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7105B1 - 에어백도어부를구비한차량용내장부재및그성형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백도어부를구비한차량용내장부재및그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7105B1
KR100307105B1 KR1019980709553A KR19980709553A KR100307105B1 KR 100307105 B1 KR100307105 B1 KR 100307105B1 KR 1019980709553 A KR1019980709553 A KR 1019980709553A KR 19980709553 A KR19980709553 A KR 19980709553A KR 100307105 B1 KR100307105 B1 KR 100307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door
airbag
rupture
interior member
vehicle in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9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5992A (ko
Inventor
히데아끼 다까하시
Original Assignee
와다 아끼히로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3237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76516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05357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428402B2/ja
Application filed by 와다 아끼히로,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다 아끼히로
Publication of KR20000015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7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71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mould parts movable during or after injection, e.g. injection-compres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8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of objects with parts connected by a thin section, e.g. hinge, tear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1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specially adapted for elongated cylindrical or bottle-like inflators with a symmetry axis perpendicular to the main direction of bag deployment, e.g. extruded reaction cani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29L2031/3038Air bag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021/2172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the cover being connected to the surrounding part and to the module, e.g. floating mounts

Abstract

계기판(10)의 에어백 도어부(20)의 전후 방향 대략 중앙부와 좌우 방향 양단부에는 파열부(24)가 평면으로 보아 H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에어백 도어부(20)에는 파열부(24)의 중앙부(24A)를 사이에 둔 차량 전후 방향 양측 부위에 돌기 (28, 30)가 하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이들 돌기(28, 30)는 에어백 도어부(20)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는 전개되는 에어백 주머니(18)가 돌기(28, 30)의 하면(28A, 30A)에 접촉하여 돌기(28, 30)를 상방으로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차량용 내장 부재의 에어백 도어부와 본체부를 동일 수지로 성형한 경우에도 외관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고, 또한 에어백 도어부의 파단부의 파단력을 소망하는 값으로 저하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 및 그 성형 방법 {INTERIOR MEMBER HAVING AN AIRBAG DOOR SECTION FOR USE IN VEHICLES, AND ITS MOLDING METHOD}
종래,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계기판, 도어 트림, 센터 필러 등의 차량용 내장 부재로서는 일본국 특허 공개 평8-192666호 공보에 기재된 구조가 공지되어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계기판에서는 에어백 도어용 개구부를 구비한 계기판의 본체부를 열가소성 수지로 사출 성형한 후에 에어백 도어부(개구부)를 열가소성 일래스토머로 사출 성형하는, 소위 2색 성형(더블 인젝션 성형)에 의해 계기판의 본체부와 에어백 도어부가 일체 성형되어 있다. 또, 일반적으로 알려진 구조로서 별개 부재의에어백 도어(열가소성 일레스토머로 사출 성형한 것)를 나중에 부착한 계기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계기판에 있어서, 에어백 도어부의 수지를 본체부의 수지로 바꾸지 않고 계기판 전체를 동일한 수지로 구성한 경우에는 본체부 수지의 특성상, 본체부 수지의 탄성율이 에어백 도어부의 수지(TPO) 탄성율에 대하여 6 내지 7배, 인장 강도로 1.5 내지 2배 높기 때문에 에어백 도어부에 형성되는 전개시의, 예를 들어 H형상 파단부(파열부)의 파단력이 동일한 두께에서는 높아져서 에어백 도어부가 전개되기 어려워지는 동시에 힌지부가 전개시에 파손되는 경우도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판단부의 수지 두께를 지나치게 얇게하면 성형시의 결함 및 덜걱거림이나 별형이 발생한다. 특히, 경질 수지 계기판에서는 용융 수축, 기복 등에 의해 의장면측에서 두께가 얇은 부분의 주변에 요철이 보이므로 외관 품질이 저하된다.
또, 의장면측에서 파단부의 라인 및 에어백 도어부의 외주가 전혀 보이지 않는(비가시형) 상태로 하려면, 파단부를 성형시에 두껍게 하여 후가공에 의해 절단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소정의 파단력을 유지한 다음에 파단부의 라인이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상당히 곤란하다. 즉, 수지 두께를 작게 하면 릴리프 홈을 실시하더라도 파단부의 라인과 기복감이 의장면측에서 보이게 되어 의장상의 외관 품질을 유지할 수 없으며, 수지 두께를 충분히 작게 할 수 없다.
그리고, 에어백 도어부에 형성되는 전개시의 파단부(파열부)의 파단력이 높아져서 에어백 도어부가 전개되기 어려워지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파단부의 수지두께를 지나치게 얇게 하면 의장면측에서 두께가 얇은 부분이 보이므로 외관 품질이 저하되는 결점은 에어백 도어부와 계기판, 도어 트림, 센터 필러 등의 차령용 내장 부재의 본체부를 다른 수지를 사용하여 2색 성형으로 일체 성형한 차량용 내장 부재와, 에어백 도어부와 계기판의 본체부를 각각 성형한 후에 걸림 갈고리나 나사못 등에 의해 일체로 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파단부에 있어서도 발생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기술로서는 도어 일체 발포 계기판에 있어서 팽창 초기에 발포층 및 표피에 응력을 집중시키는 일본국 특허 공개 평3-281457호 공보 및일본국 특허 공개 평7-179161호 공보, 후부착 수지 도어에 있어서 파열부를 다라 비트를 형성하는 일본국 특허 공개 평2-147452호 공보, 도어 일체 발포 계기판에 있어서 도어 철판 인서트 선단에 날을 설정한 일본국 특허 공개 평5-185898호 공보, 도어부와 계기판 본체가 일체 성형된 경질의 계기판에 있어서 힌지부에 보강대책을 행한 일본국 특허 공개 평7-291078호 공보, 도어 기초재와 계기판 기초재가 일체 성형된 표피 계기판에 있어서 힌지부에 보강 대책을 행한 일본국 특허 공개 평8-290749호 공보, 별개 부재 도어의 파열부에 최대 전단력을 작용시키는 리브를 일체 성형한 일본국 특허 공개 평2-283546호 공보, 관 덮개에 있어서 수지층에 얇은 라인이 피개구부를 에워싸도록 형성되고, 그 얇은 라인으로 용융 라인을 설정한 일본국 특허 공개 평2-109848호 공보, 수지 계기판의 도어부 이면에 보강재를 열코오킹하고 도어부의 파열선에 노치를 형성한 일본국 특허 공개 평7-291078호 공보, 금형 캐비티를 차단 코어로 차단하여 이색 수지를 사출하고, 사출 완료 직전에 코어 후퇴하는 일본국 특허 공개 평8-20040호 공보가 있다.
도1은 도3의 1-1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2느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부재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로서의 계기판을 도시한 차량 경사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돌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돌기를 도시한 확대 평면도이다.
도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돌기와 파열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돌기와 파열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6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돌기와 파열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6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돌기와 파열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6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차량용 내장 부재의 돌기와 파열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챠량용 내장 부재를 도시한 도1에 대응하는 측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를 도시한 작용 설명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금속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10은 본 별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를 도시한 도8에 대응하는 측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금속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를 도시한 도1d에 대응하는 측단명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를 도시한 작용 설명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를 도시한 도1에 대응하는 측단면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를 도시한 도1에 대응하는 측단면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를 도시한 도1에 대응하는 측단면도이다.
도17A는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표피 인서트 성형에 의한 표피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7B는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표피 인서트 성형에 의한 표피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7C는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표피 인서트 성형에 의한 표피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8A는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부착 성형에 의한 표피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8B는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부착 성형에 의한 표피를 도시한 단명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를 도시한 도1에 대응하는 측단면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를 도시한 도1에 대응하는 측단면도이다.
도2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를 도시한 작용 설명도이다.
도2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에어백 도어부의 이면을 도시한 확대 평면도이다.
도23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차량용 내장 부재의 홈과 파열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23B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홈과 파열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23C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홈과 파열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23D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홈과 파열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23E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홈과 파열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23F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홈과 파열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24는 도25의 1-1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2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일체로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일체로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일체로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성형 방법에 있어서의 일공정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2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일체로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성형 방법을 도시한 타이밍차트이다.
도29A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일체로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H형상의 두께가 얇은 부분에 대한 슬라이드 코어의 범위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29B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일체로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H형상의 두께가 얇은 부분에 대한 슬라이드 코어의 범위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29C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일체로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H형상의 두께가 얇은 부분에 대한 슬라이드 코어의 범위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29D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일체로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H형상의 두께가 얇은 부분에 대한 슬라이드 코어의 범위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29E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일체로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H형상의 두께가 얇은 부분에 대한 슬라이드 코어의 범위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29F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일체로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H형상의 두께가 얇은 부분에 대한 슬라이드 코어의 범위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29G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일체로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H형상의 두께가 얇은 부준에 대한 슬라이드 코어의 범위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29H는 본 발명의 응용예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일체로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자 형상의 두께가 얇은 부분에 대한 슬라이드 코어의 범위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29I는 본 발명의 응용예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일체로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자 형상의 두께가 얇은 부분에 대한 슬라이드 코어의 범위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29J는 본 발명의 응용예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일치로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자 영상의 두께가 얇은 부분에 대한 슬라이드 코어의 범위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29K는 본 발명의 응용예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일체로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자 형상의 두께가 얇은 부분에 대한 슬라이드 코어의 범위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30A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의 응용예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일체로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두께가 얇은 부분의 단면 형상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30B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의 응용예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일체로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두께가 얇은 부분의 단면 형상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3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의 응용예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일체로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성형 공정에 있어서의 일공정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32A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응용예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일체로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에어백 도어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32B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응용예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일체로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에어백 도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일체로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성형시의 압력 유지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34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의 응용예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일체로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를 도시한 도24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3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의 다른 응용예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일체로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를 도시한 도24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36은 제1 수지와 제2 수지의 용착 강도에 영향을 주는 두가지 요인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37A는 압력 유지와 파열부 파단력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37B는 코어 후퇴 타이밍과 파열부 파단력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37C는 파열부 주변의 두께와 파열부 파단력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3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일체로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를 도시한 도24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3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일체로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를 도시한 도24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4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일체로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를 도시한 도24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차량용 내장 부재의 에어백 도어부와 본체부를 동일한 수지로 성형한 경우에도 외관 품질이 저하되지 않고, 또 에어백 도어부의 파단부의 파단력을 소망하는 값으로 저하시킬 수 있는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제1 형태는 에어백 도어부에 형성한 파열부와,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상기 파열부의 중앙부를 사이에 둔 에어백 도어부의 양측 또는 일측 부의를밀어올리는 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에어백 주머니로부터 충격 하중이 파열부 중앙에 집중하여 파열부 중앙으로부터 원활하게 파단된다. 이 결과, 파열부의 관두께가 두꺼워도 용이하게 파단시킬 수 있으므로, 전개 성능과 외관 품질(비가시화)의 양립을 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파열부가 먼저 파단되기 때문에 에어백 도어부의 힌지부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에어백 도어부를 강성이 높은 경질 재료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덜걱거리는 느낌이나 변형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2 형태는 에어백 도어부에 형성한 파열부와, 에어백 도어부의 하방에 배치되고 또한 에어백 도어부의 힌지부보다도 파열부측으로 돌출하는 파단력이 높은 도어 힌지부 보호판을 구비한다.
따라서, 도어 힌지부 보호판을 설치함으로써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에어백 주머니가 에어백 도어부의 힌지부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에어백 주머니에 의한 에어백 도어부의 힌지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에어백도어부의 힌지부를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저강도인 파열부부터 파단되기 쉬워진다.
또, 본 발명의 제3 형태는 에어백 도어부 전개시의 파열부를 형성하기 위한 코어 후퇴 영역에 수지 유통 경계가 설정되어 있으며, 의장면측에서 파열부의 라인이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에어백 도어부 전개시의 파단부를 형성하기 위한 코어 추퇴 영역에 수지 유통 경계를 설정함으로써 수지 유통 경계에 따른 강도 저하에 의해 파단부의파단력을 소망하는 값으로 저하시킬 수 있다. 또, 파단부의 수지 두께를 극도로얇게 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외장면측에서 파단부의 라인이 전혀 보이지 않 상태로도 가능하여 외관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내열 노화 성능이 향상하고 또한 에어백 도어부 전체의 지지 및 면 강성도 향상한다.
또, 본 발명의 제4 형태는 제1 형태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파열부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며, 상기 에어백 도어부의 양측 또는 일측 부위에 상기 에어백 도어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하방으로 돌출하는 돌기이다.
따라서,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에어백 주머니로부터 순간적으로 충격 하중이 돌기에 작용하여 파열부의 중앙부로부터 원활하게 파단된다. 또, 에어백 도어부에 돌기만을 형성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외관 품질과 전개 성능의 양립을 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제5 형태는 제1 형태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에어백 도어부의 하방에 설치되고, 에어백 주머니전개시에 상기 파열부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며, 상기 에어백 도어부의 양측 또는 일측 부의에 접촉하는 선단부의 하면과 상면중 적어도 한 쪽에 돌기를 구비한 금속판이다.
따라서,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에어백 주머니로부터의 충격 하중이 금속판에 의해 파열부의 중앙부에 집중되어 작용하여 파열부의 중앙부로부터 원활하게 파단된다. 이 결과, 외관 품질과 전개 성능의 양립을 꾀할 수 있다. 또, 금속판을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차량용 내장 부재에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6 형태는 제1형태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에어백 도어부의 하방에 설치되고,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상기 파열부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며, 상기 에어백 도어부의 양측 또는 일측 부위에 접촉하는 선단부의 상면에폭이 좁은 돌기를 구비한 금속판이다.
따라서,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에어백 주머니로부터의 충격 하중이 금속판의 돌기에 의해 파열부의 중앙부에 집중되어 작용하여 파열부의 중앙부로부터 원활하게 파단된다. 이 때, 금속판의 선단부 상면에 폭이 좁은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전개 초기시에 있어서 에어백 주머니의 상면이 요철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확실하게 파열부의 중앙부로부터 파단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제7 형태는 제1 형태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에어백 도어부의 하방에 설치되고,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상기 파열부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며, 상기 에어백 도어부의 양측 또는 일측 부위에 접촉하는 선단부를 구비한 금속판으로서, 상기 금속판의 힌지부가 상기 에어백 도어부의 힌지부보다도 상기 파열부측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금속판의 힌지부에 대하여 상기 금속판의 고정부와 상기 금속판의 힌지부로부터 파열부측 부위가 고강성으로 되어있다.
따라서,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에어백 주머니로부터의 충격 하중이 금속판의 선단부에 의해 파열부의 중앙부에 집중되어 작용하여 파열부의 중앙부로부터 원활하게 파단된다. 이 결과, 외관 품질과 전개 성능의 양립을 꾀할 수 있다. 또, 금속판에 의해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에어백 주머니가 에어백 도어부의 힌지부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에어백 주머니에 의한 에어백 도어부의 힌지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8 형태는 제1 형태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도어부의 힌지부는 테이스 부측부에 인접하여 소정의 전후 폭에 걸쳐 소정 판두께로 얇게 형성되고, 또 상기 얇은 부분의 전후 폭 중간에 굽힘점이 되는 홈을 설정한다.
따라서, 굽힘점을 판 두께가 급변하는 케이스 부착부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으므로, 굴곡에 의한 국소적인 전개율(표층의신장율)을 작게 할 수 있다. 게다가, 굽힘점에 홈을 성형함으로써 굽힘 부분의 표면 전개 길이를 연장시켜 실질 전개율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의 굽힘에 의한 힌지부 파손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9 형태는 제1 형태에 있어서 에어백 도어부와 본체부가 동일한 경질 수지 재료로 일체 성형 또는 별개부재로 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백 도어부와 본체부가 동일한 경질 수지 재료로 일체 성형 또는 별개 부재로 된 경우에 있어서도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에어백 주머니로부터 충격 하중이 파열부 중앙에 집중하여 파열부 중앙으로부터 원활하게 파단된다. 이결과, 파열부의 판 두께가 두꺼워도 용이하게 파단시킬 수 있으므로, 전개 성능과 외관 품질(비가시화)의 양립을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파열부가 먼저 파단되기 때문에 에어백 도어부의 힌지부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에어백 도어부를 강성이 높은 경질 재료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덜걱거리는 느낌이나 변형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10 형태는 제1 형태에 있어서 에어백 도어부와 본체부가 동일한 경질 수지 재료로 일체 성형 E도는 별개부재로 이루어지고, 이들 기초재의 표면을 공통 또는 별개 부재의 파열부가 형성된 표피로 인서트 성형 또는 부착 성형에 의해 피목했다.
따라서,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에어백 주머니로부터의 충격 하중이 파열부의 중앙부에 집중하여 에어백 도어부의 기초재 및 표피가 원활하게 파단된다. 이결과, 에어백 도어부의 기초재의 파열부의 판 두께를 두껍게 해도 용이하게 파단시킬 수 있으므로, 전개 성능과 표피에 전사되는 외관 품질 저하(기초채의 용융 수축과 기복 형상 요철)의 억제를 양립시킬 수 있다. 또, 강성이 높은 경질 수지재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덜걱거리는 느낌이나 변형도 방지 가능하다. 도, 에어백도어부와 본체부가 동일한 경질 수지 재료로 일체 성형된 경우에는 2색 성형에 비해 복잡한 형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기초재의 후가공도 불필요하다.
또, 본 발명의 제11 형태는 제1 형태에 있어서 에어백 도어부와 본체부가 동일한 경질 수지 재료로 일체 성형 또는 별개부재로 되고, 이들 기초재의 표면에 공통 또는 별개 부재의 발포층과 파열부가 형성된 표피가 일체 발포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에어백 주머니로부터의 충격 하중이 파열부의 중앙부에 집중하여 에어백 도어부의 기초재, 발포층 및 표피가 원활하게 파단된다. 이 결과, 에어백 도어부의 기초재의 파열부의 판 두께를 두껍게 해도 용이하게 파단시킬 수 있으므로, 전개 성능과 성형시의 결함 방지를 양립시킬 수 있다. 또, 강성이 높은 경질 수지재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내열 평가시 등에 발생하기 쉬운 기복감이 없다.
또, 본 발명의 제12 형태는 제3 형태에 있어서 일체 또는 별개 부재로 된 차량용 내장 부재의 본체부와 에어백 도어부가 동일 수지로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백 도어부 전개시의 파단부를 형성하기 위한 코어 후퇴 영역에 수지 유동 경계를 설정함으로써 수지 유동 경계에 따른 강도 저하에 의해 파단부의 파단력을 소망하는 값으로 저하시킬 수 있다. 또, 파단부의 수지 두께를 극도로얇게 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의장면측에서 파단부의 라인이 전혀 보이지 않는 상태로도 가능하여 외관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내열 노화 성능이 향상하고 또한 에어백 도어부 전체의 지지 및 면 강성도 향상한다. 그리고, 에어백 도어부와 본체부를 동일 수지로 일체 성형한 경우에는 차량용 내장 부재의 도장을 2종류의 재질로 구분하여 행할 필요가 없어져 저비용이 된다.
또, 본 발명의 제13 형태는 제3 형태에 있어서 차량용 내장 부재의 본체부와 에어백 도어부가 다른 수지를 사용하여 2색성형으로 일체화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2색 성형으로 일체화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에 있어서도 에어백 도어부 전개시의 파단부를 형성하기 위한 코어 후퇴 영역에 수지 유동 경계를 설정함으로써 수지 유동 경계에 따른 강도 저하에 의해 파단부의 파단력을 소망하는 값으로 저하시킬 수 있다. 또, 파단부의 수지 두께를 극도로 얇게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의장면측에서 파단부의 라인이 전혀 보이지 않는 상태로도 가능하여 회관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내열 노화 성능이 향상하고 또한 에어백 도어부 전체의지지 및 면 강성도 향상한다.
또, 본 발명의 제14 형태는 제3 형태에 있어서 밀체 또는 별개 부재로 된 차량용 내장 부재의 기초재의 본체부와 에어백도어부가 동일 수지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으로 성형되고, 상기 기초재가 파열부가 형성된 또는 파열부가 없는 표피로 피복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기초재가 파열부가 형성된 또는 파열부가 없는 표피로 피복된 소위표피 인서트, 표피 부착 형태의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에 있어서도 에어백 도어부 전개시의 파단부를 형성하기 위한 코어 후퇴 영역에 수지 유동 경계를 설정함으로써 수지 유동 경계에 따른 강도 저하에 의해 파단부의 파단력을 소망하는 값으로 저하시킬 수 있다. 또, 파단부의 수지 두께를 극도로 얇게 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표피에 전사되는 외관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내열 노화 성능이 향상하고 또한 에어백 도어부 전체의지지 및 면 강성도 향상한다.
또, 본 발명의 제15 형태는 제3 형태에 있어서 일체 또는 별개 부재로 된 차량용 내장 부채의 기초재의 본체부와 에어백 도어부가 동일 수지를 사용하여 사출성형으로 성형되고, 상기 기초재가 파열부가 형성된 표피로 피복되고, 상기 표피와 상기 기초재 사이에 발포층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초재가 파열부가 형성된 표피로 피복되고, 표피와 기초재 사이에 발포층이 형성된 소위 일체 발포여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에 있어서도 에어백 도어부 전개시의 파단부를 형성하기 위한코어 후퇴 영역에 수지 유동 경계를 설정함으로써 수지 유동 경계에 따른 강도 저하에 의해 파단부의 파단력을 소망하는 값으로 저하시킬 수 있다. 또, 파단부의 수지 두께를 극도로 얇게 할필요가 없어지므로, 성형시의 결함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내열 노화 성능이 향상하고 또한 에어백 도어부 전체의지지 및 면 강성도 향상된다.
또, 본 발명의 제16 형태는 제3 형태에 있어서 선단이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된 슬라이드 코어를 고정형에 접촉 또는 근접시킴으로써 캐비티를 파열부로 분단하고, 이 상태로 분단된 각 캐비티에 수지를 사출하여 충전 완료 전후에 상기 슬라이드 코어를 소량 후퇴시킨다.
따라서, 선단이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된 슬라이드 코어에 의해 에어백 도어부의 캐비티를 분단하고, 이 상태로 수지를 각 캐비티에 사출하여 수지가 충전 완료되기 전후 조건에서 슬라이드 코어를 소량 후퇴시킨다는 간단한 방법으로 에어백 도어부 전개시의 파단부에 수지 유동 경계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결과, 기존의 성형 설비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저비용으로 성형할 수 있다. 또, 간단한 방법으로 인해 기능 품질의 확보에 있어서도 신뢰성이 높은 동시에 생산성도 높다.
또, 본 발명의 제17 형태는 제16 형태에 있어서 상기 충전 완료 전후의 압력유지, 코어 후퇴 타이밍 및 파열부의 주변두께를 조합함으로써 파열부의 파단 강도를 제어한다.
따라서, 파단부의 파단 강도를 충전 완료 전후의 입력 유지, 코어 후퇴 타이밍 및 파단부 주면의 두께를 조합함으로써 소망하는 값으로 용이하고 또한 정밀도 높게 제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18 형태는 제17 형태에 있어서 상기 코어 후퇴 타이밍을 상기 충전 완료후에 설정한다.
따라서, 충전 완료보다도 코어 후퇴 타이밍이 지나치게 이르면,먼저 충전된 수지가 충전 미완료측 공간내로 유동하여 수지 유동 경계가 슬라이드 코어에 의한 파단 예정부로부터 어긋나 버리는데,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청구항 6에 기재한 내용에 부가하여 충전 완료후에 코어 후퇴 타이밍을 설정했으므로, 수지 유동 경계와 파단 예정부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19 형태는 제18 형태에 있어서 상기 충전 완료후의 압력 유지를 수단계로 구분하여 감압하는 동시에 상기 코어 후퇴 타이밍을 2단째 압력 유지 이후로 설정한다.
따라서, 코어 후퇴 타이밍을 2단째 압력 유지 이후에 설정함으로써 1단째 압력을 우지가 확실하게 행해지므로, 성형품의 주량, 치수 및 형상을 안정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결점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20 형태는 에어백 도어부에 형성한 파열부와,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상기 파열부의 중앙부를 사이에둔 에어백 도어부의 양측 또는 일측 부위를 밀어올리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파열부를 형성하기 위한 코어 후퇴 영역에 수지 유동 경계가 설정되어 있으며, 의장면측에서 파열부의 라인이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밀어올리는 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에어백 주머니로부터 충격 하중이 파열부 중앙에 집중한다. 또, 에어백 도어부 전개시의 파단부를 형성하기 위한 코어 후퇴 영역에 수지 유동 경계를 설정함으로써 수지 유동 경계에 따른 강도 정하에 의해 파단부의 파단력을 소망하는 값으로 저하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전개 성능과 외관 품질(비가시화)의 양립을 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제1 실시 형태를 도1내지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중 화살표(FR)는 차량 전방 방향을, 또 화살표(UP)는 차량 상방방향을 나타낸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용 내장 부재로서의 계기판(10)에는 조수석측 안쪽에 에어백장치(12)가 배치되어 있다. 이 에어백 장치(12)의 에어백 케이스(14)는 도시를 생략한 계기판 보강재에 고정되어 있고, 에어백 케이스(14) 내에는 인플레이터(16) 및 절첩된 상태로 에어백 주머니(18)가 수납되어 있다.
또, 계기판(10)의 에어백 케이스(14)와 대략 대항하는 부위는 에어백 도어부(20)로 되어 있고, 계기판(10)의 에어백 도어부(20) 이외의 부위는 본체부(22)로 되어 있다. 이들 에어백 도어부(20)와 본체부(22)는 경질 수지로서의 TSOP〔일래스토머(고무)와 PP(를리프로필렌)를 블로이화(상승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고분자 다성분계 재료를 제조하는 기술)하고, 또한 타르크를 가해서 복합 강화한 것으로 내충격성과 강성을 구비하고 유동성이 좋으며 두께가 얇은 제품에 적합한 저비중PP 수지, 예를 들어 굽힘 탄성율 1500 내지 3000 MPa〕와 PP계 수지,PC/ABS계 수지, 변성 PPO계 수지, PC/PBT계 수지, ABS계 수지, PC계 수지, ASG계 수지, TPO계 수지, TPE계 수지, TPU계 수지, PC/변성 PS계 수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에어백 장치(12)는 도시하지 않은 기계적 또는 전기적인 가속도 센서 등에 의해 차량의 급감속을 검출하면, 에어백 케이스(14)내의 인플레이터(16)가 작동하여 에어백 케이스(14) 내에 절첩되어 수용되어 있는 에어백 주머니(18)를 계기판(10)의 에어백 도어부(20)를 향해 팽창시킨다. 에어백 주머니(18)는 계기판(10)의 에어백 도어부(20)를 가압하여 에어백도어부(20)르 개방 파열시키고 차량 실내로 전개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백 장치(12)로서는 종래에 공지한 일반적인 구성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에어백 장치(12)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도어부(20)의 전후 방향 대략 중앙부 좌우 방향 양단부에는 두께가 얇은 파열부(24)가 평면으로 보아 H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에어백 도어부(20)가 전후로 양쪽 개방되어 에어백 주머니가 차량 실내로 전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도어부(20)의 파열부(24)의 단면은 V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에어백 도어부(20)에는 파열부(24)의 중앙부(24A)를 사이에 둔 차량 전후 방향 양측 부위에 밀어올리는 수단으로서의 돌기(28, 30)가 하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이들 돌기(28, 30)는 에어백 도어부(20)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는 전개되는 에어백 주머니가돌기(28, 30)의 하면(28A, 30A)에 접촉하여 돌기(28, 30)를 상방(도2의 화살표(A)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어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28, 30)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이 좁은 리브(32)와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이 좁은 리브(34)에 의해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리브(32, 34)의 폭(T1)은 도2에 도시한 에어백 도어부(20)의 두께(T)의 1/2 이하로 설정되어 있으며, 수축 변형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돌기(28, 30)의 폭(W1)과 길이(L1)는 도3에 도시한 에어백 도어부(20)의 전방 도어부(20A)와 후방 도어부(20B)의 각전체폭(W)과 전체 길이(L)의 5 % 내지 20 % 정도로 각각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에어백 도어부(20)는 돌기(28, 30)에 의해 폭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의 만곡이 극도로 손상받지 않고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에어백 도어부(20)가 폭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만곡함으로써 파열부(24)의 중앙부(24A)로부너 확실하게 파단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도어부(20)의 전후 방향 양단부에는 두께가 얇은 힌지부(2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백 도어부(20)는 에어백 전개시 팽창하는 에어백 주머니(18)에 의해 가압되면 파열부(24)를 따라 개방 파열되고, 개방 파열된 전방 도어부(20A)와 후방 도어부(20B)가 힌지부(26)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에어백 주머니(18)를 차량실내로 전개 가능하게 하는 개구가 형성되게 되어있다.
그리고, 도2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에어백 주머니(18)와 접촉하는 돌기(28, 30)의 각 모서리부(28B, 30B, 28C, 30C, 28D, 30D, 28E, 30E)는 모따기되어 있어 에어백 주머니(18)를 보호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전개되는 에어백 주머니(18)가 돌기(28, 30)의 하면(28A, 30A)에 접촉하여 돌기(28, 30)를 상방(도2의 화살표(A)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로 인해, 에어백 주머니(18)로부터 순간적으로 충격 하중이 돌기(28, 30)에 작용하여 파열부(24)의 중앙부(24A)로부터 원활하게 파단된다. 이 결과, 파열부(24)의 판두께가 두꺼워도 용이하게 파단시킬 수 있으므로, 전개 성능과 외관 품질(비가시화)의 양립을 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힌지부(26)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에어백 도어부(20)를 강성이 높은 경질 재료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덜걱거리는 느낌이나 변형도 방지할 수 있다. 또, 에어백 도어부(20)에 돌기(28, 30)만을 형성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외관 품질과 전개 성능의 양립을 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돌기(28, 30)를 에어백 도어부(20)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리브(32)와 리브(34)로 형성했으므로, 별도의 부품을 장착할 필요없이 돌기(28, 30)를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리브(32)와 리브(34)의 폭(T1)이 에어백 도어부(20)의 일반부의 두께(T)보다 좁기(T1≤T/2) 때문에 사출 성형 후에 에어백 도어부(20)의 표면에 리브(32, 34)에 의한 수축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외관 품질의 악화도 초래하지 않는다.
또,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28, 30)를 차량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이 좁은 리브(32)와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이 좁은 리브(34)에 의해 격자 형상으로 형성했지만, 돌기(28, 3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E자 형상 등의 다른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열부(24)를 평면으로 보아 H형상으로 형성했지만, 파열부(24)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형상,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자를 2개 겹친형상, 도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자 형상 등의 다른 형상이라도 된다. 또, 도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열부가(24) X자 형상인 경우에는 차폭 방향에 있어서도 파열부(24)를 사이에 두고 돌기(29, 31)를 형성해도 된다. 또, 도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열부(24)가 ??자 형상인 경우에는 파열부(24)의 일측에 돌기(28)만을 형성해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제2 실시 형태를 도7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에어백 도어부(20)의 전방 도어부(20A)와 후방 도어부(20B)의 하방에 각각 예를 들어 알루미늄, 철,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금속판(36, 38)이 설치되어 있다. 금속판(36)의 전방 단부(36A)는 금속판(36)에 형성된 부착 구멍(39)을 관통하는 볼트(40)에 의해 에어백 케이스(14)와 계기판(10)의 본체부(22)에 함께 체결되어 있다. 금속판(38)의 후방 단부(38A)는 금속판(38)에 형성된 부착 구멍(41)을 관통하는 볼트(42)에 의해 에어백 케이스(14)와 계기판(10)의 본체부(22)에 함께 체결되어 있다. 또, 금속판(36)의 후방측 선단부(36B)와 금속판(38)의 전방측 선단부(38B)는 각각 하방을 향해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굴곡되어 밀어올리는 수단으로서의 돌기(44, 46)로 되어 있고, 이들 돌기(44, 46)는 각각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파열부(24)의 중앙부(24A)를 사이에 둔 에어백 도어부(20)의 전후 양측 부위에 접촉하게 되어 있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보면 금속판(36)은 후방부가 좁은 폭으로 된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고, 금속판(38)은 전방부가 좁은 폭으로 된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돌기(44, 46)의 폭(W2)과 깊이(L2)는 도3에 도시한 에어백 도어부(20)의 전방 도어부(20A)와 후방 도어부(20B)의 각 전체폭(W)과 전체 길이(L)의 5 % 내지 20 % 정도로 각각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에어백 도어부(20)는 돌기(44, 46)에 의해 폭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의 만곡이 극도로 손상받지 않고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에어백 도어부(20)가 폭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만곡함으로써 파열부(24)의 중앙부(24A)로부터 확실하게 파단되게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제2 실시 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되는 에어백 주머니(18)가 금속판(36, 38)의 돌기(44, 46)의 하면(44A, 46A)에 접촉하여 돌기(44, 46)를 상방(도8의 화살표(A)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의해,에어백 주머니(18)로부터 순간적으로 충격 하중이 돌기(44, 46)를 거쳐 에어백 도어부(20)의 파열부(24) 중앙부(24A)의 전후 양측에 작용한다. 이로 인해, 에어백 도어부(20)는 파열부(24)의 중앙부(24A)로부터 원활하게 파단된다. 이 결과, 파열부(24)의 판 두께가 두꺼워도 용이하게 파단시킬 수 있으므로, 전개 성능과 외관 품질(비가시화)의 양립을 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금속판(36, 38)의 하면측, 즉 에어백 주머니(18)측에 돌기(44, 46)를 형성했지만, 이 대신에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36, 38)의 상면측, 즉 에어백 도어부(20)측에 돌기(44, 46)를 형성해도 된다. 이경우에는 금속판(36, 38)의 선단부(36B, 38B)의 상면에 돌기(44, 46)를 형성함으로써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 초기시에 있어서 에어백 주머니(18)의 상면(18A)이 요청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평면으로 된 금속판(36, 38)의 각 하면에 에어백 주머니(18)가 확실하게 접촉하여 돌기(44, 46)를 화살표(A) 방향으로 밀어올리므로, 확실하게 파열부(24)의 중앙부(24A)로부터 파단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36, 38)의 상면측, 즉 에어백 도어부(20)측에 돌기(44, 46)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금속판(36, 38)의 평면으로 본 형상을 직사각형 형상으로 해도 돌기(44, 46)를 에어백 도어부의 파열부의 중앙부를 사이에 둔 차량 전후 방향 양측 부위에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또,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금속판(36, 38)에 힌지부를 특별히 형성하고 있지 않지만, 에어백 도어부(20)의 힌지부(26)와 대략 대향하는 부위에 있어서 금속판(36, 38)을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해 U자 형상으로 굴곡시켜 힌지부로 해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제3 실시 형태를 도12 및 도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에어백 도어부(20)의 전방 도어부(20A)와 후방 도어부(20B)의 하방에각각 예를 들어 알루미늄, 철,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금속판(48, 50)이 설치되어 있다. 금속판(48)의 전방단부(48A)는 볼트(51)와 너트(52)에 의해 에어백 케이스(14)에 고정되어 있고, 금속판(50)의 후방 단부(50A)는 볼트(53)와 너트(54)에 의해 에어백 케이스(14)에 고정되어 있다. 또, 금속판(48, 50)의 힌지부(48B, 50B)는 두께가 얇게 되어있다. 이들 힌지부(48B, 50B)는 에어백 도어부(20)의 힌지부(26)에 대하여 하방향으로 오프셋(오프셋량(H1, H2))되어 있는 동시에 파열부(24)의 중앙부(24A)측으로 오프셋(오프셋량(K1, K2))되어 있다. 또, 금속판(48, 50)의 힌지부(48B, 50B)와 부착부로 되어 있는 전방 단부(48A), 후방 단부(50A) 사이의 부위 및 힌지부(48B, 50B)와 선단부(48C, 50C) 사이의 부위가 힌지부(48B, 50B)에 비해 고강성으로 되어 있다. 즉, 힌지부(48B, 50B)만이 두께가 얇아 저강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제3 실시 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되는 에어백 주머니(18)가 금속판(48, 50)의 하면에 접촉하여 금속판(48, 50)의 선단부(48C, 50C)를 상방(도13의 화살표(A)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로 인해,에어백 주머니(18)로부터 순간적으로 충격 하중이 금속판(48, 50)의 고강성인 선단부(48C, 50C)를 거쳐 에어백 도어부(20)의 파열부(24) 중앙부(24A)의 전후 양측에 작용하므로, 에어백 도어부(20)는 파열부(24)의 중앙부(24A)로부터 원활하게 파단 된다. 이 결과, 파열부(24)의 판 두께가 두꺼워도 용이하게 파단시킬 수 있으므로, 전개 성능과 외관 품질(비가시화)의 양립을 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금속판(48, 50)의 힌지부(48B, 50B)가 에어백 도어부(20)의 힌지부(26)보다도 파열부(24)의 중앙부(24A)측으로 오프셋되어 있고, 또한 금속판(48, 50)의 힌지부(48B, 50B)와 부착부로 되어 있는 전방 단부(48A), 후방 단부(50A) 사이의 부위가 고강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금속판(48, 50)의 힌지부(48B, 50B)와 전방 단부(48A), 후방 단부(50A) 사이의 부위에 의해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에어백 주머니(18)가 에어백 도어부(20)의 힌지부(26)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에어백 주머니(18)에 의한 에어백 도어부(20)의 힌지부(26)의 균열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제3 실시 형태에서는 금속판(48, 50)의 힌지부(48B, 50B)를 얇게 했지만, 이 대신에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48, 50)의 힌지부(48B, 50B)는 금속판(48, 50)을 상방을 향해 U자 형상으로 굴곡시키는 등의 다른 구성으로 해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제4 실시 형태를 도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제3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설명을 생략한다.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에어백 도어부(20)의 전방 도어부(20A)와 후방 도어부(20B)의 하방에 각각 예를 들어 알루미늄, 철,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파단력이 높은 도어 힌지부 보호판(56, 58)이 설치되어 있다. 도어 힌지부 보호판(56)의 전방부(56A)는 볼트(51)와 너트(52)에 의해 에어백 케이스(14)에 고정되어 있고, 도어 힌지부 보호판(58)의 후방부(58A)는 볼트(53)와 너트(54)에 의해 에어백 케이스(14)에 고정되어 있다. 또, 도어 힌지부 보호판(56)의 후방부(56B)와 도어 힌지부 보호판(58)의 전방부(58B)는 각각 에어백 도어부(20)의 힌지부(26)보다도 파열부(24)의 중앙부(24A)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리고 에어백 도어부(20)의 이면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 도어 힌지부 보호판(56)의 후방부(56B)와 도어 힌지부 보호판(58)의 전방부(58B)의 각 연장부는 에어백 주머니(18)로부터의 충격 하중에 의해 어느 정도 소성 변형해도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제4 실시 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도어 힌지부 보호판(56, 58)의 후방부(56B)와 전방부(58B)가 각각 에어백 도어부(20)의 힌지부(26)보다도 파열부(24)의 중앙부(24A)측으로 돌출하고, 그리고 에어백 도어부(20)의 이면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으므로,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에어백 주머니(18)가 에어백 도어부(20)의 힌지부(26)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에어백 주머니(18)에 의한 힌지부(26)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에어백 도어부(20)의 힌지부(26)를 보호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저강도인 파열부(24)의 중앙부(24A)로부터 파단되기 쉬워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제5 실시 형태를 도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에어백 도어부의 기초재로서의 에어백 도어부(20)와 본체부의 기초재로서의 본체부(22)가 동일한 경질 수지 재료로 일체 성형되어 있고, 이 일체 성형된 기초재(60)의 표면(의장면)에는 인서트 성형 또는 부착 성형에 의해 예를 들어 PVC, TPO, 직물 등으로 이루어진 표피(62)가 형성되어 있다. 또, 표피(62)의 이면(기초재)측 또는 표면측에는 기초재의 파열부(24)를 따라 예를 들어 얇게 가공된 파열부(64)가 형성되어 있으며, 표피(62)는 기초재(60)의 표면(의장면)을 피복하고 있다.
다음에, 본 제5 실시 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전개되는 에어백 주머니(18)가 돌기(28, 30)의 하면(28A, 30A)에 접촉하여 돌기(28, 30)를 상방으로 가압한다. 이로 인해, 에어백 주머니(18)로부터 순간적으로 충격 하중이 돌기(28, 30)에 작용하여 파열부(24)의 중앙부(24A)로부터 원활하게 파단되는 동시에 표피(62)도 파열부(64)로부터 원활하게 파단된다. 이결과, 파열부(24)의 판 두께가 두꺼워도 용이하게 파단시킬 수 있으므로, 전개 성능과 외관 품질(비가시화)의양립을 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힌지부(26)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에어백 도어부(20)를 강성이 높은 경질 재료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덜걱거리는 느낌이나 변형도 방지할 수 있다. 또, 에어백 도어부(20)에 돌기(28, 30)만을 형성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전개 성능과 표피(62)에 전사되는 외관 품질 저하(기초재의 용융 수축과 기복 형상 요철)의 억제를 양립시킬 수 있다. 그리고, 2색 성형에 비해 복잡한 형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기초재(60)의 파열부(24)의 후가공도 불필요하다.
또, 표피 인서트 성형의 경우 도17A에 도시된 단층 표피(62) 이외에 도17B에 도시된 2층 표피(62), 도17C에 도시된 3층표피(62)를 사용해도 된다. 그리고, 도17A 내지 도17C에 있어서 도면 부호 63은 폼층이고, 48은 배리어층을 나타낸다.
또, 부착 성형의 경우 도18A에 도시된 단층 표피(62) 이외에 도18B에 도시된 폼층(63)이 형성된 표피(62)를 사용해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제6 실시 형태를 도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제5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6 실시 형태에서는 기초재(60)와 표피(62) 사이에 예를 들어 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진 발포층(70)이 일체 발포되어 있다.
다음에, 본 제6 실시 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제6 실시 형태에서는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전개되는 에어백주머니(18)가 돌기(28, 30)의 하면(28A, 30A)에 접촉하여 돌기(28, 30)를 상방으로 가압한다. 이로 인해, 에어백 주머니(18)로부터 순간적으로 충격 하중이 돌기(28, 30)에 작용하여 파열부(24)의 중앙부(24A)로부터 원활하게 파단되는 동시에 발포층(70)과 표피(62)도 원활하게 파단된다. 이 결과, 파열부(24)의 판 두께가 두꺼워도 용이하게 파단시킬 수 있으므로, 전개 성능과 외관 품질(비가시화)의 양립을 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힌지부(26)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에어백 도어부(20)를 강성이 높은 경질 재료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덜걱거리는 느낌이나 변형도 방지할 수 있다. 또, 에어백 도어부(20)에 돌기(28, 30)만을 형성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전개 성능과 표피(62)에 전사되는 외관 품질 저하(기초재의 용융 수축과 기복 형상 요철)의 억제를 양립시킬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일체 발포형에 비해 보강 철판 및 별개 부재로 된 도어 기초재의 체결 부품이 불필요해지는 동시에 체결작업도 불필요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제7 실시 형태를 도20 내지 도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제1 실시 형태와 동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7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달리 에어백 도어부(20)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에어백 도어부(20)의 힌지부(26)는 본체부(22)에 형성된 에어백 케이스(14)를 부착하지 위한 케이스 부착부(72)에 인접하여 소정의 전후 폭(M)에 걸쳐 소정의 판 두께(N)로 얇게 형성되어 있다. 또, 힌지부(26)의 전후 폭 중간에는 굽힘점이 되는 단면이 U자 형상인 홈(74, 76)이 형성되어 있다.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도어부(20)의 힌지부(26)에는 차폭 방향에 있어서 홈(74, 76)을 설정하지 않은 부분(26A)이 홈(74, 76)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고, 홈(74, 76)의 양단부는 파열부(24)의 전후 방향 파열선(24B, 24C)과 연속되어 있지 않다. 또, 차량 전방측 홈(74)에 비해 차량 후방측 홈(76)이 길게 되어 있고, 홈(76)의 깊이는 홈(74)의 깊이보다 깊게 되어 있다.
그리고, 파열부(24)의 전후 방향 파열선(24B, 24C)의 단부(80)은 모두 직선 고정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제7 실시 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제7 실시 형태에서는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있어서의 에어백 도어부(20)의 힌지부(26)의 굽힘점(S)이 홈(74, 76)의 위치가 되어 판 두께가 급변하는 케이스 부착부(72)와의 경계선(P)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이 결과, 힌지부(26)의 굴곡에 따른 국소적인 굽힘 전개율(굽힘 외측의 표층 신장율)을 작게 할 수 있다. 게다가, 홈(74, 76)을 성형함으로써 굽힘 부분의 표면 전개 길이를 연장시켜 실질 전개율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의 굽힘에 따른 힌지부(26)의 파손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차폭 방향에 있어서 홈(74, 76)을 설정하지 않은 부분(26A)을 형성했으므로, 에어백 주머니 전개 초기의 전단력에 의한 힌지부(26)의 파손을 방지할 수있는 동시에 홈(74, 76)을 설정함으로써 발생하는 사출 성형시의 판 두께의 압축에 따른 수지 유동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홈(74, 76)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도어 전개 각도(도어 굽힘 각도)의 조정도 가능하다.
또, 에어백 도어부(20)의 파열부(24)가 H형상으로 홈(74, 76)의 양단부가 파열부(24)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파열선(24B, 24C)과 연속되어 있지 않으므로, 굽힘에 따른 홈(74, 76)의 파손 균열이 파열선(24B, 24C) 방향으로 진전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 H형상 파열부(24)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파열선(24B, 24C)의 단부(80)가 직선 고정 형상이므로, 에어백 주머니 전개초기에 파열부(24)의 파단에 따른 균열이 힌지부(26)로 진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차량 후방측 홈(76)의 길이가 차량 전방측 홈(74)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으므로, 차량 후방측(승객측) 후방 도어부(20B)의 전개 개방도를 크게 할 수 있어 에어백 주머니(18)를 원활하게 전개시킬 수 있다. 또, 홈(74, 76)의 길이 또는 깊이를 변경함으로써 도어 전개 각도(도어 굽힘 각도)의 조정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제7 실시 형태에서는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도어부(20)에 차량 전방측 홈(74)과 차량 후방측 홈(76)을 각 1개씩 형성했지만, 각 홈(74, 76)의 개수 및 형성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홈(74, 76)을 짧은 복수의 홈(82, 84)으로 분할해도 된다. 또, 도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한 홈(82)의 위치를 전후방향 파열선(24B, 24C)의 단부(80)에 접근 시켜도 된다. 또, 에어백 도어부(20)의 의장면의 만곡에 대응하여 홈(82, 84)을 도2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팽창된 원호 형상, 또는 도2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팽창된 원호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에 의해 사출 성형시의 수지 유동 저하가 장지 가능하고, 또한 도어부가 만곡되어 개방될 때의 도어 힌지부의 제품 상면의 라운드를 따라 도어 힌지부를 굴곡 가능하게 할 수 있어 도어 힌지부의 파단도 방지할 수 있다. 또, 홈(74, 76)의 단면 형상은 U자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V자 형상 등의 다른 형상이라도 된다. 또, 파열부(24)는 H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2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형의 파열부(24)라도 되고, 도2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자형의 파열부(24)라도 된다. 그리고, 도23F의 도면 부호 85는 분할한 홈을 나타낸다.
다음에, 본 발명의 에어백 도어부를 일체로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제8 실시 형태를 도24 내지 도2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가 얇은 부분(24)의 단면은 V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도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가 얇은 부분(24)의 V자 높이(h)는 에어백 도어부의 일반 두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예를 들어 0<h≤5 mm 범위로 설정된다. 또, 에어백 도어부의 일반 두께가 두꺼운 경우는 한층 더 h를 크게 해도 된다. 그리고, 선단(바닥부)(24A) 근방이 에어백 도어부 전개시의 파열부로 되어 있는 동시에 선단(24A) 근방에 에어백 도어부(20)의 전방 도어부(20A)를 구성하는 수지와 후방 도어부(20B)를 구성하는 수지의 수지 유동 경계(25)가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계기판의 성형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기판의 의장측이 되는 형으로서의 상형(130)과, 이 상형(130)과 하형(132)의 캐비티(134)에 소정의 다른 게이트(G1) 또는 게이트(G2)(도25 참조)로부터 수지를 사출하여 에어백 도어부(20)의 전방 도어부(20A)를 성형하고, 또 게이트(G1) 또는 게이트(G2)로부터 수지를 사출하여 후방 도어부(20B)를 성형한다. 이 때, 도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된 슬라이드 코어(140)의 선단(140A)은 상형(130)과의 사이에 약간의 초기 간극(S)(0<S≤2 mm)을 두고 근접되어 있으며, 캐비티(134)를 실질적으로 분단하고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코어(140)는 하형(132) 내에 상형(130)에 대하여 근접, 이격시키는 방향(도26의 화살표(A) 방향 및 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 되어 있다.
또, 성형 조건의 일예로서 도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G2)의 사출 개시 시간(T1)에 대하여 게이트(G1)의 사출 개시시간(T2)을 시간(TS)(개시 차이 시간)만큼 늦춘다. 이에 의해, 게이트(G1)로부터 사출 유동된 전방 도어부(20A)의 수지가 슬라이드 코어(140)의 선단(140A)에 도달함과 동시에 전방 도어부(20A)를 충전하는 시간(T3)과, 게이트(G2)로부터 사출 유동된 후방 도어부(20B)의 수지가 슬라이드 코어(140)의 선단(140A)에 도달함과 동시에 후방 도어부(20B)를 충전하는 시간(T4)사이에 있는 타임 랙(TL)을 작아지도록 조정한다(이것은 타임 랙(TL)이 커지면 표층부에서의 수지 유동 경계(25)와 두께가 얇은 부분(24)의 선단(24A)의 어긋남이 커져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의 개방 파열의 용이함에 대하여 다소 불리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 전방 도어부(20A)의 수지가 슬라이드 코어(140)의 선단(140A)에 도달한 시점(T3)으로부터 압력 유지 완료 시간(T6) 동안(TM) 내의 소정의 포인트(T7)에서 순식간에 슬라이드 코어(140)를 상형(130)에 근접한 위치(도27의 이점 쇄선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27의 화살표(B) 방향)으로 소정량(L)(에어백 도어부의 일반 두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예를 들어 0<L≤5 mm 범위로 설정 된다. 그리고, 도어부의 일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한층 더 L을 크게 해도 된다) 저하시킨 위치(도27의 실선 위치)로 이동(코어 후퇴)시킨다.
이로 인해, 슬라이드 코어(140)의 이동 체적분의 공간(150)이 발생하여 압력 유지 완료 시간(T6) 동안에 전방 도어부(20A)의 수지로 공간(150)의 전방측 공간(150A)이 충전되고, 또 후방 도어부(20B)의 수지로 공간(150)의 후방측 공간(150B)이 충전되며, 이 부위에서는 두께가 얇은 부분(24)의 선단(바닥부)(24A)과 수지 유동 경계(25)가 일치하여 도27의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27에 있어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지로 충전되는 전방측 공간(150A)과 후방측 공간(150B)을 다른 해칭으로 도시했다. 또, 도28에 도시된 시간(T5)은 압력 유지 개시 시간을 나타내고 있으며, 압력 유지완료 시간(T6) 후에는 냉각으로 이행한다.
여기서, 압력 유지와 바람직한 코어 후퇴 타이밍의 설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압력 유지는 일반적으로 사출 완료후 사출 압력의 1/2 이하 정도로 사출한 수지에 더욱 압력을 가해 둠으로써 성형품의 중량, 치수, 형상을 안정시키기 위해행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33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유지를 V1, V2의 2단계로 구분하여 강압하고 있다. 1단째 압력 유지의 값(V1)은 제품 전체의 좋고 나쁨에 크게 영향을 미치므로, 본 실시 형태의 파열부의 수지 합류(용착) 강도만을 위해서는 변경하기 어려우며 자유도가 낮다. 한편, 2단째 압력 유지의 값(V2)은 1단째 압력 유지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어 제품 전체의 좋고 나쁨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변경하기 쉬우며 자유도가 높다. 따라서, 슬라이드 코어(140)의 코어 후퇴 타이밍은 제품 불량이 발생하기 어려운 1단째 압력유지 시간이 경과한 이후, 즉 2단째 압력 유지시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사항으로서 수지의 용착 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는 용착 계면에서의 수지 끼리의 면압과 수지 온도가 있다(용착 강도는 면압과 수지 온도가 낮은 쪽이 저하한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압력 유지에 의해 파열부 용착 계면의 수지끼리의 면압을 제어하고, 코어 후퇴 타이밍 및 파열부 주변의 판 두께에 의해 파열부용착 계면의 수지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파열부의 파단력을 소망하는 값으로 제어하도록 했다.
다음에, 이 점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지(180)와 제2 수지(182)는 각 용착 계면 온도가 사전에 상승되어 용해 상태가 된 후, 각각을 서로 가압 방향(화살표(X1, X2)방향)으로 소정의 힘으로 가압하여 서로 접합되어 있다. 이들 제1 수지(180)와 제 2수지(182)의 용착 계면(184)의 용착 강도를 고려하면, 일반적으로 용착 원리상 이용착 강도에 영향을 주는 두가지 요인이 공지되어 있으며, 그것은 용착 계면(184)의 수지 끼리의 면압과 수지 온도이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의 파열부의 용착 강도를 규제하는 데 있어서도 동일한 사고를 응용할 수 있다. 즉, 유동후 고화되기 시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유동 수지의 합류부(용착부)에 대하여 용착 계면에 전달되는 면압과 관계하는 형 내압력으로 서의 압력 유지와 용착 계면의 수지 온도(용착 계면부의 수지가 용융 상태에서 시간에 따라 냉각되어 간다)와 관계하는 코어 후퇴 타이밍 및 파열부의 주변 두께로 치환하여 제어하도록 했다.
예를 들어, 게이트로부터의 사출압 13.5 Mpa, 사출 시간 6 sec, 압력 유지 6.5 Mpa(1단째), 5.5 Mpa(2단째), 압력 유지시간 2 + 7 sec, 동일한 제품 중량 및 동일한 시험 재료를 사용한 경우, 도3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유지를 높게 할수록 용착 계면에 전달되는 면압이 높아져서 파열부의 파단력이 커진다. 또, 도3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후퇴 타이밍을 늦출수록 냉각되어 가는 시간이 길어 져서 용착 계면의 수지 온도가 낮아지므로 파열부의 파단력이 작아진다. 그리고 도3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V자 높이를 높게 할수록, 즉 파열부의 주변 두께를 두껍게 할수록 용착 계면의 수지 온도가 낮아지기 어려우므로 파열부의 파단력이 커진다.
따라서, 이들 압력 유지, 코어 후퇴 타이밍 및 파열부의 주변 두께의 각 조건을 조합함으로써 파열부의 파단 강도를 소망하는 값으로 용이하고 또한 정밀도 높게 제어 가능하다.
또, 충전 완료보다도 코어 후퇴 타이밍이 지나치게 이르면 충전되어 있는 수지가 충전 미완료측 공간내로 유동하여 수지유동 경계가 슬라이드 코어에 의한 파단 예정부로부터 어긋나 버리지만, 이에 대하여 충전 완료후에 코어 후퇴 타이밍을 설정한 경우에는 수지 유동 경계와 파단 예정부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G1, G2) 즉 충전후의 압력 유지 개시 시간(T5)과 압력 유지 완료 시간(T6) 사이의 1단째 압력 유지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슬라이드 코어(140)의 코어 후퇴 타이밍(T7)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수지 온도가 지나치게 낮아지지 않는 1단째 압력 유지 시간 경과 직후를 코어 후퇴 타이밍으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 도33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유지를 3단계 또는 그 이상의 복수 단계로 구분하여 강압하는 동시에 코어 후퇴 타이밍을 2단째 압력 유지 이후로 설정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코어 후퇴 타이밍을 2단째 압력 유지 이후로 설정함으로써 1단째 압력 유지가 확실하게 행해지므로, 성형품의 중량, 치수 및 형상을 안정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결점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이상이 공정에 의해 도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코어(140)의 선단(140A)에 의해 단면이 V자 형상인 두께가 얇은 부분(24)이 형성되는 동시에 슬라이드 코어(140)의 이동량(L)이 소량이므로 두께가 얇은 부분(24)의 선단(24A)에 수지 유동 경제(25)가 설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계기판(10)에서는 에어백 도어부 전개시의 파열부로서의 두께가 얇은 부분(24)을 형성하기 위한 슬라이드 코어(140)의 코어 후퇴 영역, 즉 두께가 얇은 부분(24)의 선단(24A) 근방에 수지 유동 경계(25)를 설정함으로써 수지 유동 경계(25)에 따른 강도 저하와 판 두께 제어에 의해 파열부의 파단력을 소망하는 값으로 저하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파열부의 수지 두께(초기 간극(S)+슬라이드 코어 스트로크량(L))를 극도로 얇게 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외관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의장면측에서 파열부의 라인이 전혀 보이지 않는 상태로도 가능하며, 내열 노화 성능의 향상, 에어백 도어부 전체의 지지 및 면강성도 향상한다. 그리고, 계기판(10)의 에어백 도어부(20)와 본체부(22)를 동일 수지로 성형할 수 있으므로, 도장을 재질(2종류)마다 구분하여 행할 필요가 없어져 저비용이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계기판의 성형 방법에서는 선단이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된 슬라이드 코어(140)에 의해 에어백 도어부의 캐비티(134)를 파열부로 분단하고, 이 상태로 수지를 분단된 각 캐비티에 사출하여 수지가 충전 완료되기 전후 조건에서 슬라이트 코어(140)를 소량(L) 후퇴시킨다는 간단한 방법으로 에어백 도어부 전개시의 파열부로서의 두께가 얇은 부분(24)을 형성하기 위한 슬라이드 코어(140)의 코어 후퇴 영역에 수지 유동 경계(25)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결과, 기존의 성형 설비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저비용으로 성형할 수 있다. 또, 간단한 방법으로 인해 기능 품질의 확보에 있어서도 신뢰성이 높은 동시에 생산성도 높다.
이상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특정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른 각종 실시 형태가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예를 들어, 파열부(24)의 단면 형상은 V자 형상 외에 U자 형상 등의 다른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계기판 외에 도어 트림, 센터 필러, 가니쉬, 핸들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제8 실시 형태에서는 슬라이드 코어(140)의 선단(140A)과 상형(130) 사이에 초기 간극(S)(0<S≤2 mm)을 두고 슬라이드 코어(140)의 선단(140A)과 상형(130)의 간섭을 없애어 형 표면의 주름 손상 방지와 내구성 보증을 고려했지만, 타임랙(TL)이 큰 경우에는 초기 간극(S)을 0.1≤S≤8 mm로 하여 표층부에서의 수지 유동 경계(25)와 두께가 얇은 부분(24)의 선단(24A)의 어긋남을 크게 해도 된다. 이 경우,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의 개방 파열의 용이함에 대해서는 다소 불리해지지만, 선단(24A)에 있어서의 의장면측에서의 파열부 라인의 외관 품질은 동일 두께에서는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초기 간극(S)=0으로 하여 슬라이드 코어(140)의 선단(140A)을 상형(130)에 접촉시켜도 된다.
또, 제8 실시 형태에서는 게이트(G2)의 사출 개시 시간(T1)에 대하여 게이트(G1)의 사출 개시 시간(T2)을 시간(TS)(개시차이 시간)만큼 늦추었지만, 이 대신에 게이트(G1)와 게이트(G2)의 위치 관계에 의해 게이트(G1)로부터 먼저 사출시키고, 게이트(G2)로부터의 사출을 시간(TS)만큼 늦추어 충전 간격 시간(타임 랙)(TL)을 작게 해도 된다. 또, 게이트(G1)의 사출 개시 시간(T2)과 게이트(G2)의 사출 개시 시간(T1)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게이트(G1)로부터 사출된 전방 도어부(20A)의 수지가 슬라이드 코어(140)의 선단(140A)에 도달하는 시간(T3)과 게이트(G2)로부터 사출된 후방 도어부(20B)의 수지가 슬라이드 코어(140)의 선단(140A)에 도달하는 시간(T4)이 동일한 정도가 되기만 하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또, 슬라이드 코어(140)를 설정하는 범위로서는 전개 성능을 만족시키는 동시에 형 구조의 허용 범위이면 도29A에 도시된바와 같이 H형상의 두께가 얇은 부분(24)의 전체라도 되지만, 도2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H형상의 두께가 얇은 부분(24)의 가로선을 따른 범위만으로 해도 된다. 또, 도2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H형상의 두께가 얇은 부분(24)의 세로선을 따른 범위만으로 해도 된다. 또, 도29D 내지 도29G에 도시된 바와 같이 H형상의 두께가 얇은 부분(24)의 극히 일부 범위만으로 해도 된다.
또, 두께가 얇은 부분(24)의 단면 형상은 V자 형상 외에 도30A에 도시한 R형상이나 도30B에 도시한 단차식 형상 등으로 해도 된다.
또, 슬라이드 코어(140)이 코어 후퇴 타이밍은 도28의 시간(T3)에서 시간(T6)까지 동안의 어느 한 순간일 뿐만 아니라 수지가 유동 가능하면 시간(T6)후의 냉각 시간중에 실시해도 된다. 또, 슬라이드 코어(140)의 코어 후퇴 속도는 순간적이지만 시간(T3)에서 시간(T6)까지 소비하는 느린 속도이면 된다. 또, 전방 도어부(20A)의 수지는 게이트(G1)만으로부터 뿐만 아니라 게이트(G2)로부터도 돌아 들어와 충전되므로, 게이트를 하나로 해도 된다.
또, 제8 실시 형태의 성형 방법은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두께가 얇은 부분(24)이 평면으로 보아 H형상으로 형성된 양문 개방(양쪽 개방) 형태의 에어백 도어부에 한정되지 않으며, 두께가 얇은 부분(24)이 평면으로 보아 ??자 형상, X형상 등의 다른 형상의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계기판 및 그 성형 방법에도 적용 가능 하다.
그리고, 두께가 얇은 부분(24)이 평면으로 보아 ??자 형상인 경우의 슬라이드 코어(140)를 설정하는 범위로서는 전개 성능을 만족시키는 동시에 형 구조의 허용 범위이면 도29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 형상의 두께가 얇은 부분(24)의 전체라도 되지만, 도29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 형상의 두께가 얇은 부분(24)의 가로 선을 따른 범위만으로 해도 된다. 또, 도29J 및 도29K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 형상의 두께가 얇은 부분(24)의 극히 일부 범위만으로 해도 된다.
또, 제8 실시 형태의 성형 방법은 도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기판의 본체부(160)와 에어백 도어부(162)가 다른 수지를 사용하여 슬라이드 코어(163)에 의한 2색 성형으로 일체화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계기판(164)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제8 실시 형태의 성형 방법은 도32A 및 도3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개 부재로 된 계기판의 본체부(170)와 에어백 도어부(172)를 수지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한 후에 결합 갈고리나 나사못 등에 의해 일체로 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계기판(174)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제8 실시 형태의 성형 방법은 도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재(60)와 기초재(60)의 의장면(60A)을 피복하는 표피(62)를 구비한 소위 표피 인서트, 표피 부착 형태의 차량용 내장 부재로서의 계기판(10)에도 적용 가능하고, 이 경우 표피(62)에는 파열부(64)가 홈(24)을 따라 형성되어 있어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표피(62)가 용이하게 파단되도록 설정되어있다. 또는 파열부(64)가 없어도 에어백 도어부는 강성이 큰 재료이므로, 전개와 동시에 국소적인 인장이 발생하여 표피(62)는 파단되기 쉽다. 또, 여기서 제시한 표피(62)는 표피 인서트의 경우도17A에 도시된 단층 표피(62) 이외에 도17B에 도시된 2층 표피(62), 도17C에 도시된 3층 표피(62)를 사용해도 된다.
또, 부착 형태의 경우 도18A에 도시된 단층 표피(62) 이외에 도18B에 도시된 폼층(63)이 형성된 표피(62)를 사용해도 된다.
또, 제8 실시 형태의 성형 방법은 도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재(60), 표피(62) 및 기초재(60)와 표피(62) 사이의 발포층(70)을 구비한 소위 일체 발포형 차량용 내장 부재로서의 계기판(10)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도34 및 도35에 도시한 표피(62)에 형성되는 파열부(64)는 표면측으로부터 형성되는 것 뿐만 아니라 이면측으로부터 형성된 것이라도 된다. 또, 파열부(64)의 형상은 단면 U홈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면 V홈 형상, 슬릿 형상 등의 다른 형상이라도 된다.
또, 본 발명은 도24에 도시된 제8 실시 형태의 차량용 내장 부재로서의 계기판(10)에 도1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의 압박수단으로서의 돌기(28, 30)를 형성하여 도38에 도시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도34에 도시된 제8 실시 형태의 응용예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일체로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로서의 계기판(10)에 도1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의 밀어올리는 수단으로서의 돌기(20, 30)를 형성하여 도39에 도시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도35에 도시된 제8 실시형태의 다른 응용예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일체로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로서의 계기판(10)에 도1에 도시된 제1 실시형태의 밀어올리는 수단으로서의 돌기(28, 30)를 형성하여 도40에 도시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 및 그 성형 방법은 차량용 내장 부재의 에어백 도어부와 차량용 내장 부재의 본체부를 동일 수지로 성형하는 데 유용하고, 특히 외관 품질이 저하하지 않고 또한 에어백 도어부의 파단부의 파단력을 소방하는 값으로 저하시키는 데 적합하다.

Claims (20)

  1. 에어백 도어부에 형성한 파열부와,
    에어백 도어부의 하방에 설치되고 또한 에어백 도어부의 힌지부 보다도 파열 부측으로 돌출하는 파단력이 높은 도어 힌지부 보호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
  2. 에어백 도어부 전개시의 파열부를 형성하기 위한 코어 후퇴 영역에 수지 유동 경계가 설정되어 있고, 의장면측에서 파열부의 라인이 보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
  3. 에어백 도어부에 형성된 파열부와,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상기 파열부의 중앙부를 사이에 둔 에어백 도어부의 양측 또는 일측 부위를 밀어올리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수단은 상기 에어백 도어부의 하방에 설치되고,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상기파열부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며, 상기 에어백 도어부의 양측 또는 일측 부위에 접촉하는 선단부의 하면과 상면 중 적어도 한 쪽에 돌기를 구비한 금속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
  4. 에어백 도어부에 형성된 파열부와,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상기 파열부의 중앙부를 사이에 둔 에어백 도어부의 양측 또는 일측 부위를 밀어올리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수단은 상기 에어백 도어부의 하방에 설치되고,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상기파열부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며, 상기 에어백 도어부의 양측 또는 일측 부위에 접촉하는 선단부의 상면에 폭이 좁은 돌기를 구비한 금속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
  5. 에어백 도어부에 형성된 파열부와,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상기 파열부의 중앙부를 사이에 둔 에어백 도어부의 양측 또는 일측 부위를 밀어올리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수단은 상기 에어백 도어부의 하방에 설치되고,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상기파열부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며, 상기 에어백 도어부의 양측 또는 일측 부위에 접촉하는 선단부를 구비한 금속판으로서, 상기 금속판의 힌지부가 상기 에어백 도어부의 힌지부 다도 상기 파열부측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금속판의 힌지부에 대하여 상기 금속판의 고정부와 상기 금속판의 힌지부로부터 파열부측 부위가 고강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
  6. 에어백 도어부에 형성된 파열부와,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상기 파열부의 중앙부를 사이에 둔 에어백 도어부의양측 또는 일측 부위를 밀어올리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에어백 도어부의 힌지부는 케이스 부착부에 인접하여 소정의 전후 폭에 걸쳐 소정판 두께로 얇게 형성되고, 또 상기 얇은 부분의 전후 폭 중간에 굽힘점이 되는 홈을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
  7. 에어백 도어부에 형성된 파열부와,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상기 파열부의 중앙부를 사이에 둔 에어백 도어부의 양측 또는 일측 부위를 밀어올리는 수단을 구비하며,
    에어백 도어부와 본체부가 동일한 경질 수지 재료로 일체 성형 또는 별개 부재로 이루어지고, 이들 기초재의 표면을 공통 또는 별개 부재의 파열부가 형성된 표피로 인서트 성형 또는 부착 성형에 의해 피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
  8. 에어백 도어부에 형성된 파열부와,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상기 파열부의 중앙부를 사이에 둔 에어백 도어부의 양측 또는 일측 부위를 밀어올리는 수단을 구비하며,
    에어백 도어부와 본체부가 동일한 경질 수지 재료로 일체 성형 또는 별개 부재로 되고, 이들 기초재의 표면에 공통 또는 별개 부재의 발포층과 파열부가 형성된 표피가 일체 발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
  9. 제2항에 있어서, 일체 또는 별개 부재로 된 차량용 내장 부재의 본체부와 에어백 도어부가 동일 수지로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
  10. 제2항에 있어서, 차량용 내장 부재의 본체부와 에어백 도어부가 다른 수지를 사용하여 2색 성형으로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
  11. 제2항에 있어서, 일체 또는 별개 부재로 된 차량용 내장 부재의 기초재의 본체부와 에어백 도어부가 동일수지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으로 성형되고, 상기 기초재가 파열부가 형성된 또는 파열부가 없는 표피로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
  12. 제2항에 있어서, 일체 또는 별개 부재로 된 차량용 내장 부재의 초재의 본체부와 에어백 도어부가 동일수지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으로 성형되고, 상기 기초재가 파열부가 형성된 표피로 피복되고, 상기 표피와 상기 기초재 사이에 발포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
  13. 제2항에 기재된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성형 방법에 있어서,
    선단이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된 슬라이드 코어를 고정형에 접촉 또는 근접 시킴으로써 캐비티를 파열부로 분단하고, 이상태로 분단된 각 캐비티에 수지를 사출하여 충전 완료 전후에 상기 슬라이드 코어를 소량 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성형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완료 전후의 압력 유지, 코어 후퇴 타이밍 및 파열부의 주변 두께를 조합함으로써 파열부의 파단 강도를 제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성형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후퇴 타이밍을 상기 충전 완료후에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성형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완료후의 압력 유지를 수단계로 구분하여 감압하는 동시에 상기 코어 후퇴 타이밍을 2단째 압력 유지 이후에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의 성형 방법.
  17. 에어백 도어부에 형성한 파열부와,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상기 파열부의 중앙부를 사이에 둔 에어백 도어부의 양측 또는 일측 부위를 밀어올리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파열부를 형성하기 위한 코어 후퇴 영역에 수지 유동 경계가 설정되어있고, 의장면측에서 파열부의 라인이 보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
  18. 제2항에 있어서, 에어백 주머니 전개시에 상기 파열부의 중앙부가 그 사이에 있는 에어백 도어부의 양측 또는 일측 부위를 밀어 올리는 수단이 상기 에어백 도어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 부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파열부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며, 상기 에어백 도어부의 양측 또는 일측 부위에 상기 에어백 도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하방으로 돌출하는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 부재.
  20. 제18항에 있어서, 에어백 도어부와 본체부가 동일한 경질 수지 재료로 일체 성형 또는 별개 부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도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장 부재.
KR1019980709553A 1997-03-26 1998-03-20 에어백도어부를구비한차량용내장부재및그성형방법 KR1003071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73702 1997-03-26
JP7370297 1997-03-26
JP97-203237 1997-07-29
JP20323797A JP3765166B2 (ja) 1997-07-29 1997-07-29 エアバッグドア部を有する車両用内装部材
JP30535797A JP3428402B2 (ja) 1997-03-26 1997-11-07 エアバッグドア部を有する車両用内装部材及びその成形方法
JP97-305357 1997-11-07
PCT/JP1998/001207 WO1998042547A1 (fr) 1997-03-26 1998-03-20 Element interieur comportant une section de porte d'airbag destine a etre utilise dans des vehicules, et son procede de moul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992A KR20000015992A (ko) 2000-03-25
KR100307105B1 true KR100307105B1 (ko) 2001-11-15

Family

ID=27301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9553A KR100307105B1 (ko) 1997-03-26 1998-03-20 에어백도어부를구비한차량용내장부재및그성형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6612607B1 (ko)
EP (2) EP1882616B1 (ko)
KR (1) KR100307105B1 (ko)
CN (1) CN100374328C (ko)
CA (1) CA2256497C (ko)
DE (2) DE69840821D1 (ko)
ES (1) ES2324321T3 (ko)
WO (1) WO19980425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8260A (ko) * 2021-01-25 2022-08-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ab 도어의 절개 유도 장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913741U1 (de) * 1999-08-06 1999-12-16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Abdeckung für einen Gassack eines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s
JP2001322523A (ja) * 2000-05-11 2001-11-20 Takata Corp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及びその設置構造
US6655711B1 (en) * 2000-10-27 2003-12-02 Textron Automotive Company, Inc. Air bag cover assembly
DE10127509A1 (de) * 2001-06-06 2003-01-09 Volkswagen Ag Gehäuse für ein Airbagmodul
AU2002241737B2 (en) * 2001-10-23 2008-01-31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Instrument panel system with hidden airbag door
DE10160185B4 (de) * 2001-12-07 2007-01-18 Lisa Dräxlmaier GmbH Verfahren zum Erzeugen einer Befestigungsstruktur für ein Airbagmodul und Innenverkleidungsteilträger
AU2003270719A1 (en) * 2002-09-17 2004-04-08 Collins And Aikman Products Co. Ultrasonic blade design for scoring double angle groove and products therefrom
JP4337340B2 (ja) * 2002-12-12 2009-09-30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20040256879A1 (en) * 2003-06-20 2004-12-23 Jsp Licenses, Inc. Instrument panel and method of making same
FR2857923B1 (fr) * 2003-07-23 2006-01-27 Faurecia Interieur Ind Planche de bord comportant une trappe retenue par des pontets
JP2005067466A (ja) * 2003-08-26 2005-03-17 Takata Corp 乗員脚部保護装置
DE20313367U1 (de) * 2003-08-28 2004-01-08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Gassackmodul für ein Fahrzeuginsassen-Schutzsystem
DE502004003708D1 (de) * 2003-09-03 2007-06-14 Autoliv Dev Gehäuse für eine airbagvorrichtung
DE10345026B4 (de) * 2003-09-24 2007-07-19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Innenverkleidungsteil zur Abdeckung eines Airbags
KR100520551B1 (ko) * 2003-10-10 2005-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비져블 에어백용 피에이비 도어 설계 방법
FR2862587B1 (fr) * 2003-11-24 2007-04-20 Faurecia Interieur Ind Piece d'equipement interieur de vehicule automobile, notamment planche de bord, dotee d'un dispositif de securite a sac gonflable a moyens de fixation ameliores
JP4640726B2 (ja) * 2004-08-06 2011-03-02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カバーの製造方法
US7687003B2 (en) * 2004-12-08 2010-03-30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of forming plastic part having hidden thin walled section
JP2008522902A (ja) * 2004-12-14 2008-07-03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エアバッグカバー
US7434829B2 (en) * 2005-04-22 2008-10-14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Interior panel having airbag deployment door
JP4831999B2 (ja) * 2005-05-31 2011-12-07 三光合成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ーバック装置及びエアーバックカバー
JP4820473B2 (ja) 2005-06-21 2011-11-24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自動車用内装パネル
US20070057498A1 (en) * 2005-09-12 2007-03-15 Hyundai Mobis Co., Ltd. Airbag device
US7299688B2 (en) * 2005-11-02 2007-11-27 Salvisberg Marc W Device and method for maximiz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horsepower for a preselected RPM range
JP4746980B2 (ja) * 2005-12-19 2011-08-10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FR2897577B1 (fr) * 2006-02-22 2013-08-02 Demo Injection Couvercle de coussin gonflable a rupture facile
JP4854325B2 (ja) * 2006-02-24 2012-01-18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エアバッグドア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857333A3 (en) * 2006-05-19 2008-06-25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 for air-bag curtain
DE202006013133U1 (de) * 2006-08-23 2006-11-02 Takata-Petri Ag Gassackabdeckung
KR100812835B1 (ko) * 2006-12-06 2008-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및 그 제조방법
FR2916175B1 (fr) * 2007-05-16 2009-11-27 Faurecia Interieur Ind Element d'habillage de l'interieur d'un vehicule automobile.
US20080315566A1 (en) * 2007-06-20 2008-12-25 Andrasik Iii Joseph Instrument panel with integral hidden door cover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EP2006165B1 (de) * 2007-06-21 2012-09-05 SMP Deutschland GmbH Innenraumverkleidung mit integrierter Airbagabdeckung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5151342B2 (ja) * 2007-09-18 2013-02-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ニーエアバッグ装置
DE102008055010B4 (de) 2007-12-20 2022-07-07 Volkswagen Ag Innenverkleidungsteil, insbesondere Instrumententafel für ein Kraftfahrzeu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Innenverkleidungsteiles und Fahrzeug, insbesondere Kraftfahrzeug, welches ein Innenverkleidungsteil aufweist
JP4954916B2 (ja) * 2008-02-06 2012-06-20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カバー、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エアバッグ装置、エアバッグ収容体
US20100038891A1 (en) * 2008-08-12 2010-02-18 Bryan Welch Instrument panel for motor vehicle
KR101013911B1 (ko) * 2008-10-08 2011-02-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내장용 크래쉬 패드 및 그 제조장치
US8157311B2 (en) * 2010-03-11 2012-04-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ular trim panel with storage and interfacing of electronic devices
JP5777057B2 (ja) * 2011-06-29 2015-09-09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カバー
US8336908B1 (en) * 2011-08-08 2012-12-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sert molded TPO chute for automotive air bag system
US9010799B2 (en) * 2012-03-21 2015-04-21 Faurecia Interior Systems, Inc. Molding in airbag door features in a vehicle interior panel using a movable mold member
US8567816B1 (en) * 2012-12-19 2013-10-29 Faurecia Interior Systems, Inc. Airbag tear seam shapes
FR3000449B1 (fr) * 2012-12-27 2016-02-05 Faurecia Interieur Ind Piece d'habillage interieur de vehicule adaptee pour recouvrir un coussin de securite gonflable
KR20140115654A (ko) * 2013-03-21 2014-10-0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 에어백
US8870219B1 (en) * 2013-08-02 2014-10-28 Faurecia Interior Systems, Inc. Foam-in-place interior panels having integrated airbag doors including substrates with airbag chute-door assemblies for motor vehicles
CA2922234C (en) 2013-08-23 2019-02-12 Honda Motor Co., Ltd. Air bag device
WO2015037144A1 (ja) * 2013-09-13 2015-03-19 豊田鉄工株式会社 重ね合わせ複合内装部品
JP2015093555A (ja) * 2013-11-11 2015-05-18 豊田合成株式会社 車両用内装パネル及び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DE102014103501A1 (de) * 2014-03-14 2015-09-17 Euwe Eugen Wexler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unststoffbauteils mittels eines Spritzgießprozesses
DE202016105511U1 (de) * 2016-10-05 2017-01-30 Lear Corporation Airbagsystem für ein Fahrzeug
CN105774733B (zh) * 2016-04-19 2018-04-10 芜湖金鹏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安全气囊用防刺破防护装置安装支架
US11034319B2 (en) * 2016-06-10 2021-06-15 Key Safety Systems, Inc. Air bag module
US11744919B2 (en) 2016-06-16 2023-09-05 Aspect Biosystems Ltd. Bioprinted meniscus implant and methods of using same
JP6879137B2 (ja) * 2017-09-08 2021-06-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後席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10377336B2 (en) * 2017-11-13 2019-08-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lded air bag chute with door reinforced by hollow channel
DE102019126901A1 (de) * 2019-10-07 2021-04-08 StreetScooter GmbH Airbagklappensystem mit Randvertiefungen unterschiedlicher Materialstärke
WO2022187164A1 (en) * 2021-03-01 2022-09-09 Yanfeng Global Automotive Interior Systems Co. Ltd Component for vehicle interior
US11603072B2 (en) * 2021-08-06 2023-03-14 Autoliv Asp, Inc. Dual stage inflator
US20240034262A1 (en) * 2022-07-29 2024-02-01 Nissan North America, Inc. Instrument panel airbag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564A (en) * 1896-06-09 George carlyle
US548361A (en) * 1895-10-22 Thomas gray
US4895389A (en) 1988-08-31 1990-01-23 E. I. Dupont De Nemours And Company Rupturable cover for a vehicle air bag compartment
US4989896A (en) 1988-10-17 1991-02-05 Tip Engineering Group, Inc. Double door closure for an air bag deployment opening
JPH02109848A (ja) 1988-10-17 1990-04-23 Showa Denko Kk プラスチック製易開封性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451076Y2 (ko) * 1988-10-28 1992-12-02
JPH02303949A (ja) 1989-05-17 1990-12-17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クのカバー体
US5135253A (en) 1989-05-24 1992-08-04 Mazda Motor Corporation Air bag system for vehicle
JPH02149346U (ko) 1989-05-24 1990-12-19
US5611564A (en) 1993-08-18 1997-03-18 Tip Engineering Group, Inc. Method and treatment for forming an air bag deployment opening in leather covered trim
US5082310A (en) 1989-11-06 1992-01-21 Tip Engineering Group, Inc. Arrangement for providing an air bag deployment opening
JP2507843Y2 (ja) 1990-02-23 1996-08-21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エアバッグ取付構造
JPH03254919A (ja) * 1990-03-06 1991-11-13 Takata Kk エアバッグのモジュールカバーの製造方法
JPH03279055A (ja) 1990-03-28 1991-12-10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JPH03281547A (ja) 1990-03-29 1991-12-12 Toyo Tire & Rubber Co Ltd ゴム配合組成物
JP2959865B2 (ja) 1991-03-29 1999-10-06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エアバッグ構造
JP3179544B2 (ja) 1992-01-10 2001-06-25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JPH061016U (ja) * 1992-06-15 1994-01-1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エアバッグ装置用カバー
JP3354595B2 (ja) 1992-07-15 2002-12-09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カメラ用情報入力装置
US5456490A (en) * 1992-08-13 1995-10-10 Davidson Textron Inc. Hidden door for an air bag restraint system
US5390950A (en) * 1993-03-04 1995-02-21 Tip Eng Group Inc Method and arrangement for forming an air bag deployment opening in an auto interior trim piece
US5458361A (en) * 1993-08-25 1995-10-17 Davidson Textron Inc. Insert for air bag cover assembly
US5393089A (en) 1993-09-01 1995-02-28 Chrysler Corporation Vehicle air bag cover
JPH0796811A (ja) * 1993-09-28 1995-04-11 Kansei Corp 樹脂製品及びエアバッグ装置用リッド
US5375876A (en) 1993-10-05 1994-12-27 Tip Engineering Group, Inc. Air bag deployment door installation
JPH0740429U (ja) 1993-12-20 1995-07-18 内藤工業株式会社 ヒンジ部構造
US5439246A (en) 1994-02-07 1995-08-08 Morton Internatinal, Inc. Multi-directional air bag module door attachment
JP3185515B2 (ja) 1994-02-17 2001-07-11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のパッド
JP3337821B2 (ja) 1994-04-28 2002-10-28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エアバッグ部の構造
US5447327A (en) 1994-05-25 1995-09-05 Morton International, Inc. Arrangement for providing an air bag deployment opening
JP3453195B2 (ja) * 1994-07-08 2003-10-0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方法
US5590901A (en) * 1994-09-14 1997-01-0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 trim panel having hidden air bag door
JP3439847B2 (ja) * 1994-09-16 2003-08-25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自動車用エアバッグドアの構造
JPH08164814A (ja) * 1994-10-13 1996-06-25 Sensor Technol Kk バッグカバー
US5536037A (en) * 1994-11-18 1996-07-1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Deployment door for use in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apparatus
JPH08192666A (ja) 1995-01-20 1996-07-30 Toyo Tire & Rubber Co Ltd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JPH08216216A (ja) * 1995-02-16 1996-08-27 Kawamura Kako Kk 破断用溝部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品の成形方法
US5564731A (en) 1995-03-31 1996-10-15 Davidson Textron Inc. Motor vehicle instrument panel with flexible tethering hinged air bag deployment door
JPH08268205A (ja) 1995-03-31 1996-10-15 Toyoda Gosei Co Ltd パッドの製造方法
JP3418809B2 (ja) * 1995-04-17 2003-06-23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表皮およびその成形方法
JP3466322B2 (ja) 1995-04-24 2003-11-10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カバー及びその成形方法
EP0748722B1 (en) * 1995-06-16 2001-09-12 Toyoda Gosei Co., Ltd. Interior finish member for an automobile with an air ba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3111855B2 (ja) * 1995-06-16 2000-11-27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用内装部材
JP3473185B2 (ja) 1995-06-16 2003-12-02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用内装部材
JP3227638B2 (ja) 1995-08-11 2001-11-12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カバー
JP3254973B2 (ja) 1995-07-31 2002-02-12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カバー
JPH092180A (ja) * 1995-06-21 1997-01-07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カバー
JP3304693B2 (ja) 1995-06-21 2002-07-22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カバーの製造方法
JPH092181A (ja) 1995-06-21 1997-01-07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カバー
DE69627578T2 (de) * 1995-06-21 2004-02-12 Toyoda Gosei Co., Ltd. Airbagabdeck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3385815B2 (ja) * 1995-08-11 2003-03-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バッグドアを備えた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JP3728778B2 (ja) * 1995-09-22 2005-12-21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カバー
US5590903A (en) * 1995-09-29 1997-01-07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Deployment door assembly
US5580083A (en) * 1995-10-02 1996-12-03 Davidson Textron Inc. Air bag cover with seamless interface tear sea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ame
DE19538871A1 (de) * 1995-10-19 1997-04-24 Mst Automotive Gmbh Airbag-Gehäuse
JPH09156445A (ja) * 1995-12-12 1997-06-17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カバー
JP3326481B2 (ja) * 1996-04-30 2002-09-24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エアーバッグカバー一体成形車両内装部品
US5755459A (en) * 1996-06-18 1998-05-2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Folded air bag with adhesive
DE19626416A1 (de) * 1996-07-01 1998-01-08 Takata Europ Gmbh Airbagmodul-Abdeckkappe
JP3759262B2 (ja) * 1996-11-26 2006-03-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バック
US6065771A (en) * 1997-02-19 2000-05-23 Toyo Tire & Rubber Co., Ltd. Instrument panel for air bag
JP3793790B2 (ja) * 1997-04-11 2006-07-05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US5941558A (en) * 1997-06-09 1999-08-24 Textron Automotive Company Inc. Apparatus for deploying an airbag through a hard panel
US6042140A (en) * 1998-07-10 2000-03-28 Larry J. Winget Air bag cover having a visually perceptible tear seam
JP2001088646A (ja) * 1999-09-22 2001-04-03 Mitsuboshi Belting Ltd エアバッグドア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8260A (ko) * 2021-01-25 2022-08-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ab 도어의 절개 유도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1702027B2 (en) 2021-01-25 2023-07-18 Hyundai Mobis Co., Ltd. Tear inducing apparatus for PAB do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572301B1 (ko) * 2021-01-25 2023-08-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ab 도어의 절개 유도 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82616A2 (en) 2008-01-30
EP0904994A4 (en) 2001-06-06
CA2256497C (en) 2003-07-01
WO1998042547A1 (fr) 1998-10-01
CA2256497A1 (en) 1998-10-01
EP1882616A3 (en) 2009-11-25
US6612607B1 (en) 2003-09-02
ES2324321T3 (es) 2009-08-04
CN100374328C (zh) 2008-03-12
EP0904994B1 (en) 2009-05-13
EP1882616B1 (en) 2011-04-27
KR20000015992A (ko) 2000-03-25
US20030189321A1 (en) 2003-10-09
CN1220637A (zh) 1999-06-23
US7063349B2 (en) 2006-06-20
DE69840821D1 (de) 2009-06-25
DE69842246D1 (de) 2011-06-09
US6733713B2 (en) 2004-05-11
EP0904994A1 (en) 1999-03-31
US20040140652A1 (en) 2004-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7105B1 (ko) 에어백도어부를구비한차량용내장부재및그성형방법
JP3298503B2 (ja) エアバッグドア部を有する車両用内装部材
KR100812835B1 (ko)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및 그 제조방법
JP2003137054A (ja) エアバッグドアのインサート部材
JPH10250519A (ja) エアバッグドア部を一体に有する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及びその成形方法
JP3765166B2 (ja) エアバッグドア部を有する車両用内装部材
EP1003652B1 (en) Integral airbag door configuration
EP1393990B1 (en) Air-bag-door-equipped vehicle interior trim articl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20060163775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cover for an airbag in a motor vehicle
JPH04197849A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ク展開開口部の構造およびその製法
JP3430915B2 (ja) エアバッグドア部を有する車両用内装部材
JP3428402B2 (ja) エアバッグドア部を有する車両用内装部材及びその成形方法
CN101186198B (zh) 具有气囊门部分的车辆用内部构件及其成形方法
JPH10236265A (ja) エアバッグドアを一体に有する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エアバッグドア
JP2005075140A (ja) エアバッグドアにおける破断予定部およびその成形方法
JP3893536B2 (ja) エアバッグドア
US20240034262A1 (en) Instrument panel airbag assembly
JP4067355B2 (ja) 自動車内装品本体
JP2002211342A (ja) エアバッグドア及びエアバッグドア成形方法
JP5871424B2 (ja) エアバッグ装置のカバー体
JPH10291232A (ja) エアバッグドア部を一体に有する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成形方法
KR100518344B1 (ko) 조수석 에어백 커버 성형용 금형장치
JP2004161017A (ja) エアバッグドア部を有する車両用内装部材
JPH09240412A (ja) エアバッグドア部を一体に備えた車室側部材およびその製法
JP2007022336A (ja) エアバッグドア部付内装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