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3485B1 - 선회작업차 - Google Patents

선회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3485B1
KR100363485B1 KR1020000011663A KR20000011663A KR100363485B1 KR 100363485 B1 KR100363485 B1 KR 100363485B1 KR 1020000011663 A KR1020000011663 A KR 1020000011663A KR 20000011663 A KR20000011663 A KR 20000011663A KR 100363485 B1 KR100363485 B1 KR 100363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net
engine
hydraulic
pivot support
piv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1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4549A (ko
Inventor
에이사쿠 시노하라
야스오 나카타
다케시 가지모토
시로오 스기야마
노부오 히가시노
모토키 스나다
유지 츠츠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10014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4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3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34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10Supports for movable superstructures mounted on travelling or walking gears or on other superstructures
    • E02F9/12Slewing or traversing gea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02F3/325Backhoes of the miniature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91Lids or bonnets or door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엔진(11)을 덮는 리어보닛(28)과 유압관련기기를 덮는 사이드보닛(42)을 선회대에 구비한 선회작업차. 기체횡단방향으로 연장한 피벗지지축심을 갖는 피벗지지구(30)가 리어보닛(28)의 전측상단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이 피벗지지구에 의하여 상기 리어보닛은 상기 엔진을 덮는 폐쇄위치와 엔진을 노출시키는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운동이 가능하다. 기체횡단방향으로 연장한 피벗지지축심을 갖는 피벗지지기구(50)가 사이드보닛(42)의 전측하단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이 피벗지지기구에 의하여 상기 사이드보닛은 상기 유압관련기기를 덮는 폐쇄위치와 유압관련기기를 노출시키는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운동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선회작업차{SWIVELING WORKING VEHICLE}
본 발명은 주행장치, 주행장치의 상부에 종축심둘레로 선회가능하게 탑재된 선회대, 선회대의 후부영역에 배치된 엔진, 선회대의 전부(前部)영역에 배치된 유압작업장치, 선회대의 한쪽의 측부영역에 배치된 유압관련기기, 상기 엔진을 덮는 리어보닛, 유압관련기기를 덮는 사이드보닛을 구비한 백호 등의 선회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선회작업차에서는, 일본국 특개평 11-193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선회대의 후부에 엔진을 측면방향으로 배치하고, 이 엔진의 우측에 분출식의 라디에이터를, 전측에 운전석을 각각 배치하고, 운전석의 우측에 유압관련기기의 하나로서 오일탱크와 연료탱크와 배터리를 배치하고, 상기 엔진 및 라디에이터를 리어보닛으로 덮고, 연료탱크, 배터리 및 오일탱크 등을 사이드보닛으로 덮고 있다.
종래의 선회작업차에서는, 사이드보닛은 개폐가 자유로이 또는 착탈이 자유롭게 되어 있는데, 개방위치에 회전운동된 사이드보닛이 폐쇄위치에서의 사이드보닛에 의하여 덮여져 있는 기기에의 작업자의 접근에 장해로 되지 않도록 하는 고안은 되어 있지 않고, 사이드보닛이 개방위치에 회전운동되더라도, 사이드보닛이 그 내부의 보수점검을 방해하는 일이 있다. 마찬가지로, 개방위치로 회전운동된 리어보닛이 엔진이나 엔진에 부수하는 기기의 보수점검작업의 방해가 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리어보닛과 사이드보닛의 개방자세를 최적으로 한 선회작업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리어보닛과 사이드보닛을 개방위치로 회전운동시켰을 경우, 엔진이나 유압관련기기가 외부에 노출되고, 보수점검을 위한 접근에 보닛이 방해가 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선회작업차로서의 백호(back hoe)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도 1에 의한 백호의 선회대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 의한 선회대의 측면도,
도 4는 도 2에 의한 선회대의 배면도,
도 5는 사이드보닛의 단면 측면도,
도 6은 사이드보닛의 피벗지지기구를 도시하는 배면도, 및
도 7은 개방위치에서의 리어보닛과 로크수단을 도시하는 배면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선회작업차에서는, 기체횡단방향으로 연장한 피벗지지축심을 갖는 피벗지지구가 상기 리어보닛의 전측상단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이 피벗지지구에 의하여 리어보닛은 상기 엔진을 덮는 폐쇄위치와 엔진을 노출시키는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운동가능이고, 동시에 기체횡단방향으로 연장된 피벗지지축심을 갖는 피벗지지기구가 사이드보닛의 전측하단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이 피벗지지기구에 의하여 상기 사이드보닛은 상기 유압관련기기를 덮는 폐쇄위치와 유압관련기기를 노출시키는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운동이 가능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양 보닛을 개방위치로 회전운동하면, 리어보닛에 의하여 덮여있던 엔진을 포함하는 엔진룸은 그 후방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되고, 사이드보닛에 의하여 덮여 있던 오일탱크를 포함하는 유압관련기기 룸은 전체적으로 외부에 개방된 상태로 된다. 이로서, 선회대 후방에서 선회대 측방까지 양 보닛에 의하여 방해되는 일없이 개방되게 되어 보수점검작업은 쉽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알맞는 실시형태로서, 상기 폐쇄위치에서의 리어보닛과 상기 폐쇄위치에서의 사이드보닛의 서로 마주보는 가장자리부의 레벨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고, 리어보닛의 상면에서 사이드보닛의 상면으로 평탄하게 이행하도록 구성하면, 양 보닛이 개방위치로 회전운동되면, 선회대 후방에서 유압관련기기가 배치되어 있는 선회대의 일측방이 연속적으로 개방되게 되고, 엔진으로부터 유압관련기기까지의 전망이 좋을뿐 아니라, 양 보닛이 폐쇄위치로 회전이동되면, 서로 마주보는 면이 요철을 만들지 않고, 매끄러운 면을 형성하므로 외관이 우수한 것으로 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하나로서, 상기 사이드보닛이 상기 선회대의 일측방의 경계면을 형성하고, 상기 리어보닛이 상기 선회대의 후방의 경계면을 형성하고, 상기 리어보닛과 사이드보닛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포위된 스페이스에 운전석이 배치되어 있다. 이로서 운전석의 후방과 측방이 양 보닛에 의하여 산뜻한 외관을 부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운전석 둘레의 스페이스가 유효하게 이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른 알맞는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사이드보닛을 폐쇄위치에서 로크하는 로크수단이 상기 사이드보닛의 후측에 설치되어 있고, 이 로크수단은 상기 리어보닛의 개방위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접근가능하고, 상기 리어보닛의 폐쇄위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접근불능이다. 이 구성에서는, 일단 사이드보닛의 로크수단을 로크하여, 리어보닛을 폐쇄하면, 리어보닛을 개방하지 않으면, 사이드보닛은 개방할 수 없다. 즉, 리어보닛의 개방이 사이드보닛의 개방조건으로 되므로, 외부로부터의 시정(施錠)을 리어보닛에 대한 것만으로 충분하고, 또한, 양 보닛의 외관이 산뜻한 것으로 된다.
또 사이드보닛을 상기 피벗지지기구로부터 떼어내기 가능하게 구성한다면, 사이드보닛을 선회대로부터 필요에 따라 떼어낼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알맞는 실시형태의 하나로서, 상기 사이드보닛을 합성수지제로 하고, 그 내면에 전후방향을 따라서 보강프레임을 뻗어 설치하고, 이 보강프레임에 상기 피벗지지기구를 연결한다면, 사이드프레임의 강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일없이 경량화할 수가 있고, 사이드프레임의 취급이 편안하게 된다. 특히, 큰부하가 걸리는 피벗지지기구와의 연결은 보강프레임과 연결되는 곳에서 행하면 좋다.
리어보닛의 피벗지지부착을 신뢰성을 갖고 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엔진을 넘도록 선회대에 고정된 아치형상의 지지프레임에 상기 피벗지지구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타의 특징과 이점은 이하의 도면을 사용한 실시형태의 설명에서 명백하게 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선회작업차로서의 백호(1)이고, 이 백호(1)는 하부기대(基台)로서의 크롤러주행장치(2)와, 하부기대에 탑재되는 상부유닛(5)을 구성하는 선회대(3)와 상부체(5) 및 굴착장치(4)로 구성되어 있다. 크롤러주행장치(2)는 트럭프레임(6)의 상부에 선회베어링(7)을 통하여 선회대(3)를 선회축(X)을 중심으로 선회자유롭게 탑재되어 있고, 전부에는 블도저(8)를 승강이 자유롭게 장착하고 있다. 이 백호는 소선회 반경타입이고, 선회대(3)의 후부의 선회궤적이 굴착장치(4)의 선회궤적보다 작게, 선회대의 후부가 선회대(3)의 선회를 방해하는 일은 없다.
선회대(3)에는 엔진(11), 운전석(12), 조종장치(13) 등이 탑재되고, 선회대(3)의 전부에는 브래킷(15)을 통하여 굴착장치(4)가 종축둘레로 요동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굴착장치(4)는 상기 브래킷(15)에 종축을 통하여 지지된 요동브래킷(16)에 붐(17)과 붐실린더(18)의 각 기단부를 피벗지지하고, 붐(17)의 선단에 암(19)을 피벗지지하여 암실린더(20)로 요동가능하게 하고, 암(19)의 선단에 버킷(21)을 피벗지지하여 버킷실린더(22)로 떠내고, 덤프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선회대(3)의 후부에 웨이트(카운터웨이트)(26)를 설치하고 이 웨이트(26)의 전측에서 동시에 운전석(12)의 후하방에 엔진(11)을 탑재하고 있다.
도 2∼도 4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엔진(11)을 배치한 엔진룸(27)은 리어보닛(28)과 고정커버(29)로 포위되어 있고, 이들의 전측에는 운전석(12)이 부착대 및 서스펜션 장치를 통하여 선회대(3)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커버(29)는 엔진룸(27)의 좌측부와 일부의 상방을 덮고, 선회대(3)에 대하여 고정되고, 리어보닛(28)은 엔진룸(27)의 후상방과 후방을 덮고 있다.
상기 엔진룸(27)에 있어서, 굴착장치(4)를 전측으로 하여 엔진(11)은 가로방향(크랭크축이 백호의 주행방향에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으로 배치되고, 그 우측에 다연식(多連式)의 유압펌프(33)가 구동가능하게 장비되고, 좌측에 라디에이터(34)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엔진(11), 유압펌프(33) 및 라디에이터(34) 등을 걸쳐 넘도록 파이프재 등으로 형성된 아치형상의 지지프레임(35)이 선회대(3)에 설치되고, 이 지지프레임(35)에 에어클리너(36) 및 기타의 기기가 장착되며, 리어보닛(28)의 상부가 장착되고, 또, 운전석(12)의 후측에 후부기립틀(캐노피 또는 로프스)(37)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리어보닛(28)은 그 전측상단부가 지지프레임(35)에 힌지 등의 가로피벗지지축(그 축심이 백호의 주행방향으로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는)을 구비한 피벗지지구(30)에 의하여 요동이 자유롭게 피벗지지되고, 후하부에는 웨이트(26)와의 사이에서 잠그는 자물쇠(32)가 설치되어 있다.
라디에이터(34)의 라디에이터팬(34a)은 흡입식이며, 리어보닛(28)의 좌측부 또는 선회대(3)의 하부의 공기구멍(도시생략)으로부터 공기를 엔진룸(27)으로 흡인하여 엔진(11)을 냉각하고, 열풍을 리어보닛(28)의 우측으로부터 외방으로 토출한다. 연료탱크(40)는 공기흡인측인 선회대(3)의 좌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운전석(12)의 배치와 반대측의 우측에 또한 유압펌프(33)의 전측에는 유압관련기기를 위한 유압기기룸(41)이 형성되고, 이 룸(41)에는 오일탱크(38) 및 컨트롤밸브(39)가 배치되어 있다. 이 룸(41)은 대략 상자형상의 사이드보닛(42)에 의하여 그 상방, 전방, 좌측방 및 우측방이 덮여져 있다. 상기 사이드보닛(42)은 후측이 후방개방형상으로 되어 있고, 폐쇄위치로 회전운동한 사이드보닛(42)의 후측가장자리(42a)는 마찬가지로 폐쇄위치에 회전운동한 리어보닛(28)의 우측의 앞가장자리(28a)와 마주보며 맞댄 상태에서 인접한다. 양 보닛이 폐쇄한 상태가 될 때 이 후측가장자리(42a)와 앞가장자리(28a)는 동일 레벨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면이 요철없이 원활하게 이행하고 있다.
상기 사이드보닛(42)은 리어보닛(28) 및 고정커버와 마찬가지로, 판금으로 형성할 수가 있는데 여기서는 이들은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사이드보닛(42)의 상부내면에 보강프레임(43)이 설치되어 있다. 도 3과 도 5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보강프레임(43)은 사이드보닛(42)의 전하부에 볼트고정의 전판(43a)과 후상부에 볼트고정의 후판(43b)과, 이들을 연결하는 1개 또는 복수개의 봉재(棒材)(43c)로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전판(43a)에는 피벗지지되는 브래킷(45)이 설치되고, 선회대(3)에 고정의 피벗지지 브래킷(46)에 횡축심을 갖는 피벗지지핀(45a)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고, 결과적으로 사이드보닛(42)의 전측하단이 횡축심 둘레로 회전운동 자유로이 선회대(3)에 지지되어 있다. 횡축(45a)에 삽입한 베타핀을 뽑으므로써 피벗지지되는 브래킷(45)과 피벗지지 브래킷(46)의 연결을 해제할 수가 있고, 이로 인해 개방위치에 회전운동된 사이드보닛(42)을 선회대(3)로부터 떼어낼 수가 있다. 피벗지지되는 브래킷(45)과 피벗지지 브래킷(46)과 피벗지지핀(45a)에 의하여 사이드보닛(42)의 피벗지지기구(50)가 구성되어 있다.
도 5와 도 7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후판(43b)에는 걸음구(47)가 설치되고, 한쪽 지지프레임(35)에는 브래킷(49)을 통하여 훅(48)이 설치되고, 이 훅(48)을 U자형 걸음구(47)에 걸어서 폐쇄위치의 사이드보닛(42)의 후측상단을 선회대(3)에 대하여 로크하도록 되어 있다. U자형 걸음구(47) 및 훅(48)은 사이드보닛(42)의 로크수단(51)을 구성하고 있다.
로크수단(51)은 소위 훅식 클램프이고, 리어보닛(28)의 우측 가장자리 근방에 위치하고, 리어보닛(28)을 상방으로 들어올려 개방위치로 회전운동하는 후방으로부터 접근가능하게 노출하고, 엔진룸(27)내로부터 로크·언로크 조작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이드보닛(42)의 전측 하단부를 피벗지지기구(50)로 피벗지지하고, 그 후부에 리어보닛(28)을 개방함으로써 자물쇠를 풀어 접근 가능하게 되는 로크수단(51)을 구비함으로써 리어보닛(28)을 개방하지 않으면 사이드보닛(42)을 개방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리어보닛(28)을 위한 자물쇠(32)만을 준비하면 된다.
도 2와 도 3에 있어서, 부재번호 53은 정면도에서 볼 때 「ㄷ」자 형상의 차폐판이고, 오일탱크(38)를 걸쳐 넘도록 장치되어 탱크룸(41)내에 배치되어 있고, 그 외주에는 시일재(54)를 갖고, 사이드보닛(42)의 내주면과 맞닿음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차폐판(53)은 엔진룸(27)내의 열풍이 컨트롤밸브(39)측으로 흐르는 것을 규제함과 동시에, 보강프레임(43)의 봉재(43c)에 끼워맞춤 지지하는 오목부를 갖고 있고, 사이드보닛(42)을 폐쇄할 때에 맞닿아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쿠션재의 역할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선회대(3)상의 기기의 보수점검을 행하는 데에는, 우선, 자물쇠(32)를 풀어서 리어보닛(28)을 전측 상단부를 요동중심으로 후부를 들어올려 개방요동하고, 이 리어보닛(28)의 개방에 의하여 노출한 로크수단(51)을 해제조작하여, 사이드보닛(42)의 후부의 로크를 풀고, 사이드보닛(42)을 후부를 들어올려서 전측하단부를 요동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하여 개방요동한다.
이와 같이 리어보닛(28)과 사이드보닛(42)을 개방위치까지 요동하면, 엔진룸(27)과 유압기기룸(41)은 평면도에서 볼 때 대략 L자 형상의 일련 개방상태로 되고, 측면도에서 볼 때 웨이트(26) 및 우하측부커버(31)보다 상측이 전면개방상태로 되고, 엔진(11)의 상방 및 후방, 오일탱크(28) 및 컨트롤밸브(39)의 상방 및 측방 등이 개방되고, 선회대(3)에 있어서 보수점검 필요개소를 거의 모두 노출시킬 수 있어서, 전체를 한번에 볼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보닛(42)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방위치로서 대략 90도까지 회전운동할 수가 있고, 그 개방위치에서는 선회대(3)의 보행부(3a)에 맡겨 둘 수가 있고, 사이드보닛(42)의 개방자세의 유지를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행부(3a)를 이용하는 작업원의 통행을 규제함으로서, 작업원이 개방된 컨트롤밸브(39)가 발 등에 접촉되어 본의 아니게 조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사이드보닛(42)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피벗지지 브래킷(46)으로부터 피벗지지핀(45a)을 뽑는 경우도 사이드보닛(42)을 선회대(3)에 기대어 세워놓을 수 있어서 선회대(3)로부터의 사이드보닛(42)의 착탈작업도 용이하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가지 변형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백호(1)로서는 표준선회형, 초소형 선회형 등이라도 좋고, 후프레임(36) 대신에 선회대(3)에 운전석(12)을 포위하는 캐빈을 탑재한 것도 좋다. 배터리는 컨트롤밸브(39)의 근방 또는 기타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고, 차폐판(53)은 오일탱크(38)와 유압펌프(33)의 사이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 연료탱크(40)를 탱크룸(41)내에 배치하고, 라디에이터를 전방으로 불어내는 방식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라서, 양 보닛을 개방위치로 회전운동하면, 리어보닛에 의하여 덮여있던 엔진을 포함하는 엔진룸은 그 후방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되고, 사이드보닛에 의하여 덮여 있던 오일탱크를 포함하는 유압관련기기 룸은 전체적으로 외부에 개방된 상태로 된다. 이로서, 선회대 후방에서 선회대 측방까지 양 보닛에 의하여 방해되는 일없이 개방되게 되어 보수점검작업은 쉽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리어보닛의 상면에서 사이드보닛의 상면으로 평탄하게 이동하도록 구성하면, 양 보닛이 개방위치에 회전운동되면, 선회대 후방에서 유압관련기기가 배치되어 있는 선회대의 일측방이 연속적으로 개방되게 되고, 엔진으로부터 유압관련기기까지의 전망이 좋을뿐 아니라, 양 보닛이 폐쇄위치에 회전이동되면, 서로 마주보는 면이 요철을 만들지 않고, 원활한 면을 형성하므로 외관이 우수한 것으로 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운전석의 후방과 측방이 양 보닛에 의하여 산뜻한 외관을 부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운전석 둘레의 스페이스가 유효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일단 사이드보닛의 로크수단을 로크하여, 리어보닛을 폐쇄하면, 리어보닛을 개방하지 않으면, 사이드보닛은 개방할 수 없다. 즉, 리어보닛의 개방이 사이드보닛의 개방조건으로 되므로, 외부로부터의 시정을 리어보닛에 대한 것만으로 충분하고, 또한, 양 보닛의 외관이 산뜻한 것으로 된다.
또 사이드보닛을 상기 피벗지지기구로부터 떼어내기 가능하게 구성한다면, 사이드보닛을 선회대로부터 필요에 따라 떼어낼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사이드프레임의 강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일없이 경량화할 수가 있고, 사이드프레임의 취급이 편안하게 된다.

Claims (7)

  1. 주행장치(2);
    주행장치의 상부에 종축심둘레에서 선회가능하게 탑재된 선회대(3);
    선회대의 전부영역에 배치된 유압작업장치(4);
    선회대의 후부영역에 배치된 엔진(11);
    선회대의 일방의 측부영역에 배치된 유압관련기기(38,39);
    상기 엔진을 덮는 리어보닛(28);
    유압관련기기를 덮는 사이드보닛(42);을 포함하는 선회작업차에 있어서,
    기체횡단방향으로 연장된 피벗지지축심을 갖는 피벗지지구(30)가 상기 리어보닛의 전측 상단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이 피벗지지구에 의하여 상기 리어보닛은 상기 엔진을 덮는 폐쇄위치와 엔진을 노출시키는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운동가능하고,
    기체횡단방향으로 연장된 피벗지지축심을 갖는 피벗지지기구(50)가 상기 사이드보닛의 전측 하단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이 피벗지지기구에 의하여 상기 사이드보닛은 상기 유압관련기기를 덮는 폐쇄위치와 유압관련기기를 노출시키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회전운동가능하고,
    상기 리어보닛과 사이드보닛이 함께 상기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는, 양 보닛의 서로 마주보는 가장자리부(28a,42a)가 맞닿은 상태에서 인접함과 동시에, 양 가장자리부의 레벨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어 리어보닛의 상면으로부터 사이드보닛의 상면으로 평탄하게 이행하고, 또한,
    상기 리어보닛과 사이드보닛이 함께 상기 개방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엔진이 배치된 선회대의 후부영역으로부터 상기 유압관련기기가 배치된 선회대의 상기 일방의 측부영역까지가, 연속하여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작업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보닛(42)이 상기 선회대의 일측방의 경계면을 형성하고, 상기 리어보닛(28)이 상기 선회대의 후방의 경계면을 형성하고, 상기 리어보닛(28)과 사이드보닛(42)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포위된 스페이스에 운전석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작업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보닛(42)을 폐쇄위치에서 로크하는 로크수단(51)이 상기 사이드보닛의 후측에 설치되어 있고, 이 로크수단은 상기 리어보닛(28)의 개방위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접근가능하고, 상기 리어보닛(28)의 폐쇄위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접근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작업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보닛(42)은 상기 피벗지지구로부터 떼어내기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작업차.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보닛(42)은 합성수지제이고, 그 내면에 전후방향을 따라서 보강프레임(43)이 뻗어 설치되어 있고, 이 보강프레임(43)에 상기 피벗지지기구(50)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작업차.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에 걸쳐 넘도록 아치형상의 지지프레임(35)이 선회대에 고정되어 있고, 이 지지프레임에 상기 피벗지지구(30)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작업차.
  7.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보닛이, 상기 엔진이 배치되는 엔진룸(27)의 일부를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사이드보닛이, 상기 유압관련기기가 배치되는 유압기기룸(41)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리어보닛과 사이드보닛이 함께 상기 개방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엔진룸으로부터 상기 유압기기룸까지 연속적으로 개방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작업차.
KR1020000011663A 1999-06-18 2000-03-09 선회작업차 KR1003634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296299A JP3681923B2 (ja) 1999-06-18 1999-06-18 旋回作業機
JP99-172962 1999-06-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4549A KR20010014549A (ko) 2001-02-26
KR100363485B1 true KR100363485B1 (ko) 2002-11-30

Family

ID=15951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1663A KR100363485B1 (ko) 1999-06-18 2000-03-09 선회작업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15942B2 (ko)
JP (1) JP3681923B2 (ko)
KR (1) KR100363485B1 (ko)
DE (1) DE10010613C2 (ko)
FR (1) FR2795108B1 (ko)
IT (1) IT13171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50772B1 (en) * 2002-10-11 2017-01-18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Rotat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machine
JP2004136722A (ja) * 2002-10-16 2004-05-13 Komatsu Ltd 作業車両用冷却装置
EP1413684A1 (en) * 2002-10-23 2004-04-28 Komatsu Ltd Work vehicle
JP2004360232A (ja) * 2003-06-02 2004-12-24 Komatsu Ltd 作業車両
JP3956907B2 (ja) * 2003-06-24 2007-08-08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小型ショベル
KR100748838B1 (ko) * 2003-09-08 2007-08-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카운터웨이트 일체형 연료탱크
JP2005088783A (ja) * 2003-09-18 2005-04-07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の製造方法およびガードパネル
US20050093280A1 (en) * 2003-10-31 2005-05-05 Adam Jacob Backhoe
CN100482901C (zh) * 2004-03-29 2009-04-29 株式会社久保田 具有旋转台的旋转作业机
JP4226546B2 (ja) * 2004-03-29 2009-02-18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
US7503419B2 (en) * 2005-09-26 2009-03-17 Kubota Corporation Backhoe
US8024875B2 (en) * 2005-12-02 2011-09-27 Clark Equipment Company Compact excavator implement interface
JP4527074B2 (ja) * 2006-03-13 2010-08-18 ヤンマー株式会社 掘削作業機
JP4378358B2 (ja) * 2006-03-16 2009-12-02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空調構造
US20080006460A1 (en) * 2006-07-05 2008-01-10 Mario Giovannini Hood assembly for a machine and a method of use thereof
JP2008063114A (ja) * 2006-09-08 2008-03-21 Toyota Industries Corp ハイブリッド産業車両
JP5185721B2 (ja) * 2008-07-29 2013-04-17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4609567B2 (ja) * 2008-10-29 2011-01-12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作業機械
JP5564227B2 (ja) * 2009-09-25 2014-07-30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のボンネット構造
JP5228000B2 (ja) * 2010-05-26 2013-07-03 日立建機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式建設機械
WO2012067014A1 (ja) * 2010-11-15 2012-05-2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WO2012073611A1 (ja) * 2010-11-29 2012-06-07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603898B2 (ja) * 2012-03-28 2014-10-08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603899B2 (ja) * 2012-03-28 2014-10-08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821872B2 (ja) * 2013-02-22 2015-11-24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吸気構造
JP1524377S (ko) * 2014-05-08 2015-05-25
JP1525233S (ko) * 2014-05-08 2015-06-01
JP1525232S (ko) * 2014-05-08 2015-06-01
JP2016160580A (ja) * 2015-02-26 2016-09-05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DK178988B1 (en) * 2015-12-15 2017-07-31 Staal Ind Ivs Selvkørende universalkøretøj
USD917583S1 (en) * 2018-12-07 2021-04-27 Ssab Technology Ab Excavator bucket
USD918275S1 (en) * 2018-12-10 2021-05-04 Kubota Corporation Backhoe load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8597A (ja) * 1996-03-29 1997-10-14 Kubota Corp バックホウの原動部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9203A (en) * 1988-08-12 1989-12-26 J. I. Case Company Composite engine enclosure
JPH06272279A (ja) * 1993-03-22 1994-09-27 Kubota Corp バックホウのボンネット構造
JP2831895B2 (ja) * 1993-03-23 1998-12-02 株式会社クボタ バックホウのボンネット構造
JPH07197488A (ja) * 1993-12-28 1995-08-01 Komatsu Ltd 油圧ショベルの外装カバー
JP2619338B2 (ja) * 1995-01-31 1997-06-11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建設機械のダストカバー構造
DE69603210T2 (de) * 1995-02-17 2000-01-20 Kubota Kk Schaufelbagger mit einer Motorhaube an welcher der Fahrersitz befestigt ist
JP2877717B2 (ja) * 1995-03-07 1999-03-31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の上部構造
JP3572719B2 (ja) 1995-05-16 2004-10-0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油圧作業機
JPH093974A (ja) 1995-06-26 1997-01-07 Kubota Corp バックホーのキャビン構造
US5806620A (en) * 1995-10-27 1998-09-15 Chrysler Corporation Unitary one-piece automobile hood, fascia, and front fender assembly
US5890556A (en) * 1996-05-01 1999-04-06 Paccar Inc Vehicle hood mounting system
JP3308467B2 (ja) * 1997-06-03 2002-07-29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のボンネット装置
JP3315348B2 (ja) * 1997-06-12 2002-08-19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におけるボンネット内部の冷却構造
JP3786230B2 (ja) 1997-06-19 2006-06-14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アルミナ系調湿材料の製造方法
JPH1181380A (ja) 1997-09-05 1999-03-26 Komatsu Zenoah Co 建設機械
JP3745510B2 (ja) 1997-09-05 2006-02-15 小松ゼノア株式会社 建設機械
DE69829343T2 (de) * 1997-10-02 2006-04-13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Amagasaki Befestigungsvorrichtung eines Fahrzeugpaneels
JPH11336123A (ja) 1998-03-24 1999-12-07 Kubota Corp 旋回作業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8597A (ja) * 1996-03-29 1997-10-14 Kubota Corp バックホウの原動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95108B1 (fr) 2003-06-27
KR20010014549A (ko) 2001-02-26
ITMI20000445A1 (it) 2001-09-07
US6615942B2 (en) 2003-09-09
DE10010613A1 (de) 2001-01-04
JP2001003388A (ja) 2001-01-09
JP3681923B2 (ja) 2005-08-10
IT1317126B1 (it) 2003-05-27
ITMI20000445A0 (it) 2000-03-07
DE10010613C2 (de) 2002-06-27
FR2795108A1 (fr) 2000-12-22
US20030079925A1 (en) 200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3485B1 (ko) 선회작업차
US7320380B2 (en) Swiveling utility machine having swivel deck
JPH076217B2 (ja) 全旋回式作業機
US7874392B2 (en) Excavating machine
US20090230710A1 (en) Rear accessible service hatch
JP4246360B2 (ja) 旋回式建設機械
JP5997191B2 (ja) 建設機械
JP3673683B2 (ja) 旋回作業機
JP3836728B2 (ja) 旋回作業機
JP2001260947A (ja) 旋回作業機のボンネット装置
JP3927429B2 (ja) 旋回型作業機械
JP2003064721A (ja) 旋回作業機のボンネット装置
JP3682006B2 (ja) 旋回作業機
JP3679277B2 (ja) 旋回作業機の上部構造
JP3547367B2 (ja) 旋回作業機のボンネット装置
JPS6322199Y2 (ko)
WO2001045998A1 (fr) Structure-capot d'un vehicule de chantier monte sur chenilles
JP3403633B2 (ja) 旋回作業機
JP3290865B2 (ja) バックホウ
JP4484573B2 (ja) 旋回作業機
JP4614894B2 (ja) 作業車のキャノピ
JP3403634B2 (ja) 旋回作業機
JPH09228417A (ja) バックホウ
JPH09137467A (ja) バックホウ
JP3688819B2 (ja) 旋回作業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