논리 회로부는 제3 회로를 포함하고, 이 제3 회로 중 적어도 일부는 메모리 셀부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는, 터널 자기 저항 효과(TMR: Tunneling Magneto Resistive) 소자를 기억 소자로서 이용한 자기 기억 장치(MRAM: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에 관한 것이다. 이 MRAM에서는 TMR 소자를 갖는 메모리 셀을 매트릭스 형상으로 복수개 배치한 메모리 셀 어레이 구조로 되어 있고, 이 메모리 셀 어레이의 주변에 디코더 및 감지 회로 등의 주변 회로부를 설치하여, 임의의 셀에 랜덤 액세스함으로써, 정보의 기입·판독 동작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설명을 행할 때, 모든 도면에 걸쳐 공통되는 부분에는 공통되는 참조 부호를 붙인다.
[제1 실시예]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는, TMR 소자와 pn 접합 다이오드를 조합한 1TMR 소자+1다이오드형의 셀 구조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메모리 셀부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주변 회로부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 도 2의 Ⅲ-Ⅲ선을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메모리 셀부(10)는, TMR 소자(11), pn 접합 다이오드(12), 비트선(13), 워드선(14)으로 구성된다. 이 메모리 셀부(10)에서는, 비트선(13)과 워드선(14)이 서로 직교하도록 매트릭스 형상으로 주기적으로 배치되며, 이들 비트선(13)과 워드선(14)의 각각의 교점에 TMR 소자(11)가 배치된다. 이 TMR 소자(11)와 쌍을 이뤄 1셀마다 pn 접합 다이오드(12)가 배치되며, 이 pn 접합 다이오드(12)는 TMR 소자(11)와 워드선(14)에 접속된다.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주변 회로부(20)의 일부는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 회로부(20)의 컬럼계 회로의 일부가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고, 주변 회로부(20)의 로우계 회로가 메모리 셀부(10)의 외부 영역에 배치된다. 즉, 컬럼계 회로의 비트선 구동 트랜지스터(21), 전원 배선 및 접지 배선(22), 컬럼 어드레스선(23), 컬럼 디코더(24)가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다. 한편, 컬럼계 회로의 감지 증폭기 회로(25), 로우계 회로의 워드선 구동 트랜지스터(26), 로우 디코더(27), 로우 어드레스 배선(28)이 메모리 셀부(10)의 외부 영역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30)에 소자 영역(31)과 소자 분리 영역(32)이 형성된다. 이 소자 영역(31)의 반도체 기판(30) 상에 게이트 전극(33)이 형성되고, 이 게이트 전극(33)을 사이에 둔 소자 영역(31) 내에 소스/드레인 확산층(34)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서, MOS 트랜지스터(35)가 형성되고, 이 MOS 트랜지스터(35)가 예를 들면 비트선 구동 트랜지스터(21)가 된다. 또한, 반도체 기판(30) 상의 층간 절연막(36) 내에는 배선층(37)이 형성되고, 이 배선층(37)이 예를 들면 전원 배선 및 접지 배선(22)이 된다. 그리고, 이 배선층(37)과 소스/드레인 확산층(34)이 제1 컨택트층(38)으로 접속되고, 배선층(37)과 워드선(14)이 제2 컨택트층(39)으로 접속된다. 이에 의해서, 전원 배선 및 접지 배선(22)이 비트선 구동 트랜지스터(21)에 전위를 인가하고, 이 비트선 구동 트랜지스터(21)가 기입 전류를 발생시킨다. 또한, 메모리 셀부(10)의 외측으로 연장된 워드선(14)에는 "1", "0" 판정용의 감지 증폭기 회로(25)가 접속된다.
또한, 주변 회로부(20)의 일부는, 메모리 셀부(10)와 주변 회로부(20)의 경계 부근에서의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어도 되지만, 칩 면적 축소의 효과를 보다 높이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 셀부(10)와 주변 회로부(20)의 경계 부근으로부터 메모리 셀부(10)의 더 내측의 하부 영역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주변 회로부(20)의 일부는, 메모리 셀부(10)와 주변 회로부(20)의 경계 부근에서 메모리 셀부(10)의 1셀 이상 내측의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다. 즉, 주변 회로부(20)의 일부는, 메모리 셀부(10)와 주변 회로부(20)의 경계 부근으로부터 복수의 셀을 걸쳐,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TMR 소자(11)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TMR 소자(11)는, 자화 고착층(자성층), 터널 접합층(비자성층), 자기 기록층(자성층)의 적어도 3층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TMR 소자(11)는, 이하에 나타내는 1중 터널 접합 구조 또는 2중 터널 접합 구조로 되어 있으며, 어느 구조라도 무방하다.
도 4a, 도 4b는 1중 터널 접합 구조의 TMR 소자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하, 1중 터널 접합 구조의 TMR 소자(1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에 도시한 TMR 소자(11)는, 템플릿층(101), 초기 강자성층(102), 반강자성층(103), 기준 강자성층(104)이 순서대로 적층된 자화 고착층(41)과, 이 자화 고착층(41) 상에 형성된 터널 접합층(42)과, 이 터널 접합층(42) 상에 자유 강자성층(105), 접점층(106)이 순서대로 적층된 자기 기록층(43)으로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도 4b에 도시한 TMR 소자(11)는, 템플릿층(101), 초기 강자성층(102), 반강자성층(103), 강자성층(104'), 비자성층(107), 강자성층(104")이 순서대로 적층된 자화 고착층(41)과, 이 자화 고착층(41) 상에 형성된 터널 접합층(42)과, 이 터널 접합층(42) 상에 강자성층(105'), 비자성층(107), 강자성층(105"), 접점층(106)이 순서대로 적층된 자기 기록층(43)으로 이루어진다.
또, 도 4b에 도시한 TMR 소자(11)에서는, 자화 고착층(41) 내의 강자성층(104'), 비자성층(107), 강자성층(104")으로 이루어지는 3층 구조와, 자기 기록층(43) 내의 강자성층(105'), 비자성층(107), 강자성층(105")으로 이루어지는 3층 구조를 도입함으로써, 도 4a에 도시한 TMR 소자(11)보다 강자성 내부의 자극의 발생을 억제하여, 보다 미세화에 적합한 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a, 도 5b는 2중 터널 접합 구조의 TMR 소자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하, 2중 터널 접합 구조의 TMR 소자(1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a에 도시한 TMR 소자(11)는, 템플릿층(101), 초기 강자성층(102), 반강자성층(103), 기준 강자성층(104)이 순서대로 적층된 제1 자화 고착층(41a)과, 이 제1 자화 고착층(41a) 상에 형성된 제1 터널 접합층(42a)과, 이 제1 터널 접합층(42a) 상에 형성된 자기 기록층(43)과, 이 자기 기록층(43) 상에 형성된 제2 터널 접합층(42b)과, 이 제2 터널 접합층(42b) 상에 기준 강자성층(104), 반강자성층(103), 초기 강자성층(102), 접점층(106)이 순서대로 적층된 제2 자화 고착층(41b)으로 이루어진다.
도 5b에 도시한 TMR 소자(11)는, 템플릿층(101), 초기 강자성층(102), 반강자성층(103), 기준 강자성층(104)이 순서대로 적층된 제1 자화 고착층(41a)과, 이 제1 자화 고착층(41a) 상에 형성된 제1 터널 접합층(42a)과, 이 제1 터널 접합층(42a) 상에 강자성층(43'), 비자성층(107), 강자성층(43")의 3층 구조에 의해 순서대로 적층된 자기 기록층(43)과, 이 자기 기록층(43) 상에 형성된 제2 터널 접합층(42b)과, 이 제2 터널 접합층(42b) 상에 강자성층(104'), 비자성층(107), 강자성층(104"), 반강자성층(103), 초기 강자성층(102), 접점층(106)이 순서대로 적층된 제2 자화 고착층(41b)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5b에 도시한 TMR 소자(11)에서는, 자기 기록층(43)을 구성하는 강자성층(43'), 비자성층(107), 강자성층(43")의 3층 구조와, 제2 자화 고착층(41b) 내의 강자성층(104'), 비자성층(107), 강자성층(104")으로 이루어지는 3층 구조를 도입함으로써, 도 5a에 도시한 TMR 소자(11)보다 강자성 내부의 자극의 발생을 억제하여, 보다 미세화에 적합한 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2중 터널 접합 구조의 TMR 소자(11)를 이용함으로써, 1중 터널 접합 구조의 TMR 소자(11)를 이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동일한 외부 바이어스를 인가했을 때의 MR(Magneto Resistive)비("1" 상태, "0" 상태의 저항의 변화율)의 열화가 적어, 보다 높은 바이어스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셀 내의 정보를 외부로 판독할 때에 유리하다.
이러한 1중 터널 접합 구조 또는 2중 터널 접합 구조의 TMR 소자(11)는 이하의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자화 고착층(41, 41a, 41b) 및 자기 기록층(43)의 재료로는, 예를 들면, Fe, Co, Ni 또는 이들 합금, 스핀 분극율이 큰 마그네타이트, CrO2, RXMnO3-y(R; 희토류, X; Ca, Ba, Sr) 등의 산화물 외, NiMnSb, PtMnSb 등의 호이슬러 합금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자성체에는 강자성을 잃어버리지 않는 한, Ag, Cu, Au, Al, Mg, Si, Bi, Ta, B, C, O, N, Pd, Pt, Zr, Ir, W, Mo, Nb 등의 비자성 원소가 다소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자화 고착층(41, 41a, 41b)의 일부를 구성하는 반강자성층(103)의 재료로는, Fe-Mn, Pt-Mn, Pt-Cr-Mn, Ni-Mn, Ir-Mn, NiO, Fe2O3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널 접합층(42, 42a, 42b)의 재료로는 Al2O3, SiO2, MgO, AlN, Bi2 O3, MgF2, CaF2, SrTiO2, AlLaO3 등의 다양한 유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유전체에는 산소, 질소, 불소 결손이 존재해도 상관없다.
도 6의 (a)는 종래 기술에 따른 MRAM 칩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의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MRAM 칩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의 (a)는 도 6의 (a)의 ⅦA-ⅦA선을 따른 종래의 MRAM 칩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의 (b)는 도 6의 (a)의 ⅦB-ⅦB선을 따른 제1 실시예에 따른 MRAM 칩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주변 회로부(20)의 회로의 일부를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에 배치한다. 이 때문에,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에 배치한 주변 회로부(20)의 회로만큼 주변 회로부(20)의 표면적을 축소할 수 있다. 그 결과, MRAM 칩의 면적을 축소할 수 있다.
즉,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MRAM 칩은 크게 나누어 메모리 셀부(10)와 주변 회로부(20)로 분류할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에는 전혀 사용되지 않는 스페이스(45)가 존재하였다. 그래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페이스(45)가 존재하고 있는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에, 주변 회로부(20)의 회로의 일부를 배치시킨다. 이에 따라,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이 유효하게 활용되어,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MRAM 칩의 면적을 축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주변 회로부(20)의 회로는, 주변 회로 형성에 사용되는 층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배치되는 영역이 다름으로써 층을 변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프로세스를 증가시킬 필요도 없어, 비용 증가의 우려도 없다.
또한,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주변 회로부(20)의 회로는 도 2에 도시한 회로에 한정되지 않고, 메모리 셀부(10)의 외부 영역에 배치된 감지 증폭기 회로(25)나 워드선 구동 트랜지스터(26) 등의 기입 배선용 드라이버를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에 배치해도 된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는 TMR 소자와 기입·판독 배선만을 이용한 1TMR 소자형의 셀 구조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메모리 셀부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주변 회로부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8, 도 9의 X-X선을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메모리 셀부(10)는, TMR 소자(11), 비트선(13), 기입 워드선(14a), 판독 워드선(14b)으로 구성된다. 이 메모리 셀부(10)에서는, 비트선(13)과 기입 워드선(14a)이 서로 직교하도록 매트릭스 형상으로 주기적으로 배치되며, 이들 비트선(13)과 기입 워드선(14a)의 각각의 교점에 TMR 소자(11)가 배치된다. 또한, 판독 워드선(14b)이 비트선(13)과 이격되어, 기입 워드선(14a)과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도 9,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주변 회로부(20)의 일부는,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 회로부(20)의 컬럼계 회로의 일부가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고, 주변 회로부(20)의 로우계 회로가 메모리 셀부(10)의 외부 영역에 배치된다. 즉, 컬럼계 회로의 비트선 구동 트랜지스터(21), 전원 배선 및 접지 배선(22), 컬럼 어드레스선(23), 컬럼 디코더(24)가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다. 한편, 컬럼계 회로의 감지 증폭기 회로(25), 로우계 회로의 워드선 구동 트랜지스터(26), 로우 디코더(27), 로우 어드레스 배선(28)이 메모리 셀부(10)의 외부 영역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30)에 소자 영역(31)과 소자 분리 영역(32)이 형성된다. 이 소자 영역(31)의 반도체 기판(30) 상에 게이트 전극(33)이 형성되며, 이 게이트 전극(33)을 사이에 둔 소자 영역(31) 내에 소스/드레인 확산층(34)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서, MOS 트랜지스터(35)가 형성되며, 이 MOS 트랜지스터(35)가 예를 들면 비트선 구동 트랜지스터(21)가 된다. 또한, 반도체 기판(30) 상의 층간 절연막(36) 내에는 배선층(37)이 형성되며, 이 배선층(37)이 예를 들면 전원 배선 및 접지 배선(22)이 된다. 그리고, 이 배선층(37)과 소스/드레인 확산층(34)이 제1 컨택트층(38)으로 접속되고, 배선층(37)과 판독 워드선(14b)이 제2 컨택트층(39)으로 접속된다. 이에 의해서, 전원 배선 및 접지 배선(22)이 비트선 구동 트랜지스터(21)에 전위를 인가하고, 이 비트선 구동 트랜지스터(21)가 기입 전류를 발생시킨다. 또한, 메모리 셀부(10)의 외측으로 연장된 비트선(13)에는 "1", "0" 판정용의 감지 증폭기 회로(25)가 접속된다.
또한, 주변 회로부(20)의 일부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메모리 셀부(10)와 주변 회로부(20)의 경계 부근으로부터 복수의 셀을 걸쳐,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는, TMR 소자(11)마다 판독용의 스위칭 소자를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제1 실시예보다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이 커진다. 이 때문에, 제1 실시예의 경우보다 많은 주변 회로부(20)의 회로를,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주변 회로부(20)의 표면적을 더 축소할 수 있어, MRAM 칩의 면적을 더 축소할 수 있다.
또,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주변 회로부(20)의 회로는 도 9에 도시한 회로에 한정되지 않고, 메모리 셀부(10)의 외부 영역에 배치된 감지 증폭기 회로(25)나 워드선 구동 트랜지스터(26) 등의 기입 배선용 드라이버를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에 배치해도 된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는 본 발명을 MRAM 혼재 논리 회로에 적용한 예로, 논리 회로부의 일부를 메모리 셀부의 하부 영역에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1b는 도 11a의 XIB-XIB선을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1a,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MRAM 혼재 칩은, 메모리 셀부(10)와, 주변 회로부(20)와, 논리 회로부(50)로 구성된다. 그리고, 논리 회로부(50)의 제1 논리 회로부(50a)는 메모리 셀부(10)의 외부 영역에 배치되며, 논리 회로부(50)의 제2 논리 회로부(50b)는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다.
또한, 논리 회로부(50)의 제2 논리 회로부(50b)는, 제1 실시예의 주변 회로부(20)와 마찬가지로, 메모리 셀부(10)와 논리 회로부(50)의 경계 부근으로부터 복수의 셀을 걸쳐,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다.
도 12는 종래 기술에 따른 MRAM 칩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3a는 도 12의 XIIIA-XIIIA선을 따른 종래의 MRAM 칩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MRAM 칩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논리 회로부(50)의 회로의 일부(제2 논리 회로부(50b))를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에 배치한다. 이 때문에,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에 배치한 제2 논리 회로부(50b)만큼 논리 회로부(50)의 표면적을 축소할 수 있다. 그 결과, MRAM 칩의 면적을 축소할 수 있다.
즉,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MRAM 칩은 크게 나누어 메모리 셀부(10)와 논리 회로부(50)로 분류할 수 있다.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에는 전혀 사용되지 않는 스페이스(45)가 존재하였다. 그래서,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페이스(45)가 존재한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에, 논리 회로부(50)의 회로의 일부(제2 논리 회로부(50b))를 배치시킨다. 이에 의해서,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이 유효하게 활용되어, MRAM 칩의 면적을 축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논리 회로부(50)의 회로를 등가적으로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3 실시예에서,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에는 논리 회로부(50)의 일부만이 배치되어 있지만, 주변 회로부(20)의 일부도 함께 배치해도 된다.
이하에, 일례를 들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칩 레이아웃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메모리 혼재의 LSI 칩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5a, 도 15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혼재의 LSI 칩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a에서의 논리부 근변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 혼재의 LSI 칩은, MPU부, SRAM부, 아날로그부, 논리부, DRAM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MRAM 혼재의 LSI 칩은, 도 14의 DRAM부를 MRAM부로 치환하여, 이 MRAM부의 하부 영역 등에 MPU부나 논리부를 배치하고 있다. 즉,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층 배선 기술을 이용하여 CMOS 및 다층 배선을 형성한 후에, MRAM 셀 어레이 및 전원선·버스 배선과 같은 배선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서, MRAM부의 하부 영역에, 논리부나 MPU부와 같은 랜덤 로직 회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칩 면적을 대폭적으로 축소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SRAM부를 MRAM부로 치환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MRAM부를 논리부에 내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칩 면적을 더 축소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제4 실시예는,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셀 구조로, 메모리 셀부의 TMR 소자를 주변 회로부에도 형성하고, 이 주변 회로부의 TMR 소자를 컨택트층으로서 이용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7은 메모리 셀부(10)와 주변 회로부(20)의 경계 부근을 나타낸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메모리 셀부(10)는 TMR 소자(11), 비트선(13), 기입 워드선(14a), 판독 워드선(14b)으로 구성된다.
한편, 주변 회로부(20)의 일부분은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며, 주변 회로부(20)의 다른 부분은 메모리 셀부(10)와 동일한 레벨로 배선이 형성된다. 즉, 반도체 기판(30) 상에 MOS 트랜지스터(35)가 형성되며, 이 MOS 트랜지스터(35)의 소스/드레인 확산층(34)에 제1 컨택트층(61)이 접속된다. 이 제1 컨택트층(61)에 제1 배선층(62a)이 접속되며, 이 제1 배선층(62a)과 이격된 제1 배선층(62b)의 일부는 판독 워드선(14b) 아래에 배치된다. 즉, 제1 배선층(62b)은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으로부터 메모리 셀부(10)의 외측 영역으로 인출된다. 이 인출된 제1 배선층(62b)은 제2 컨택트층(63)을 통해 제2 배선층(64)에 접속되고, 이 제2 배선층(64)은 제3 컨택트층(65)을 통해 제3 배선층(66)에 접속되며, 이 제3 배선층(66)은 제4 컨택트층(67)을 통해 제4 배선층(68)에 접속된다.
여기서, 주변 회로부(20)의 각 배선층(64, 66, 68)은 메모리 셀부(10)의 각 배선층(14b, 13, 14a)의 일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4 컨택트층(67)은 메모리 셀부(10)의 TMR 소자(11)의 일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주변 회로부(20)의 제2 배선층(64), 제3 배선층(66), 제4 컨택트층(67), 제4 배선층(68)은 메모리 셀부(10)의 판독 워드선(14b), 비트선(13), TMR 소자(11), 기입 워드선(14a)과 각각 동일한 레벨로 형성된다.
또한, TMR 소자(11)의 저항은, 일반적으로 1㏀·㎛2 정도이지만, 예를 들면 100Ω·㎛2이나 10Ω·㎛2 정도로 내리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문에, 표면적이 1㎛2 정도의 TMR 소자(11)를 예를 들면 100개 병렬로 배열한 경우, 100Ω·㎛2×100=1Ω, 10Ω·㎛2×100=0.1Ω으로 된다. 이와 같이 TMR 소자(11)의 저항을 각각 내릴 수 있다. 따라서, TMR 소자(11)를 컨택트층으로서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주변 회로부(20)에서, TMR 소자(11)를 컨택트층의 일부(제4 컨택트층(67))로서 이용한다. 이에 의해서, 프로세스 공정을 증가시키지 않고서, 메모리 셀부(10)의 최상층에 위치하는 기입 워드선(14a), TMR 소자(11), 비트선(13), 워드선(14b) 등을 주변 회로의 일부로서 활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주변 회로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예에서, 메모리 셀부(10)는 제2 실시예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1 실시예와 같은 TMR 소자와 pn 접합 다이오드를 조합한 1TMR 소자+1다이오드형의 셀 구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제5 실시예]
제5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는, TMR 소자와 MOS 트랜지스터를 조합한 1TMR 소자+1트랜지스터형의 셀 구조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9는 도 18의 XIX-XIX선을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0은 도 18의 XX-XX선을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에 따른 MRAM 칩의 레이아웃은, 칩 상에 복수의 메모리 셀부(10)가 배치되고, 이들 메모리 셀부(10)의 단부에는 주변 회로부(20)의 컬럼 디코더(24), 로우 디코더(27)가 배치된다. 그리고, 컬럼 디코더(24)에 접속되는 복수의 컬럼 어드레스선(23)이 행 방향으로 배치되며, 로우 디코더(27)에 접속되는 복수의 로우 어드레스선(28)이 열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들 컬럼 어드레스선(23) 및 로우 어드레스선(28)은, 복수의 메모리 셀부(10)를 걸쳐, 이들 메모리 셀부(10)의 복수(예를 들면 4개 또는 8개)의 비트선 또는 워드선(도시하지 않음)에 각각 접속된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메모리 셀부(10)는 TMR 소자(11), 비트선(13), 워드선(14), MOS 트랜지스터(35)로 구성된다. 이 메모리 셀부(10)에서는, 비트선(13)과 워드선(14)이 서로 직교하도록 매트릭스 형상으로 주기적으로 배치되며, 이들 비트선(13)과 워드선(14)의 각각의 교점에 TMR 소자(11)가 배치된다. 이 TMR 소자(11)와 쌍을 이루어 1셀마다 MOS 트랜지스터(35)가 배치되며, 이 MOS 트랜지스터(35)는 제1, 제2 컨택트층(38, 39), 배선층(37), 하부 전극(70)을 통해 TMR 소자(11)에 접속된다.
도 19,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주변 회로부(20)의 일부(예를 들면, 로우 어드레스선(28), 컬럼 어드레스선(23))는, 메모리 셀부(10)의 간극에 배치된다. 즉, 로우 어드레스선(28)은 메모리 셀부(10)의 예를 들면 워드선(14)과 동시에 형성되며, 비트선(13) 아래의 간극에 배치된다. 또한, 컬럼 어드레스선(23)은 메모리 셀부(10)의 예를 들면 배선층(37)과 동시에 형성되며, 워드선(14) 아래의 간극에 배치된다. 그리고, TMR 소자(11)에 접속되는 비트선(13)은 LSI를 구성하는 배선층의 최상층에 배치된다.
상기 제5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기입·판독 동작은 이하와 같이 행해진다.
우선, 임의의 셀에 정보를 기입하는 경우, 로우 어드레스선(28)에 의해 워드선(14)이 선택되고, 컬럼 어드레스선(23)에 의해 비트선(13)이 선택된다. 이 선택된 워드선(14) 및 비트선(13)에 의해 정보를 기입하는 셀이 선택되며, 이 선택 셀의 TMR 소자(11)에 "0" 또는 "1"의 데이터가 기입된다. 이 기입되는 데이터의 종류("0" 또는 "1")는 워드선(14)을 흐르는 전류의 극성에 의해 결정된다.
한편, 임의의 셀의 정보를 판독하는 경우, 선택 셀에 접속된 셀 선택 트랜지스터(35)의 게이트 전극(33)을 온으로 한다. 이에 의해서, 판독 전류는, 비트선(13)∼TMR 소자(11)∼하부 전극(70)∼제2 컨택트층(39)∼배선층(37)∼제1 컨택트층(38)∼셀 선택 트랜지스터(35)∼공통 접지선(71)의 순으로 흐른다. 그리고, 감지 증폭기 회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정보가 판독된다.
상기 제5 실시예에 따르면, 주변 회로부(20)의 로우 어드레스선(28)이나 컬럼 어드레스선(23)을 메모리 셀부(10)의 비트선(13)이나 워드선(14) 아래의 간극에 배치한다. 따라서, 메모리 셀부(10) 내의 간극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MRAM 칩의 면적을 축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로우 어드레스선(28)을 예를 들면 워드선(14)과 동시에 형성하고, 컬럼 어드레스선(23)을 예를 들면 배선(37)과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주변 회로부(20)의 회로의 제조 공정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종래, 로우 어드레스선(28)이나 컬럼 어드레스선(23)은 메모리 셀부(10)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로우 어드레스선(28)이나 컬럼 어드레스선(23)의 형성 시, 300℃+α 정도의 내열성인 TMR 소자(11)에, 열 처리에 의한 악영향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제5 실시예에 따르면, 로우 어드레스선(28)이나 컬럼 어드레스선(23)을 TMR 소자(11)보다 아래에 배치시키기 때문에, 로우 어드레스선(28)이나 컬럼 어드레스선(23)을 형성한 후에 TMR 소자(11)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열 처리에 의한 TMR 소자(11)로의 악영향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TMR 소자(11)는 제조 공정에서 크린룸 등에서의 제조 설비를 오염시킬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TMR 소자(11)를 가능한 한 최상층에 가까운 장소에 배치함으로써, 제조 설비의 오염을 저감할 수 있다.
[제6 실시예]
제6 실시예는, 제5 실시예의 셀 구조를, TMR 소자와 pn 접합 다이오드를 조합한 1TMR 소자+1다이오드형의 셀 구조로 변경한 것이다.
도 21은 제6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비트선 방향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2는 제6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워드선 방향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또, 도 21은 도 18의 XIX-XIX선을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단면이고, 도 22는 도 18의 XX-XX선을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단면이다.
도 21,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에 비트선(13)의 방향으로 컬럼 어드레스선(23)이 배치된다. 이 컬럼 어드레스선(23)의 하부 영역에 워드선(14)의 방향으로 로우 어드레스선(28)이 배치된다.
상기 제6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기입·판독 동작은 이하와 같이 행해진다.
우선, 임의의 셀에 정보를 기입하는 경우, 로우 어드레스선(28)에 의해 워드선(14)이 선택되고, 컬럼 어드레스선(23)에 의해 비트선(13)이 선택된다. 이 선택된 워드선(14) 및 비트선(13)에 의해 정보를 기입하는 셀이 선택되며, 이 선택 셀의 TMR 소자(11)에 "0" 또는 "1"의 데이터가 기입된다. 이 기입되는 데이터의 종류("0" 또는 "1")는 비트선(13) 또는 워드선(14)에 흐르는 전류 중 어느 한쪽의 극성을 변화시킴으로써 결정된다.
한편, 임의의 셀의 정보를 판독하는 경우, 선택 셀에 접속된 비트선(13)과 워드선(14)에는, TMR 소자(11)와 직렬 접속된 다이오드(12)에 대하여 순방향으로 되는 전압을 제공한다. 이 때, 비선택 셀에 접속된 비트선(13)과 워드선(14)에는, 다이오드(12)에 대하여 역 방향으로 되는 전압을 각각 인가한다. 예를 들면, 이 다이오드(12)가 비트선(13)으로부터 워드선(14)으로 향하는 방향을 순방향으로 하는 pn 접합 다이오드인 경우, 이하의 수학식 1, 수학식 2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바이어스 전압 V비트선, V워드선을 비트선(13)과 워드선(14)에 각각 인가한다. 그 결과, 선택 셀에만 판독 전류가 흘러 감지 증폭기 회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정보가 판독된다.
상기 제6 실시예에 따르면, 제5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6 실시예는 제5 실시예에 비해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에 간극이 많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제5 실시예보다 간극에 많은 로우 어드레스선(28)이나 컬럼 어드레스선(23)을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MRAM 칩의 면적을 더 축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6 실시예에서는, 컬럼 어드레스선(23)이 로우 어드레스선(28)의 상층에 배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로우 어드레스선(28)이 컬럼 어드레스선(23)의 상층에 배치되어도 되고,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우 어드레스선(28)을 워드선(14)과 동일 레벨에 형성해도 되며, 최상층의 비트선(13) 아래의 간극이면 컬럼 어드레스선(23)이나 로우 어드레스선(28)은 어디에 형성되어도 된다.
[제7 실시예]
제7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는, 복수의 TMR 소자가 서로 병렬 접속된 사다리형의 셀 구조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제7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메모리 셀부(10)는, TMR 소자(11), 기입 비트선(13a), 판독 비트선(13b), 기입 워드선(14)으로 구성된다. 이 메모리 셀부(10)에서는, 복수의 TMR 소자(11)가 동일 레벨에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TMR 소자(11)의 일단부는 기입 비트선(13a)으로 서로 접속되고, 각 TMR 소자(11)의 타단부는 판독 비트선(13b)으로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판독 비트선(13b)과 이격되어 TMR 소자(11)의 하방에, 기입 워드선(14)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입 비트선(13a)에는 기입용의 트랜지스터(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며, 판독 비트선(13b)에는 판독용의 트랜지스터(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어 있다.
제7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주변 회로부(20)의 일부는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다. 이 주변 회로부(20)의 일부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메모리 셀부(10)와 주변 회로부(20)의 경계 부근으로부터 복수의 셀을 걸쳐,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다. 주변 회로부(20)의 구조는 상기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주변 회로부(20)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7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형의 구조의 경우, 병렬 접속된 복수의 TMR 소자(11) 중, 임의의 TMR 소자(11)에 데이터가 기입되고, 이 기입된 데이터를 판독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행해진다.
우선, 제1 사이클에서, 판독 워드선(13b)에 접속된 판독용의 트랜지스터를 온시켜, 병렬 접속된 복수의 TMR 소자(11)에 제1 판독 전류를 흘린다. 그리고, 이 제1 판독 전류를 감지 회로(도시하지 않음)에 기억시킨다. 그 후, 판독용의 트랜지스터를 오프시켜 판독 전류를 오프시킨다.
다음으로, 제2 사이클에서, 기입 워드선(13a) 및 기입 비트선(14)에, 기대치 "1" 또는 "0" 데이터가 기입되는 기입 전류를 흘리고, 임의의 TMR 소자(11)에 재차 데이터의 기입을 행한다. 그 후, 이 기입 전류를 오프시킨다.
다음으로, 제3 사이클에서, 판독용의 트랜지스터를 온시켜, 병렬 접속된 복수의 TMR 소자(11)에 제2 판독 전류를 흘린다. 그리고, 이 제2 판독 전류를 감지 회로에 기억시킨다. 그 후, 제1 사이클에서 감지 회로에 기억된 제1 판독 전류와 제3 사이클에서 감지 회로에 기억된 제2 판독 전류가 비교된다. 여기서, 기입 시에 기대치 "1" 데이터의 기입 동작이 행해진 경우, 제1 및 제2 판독 전류가 변화되지 않으면 "1" 데이터가, 제1 및 제2 판독 전류가 변화되면 "0" 데이터가, 임의의 TMR 소자(11)에 기입되어 있던 것이 된다. 한편, 기입 시에 기대치 "0" 데이터의 기입 동작이 행해진 경우, 제1 및 제2 판독 전류가 변화되지 않으면 "0" 데이터가, 제1 및 제2 판독 전류가 변화되면 "1" 데이터가, 임의의 TMR 소자(11)에 기입되어 있던 것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임의의 TMR 소자(11)에 기입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후, 제4 사이클에서, 임의의 TMR 소자(11)에 초기 상태와 동일한 데이터가 재기입되도록, 기입 워드선(13a) 및 기입 비트선(14)에 전류를 흘려, 판독 동작이 종료된다.
상기 제7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7 실시예에서는, TMR 소자(11)마다 판독용의 스위칭 소자를 설치하지 않고서, 복수의 병렬 접속된 TMR 소자마다 판독용의 스위칭 소자를 설치한다. 이 때문에, 제1 실시예보다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이 커지기 때문에, 제1 실시예의 경우보다 많은 주변 회로부(20)의 회로를, 메모리 셀부(10)의 하부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주변 회로부(20)의 표면적을 더 축소할 수 있어, MRAM 칩의 면적을 더 축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기억 소자로서 TMR 소자를 이용하였지만, TMR 소자 대신에, 2개의 자성층과 이들 자성층 사이에 끼워진 도체층으로 이루어지는 GMR(Giant Magneto Resistive) 소자를 이용해도 된다.
당업자라면 부가적인 장점 및 변경들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광의의 관점에서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예시되고 기술된 상세한 설명 및 대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들 및 그 등가물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발명적 개념의 정신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모리 셀부의 하부 영역에 주변 회로부를 배치함으로써, 주변 회로부의 면적을 축소할 수 있으며, 그 결과 MRAM 칩의 면적을 더 축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메모리 셀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주변 회로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1, 도 2의 Ⅲ-Ⅲ선을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1중 터널 접합 구조의 TMR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1중 터널 접합 구조의 다른 TMR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2중 터널 접합 구조의 TMR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2중 터널 접합 구조의 다른 TMR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의 (a)는 종래 기술에 따른 MRAM 칩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의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MRAM 칩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의 (a)는 도 6의 (a)의 ⅦA-ⅦA선을 따른 종래의 MRAM 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의 (b)는 도 6의 (a)의 ⅦB-ⅦB선을 따른 제1 실시예에 따른 MRAM 칩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메모리 셀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주변 회로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도 8, 도 9의 Ⅹ-Ⅹ선을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단면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b는 도 11a의 XIB-XIB선을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단면도.
도 12는 종래 기술에 따른 MRAM 칩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a는 도 12의 XIIIA-XIIIA선을 따른 종래의 MRAM 칩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MRAM 칩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메모리 혼재의 LSI 칩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
도 15a, 15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혼재의 LSI 칩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
도 16은 도 15a에서의 논리부 근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9는 도 18의 XIX-XIX선을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0은 도 18의 XX-XX선을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를 나타내는 비트선 방향을 따른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를 나타내는 워드선 방향을 따른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4a는 제1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4b는 도 24a의 XXIVB-XXIVB선을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단면도.
도 25a는 제2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5b는 도 25a의 XXVB-XXVB선을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단면도.
도 26a는 제3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6b는 도 26a의 XXVIB-XXVIB선을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단면도.
도 27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모리 셀부
11 : TMR 소자
12 : pn 다이오드 소자
13 : 비트선
14 : 워드선
23 : 컬럼 어드레스
28 : 로우 어드레스

Claims (25)

  1. 반도체 기억 장치에 있어서,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방에 배치된 메모리셀부;
    상기 메모리셀부 내에 배치된 제1 자기 저항 효과 소자;
    상기 메모리셀부 내에 배치되고, 전류 자계를 발생시켜 상기 제1 자기 저항 효과 소자에 데이터를 직접 기입하거나 상기 제1 자기 저항 효과 소자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전기적으로 직접 판독하며, 비트선 및 워드선을 포함하는 메모리셀 회로; 및
    상기 메모리셀부 바깥에 배치되고, 상기 메모리셀 회로에 포함되지 않고, 상기 메모리셀 회로를 제어하는 주변 회로 - 상기 주변 회로의 일부 또는 상기 주변 회로 모두는 상기 제1 자기 저항 효과 소자와 상기 반도체 기판에 협지된 영역인 상기 메모리셀부의 하부 영역에 배치됨 -
    를 포함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회로는 어드레스 디코더, 어드레스 배선, 감지 증폭기 회로, 전원 배선 및 접지 배선, 워드선 구동 트랜지스터, 비트선 구동 트랜지스터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4. 반도체 기억 장치에 있어서,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방에 배치된 메모리셀부;
    상기 메모리셀부 내에 배치된 제1 자기 저항 효과 소자;
    상기 메모리셀부 내에 배치되고, 전류 자계를 발생시켜 상기 제1 자기 저항 효과 소자에 데이터를 직접 기입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자기 저항 효과 소자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전기적으로 직접 판독하는 메모리셀 회로; 및
    상기 메모리셀부 바깥에 배치되고, 상기 메모리셀 회로에 포함되지 않는 로직 회로 - 상기 로직 회로의 일부 또는 상기 로직 회로 모두는 상기 제1 자기 저항 효과 소자와 상기 반도체 기판에 협지된 영역인 상기 메모리셀부의 하부 영역에 배치됨 -
    를 포함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부 바깥에 배치되고, 상기 메모리셀 회로에 포함되지 않고, 상기 메모리셀 회로를 제어하는 주변 회로 - 상기 주변 회로의 일부 또는 상기 주변 회로 모두는 상기 메모리셀부의 상기 하부 영역에 배치됨 -
    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6. 삭제
  7. 반도체 기억 장치에 있어서,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방에 배치된 메모리셀부;
    상기 메모리셀부 내에 배치된 제1 자기 저항 효과 소자;
    상기 메모리셀부 내에 배치되고, 전류 자계를 발생시켜 상기 제1 자기 저항 효과 소자에 데이터를 직접 기입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자기 저항 효과 소자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전기적으로 직접 판독하는 메모리셀 회로; 및
    상기 메모리셀부 바깥에 배치되고, 상기 메모리셀 회로에 포함되지 않는 회로 - 상기 회로의 일부 또는 상기 회로 모두는 상기 제1 자기 저항 효과 소자와 상기 반도체 기판에 협지된 영역인 상기 메모리셀부의 하부 영역에 배치됨 -
    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는 로직 회로, 아날로그 회로, MPU(Micro-processing unit)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선 및 상기 워드선의 교점에, 상기 제1 자기 저항 효과 소자가 배치되는 반도체 기억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 회로는 정류 소자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선 및 상기 워드선의 교점에, 상기 제1 자기 저항 효과 소자 및 상기 정류 소자가 배치되는 반도체 기억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회로는,
    제1 및 제2 배선; 및
    상기 제1 및 제2 배선 사이에 접속되고 컨택트로서 사용되는 제2 자기 저항 효과 소자를 포함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기 저항 효과 소자는 상기 제1 자기 저항 효과 소자와 동일한 레벨에 배치되는 반도체 기억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회로의 일부 또는 상기 주변 회로 모두는 상기 메모리셀부의 상기 하부 영역으로부터 상기 메모리셀부의 외부 영역으로 인출되는 반도체 기억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선 및 상기 워드선 중 어느 한쪽은 LSI를 구성하는 최상층 배선과 동일한 레벨에 형성되는 반도체 기억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회로는,
    상기 비트선 및 상기 워드선 중 어느 한쪽의 아래의 상기 메모리셀부 내에 배치된 배선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어드레스 배선인 반도체 기억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부는,
    복수의 제1 자기 저항 효과 소자 - 상기 복수의 제1 자기 저항 효과 소자는 동일한 레벨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자기 저항 효과 소자는 일단부와 타단부를 각각 포함함 - ;
    상기 복수의 제1 자기 저항 효과 소자의 상기 일단부를 서로 접속시키는 제1 배선;
    상기 복수의 제1 자기 저항 효과 소자의 상기 타단부를 서로 접속시키는 제2 배선; 및
    상기 제1 배선 또는 상기 제2 배선과 이격되어 배치된 제3 배선
    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 회로는 상기 데이터를 판독할 때 사용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트랜지스터 또는 정류 소자인 반도체 기억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회로의 일부 또는 상기 주변 회로 모두는 상기 메모리셀부의 바로 아래 영역에 배치되는 반도체 기억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부의 바로 아래의 상기 영역은 상기 메모리셀부의 단부로부터 복수의 셀에 걸친 내측 영역인 반도체 기억 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회로는 MOS 트랜지스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아날로그 소자, 배선층, 콘택트층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회로의 일부 또는 상기 주변 회로 모두는 상기 메모리셀 회로와 상기 반도체 기판에 협지된 영역에 배치되는 반도체 기억 장치.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회로의 일부 또는 상기 주변 회로 모두는 상기 반도체 기판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상기 메모리셀부와 중첩되는 반도체 기억 장치.
KR10-2002-0016990A 2001-03-29 2002-03-28 반도체 기억 장치 KR1005182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96679A JP2002299575A (ja) 2001-03-29 2001-03-29 半導体記憶装置
JPJP-P-2001-00096679 2001-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9087A KR20030009087A (ko) 2003-01-29
KR100518284B1 true KR100518284B1 (ko) 2005-10-04

Family

ID=18950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6990A KR100518284B1 (ko) 2001-03-29 2002-03-28 반도체 기억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80463B2 (ko)
EP (1) EP1253652A3 (ko)
JP (1) JP2002299575A (ko)
KR (1) KR100518284B1 (ko)
CN (1) CN1185711C (ko)
TW (1) TW5352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80155A1 (en) * 2004-06-21 2005-12-22 Sang-Yun Lee Semiconductor bonding and layer transfer method
US8779597B2 (en) * 2004-06-21 2014-07-15 Sang-Yun Lee Semiconductor device with base support structure
US8058142B2 (en) 1996-11-04 2011-11-15 Besang Inc. Bonded semiconductor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02246567A (ja) * 2001-02-14 2002-08-30 Toshiba Corp 磁気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
JP4570313B2 (ja) * 2001-10-25 2010-10-27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薄膜磁性体記憶装置
US6801450B2 (en) * 2002-05-22 2004-10-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mory cell isolation
JP2004023062A (ja) * 2002-06-20 2004-01-22 Nec Electronics Corp 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方法
US7799675B2 (en) * 2003-06-24 2010-09-21 Sang-Yun Lee Bonded semiconductor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100133695A1 (en) * 2003-01-12 2010-06-03 Sang-Yun Lee Electronic circuit with embedded memory
US20100190334A1 (en) * 2003-06-24 2010-07-29 Sang-Yun Lee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867822B2 (en) 2003-06-24 2011-01-11 Sang-Yun Le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8471263B2 (en) 2003-06-24 2013-06-25 Sang-Yun Lee Information storage system which includes a bonded semiconductor structure
US7632738B2 (en) * 2003-06-24 2009-12-15 Sang-Yun Lee Wafer bonding method
US8071438B2 (en) * 2003-06-24 2011-12-06 Besang Inc. Semiconductor circuit
US7863748B2 (en) * 2003-06-24 2011-01-04 Oh Choonsik Semiconductor circuit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4247085B2 (ja) 2003-09-29 2009-04-02 株式会社東芝 磁気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34501B1 (ko) * 2004-01-29 2006-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8529270A (ja) 2005-01-25 2008-07-31 ノーザン ライツ セミコンダクター コーポレイション 磁気抵抗メモリを有するシングルチップ
US8455978B2 (en) 2010-05-27 2013-06-04 Sang-Yun Lee Semiconductor circuit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110143506A1 (en) * 2009-12-10 2011-06-16 Sang-Yun Lee Method for fabricating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8367524B2 (en) * 2005-03-29 2013-02-05 Sang-Yun Lee Three-dimensional integrated circuit structure
US7324369B2 (en) * 2005-06-30 2008-01-29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RAM embedded smart power integrated circuits
US7466583B2 (en) * 2006-01-13 2008-12-16 Magic Technologies, Inc. MRAM with split read-write cell structures
US7952184B2 (en) * 2006-08-31 2011-05-31 Micron Technology, Inc. Distributed semiconductor device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US7754532B2 (en) * 2006-10-19 2010-07-13 Micron Technology, Inc. High density chip packages, methods of forming, and systems including same
US7539046B2 (en) * 2007-01-31 2009-05-26 Northern Lights Semiconductor Corp. Integrated circuit with magnetic memory
US7382647B1 (en) * 2007-02-27 2008-06-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ctifying element for a crosspoint based memory array architecture
US7929335B2 (en) * 2007-06-11 2011-04-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e of a symmetric resistive memory material as a diode to drive symmetric or asymmetric resistive memory
US8139325B2 (en) * 2007-06-19 2012-03-20 Canon Anelva Corporation Tunnel magnetoresistive thin film
JP4874884B2 (ja) 2007-07-11 2012-02-15 株式会社東芝 磁気記録素子及び磁気記録装置
US8154251B2 (en) 2007-07-13 2012-04-10 Cummin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idling and maintaining vehicle electrical system integrity
US8078339B2 (en) * 2007-07-13 2011-12-13 Cummins Inc. Circuit board with integrated connector
JP2009054788A (ja) * 2007-08-27 2009-03-12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装置
JP5283922B2 (ja) * 2008-02-14 2013-09-04 株式会社東芝 磁気メモリ
US7986042B2 (en) 2009-04-14 2011-07-26 Monolithic 3D Inc. Method for fabrication of a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8058137B1 (en) 2009-04-14 2011-11-15 Monolithic 3D Inc. Method for fabrication of a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8362482B2 (en) 2009-04-14 2013-01-29 Monolithic 3D Inc.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8405420B2 (en) 2009-04-14 2013-03-26 Monolithic 3D Inc. System comprising a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8669778B1 (en) 2009-04-14 2014-03-11 Monolithic 3D Inc. Method for design and manufacturing of a 3D semiconductor device
US8754533B2 (en) 2009-04-14 2014-06-17 Monolithic 3D Inc. Monolithic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8395191B2 (en) 2009-10-12 2013-03-12 Monolithic 3D Inc.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8362800B2 (en) 2010-10-13 2013-01-29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field repairable logics
US8378715B2 (en) 2009-04-14 2013-02-19 Monolithic 3D Inc. Method to construct systems
US8427200B2 (en) 2009-04-14 2013-04-23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US8373439B2 (en) 2009-04-14 2013-02-12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US9577642B2 (en) 2009-04-14 2017-02-21 Monolithic 3D Inc. Method to form a 3D semiconductor device
US8384426B2 (en) 2009-04-14 2013-02-26 Monolithic 3D Inc.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9509313B2 (en) 2009-04-14 2016-11-29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US9711407B2 (en) 2009-04-14 2017-07-18 Monolithic 3D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three dimensional integrated circuit by transfer of a mono-crystalline layer
US8148728B2 (en) 2009-10-12 2012-04-03 Monolithic 3D, Inc. Method for fabrication of a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0354995B2 (en) 2009-10-12 2019-07-16 Monolithic 3D In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8581349B1 (en) 2011-05-02 2013-11-12 Monolithic 3D Inc. 3D memory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374118B2 (en) 2009-10-12 2022-06-28 Monolithic 3D Inc. Method to form a 3D integrated circuit
US9099424B1 (en) 2012-08-10 2015-08-04 Monolithic 3D Inc. Semiconductor system, device and structure with heat removal
US8742476B1 (en) 2012-11-27 2014-06-03 Monolithic 3D Inc.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018133B2 (en) 2009-10-12 2021-05-25 Monolithic 3D Inc. 3D integrated circuit
US10366970B2 (en) 2009-10-12 2019-07-30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0157909B2 (en) 2009-10-12 2018-12-18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8450804B2 (en) 2011-03-06 2013-05-28 Monolithic 3D Inc.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for heat removal
US10910364B2 (en) 2009-10-12 2021-02-02 Monolita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US8536023B2 (en) 2010-11-22 2013-09-17 Monolithic 3D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0043781B2 (en) 2009-10-12 2018-08-07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0388863B2 (en) 2009-10-12 2019-08-20 Monolithic 3D Inc. 3D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11984445B2 (en) 2009-10-12 2024-05-14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s and structures with metal layers
US8476145B2 (en) 2010-10-13 2013-07-02 Monolithic 3D Inc. Method of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8026521B1 (en) 2010-10-11 2011-09-27 Monolithic 3D Inc.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9099526B2 (en) 2010-02-16 2015-08-04 Monolithic 3D Inc.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structure
US8492886B2 (en) 2010-02-16 2013-07-23 Monolithic 3D Inc 3D integrated circuit with logic
US8373230B1 (en) 2010-10-13 2013-02-12 Monolithic 3D Inc. Method for fabrication of a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8461035B1 (en) 2010-09-30 2013-06-11 Monolithic 3D Inc. Method for fabrication of a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8541819B1 (en) 2010-12-09 2013-09-24 Monolithic 3D Inc.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8723335B2 (en) 2010-05-20 2014-05-13 Sang-Yun Lee Semiconductor circuit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ing a capping layer
US10217667B2 (en) 2011-06-28 2019-02-26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fabrication method and system
US9953925B2 (en) 2011-06-28 2018-04-24 Monolithic 3D Inc. Semiconductor system and device
US9219005B2 (en) 2011-06-28 2015-12-22 Monolithic 3D Inc. Semiconductor system and device
US8642416B2 (en) 2010-07-30 2014-02-04 Monolithic 3D Inc. Method of forming three dimensional integrated circuit devices using layer transfer technique
US8901613B2 (en) 2011-03-06 2014-12-02 Monolithic 3D Inc.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for heat removal
US10497713B2 (en) 2010-11-18 2019-12-03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8273610B2 (en) 2010-11-18 2012-09-25 Monolithic 3D Inc. Method of constructing a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482440B2 (en) 2010-12-16 2022-10-25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a built-in test circuit for repairing faulty circuits
US8163581B1 (en) 2010-10-13 2012-04-24 Monolith IC 3D Semiconductor and optoelectronic devices
US8114757B1 (en) 2010-10-11 2012-02-14 Monolithic 3D Inc.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600667B1 (en) 2010-10-11 2023-03-07 Monolithic 3D Inc. Method to produce 3D semiconductor devices and structures with memory
US10290682B2 (en) 2010-10-11 2019-05-14 Monolithic 3D Inc. 3D IC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stacked memory
US10896931B1 (en) 2010-10-11 2021-01-19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018191B1 (en) 2010-10-11 2021-05-25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227897B2 (en) 2010-10-11 2022-01-18 Monolithic 3D Inc. Method for producing a 3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11469271B2 (en) 2010-10-11 2022-10-11 Monolithic 3D Inc. Method to produce 3D semiconductor devices and structures with memory
US11158674B2 (en) 2010-10-11 2021-10-26 Monolithic 3D Inc. Method to produce a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024673B1 (en) 2010-10-11 2021-06-01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315980B1 (en) 2010-10-11 2022-04-26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transistors
US11257867B1 (en) 2010-10-11 2022-02-22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oxide bonds
US10978501B1 (en) 2010-10-13 2021-04-13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waveguides
US11929372B2 (en) 2010-10-13 2024-03-12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image sensors and wafer bonding
US11133344B2 (en) 2010-10-13 2021-09-28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image sensors
US11043523B1 (en) 2010-10-13 2021-06-22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image sensors
US9197804B1 (en) 2011-10-14 2015-11-24 Monolithic 3D Inc. Semiconductor and optoelectronic devices
US11437368B2 (en) 2010-10-13 2022-09-06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oxide bonding
US11855100B2 (en) 2010-10-13 2023-12-26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oxide bonding
US10943934B2 (en) 2010-10-13 2021-03-09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605663B2 (en) 2010-10-13 2023-03-14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image sensors and wafer bonding
US10833108B2 (en) 2010-10-13 2020-11-10 Monolithic 3D Inc. 3D microdisplay device and structure
US11869915B2 (en) 2010-10-13 2024-01-09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image sensors and wafer bonding
US10679977B2 (en) 2010-10-13 2020-06-09 Monolithic 3D Inc. 3D microdisplay device and structure
US11063071B1 (en) 2010-10-13 2021-07-13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waveguides
US11164898B2 (en) 2010-10-13 2021-11-02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984438B2 (en) 2010-10-13 2024-05-14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oxide bonding
US11163112B2 (en) 2010-10-13 2021-11-02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electromagnetic modulators
US8379458B1 (en) 2010-10-13 2013-02-19 Monolithic 3D Inc.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694922B2 (en) 2010-10-13 2023-07-04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oxide bonding
US11404466B2 (en) 2010-10-13 2022-08-02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image sensors
US10998374B1 (en) 2010-10-13 2021-05-04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327227B2 (en) 2010-10-13 2022-05-10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electromagnetic modulators
US11855114B2 (en) 2010-10-13 2023-12-26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image sensors and wafer bonding
US11164770B1 (en) 2010-11-18 2021-11-02 Monolithic 3D Inc. Method for producing a 3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11355381B2 (en) 2010-11-18 2022-06-07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11804396B2 (en) 2010-11-18 2023-10-31 Monolithic 3D Inc. Methods for producing a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mory cells and multiple metal layers
US11004719B1 (en) 2010-11-18 2021-05-11 Monolithic 3D Inc. Methods for producing a 3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11495484B2 (en) 2010-11-18 2022-11-08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s and structures with at least two single-crystal layers
US11784082B2 (en) 2010-11-18 2023-10-10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bonding
US11107721B2 (en) 2010-11-18 2021-08-31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NAND logic
US11862503B2 (en) 2010-11-18 2024-01-02 Monolithic 3D Inc. Method for producing a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mory cells and multiple metal layers
US11923230B1 (en) 2010-11-18 2024-03-05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bonding
US11355380B2 (en) 2010-11-18 2022-06-07 Monolithic 3D Inc. Methods for producing 3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tilizing alignment marks
US11482438B2 (en) 2010-11-18 2022-10-25 Monolithic 3D Inc. Methods for producing a 3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11031275B2 (en) 2010-11-18 2021-06-08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mory
US11094576B1 (en) 2010-11-18 2021-08-17 Monolithic 3D Inc. Methods for producing a 3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11482439B2 (en) 2010-11-18 2022-10-25 Monolithic 3D Inc. Methods for producing a 3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omprising charge trap junction-less transistors
US11211279B2 (en) 2010-11-18 2021-12-28 Monolithic 3D Inc. Method for processing a 3D integrated circuit and structure
US11569117B2 (en) 2010-11-18 2023-01-31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single-crystal layers
US11018042B1 (en) 2010-11-18 2021-05-25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11521888B2 (en) 2010-11-18 2022-12-06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high-k metal gate transistors
US11508605B2 (en) 2010-11-18 2022-11-22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11854857B1 (en) 2010-11-18 2023-12-26 Monolithic 3D Inc. Methods for producing a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mory cells and multiple metal layers
US11121021B2 (en) 2010-11-18 2021-09-14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610802B2 (en) 2010-11-18 2023-03-21 Monolithic 3D Inc. Method for producing a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single crystal transistors and metal gate electrodes
US11901210B2 (en) 2010-11-18 2024-02-13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mory
US11443971B2 (en) 2010-11-18 2022-09-13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mory
US11615977B2 (en) 2010-11-18 2023-03-28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11735462B2 (en) 2010-11-18 2023-08-22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single-crystal layers
US8975670B2 (en) 2011-03-06 2015-03-10 Monolithic 3D Inc.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for heat removal
US10388568B2 (en) 2011-06-28 2019-08-20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ystem
US8687399B2 (en) 2011-10-02 2014-04-01 Monolithic 3D Inc.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9029173B2 (en) 2011-10-18 2015-05-12 Monolithic 3D Inc. Method for fabrication of a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9000557B2 (en) 2012-03-17 2015-04-07 Zvi Or-Bach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164811B2 (en) 2012-04-09 2021-11-02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with isolation layers and oxide-to-oxide bonding
US11410912B2 (en) 2012-04-09 2022-08-09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with vias and isolation layers
US11476181B1 (en) 2012-04-09 2022-10-18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tal layers
US10600888B2 (en) 2012-04-09 2020-03-24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US11616004B1 (en) 2012-04-09 2023-03-28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tal layers and a connective path
US11881443B2 (en) 2012-04-09 2024-01-23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tal layers and a connective path
US11694944B1 (en) 2012-04-09 2023-07-04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tal layers and a connective path
US11088050B2 (en) 2012-04-09 2021-08-10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with isolation layers
US8557632B1 (en) 2012-04-09 2013-10-15 Monolithic 3D Inc. Method for fabrication of a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594473B2 (en) 2012-04-09 2023-02-28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tal layers and a connective path
US11735501B1 (en) 2012-04-09 2023-08-22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tal layers and a connective path
US8686428B1 (en) 2012-11-16 2014-04-01 Monolithic 3D Inc.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8574929B1 (en) 2012-11-16 2013-11-05 Monolithic 3D Inc. Method to form a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063024B1 (en) 2012-12-22 2021-07-13 Monlithic 3D Inc. Method to form a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967583B2 (en) 2012-12-22 2024-04-23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tal layers
US11217565B2 (en) 2012-12-22 2022-01-04 Monolithic 3D Inc. Method to form a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961827B1 (en) 2012-12-22 2024-04-16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tal layers
US11784169B2 (en) 2012-12-22 2023-10-10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tal layers
US11018116B2 (en) 2012-12-22 2021-05-25 Monolithic 3D Inc. Method to form a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309292B2 (en) 2012-12-22 2022-04-19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tal layers
US8674470B1 (en) 2012-12-22 2014-03-18 Monolithic 3D Inc.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916045B2 (en) 2012-12-22 2024-02-27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tal layers
US9871034B1 (en) 2012-12-29 2018-01-16 Monolithic 3D Inc.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0600657B2 (en) 2012-12-29 2020-03-24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430667B2 (en) 2012-12-29 2022-08-30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bonding
US9385058B1 (en) 2012-12-29 2016-07-05 Monolithic 3D Inc.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177140B2 (en) 2012-12-29 2021-11-16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0651054B2 (en) 2012-12-29 2020-05-12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0892169B2 (en) 2012-12-29 2021-01-12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004694B1 (en) 2012-12-29 2021-05-11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087995B1 (en) 2012-12-29 2021-08-10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0903089B1 (en) 2012-12-29 2021-01-26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0115663B2 (en) 2012-12-29 2018-10-30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430668B2 (en) 2012-12-29 2022-08-30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bonding
US10325651B2 (en) 2013-03-11 2019-06-18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with stacked memory
US11935949B1 (en) 2013-03-11 2024-03-19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tal layers and memory cells
US8902663B1 (en) 2013-03-11 2014-12-02 Monolithic 3D Inc. Method of maintaining a memory state
US11869965B2 (en) 2013-03-11 2024-01-09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tal layers and memory cells
US11398569B2 (en) 2013-03-12 2022-07-26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0840239B2 (en) 2014-08-26 2020-11-17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088130B2 (en) 2014-01-28 2021-08-10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8994404B1 (en) 2013-03-12 2015-03-31 Monolithic 3D Inc.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923374B2 (en) 2013-03-12 2024-03-05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tal layers
US10224279B2 (en) 2013-03-15 2019-03-05 Monolithic 3D Inc.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9117749B1 (en) 2013-03-15 2015-08-25 Monolithic 3D Inc.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270055B1 (en) 2013-04-15 2022-03-08 Monolithic 3D Inc. Automation for monolithic 3D devices
US11341309B1 (en) 2013-04-15 2022-05-24 Monolithic 3D Inc. Automation for monolithic 3D devices
US11574109B1 (en) 2013-04-15 2023-02-07 Monolithic 3D Inc Automation methods for 3D integrated circuits and devices
US11720736B2 (en) 2013-04-15 2023-08-08 Monolithic 3D Inc. Automation methods for 3D integrated circuits and devices
US9021414B1 (en) 2013-04-15 2015-04-28 Monolithic 3D Inc. Automation for monolithic 3D devices
US11030371B2 (en) 2013-04-15 2021-06-08 Monolithic 3D Inc. Automation for monolithic 3D devices
US11487928B2 (en) 2013-04-15 2022-11-01 Monolithic 3D Inc. Automation for monolithic 3D devices
JP5956964B2 (ja) * 2013-08-30 2016-07-27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US10297586B2 (en) 2015-03-09 2019-05-21 Monolithic 3D Inc. Methods for processing a 3D semiconductor device
US11107808B1 (en) 2014-01-28 2021-08-31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031394B1 (en) 2014-01-28 2021-06-08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JP2015153974A (ja) 2014-02-18 2015-08-24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
US20150262671A1 (en) * 2014-03-13 2015-09-17 Kabushiki Kaisha Toshiba Non-volatile memory device
CN105630127A (zh) * 2015-04-15 2016-06-01 上海磁宇信息科技有限公司 嵌入MRAM的SoC芯片及其功耗控制方法
US10381328B2 (en) 2015-04-19 2019-08-13 Monolithic 3D Inc.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0825779B2 (en) 2015-04-19 2020-11-03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056468B1 (en) 2015-04-19 2021-07-06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011507B1 (en) 2015-04-19 2021-05-18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CN105630128A (zh) * 2015-04-24 2016-06-01 上海磁宇信息科技有限公司 Mram芯片及其功耗控制方法
US11956952B2 (en) 2015-08-23 2024-04-09 Monolithic 3D In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10515981B2 (en) 2015-09-21 2019-12-24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mory
US11978731B2 (en) 2015-09-21 2024-05-07 Monolithic 3D Inc. Method to produce a multi-leve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10522225B1 (en) 2015-10-02 2019-12-31 Monolithic 3D Inc. Semiconductor device with non-volatile memory
US10847540B2 (en) 2015-10-24 2020-11-24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11991884B1 (en) 2015-10-24 2024-05-21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logic and memory
US10418369B2 (en) 2015-10-24 2019-09-17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11114464B2 (en) 2015-10-24 2021-09-07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296115B1 (en) 2015-10-24 2022-04-05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114427B2 (en) 2015-11-07 2021-09-07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processor and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11937422B2 (en) 2015-11-07 2024-03-19 Monolithic 3D In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11812620B2 (en) 2016-10-10 2023-11-07 Monolithic 3D Inc. 3D DRAM memory devices and structures with control circuits
US11930648B1 (en) 2016-10-10 2024-03-12 Monolithic 3D Inc. 3D memory devices and structures with metal layers
US11329059B1 (en) 2016-10-10 2022-05-10 Monolithic 3D Inc. 3D memory devices and structures with thinned single crystal substrates
US11869591B2 (en) 2016-10-10 2024-01-09 Monolithic 3D Inc. 3D memory devices and structures with control circuits
US11711928B2 (en) 2016-10-10 2023-07-25 Monolithic 3D Inc. 3D memory devices and structures with control circuits
US11251149B2 (en) 2016-10-10 2022-02-15 Monolithic 3D Inc. 3D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10347333B2 (en) * 2017-02-16 2019-07-09 Micron Technology, Inc. Efficient utilization of memory die area
US9792958B1 (en) 2017-02-16 2017-10-17 Micron Technology, Inc. Active boundary quilt architecture memory
US11296106B2 (en) 2019-04-08 2022-04-05 Monolithic 3D Inc. 3D memory semiconductor devices and structures
US11018156B2 (en) 2019-04-08 2021-05-25 Monolithic 3D Inc. 3D memory semiconductor devices and structures
US11763864B2 (en) 2019-04-08 2023-09-19 Monolithic 3D Inc. 3D memory semiconductor devices and structures with bit-line pillars
US11158652B1 (en) 2019-04-08 2021-10-26 Monolithic 3D Inc. 3D memory semiconductor devices and structures
US10892016B1 (en) 2019-04-08 2021-01-12 Monolithic 3D Inc. 3D memory semiconductor devices and structur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38191A1 (en) * 1998-12-21 2000-06-29 Motorola Inc. Method of fabricating a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5863A (ja) 1981-11-30 1983-06-07 Mitsubishi Electric Corp 積層構造を用いた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5343422A (en) * 1993-02-23 1994-08-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onvolatile magnetoresistive storage device using spin valve effect
US5640343A (en) 1996-03-18 1997-06-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gnetic memory array using magnetic tunnel junction devices in the memory cells
US5920500A (en) * 1996-08-23 1999-07-06 Motorola, Inc.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having stacked memory cells and fabrication method therefor
US5894447A (en) * 1996-09-26 1999-04-13 Kabushiki Kaisha Toshib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a particular memory cell block structure
KR100200312B1 (ko) * 1996-11-13 1999-06-15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비트 라인 센스 앰프와 데이타 버스 라인 연결 방법
US6256224B1 (en) * 2000-05-03 2001-07-03 Hewlett-Packard Co Write circuit for large MRAM arrays
US6262625B1 (en) * 1999-10-29 2001-07-17 Hewlett-Packard Co Operational amplifier with digital offset calibration
JPH11354728A (ja) * 1998-06-09 1999-12-24 Canon Inc 磁性薄膜メモリおよびその記録再生駆動方法
US6034887A (en) * 1998-08-05 2000-03-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on-volatile magnetic memory cell and devices
US5940319A (en) 1998-08-31 1999-08-17 Motorola, Inc.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WO2000028595A1 (fr) * 1998-11-09 2000-05-18 Shixi Zhang Circuit integre a haute densite
US6178131B1 (en) * 1999-01-11 2001-01-23 Ball Semiconductor, Inc.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JP4138254B2 (ja) * 1999-02-26 2008-08-27 インフィネオン テクノロジーズ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記憶セル構造、およびこれを製造する方法
US6191972B1 (en) * 1999-04-30 2001-02-20 Nec Corporation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circuit
US6188615B1 (en) * 1999-10-29 2001-02-13 Hewlett-Packard Company MRAM device including digital sense amplifiers
US6473336B2 (en) * 1999-12-16 2002-10-29 Kabushiki Kaisha Toshiba Magnetic memory device
JP2001217398A (ja) 2000-02-03 2001-08-10 Rohm Co Ltd 強磁性トンネル接合素子を用いた記憶装置
US6584589B1 (en) * 2000-02-04 2003-06-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lf-testing of magneto-resistive memory arrays
US6185143B1 (en) * 2000-02-04 2001-02-06 Hewlett-Packard Company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MRAM) device including differential sense amplifiers
EP1130600A1 (en) * 2000-03-01 2001-09-05 Hewlett-Packard Company, A Delaware Corporation Data balancing scheme in solid state storage devices
DE10020128A1 (de) * 2000-04-14 2001-10-18 Infineon Technologies Ag MRAM-Speicher
US6567287B2 (en) * 2001-03-21 2003-05-20 Matrix Semiconductor, Inc. Memory device with row and column decoder circuits arranged in a checkerboard pattern under a plurality of memory arrays
JP4477199B2 (ja) 2000-06-16 2010-06-09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磁気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磁気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へのアクセス方法および磁気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の製造方法
US6317376B1 (en) * 2000-06-20 2001-11-13 Hewlett-Packard Company Reference signal generation for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s
US6269040B1 (en) * 2000-06-26 2001-07-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rconnection network for connecting memory cells to sense amplifiers
JP4020573B2 (ja) * 2000-07-27 2007-12-12 富士通株式会社 磁性メモリデバイス、および磁性メモリデバイスにおけるデータ読み出し方法
JP4149647B2 (ja) * 2000-09-28 2008-09-10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335890B1 (en) * 2000-11-01 2002-0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gmented write line architecture for writing magnetic random access memories
JP4726292B2 (ja) * 2000-11-14 2011-07-20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薄膜磁性体記憶装置
JP3920565B2 (ja) * 2000-12-26 2007-05-30 株式会社東芝 磁気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
US6356477B1 (en) * 2001-01-29 2002-03-12 Hewlett Packard Company Cross point memory array including shared devices for blocking sneak path currents
JP2002246567A (ja) * 2001-02-14 2002-08-30 Toshiba Corp 磁気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
US6618295B2 (en) * 2001-03-21 2003-09-09 Matrix Semiconducto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iasing selected and unselected array lines when writing a memory array
JP2003151262A (ja) * 2001-11-15 2003-05-23 Toshiba Corp 磁気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
US6944048B2 (en) * 2001-11-29 2005-09-13 Kabushiki Kaisha Toshiba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DE60205569T2 (de) * 2001-12-21 2006-05-18 Kabushiki Kaisha Toshiba MRAM mit gestapelten Speicherzellen
DE60227907D1 (de) * 2001-12-21 2008-09-11 Toshiba Kk Magnetischer Direktzugriffsspeicher
US6795334B2 (en) * 2001-12-21 2004-09-21 Kabushiki Kaisha Toshiba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US6839269B2 (en) * 2001-12-28 2005-01-04 Kabushiki Kaisha Toshiba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EP1339065A3 (en) * 2002-02-22 2005-06-15 Kabushiki Kaisha Toshiba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US6593608B1 (en) * 2002-03-15 2003-07-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agneto resistive storage device having double tunnel jun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38191A1 (en) * 1998-12-21 2000-06-29 Motorola Inc. Method of fabricating a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5711C (zh) 2005-01-19
JP2002299575A (ja) 2002-10-11
EP1253652A2 (en) 2002-10-30
US6980463B2 (en) 2005-12-27
EP1253652A3 (en) 2007-06-20
CN1379473A (zh) 2002-11-13
US20020141233A1 (en) 2002-10-03
TW535284B (en) 2003-06-01
KR20030009087A (ko) 200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8284B1 (ko) 반도체 기억 장치
KR100518704B1 (ko) 자기 기억 장치
JP3892736B2 (ja) 半導体記憶装置
US6356477B1 (en) Cross point memory array including shared devices for blocking sneak path currents
US6928015B2 (en) Thin film magnetic memory device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including the same as one of circuit blocks
KR100431483B1 (ko) 반도체 기억 장치
JP5091495B2 (ja) 磁気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
TWI533417B (zh) Semiconductor device
US6611455B2 (en) Magnetic memory
US20030117834A1 (en)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KR20020015971A (ko) Mram 장치
JP2002110933A (ja)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091703A (ja) 半導体記憶装置
US20040125648A1 (en)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and data read method thereof
KR100542849B1 (ko) 자기 기억 장치, 그 제조 방법 및 자기 기억 장치의 데이터 판독 방법
JP2008004199A (ja) 半導体記憶装置
US7126843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ing magnetoresistive effect
JP2002368196A (ja) メモリセル、記憶回路ブロック、データの書き込み方法及びデータの読み出し方法
JP4415745B2 (ja) 固体メモリ装置
JP2004079632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2007080344A (ja) 半導体記憶装置
JP2002299574A (ja) 磁気記憶素子、磁気記憶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4068337B2 (ja) 磁気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
JP2008085349A (ja) 磁気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