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2292B1 - 압축기 - Google Patents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2292B1
KR100212292B1 KR1019960019146A KR19960019146A KR100212292B1 KR 100212292 B1 KR100212292 B1 KR 100212292B1 KR 1019960019146 A KR1019960019146 A KR 1019960019146A KR 19960019146 A KR19960019146 A KR 19960019146A KR 100212292 B1 KR100212292 B1 KR 100212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oil
suction
compresso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9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1953A (ko
Inventor
하야토 이케다
히로후미 사토
도모지 달타니
히로미 미치유키
Original Assignee
이소가이 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지도숏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소가이 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지도숏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이소가이 지세이
Publication of KR970001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2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22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9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4Measures to avoid lubricant contaminating the pumped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고압냉매가스의 유분리기구를 내장한 압축기, 구체적으로는 경사판등의 캠플레이트를 구비한 압축기의 개량에 관계한다.
2. 발명이 해결하려하는 기술적과제
분리유의 저유량의 증대와, 환유구멍에 설치되어 있는 밸브수단을 생략함을 도모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토출실(16)(17)과 통하는 후부실린더블럭(2)의 고압영역에 내장된 유분리실(32) 및 분리유 회수용의 일차유류실(36)과, 양 실린더블럭(1)(2)의 상부위치를 점하는 일차 유류실(36)과 직결한 유도유로를 형성하는 흡입계로는 절연된 볼트삽입관통구멍(1a)(2a)과, 후부실린더블럭(2)의 바깥끝 폐쇄영역에 설치된 조리개통로(38)을 통해서 그 볼트 삽입관통구멍(2a)와 접속된 중심축구멍(2b)를 포함한 주 유류실(S)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그 조리개통로(38)이 고압냉매가스의 역류를 억제하는 밸브기능과 유량조정기능을 발휘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압축기에 있어서의 충분한 저유량의 확보, 환류구멍에 설치되는 밸브수단의 생략, 윤활성의 향상.

Description

압축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하는 양두경사판식 압축기의 전체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유분리와 분리유의 환급구성을 나타내는 실린더블럭의 일부 단면측면도.
제3도는 유분리실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하는 쓰러스트 축받이를 나타내고,
(a)는 단면정면도,
(b)는 슬라이드면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부실린더블럭 2 : 후부실린더블럭
1a, 2a : 볼트삽입관통구멍
1a, 2a: 흡입계와 절연된 볼트삽입관통구멍
1b, 2b : 중심축구멍 3, 4 : 밸브판
5 : 전면하우징 6 : 후면하우징
7 : 관통볼트 9 : 유구멍
10 : 경사판 14, 15 : 흡입실
22, 23 : 흡입밸브 30 : 유홈
32 : 유분리실 36 : 일차유류실
38 : 조리개통로 40, 41 : 쓰러스트 축받이
40a, 41a : 내륜 40b, 41b : 외륜
45 : 저마찰수지피막 46 : 윤활홈
47 : 관통홈 S : 주 유류실
본 발명은 고압냉매가스의 유(油)분리기구를 내장한 압축기, 구체적으로는 경사판등의 캠플레이트를 구비한 압축기의 개량에 관계한다.
주로 차량공조용에 사용되는 이들 압축기에서는 가동부분의 윤활에 제공되는 윤활유가 냉매가스중에 입자형상으로 혼재되어 있다.
따라서,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가스와 함께 혼재유 입자가 그대로 냉동회로에 토출순환되면. 이 유입자가 증발기의 내벽등에 부착되어 열교환요율을 저하시킨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압축기로부터 응축기에 이르는 고압관로중에 유분리기를 별도로 설치해서 분리된 윤활유를 환유(還油)배관을 통해서 압축기내로 돌아오도록 구성한 것이 실용화되어 있지만, 기기, 배관의 증설에 따른 총합적인 냉동회로구성의 폭주화와 더불어, 작은 지름이며 또한 길게 형성된 환유배관에 막힘등의 사고도 생기기 쉽기 때문에 근래에는 압축기에 직접 유분리기구를 내장시킨 구성으로 된 것도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유분리기구 내장형의 압축기에서는 기기내에 다량의 윤활유를 저유하도록 하면, 유류실의 공간확보로 인한 기기체의 대형화를 피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기내의 고압영역에서 분리된 분리유를 회수하는 유류실과, 그 분리유를 환급하는 저압영역(예를 들면, 크랭크실)은 통상 환유구멍에 의해서 연통되어 있으며, 적정한 환유량의 유지나 기기대 정지 후의 저장유 고갈시에 그 환유구멍을 경유해서 생기는 고압냉매가스의 억류억제와 같은 점을 고려해서 부자(浮子)밸브등 각종의 밸브장치가 배설되어 있지만, 환유구멍의 통로 단면적이 적은 만큼 작동불량이 생기기 쉽다는 문제도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은 분리유가 크랭크실로 환급되어도 흡입포트로부터 크랭크실내에 유입한 냉매가스는 구조상의 필연성에 의해 크랭크실에 둘레벽에 따라서 유동하기 때문에, 특히 중심근방의 영역에서는 냉매가스가 희박화된다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 특히 구동축을 지지하는 레이디얼 축받이에 윤활불량이 생기기 쉽고 또한 합리화대책의 일환으로서 캠플레이트를 끼워 둔 쓰러스트축받이에 복합형의 슬라이드축받이 채용을 시도한 것에서는 롤링축받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큰 유격으로서 존재하지 않는 슬라이드면으로의 급유가 극단적으로 악화되게 되어 상기 레이디얼축받이등의 조기마모를 피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해결과제는 기기체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없이 저장유량의 증대를 도모하는 것에 있으며, 제2의 해결과제는 분리유의 환유구멍에 배치되어 있는 밸브장치를 생략함과 동시에 회전계 축받이부의 윤활부족을 해소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청구항 1 기재의 압축기는 전후에 복수의 보어를 나란히 설치해서 결합부분에 크랭크실을 형성한 쌍의 실린더블럭과, 양 실린더블럭의 중심축구멍에 레이디얼 축받이를 통해서 삽입되어 지지된 구동축과, 크랭크실내의 그 구동축에 장착되며 또한 쓰러스트 축받이를 통해서 양실린더블럭에 끼워진 캠플레이트와, 그 캠플레이트에 계류해서 전후의 보어 내를 직선운동하는 피스턴과, 각 보어에 대응하는 흡입구멍 및 토출구멍을 관통설치한 밸브판과, 바깥영역에 흡입실, 안쪽영역에 토출실을 구획설치하고 또한 흡입밸브 및 토출밸브를 구비한 그 밸브판을 끼우고 관통볼트에 의해 실린더블럭의 양 바깥끝을 폐쇄하는 하우징을 가지고, 상기 관통볼트의 둘레영역에 상기 크랭크와 상기 흡입실을 관통하는 흡입통로를 설치한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실과 통해서 실린더블럭의 고압영역에 내장된 유분리실 및 분리유 회수용의 일차유류실고 양, 실린더블럭의 상부위치를 점하고 상기 일차유류실고 직결한 유도유로를 형성하는 흡입계는 절연된 볼트삽입 관통구멍과, 상기 볼트삽입관통구멍에 접속된 상기 중심축구멍의 후단부를 포함하는 주 유류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2 기재의 압축기는 상기 흡입계와는 절연된 볼트삽입관통구멍은 후부실린더블럭의 바깥끝폐쇄영역에 설치된 조리개통로를 통해서 상기 주유류실과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압축기는 상기 실린더블럭의 양 바깥끝면에는 흡입계와는 절연된 상기 볼트삽입관통구멍의 적어도 다른 하나와 양 중심축구멍을 각각 연통하는 유홈이 설치되어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4 기재의 경사판식 압축기는 상기 레이디얼축받이의 양쪽이 슬라이드축받이, 상기 쓰러스트축받이의 양쪽이 복합형의 슬라이드 축받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리개통로가 형성되는 후부실린더블럭의 바깥끝 폐쇄영역이라는 것은 후부실린더를럭의 바깥끝면 또는 이에 밀탁되는 밀봉부재(개스킷)등을 포함하는 호칭이다.
청구항 1 및 2 기재의 압축기에는 양 실린더블럭의 상부위치를 점하는 볼트삽입관통구멍의 하나가 흡입계와 절연된 유도유로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유분리기구에 의해서 일차유류실에 회수된 분리유는 지극히 근거리에서 연결된 그 유도유로로 재저유되며, 후부실린더블럭의 중심축구멍, 특히 중립적 분위기인 동 중심축구멍을 포함해서 형성된 주 유류실에 순차 도입저유된다.
그 중심축구멍내에는 구동축을 지지하는 레이디얼축받이가 끼워져 있으며, 구동축과의 끼워맞춤하는 미세한 간격이 야기하는 감압작용이 그 저장유를 흡인하고, 캠플레이트를 끼워 둔 쓰러스트 축받이부에 도달한 유성분은 원심력의 힘을 얻어서 크랭크실내로 환원된다.
이 경우, 특히 청구항 2기재의 압축기에서는 분리유가 후부실린더블럭의 바깥끝 폐쇄영역에 형성된 좁은 조리개통로를 통해서 후부실린더블럭의 중심축구멍으로 유도되고 있으며, 이 조리개통로를 통해서 후부실린더블럭의 중심축구멍으로 유도되고 있으며, 이 조리개통로가 유량조정기능에 부가되어 저장유 고갈시에 있어서의 고압냉매가스의 역류를 억제하는 밸브기능을 가지고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압축기에서는 주 유류실내의 저장유를 유홈 및 흡입계와 절연된 다른 볼트삽입관통구멍을 통해서 전면측의 중심축구멍으로도 공급하는 것에 의해 크랭크실로 환원되는 분리유를 그대로 활용해서, 특히 불충분한 회전계 축받이부 전체를 적극적으로 윤활시키고 있기 때문에 청구항 4 기재의 압축기와 같이 합리화에 불가결한 레이디얼, 쓰러스트 양 축받이의 슬라이드 축받이로의 전환도 충분히 가능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분리유가 크랭크실로 환원될 때까지의 거리가 상당히 길고, 더욱이 유도유로를 형성하는 볼트삽입관통구멍을 포함해서 그 저유능력이 큰폭으로 높아지기 때문에 유온도의 저하에 따른 윤활성의 향상과 함께 장기간에 걸쳐 유끊김을 교묘히 방지할 수가 있다.
[실시예]
이하, 도면에 기초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 제2도는 편측 5기통의 양두경사판식 압축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후 대향 설치된 실린더블럭(1)(2)의 양 단부는 전후의 밸브판(3)(4)를 개재해서 전면 및 후면의 하우징(5)(6)에 의해 폐쇄되며, 이들은 볼트삽입관통구멍(1a)(2a)에 삽입관통된 복수개의 관통볼트(7)에 의해서 결합되어 있다.
실린더블럭(1)(2)의 결합부분에는 크랭크실로서의 경사판실(8)이 형성되며, 여기에는 양 실린더블럭(1)(2)의 중심축구멍(1b)(2b)를 관통하는 구동축(9)에 고정된 캠플레이트로서의 경사판(10)이 수용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블럭(1)(2)에는 5쌍의 보어(11)이 구동축(9)와 평행하게 또한 구동축(9)를 중심으로 하는 방사위치에 형성되며, 각 보어(11)에는 양두형의 피스턴(12)가 삽입되어 있으며, 각 피스턴(12)는 반구형상의 슈우(13)을 개재해서 경사판(10)에 계류되어 있다.
상기 전면 및 후면의 하우징(5)(6)에는 각각 바깥쪽 영역에 흡입실(14)(15)가 형성되며, 안쪽영역에 토출실(16)(1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후의 밸브판(3)(4)에는 각각 흡입실(14)(15)로부터 각 보어(11)내에 저압의 냉매가스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멍(18)(19)와, 각 보어(11)로부터 토출실(16)(17)내로 압축된 고압의 냉매가스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멍(20)(21)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밸브판(3)(4)의 실린더블럭(1)(2)측에는 흡입밸브(22)(23)이 설치되어 있으며, 밸브판(3)(4)의 하우징(5)(6)측에는 토출밸브(24)(2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후면측 실린더블럭(2)의 상부에는 뒤에 설명할 쉘(shell)과 결합되는 틀부(26)이 설치되며, 이 틀부(26)에는 경사판실(8)로 개방하는 도시하지 않은 흡입포트가 설치되어 있다. 양 실린더블럭(1)(2)로부터 밸브판(3)(4)를 통해서 관통설치된 상기 볼트삽입관통구멍(1a)(2a)의 일부(실시예에 있어서는 2개)는 관통볼트(7) 사이의 틈새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경사판실(8)과 흡입실(14)(15)를 연통하는 복수의 흡입통로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포트로부터 경사판실(8)에 흡입된 냉매가스가 이 흡입통로를 통해서 흡입실(14)(15)내에 도입된다. 또한, 27은 축밀봉장치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인 유분리기구에 대해서 아래에 설명한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틀부(26)에는 쉘(28)이 부착되며, 그 내부에는 싸이클론방식의 유분리실(32)가 형성되어 있다.
유저원구멍상을 이루는 그 유분리실(32)의 상부에는 유도부(32a)가 그 유분리실(32)의 둘레벽부로 거의 접선상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그 유도부(32a)의 기초단으로 개방하는 관통구멍(33)은 양 실린더블럭(1)(2)에 형성된 한쌍의 토출통로(34)를 경유해서 상기 토출실(16)(17)과 연통되어 있다.
한편, 그 유분리실(32)의 약간 아래쪽에는 복수의 관통구멍(35a)를 가진 칸막이판(35)가 끼워부착되며, 그 칸막이판(35)의 하부영역과 통하는 인접실은 그 관통구멍(35a)를 통해서 분리유를 회수하는 일차유류실(36)에 형성되어 있다.
그 일치유류실(36)은 그 밑벽에 관통설치된 관통구멍(36a)가 경사판실(8) 및 흡입실(14)(15)와 절연된 볼트삽입관통구멍(1a)(2a)중 양 실린더븝럭(1)(2)의 상부위치를 점하는 하나와 이어져 있으며 그 볼트삽입관통구멍(1a)(2a)은 하부위치를 점하는 다른 하나와 함께 유도유로를 형성하고 있다(제1도 참조).
그리고 상부위치를 점하는 그 볼트삽입관통구멍(2a)의 바깥끝 개방구는 동 바깥면에 형성된 좁은 조리개통로(38)을 통해서 중심축구멍(2b)에 연통되지만, 이 조리개통로(38)은 후부실린더블럭(2)의 바깥끝면과 밀착하는 개스킷(도시생략)에 슬릿을 설치하거나 또는 엠보싱가공(부각가공)을 시행해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쉘(28)을 덮어 폐쇄하는 마개판(29)에는 상기 유분리실(32)의 중심부로 돌입해 뻗어 있는 토출관(37)이 고착되며 그 토출관(37)의 바깥끝은 도시하지 않은 외부냉동회로와 연결되어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인 구성인 회전계 축받이부 및 윤활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상기 관통구멍(36a), 상부위치를 점해서 유도유로를 형성하는 볼트삽입관통구멍(1a)(2a) 및 조리개통로(38)에 의해서 일차유류실(36)과 연통된 중심축구멍(2b)의 후단부는 후면하우징(6)의 중심영역을 포함한 중립적 압력분위기의 주 유류실(S)로서 형성되며, 그 중심축구멍(2b)에 그 주 유류실(S)는 유로(48)을 가지는 격벽(49)를 막아서 레이디얼 축받이(51)이 끼워져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분리유의 회수환원과 윤활을 양립시켜서 양 레이디얼 축받이(50)(51)의 슬라이드 축받이화와 함께 실린더블럭(1)(2)와 경사판(10)의 사이에 장착되는 쓰러스트축받이(40)(41)도 복합형의 슬라이드 축받이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앞부의 쓰러스트 축받이(40)을 끼워지지하는 경사판(10)의 앞부보스 및 전부실린더블럭(1)의 지지부에는 상호 대향하는 평평한 수압틀이 형성되며, 내륜(40a), 외륜(40b)가 양 수압틀과 밀착되는 것에 의해 그 쓰러스트축받이는 안정적이고 또한 견고하게 끼워져 있다.
이에 대해 끼워짐수단이 다른 후보의 쓰러스트 축받이(41)에는 엑셜하중을 흡수하는 완충기능이 부여되어 있다. 즉 경사판(10)의 후부 보스에는 비교적 큰 지름의 환상의 수압틀(10a)가 형성되어 내륜(41a)는 그 외경근방에서 그 환상 수압틀(10a)와 맞접하는 한편 후부실린더(2)의 지지부에는 비교적 작은 지름의 환상 수압특(2c)가 형성되어 외륜(41b)는 그 내경근방에서 그 환상수압틀(2c)와 맞접해져 있다.
그리고 양 쓰러스트 축받이(40)(41)은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호 대향하는 슬라이드면에 의해서 내륜(40a)(41a)와 외륜(40b)(41b)가 밀착되어 있고, 내륜(40a)(41a)의 슬라이드면에는, 예로는 불소수지등의 저마찰수지피막(4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륜(40b)(41b)의 슬라이드면에는 내주가장자리로부터 외주가장자리로 향하는 적정한 수의 윤활홈(46)이 설정되며, 그 윤활홈(46)은 내주면을 축방향으로 뻗은 관통홈(47)과 접속되어 있다.
실린더블럭(1)(2)의 양 바깥끝면에는 상기 하부위치를 점해서 유도유로를 형성하는 볼트삽입관통구멍(1a)(2a)과 상기 중심축구멍(1b)(2b)를 연통하는 유홈(3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일련의 유로에 의해서 전면측의 회전축받이부도 주 유류실(S)와 접속되어 있다.
본 실이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구동축(9)의 회전에 의해 경사판(10)이 회전되면, 각 피스턴(12)가 보어(11)내에서 왕복운동되어 그에 의해 냉매가스의 흡입, 압축 및 토출이 행해진다.
압축된 고압의 냉매가스는 토출실(16)(17)로부터 각 토출통로(34)및 관통구멍(33)을 통해서 유분리실(32)에 도입된다.
즉, 관통구멍(33)으로부터 유도부(32a)의 기단부분에 유도된 냉매가스는 그 유도부(32a)에 형성된 측벽의 안내에 의해 거의 접선방향으로부터 원구멍을 이루는 유분리실(32)내로 유입되고, 제3도에 나타낸 회전흐름에 의해서 주어진 원심력에 의해 냉매가스중의 혼재유 입자는 유효하게 분리된다.
또한, 이와같은 유분리 과정을 거치는 것에 의해서 냉매가스의 맥동은 물리적으로 진정화되기 때문에 상당히 안정적인 상태로 냉매회로로 공급되는 한편, 냉매가스로부터 분리된 유성분은 유분리실(32)의 둘레벽을 흘러내리고, 칸막이판(35)에 관통설치된 관통구멍(35a)로부터 적하되어 일차유류실(36)에 회수되며, 더욱이 관통구멍(36a)를 경유해서 유도유로를 형성하는 볼트삽입관통구멍(1a)(2a)에 저장되며, 또한 조리개통로(38)을 경유해서 주 유류실(S)내에 저장된다.
그 중심축구멍(2b)내에는 구동축(9)를 지지하는 레이디얼 슬라이드축받이(51)이 끼워져 있으며, 구동축(9)와의 미세한 틈새가 야기하는 감압작용이 칸막이벽(49)에 관통된 유로(48)을 통해서 그 저장유를 유인하고, 경사판(10)을 지지하는 쓰러스트 축받이(41)에 도달한 유성분은 원심력의 힘을 얻어서 축받이 틈새로부터 경사판실(8)로 환원된다.
이 경우, 후부실린더블럭(2)의 바깥끝면에 형성된 조리개통로(38)은 유량조정기능에 부가해서 저장유 고갈시에 있어서의 고압냉매가스의 역류를 억제하는 실질적인 밸브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상, 단순히 경사판실(8)로 환원되는 분리유를 그대로 활용해서 특히 불충분한 레이디얼축받이(50)(51) 및 쓰러스트 축받이(40)(41)의 적극적인 윤활을 하고, 이들 모든 축받이요소를 슬라이드축받이로 전환해서 압축기의 합리화에 크게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즉, 주 유류실(S)에 저장된 저장유의 일부는 양 실린더블럭(1)(2)의 바깥끝면에 설치된 유홈(30)및 이들 양 유홈(30)을 연통하는 볼트삽입관통구멍(1a)(2a)을 통해서 앞부 실린더블럭(1)의 중심축구멍(1b)로 공급된다.
이 때문에, 양 중심축구멍(1b)(2b)내의 유성분이 레이디얼 축받이(50)(51)로 부터 쓰러스트 축받이(40)(41)을 구성하는 외륜(40b)(41b)의 관통홈(47)및 윤활 홈(46)을 통하는 사이에 레이디얼 축받이(50)(51), 쓰러스트 축받이(40)(41)의 각 슬라이드면은 물론 전면측의 축밀봉장치(27)도 충분히 윤활된다.
게다가 쓰러스트 축받이(40)(41)의 상대적인 슬라이드면의 어디인가 한쪽(도면에서는 내륜측)에 저마찰수지피막(45)를 형성하거나, 상기 외륜(40b)(41b)의 윤활홈(46)을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축(9)의 회전방향(화살표)의 방향으로 만곡시킨 것에서는 슬라이드면의 양호한 슬라이드운동과 동시에 유성분의 유동이 더욱 활발하게 된다.
따라서, 합리화대책에 홈없는 쓰러스트 축받이(40)(41) 및 레이디얼 축받이(50)(51)의 슬라이드 축받이로의 전환도 이러한 저장유량의 증대 및 윤활기구의 개선에 의해서 충분히 가능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쓰러스트 축받이(40)(41)의 지지수단의 다름에 기초해서 기능하는 변동하중의 흡수나 불안정진동의 억제작용은 상기 슬라이드 축받이로의 전환에 관계없이 발휘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구성을 가지는 것에서 이하와 같은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1) 청구항 1 및 2 기재의 압축기에서는 고압냉매가스로부터 유분리기구에 의해서 일차유류실에 회수된 분리유는 유도유로를 형성하는 볼트삽입관통구멍으로 재저장된 후, 중심축구멍의 후단부를 포함해서 형성된 주유류실에 도입저장되며, 중심축구멍내에 끼워진 레이디얼 축받이 및 캠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쓰러스트 축받이를 통해서 크랭크실로 환원되므로, 분리유의 저유량은 충분히 확보된다.
게다가 저유량확보에는 볼트삽입관통구멍을 활용하기 때문에 기기체의 비대화와 같은 문제도 전혀 생기지 않는다.
더욱이 청구항 2 기재의 압축기에서는 후부실린더블럭의 바깥끝 폐쇄영역에 형성된 조리개통로가 저장유 고갈시에 있어서의 고압냉매가스의 역류를 억제하는 밸브기능과 공급유량의 조정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종래 환유구멍에 설치되어 있는 밸브수단을 완전히 생략할 수가 있다.
(2) 청구항 3 및 4기재의 압축기에서는 양 중심축구멍을 도통하는 것에 의해 크랭크실로 환원되는 분리유를 그대로 활용해서 전후의 회전축받이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레이디얼, 쓰러스트 양 축받이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해서 합리화대책에 결함없이 공헌함과 동시에 압축기의 신뢰성을 각별히 향상시킬 수가 있다.
(3) 또한, 분리유가 크랭크실로 환원될 때까지의 길이가 상당히 길고, 게다가 유도유로를 형성하는 볼트삽입관통구멍을 포함해서, 그 저유능력이 큰 폭으로 높아지기 때문에 유온도의 저하에 따른 윤활성의 향상과 함께 장기간에 걸쳐서 유끊김을 교묘히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4)

  1. 전후에 복수의 보어를 나란히 설치해서 결합부분에 크랭크실을 형성한 쌍의 실린더블럭과, 양 실린더블럭의 중심추구멍에 레이디얼 축받이를 통해서 끼워 삽입되어 지지된 구동축고, 크랭크실내의 그 구동축에 장착되며, 또한 쓰러스트 축받이를 통해서 양 실린더블럭에 끼워진 캠플레이트와, 그 캠플레이트에 계류해서 전후의 보어내를 직선운동하는 피스턴과, 각 보어에 대응하는 흡입구멍 및 토출구멍을 관통설치한 밸브판과, 바깥영역에 흡입실, 안쪽영역에 토출실을 구획설치하고 또한 흡입밸브 및 토출밸브를 장비한 그 밸브판을 끼워서 관통볼트에 의해 실린더블럭의 양 바깥끝을 폐쇄하는 하우징을 가지고, 상기 관통볼트의 둘레 영역에 상기 크랭크와 상기 흡입실을 연통하는 흡입통로를 설치한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실과 통해서 실린더블럭의 고압영역에 내장된 유분리실 및 분리유 회수용의 일차유류실과, 양 실린더블럭의 상부위치를 점하고 그 일차유류실과 직결한 유도유로를 형성하는 흡입계는 절연된 볼트삽입관통구멍과, 그 볼트삽입관통구멍에 접속된 상기 중심축구멍의 후단부를 포함하는 주 유류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계와는 절연된 볼트삽입관통구멍은 후부실린더블럭의 바깥끝폐쇄영역에 설치된 조리개통로를 통해서 상기 주 유류실과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블럭의 양 바깥끝면에 흡입계와는 절연된 상기 볼트관통구멍의 적어도 다른 하나와 양 중심축구멍을 각각 연통하는 유홈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디얼 축받이의 양쪽이 슬라이드 축받이, 상기 쓰러스트축받이의 양쪽이 복합형의 슬라이드 축받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KR1019960019146A 1995-06-08 1996-05-31 압축기 KR1002122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7141737A JP3085514B2 (ja) 1995-06-08 1995-06-08 圧縮機
JP95-141737 1995-06-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953A KR970001953A (ko) 1997-01-24
KR100212292B1 true KR100212292B1 (ko) 1999-08-02

Family

ID=15299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9146A KR100212292B1 (ko) 1995-06-08 1996-05-31 압축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636974A (ko)
JP (1) JP3085514B2 (ko)
KR (1) KR100212292B1 (ko)
CN (1) CN1071414C (ko)
CA (1) CA2178150C (ko)
DE (1) DE19622718C2 (ko)
TW (1) TW35784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107B1 (ko) * 2019-12-19 2021-01-08 도로교통공단 신호시간 조율을 이용한 교차로 신호 운영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2786B1 (ko) * 1994-04-07 1999-06-15 이소가이 지세이 클러치레스 압축기의 방열구조체
JPH0960591A (ja) * 1995-08-21 1997-03-04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圧縮機のオイル分離機構
JPH0960586A (ja) * 1995-08-21 1997-03-04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カムプレート式両頭圧縮機
JPH09324758A (ja) * 1996-06-06 1997-12-1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カムプレート式圧縮機
JPH10281060A (ja) * 1996-12-10 1998-10-2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圧縮機
JPH10176655A (ja) * 1996-12-13 1998-06-30 Zexel Corp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JPH10196540A (ja) * 1997-01-10 1998-07-3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圧縮機
JPH10213070A (ja) * 1997-01-28 1998-08-11 Zexel Corp 冷媒圧縮機
JPH10213062A (ja) * 1997-01-31 1998-08-11 Zexel Corp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JP3731329B2 (ja) * 1997-12-24 2006-01-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の油回収構造
JP3509560B2 (ja) * 1998-06-15 2004-03-2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のオイル分離構造
JP3924985B2 (ja) * 1999-04-15 2007-06-0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の吐出脈動減衰装置
JP4016556B2 (ja) * 1999-12-17 2007-12-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
JP4399994B2 (ja) * 2000-11-17 2010-01-2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容量可変型圧縮機
US6481240B2 (en) 2001-02-01 2002-11-19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Oil separator
US7490541B2 (en) * 2001-07-09 2009-02-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pressor
US6497114B1 (en) 2001-09-18 2002-12-24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Oil separator
EP1508695B1 (en) * 2002-05-14 2008-05-21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oration Reciprocating compressor
WO2004092584A1 (ja) * 2003-04-17 2004-10-28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oration 斜板式圧縮機
JP4211477B2 (ja) * 2003-05-08 2009-01-2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冷媒圧縮機のオイル分離構造
DE10346251B4 (de) 2003-10-06 2012-09-0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Drehschwingungsisolator
DE102004061237A1 (de) * 2004-12-20 2006-07-06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Trockenlaufender Taumelscheibenverdichter mit einer beschichteten Taumelscheibe
JP4730107B2 (ja) * 2006-01-23 2011-07-2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における油分離構造
CN101356367B (zh) * 2006-03-29 2010-09-08 株式会社丰田自动织机 压缩机
CN100412360C (zh) * 2006-04-18 2008-08-20 赫兹空调压缩机(上海)有限公司 往复式活塞空调压缩机
JP4737076B2 (ja) * 2006-05-19 2011-07-2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
JP3153200U (ja) * 2009-06-15 2009-08-27 株式会社ヴァレオサーマルシステムズ ピストン型圧縮機
US10598416B2 (en) 2013-11-04 2020-03-24 Carrier Corporation Refrigeration circuit with oil separation
JP6540954B2 (ja) * 2015-07-02 2019-07-10 サンデン・オートモーティブ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圧縮機
LU93137B1 (de) * 2016-07-01 2018-01-09 Phoenix Contact Gmbh & Co Kg Intellectual Property Licenses & Standards Aufnahmeelement, Anordnung und Verfahren
CN109807929B (zh) * 2017-11-21 2021-09-17 沈阳新松机器人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主动凸轮式润滑自清洁机构
CN114537989B (zh) * 2022-02-25 2024-02-06 宁夏天地奔牛实业集团有限公司 刮板输送机机尾用快拆式链轮轴组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53273A (ja) * 1988-12-02 1990-06-1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斜板式圧縮機の潤滑油供給構造
US4974702A (en) * 1989-01-27 1990-12-04 Kabushiki Kaisha Tyoda Jidoshokki Seisakusho Swash plate type compressor with thrust bearing lubricator
JPH02230980A (ja) * 1989-03-02 1990-09-13 Toyota Autom Loom Works Ltd 斜板式圧縮機
JP2760056B2 (ja) * 1989-06-05 1998-05-2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斜板式圧縮機
JPH0311167A (ja) * 1989-06-09 1991-01-1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往復動型圧縮機
JP2792126B2 (ja) * 1989-07-29 1998-08-2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オイルセパレータ
JPH05195949A (ja) * 1992-01-21 1993-08-0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往復動型圧縮機
JP3120537B2 (ja) * 1992-02-28 2000-12-2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往復動型圧縮機
JP3084934B2 (ja) * 1992-06-26 2000-09-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圧縮機のオイルセパレータ
US5795139A (en) * 1995-03-17 1998-08-18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Swash plate type refrigerant compressor with improved internal lubricat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107B1 (ko) * 2019-12-19 2021-01-08 도로교통공단 신호시간 조율을 이용한 교차로 신호 운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414C (zh) 2001-09-19
TW357840U (en) 1999-05-01
JPH08334086A (ja) 1996-12-17
CA2178150A1 (en) 1996-12-09
DE19622718A1 (de) 1996-12-12
US5636974A (en) 1997-06-10
JP3085514B2 (ja) 2000-09-11
CA2178150C (en) 2000-10-31
KR970001953A (ko) 1997-01-24
CN1147061A (zh) 1997-04-09
DE19622718C2 (de) 199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2292B1 (ko) 압축기
US5088897A (en) Swash plate type compressor with internal refrigerant and lubricant separating system
US6134898A (en) Positive-displacement-type refrigerant compressor with a novel oil-separating and lubricating system
JP3120697B2 (ja) 斜板式圧縮機
JP4016556B2 (ja) 圧縮機
US4522112A (en) Swash-plate type compressor having improved lubrication of swash plate and shoes
EP1508695B1 (en) Reciprocating compressor
US20140119972A1 (en) Scroll -Type Compressor
KR20030053444A (ko) 압축기 및 압축기의 윤활방법
JPH10311277A (ja) 冷媒圧縮機
JPH05195949A (ja) 往復動型圧縮機
CN100585179C (zh) 用于压缩机的油分离结构
JP3608299B2 (ja) 両頭ピストン式圧縮機
JPH0968161A (ja) 圧縮機
JPH09242667A (ja) 往復動型圧縮機
JP3632448B2 (ja) 圧縮機
JP3144616B2 (ja) 斜板式圧縮機
JP2009108750A (ja) ピストン型圧縮機
JPH0410393Y2 (ko)
JP4195529B2 (ja) 片斜板式圧縮機
KR101059063B1 (ko) 압축기의 오일분리구조
JPH01237362A (ja)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JP2000080982A (ja) 圧縮機
JPH10122146A (ja) 斜板式圧縮機
JPH03475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