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9964B1 - 도어체의 개폐기구 및 이것을 이용한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체의 개폐기구 및 이것을 이용한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9964B1
KR100489964B1 KR10-2002-0055394A KR20020055394A KR100489964B1 KR 100489964 B1 KR100489964 B1 KR 100489964B1 KR 20020055394 A KR20020055394 A KR 20020055394A KR 100489964 B1 KR100489964 B1 KR 100489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oor body
box
gear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5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5858A (ko
Inventor
후쿠오미치히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30035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5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9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99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2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console boxes, e.g. between passenger sea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05C19/022Released by pushing in the closing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041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 E05F1/105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with a compression spring
    • E05F1/105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with a compression spring for counterbalan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46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 E05F1/1253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with a compression spring
    • E05F1/1261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with a compression spring for counterbalan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05Y2201/22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05Y2201/22Locks
    • E05Y2201/221Touch l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05Y2201/232Actuation thereof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2Type of friction
    • E05Y2201/254Fluid or viscous fri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2Type of friction
    • E05Y2201/254Fluid or viscous friction
    • E05Y2201/256Fluid or viscous friction with pistons or v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62Type of motion, e.g. braking
    • E05Y2201/264Type of motion, e.g. braking lin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62Type of motion, e.g. braking
    • E05Y2201/266Type of motion, e.g. braking rota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05Y2400/3013Electronic control of motors during manual wing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Hing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과제) 개방위치에 있어서 상자형상 기체로부터 돌출되는 도어체의 돌출부분을 억제하고, 또한 도어체가 기어부끼리의 맞물림에 의해서 제동되도록 하여 작동특성을 향상시킨다.
(해결수단) 도어체(3)를 상자형상 기체(2)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회동전환하는 도어체의 개폐기구에 있어서, 도어체(3)는 지지용 암부(31)를 돌출형성하되, 이 암부(31)에 형성된 원호형상 기어부(37) 및 이 원호형상 기어부(37)의 원호 중심에 부설된 회전기어(7)를 가지고 있다. 상자형상 기체(2)는 원호형상 기어부(37)와 맞물리는 내치 기어형의 제 1 고정 기어부(27a) 및 이 제 1 고정 기어부(27a)의 내측에 형성되어 회전기어(7)와 맞물리는 제 2 고정 기어부(28)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암부(31)가 제 1 고정 기어부(27a)에 대한 원호형상 기어부(37)의 맞물림 및 제 2 고정 기어부(28)에 대한 회전기어(7)의 맞물림을 통해서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도어체(3)가 암부(31)를 통해서 제 1 고정 기어부(27a)에 대응한 궤적으로 전환된다.

Description

도어체의 개폐기구 및 이것을 이용한 개폐장치{OPENING/CLOSING ASSEMBLY FOR DOOR MEMBERS AND SWITCHGEAR UTILIZ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자형상 기체(基體)에 대해서 도어체를 개폐하는 개폐기구 및 이것을 이용한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자형상 기체"는 각종 수용본체나 하우징 등을 포함하고, "도어체"는 덮개체나 차폐체 등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것이다.
도 8(a)와 도 9는 도어체의 개폐기구 중, 도어체를 회동전환하는 타입의 2개의 종래예를 나타낸다.
도 8(a)에 나타낸 개폐기구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9-20177호에 개시된 것과 유사한 구성의 것으로서, 상자형상 기체(41)의 개구부에 대해서 도어체(42)를 약 90도 회동시켜 개폐한다. 즉, 상자형상 기체(41)의 측벽부에는 회전기어(43a)를 가지는 로터리식의 제동용 댐퍼수단(43)이 부설되어 있다. 도어체(42)는 양 측단부에 돌출형성된 암부(44) 및 상기 암부(44)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기어(43a)와 맞물리는 원호형상 기어부(44a)를 가지며, 상자형상 기체(41)의 측벽부에 형성된 지지축(45)에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고, 또 도시하지 않은 로크수단에 의해서 실선으로 나타낸 폐쇄위치에서 로크된다. 암부(44)와 상자형상 기체(41)와의 사이에는 도어체(42)를 항시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개방위치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스프링(46)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개폐기구에서는, 도어체(42)의 폐쇄상태에서 상기 로크수단에 의한 로크상태를 도어체(42)의 누름조작에 의해서 해제하면, 도어체(42)가 탄지스프링(46)의 탄지력에 의해서 개방위치방향으로 회동된다. 또한, 도어체(42)를 탄지스프링(46)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폐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로크수단에 의해서 로크됨으로써 폐쇄위치에서 유지된다. 댐퍼수단(43)은 회전기어(43a)와 원호형상 기어(44a)의 맞물림을 통해서 도어체(42)의 회동속도를 제동한다.
한편, 도 9에 나타낸 개폐기구는, 상자형상 기체(51)의 개구부에 대해서 도어체(52)를 약 90도 회동시켜 도 9(a)의 폐쇄위치와 도 9(b)의 개방위치로 회동전환한다. 기구적으로는, 도어체(52)의 양 암부에 돌출형성된 축(54a,54b)과, 상자형상 기체(51)의 양 측벽부(55)에 형성되어 상기 축(54a,54b)과 끼워맞춰지는 가이드 홈(56)과, 도어체(52)를 개방위치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스프링(53)과, 도어체(52)를 폐쇄위치에서 유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로크수단 등으로 이루어진다. 가이드 홈(56)은 그 일단부측에 분기홈(56a)을 가지고 있다. 상기 분기홈(56a)은, 도어체 (52)가 폐쇄위치에 배치되기 직전에 축(54b)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하려고 할 때에 축(54a)의 진입을 허용하는 것이며, 이 진입에 의해서 도어체(52)가 최종적인 회전을 함으로써 최종 폐쇄위치에 배치된다. 탄지스프링(53)은 그 일단부가 상자형상 기체(51)의 걸림부(57)에 걸려 고정됨과 아울러 타단부가 축(54a)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걸림부(57)와 축(54a)과의 사이에 인장력을 부여하고 있다. 또, 상자형상 기체(51)의 측벽부(55)에는 회전축(58a)을 가지는 댐퍼수단(58)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58a)에는 암(59)의 일단부가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암(59)의 타단부는 축(54b)과 링크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개폐기구에서는, 도어체(52)의 폐쇄위치에서 로크수단에 의한 로크상태를 해제하면, 도어체(52)가 탄지스프링(53)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개방되도록 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개방동작 초기에 있어서, 도어체(52)는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54a)이 분기홈(56a)에서 가이드 홈(56) 내로 되돌려지도록 축(54b)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된 후, 탄지스프링(53)의 탄지력에 의해서 개방위치방향으로 회동된다. 즉, 도어체(52)는, 도 9(a)에 나타낸 a구간에서 축(54b)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되고, 계속해서 도 9(a)에 나타낸 b구간에서 댐퍼수단(58)의 암(59)의 회동궤적을 따라서 제동된 속도로 이동되고, 그 후 축(54a)이 타단부에 도달하면, 상자형상 기체(51)의 개구부를 완전히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전환된다.
도 8(a)에 나타낸 개폐기구는 도어체(42)가 지지축(45)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1축식이다. 이러한 타입의 개폐기구에서는 도 8(a)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체(42)가 개방위치로 전환된 상태에 있어서 상자형상 기체(41)보다도 상측으로 돌출되는 도어체(42)의 돌출부분의 치수(hl)가 커지기 쉽다. 따라서, 상자형상 기체(41) 내로 물품을 출입시킬 때에 도어체(42)의 돌출부분에 부딪치는 경우가 많게 되고, 또한 외관 특성도 나빠지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는,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부(44)를 길게 형성하여 지지축(45)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점을 하측에 위치시킴으로써, 도어체(42)의 돌출부분을 상기한 치수(hl)보다도 작은 치수(h2)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도 8(b)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체(42)가 개방위치에서 상자형상 기체(41)로부터 크게 떨어지게 됨으로써, 이번에는 도어체(42)를 개방위치로 하였을 때의 스페이스 치수(t)가 크게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상자형상 기체(41)를 설치부인 오목형상 내에 배치하거나, 도어체(42)를 개방위치에서 상자형상 기체(41)의 내측에 수용하고자 할 때 등에 있어서 문제가 된다.
도 9에 나타낸 개폐기구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고안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타입의 개폐기구는 다음과 같은 관점에서 문제를 가지고 있다.
상기 개폐기구에서는, 축(54a,54b)이 강성 및 작동적인 면에서 금속제로 이루어지고 또한 양측에 2개씩 합계 4개가 필요하기 때문에, 조립성이 나쁘고 또한 제조비용의 저감도 도모하기 어렵다. 또, 작동적으로는, 축(54a)이 a구간을 이동하면서 도어체(52)를 개방위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체(52)에 댐퍼수단(58)에 의한 제동력이 작용하지 않고, 축(54a)이 b구간을 이동하면서 도어체(52)를 개방위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상태로 되었을 때에 비로소 상기 도어체(52)에 댐퍼수단(58)에 의한 제동력이 유효하게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체 (52)의 개방위치방향으로의 회동은, a구간에서는 빠르게 혹은 느리게 회동하게 되고, b구간에서는 설계대로 제동되어 완만하게 회동하게 되기 때문에, 즉 개방속도가 단계적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연속한 원활한 작동이 얻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폐기구 및 개폐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모두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나타낸 종래예와 비교하여, 개방위치에 있어서 상자형상 기체로부터 돌출되는 도어체의 돌출부분을 억제하고, 또한 도 9에 나타낸 종래예와 비교하여, 도어체가 기어부끼리의 맞물림에 의해서 제동되도록 하여 작동특성과 조립성 등을 향상시킨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도 1 내지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도어체(3)를 상자형상 기체(2)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회동전환하는 도어체의 개폐기구에 있어서, 상기 도어체(3)는 지지용 암부(31)를 돌출형성하되, 상기 암부(31)에 형성된 원호형상 기어부(37) 및 상기 원호형상 기어부(37)의 원호 중심에 부설된 회전기어(7)를 가지며, 상기 상자형상 기체(2)는 상기 원호형상 기어부(37)와 맞물리는 내치 기어형의 제 1 고정 기어부(27a) 및 상기 제 1 고정 기어부(27a)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기어(7)와 맞물리는 제 2 고정 기어부(28)을 가지며, 상기 암부(31)가 상기 제 1 고정 기어부(27a)에 대한 원호형상 기어부(37)의 맞물림 및 제 2 고정 기어부(28)에 대한 회전기어(7)의 맞물림을 통해서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도어체(3)가 상기 암부(31)를 통해서 상기 제 1 고정 기어부(27a)에 대응한 궤적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의 개폐기구에서는, 암부(31)가 원호형상 기어부(37) 및 이 원호형상 기어부(37)의 중심에 부설된 회전기어(7)를 가지고 있고, 상자형상 기체(2)의 제 1 고정 기어부(27a)에 대한 원호형상 기어부(37)의 맞물림과 제 2 고정 기어부 (28)에 대한 회전기어(7)의 맞물림에 의해서 도어체(3)가 회동 가능하게 또한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제 1 고정 기어부(27a)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가 상기 원호형상 기어부(37)에 대응한 원호형상을 이루며, 그 내면에 톱니를 형성한 내측 기어형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체(3)는 암부(31)를 통해서 제 1 고정 기어부(27a)의 내측 톱니의 궤적을 따라서 작동하도록 한 것이다.
환언하면, 상기 개폐기구에서는, 도어체(3)가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또는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회동전환될 때, 도어체(3)의 회동 지지점을 제 1 고정 기어부(27a)의 내측 톱니{및 제 2 고정 기어부(28)의 외측 톱니}에 대응하여 하측 또는 상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 9에 나타낸 종래예의 것과 유사한 작동을 실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은, 도 9에 나타낸 종래예의 것과 비교하여, 도어체(3)가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또는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전환되는 과정에 있어서, 기어부끼리의 맞물림에 의한 원활한 작동을 최초부터 최후까지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제동용 댐퍼수단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기어부끼리의 맞물림에 기인하는 제동작동을 구비할 수 있다. 경비적으로는, 도 9에 나타낸 종래예와 같이 금속제의 축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코스트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것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호형상 기어부(37)를 암부(31)의 자유단부(32)에 일체로 형성하고, 제 1 고정 기어부(27a) 및 제 2 고정 기어부(28)를 상자형상 기체(2)의 측벽부(23)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제동적으로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댐퍼수단(6)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기어부끼리의 맞물림에 의한 제동에 더하여 전용 댐퍼수단(6)의 제동력도 용이에 부여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개폐기구를 장치로서 취한 것으로서, 도어체(3)가 상자형상 기체(2)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회동전환됨과 아울러, 상기 개방위치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5)과,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상기 폐쇄위치에서 해제 가능하게 걸어 고정하는 로크수단(4)과, 제동용 댐퍼수단(6)을 구비한 도어체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체(3)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개폐기구에 의해서 폐쇄위치와 개방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개폐장치에서는 상술한 개폐기구의 이점을 구비하며, 도어체(3)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위치로 전환한 상태에서 상자형상 기체(2)로부터 돌출되는 도어체(3)의 돌출부분을 줄이거나 상자형상 기체(2) 내로 수용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작동적으로는, 도어체(3)를 탄지수단(5)의 탄지력에 의해서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에 전환하거나, 도어체(3)를 상기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전환할 때의 작동을 댐퍼수단(6)뿐만 아니라 기어부끼리의 맞물림에 의해서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구조적으로는, 청구항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댐퍼수단(6)이 로터리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기구의 회전기어(7)를 상기 댐퍼수단(6)의 출력축에 장착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키거나 부품수를 줄이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 개폐장치의 형태로서는, 청구항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상자형상 기체(2)의 측벽부(23)에 단차부와 상기 단차부의 단면에 형성되어 상자형상 기체의 내외를 연통하는 창부(24)를 형성하고, 상기 도어체(3)의 암부(31)가 상기 창부 (24)를 통해서 상자형상 기체(2)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면, 도어체(3)를 개방위치에서 상자형상 기체(2) 내에 수용하는 형태에서도, 상자형상 기체 내에 배치되는 기구부를 폐지하여 외관특성을 유지하거나, 상자형상 기체 내의 조형의 자유도를 갖게 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개폐기구를 적용한 박스(개폐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도어체와 상자형상 기체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상자형상 기체의 세부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상면도, (c)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어체의 세부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5(a)의 A-A선을 따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개폐기구의 작동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도 5(a)는 도어체가 폐쇄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의 측면도, 도 5(b)는 그 작동도, 도 6은 도어체가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회동전환되는 도중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7은 도어체가 개방위치로 전환된 상태에서의 작동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우선 본 발명의 개폐기구를 적용한 개폐장치를 조립과정을 포함하여 설명한 후, 상기 개폐기구 및 개폐장치의 세부 작동을 언급한다.
(전체 개요)
본 실시형태의 박스(개폐장치)(1)는, 상자형상 기체(2)가 그 상면측이 개방된 개구부를 가지며, 이 개구부가 본 발명을 적용한 도어체(3)에 의해서 개폐되는 일례로서, 차실 내에 있어서의 인스트러먼트 패널(의 오목부)이나 전방측의 좌우 중간부에서 전후로 연장되는 센터 콘솔(의 오목부)에 장비되는 것으로 개발된 것이다. 다만, 도어체(3)의 개폐기구는 도어체를 개방위치와 폐쇄위치로 회동전환시키는 형태이면 되기 때문에, 적용분야 및 용도적인 제약은 특히 없다.
또, 상자형상 기체(2)는 도어체(3)에 대응한 개구부를 가지고 있으면 되기 때문에, 내부 및 외관적으로는 적용 제품의 형태에 따라서 여러가지로 고안된다. 상자형상 기체(2)의 개구부는 도어체(3)의 회동전환에 의해서 개폐되는 요건을 구비고 있으면 된다. 따라서, 도어체(3)는 본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폐쇄위치에서 대략 수평방향, 개방위치에서 대략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출원 2001-12455호에서와 같이 기체(2)의 전방측이나 후방측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폐쇄위치에서 대략 상하방향, 개방위치에서 대략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형태로 하여도 된다. 즉, 박스(1)로서는 도어체(3)가 상자형상 기체(2)의 개구부에 대해서 폐쇄위치와 개방위치로 회동전환되는 것이면 된다.
그리고, 도어체(3)의 개폐기구는 상자형상 기체(2)의 개구부에 대해서 도어체(3)를 폐쇄위치와 개방위치로 회동전환시키는 기구로서, 바람직하게는 도어체(3)를 폐쇄위치에서 유지시키는 로크수단(4)과, 코일스프링 등의 탄지스프링(5)과, 제동용 댐퍼수단(6)으로 구성된다.
또한, 재질은 상자형상 기체(2) 및 도어체(3)가 모두 사출성형된 수지성형품이다.
(상자형상 기체)
본 실시형태의 상자형상 기체(2)는 상면측이 개방된 용기형상을 이루며, 그 내부(21)는 좌우 중간에 위치하며 전방측에서 전후방향의 중간까지 연장되는 구획벽(22)에 의해서 좌우 오목형상부(21a,21b)로 구획 형성되고, 양 측벽부(23)는 후벽(23a)에 대해서 전벽(23b)이 내부(21)측으로 일단(一段) 들여놓여지도록 형성한 단차부와 상기 단차부의 단면에 상하로 길게 잘라낸 창부(24)를 가지고 있고, 전벽부(25)는 상기 구획벽(22)에 대응하여 형성된 공간부(25a)를 가지고 있다.
또, 상자형상 기체(2)의 개구부의 주연부에는, 도어체(3)가 폐쇄위치에서 수용되도록 전방측 및 양측을 돌출시킨 장방형의 플랜지부(2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내부(21)는 오목형상부(21a,21b)의 후방측에서 연통되며, 이 연통부에 도어체(3)를 세운 상태로, 즉 개방위치로 전환된 도어체(3)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도어체(3)는 상자형상 기체(2)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에서, 예를 들면, 후술하는 로크수단(4)과의 관계에 의해서 구획벽(22)의 상면 및 측벽부(23)의 내측에 있어서의 전벽(23b)과 플랜지부(26)와의 사이에 형성된 상면에 대해서 약간의 틈새를 두고 놓여진다 하더라도, 이 틈새가 플랜지부(26)에 의해서 보이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박스(1)는 상자형상 기체(2)의 오목형상부(21a,21b)에 음료용 보틀 등의 용기를 유지하는 홀더 겸용의 수납박스의 일례이고, 설치부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 즉 예를 들면 차실내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파여진 오목부 및 전방측의 좌우 공간부에서 전후로 연장되게 파여지는 오목부에 플랜지부(26) 이하의 부분이 끼워지는 상태로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양 측벽부(23)를 구성하고 있는 각 전벽(23b)에는, 창부(24)에 대응하며 전체가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진 내치 기어형의 제 1 고정 기어부(27a)와, 상기 제 1 고정 기어부(27a)의 원호 내측에 위치한 제 2 고정 기어부(28)와, 전방 하측에 위치한 걸림돌기(29)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들 중에서, 제 1 고정 기어부(27a)는 내측 기어의 일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고정 기어부(28)보다도 전방에 형성되며 창부(24)를 향하는 측을 내측으로 한(즉, 전방측을 향해서 보록하게 되고 또한 상하로 배치된) 활형상의 리브(27)를 전벽(23b)에 돌출형성하고, 이 리브(27)의 내측면에 연속한 톱니를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서, 제 2 고정 기어부(28)는 원기둥의 외측둘레에 연속한 톱니를 형성한 평기어의 구성이고, 이 제 2 고정 기어부(28)의 중심이 제 1 고정 기어부(27a)의 원호중심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 또한, 걸림돌기(29)는 탄지스프링(5)의 일단부(5a)를 걸어 고정하는 부분으로서, 그 선단측이 열쇠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구획벽(22)의 상면에는 그 전방측에 오목부(2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22a) 내에 로크수단(4)이 설치되어 있다. 로크수단(4)은,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평 5-65587호의 래치장치나 일본국 특원평 2000-12455호의 것과 유사한 푸시ㆍ푸시걸림기구, 즉 도어체(3)를 폐쇄위치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누르면 걸리고, 동일방향으로 더 누르고서 손을 떼면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는, 상하면이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수용되며 후술하는 도어체(3)의 걸어맞춤편(34)을 걸고ㆍ해제하는 1쌍의 걸림편을 가지는 슬라이드체와, 상기 슬라이드체를 일방향으로 탄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드체에 형성된 하트캠 홈과, 상기 하우징 내에 축지지된 트레이서와, 상기 트레이서에 돌출형성되어 하트캠 홈과 걸어맞춰지며 상기 슬라이드체의 슬라이드에 의해서 상기 하트캠 홈을 일순하는 핀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어체(3)를 폐쇄위치방향으로 회동조작하면, 도어체(3)의 걸어맞춤편(34)이 상기 슬라이드체에 맞닿음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슬라이드체를 하우징의 하측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것에 연동하여 상기 걸림편이 하우징 내로 물러나면서 걸어맞춤편(34)에 형성된 구멍에 걸어맞춰지거나 또는 걸어맞춤편(34)에 형성된 돌기를 파지한다. 동시에, 상기 핀과 하트캠 홈과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걸림편이 후퇴위치에서 걸리게 되고, 이 결과 상기 슬라이더체도 함께 걸리게 됨으로써 도어체(3)가 폐쇄위치에서 유지된다. 상기 걸림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폐쇄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도어체(3)를 도어체의 폐쇄방향으로 더 누르면, 상기 슬라이더체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핀과 하트캠 홈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체가 상기 스프링의 탄지력에 의해서 밀어내어짐으로써 상기 걸림편이 하우징 외로 돌출되게 된다. 이 결과, 도어체(3)의 걸어맞춤편(34)은 상기 걸림편에 의한 걸림(파지)상태가 해제된다.
이와 같은 걸림기구는 조작성 및 외관적으로 우수하다. 물론, 로크수단(4)은 이것 이외의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도어체)
본 실시형태의 도어체(3)는 상자형상 기체(2)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크기의 평판형상을 이루며, 양 측단부의 후방측에서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지지용 암부(31)와, 상기 암부(31)의 선단에 형성된 대략 원환형상의 자유단부(32)와, 전단부에 있어서 좌우 중간부를 일부 잘라낸 오목부(33) 및 이 오목부(33)의 내벽에서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걸어맞춤편(34)을 가지고 있다.
각 암부(31)는 그 선단측에서 전방측으로 돌출형성된 자유단부(32)를 가지고 있으며, 상측이 두껍고 하측이 약간 얇게 되어 있다. 또, 각 암부(31)는 그 자유단부(32)측을 상자형상 기체(2)의 내측에서 이 상자형상 기체(2)의 양 측벽부(23)에 형성된 창부(24)를 통해서 외측{즉, 측벽부(23)의 전벽(23b)측}으로 여유를 갖고서 돌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암부(31)의 선단 외면에는 탄지스프링(5)의 타단부(5b)가 걸려 고정되는 축부(35)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자유단부(32)에는 그 중심부에 댐퍼수단(6)이 부설되며, 또한 외측둘레에는 원호형상 기어부(37)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원호형상 기어부(37)는 상기 자유단부(32)의 원환형상의 중심과 동일한 중심을 가지는 기어로서, 제 1 고정 기어부(27a)와 맞물림과 아울러, 도어체(3)를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또는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제 1 고정 기어부(27a)의 내측 톱니를 따라서 하측 또는 상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자유단부(32)의 중심부에는 부착구멍(36)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부착구멍(36)의 내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1쌍의 고정 단차부(36a)가 형성되어 있다. 댐퍼수단(6)은 부착구멍(36)에 본체를 끼워 유지한 상태에서, 이 본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걸어맞춤부(6a)를 고정 단차부(36a)에 위치결정하고, 나사 등으로 고정함으로써 조립된다. 상기 댐퍼수단(6)은 공지의 로터리식 오일댐퍼 등으로 이루어지며, 작동유의 저항을 받는 출력축에 회전기어(7)가 장착되어 있다. 부착상태에서는 회전기어(7)가 부착구멍(36)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2 고정 기어부(28)의 톱니와 맞물리게 된다.
이상의 도어체(3)는 다음과 같은 요령으로 상자형상 기체(2)에 조립된다.
우선, 탄지스프링(5)이 그 타단부(5b)을 축부(35)에 걸음으로써 암부(31)에 부착된다. 그리고, 양 암부(31)를 대응하는 창부(24)를 통해서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각 자유단부(32)를 제 1 고정 기어부(27a)와 제 2 고정 기어부(28)와의 사이로 압입하도록 하여, 원호형상 기어부(37)를 제 1 고정 기어부(27a)에 맞물리게 함과 동시에 회전기어(7)를 제 2 고정 기어부(28)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도어체(3)가 상자형상 기체(2)에 조립되며, 상기한 각 기어부끼리의 맞물림을 통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 후, 탄지스프링(5)의 일단부(5a)를 잡아당겨서 걸림돌기(29)에 걸어 고정하면, 도어체(3)에 개방위치방향으로의 탄지력이 부여됨으로써 도어체(3)가 개방위치로 전환된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에서는 상자형상 기체(2) 및 도어체(3)를 제외한 부재가 탄지스프링(5)과 댐퍼수단(6) 2개 뿐이므로, 도 9에 나타낸 종래예의 구조에 대해서 부재수 및 조립공정수의 삭감을 달성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폐기구는 상기한 댐퍼수단(6)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에서 댐퍼수단(6)에 설치되어 있던 회전기어(7)를 댐퍼수단(6)이 아닌 자유단부(32)의 중심부에 직접 회전 가능하게 부설하면 된다.
(작동)
계속해서, 상기 도어체(3)의 개폐동작을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도어체(3)가 상자형상 기체(2)의 개구부를 완전히 폐쇄한 폐쇄위치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 폐쇄위치에서는,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체(3)가 상기 로크수단(4)에 의해서 탄지스프링(5)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위치고정되어 있다. 원호형상 기어부(37)는 제 1 고정 기어부(27a)의 내측 톱니에 있어서의 상측 톱니와 맞물려 있고, 회전기어(7)는 제 2 고정 기어부(28)의 외측 톱니에 있어서의 상측 톱니와 맞물려 있다. 이 상태에서는, 도어체(3)가 상기한 각 기어부의 맞물림에 의해서 유지되기 때문에, 큰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덜거덕거림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어체(3)를 개방위치로 전환할 때에는, 도어체(3)의 전단부측의 상면을 도 5(a)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과 같이 하측으로 누른다{이것은 도어체(3)의 폐쇄위치에서 도어체(3)를 폐쇄방향으로 더 압압하는 누름조작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도어체(3)의 걸어맞춤편(34)이 로크수단(4)에 의한 걸림상태가 해제됨으로써, 도어체(3)가 탄지스프링(5)의 탄지력에 의해서 개방위치방향(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도 6은 상기한 바와 같이 걸림상태가 해제된 도어체(3)가 개방위치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 때에는, 원호형상 기어부(37)가 제 1 고정 기어부(27a)의 내측 톱니에 맞물리면서 상측 톱니에서 하측 톱니측으로 하향 이동한다. 동시에, 회전기어(7)는 제 2 고정 기어부(28)의 외측 톱니에 맞물리면서 이 제 2 고정 기어부(28)의 주위를 회전한다{즉, 원호형상 기어부(37)와 연동하여 제 2 고정 기어부(28)의 외측 톱니에 있어서의 상측 톱니에서 하측 톱니측으로 하향 이동한다}.
즉, 상기한 구조에서는, 움직임이 자유로운 원호형상 기어부(37)가 위치고정된 제 1 고정 기어부(27a)의 내측 톱니의 궤적을 따라서 치차 결합되며 선회하는 유성(遊星)운동을 하고, 동시에 원호형상 기어부(37)의 중심에 위치되는 회전기어(7)가 제 2 고정 기어부(28)를 중심으로 그 외곽에서 선회하는 유성(遊星)운동과 같은 작동을 하는 것이다. 이 경우 도어체(3) 및 이에 일체로 연결된 원호형상 기어부(37)의 회전방향은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점차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개방위치방향으로 회동전환된다. 이 회동전환에서는 상기한 각 기어부끼리의 맞물림에 의해서 속도가 완화되며 또한 댐퍼수단(6)에 의한 제동을 받는다. 따라서, 도어체(3)는 도 5에 나타낸 도어체(3)의 폐쇄위치에서 도 7에 나타낸 개방위치까지 항시 거의 정속으로 이동한다. 도 7에 나타낸 개방위치에서는, 도어체(3)가 제 1 고정 기어부(27a)의 내측 톱니의 안내로 하향 이동되어 있으므로써, 상자형상 기체(2) 내에서 돌출되는 도어체(3)의 돌출부분을 줄일 수 있으며, 외관 특성도 개선된다.
도어체(3)를 다시 폐쇄위치로 전환할 경우에는, 도어체(3)의 돌출부분을 탄지스프링(5)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잡아당긴다. 이와 같이 하면, 이번에는 상기와는 반대로 원호형상 기어부(37)가 제 1 고정 기어부(27a)의 내측 톱니에 맞물리면서 하측 톱니에서 상측 톱니측으로 상향 이동한다. 동시에, 회전기어(7)는 제 2 고정 기어부(28)의 외측 톱니에 맞물리면서 이 제 2 고정 기어부(28)의 주위를 회전한다{즉, 원호형상 기어부(37)와 연동하여 제 2 고정 기어부(28)의 외측 톱니에 있어서의 하측 톱니에서 상측 톱니측으로 상향 이동한다}. 또, 폐쇄위치의 직전에는 걸어맞춤편(34)이 상기한 바와 같은 누름동작에 의해서 로크수단(4)에 걸어맞춰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어체(3)의 폐쇄방향으로의 작동에 대해서도 상기한 각 기어부끼리의 맞물림에 의해서 속도가 완화되고 또한 댐퍼수단(6)에 의한 제동작용을 받음으로써 도어체(3)가 거의 정속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댐퍼수단(6)으로서 그 작동이 일방향 구조로 된 것을 이용하여 도어체가 개방방향으로 회동할 때에만 제동력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도어체의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의 회동이동시에는 상기한 각 기어부끼리의 맞물림에 의해서 속도가 완화됨으로써 안정한 작동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도어체의 개폐기구는, 도 8에 나타낸 종래예의 것에 대해서 도어체를 회동전환할 때에 상하작동을 수반하는 도 9에 나타낸 종래예의 것과 같은 작동을 달성하고, 동시에 도 9에 나타낸 종래예의 것에 대해서 도어체를 회동전환할 때에 기어부끼리의 맞물림에 의한 원활한 작동을 항시 실현하고, 제동용 댐퍼수단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기어부끼리의 맞물림에 기인한 제동작동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도어체의 개폐장치는, 도 8에 나타낸 종래예의 것과 비교하여, 개방위치에서 상자형상 기체로부터 돌출되는 도어체의 돌출부분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9에 나타낸 종래예의 것과 비교하여, 도어체가 기어부끼리의 맞물림에 의해서 제동되고, 제동용 댐퍼수단도 용이하게 부설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 나타낸 종래예의 것에 비해 작동특성을 훨씬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립성 및 코스트 저감화가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폐기구를 적용한 개폐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2는 상기 개폐장치에 있어서의 상자형상 기체의 세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상기 개폐장치에 있어서의 도어체의 세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상기 도어체에 있어서의 개폐기구의 요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5는 상기 개폐장치를 도어체의 폐쇄위치에서 나타낸 모식 작동도
도 6은 도 5의 도어체가 도중까지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모식 작동도
도 7은 상기 개폐장치를 도어체의 개방위치에서 나타낸 모식 작동도
도 8은 종래의 개폐기구를 적용한 개폐장치를 나타낸 모식 측면도
도 9는 또다른 종래의 개폐기구를 적용한 개폐장치를 나타낸 모식 측면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박스(개폐장치) 2 - 상자형상 기체
23 - 측벽부 24 - 창부(窓部)
3 - 도어체 31 - 암부
32 - 자유단부 34 - 걸어맞춤편
4 - 로크수단(푸시ㆍ푸시걸림기구) 5 - 탄지스프링(탄지수단)
6 - 댐퍼수단 7 - 회전기어
27a - 제 1 고정 기어부 28 - 제 2 고정 기어부
37 - 원호형상 기어부

Claims (6)

  1. 도어체를 상자형상 기체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회동전환하는 도어체의 개폐기구에 있어서,
    상기 도어체는 지지용 암부를 돌출형성하되, 상기 암부에 형성된 원호형상 기어부 및 상기 원호형상 기어부의 원호 중심에 부설된 회전기어를 가지며,
    상기 상자형상 기체는 상기 원호형상 기어부와 맞물리는 내치 기어형의 제 1 고정 기어부 및 상기 제 1 고정 기어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기어와 맞물리는 제 2 고정 기어부를 가지며,
    상기 암부가 상기 제 1 고정 기어부에 대한 원호형상 기어부의 맞물림 및 제 2 고정 기어부에 대한 회전기어의 맞물림을 통해서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도어체가 상기 암부를 통해서 상기 제 1 고정 기어부에 대응한 궤적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체의 개폐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부는 상기 원호형상 기어부를 자유단부에 일체로 형성하고 있고,
    상기 상자형상 기체는 상기 제 1 고정 기어부 및 제 2 고정 기어부를 측벽부에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체의 개폐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어는 댐퍼수단에 의해서 제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체의 개폐기구.
  4. 도어체가 상자형상 기체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회동전환됨과 아울러, 상기 개방위치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과,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상기 폐쇄위치에서 해제 가능하게 걸어 고정하는 로크수단과, 제동용 댐퍼수단을 구비한 도어체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체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개폐기구에 의해서 폐쇄위치와 개방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체의 개폐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댐퍼수단은 로터리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기구의 회전기어를 출력축에 장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체의 개폐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자형상 기체의 측벽부는 단차부와 상기 단차부의 단면에 형성되어 상자형상 기체의 내외를 연통하는 창부를 가지며,
    상기 도어체의 암부는 상기 창부를 통해서 상자형상 기체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체의 개폐장치.
KR10-2002-0055394A 2001-10-29 2002-09-12 도어체의 개폐기구 및 이것을 이용한 개폐장치 KR1004899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30738 2001-10-29
JP2001330738A JP3833925B2 (ja) 2001-10-29 2001-10-29 扉体の開閉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開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858A KR20030035858A (ko) 2003-05-09
KR100489964B1 true KR100489964B1 (ko) 2005-05-17

Family

ID=19146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5394A KR100489964B1 (ko) 2001-10-29 2002-09-12 도어체의 개폐기구 및 이것을 이용한 개폐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063225B2 (ko)
JP (1) JP3833925B2 (ko)
KR (1) KR100489964B1 (ko)
CN (1) CN1232418C (ko)
DE (1) DE10249658B4 (ko)
GB (1) GB2381290B (ko)
TW (1) TW545418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0921B2 (en) * 2001-09-04 2004-11-23 Lear Corporation Control panel for a vehicle
JP4718898B2 (ja) 2005-05-26 2011-07-06 株式会社ニフコ 可動体の動作機構、および、自動車用収納装置
JP2003276515A (ja) * 2002-03-22 2003-10-02 Nifco Inc スライド及び回動運動のガイド機構、該ガイド機構を用いた蓋体の開閉機構、及び該開閉機構を用いた車載用内装品
JP2003276516A (ja) * 2002-03-25 2003-10-02 Nifco Inc ガイド機構、該ガイド機構を用いた蓋体の開閉機構、及び該開閉機構を用いた車載用内装品
US7152718B2 (en) * 2002-04-16 2006-12-26 Illinois Tool Works Inc Damper
JP2004175151A (ja) * 2002-11-25 2004-06-24 Nifco Inc ダンパユニット及びこのダンパユニットを用いたクローブボックス装置
JP4049046B2 (ja) * 2003-07-30 2008-02-20 豊田合成株式会社 収容装置の開閉機構
AU2004264304B2 (en) * 2003-08-14 2009-07-16 Durapod System Limited A container for holding foodstuffs
JP4297493B2 (ja) * 2003-10-10 2009-07-15 株式会社ニフコ 蓋開閉機構及びその装置
KR100535760B1 (ko) * 2003-11-19 2005-12-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글로브 박스의 댐퍼 장착구조
KR100562576B1 (ko) * 2003-12-18 2006-03-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개방형 트레이
JP4293897B2 (ja) * 2003-12-19 2009-07-08 株式会社ニフコ リッドの開閉装置
CN100339549C (zh) * 2004-02-20 2007-09-26 株式会社利富高 盖开关机构
US7077456B2 (en) * 2004-03-11 2006-07-18 Lear Corporation Automotive interior trim assembly and pad insertion
TWI262242B (en) * 2004-05-11 2006-09-21 Nifco Inc Cap opening/closing mechanism
JP4280199B2 (ja) * 2004-05-14 2009-06-17 株式会社ニフコ 2部材駆動装置および乗り物用遮蔽体
CN1724839B (zh) * 2004-07-09 2010-09-15 白士良 具有大张角和可定位的内置式车门铰链
US7086683B2 (en) 2004-07-15 2006-08-08 Lear Corporation Sunvisor attachment for vehicle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7032954B2 (en) * 2004-07-15 2006-04-25 Lear Corporation Automotive ashtra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060012205A1 (en) * 2004-07-15 2006-01-19 Bogdan Radu Automotive storage compartmen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4241532B2 (ja) * 2004-07-16 2009-03-18 豊田合成株式会社 収納ボックスの開閉機構
JP4615269B2 (ja) * 2004-08-18 2011-01-19 株式会社ニフコ 加減速機構及びこの加減速機構を備えた車両用小物入れ
US7044529B2 (en) * 2004-09-30 2006-05-16 Intier Automotive Inc. Articulating door for a storage compartment
US7163248B2 (en) * 2004-11-08 2007-01-16 Lear Corporation Automotive console with adjustable armrest
JP4552758B2 (ja) * 2005-05-27 2010-09-29 豊田合成株式会社 収納容器
JP4251498B2 (ja) * 2005-06-03 2009-04-08 豊田合成株式会社 蓋体装置
JP4703287B2 (ja) 2005-06-24 2011-06-15 株式会社ニフコ 扉開閉装置
US7621419B2 (en) 2005-08-05 2009-11-24 Nifco Inc. Door operating mechanism and unit
WO2007034793A1 (ja) * 2005-09-20 2007-03-29 Sugatsune Kogyo Co., Ltd. 携帯機器及びヒンジ装置
JP2007099180A (ja) * 2005-10-07 2007-04-19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物入装置
JP4738991B2 (ja) * 2005-11-18 2011-08-03 株式会社ニフコ 扉開閉装置
DE102006003351B3 (de) * 2006-01-24 2007-03-01 Lisa Dräxlmaier GmbH Scharnieranordnung für ein Abdeckelement im Innenraum eines Kraftfahrzeuges
JP4854073B2 (ja) * 2006-05-19 2012-01-11 株式会社ニフコ 制動機構
KR101275568B1 (ko) * 2006-10-24 2013-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홈바
JP4889113B2 (ja) * 2007-02-28 2012-03-07 株式会社ニフコ ラッチ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開閉装置
JP4820316B2 (ja) * 2007-03-13 2011-11-24 株式会社ニフコ 回動体の回動制御装置
JP4969295B2 (ja) * 2007-04-05 2012-07-04 株式会社ニフコ 蓋体開閉装置
EP2025557A1 (de) * 2007-08-07 2009-02-18 Delphi Technologies, Inc. Verbindungsmodulbaugruppe
NL2000826C2 (nl) 2007-08-22 2009-02-25 Brabantia Nederland Bv Opslagtrommel, in het bijzonder voor het opbergen van levensmiddelen, meer in het bijzonder voor het opbergen van brood.
US7731254B2 (en) * 2008-01-09 2010-06-0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otor vehicle center console assembly having a container assembly with a flush door
KR101508373B1 (ko) * 2008-01-21 2015-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DE102008006102B4 (de) * 2008-01-25 2018-11-0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ehälter zum Einbau in den Innenraum eines Kraftfahrzeuges
JP5265269B2 (ja) * 2008-04-08 2013-08-14 株式会社ニフコ 回転体を備えた装置
DE102008026383A1 (de) * 2008-06-02 2009-12-0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einer eine Bremsvorrichtung aufweisenden Tür
JP5002545B2 (ja) * 2008-06-25 2012-08-15 株式会社ニフコ 回動体の動作機構
US7862096B2 (en) * 2008-07-31 2011-01-04 Automotive Components Holdings, Llc Upper glove box assembly
AT507527A1 (de) * 2008-11-06 2010-05-15 Blum Gmbh Julius Montagesicherung für einen stellantrieb einer möbelklappe
DE102009011384A1 (de) * 2009-03-05 2010-09-09 Sam Schulte Gmbh + Comp. Vorrichtung für Toilettenbürste mit Getriebe
DE102009014851A1 (de) * 2009-03-30 2010-12-23 Phoenix Contact Gmbh & Co. Kg Gehäuseanordnung
JP5193115B2 (ja) * 2009-04-01 2013-05-08 株式会社ニフコ 可動体の動作機構
DE102009028419A1 (de) * 2009-08-10 2011-02-1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Einbaubehälter für ein Kältegerät
JP2011072453A (ja) * 2009-09-30 2011-04-14 Nidec Sankyo Corp 扉開閉装置
JP5241675B2 (ja) * 2009-10-08 2013-07-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蓋開閉装置
US20110084511A1 (en) * 2009-10-13 2011-04-14 Evans Gregg S Automotive forward storage bin disappearing tray
DE102009055678A1 (de) * 2009-11-20 2011-05-26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Staufach
US8893910B2 (en) * 2010-03-08 2014-11-25 Thomas M. Batchelor Electrical box, integrated flange and cover mechanisms
US9812684B2 (en) 2010-11-09 2017-11-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Using elastic averaging for alignment of battery stack, fuel cell stack, or other vehicle assembly
JP5817111B2 (ja) * 2010-12-15 2015-11-18 株式会社リコー 開閉機構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02730294B (zh) * 2011-04-12 2016-05-04 江森自控(中国)投资有限公司 用于升起容器盖子的摆臂装置以及具有该摆臂装置的盖子和容器
US8250711B1 (en) * 2011-04-27 2012-08-28 Lianhong Art Co., Ltd. Space-saving slide cover lifting structure
KR101237167B1 (ko) * 2011-05-19 2013-02-25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물품수납박스
US8713757B2 (en) * 2011-06-25 2014-05-06 Lianhong Art Co., Ltd. Slide cover lifting structure
DE202011050913U1 (de) * 2011-08-05 2012-11-07 Dr. Hahn Gmbh & Co. Kg Band für eine verdeckte Anordnung zwischen Zarge und Flügel
JP2012006595A (ja) * 2011-09-28 2012-01-12 Nifco Inc 制動機構
ITGO20110006A1 (it) * 2011-10-20 2013-04-21 N E M Nord Est Meccanica S N C Sistema di apertura a rinvio angolare per banchi e vetrine
US8430440B1 (en) * 2011-12-16 2013-04-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sole door that pivots and stows
CN102493727A (zh) * 2011-12-26 2012-06-13 山东兰桥医学科技有限公司 一种前开门的自动开门装置
JP5965166B2 (ja) 2012-03-14 2016-08-03 株式会社ニフコ 収納装置
US8505996B1 (en) * 2012-03-19 2013-08-13 Hyundai Mobis Co., Ltd. Storage box for automobile
JP5772722B2 (ja) * 2012-05-29 2015-09-02 豊田合成株式会社 蓋体の開閉機構
GB2503714B (en) * 2012-07-05 2017-04-05 Ford Global Tech Llc A combined storage and docking unit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618026B2 (en) 2012-08-06 2017-04-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emi-circular alignment features of an elastic averaging alignment system
US9463538B2 (en) 2012-08-13 2016-10-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lign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WO2014062286A1 (en) * 2012-10-19 2014-04-24 Intelligent Energy, Inc. Hydrogen gas generator
CN103419692B (zh) * 2013-01-05 2015-08-26 延锋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一种滑帘齿轮联动机构
US9556890B2 (en) 2013-01-31 2017-01-3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 alignment assembly for aligning mated components and method of reducing positional variation
JP2014189137A (ja) * 2013-03-27 2014-10-06 Nippon Plast Co Ltd 引き出し装置
US9156506B2 (en) 2013-03-27 2015-10-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ally averaged alignment system
US9382935B2 (en) 2013-04-04 2016-07-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 tubular attachment assembly for mating components and method of mating components
US9388838B2 (en) 2013-04-04 2016-07-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 retaining assembly for matable components and method of assembling
US9278642B2 (en) 2013-04-04 2016-03-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ally deformable flange locator arrangement and method of reducing positional variation
US9297400B2 (en) 2013-04-08 2016-03-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 mating assembly and method of elastically assembling matable components
US9447840B2 (en) 2013-06-11 2016-09-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ally deformable energy management assembly and method of managing energy absorption
US9243655B2 (en) 2013-06-13 2016-01-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 of reducing positional variation and increasing stiffness
US9488205B2 (en) 2013-07-12 2016-11-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lignment arrangement for mated components and method
US9303667B2 (en) 2013-07-18 2016-04-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obular elastic tube alignment system for providing precise four-way alignment of components
US9863454B2 (en) 2013-08-07 2018-01-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lignment system for providing precise alignment and retention of components of a sealable compartment
US9458876B2 (en) 2013-08-28 2016-10-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ally deformable alignment fastener and system
US9463831B2 (en) 2013-09-09 2016-10-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 tube alignment and fastening system for providing precise alignment and fastening of components
US9457845B2 (en) 2013-10-02 2016-10-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obular elastic tube alignment and retention system for providing precise alignment of components
US9511802B2 (en) 2013-10-03 2016-12-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ally averaged alignment systems and methods
US9669774B2 (en) 2013-10-11 2017-06-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Reconfigurable vehicle interior assembly
US9481317B2 (en) 2013-11-15 2016-11-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ally deformable clip and method
CN104717853B (zh) * 2013-12-11 2018-03-20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具可掀式盖体的组合件及其可移动的转轴模块
US9428123B2 (en) 2013-12-12 2016-08-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lignment and retention system for a flexible assembly
US9447806B2 (en) 2013-12-12 2016-09-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elf-retaining alignment system for providing precise alignment and retention of components
US9216704B2 (en) 2013-12-17 2015-12-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ally averaged strap systems and methods
US9599279B2 (en) 2013-12-19 2017-03-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ally deformable module installation assembly
US9446722B2 (en) 2013-12-19 2016-09-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 averaging alignment member
US9238488B2 (en) 2013-12-20 2016-01-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ally averaged alignment systems and methods
US9541113B2 (en) 2014-01-09 2017-01-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ally averaged alignment systems and methods
US20150197970A1 (en) * 2014-01-13 2015-07-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ally averaged assembly for closure applications
CA2881496C (en) 2014-02-06 2017-02-28 The Coleman Company, Inc. Hinged insulated container lid
US9463829B2 (en) 2014-02-20 2016-10-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ally averaged alignment systems and methods
JP2015182616A (ja) 2014-03-25 2015-10-22 豊田合成株式会社 蓋体の開閉機構
US9428046B2 (en) 2014-04-02 2016-08-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lignment and retention system for laterally slideably engageable mating components
US9429176B2 (en) 2014-06-30 2016-08-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ally averaged alignment systems and methods
DE102014212796A1 (de) * 2014-07-02 2016-01-0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zum Freigeben und Schließen einer Öffnung in einem Innenausstattungsteil eines Fahrzeugs
DE102014212793A1 (de) * 2014-07-02 2016-01-0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zum Freigeben und Schließen einer Öffnung in einem Innenausstattungsteil eines Fahrzeugs
CN105476496B (zh) * 2014-09-24 2018-11-02 漳州灿坤实业有限公司 面包机的仓门机构
JP6251155B2 (ja) * 2014-11-14 2017-12-20 株式会社ニフコ 軸支構造及び軸支構造を備えるカップホルダ
US9597991B2 (en) * 2015-08-07 2017-03-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merging bay door cupholder
CN108725328B (zh) * 2017-04-25 2022-06-21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车门护板地图袋
DE102017208519A1 (de) * 2017-05-19 2018-11-22 Wmf Group Gmbh Behälter mit gebremster Abdeckklappe
US10486568B2 (en) * 2017-06-14 2019-11-26 Gulfstream Aerospace Corporation Seat assemblies including an armrest with an armrest lid and a hinge arrangement
DE102017114774A1 (de) * 2017-07-03 2019-01-03 Hettich-Oni Gmbh & Co. Kg Klappenbeschlag und Möbel
US10406984B2 (en) * 2017-08-03 2019-09-10 Nissan North America, Inc. Living storage structure for a vehicle
US20190111849A1 (en) * 2017-10-16 2019-04-18 Matthew Thomas Besley Open Space Organizer Apparatus and System
JP2019130956A (ja) * 2018-01-29 2019-08-08 豊田合成株式会社 リッド装置
US11565629B2 (en) * 2018-08-31 2023-01-31 Toyoda Gosei Co., Ltd. Double-doored lid apparatus
CN110143348B (zh) * 2019-04-18 2020-05-22 佛山市荣粤桂印刷有限公司 一种防盗包装盒
CN110696725B (zh) * 2019-10-15 2021-06-04 宁波帅特龙集团有限公司 盖板关闭时的回升装置
CN110984651B (zh) * 2019-12-11 2021-04-27 合肥阳光新能源科技有限公司 运维装置的自锁式停车库和光伏电站
CN111498291A (zh) * 2020-04-21 2020-08-07 吴丹 一种医用检测样本保温存放箱
WO2021257715A1 (en) * 2020-06-17 2021-12-23 Heaney Ronan Receptacle with expandable cavity
CN114320048B (zh) * 2021-12-14 2022-12-27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家用电器
CN115305884B (zh) * 2022-08-15 2023-07-14 中国长江电力股份有限公司 起重设备控制液压抓梁打开大型孔口盖板装置及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848A (ja) * 1985-07-02 1987-01-13 Honda Motor Co Ltd 車輌用物入れボツクスの蓋開閉装置
JPS6226145A (ja) * 1985-07-29 1987-02-04 Honda Motor Co Ltd 車輌用物入れボツクスの蓋開閉装置
JPH02149189U (ko) * 1989-05-15 1990-12-19
JPH04111885U (ja) * 1991-03-18 1992-09-2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収納箱の開閉装置
JPH0986295A (ja) * 1995-09-22 1997-03-31 Piolax Inc 車室内における収納装置
KR19980031735A (ko) * 1996-10-31 1998-07-25 배순훈 위성 방송 수신기의 도어 개폐장치
JPH10278656A (ja) * 1997-04-10 1998-10-20 Kanto Auto Works Ltd ドア及びカップホルダの開閉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154A (en) * 1893-02-07 wright
US1129712A (en) * 1914-03-09 1915-02-23 Josef Neyer Automatic door-closer.
JPH0735084Y2 (ja) * 1988-12-28 1995-08-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リッドの開閉装置
JP3314903B2 (ja) * 1995-07-04 2002-08-19 株式会社ニフコ 車両用小物収納装置
KR0180189B1 (ko) * 1995-11-27 1999-05-15 배순훈 위성방송수신장치의 요금카드삽탈장치
JPH11278514A (ja) * 1998-03-31 1999-10-12 Nifco Inc 蓋部材の開閉構造
US6367124B1 (en) * 1999-09-09 2002-04-09 Illinois Tool Works Inc. Damper and a door handle
JP2002012084A (ja) * 2000-07-03 2002-01-15 Nifco Inc 蓋体開閉支持機構
US6334542B1 (en) * 2000-09-11 2002-01-01 Chi-Ming Hsu Garbage can
JP4472161B2 (ja) 2000-12-08 2010-06-02 株式会社ニフコ 制動機構及びこの制動機構を用いた容器ホルダー
WO2002093007A2 (en) * 2001-05-12 2002-11-21 Southco, Inc. Detended and damped hinge mechanism
JP3953770B2 (ja) * 2001-10-11 2007-08-08 株式会社ニフコ 開閉部材の制動機構、これを備えた容器ホルダー及び自動車用扉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848A (ja) * 1985-07-02 1987-01-13 Honda Motor Co Ltd 車輌用物入れボツクスの蓋開閉装置
JPS6226145A (ja) * 1985-07-29 1987-02-04 Honda Motor Co Ltd 車輌用物入れボツクスの蓋開閉装置
JPH02149189U (ko) * 1989-05-15 1990-12-19
JPH04111885U (ja) * 1991-03-18 1992-09-2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収納箱の開閉装置
JPH0986295A (ja) * 1995-09-22 1997-03-31 Piolax Inc 車室内における収納装置
KR19980031735A (ko) * 1996-10-31 1998-07-25 배순훈 위성 방송 수신기의 도어 개폐장치
JPH10278656A (ja) * 1997-04-10 1998-10-20 Kanto Auto Works Ltd ドア及びカップホルダの開閉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81290A (en) 2003-04-30
KR20030035858A (ko) 2003-05-09
GB2381290B (en) 2005-02-16
JP2003129742A (ja) 2003-05-08
DE10249658A1 (de) 2003-05-08
TW545418U (en) 2003-08-01
JP3833925B2 (ja) 2006-10-18
CN1232418C (zh) 2005-12-21
DE10249658B4 (de) 2011-01-13
GB0223513D0 (en) 2002-11-13
CN1417444A (zh) 2003-05-14
US7063225B2 (en) 2006-06-20
US20030080131A1 (en) 200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9964B1 (ko) 도어체의 개폐기구 및 이것을 이용한 개폐장치
JP4703287B2 (ja) 扉開閉装置
KR100535763B1 (ko) 글로브박스의 로드 작동장치
JP4648965B2 (ja) 収納ボックスの開閉機構
KR100482170B1 (ko) 덮개체 개폐기구 및 차량용 수납장치
KR102228984B1 (ko) 개폐체의 잠금 장치
JP4472161B2 (ja) 制動機構及びこの制動機構を用いた容器ホルダー
KR20050061091A (ko) 개방형 트레이
KR101230047B1 (ko) 차량용 글로브 박스의 개폐장치
JP2017218127A (ja) 車両用内装装置
KR100612562B1 (ko) 도어개폐기구 및 장치
AU2016204609A1 (en) Track cover for moving axis compartment door
KR100811950B1 (ko) 차량용 어퍼트레이
JP5016350B2 (ja) 車両用物入装置
JP3987969B2 (ja) 車両用収納装置
JP3715860B2 (ja) リッドの開閉操作装置
JPH0520605Y2 (ko)
JPH04302681A (ja) リツドロツク装置
KR100439886B1 (ko) 차량의 글로브박스 잠금장치
JP3198349B2 (ja) 自動車用収納ボックスの開閉機構
KR20020022226A (ko) 자동차 연료주입구 및 트렁크의 버튼식 수동해제장치
KR100795525B1 (ko) 차량용 오일댐퍼
JP2016007865A (ja) 両開き収納装置
JPH08191Y2 (ja) 自動車のグローブボックス
JP3328154B2 (ja) 乗り物用小物入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