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1560B1 - 반도체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1560B1
KR100391560B1 KR10-2001-0025564A KR20010025564A KR100391560B1 KR 100391560 B1 KR100391560 B1 KR 100391560B1 KR 20010025564 A KR20010025564 A KR 20010025564A KR 100391560 B1 KR100391560 B1 KR 100391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ype
semiconductor substrate
electrod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5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6231A (ko
Inventor
다나카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10106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5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0Bipolar devices
    • H01L29/72Transistor-type devices, i.e. able to continuously respond to applied control signals
    • H01L29/73Bipolar junction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3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in the bulk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8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083Anode or cathode regions of thyristors or gated bipolar-mod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1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1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 H01L29/167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further characterised by the dop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5Ohmic electrodes
    • H01L29/456Ohmic electrodes on silicon

Abstract

본 발명은, 접촉저항의 저감과 캐리어 주입효율의 저감을 도모한다.
n형 반도체기판(1)내에는 p형 불순물층(2)이 형성된다. p형 불순물층(2)의 불순물농도는 낮고 또한 그 깊이는 1.0㎛ 이하로 충분히 얕기 때문에, 캐리어 주입효율이 저감된다. p형 불순물층(2)내에는, 접촉저항을 낮추기 위한 고농도의 p형 접촉층(4)이 형성된다. p형 접촉층(4)의 깊이는 0.2㎛ 이하로 충분히 낮기 때문에, 캐리어 주입효율에 영향을 주는 일이 없다. 또, p형 접촉층(4)과 전극(3)의 사이에는, p형 접촉층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위치까지 도달하는 실리사이드층(5)이 형성된다. 이 실리사이드층(5)에 의해 더 한층의 접촉저항의 저하를 실현한다.

Description

반도체장치 {A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극접촉부에 사용된다.
종래, 반도체장치의 전극접촉부는 반도체층내에 형성되는 불순물층과 이 불순물층에 접촉(contact)하는 전극(예컨대,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불순물층은 저비용 등의 목적에서 이온주입에 의해 형성되는 일이 많다.
그런데, 전극접촉부에 있어서는, 전극과 불순물층의 접촉저항을 낮추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접촉저항을 낮추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는 불순물층의 불순물농도를 높게 하면 좋다.
그러나, 이온주입에 의해 불순물층을 형성하는 경우, 불순물층의 농도프로파일은 피크(peak)를 갖는 곡선으로 된다. 그리고, 이 피크는 반도체층의 내부에 위치하고, 반도체층의 표면농도는 피크농도보다도 낮은 값으로 된다. 특히, 종형 전력장치(power device), 예컨대 IGBT에 있어서는, 반도체층의 일면 측에 MOS구조를 형성한 후에, 반도체층의 타면 측에 불순물층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반도체층의 타면 측의 불순물층에 관해서는, 고온, 장시간의 어닐(anneal: 열처리)을 행할 수 없고, 결과로서 불순물층의 피크농도와 표면농도의 차이가 커져서 충분히 접촉저항을 낮출 수 없다.
또, 예컨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IGBT에 있어서는, 전극접촉부에서의 접촉저항을 낮춤과 더불어, 턴오프(turn-off)를 고속으로 행하기 위해 턴오프시에 불순물층(p+형 에미터층; 2)으로부터 n형 베이스층(1)으로의 캐리어주입을 빨리 저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전극접촉부(불순물층(2)과 애노드전극(3)의 접촉부)의 접촉저항을 낮추기 위해서는, 불순물층(2)의 불순물농도를 높이지 않으면 안된다. 한편, 턴오프를 고속으로 하기 위해서는, 불순물층(2)의 불순물농도를 낮추면서 불순물층(2)의 깊이를 얕게 하여 불순물층(2)으로부터 n형 베이스층(1)으로의 캐리어 주입효율을 저하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즉, 전극접촉부의 불순물층(2)의 불순물농도에 관해서는, 접촉저항의 저감과 턴오프의 고속화(캐리어 주입효율의 저감)는, 트레이드오프(trade-off)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양 목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첫 번째로 이온주입에 의해 불순물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접촉저항을 충분히 낮출 수 있는 전극접촉부를 제공하는 것, 둘째로 IGBT에 있어서는 접촉저항의 저감과 캐리어 주입효율의 저감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전극접촉부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전제로 되는 IGBT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IGBT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IGBT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전제로 되는 IGBT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인 IGBT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인 IGBT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전제로 되는 IGBT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인 IGBT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인 IGBT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IGBT의 특성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전제로 되는 IGBT를 나타낸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 n형 반도체기판(n형 베이스층),
2 --- p형 불순물층(p형 에미터층),
3 --- 전극(콜렉터전극), 4 --- p형 접촉층,
5 --- 실리사이드층, 6, 9 --- 절연층,
7 --- p형 베이스층, 8 --- n형 에미터층,
10 --- 게이트전극, 11 --- 에미터전극,
12 --- n형 접촉층(n형 베이스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반도체장치는, 제1도전형의 반도체기판과, 상기 반도체기판의 일면 측에 형성되고 상기 반도체기판의 표면으로부터 1.0㎛ 이하의 두께를 갖는 제2도전형의 불순물층, 상기 불순물층내에 형성되고 상기 반도체기판의 표면으로부터 0.2㎛ 이하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불순물층의 두께보다도 얇고 상기 불순물층의 불순물농도보다도 진한 제2도전형의 접촉층 및, 상기 접촉층상에 형성되는 제1전극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반도체장치는, 제1도전형의 반도체기판과, 상기 반도체기판의 일면 측에 형성되는 제2도전형의 불순물층, 상기 불순물층내에 형성되고 상기 불순물층의 두께보다도 얇으며 상기 불순물층의 불순물농도보다도 진한 제2도전형의 접촉층, 상기 접촉층상에 형성되는 제1전극 및,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접촉층의 사이에 형성되는 실리사이드층을 구비하고, 상기 실리사이드층의 상기 접촉층 측의 면은 상기 접촉층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위치와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있다.
상기 불순물층은 상기 불순물층으로부터 상기 반도체기판으로 캐리어를 주입하는 것을 목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층은 상기 제1전극과 상기 불순물층의 접촉저항을 낮추는 것을 목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캐리어의 주입에 기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반도체장치는, 상기 반도체기판의 타면 측에 형성되는 제2전극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의 사이에 전류가 흐르는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반도체장치는 IGBT에 적용된다.
상기 불순물층은 상기 반도체기판의 표면으로부터 1.0㎛ 이하의 두께를 갖는다. 상기 접촉층은 상기 반도체기판의 표면으로부터 0.2㎛ 이하의 두께를 갖는다. 상기 실리사이드층은 상기 반도체기판의 표면으로부터 0.2㎛ 이하의 두께를 갖고, 상기 접촉층의 두께보다도 얇다.
상기 불순물층은, 상기 반도체기판의 일면 측의 전체에 형성되어 있어도, 또는 상기 반도체기판의 일면 측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반도체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A] 제1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장치의 전극접촉부를 나타내고 있다.
n형 반도체기판(1)내에는 p형 불순물층(2)이 형성된다. n형 반도체기판(1)은 n형 불순물, 예컨대 인(P)을 함유하고, 그 농도프로파일은 1014cm-3정도이면서 대강 일정하게 되어 있다. p형 불순물층(2)은 반도체기판(1)의 표면영역에 형성되고, p형 불순물, 예컨대 보론(B)을 함유하고 있다. p형 불순물층(2)의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표면으로부터 1.0㎛ 이하, 예컨대 0.8㎛정도로 설정된다. 또, p형 불순물층(2)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치는 1017∼1018cm-3의 범위로 설정된다.
p형 불순물층(2)내에는 p+형 접촉층(4)이 형성되고, p+형 접촉층(4)상에는 전극(3)이 형성된다. p+형 접촉층(4)은 p형 불순물층(2)과 전극(3)의 사이에 배치되고, p형 불순물층(2)보다도 높은 불순물농도를 갖는다. 예컨대, p+형 접촉층(4)은 보론(B), 불화보론(BF2) 등의 p형 불순물을 함유하고, 그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치는 1019cm-3이상, 그 표면농도는 1018cm-3이상으로 설정된다. 또, p+형 접촉층(4)의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표면으로부터 0.2㎛ 이하, 예컨대 0.16㎛정도로 설정된다. 전극(3)은, 예컨대 알루미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극접촉구조에 의하면, 먼저 p형 불순물층(2)은 낮은 불순물농도를 가지면서 그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표면으로부터 1.0㎛ 이하로 충분히 얕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컨대 이 전극접촉구조를 IGBT의 콜렉터전극(애노드전극)에 적용한 경우에는, 턴오프시에 있어서의 캐리어(정공)의 주입효율을 저감할 수 있고, 턴오프를 고속화할 수 있다.
또, p형 불순물층(2)과 전극(3)의 사이에는, p형 불순물층(2)보다도 높은 불순물농도를 갖는 p+형 접촉층(4)이 배치된다. 이 p+형 접촉층(4)의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표면으로부터 0.2㎛ 이하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p+형 접촉층(4)이 턴오프시에 있어서의 캐리어 주입효율에 영향을 주는 일은 없다. 즉, p+형 접촉층(4)에 의해 캐리어 주입효율이 증대되는 일은 없다.
또, p+형 접촉층(4)은 충분히 높은 불순물농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극접촉부의 접촉저항도 저감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극접촉부에 의하면, 접촉저항을 충분히 낮출 수 있는 동시에, 캐리어 주입효율의 저감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반도체기판(1)이 n형이고, 불순물층(2) 및 접촉층(4)이 p형이었지만, 그 대신에 반도체기판(1)을 p형으로 하고, 불순물층(2) 및 접촉층(4)을 n형으로 해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에는 도 1에 나타낸 전극접촉부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예컨대 1.5×1014cm-2정도의 불순물농도를 갖는 n형 반도체기판(예컨대, 실리콘기판; 1)을 준비한다. 이온주입법에 의해, 반도체기판(1)내에 p형 불순물, 예컨대 보론(B)을 주입한다. 이때의 이온주입조건은, 예컨대 가속전압 60keV정도, 도즈량 1×1013cm-2정도로 설정된다. 이 후, 예컨대 온도 약 1050℃의 질소분위기중에 있어서 시간 약 20분의 열확산처리를 행하면, 반도체기판(1)의 표면으로부터의 깊이가 약 0.8㎛의 p형 불순물층(예컨대, p형 에미터층; 2)이 형성된다.
다음에, 이온주입법에 의해, 반도체기판(1)내의 p형 불순물층(2)내에, p형 불순물, 예컨대 보론(B)을 주입한다. 이때의 이온주입조건은, 예컨대 가속전압 10keV정도, 도즈량 1×1014cm-2정도로 설정된다. 이 후, 예컨대 온도 약 800℃의 질소분위기중에 있어서 시간 약 30분의 열확산처리를 행하면, 반도체기판(1)의 표면으로부터의 깊이가 약 0.16㎛의 p+형 접촉층(4)이 형성된다.
p+형 접촉층(4)은, 그 깊이가 대단히 얕고 또한 그 불순물농도가 대단히 높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가속전압을 낮게 설정하고, 도즈량을 높게 설정하며, 또한 열확산처리의 시간을 짧게 하면, 얕으면서 불순물농도가 낮은 p+형 접촉층(4)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예컨대 p형 불순물을 보론(B)으로부터 불화보론(BF2)으로 바꾸고(가벼운 원소로부터 무거운 원소로 변경한다), 이 불화보론을 반도체기판(1)내의 p형 불순물층(2)에 주입하여 p+형 접촉층(4)을 형성해도 좋다.
다음으로, 예컨대 불화안티몬을 이용하여 반도체기판(1)의 표면부, 즉 p+형 접촉층(4)의 표면부에 형성된 열산화막을 제거한다. 이 후, 스퍼터법이나 CVD법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p+형 접촉층(4)상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구성되는 전극(3)을 형성한다.
이 후, 예컨대 온도 약 450℃의 질소분위기중에 있어서, 시간 약 30분의 열처리를 행하여 전극(3)을 구성하는 원자(예컨대, 알루미늄)를, 반도체기판(1)내, 즉 p+형 접촉층(4)내에 확산시켜 전극(3)과 p+형 접촉층(4)의 접촉저항을 저감시킨다.
이상의 제조방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전극접촉부가 완성된다.
본 발명의 전극접촉구조에서는, 캐리어 주입효율은 p형 불순물층(2)의 깊이및 불순물농도에 의해 대강 결정된다. 본 예에서는, p형 불순물층(2)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치는 1017∼1018cm-3의 범위이고, 또한 그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표면으로부터 1.0㎛ 이하로 충분히 얕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컨대 이 전극접촉구조를 IGBT의 콜렉터전극에 적용한 경우에는, 턴오프시에 있어서의 캐리어 주입효율을 저감할 수 있고, 턴오프를 고속화할 수 있다.
또, p형 불순물층(2)과 전극(3)의 사이에는, p형 불순물층(2)보다도 높은 불순물농도를 갖는 p+형 접촉층(4)이 배치된다. 이 p+형 접촉층(4)의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표면으로부터 0.2㎛ 이하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p+형 접촉층(4)이 턴오프시에 있어서의 캐리어 주입효율에 영향을 주는 일은 없다. 즉, p+형 접촉층(4)에 의해 캐리어 주입효율이 증대되는 일은 없다. 또, p+형 접촉층(4)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치는 1019cm-3정도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극접촉부의 접촉저항도 저감된다.
[B] 제2실시형태
상술한 제1실시형태에 따른 전극접촉부에서는, p형 불순물층(2)을 충분히 얕으면서(1.0㎛ 이하) 저농도(1017∼1018cm-3)로 하고, 더욱이 p형 불순물층(2)과 전극(3)의 사이에 충분히 진한(1019cm-3정도) p+형 접촉층(4)을 배치하여, 접촉저항의 저감과 캐리어 주입효율의 저감을 달성했다.
그러나, 이온주입에 의해 p+형 접촉층(4)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그 표면농도는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치보다도 낮아진다. 이것에서는, 전극접촉부에서의 접촉저항을 충분히 낮출 수 없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극(3)과 p+형 접촉층(4)의 사이에 실리사이드층(5)을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은 실리사이드층(5)을 형성하는 점에 특징을 갖는 것이 아니라, 실리사이드층(5)의 반도체기판(1)의 표면으로부터의 깊이, 구체적으로는 실리사이드층(5)의 반도체기판(1)의 표면으로부터의 깊이와 p+형 접촉층(4)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치의 관계에 특징을 갖는다.
이하,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장치의 전극접촉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장치의 전극접촉부를 나타내고 있다.
n형 반도체기판(1)내에는 p형 불순물층(2)이 형성된다. n형 반도체기판(1)은 n형 불순물, 예컨대 인(P)을 함유하고, 그 농도프로파일은 1014cm-3정도이면서 대강 일정하게 되어 있다. p형 불순물층(2)은 반도체기판(1)의 표면영역에 형성되고, p형 불순물, 예컨대 보론(B)을 함유하고 있다. p형 불순물층(2)의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표면으로부터 1.0㎛ 이하, 예컨대 0.8㎛정도로 설정된다. 또, p형불순물층(2)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치는 1017∼1018cm-3의 범위로 설정된다.
p형 불순물층(2)내에는 p+형 접촉층(4)이 형성되고, p+형 접촉층(4)상에는 전극(3)이 형성된다. p+형 접촉층(4)은 p형 불순물층(2)과 전극(3)의 사이에 배치되고, p형 불순물층(2)보다도 높은 불순물농도를 갖는다. 예컨대, p+형 접촉층(4)은 보론(B), 불화보론(BF2) 등의 p형 불순물을 함유하고, 그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치는 1019cm-3이상, 그 표면농도는 1018cm-3이상으로 설정된다. 또, p+형 접촉층(4)의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표면으로부터 0.2㎛ 이하, 예컨대 0.16㎛정도로 설정된다. 전극(3)은, 예컨대 알루미늄으로 구성된다.
더욱이, 본 예에서는, 전극(3)과 p+형 접촉층(4)의 사이에 실리사이드층(5)이 형성된다. 실리사이드층(5)은, 예컨대 열처리에 의해 전극(3)을 구성하는 원자(예컨대, 알루미늄)가 반도체기판(1)을 구성하는 원자(실리콘)와 반응함으로써 형성된다.
실리사이드층(5)의 반도체기판(1) 표면으로부터의 깊이는, p+형 접촉층(4)의 반도체기판(1)의 표면으로부터의 깊이와 같거나, 또는 그 보다도 얕아지도록 설정된다. 본 예에서는, p+형 접촉층(4)의 깊이가 반도체기판(1)의 표면으로부터 0.2㎛ 이하로 설정되기 때문에, 실리사이드층(5)의 깊이도 반도체기판(1)의 표면으로부터 0.2㎛ 이하로 설정된다.
그런데, 접촉저항을 최대한으로 저감하기 위해서는, 실리사이드층(5)의 밑면의 위치가 p+형 접촉층(4)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위치와 일치하도록 설정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p+형 접촉층(4)의 가장 저항이 낮은 부분(농도프로파일의 피크위치)과 전극(3)을 실리사이드층(5)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접촉저항의 저감을 도모한다.
이러한 전극접촉구조에 의하면, 먼저 p형 불순물층(2)은 낮은 불순물농도를 갖고, 또한 그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표면으로부터 1.0㎛ 이하로 충분히 얕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컨대 이 전극접촉구조를 IGBT의 콜렉터전극(애노드전극)에 적용한 경우에는, 턴오프시에 있어서의 캐리어(정공)의 주입효율을 저감할 수 있고, 턴오프를 고속화할 수 있다.
또, p형 불순물층(2)과 전극(3)의 사이에는, p형 불순물층(2)보다도 높은 불순물농도를 갖는 p+형 접촉층(4)이 배치된다. 이 p+형 접촉층(4)의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표면으로부터 0.2㎛ 이하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p+형 접촉층(4)이 턴오프시에 있어서의 캐리어 주입효율에 영향을 주는 일은 없다. 즉, p+형 접촉층(4)에 의해 캐리어 주입효율이 증대되는 일은 없다.
또, p+형 접촉층(4)은 충분히 높은 불순물농도를 갖고, 또한 전극(3)과 p+형 접촉층(4)의 사이에는 실리사이드층(5)이 형성된다. 또, 실리사이드층(5)의 밑면의 위치는, p+형 접촉층(4)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위치와 일치하도록 설정된다. 이 때문에, 전극접촉부의 접촉저항도 저감된다.
한편, 도 12는 p+형 접촉층(4)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위치가 반도체기판(1)의 표면으로부터 0.04㎛인 경우의 실리사이드층(5)의 두께(반도체기판(1)의 표면으로부터의 깊이)와 콜렉터-에미터간의 포화전압 Vce(sat)와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동도에 의하면, 실리사이드층(5)의 밑면의 위치(두께)가 p+형 접촉층(4)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위치와 일치하는 경우, 즉 0.04㎛인 경우에, 콜렉터-에미터간의 포화전압 Vce(sat)이 가장 작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실리사이드층(5)의 밑면의 위치(두께)가 p+형 접촉층(4)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위치와 일치할 때에, 접촉저항이 가장 낮아지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극접촉부에 의하면, 접촉저항을 충분히 낮출 수 있는 동시에, 캐리어 주입효율의 저감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반도체기판(1)이 n형이고, 불순물층(2) 및 접촉층(4)이 p형이었지만, 그 대신에 반도체기판(1)을 p형으로 하고, 불순물층(2) 및 접촉층(4)을 n형으로 해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에는 도 2에 나타낸 전극접촉부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예컨대 1.5×1014cm-2정도의 불순물농도를 갖는 n형 반도체기판(예컨대, 실리콘기판; 1)을 준비한다. 이온주입법에 의해, 반도체기판(1)내에 p형 불순물, 예컨대 보론(B)을 주입한다. 이때의 이온주입조건은, 예컨대 가속전압 60keV정도, 도즈량 1×1013cm-2정도로 설정된다. 이 후, 예컨대 온도 약 1050℃의 질소분위기중에 있어서 시간 약 20분의 열확산처리를 행하면, 반도체기판(1)의 표면으로부터의 깊이가 약 0.8㎛의 p형 불순물층(예컨대, p형 에미터층; 2)이 형성된다.
다음에, 이온주입법에 의해, 반도체기판(1)내의 p형 불순물층(2)내에, p형 불순물, 예컨대 보론(B)을 주입한다. 이때의 이온주입조건은, 예컨대 가속전압 10keV정도, 도즈량 1×1014cm-2정도로 설정된다. 이 후, 예컨대 온도 약 800℃의 질소분위기중에 있어서 시간 약 30분의 열확산처리를 행하면, 반도체기판(1)의 표면으로부터의 깊이가 약 0.16㎛의 p+형 접촉층(4)이 형성된다.
p+형 접촉층(4)은, 그 깊이가 대단히 얕고 또한 그 불순물농도가 대단히 높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가속전압을 낮게 설정하고, 도즈량을 높게 설정하며, 또한 열확산처리의 시간을 짧게 하면, 얕으면서 불순물농도가 낮은 p+형 접촉층(4)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예컨대 p형 불순물을 보론(B)으로부터 불화보론(BF2)으로 바꾸고(가벼운 원소로부터 무거운 원소로 변경한다), 이 불화보론을 반도체기판(1)내의 p형 불순물층(2)에 주입하여 p+형 접촉층(4)을 형성해도 좋다.
다음으로, 예컨대 불화안티몬을 이용하여 반도체기판(1)의 표면부, 즉 p+형 접촉층(4)의 표면부에 형성된 열산화막을 제거한다. 이 후, 스퍼터법이나 CVD법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p+형 접촉층(4)상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구성되고, 두께가 약 0.05㎛의 전극(3)을 형성한다.
이 후, 예컨대 온도 약 450℃의 질소분위기중에 있어서, 시간 약 30분의 열처리를 행하여 전극(3)을 구성하는 원자(예컨대, 알루미늄)를, 반도체기판(실리콘기판; 1)내, 즉 p+형 접촉층(4)내에 확산시켜 실리사이드층(5)을 형성한다. 여기서, 실리사이드층(5)의 두께(반도체기판(1)의 표면으로부터의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표면으로부터 p+형 접촉층(4)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위치까지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같게 한다
예컨대, p+형 접촉층(4)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가 반도체기판(1)의 표면으로부터 약 0.04㎛의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실리사이드층(5)의 두께도 약 0.04㎛로 한다.
이에 따라, 전극접촉부에서의 전극(3)과 p형 불순물층(2)의 접촉저항을 저감시킨다.
이상의 제조방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전극접촉부가 완성된다.
본 발명의 전극접촉구조에서는, 캐리어 주입효율은 p형 불순물층(2)의 깊이 및 불순물농도에 의해 대강 결정된다. 본 예에서는, p형 불순물층(2)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치는 1017∼1018cm-3의 범위이고, 또한 그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표면으로부터 1.0㎛ 이하로 충분히 얕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컨대 이 전극접촉구조를 IGBT의 콜렉터전극에 적용한 경우에는, 턴오프시에 있어서의 캐리어 주입효율을 저감할 수 있고, 턴오프를 고속화할 수 있다.
또, p형 불순물층(2)과 전극(3)의 사이에는, p형 불순물층(2)보다도 높은 불순물농도를 갖는 p+형 접촉층(4)이 배치된다. 이 p+형 접촉층(4)의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표면으로부터 0.2㎛ 이하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p+형 접촉층(4)이 턴오프시에 있어서의 캐리어 주입효율에 영향을 주는 일은 없다. 즉, p+형 접촉층(4)에 의해, 캐리어 주입효율이 증대되는 일은 없다. 또, p+형 접촉층(4)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치는 1019cm-3정도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극접촉부의 접촉저항도 저감된다.
더욱이, p+형 접촉층(4)은 충분히 높은 불순물농도를 갖고, 또한 전극(3)과 p+형 접촉층(4)의 사이에는 실리사이드층(5)이 형성된다. 또, 실리사이드층(5)의 밑면의 위치는 p+형 접촉층(4)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위치와 일치하도록 설정된다. 이 때문에, 전극접촉부의 접촉저항이 더 저감된다.
(실시예)
다음에는 상술한 제1 및 제2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장치의 구체예, 즉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전극접촉부를 IGBT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IGBT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도 3은 IGBT의 일반적인 디바이스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n형 반도체기판(실리콘기판; 1)은 n형 베이스층으로 된다. 반도체기판(1)의 일면 측에는 p형 베이스층(7)이 형성되고, p형 베이스층(7)내에는 n+형 에미터층(8)이 형성된다.
반도체기판(1)의 일면 측의 표면영역에 있어서, n형 베이스층(1)과 n+형 에미터층(8) 사이의 p형 베이스층(채널부; 7)상에는 절연층(9)을 매개로 해서 게이트전극(10)이 형성된다. 또, p형 베이스층(7)상 및 n+형 에미터층(8)상에는, 이들 p형 베이스층(7) 및 n+형 에미터층(8)에 접촉하는 에미터전극(11)이 형성된다.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에는, p+형 에미터층(2)이 형성된다. 이 p+형 에미터층(2)은 본 발명의 대상으로 되는 전극접촉부를 구성하는 p형 불순물층으로 된다. p+형 에미터층(2)상에는 p+형 에미터층(2)에 접촉하는 콜렉터전극(3)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IGBT에 있어서는, p+형 에미터층(2)과 콜렉터전극(3)의접촉저항을 저감함과 더불어, p+형 에미터층(2)으로부터 n형 베이스층(1)으로의 캐리어(정공)의 주입효율을 저감하여 턴오프를 고속화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되고 있다.
본 발명의 전극접촉구조를 IGBT에 적용하면, 접촉저항의 저감과 캐리어 주입효율의 저감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A] 제1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의 IGBT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는, 상술한 제1실시형태에 따른 전극접촉구조에 대응하고 있다.
n형 반도체기판(n형 베이스층; 1)의 일면 측에는 p형 베이스층(7)이 형성되고, p형 베이스층(7)내에는 n+형 에미터층(8)이 형성된다. 반도체기판(1)의 일면 측의 표면영역에 있어서, n형 베이스층(1)과 n+형 에미터층(8) 사이의 p형 베이스층(채널부; 7)상에는 절연층(9)을 매개로 해서 게이트전극(10)이 형성된다. 또, p형 베이스층(7)상 및 n+형 에미터층(8)상에는, 이들 p형 베이스층(7) 및 n+형 에미터층(8)에 접촉하는 에미터전극(11)이 형성된다.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에는, p+형 에미터층(2)이 형성된다. p+형 에미터층(2)은 p형 불순물, 예컨대 보론(B)을 함유하고 있다. p+형 에미터층(2)의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 1.0㎛ 이하, 예컨대 0.8㎛정도로설정된다. 또, p+형 에미터층(2)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치는 1017∼1018cm-3의 범위로 설정된다.
p+형 에미터층(2)내에는 p++형 접촉층(4)이 형성되고, p++형 접촉층(4)상에는 콜렉터전극(3)이 형성된다. p++형 접촉층(4)은 p+형 에미터층(2)과 콜렉터전극(3)의 사이에 배치되고, p+형 에미터층(2)보다도 높은 불순물농도를 갖는다.
예컨대, p++형 접촉층(4)은 보론(B), 불화보론(BF2) 등의 p형 불순물을 함유하고, 그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치는 1019cm-3이상, 그 표면농도는 1018cm-3이상으로 설정된다. 또, p++형 접촉층(4)의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 0.2㎛ 이하, 예컨대 0.16㎛정도로 설정된다. 또 콜렉터전극(3)은, 예컨대 알루미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극접촉구조에 의하면, 먼저 p+형 에미터층(2)은 낮은 불순물농도를 갖고, 또한 그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 1.0㎛ 이하로 충분히 얕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IGBT의 턴오프시에 있어서의 캐리어(정공)의 주입효율을 저감할 수 있고, 턴오프를 고속화할 수 있다.
또, p+형 에미터층(2)과 콜렉터전극(3)의 사이에는, p+형 에미터층(2)보다도 높은 불순물농도를 갖는 p++형 접촉층(4)이 배치된다. 이 p++형 접촉층(4)의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 0.2㎛ 이하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p++형 접촉층(4)이 턴오프시에 있어서의 캐리어 주입효율에 영향을 주는 일은 없다. 즉, p++형 접촉층(4)에 의해 캐리어 주입효율이 증대되는 일은 없다.
또, p++형 접촉층(4)은 충분히 높은 불순물농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전극접촉부의 접촉저항도 저감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IGBT의 전극접촉부에 의하면, 접촉저항을 충분히 낮출 수 있는 동시에, 캐리어 주입효율의 저감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반도체기판(1)이 n형이고, 에미터층(2) 및 접촉층(4)이 p형이었지만, 그 대신에 반도체기판(1)을 p형으로 하고, 에미터층(2) 및 접촉층(4)을 n형으로 해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에는 도 4에 나타낸 IGBT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예컨대 1.5×1014cm-2정도의 불순물농도를 갖는 n형 반도체기판(예컨대, 실리콘기판; 1)을 준비한다. 그리고, 반도체기판(1)의 일면 측에 p형 베이스층(7), n+형 에미터층(8), 절연층(9), 게이트전극(10) 및 에미터전극(11)을 각각 형성한다.
이 후, 이온주입법에 의해,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에, p형 불순물, 예컨대 보론(B)을 주입한다. 이때의 이온주입조건은, 예컨대 가속전압 60keV정도, 도즈량 1×1013cm-2정도로 설정된다. 이 후, 예컨대 온도 약 1050℃의 질소분위기중에 있어서 시간 약 20분의 열확산처리를 행하면,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 의 깊이가 약 0.8㎛의 p+형 에미터층(2)이 형성된다.
다음에, 이온주입법에 의해,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p+형 에미터층(2)내에, p형 불순물, 예컨대 보론(B)을 주입한다. 이때의 이온주입조건은, 예컨대 가속전압 10keV정도, 도즈량 1×1014cm-2정도로 설정된다. 이 후, 예컨대 온도 약 800℃의 질소분위기중에 있어서 시간 약 30분의 열확산처리를 행하면,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의 깊이가 약 0.16㎛의 p++형 접촉층(4)이 형성된다.
p++형 접촉층(4)은, 그 깊이가 대단히 얕고 또한 그 불순물농도가 대단히 높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가속전압을 낮게 설정하고, 도즈량을 높게 설정하며, 또한 열확산처리의 시간을 짧게 하면, 얕으면서 불순물농도가 낮은 p++형 접촉층(4)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예컨대 p형 불순물을 보론(B)으로부터 불화보론(BF2)으로 바꾸고(가벼운 원소로부터 무거운 원소로 변경한다), 이 불화보론을 반도체기판(1)내의 p+형 에미터층(2)에 주입하여 p++형 접촉층(4)을 형성해도 좋다.
다음으로, 예컨대 불화안티몬을 이용하여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부, 즉 p++형 접촉층(4)의 표면부에 형성된 열산화막을 제거한다. 이 후, 스퍼터법이나 CVD법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p++형 접촉층(4)상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구성되는 전극(3)을 형성한다.
이 후, 예컨대 온도 약 450℃의 질소분위기중에 있어서, 시간 약 30분의 열처리를 행하여 콜렉터전극(3)을 구성하는 원자(예컨대, 알루미늄)를, 반도체기판(1)내, 즉 p++형 접촉층(4)내에 확산시켜 콜렉터전극(3)과 p++형 접촉층(4)의 접촉저항을 저감시킨다.
이상의 제조방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IGBT가 완성된다.
[B] 제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의 IGBT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는, 상술한 제2실시형태에 따른 전극접촉구조에 대응하고 있다.
n형 반도체기판(n형 베이스층; 1)의 일면 측에는 p형 베이스층(7)이 형성되고, p형 베이스층(7)내에는 n+형 에미터층(8)이 형성된다. 반도체기판(1)의 일면 측의 표면영역에 있어서, n형 베이스층(1)과 n+형 에미터층(8) 사이의 p형 베이스층(채널부; 7)상에는 절연층(9)을 매개로 해서 게이트전극(10)이 형성된다. 또, p형 베이스층(7)상 및 n+형 에미터층(8)상에는, 이들 p형 베이스층(7) 및 n+형 에미터층(8)에 접촉하는 에미터전극(11)이 형성된다.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에는, p+형 에미터층(2)이 형성된다. p+형에미터층(2)은 p형 불순물, 예컨대 보론(B)을 함유하고 있다. p+형 에미터층(2)의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 1.0㎛ 이하, 예컨대 0.8㎛정도로 설정된다. 또, p+형 에미터층(2)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치는 1017∼1018cm-3의 범위로 설정된다.
p+형 에미터층(2)내에는 p++형 접촉층(4)이 형성되고, p++형 접촉층(4)상에는 콜렉터전극(3)이 형성된다. p++형 접촉층(4)은 p+형 에미터층(2)과 콜렉터전극(3)의 사이에 배치되고, p+형 에미터층(2)보다도 높은 불순물농도를 갖는다.
예컨대, p++형 접촉층(4)은 보론(B), 불화보론(BF2) 등의 p형 불순물을 함유하고, 그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치는 1019cm-3이상, 그 표면농도는 1018cm-3이상으로 설정된다. 또, p++형 접촉층(4)의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 0.2㎛ 이하, 예컨대 0.16㎛정도로 설정된다. 또 콜렉터전극(3)은, 예컨대 알루미늄으로 구성된다.
더욱이, 본 예에서는, 콜렉터전극(3)과 p++형 접촉층(4)의 사이에 실리사이드층(5)이 형성된다. 실리사이드층(5)은, 예컨대 열처리에 의해 콜렉터전극(3)을 구성하는 원자(예컨대, 알루미늄)가 반도체기판(1)을 구성하는 원자(실리콘)와 반응함으로써 형성된다.
실리사이드층(5)의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의 깊이는, p++형 접촉층(4)의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의 깊이와 같거나, 또는 그 보다도 얕아지도록 설정된다. 본 예에서는, p++형 접촉층(4)의 깊이가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 0.2㎛ 이하로 설정되기 때문에, 실리사이드층(5)의 깊이도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 0.2㎛ 이하로 설정된다.
그런데, 접촉저항을 최대한으로 저감하기 위해서는, 실리사이드층(5)의 밑면의 위치가 p++형 접촉층(4)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위치와 일치하도록 설정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p++형 접촉층(4)의 가장 저항이 낮은 부분(농도프로파일의 피크위치)과 콜렉터전극(3)을 실리사이드층(5)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접촉저항의 저감을 도모한다.
이러한 전극접촉구조에 의하면, 먼저 p+형 에미터층(2)은 낮은 불순물농도를 갖고, 또한 그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 1.0㎛ 이하로 충분히 얕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IGBT의 턴오프시에 있어서의 캐리어(정공)의 주입효율을 저감할 수 있고, 턴오프를 고속화할 수 있다.
또, p+형 에미터층(2)과 콜렉터전극(3)의 사이에는, p+형 에미터층(2)보다도 높은 불순물농도를 갖는 p++형 접촉층(4)이 배치된다. 이 p++형 접촉층(4)의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 0.2㎛ 이하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p++형 접촉층(4)이 턴오프시에 있어서의 캐리어 주입효율에 영향을 주는 일은 없다. 즉, p++형 접촉층(4)에 의해 캐리어 주입효율이 증대되는 일은 없다.
또, p++형 접촉층(4)은 충분히 높은 불순물농도를 갖고, 또한 콜렉터전극(3)과 p++형 접촉층(4)의 사이에는 실리사이드층(5)이 형성된다. 또, 실리사이드층(5)의 밑면의 위치는, p++형 접촉층(4)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위치와 일치하도록 설정된다. 이 때문에, 전극접촉부의 접촉저항도 저감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IGBT의 전극접촉부에 의하면, 접촉저항을 충분히 낮출 수 있는 동시에, 캐리어 주입효율의 저감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반도체기판(1)이 n형이고, 에미터층(2) 및 접촉층(4)이 p형이었지만, 그 대신에 반도체기판(1)을 p형으로 하고, 에미터층(2) 및 접촉층(4)을 n형으로 해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에는 도 5에 나타낸 IGBT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예컨대 1.5×1014cm-2정도의 불순물농도를 갖는 n형 반도체기판(예컨대, 실리콘기판; 1)을 준비한다. 그리고, 반도체기판(1)의 일면 측에 p형 베이스층(7), n+형 에미터층(8), 절연층(9), 게이트전극(10) 및 에미터전극(11)을 각각 형성한다.
이 후, 이온주입법에 의해,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에, p형 불순물, 예컨대 보론(B)을 주입한다. 이때의 이온주입조건은, 예컨대 가속전압 60keV정도, 도즈량 1×1013cm-2정도로 설정된다. 이 후, 예컨대 온도 약 1050℃의 질소분위기중에 있어서 시간 약 20분의 열확산처리를 행하면,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 의 깊이가 약 0.8㎛의 p+형 에미터층(2)이 형성된다.
다음에, 이온주입법에 의해,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p+형 에미터층(2)내에, p형 불순물, 예컨대 보론(B)을 주입한다. 이때의 이온주입조건은, 예컨대 가속전압 10keV정도, 도즈량 1×1014cm-2정도로 설정된다. 이 후, 예컨대 온도 약 800℃의 질소분위기중에 있어서 시간 약 30분의 열확산처리를 행하면,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의 깊이가 약 0.16㎛의 p++형 접촉층(4)이 형성된다.
p++형 접촉층(4)은, 그 깊이가 대단히 얕고 또한 그 불순물농도가 대단히 높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가속전압을 낮게 설정하고, 도즈량을 높게 설정하며, 또한 열확산처리의 시간을 짧게 하면, 얕으면서 불순물농도가 낮은 p++형 접촉층(4)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예컨대 p형 불순물을 보론(B)으로부터 불화보론(BF2)으로 바꾸고(가벼운 원소로부터 무거운 원소로 변경한다), 이 불화보론을 반도체기판(1)내의 p+형 에미터층(2)에 주입하여 p++형 접촉층(4)을 형성해도 좋다.
다음으로, 예컨대 불화안티몬을 이용하여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부, 즉 p++형 접촉층(4)의 표면부에 형성된 열산화막을 제거한다. 이 후, 스퍼터법이나 CVD법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p++형 접촉층(4)상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구성되는 약 0.05㎛의 전극(3)을 형성한다.
이 후, 예컨대 온도 약 450℃의 질소분위기중에 있어서, 시간 약 30분의 열처리를 행하여 콜렉터전극(3)을 구성하는 원자(예컨대, 알루미늄)를, 반도체기판(1)내, 즉 p++형 접촉층(4)내에 확산시켜 실리사이드층(5)을 형성한다. 여기서, 실리사이드층(5)의 두께(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의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 p++형 접촉층(4)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위치까지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같게 한다
예컨대, p++형 접촉층(4)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가 반도체기판(1)의 표면으로부터 약 0.04㎛의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실리사이드층(5)의 두께도 약 0.04㎛로 한다.
이에 따라, 전극접촉부에서의 콜렉터전극(3)과 p+형 에미터층(2)의 접촉저항을 저감시킨다.
또한, 실리사이드층(5)을 형성한 후에, 콜렉터전극(3)을 더 겹쳐 쌓아도 좋다.
이상의 제조방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IGBT가 완성된다.
[C] 제3실시예
본 예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서로 분리된 복수의 p+형 에미터층(2A)을 갖춘 IGBT에, 상술한 제1실시형태에 따른 전극접촉구조를 적용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의 IGBT를 나타내고 있다.
n형 반도체기판(n형 베이스층; 1)의 일면 측에는 p형 베이스층(7)이 형성되고, p형 베이스층(7)내에는 n+형 에미터층(8)이 형성된다. 반도체기판(1)의 일면 측의 표면영역에 있어서, n형 베이스층(1)과 n+형 에미터층(8) 사이의 p형 베이스층(채널부; 7)상에는 절연층(9)을 매개로 해서 게이트전극(10)이 형성된다. 또, p형 베이스층(7)상 및 n+형 에미터층(8)상에는, 이들 p형 베이스층(7) 및 n+형 에미터층(8)에 접촉하는 에미터전극(11)이 형성된다.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에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p+형 에미터층(2A)이 형성된다. p+형 에미터층(2A)은 p형 불순물, 예컨대 보론(B)을 함유하고 있다. p+형 에미터층(2A)의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 1.0㎛ 이하, 예컨대 0.8㎛정도로 설정된다. 또, p+형 에미터층(2A)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치는 1017∼1018cm-3의 범위로 설정된다.
p+형 에미터층(2A)내에는 p++형 접촉층(4A)이 형성되고, p++형 접촉층(4A)상에는 콜렉터전극(3)이 형성된다. 또,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에 노출하는 n형 베이스층(반도체기판; 1)상에는 절연층(6)이 형성된다. 따라서, 콜렉터전극(3)은 복수의 p+형 에미터층(2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지만, n형 베이스층(1)에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다.
한편, p++형 접촉층(4A)은 p+형 에미터층(2A)과 콜렉터전극(3)의 사이에 배치되고, p+형 에미터층(2A)보다도 높은 불순물농도를 갖는다.
예컨대, p++형 접촉층(4A)은 보론(B), 불화보론(BF2) 등의 p형 불순물을 함유하고, 그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치는 1019cm-3이상, 그 표면농도는 1018cm-3이상으로 설정된다. 또, p++형 접촉층(4A)의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 0.2㎛ 이하, 예컨대 0.16㎛정도로 설정된다. 또 콜렉터전극(3)은, 예컨대 알루미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극접촉구조에 의하면, 먼저 복수의 p+형 에미터층(2A)은 낮은 불순물농도를 갖고, 또한 그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 1.0㎛ 이하로 충분히 얕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IGBT의 턴오프시에 있어서의 캐리어(정공)의 주입효율을 저감할 수 있고, 턴오프를 고속화할 수 있다.
여기서, 캐리어의 주입효율은 p+형 에미터층(2A)의 깊이나 접촉비(W1/W2)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또, p+형 에미터층(2A)과 콜렉터전극(3)의 사이에는, p+형 에미터층(2A)보다도 높은 불순물농도를 갖는 p++형 접촉층(4A)이 배치된다. 이 p++형 접촉층(4A)의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 0.2㎛ 이하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p++형 접촉층(4A)이 턴오프시에 있어서의 캐리어 주입효율에 영향을 주는 일은 없다. 즉, p++형 접촉층(4A)에 의해 캐리어 주입효율이 증대되는 일은 없다.
또, p++형 접촉층(4A)은 충분히 높은 불순물농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전극접촉부의 접촉저항도 저감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IGBT의 전극접촉부에 의하면, 접촉저항을 충분히 낮출 수 있는 동시에, 캐리어 주입효율의 저감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반도체기판(1)이 n형이고, 에미터층(2A) 및 접촉층(4A)이 p형이었지만, 그 대신에 반도체기판(1)을 p형으로 하고, 에미터층(2A) 및 접촉층(4A)을 n형으로 해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에는 도 7에 나타낸 IGBT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예컨대 1.5×1014cm-2정도의 불순물농도를 갖는 n형 반도체기판(예컨대, 실리콘기판; 1)을 준비한다. 그리고, 반도체기판(1)의 일면 측에 p형 베이스층(7), n+형 에미터층(8), 절연층(9), 게이트전극(10) 및 에미터전극(11)을 각각 형성한다.
이 후, 이온주입법에 의해,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에, p형 불순물, 예컨대 보론(B)을 주입한다. 이때의 이온주입조건은, 예컨대 가속전압 60keV정도, 도즈량 1×1013cm-2정도로 설정된다. 이 후, 예컨대 온도 약 1050℃의 질소분위기중에 있어서 시간 약 20분의 열확산처리를 행하면,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 의 깊이가 약 0.8㎛의 복수의 p+형 에미터층(2A)이 형성된다.
다음에, 이온주입법에 의해,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p+형 에미터층(2A)내에, p형 불순물, 예컨대 보론(B)을 주입한다. 이때의 이온주입조건은, 예컨대 가속전압 10keV정도, 도즈량 1×1014cm-2정도로 설정된다. 이 후, 예컨대 온도 약 800℃의 질소분위기중에 있어서 시간 약 30분의 열확산처리를 행하면,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의 깊이가 약 0.16㎛의 p++형 접촉층(4A)이 형성된다.
p++형 접촉층(4A)은, 그 깊이가 대단히 얕고 또한 그 불순물농도가 대단히 높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가속전압을 낮게 설정하고, 도즈량을 높게 설정하며, 또한 열확산처리의 시간을 짧게 하면, 얕으면서 불순물농도가 낮은 p++형 접촉층(4A)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예컨대 p형 불순물을 보론(B)으로부터 불화보론(BF2)으로 바꾸고(가벼운 원소로부터 무거운 원소로 변경한다), 이 불화보론을 반도체기판(1)내의 p+형 에미터층(2A)에 주입하여 p++형 접촉층(4A)을 형성해도 좋다.
다음으로, 예컨대 불화안티몬을 이용하여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부, 즉 p++형 접촉층(4A)의 표면부에 형성된 열산화막을 제거한다. 이 후, 예컨대 CVD법을 이용하여,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에 절연층(6)을 형성한다. 또, PEP 및 RIE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절연층(6)을 패터닝하고, 절연층(6)에 p++형 접촉층(4A)에 도달하는 접촉구멍(contact hole)을 형성한다. 이 후, 스퍼터법이나 CVD법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복수의 p++형 접촉층(4A)에 접촉하는 콜렉터전극(3)을 형성한다.
이 후, 예컨대 온도 약 450℃의 질소분위기중에 있어서, 시간 약 30분의 열처리를 행하여 콜렉터전극(3)을 구성하는 원자(예컨대, 알루미늄)를, 반도체기판(1)내, 즉 p++형 접촉층(4A)내에 확산시켜 콜렉터전극(3)과 p++형 접촉층(4A)의 접촉저항을 저감시킨다.
이상의 제조방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IGBT가 완성된다.
[D] 제4실시예
본 예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서로 분리된 복수의 p+형 에미터층(2A)을갖춘 IGBT에, 상술한 제2실시형태에 따른 전극접촉구조를 적용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서의 IGBT를 나타내고 있다.
n형 반도체기판(n형 베이스층; 1)의 일면 측에는 p형 베이스층(7)이 형성되고, p형 베이스층(7)내에는 n+형 에미터층(8)이 형성된다. 반도체기판(1)의 일면 측의 표면영역에 있어서, n형 베이스층(1)과 n+형 에미터층(8) 사이의 p형 베이스층(채널부; 7)상에는 절연층(9)을 매개로 해서 게이트전극(10)이 형성된다. 또, p형 베이스층(7)상 및 n+형 에미터층(8)상에는, 이들 p형 베이스층(7) 및 n+형 에미터층(8)에 접촉하는 에미터전극(11)이 형성된다.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에는, 복수의 p+형 에미터층(2A)이 형성된다. p+형 에미터층(2A)은 p형 불순물, 예컨대 보론(B)을 함유하고 있다. p+형 에미터층(2A)의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 1.0㎛ 이하, 예컨대 0.8㎛정도로 설정된다. 또, p+형 에미터층(2)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치는 1017∼1018cm-3의 범위로 설정된다.
p+형 에미터층(2A)내에는 p++형 접촉층(4A)이 형성되고, p++형 접촉층(4A)상에는 콜렉터전극(3)이 형성된다. 또,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에 노출하는 n형 베이스층(반도체기판; 1)상에는 절연층(6)이 형성된다. 따라서, 콜렉터전극(3)은 복수의 p+형 에미터층(2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지만, n형 베이스층(1)에는 전기적으로접속되지 않는다.
한편, p++형 접촉층(4A)은 p+형 에미터층(2A)과 콜렉터전극(3)의 사이에 배치되고, p+형 에미터층(2A)보다도 높은 불순물농도를 갖는다.
예컨대, p++형 접촉층(4A)은 보론(B), 불화보론(BF2) 등의 p형 불순물을 함유하고, 그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치는 1019cm-3이상, 그 표면농도는 1018cm-3이상으로 설정된다. 또, p++형 접촉층(4A)의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 0.2㎛ 이하, 예컨대 0.16㎛정도로 설정된다. 또 콜렉터전극(3)은, 예컨대 알루미늄으로 구성된다.
더욱이, 본 예에서는, 콜렉터전극(3)과 p++형 접촉층(4A)의 사이에 실리사이드층(5)이 형성된다. 실리사이드층(5)은, 예컨대 열처리에 의해 콜렉터전극(3)을 구성하는 원자(예컨대, 알루미늄)가 반도체기판(1)을 구성하는 원자(실리콘)와 반응함으로써 형성된다.
실리사이드층(5)의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의 깊이는, p++형 접촉층(4A)의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의 깊이와 같거나, 또는 그 보다도 얕아지도록 설정된다. 본 예에서는, p++형 접촉층(4A)의 깊이가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 0.2㎛ 이하로 설정되기 때문에, 실리사이드층(5)의 깊이도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 0.2㎛ 이하로 설정된다.
그런데, 접촉저항을 최대한으로 저감하기 위해서는, 실리사이드층(5)의 밑면의 위치가 p++형 접촉층(4A)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위치와 일치하도록 설정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p++형 접촉층(4A)의 가장 저항이 낮은 부분(농도프로파일의 피크위치)과 콜렉터전극(3)을 실리사이드층(5)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접촉저항의 저감을 도모한다.
이러한 전극접촉구조에 의하면, 먼저 p+형 에미터층(2A)은 낮은 불순물농도를 갖고, 또한 그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 1.0㎛ 이하로 충분히 얕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IGBT의 턴오프시에 있어서의 캐리어(정공)의 주입효율을 저감할 수 있고, 턴오프를 고속화할 수 있다.
여기서, 캐리어의 주입효율은 p+형 에미터층(2A)의 깊이나 접촉비(W1/W2)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또, p+형 에미터층(2A)과 콜렉터전극(3)의 사이에는, p+형 에미터층(2A)보다도 높은 불순물농도를 갖는 p++형 접촉층(4A)이 배치된다. 이 p++형 접촉층(4A)의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 0.2㎛ 이하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p++형 접촉층(4A)이 턴오프시에 있어서의 캐리어 주입효율에 영향을 주는 일은 없다. 즉, p++형 접촉층(4A)에 의해 캐리어 주입효율이 증대되는 일은 없다.
또, p++형 접촉층(4A)은 충분히 높은 불순물농도를 갖고, 또한 콜렉터전극(3)과 p++형 접촉층(4A)의 사이에는 실리사이드층(5)이 형성된다. 또, 실리사이드층(5)의 밑면의 위치는, p++형 접촉층(4A)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위치와 일치하도록 설정된다. 이 때문에, 전극접촉부의 접촉저항도 저감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IGBT의 전극접촉부에 의하면, 접촉저항을 충분히 낮출 수 있는 동시에, 캐리어 주입효율의 저감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반도체기판(1)이 n형이고, 에미터층(2A) 및 접촉층(4A)이 p형이었지만, 그 대신에 반도체기판(1)을 p형으로 하고, 에미터층(2A) 및 접촉층(4A)을 n형으로 해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에는 도 8에 나타낸 IGBT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예컨대 1.5×1014cm-2정도의 불순물농도를 갖는 n형 반도체기판(예컨대, 실리콘기판; 1)을 준비한다. 그리고, 반도체기판(1)의 일면 측에 p형 베이스층(7), n+형 에미터층(8), 절연층(9), 게이트전극(10) 및 에미터전극(11)을 각각 형성한다.
이 후, 이온주입법에 의해,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에, p형 불순물, 예컨대 보론(B)을 주입한다. 이때의 이온주입조건은, 예컨대 가속전압 60keV정도, 도즈량 1×1013cm-2정도로 설정된다. 이 후, 예컨대 온도 약 1050℃의 질소분위기중에 있어서 시간 약 20분의 열확산처리를 행하면,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의 깊이가 약 0.8㎛의 복수의 p+형 에미터층(2A)이 형성된다.
다음에, 이온주입법에 의해,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p+형 에미터층(2A)내에, p형 불순물, 예컨대 보론(B)을 주입한다. 이때의 이온주입조건은, 예컨대 가속전압 10keV정도, 도즈량 1×1014cm-2정도로 설정된다. 이 후, 예컨대 온도 약 800℃의 질소분위기중에 있어서 시간 약 30분의 열확산처리를 행하면,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의 깊이가 약 0.16㎛의 p++형 접촉층(4A)이 형성된다.
p++형 접촉층(4A)은, 그 깊이가 대단히 얕고 또한 그 불순물농도가 대단히 높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가속전압을 낮게 설정하고, 도즈량을 높게 설정하며, 또한 열확산처리의 시간을 짧게 하면, 얕으면서 불순물농도가 낮은 p++형 접촉층(4A)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예컨대 p형 불순물을 보론(B)으로부터 불화보론(BF2)으로 바꾸고(가벼운 원소로부터 무거운 원소로 변경한다), 이 불화보론을 반도체기판(1)내의 p+형 에미터층(2A)에 주입하여 p++형 접촉층(4A)을 형성해도 좋다.
다음으로, 예컨대 불화안티몬을 이용하여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부, 즉 p++형 접촉층(4A)의 표면부에 형성된 열산화막을 제거한다. 이 후, 예컨대CVD법을 이용하여,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에 절연층(6)을 형성한다. 또, PEP 및 RIE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절연층(6)을 패터닝하고, 절연층(6)에 p++형 접촉층(4A)에 도달하는 접촉구멍을 형성한다. 이 후, 스퍼터법이나 CVD법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p++형 접촉층(4A)상에 약 0.05㎛의 전극(3)을 형성한다.
이 후, 예컨대 온도 약 450℃의 질소분위기중에 있어서, 시간 약 30분의 열처리를 행하여 콜렉터전극(3)을 구성하는 원자(예컨대, 알루미늄)를, 반도체기판(1)내, 즉 p++형 접촉층(4A)내에 확산시켜 실리사이드층(5)을 형성한다. 여기서, 실리사이드층(5)의 두께(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의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 p++형 접촉층(4A)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위치까지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같게 한다
예컨대, p++형 접촉층(4A)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가 반도체기판(1)의 표면으로부터 약 0.04㎛의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실리사이드층(5)의 두께도 약 0.04㎛로 한다.
이에 따라, 전극접촉부에서의 콜렉터전극(3)과 p+형 에미터층(2A)의 접촉저항을 저감시킨다.
또한, 실리사이드층(5)을 형성한 후에, 콜렉터전극(3)을 더 겹쳐 쌓아도 좋다.
이상의 제조방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IGBT가 완성된다.
[E] 제5실시예
본 예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이른바 콜렉터 쇼트(short: 단락)형(또는 애노드 쇼트형) IGBT에, 상술한 제1실시형태에 따른 전극접촉구조를 적용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로서의 IGBT를 나타내고 있다.
n형 반도체기판(n형 베이스층; 1)의 일면 측에는 p형 베이스층(7)이 형성되고, p형 베이스층(7)내에는 n+형 에미터층(8)이 형성된다. 반도체기판(1)의 일면 측의 표면영역에 있어서, n형 베이스층(1)과 n+형 에미터층(8) 사이의 p형 베이스층(채널부; 7)상에는 절연층(9)을 매개로 해서 게이트전극(10)이 형성된다. 또, p형 베이스층(7)상 및 n+형 에미터층(8)상에는, 이들 p형 베이스층(7) 및 n+형 에미터층(8)에 접촉하는 에미터전극(11)이 형성된다.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에는, 복수의 p+형 에미터층(2B) 및 복수의 n+형 베이스층(12)이 형성된다. p+형 에미터층(2B)은 p형 불순물, 예컨대 보론(B)을 함유하고 있다. p+형 에미터층(2B)의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 1.0㎛ 이하, 예컨대 0.8㎛정도로 설정된다. 또, p+형 에미터층(2B)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치는 1017∼1018cm-3의 범위로 설정된다.
p+형 에미터층(2B)내에는 p++형 접촉층(4B)이 형성되고, p++형 접촉층(4B)상에는 콜렉터전극(3)이 형성된다. 또, p++형 접촉층(4B)은 p+형 에미터층(2B)과 콜렉터전극(3)의 사이에 배치되고, p+형 에미터층(2B)보다도 높은 불순물농도를 갖는다.
예컨대, p++형 접촉층(4B)은 보론(B), 불화보론(BF2) 등의 p형 불순물을 함유하고, 그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치는 1019cm-3이상, 그 표면농도는 1018cm-3이상으로 설정된다. 또, p++형 접촉층(4B)의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 0.2㎛ 이하, 예컨대 0.16㎛정도로 설정된다. 또 콜렉터전극(3)은, 예컨대 알루미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극접촉구조에 의하면, 먼저 복수의 p+형 에미터층(2B)은 낮은 불순물농도를 갖고, 또한 그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 1.0㎛ 이하로 충분히 얕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IGBT의 턴오프시에 있어서의 캐리어(정공)의 주입효율을 저감할 수 있고, 턴오프를 고속화할 수 있다.
또, p+형 에미터층(2B)과 콜렉터전극(3)의 사이에는, p+형 에미터층(2B)보다도 높은 불순물농도를 갖는 p++형 접촉층(4B)이 배치된다. 이 p++형 접촉층(4B)의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 0.2㎛ 이하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p++형 접촉층(4B)이 턴오프시에 있어서의 캐리어 주입효율에 영향을 주는일은 없다. 즉, p++형 접촉층(4B)에 의해 캐리어 주입효율이 증대되는 일은 없다.
또, p++형 접촉층(4B)은 충분히 높은 불순물농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전극접촉부의 접촉저항도 저감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IGBT의 전극접촉부에 의하면, 접촉저항을 충분히 낮출 수 있는 동시에, 캐리어 주입효율의 저감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반도체기판(1)이 n형이고, 에미터층(2B) 및 접촉층(4B)이 p형이었지만, 그 대신에 반도체기판(1)을 p형으로 하고, 에미터층(2B) 및 접촉층(4B)을 n형으로 해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에는 도 10에 나타낸 IGBT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예컨대 1.5×1014cm-2정도의 불순물농도를 갖는 n형 반도체기판(예컨대, 실리콘기판; 1)을 준비한다. 그리고, 반도체기판(1)의 일면 측에 p형 베이스층(7), n+형 에미터층(8), 절연층(9), 게이트전극(10) 및 에미터전극(11)을 각각 형성한다.
이 후, 이온주입법에 의해,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에, n형 불순물, 예컨대 인(P)을 주입하고, 또한 열확산처리를 행하면,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영역에 n+형 베이스층(12)이 형성된다.
또, 이온주입법에 의해,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에, p형 불순물, 예컨대 보론(B)을 주입한다. 이때의 이온주입조건은, 예컨대 가속전압 60keV정도, 도즈량 1×1013cm-2정도로 설정된다. 이 후, 예컨대 온도 약 1050℃의 질소분위기중에 있어서 시간 약 20분의 열확산처리를 행하면,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 의 깊이가 약 0.8㎛의 복수의 p+형 에미터층(2B)이 형성된다.
다음에, 이온주입법에 의해,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p+형 에미터층(2B)내에, p형 불순물, 예컨대 보론(B)을 주입한다. 이때의 이온주입조건은, 예컨대 가속전압 10keV정도, 도즈량 1×1014cm-2정도로 설정된다. 이 후, 예컨대 온도 약 800℃의 질소분위기중에 있어서 시간 약 30분의 열확산처리를 행하면,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의 깊이가 약 0.16㎛의 p++형 접촉층(4B)이 형성된다.
p++형 접촉층(4B)은, 그 깊이가 대단히 얕고 또한 그 불순물농도가 대단히 높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가속전압을 낮게 설정하고, 도즈량을 높게 설정하며, 또한 열확산처리의 시간을 짧게 하면, 얕으면서 불순물농도가 낮은 p++형 접촉층(4B)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예컨대 p형 불순물을 보론(B)으로부터 불화보론(BF2)으로 바꾸고(가벼운 원소로부터 무거운 원소로 변경한다), 이 불화보론을 반도체기판(1)내의 p+형 에미터층(2B)에 주입하여 p++형 접촉층(4B)을 형성해도 좋다.
다음으로, 예컨대 불화안티몬을 이용하여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부, 즉 p++형 접촉층(4B)의 표면부에 형성된 열산화막을 제거한다. 이 후, 스퍼터법이나 CVD법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복수의 p++형 접촉층(4B) 및 n+형 베이스층(12)에 접촉하는 콜렉터전극(3)을 형성한다.
이 후, 예컨대 온도 약 450℃의 질소분위기중에 있어서, 시간 약 30분의 열처리를 행하여 콜렉터전극(3)을 구성하는 원자(예컨대, 알루미늄)를, 반도체기판(1)내, 즉 p++형 접촉층(4B)내 및 n+형 베이스층(12)내에 확산시켜 콜렉터전극(3)과 p++형 접촉층(4B)의 접촉저항 및 콜렉터전극(3)과 n+형 베이스층(12)의 접촉저항을 저감시킨다.
이상의 제조방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IGBT가 완성된다.
[F] 제6실시예
본 예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이른바 콜렉터 쇼트형(또는 애노드 쇼트형) IGBT에, 상술한 제2실시형태에 따른 전극접촉구조를 적용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로서의 IGBT를 나타내고 있다.
n형 반도체기판(n형 베이스층; 1)의 일면 측에는 p형 베이스층(7)이 형성되고, p형 베이스층(7)내에는 n+형 에미터층(8)이 형성된다. 반도체기판(1)의 일면 측의 표면영역에 있어서, n형 베이스층(1)과 n+형 에미터층(8) 사이의 p형 베이스층(채널부; 7)상에는 절연층(9)을 매개로 해서 게이트전극(10)이 형성된다.또, p형 베이스층(7)상 및 n+형 에미터층(8)상에는, 이들 p형 베이스층(7) 및 n+형 에미터층(8)에 접촉하는 에미터전극(11)이 형성된다.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에는, 복수의 p+형 에미터층(2B) 및 n+형 베이스층(12)이 형성된다. p+형 에미터층(2B)은 p형 불순물, 예컨대 보론(B)을 함유하고 있다. p+형 에미터층(2B)의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 1.0㎛ 이하, 예컨대 0.8㎛정도로 설정된다. 또, p+형 에미터층(2B)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치는 1017∼1018cm-3의 범위로 설정된다.
p+형 에미터층(2B)내에는 p++형 접촉층(4B)이 형성되고, p++형 접촉층(4B)상 및 n+형 베이스층(12)상에는 콜렉터전극(3)이 형성된다. 또, p++형 접촉층(4B)은 p+형 에미터층(2B)과 콜렉터전극(3)의 사이에 배치되고, p+형 에미터층(2B)보다도 높은 불순물농도를 갖는다.
예컨대, p++형 접촉층(4B)은 보론(B), 불화보론(BF2) 등의 p형 불순물을 함유하고, 그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치는 1019cm-3이상, 그 표면농도는 1018cm-3이상으로 설정된다. 또, p++형 접촉층(4B)의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 0.2㎛ 이하, 예컨대 0.16㎛정도로 설정된다. 또 콜렉터전극(3)은, 예컨대 알루미늄으로 구성된다.
더욱이, 본 예에서는, 콜렉터전극(3)과 p++형 접촉층(4B)의 사이 및 콜렉터전극(3)과 n+형 베이스층(12)의 사이에 실리사이드층(5)이 형성된다. 실리사이드층(5)은, 예컨대 열처리에 의해 콜렉터전극(3)을 구성하는 원자(예컨대, 알루미늄)가 반도체기판(1)을 구성하는 원자(실리콘)와 반응함으로써 형성된다.
실리사이드층(5)의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의 깊이는, p++형 접촉층(4B)의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의 깊이와 같거나, 또는 그 보다도 얕아지도록 설정된다. 본 예에서는, p++형 접촉층(4B)의 깊이가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 0.2㎛ 이하로 설정되기 때문에, 실리사이드층(5)의 깊이도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 0.2㎛ 이하로 설정된다.
그런데, 접촉저항을 최대한으로 저감하기 위해서는, 실리사이드층(5)의 밑면의 위치가 p++형 접촉층(4B)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위치와 일치하도록 설정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p++형 접촉층(4B)의 가장 저항이 낮은 부분(농도프로파일의 피크위치)과 콜렉터전극(3)을 실리사이드층(5)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접촉저항의 저감을 도모한다.
이러한 전극접촉구조에 의하면, 먼저 p+형 에미터층(2B)은 낮은 불순물농도를 갖고, 또한 그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 1.0㎛ 이하로 충분히 얕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IGBT의 턴오프시에 있어서의 캐리어(정공)의 주입효율을 저감할 수 있고, 턴오프를 고속화할 수 있다.
또, p+형 에미터층(2B)과 콜렉터전극(3)의 사이에는, p+형 에미터층(2B)보다도 높은 불순물농도를 갖는 p++형 접촉층(4B)이 배치된다. 이 p++형 접촉층(4B)의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 0.2㎛ 이하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p++형 접촉층(4B)이 턴오프시에 있어서의 캐리어 주입효율에 영향을 주는 일은 없다. 즉, p++형 접촉층(4B)에 의해 캐리어 주입효율이 증대되는 일은 없다.
또, p++형 접촉층(4B)은 충분히 높은 불순물농도를 갖고, 또한 콜렉터전극(3)과 p++형 접촉층(4B)의 사이 및 콜렉터전극(3)과 n+형 베이스층(12)의 사이에는 실리사이드층(5)이 형성된다. 또, 실리사이드층(5)의 밑면의 위치는, p++형 접촉층(4B)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위치와 일치한다. 이 때문에, 전극접촉부의 접촉저항도 저감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IGBT의 전극접촉부에 의하면, 접촉저항을 충분히 낮출 수 있는 동시에, 캐리어 주입효율의 저감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반도체기판(1)이 n형이고, 에미터층(2B) 및 접촉층(4B)이 p형이었지만, 그 대신에 반도체기판(1)을 p형으로 하고, 에미터층(2B)및 접촉층(4B)을 n형으로 해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에는 도 11에 나타낸 IGBT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예컨대 1.5×1014cm-2정도의 불순물농도를 갖는 n형 반도체기판(예컨대, 실리콘기판; 1)을 준비한다. 그리고, 반도체기판(1)의 일면 측에 p형 베이스층(7), n+형 에미터층(8), 절연층(9), 게이트전극(10) 및 에미터전극(11)을 각각 형성한다.
이 후, 이온주입법에 의해,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에, n형 불순물, 예컨대 인(P)을 주입하고, 또한 열확산처리를 행함으로써 n+형 베이스층(12)을 형성한다.
또, 이온주입법에 의해,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에, p형 불순물, 예컨대 보론(B)을 주입한다. 이때의 이온주입조건은, 예컨대 가속전압 60keV정도, 도즈량 1×1013cm-2정도로 설정된다. 이 후, 예컨대 온도 약 1050℃의 질소분위기중에 있어서 시간 약 20분의 열확산처리를 행하면,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 의 깊이가 약 0.8㎛의 복수의 p+형 에미터층(2B)이 형성된다.
다음에, 이온주입법에 의해,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p+형 에미터층(2B)내에, p형 불순물, 예컨대 보론(B)을 주입한다. 이때의 이온주입조건은, 예컨대 가속전압 10keV정도, 도즈량 1×1014cm-2정도로 설정된다. 이 후, 예컨대 온도 약 800℃의 질소분위기중에 있어서 시간 약 30분의 열확산처리를 행하면,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의 깊이가 약 0.16㎛의 p++형 접촉층(4B)이 형성된다.
p++형 접촉층(4B)은, 그 깊이가 대단히 얕고 또한 그 불순물농도가 대단히 높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가속전압을 낮게 설정하고, 도즈량을 높게 설정하며, 또한 열확산처리의 시간을 짧게 하면, 얕으면서 불순물농도가 낮은 p++형 접촉층(4B)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예컨대 p형 불순물을 보론(B)으로부터 불화보론(BF2)으로 바꾸고(가벼운 원소로부터 무거운 원소로 변경한다), 이 불화보론을 반도체기판(1)내의 p+형 에미터층(2B)에 주입하여 p++형 접촉층(4B)을 형성해도 좋다.
다음으로, 예컨대 불화안티몬을 이용하여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부, 즉 p++형 접촉층(4B)의 표면부에 형성된 열산화막을 제거한다. 이 후, 스퍼터법이나 CVD법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복수의 p++형 접촉층(4B)상 및 n+형 베이스층(12)상에 약 0.05㎛의 전극(3)을 형성한다.
이 후, 예컨대 온도 약 450℃의 질소분위기중에 있어서, 시간 약 30분의 열처리를 행하여 콜렉터전극(3)을 구성하는 원자(예컨대, 알루미늄)를, 반도체기판(1)내, 즉 p++형 접촉층(4B)내 및 n+형 베이스층(12)내에 확산시켜 실리사이드층(5)을 형성한다. 여기서, 실리사이드층(5)의 두께(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의 깊이)는 반도체기판(1)의 타면 측의 표면으로부터 p++형 접촉층(4B)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위치까지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같게 한다
예컨대, p++형 접촉층(4B)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가 반도체기판(1)의 표면으로부터 약 0.04㎛의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실리사이드층(5)의 두께도 약 0.04㎛로 한다.
이에 따라, 전극접촉부에서의 콜렉터전극(3)과 p+형 에미터층(2B)의 접촉저항 및 콜렉터전극(3)과 n+형 베이스층(12)의 접촉저항을 저감시킨다.
또한, 실리사이드층(5)을 형성한 후에, 콜렉터전극(3)을 더 겹쳐 쌓아도 좋다.
이상의 제조방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IGBT가 완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p형 불순물층(p+형 에미터층)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치는 1017∼1018cm-3의 범위이고, 또한 그 깊이는 반도체기판의 표면으로부터 1.0㎛ 이하로 충분히 얕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컨대 IGBT의 턴오프시에 있어서의 캐리어(정공)의 주입효율을 저감할 수 있고, IGBT의 턴오프를 고속화할 수 있다.
또, p형 불순물층(p+형 에미터층)과 전극의 사이에는, p형 불순물층보다도높은 불순물농도를 갖는 p+형 접촉층이 배치된다. 이 p+형 접촉층의 깊이는, 반도체기판의 표면으로부터 0.2㎛ 이하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p+형 접촉층이 IGBT의 턴오프시에 있어서의 캐리어 주입효율에 영향을 주는 일은 없다. 또, p+형 접촉층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치는 1019cm-3정도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극접촉부의 접촉저항도 저감된다.
더욱이, p+형 접촉층은 충분히 높은 불순물농도를 갖고, 또한 전극과 p+형 접촉층의 사이에는 실리사이드층이 형성된다. 또, 실리사이드층의 밑면의 위치는 p+형 접촉층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위치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설정된다. 이 때문에, 전극접촉부의 접촉저항이 더 저감된다.

Claims (15)

  1. 제1도전형의 반도체기판과,
    상기 반도체기판의 일면 측에 형성되고, 상기 반도체기판의 표면으로부터 1.0㎛ 이하의 두께를 갖는 제2도전형의 불순물층,
    상기 불순물층내에 형성되고, 상기 반도체기판의 표면으로부터 0.2㎛ 이하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불순물층의 두께보다도 얇고, 상기 불순물층의 불순물농도보다도 진한 제2도전형의 접촉층 및,
    상기 접촉층상에 형성되는 제1전극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층은 상기 불순물층으로부터 상기 반도체기판으로 캐리어를 주입하는 것을 목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층은 상기 제1전극과 상기 불순물층의 접촉저항을 낮추는 것을 목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캐리어의 주입에 기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기판의 타면 측에 형성되는 제2전극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의 사이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장치는 IGB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층은 상기 반도체기판의 일면 측의 전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층은 상기 반도체기판의 일면 측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7. 제1도전형의 반도체기판과,
    상기 반도체기판의 일면 측에 형성되는 제2도전형의 불순물층,
    상기 불순물층내에 형성되고, 상기 불순물층의 두께보다도 얇으며, 상기 불순물층의 불순물농도보다도 진한 제2도전형의 접촉층,
    상기 접촉층상에 형성되는 제1전극 및,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접촉층의 사이에 형성되는 실리사이드층을 구비하고,
    상기 실리사이드층의 상기 접촉층 측의 면은 상기 접촉층의 농도프로파일의 피크위치와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층은 상기 불순물층으로부터 상기 반도체기판으로 캐리어를 주입하는 것을 목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층은 상기 제1전극과 상기 불순물층의 접촉저항을 낮추는 것을 목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캐리어의 주입에기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기판의 타면 측에 형성되는 제2전극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의 사이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장치는 IGB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층은 상기 반도체기판의 표면으로부터 1.0㎛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층은 상기 반도체기판의 표면으로부터 0.2㎛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사이드층은 상기 반도체기판의 표면으로부터 0.2㎛ 이하의 두께를 갖고, 상기 접촉층의 두께보다도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층은 상기 반도체기판의 일면 측의 전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층은 상기 반도체기판의 일면 측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KR10-2001-0025564A 2000-05-15 2001-05-10 반도체장치 KR1003915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41914A JP3727827B2 (ja) 2000-05-15 2000-05-15 半導体装置
JP2000-141914 2000-05-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231A KR20010106231A (ko) 2001-11-29
KR100391560B1 true KR100391560B1 (ko) 2003-07-12

Family

ID=18648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5564A KR100391560B1 (ko) 2000-05-15 2001-05-10 반도체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010040255A1 (ko)
EP (1) EP1156532A3 (ko)
JP (1) JP3727827B2 (ko)
KR (1) KR100391560B1 (ko)
CN (1) CN1218399C (ko)
TW (1) TWI2859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8227B1 (en) * 1995-03-23 2008-03-2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E10250575B4 (de) * 2002-10-30 2010-04-15 Infineon Technologies Ag IGBT mit monolithisch integrierter antiparalleler Diode
JP2005057235A (ja) 2003-07-24 2005-03-03 Mitsubishi Electric Corp 絶縁ゲート型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インバータ回路
JP2005333055A (ja) * 2004-05-21 2005-12-02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半導体装置
CN100461619C (zh) * 2004-12-24 2009-02-11 立积电子股份有限公司 功率放大器及其形成方法
JP2006210606A (ja) * 2005-01-27 2006-08-10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6228961A (ja) * 2005-02-17 2006-08-31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半導体装置
DE102005032074B4 (de) * 2005-07-08 2007-07-26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Halbleiterbauelement mit Feldstopp
JP2008042013A (ja) * 2006-08-08 2008-02-21 Sanyo Electric Co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DE102007057728B4 (de) * 2007-11-30 2014-04-30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albleiterbauelements mit einer Kurzschlusstruktur
US8507352B2 (en) * 2008-12-10 2013-08-13 Denso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nd diode
TWI402985B (zh) * 2009-06-02 2013-07-21 Anpec Electronics Corp 絕緣閘雙極電晶體與二極體之整合結構及其製作方法
WO2012042640A1 (ja) * 2010-09-30 2012-04-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装置
WO2012056536A1 (ja) 2010-10-27 2012-05-03 富士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5621621B2 (ja) * 2011-01-24 2014-11-12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と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9478646B2 (en) 2011-07-27 2016-10-25 Alpha And Omega Semiconductor Incorporated Methods for fabricating anode shorted field stop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JP5979993B2 (ja) 2012-06-11 2016-08-31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狭アクティブセルie型トレンチゲートigbtの製造方法
WO2015049788A1 (ja) * 2013-10-04 2015-04-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力変換器
JP2016201563A (ja) * 2016-07-26 2016-12-01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狭アクティブセルie型トレンチゲートigbt
JP7361634B2 (ja) * 2020-03-02 2023-10-16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8111A (ja) * 1991-08-12 1993-02-26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61495A (ja) * 1992-08-07 1994-03-04 Hitachi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法
JPH06310725A (ja) * 1993-04-21 1994-11-04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318706A (ja) * 1993-03-08 1994-11-15 Fuji Electric Co Ltd 半導体装置
JPH09199713A (ja) * 1996-01-16 1997-07-31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
KR0134794B1 (ko) * 1992-08-15 1998-04-20 사또 후미오 전도도 변조형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13509A (ko) * 1998-08-10 2000-03-06 김덕중 다층 버퍼 구조를 갖는 절연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그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3924A (en) * 1975-02-07 1977-10-11 California Linear Circuits, Inc. Ion-implanted semiconductor abrupt junction
JPS6223170A (ja) 1985-07-23 1987-01-31 Nec Corp 電力用縦型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US5166770A (en) * 1987-04-15 1992-11-2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ilicided structures having openings therein
JPS6447066U (ko) 1987-09-17 1989-03-23
JP2706120B2 (ja) * 1988-02-12 1998-01-28 アゼア ブラウン ボヴェリ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Gtoパワーサイリスタ
JPH0648729B2 (ja) 1988-02-24 1994-06-22 シーメンス、アクチエンゲゼルシシヤフト 電界効果制御可能の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
JPH0691263B2 (ja) * 1988-10-19 1994-11-14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DE69029180T2 (de) * 1989-08-30 1997-05-22 Siliconix Inc Transistor mit Spannungsbegrenzungsanordnung
US5270230A (en) 1990-04-20 1993-12-14 Fuji Electric Co., Ltd. Method for making a conductivity modulation MOSFET
JP2663679B2 (ja) * 1990-04-20 1997-10-15 富士電機株式会社 伝導度変調型mosfet
JPH05152574A (ja) * 1991-11-29 1993-06-18 Fuji Electric Co Ltd 半導体装置
DE4313170A1 (de) * 1993-04-22 1994-10-27 Abb Management Ag Leistungshalbleiterbauelement
JPH0758322A (ja) 1993-08-13 1995-03-03 Toshiba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EP0696066A3 (en) * 1994-06-30 1998-06-24 Hitachi, Ltd. Semiconductor switching device and power converter
DE19534388B4 (de) * 1994-09-19 2009-03-19 International Rectifier Corp., El Segundo IGBT-Transistorbauteil
US5985708A (en) * 1996-03-13 1999-11-16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of manufacturing vertical power device
DE19710731B4 (de) 1996-03-15 2006-02-16 Fairchild Korea Semiconductor Ltd., Puchon Leistungshalbleiterbautei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5851857A (en) * 1996-09-04 1998-12-22 Ixys Corporation High voltage power MOS device
DE19731495C2 (de) * 1997-07-22 1999-05-20 Siemens Ag Durch Feldeffekt steuerbarer Bipolartransisto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6482681B1 (en) * 2000-05-05 2002-11-19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Hydrogen implant for buffer zone of punch-through non epi IGBT
JP2003069019A (ja) 2001-08-29 2003-03-07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84227B2 (ja) 2004-01-15 2007-10-03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8111A (ja) * 1991-08-12 1993-02-26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61495A (ja) * 1992-08-07 1994-03-04 Hitachi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法
KR0134794B1 (ko) * 1992-08-15 1998-04-20 사또 후미오 전도도 변조형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H06318706A (ja) * 1993-03-08 1994-11-15 Fuji Electric Co Ltd 半導体装置
JPH06310725A (ja) * 1993-04-21 1994-11-04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199713A (ja) * 1996-01-16 1997-07-31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
KR20000013509A (ko) * 1998-08-10 2000-03-06 김덕중 다층 버퍼 구조를 갖는 절연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그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25005A1 (en) 2006-06-15
KR20010106231A (ko) 2001-11-29
JP2001326353A (ja) 2001-11-22
CN1218399C (zh) 2005-09-07
US20010040255A1 (en) 2001-11-15
TWI285955B (en) 2007-08-21
EP1156532A2 (en) 2001-11-21
CN1324111A (zh) 2001-11-28
US7271040B2 (en) 2007-09-18
JP3727827B2 (ja) 2005-12-21
EP1156532A3 (en) 2003-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1560B1 (ko) 반도체장치
US616898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localized reduction of the lifetime of charge carriers, particularly in integrated electronic devices
US8343862B2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a field stop zone and process of producing the same
US5342797A (en) Method for forming a vertical power MOSFET having doped oxide side wall spacers
KR100270796B1 (ko) 자기정렬셀을 가진 mos게이트소자의 제조방법
CN102903633A (zh) 用于制备阳极短路的场阑绝缘栅双极晶体管的方法
KR930002594B1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US4404738A (en) Method of fabricating an I2 L element and a linear transistor on one chip
US6448588B2 (e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having high breakdown voltage in reverse blocking mode
KR100292718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H04363046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911715B2 (en) Bipolar transisto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5118638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OS type semiconductor devices
KR100293618B1 (ko) 수직형및수평형바이폴라트랜지스터를구비한반도체장치및그제조방법
KR100299912B1 (ko)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KR100273120B1 (ko)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930010118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JPS6167959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WO1996004685A1 (en) A power semiconductor device
KR0148699B1 (ko) 반도체소자
KR100275755B1 (ko) 고전력 바이폴라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CN117238947A (zh) 一种igbt元胞优化方法及igbt元胞结构
KR20000051297A (ko) 전력용 디모스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JPH05109748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67237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