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205B1 - 차량용 전기배삭(配索)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기배삭(配索)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205B1
KR960010205B1 KR1019910021862A KR910021862A KR960010205B1 KR 960010205 B1 KR960010205 B1 KR 960010205B1 KR 1019910021862 A KR1019910021862 A KR 1019910021862A KR 910021862 A KR910021862 A KR 910021862A KR 960010205 B1 KR960010205 B1 KR 960010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instrument panel
electrical
vehicle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1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9661A (ko
Inventor
세이지 히라노
마사아끼 시미즈
오사무 미치히라
요시카즈 노부토키
히로시 스즈끼
유끼하루 사노
Original Assignee
후루다 노리마사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야사키 히로히코
야사키소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3400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04698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37491U external-priority patent/JP2516517Y2/ja
Application filed by 후루다 노리마사,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야사키 히로히코, 야사키소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다 노리마사
Publication of KR920009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2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5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eans of attachment to or integration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1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차량용 전기배삭(配索)구조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전기배삭구조의 제1실시예의 구성이 채용된 계기판을 차체후방으로부터의 본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표시한 차량계기판을 차체 전방으로부터 본 분해사시도.
제3도는 제1실시예의 구조에 있어서의 미터노우드 접속용 코넥터부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표시한 요부의 확대사시도.
제4도는 제3도에 표시한 코넥터부의 제1변형예에 관한 구성을 표시한 확대사시도.
제5도는 제3도에 표시한 코넥터부의 제2변형예에 관한 구성을 표시한 확대사시도.
제6도는 제1실시예의 구조에 있어서의 일사(日射)센서 접속용 코넥터의 구성예를 표시한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코넥터 구조를 채용한 일사센서장착부(defroster grille 부)의 구조를 표시한 단면도.
제8도는 제1실시예의 구조에 있어서의 미터노우드 스위치등 접속용 코넥터부의 확대분해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전기배삭구조를 표시한 계기판이면쪽의 분해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제3실시예의 유니트 접속구조가 적용되는 사이드도어의 구성을 표시한 분해사시도.
제11도는 제10도에 표시한 유니트 접속구조에 있어서의 자동차도어에의 장착상태의 개요를 표시한 분해사시도.
제12도는 제11도에 있어서의 조립상태를, 제10도의 A-A선을 따라서 절단한 상태에서 표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계기판 코어4 : 계기판 마운트멤버
7 : 제1의 전기배삭부재10 : 제1코넥터
20 : 제2의 전기배삭부재25 : 고정부재
30 : 전자제어유니트모듀울32 : 모듀울장착플레이트
43 : 코넥터본체49 : 브래킷
본 발명은, 차량의 소정의 차체부품에 설치되는 차량용 전장품용의 전기배삭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계기판내에 설치되는 차량용 전장품의 전기배삭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있어서는, 자동차의 차체부품의 차체본체에의 장착을 자동기계에 의해 행하는 일이 많아져가고 있다. 그 일환으로서, 예를 들면 차실내 앞부분에 위치하는 계기판이나, 이 계기판을 구성하는 서브어셈블리(미터노우드나 스위칭노우드)등을, 자동장착에 적합한 것으로 하는 것이 요청되게 되었다.
그래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190551호 공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이 계기판을 차체쪽 카울패널에 직접 장착되는 스켈리턴형태의 계기판 마운트멤버와, 이 계기판 마운트멤버에 대해서 장착되는 계기판코어와의 2개의 패널유니트로 분할하는 동시에, 계기판코어에 대해서, 미터노우드나 스우치노우드등의 각종 서브어셈블리를 장착하도록 구성하므로서,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계가판 구조를 채용하였다 하더라도, 그 내부에 전장품을 장착하는데 있어서, 그 전기배삭구조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가 발생한다.
즉, 최근에 있어서는, 전장품의 수가 현저히 증대하고 있는 관계로, 당연히, 그것들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와이어하아네스도 대경이고 대용량의 것으로 되어오고 있다. 따라서, 그 배삭도 용이하지는 않으며, 좁은 장소에서의 복잡한 배선끌기나 접속은 극히 곤란한 작업을 수반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해서, 종래와 마찬가지의 하아네스상태 그대로의 배삭구조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작동장착에는 도저히 대응할수가 없는 것이다.
그래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63-21944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와이어하아네스자체를 합성수지재로 경화고형화하므로서, 배선끌기형태에 대응한 입체적인 전기배삭부재를 형성하고, 이 고형입체화된 전기배삭부재를, 계기판의 내면부의 형상, 코넥터위치등을 따라서 입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배삭용 금속판에 대응시켜서 접속하므로서, 자동장착을 가능하게 할려고하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확실히 자동조립에는 대응할 수 있게되나, 와이어하아네스의 가공이 복합하고, 또 코넥터끼워맞춤위치의 자유도가 없으므로 모든 코넥터위치를 상당히 고정밀도로 성형하지 않으면, 코넥터끼워맞춤부의 중심편차등을 발생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복잡한 와이어하아네스의 가공을 필요로하는 일없이, 전기배삭을 자동장착할 수 있는 차량용 전기배삭구조를 제공하는 일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속용 코넥터의 배열, 설치도 용이하고, 장착시의 상호 접속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차량용 전기배삭구조를 제공하는 일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배삭의 자동장착작업에 있어서, 코넥터끼워맞춤부의 중심편차를 억제시킬 수 있는 차량용 전기배삭구조를 제공하는 일이다.
또,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어유니트를 일체적으로 갖추고, 이 제어유니트의 접속이 극히 간단하고 배선량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는 차량용 전기배삭구조를 제공하는 일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전기배삭구조는, 그 제1발명에 의하면, 차실내로 향하는 계기판코어와 차실앞쪽으로 향하는 계기판 마운트맴버로 이루어지는 계기판을 맞붙혀서, 차실앞부분에 설치되는 차실내전장품이 마운트되는 상기 계기판을 차체앞부분에 고정된 카울패널에 장착하는 것으로, 차실내전장품을 차체전장품에 접속하는 전기배삭구조로서, 복수개의 전선다발로 이루어지는 전기배삭부재가, 적어도 제1의 전기배삭부분과 제2의 전기배삭부재부분으로 나누어져 있고, 제1의 전기배삭부재부분은, 상기 계기판 마운트멤버에 마운트되고, 제2의 전기배삭부재부분은, 상기 계기판코어에 마운트되고, 상기 제1의 전기배삭부분은, 상기 계기판의 앞부분에 마운트되어 있는 제1의 전장품그룹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의 전기배삭부재부분은, 상기 계기판의 상부에 마운트되어 있는 제2의 전장품그룹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의 전기배삭부재부분을 상기 계기판 마운트멤버에 마운트하기 위한 제1 마운트수단과, 상기 제2의 전기배삭부재부분을 상기 계기판코어에 마운트 하기 위한 제2 마운트수단과, 상기 계기판 마운트멤버와 상기 계기판코어를 서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수단과, 상기 제1, 제2의 전기배삭부재부분을 서로 접속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코넥터와, 상기 제1의 전장품그룹을 상기 제1의 전기배삭부재부분을 서로 접속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코넥터와, 상기 제1의 전장품그룹을 상기 제1의 전기배삭부재부분에 접속하기 위한 복수개의 코넥터와, 상기 제2의 전장품그룹을 상기 제2의 전기배삭부분에 접속하기 위한 복수개의 코넥터와, 상기 제1의 전기배삭부재부분을 상기 차체전장품에 접속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코넥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전기배삭구조는, 그 제2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제2의 전기배삭부재부분이 서로 접속되는 부분에, 소정의 제어순서를 실행하는 제어유니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전기배삭구조는, 그 제3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계기판 마운트멤버에 마운트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전기배삭구조는, 그 제4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코넥터와 접속되는 코넥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전기배삭구조는 그 제5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의 전기배삭부재부분은 소정의 제어순서를 실행하는 제어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전기배삭구조는, 그 제6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의 전기배삭부재부분은, 차체전장품을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와, 상기 제어유니트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와, 연료뚜껑 열개스위치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와, 트렁크뚜껑 열개스위치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와, 에어콘스위치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와, 오디오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와, 센터콘솔을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와, 미터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와, 콜럼스위치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전기배삭구조는, 그 제7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2의 전기배삭부재부분은, 자동차조명제어용의 일사센서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와, 글러브박스램프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와, 글러브박스램프스위치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와, 에어콘용 일사센서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와, 상기 제어유니트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를 구비하는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전기배삭구조는, 그 제8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제2의 전기배삭부재부분을 서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는, 상기 계기판코어와 상기 계기판 마운트멤버와의 사이의 고정부의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전기배삭구조는, 그 제9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의 전기배삭부재부분은, 상기 제1의 전장품그룹을 상기 제1의 전기배삭부재부분에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로서, 차체전장품을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와, 상기 제어유니트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와, 연료뚜껑 열개스위치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와, 트렁크뚜껑 열개스위치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와, 에어콘스위치를 접속하이 위한 코넥터와, 오디오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와, 센터콘솔을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와, 미터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와, 콜럼스위치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전기배삭구조는, 그 제10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2의 전기배삭부재부분은, 자동차조명제어용의 일사센서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와, 글러브박스램프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와, 글러브박스램프스위치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와, 에어콘용 일사센서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전기배삭구조에서는, 먼저 복수개의 전선다발로된 전기배삭부재를 제1의 전기배삭부재부분과 제2의 전기배삭부재부분과의 2개의 전기배삭부재부분으로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1의 전기배삭부재부분을 차체쪽에 장착되는 계기판 마운트멤버에 장착하고, 제2의 전기배삭 부재부분을 계기판코어에 대해서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각 계기판유니트에 대한 전기배삭부재부분의 장착은 간단히 행하여진다. 그리고, 이들 제1 및 제2의 전기배삭부재를 상호접속하는 코넥터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최종적인 조립에 있어서 이 코넥터수단을 끼워맞춤접속하면 모든 접속이 원터치로 완료된다.
또, 그 제1의 전기배삭부재부분에 의해서 계기판 앞면부에 장착되는 전장품의 배삭을 행하고, 제2의 전기배삭부재부분에 의해서 상기 계기판 상면부에 장착되는 전장품의 배삭을 행하도록 하고 있으며, 전장품의 위치마다 그룹나누기위해서 접속라인을 정연하게 구분하고 있으므로, 접속용 코넥터의 배열, 설치도 용이하고, 장착시의 상호접속작업도 용이하게 된다.
또, 제1의 전기배삭부재부분과 제2의 전기배삭부재부분과의 상호 접속부에 위치해서 소정의 제어유니트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본래 다수의 배선의 접속을 필요로 하는 제어유니트의 접속이 극히 간단하고 배선량도 크게 저감된다.
또, 제1의 전기배삭부재부분과 제2의 전기배삭부재부분과의 상호 접속부는 강성이 높은, 계기판코어와 계기판마운트멤버의 고정부 근처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므로, 고정상태가 안정되고, 코넥터 끼워맞춤시의 위치맞춤이 용이하게 되어 끼워맞춤시의 중심편차나 접속후의 접촉불량등도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전기배삭구조에 의하면, 계기판분할에 의한 장착성의 향상에 대응해서 전기배삭부재 자체의 생산성, 장착성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게 되어, 계기판 전체의 자동조립에 적절하게 응할 수 있게 된다.
또, 집양배선이 가능하게 되므로, 동시에 코넥터등 접속부의 수도 적어서 되는 것으로 된다. 또, 이 결과, 장착정밀도 자체도 향상된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전기배삭구조의 여러가지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이 제1 실시예에 있어서는, 계기판에 대한 다중전송시스템의 채용한 구성으로서, 제1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1도는, 본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차량용 계기판의 전체를 분해한 상태로서, 차체후방에서, 또한, 위쪽에서 전망한 구성을 표시하고 있다. 또, 제2도는, 이 계기판내의 구조 및 전기배삭형태를 이 계기판의 차체앞쪽이고 또한, 위쪽에서 전망한 구성을 표시하고 있다.
먼저,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계기판은, 상기 차량의 차실내 앞부분에, 차폭방향을 따라서 뻗어나도록 설치되는 계기판코어(1)를, 기본형태부로해서 구비하고 있다.
이 계기판코어(1)는, 예를 들면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성형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그 거죽면(즉, 차체전후 방향에 관해서 뒤쪽면)에는, 예를 들면 여러가지 계기류가 설치되는 미터노우드(2a), 여러가지의 조작스위치가 설치되는 일반스위치노드(2b), 에어콘용의 스위치류가 설치되는 에어콘스위치노우드(2c), 오디오용의 기기가 설치되는 오디오노우드(2d)등의 각종 노우드를 각각 장착하기 위한 전장노우드상착부(3a)~(3d)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한편, 상기 계기판코어(1)의 뒤쪽면(즉, 차체전후방향에 관해서 앞쪽면)에는,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계기판마운트멤버(4)가 설치되어 있다. 계기판코어(1)는 이 계기판마운트멤버(4)를 개재해서 차체쪽 카울패널(도시생략)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계기판마운트멤버(4)는, 스켈리턴구조의 프레임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계기판마운트멤버(4)에는, 그 적당한 개소에, 계기판코어(1)의 이면에 형성된 나사좌대(座台)(6a)~(6f)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용 플랜지부(5a)~(5f)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도에 있어서, 부호(7)은 계기판마운트멤버(4)에 고정되는 제1의 전기배삭부재를, 또, 부호(20)는 계기판코어(1)의 안쪽에 고정되는 제2의 전기배삭부재를 각각 표시하고 있다.
제1의 전기배삭부재(7)는, 예를 들면 플래트형의 와이어하아네스(전선다발)(7a)를 배삭부재본체로서 구비하고, 이 와이어하아네스(7a)에는 제1 내지 제5의 고정부재(장착부)(7b)~(7f)가 서로 독립된 상태로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들 제1 내지 제5의 각 고정부재(7b)~(7f)는, 예를들면 열경화성수지에 의해 플레이트형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에는 계기판마운트멤버(4)에 비스(29)를 사용해서 고정장착하기 위한 2개의 비스삽통구멍(8a)~(8j)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양단부에 위치하는 제1 및 제5의 고정부재(7b),(7f)의 각각의 바깥쪽부분에는, 도면중 바로앞쪽(즉, 차체전후방향에 관해서 앞쪽면)으로 절곡된 단붙이부(27A),(27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단붙이부(27A),(27B)를 개재해서, 도면중 바로 앞쪽으로 편의(偏倚)된 부분의 뒤쪽면(즉, 차체전후방향에 관해서 앞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카울쪽 메인코넥터부에 커풀링되는 원통형을 한 차량접속코넥터(9A),(9B)가, 각각의 중심축선을 차체전후방향에 맞추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이들 차량접속용코넥터(9A),(9B)는, 대응하는 단붙이부(27A),(27B)의 각각의 거죽면(즉, 차체전후방향에 관해서 뒤쪽면)을 계기판마운트멤버(4)에 형성된 볼록부(28A),(28B)에 의해서 눌려지므로서, 카울패널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는 제3의 고정부재(7d)에는, 그 도면중 우측부의 상부에, 전자제어유니트 모듀울(ECU 모듀울)접속용의 제1 코넥터(1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제3의 고정부재(7d)의 중앙위치의 하부에는, 와이어하아네스로부터 분기한 접속코오드(7g)가 똑바로 내려간 상태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접속코오드(7g)에는, 위쪽에서부터 아래쪽을 향해서, 에어콘스위치노우드 접속용의 코넥터(11), 오디오노우드접속용의 코넥터(12), 그리고, 선택콘솔노우드접속용의 코넥터(13)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제3의 고정부재(7d)의 도면중 왼쪽에 위치하는 제4의 고정부재(7e)의 도면중 우측부분의 상부에는, 미터노우드접속용코넥터(4)가 또, 이것의 도면중 좌측부분의 하부에는, 콜럼스위치노우드접속용코넥터(1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이 미터노우드접속용코넥터(14)로서, 예를 들면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고정부재 및 배선분기구조가 임의로 채용된다. 즉, 이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플래트형 와이어하아네스(7a)로서 플래트케이블을 사용하고, 이 와이어하아네스(7a)로부터 분기되는 분기케이블(18)을, 와이어하아네스(7a)와 마찬가지로 플래트케이블로 구성시키고, 이 분기케이블(18)의 선단부에 미터노우드접속용코넥터(14)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와이어하아네스(7a)로부터 분기케이블(18)이 분기되는 배선분기부를, 열경화성수지로 씌우므로서 제4의 고정부재(7e)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플래트형 와이어하아네스(7a)로서 플래트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4도 및 제5도에 제1 및 제2의 변형예로서 표시한 바와 같이 변형가능하다. 즉, 제4도에 표시한 제1의 변형예에 있어서는, 플래트형와이어하아네스(7a)로서 FPC(가요성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board)을 사용하고, 이 와이어하아네스(7a)로부터 분기되는 분기케이블(19)을, 와이어하아네스(7a)와 마찬가지로 FPC로 구성시키고, 배선분기부를 제3도에 표시한 구성과 마찬가지로 열경화성수지로 피복해서 제4의 고정부재(7e)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제5도에 표시한 제2의 변형예의 경우에는, 제4도에 표시한 제1의 변형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플래트형와이어하아네스(7a) 및 분기케이블(19)로서 FPC를 사용하는 한편, 제4의 고정부재(7e)를 PCB(프린트회로기판)에 의해 형서아고, 이 기판상에 프린트된 배선망을 개재해서, 와이어하아네스(7a)의 접속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와이어하아네스(7a)와 분기케이블(19)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다시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1의 전기배삭부재(7)의 제5도의 고정부재(7f)의 하부에는, 연료뚜껑열개스위치노우드접속용의 코넥터(16)와, 트렁크뚜껑열개스위치노우드접속용의 코넥터(17)가 병렬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 이미 설명하였으나, 이 제5의고정부재(7f)의 단붙이부(27B)를 개재해서 차체앞쪽으로 편의된 부분에는, 차량용접속용코넥터(9B)가 일체화된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다.
또, 계기판마운트멤버(4)에는, 제1의 전기배삭부재(7)의 각 노우드에 대응한 접속용코넥터(10)~(17)에 대응한 고정용 끼워맞춤 개구(嵌哈)부 (10a), (11a), (12a), (13a), (14a), (15a), (16a), (17a)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서로 대응하는 양자를 서로 끼워맞추므로서, 제1의 배선배삭부재(7)가 계기판마운트멤버(4)에 대해서 확실하게 장착되고,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여기서, 제2도에 있어서, 부호(30)는, CPU, RAM, ROM 등을 구비하고, 다중 통신용 제어기를 가진 상기의 전자제어유니트모듀울(ECU 모듀울)을 표시하고 있다. 이 전자제어유니트모듀울(30)은, 이 제1실시예의 경우, 계기판마운트멤버(4)의 중앙부의 위쪽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모듀울장착플레이트(32)의 뒤쪽면(즉, 차체전후방향에 관해서 앞쪽면)에 장착된다.
그리고, 전자제어유니트모듀울(30)의 뒤쪽면의 하부에는, 제1의 전기배삭부재(7)에 설치된 전자제어유니트모듀울접속용의 제1코넥터(10)가 끼워맞추어지는 제1의 리셉터클(10a)이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전자제어유니트모듀울(30)의 거죽견(즉, 차체전후방향에 관해서의 뒤쪽면)의 상부에는, 제2의 리셉터클(31)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이 제2의 리셉터클(31)은, 모듀울장착플레이트(32)의 리셉터클 끼워맞춤개구(31a)내에 끼워맞추어지므로서,전자제어유니트모듀울(30)은, 계기판마운트멤버(4)에 고정되게 된다.
한편, 이 제1의 전기배삭부재(7)와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2의 전기배삭부재(20)는, 상기 제1의 전기배삭부재(7)와 마찬가지로 플래트형의 와이어하아네스(20a)를 주로 구비하고 있으며, 이 와이어하아네스(20a)의 도면중 최단부에는 자동차조명제어용의 일사센서접속용코넥터(21A)가 설치되고, 또, 이것의 도면중 우단부에는, 글러브박스램프용접속코넥터(21B)와 글러브박스램프 스위치접속용코넥터(21C)가 서로 상하로 분기해서 설치되어 있다. 또, 와이어하아네스(20a)의 도중에는, 열경화성수지에 의해 형성된 고정부재(22), 자동차에어콘 일사센서접속용코넥터(23), 전자제어유니트모듀울접속용코넥터(24)가, 도면중 왼쪽에서부터 오른쪽을 향해서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자동차에어콘용 일사센서접속용코넥터(23)과 전자제어유니트모듀울접속용코넥터(24)와는, 열경화성수지로 형성된 고정부재(25)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자동차조명제어용의 일사센서 접속용 코넥터(21A)는, 그 기단부쪽에 귀형상의 플랜지부를 가지고,이 플랜지부의 좌우에 형성된 비스삽통구멍(26a),(26b)을 개재해서, 계기판코어(1)의 배면에 대응해서 형성된 나사좌대(36a),(36b)에 비스나사(37a),(37b)를 개재해서 체결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고정상태에서는, 코넥터(21A)부가 계기판코어(1)의 코넥터 끼워맞춤개구(31A)에 끼워맞추어지고, 도시생략의 자동차조명제어용 일사센서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 고정부재(22)의 상부쪽에도, 체결고정용의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에 형성된 비스구멍(22a)을 개재해서, 고정부재(22)는, 계기판코어(1)의 형성된 나사좌대(35)에 비스나사(38a)를 개재해서 고정되게 되어 있다. 또, 자동차에어콘용 일사센서접속용코넥터(23)도, 상기한 자동차조명용 일사센서접속용코넥터(21A)의 구성과 완전히 마찬가지로해서, 비스나사(도시생략)에 의해 비스구멍(23a),(23b)을 개재해서, 계기판코어(1)에 형성된 나사좌대(33a),(33b)에 체결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상태에서는, 상기 코넥터끼워맞춤개구(34)내에 코넥터(23)가 끼워맞춤고정되고, 도시생략의 자동차에어콘용 일사센서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자동차조명제어용 및 자동차에어콘용의 각 일사센서접속용코넥터(21A),(23)은 상기한 바와 같은 비스고정형식의 고정구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제6도 및 제7도에 제3도의 변형예로서 표시한 바와 같이, 좌우플랜지부에 걸어맞춤부를 가진 코터핀(26a'),(23a'),(26b'),(23b')를 각각 형성하고, 이 코터핀(26a'),(23a'),(26b'),(23b')을 계기판코어(1)에 형성한 코터핀삽입구멍(36a'),(33a'),(36b'),(33b')에 삽입하므로서, 원터치로 걸어고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와같이하면, 장착시의 작업성이 한층더 향상된다.
여기서, 제7도중에 있어서, 부호(30)은, 대응하는 일사센서를 표시하고 있다. 이 일사센서(50)의 본체의 양쪽부분에 걸어맞춤용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일사센서(50)의 본체를 서리제거장치의 노즐그릴(1a)에 형성된 일사센서장착구(51)내에 압입하므로서, 양자를 원터치로 끼워넣어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계기판코어(1)의 상부면쪽은, 서리제거의 노즐그릴(1a)에 의해서 커버되는 결과, 코넥터(21A), (23)의 코터핀(26a'), (23a'), (26b'), (23b')등은 외부로부터의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을 채용하는 메릿이 있다.
또, 제1의 전기배삭부재(7)의 미터노우드접속용 코넥터(14)(콜럼스위치노우드접속용코넥터(15)도 마찬가지)로서 예를 들면 구체적으로는 제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조심(調芯)코넥터가 채용된다.
즉, 제8도에 있어서, 부호(49)는 제1의 전기배삭부재(7)에 지지된 코넥터지지용의 브래킷을 표시하고 있다. 이 브래킷(49)의 앞면쪽중앙부에는, 코넥터본체(43)를 상하 좌우 4개소에서 탈착가능하게 꽉주는 클릭(44)~(47)(단, (46),(47)의 도면의 형편상 표시되어 있지 않다.)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코넥터본체(43)의 좌우양쪽에는, 원터치 걸어맞춤용의 코터핀(41),(4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클릭(44)~(47)에 의해 꽉쥐어진 코넥터본체(43)의 선단부에는, 접속시의 조심을 실행시키기 위한, 선단부가 예리하게 형성된 핀(52),(53)이, 계기판 마운트멤버(4)를 향해서 돌출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계기판마운트멤버(4)에 대응해서 형성된 끼워맞춤개구(14a),(15a)에 조심용핀(46),(47)을 이용해서 정확하게 코넥터본체(43)의 선단부를 삽입하기만하면, 코터핀(41),(42)을 핀끼워넣는 구멍(41a),(42a)에 대해서도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어, 원터치에 의한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계기판의 구성에서는, 자체쪽의 카울부에 고정된 계기판마운트멤버(4)에 대해서, 계기판 코어(1)를 장착하면, 이 장착시에 있어서, 제1의 전기배삭부재(7)와 제2의 전기배삭부재(20)와는, 전자제어유니트모듀울(30)을 개재해서 상호 접속되게 된다. 또, 그것에 의해서 각 노우드부도 전원 및 제어회로에 정확하게 접속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제1실시예의 차량용 전기배삭구조에 의하면, 계기판을 차체쪽에 장착되는 계기판마운트멤버(4)와 차실쪽에 위치하는 계기판코어(7)로 2분할시키므로서, 장착성향상을 도모하고, 또, 상기 계기판의 2분할에 대응해서, 전기배삭부재도 제1 및 제2의 전기배삭부재(7),(20)로 분할하고 있다.
그 결과, 전기배삭부재자체의 생산성 장착성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계기판전체로서 자동조립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 동시에 접속부(코넥터부)의 수나 배선의 양도 적어도 되게 된다. 또, 코넥터끼리의 대응위치도 정확하게 되어 장착정밀도도 향상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1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는 일없이,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면, 상기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자제어유니트모듀울(30)을 계기판마운트멤버(4)에 장착하도록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일없이, 제9도에 제2실시예로서 표시한 바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
이하에, 제9도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전기배삭구조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상기한 제1실시예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자제어유니트모듀올(30)을 계기판마운트멤버(4)쪽의 제1의 전기배삭부재(7)의 안쪽에 설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때문에, 제1의 전기배삭부재(7)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3의 고정부재(7d)의 좌단부의 상하양단부가장자리에, 상하방향으로 각각 뻗은 플랜지부(55),(5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양플랜지부(55),(56)의 중간에 위치하는 제3의 고정부재(7d)의 부위에, 볼록형 접속용코넥터(5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코넥터(54)는, 전자제어유니트모듀울(30)에 설치된 오목형 코넥터(31')와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하면, 특히, 계기판내의 제일깊숙한 부분쪽에, 전자제어시스템제품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가장 적합한 구성이 있다.
그리고, 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의 전기배삭부재(7)와 제2의 전기배삭부재(20)는, 제1실시예의 경우와 달라, 제1의 배삭부재(7)에 설치된 접속용 코넥터(10')와 제2배삭부재(20)에 설치된 접속용코넥터(24')를, 계기판마운트멤버(4)에 형성된 기워맞춤개구(10a')를 개재해서, 서로 직접연결하므로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또한, 이상 설명한 제1 및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전기배삭구조는, 모두 신호전송시스템로서 다중전송방식을 채용한 것이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다중전송방식의 경우에 배선의 간소화 메릿등 특히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나, 본 발명은 반드시 상기한 바와 같이 다중전송방식을 채용한 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닌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 상기한 2개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차량의 소정의 차체부품에 설치되는 차량용 전장품용의 전기배삭구조로서, 특히, 계기판내에 설치되는 차량용 전장품의 전기배삭구조에 적용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일 없이, 제10도 내지 제12도에 제3실시예로서 표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도어에 장착되는 차량용 전장품으로서의 스위치유니트의 전기배삭구조에 적용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하에, 이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전기배삭구조를 설명한다. 여기서, 제10도는 본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전기배삭구조가 적용되는 사이드도어의 구성을 표시한 분해사시도, 제11도는 사이드도어에 구비하게 되는 전기배삭구조의 구성을 표시한 분해사시도, 제12도는 장착상태를 제11도의 A-A선을 따라서 절단한 상태로 표시한 단면도이다.
제10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도어(60)는, 차체바깥쪽면을 규정하는 도어프레임(61)과, 이 도어프레임(61)의 안쪽면에 장착되는 내부패널(62)과, 이 내부패널(62)의 안쪽면에 부착되는 도어트림(63)을 구비하여 개략 구성되어 있다.
이 도어트램(63)의 안쪽면에는, 운전자의 팔꿈치가 놓여지는 팔꿈치놓는 부분(64)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팔꿈치 놓는 부분(64)의 상부면에는 개구(6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개구(65)를 개재해서 삽입되고, 상부면이 이것을 씌우는 상태로, 스위치유니트(66)가 장착되어 있다. 이 스위치유니트(66)에는, 그 상부면에 파우어윈도우기구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파우어윈도우조작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위치유니트(66)는, 플랜트와이어하아네스(67)를 개재해서, 도시하지 않는 제어유니트 및 구동모우터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내부패널(62)에는, 상기한 스위치유니트(66)의 하부가 유지되는 유니트호울더(68)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1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내부패널(62)의 차실쪽벽면(69)에는 안내홈(70)을 가진 단면이 ㄷ자형상의 1쌍의 합성수지 또는 금속제의 가이드레일(71)이, 서로의 개구면이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또한 차실쪽벽면(69)이 직교하는 방향(즉, 차폭방향)을 따라서 뻗어나온 상태로, 나사등을 개재해서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이들 가이드레일(71)에는, 유니트호울더(68)가 그 양쪽가장자리를 대응하는 안내홈(70)에 각각 끼워맞추어진 상태에서, 걸어고정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유니트호울더(68)는, 합성수지성의 호울더본체(72)와, 이 호울더본체(72)에 장착되는 코넥터부(73)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호울더본체(72)는, 장방형상의 기판부(74)와, 이 기판부(74)의 좌우양쪽 가장자리에, 좌우의 가이드레일(71)의 각각의 안내홈(70)에 끼워넣을수 있도록 각각 돌출형성된 좌우 1쌍의 슬라이드걸어맞춤부(75)와, 기판부(74)위에 앞쪽이 개방되어서 세워설치된 평면이 대략 ㄷ자 형상의 프레임부(7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슬라이드걸어맞춤부(75)의 측단부면과, 이들 슬라이드걸어맞춤부(75)에 직교하는 기판부(74) 또는 프레임부(76)의 측면(77), 즉, 호울더본체(72)의 둘레면을 규정하는 4면에는, 만곡형상의 스프링편(78)이 각각 일체적으로 돌설되어 있다. 또, 프레임부(76)는, 그 차폭방향을 따라서 바깥쪽에 위치한 벽부분(79)을 두껍게 형성하고 있다. 이 벽부(79)에는 제1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76)에 둘러싸이는 내부공간에 연통하는 투과구멍(80)을 가진 코넥터수용실(81)이, 기판부(74)의 밑바닥면에 개구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코넥터수용실(81)에는, 상기한 코넥터부(73)가 아래쪽으로부터 끼워장착되게 된다.
한편, 상기 코넥터부(73)는, 합성수지성의 하우징(82)과, 이 하우징(82)에 삽입하여 걸어고정되는 접촉단자(8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82)의 차폭방향 안쪽의 측면에는, 복수의 단자수용실(84)이 병설되어 있다. 각 단자수용실(84)의 상부에는, 코넥터수용실(81)의 투과구멍(80)에 대응해서, 각각에 연통하는 개구(85)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접촉단자(83)은, 한쪽에 대응하는 단자수용실(84)의 장착면에 압축고정되는 전선압착부(86)와, 다른쪽에 대응하는 개구(85)를 개재해서 대응하는 투과구멍(80)으로부터 바깥쪽의 돌출하는 탄성접촉부(87)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전선압착부(86)에는, 플래트와이어하아네스(67)로부터 분기된 분기선(88)이 접속되어 있다. 이 플래트와이어하아네스(67)는, 제1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그 중간부에, 도시하지 않는 파우어윈도우모우터나 도어미러구동용 모우터나 발밑조명용의 도어램프와 같은 사이드도어내에 설치되는 각종보조기기류에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89)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패널(62)에는, 이들 보조기기용코넥터(89)를 삽입접속시키기 위한 개구(90)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전기배삭구조에 있어서, 이하에 그 장착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양가이드레일(71)의 안내홈(70)에, 유니트호울더(68)의 좌우의 슬라이드걸어맞춤부(75)를 각각 끼워넣는다. 그리고, 보조기기용코넥터(89)를, 내부패널(62)에 형성된 개구(90)에 임하는 도시생략의 상대쪽 코넥터에 접속한다. 이 접속에 의해 프래트와이어 하아네스(67) 및 유니트호울더(68)가 임시고정된다. 여기서, 슬라이드걸어맞춤부(75)에 설치한 차체전후방향을 따라서 서로 전후로 이간되어 있는 1쌍의 스프링편(78)은, 가이드레일(71)내에서 유니트호울더(68)가 차체전후방향을 따라서 유동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는 것을 허용하게 된다. 그리고, 내부패널(62)에 도어트림(63)을 장착한다. 이 장착에 의해, 유니트호울더(68)위에 팔꿈치놓는 부분(3)의 삽입구(8)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팔꿈치 놓는 부분(64)의 안쪽면에는, 유니트호울더(68)의 앞끝부분이 스프링(78)에 대한 접촉부(91)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도어트림(63)의 장착에 의해서, 유니트호울더(68)의 차폭방향을 따라서 좌우로 이간되어 있는 1쌍의 스프링편(78)은, 내부패널(62)과 접촉부(91)에 각각 접촉되게 한다. 따라서, 유니트호울더(68)는 전후좌우로 유동가능하게 자동조심되게 된다. 그리고, 팔꿈치 놓는 부분(64)의 개구(65)에 스위치유니트(66)로 삽입한다.
이 스위치유니트(66)는, 제1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장방향 상자형상의 하우징(92)과, 이 하우징(92)내에 설치된 배선판(93)을 구비하고, 배선판(93)으로부터 위쪽으로 한쪽의 가용성인쇄회로기판(94)이 배삭되어 있다. 또, 하우징(92)의 상부에는, 가요성기판(94)에 접속된 푸시버튼부(9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선판(93)에 접속된 다른쪽의 가요성기판(96)은 외부로 도출된다. 한편, 유니트호울더(68)의 단자부에 대한 가요성기판(96)의 선단부쪽 단자부(97)는, 하우징(92)의 벽면(98)에 고착된다.
여기서, 스위치유니트(66)는, 개구(65)로부터 유니트호울더(68)의 프레임부(76)내에 장착되고, 단자부(83),(97)이 상호 접속된다. 또, 가령개구(65)와 유니트호울더(68)의 중심이 어긋나 있어도, 스위치유니트(66)는 스프링편(78)에 의해 자동조심되어, 원활하게 장착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제3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의 도어유니트를 접속하는 와이어하아네스에 여분의 길이를 형성한다고하는 낭비가없어지는 동시에, 스위치유니트(66)를 도어트림(63)의 개구(65)에 위쪽으로부터 삽입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장착작업이 편안하게 되고, 또한, 유니트호울더(68)가 스위치유니트(66)를 자동조심해서, 개구(65)와 유니트호울더(68)간의 중심편차를 흡수하므로, 원활한 장착과 확실한 전기적 접속을 행할 수 있고, 장착작업성이 한층더 향상한다.

Claims (10)

  1. 차실내로 향하는 계기판코어(1)와 차실앞쪽으로 향하는 계기판마운트멤버(4)로 이루어지는 계기판을 맞붙혀서, 차실앞부분에 설치되는 차실내전장품이 마운트되는 상기 계기판을 차체앞부분에 고정된 카울패널에 장착하는 것으로, 차실내전장품(2a,2b,2c,2d)을 차체전장품에 접속하는 전기배삭구조로서, 복수개의 전선다발로 이루어지는 전기배삭부재가, 적어도 제1의 전기배삭부재부분(7)과 제2의 전기배삭부재부분(20)으로 나누어져 있고, 제1의 전기배삭부재부분(7)은, 상기 계기판마운트멤버(4)에 마운트되고, 제2의 전기배삭부재부분(20)은, 상기 계기판코어(1)에 마운트되고, 상기 제1의 전기배삭부재부분(7)은, 상기 계기판의 앞부분에 마운트되어 있는 제1의 전장품그룹(2a,2b,2c,2d)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의 전기배삭부재부분(20)은, 상기 계기판의 상부에 마운트되어 있는 제2의 전장품그룹(50)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의 전기배삭부재부분(7)을 상기 계기판마운트멤버(4)에 마운트하기 위한 제1마운트수단(7b~7f)과,상기 제2의 전기배삭부재부분(20)을 상기 계기판코어(1)에 마운트하기 위한 제2마운트수단(22,25)과, 상기 계기판마운트멤버(4)와 상기 계기판코어(1)를 서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수단(5a~5f,6a~6f)과, 상기 제1,제2의 전기배삭부재부분(7,20)을 서로 접속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코넥터(10,24)와, 상기 제1의 전장품그룹(2a,2b,2c,2d)을 상기 제1의 전기배삭부재부분(7)에 접속하기 위한 복수개의 코넥터(11~15)와, 상기 제2의 전장품그룹(50)을 상기 제2의 전기배삭부재부분(20)에 접속하기 위한 복수개의 코넥터(21A~21C,23)와, 상기 제1의 전기배삭부재부분(7)을 상기 차체전장품에 접속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코넥터(9A,9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배삭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의 전기배삭부재부분이 서로 접속되는 부분에, 소정의 제어순서를 실행하는 제어유니트(3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배삭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니트(30)는, 상기 계기판마운트멤버(4)에 마운트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배삭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니트(30)는, 상기 코넥터(10,24)가 접속되는 코넥터부(10a,3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배삭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전기배삭부재부분(7)은 소정의 제어순서를 실행하는 제어유니트(3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배삭구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전기배삭부재부분(7)은, 차체전장품을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9A,9B)와, 상기 제어유니트(30)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10)와, 연료뚜껑열개스위치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16)와, 트렁크뚜껑열개스위치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17)와, 에어콘스위치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11)와, 오디오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12)와, 센터콘솔을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13)와, 미터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14)와, 콜럼스위치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15)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배삭구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전기배삭부재부분(20)은, 자동차조명제어용의 일사센서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21A)와, 글러브박스램프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21B)와, 글러브박스램프스위치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21C)와, 에어콘용 일사센서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23)와, 상기 제어유니트(30)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24)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배삭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의 전기배삭부재부분(7,20)을 서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는, 상기 계기판코어(1)와 상기 계기판마운트멤버(4)와의 사이의 고정부(5c,6c)의 가까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배삭구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전기배삭부재부분(7)은, 상기 제1의 전장품그룹(2a,2b,2c,2d)을 상기 제1의 전기배삭부재부분(7)에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11~15)로서, 차체전장을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9a,9b)와, 상기 제어유니트(30)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10)와, 연료뚜껑열개스위치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16)와, 트렁크뚜껑열개스위치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17)와, 에어콘스위치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11)와, 오디오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12)와, 센터콘솔을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13)와, 미터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14)와, 콜럼스위치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15)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배삭구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전기배삭부재부분(20)은, 자동차조명제어용의 일사센서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21A)와, 글러브박스램프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21B)와, 글러브박스램프 스위치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21C)와, 에어콘용 일사센서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23)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배삭구조.
KR1019910021862A 1990-11-30 1991-11-30 차량용 전기배삭(配索)구조 KR9600102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340093 1990-11-30
JP2340093A JP3046981B2 (ja) 1990-11-30 1990-11-30 車両用電気配索構造
JP91-019374 1991-03-28
JP1937491U JP2516517Y2 (ja) 1991-03-28 1991-03-28 ドアユニット接続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661A KR920009661A (ko) 1992-06-25
KR960010205B1 true KR960010205B1 (ko) 1996-07-26

Family

ID=26356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1862A KR960010205B1 (ko) 1990-11-30 1991-11-30 차량용 전기배삭(配索)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324203A (ko)
KR (1) KR960010205B1 (ko)
DE (1) DE4139434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5080A (en) * 1993-03-17 1997-03-25 Yazaki Corporation Meter module, connecting device thereof, wiring harness protector, and connecting device of instrument wiring harness
DE4409183C2 (de) * 1993-03-17 1999-03-11 Yazaki Corp Einrichtung zum elektrischen Anschluß einer zentralen Steuerschaltungsplatte
US5805402A (en) * 1993-06-09 1998-09-08 Ut Automotive Dearborn, Inc. Integrated interior trim and electrical assembly for an automotive vehicle
JP3097800B2 (ja) * 1994-03-11 2000-10-10 矢崎総業株式会社 メータ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組立体
JPH09123798A (ja) * 1995-10-30 1997-05-13 Yazaki Corp クラスタモジュールの組付け構造
JP3046537B2 (ja) * 1995-11-28 2000-05-29 株式会社ハーネス総合技術研究所 自動車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ハーネスの接続構造
US5936818A (en) 1995-12-08 1999-08-10 Ut Automotive Dearborn, Inc. Interior trim panel and electrical harness apparatus for an automotive vehicle
JPH09240319A (ja) * 1995-12-28 1997-09-16 Yazaki Corp 電装モジュールの組付け構造
JP3476988B2 (ja) * 1995-12-28 2003-12-10 矢崎総業株式会社 電装品ユニットの組付構造およびその組付方法
US5712764A (en) * 1996-05-03 1998-01-27 Ford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ing vehicle instrument panel structural and electronic components
JP3144468B2 (ja) * 1996-05-16 2001-03-12 矢崎総業株式会社 インパネ用ワイヤハーネス装置
JP3316788B2 (ja) * 1996-05-16 2002-08-19 矢崎総業株式会社 インパネ用ワイヤハーネス装置
FR2751481B1 (fr) * 1996-07-16 1998-09-04 Sylea Installation d'alimentation de dispositifs electriques sur des pavillons de vehicules
JP3189208B2 (ja) * 1996-12-19 2001-07-16 矢崎総業株式会社 ドアハーネスの接続構造
DE19724966C2 (de) * 1997-06-12 2000-10-26 Draexlmaier Lisa Gmbh Türverkleidungsmodul und Verfahren zum Montieren eines solchen Türverkleidungsmoduls
US6069319A (en) * 1997-07-22 2000-05-30 Lear Automotive Dearborn, Inc. Foamed-in harnesses
US5917151A (en) * 1997-08-29 1999-06-29 Ut Automotive Dearborn, Inc. Multi-shot mold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JP3724682B2 (ja) * 1997-09-17 2005-12-07 スズキ株式会社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サポートメンバ構造
US5934744A (en) * 1997-10-01 1999-08-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Cross car structural beam
WO1999035021A1 (en) * 1998-01-02 1999-07-15 Prince Technology Corporation Integrated modular instrument panel assembly
US6048020A (en) * 1998-02-11 2000-04-11 Yazaki Corporation Electrical interconnection module for vehicle instrument panel
US6392148B1 (en) * 1999-05-10 2002-05-21 Furukawa Electric Co., Ltd. Wire harness joint
JP3503875B2 (ja) * 1998-11-25 2004-03-0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装置
JP3441672B2 (ja) * 1999-04-22 2003-09-0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自動車用電源監視装置
DE19923705B4 (de) * 1999-05-22 2012-08-23 Volkswagen Ag Elektrische Steckverbindung
FR2796608B1 (fr) * 1999-07-23 2001-10-05 Plastic Omnium Valeo Interiors Procede de fabrication de tableau de bord et tableau de bord obtenu par un tel procede
US6250706B1 (en) * 1999-08-17 2001-06-26 Lear Corporation Integrated flat cable connector
US6511342B1 (en) 1999-08-17 2003-01-28 Lear Corporation Modular instrument panel system having a flat flexible bus
US6364394B1 (en) 1999-08-17 2002-04-02 Lear Corporation Wire harness retainer
US6441510B1 (en) * 1999-08-17 2002-08-27 Lear Corporation Reconfigurable modular instrument cluster arrangement
JP2001158363A (ja) * 1999-12-02 2001-06-12 Yazaki Corp ステアリングワイヤーハーネス、ステアリングモジュール、ステアリングワイヤーハーネスの配線システム
US6351962B1 (en) * 1999-12-06 2002-03-05 Denso Corporation Cockpit module assembly including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4151181B2 (ja) * 1999-12-10 2008-09-1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計器盤内電気配線構造
EP1120317A3 (en) * 2000-01-28 2003-08-20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DE10105292B4 (de) * 2000-02-09 2005-12-15 Denso Corp., Kariya Zentrale Fahrzeug-Baugruppen-Anbringungsstruktur mit elektrischem Anschluss
JP2001257040A (ja) * 2000-03-14 2001-09-2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自動車用電装部品及び自動車用内装ユニット
JP2001328460A (ja) * 2000-05-23 2001-11-27 Denso Corp 車両用コクピットモジュール組付体およびその組付方法
US7264074B2 (en) * 2000-05-26 2007-09-04 Jennings Douglas M After-market dashboard bezel for an automobile having a number of instrument holders and associated method
US6483048B1 (en) 2000-07-25 2002-11-19 Textron Automotive Company, Inc. Automotive trim panel with electrical wiring incorporated therein
US6371551B1 (en) * 2000-10-24 2002-04-16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Integrated steering column, instrument panel, and cowl body structure
EP1238849B1 (de) 2001-03-07 2013-05-15 Continental Automotive GmbH Instrumententafel für ein Kraftfahrzeug
US6466431B1 (en) * 2001-06-05 2002-10-15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Modular electronic control unit mounting device for a mobile vehicle
JP2003154874A (ja) * 2001-11-16 2003-05-27 Yazaki Corp インパネモジュールおよび車両用の伝送システム
DE10163201A1 (de) * 2001-12-21 2003-07-10 Behr Gmbh & Co Heizungs- oder Klimaanlage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US6634693B2 (en) * 2002-01-31 2003-10-2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Automobile instrument panel assembly
US6621688B1 (en) 2002-06-26 2003-09-16 Alcoa Fujikura Limited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having integral junction box for instrument panel application
DE10235578A1 (de) * 2002-08-03 2004-02-12 Bayerische Motoren Werke Ag Bordnetz für Kraftfahrzeuge mit einem Cockpit-Modul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s Cockpit-Moduls
US6669273B1 (en) * 2002-09-16 2003-12-30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Vehicle instrument panel structure to support electronics packaging
US6719258B2 (en) * 2002-09-16 2004-04-13 Activar, Inc. Shock and vibration isolation apparatus for motor vehicles seats
US6972375B2 (en) * 2002-10-21 2005-12-06 Denso Corporation Wiring harness
US6705671B1 (en) * 2002-11-12 2004-03-16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Electronically integrated vehicle support structure
DE10254348B4 (de) * 2002-11-21 2005-02-24 Daimlerchrysler Ag Baugruppe für einen Cockpit-Bereich
US7070229B2 (en) * 2003-02-21 2006-07-04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Underhood electronic interior integration
US20040242026A1 (en) * 2003-05-27 2004-12-02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Vehicle cockpit system with integrated electronics
DE10352920B4 (de) * 2003-11-11 2005-12-08 Peguform Gmbh Verfahren zur Befestigung von Flachbandkabelsystemen
KR100602670B1 (ko) * 2004-09-15 2006-07-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클러스터 게이지 장착구조
US7168751B2 (en) * 2004-09-20 2007-01-30 Lear Corporation Automotive center stack panel with contact-less switching
DE102004050689A1 (de) * 2004-10-18 2006-06-22 Siemens Ag Stecksystem, insbesondere für mechatronische Getriebe- oder Motorsteuerungen
US7338314B2 (en) * 2006-07-27 2008-03-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ical wire routing connector presenter bracket
JP5002209B2 (ja) * 2006-07-28 2012-08-15 矢崎総業株式会社 表示装置
US8011720B2 (en) * 2009-04-09 2011-09-0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Apparatus to aid in the assembly of cables and electrical components
DE112010003108T5 (de) * 2009-07-28 2012-10-25 Honda Motor Co., Ltd. Aufbau zur Anordnung einer elekronischen Komponente im Fahrzeug für eine elektronische Komponente für den Elektromotor zum Antreiben des Fahrzeugs
DE102009026297B4 (de) * 2009-07-31 2013-08-08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Cockpitquerträger mit variablem Lenksäulenneigungswinkel
CA2716388A1 (en) * 2010-01-27 2011-07-27 Lennox Industries Inc. Air conditioning wiring system
JP5569254B2 (ja) * 2010-08-25 2014-08-13 スズキ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サポートメンバーの構造
US10099560B2 (en) 2011-01-26 2018-10-1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the speed of a vehicle
US8991772B2 (en) * 2011-09-02 2015-03-3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Instrument panel assembly
US9440595B2 (en) 2014-12-18 2016-09-1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Instrument panel substrate with pin positioning pattern for correct placement of multiple ECU attachments
WO2017222076A1 (ja) 2016-06-24 2017-12-28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回路体
WO2017222073A1 (ja) 2016-06-24 2017-12-28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回路体
WO2017222075A1 (ja) 2016-06-24 2017-12-28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回路体
JP6856641B2 (ja) * 2016-06-24 2021-04-07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回路体
DE112017003134B4 (de) 2016-06-24 2023-03-16 Yazaki Corporation Fahrzeugstromkreisstruktur
JP6490624B2 (ja) * 2016-06-29 2019-03-27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
JP6870533B2 (ja) * 2017-08-23 2021-05-1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気部品付ワイヤーハーネスおよび電気部品付ワイヤーハーネスの組付構造
JP2020082851A (ja) * 2018-11-19 2020-06-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電源幹線配索構造
FR3118923B1 (fr) * 2021-01-20 2024-05-10 Jtekt Europe Sas Calculateur de direction comprenant un boitier de connexion collé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0653B2 (ja) * 1979-06-04 1984-10-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計器盤の結線構造□/
DE3529660A1 (de) * 1984-08-20 1986-02-27 Yazaki Corp., Tokio/Tokyo Kabelbaumbefestigungsvorrichtung fuer eine kraftfahrzeugtuer
JPS62116334A (ja) * 1985-11-15 1987-05-27 Yazaki Corp 車輌用ワイヤハ−ネス装置
JPS62191251A (ja) * 1986-02-18 1987-08-21 Yazaki Corp ワイヤ−ハ−ネスの組付方法および装置
DE3609609A1 (de) * 1986-03-21 1987-10-01 Audi Ag Mehrwandige fahrzeugtuer eines kraftfahrzeuges
DE3710642A1 (de) * 1987-03-31 1988-10-20 Leonische Drahtwerke Ag Kabelbaum,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JPH0654607B2 (ja) * 1987-09-08 1994-07-20 矢崎総業株式会社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用ワイヤーハーネス装置
JPH0790731B2 (ja) * 1988-01-25 1995-10-04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装置
JPH01219446A (ja) * 1988-02-29 1989-09-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蒸気発生装置
JPH0635816Y2 (ja) * 1988-03-25 1994-09-21 矢崎総業株式会社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用ワイヤーハーネ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139434C2 (de) 1997-01-30
DE4139434A1 (de) 1992-06-04
US5324203A (en) 1994-06-28
KR920009661A (ko) 1992-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0205B1 (ko) 차량용 전기배삭(配索)구조
EP0235922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 wire harness
US6048020A (en) Electrical interconnection module for vehicle instrument panel
EP0334343B1 (en) Wire harness coupler instrument panels
US5549344A (en) Structure of instrument panel portion for use in vehicles
KR970000298B1 (ko) 차량용 전기배삭구조
CN107546665B (zh) 线束
CN107539242B (zh) 线束
US5883777A (en) Meter module and structure for assembling the same
US20020024234A1 (en) Rear gate door for vehicle
US7180020B2 (en) Steering column module
US5743755A (en) Connector system
US20030094831A1 (en) Instrument panel module including power/signal transmission system for vehicle
GB2382730A (en) Wire harness
US6108905A (en) Method and structure for assembling meter modules to vehicles
JP2926674B2 (ja) メータ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接続装置
JP3046981B2 (ja) 車両用電気配索構造
US5668415A (en) Arrangement of harnesses in a vehicle
US5768092A (en) Cluster module and its assembling method
JPH08318795A (ja) コックピットモジュールにおけるワイヤハーネス構造
US20020094714A1 (en) Vehicle air-conditioning module
KR200153559Y1 (ko) 자동차의 오디오 및 에어컨 컨트롤 박스 장착 구조
JPH10172656A (ja) コネクタの取付け構造
JP2598639B2 (ja) ダツシユボード内の配線構造
US6796846B2 (en) Equipment assembly for motor vehicle comprising improv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7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