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5626B1 - 편광판용점착제조성물및편광판 - Google Patents
편광판용점착제조성물및편광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85626B1 KR100485626B1 KR1019970024155A KR19970024155A KR100485626B1 KR 100485626 B1 KR100485626 B1 KR 100485626B1 KR 1019970024155 A KR1019970024155 A KR 1019970024155A KR 19970024155 A KR19970024155 A KR 19970024155A KR 100485626 B1 KR100485626 B1 KR 1004856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th
- weight
- molecular weight
- acrylic
- functional group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가교제에 대한 관능성을 갖는 중합성 모노머 0.5 내지 20 중량%의 공중합체이며 중량평균분자량이 100만 이상인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와, 중량평균분자량 3만 이하의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20 내지 200 중량부와, 가교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관능기를 분자내에 적어도 2 개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 0.005 내지 5 중량부로 되고,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관능기/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관능기로 표시되는 관능기 분배율이 0 내지 15 중량%의 범위내에 있는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 접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접착제층을 갖는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편광판의 치수변화에 수반하는 접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고, 액정 소자에 색얼룩이 발생하지 않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액정소자 등에 사용되는 편광판을 위상차판 또는 기판에 접착하기 위한 점착제 및 이 점착제로 되는 층을 갖는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액정소자는 소정의 방향으로 배향된 액정 성분이 2 장의 기판 사이에 협지(挾持)되는 구조를 갖는데, 이 기판의 표면에는 편광판이라든가 편광판과 위상차판의 적층체가 점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액정 소자는 표시 장치로서 광범위한 분야에 사용되어 오고 있다.
액정소자는 장치의 경량화, 박형화에 적절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이 액정소자가 차량용, 실외 계기용, 또는 개인용 컴퓨터의 디스플레이라든가 벽걸이 텔레비젼 등의 표시장치로서 사용되어 오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 환경도 매우 가혹하게 되어 오고 있다. 이와 같은 가혹한 조건하에서는 편광판의 치수 변화가 생기고, 이 치수 변화에 따라 발포, 박리가 발생하기 쉽게 된다. 편광판을 위상체판 또는 기판에 점착시키기 위한 점착제는 분자량을 올리거나 가교도를 높여 점착제층이 가혹한 조건하에서의 사용에 견딜 수 있도록 개량되고 있다.
그러나, 점착제의 분자량을 올린다거나 가교도를 올려 점착제층이 가혹한 조건에서의 사용에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것은, 편광판의 치수 변화를 점착제로 억제하도록 하는 것이므로 일정한 치수 변화 또는 일정 기간의 치수 변화는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기만, 장기간의 사용에 따른 편광판의 치수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내부 응력이 편광판 주변부에 집중되어 액정소자의 주변부가 중앙부 보다 밝아지거나 또는 어두워지는 등 액정소자 표면에 색얼룩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일본 특허공개공보 소60-207101호에는, 대체로 (A)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B) 관능기를 갖지 않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C) 상기 반응성 관능기와 반응시켜 얻어진 관능기를 적어도 2개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로 되고 상기 (A)와 (B)를 1:4 내지 4:1 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감압(感壓) 접착제층이 편광 필름의 적어도 1면에 적층되어 있는 편광판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감압 접착제의 응집력, 접착력 및 점탄성이 우수하고 밸런스가 잡히며, 또한 가교에 의해 유리된 관능기가 잔존하지 않게 되는 것에 의해 품질이 안정하게 되고 고온 고습의 조건하에서도 편광 필름과 기판에 기포가 발생한다거나 계면 박리가 생기지 않는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에 있어서, (A)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B) 관능기를 갖지 않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동일한 반응 조건에서 제조되므로, 이 (A)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B) 관능기를 갖지 않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거의 동등한 분자량을 갖고 있다고 생각된다. 즉, 이 공보에서는 다른 분자량을 갖는 (A)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B) 관능기를 갖지 않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사용한다는 기술적 사상은 나타나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이 공보에 기재된 접착제를 사용하여도, 편광판의 치수 안정성에 대응하는 접착제층의 추종성은 발현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게재공보 제2549388호에는,「편광판의 표면에, 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12의 아크릴산 내지 메타크릴산의 알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아크릴계 폴리머로 되는 감압성(感壓性) 접착제층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편광판에 있어서, 당해 감압성 접착제층이 중량평균분자량 10만 이하의 폴리머 성분을 15 중량% 이하 함유하고 또한 중량평균분자량 100만 이상의 폴리머 성분을 10 중량% 이상 함유하는 아크릴계 폴리머로부터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제형 편광판」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즉, 이 감압성 접착제층이 가교되어 있는 것, 가교되어 이루어지는 감압성 접착제층 중의 전 폴리머 중량에 대하여 중량평균분자량 10만 이하의 미가교 폴리머 성분이 15 중량% 이하 함유되어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에는, 감압성 접착제층 중에 중량평균분자량 100만 이상의 고분자량 폴리머의 함유율이 10 중량% 이상으로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지만, 반대로 중량평균분자량 10만 이하의 저분자량 폴리머의 함유율은 15 중량% 이하로, 이 발명에서는 저분자량 폴리머의 함유율을 낮추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자의 검토에 의하면, 이와 같이 저분자량 폴리머의 함유율이 낮으면 편광판의 치수 변화에 대한 감압성 접착제층의 추종성이 낮고, 일정 범위내에서 발생하는 내부 응력에는 저항할 수 있지만 장기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내부 응력이 편광판 주변부에 집중되어, 액정소자의 주변부가 중심부보다 밝게 되거나 또는 어둡게 되는 등, 액정소자 표면에 색얼룩이 발생한다. 즉, 이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에는 고분자량 폴리머를 다량으로 사용하는 것에 의해 감압성 접착제의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발생하는 내부 응력에도 저항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발명에는, 접착된 편광판과 액정셀 기판 사이에 발생하는 내부 응력을 접착제층으로 흡수하여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발생하는 내부 응력을 흡수하여 편광판과 액정셀 기판 사이의 내부 변형을 시정하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이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접착제를 사용하여도 편광판의 치수 변화에 대한 추종성을 갖는 접착제층을 형성하기는 어렵다.
본 발명은, 편광판에 발생하는 치수 변화에 추종하는 특성을 갖고, 고온 고습 조건하에서 장기간의 반복되는 사용에도 발포하는 일이 없으며, 계면 박리성이 발생하는 일이 없고, 따라서 주변부와 중앙부의 색얼룩이 없는 액정소자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편광판용 점착제 및 이 점착제로부터 이루어지는 층이 적어도 한쪽 면에 형성된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점착제는,
(A)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로부터 유도되는 반복단위를 주 반복단위로 하고, 다관능성 화합물 (C)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 함유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반복단위가 0.5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공중합되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00만 이상인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와,
당해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B) 다관능성 화합물 (C)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 함유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반복단위가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중합된 중량평균분자량 3만 이하의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20 내지 200 중량부와,
(C) 상기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A) 및/또는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B)와 결합하여 가교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관능기를 분자 중에 적어도 2 개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 0.005 내지 5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당해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A) 및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B)에 공중합되어 있는 다관능성 화합물 (C)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 함유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반복단위가, 다음 식으로 표시되는 관능기 분배율로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A) 및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B)에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능기 분배율 =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중에서 다관능성 화합물 (C)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 함유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반복단위의 모노머 환산중량/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중에서 다관능성 화합물 (C)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 함유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반복단위의 모노머 환산중량] X 100 = 15 중량% 이하.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은,
(A)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로부터 유도되는 반복단위를 주 반복단위로 하고, 다관능성 화합물 (C)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 함유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반복단위가 0.5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공중합되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00만 이상인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와,
당해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B) 다관능성 화합물 (C)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 함유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반복단위가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중합된 중량평균분자량 3만 이하의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20 내지 200 중량부와,
(C) 상기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A) 및/또는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B)와 결합하여 가교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관능기를 분자 중에 적어도 2 개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 0.005 내지 5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당해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A) 및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B)에 공중합되어 있는 다관능성 화합물 (C)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 함유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반복단위가, 상기 식으로 표시되는 관능기 분배율로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A) 및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B)에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이, 편광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점착제에서는, 다관능성 화합물과 반응하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로서 중량평균분자량이 100만 이상인 고분자량(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동시에, 다관능성 화합물과의 반응성이 없거나 적은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로서 중량평균분자량 3만 이하의 저분자량(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2 종류의 다른 (메타)아크릴계 중합체를 사용하고, 또한 다관능성 화합물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의 양이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에 비하여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쪽이 적기 때문에, 저분자량체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가 다관능 화합물과 결합하는 일은 없거나, 또는 결합하여도 3차원 가교 구조를 형성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의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면,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와 다관능성 화합물에 의해 3차원 가교구조가 형성되고, 이 3차원 가교구조 중에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가 존재하도록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점착제에 있어서는, 형성된 3차원 구조에 의하여 고온 고습 조건하에서 발생하는 발포라든가 박리를 방지하고, 편광판의 수치 변화에 수반되는 내부 응력을 3차원 가교 구조 중에 존재하는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에 의해 흡수하여, 온도 또는 습도의 변화에 따른 편광판의 형태변화에 추종하여 변화하도록 하는 특성을 점착제층에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이 점착제로 기판 또는 위상차판에 접착된 편광 필름은 온도의 변화, 습도의 변화 등에 의해 발생하는 내부응력이 이 점착제층에 의해 흡수되므로, 액정소자의 주변부가 중앙부보다 밝다든가 어둡다든가 하는 등의 색얼룩이 발생하지 않고 더욱이 발포, 박리도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에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점착제 및 이 점착제로 되는 점착층을 갖는 편광판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점착제는,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와,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와, 다관능성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다.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고, 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와 다관능성 화합물 (C)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 함유 모노머와의 공중합체이다. 이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로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iso-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iso-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관능성 화합물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 함유 모노머의 예로서는, (메타)아크릴산, 베타-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크로돈산, 말레인산, 무수말레인산 및 말레인산 부틸 등의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모노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아릴알콜 등의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모노머, 아미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비닐피리딘 등의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모노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모노머 및 아세토아세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세토아세틸기를 함유하는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중에서도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모노머 및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80 내지 99.5 중량%,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99.5 중량%의 알킬(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와, 0.5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중량%의 다관능성 화합물에 대한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를 함유하는 모노머의 공중합체이다.
상기와 같은 양으로, 알킬(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와 다관능성 화합물에 대한 반응성을 갖는 중합성 모노머를 공중합시키는 것에 의해, 다관능성 화합물과 결합하여 양호한 접착성을 갖는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상기 고분자량(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만 이상인 것이 필요하고, 100만 내지 200만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고분자량의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기판과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과 편광판 사이에 양호한 접착성을 확보하고 발포라든가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와 다관능성 화합물에 대한 반응성을 갖는 중합성 모노머의 공중합체이지만, 또한 이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에는 이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른 단량체가 공중합되어도 좋다.
여기에서 공중합시키는 것이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예로서는, 초산비닐, 스티렌, 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아크릴아미드 및 N-메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 단량체의 중합량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와 다관능성 화합물에 대한 반응성을 갖는 중합성 모노머의 합계량 100 중량%에 대하여 통상 0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5 중량%이다.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점착제는,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있다. 이 저분자량체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다관능성 화합물에 대하여 반응성이 없거나 또는 적은 (공)중합체이고, 다관능성 화합물과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반복단위의 양이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중에 존재하는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반복단위의 양에 비하여 낮다. 즉, 이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주 반복단위로 하여, 다관능성 화합물과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를 함유하는 모노머로부터 되는 반복단위를 함유하지 않거나 또는 이 함유량이 극히 낮은 (공)중합체이다. 또한, 이 공중합체는 다른 단량체가 공중합되어도 좋다.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시 사용되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다관능성 화합물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를 함유하는 모노머 및 다른 단량체는 상기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에서 기재된 것이 통상 사용된다. 그래서 이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3만 이하인 것이 필요하고, 1000 내지 20000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분자량의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편광판의 온도, 습도에 따른 치수변화에 대하여 점착제층의 추종성이 양호하게 되고, 액정소자가 고온 고습 조건하에서 사용되어 편광판의 치수가 변화하여도 이 치수변화에 점착제층이 추종하여 변동하므로, 액정소자의 주변부의 밝기와 중심부의 밝기 사이에 차이가 없게 되며 색얼룩 등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 저분자량체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 고분자량체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에 대하여 20 내지 2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20 중량부 미만이면 편광판의 치수변화에 대한 점착제층의 추종성이 불충분하게 되고 색 얼룩이 억제되지 않으며, 한편 20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고온 고습하에서의 접착성이 저하되어 박리가 발생되어 버린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와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상기 비율로 혼합할 때, 양자의 혼합물 중에서 각각의 중합체의 경우 다관능성 화합물 (C)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를 함유하는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반복단위의 모노머 환산중량의 비인 관능기 분배율이 특정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필요하다.
이 관능기 분배율은 다음 식으로 표기된다.
관능기 분배율 =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중에서 다관능성 화합물 (C)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를 함유하는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반복단위의 모노머 환산중량/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중에서 다관능성 화합물 (C)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를 함유하는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반복단위의 모노머 환산중량] X 100.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관능기 분배율이 0 내지 15 중량% 범위내에 있는 것이 필요하고, 0 내지 10 중량%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관능기 분배율은 후술하는 가교제 (C)(다관능성 화합물)에 의해 형성되는 가교구조의 형성 방법을 표시하는 것으로,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A)를 형성하는 다관능성 화합물 (C)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 함유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반복단위의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반복단위를 갖거나 또는 이 반복단위를 갖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가 다관능성 화합물 (C)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를 함유하는 모노머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갖지 않거나 또는 갖는다 하더라도 그 수가 적기 때문에,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에 가교구조가 형성되지 않거나 또는 형성되기 어렵고, 따라서 이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B)는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A)와 다관능성 화합물 (C)에 의해 형성된 3차원 가교구조물 안을 어느 정도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편광판과 액정셀 기판 등의 기본적인 접착 강도는 주로 이 3차원 가교구조물에 의해 발현되는데, 장기간의 접착에 의해 편광판과 액정셀 기판 등의 사이에 발생하는 내부 응력은 이 3차원 가교구조물에 의해서는 흡수되지 않고, 이 내부 응력에 의해 내부 비틀림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접착제는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B)에 의해 이 내부 응력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특정 중량평균분자량의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B)를 상기의 양으로 함유하고 관능기의 분배율이 상기 범위에 있는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B)를 함유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접착제 층은 편광판의 경시변화에 대응하여 형태 추종성을 갖게 된다. 이 형태 추종성의 향상에 의해 색 얼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관능기 분배율이 15 중량%를 초과하면,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와 다관능성 화합물의 반응 비율이 증가하여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와 다관능성 화합물로 형성된 3차원 가교구조 양의 저하가 일어나기 때문에 고온 고습하에서 발포가 발생되어 버린다.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점착제는 다관능성 화합물로서 다관능성 화합물을 함유한다. 이 화합물의 관능기는 상기 (메타)아크릴계 중합체의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와 반응하는 것으로, 1 분자 내에 관능기를 적어도 2 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개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다관능성 화합물의 예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아민계 화합물, 금속 킬레이트계 화합물 및 아지리딘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의 예로서는, 트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름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첨가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첨가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 트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등 폴리올과의 수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에폭시계 화합물의 예로서는, 비스페놀 A, 에피클로르히드린형의 에폭시계 수지. 에틸렌글리콜 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 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 트리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 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시딜아닐린, 디글리시딜아민,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렌디아민 및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민메틸)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민계 화합물의 예로서는, 헥사메틸렌디아민, 트리에틸디아민, 폴리에틸렌이민, 헥사메틸렌테트라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테트라민, 이소포름디아민, 아미노수지 및 메틸렌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의 예로서는, 알루미늄, 철, 동, 아연, 주석, 티탄, 니켈, 안티몬, 마그네슘, 바나듐, 크롬 및 지르코늄 등의 다가 금속이 아세틸아세톤이라든가 아세토초산에틸에 배위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지리딘계 화합물의 예로서는, N,N'-디페닐메탄-4,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이드), N,N'-톨루엔-2,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이드), 트리에틸렌멜라민, 비스이소프탈로일-1-(2-메틸아지리딘), 트리-1-아지리디닐포스핀옥사이드, N,N'-헥사메틸렌-1,6-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이드),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베타-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및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베타-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다관능성 화합물은, 상기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적으로는 0.005 내지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양으로 다관능성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와의 사이에서 바람직한 3차원 가교구조가 형성된다. 또한, 이들 다관능성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점착제를 구성하는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에는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원료 모노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부의 중합 개시제(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시클로헥산카르보니트릴 등의 아조계 중합개시제, 과산화벤조일, 과산화아세틸 등의 과산화물, 디페닐케톤,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등의 광중합 개시제 등)를 사용하고, 괴상 중합, 용액 중합, 유화 중합, 현탁 중합 등의 방법에 의해 합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용액 중합으로 합성된다.
용액 중합법의 경우, 중합 용액으로서 초산에틸, 톨루엔, 헥산, 아세톤 등이 사용되며, 반응 온도는 50 내지 150 ℃,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10 ℃, 반응 시간은 3 내지 15 시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시간이다.
또한,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고분자량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마찬가지로, 괴상 중합, 용액 중합, 유화 중합, 현탁 중합 등의 방법에 의해 합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용액 중합으로 합성된다. 단, 중량평균분자량 3만 이하로 하기 때문에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을 고분자량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경우의 10 내지 100 배 정도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라우릴머캅탄, n-도데실머캅탄, n-옥틸머캅탄 등의 머캅탄, 알파-메틸 스티렌 다이머 및 리모넨 등의 연쇄 이동제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점착제는, 상기와 같이 하여 제조한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다관능성 화합물을 혼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2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50 중량부, 다관능성 화합물은 상기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 중량부의 양으로 함유된다.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점착제는, 상기와 같이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다관능성 화합물로부터 되며, 또한 이 편광판용 점착제에는 통상 점착제에 배합되는 내후 안정제, 타키파이어, 가소제, 연화제, 염료, 안료, 실란 커플링제 및 무기 충전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 필름의 한쪽 면에 상기 점착제로부터 형성되는 점착제층을 적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편광 필름으로서는, 종래 공지의 편광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아세탈 및 에틸렌·초산 비닐 공중합체의 검화물 등의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로 된 필름에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 등의 편광 성분을 함유시켜 연신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필름에, 3초산 셀룰로즈 등의 셀룰로즈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에테르설폰계 필름 등의 보호필름이 적층된 다층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편광 필름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고, 이 편광 필름 표면에 직접 바코터 등을 사용하여 상기 점착제를 도포하여 건조시키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지만, 상기 점착제를 일단 박리성 기재 표면에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이 박리성 기재 표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편광 필름 표면에 전사하고 이어서 숙성시키는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점착제층의 두께는, 건조 두께로 통상 10 내지 100 um,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um 범위내에 있다.
또한, 이 점착제층은 편광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형성되어 있으면 좋고, 본 발명에서는 편광 필름의 양면에 이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에는, 예를 들어 보호층, 반사층, 방현층(防眩層) 등 다른 기능을 갖는 층이 적층되어도 좋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머 용액 1)
n-부틸아크릴레이트 95 중량부, 아크릴산 5 중량부, 초산에틸 100 중량부 및 과산화벤조일 0.2 중량부를 반응 용기에 넣고, 이 반응 용기 내의 공기를 질소 기체로 치환한 후, 교반하 질소 분위기중에서 이 반응 용액을 66 ℃로 승온시켜 10 시간 반응시켰다. 반응후, 초산에틸로 희석하여 고형분 20 중량%의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을 얻었다.
(폴리머 용액 2)
n-부틸아크릴레이트 89 중량부, 벤질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1 중량부, 초산에틸 100 중량부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 중량부를 반응 용기에 넣고, 이 반응 용기 내의 공기를 질소 기체로 치환한 후, 교반하 질소 분위기중에서 이 반응 용액을 66 ℃로 승온시켜 10 시간 반응시켰다. 반응후, 초산에틸로 희석하여 고형분 22 중량%의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을 얻었다.
(폴리머 용액 3)
n-부틸아크릴레이트 90 중량부, 벤질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 초산에틸 100 중량부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 중량부를 반응 용기에 넣고, 이 반응 용기 내의 공기를 질소 기체로 치환한 후, 교반하 질소 분위기중에서 이 반응 용액을 66 ℃로 승온시켜 15 시간 반응시켰다. 반응후, 초산에틸로 희석하여 고형분 22 중량%의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을 얻었다.
(폴리머 용액 4)
n-부틸아크릴레이트 95 중량부, 아크릴산 5 중량부, 초산에틸 120 중량부, 톨루엔 30 중량부 및 과산화벤조일 0.3 중량부를 반응 용기에 넣고, 이 반응 용기 내의 공기를 질소 기체로 치환한 후, 교반하 질소 분위기중에서 이 반응 용액을 70 ℃로 승온시켜 10 시간 반응시켰다. 반응후, 초산에틸로 희석하여 고형분 25 중량%의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을 얻었다.
(폴리머 용액 5)
n-부틸아크릴레이트 65 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0 중량부, 아크릴아마이드 5 중량부, 톨루엔 100 중량부,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 중량부 및 라우릴머캅탄 2 중량부를 반응 용기에 넣고, 이 반응 용기 내의 공기를 질소 기체로 치환한 후, 교반하 질소 분위기중에서 이 반응 용액을 110 ℃로 승온시켜 6 시간 반응시켰다. 반응후, 톨루엔으로 희석하여 고형분 40 중량%의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을 얻었다.
(폴리머 용액 6)
n-부틸아크릴레이트 65 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0 중량부, 아크릴아마이드 5 중량부, 톨루엔 100 중량부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 중량부를 반응 용기에 넣고, 이 반응 용기 내의 공기를 질소 기체로 치환한 후, 교반하 질소 분위기중에서 이 반응 용액을 110 ℃로 승온시켜 6 시간 반응시켰다. 반응후, 톨루엔으로 희석하여 고형분 40 중량%의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을 얻었다.
(폴리머 용액 7)
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52.5 중량부,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47 중량부,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0.5 중량부, 톨루엔 100 중량부, 과산화벤조일 3 중량부 및 알파-메틸스티렌 다이머 3 중량부를 반응 용기에 넣고, 이 반응 용기 내의 공기를 질소 기체로 치환한 후, 교반하 질소 분위기중에서 이 반응 용액을 110 ℃로 승온시켜 6 시간 반응시켰다. 반응후, 톨루엔으로 희석하여 고형분 40 중량%의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을 얻었다.
(폴리머 용액 8)
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48 중량부,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47 중량부,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 톨루엔 100 중량부, 과산화벤조일 3 중량부 및 알파-메틸스티렌 다이머 3 중량부를 반응 용기에 넣고, 이 반응 용기 내의 공기를 질소 기체로 치환한 후, 교반하 질소 분위기중에서 이 반응 용액을 110 ℃로 승온시켜 6 시간 반응시켰다. 반응후, 톨루엔으로 희석하여 고형분 40 중량%의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을 얻었다.
(폴리머 용액 9)
n-부틸아크릴레이트 90 중량부, 벤질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 톨루엔 100 중량부,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 중량부 및 라우릴머캅탄 2 중량부를 반응 용기에 넣고, 이 반응 용기 내의 공기를 질소 기체로 치환한 후, 교반하 질소 분위기중에서 이 반응 용액을 110 ℃로 승온시켜 6 시간 반응시켰다. 반응후, 톨루엔으로 희석하여 고형분 40 중량%의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을 얻었다.
상기 폴리머 용액에서 각 폴리머의 스티렌 환산에 따른 중량평균분자량(Mw)을 겔침투 크로마토그래프법(GPC)로부터 구하였다. 측정조건은 다음과 같다.
장치명: 東ソ-(주) 제품, HLC-8120
칼럼: 東ソ-(주) 제품, G7000HXL 7.8 mmID x 30 cm 1 개
GMHXL 7.8 mmID x 30 cm 2 개
G2500HXL 7.8 mmID x 30 cm 1 개
샘플 농도: 1.5 mg/ml 로 되도록 테트라히드로푸란으로 희석
이동상 용매: 테트라히드로푸란
유량: 1.0 ml/분
칼럼 온도: 40 ℃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폴리머 용액 1과 폴리머 용액 5를 고형분비율 100 중량부/150 중량부가 되도록 혼합하고, 여기에 다관능성 화합물로서 에폭시계 화합물(상품명: 테트라도 X, 三菱가스화학(주) 제품) 고형분 0.02 중량부를 첨가하여 잘 교반하여 편광판용 점착제 용액을 얻었다.
다관능성 화합물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 양의 비율은, 폴리머 용액 5/폴리머 용액 1 = 0 중량%이다.
이와 같이 얻어진 편광판용 점착제 용액을 폴리에스테르제 박리 필름에 도포한 후 건조시켰다. 이 때, 건조후의 도포 두께가 25 um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다음에 이 박리 필름상에 도포시킨 점착제를 200 um의 편광 필름 상에 전사하고, 온도 23 ℃, 습도 65 %의 조건에서 7일 동안 숙성시켜 본 발명의 편광판을 얻었다.
점착제층이 설치된 편광판을 흡수축이 편광판 장변에 대하여 45。 가 되도록 60 mm x 100 mm로 재단하고, 이 편광판을 유리판의 한쪽 면에 50 ℃, 압력 5 kg/㎤ 의 조건에서 20 분 유지하여 접착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샘플을 100 ℃ 및 80 ℃, 90 %의 조건하에서 500 시간 방치하여 발포, 탈락의 발생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마찬가지로 조제된 샘플을 유리판의 양면에 흡수축이 직행하도록 배치하여 50 ℃, 압력 5 kg/㎤ 의 조건에서 20 분 동안 유지하여 접착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샘플을 100 ℃의 조건하에서 500 시간 방치하여, 색얼룩의 발생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평가하고, 편광판의 장변에서 접착 위치가 어긋난 거리를 노니우스(노기스)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폴리머 용액 2와 폴리머 용액 7을 고형분비율 100 중량부/25 중량부가 되도록 혼합하고, 여기에 다관능성 화합물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상품명: 코로네이트 L, 일본 폴리우레탄(주) 제품) 고형분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잘 교반하여 편광판용 점착제 용액을 얻었다.
다관능성 화합물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 양의 비율은, 폴리머 용액 7/폴리머 용액 2 = 12.5 중량%이다.
이와 같이 얻어진 편광판용 점착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점착제층을 설치한 편광판을 조제하였다.
이 편광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발포, 탈락의 발생 상태를 관찰하였다. 또한 색얼룩의 발생 상태를 관찰하고, 편광판의 장변에서 접착 위치가 어긋난 거리를 측정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폴리머 용액 2와 폴리머 용액 9를 고형분비율 100 중량부/100 중량부가 되도록 혼합하고, 여기에 다관능성 화합물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상품명: 코로네이트 HL, 일본 폴리우레탄(주) 제품) 고형분 0.04 중량부를 첨가하여 잘 교반하여 편광판용 점착제 용액을 얻었다.
다관능성 화합물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 양의 비율은, 폴리머 용액 9/폴리머 용액 2 = 0 중량%이다.
이와 같이 얻어진 편광판용 점착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점착제층을 설치한 편광판을 조제하였다.
이 편광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발포, 탈락의 발생 상태를 관찰하였다. 또한 색얼룩의 발생 상태를 관찰하고, 편광판의 장변에서 접착 위치가 어긋난 거리를 측정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폴리머 용액 1과 폴리머 용액 9를 고형분비율 100 중량부/25 중량부가 되도록 혼합하고, 여기에 다관능성 화합물로서 실시예 1에서 사용하였던 에폭시계 화합물 0.22 중량부를 첨가하여 잘 교반하여 편광판용 점착제 용액을 얻었다.
다관능성 화합물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 양의 비율은, 폴리머 용액 9/폴리머 용액 1 = 0 중량%이다.
이와 같이 얻어진 편광판용 점착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점착제층을 설치한 편광판을 조제하였다.
이 편광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발포, 탈락의 발생 상태를 관찰하였다. 또한 색얼룩의 발생 상태를 관찰하고, 편광판의 장변에서 접착 위치가 어긋난 거리를 측정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폴리머 용액 1과 폴리머 용액 5를 고형분비율 100 중량부/10 중량부가 되도록 혼합하고, 여기에 다관능성 화합물로서 실시예 1에서 사용하였던 에폭시계 화합물 고형분 0.22 중량부를 첨가하여 잘 교반하여 편광판용 점착제 용액을 얻었다.
다관능성 화합물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 양의 비율은, 폴리머 용액 5/폴리머 용액 1 = 0 중량%이다.
이와 같이 얻어진 편광판용 점착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점착제층을 설치한 편광판을 조제하였다.
이 편광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발포, 탈락의 발생 상태를 관찰하였다. 또한 색얼룩의 발생 상태를 관찰하고, 편광판의 장변에서 접착 위치가 어긋난 거리를 측정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폴리머 용액 2와 폴리머 용액 9를 고형분비율 100 중량부/250 중량부가 되도록 혼합하고, 여기에 다관능성 화합물로서 실시예 3에서 사용하였던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고형분 0.04 중량부를 첨가하여 잘 교반하여 편광판용 점착제 용액을 얻었다.
다관능성 화합물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 양의 비율은, 폴리머 용액 9/폴리머 용액 2 = 0 중량%이다.
이와 같이 얻어진 편광판용 점착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점착제층을 설치한 편광판을 조제하였다.
이 편광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발포, 탈락의 발생 상태를 관찰하였다. 또한 색얼룩의 발생 상태를 관찰하고, 편광판의 장변에서 접착 위치가 어긋난 거리를 측정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폴리머 용액 1과 폴리머 용액 6을 고형분비율 100 중량부/150 중량부가 되도록 혼합하고, 여기에 다관능성 화합물로서 실시예 1에서 사용하였던 에폭시계 화합물 고형분 0.02 중량부를 첨가하여 잘 교반하여 편광판용 점착제 용액을 얻었다.
다관능성 화합물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 양의 비율은, 폴리머 용액 6/폴리머 용액 1 = 0 중량%이다.
이와 같이 얻어진 편광판용 점착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점착제층을 설치한 편광판을 조제하였다.
이 편광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발포, 탈락의 발생 상태를 관찰하였다. 또한 색얼룩의 발생 상태를 관찰하고, 편광판의 장변에서 접착 위치가 어긋난 거리를 측정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폴리머 용액 4와 폴리머 용액 5를 고형분비율 100 중량부/150 중량부가 되도록 혼합하고, 여기에 다관능성 화합물로서 실시예 1에서 사용하였던 에폭시계 화합물 고형분 0.04 중량부를 참가하여 잘 교반하여 편광판용 점착제 용액을 얻었다.
다관능성 화합물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 양의 비율은, 폴리머 용액 5/폴리머 용액 4 = 0 중량%이다.
이와 같이 얻어진 편광판용 점착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점착제층을 설치한 편광판을 조제하였다.
이 편광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발포, 탈락의 발생 상태를 관찰하였다. 또한 색얼룩의 발생 상태를 관찰하고, 편광판의 장변에서 접착 위치가 어긋난 거리를 측정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폴리머 용액 2와 폴리머 용액 7을 고형분비율 100 중량부/40 중량부가 되도록 혼합하고, 여기에 다관능성 화합물로서 실시예 2에서 사용하였던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고형분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잘 교반하여 편광판용 점착제 용액을 얻었다.
다관능성 화합물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 양의 비율은, 폴리머 용액 7/폴리머 용액 2 = 20 중량%이다.
이와 같이 얻어진 편광판용 점착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점착제층을 설치한 편광판을 조제하였다.
이 편광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발포, 탈락의 발생 상태를 관찰하였다. 또한 색얼룩의 발생 상태를 관찰하고, 편광판의 장변에서 접착 위치가 어긋난 거리를 측정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6
폴리머 용액 2와 폴리머 용액 8을 고형분비율 100 중량부/20 중량부가 되도록 혼합하고, 여기에 다관능성 화합물로서 실시예 2에서 사용하였던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고형분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잘 교반하여 편광판용 점착제 용액을 얻었다.
다관능성 화합물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 양의 비율은, 폴리머 용액 8/폴리머 용액 2 = 100 중량%이다.
이와 같이 얻어진 편광판용 점착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점착제층을 설치한 편광판을 조제하였다.
이 편광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발포, 탈락의 발생 상태를 관찰하였다. 또한 색얼룩의 발생 상태를 관찰하고, 편광판의 장변에서 접착 위치가 어긋난 거리를 측정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7
폴리머 용액 2와 폴리머 용액 3을 고형분비율 100 중량부/100 중량부가 되도록 혼합하고, 여기에 다관능성 화합물로서 실시예 3에서 사용하였던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고형분 0.04 중량부를 첨가하여 잘 교반하여 편광판용 점착제 용액을 얻었다.
다관능성 화합물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 양의 비율은, 폴리머 용액 3/폴리머 용액 2 = 0 중량%이다.
이와 같이 얻어진 편광판용 점착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점착제층을 설치한 편광판을 조제하였다.
이 편광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발포, 탈락의 발생 상태를 관찰하였다. 또한 색얼룩의 발생 상태를 관찰하고, 편광판의 장변에서 접착 위치가 어긋난 거리를 측정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8
폴리머 용액 1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다관능성 화합물로서 실시예 1에서 사용하였던 에폭시계 화합물 고형분 0.02 중량부를 첨가하여 잘 교반하여 편광판용 점착제 용액을 얻었다.
이와 같이 얻어진 편광판용 점착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점착제층을 설치한 편광판을 조제하였다.
이 편광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발포, 탈락의 발생 상태를 관찰하였다. 또한 색얼룩의 발생 상태를 관찰하고, 편광판의 장변에서 접착 위치가 어긋난 거리를 측정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폴리머 용액의 배합 비율을 표 3에 기재한다.
[표 1]
[표 2]
[표 3]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점착제는 중량평균분자량 100만 이상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중량평균 분자량 3만 이하의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다관능성 화합물로부터 되고, 이 다관능성 화합물은 주로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와 결합하여 3차원 가교구조를 형성한다. 한편,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다관능성 화합물과 반응하지 않거나 또는 반응하여도 3차원 가교구조를 형성하기 어려워 상기와 같이 형성된 3차원 가교구조중에 독자적으로 존재한다. 이와 같이 다관능성 화합물과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물로부터 형성되는 3차원 가교구조와, 이 3차원 가교구조중에 독자적으로 존재하는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에 의해 형성된 점착제층은 온도 및 습도에 기인하는 편광판의 치수변화에 추종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점착제를 사용하여 편광 필름을 액정소자의 위상차판 또는 기판에 점착하는 것에 의해, 고온 고습하에서 반복 사용되어도 점착제층에 발포가 발생하는 일이 없고, 또한 계면 박리 등이 발생하는 일이 없으며, 더욱이 주변부와 중앙부의 색얼룩이 적은 액정소자를 형성할 수 있다.
Claims (4)
- (A)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로부터 유도되는 반복단위를 주 반복단위로 하고, 다관능성 화합물 (C)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 함유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반복단위가 0.5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공중합되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00만 이상인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와,당해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B) 다관능성 화합물 (C)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 함유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반복단위가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중합된 중량평균분자량 3만 이하의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20 내지 200 중량부와,(C) 상기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A) 및/또는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B)와 결합하여 가교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관능기를 분자 중에 적어도 2 개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 0.005 내지 5 중량부로 이루어지고,당해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A) 및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B)에 공중합되어 있는 다관능성 화합물 (C)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 함유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반복단위가, 다음 식으로 표시되는 관능기 분배율로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A) 및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B)에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용 점착제;관능기 분배율 =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중에서 다관능성 화합물 (C)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 함유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반복단위의 모노머 환산중량/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중에서 다관능성 화합물 (C)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 함유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반복단위의 모노머 환산중량] X 100 = 15 중량% 이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A)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00만 내지 200만의 범위내에 있고, 상기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B)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2000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용 점착제.
- (A)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로부터 유도되는 반복단위를 주 반복단위로 하고, 다관능성 화합물 (C)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 함유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반복단위가 0.5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공중합되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00만 이상인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와,당해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B) 다관능성 화합물 (C)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 함유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반복단위가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중합된 중량평균분자량 3만 이하의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20 내지 200 중량부와,(C) 상기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A) 및/또는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B)와 결합하여 가교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관능기를 분자 중에 적어도 2 개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 0.005 내지 5 중량부로 이루어지고,당해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A) 및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B)에 공중합되어 있는 다관능성 화합물 (C)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 함유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반복단위가, 다음 식으로 표시되는 관능기 분배율로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A) 및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B)에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이, 편광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관능기 분배율 =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중에서 다관능성 화합물 (C)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 함유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반복단위의 모노머 환산중량/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중에서 다관능성 화합물 (C)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 함유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반복단위의 모노머 환산중량] X 100 = 15 중량% 이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A)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00만 내지 200만의 범위내에 있고, 상기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B)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2000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09081197A JP3533589B2 (ja) | 1997-04-09 | 1997-04-09 |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偏光板 |
JPP09-090811 | 1997-04-0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79266A KR19980079266A (ko) | 1998-11-25 |
KR100485626B1 true KR100485626B1 (ko) | 2006-01-12 |
Family
ID=14008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24155A KR100485626B1 (ko) | 1997-04-09 | 1997-06-11 | 편광판용점착제조성물및편광판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3533589B2 (ko) |
KR (1) | KR100485626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8943B1 (ko) * | 2004-04-23 | 2007-01-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
KR100838973B1 (ko) * | 2005-06-08 | 2008-06-1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
WO2015012524A1 (ko) * | 2013-07-22 | 2015-01-29 |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 아크릴계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편광판 |
WO2016104977A1 (ko) * | 2014-12-23 | 2016-06-30 | (주)엘지하우시스 | 광학용 점접착 조성물, 이를 다단 경화시키는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5720B1 (ko) * | 1999-04-30 | 2003-05-2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재박리성이 우수한 광학용 아크릴계 감압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이용한 라미네이트 |
JP2001089731A (ja) * | 1999-09-20 | 2001-04-03 | Lintec Corp | 粘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接着性光学機能部材 |
JP2001214143A (ja) * | 2000-02-04 | 2001-08-07 | Nitto Denko Corp | 感圧性接着剤組成物および接着フィルム |
KR100711423B1 (ko) * | 2000-03-14 | 2007-05-02 |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 점착제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점착시트 및 점착성 광학부재 |
JP4673957B2 (ja) * | 2000-05-30 | 2011-04-20 | リンテック株式会社 | 粘着剤組成物、そ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及び粘着性光学部材 |
JP4673952B2 (ja) * | 2000-03-14 | 2011-04-20 | リンテック株式会社 | 粘着剤組成物、そ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及び粘着性光学部材 |
TW554025B (en) * | 2000-04-13 | 2003-09-21 | Lintec Corp | Adhesive compositions and adhesive optical elements using thereof |
JP5217071B2 (ja) * | 2000-05-15 | 2013-06-19 | 東亞合成株式会社 | 粘着剤組成物 |
JP4672118B2 (ja) * | 2000-08-02 | 2011-04-20 | サイデン化学株式会社 | 粘着塗布型偏光板及びそれに用いる粘着剤組成物 |
CN1263819C (zh) * | 2000-09-14 | 2006-07-12 | 罗姆和哈斯公司 | 制备聚合物添加剂的方法,含该聚合物添加剂的粘合剂组合物及其用途 |
JP4640740B2 (ja) * | 2000-12-04 | 2011-03-02 | 日東電工株式会社 | 感圧性接着剤組成物、感圧性接着シート及び光学フィルム |
KR100431441B1 (ko) * | 2000-12-21 | 2004-05-1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편광판 |
DE60128894T2 (de) | 2000-12-21 | 2008-03-20 | Lg Chem, Ltd. | Acrylklebstoffzusammensetzungen für polarisierende filme sowie diese verwendender polarisierender film |
KR100426228B1 (ko) * | 2001-01-10 | 2004-04-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아크릴계 점착제를 이용한 편광판 점착제품의 제조방법 |
JP4788937B2 (ja) * | 2001-05-07 | 2011-10-05 | 綜研化学株式会社 | 粘着剤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用粘着シート |
JP4803524B2 (ja) * | 2001-05-15 | 2011-10-26 | 綜研化学株式会社 | 光学部材用粘着剤及び該粘着剤を設けた光学部材 |
JP2003049143A (ja) * | 2001-05-31 | 2003-02-21 | Soken Chem & Eng Co Ltd |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及び該粘着剤を用いた光学フィルム |
KR100446664B1 (ko) * | 2002-02-20 | 2004-09-0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
JP4433145B2 (ja) | 2003-02-12 | 2010-03-17 | 日東電工株式会社 | 光学部材用粘着剤組成物、光学部材用粘着剤層、粘着型光学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
JP4534431B2 (ja) * | 2003-04-30 | 2010-09-01 |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 粘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学部材 |
TWI341321B (en) * | 2003-05-07 | 2011-05-01 | Soken Kagaku Kk | Adhesive agent and laminate for optical parts |
JP2005010760A (ja) * | 2003-05-26 | 2005-01-13 | Nitto Denko Corp | 偏光板用接着剤、偏光板、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
JP4521520B2 (ja) * | 2003-08-06 | 2010-08-11 | 綜研化学株式会社 | 低極性フィルム用粘着剤 |
JP4490064B2 (ja) * | 2003-09-16 | 2010-06-23 |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 粘着剤組成物 |
JP2005179467A (ja) * | 2003-12-18 | 2005-07-07 | Nitto Denko Corp |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層、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
US7285313B2 (en) | 2004-01-20 | 2007-10-23 | Lg Chem Ltd. |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
JP4515118B2 (ja) * | 2004-03-12 | 2010-07-28 | 日東電工株式会社 | 透明両面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及びタッチパネル |
JP4635151B2 (ja) * | 2004-04-14 | 2011-02-16 | 綜研化学株式会社 | 光学部材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光学部材用粘着フィルム、ならびにこれらを用いた光学部材 |
JP4635150B2 (ja) * | 2004-04-14 | 2011-02-16 | 綜研化学株式会社 | 光学部材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光学部材用粘着フィルム、ならびにこれらを用いた光学部材 |
US20080033109A1 (en) * | 2004-07-22 | 2008-02-07 | Soken Chemical & Engineering Co., Ltd. | Adhesive Composition For Polarizing Plate And Polarizing Plate |
KR100694446B1 (ko) * | 2004-08-10 | 2007-03-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 |
KR100694445B1 (ko) | 2004-08-24 | 2007-03-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대전 방지 성능을 갖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
TW200632002A (en) * | 2004-11-30 | 2006-09-16 | Fuji Photo Film Co Ltd |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JP2006301572A (ja) * | 2004-11-30 | 2006-11-02 | Fuji Photo Film Co Ltd | 偏光板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
JP3916638B2 (ja) | 2004-12-02 | 2007-05-16 | 日東電工株式会社 |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
JP2006232882A (ja) * | 2005-02-22 | 2006-09-07 | Nitto Denko Corp |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類および両面粘着テープ |
TW200636032A (en) * | 2005-04-13 | 2006-10-16 | Lg Chemical Ltd |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impact resistance, optical film using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optical film |
WO2007029936A1 (en) | 2005-09-05 | 2007-03-15 | Lg Chem, Ltd. |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
KR100831558B1 (ko) | 2005-11-18 | 2008-05-2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
KR100932887B1 (ko) | 2005-12-14 | 2009-12-2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
JP4918499B2 (ja) * | 2005-12-20 | 2012-04-18 | サイデン化学株式会社 | 光学用粘着剤組成物及び光学機能性フィルム |
JP4780766B2 (ja) | 2006-03-27 | 2011-09-28 | 日東電工株式会社 | 光学用粘着剤、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
JP5005264B2 (ja) * | 2006-06-06 | 2012-08-22 | 日東電工株式会社 |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及び粘着剤付着型機能性フィルム |
KR100932888B1 (ko) * | 2006-07-21 | 2009-12-2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광학 보상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편광판 및 액정표시소자 |
US8372492B2 (en) | 2006-12-15 | 2013-02-12 | Nitto Denko Corporation | Pressure-sensitive adhesiv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
KR100775440B1 (ko) | 2006-12-20 | 2007-11-12 | 동우신테크 주식회사 | 리세드로네이트 나트륨 헤미펜타히드레이트의 제조방법 |
KR100948778B1 (ko) * | 2007-01-23 | 2010-03-2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광학 보상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편광판 및 액정표시소자 |
US8962135B2 (en) | 2007-10-22 | 2015-02-24 | Nitto Denko Corporation |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optical film,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 optical film, production method there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
JP5212688B2 (ja) * | 2007-10-26 | 2013-06-19 | サイデン化学株式会社 | 光学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光学機能性フィルム |
KR101023837B1 (ko) | 2008-01-11 | 2011-03-2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점착제 조성물, 상기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
KR101023842B1 (ko) | 2008-01-11 | 2011-03-2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점착제 조성물, 상기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
KR101023843B1 (ko) | 2008-01-11 | 2011-03-2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점착제 조성물, 상기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
KR101019064B1 (ko) | 2008-01-14 | 2011-03-0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
TWI488933B (zh) * | 2008-02-01 | 2015-06-21 | Lg Chemical Ltd | 含有光學各向異性化合物之丙烯酸系壓感性黏著劑組合物、偏光板、及含彼之液晶顯示裝置 |
JP5379409B2 (ja) | 2008-02-15 | 2013-12-25 | 日東電工株式会社 |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
JP2009221324A (ja) * | 2008-03-14 | 2009-10-01 | Soken Chem & Eng Co Ltd | 光学部材用粘着剤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光学部材用保護フィルム |
JP5379410B2 (ja) | 2008-03-14 | 2013-12-25 | 日東電工株式会社 |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
EP2274394B1 (en) | 2008-04-21 | 2014-11-26 | LG Chem, Ltd. |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polarizers and liquid crystal displays comprising the same |
KR101133064B1 (ko) | 2008-04-25 | 2012-04-0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액정표시장치 |
US8570470B2 (en) | 2008-08-20 | 2013-10-29 | Lg Chem, Ltd. | Adhesive agent |
KR101638207B1 (ko) | 2008-09-01 | 2016-07-08 | 닛뽕 카바이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 및 광학필름 |
JP5923231B2 (ja) * | 2008-09-01 | 2016-05-24 |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 粘着剤組成物、光学フィルム、及び粘着剤組成物の製造方法 |
JP5448409B2 (ja) | 2008-10-16 | 2014-03-19 | 日東電工株式会社 |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
JP5242331B2 (ja) | 2008-10-16 | 2013-07-24 | 日東電工株式会社 | 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の利用 |
WO2010050527A1 (ja) * | 2008-10-31 | 2010-05-06 |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 光学部材用粘着剤、それを用いて得られる粘着剤層付き光学部材、および活性エネルギー線および/または熱硬化型光学部材用粘着剤組成物 |
KR100983026B1 (ko) | 2008-12-18 | 2010-09-1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
CN102356137A (zh) | 2009-03-16 | 2012-02-15 | 电气化学工业株式会社 | 粘合剂和粘合片 |
WO2010110254A1 (ja) | 2009-03-24 | 2010-09-30 |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 粘着剤組成物 |
JP5683229B2 (ja) * | 2009-11-27 | 2015-03-11 |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 粘着剤、光学部材用粘着剤、粘着剤層付き光学部材、画像表示装置、及び粘着剤組成物 |
JP2010100857A (ja) * | 2009-12-14 | 2010-05-06 | Soken Chem & Eng Co Ltd | ガラス基板貼り付け用光学機能粘着フィルム |
KR101824274B1 (ko) * | 2010-03-25 | 2018-01-31 |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 광학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및 광학용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 |
JP5555043B2 (ja) | 2010-04-26 | 2014-07-23 |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粘着剤付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
JP5517831B2 (ja) * | 2010-08-19 | 2014-06-11 | リンテック株式会社 | 粘着性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
JP5562173B2 (ja) * | 2010-08-19 | 2014-07-30 | リンテック株式会社 | 粘着性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
JP5697023B2 (ja) * | 2010-12-14 | 2015-04-08 | サイデン化学株式会社 | 粘着剤層付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TWI461500B (zh) | 2011-03-23 | 2014-11-21 | Lg Chemical Ltd | 壓敏性黏著組成物 |
JP5758673B2 (ja) * | 2011-03-31 | 2015-08-05 | リンテック株式会社 | 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
JP5638439B2 (ja) * | 2011-03-31 | 2014-12-10 | リンテック株式会社 | 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
JP5611880B2 (ja) * | 2011-03-31 | 2014-10-22 | リンテック株式会社 | 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
JP5595321B2 (ja) * | 2011-03-31 | 2014-09-24 | リンテック株式会社 | 粘着性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
JP5636339B2 (ja) * | 2011-06-28 | 2014-12-03 | リンテック株式会社 | 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
JP5611129B2 (ja) * | 2011-06-28 | 2014-10-22 | リンテック株式会社 | 粘着性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
JP5676381B2 (ja) * | 2011-07-11 | 2015-02-25 |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及び光学用積層シート |
JP5929357B2 (ja) * | 2012-03-15 | 2016-06-01 |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粘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粘着フィルム |
JP2012162727A (ja) * | 2012-04-05 | 2012-08-30 | Nitto Denko Corp |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及び粘着剤付着型機能性フィルム |
KR102090220B1 (ko) | 2012-06-05 | 2020-03-17 | 닛뽕 카바이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가 부착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
JP5348343B1 (ja) * | 2013-04-25 | 2013-11-20 |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感圧式接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感圧式接着シート |
JP6468727B2 (ja) * | 2014-05-19 | 2019-02-13 | 日東電工株式会社 | 水分散型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
JP6613818B2 (ja) * | 2015-10-30 | 2019-12-04 |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感圧式接着剤及び感圧式接着フィルム |
TWI790849B (zh) | 2021-12-09 | 2023-01-21 |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 黏著組成物、液晶顯示器與其拆解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397851A (en) * | 1977-02-07 | 1978-08-26 | Nitto Electric Ind Co | Light bending plate |
JPS5622371A (en) * | 1979-07-31 | 1981-03-02 | Nitto Electric Ind Co Ltd | Water-dispersi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
JPS60207101A (ja) * | 1984-03-31 | 1985-10-18 | Sekisui Chem Co Ltd | 偏光板 |
JPS6147772A (ja) * | 1984-08-15 | 1986-03-08 | Toagosei Chem Ind Co Ltd | 粘着剤用樹脂組成物 |
JP2549388B2 (ja) * | 1987-09-08 | 1996-10-30 | 日東電工株式会社 | 感圧接着型偏光板 |
JPH0431480A (ja) * | 1990-05-28 | 1992-02-03 | Soken Kagaku Kk | アクリル系感圧接着剤組成物 |
-
1997
- 1997-04-09 JP JP09081197A patent/JP3533589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6-11 KR KR1019970024155A patent/KR10048562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8943B1 (ko) * | 2004-04-23 | 2007-01-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
KR100838973B1 (ko) * | 2005-06-08 | 2008-06-1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
WO2015012524A1 (ko) * | 2013-07-22 | 2015-01-29 |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 아크릴계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편광판 |
WO2016104977A1 (ko) * | 2014-12-23 | 2016-06-30 | (주)엘지하우시스 | 광학용 점접착 조성물, 이를 다단 경화시키는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
CN107109179A (zh) * | 2014-12-23 | 2017-08-29 | 株式会社Lg化学 | 用于光学用途的粘合粘结组合物、其多步固化方法和图像显示装置 |
US10435598B2 (en) | 2014-12-23 | 2019-10-08 | Lg Chem, Ltd. | Adhesive bonding composition for optical use, method for multistage curing thereof, and image display device |
KR102058915B1 (ko) | 2014-12-23 | 2019-12-2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광학용 점접착 조성물, 이를 다단 경화시키는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79266A (ko) | 1998-11-25 |
JPH10279907A (ja) | 1998-10-20 |
JP3533589B2 (ja) | 2004-05-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85626B1 (ko) | 편광판용점착제조성물및편광판 | |
KR100668943B1 (ko) |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 |
KR101288238B1 (ko) | 아크릴 수지 조성물 및 점착제 | |
TWI753904B (zh) | 可撓性顯示器用黏著劑、黏著板片、可撓性層積構件及可撓性顯示器 | |
US8329847B2 (en) | Optically compensated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aining the same | |
US8664326B2 (en) |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 |
KR100737653B1 (ko) | 점착제 및 그것을 사용한 광학부재 | |
US20070117918A1 (en) |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 |
KR20120086265A (ko) | 점착제 시트, 점착제 부착 광학 필름 및 광학 적층체 | |
WO2006022512A1 (en) |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having antistatic property | |
CN102257087A (zh) | 粘合剂组合物、偏光板和液晶显示器 | |
EP1776433B1 (en) |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 |
KR20090048363A (ko) | 점착제 조성물 및 광학필름 | |
KR20100059470A (ko) | 빛샘 제어용 점착제 조성물과 그 조성물이 도포된 디스플레이장치용 광학필름 | |
TWI375835B (en) | Polarizer hav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ith improved light leakage property | |
KR20040040368A (ko) | 아크릴 수지, 그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 및 그 접착제를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 |
JP2007238853A (ja) | 粘着組成物および該粘着組成物を用いた粘着フィルム | |
KR20040045372A (ko) | 아크릴 수지 조성물, 이 조성물을 함유하는 접착제 및 이접착제를 함유하는 광학적층체 | |
KR100671404B1 (ko) |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광학필름 | |
JP6019910B2 (ja) | 粘着剤組成物、粘着剤シート、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及び光学積層体 | |
JP6024125B2 (ja) | 粘着剤組成物 | |
KR102423737B1 (ko) |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 |
JP4581061B2 (ja) | 光学フィルム保護シート用粘着剤組成物及び光学フィルム保護シート | |
JP2019014901A (ja) |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12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