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1540B1 - 화상 형성 장치의 개폐부 스위치 기구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의 개폐부 스위치 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31540B1 KR100431540B1 KR10-2001-0062098A KR20010062098A KR100431540B1 KR 100431540 B1 KR100431540 B1 KR 100431540B1 KR 20010062098 A KR20010062098 A KR 20010062098A KR 100431540 B1 KR100431540 B1 KR 1004315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closing
- door
- image forming
- forming apparatu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01H11/000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for converting electric switches
- H01H11/001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for converting electric switches for allowing different operating part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80—Details relating to power supplies, circuits boards, electrical connec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6—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for a door switch, a limit switch, a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01H3/161—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for a door switch, a limit switch, a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for actuation by moving a closing member, e.g. door, cover or lid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7—Frame structures using opening shell type machines, e.g. pivoting assembl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20—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wherein an auxiliary movement thereof, or of an attachment thereto, is necessary before the main movement is possible or effective, e.g. for unlatching, for coup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문에 개폐 순서를 정하지 않고, 또 문의 개폐 조작성을 손상주지 않고 간단하고도 염가로 문의 개폐를 검지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의 개폐부 스위치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의 케이싱을 개폐하는 문의 동작에 연동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소정 전원을 온/오프하는 개폐부 스위치 기구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에 마련된 제1 개폐부(106)의 개폐에 의해 제1 방향으로 동작함과 동시에 화상 형성 장치에 마련된 제2 개폐부(120)의 개폐에 의해 제2 방향으로 동작하는 가동 부재(131)와, 화상 형성 장치의 소정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135)와, 가동 부재(131)에 일체로 마련되어 가동 부재(131)가 제1 방향 및 제2방향의 양방향으로 동작한 경우에만 상기 스위치(135)를 온 하는 온/오프 부재(1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사기나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폐부 스위치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 팩시밀리, 복사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토너 교환이나 용지 걸림 처리를 행하기 위하여 장치 본체에 복수개의 개폐부(예컨대 문)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전부의 개폐부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만 화상 형성 동작이 가능하게 할 필요가 있고, 또 하나라도 개폐부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는 화상 형성 동작이 불가능하게 되도록, 개폐부의 개폐 검지 수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 일반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각종의 옵션 장치를 장착하는 경우도 많다. 예컨대, 복사기에 있어서는 소터(sorter)나 스태플 등의 옵션 장치를 장착하는 경우가 있다. 이들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는 옵션 장치에서는 본체 장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옵션 장치 내에서의 용지 걸림 처리를 행할 경우가 있고, 이들 옵션 장치에 마련된 문 등의 개폐부의 개폐를 검지할 필요가 있다. 즉, 옵션 장치를 포함한 화상 형성 장치 전체에서 전부의 개폐부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만 화상 형성 동작이 가능하게 할 필요가 있고, 또 하나라도 개폐부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는 화상 형성 동작이 불가능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동작 상태를 실현하는 제1 수단으로서는 각 개폐부에 각각 개폐 검지 스위치를 마련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제2 수단으로서는 문의 개폐에 순번을 달아서 소정의 개폐부를 기계적으로 닫힌(또는 열린)상태로 하지 않으면 다음의 개폐부가 닫히지 않도록(또는 열리지 않도록) 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제3 수단으로서 각 개폐부에 연동하는 링크 기구를 마련하여 하나라도 개폐부가 열리면 스위치가 오프로 되는 구성(전부의 문이 닫히지 않으면 온으로 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수단에서는 개폐부 개수만큼 스위치가 필요하여 비용이 상승하게된다. 또한, 상기 제2 수단에서는 스위치의 개수를 줄일 수 있지만, 문의 개폐 순서를 잘못하였을 때에는 개폐 동작을 반복하여 다시 하는 번거로움이 있거나, 순서를 잘못하여 힘주어 개폐부를 닫으면, 개폐부가 파손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제3 수단에서는 대체로 링크 기구가 복잡하게 될 뿐이고, 스위치의 개수를 줄인 효과를 볼 수 없거나, 개폐부의 개폐 동작이 무거워지는 폐단이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7-92879호 공보에는 제1 문이 열린 상태일 때 장치를 동작 불능상태로 하는 스위치와, 제2 문이 열린 상태에는 제1 문이 닫히는 동작을 금지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문 개폐 스위치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 공개 2000-214645호 공보에는 링크 기구를 이용한 문 개폐 스위치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각 공보에 기재된 것은 어느 것이나 그 기구가 복잡하고, 각 문마다 스위치를 마련한 것에 비하여 간략화의 효과를 볼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개폐부에 개폐 순서를 정하지 않고, 또 개폐부의 개폐 조작성을 손상주지 않고 간단하고도 염가로 개폐부의 개폐를 검지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의 개폐부 스위치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 개폐 스위치 기구가 적용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V-V 방향을 따르는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문 개폐 스위치 기구의 정면도,
도 4b는 도 4a의 문 개폐 스위치 기구의 평면도,
도 4c는 도 4a의 문 개페 스위치 기구의 측면도.
도 5는 문 개방 방법이 상이한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4a의 문 개폐 스위치 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복사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복사기의 외관 사시도.
도 9a, 9b, 9c는 도 7의 복사기에서 개폐부 스위치 기구의 요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을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화상 형성 장치의 옵션 장치에 마련된 개폐부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6 우측 문(제1 개폐부)
120 앞 문(제2 개폐부)
131 아암(가동 부재)
134 캠(온/오프 부재)
135 문 개폐 스위치
300 프린터
350 후처리 장치(옵션 장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마련된 개폐부의 동작에 연동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소정 전원을 온/오프하는 개폐부 스위치 기구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에 마련된 제1 개폐부의 개폐에 의해 제1 방향으로 동작함과동시에, 화상 형성 장치에 마련된 제2 개폐부의 개폐에 의해 제2방향으로 동작하는 가동 부재와, 화상 형성 장치의 소정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와, 상기 가동 부재에 일체로 마련되어 가동 부재가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양방향으로 동작한 경우에만 상기 스위치를 온하는 온/오프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가동 부재가 정 역회전가능하게 동시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축 부재이고, 상기 제1 방향이 이 축 부재의 회전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이 이 축 부재의 축 방향인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제1 또는 제2 개폐부 중 적어도 한 쪽이 문으로서 구성되고,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한 쪽의 개폐부인 문의 회전 축을 겸하여 있으며, 이 문과 일체로 제1 또는 제2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마련된 개폐부의 동작에 연동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소정 전원을 온/오프하는 개폐부 스위치 기구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의 소정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를 구비하고, 이 스위치를 제1 개폐부 또는 제2 개폐부 중의 어느 한 쪽에 설치하여 지지함과 동시에, 이 스위치가 상기 제1 개폐부 및 제2 개폐부 양쪽이 다 닫힌 경우에만 다른 쪽 개폐부에 의해 온 되도록 배치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제1 개폐부 또는 제2 개폐부의 적어도 한 쪽이 슬라이드식 개폐부인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제1 개폐부 또는 제2 개폐부중 적어도 한 쪽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된 옵션 장치의 개폐부인 것을 제안한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개폐부 스위치 기구가 적용되는 화상 형성 장치(프린터)(100)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는 화상 담지체로서의 감광체(101)를 구비하고 있다. 감광체(101)의 주위에는 감광체(101)의 표면을 대전 처리하는(대전 롤러 등으로 전압을 가하여 감광체(101)를 대전하는)대전 장치(111)와, 원고 화상에 대응한 광 기록을 행하기 위하여 예컨대, 레이저 광(L)을 감광체(101)를 향해 조사하여 감광체(101)의 표면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노광부(112)와, 감광체(10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정전 잠상을 가시상화함으로써 감광체(101)상의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 장치(현상 롤러)(113)와, 감광체(101)상의 토너 화상을 전사재인 용지(P)에 전사하는 전사 장치(전사 바이어스 롤러)(102)와, 전사 처리 종료후에 감광체(101)를 다음의 복사 처리에 대비하여 클리닝하는(감광체(101)상에 잔류한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장치(클리닝 블레이드)(115)와, 감광체(101)상의 잔류 전위를 제거하는 방전 램프(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전사 바이어스 롤러(102)는 토너 화상을 담지하는 감광체(101)와 소정의 폭으로 접촉하는 전사 닙부를 형성하고, 그 닙부로 용지(P)를 인도하여 바이어스를 가함으로써 감광체(101)상의 토너 화상을 용지(P)상에 정전 전사시킨다. 또한, 전사 장치(102)를 제외한 감광체(101) 주위의구성 요소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유닛(이하, PCU라고 한다)(110)으로서 유닛화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의 아래쪽에는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는 용지 공급 트레이(127)를 구비하는 용지 공급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용지 공급 장치로부터 한 매씩 송출된 용지(P)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4)에 의해 전사 장치(102)를 향하여 소정의 타이밍으로 송출되고, 전사 장치(102)에 의해 감광체(101)측으로부터 토너 화상이 전사된 후, 정착 장치(103)에서 토너 화상이 정착된다. 정착 장치(103)는 히터가 내장된 정착 롤러와, 정착 롤러에 대향하여 압접되는 가압 롤러를 구비하고, 이들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P)의 토너 화상을 히터의 열에 의해 정착시킨다. 또한, 정착 장치(103)에 의해 토너 화상이 정착된 용지(P)는 용지 배출 이송 경로(104)를 통하여 용지 받이(116)상으로 배출된다.
도면에서 106은 장치의 케이싱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제1 개폐부로서의 우측 문이다. 이 우측 문(106)은 전사지 걸림의 회복 처리를 할 수 있도록 도면에서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우측 문(106)은 그 장치 내측에 누름 부재(107)와 전사 장치(전사 바이어스 롤러(102))를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도 1의 V-V선을 따르는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 좌측이 장치의 정면이고,우측이 장치의 뒷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의 정면에는 제2 개폐부로서의 앞 문(120)이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 앞 문(120)은 감광체(101)와 대전 장치(111)와 현상 장치(113)와 클리닝 장치(115)를 구비하는 PCU(110)를 수명이 끝났을 때, 또는 고장시에 교환할 수 있도록 도면에서 B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앞 문(120)은 그 장치 내측에 누름 부재(12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장치 내에는 본체 베이스(126)상에 앞 측판(122)과 뒤 측판(123)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측판(122, 123)에는 앞 브래킷(124) 및 뒤 브래킷(125)을 통하여 정착 장치(103)가 유지되어 있다.
도 3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외관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 문(120)은 아랫변을 축으로 하여 장치 외측으로 열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그 우측 하단부의 코너에 후술하는 누름 부재(121)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우측 문(106)은 아랫변을 축으로 하여 장치의 측면 쪽으로 열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그 좌측 하단부의 코너에 전술한 누름 부재(107)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앞 문(120)의 아랫변과 평행으로 후술하는 가동 부재로서의 아암(축 부재)(131)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 측판(122)(도 2참조)에는 2개의 클램프(clamp)(132)에 의해 가동 부재로서의 아암(축 부재)(131)이 유지되어 있다. 이 아암(131)은 그 우측 단부가 우측 문(106)의 누름 부재(107)와 대향하도록 위치됨과 동시에, 스프링(133)에 의해 축 방향(제1 방향) 및 회전 방향(제2 방향)으로 힘이 부여되어 있다. 또한, 아암(131)에는 아암(131)의 축 방향 및 회전 방향의 이동에 따라 그 위치를 변화시키는 소정 형상의 캠(온/오프 부재)(134)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아암(131)에는 앞 문(120)의 누름 부재(121)와 대향하는 위치에 리브(13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장치 본체 측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우측 문(106) 및 앞 문(120)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캠(134)과 대향하는 위치에 문 개폐 스위치(135)가 마련되어 있다. 이 문 개폐 스위치(135)는 그 레버가 눌러짐으로써 스위치 온(ON)으로 되어 화상 형성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즉, 문 개폐 스위치(135)는 화상 형성 장치의 소정 전원, 예컨대 기록계의 레이저 전원을 온/오프시킨다.
다음, 상기 구성의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우측 문(106)이 닫히면, 우측 문(106)의 누름 부재(107)에 의해 아암(131)의 우측 끝이 눌러진다. 이것에 의해 아암(131)은 스프링(133)에 의한 축 방향으로의 힘에 저항하여 도 4a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캠(134)이 도 4a에 나타낸 절선 위치로부터 실선 위치로 축방향으로 이동한다(도 4a의 화살표 C ). 이 상태로부터 계속하여 앞 문(120)이 닫히면, 앞 문(120)의 누름 부재(121)가 아암(131)의 리브(136)를 밀어 낸다. 이것에 의해 아암(131)은 스프링(133)에 의한 회전 방향으로의 힘에 저항하여 그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캠(134)이 도 4c에 나타낸 절선 위치로부터 실선 위치로 회전한다(도 4c의 화살표D). 따라서, 회전하는 캠(134)에 의해 문 개폐 스위치(135)의 레버가 눌러져 스위치가 온 된다. 즉, 화상 형성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물론, 먼저 앞 문(120)을 닫은 후 우측 문을 닫아도 동일한 결과로 된다. 즉, 앞 문(120)이 닫히면, 앞 문(120)의 누름 부재(121)가 아암(131)의 리브(136)를 밀어 내서 아암(131)과 함께 캠(134)이 도 4c에 나타낸 절선 위치로부터 실선 위치로 회전한다(도 4c의 화살표 D). 이 상태에서 우측 문(106)을 닫으면, 우측 문(106)의 누름 부재(107)에 의해 아암(131)의 우측 끝이 밀려 아암(131)과 함께 캠(134)이 도 4a에 나타낸 절선 위치로부터 실선 위치로 축방향으로 이동한다(도 4a의 화살표C). 그 결과,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캠(134)에 의해 문 개폐 스위치(135)의 레버가 눌러져 스위치가 온 된다. 즉, 화상 형성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한편, 우측 문(106) 및 앞 문(120)이 닫힌 상태로부터 예컨대 우측 문(106)을 열면, 누름 부재(107)에 의한 누름 힘이 해제되므로, 아암(131)은 스프링(133)에 의한 축 방향으로의 힘에 의해 도 4a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캠(134)이 실선 위치로부터 점선 위치로 축방향으로 이동한다(도 4a의 화살표 C). 이것에 의해 캠(134)이 문 개폐 스위치(135)로부터 떨어져 문 개폐 스위치(135)가 오프된다. 즉, 화상 형성 동작이 불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 상태로부터 계속하여 앞 문(120)을 열면, 누름 부재(121)에 의한 누름힘이 해제되므로, 아암(131)은 스프링(133)에 의한 회전 방향으로의 힘에 의해 회전하고, 캠(134)이 실선 위치로부터 절선 위치로 회전한다(도 4c의 화살표D).
물론, 먼저 앞 문(120)을 개방한 후 우측 문을 열어도 결과는 동일하다. 즉, 우측 문(106) 및 앞 문(120)이 닫힌 상태에서 앞 문(120)을 열면, 아암(131)과 함께 캠(134)이 문 개폐 스위치(135)로부터 떨어진다. 따라서 문 개폐 스위치(135)가 오프되어 화상 형성 동작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계속하여 우측 문(106)을 열면 누름 부재(107)에 의한 누름 힘이 해제되므로, 아암(131)은 스프링(133)에 의한 축방향으로의 힘에 의해 도 4a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캠(134)이 실선 위치로부터 절선 위치로 축방향으로 이동한다(도 4a의 화살표C). 이와 같이 하나의 문이 열리면 다른 문이 닫혀있어도 문 개폐 스위치(135)는 오프되어 화상 형성 동작이 불가능한 상태로 된다.
도 5는 문 개방 방법이 상이한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앞 문(120)을 축으로 하여 장치 바깥쪽으로 개방 가능하게 되어 있고, 우측 문(106)은 그 우측변(장치 안쪽의 변)을 축으로 하여 장치 측면 쪽으로 개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앞 문(120)에는 누름 부재(121)가 마련되고, 우측 문(106)에는 누름 부재(107)가 마련되어 있다.
우측 문(106)을 닫으면 누름 부재(107)가 아암(131)의 단면에 맞붙어 아암(131)을 축방향으로 밀고, 나아가 앞 문(120)을 닫으면 누름 부재(121)가 리브(136)에 맞붙어 아암(131)을 회전시킨다. 그 결과, 도 3의 예와 마찬가지로 캠(134)에 의해 문 개폐 스위치(135)의 레버가 눌려 스위치가 온 된다. 문을 닫는 순서가 반대인 경우도 문 개폐 스위치(135)가 온 된다. 물론 문을 개방한 경우의 순서도 도 3의 예와 동일 양태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우측 문(106)의 개폐에 의해 축방향으로 동작하고 동시에 앞 문(120)의 개폐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동작하는 아암(131)과, 화상 형성 장치의 소정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135)와, 아암(131)에 일체로 마련되고 동시에 아암(131)이 축방향 및 회전 방향의 양방향으로 동작한 경우에만 스위치(135)를 온시키는 캠(134)에 의해 개폐부 스위치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앞 문(120)의 개폐 상태에 관계없이 우측 문(106)의 개폐가 가능하고, 또 반대로 우측 문(106)의 개폐 상태에 관계없이 앞 문(120)의 개폐가 가능하다. 또 우측 문(106)은 아암(131)을 축방향으로 움직이고, 앞 문(120)은 아암(131)을 회전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각 문의 개폐는 다른 문의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한 동일 조작력으로 행해진다. 즉,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문에 개폐 순서를 정하지 않고, 또 문의 개폐 조작성을 손상주지 않고 문의 개폐 검지를 행할 수 있다. 또, 복잡한 링크 기구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구성이 간단하고, 따라서 비용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도 6은 앞 문(120)의 지지점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앞 문(120)은 앞 문(120) 자체가 구비하는 축받이(137)와 앞 측판(122)에 설치된 브래킷(138)의 구멍에 아암(131)을 통과시킴으로써 회전한다. 즉 아암(131)은 앞 문(120)의 회전축을 겸하고 있다. 이 경우, 앞 문(120)의 축받이(137)의 구멍 형상은 D형상을 이루고 있고, 또 아암(131)의 단면 형상도 D형상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아암(131)은 축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지만, 앞 문(120)에 대해 회전 방향으로 동작할 수는 없다. 즉, 아암(131)은 앞 문(120)의 회전(개폐) 동작에 따라 회전할 수 있을 뿐이다. 또, 그 이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 양태이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앞 문(120)의 회전 동작이 직접 아암(131)의 회전 동작으로 되기 때문에, 스프링(133)은 축 방향으로만 힘을 부여하면 되고, 또 리브(136)나 누름 부재(121)도 불필요하게 된다. 그 때문에, 더한층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변형예에 있어서, 축받이(137)의 구멍 형상 및 아암(131)의 단면 형상은 D형상에 한하지 않는다. 즉, 앞 문(120)과 아암(131)을 일체로 회전시키는 형상(앞문(120)에 대하여 아암(131)이 회전 방향으로 동작할 수 없는 형상)이면, 그 형상이 임의(예컨대, 타원형이나 장방형)의 형상이라도 좋다.
또, 각 문의 개방 방법은 도시한 예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도 3과 도 5의 예를 조합시킨 바와 같은 (아랫변을 축으로 하는 것과 사이드 변을 축으로 하는 것의 조합 등)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 가동 부재인 아암(131)을 배치하는 장소도 상기 실시형태에 한하지 않는다. 예컨대 도 3, 도 5의 예에서는 아암(131)을 앞 문(120)의 아랫변에 설치하였지만, 상측에(앞 문(120)의 윗변과 평행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또는 아암(131)을 우측 문(106)의 아랫변 또는 윗변부에 배치하여도 좋다. 물론, 이들 경우에는 가동 부재의 장소에 대응하여 각 문에 마련하는 누름 부재(107, 121)의 장소를 배치할 필요가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개폐부 스위치 기구가 적용되는 화상 형성 장치인 복사기(20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 도 8은 그 복사기(200)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사기(200)는 장치 본체의 거의 중앙부에 화상 형성부(210)를 배치하고, 장치 하부에 용지 공급부(220), 장치 상부에 노광부(230)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장치 본체의 윗면에는 자동 원고 공급 장치(ADF)(240)가 장착되어 있다.
화상 형성부(210)에 있어서는 감광체 드럼(211)을 중심으로 하여 그 주위에는 전자사진 프로세스에 필요한 각종 기기가 배치되어 있다. 감광체 드럼(211)의 아래쪽에는 전사 이송 벨트(212)가 마련되어 있다. 또 감광체 드럼(211)의 좌측에는 정착 장치(213)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용지 공급부(220)에는 용지 공급 트레이(221) 및 용지 공급 카세트(222)가 배치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사기(200)의 정면에는 제1 개폐부인 앞 문(201)이 마련되어 있다. 앞 문(201)은 화상 형성부(210)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고, 감광체 드럼(211)으로부터 정착 장치(213)의 부분에서 발생한 용지 걸림, 또는 현상 장치로의 토너 교환 등은 앞 문(201)을 개방하여 처리한다. 이 앞문(201)은 그 우측변(우측 단부의 상하 변)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복사기(200)의 우측 측면에는 제2 개폐부인 우측 문(202)이 마련되어 있다. 우측 문(202)은 용지 공급부(220)의 용지 이송 경로에 대응하여 마련되고, 용지 공급부(220)로부터 감광체 드럼(211)까지의 부분에서 발생한 용지 걸림은 우측 문(202)을 개방하여 처리한다. 이 우측 문(202)은 그 안쪽 변(장치 안쪽의 상하 변)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도 9a, 9b, 9c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개폐부 스위치 기구의 요부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도 9a는 앞 문(201) 및 우측 문(202)이 동시에 닫힌 상태를, 9b는 앞 문(201)이 닫히고 우측 문(202)이 열린 상태를, 9c는 앞 문(201)이 열리고 우측 문(202)이 닫힌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9a~9c 중에서 앞 문(201)의 우측 단부에 있는 원형 표시 (203)는 앞 문(201)의 회전축이다.
도 9a~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 문(201)의 우측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인 문 내면으로부터 장치 내측으로 돌출하여 리브(204)가 마련되어 있다. 이 리브(204)의 우측 측면에 문 개폐 스위치(205)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우측 문(202)의 앞측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인 문 내면으로부터 장치 내측으로 돌출하여 누름 부재(206)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문 개폐 스위치(205)는 단자 봉(端子棒)(205a)과 레버(205b)를 구비하고 있다. 레버(205b)는 단자 봉(205a)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힘이 부여되어 있고, 외력에 의해 레버(205b)가 눌리지 않는 상태로 스위치(205)를 오프 상태로 유지한다. 이 레버(205b)가 눌리어 단자 봉(205a)을 스위치 내에 밀어넣으면, 스위치(205)가 온 된다.
그런데, 앞 문(201)에 지지되는 문 개폐 스위치(205)와 우측 문(202)의 누름 부재(206)의 위치 관계는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쪽의 문(201, 202)이 닫힌 경우에 우측 문(202)의 누름 부재(206)가 문 개폐 스위치(205)의 레버(205b)를 눌러 문 개폐 스위치(205)가 온 됨과 동시에 도 9b 및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 문(202) 또는 앞 문(201) 중 어느 하나라도 열려 있는 상태에서는 누름 부재(206)가 레버(205b)로부터 이탈되어 문 개폐 스위치(205)가 오프되는 위치 관계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우측 문(202) 또는 앞 문(201) 중 어느 하나라도 열려 있으면 문 개폐 스위치(205)가 오프되고(물론, 우측 문(202) 및 앞 문(201) 모두 열린 상태일 때도 누름 부재(206)가 레버(205b)로부터 이탈하여 문 개폐 스위치(205)가 오프됨), 우측 문(202) 및 앞 문(201)이 모두 닫힌 경우에 문 개폐 스위치(205)가 온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두 문의 개폐 순서에 관계없이 또, 복잡한 링크 기구 등을 이용하지 않고 하나의 검지 수단(문 개폐 스위치(205))으로 두 개폐부(앞 문(201), 우측 문(202))의 개폐를 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문 개폐 스위치(205)가 오프되어 있을 때에는 복사기(200)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 동작은 금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아암(131)과 같은 두 방향으로 동작하는 가동 부재가 불필요하여 더욱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므로 고장이나 오류 동작(오류 검지)도 적어진다.
또한, 문 개폐 스위치(205)를 우측 문(202)에 설치하여 마련하고, 앞 문(201)에 스위치(205)의 레버에 맞붙는 누름 부재를 마련하여도 좋다. 또, 누름 부재에 의거하지 않고 문 단부 등이 직접 스위치(205)의 레버에 맞붙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나아가서는 두 문의 개방 방법도 문의 아랫변을 축으로 하여 개폐하는 등, 본 실시형태와 상이한 문의 개방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 검지 수단인 스위치의 구성도 본 실시형태에 한하지 않고 임의의 구성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인 프린터(300)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터(300)의 정면에는 제1 개폐부인 앞 문(301)이 마련되어 있다. 앞 문(301)은 문의 아랫변을 축으로 하여 장치 앞측으로 개방할 수 있다. 그 앞 문(301)의 상단부 근처에 누름 부재(302a, 302b)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프린터 장치 본체 내에서의 용지 걸림은 앞 문(301)을 열어서 처리한다. 또, 프린터(300)의 우측면에는 제2 개폐부인 우측 문(303)이 마련되어 있다. 우측 문(303)은 장치 우측 외측으로 미끄럼 이동시켜서 열 수 있고, 장치내에 밀어넣어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현상 장치의 토너 병(도시하지 않음)의 교환은 이 우측 문(303)을 열고 수행한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300)에 있어서는 앞 문(301)과 우측 문(303)의 개폐를 검지하는 개폐부 스위치 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그 개폐부 스위치 기구는 도 4a~4c에 나타낸 상기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 구성이고, 가동 부재인 아암(131)이 앞 문(301)의 윗변부 근처의 본체내에 배치되어 있다.
즉, 아암(131)은 우측 문(303)이 닫힘으로써 도 4a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우측 문(303)이 열림으로써 도 4a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앞 문(301)을 닫으면 누름 부재(302a)가 아암(131)에 돌출되게 설치된 리브(136)(도 4 a참조)를 밀어서 아암(131)을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앞 문(301) 및 우측 문(303) 모두 닫힌 상태에서 캠(134)(도 4c 참조)이 스위치(135)를 온시킨다. 그리고, 앞 문(301) 또는 우측 문(303)중 어느 하나라도 열린 경우에는(물론, 두 문이 다 열린 경우에도), 캠(134)이 스위치(135)로부터 이탈하여 스위치를 오프시킨다.
따라서, 앞 문(301)의 개폐 상태에 관계없이 우측 문(303)의 개폐가 가능하고, 또 반대로 우측 문(303)의 개폐 상태에 관계없이 앞 문(301)의 개폐가 가능하다. 또, 각 문의 개폐는 다른 문의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한 동일 조작력으로 행해진다. 즉,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문에 개폐 순서를 정하지 않고, 또 문의 개폐 조작성을 손상 주지 않고 문의 개폐 검지를 행할 수 있다. 또, 복잡한 링크 기구를이용하지 않고 있으므로 구성이 간단하고, 따라서 비용을 저렴하게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300)에 있어서는 정착 장치(305)를 탑재하는 유닛(304)이 장치 본체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유닛(304)은 개폐부를 구성하고, 유닛(304)을 장치 본체로부터 꺼냄으로써 개폐부가 열리고, 유닛(304)을 장치 본체에 밀어 넣음으로써 개폐부가 닫힌다. 그리고, 앞 문(301)과 유닛(304)에 대해서도 개폐부 스위치 기구를 마련할 수 있다. 이 경우, 앞 문(301)이 제1 개폐부이고, 유닛(304)이 제2 개폐부로 된다. 이 경우의 개폐부 스위치 기구는 도 4a~4c에 나타내는 상기 실시형태의 것과 마찬가지 구성이지만, 좌우 대칭의 관계로 되어 있는 것을 앞 문(301)의 윗변부 근처의 본체내 좌측에 배치하면 좋다.
즉, 유닛(304)이 본체내에 밀어 넣어져 개폐부가 닫힘으로써 가동 부재인 아암(131)은 우측 방향(장치의 내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유닛(304)이 본체로부터 꺼내져 개폐부가 열림으로써 아암(131)은 역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앞 문(301) 및 유닛(304) 모두 닫힌 상태에서 스위치(135)가 온되고, 앞 문(301) 또는 유닛(304) 중 어느 하나라도 개방되었을 때에는(물론, 둘 다 개방된 경우도), 스위치(135)가 오프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회전 지지점을 구비하는 문 뿐만 아니라 슬라이드식 문이나 유닛 등의 개폐부에 대해서도 스위치 기구를 마련함으로써 문 또는 유닛 등의 개폐 검지를 행할 수 있다. 그 경우, 개폐 순서를 정하지 않고, 또 개폐조작성을 손상주지도 않는다.
다음,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옵션 장치를 장착한 화상 형성 장치의 개폐부 스위치 기구에 적용한 것이다.
도 11에 나타낸 본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프린터(300)에 옵션 장치인 후처리 장치(350)가 장착되어 있다. 후처리 장치(350)로 후처리를 행하는 경우, 프린터(300)의 본체로부터 배출된 용지는 프린터(300)의 측면에 설치된 양면 반전 유닛(310)을 통과하여 후처리 장치(350)로 이송된다. 후처리 장치(350)에서는 복수부의 인쇄물을 페이지 정리하거나 스태플 처리한다.
이 후처리 장치(350)는 레일(351)에 의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통상 동작시에는 프린터(300)의 본체 측면에(양면 반전 유닛(310)을 끼우고) 장착되어 있다. 양면 반전 유닛(310)으로부터 후처리 장치(350)사이의 부분에서 용지 걸림이 발생한 경우에는, 후처리 장치(350)를 레일(351)에 따라서 미끄럼 이동시켜 후처리 장치(350)를 프린터 본체 및 양면 반전 유닛(310)으로부터 이탈시킨 상태에서 용지 걸림 처리를 행한다. 또한, 도 11은 후처리 장치(350)를 프린터 및 양면 반전 유닛(310)으로부터 이탈시킨 용지 걸림 처리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프린터(300)의 앞 문(301)이 제1 개폐부이고, 양면 반전 유닛(310)으로부터 후처리 장치(350) 사이의 부분에서 발생한 용지 걸림을 처리하기 위하여 프린터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한 후처리 장치(350)가 제2 개폐부이다. 그리고, 이 제1 개폐부(앞 문(301))와 제2 개폐부(후처리 장치(350))의 사이에개폐부 스위치 기구를 마련하고 있다. 그 개폐부 스위치 기구는 도 4a~4c에 나타낸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 양태의 구성이지만, 좌우 대칭의 관계로 되어 있다.
즉,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 문(301)의 아랫변부 좌측 단부에 대응하는 프린터 본체내에 가동 부재인 아암(131)이 배치되어 있다. 이 아암(131)에는 도 4a과 마찬가지로 스프링(133), 캠(134), 리브(136) 등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아암(131)의 좌측 단면에 맞붙을 수 있도록 후처리 장치(350)의 우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누름 부재(352)가 마련되어 있다. 후처리 장치(350)를 프린터 본체에 장착하면, 누름 부재(352)가 아암(131)을 도면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후처리 장치(350)를 프린터 본체로부터 이탈시키면, 누름 부재(352)에 의한 누름이 해제되어 아암(131)은 도면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앞 문(301)을 닫으면 누름 부재(302b)(도 10 참조)가 아암(131)에 돌출되게 설치된 리브(136)(도 4a 참조)를 눌러 아암(131)을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앞 문(301) 및 후처리 장치(350)가 모두 닫힌 상태에서 스위치(135)(도 4c 참조)가 온되고, 앞 문(301) 또는 후처리 장치(350)중 어느 하나가 열린 경우에는(물론 둘 다 열린 경우에도), 스위치(135)가 오프된다. 스위치(135)가 오프된 경우에는 후처리 장치(350)를 포함하는 프린터(300)의 동작이 금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개폐부와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된 옵션 장치에 의한 개폐부와의 사이에 스위치 기구를 마련함으로써 본체 개폐부의 개폐와 옵션 장치에 의한 개폐부의 개폐(옵션 장치의 착탈)를 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개폐 순서를 정하지 않고, 또 개폐 조작성을 손상주지도 않는다.
도 12는 옵션 장치에 마련된 개폐부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처리 장치(350)의 앞면에는 그 좌측변(좌측의 상하변)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는 앞 문(353)이 마련되어 있다. 후처리 장치(350)내에서 발생한 용지 걸림의 처리 또는 스태플용 침의 보급 등은 앞 문(353)을 열어서 행할 수 있다. 또, 도 1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후처리 장치(350)는 레일(351)에 의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12의 예에서는 후처리 장치(350)의 앞 문(353)이 제1 개폐부이고, 프린터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한 후처리 장치(350)가 제2 개폐부이다. 그리고, 이 제1 개폐부(앞 문(353))와 제2 개폐부(후처리 장치(350)) 사이에 개폐부 스위치 기구를 마련하고 있다. 그 개폐부 스위치 기구는 도 4a~4c에 나타낸 상기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 양태의 구성이다.
즉,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 문(353)을 개방한 후처리 장치 내부의 윗변부 우측 단부 근처에 가동 부재인 아암(131)이 배치되어 있다. 이 아암(131)에는 도 4a와 마찬가지로, 스프링(133), 캠(134), 리브(136) 등이 마련되고, 리브(136)에 대응하는 누름 부재가 앞 문(353)에 마련되어 있다(도시하지 않음). 또, 양면 반전 유닛(310)의 측면에는 아암(131)에 대응하는 위치에 누름 부재(311)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후처리 장치(350)를 양면 반전 유닛(310)을 끼우고 프린터(300)의 본체 측면에 눌러서 세트하면, 누름 부재(311)가 아암(131)을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 후처리 장치(350)의 앞 문(353)을 닫음으로써 도시하지 않은 누름 부재가아암(131)의 리브(136)(도 4a 참조)에 맞붙어 아암(131)을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캠(134)이 스위치(135)(도 4 참조)에 맞붙어 스위치를 온 시키고, 앞 문(353) 의 폐쇄 및 후처리 장치(350)의 가동 위치로의 세트를 검지하는데, 앞 문(353)의 폐쇄와 후처리 장치(350)의 세트 순서에 관계없이 검지가 행해진다.
또, 후처리 장치(350)가 프린터(300)(및 양면 반전 유닛(310))로부터 이탈되면, 누름 부재(311)에 의한 눌림이 해제되므로 아암(131)은 스프링(133)(도 4 a참조)의 힘에 의해 도면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캠(134)이 스위치(135)로부터 이탈하여 스위치(135)가 오프된다. 또는, 후처리 장치(350)의 앞 문(353)이 개방되면, 도시하지 않은 누름 부재가 리브(136)(도 4 a참조)로부터 이탈하고, 아암(131)은 스프링(133)의 힘에 의해 회전하며, 역시 캠(134)이 스위치(135)로부터 이탈함으로써 스위치(135)가 오프된다. 즉, 후처리 장치(350)가 프린터(300)에 세트되고, 또한 앞 문(353)이 닫힌 상태에서만 문 개폐 스위치가 온되어 화상 형성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후처리 장치(350)의 앞 문(353)이 열린 상태, 또는 후처리 장치(350)가 프린터(300)로부터 이탈된 상태(물론, 그 양쪽 상태의 경우에도)에서는 문 개폐 스위치가 오프되어 화상 형성 동작은 불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도 12에 나타낸 옵션 장치에 있어서도 문 또는 옵션 장치의 착탈 등, 개폐부의 개폐를 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개폐 순서를 정하지 않고, 또 개폐 조작성을 손상주지도 않는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 및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제1 개폐부의 개폐 상태에 관계없이 제2 개폐부의 개폐가 가능하고, 또 반대로 제2 개폐부의 개폐 상태에 관계없이 제1 개폐부의 개폐가 가능하다. 또한 각 개폐부의 개폐는 다른 개폐부의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한 동일 조작력으로 행할 수 있다. 즉, 개폐부에 개폐 순서를 정하지 않고, 또 개폐부의 개폐 조작성을 손상주지 않고 개폐부의 개폐 검지를 행할 수 있다. 또 복잡한 링크 기구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하고, 따라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의 구성에 의해, 가동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축 부재이고, 제1 방향이 이 축부재의 회전 방향이고, 제2 방향이 이 축부재의 축 방향이므로, 제1 과 제2의 양방향으로 동작한 경우에만 스위치를 온 시키는 가동 부재를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3, 4의 구성에 의해, 문의 개폐 동작이 직접 가동 부재의 제1 또는 제2의 방향으로의 동작으로 되기 때문에, 문의 개폐에 따라 가동 부재를 제1 또는 제2의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구성 부품을 절약할 수 있고, 그 만큼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6, 7의 구성에 의해, 제1 개폐부 또는 제2 개폐부 중 적어도 하나가 슬라이드식 개폐부이므로, 슬라이드식의 개폐부에 있어서도 개폐 검지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정착 유닛이나 토너 병 유닛 등의 각종 유닛의 개폐 검지를 행할 수 있다.
청구항 8, 9, 10의 구성에 의해, 제1 개폐부 또는 제2 개폐부 중 적어도 하나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된 옵션 장치의 개폐부이므로, 옵션 장치에 마련된 개폐부의 개폐 검지나, 옵션 장치 자체의 개폐(착탈)를 검지할 수 있다.
Claims (10)
- 화상 형성 장치에 마련된 개폐부의 동작에 연동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소정 전원을 온/오프하는 개폐 스위치 기구에 있어서,화상 형성 장치에 마련된 제1 개폐부의 개폐에 의해 제1 방향으로 동작함과 동시에, 화상 형성 장치에 마련된 제2개폐부의 개폐에 의해 제2방향으로 동작하는 가동 부재와,화상 형성 장치의 소정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와,상기 가동 부재에 일체로 마련되고, 가동 부재가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양방향으로 동작한 경우에만 상기 스위치를 온하는 온/오프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개폐부 스위치 기구.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가동 부재가 정 역회전 가능하게 동시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축 부재이고, 상기 제1 방향이 이 축 부재의 회전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이 이 축 부재의 축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개폐부 스위치 기구.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또는 제2 개폐부 중 적어도 하나가 문으로서 구성되고,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폐부인 문의 회전 축을 겸하고 있으며, 이 문과 일체로 제1 또는 제2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개폐부 스위치 기구.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1 또는 제2 개폐부 중 적어도 하나가 문으로서 구성되고,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폐부인 문의 회전 축을 겸하고 있으며, 이 문과 일체로 제1 또는 제2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개폐부 스위치 기구.
- 화상 형성 장치에 마련된 개폐부의 동작에 연동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소정 전원을 온/오프하는 개폐부 스위치 기구에 있어서,화상 형성 장치의 소정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를 구비하고,이 스위치를 제1 개폐부 또는 제2 개폐부 중의 어느 한 쪽에 설치하여 지지함과 동시에, 이 스위치가 상기 제1 개폐부 및 제2 개폐부가 모두 닫힌 경우에만 다른 쪽 개폐부에 의해 온 되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개폐부 스위치 기구.
-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1 개폐부 또는 제2 개폐부중 적어도 한 쪽이 슬라이드식 개폐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개폐부 스위치 기구.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제1 개폐부 또는 제2 개폐부중 적어도 한 쪽이 슬라이드식 개폐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개폐부 스위치 기구.
-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1 개폐부 또는 제2 개폐부 중 적어도 한 쪽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된 옵션 장치의 개폐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개폐부 스위치 기구.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제1 개폐부 또는 제2 개폐부 중 적어도 한 쪽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된 옵션 장치의 개폐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개폐부 스위치 기구.
-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상기 제1 개폐부 또는 제2 개폐부 중 적어도 한 쪽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된 옵션 장치의 개폐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개폐부 스위치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0310035 | 2000-10-11 | ||
JPJP-P-2000-00310035 | 2000-10-11 | ||
JP2001270236A JP2002187324A (ja) | 2000-10-11 | 2001-09-06 | 画像形成装置の開閉部スイッチ機構 |
JPJP-P-2001-00270236 | 2001-09-0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28811A KR20020028811A (ko) | 2002-04-17 |
KR100431540B1 true KR100431540B1 (ko) | 2004-05-17 |
Family
ID=26601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62098A KR100431540B1 (ko) | 2000-10-11 | 2001-10-09 | 화상 형성 장치의 개폐부 스위치 기구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6647223B2 (ko) |
EP (2) | EP1650776B1 (ko) |
JP (1) | JP2002187324A (ko) |
KR (1) | KR100431540B1 (ko) |
CN (1) | CN1248068C (ko) |
DE (2) | DE60120589T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796736B1 (en) * | 1998-04-14 | 2004-09-28 | Sharp Kabushiki Kaisha | Image forming device having front and side covers |
KR100382657B1 (ko) * | 2001-09-27 | 2003-05-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다기능커버를 구비한 복합기 |
JP4261827B2 (ja) * | 2002-06-18 | 2009-04-30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KR100449736B1 (ko) * | 2002-08-24 | 2004-09-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프린터 전원차단장치 |
US7029006B2 (en) * | 2002-08-29 | 2006-04-18 | Canon Kabushiki Kaisha |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KR100564958B1 (ko) | 2002-09-12 | 2006-03-30 |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 컬러 화상 형성 장치 |
JP4076427B2 (ja) * | 2002-10-30 | 2008-04-16 | 株式会社リコー | 画像形成装置 |
JP4012061B2 (ja) * | 2002-12-26 | 2007-11-21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
KR20040074335A (ko) * | 2003-02-17 | 2004-08-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커버 열림 검지장치 |
JP3870919B2 (ja) * | 2003-03-20 | 2007-01-24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US7016629B2 (en) * | 2003-04-17 | 2006-03-21 | Ricoh Company, Ltd. |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discharging unit of increased capacity |
JP2004340999A (ja) * | 2003-05-13 | 2004-12-02 | Sharp Corp | 開閉機構,画像形成装置 |
EP1482385A3 (en) * | 2003-05-20 | 2005-04-06 | Ricoh Company, Ltd. | Image forming apparatus |
JP2005015203A (ja) * | 2003-06-27 | 2005-01-20 | Brother Ind Ltd | 画像形成装置 |
KR100547129B1 (ko) * | 2003-07-04 | 2006-01-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
JP4444719B2 (ja) * | 2003-07-07 | 2010-03-31 | 株式会社リコー | 画像形成装置 |
JP2005099415A (ja) * | 2003-09-25 | 2005-04-14 | Murata Mach Ltd | 画像形成装置 |
JP4185843B2 (ja) * | 2003-10-16 | 2008-11-26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シート処理システム |
JP2006003551A (ja) | 2004-06-16 | 2006-01-05 | Funai Electric Co Ltd | レーザプリンタ装置 |
US7302209B2 (en) * | 2004-06-30 | 2007-11-27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forming apparatus facilitating removal of recording material from opening/closing portion |
JP4521759B2 (ja) * | 2004-11-26 | 2010-08-11 | 株式会社リコー | 排気装置及びその排気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
KR100644658B1 (ko) * | 2004-12-07 | 2006-11-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 |
JP4877861B2 (ja) * | 2005-09-30 | 2012-02-15 | 株式会社沖データ | 画像形成装置 |
JP4744353B2 (ja) * | 2005-09-30 | 2011-08-10 | 株式会社沖データ | 画像形成装置 |
KR100813965B1 (ko) | 2005-11-04 | 2008-03-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의 덮개 열림 감지방법 및 장치,화상형성장치의 덮개 열림에 따른 전원 공급 제어방법 및장치 |
JP4730176B2 (ja) * | 2006-04-04 | 2011-07-20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4908917B2 (ja) * | 2006-05-15 | 2012-04-04 | キヤノン株式会社 | 扉開閉検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KR101225080B1 (ko) * | 2006-07-20 | 2013-01-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
JP5239211B2 (ja) * | 2006-07-31 | 2013-07-17 | 株式会社リコー | 画像形成装置 |
US7903997B2 (en) * | 2006-12-06 | 2011-03-0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upl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
JP5144939B2 (ja) * | 2007-02-07 | 2013-02-13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US7751751B2 (en) * | 2007-07-19 | 2010-07-06 | Ricoh Company, Ltd.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amper |
US8059987B2 (en) * | 2007-09-10 | 2011-11-15 | Kabushiki Kaisha Toshiba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adjusting cover position of image forming apparatus |
JP5187076B2 (ja) * | 2008-08-27 | 2013-04-24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装置の開口部の開閉判定 |
JP5256987B2 (ja) * | 2008-10-15 | 2013-08-07 | 株式会社リコー | 画像形成装置 |
JP4968356B2 (ja) * | 2010-03-31 | 2012-07-04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記録装置 |
JP5353796B2 (ja) * | 2010-03-31 | 2013-11-27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5510895B2 (ja) | 2010-05-14 | 2014-06-04 | 株式会社リコー | 機器用電源スイッチの配置構造、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
JP2012068492A (ja) * | 2010-09-24 | 2012-04-05 | Fuji Xerox Co Ltd | 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US8862029B2 (en) | 2011-04-14 | 2014-10-14 |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 Image forming apparatus |
US8594532B2 (en) * | 2011-06-30 | 2013-11-26 | Lexmark International, Inc. | Door dampening device and system |
JP5857657B2 (ja) * | 2011-11-16 | 2016-02-10 | 株式会社リコー | 着脱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JP5967424B2 (ja) * | 2012-06-15 | 2016-08-10 | 株式会社リコー | 画像形成装置 |
JP6004783B2 (ja) * | 2012-06-28 | 2016-10-12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JP6141128B2 (ja) * | 2013-07-11 | 2017-06-07 |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 シート束綴じ処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システム |
JP6043712B2 (ja) * | 2013-12-26 | 2016-12-14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6233096B2 (ja) * | 2014-02-28 | 2017-11-22 | 株式会社リコー | インターロック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
JP6314029B2 (ja) * | 2014-04-25 | 2018-04-18 | 株式会社東芝 | 画像形成装置 |
US10241464B2 (en) * | 2016-06-28 | 2019-03-26 | Fuji Xerox Co., Ltd. |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wo opening and closing portions |
JP6631497B2 (ja) * | 2016-12-26 | 2020-01-15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6993889B2 (ja) * | 2018-01-26 | 2022-01-14 | シャープ株式会社 | 検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7232145B2 (ja) * | 2019-07-19 | 2023-03-02 | シャープ株式会社 | 原稿送り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JP2021018373A (ja) * | 2019-07-23 | 2021-02-15 | 株式会社リコー | 開閉検出装置の保持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
JP2023056150A (ja) * | 2021-10-07 | 2023-04-19 | シャープ株式会社 | 開閉検出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49846C (de) * | H. C. KRÖPLIN in Bützow | Verstellbarer Thürkontakt | ||
US3692401A (en) * | 1969-08-01 | 1972-09-19 | Minolta Camera Kk | Safety system in electrostatic copier |
US4165168A (en) * | 1977-12-23 | 1979-08-21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Electrophotographic document copier machine with modular paper path assembly |
US4671644A (en) * | 1984-10-30 | 1987-06-09 | Mita Industrial Co., Ltd. | Electrostatic copying apparatus with openable housing |
JPH0792879A (ja) * | 1993-09-20 | 1995-04-07 | Canon Inc |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ドアスイッチ機構 |
JPH11296048A (ja) * | 1998-04-14 | 1999-10-29 | Sharp Corp | 画像形成装置 |
JP3450707B2 (ja) * | 1998-05-18 | 2003-09-29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2000214645A (ja) | 1999-01-20 | 2000-08-04 | Ricoh Co Ltd | 画像形成装置のインタロックスイッチ装置 |
JP2001125331A (ja) * | 1999-10-29 | 2001-05-11 | Toshiba Tec Corp | 画像形成装置 |
JP3503114B2 (ja) * | 1999-11-26 | 2004-03-02 | 京セラ株式会社 | インターロック機構 |
-
2001
- 2001-09-06 JP JP2001270236A patent/JP2002187324A/ja active Pending
- 2001-10-09 KR KR10-2001-0062098A patent/KR10043154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10-09 CN CNB011353740A patent/CN1248068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10-11 DE DE60120589T patent/DE60120589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1-10-11 US US09/973,692 patent/US6647223B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1-10-11 DE DE60129262T patent/DE60129262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1-10-11 EP EP06001298A patent/EP1650776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1-10-11 EP EP01308735A patent/EP1197978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60129262T2 (de) | 2008-03-06 |
EP1650776A1 (en) | 2006-04-26 |
EP1650776B1 (en) | 2007-07-04 |
CN1248068C (zh) | 2006-03-29 |
US6647223B2 (en) | 2003-11-11 |
DE60129262D1 (de) | 2007-08-16 |
JP2002187324A (ja) | 2002-07-02 |
EP1197978A2 (en) | 2002-04-17 |
EP1197978B1 (en) | 2006-06-14 |
CN1347019A (zh) | 2002-05-01 |
US20020041775A1 (en) | 2002-04-11 |
DE60120589D1 (de) | 2006-07-27 |
KR20020028811A (ko) | 2002-04-17 |
DE60120589T2 (de) | 2007-06-06 |
EP1197978A3 (en) | 2004-01-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31540B1 (ko) | 화상 형성 장치의 개폐부 스위치 기구 | |
US6993268B2 (en) | Sheet feed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5303400B2 (ja) | 画像形成装置 | |
US6125251A (en) | Image forming device having internal access capability | |
JP3710375B2 (ja) | 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に使用する交換ユニット | |
US6650862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heet separator and sheet separator for use in image forming apparatus | |
JP6659146B2 (ja) | 画像形成装置 | |
EP1925988A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belt transfer unit | |
US9217986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WO2004092846A1 (ja) | 開閉部材のロック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 |
JPH0792879A (ja) |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ドアスイッチ機構 | |
JP4908917B2 (ja) | 扉開閉検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H11126009A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07225799A (ja) | 定着装置 | |
US20180017932A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heet conveyance apparatus | |
JP7494024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02162799A (ja) | 画像形成装置 | |
JP4886303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05070309A (ja) | 画像形成装置 | |
JP4417617B2 (ja) | インタロックスイッチ機構・画像形成装置 | |
JP5459544B2 (ja) | シート類搬送装置、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 |
JP2008191290A (ja) | 画像形成装置 | |
JPH11305512A (ja) | 画像形成装置 | |
JP3157685B2 (ja) | 開閉検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09115991A (ja) | 画像形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