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7526B1 - 시멘트분산제와그제조방법및이를이용한시멘트조성물 - Google Patents

시멘트분산제와그제조방법및이를이용한시멘트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7526B1
KR100247526B1 KR1019960027964A KR19960027964A KR100247526B1 KR 100247526 B1 KR100247526 B1 KR 100247526B1 KR 1019960027964 A KR1019960027964 A KR 1019960027964A KR 19960027964 A KR19960027964 A KR 19960027964A KR 100247526 B1 KR100247526 B1 KR 100247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ment
weight
cement dispersant
monomer
monomer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7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6222A (ko
Inventor
요시오 다나카
아키라 오타
츠요시 히라타
토루 우노
츠토무 유아사
히데유키 다하라
Original Assignee
겐지 아이다
니폰 쇼쿠바이 컴파니 리미티드
맥스티 존 앤소니, 발렌티 살바토레
엠비티홀딩에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32444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4752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겐지 아이다, 니폰 쇼쿠바이 컴파니 리미티드, 맥스티 존 앤소니, 발렌티 살바토레, 엠비티홀딩에이.지 filed Critical 겐지 아이다
Publication of KR970006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7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75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4Carboxylic acids; Salts, anhydrides or est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41Polyacrylates; Polymethacrylates
    • C04B24/2647Polyacrylates; Polymethacrylates containing polyether side cha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41Polyacrylates; Polymeth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38Polymerisation using regulators, e.g. chain terminating agents, e.g. telo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2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30Water reducers, plasticisers, air-entrainers, flow improvers
    • C04B2103/302Water reduc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30Water reducers, plasticisers, air-entrainers, flow improvers
    • C04B2103/308Slump-loss prevent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40Surface-active agents, dispersants
    • C04B2103/408Dispers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034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mixtures
    • C04B2111/00189Compositions or ingredients of the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analysis-spectra, e.g. NM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28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08F220/285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and containing a polyether chain in the alcohol moiety
    • C08F220/28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and containing a polyether chain in the alcohol moiety and containing polyethylene oxide in the alcohol moiety, e.g. methoxy polyethylene glycol (meth)acryl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로서, 그 분자량 분포를 특정함으로써 슬럼프 유지 성능과 감수 성능이 우수한 시멘트 분산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중량평균분자량이 겔퍼미에이션 크로마토 그래피에 의한 폴리에틸렌 글리콘 환산으로 10,000-500,000의 범위내에 있으며, 또한 중량평균분자량으로부터 피크톱 분자량을 뺀 값이 0-8,000인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시멘트 분산제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멘트 조성물{Cement dispersant,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and cement composition using the dispersant}
본 발명은 시멘트 분산제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멘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시멘트 입자의 분산성을 향상시켜 시멘트 조성물의 유동성을 높이고, 얻어진 유동성의 경시적인 저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적절한 공기량을 연속적으로 운행시켜 시멘트 조성물에 양호한 작업성을 부여하여 높은 강도를 가지는 콘크리트를 형성시키는 시멘트 분산제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멘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1981년 콘크리트 구조물의 조기 열화가 사회 문제화된 이래, 콘크리트 중의 단위 수량(水量)을 줄여 그 시공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강력하게 요구되어 온 속에서 시멘트 조성물의 품질 및 성능에 다대한 영향을 미치는 시멘트 분산제에 대한 기술 혁신이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시멘트 조성물은 시멘트와 물의 수화(水和) 반응 등에 의해 배합후의 시간의 경과와 함께 컨시스턴시가 저하되어 작업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이 현상은 콘크리트에서는 일반적으로 슬럼프 손실(slump loss) 이라 불리우고 있으며, 단위 수량이 낮은 즉, 작금 요구되는 고감수율(高減水率)의 시멘트 조성물만큼 슬럼프 손실이 커진다. 이러한 슬럼프 손실은 생콘크리트에 있어서 운반시간의 제한, 타설(打設)현장에서의 대기시간 등에 의한 품질 변화 및 시공성 불량, 콜드 조인트 등에 의한 내구성 저하 등의 장해를 일으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콘크리트 2차제품의 제조 공장 등에 있어서는 시멘트 조성물의 펌프 압송을 일시 중단한 후 압송을 재개했을 때 압송압이 급격히 증가되거나 펌프가 막히는 등의 사고의 요인이 되거나, 형틀에 시멘트 조성물을 다져넣은 후 무언가의 이유로 완전히 굳히기 등의 성형이 늦어진 경우에는 미충전 등의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슬럼프 손실은 생콘크리트 공장이나 콘크리트 2차제품의 제조 공장 등에 있어서 시멘트 조성물의 품질 관리 및 시공성 개선을 위하여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그래서 높은 감수성을 가지며 슬럼프 손실이 작음과 동시에 생콘크리트 공장에서 콘크리트 조성물에 첨가 가능한, 즉 고성능 AE 감수제의 개발이 각 혼화제 메이커에서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고, 현재 나프탈렌계, 아미노설폰산계 및 폴리카르본산계 등의 고성능 AE 감수제가 시판되고 있다. 폴리카르본산계 고성능 AE감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특공소 59-18338호에 폴리알킬렌 글리콜 모노(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와 (메타)아크릴산계 단량체 및 이들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를 특정 비율로 도입함으로써 제조된 공중합체가, 특개평 5-238795호에는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폴리알킬렌 글리콜 디에스테르계 단량체와 해리기(解離基)를 가지는 단량체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공중합체가, 특개평 8-12396호에는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폴리알킬렌 글리콜계 단량체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다른 특정의 단량체와의 공중합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폴리카르본산계 고성능 AE감수제는 높은 감수 성능과 슬럼프 유지 기능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그래도 충분히 만족할만 하지 않아 더욱 성능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시멘트 조성물의 슬럼프 손실 방지능을 개선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여러가지가 제안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특개소 54-139929호 공보에서는 나프탈렌설폰산 포르말린 축합물을 입자상으로하여 시멘트 조성물 중에서 서서히 용해시킴으로써, 슬럼프 손실을 방지하는 방법이, 특개소 60-16851호 공보에서는 올레핀과 에틸렌성 불포화 디카르본산 무수물과의 공중합체의 입자상물을 시멘트 조성물 중에서 서서히 가수분해하여 용해시켜 슬럼프 손실을 방지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는데, 그 어느 것이나 입자상의 혼화제가 용액중에 분산되어 있는 것이며, 혼화제의 편재화, 보존안전성 등에 문제가 있다. 또한 특개소 63-162562호 공보에서는 폴리아크릴산 등의 유기함수 겔 중에 시멘트 분산제를 함유시키고, 시멘트 조성물 중에서 서서히 분산제를 방출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는데, 물에 녹지 않는 겔을 포함하므로 분리, 침강 등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고강도를 꾀하고자 물/시멘트비(중량비)를 15-40%로 극단적으로 억제한 경우에는 이들의 고성능 AE 감수제 중에서도 감수성능이 가장 높다고 일컬어지는 폴리카르본산계의 고성능 AE 감수제를 가지고 있더라도 시멘트 조성물에 충분한 유동성을 부여하기가 곤란하며, 슬럼프 손실도 크기 때문에 충분한 시공성도 얻을 수도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여 우수한 슬럼프 유지 성능을 가지는 시멘트 분산제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멘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는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물/시멘트비(중량비)가 15-40%인 시멘트 조성물에 대해서도 우수한 유동성을 장시간에 걸쳐 부여하는 시멘트 분산제 및 이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시멘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2)와 비교 시멘트 분산제(7)의 중량평균분자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시멘트 조성물은 (1)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A) 또는 그 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시멘트 분산제에 있어서, 이 중합체 (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겔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이하, GPC라고 한다)에 의한 폴리에틸렌 글리콜 환산으로 10,000-500,000의 범위내에 있으며,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부터 피크톱 분자량을 뺀 값이 0-8,000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피크톱 분자량"이란 GPC 차트에 있어서의 시험 폴리머에 대해서 플롯팅된 커브 중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상당하는 분자량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또한 (2)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A)가 하기 화학식(1):
(단, 식중 R1은 수소 혹은 메틸기를 나타내며, R2O는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나타내며, 2종 이상인 경우에는 블록상 혹은 랜덤상으로 부가하여도 무방하며, R3은 수소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m은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는 값으로 1-100의 정수를 나타낸다.)로 나타내지는 (알콕시)폴리알킬렌글리콜 모노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a) 5-98중량%, 하기 화학식(2):
(단, 식중 R4는 수소 혹은 메틸기를 나타내며, M1은 수소, 1가 금속, 2가 금속, 암모늄기 또는 유기아민기를 나타낸다)로 나타내지는 (메타)아크릴산계 단량체 (b)95-2%중량%, 및 이들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 (c) 0-50중량% (단, (a),(b) 및 (c)의 합계는 100중량%)를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상기 (1) 기재의 시멘트 분산제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3) (알콕시)폴리알킬렌 글리콜 모노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a)가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이며, (메타)아크릴산계 단량체(b)가 (메타) 아크릴산인 상기 (2) 기재의 시멘트 분산제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4) 상기 중합체(A)의 시멘트 입자에의 흡착율이 시멘트에 대해서 0.2중량% 첨가했을 때, 실온하 5분간에 6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시멘트 분산제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5) 상기 중합체 (A)의 시멘트 입자에의 흡착율이 시멘트에 대해서 0.2중량% 첨가했을 때, 실온하 5분간에 6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시멘트 분산제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는 (6) 불포화 카르본산계 단량체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단량체 혼합물 (I)의 사용량이 사용하는 원료의 전량에 대해서 10-28중량%의 범위내이며, 중합 온도가 단량체 혼합물(I)의 흐림점(曇點) 이하의 온도이며, 또한 단량체 혼합물(I)의 중화율이 0-20몰%의 범위내인 조건에서 이 단량체 혼합물(I)을 물을 포함하는 반응 용기에 적하함으로써 중합 반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분산제의 제조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7) 불포화 카르본산계 단량체를 필수성분으로 하는 단량체 혼합물(I)의 중화율이 0-20몰%의 범위내, 또한 이 단량체 혼합물(I)를 미리 연쇄이동제와 혼합한 후에 물을 포함하는 반응 용기에 적하함으로써 중합 반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분산제의 제조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8) 단량체 혼합물(I)이 하기 화학식(1):
〔화학식 1〕
(단, 식중 R1은 수소 혹은 메틸기를 나타내며, R2O는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나타내며, 2종 이상인 경우에는 블록상 혹은 랜덤상으로 부가하여도 좋으며, R3는 수소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m은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는 값으로 1-100의 정수를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알콕시)폴리알킬렌 글리콜 모노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a) 5-98중량%, 하기 화학식 (2):
〔화학식 2〕
(단, 식중 R4는 수소 혹은 메틸기를 나타내며, M1은 수소, 1가금속, 2가금속, 암모늄기 또는 유기아민기를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메타)아크릴산계 단량체 (b) 95-2중량% 및 이들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 (c) 0-50중량% (단, (a),(b) 및 (c)의 합계는 100중량%)로 이루어진 상기 (6) 또는 (7) 기재의 시멘트 분산제의 제조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9) 적어도 시멘트, 물 및 시멘트 분산제를 함유하는 시멘트 조성물로서, 상기 (1) 또는 (2) 기재의 시멘트 분산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진 시멘트 조성물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의 주성분으로 이용되는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A)란 필수 성분으로서 불포화 카르본산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I)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의 총칭인데, 특히 단량체 혼합물(I)이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1〕
(단, 식중 R1은 수소 혹은 메틸기를 나타내며, R2O는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나타내며, 2종 이상인 경우에는 블록상으로 부가하거나 랜덤상으로 부가하여도 좋으며, R3는 수소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m은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는 값으로 1-100의 정수를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알콕시)폴리알킬렌 글리콜 모노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a) 5-98중량%, 하기 화학식 (2):
〔화학식 2〕
(단, 식중 R4는 수소 혹은 메틸기를 나타내며, M1은 수소, 1가금속, 2가금속, 암모늄기 또는 유기아민기를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메타)아크릴산계 단량체 (b) 95-2중량% 및 이들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 (c) 0-50중량% (단, (a),(b) 및 (c)의 합계는 100중량%)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량체 (a)의 예로서는 히드록시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 프로필(메타)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타) 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렌 글리콜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부틸렌 글리콜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 부틸렌 글리콜 모노 (메타)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부틸렌 글리콜 모노 (메타) 아크릴레이트,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 폴리부틸렌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 부틸렌 글리콜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부틸렌 글리콜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부틸렌 글리콜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 폴리부틸렌 글리콜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부틸렌 글리콜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부틸렌 글리콜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에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부틸렌 글리콜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는 시멘트에 흡착후 단량체(a)가 가지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쇄의 친수성과 입체반발에 의해 강력한 시멘트 분산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러한 관점으로부터 폴리알킬렌 글리콜쇄에는 친수성이 높은 옥시에틸렌기를 많이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단량체(a)에 이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옥시에틸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는 1-100이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높은 친수성과 입체 반발을 얻기 위해서는 옥시 에틸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가 5-100몰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단량체(b)의 예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이들 1가금속염, 2가금속염, 암모늄염 및 유기아민염을 들 수 있으며, 이들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 (c)의 예로서는 탄소수 1-20개의 지방족 알콜과 (메타)아크릴산과의 에스테르; 말레인산, 푸말산, 시트라콘산 등의 불포화 디카르본산 및 이들의 1가금속염, 2가금속염, 암모늄염 및 유기아민염; 말레인산, 푸말산, 시트라콘산 등의 불포화 디카르본산과 탄소수 1-20개의 지방족 알콜 또는 탄소수 2-4의 글리콜 혹은 이들 클리콜의 부가 몰수가 2-100인 (알콕시)폴리알킬렌 글리콜과의 모노 에스테르 혹은 디에스테르; (메타)아크릴아미드, (메타)아크릴 알킬아미드 등의 불포화 아미드류; 초산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등의 비닐 에스테르류; 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류; (메타)아릴설폰산, 설포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틸프로판설폰산 (메타)아크릴아미드, 스티렌 설폰산 등의 불포화설폰산류 및 이들의 1가금속염, 2가금속염, 암모늄염 및 유기아민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단량체(a), 단량체 (b) 및 단량체(c)를 이용하는 비율은 단량체 (a)가 5-98중량%, 바람직하기로는 25-96중량%,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40-94중량%이며, 단량체 (b)가 95-2중량%, 바람직하기로는 75-4중량%,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60-6중량%이며, 단량체 (c)가 0-50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30중량%,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0-10중량%이다.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A)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GPC에 의한 폴리에틸렌 글리콘 환산으로 10,000-500,000, 바람직하기로는 10,000-100,000의 범위이다. 또한 이 중합체(A)의 중량평균분자량으로부터 피크톱 분자량을 뺀 값은 0-8,000일 필요가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0-7,000이다.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미만 혹은 500,000을 넘는 경우에는 얻어지는 시멘트 분산제의 감수 성능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중량평균분자량으로부터 피크톱 분자량을 뺀 값이 8,000을 넘는 경우에는 얻어진 시멘트 분산제의 슬럼프 유지 성능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는 상술한 바와 같은 특정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짐과 동시에 중량평균분자량으로부터 피크톱 분자량을 뺀 값이 특정값을 가지는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A)를 주성분으로 하는 시멘트 분산제이다.
일반적으로 시멘트 분산제에 이용되는 폴리머의 시멘트 분산 성능은 분자량과 관계가 있으며, 중량평균분자량(Mw)에는 최적의 범위임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얻어지는 폴리머의 분자량 분포를 상세히 설명하면, Mw는 동일하더라도 피크톱 분자량(Mp)이 Mw의 저분자량측 혹은 고분자량측에 위치하는 것과 같은 각종 분자량 분포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Mw는 동일하다 할지라도 Mp가 크게 벗어나 저분자량층에 있는, 즉 Mw-Mp〉8,000인 폴리머는 시멘트 분산 성능이 낮은 고분자량 중합체를 많이 포함하므로 동일한 플로우값을 얻기 위해서는 시멘트 분산제의 첨가량이 많이 필요하게 되거나, 혹은 슬럼프 유지 성능이 저하되게 되며, 폴리머가 Mw-Mp〈0의 분자량 분포를 가지는 경우는 저분자량 중합체가 많아지므로 공기의 운행량이 과대해져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폴리머는 흐림점을 넘은 고온에서 단량체 혼합물(I)을 중합시키거나, 연쇄이동제를 단량체 혼합물(I)과 별도로 반응용기내로 적하하여 중합시키거나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흐림점을 넘은 고온에서 단량체 혼합물(I)을 중합시킨 경우에는 단량체 혼합물(I)이 물에 녹지 않는 현탁물과 물에 잘 녹는 수용물로 나뉘어 불균일해지며, 중합성물질의 농도가 높기때문에 고분자량체가 현탁물중에 형성된다. 또한 연쇄이동제를 단량체 혼합물(I)과 별도로 물을 포함하는 반응용기내로 적하하여 중합시킨 경우에는 연쇄이동제가 물속에 균일하게 용해되는데 약간 시간이 걸리므로 연쇄반응제 방울과 접촉된 단량체 혼합물(I)은 저분자량체에 머물러 버리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A)가 이하의 (i) 또는 (ii)의 요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시멘트 분산제로서의 여러 성능이 가장 우수하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i)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A)의 시멘트 입자에의 흡착율이 시멘트에 대해서 이 중합체(A)를 0.2중량% 첨가했을 때에 실온하 5분간에 60% 미만, 바람직하기로는 50% 미만인 경우.
(ii)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A)의 시멘트 입자에의 흡착율이 시멘트에 대해서 이 중합체(A)를 0.2중량% 첨가하였을 때에 실온하 5분간에 60% 이상인 경우.
여기서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A)의 시멘트 입자에의 흡착율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산출한 것으로 한다.
우선, 비이커에 사용할 시멘트에 대해서 고형분환산으로 0.2중량%가 되도록 중합체(A)를 넣고 소정량의 물을 첨가한다. 동일한 비이커에 소정량의 시멘트를 가하여 소정시간 교반한 후, 여과를 행하여 여과액을 채취한다. 얻어진 여과액중에 잔존하는 중합체(A)의 농도를 시차굴절계(differential refractive index detector)로 측정한다. 그리고 이하의 식으로 흡착율을 계산한다.
따라서, 이 중합체(A)가 모두 시멘트입자에 흡착되어 여과액으로부터 검출되지 않으면 흡착율은 100%가 된다.
이 중합체(A)가 (i)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는 얻어지는 시멘트 조성물의 유동성을 장시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이 중합체(A)가 (ii)의 요건을 만족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는 극단적으로 낮은 물/시멘트비의 시멘트 조성물에 있어서도 충분한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중합체(A)가 (ii)의 요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는 물/시멘트비가 60중량%라는 통상 이용되는 범위에서도 모르타르에서의 성능 평가시험에 있어서 극히 소량의 첨가량으로 모르타르 플로우값 100mm이상, 운행공기량 10% 이하라는 바람직한 모르타르 성상을 부여할 수 있다.
발명자들은 폴리카르본산계 시멘트 분산제의 시멘트 입자에의 흡착은 분자량이 높아질수록 신속히 행해지며, 고분자량체가 시멘트 입자에 흡착된 후, 경시적으로 순차, 저분자량이 흡착되어감을 발견하였다. 더욱이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흡착은 시멘트 입자가 폴리카르본산계 시멘트 분산제의 수용액과 접촉한 직후부터 시작되며, 1시간 전후 혹은 그 이상의 시간에 포화 흡착에 도달함을 알아냈다.
이때, 포화흡착율은 폴리카르본산계 시멘트 분산제의 종류에도 의하지만 약80% 정도이다.
그리고, 상기 (i)의 요건은 폴리카르본산계 시멘트 분산제의 시멘트 입자에의 초기 흡착을 극히 억제하여 그후의 경시적인 흡착을 행하는 것이며, 시멘트 분산성능을 시간의 경과와 함께 향상 혹은 지속시키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ii)의 요건은 폴리카르본산계 시멘트 분산제의 시멘트 입자에의 흡착을 극히 단시간에 종료시켜 초기의 시멘트 분산 성능을 높이는 것이다.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A)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분자량 분포가 얻어진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중합개시제를 이용한 용액중합이나 덩어리상 중합 등의 공지의 중합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중합방법은 회분식이나 연속식으로도 행할 수 있으며, 그때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물; 메틸알콜, 에틸알콜 및 이소프로필알콜 등의 알콜; 벤젠, 톨루엔, 크실렌, 시클로헥산 및 n-헥산 등의 방향족 혹은 지방족 탄화수소; 초산에틸 등의 에스테르 화합물; 아세톤 및 메틸에틸 케톤 등의 케톤화합물 등을 들 수 있는데, 원료 단량체 및 얻어지는 중합체(A)의 용해액으로부터 물 및 탄소수 1-4의 저급알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물을 용매로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용액 중합을 행하는 경우, 중합개시제로서 암모늄 또는 알카르리금 속의 과황산염; 과산화수소; 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 아미딘염산염 등의 아조아미딘 화합물 등의 수용성의 중합개시제가 사용되며, 이때 아황산 수소나트륨 등의 촉진제를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저급알콜, 방향족 혹은 지방족 탄화수소, 에스테르화합물 혹은 케톤화합물을 중합계의 용제로서 이용할 때에는 벤조일 퍼옥사이드나 라우로일 퍼옥사이드 등의 퍼옥사이드; 큐멘하이드로 퍼옥사이드 등의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의 아조화합물 등이 중합개시제로서 이용된다. 이때 아민화합물 등의 촉진제를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물-저급 알콜 혼합용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각종 중합개시제 혹은 중합개시제와 촉진제의 조합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덩어리상 중합은 중합개시제로서 벤조일 퍼옥사이드나 라우로일 퍼옥사이드 등의 퍼옥사이드; 큐멘하이드로 퍼옥사이드 등의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의 아조화합물 등을 이용하여 50-200℃의 온도 범위내에서 행해진다.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A) 중의 카르복실기는 유리염 또는 원하는 중화율의 염이어도 좋다. 그러한 알카르리성 물질로서는 1가금속 및 2가금속의 수산화물, 염화물 및탄산염 등의 무기염; 암모니아; 유기아민 등이 예시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 (1) 불포화 카르본산계 단량체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단량체 혼합물(I)을 중합하고 필요하다면 이를 원하는 중화율까지 중화하는 방법 및 (2) 원하는 중화율로 중화한 불포화 카르본산계 단량체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단량체 화합물(I)을 중합하여, 필요하다면 이 중화율을 더욱 높이는 방법 등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의 특히 바람직한 제조방법으로서는 이하의 ① 혹은 ②의 제조방법이 예시된다.
① 불포화 카르본산계 단량체를 필수성분으로 하는 단량체 혼합물(I)의 사용량이 사용하는 원료의 전량에 대해서 10-28중량%의 범위내이며, 중합 온도가 단량체 혼합물(I)의 흐림점 이하, 바람직하기로는 20-52℃의 범위이며, 단량체 혼합물(I)의 중화율이 0-20몰%의 범위내인 조건하에서 이 단량체 혼합물(I)을 물을 포함하는 반응용기에 적하함으로써 중합 반응을 행하는 방법.
② 불포화 카르본산계 단량체를 필수성분으로 하는 단량체 혼합물(I)을 연쇄이동제와 혼합하고, 이 단량체 혼합물(I)의 중화율이 0-20몰%의 범위내인 조건하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반응용기에 적하함으로써 중합 반응을 행하는 방법.
①의 방법은 반응용기에 물을 넣고, 거기에 단량체 혼합물(I) 수용액과 중합촉매 수용액을 각각 적하하면서 중합 반응을 행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단량체 혼합물의 사용량은 사용할 원료의 전량에 대해서 10-28%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28%를 넘는 사용량으로는 과대한 공기 운행을 초래하며, 10% 미만에서는 단위 생산량당의 순도가 너무 저하되어 경제성에도 문제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특정의 분자량 분포를 얻기 위해서 단량체 혼합물(I)의 흐림점 이하의 온도, 바람직하기로는 20-52℃의 범위내에서 중합반응을 행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리고, 단량체 혼합물(I)의 중화율은 0-20%의 범위내이며, 20%를 넘는 중화율에서는 감수 성능이 저하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상의 조건하에서 반응용기내의 물을 소정 온도까지 승온하고, 단량체 혼합물(I) 수용액과 중합촉매 수용액을 동시에 각각 적하함으로써 중합반응을 개시시킨다. 이때 단량체 혼합물(I) 수용액을 4시간에 걸쳐 일정 속도로 물 속에 적하하고, 촉매 수용액을 동시에 물 속에 적하하는데, 촉매의 첨가는 5시간에 걸쳐 행해진다. 적하시간이 이 이상 너무 짧거나 길어지면 감수 성능이나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을 완결시키기 위해 중합촉매 수용액의 적하 시간은 단량체 혼합물(I) 수용액의 적하시간보다 길게 설정하며, 바람직하기로는 30분 이상,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1시간 이상 길게 취한다. 그리고 중합촉매 수용액의 적하 종료후, 소정온도를 적어도 30분, 바람직하기로는 1시간 이상 유지하여 중합반응을 종료시킨다. 이와같이 하여 중합반응은 종료되며 온도를 내린 후 필요하다면 중화, 농도 조정을 행한다.
②의 방법은 반응용기에 물을 넣고, 단량체 혼합물(I) 수용액과 연쇄이동제를 미리 균일하게 혼합시켜 수용액(II)를 조제하고, 수용액(II)와 중합촉매 수용액을 각각 반응용기에 적하하면서 중합반응을 행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정 분자량 분포를 얻기 위해 연쇄이동제는 중합반응전에 단량체 혼합물(I) 수용액과 균일하게 혼합시켜야 한다. 혼합은 단량체 혼합물(I) 수용액을 포함하는 탱크내에서 행하여도 좋으며, 이 탱크로부터 반응용기에 이르는 피드라인에서 스타팅 믹서 등으로 행해도 좋다. 혼합온도는 연쇄이동제에 의한 중합이 일어나지 않도록 50℃ 이하에서 행한다. 또한 단량체 혼합물(I)의 중화율은 0-20%의 범위내이며, 20%를 넘는 중화율에서는 감수 성능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상의 조건하에서 반응용기내의 물을 소정온도까지 승온하고, 수용액(II)와 중합촉매 수용액을 동시에 각각 적하함으로써 중합 반응을 개시시킨다. 각각의 적하는 예를 들어 수용액(II)를 4시간, 중합촉매 수용액을 5시간에 걸쳐 균일하게 행한다. 또한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을 완결시키기 위해, 중합촉매 수용액의 적하 시간은 수용액(II)의 그것 보다도 길게 설정하고, 바람직하기로는 30분간 이상,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1시간 이상 길게 취한다. 중합촉매 수용액의 적하 종료후, 소정 온도를 적어도 30분간, 바람직하기로는 1시간 이상 유지하여 중합반응을 종료시킨다. 이와같이 하여 중합반응은 종료하고 온도를 내린 후 필요하다면 중화, 농도 조정을 행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연쇄이동제는 티올계 화합물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메르캅토 에탄올, 티오글리세롤, 티오글리콜산, 2-메르캅토 프로피온산, 3-메르캅토 프로피온산, 티오사과산, 티오글리콜산 옥틸, 3-메르캅토 프로피온산 옥틸 및 2-메르캅토 에탄설폰산 등의 공지의 티올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연쇄이동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중합체(A)는 단독 또는 혼합물 형태로, 수용액 형태 그대로 시멘트 분산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중합체(A)를 다른 공지의 시멘트 혼화제와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으며, 이러한 공지의 시멘트 혼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종래의 시멘트 분산제, 공기운행제, 시멘트 윤활제, 팽창제, 방수제, 지연제, 급결제, 수용성 고분자물질, 증점제, 응집제, 건조수축 저감제, 강도증진제, 경화촉진제 및 소포제(消泡劑) 등을 열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는 포트랜드 시멘트, 알루미나 시멘트, 비라이트 고함유 시멘트나 각종 혼합 시멘트 등의 수경(水경) 시멘트 혹은 석고 등의 시멘트 이외의 수경 재료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는 예를 들어 수경 시멘트를 이용하는 모르타르나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멘트 중량의 0.01-1.0%, 바람직하기로는 0.02-0.5% 정도 비율의 양을 첨가하면 된다. 이 첨가에 의해 슬럼프 유지 성능의 향상, 단위 수량의 저감, 콘크리트 강도의 증대 및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의 내구성 향상 등의 각종 바람직한 여러 효과가 얻어진다. 시멘트 분산제의 첨가량이 0.01% 미만에서는 성능적으로 불충분하며, 반대로 1.0%를 넘는 양을 사용하여도 그 효과는 실질상 한계점에 도달하여 경제면에서도 불리해진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상술한 시멘트 분산제를 이용하여 이루어진 시멘트 조성물은 적어도 시멘트, 물 및 상술한 시멘트 분산제를 함유하는 것이다. 상술한 시멘트 분산제를 시멘트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0.01-1.0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0.02-0.5중량부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도록 배합되어 조제된 시멘트 조성물에서는 예를 들어 슬럼프 유지시간이 훨씬 향상되는 이외에, 단위 수량의 저감, 콘크리트 강도의 증대 및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의 내구성의 향상 등의 각종 바람직한 여러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시멘트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는 시멘트로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포트랜드 시멘트, 알루미나 시멘트, 비라이트 고함유 시멘트, 각종 혼합시멘트 등의 수경 시멘트를 들 수 있다. 또한 시멘트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는 세골재(細骨材) 및 조골재(粗骨材)에 있어서도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수많은 종류의 세골재 및 조골재로부터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시멘트 조성물에 대한 세골재 및 조골재의 배합량 등에 관해서도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할 재료 등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결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것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예 중 특별히 이유가 없는 한 %는 중량%를, 부는 중량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1)을 제조하기 위한 참고예 1
온도계, 교반기, 유입구, 질소도입관 및 환류냉각기를 구비한 유리제 반응용기에 물 1698부를 넣고, 교반하에 반응용기내를 질소 치환하고, 질소분위기하에서 80℃까지 가열하였다. 다음에,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25개) 1668부, 메타크릴산 332부 및 물 500부를 혼합하고, 연쇄이동제로서 메르캅토 프로피온산 16.7부를 균일하게 혼합함으로써, 단량체 혼합물 수용액을 조제하였다. 이 단량체 혼합물 수용액 및 10% 과황산 암모늄 수용액 184부를 각각 4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적하 종료후 10% 과황산 암모늄 수용액 46부를 1시간에 결쳐 적하하였다. 그 후 1시간 계속해서 80℃로 온도를 유지하여 중합반응을 완결시켰다. 그리고 30%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하여 중량평균 분자량 (GPC에 의한 폴리에틸렌 글리콜 환산 ; 이하 마찬가지로 한다) 23,800, 피크톱 분자량 18,200의 중합체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1)을 얻었다.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2)를 제조하기 위한 참고예 2
온도계, 교반기, 유입구, 질소도입관 및 환류냉각기를 구비한 유리제 반응용기에 물 1520부를 넣고, 교반하에 반응용기내를 질소 치환하며, 질소분위기하에서 50℃까지 가열하였다. 다음에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10개) 790부, 메타크릴산 189부, 메타크릴산 나트륨 26부 및 물 1500부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 수용액, 10% 과황산 암모늄 수용액 400부, 5% 아황산 수소나트륨 수용액 400부를 각각 4시간 적하하고, 적하 종료후 10% 과황산 암모늄 수용액 100부, 5% 아황산 수소나트륨 수용액 100부를 1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그후 1시간 계속해서 50℃로 온도를 유지하여 중합반응을 완결시켰다. 그리고 30%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하여 중량평균분자량 33,300, 피크톱 분자량 31,800의 중합체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2)를 얻었다.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3)을 제조하기 위한 참고예 3
온도계, 교반기, 유입구, 질소도입관 및 환류냉각기를 구비한 유리제 반응용기에 물 1700부를 넣고, 교반하에 반응용기내를 질소 치환하며, 질소분위기하에서 80℃까지 가열하였다. 다음에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25개) 1580부, 메타크릴산 420부 및 물 500부를 혼합하여, 연쇄이동제로서 메르캅토 프로피온산 14.5부를 균일하게 혼합함으로써 단량체 혼합물 수용액을 조제하였다. 이 단량체 혼합물 수용액 및 10% 과황산 암모늄 수용액 184부를 각각 4시간 적하하고, 적하 종료후 10% 아황산 암모늄 수용액 46부를 1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그후 1시간 계속해서 80℃로 온도를 유지하여 중합반응을 완결시켰다. 그리고 30%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하여 중량평균분자량 28,600, 피크톱 분자량 22,500의 중합체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3)을 얻었다.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4)를 제조하기 위한 참고예 4
온도계, 교반기, 유입구, 질소도입관 및 환류냉각기를 구비한 유리제 반응용기에 물 1698부를 넣고, 교반하에 반응용기내를 질소 치환하며, 질소분위기하에서 80℃까지 가열하였다. 다음에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25개) 1796부, 메타크릴산 204부 및 물 500부를 혼합하고, 연쇄이동제로서 메르캅토 프로피온산 16.7부를 균일하게 혼합함으로써 단량체 혼합물 수용액을 조제하였다. 이 단량체 혼합물 수용액 및 10% 과황산 암모늄 수용액 184부를 각각 4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적하 종료후 10% 과황산 암모늄 수용액 184부를 각각 4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적하 종료후 10% 과황산 암모늄 수용액 46부를 1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그리고 30%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하여 중량평균 분자량 20,500, 피크톱 분자량 15,300의 중합체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4)를 얻었다.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5)를 제조하기 위한 참고예 5
온도계, 교반기, 유입구, 질소도입관 및 환류냉각기를 구비한 유리제 반응용기에 물 1703부를 넣고, 교반하에 반응용기내를 질소 치환하며, 질소분위기하에서 80℃까지 가열하였다. 다음에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25개) 1858부, 메타크릴산 142부 및 물 500부를 혼합하고, 연쇄이동제로서 메르캅토 프로피온산 12.1부를 균일하게 혼합함으로써 단량체 혼합물 수용액을 조제하였다. 이 단량체 혼합물 수용액 및 10% 과황산 암모늄 수용액 184부를 각각 4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적하 종료후 10% 과황산 암모늄 수용액 46부를 1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그후 1시간 계속해서 80℃로 온도를 유지하여 중합반응을 완결시켰다. 그리고 30%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하여 중량평균분자량 32,800, 피크톱 분자량 26,400의 중합체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5)를 얻었다.
이상의 참고예 1-5로 얻어진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 (1)-(5)의 내용을 표1에 나타낸다.
시멘트분산제 a)중합농도(%) 중합온도(℃) 단량체혼합물
단량체조성비(중량비) 흐림점b)(℃) 중화c)율(%) 중합d)방법 연쇄이동제
참고예1 본발명의시멘트분산제 (1) 45 80 MPEGMMA(n=25)/MAA/SMAA=83.4/16.6/0 〉100 0 적하법 MPA
참고예2 본발명의시멘트분산제 (2) 20 50 MPEGMMA(n=10)/MAA/SMAA=78.6/18.8/2.6 52 10 적하법 없음
참고예3 본발명의시멘트분산제 (3) 45 80 MPEGMMA(n=25)/MAA/SMAA=79.0/21.0/0 〉100 0 적하법 MPA
참고예4 본발명의시멘트분산제 (4) 45 80 MPEGMMA(n=25)/MAA/SMAA=89.8/10.2/0 〉100 0 적하법 MPA
참고예5 본발명의시멘트분산제 (5) 45 80 MPEGMMA(n=25)/MAA/SMAA=92.9/7.1/0 〉100 0 적하법 MPA
시멘트분산제 시 간(hr) 중량평균분자량(Mw) 피크톱분자량(Mp) Mw-Mp
단량체혼합물적 하 연쇄이동제적 하 촉매적하 숙성 합계
참고예1 본발명의시멘트분산제 (1) 4 5 1 6 23,800 18,200 5,600
참고예2 본발명의시멘트분산제 (2) 4 5 1 6 33,300 31,800 1,500
참고예3 본발명의시멘트분산제 (3) 4 5 1 6 28,600 22,500 6,100
참고예4 본발명의시멘트분산제 (4) 4 5 1 6 10,500 15,300 5,200
참고예5 본발명의시멘트분산제 (5) 4 5 1 6 32,800 26,400 6,400
a) 숙성 종료 시점에서의 단량체의 중량%, b) 단량체 혼합물 수용액의 농도 20%에서의 흐림점
c) (메타)아크릴산의 중화율
d) 적하법은 단량체 혼합물 수용액을 반응용기에 적하하는 방법
-일괄법은 단량체 혼합물 수용액을 반응 용기에 미리 넣는 방법
(약칭) MPEGMMA: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 메타크릴레이트
n:옥시 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 MAA:메타크릴산
SMMA : 메타크릴산 나트륨, MPA:메르캅토 프로피온산
비교 시멘트 분산제(1)을 제조하기 위한 비교참고예(1)
참고예 2의 메타크릴산 189부와 메타크릴산 나트륨 26부를 메타크릴산 147부와 메타크릴산 나트륨 79부로 바꾸고 반응용기에 투입하는 물의 양을 1564부로 바꾼 것 이외에는 참고예 2와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중량평균분자량 5,100, 피크톱 분자량 4,400의 중합체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비교 시멘트 분산제(1)을 얻었다.
비교 시멘트 분산제(2)를 제조하기 위한 비교참고예(2)
참고예 2의 메타크릴산 189부와 메타크릴산 나트륨 26부를 메타크릴산 나트륨 263부로 바꾸고, 반응용기에 투입하는 물의 양을 1712부로 바꾼 것 이외에는 참고예 2와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중량평균분자량 9,000, 피크톱 분자량 5,700의 중합체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비교 시멘트 분산제(2)를 얻었다.
비교 시멘트 분산제(3)을 제조하기 위한 비교참고예(3)
온도계, 교반기, 유입구, 질소도입관 및 환류냉각기를 구비한 유리제 반응용기에 물 886부를 넣고, 교반하에 반응용기내를 질소 치환하며, 질소분위기하에서 50℃까지 가열하였다. 다음에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10개) 711부, 메타크릴산 170부, 메타크릴산 나트륨 24부 및 물 226부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 수용액, 10% 과황산 암모늄 수용액 400부, 5% 아황산 수소나트륨 수용액 400부를 각각 4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적하 종료후 10% 과황산 암모늄 수용액 100부, 5% 아황산 수소나트륨 수용액 100부를 1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그 후 1시간 계속해서 50℃로 온도를 유지하여 중합반응을 완결시켰다. 그리고 30%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하여 중량평균분자량 31,100, 피크톱 분자량 34,300의 중합체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3)을 얻었다.
비교 시멘트 분산제(4)를 제조하기 위한 비교참고예(4)
온도계, 교반기, 유입구, 질소도입관 및 환류냉각기를 구비한 유리제 반응용기에 물 380부를 넣고, 교반하에 반응용기내를 질소 치환하며, 질소분위기하에서 50℃까지 가열하였다. 다음에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10개) 1185부, 메타크릴산 283부, 메타크릴산 나트륨 40부 및 물 377부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 수용액, 20% 과황산 암모늄 수용액 300부, 5% 아황산 수소나트륨 수용액 300부를 각각 4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적하 종료후 20% 과황산 암모늄 수용액 75부, 10% 아황산 수소나트륨 수용액 75부를 1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그 후 1시간 계속해서 50℃로 온도를 유지하여 중합반응을 완결시켰다. 얻어진 중합체는 시멘트 분산제로서는 부적당한 겔이며, GPC에 의한 분자량 측정도 불가능하였다.
비교 시멘트 분산제(5)를 제조하기 위한 비교참고예(5)
온도계, 교반기, 유입구, 질소도입관 및 환류냉각기를 구비한 유리제 반응용기에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10개) 632부, 메타크릴산 151부, 메타크릴산 나트륨 21부 및 물 2466부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 수용액을 넣고, 교반하에 반응용기내를 질소 치환하며, 질소분위기하에서 50℃까지 가열하였다. 다음에 10% 과황산 암모늄 수용액 300부, 5% 아황산 수소나트륨 수용액 300부를 각각 4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적하 종료후 10% 과황산 암모늄 수용액 75부, 5% 아황산 수소나트륨 암모늄 수용액 75부를 1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그 후 1시간 계속해서 50℃로 온도를 유지하여 중합반응을 완결시켰다. 얻어진 중합체는 시멘트 분산제로서는 부적당한 겔이며, GPC에 의한 분자량 측정도 불가능하였다.
비교 시멘트 분산제(6)을 제조하기 위한 비교참고예(6)
온도계, 교반기, 유입구, 질소도입관 및 환류냉각기를 구비한 유리제 반응용기에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25개) 1422부, 메타크릴산 378부, 연쇄연동제로서 메르캅토 프로피온산 27부 및 물 1968부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 수용액을 넣고, 교반하에 반응용기내를 질소 치환하며, 질소분위기하에서 80℃까지 가열하였다. 다음에 10% 과황산 암모늄 수용액 165부를 4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적하 종료후에 10% 과황산 암모늄 수용액 40부를 1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그 후 1시간 계속해서 80℃로 온도를 유지하여 중합반응을 완결시켰다. 그리고 30%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하여 중량평균분자량 20,000, 피크톱 분자량 9,100의 중합체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비교시멘트 분산제(6)을 얻었다.
비교 시멘트 분산제(7)을 제조하기 위한 비교참고예(7)
온도계, 교반기, 유입구, 질소도입관 및 환류냉각기를 구비한 유리제 반응용기에 물 2425부를 넣고, 교반하에 반응용기내를 질소 치환하여 질소분위기하에서 95℃까지 가열하였다. 다음에,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부가 몰수 10개) 790부, 메타크릴산 189부, 메타크릴산 나트륨 26부 및 물 1500부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 수용액, 10% 과황산 암모늄 수용액 75부를 각각 4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적하 종료후 10% 과황산 암모늄 수용액 20부를 1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그 후 1시간 계속해서 95℃로 온도를 유지하여 중합반응을 완결시켰다. 그리고 30%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하여 중량평균분자량 35,000, 피크톱분자량 18,300의 중합체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비교시멘트 분산제(7)을 얻었다.
비교 시멘트 분산제(8)을 제조하기 위한 비교참고예(8)
온도계, 교반기, 유입구, 질소도입관 및 환류냉각기를 구비한 유리제 반응용기에 물 1551부를 넣고, 교반하에 반응용기내를 질소 치환하여 질소분위기하에서 80℃까지 가열하였다. 다음에,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25개) 1668부, 메타크릴산 320부, 메타크릴산 나트륨 15부 및 물 500부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 수용액, 10% 과황산 암모늄 수용액 184부, 10% 메트캅토 프로피온산 167부를 각각 4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적하 종료후 10% 과황산 암모늄 수용액 46부를 1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그후 1시간 계속해서 80℃로 온도를 유지하여 중합반응을 완결시켰다. 그리고 30%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하여 중량평균분자량 21,000, 피크톱분자량 12,700의 중합체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비교시멘트 분산제(8)을 얻었다.
이상의 비교참고예 1-8에서 얻어진 비교시멘트 분산제 (1)-(8)의 내용을 표2에 나타낸다.
시멘트분산제 a)중합농도(%) 중합온도 단량체혼합물
단량체조성비(중량비) 흐림점b)(℃) 중화c)율(%) 중합d)방법 연쇄이동제
비교참고예1 비교시멘트분산제(1) 20 50 MPEGMMA(n=10)/MAA/SMAA=77.8/14.5/7.7 68 30 적하법 없음
비교참고예2 비교시멘트분산제(2) 20 50 MPEGMMA(n=10)/MAA/SMAA=75.0/0/25.0 〉100 100 적하법 없음
비교참고예3 비교시멘트분산제(3) 30 50 MPEGMMA(n=10)/MAA/SMAA=78.6/18.8/2.6 52 10 적하법 없음
비교참고예4 비교시멘트분산제(4) 50 50 MPEGMMA(n=10)/MAA/SMAA=78.6/18.8/2.6 52 10 적하법 없음
비교참고예5 비교시멘트분산제(5) 20 50 MPEGMMA(n=10)/MAA/SMAA=78.6/18.8/2.6 52 10 일괄법 없음
비교참고예6 비교시멘트분산제(6) 45 80 MPEGMMA(n=25)/MAA/SMAA=79.0/21.0/0 〉100 0 일괄법 없음
비교참고예7 비교시멘트분산제(7) 20 95 MPEGMMA(n=10)/MAA/SMAA=78.6/18.8/2.6 52 10 적하법 없음
비교참고예8 비교시멘트분산제(8) 45 80 MPEGMMA(n=25)/MAA/SMAA=83.3/16.0/0.7 〉100 4 적하법 없음
시멘트분산제 시 간(hr) 중량평균분자량(Mw) 피크톱분자량(Mp) Mw-Mp
단량체혼합물적 하 연쇄이동제적 하 촉매적하 숙성 합계
비교참고예1 비교시멘트분산제(1) 4 5 1 6 5,100 4,400 700
비교참고예2 비교시멘트분산제(2) 4 5 1 6 9.000 5,700 3,300
비교참고예3 비교시멘트분산제(3) 4 5 1 6 31,000 34,300 -3,200
비교참고예4 비교시멘트분산제(4) 4 5 1 6 겔화
비교참고예5 비교시멘트분산제(5) 5 1 6 겔화
비교참고예6 비교시멘트분산제(6) 5 1 6 20,000 9,100 10,900
비교참고예7 비교시멘트분산제(7) 4 5 1 6 35,000 18,300 16,700
비교참고예8 비교시멘트분산제(8) 4 4(MPA) 5 1 6 21,000 12,700 8,300
a) 숙성종료 시점에서의 단량체의 중량%
b) 단량체 혼합물 수용액의 농도 20%에서의 흐림점
c) (메타)아크릴산의 중화율
d) 적하법은 단량체 혼합물 수용액을 반응용기에 적하하는 방법
-일괄법은 단량체 혼합물 수용액을 반응용기에 미리 넣는 방법
(약칭) MPEGMMA: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 메타크릴레이트
n: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 MAA:메타크릴산
SMAA:메타크릴산 나트륨, MPA: 메트캅토 프로피온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콘크리트시험 1
시멘트로서 표준 포트랜드 시멘트 (지치부 오노다 시멘트 주식회사 제품), 세골재로서 오이 강변의 모래와 기사라즈 근방의 산지 모래 (비중 2.62, FM 2.71), 조골재로서 오우메 근방에서 제조되는 경질 사암쇄석 (비중 2.64, MS 20mm)을 이용하였다.
시멘트 분산제는 표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2) 및 비교를 위해서는 표2에 나타낸 비교시멘트 분산제(7)을 이용하였다.
콘크리트의 배합 조건은 단위 시멘트량 320kg/m3, 단위 수량 166kg/m3, 물/시멘트비 51.9%, 감수율 18% 및 세골재율 49%이며, 또한 시멘트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한 시멘트 분산제의 첨가량(중량부)은 하기 표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였다. 또한 공기량은 필요에 따라 시판중의 공기운행제를 이용하여 4±1%로 조제하였다.
상기 조건하에 강제 반죽 믹서를 이용하여 50리터의 콘크리트를 제조하고, 슬럼프의 경시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슬럼프, 공기량의 측정은 모두 일본공업규격 (JIS A 1101,1128, 6204)에 준거하여 행하였다. 결과를 표3에 나타낸다.
이용한 시멘트 분산제 슬럼프값(cm)
명 칭 첨가물(%) 혼련직후 30분후 60분후
실시예1 본발명의시멘트분산제(2) 0.15 18 16 13
비교예1 비교 시멘트분산제(7) 0.135 18 15 10
(주) 첨가량은 시멘트에 대한 고형분 환산
공기량은 필요에 따라 시판중인 공기운행제를 이용하여 4±1%로 조제하였다.
표3으로부터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슬럼프 유지 시간이 비교 시멘트 분산제를 이용한 경우에 비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2)와 같이 단량체 혼합물(I)의 흐림점 이하의 중합 온도로 중합 반응을 행하게 하는 것이 슬럼프 유지 성능에는 바람직하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2
콘크리트시험 2
시멘트로서 표준 포트랜드 시멘트 (지치부 오노다 시멘트 주식회사 제품), 세골재로서 오이 강변의 모래와 기사라즈 근방의 산지 모래 (비중 2.62, FM 2.71), 조골재로서 오우메 근방에서 제조되는 경질 사암쇄석 (비중 2.64, MS 20mm)를 이용하였다.
시멘트 분산제는 표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1) 및 비교를 위해서는 표2에 나타낸 비교시멘트 분산제(8)을 이용하였다.
콘크리트의 배합 조건은 단위 시멘트량 660kg/m3, 단위 수량 165kg/m3, 물/시멘트비 25% 및 세골재율 40%이며, 또한 시멘트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한 시멘트 분산제의 첨가량(중량부)은 하기 표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였다. 또한 공기량은 시판중인 소포제를 이용하여 1-2%로 조제하였다.
상기 조건하에 강제 반죽 믹서를 이용하여 우선 모르타르를 90초간 혼련한 후, 계속해서 조골재를 투입하여 90초간 혼련하여 50리터의 콘크리트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모르타르가 유동화될 때까지의 시간 및 얻어진 콘크리트의 슬럼프 플로우값의 경시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슬럼프 플로우값, 공기량의 측정은 모두 일본공업규격(JIS A 1101,1128,6204)에 준거하여 행하였다. 결과를 표4에 나타낸다.
이용한시멘트분산제 모르타르가유동화 될때까지소요되는혼련시간(초) 슬럼프플로우값(mm)
명 칭 첨가물(%) 혼련직후 30분후 60분후
실시예2 본발명의시멘트분산제(1) 0.15 75 695 655 585
비교예2 비교시멘트분산제(8) 0.22 75 680 590 440
(주) 첨가량은 시멘트에 대한 고형분 환산
공기량은 시판중인 소포제를 이용하여 1-2%로 조제하였다.
표4로부터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슬럼프 유지시간과 감수 성능이 비교 시멘트 분산제를 이용한 경우에 비해 향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1)과 같이 단량체 혼합물(I)과 연쇄이동제를 미리 혼합한 후에 반응용기에 적하하는 중합반응이 슬럼프 손실의 방지와 첨가량의 저감에는 바람직하다.
표3 및 표4로부터 슬럼프 유지 성능이나 감수 성능은 시멘트 분산제를 제조하는 중합방법에 의해 좌우되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중합체의 분자량 분포가 다름에 기인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2)와 비교 시멘트 분산제(7)의 분자량 분포를 제1도에 나타낸다.
실시예 3-5 및 비교예 3-7
모르타르 시험
표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 (1)-(3) 및 비교를 위해 표2에 나타낸 비교시멘트 분산제 (1)-(3),(6),(8)의 기본 성능을 관찰하기 위해 각각을 첨가한 모르타르의 플로우값과 공기량을 측정하였다. 모르타르는 지치부 오노다 시멘트 주식회사 제품의 표준 포트랜드 시멘트 400부, 도요우라 표준사 800부, 그리고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 혹은 비교 시멘트 분산제를 포함하는 물 240부를 모르타르 믹서로 혼련하여 조제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모르타르를 수평한 테이블에 놓여진 내경 55mm × 높이 55mm의 중공 원통의 상부까지 완전히 채우고, 원통을 조용히 수직으로 들어 올린 후 테이블에 펼쳐진 모르타르를 장경과 단경을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플로우값으로 하였다. 또한 공기량은 얻어진 모르타르의 용적, 중량 및 이용한 재료의 비중으로부터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5에 나타낸다.
시멘트분산제 플로우값(mm) 공기량(%)
실시예3 본발명의시멘트분산제(1) 111 6.5
실시예4 본발명의시멘트분산제(2) 105 10.0
실시예5 본발명의시멘트분산제(3) 105 6.3
비교예3 비교시멘트분산제(1) 87 8.9
비교예4 비교시멘트분산제(2) 77 9.2
비교예5 비교시멘트분산제(3) 102 11.4
비교예6 비교시멘트분산제(6) 92 5.3
비교예7 비교시멘트분산제(8) 91 4.7
실시예 3-5와 비교예 3 및 4로부터 단량체 혼합물(I)의 중화율이 낮을수록 플로우값이 높아서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와 비교예 5 및 비교 참고예 4에서는 중합 온도가 50℃에서 단량체 혼합물(I)의 흐림점 이하, 단량체 혼합물(I)의 중화율이 10%인 경우의 최적 중합 농도를 검토한 바, 중합 농도 50%에서는 겔화되어 버리고, 30%에서는 공기운행성이 높아 각각 부적당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와 비교예 6 및 실시예 4와 비교참고예 5에서는 중합 양식이 다름에 따른 영향을 검토하였다. 우선, 단량체 혼합물을 반응용기에 일괄하여 넣는 일괄법에서는 중합물의 겔화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연쇄이동제가 필수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와같이 하여 얻어진 중합물이라도 단량체 혼합물을 반응용기에 적하하는 적합법에서 높은 플로우값이 얻어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과 비교예 7을 비교하면, 연쇄이동제를 단량체 혼합물(I)과 미리 혼합하여 중합 반응시키는 편이 높은 플로우값을 얻을 수 있다. 이는 당연히 표4의 결과와도 일치한다.
실시예 6-10 및 비교예 8
시멘트에의 흡착율의 측정
표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 (1)-(5) 및 비교를 위해 나프탈렌설폰산 포르말린 축합물(NSF)의 시멘트에의 흡착율을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1) 비이커에 시멘트에 대한 고형분 환산으로 0.2%가 되도록 참고예 1에서 얻어진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1)를 넣고, 여기에 물/시멘트비(중량비)가 10%가 되도록 물을 첨가한다.
(2) 비이커에 소정량의 시멘트(지치부 오노다 시멘트 주식회사의 하이플로우 시멘트)를 첨가하여 5분간 교반한 후 여과를 행하여 여과액을 채취한다.
(3) 교반시간을 60분으로하여 (1)-(2)의 조작을 반복한다.
(4) 얻어진 여과액 중에 잔존하는 시멘트 분산제의 농도를 시차굴절계로 측정한다.
(5) 참고예 3-7에서 얻어진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 (2)-(5)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조작을 반복한다.
(6) 시멘트 분산제의 흡착율을 이하와 같이 정의한다.
또한, 첨가한 시멘트 분산제가 모두 시멘트에 흡착된다고 한다면 흡착율은 100%가 된다. 흡착율의 결과를 표6에 나타낸다.
시멘트분산제 흡착율(%)
5분후 60분후 90분후 120분후
실시예6 본발명의시멘트분산제(1) 60 75 76 76
실시예7 본발명의시멘트분산제(2) 70 88 89 89
실시예8 본발명의시멘트분산제(3) 76 83 83 83
실시예9 본발명의시멘트분산제(4) 46 59 61 64
실시예10 본발명의시멘트분산제(5) 21 46 48 49
비교예8 NSF 83 88 88 88
표6으로부터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 (1)-(3)은 60분후에 흡착율의 증가는 보이지 않으며 포화 흡착에 이르름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 (4),(5)는 120분후에도 흡착율은 증가되어 있으며, 흡착 포화에 이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1-14 및 비교예 9
콘크리트 시험 3
이용한 시멘트 분산제가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 (1),(2),(4),(5) 및 비교를 위해 나프탈렌설폰산 포르말린 축합물(NSF)을 이용한 이외에는 상술한 콘크리트 시험 1과 마찬가지의 조작으로 슬럼프 경시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7에 나타낸다.
이용한시멘트분산제 슬럼프값(mm)
명 칭 첨가량(%) 혼련직후 30분후 60분후
실시예11 본발명의시멘트분산제(1) 0.15 17.5 15.0 12.0
실시예12 본발명의시멘트분산제(2) 0.15 18.0 16.0 13.0
실시예13 본발명의시멘트분산제(4) 0.135 19.0 17.5 15.5
실시예14 본발명의시멘트분산제(5) 0.22 18.5 20.5 19.5
비교예9 NSF 0.50 18.0 10.5 6.5
(주) 첨가량은 시멘트에 대한 고형분 환산
NSF는 나프탈렌설폰산 포르말린 축합물 NS
공기량은 필요에 따라 시판중인 소포제 또는 공기운행제를 이용하여 4±1%로 조제하였다.
표7로부터 우선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의 감수 성능과 슬럼프 유지 성능이 NSF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들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를 표6의 결과와 비교해 보면, 시멘트에의 5분후의 흡착율이 낮음과 동시에 60분후의 흡착율과 5분후의 흡착율의 차가 큰 것일수록 슬럼프 유지 성능이 높고, 실시예 14와 같이 30분후의 슬럼프가 높아지는 것도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5-17 및 비교예 10
콘크리트 시험 4
시멘트로서 하이플로우 시멘트 (지치부 오노다 시멘트 주식회사 제품), 세골재로서 오이 강변의 모래와 기사라즈 근방의 산지 모래 (비중 2.62, FM 2.71), 조골재로서 오우메 근방에서 제조되는 경질 사암쇄석 (비중 2.64, MS 20mm)를 이용하였다.
시멘트 분산제는 표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재(1),(2), (4) 및 비교를 위해서는 나프탈렌설폰산 포르말린 축합체(NSF)를 이용하였다.
콘크리트의 배합 조건은 단위 시멘트량 553kg/m3, 단위 수량 160kg/m3, 물/시멘트비 29% 및 세골재율 51%이며, 또한 시멘트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한 시멘트의 분산제의 첨가량(중량부)은 하기 표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였다. 또한 공기량은 시판중인 소포제를 이용하여 1-2%로 조제하였다.
상기 조건하에 강제 혼합믹서로 우선 모르타르를 90초간 혼련한 후, 계속해서 조골제를 투입하여 90초간 혼련하여 50리터의 콘크리트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모르타르가 유동화될 때 까지의 시간 및 얻어진 콘크리트의 슬럼프 플로우값의 경시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슬럼프 플로우값, 공기량의 측정은 모두일본공업규격(JIS A 1101, 1128, 6204)에 준거하여 행하였다. 결과를 표8에 나타낸다.
이용한시멘트분산제 모르타르가유동화될때까지소요되는혼련시간(초) 슬럼프플로우값(mm)
명 칭 첨가량(%) 혼련직후 30분후 60분후
실시예15 본발명의시멘트분산제(1) 0.20 15 750 700 540
실시예16 본발명의시멘트분산제(2) 0.22 25 700 610 450
실시예17 본발명의시멘트분산제(4) 0.23 40 690 690 680
비교예10 NSF 0.50
(주) 첨가량은 시멘트에 대한 고형분 환산.
NSF는 혼련할 수 없었다.
공기량은 시판중인 소포제를 이용하여 1-2%로 조제하였다.
표8로부터 우선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의 감수 성능이 NSF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들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를 표6의 결과와 비교해 보면, 시멘트에의 5분후의 흡착율이 60%를 넘어 높은 것은 모르타르가 유동화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짧고, 양호한 감수 성능을 발현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5와 16을 비교하면, 실시예 15의 시멘트 분산제 쪽이 시멘트에의 5분후의 흡착율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모르타르 혼련시간은 짧아도 되므로 폴리에틸렌 글리콜쇄가 길수록 감수 성능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한편, 실시예 17은 시멘트에의 5분후의 흡착율이 46%로 가장 낮고, 슬럼프 유지 성능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8-20 및 비교예 11
콘크리트 시험 5
시멘트로서 표준 포트랜드 시멘트 (지치부 오노다 시멘트 주식회사 제품), 세골재로서 오이 강변의 모래와 기사라즈 근방의 산지 모래 (비중 2.62, FM 2.71), 조골재로서 오우메 근방에서 제조되는 경질 사암쇄석 (비중 2.64, MS 20mm)를 이용하였다.
시멘트 분산제는 표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재(1)-(3) 및 비교를 위해 나프탈렌설폰산 포르말린 축합체(NSF)를 이용하였다.
콘크리트의 배합 조건은 단위 시멘트량 550kg/m3, 단위 수량 165kg/m3, 물/시멘트비 30% 및 세골재율 40%이며, 또한 시멘트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한 시멘트의 분산제의 첨가량(중량부)은 하기 표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였다. 또한 공기량은 시판중인 소포제를 이용하여 1-2%로 조제하였다.
상기 조건하에 강제 혼합믹서로 우선 모르타르를 40초간 혼련한 후, 계속해서 조골제를 투입하여 90초간 혼련하여 35리터의 콘크리트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모르타르가 유동화될 때 까지의 시간, 얻어진 콘크리트의 슬럼프 플로우값 및 28일 압축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슬럼프 플로우값, 공기량의 측정은 모두 일본공업규격(JIS A 1101, 1128, 6204)에 준거하여 행하였다. 결과를 표9에 나타낸다.
이용한시멘트분산제 모르타르가유동화될때까지소요되는혼련시간(초) 혼합직후의슬럼프플로우값(mm) 28일압축강도(kg/cm2)
명 칭 첨가량(%)
실시예18 본발명의시멘트분산제(1) 0.204 20 675 980
실시예19 본발명의시멘트분산제(2) 0.24 30 680 925
실시예20 본발명의시멘트분산제(3) 0.204 15 670 955
비교예11 NSF 0.50
(주) 첨가량은 시멘트에 대한 고형분 환산
NSF는 혼련할 수 없었다.
공기량은 시판중인 소포제를 이용하여 1-2%로 조제하였다.
표9로부터 우선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의 감수 성능이 NSF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들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를 표6의 결과와 비교해 보면, 시멘트에의 5분후의 흡착율이 60% 이상이면 모르타르가 유동화될 때 까지 소요되는 시간에는 상관이 없고, 오히려 폴리에틸렌 글리콜쇄가 길수록 모르타르 혼합시간이 단축되고, 첨가량도 저감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시멘트 조성물은 감수 성능이 우수하며, 종래의 고성능 AE 감수제가 가지고 있던 문제점인 슬럼프 손실을 해소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시멘트 분산제에 따르면 고감수율하에서 콘크리트 등의 시멘트 조성물을 혼련(混練)할 수 있으며, 슬럼프 손실도 극히 작기 때문에 얻어지는 콘크리트의 품질 관리 및 시공상의 장해도 개선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따른 시멘트 분산제에서는 슬럼프 손실 유지 성능이 상당히 개선되며,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따른 시멘트 분산제에서는 극단적으로 낮은 물/시멘트비의 시멘트 조성물에 있어서도 충분한 유동성이 확보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 분산제의 제조방법은 얻어지는 시멘트 분산제에 보다 효과적으로 슬럼프 유지 성능과 감수 성능을 부여할 수 있는 방법이며, 경제적으로도 우수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 조성물에서는 슬럼프 유지시간과 감수 성능을 종래의 것에 비해 훨씬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2)

  1.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A) 또는 그 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시멘트 분산제로서, 상기 중합체 (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겔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폴리에틸렌 글리콜 환산으로 10,000-500,000의 범위내에 있으며,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부터 피크톱 분자량을 뺀 값이 0-8,000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분산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A)가 하기 화학식(1)로 나타내어지는 (알콕시)폴리알킬렌글리콜 모노(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a) 5-98중량%; 및
    하기 화학식(2)로 나타내어지는 (메타)아크릴산계 단량체 (b) 95-2중량%를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분산제:
    〔화학식 1〕
    (단, 식중 R1은 수소 혹은 메틸기를 나타내며, R2O는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나타내며, 2종 이상인 경우에는 블록상 혹은 랜덤상으로 부가해도 무방하며, R3은 수소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m은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는 값으로 1-100의 정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2〕
    (단, 식중 R4는 수소 혹은 메틸기를 나타내며, M1은 수소, 1가 금속, 2가 금속, 암모늄기 또는 유기아민기를 나타낸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콕시)폴리알키렌 글리콜 모노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a)가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이며, 상기 (메타) 아크릴산계 단량체(b)가 (메타)아크릴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분산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A)의 시멘트 입자에의 흡착율이 시멘트에 대해서 0.2중량% 첨가했을 때, 실온하 5분간에 6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분산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A)의 시멘트 입자에의 흡착율이 시멘트에 대해서 0.2중량% 첨가했을 때, 실온하 5분간에 6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분산제.
  6. 불포화 카르본산계 단량체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단량체 혼합물 (I)의 사용량이 사용하는 원료의 전량에 대해서 10-28중량%의 범위내이며, 중합 온도가 단량체 혼합물(I)의 흐림점 이하의 온도이며, 또한 단량체 혼합물(I)의 중화율이 0-20몰%의 범위내의 조건에서 이 단량체 혼합물(I)을 물을 포함하는 반응 용기에 적하함으로써 중합 반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분산제의 제조방법.
  7. 불포화 카르본산계 단량체를 필수성분으로 하는 단량체 혼합물(I)의 중화율이 0-20몰%의 범위내이고, 또한 이 단량체 혼합물(I)을 미리 연쇄이동제와 혼합한 후에 물을 포함하는 반응 용기에 적하함으로써 중합 반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분산제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단량체 혼합물(I)이 하기 화학식(1)로 나타내어지는 (알콕시)폴리알킬렌 글리콜 모노(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a) 5-98중량%; 및
    하기 화학식(2)로 나타내어지는 (메타)아크릴산계 단량체 (b) 95-2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분산제의 제조방법:
    〔화학식 1〕
    (단, 식중 R1은 수소 혹은 메틸기를 나타내며, R2O는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나타내며, 2종 이상인 경우에는 블록상 혹은 랜덤상으로 부가해도 무방하며, R3는 수소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m은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는 값이며 1-100의 정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2〕
    (단, 식중 R4는 수소 혹은 메틸기를 나타내며, M1은 수소, 1가금속, 2가금속, 암모늄기 또는 유기아민기를 나타낸다).
  9. 시멘트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시멘트 분산제를 0.01 내지 1중량부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시멘트 조성물.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A)는 공중합 성분으로서 상기 단량체 (a) 및 (b)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 (c)를 50중량% 이하(단, (a), (b) 및 (c)의 합계는 100중량%)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분산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 혼합물(I)이 상기 단량체 (a) 및 (b)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 (c)를 50중량% 이하(단, (a), (b) 및 (c)의 합계는 100중량%)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분산제의 제조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단량체 혼합물(I)이 하기 화학식(1)로 나타내어지는 (알콕시)폴리알킬렌 글리콜 모노(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a) 5-98중량%; 및 하기 화학식(2)로 나타내어지는 (메타)아크릴산계 단량체 (b) 95-2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분산제의 제조방법:
    〔화학식 1〕
    (단, 식중 R1은 수소 혹은 메틸기를 나타내며, R2O는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나타내며, 2종 이상인 경우에는 블록상 혹은 랜덤상으로 부가해도 무방하며, R3는 수소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m은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는 값이며 1-100의 정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2〕
    (단, 식중 R4는 수소 혹은 메틸기를 나타내며, M1은 수소, 1가금속, 2가금속, 암모늄기 또는 유기아민기를 나타낸다).
KR1019960027964A 1995-07-13 1996-07-11 시멘트분산제와그제조방법및이를이용한시멘트조성물 KR1002475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752495 1995-07-13
JP17752395 1995-07-13
JP7-177525 1995-07-13
JP7-177523 1995-07-13
JP7-177524 1995-07-13
JP17752595 1995-07-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222A KR970006222A (ko) 1997-02-19
KR100247526B1 true KR100247526B1 (ko) 2000-03-15

Family

ID=27324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7964A KR100247526B1 (ko) 1995-07-13 1996-07-11 시멘트분산제와그제조방법및이를이용한시멘트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6187841B1 (ko)
EP (2) EP1142847A3 (ko)
KR (1) KR100247526B1 (ko)
CN (1) CN1104391C (ko)
AU (1) AU701940B2 (ko)
CA (1) CA2180989C (ko)
DE (1) DE69620832T2 (ko)
ES (1) ES2173999T3 (ko)
MY (1) MY114306A (ko)
SG (1) SG50742A1 (ko)
TW (1) TW346479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0900A1 (ko) * 2012-08-21 2014-0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카르본산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의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KR20150011801A (ko) * 2012-05-04 2015-02-02 더블유.알. 그레이스 앤드 캄파니-콘. 점토 및 점토-보유 골재의 처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조성물
KR20150143167A (ko) * 2014-06-13 2015-1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고흡수성 수지
CN109053977A (zh) * 2018-07-26 2018-12-21 北京宝辰联合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保坍型聚羧酸减水剂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6267A (en) * 1997-01-31 1998-03-10 Nalco Chemical Company Preparation and utility of water-soluble polymers having pendant derivatized amide, ester or ether functionalities as ceramics dispersants and binders
US6166112A (en) * 1997-03-10 2000-12-26 Nippon Shokubai Co., Ltd. Cement admixture and cement composition
WO1998051640A1 (en) * 1997-05-15 1998-11-19 Mbt Holding Ag A cementitious mixture containing high pozzolan cement replacement and compatibilizing admixtures therefor
KR100219853B1 (ko) * 1997-05-29 1999-09-01 손진익 소포성의 시멘트 분산제
US5854386A (en) * 1997-08-25 1998-12-29 Arco Chemical Technology, L.P. Stabilizers for polymer polyols
US6136950A (en) * 1997-09-23 2000-10-24 Mbt Holding Ag Highly efficient cement dispersants
FR2780396B1 (fr) 1998-06-30 2000-08-04 Coatex Sa Nouveaux agents de type polycondensat pour ameliorer la maniabilite des liants hydrauliqu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les liants les contenant et leurs applications
IT1301974B1 (it) * 1998-07-31 2000-07-20 Atochem Elf Italia Copolimeri acrilici idrosolubili
EP1104394B1 (en) 1998-08-14 2003-11-12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Cementitious dry cast mixture
JP4607322B2 (ja) 1998-08-14 2011-01-05 コンストラクション リサーチ アンド テクノロジー ゲーエムベーハー 高ポゾランセメント混合物
KR20010034109A (ko) * 1998-11-30 2001-04-25 가무라 미치오 분말상 수경성 조성물용 분산제의 제조방법
US6310143B1 (en) 1998-12-16 2001-10-30 Mbt Holding Ag Derivatized polycarboxylate dispersants
JP4394765B2 (ja) * 1999-02-15 2010-01-06 Basfポゾリス株式会社 セメント添加剤
FR2792932B1 (fr) * 1999-04-30 2001-07-06 Coatex Sa Nouveaux agents de type copolymeres acryliques a base d'urethanne pour ameliorer la maniabilite des liants hydrauliqu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les liants les contenant et leurs applications
US6528593B1 (en) 1999-09-10 2003-03-04 The Dow Chemical Company Preparing copolymers of carboxylic acid, aromatic vinyl compound and hydrophobic polyalkylene oxide
DE19958447A1 (de) 1999-12-03 2001-06-07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wasserlöslichen Polymerisaten, die Polyalkylenglykolether-Seitenketten enthalten
EP1242330B1 (en) 1999-12-10 2005-06-29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Solubilized defoamers for cementitious compositions
US8088842B2 (en) 1999-12-10 2012-01-03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Solubilized defoamers for cementitious compositions
AU3155801A (en) 1999-12-10 2001-06-18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Water-soluble air-controlling agents for cementitious compositions
US6875801B2 (en) 1999-12-10 2005-04-05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Solubilized defoamers for cementitious compositions
JP3600100B2 (ja) * 1999-12-20 2004-12-08 花王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混和剤
US20030209695A1 (en) * 2000-02-09 2003-11-13 Toshitaka Tsuzuki Dispersant composition
DE1136508T1 (de) * 2000-03-22 2002-04-18 Sika Ag, Vormals Kaspar Winkler & Co Zementmischung mit verlängerter Verarbeitungszeit
EP1138696A1 (en) * 2000-03-29 2001-10-04 Sika AG, vorm. Kaspar Winkler & Co. Polymers for cement dispersing admixtures
FR2807045B1 (fr) 2000-03-31 2004-02-27 Atofina Copolymeres acryliques hydrosolubles et leur utilisation comme fluidifiants ou dispersants
FR2810261B1 (fr) * 2000-06-15 2002-08-30 Coatex Sa Utilisation de copolymeres faiblement anioniques comme agent dispersant et/ou d'aide au broyage de suspension aqueuse de matieres minerales, suspensions aqueuses obtenues et leurs utilisations
DE10060738A1 (de) 2000-12-07 2002-06-27 Skw Polymers Gmbh Verwendung von Fließmitteln auf Polycarboxylat-Basis für Tonerdeschmelzzement-haltige, caseinfreie bzw. caseinarme selbstverlaufende Spachtel- und Ausgleichsmassen
US6858661B2 (en) * 2001-05-01 2005-02-22 W. R. Grace & Co.-Conn. Defoamer for water reducer admixture
KR20010074299A (ko) * 2001-05-07 2001-08-04 송승현 콘크리트용 첨가제
JP4001327B2 (ja) 2001-07-02 2007-10-31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多機能型セメント分散剤及び水硬性セメント組成物
FR2827594B1 (fr) * 2001-07-23 2004-05-28 Chryso Sas Utilisation de dispersant pour compositions aqueuses de sulfate de calcium anhydre et melange de dispersants pour de telles compositions
FR2827593B1 (fr) * 2001-07-23 2004-06-04 Chryso Sas Utilisation de dispersant pour compositions aqueuses de sulfate de calcium hemihydrate
US6946505B2 (en) * 2001-10-17 2005-09-20 Nippon Shokubai Co., Ltd. Cement dispersant, its production process, and cement composition using the cement dispersant
US7247662B2 (en) * 2001-10-07 2007-07-24 Nippon Shokubai Co., Ltd. Cement dispersant, its production process, and cement composition using the cement dispersant
US6858074B2 (en) * 2001-11-05 2005-02-22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High early-strength cementitious composition
WO2003040194A1 (fr) 2001-11-06 2003-05-15 Nippon Shokubai Co., Ltd. Polymere d'acide (meth)acrylique (sel) et procede de production associe
US7338990B2 (en) 2002-03-27 2008-03-04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High molecular weight additives for calcined gypsum and cementitious compositions
MXPA04009327A (es) 2002-03-27 2005-06-08 United States Gypsum Co Aditivos de alto peso molecular para yeso calcinado y composiciones cementicias.
DE10237286A1 (de) * 2002-08-14 2004-02-26 Degussa Construction Chemicals Gmbh Verwendung von Blockcopolymeren als Dilpergiermittel für wässrige Feststoff-Suspensionen
US6591910B1 (en) 2003-01-29 2003-07-15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ementing subterranean zones
US20040149174A1 (en) * 2003-02-05 2004-08-05 Mbt Holding Ag Accelerating admixture for concrete
MXPA05009164A (es) 2003-02-26 2005-10-20 Constr Res & Tech Gmbh Agregado en polvo para mejoramiento de resistencia.
FR2851937B1 (fr) * 2003-03-03 2006-07-28 Cray Valley Sa Dispersant polymere comme agent fluidifiant de compositions de liant hydraulique et procede de preparation
MXPA05010352A (es) 2003-03-27 2006-03-08 Constr Res & Tech Gmbh Suspension colorante liquida.
FR2853646B1 (fr) * 2003-04-11 2007-07-06 Chryso Sas Utilisation de dispersants pour ameliorer le maintien de fluidite de beton
US20040211342A1 (en) 2003-04-25 2004-10-28 Mbt Holding Ag Rheology stabilizer for cementitious compositions
SE526347C2 (sv) * 2003-09-18 2005-08-30 Perstorp Specialty Chem Ab Ny sampolymer samt cementadditiv innefattande den samma
EP2447231B1 (en) * 2004-01-06 2016-11-23 Nippon Shokubai Co., Ltd. Cement admixture
US7556684B2 (en) * 2004-02-26 2009-07-07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Amine containing strength improvement admixture
KR100615640B1 (ko) * 2004-06-03 2006-08-25 (주) 청도정밀화학 개선된 고성능 콘크리트 분산제와 그 제조방법
AU2005254194B2 (en) 2004-06-15 2008-08-21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Providing freezing and thawing resistance to cementitious compositions
DE102004030121A1 (de) 2004-06-22 2006-01-19 Pci Augsburg Gmbh Hydraulisch abbindender Klebemörtel
US7619045B2 (en) * 2004-11-09 2009-11-17 Arkema France Water-soluble or water-dispersible acrylic dispersants obtained by controlled radical polymerization
FR2877670B1 (fr) * 2004-11-09 2007-02-02 Arkema Sa Dispersants acryliques hydrosolubles obtenus par polymerisation radicalaire controlee
JP5113988B2 (ja) * 2005-03-31 2013-01-09 株式会社日本触媒 セメント混和剤用ポリカルボン酸系ポリマー
CN1308257C (zh) * 2005-06-09 2007-04-04 武汉理工大学 聚羧酸系混凝土减水剂的制备方法
US20060280898A1 (en) * 2005-06-14 2006-12-14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Modifiers for gypsum slurries and method of using them
US8088218B2 (en) * 2005-06-14 2012-01-03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Foamed slurry and building panel made therefrom
US20060278127A1 (en) 2005-06-14 2006-12-14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Gypsum products utilizing a two-repeating unit dispersant and a method for making them
US7875114B2 (en) * 2005-06-14 2011-01-25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Foamed slurry and building panel made therefrom
US7544242B2 (en) 2005-06-14 2009-06-09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Effective use of dispersants in wallboard containing foam
US20060278128A1 (en) * 2005-06-14 2006-12-14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Effective use of dispersants in wallboard containing foam
KR20080032094A (ko) * 2005-06-14 2008-04-14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집섬 컴파니 2-반복하는 단위 분산제를 활용한 석고 제품 및 이들을제조하기 위한 방법
US7504165B2 (en) * 2005-06-14 2009-03-17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High strength flooring compositions
ES2535136T3 (es) 2005-06-14 2015-05-05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Provisión de resistencia a la congelación y descongelación a composiciones cementosas
US20060280899A1 (en) * 2005-06-14 2006-12-14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Method of making a gypsum slurry with modifiers and dispersants
US7572328B2 (en) * 2005-06-14 2009-08-11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Fast drying gypsum products
CN1326794C (zh) * 2005-10-11 2007-07-18 济南大学 含不饱和聚醚的羧酸类混凝土减水剂及其制备方法
DE102005053019A1 (de) 2005-11-07 2007-05-10 Basf Ag Kammpolymere und deren Verwendung als Additive für Zubereitungen mineralischer Bindemittel
DE102005057896A1 (de) 2005-12-02 2007-06-14 Basf Ag Verwendung von Kammpolymeren als Mahlhilfsmittel für zementhaltige Zubereitungen
US7815731B2 (en) 2006-06-13 2010-10-19 Sekisui Specialty Chemicals America, Llc Polyvinyl alcohol fluid loss additive with improved rheological properties
US8377196B2 (en) 2007-08-10 2013-02-19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Rheology modifying additive for dry cast cementitious compositions
JP4975714B2 (ja) * 2007-11-28 2012-07-11 ローム アンド ハース カンパニー ポリマーの製造法
EP2090596A1 (de) * 2008-02-13 2009-08-19 Construction Research and Technology GmbH Copolymer mit Polyetherseitenketten und Hydroxyalkyl- und Säurebausteinen
US8519029B2 (en) * 2008-06-16 2013-08-27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Copolymer admixture system for workability retention of cementitious compositions
US8592040B2 (en) 2008-09-05 2013-11-26 Basf Se Polymer emulsion coating or binding formula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US8889932B2 (en) * 2008-11-26 2014-11-18 Elevance Renewable Sciences, Inc. Methods of producing jet fuel from natural oil feedstocks through oxygen-cleaved reactions
US8933285B2 (en) * 2008-11-26 2015-01-13 Elevance Renewable Sciences, Inc. Methods of producing jet fuel from natural oil feedstocks through metathesis reactions
JP5673961B2 (ja) 2009-01-21 2015-02-18 ダブリュー・アール・グレイス・アンド・カンパニー−コネチカット セメント材料の粉砕調製のためのエーテル結合を含む堅牢なポリカルボキシレート
KR101106210B1 (ko) * 2009-06-23 2012-01-20 주식회사 실크로드시앤티 초고강도 콘크리트 혼화제용 고분자 중합체
AU2010294400B2 (en) 2009-09-02 2014-03-20 Basf Construction Solutions Gmbh Formulation and its use
US20110054081A1 (en) 2009-09-02 2011-03-03 Frank Dierschke Formulation and its use
CN101671140B (zh) * 2009-09-25 2012-12-12 辽宁科隆精细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水泥外加剂
US9000246B2 (en) 2009-10-12 2015-04-07 Elevance Renewable Sciences, Inc. Methods of refining and producing dibasic esters and acids from natural oil feedstocks
US9222056B2 (en) 2009-10-12 2015-12-29 Elevance Renewable Sciences, Inc. Methods of refining natural oils, and methods of producing fuel compositions
US9365487B2 (en) 2009-10-12 2016-06-14 Elevance Renewable Sciences, Inc. Methods of refining and producing dibasic esters and acids from natural oil feedstocks
US9382502B2 (en) 2009-10-12 2016-07-05 Elevance Renewable Sciences, Inc. Methods of refining and producing isomerized fatty acid esters and fatty acids from natural oil feedstocks
US9175231B2 (en) 2009-10-12 2015-11-03 Elevance Renewable Sciences, Inc. Methods of refining natural oils and methods of producing fuel compositions
US9051519B2 (en) 2009-10-12 2015-06-09 Elevance Renewable Sciences, Inc. Diene-selective hydrogenation of metathesis derived olefins and unsaturated esters
CN102770520B (zh) * 2009-10-12 2014-12-17 艾勒旺斯可再生科学公司 从天然油原料中提炼燃料的方法
US9169447B2 (en) 2009-10-12 2015-10-27 Elevance Renewable Sciences, Inc. Methods of refining natural oils, and methods of producing fuel compositions
US8735640B2 (en) 2009-10-12 2014-05-27 Elevance Renewable Sciences, Inc. Methods of refining and producing fuel and specialty chemicals from natural oil feedstocks
KR20130001222A (ko) * 2010-01-21 2013-01-03 바스프 컨스트럭션 폴리머즈 게엠베하 분산제
CN102834566B (zh) 2010-03-23 2016-04-27 巴斯夫欧洲公司 纸张涂布或粘合配制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MX341768B (es) 2011-01-26 2016-09-01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Proceso para producir producto de policondensacion.
US9102848B2 (en) 2011-02-28 2015-08-11 Basf Se Environmentally friendly, polymer dispersion-based coating formulations and methods of preparing and using same
EP2524903A1 (fr) 2011-05-16 2012-11-21 Sika Technology AG Composition d'enduit de ragréage pour l'industrie du bâtiment
BR112013032651B1 (pt) * 2011-08-10 2020-06-02 Sika Technology Ag Processo para a produção de um dispersante sólido para uma composição hidraulicamente ligante, dispersante sólido para uma composição hidraulicamente ligante e seu uso
US9133416B2 (en) 2011-12-22 2015-09-15 Elevance Renewable Sciences, Inc. Methods for suppressing isomerization of olefin metathesis products
DE102011089535A1 (de) 2011-12-22 2013-06-27 Evonik Industries Ag Entschäumerzusammensetzungen für Baustoffmischungen
US9139493B2 (en) 2011-12-22 2015-09-22 Elevance Renewable Sciences, Inc. Methods for suppressing isomerization of olefin metathesis products
US9169174B2 (en) 2011-12-22 2015-10-27 Elevance Renewable Sciences, Inc. Methods for suppressing isomerization of olefin metathesis products
ES2675323T3 (es) 2012-01-13 2018-07-10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Agente de dispersión para partículas inorgánicas
TR201808481T4 (tr) 2012-04-11 2018-07-23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Aromatik bileşikler bazlı polikondenzasyon ürünü, onun üretilmesi için yöntem ve onun kullanımı.
EP2687498A1 (de) 2012-07-20 2014-01-22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Additiv für hydraulisch abbindende Massen
US9388098B2 (en) 2012-10-09 2016-07-12 Elevance Renewable Sciences, Inc. Methods of making high-weight esters, acids, and derivatives thereof
US8845940B2 (en) 2012-10-25 2014-09-30 Carboncure Technologies Inc. Carbon dioxide treatment of concrete upstream from product mold
EP2759337A1 (de) 2013-01-25 2014-07-30 Basf Se Additiv für hydraulisch abbindende Massen
CN104955784B (zh) 2013-01-25 2018-01-05 巴斯夫欧洲公司 硬化促进剂组合物
AU2014212083A1 (en) 2013-02-04 2015-08-06 Coldcrete, Inc. System and method of applying carbon dioxide during the production of concrete
EP2769964A1 (de) 2013-02-26 2014-08-27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Additiv für hydraulisch abbindende Massen
EP2695866B1 (de) 2013-05-24 2019-04-24 Basf Se Modifiziertes rheologieadditiv
US9388072B2 (en) 2013-06-25 2016-07-12 Carboncure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oncrete production
US9108883B2 (en) 2013-06-25 2015-08-18 Carboncure Technologies, Inc. Apparatus for carbonation of a cement mix
US20160107939A1 (en) 2014-04-09 2016-04-21 Carboncure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oncrete production
US9376345B2 (en) 2013-06-25 2016-06-28 Carboncure Technologies Inc. Methods for delivery of carbon dioxide to a flowable concrete mix
US10927042B2 (en) 2013-06-25 2021-02-23 Carboncure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oncrete production
EP2842927A1 (en) 2013-08-29 2015-03-04 BASF Construction Polymers GmbH Hardening accelerator containing ettringite and calcium silicate hydrate
EP2853550A1 (en) 2013-09-27 2015-04-01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Cationic copolymers
EP3057749B1 (en) * 2013-10-18 2021-05-05 GCP Applied Technologies Inc. Fast response time in slump monitoring systems
EP2873657A1 (en) 2013-11-13 2015-05-20 Huntsman Petrochemical LLC Admixture composition to improve strength of cement cured products
FR3013350B1 (fr) * 2013-11-15 2016-09-02 Coatex Sas Agent retenteur de fluidite pour composition hydraulique compatible avec agent reducteur d'eau de type polymere peigne
EP2886580A1 (en) 2013-12-20 2015-06-24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Additive for rheology improvement of inorganic binders
EP2896603A1 (de) 2014-01-21 2015-07-22 Basf Se Calciumsulfat-Zusammensetzung umfassend ein Additiv
EP2899171A1 (de) 2014-01-22 2015-07-29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Additiv für hydraulisch abbindende Massen
WO2015123769A1 (en) 2014-02-18 2015-08-27 Carboncure Technologies, Inc. Carbonation of cement mixes
WO2015154174A1 (en) 2014-04-07 2015-10-15 Carboncure Technologies, Inc. Integrated carbon dioxide capture
JP6275538B2 (ja) * 2014-04-25 2018-02-07 株式会社ファンケル 温度、pH応答性を有する共重合体、およびリポソーム複合体
CN104031217B (zh) * 2014-06-05 2016-09-14 上海新浦化工厂有限公司 一种疏松抗粘型高性能聚羧酸外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9919968B2 (en) * 2014-09-30 2018-03-20 Gcp Applied Technologies Inc. Low-to-mid-range water reduction using polycarboxylate comb polymers
CN104926184B (zh) * 2015-05-28 2017-06-20 中铁十局集团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聚羧酸系减水剂及其制备方法
US9624130B2 (en) * 2015-06-15 2017-04-18 Gcp Applied Technologies Inc. Optimizing polycarboxylate admixtures for cementitious compositions
US9546110B2 (en) 2015-06-15 2017-01-17 Gcp Applied Technologies Inc. Superplasticizing admixture for cementitious compositions
MX2017017120A (es) 2015-06-26 2018-05-28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Aditivo para composiciones de fraguado hidraulico.
CN105503012B (zh) * 2015-12-16 2017-12-05 广东复特新型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生产缓释抗泥聚羧酸系减水剂的组合物
AU2016372551B2 (en) 2015-12-17 2021-05-20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Polycondensate based water-reducer
AU2017249444B2 (en) 2016-04-11 2022-08-18 Carboncure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concrete wash water
US10047008B2 (en) 2016-05-03 2018-08-14 Gcp Applied Technologies Inc. Low-to-mid range water-reducing polymer with mixed polyoxyalkylene side chains
RU2738635C2 (ru) 2016-06-09 2020-12-15 Басф Се Гидратационная смесь для композиций строительных растворов и цементных композиций
CN109562995B (zh) 2016-06-09 2021-10-26 巴斯夫欧洲公司 包含乙醛酸的亚硫酸氢盐加合物的建筑化学组合物
CN110050004B (zh) 2016-10-12 2022-01-25 建筑研究和技术有限公司 适用于增塑无机粘合剂体系的共聚物
CN106431064A (zh) * 2016-10-13 2017-02-22 赖高生 一种缓释型聚羧酸减水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DK3532448T3 (da) 2016-10-31 2021-04-19 Basf Se Additiv til byggekemiske sammensætninger
EP3585752A1 (de) 2017-02-22 2020-01-01 Cirkel GmbH & Co. KG Oxidische Zusammensetzung mit einem Gehalt an semigeordnetem Calcium-Silikat-Hydrat
JP7109480B2 (ja) 2017-02-22 2022-07-29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半秩序化ケイ酸カルシウム水和物を含有する組成物
US11958212B2 (en) 2017-06-20 2024-04-16 Carboncure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concrete wash water
EP3421442B1 (en) 2017-06-28 2020-08-05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Dispersant for inorganic particles
WO2019005900A1 (en) 2017-06-28 2019-01-03 Gcp Applied Technologies Inc. CONCRETE ADJUVANT ENHANCING INITIAL RESISTANCE
EP3697742B1 (en) 2017-10-20 2022-03-09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Set control composition for cementitious systems
US20190135692A1 (en) * 2017-10-23 2019-05-09 Gcp Applied Technologies Inc. Method of reducing stickiness of cementitious compositions
WO2019091888A1 (en) 2017-11-10 2019-05-16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Microsilica for improving the flowability of a geopolymer suspension
US11021395B2 (en) * 2018-01-29 2021-06-01 Lawrence L Kuo Method for low-to-mid-range water reduction of cementitious compositions
CN109111146B (zh) * 2018-08-16 2020-08-11 科之杰新材料集团有限公司 一种多功能酯类聚羧酸减水剂及其制备方法
CA3117346A1 (en) 2018-10-31 2020-05-07 Basf Se Enhanced dewatering of mining tailings employing chemical pre-treatment
WO2020111421A1 (ko) * 2018-11-26 2020-06-04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2468196B1 (ko) 2018-11-26 2022-11-17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및 그 제조 방법
CN113165976B (zh) * 2018-12-03 2023-09-12 竹本油脂株式会社 水硬性组合物用添加剂及水硬性组合物
CA3131557A1 (en) 2019-02-27 2020-09-03 Basf Se Mixture comprising glyoxylic acid or condensation or addition products thereof
EA202192823A1 (ru) 2019-04-18 2022-03-02 Констракшн Рисёрч Энд Текнолоджи Гмбх Состав торкрет-бетона
EP3976551A1 (en) 2019-06-03 2022-04-06 Basf Se Use of an additive kit in 3d printing of a construction material composition
EP3828153A1 (de) 2019-11-29 2021-06-02 Sika Technology Ag Verzweigte copolymere als dispergiermittel für mineralische bindemittel
CN111018397A (zh) * 2019-12-02 2020-04-17 浙江天造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高保坍型聚羧酸高性能减水剂及其制备方法
CN110903050A (zh) * 2019-12-17 2020-03-24 安徽海螺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混凝土专用调节剂的制备方法
BR112022018559A2 (pt) 2020-03-20 2022-11-01 Basf Se Composição de material de construção, uso de um acelerador de endurecimento, argamassa ou concreto, e, processo para produzir uma composição
EP4168370A1 (en) 2020-06-18 2023-04-26 Basf Se Hydration control mixture for mortar and cement compositions
BR112023003033A2 (pt) 2020-08-26 2023-04-11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Composições de construção com redução de cimento e de controle de pega
WO2022043350A1 (en) 2020-08-26 2022-03-03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Set control composition for cementitious systems
WO2022043349A1 (en) 2020-08-26 2022-03-03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Limestone calcined clay cement (lc3) construction composition
BR112023003032A2 (pt) 2020-08-26 2023-04-11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Composições de construção e de controle de pega
JP2023546559A (ja) 2020-10-09 2023-11-06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ケイ酸カルシウム水和物の製造方法
CN112745057B (zh) * 2021-01-13 2022-02-18 杭州申华混凝土有限公司 一种保坍外加剂及其制备方法
CN112794960B (zh) * 2021-01-29 2022-05-17 湖北工业大学 一种水煤浆分散剂的制备方法以及水煤浆分散剂
CN117157361A (zh) 2021-04-09 2023-12-01 巴斯夫欧洲公司 聚醚在颜料分散体中的用途
WO2022248630A1 (en) 2021-05-27 2022-12-01 Basf Se Dispersion composition comprising a cement-based sealing slurry and an additive mixture
AU2022299262A1 (en) 2021-06-22 2023-12-14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Cement dispersant comprising a naphthalenesulfonic acid polycondensate and at least one of a phosphorylated polycondensate and a polycarboxylate ether, and construction composition
WO2023025585A1 (en) 2021-08-25 2023-03-02 Basf Se Construction material compositions having high early and late strength
WO2023025929A1 (en) 2021-08-27 2023-03-02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Use of a colloidal polymer inorganic hybrid material as a construction composition additive
CN118043296A (zh) 2021-09-29 2024-05-14 建筑研究和技术有限公司 用于胶凝体系的凝固控制组合物
EP4194428A1 (en) 2021-12-10 2023-06-14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Hydrocolloid particle suspension useful as rheological modifier for cementitious applications, use of a hydrocolloid particle suspension
WO2023126283A1 (en) 2021-12-28 2023-07-06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Additive or sealing composition for cementitous compositions, cementitious composition,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s of preparing a cementitious structure and treating a surface thereof
WO2023203207A1 (en) 2022-04-21 2023-10-26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calcium silicate hydrate seed composition useful as a hardening accelerator for cementitious compositions
WO2023217567A1 (en) 2022-05-09 2023-11-16 Basf Se Dry mortar composition containing metal salt of a polyol
WO2023247699A1 (en) 2022-06-22 2023-12-28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Hardening accelerator composition for cementitious compositions, cementitious composition and process for accelerating the hardening of a cementitious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14678B2 (en) * 1976-11-24 1981-02-19 W.R. Grace & Co. Hydraulic cement composition
DE2817080C3 (de) 1978-04-19 1985-04-04 Skw Trostberg Ag, 8223 Trostberg Feste Zusatzmittel für mit Wasser erhärtende Bindemittel und deren Verwendung
JPS5918338B2 (ja) * 1981-10-30 1984-04-26 株式会社日本触媒 セメント分散剤
JPS6015850B2 (ja) 1982-07-21 1985-04-22 高木産業株式会社 給湯機凍結防止装置
GB8316819D0 (en) 1983-06-21 1983-07-27 Unilever Plc Cementiferous compositions
JPS6016851A (ja) 1983-07-08 1985-01-28 花王株式会社 セメント混和剤
US4968734A (en) * 1986-07-01 1990-11-06 W. R. Grace & Co.-Conn. Cement admixture
US4808641A (en) * 1986-07-31 1989-02-28 Fujisawa Pharmaceutical Co., Ltd. Concrete admixture
JPH0832580B2 (ja) 1986-12-26 1996-03-29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セメント用混和剤
JPH0248453A (ja) * 1988-08-09 1990-02-19 Nisso Masutaabirudaazu Kk 覆工コンクリート用のコンクリートの製造方法
JPH05238795A (ja) 1992-02-27 1993-09-17 Kao Corp セメント混和剤及びこ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の製造方法
JP2628486B2 (ja) 1992-09-30 1997-07-09 竹本油脂株式会社 セメント用分散剤
IT1263969B (it) * 1993-02-25 1996-09-05 Mario Collepardi Addittivi superfluidificanti ad elevata conservazione della lavorabilita'
CH689118A5 (de) 1993-06-11 1998-10-15 Nippon Catalytic Chem Ind Zusatzmittel zur Kontrolle des Fliessverhaltens von zementartigen Zusammensetzungen.
WO1995011204A1 (fr) * 1993-10-21 1995-04-27 Chichibu Onoda Cement Corporation Composition a base aqueuse et auto-nivelante
JP2774445B2 (ja) * 1993-12-14 1998-07-09 花王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混和剤
JP3126617B2 (ja) 1994-04-26 2001-01-22 花王株式会社 高強度コンクリート組成物
JP3181226B2 (ja) * 1996-06-28 2001-07-03 竹本油脂株式会社 水硬性セメント組成物用流動性低下防止剤及び水硬性セメント組成物の流動性低下防止方法
KR100552922B1 (ko) * 1998-03-03 2006-02-22 다케모토 유시 가부시키 가이샤 시멘트용 분산제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조제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1801A (ko) * 2012-05-04 2015-02-02 더블유.알. 그레이스 앤드 캄파니-콘. 점토 및 점토-보유 골재의 처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조성물
KR102075654B1 (ko) 2012-05-04 2020-02-18 지씨피 어플라이드 테크놀로지스 인크. 점토 및 점토-보유 골재의 처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조성물
WO2014030900A1 (ko) * 2012-08-21 2014-0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카르본산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의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KR101539350B1 (ko) * 2012-08-21 2015-07-24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카르본산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의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US9126867B2 (en) 2012-08-21 2015-09-08 Lg Chem, Ltd. Additive including polycarboxylic copolymer and cement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20150143167A (ko) * 2014-06-13 2015-1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고흡수성 수지
KR101684649B1 (ko) * 2014-06-13 2016-1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고흡수성 수지
US10023703B2 (en) 2014-06-13 2018-07-17 Lg Chem, Ltd. Preparation method of superabsorbent polymer and superabsorbent polymer prepared thereby
US10208171B2 (en) 2014-06-13 2019-02-19 Lg Chem, Ltd. Preparation method of superabsorbent polymer and superabsorbent polymer prepared thereby
CN109053977A (zh) * 2018-07-26 2018-12-21 北京宝辰联合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保坍型聚羧酸减水剂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01940B2 (en) 1999-02-11
ES2173999T3 (es) 2002-11-01
SG50742A1 (en) 1998-07-20
EP0753488B1 (en) 2002-04-24
CN1154953A (zh) 1997-07-23
US6376581B1 (en) 2002-04-23
KR970006222A (ko) 1997-02-19
CN1104391C (zh) 2003-04-02
EP0753488A2 (en) 1997-01-15
EP0753488A3 (en) 1997-04-02
TW346479B (en) 1998-12-01
EP1142847A2 (en) 2001-10-10
CA2180989A1 (en) 1997-01-14
AU6051696A (en) 1997-01-23
US6187841B1 (en) 2001-02-13
DE69620832D1 (de) 2002-05-29
MY114306A (en) 2002-09-30
EP1142847A3 (en) 2003-09-10
CA2180989C (en) 2003-06-24
DE69620832T2 (de) 200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7526B1 (ko) 시멘트분산제와그제조방법및이를이용한시멘트조성물
JP3179022B2 (ja) セメント分散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セメント組成物
AU2014213572B2 (en) Copolymer admixture system for workability retention of cementitious compositions
KR910006893B1 (ko) 시멘트용 분산제 및 그 제조방법 및 이 시멘트용 분산제를 사용하는 수경성 시멘트 조성물에의 유동성 부여방법
JP3423853B2 (ja) セメント混和剤およびセメント組成物
WO2014085996A1 (zh) 一种保坍型聚羧酸超塑化剂
JPH0211542B2 (ko)
CN110790872A (zh) 一种具有微交联结构的降粘型聚羧酸减水剂及其制备方法
JP2002121055A (ja) セメント分散剤およびこれを用いたセメント組成物
JP4947856B2 (ja) セメント分散剤およびこれを用いたセメント組成物
CN109111146B (zh) 一种多功能酯类聚羧酸减水剂及其制备方法
WO2021226869A1 (zh) 一种固体聚羧酸减水剂及其制备方法
KR102235191B1 (ko) 시멘트 혼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776034B (zh) 一种含有烷基的降粘型减水剂在制备c100混凝土中的用途
CN116265500A (zh) 一种降粘型聚羧酸减水剂及其制备方法
JP3919977B2 (ja) セメント混和剤
KR101206470B1 (ko) 조기 강도 발현 콘크리트 혼화제용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혼화제
CN109749074B (zh) 一种含有烷基的降粘型聚羧酸减水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JP3845168B2 (ja) セメント混和剤およびセメント組成物
JP2007186414A (ja) セメント混和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3285142A (ja) セメント分散剤
CN116265497A (zh) 一种高适应性聚羧酸减水剂及其制备方法
KR100341965B1 (ko) 고분자 중합체로된 시멘트 유동화제
CN110804138A (zh) 一种用无皂乳液聚合法制备的固片状聚羧酸减水剂及方法
JPS63236742A (ja) セメント分散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