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7237A -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7237A
KR19980067237A KR1019970003153A KR19970003153A KR19980067237A KR 19980067237 A KR19980067237 A KR 19980067237A KR 1019970003153 A KR1019970003153 A KR 1019970003153A KR 19970003153 A KR19970003153 A KR 19970003153A KR 19980067237 A KR19980067237 A KR 19980067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concentration
impurity layer
layer
semiconductor device
conductivity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3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현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70003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7237A/ko
Publication of KR19980067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237A/ko

Links

Landscapes

  • Thyris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 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과, 상기 제 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 위에 고농도 및 저농도의 이중 층으로 형성된 제 2 도전형의 불순물층과, 상기 저농도의 불순물층에 다수의 셀로 형성된 제 1 도전형의 웰 영역과, 상기 웰 영역 내에 각 각 형성된 제 2 도전형의 고농도 에미터 영역과, 상기 에미터 영역 위에 각 각 형성된 에미터 전극과, 게이트 산화막 위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으로 구비된 반도체 소자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형의 불순물층 중 고농도의 불순물층은 포스포러스 프리 디포지션(Phosphorus Pre deposition)법을 이용하여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기술보다 더욱 고농도의 버퍼층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정공의 주입을 더욱 억제할 수 있으므로 스위칭 속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 IGBT)의 N+ 형 버퍼(Buffer)층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 중에서, 예를 들어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IGBT)의 기본 구조는, 도 1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력 모스 트랜지스터(Power MOSFFET)의 기본 구조에서 콜렉터측의 N+ 층(12)과 인접하게 P+ 층(11)을 추가하여 PN 접합을 하나의 형태로 구성한다.
즉, 상기 소자의 기본이되는 반도체 기판은 3 가의 이온이 고농도로 도핑된 P+ 실리콘 기판(11) 위에 5 가의 N 형 이온이 고농도로 도핑된 N+ 에피층(12)과 저농도로 도핑된 N- 에피층(13)을 이중 에피 성장법을 이용하여 위로부터 N-, N+ 층의 이중 에피 구조를 갖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IGBT)에서는 턴 온시에 P+ 기판(11)으로부터 N+ 버퍼층(12)을 지나 N- 층(13)으로 주입된 정공은 전도도 변조 효과를 유발하여 전자를 끌어 당기므로 N- 층(13)의 전자 밀도가 증가하고, N- 층(13)의 저항을 낮춰준다.
즉, N+ 버퍼층(12)의 농도에 따라 P+ 기판(11)으로부터 주입되는 정공의 양이 조절되는 데, N+ 농도가 높으면 정공 주입량이 줄고 N+ 농도가 낮으면 정공 주입량이 많아진다.
그러므로, 정공의 주입량에 따라 소자의 특성이 달라져 이의 주입량이 많으면 콜렉터-에미터간 포화 전압이 낮아지고 스위칭 시간이 길어지는 반면, 주입량이 적으면 콜렉터-에미터간 포화 전압이 커지고 스위칭 타임이 짧아진다. 응용 세트(SET)에 따라서 포화 전압이 낮아야 하는 경우와 스위칭 속도가 빨라야 하는 경우가 있는 데, 특히 스위칭 속도가 빨라야 하는 경우에는 N+ 버퍼의 농도를 높여 정공의 주입을 억제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에피 성장 방법으로는 N+ 버퍼의 농도를 높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단지 버퍼 농도의 조절에 의하여 스위칭 속도를 일정치 이상으로 빠르게 하기는 불가능한 문제점을 내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N+버퍼층의 형성 방법을 에피 성장법으로 하지 않고 포스포러스 프리 디포지션(Phosphorus Pre deposition)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시키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제 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과, 상기 제 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 위에 고농도 및 저농도의 이중 층으로 형성된 제 2 도전형의 불순물층과, 상기 저농도의 불순물층에 다수의 셀로 형성된 제 1 도전형의 웰 영역과, 상기 웰 영역 내에 각 각 형성된 제 2 도전형의 고농도 에미터 영역과, 상기 에미터 영역 위에 각 각 형성된 에미터 전극과, 게이트 산화막 위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으로 구비된 반도체 소자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형의 불순물층 중 고농도의 불순물층은 포스포러스 프리 디포지션(Phosphorus Pre deposition)법을 이용하여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수직 단면을 따라 주입된 불순물의 농도 분포 및 기울기를 나타낸 도표.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반도체 소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P+ 형 반도체기판, 12 : N+ 형 버퍼층,
13 : N- 형 에피층, 14 : P 형 웰 영역,
15 : N+ 형 에미터 영역, 16 : 게이트 산화막,
17 : 게이트 전극, 18 : 에미터 전극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반도체 소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P+ 형의 반도체 기판(11) 위에 고농도 및 저농도의 이중 층의 불순물층인 N+ 형의 버퍼층(12) 및 N- 형의 에피층(13)이 형성된다.
특히, 고농도의 불순물층인 N+ 형의 버퍼층(12)은 종래의 에피 성장법과는 달리 포스포러스 프리 디포지션(Phosphorus Pre deposition)법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포스포러스 프리 디포지션 온도는 900℃ ∼ 1150 ℃범위 내로 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고농도 불순물층의 두께는 5 ∼ 20 ㎛, 그 피크(peak) 농도는 1×E17 ∼ 1×E19/㎤ 로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저농도의 불순물층인 N- 형의 에피층(13)에 다수의 셀로 형성된 P 형의 웰(Well) 영역(14)이 형성되고, 상기 웰 영역(14) 내에 각 각 N+ 형의 에미터 영역(15)이 형성된다.
상기 에미터 영역(15) 위에는 에미터 전극(17)이 형성되고, 게이트 산화막(16) 위에는 게이트 전극(18)이 형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기술보다 더욱 고농도의 버퍼층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정공의 주입을 더욱 억제할 수 있으므로 스위칭 속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제 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과, 상기 제 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 위에 고농도 및 저농도의 이중 층으로 형성된 제 2 도전형의 불순물층과, 상기 저농도의 불순물층에 다수의 셀로 형성된 제 1 도전형의 웰 영역과, 상기 웰 영역 내에 각 각 형성된 제 2 도전형의 고농도 에미터 영역과, 상기 에미터 영역 위에 각 각 형성된 에미터 전극과, 게이트 산화막 위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으로 구비된 반도체 소자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형의 불순물층 중 고농도의 불순물층은 포스포러스 프리 디포지션(Phosphorus Pre deposition)법을 이용하여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포러스 프리 디포지션 온도는 900℃ ∼ 1150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농도 불순물층의 두께는 5 ∼ 2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농도 불순물층의 피크(peak) 농도는 1×E17 ∼ 1×E1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19970003153A 1997-01-31 1997-01-31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99800672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3153A KR19980067237A (ko) 1997-01-31 1997-01-31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3153A KR19980067237A (ko) 1997-01-31 1997-01-31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237A true KR19980067237A (ko) 1998-10-15

Family

ID=65983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3153A KR19980067237A (ko) 1997-01-31 1997-01-31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72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7974B2 (en) 2008-01-23 2011-09-1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with increased withstand volta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7974B2 (en) 2008-01-23 2011-09-1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with increased withstand voltage
US8274095B2 (en) 2008-01-23 2012-09-2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6528B1 (ko) 주입된 측벽들을 가진 게이트 트렌치들을 갖는 전력 반도체 디바이스들 및 관련 방법들
JP5805756B2 (ja) パワー半導体デバイス
US6921941B2 (en) High withstand voltage field effect semiconductor device with a field dispersion region
CN102903633A (zh) 用于制备阳极短路的场阑绝缘栅双极晶体管的方法
CN109713037B (zh) 一种绝缘栅双极性晶体管器件及其制备方法
KR100391560B1 (ko) 반도체장치
US11869940B2 (en) Feeder design with high current capability
US20080290366A1 (en) Soi Vertical Bipolar Power Component
CN112701159A (zh) 一种多沟道沟槽绝缘栅双极型晶体管及其制造方法
US6448588B2 (e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having high breakdown voltage in reverse blocking mode
KR100292718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4188400A (zh) 一种NPN功率SiGe双极晶体管及其制作方法
CN116504817B (zh) 开关速度快且损耗低的rc-igbt结构及其制备方法
CN113130650A (zh) 功率半导体器件及其制备工艺
CN109728085A (zh) 一种逆导型绝缘栅双极性晶体管
KR20190124894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N113782586A (zh) 一种多通道超结igbt器件
KR19980067237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US7291899B2 (en) Power semiconductor component
JP2001274414A (ja) 電力用半導体素子およびその駆動方法
CN106876441B (zh) 具有固定界面电荷场限环的功率器件
CN213459737U (zh) 新型高抗动态闩锁能力的功率器件
CN216871974U (zh) 一种多通道超结igbt器件
CN116387357B (zh) 逆导型绝缘栅双极型晶体管元胞结构、制造方法及器件
CN115241282B (zh) 一种SiC MOSFET器件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