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2675B1 - 운전좌석을 상부에 배치하는 보닛을 구비한 포클레인 - Google Patents

운전좌석을 상부에 배치하는 보닛을 구비한 포클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2675B1
KR0182675B1 KR1019960003817A KR19960003817A KR0182675B1 KR 0182675 B1 KR0182675 B1 KR 0182675B1 KR 1019960003817 A KR1019960003817 A KR 1019960003817A KR 19960003817 A KR19960003817 A KR 19960003817A KR 0182675 B1 KR0182675 B1 KR 0182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net
space
seat
driver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3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1721A (ko
Inventor
시즈오 시모이에
시즈오 데미즈
마사히코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미츠이 고헤이
가부시키가이샤 구보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919495A external-priority patent/JP293877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898995A external-priority patent/JP29387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898795A external-priority patent/JP294216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899195A external-priority patent/JP2942166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츠이 고헤이, 가부시키가이샤 구보타 filed Critical 미츠이 고헤이
Publication of KR960031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1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2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26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91Lids or bonnets or door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02F3/325Backhoes of the miniature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2Travelling-gear, e.g. associated with slewing gears
    • E02F9/024Travelling-gear, e.g. associated with slewing gears with laterally or vertically adjustable wheels or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movable, tiltable or pivoting, e.g. movable seats, dampening arrangements of cab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운전좌석의 저면 일부를 수납가능한 오목부가 형성된 엔진 보닛을 구비하고, 상기 엔진을 상기 엔진보닛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한 포클레인에 있어서, 상기 보닛은 평면시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 상당하는 제1보닛공간, 상기 오목부의 좌우측의 제2보닛공간, 제3보닛공간, 그리고, 상기 오목부 후방의 제4보닛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또는 제3보닛공간 한쪽에 냉각공기흡기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3 또는 제2보닛공간의 다른쪽에 상기 냉각공기의 배출구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운전좌석을 상부에 배치하는 보닛을 구비한 포클레인
제1도는 포클레인 (일명; back hoe)의 전체측면도.
제2도는 포플레인의 전체평면도.
제3도는 원동부의 종단후면도.
제4도는 선회대의 일부 노치측면도.
제5도는 a는 엔진보닛 개방상태의 선회대의 일부 노치측면도.
제5도는 b는 엔진보닛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유지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6도는 엔진보닛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7도는 엔진보닛의 방수기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8도는 제7도의A-A에서 본 도면.
제9도는 제7도의 B-B에서 본 도면.
제10도는 엔진보닛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행장치 2 : 도저
3 : 선회대 4 : 스윙브라킷
5 : 포클레인장치 5a : 붐
5b : 아암 5c : 버켓
6 : 엔진보닛 10 : 엔진
120A : 제1보닛공간 120B : 제2보닛공간
120C : 제3보닛공간 120D : 제4보닛공간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포클레인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운전좌석이 재치되기 위한 오목부를 형성하는 보닛을 가진 포클레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의 포클레인의 한예로는, 일본국 특개평 5-156664 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 포클레인에 있어서는 그 상면에 운전좌석을 배치한 상부가 평면으로 형성된 엔진 보닛을 구비한 상태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이 포클레인에 있어서, 선회대 높이를 일정하게 할 경우에, 엔진보닛의 대지(대地) 높이는 라디에이터 등의 비교적 높은 구성부품에 의해 결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보닛 상면이 평탄면이기 때문에 당연히 좌석의 재치높이를 이 상면으로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라디에이터 등의 표준높이에 기인하는 것이나 좌석높이를 기준으로 할 경우에, 선회대 상면과 스텝과의 단차(간격)가 다소 과대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포클레인기체 전체로서의 높이를 낮추기 위하여 스텝을 가능한한 하방에 형성할 경우에, 인체공학적으로 산출한 적절한 단차분을 가산한 곳에 좌석이 재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스텝위치를 하방으로 하고, 적절한 위치에 좌석을 배치할 수 있으면, 포클레인기체 전체로서의 높이를 낮게하기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보닛의 좌석 재치부에 상당하는 개소를 보닛 상면의 다른 부분보다 오목하게 하는 것은, 인체공학적으로 이상적인 단차(스텝과 좌석)를 유지하면서 포클레인기체 전체높이를 소정 레벨로 억제하기 위하여 필요해진다.
상기 포클레인의 보닛과 구조의 개량에 대해서는, 가령, 일본국 특개평 6-207419호에 운전좌석용 오목부를 형성한 보닛을 구비한 포클레인이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 있어서, 특히 제 1도, 제5도 및 제 6도에 명시된 바와 같이, 보닛 상부에 운전좌석이 설치되어 있고, 이 좌석이 재치되는 보닛 부분이 오목부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닛의 좌석재치면에 상당하는 개소를 오목하게 하여, 그 하방에 형성되는 공간에 엔진을 수평으로 배치하고, 그 오목부 하방공간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공간 각각에 라디에이터 및 엔진의 복수부품을 배치한 상태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이 공보의 제 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 근방에는 캐노피마운트가 설치되어 있다. 이 캐노피마운트는 라디에이터의 배풍용 덕트부재로서 겸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라디에이터의 배풍용 덕트로서 캐노피마운트를 겸용시키기 때문에 엔진 배치에 관해서 말한다면, 그 구동축이 차체의 수평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하거나, 라디에이터의 배출덕트에 적합한 모양으로 캐노피마운트를 설계하기 위하여 구조의 복잡화를 피할수 없는 점에 개량의 여지가 있다.
그리고 또, 본 인용예에 있어서는 보닛 후부에 수평방향으로 개구가능하게 보이는 개구부재(번호는 부여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단, 이 개구부재는 보닛 내부의 엔진 및 라디에이터, 또한 엔진 부속부재(유압펌프 장치, 배터리 등)의 유지보수를 하기에는 작기 때문에, 충분히 효율좋게 유지보수를 행할 수 있게 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개량의 여지가 있다.
또, 일본국 실개평 5-64231호에 있어서, 소형 포클레인이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 있어서는, 운전좌석을 구비한 엔진 보닛 전체를 크게 열어 원동부의 보수 점검이 가능한 상태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평 6-72443호에 있어서는, 전후방향으로 2분할되는 보닛을 구비한 선회 작업차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보닛은 전후방향으로 분할가능하고, 기체에 고정된 전측 보닛부재와, 그 후부에서 차체 수평축 주위에 상방으로, 또한 전측 보닛방향으로 요동조작 가능하게 후측 보닛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본공보의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좌석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 가능하고, 후측 보닛을 개구조작할 때에 상기 운전좌석을 전방으로 슬라이드하고, 후방 브라킷의 개구 정도를 증가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앞쪽 보닛의 좌측전방부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에 운전좌석이 수납되는 상태가 개시되어 있다.
[발명의 요약]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은, 그 상방에 운전좌석용 오목부를 형성한 엔진보닛을 구비한 포클레인 작업기의 엔진보닛 내부의 수납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상기 보닛 내부의 엔진의 냉각을 효율좋게, 또한 엔진을 냉각하기 위한 설비를 비교적 단순한 구조로 실행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포클레인을 이하와 같이 구성한다.
(I)
즉, 운전좌석의 저면일부를 수납가능한 오목부가 형성된 엔진보닛을 구비하고, 엔진을 상기 엔진보닛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한 포클레인에 있어서, 상기 보닛은 : 상기 오목부의 좌석재치면을 상면으로 하여 수직방향, 하방으로 연설(延設)하는 제1 보닛공간 ; 상기 오목부의 좌우 한쌍의 내측면에 따라 연설하는 제 1측면 및 제2측면을 경계로 하여 외방에 형성되는 제2보닛공간, 제3보닛공간 ; 및 상기 제1보닛공간의 후부 가상면과 상기 제2, 제3보닛공간의 내측 측면에 의해 포위되는 제4보닛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제2보닛공간, 또는 제3보닛공간 한쪽에 냉각공기 흡기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또는 제3보닛공간의 다른쪽에 상기 냉각공기 배출구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엔진 대부분은 상기 제1보닛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라디에이터는 상기 제2 또는 제. 3공간내에서 상기 배기구가 형성된쪽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포클레인을 구성함으로써 엔진보닛 상면의 오목부에 운전좌석을 수납하고, 그 하방에 엔진을 수평으로 배치함으로써 포클레인 기체전체 높이를 높이지 않고, 운전좌석의 좌면(座面)과 스텝의 높이를 인간의 표준적인 발뒤꿈치에서 무릎까지의 길이를 고려한 가장 이상적인 인체공학적으로 만들어진 치수로 조정하기가 가능해진다.
수평으로 설치하는 엔진보다 높이가 필요한 라디에이터 및 배터리 등, 엔진의 부속 부품은 상기 오목부 좌우측에 형성되는 높이가 높은 제2, 제3보닛공간에 수납하기가 가능하고 엔진보닛의 내부 공간을 유호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포클레인의 엔진보닛의 좌석재치면의 대지높이를 소정레벨로 억제하기가 가능하여, 포클레인 전체의 차고(車高)를 높게할 필요도 없고, 또, 포클레인 차체의 전후방향 치수를 길게도 필요도 없이, 효율적으로 엔진룸에 엔진 및 그 부속부품을 배역하기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제2, 또는 제3보닛공간 어느 한쪽에 엔진냉각용 공기배출구, 또는 흡기구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라디에이터의 배풍을 안내하는 기구를 설치하지 않고 냉각풍이 엔진의 길이방향으로 흐르는 유로가 엔진룸내에 형성되기 때문에 비교적 단순한 구조에도 불구하고, 엔진의 냉각을 효율적으로 실시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존의 포클레인의 전체적 치수를 특별히 증가하지 않고, 엔진보닛 내부에 효율적으로 엔진과 그 부속부품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스텝부분의 대지높이를 상승시키지 않고 인체공학에 의거하여 작업자에게 적절한 치수로 좌석높이 위치를 설정가능하게 한다. 또한, 라디에이터의 배기덕트 등의 기구를 구비하지 않고 좌우측의 엔진보닛공간에 흡기구와 배기구를 설치함으로써 비교적 용이하게 엔진냉각이 가능하게 된다.
(II)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방에 운전좌석을 수납하는 오목부를 형성한 엔진보닛을 구비한 포클레인 작업기계의 엔진보닛 내부의 엔진, 라디에이터, 및 엔진의 부속부품(유압모터, 배터리 등)의 유지 및 보수점검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엔진보닛을 구성함에 있다.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I)의 구조를 갖는 포클레인에 있어서, 상기 보닛은 그 전후방향으로 전측보닛부와 후측보닛부로 분리가능하고, 상기 후측보닛부는 상기 포클레인 기체에 대하여 전방, 또한, 상방으로 개폐조작을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운전좌석을 그 전방부가 상기 전측보닛에 피보팅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포클레인 작업시의 제 1자세와, 대(對)기체 상방, 또한 상기 전측보닛 전방측으로 요동조작된 제2자세 사이에서 요동조작을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포클레인을 구성함으로써 엔진룸내의 유지 및 보수점검작업이 필요할 경우에 작업자는 운전좌석을 전방으로 눕혀서 전후방향으로 2분할된 후측보닛을 전방으로, 또한 상방으로 개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엔진보닛이 2분할되어 있으므로 보닛 전체를 요동조작하는데 비해 그 중량도 가벼워지고, 보닛의 개방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운전좌석을 전방측으로 눕힐 수 있기 때문에 이 운전좌석이 후측 보닛을 개구조작할 때에 보닛 일부와 간섭하는 것이 회피되고, 후측 보닛의 개구정도를 크게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작업자는 엔진보닛 내부의 엔진 및 라디에이터, 그 부속부품의 유지 및 보수점검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하기가 가능해진다.
(III)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방에 운전좌석을 수납하는 오목부를 형성한 엔진보닛을 구비한 포클레인 작업기계의 보닛을 분할구조로 하고, 그 분할면으로 부터의 비, 흙탕물 등의 침입을 방지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포클레인 작업기의 방수성을 증강하는 데에 있다.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I)의 구조를 갖는 포클레인에 있어서, 상기 전측 보닛과 후측 보닛과의 연결부에 방수기구를 설치하여, 상기 방수기구는 탄성시일재와 배수용 통로를 가지고, 상기 오목부를 형성하는 저면, 및 그 좌우측면에 상당하는 상기 전측 보닛과 상기 후측 보닛과의 연결부분에는 상기 탄성시일부재를 개재하고, 상기 전후 보닛의 연결부분 외의 영역에 있어서는 상기 배수용 통로를 형성하기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포클레인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전측 보닛부와 상기 후측 보닛부의 연결부분으로 부터의 물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수반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의 설명으로 명백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포클레인 전체구성 : 제 1도에 포클레인 전체를 도시한다. 여기서, 포클레인은 좌우 한쌍의 롤러식 주행장치(1) 및 승강자재의 도저(2)를 구비한 주행자체상에, 선회대(3)를 종축심 주위에서 구동선회자재로 탑재하고 있다. 또한 선회대(3) 전단에 스윙브라킷(4)을 스윙실린더(C5)에 의해 좌우요동조작자재로 부착하고 있다. 또한, 붐실린더(C1)에 의해 기복구동되는 붐(5a), 아암실린더(C2)에 의해 굴신구동되는 아암(5b), 버켓실린더(C3)에 의해 끌어모으기 회동 및 반전회동되는 버켓(5c)을 순차 연결하여 구성되는 포클레인장치(5)를 상기 스윙브라켓(4)에 부착하고 있다. 또한, 보닛의 원동부 상방에 상당하는 위치에 운전좌석(7)을 배치하고, 그리고 운전좌석(7) 상방을 피복하는 패노피(8)를 설치하여 소형의 도저부착 포클레인을 구성하고 있다.
포로올러식 주행장치(1)를 유압실린더(C4)에 의해 각각 별도로 수평방향 내외로 이동 조작자재로 구성하여, 좌우크로올러식 주행장치(1)의 접지간격을 변경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저(2)의 좌우양단부(2a)를 유압실린더(C6)에 의해 각각 별도로 수평방향으로 출퇴조작자재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크로올러식 주행장치(1)의 간격변경과 동기하여 좌우 같은쪽의 도저단부(22)가 출퇴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엔진보닛 : 설명의 편의상 수평방향 및 좌우방향, 그리고 전후방향이라고 방향을 규정하지만, 이들은 선회대에 착석한 작업자를 기준으로 한 방향이다. 즉, 작업자의 전면이 전방이고, 배면측이 후방이며, 또한, 작업자의 왼손 방향이 좌측방향이고, 오른손 방향이 우측방향이다. 또한, 이 이외의 방향 정으가 필요할 경우는 그때마다 설명키로 한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보닛은 그 오목부(12)가 형성된 부분의 하측에 상당하는 공간을 제1보닛공간, 그 좌우측의 보닛 부분을 각각 좌우측 보닛공간(제2, 제3보닛공간에 상당한다), 상기 제1보닛공간 후측에 상당하는 공간을 제4보닛공간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이들 공간을 제 6도에 의거하여 더 상세히 정의한다.
즉, 제1보닛공간(120A)은 상기 오목부(12) 저면(12A)을 그 상면으로서 형성되는 직방체 공간이다. 또한, 이 오목부(12) 좌우측의 측면을 각각 12B, 12C로 하고, 이들 측면에 평행인 면을 각각 내측측면으로 하는 좌우보닛공간 (제2, 제3보닛공간(120B, 120C) 이라함) 이라 한다. 그리고, 이들 제1보닛공간(120A)의 후부면 및 좌우측 보닛공간(120B, 120C)의 내측측면에 의해 포위된 나머지 보닛공간을 제4보닛공간(120D)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목부(12)의 좌우측면(12B, 12C)이 상하방향으로 경사진 사면 또는 전후 방향으로 경사진 사면의 경우는, 그 최대수평폭을 갖는 개소를 기준으로 하여 그 개소를 통과하는 전후방향의 수직면을 좌우측면(12B, 12C)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그리고, 오목부(12)의 후부면(12D)에 관하여도 동일하게 정의하고, 이들 좌우측면(12B, 12C) 및 후부면(12D)에 포위되는 공간을 제1보닛공간(12A)이라 정의한다.
여기서, 제2도로서 분명한 바와 같이, 엔진(10) 대부분은 상기 제1보닛공간(120A)에 소속하도록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라디에이터(14)는 그 전모가 우측보닛공간(120C)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속부품으로서의 배터리(15)는 좌측 보닛공간(120B)에 그 전모가 수납되어 있다.
이같이 하여 높이가 낮은 제1보닛공간(120A)에는 수평으로 설치된 엔진(10) 대부분이 수납되고, 좌우측의 높이가 높은 부분에는 라디에이터(14) 및 부속부품이 수납되어 있다. 또한, 이 보닛(6)의 오목부(12)에는 운전좌석(7) 하면 일부가 수납되어 있다.
엔진보닛의 분할구조 : 제2도, 제4도 및 제5도 a, 제5도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엔진보닛(6)은 고정의 전측 보닛부분(6a)과, 이들의 상단부에 힌지 연결하여 상방의 요동개방가능하게 구성한 후측 보닛부분(6b)으로 분할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후측 보닛분(6b)은 수평방향 축심(P) 주위에 상방으로 회동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닛(6)은 전부 고정보닛부분(6a)의 우횡측 부위의 전부에 내장한 작동유 탱크나 연료탱크를 덮는 점검커버(17)를 수평방향 지지점(Q) 주위에서 상하요동개폐자재로 부착하고 있다.
여기서, 제 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측 보닛부분(6a)은 상기 제1보닛공간(120A)의 전방부, 제2, 제3보닛공간(120B, 120C)의 전부를 포괄하고, 후측 보닛부분(6b)은 상기 제1보닛공간(120A)의 후부, 상기 제 1, 제2보닛공간(120B, 120C)의 후부, 또한, 상기 제4보닛공간(120D) 전부를 포괄한다.
여기서, 제4도 및 제5도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상기 오목부(12)는 상기 전측 보닛부(6a)에 형성된 제1오목부(121)와 상기 후측 보닛부(6b)에 형성된 제2오목부(122)로 분할된다.
[운전좌석의 전도구조]
또한, 제5도a, 제5도b에 특히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운전좌석(7)은 상기 전부 보닛부분(6a)에 전도(前倒)요동가능하게 부착하고, 엔진룸내 점검시에는 운전조석(7)을 전도한 상태로 후부 보닛부분(6b)을 들어올려 개방하기가 가능하다. 즉, 운전좌석(7)을 전부 고정보닛부분(6a)측에 부착하여 후부 개폐보닛부분(6b)을 비교적 저강도이고 경량으로 형성하고, 후부개폐가 보닛부분(6b)의 개폐에 요하는 조작력을 경감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후부 개폐보닛부분(6b)이 운전좌석(7)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도록, 보닛분할선을 설정함으로써 후부 개폐보닛부분(6b)을 크게하고, 또한, 운전좌석(7)을 전도하여 후부 개폐보닛부분(6b)을 크게 개방하도록 구성하고, 원동부를 손쉽게 보수점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5도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요동개방한 후부 개폐보닛부분(6b)을 링크(100)나 가스탬퍼 등의 지지부재로 그 개방자세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회대(3)에 입설한 문형의 고정지지부재(20)에 좌석부착금속구(21)를 전부 고정보닛부부(6a)과 함께 죔상태로 부착하고 있다.
또한, 좌석부착금속구(21)에 운전좌석(7)을 지지점(22)주위에서 전도 요동조작자재로 부착하고, 전부 고정보닛부분(6a)의 후단측을 지지하는 지주(23)를 선회대(3)에 입설하고 있다. 또한, 운전좌석(7) 저면에는 고무제의 좌석(24)이 부설되어 있고, 전부 고정보닛부분(6a) 후단측에 재치하여 운전좌석(7)을 착좌자세(제 1자세에 상당)로 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제5도 a와 같이, 전도자세(제2자세에 상당)의 운전좌석(7)을 조작레버(25)에 맞닿게 구성하고 있다. 또한, 운전좌석(7)의 상기 제 1자세를 유지하는 로크기구를 좌석(7)과 전측 보닛부(6a) 상면에 설치하기도 가능하다.
여기서는 이 로크기구의 상세구조는 생략한다.
[냉각풍 통로]
또,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부 보닛부분(6b)의 좌측면(상기 제2보닛공간 (120B)의 후부에 상당하는 위치)에는 흡기구(18)를 형성함과 동시에 우측면(상기 제3보닛공간(120C) 후부에 상당하는 위치)에는 배기구(19)를 형성하고, 흡기구(18)에서 외기를 엔진룸내에 도입하여 라디에이터(14)를 냉각한 후, 냉각 배풍을 배기구(19)에서 기외로 배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제4보닛공간(120D)의 상부분(SC)이 상기 흡기구(18)에서 흡인된 냉각풍을 라디에이더(14) 배면부로 인도하기 위한 풍로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냉각팬(11)의 흡인력에 의해 상기 흡기구(18)에서 엔진룸내의 제2보닛공간(120B)에 도입된 외기가 상기 제4보닛공간(120D)의 상기 풍로(내부공간; SC)를 통하여 유동저항 적게 라디에이터(14)가 배치된 제3보닛공간(120C)에 공급되기 쉽도록 되어 있다.
또, 흡기구(18) 가까운 쪽에 배터리(15)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흡기구(18)에서 흡입된 직후의 냉외기로 배터리(15)가 효율좋게 냉각되게 된다.
[전측보닛과 후측보닛의 연결부분의 방수구조]
제7도 내지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측 보닛부분(6a)과 후측 보닛부분(6b)간을 방수처리함에 있어서, 오목부(12) 전면(12A)과 좌우측면(12B, 12C)에 상당하는 위치에 고무 등의 탄성시일재(26)를 후부 개폐보닐(6b)에 끼워붙인 상태로 설치하고 있다.
또한, 엔진보닛(6) 상면과 좌우측면에 상당하는 위치에 배수용 물받이(27)가 전부 고정 보닛(6a)에 일체 형성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즉, 자연유하에 의한 배수가 곤란한 오목부(12) 저면(12A)과 좌우측면(12B, 12C)에 상당하는 위치를 탄성시일재(26)로 방수처리하고, 엔진보닛(6) 상면과 좌우측면에 상당하는 측면에 상당하는 위치를 배수용 물받이(27; 배수용 통로에 상당한다)로 방수처리하고 있다.
따라서, 전부 고정보닛부분(6a)과 후부 개폐보닛부분(6b)과의 분할선 전장을 탄성시일재로 방수처리하는 것보다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구조에 의하면 엔진보닛 상방의 운전좌석을 앉기 편한 높이로 배치하면서 엔진보닛의 내부공간에 원동부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고, 또한, 원동부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원동부를 크게 개방할 수 있으면서 엔진보닛의 개폐에 요하는 조작력을 대폭 경감할 수 있고, 그 위에 엔진보닛의 시일부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
제 1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닛구조를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오목부(12)를 폐지하여 구성하기도 가능하다. 또한, 이 보닛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예에서 기술한 스텝부와 좌석부의 단차를 인체공학에 의거한 최적지에 설정할 수 없을 경우도 있을지 모르나, 라디에이터 높이가 낮은 것을 구비하는 등에 의해 상기 실시예와 동등의 작용효과를 발휘하기가 가능해진따. 또한, 본 보닛구조를 채용할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방수구조를 물받이만으로 구성하기가 가능하다. 또한, 제5도 (a)와 제 10도를 비교하면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보닛구조를 채용할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보닛구조와 비교하면, (1) 보닛공간의 분할상태 --제1보닛공간, 제2, 제3보닛공간, 제4보닛공간으로 분할되지 않는다; (2) 오목부(12)가 존재하지 않는다; (3) 방수기구의 구조가 다르다; 를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의 보닛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그 상세구조의 설명은 여기서는 생략한다.
엔진보닛(6)의 상기 제2, 제3보닛공간(120B, 120C) 한쪽에 상기 배터리 대신 공기 클리너나 머플러 등을 집어넣어 장비할 수도 있고, 이들 배터리, 공기클리너, 머플러 등을 엔진부속기기(15)라 총칭한다.
상기 오목부(12)를 엔진보닛(6)의 좌우방향 중간부에 있어서 보닛전후전장에 걸쳐 형성하여도 된다.
라디에이터 냉각편(11)의 흡인방향을 반대로 하여 흡기구(18)를 라디에이터(14)측에, 또한, 배기구(19)를 배터리(15)측에 배치하여도 좋다.
후부 개폐보닛부분(6b)의 요동개폐방향은 적당하게 변경할 수 있고, 또, 후부 개폐 보닛부분(6b)을 착탈자재로 부착하여도 된다.
고정지지부재(20) 구체구조, 및 운전좌석(17)을 전부 고정보닛부분(6a)측에 전도 요동조작자재로 부착하는 구체구조는 적의 설계변경자재이다.
엔진보닛(6)을 시일하는데, 탄성시일재(26)의 재질, 형상, 부착구조 등은 공지의 것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배수용 물받이(27)의 부설구조나 형상은 적의 설계변경자재이다.
포클레인장치(5)를 좌우 스윙불가능한 것으로 하거나, 도저(2) 캐노피(8)를 생략하거나, 운전캐빈을 설치하거나, 포클레인의 형식은 적당히 변경가능하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항에 도면과의 대조를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부호를 가입하나, 그 기입에 의해 본 발명은 첨부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4)

  1. 운전좌석의 저면 일부를 수납가능한 오목부가 형성된 엔진보닛(6)을 구비하고, 엔진(10)을 상기 보닛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한 포클레인에 있어서, 상기 보닛은 상기 오목부의 좌석재치면을 상면으로 하여 수직방향, 하방으로 연설하는 제1보닛공간(120A); 상기 오목부 좌우의 내측면을 따라 연설하는 제1측면 및 제2측면을 경계로 하여 외방에 형성되는 제2보닛공간(120B), 제3보닛공간(120C); 및 상기 제1보닛공간(120A)의 후부가상면과 상기 제2, 제3보닛공간(120B, C)에 의해 포위되는 제 4보닛공간(120D)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또는 제3보닛공간 한쪽에 냉각공기흡기구(18)를 형성하고, 상기 제3 또는 제2보닛공간의 다른쪽에 상기 냉각공기배출구(19)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엔진(10) 대부분은 상기 제1보닛공간(120A)에 배치되고, 상기 라디에이터(14)는 상기 제2 또는 제3보닛공간(120B, C)내에서 상기 배기구(19)가 형성된 쪽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클레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닛(6)은 상기 흡기구(18)에서 흡인되고, 상기 배기구(19)에서 배출되는 냉각공기는 상기 제 4보닛공간(120D)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클레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닛(6)은 그 전후방향에서 전측 보닛부(6a)와 후측 보닛부(6b)로 분리가능하고, 상기 후측 보닛부는 포클레인 기체에 대하여 전방 또한 상방으로 개폐조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클레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12)는 상기 전측 보닛(6a)에 형성된 상기 운전좌석 일부를 수납가능한 제 1오목부(12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클레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12)는 상기 전측 보닛(6a)에 형성된 상기 운전좌석의 후부 일부를 수납가능한 제2오목부(12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클레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 보닛(6a)은 상기 제1보닛공간과 제2 및 제3보닛 공간의 각각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측 보닛(6b)은 상기 제1보닛공간, 제2보닛공간, 제3보닛공간의 일부 및 제 4보닛공간 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클레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 보닛(6b)은, 그 전단부 상방은 기체수평방향으로 연설하는 지지축(P) 주위로 요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클레인.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좌석(7)은 그 전방부가 상기 전측 보닛(6a)에 피보팅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포클레인 작업시의 제 1자세와, 대기체 상방, 또한 상기 전측 보닛(6a) 전방측으로 요동조작된 제2자세 사이에서 요동조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클레인.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좌석(7) 이 상기 제2자세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후측보닛(6a)은 상기 전측 보닛에 대하여 90도 이상 180도 미만 상대회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클레인.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좌석(7)이 상기 제 1자세에 있어서, 상기 후부 보닛(6b)은 개폐조작을 불가능하게 하는 로크기구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클레인.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좌석(7)의 제2자세는 포클레인의 조작레버(25)와의 맞닿기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클레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 보닛(6a)과 상기 후측 보닛(6b) 사이에 방수기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클레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기구는, 탄성시일재(26)와 배수용 통로(27)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12)를 형성하는 저면(12A) 및 그 좌우측면(12B, 12C)에 상당하는 상기 전측 보닛(6a)과 상기 후측 보닛(6b)과의 연결부분에는 상기 탄성시일부재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전후 보닛의 연결부분의 다른 영역에 있어서는 상기 배수용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클레인.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용 통로(27)는 U형상의 단면을 갖는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클레인.
KR1019960003817A 1995-02-17 1996-02-16 운전좌석을 상부에 배치하는 보닛을 구비한 포클레인 KR01826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19495A JP2938779B2 (ja) 1995-02-17 1995-02-17 バックホウ
JP2898995A JP2938778B2 (ja) 1995-02-17 1995-02-17 バックホウ
JP95-28989 1995-02-17
JP95-28987 1995-02-17
JP95-28991 1995-02-17
JP2898795A JP2942165B2 (ja) 1995-02-17 1995-02-17 バックホウ
JP95-29194 1995-02-17
JP2899195A JP2942166B2 (ja) 1995-02-17 1995-02-17 バックホウの原動部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721A KR960031721A (ko) 1996-09-17
KR0182675B1 true KR0182675B1 (ko) 1999-04-01

Family

ID=27458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3817A KR0182675B1 (ko) 1995-02-17 1996-02-16 운전좌석을 상부에 배치하는 보닛을 구비한 포클레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671820A (ko)
EP (1) EP0727529B1 (ko)
KR (1) KR0182675B1 (ko)
DE (1) DE6960321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2316B2 (ja) * 1996-01-24 2005-02-23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冷却装置
US6078855A (en) * 1996-06-19 2000-06-20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Battery-driven hydraulic excavator
EP0919455B1 (en) * 1996-08-20 2007-03-07 Yanmar Co., Ltd. Swivel working vehicle
DE69831285T2 (de) * 1997-05-23 2006-06-08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Also Known As Kobe Steel Ltd. Batteriebetriebene Baumaschine
KR100383146B1 (ko) * 1997-09-22 2003-08-19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차
GB9807528D0 (en) * 1998-04-09 1998-06-10 Bamford Excavators Ltd Material-handling vehicle
JP3681923B2 (ja) * 1999-06-18 2005-08-10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
JP3399416B2 (ja) * 1999-10-07 2003-04-21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冷却構造
US6374936B1 (en) * 2000-07-20 2002-04-23 Deere & Company Hood closure guide and seal
ITTO20020727A1 (it) * 2002-08-14 2004-02-15 Fiat Kobelco Construction Machinery Spa Apparecchiatura di raffreddamento per un autoveicolo, in particolare per un escavatore.
JP3809954B2 (ja) 2002-10-23 2006-08-1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チルトフロアを備えた作業車両
JPWO2004076265A1 (ja) * 2003-02-27 2006-06-0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後端小旋回油圧ショベル
JP4211919B2 (ja) * 2003-03-24 2009-01-2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のカウンタウエイト
JP4075661B2 (ja) * 2003-03-28 2008-04-1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JP3956913B2 (ja) * 2003-07-01 2007-08-08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JP4226546B2 (ja) * 2004-03-29 2009-02-18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
CN100482901C (zh) * 2004-03-29 2009-04-29 株式会社久保田 具有旋转台的旋转作业机
JP2005313818A (ja) * 2004-04-30 2005-11-10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建設機械における開閉装置
AU2004322051A1 (en) * 2004-08-04 2006-02-09 Yanmar Co., Ltd. Slewing type working machine
JP4387965B2 (ja) * 2004-08-31 2009-12-24 ヤンマー株式会社 トラクタ
JP4333657B2 (ja) * 2005-09-28 2009-09-1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小型作業機械のキャノピ構造
JP4544121B2 (ja) * 2005-09-29 2010-09-15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4527074B2 (ja) * 2006-03-13 2010-08-18 ヤンマー株式会社 掘削作業機
JP4185118B2 (ja) * 2006-06-27 2008-11-26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US20080006460A1 (en) * 2006-07-05 2008-01-10 Mario Giovannini Hood assembly for a machine and a method of use thereof
CN101688383B (zh) * 2007-06-26 2012-08-08 日立建机株式会社 工程机械
US7588287B2 (en) * 2008-01-31 2009-09-15 Cnh America Llc Seat securing apparatus
WO2009107483A1 (ja) * 2008-02-27 2009-09-0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JP2009209647A (ja) * 2008-03-06 2009-09-17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熱交換装置
US20090230710A1 (en) * 2008-03-14 2009-09-17 Clark Equipment Company Rear accessible service hatch
JP5061085B2 (ja) * 2008-11-17 2012-10-31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のボンネットシール構造
GB0901431D0 (en) * 2009-01-29 2009-03-11 Agco Gmbh Vehicle body panels
JP5325081B2 (ja) * 2009-12-07 2013-10-23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JP5353795B2 (ja) * 2010-03-31 2013-11-27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JP5594197B2 (ja) * 2011-03-16 2014-09-24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冷却構造
JP5160668B2 (ja) * 2011-06-17 2013-03-1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
NL2008634C2 (nl) * 2012-04-13 2013-10-16 Hudson Bay Holding B V Mobiele inrichting.
US8875823B2 (en) * 2012-07-13 2014-11-04 Deere & Company Multi-functional cooling system
WO2015101378A1 (fr) * 2013-12-31 2015-07-09 Ali Nemdil Pelle chargeuse niveleuse pour travaux publics
EP3009759B1 (en) * 2014-03-31 2018-03-21 Komatsu Ltd. Utility vehicle
JP6416063B2 (ja) * 2015-09-10 2018-10-31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6633336B2 (ja) * 2015-10-06 2020-01-2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US20230116011A1 (en) * 2021-10-12 2023-04-13 Caterpillar Inc. Secondary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with service orientation
CN115012471B (zh) * 2022-06-21 2023-11-14 柳州柳工挖掘机有限公司 挖掘物料称重方法和系统、挖掘机控制器、挖掘机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31452A (en) * 1956-05-18 1960-04-05 Clark Equipment Co Hood means for industrial trucks and the like
US3788418A (en) * 1972-04-06 1974-01-29 Caterpillar Tractor Co System for cooling an hydraulic excavator
US3981375A (en) * 1975-11-03 1976-09-21 Towmotor Corporation Vehicle hood assembly
US4040501A (en) * 1976-04-26 1977-08-09 Haswell John W Lift truck
US4930591A (en) * 1989-07-28 1990-06-05 Columbia Parcar Corp. Golf cart or the like
DE69031077T2 (de) * 1989-10-23 1997-10-30 Komatsu Mfg Co Ltd Gehäusestruktur aus kunststoff für erdbewegungsmaschinen
US5199521A (en) * 1990-07-18 1993-04-06 Kubota Corporation Lawn mower having passages for engine cooling air
JPH04194128A (ja) * 1990-11-27 1992-07-14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カウンタウエイト内部充填物の自動強制換気装置
JPH0564231A (ja) * 1991-09-05 1993-03-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クロマサブナイキストサンプリング回路
JP2643703B2 (ja) * 1991-12-10 1997-08-20 株式会社クボタ バックホーのバルブ操作構造
JPH085331B2 (ja) * 1992-03-19 1996-01-24 ヤンマーディーゼル株式会社 掘削機
JPH0672443A (ja) * 1992-08-18 1994-03-15 Idemitsu Petrochem Co Ltd 筒状体の貯蔵搬送具
JP3059850B2 (ja) * 1993-01-11 2000-07-04 ヤンマーディーゼル株式会社 掘削作業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27529A1 (en) 1996-08-21
EP0727529B1 (en) 1999-07-14
KR960031721A (ko) 1996-09-17
US5671820A (en) 1997-09-30
DE69603210D1 (de) 1999-08-19
DE69603210T2 (de) 2000-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2675B1 (ko) 운전좌석을 상부에 배치하는 보닛을 구비한 포클레인
EP1589153B1 (en) Swiveling utility machine having swivel deck
US7481289B2 (en) Swiveling work machine
EP0743401A2 (en) Bonnet assembly for hydraulic working machine
KR100363485B1 (ko) 선회작업차
US6155632A (en) Construction machine
US7874392B2 (en) Excavating machine
US20090230710A1 (en) Rear accessible service hatch
US7513326B2 (en) Working machine
JP2945576B2 (ja) バックホウのボンネット構造
JP2942165B2 (ja) バックホウ
JP3745510B2 (ja) 建設機械
JP3861175B2 (ja) 旋回作業車の上部体構造
JP2001342645A (ja) 掘削作業車
JP3927429B2 (ja) 旋回型作業機械
JP4003503B2 (ja) 小旋回型ショベル
JP2004257000A (ja) 建設機械のバッテリ取付装置及び建設機械
JP3290865B2 (ja) バックホウ
JP3393987B2 (ja) 旋回作業機
JP4614894B2 (ja) 作業車のキャノピ
JP3547367B2 (ja) 旋回作業機のボンネット装置
JP2938779B2 (ja) バックホウ
JP2004156334A (ja) 作業機械
JP4738188B2 (ja) 作業車のキャノピ
JP2000273903A (ja) 旋回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