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301B1 - 차량용 시이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301B1
KR960004301B1 KR1019870001809A KR870001809A KR960004301B1 KR 960004301 B1 KR960004301 B1 KR 960004301B1 KR 1019870001809 A KR1019870001809 A KR 1019870001809A KR 870001809 A KR870001809 A KR 870001809A KR 960004301 B1 KR960004301 B1 KR 960004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k
base frame
arm
frame
bell cr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1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8733A (ko
Inventor
이사오 이께가야
마꼬또 우에스기
신야 나까무라
아끼히사 야마모또
Original Assignee
후지 기꼬오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따 이사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40158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3715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11606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5980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116062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75852A/ja
Priority claimed from JP1160618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3715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0971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5557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6991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25450A/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 기꼬오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따 이사무 filed Critical 후지 기꼬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8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8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8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with weight compens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0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60N2/161Rods
    • B60N2/1615Parallelogram-like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65Gear wheel driven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7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with weight compens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0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with independent front and/or rear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60N2/181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864Gear wheel driven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시이트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차량용 시이트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2도는 높이 조정시의 설명용 단면도이고,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3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차량용 시이트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4도는 높이 조정시의 설명용 단면도이며,
제5도 내지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5도는 단면도,
제6도는 쿠션프레임 뒷쪽의 상하 움직임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7도는 쿠션프레임 앞쪽의 상하 움직임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8도 및 제9도는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8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차량용 시이트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9도 (a),(b),(c)는 시이트의 시이트 쿠션을 의사 평형리프트, 앞쪽 경사 및 뒷쪽 경사의 세가지 동작을 시킨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제l0도 및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10도는 차량용 시이트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11도 (a),(b)는 시이트의 시이트 쿠션 동작설명도,
제12도 내지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12도는 사시도,
제13도는 측단면도,
제14도는 작동 모우드(mode)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15도는 제6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이트 12 : 슬라이드 레일
14 : 베이스프레임 16 : 쿠션프레임
18 : 시이트 등받이프레임 20 : 베어링 브라케트
22 : 평링크레버 24 : 피벗핀
26 : 연결핀 28 : 벨크랭크
30 : 피벗핀 32 : 연결로드
34 : 연결핀 36 : 평치차
38 : 크랭크핀 40 : 조작축
42 : 피니언기어 50 : 피벗핀
52 : 벨크랭크 54a : 축
56 : 조작축 58 : 피니언기어
60 : 평치차 62 : 크랭크핀
64,68 : 평링크레버 66 : 연결핀
70 : 브라켓트 80 : 평링크
82 : 부착핀 84 : 인장코일스프링
90 : 리클라이닝 장치(Reclining Device) 92 : 레치용레버
94 : 리클라이닝 노브 94a : 선회레버
96 : 연결축 98 : 스파이어럴 스프링
104 : 크랭크레버 106 : 평링크
110 : 조작용 노브 M1,M2: 모우터 유니트
본 발명은 차량용 시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이트 쿠션의 높이 조정기구중 승강부분을 관장하는 링크기구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시이트에는 시이트 쿠션의 높이 조정기구가 조립되어서 앉는 사람의 앉은 키나 다리의 길이에 맞춰서 시이트 쿠션 전체의 높이를 조정하기도 하고, 시이트 쿠션의 후단을 올리거나 혹은 전단을 내릴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시이트를 맞추어 적정한 위치에 다리끝이 놓이도록 하기도 하여서, 운전시의 전방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런 종류의 높이 조정기구를 갖춘 차량용 시이트는 시이트 쿠션 승강기구와 이 승강기구를 구동하기 위한 작동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기구로는, 일본국에서의 종래의 특허출원으로서 실개소57-194842호 공보, 실개소58-49864호 공보, 실개소60-90030호 공보에 각종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또한 이것에 유사한 기술도 여러가지 개발되어 있다.
이들 기술에 공통적으로 채용되고 있는 승강기구는 주로 평행 링크기구이다 즉, 이들 기술은 평행 링크기구를 구성하는 한쌍의 링크의 상부를 시이트 쿠션의 앞뒤에 결합하여서, 각 링크의 기울어짐 각도의 변화에 따라서 시이트 쿠션의 전후단부 혹은 쌍방의 높이를 가변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런 종류의 높이 조정기구에서는 링크의 요동단, 바꾸어 말하면 상부에 직접 시이트 쿠션의 결합되고 회동중심에 조작용의 축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축의 회전범위가 한정되어 있다.
즉, 이 구조에서는 링크가 바로 선 상태가 최대의 높이위치, 수평상태가 최저위치이기 때문에 조작축의 회동범위는 0°∼90°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어느 것인가 한쪽의 상태로부터 시이트 쿠션의 재조정을 행함에는 조작축을 역회전하는 일이 필요한 것이다.
또한, 이런 종류의 높이 조정기구의 작동방식에는 조작축의 단부에 구성된 노브를 조정자의 손으로 잡아돌리는 수동식과, 소위 파워 리프트라고 칭하는 조작축을 감속기구를 개재한 전동 모우터의 출력축에 연계하여 버튼 조작만으로 모우터를 회전시키고 이 동력을 링크기구에 전달하는 모우터 구동식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평행 링크기구를 사용한 승강기구의 조작축을 수동식으로 돌리는 경우에는 조작범위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한계를 넘어선 범위를 조정하고자 매카니즘(mechanism) 각각에 무리한 힘을 가하여 손상될 염려가 생긴다.
한편, 수동식의 작동방식은 익숙해진 사람에게 있어서는 적합할런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조작축에 회전제한이 있는 경우에는 손에 직접 회전의 제한상태를 시사하는 감촉이 전달되기 때문이다.
이것에 대하여, 모우터 구동식에서는 손의 감촉과 마찬가지인 센서 및 장치를 필요로 한다. 이들은 회전정지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 및 스위치의 검출 출력에 따라서 모우터의 역회전제어를 행하는 기구이다. 따라서, 모우터 구동식에서는 회전을 제한하는 기구를 부가하는 것 만큼 복잡화된다.
따라서, 수동 혹은 모우터 구동방식의 어느 것이더라도 회전범위가 규제되는 것은 매카니즘 각각의 강성에 악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그것을 방지하는 기구도 부가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바람직스러운 작동 방식이라고는 말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세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수동 또는 모우터의 구동에 의하여 승강기구를 작동하기 위한 조작축이 무제한으로 회전 가능하고, 조작축의 회전에 따른 크랭크의 1회전중에 승강기구가 시이트 쿠션의 높이를 최저위치로부터 최고위치까지 위치시킬 수 있는 차량용 시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작축의 무제한 회전에 의하여 수반되는 작동기구의 소형, 콤팩트화 및 이것에 따른 원가 절감등을 가져오는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이트 쿠션 후단부의 승강기구를 상기 조작축의 무제한 회전에 의하여 구동할수 있는 시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이트 쿠션 전단부의 승강기구를 상기 조작축의 무제한 회전에 의하여 구동할 수 있는 시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이트 쿠션의 전단부 및 후단부의 승강기구를 각각 독립한 한쌍의 조작축의 무제한 회전에 의하여 구동할 수 있는 시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이트 쿠션의 전단부 및 후단부의 승강기구를 하나의 조작축의 무제한 회전에 의하여 구동할 수 있는 시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이트 쿠션의 전후단부의 승강기구를 하나의 조작축의 무제한 회전에 의하여 구동 가능한 것에 있어서, 전단부의 승강, 의사평행 리프트 및 후단부의 승강동작을 조작축의 회전에 따른 크랭크의 1회전중에 연속하여 행하는 시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승강동작시에 있어서 쿠션프레임에 비틀림등의 강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는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이트 등받이의 각도 조정용 리클라이닝 장치(Reclining Device)와 상기 승강기구의 조작부분을 무리없이 조립한 시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차량용 시이트(10)는 슬라이드 레일(12)상에 고정된 베이스프레임(14)과, 베이스프레임(14)의 내측 상부에 배치된 쿠션프레임(16)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4)의 후단부에 도시되지 아니한 리클라이닝 장치를 개재하여 전후로의 경사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된 시이트 등받이프레임(18)으로 개략 구성되어 있다.
상기 쿠션프레임(16)의 선단 하부에는 베어링 브라케트(20)가 고정되고, 이 베어링 브라케트(20)에는 평링크레버(22)의 상단이 피벗핀(pivot pin : 24)이 개재되어 연결되어 있다.
평링크레버(22)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4)의 선단내측부에 연결핀(26)이 개재되어 연결되어 있다. 평링크레버(22)는 베이스프레임(14)에 대하여 거의 직립상태에서 미세하게 전후 요동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쿠션프레임(16)의 선단을 회동 가능하게 피벗지지한다.
또한, 상기 쿠션프레임(16)의 후단 하부에도 베어링 브라케트(20)가 고정되고, 이 브라켓트(20)는 연결핀(26)을 개재하여 벨크랭크(28)의 상부쪽 요동단에 연결되어 있다.
벨크랭크(28)의 요동 중심은 베이스프레임((14)의 뒷쪽에 피벗핀(30)에 의하여 피벗지지되어 있고, 그 하부쪽 요동단은 연결로드(32)의 후단에 연결핀(34)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연결로드(32)는 쿠션프레임(16)의 하면에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그 선단은 크랭크 아암을 겸용하는 평치차(36)의 단면에 구성된 크랭크핀(38)에 연결되어 있다.
평치차(36)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4)의 선단 내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피벗지지되고, 마찬가지로 베이스프레임(14)의 내외측부를 관통하여 베어링지지된 조작축(40)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42)에 치차 연결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외부 조작에 의한 조작축(40)의 일방향 회전동력에 의하여 피니언기어(42)를 개재하여 평치차(36)가 감속 회전된다.
평치차(36)의 1회전에 의하여 연결로드(32)는 1왕복하고, 이것에 의하여 벨크랭크(28)는 연결로드(32)의 스트로우크에 따른 왕복요동을 행한다. 이 요동에 의하여 쿠션프레임(16)의 후단부가 제1도에 나타낸 최저위치로부터 제2도의 가상선으로 나타낸 최고위치까지 피벗핀(24)을 회동중심으로 하여 들어 올려지고 재차 최저위치까지 하강하는 사이클이 연속적으로 반복된다.
또한, 회동시 쿠션프레임(16)의 근소한 전후 이동은 평링크레버(22)의 전후 요동운동에 의하여 흡수된다.
쿠션프레임(16)이 앞으로 기울었을 때의 후단의 상하 조정량은 평치차(36)에 설치된 크랭크핀(38)의 편심비, 밸크랭크(28)의 레버길이에 의하여 정해진다.
따라서, 조정시에 있어서는 조작축(40)은 임의의 일방향 회전만을 연속적으로 행하기 때문에 이것에 역회전 방지를 위한 불가역기구를 구성해 놓으면, 임의의 앞으로의 경사 각도로 쿠션 크레임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축(40)을 모우터 구동하는 경우에는 단순히 모우터를 구동-정지시키기 위한 스위치만으로 각도 조정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1실시예에 의하면, 조작축의 무제한적인 일방향 회전에 의하여 크랭크 아암을 구성하는 평치차의 1회전중에 시이트 쿠션의 후단부가 최고위치와 최저위치 사이를 연속적으로 왕복운동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회전 장치를 위한 기구를 구성할 필요가 없으며, 특히 모우터 동력에 의하여 앞으로의 경사 조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위치 검출용 스위치나 반대회전(역전)제어가 불필요하게 되어서 기구를 간략화할 수있는 것이다.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실시예와 공통인 부재에는 공통부호를 부여하고, 다른 부분에 대하여만 다른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면에 있어서, 차량용 시이트(10)는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레일(12)상에 고정된 베이스프레임(14)과, 베이스프레임(14) 의 상부에 배치원 쿠션프레임(16)과, 베이스프레임(14) 의 후단부에 도시하지 아니한 리클라이닝 장치를 개재하여 전후로의 경사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된 시이트 등받이프레임(18)으로 개략 구성되어 있다.
상기 쿠션프레임(16)의 후단하부에는 베어링 브라케트(20)가 고정되고, 이 베어링 브라케트(20)에 베이스프레임(14)의 뒷쪽 내측면에 부착된 피벗핀(50)이 끼워져 있고, 이 피벗핀(50)을 회동중심으로 하여, 쿠션프레임(16)의 후단부를 베이스프레임(14)에 요동이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4)의 앞쪽 내측면에는 벨크랭크(52)의 회동중심이 축(54a)에 개재되어 요동이 가능하게 피벗지지되어 있다.
이 벨크랭크(52)의 뒷쪽 근방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14)의 내측면에는 이것의 내외주를 관통하여 굴대 지지된 조작축(56)에 설치된 피니언기어(58) 및 피니언 기어(58)에 치차 맞춤하는 평치차(60)가 배치되어있다. 이 평치차(60)는 크랭크 아암을 겸용하는 것으로, 그 단면에는 축중심으로부터 소정의 편심비로 크랭크핀(62)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크랭크핀(62)에는 제1평링크레버(64)의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밸크랭크(52)의 상부측 요동단에 연결된 (66)으로 개재되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벨크랭크(52)의 아래쪽 요동단에는 제2평링크레버(68)의 하단이 마찬가지로 연결핀(66)으로 개재되어 연결되어 있다. 평링크레버(68)의 상단은 상기 제1평링크레버(64)와 "X"자 형상으로 교차한 상태로 상기 쿠션프레임(16)의 전단 하부에 고정된 브라케트(70)에 마찬가지로 연결핀(66)으로 개재되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벨크랭크(52), 피니언 기어(58), 평치차(60) 및 평링크레버(64),(68)는 평면적으로 보이지만, 서로의 회전 또는 요동운동이 방해되지 않도록 인접 배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외부 조작에 의한 조작축(56)의 회전동력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58)로 개재된 평치차(60)가 감속 회전된다. 이것에 의하여, 벨크랭크(52)는 요동하고, 평치차(60)의 1회전중에 쿠션프레임(16)의 전단부는 제3도에 나타낸 최저위치로부터 제4도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최고위치까지 후단의 피벗핀(50)을 회동중심으로 하여 들어 올려지고, 재차 최저위치까지 하강되는 사이클을 반복하는 것이다.
이 조정량은 크랭크핀(62)의 편심비, 벨크랭크(52)의 레버길이 등에 의하여 정해진다.
따라서, 조작축(56)은 임의의 일방향 회전만을 연속적으로 행하기 때문에 이것에 역회전 방지를 위한 기구를 구성해 놓으면 임의의 높이위치에 쿠션프레임(16)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축(56)을 모우터 구동하는 경우에도 역회전 기구는 불필요하고 단순히 모우터를 구동-정지시키기 위한 스위치만으로 높이 조정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제2실시예에 의하면 조작축의 무제한적인 일방향 회전에 의하여 평치차의 1회전중에 시이트 쿠션의 전단부가 최저-최고위치 사이를 연속적으로 왕복하는 운동을 크랭크 아암의 1회전중에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회전정지를 위한 기구를 구성할 필요가 없고, 특히 모우터 동력에 의하여 높이 조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위치 검출용 스위치나 반전제어가 불필요하게 되어서 기구를 간략화할 수 있는 것이다.
제5도 내지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는 상기 제1, 제2실시예를 조합하여서 시이트 쿠션의 전단과 후단을 각각 한쌍의 조작축으로 독립하여 높이 조정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거의가 상기 제l, 제2실시예와 공통인 부재로 되어 있으며, 주된 차이점은 제1실시예에 비하여 연결로드(32) 및 이것에 연동하는 조작축(40)의 위치만이 다른 것뿐으로서, 이 실시예의 설명은 대부분을 상기 각 실시예에 공통되는 부호를 부여하여 도시하고 요부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앞쪽의 조작축(56)을 포함하는 매카니즘이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으로 되어있고, 또한, 뒷쪽의 조작축(40)의 위치가 베이스프레임의 중앙까지 후퇴하여 있다. 이것에 수반되는 주된 변경부분은 상기 연결로드(32)의 길이가 짧아져 있는 점이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뒷쪽이 제6도와 같이 조작축(40)의 회전조작에 의하여 최저위치로부터 최고위치까지 변위하고 또한 앞쪽이 제7도와 같이 조작축(56)의 회전에 대응하여 변위한다.
제3실시예에서는 앞뒤의 조작축을 독립한 상태로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쿠션프레임을 상하평행이동 또는 앞쪽 또는 뒷쪽을 소정의 높이위치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조정범위를 확대할 수 있으며, 각도 자세의 선택범위도 크게 되는 것이다.
제8도 및 제9도는 제4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으로부터 본 실시예의 구성은 일견하여 제3실시예의 변형임을 알 수 있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뒷쪽의 벨크랭크(28)에 연동하는 피니언(42) 및 평치차(36)를 없애고, 연결로드(32)를 제1실시예와 같이 전방으로 연장하고, 제2실시예에 나타낸 앞쪽의 평치차(60)의 크랭크핀(62)에 축 이음하고 있는 점이 상기 각 실시예와 다를 뿐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작용은 상기 제1∼제3실시예의 작용과는 크게 다르고, 매우 특이한 형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승강시의 작용에 중점을 두고 설명한다.
조작축(56)의 회전 조작에 의한 평치차(60)의 회전에 의하여 쿠션프레임(16)의 뒷쪽은 크랭크핀(62)의 편심비 및 뒷쪽 벨크랭크(28)의 레버비에 대응한 높이위치로 상승 하강 운동한다.
또한, 쿠션프레임(16)의 앞쪽은 제9도 (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최저높이위치를 시점으로 하여 크랭크핀(62)의 어떤 일정한 회동각도(α1°)의 범위에서 평링크(64)가 벨크랭크(52)를 밀어 올림으로써 뒷쪽 벨크랭크(28)와 같은 주기로 상승 하강 운동한다. 따라서, 0°~α1°의 범위에서는 일종의 의사 평행링크 운동에 의하여 쿠션프레임(l6)의 앞뒤는 가상선과 같이 거의 평행하게 상승 하강하여서, (0°)를 최저로 하고, (α1°)를 최고의 높이위치로 한 평행조정을 행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 각도(α1°)를 넘은 상태에서는, 제9도 (b)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뒷쪽 벨크랭크(28)는 아직 회동하고 있는 반면, 앞쪽 벨크랭크(52)의 상승량은 작아 쿠션프레임(16)은 가상선과 같이 앞으로 기운다.
즉, 앞뒤의 레버비의 상위가 현저하게 된다. 이 상태는 뒷쪽 벨크랭크(28)가 하강측으로 요동하기까지의 각도범위 (α2°)까지이다.
다음에 이 각도(α2°)를 넘은 상태로부터 원점위치까지의 각도(α3°)의 범위에서는 제9도 (c)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뒷쪽 벨크랭크(28)는 최대의 요동상태로부터 되돌아 요동되어서 높이 변화는 거의 없다. 그러나, 앞쪽 벨크랭크(52)는 다시 상승측으로 밀어 올려지기 때문에 쿠션프레임(16)의 전단은 최대의 높이위치까지 밀어 올려져서 뒤로 기울게 된다.
그후 쿠션프레임(16)의 전단은 후단보다도 늦게 하강하여 서서히 평행하게 되면서 각도면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최저높이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초작축(56)의 1회전중에 쿠션프레임(l6)은 의사 평행리프트-앞쪽 경사-뒷쪽 경사의 세가지 동작을 연속적으로 행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상의 동작에서의 높이 조정량이나 앞뒤 경사각도는 벨크랭크(28)(52)의 레버비나 크랭크핀(62)의 편심량 및 평링크(64)(68)의 길이에 대응하여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시이트 등받이는 평행 상승량과 뒷부분 경사량을 주로 조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중간의 앞쪽 경사에 요하는 각도(α2°)의 범위를 고정하고 조작축(56)이 시계방향 회전으로 평행상승 반시계 방향 회전으로 뒷부분 경사조절을 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어, 쿠션프레임(16)을 주로 하여 의사 평행리프팅시키는 경우에는 앞쪽 벨크랭크(52)의 베이스프레임(14)으로의 피벗지지점(피벗핀(54)) 및 평링크(68)의 앞쪽 브라케트(70)로의 피벗지지점(연결핀(66))의 위치로 아래쪽, 즉 슬라이드 레일(12)쪽으로 당겨서 구성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주로 앞쪽 경사 및 뒷쪽 경사의 두가지 동작을 시키는 경우에는 평링크(64)의 앞쪽 브라케트(70)로의 피벗지지점(연결핀(66))의 위치를 크랭크핀(62)쪽으로 이동시켜 구성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제4실시예에 의하면, 시이트 쿠션의 의사 평행리프트, 앞쪽 경사 및 뒷쪽 경사의 세가지의 동작, 혹은 주로 의사 평행리프트 및 앞쪽 경사의 두가지 동작, 또는 주로 의사 평행리프트 및 뒷쪽 경사의 두가지 동작, 또는 주로 앞쪽 경사 및 뒷쪽 경사의 두가지 동작, 또는 주로 의사 평행리프트의 동작을 선택하여 하나의 기구에 의하여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기구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더우기 조정조작을 하나의 조작 노브 또는 레버 혹은 모우터 구동에 의하여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조정작업도 간단화할 수가 있는 것이다.
제10도 및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4실시예의 변형예라고 하더라도 과언은 아니다. 그 이유는 하나의 조작축에 의하여 시이트 쿠션의 전후단의 승강동작과 의사 평행리프트를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 승강을 위한 기구는 대폭 간략화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세동작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 특징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요부는 다음과 같다.
도면에 있어서, 평치차(60)의 크랭크핀(62)에는 평링크(80)의 하단이 굴대 연결되어 있다. 이 평링크(80)의 상단은 쿠션프레임(16)의 하부에 구성된 브라케트(70)에 연결핀(66)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평치차(60)와 뒷쪽 벨크랭크(28) 사이에는 일단이 평치차(60)에 돌출된 부착핀(82)에 걸어 맞춤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핀(34)에 걸어 맞춤된 인장 코일스프링(84)이 매달리며, 이 인장 코일스프링(84)의 스프링 압에 의하여 벨크랭크(84)이 스프링 압에 의하여 벨크랭크(280 및 평치차(60)를 서로 가까와지는 방향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항상 쿠션프레임(l6)을 상승쪽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된 승강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작축(56)의 회전조작에 따른 평치차(60)의 회전에 의하여 쿠션프레임(16)의 뒷쪽은 크랭크축(62)의 편심비 및 벨크랭크(28)의 레버비에 대응한 높이위치로 승강 운동한다.
또한, 쿠션프레임(16)의 앞쪽은 마찬가지로 크랭크축(62)의 편심비 및 평링크(80)의 레버비에 대응한 높이위치로 승강 운동한다.
그리고, 양자의 레버비 및 편심비의 상위에 의한 벨크랭크(28)의 요동운동에 의하여 뒷쪽의 승강 운동시 앞쪽은 약간의 시간차를 두고 승강 운동을 한다. 이 상태를 제11도 (a),(b)에 나타내었다.
각 도면은 크랭크(62)가 (a)에 위치한 상태로부터 각각(α1°)∼(α8°)까지의 360°회동각에서의 각각의 위치(b)∼(h)까지에서의 앞쪽과 뒷쪽과의 시이소오 운동을 나타낸 것으로서, 각각의 각도위치에 있어서 쿠션프레임(l6)은 앞쪽 기울음 상태에서의 상승으로부터 평행상승 및 뒷쪽 기울음 하강에 이르기까지의 범위를수반하고 있다. 따라서, 평치차(60) 회전각의 조정에 의하여 평행 리프트 운동과 전후 경사운동의 세 종류의 상태를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벨크랭크(28)를 뒷쪽에, 평치차(60) 및 이것에 연결되는 평링크(80)를 앞쪽에 배치하고 있으나, 이것과 반대이더라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한, 조작축(56)의 구동 동력으로서는 조작축(56)에 굴대 연결된 조작 노브 혹은 레버를 대신하여 전용의 구동 모우터를 사용하여도 좋다. 제5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4실시예보다도 기구가 간소화된다.
제12도 내지 제14도는 본 발명의 좀더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거한 제6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상술한 제l 내지 제5실시예에서는 주로 본 발명의 원리 매카니즘만에 착안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시이트에 대한 실제적인 장착에 입각한 현실에 가까운 높이 조정기구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형상 및 조합과, 시이트의 높이 조정기구와 함께 병설되는 리클라이닝 장치와의 배치관계에까지 언급하여 설명하고 있다. 한편, 이 실시예에서는 우측 핸들 차량의 운전석쪽 시이트를 염두에 두고 도시되어 있으나, 좌측 핸들 차량의 운전석 시이트라면 이것과 대칭적 도형으로 된다는 것은 용이하게 상상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차량용 시이트(10)는 차체의 바닥면 위에 배치되는 한쌍의 슬라이드 레일(12)위에 고정된 한쌍의 베이스프레임(14)과, 베이스프레임(14)의 후단부에 회동이 가능하게 피벗지지된 등받이프레임(18)과, 베이스프레임(14)의 안쪽 상부에 승강 및 전후 경사가 가능하게 지지된 쿠션프레임(16)으로 개략 구성되어 있다.
쿠션프레임(16)은 사다리꼴형틀 형상으로 형성된 강판등의 프레스 성형체로서 틀사이에 도시되지 아니한 스프링등을 걸고, 패드, 표면장식재를 조립함으로써 시이트 쿠션을 완성한다. 또한, 상기 등받이프레임(18)도 거의 마찬가지인 사다리꼴틀 형상이며 상기 각 부재를 조립함으로써 시이트 등받이를 완성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쿠션프레임(16)의 승강동작서, 혹은 등받이프레임(18)의 앞뒤로의 경사시에 있어서 걱정스러운 것은 각 프레임(16)(18)에 대한 좌우 하중의 불균형에 의한 비틀림 현상일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이들 각 프레임(16)(18)의 한쪽 측면에 구성된 높이 조정기구 및 리클라이닝 장치에 힘이 가하여진 상태를좌우 균일하게 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베이스프레임(14)의 후단 한쪽에는 래치식 및 타우멜(Towmel)식 리클라이닝 장치(90)가 배치되며, 그 래치용레버(92)를 앞쪽으로 연장하여 설치함과 동시에 리클라이닝 노브(94)를 후단측부에 돌출시키고 있다.
등받이프레임(18)은 양베이스프레임(14) 사이에 피벗지지된 연결축(96)에 그 하부 양단이 결합되어 있다.
연결축(96)의 일단은 상기 리클라이닝 장치(90)의 선회레버(94a)에 연동하여 회동하고 그 동력을 등받이프레임(18)의 타단에 전달하여 등받이프레임(18)의 양단에 평균된 하중이 걸리도륵 되어 있다. 등받이프레임(18)의 타단측과 연결축(96) 사이에는 스파이어럴 스프링(98)이 개재되어 항상 등받이프레임(18)을 앞쪽으로 기우는 쪽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따라서, 래치용레버(92)를 조작하여 상기 리클라이닝 장치(90)를 프리(free) 상태로 함으로써 등받이프레임(18)은 연결축(96)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앞으로 기울어지려고 한다. 이것에 대항하여 등받이프레임(18)쪽에 하중을 가함으로써 등받이프레임(18)은 뒤로 기울어지고, 임의의 각도로 레버(92)를 이탈시킴으로써 리클라이닝 장치(90)는 대치되고, 등받이프레임(18)을 그 각도 자세로 유지하는 것이 된다. 또한, 하중은 연결축(96)을 개재하여 등받이프레임(18)의 좌우에 균등하게 가하여지기 때문에 비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쿠션프레임(16)은 이하의 기구에 의하여 각 베이스프레임(14)상에 유지되어 있다. 즉, 한쪽의 베이스프레임(14) 내측부 앞뒤에는 피벗지지축(54),(30)을 개재하여 한쌍의 벨크랭크(52),(28)가 요동이 가능하게 피벗지지되어 있고, 벨크랭크(52),(28)중 뒷쪽 벨크랭크(28)의 한쪽 요동단을 쿠션프레임(16)의 뒷쪽 아랫면에 설치된 브라케트(20)에 연결핀(26)을 개재하여 연결하고 있다.
또한, 앞쪽 벨크랭크(52)의 아래쪽 요동단과 쿠션프레임(16)의 앞쪽 아랫면에 설치된 브라켓트(70) 사이는 양단을 연결핀(66)으로 결합한 핑링크(68)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각 피벗축(54),(30)의 타단은 제12도와 같이 다른쪽의 베이스프레임(14)에 굴대지지되고, 이것에 설치된 크랭크레버(102),(l04)에 직접 및 평링크(106)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한쪽의 베이스프레임(l4)에는 조작축(56)이 굴대지지되고 이 조작축(56)의 외주에 일체화된 피니언(58)이 평치차(60)에 치합되어 있다.
평치차(60)의 단면에는 소정의 편심비로 크랭크핀(62)이 돌출 설비되어 있고, 이 크랭크핀(62)과 상기 앞쪽 벨크랭크(52)의 상부 요동단에 구성된 연결핀(66)이 평링크(46)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크랭크핀(62)과 뒷쪽 벨크랭크(28)의 하부요동단에 설치된 연결핀(34) 사이에는 연결로드(32)의 양단이 연결되어 있다.
이상에 의하여 뒷쪽 벨크랭크(28)와 앞쪽 벨크랭크(52)를 평치차(60)의 회전에 연계시키고 있다.
한편, 양벨크랭크(28),(52) 사이에는 인장 코일스프링(84)이 걸려서 양자의 상대위치의 덜거덕거림을 흡수하는 한편 쿠션프레임(16)을 항상 상방위치쪽으로 힘을 가하여 리프트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조작축(56)의 베이스프레임(14)으로의 바깥쪽 돌출단에는 조작용 노브(110)가 굴대 결합되어 있다.
다음에 이상의 구성으로 되는 차량시이트(10)의 리프트 기능 및 전후 경사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3도에 나타나는 상태는 쿠션프레임(16)이 최저위치에 위치하고 평치차(60)는 원점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조작용 노브(110)를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4도의 (A°)의 회동범위에서 쿠션프레임(16)의 앞쪽이 주로 상승한다.
다음에 (B°)의 회동범위에서는 앞쪽이 정점으로부터 점점 하강하면서 전체적으로 상승하여 의사 평행리프트 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C°)의 회동범위에서는 상승위치에서 앞쪽이 하강하고 이것을 따라서 전체가 하강하여 원점위치에서 재차 쿠션프레임(16)은 최저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된다.
결국, 평치차(60)의 1회전중에서 작동 모우드는 원점-(A°)에서 쿠션프레임(16)이 앞쪽 기울음 상태로 되고, (B°)의 범위에서 쿠션프레임(16)이 평행리프트 상태로 되며, (C°)의 범위에서 뒤로 기울면서 원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신장이나 좋아하는 자세, 시계의 확보등에 맞춰서 조작노브(110)를 회동함으로써 목적에 따른 자세로 쿠션프레임(16)을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그 동력은 피벗지지축(30),(54)을 통하여 쿠션프레임(16)의 좌우에 균등하게 가해지기 때문에 작동시의 하중의 편제가 없고 쿠션프레임(16)의 좌우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동량이나 각 자세의 변환점은 각각의 레버비나 편심비에 따라 설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제15도는 제6실시예에서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쿠션프레임(16)의 리프트 및 등받이프레임(l8)의 전후 경사기구의 구성은 상기 제1실시예와 같다. 다만, 그 조작축은 전등 모우터 및 감속기구를 일체로 조립한 리프트-모우터 유니트(M1)의 출력단에 연계하고 모우터 구동에 의하여 상기한 작용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리클라이닝 장치(90)는 라우멜식 기구만을 사용하고, 이 리클라이닝 장치(90)의 구동축을 모우터 유니트(M2)에 의하여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수동조작을 대신하여 스위치 구동에 의하여 시이트 등받이의 리클라이닝 및 시이트쿠션의 리프트 및 전후 경사를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제6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서는 시이트 리클라이닝 기능과 시이트 리프팅 및 전후 경사기능등 세가지의 기능을 기구의 복잡화를 가져오는 일 없이, 또한 구성 부품의 강성적인 문제를 일으키는 일없이 하나의 시이트에 조립해 넣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1)

  1. 시이트의 후방측 상승기구를 갖는 자동차용 시이트에 있어서, 차체의 바닥면 위에 정렬되고, 전방부와 후방부를 갖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방부에 록크가능하게 지지되는 전방부와, 후방부를 갖는 쿠션프레임과,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제어샤프트와, 상기 쿠션프레임의 후방부와 결합되는 제l록킹단부를 갖는 제1아암과, 제2록킹단부를 갖는 제2아암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방부와 결합되는 록킹중심을 가지는 것으로서, 제1아암이 제1아암의 수평위치로부터 상하방으로 록킹중심의 주위로 록크되는 방식으로 지지되는 벨크랭크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방부와 결합되는 제1단부와 상기 쿠션프레임의 전방부와 결합되는 제2단부를 가지며, 링크레버가 링크레버의 수직위치로부터 전후방으로 제1단부의 주위로 록크되는 방식으로 지지되는 링크레버와, 1회전중에 상기 벨크랭크가 1회의 록크동작을 실시하는 방식으로 상기 벨크랭크에 상기 제어샤프트의 회전을 부여하며, 크랭크핀을 갖는 크랭크수단과, 일단부는 상기 크랭크수단의 크랭크핀과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벨크랭크의 제2록킹단부와 결합되는 커플링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샤프트에는 피니언기어가 있고, 상기 크랭크수단은 상기 크랭크핀이 편심상태의 스퍼어기어로 구성되며, 상기 스퍼어기어는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되도록 상기 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이트.
  3. 시이트의 전방측 상승기구를 갖는 자동차용 시이트에 있어서, 차체의 바닥면 위에 정렬되고, 전방부와 후방부를 갖는 베이스프레임과, 전방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방부에 고정가능하게 지지되는 후방부를 갖는 쿠션프레임과,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제어샤프트와, 상기 쿠션프레임의 전방부와 결합되는 제1록킹단부를 갖는 제1아암과, 제2록킹단부를 갖는 제2아암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방부와 결합되는 록킹중심을 가지는 것으로서, 제1아암이 제1아암의 수평위치로부터 상하방으로 록킹중심의 주위로 록크되는 방식으로 지지되는 벨크랭크와, 1회전중에 상기 벨크랭크가 1회의 록크동작을 실시하는 방식으로 상기 벨크랭크에 상기 제어샤프트의 회전을 부여하며, 크랭크핀을 갖는 크랭크수단과, 일단부는 상기 크랭크수단의 크랭크핀과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벨크랭크의 제2록킹단부와 결합되는 커플링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이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샤프트에는 피니언기어가 있고, 상기 크랭크수단는 상기 크랭크핀이 편심 상태의 스퍼어기어로 구성되며, 상기 스퍼어기어는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되도록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이트.
  5. 시이트의 전후방측 상승기구를 갖는 자동차용 시이트에 있어서, 차체의 바닥위에 정렬되며, 전방부와 후방부를 갖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후방부에 록크가능하게 지지되는 전후방부를 갖는 쿠션프레임과, 제1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제1제어샤프트와, 상기 쿠션프레임의 후방부와 결합되는 제1록킹단부를 갖는 제1아암과, 제2록킹단부를 갖는 제2아암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방부와 결합되는 록킹중심을 가지는 것으로서, 제1아암이 제1아암의 수평위치로부터 상하방으로 록킹중심의 주위로 록크되는 방식으로 지지되는 제1벨크랭크와, 1회전중에 상기 제1벨크랭크가 l회의 록크동작을 실시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벨크랭크에 상기 제1제어샤프트의 회전을 부여하며, 크랭크핀을 갖는 졔1크랭크수단과, 일단부는 상기 제1크랭크수단의 크랭크핀과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1벨크랭크의 다른 록킹단부와 결합되는 두개의 제1단부를 갖는 제1커플링수단과, 제2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제2제어샤프트와, 상기 쿠션프레임의 전방부와 결합되는 제1록킹단부를 갖는 제1아암과, 제2록킹단부를 갖는 제2아암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방부와 결합되는 록킹중심을 가지는 것으로서, 제1아암이 제1아암의 수평위치로부터 상하방으로 록킹중심의 주위로 록크되는 방식으로 지지되는 제2벨크랭크와, 1회전중에 상기 제2벨크랭크가 1회의 록크동작을 실시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2벨크랭크에 상기 제2제어샤프트의 회전을 부여하며, 크랭크핀을 갖는 제2크랭크수단과, 일단부는 상기 제2크랭크수단의 상기 제2크랭크핀과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2벨크랭크의 다른 록킹단부와 결합되는 두개의 제1단부를 갖는 제2커플링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이트.
  6.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 상승기구에는 상측부가 상기 쿠션프레임과 결합되고 하측부가 상기 크랭크의 적정부와 결합되는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이트.
  7. 제1항,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승강되도록 각각 쿠션프레임의 좌우측을 지지하도록 좌우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프레임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 부재중의 한 부재에는 피봇상태로 지지하는 샤프트를 통하여 벨크랭크가 록크가능하게 장착되며, 벨크랭크의 하나의 록킹단부는 상기 쿠션프레임의 일측부에 연결되며, 피봇상태로 지지하는 샤프트의 타단부는 상기 다른 베이스프레임 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또한 피봇상태로 지지하는 샤프트의 타단부측에는 벨크랭크와 상호록킹되고 상기 쿠션프레임의 타측부와 결합되는 링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이트.
  8. 제1항,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는 평기어의 단부면에 크랭크핀을 돌출시켜 형성되며, 평기어는 제어샤프트상의 피니언과 상호록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이트.
  9. 제1항,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는 제어샤프트의 단부에 수동회전조작용 노브가 결합체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이트.
  10. 제l항,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는 제어샤프트의 단부에 모터부의 출력단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이트.
  11. 제1항,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의 후방부의 일측에서 시이트 등받이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경사동작 장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이트.
KR1019870001809A 1986-03-03 1987-03-02 차량용 시이트 KR9600043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401586A JPH0637151B2 (ja) 1986-03-03 1986-03-03 シ−トのリフト装置
JP???61-44015 1986-03-03
JP44015 1986-03-03
JP61116063A JPH0659803B2 (ja) 1986-05-22 1986-05-22 車両用シ−ト
JP61116062A JPS62275852A (ja) 1986-05-22 1986-05-22 車両用シ−ト
JP11606186A JPH0637152B2 (ja) 1986-05-22 1986-05-22 シ−トのリフト装置
JP116063 1986-05-22
JP???61-116063 1986-05-22
JP???61-116062 1986-05-22
JP116062 1986-05-22
JP116061 1986-05-22
JP???61-116061 1986-05-22
JP61209715A JPH0655575B2 (ja) 1986-09-08 1986-09-08 車両用シ−ト
JP???61-209715 1986-09-08
JP209715 1986-09-08
JP269914 1986-11-14
JP61269914A JPS63125450A (ja) 1986-11-14 1986-11-14 車両用シ−ト
JP???61-269914 1986-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733A KR870008733A (ko) 1987-10-20
KR960004301B1 true KR960004301B1 (ko) 1996-03-30

Family

ID=27550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1809A KR960004301B1 (ko) 1986-03-03 1987-03-02 차량용 시이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787594A (ko)
EP (1) EP0235793B1 (ko)
KR (1) KR960004301B1 (ko)
DE (1) DE378066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3931A (en) * 1988-06-30 1990-02-27 Tachi-S Company, Ltd. Lifter for automotive seat
JPH0618836Y2 (ja) * 1988-09-29 1994-05-18 池田物産株式会社 車両用のシート
AU626902B2 (en) * 1989-08-03 1992-08-13 Tachi-S Co., Ltd.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utomotive seat
JPH0735783Y2 (ja) * 1989-09-30 1995-08-16 富士機工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2910179B2 (ja) * 1990-07-26 1999-06-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上下位置調整装置
US5203532A (en) * 1990-09-18 1993-04-20 Fuji Kiko Co., Ltd. Seat adjuster
DE4129671C2 (de) * 1991-09-06 1997-04-17 Bayerische Motoren Werke Ag Fahrzeugsitz
JPH05238293A (ja) * 1992-02-29 1993-09-17 Aisin Seiki Co Ltd パワーシート装置
KR100321587B1 (ko) * 1993-06-04 2002-06-20 이토유타카 차량용시트의시트레벨조절장치
FR2734523B1 (fr) * 1995-05-23 1997-07-25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Siege de vehicule presentant une assise reglable en hauteur et en longueur
FR2737868B1 (fr) * 1995-08-18 1997-10-24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Siege de vehicule presentant une assise reglable en hauteur
DE19646470B4 (de) * 1996-11-11 2005-06-09 C. Rob. Hammerstein Gmbh & Co. Kg Kraftfahrzeugsitz mit einer Lehne und einem Sitz
DE29814448U1 (de) * 1998-08-12 1998-11-19 C. Rob. Hammerstein GmbH & Co. KG, 42699 Solingen Motorisch verstellbarer Fahrzeugsitz mit einstellbarem Sitz, insbesondere höhenverstellbarer Sitzfläche
JP4161355B2 (ja) * 1998-09-16 2008-10-0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リフタ装置
EP1121264B1 (en) 1998-10-13 2003-09-10 Magna Seating Systems Inc. Seat cushion height adjustment assembly
KR100317464B1 (ko) * 1999-05-17 2001-12-22 이계안 자동차용 시트쿠션 풀 플로우팅 장치
JP2002010860A (ja) * 2000-06-30 2002-01-15 Delta Kogyo Co Ltd シートのリフター構造
DE20015115U1 (de) 2000-09-01 2002-01-17 Johnson Controls GmbH, 51399 Burscheid 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ATE334842T1 (de) 2000-09-05 2006-08-15 Johnson Controls Gmbh Verstellvorrichtung für die höhen- und längsposition sowie die neigung eines fahrzeugsitzes
US6464193B1 (en) * 2000-10-30 2002-10-15 Tachi-S Co., Ltd. Seat lifter with ratchet-type lever mechanism
DE10226717B4 (de) * 2002-06-14 2008-04-17 C. Rob. Hammerstein Gmbh & Co. Kg Gestell eines Kraftfahrzeugsitzes mit einem Sitzträger und einem Polsterträger
AU2003291011A1 (en) * 2002-11-15 2004-06-15 Milsco Manufacturing Company Vehicle seat suspension and method
JP2006182039A (ja) * 2003-04-21 2006-07-13 T S Tec Kk 自動車用シートの高さ調整装置
JP5082789B2 (ja) * 2007-11-16 2012-11-2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
JP5218506B2 (ja) 2010-09-17 2013-06-2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シートリフター装置
US8616636B2 (en) * 2011-02-17 2013-12-31 Tachi-S Co., Ltd. Vehicle seat
CN103101456B (zh) * 2012-12-08 2017-11-28 芜湖市顺昌汽车配件有限公司 汽车座椅结构
DE202013100495U1 (de) * 2013-02-04 2014-05-06 Westfalia Presstechnik Gmbh & Co. Kg Verstellbarer Fahrzeugsitz
US9085246B1 (en) 2014-01-17 2015-07-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seat stabilization assembly
JP6609179B2 (ja) 2015-12-24 2019-11-20 デルタ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シート
US10286815B2 (en) * 2017-04-03 2019-05-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point lift options for sleeper seats
US10918140B2 (en) * 2018-02-08 2021-02-16 Jennifer Rozena Harrison Garment for use with seat restraints and method of use therefor
DE102018131582A1 (de) 2018-12-10 2020-06-1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stellbare Sitzbaugruppe für ein Kraftrad sowie Kraftrad
JP7125903B2 (ja) * 2019-02-20 2022-08-25 シロキ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昇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26442A1 (de) * 1976-06-12 1977-12-22 Keiper Automobiltechnik Gmbh Hoehenverstellbarer sitz insbesondere kraftwagensitz
ZA777675B (en) * 1977-02-04 1978-10-25 Turner Willenhall Ltd H R Seat height adjustment mechanism
US4326690A (en) * 1979-05-03 1982-04-27 Ferro Manufacturing Corporation Seat adjusting mechanism
JPS5849864Y2 (ja) * 1979-07-26 1983-11-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トクツシヨン座面の傾斜角調整装置
JPS6241865Y2 (ko) * 1981-06-04 1987-10-27
JPS58168249U (ja) * 1982-05-04 1983-11-0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座席シ−トの高さ調節装置
JPS601037A (ja) * 1983-06-17 1985-01-07 Aisin Seiki Co Ltd シ−トリフタ
DE3421274A1 (de) * 1983-06-16 1984-12-20 Aisin Seiki K.K., Kariya, Aichi Sitz-heber
JPS6090030U (ja) * 1983-11-28 1985-06-20 富士機工株式会社 シ−トリフタ
AU558012B2 (en) * 1983-12-06 1987-01-15 Tachikawa Spring Co. Ltd. Seat frame for vehicle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780661D1 (de) 1992-09-03
DE3780661T2 (de) 1992-12-10
US4787594A (en) 1988-11-29
EP0235793A2 (en) 1987-09-09
KR870008733A (ko) 1987-10-20
EP0235793B1 (en) 1992-07-29
EP0235793A3 (en) 198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4301B1 (ko) 차량용 시이트
KR100649421B1 (ko) 요동형 운동 장치
CN207972552U (zh) 用于电动座椅的动力传输装置
JPH04231228A (ja) フットレスト装置
CN113547961A (zh) 一种零重力座椅结构
JP2008099816A (ja) バランス運動装置
JPS61218446A (ja) 車輌座席の姿勢調整装置
KR100457396B1 (ko) 차량용 시트의 높이조절장치
CN101623152A (zh) 一种靠背形状可调节的座椅
JP5244441B2 (ja) 車両用シート
JPS62273134A (ja) シ−トのリフト装置
CN114103744B (zh) 腿托机构、座椅和车辆
JPH0319474Y2 (ko)
JP2007054600A (ja) 着座型運動装置
JP2003320879A (ja) 伝動機構
JP2008212475A (ja) バランス運動装置
JP2000023773A (ja)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およびマッサージ機
JPH067968Y2 (ja) 座席支持装置
JP2008212474A (ja) 着座型運動装置
JP2010095178A (ja) 車両用シート
JP2625134B2 (ja) シート調節装置
JPS62275853A (ja) 車両用シ−ト
JPH054754Y2 (ko)
JP2006282018A (ja) 自動車用シートの高さ調整装置
JPS608125A (ja) シ−トリフ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