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1587B1 - 차량용시트의시트레벨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시트의시트레벨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1587B1
KR100321587B1 KR1019940012330A KR19940012330A KR100321587B1 KR 100321587 B1 KR100321587 B1 KR 100321587B1 KR 1019940012330 A KR1019940012330 A KR 1019940012330A KR 19940012330 A KR19940012330 A KR 19940012330A KR 100321587 B1 KR100321587 B1 KR 100321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shaft
operating
seat
actu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2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0457A (ko
Inventor
토미타토시히코
이노우에준스
우치모토다이스케
몬마스히로시
Original Assignee
이토유타카
가부시기가이샤토요시트
제임스 이. 미러
마츠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34764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344814A/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3030036U external-priority patent/JP2603302Y2/ja
Application filed by 이토유타카, 가부시기가이샤토요시트, 제임스 이. 미러, 마츠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토유타카
Publication of KR950000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1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15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0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60N2/161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67Ratchet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8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a l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0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with independent front and/or rear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9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haracterised by a l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96Stepwise movement mechanisms, e.g. ratch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시트레벨조절장치는, 시트레벨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하여 차량용시트의 프레임에 부착된 승강기구와, 이 승강기구를 조작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기구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핸들조립체를 구비한다. 이 핸들조립체는 상기 승강기구를 작동하는 작동기구와, 상기 작동기구를 로크하는 로크기구, 그리고 상기 작동기구의 로크상태를 해제하는 해제기구를 장착한다. 상기 작동, 로크, 및 해제기구를 보수할 때, 이 핸들조립체는 상기 승강기구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시트의 시트레벨조절장치
본 발명은 차량용시트의 시트레벨을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시트레벨조절장치를 구비한 차량용시트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시트레벨조절장치는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예를 들면, 적당한 운전시야를 얻기 위하여 시트레벨을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61-150640호에는 이와 같은 시트레벨조절장치 중의 하나가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종래의 시트레벨조절장치는 승강기구, 작동기구, 로크기구, 및 해제기구를 가지고 있다. 이 승강기구와 로크기구는 시트프레임에 부착되어 있다. 작동기구와 해제기구는 조작핸들에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구조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부품수를 증가시키며, 그리고 조립을 위해 숙련된 사람을 필요로 한다. 또한, 보수 또는 정비를 위한 분해는 복잡한 구조 때문에 상당히 번거롭다.
특히, 로크기구가 시트프레임에 부착되는 동시에 해제기구가 조작핸들에 구비되는 상기 구성은 조립 및 분해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었다. 이것은 1)로크기구와 해제기구가 조작면에서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2)로크기구가 용이하게 다룰 수 없는 시트프레임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쉬운 조작은 물론 용이한 조립과 분해가 가능한 시트레벨조절장치가 요망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차량용시트의 시트레벨을 조절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단순하고 시트레벨을 한손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시트레벨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이한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시트레벨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용시트의 시트레벨조절장치는, 시트레벨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하여 차량용시트의 프레임에 부착되는 승강기구와, 이 승강기구를 조작하기 위하여 승강기구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핸들조립체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조립체는, 승강기구를 작동하는 작동기구와, 이 작동기구를 로크하는 로크기구와, 그리고 작동기구의 로크상태를 해제하는 해제기구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기구는, 링크기구와, 이 링크기구를 구동하는 구동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기구는, 승강기구의 구동축과 제거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작동축과, 작동축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작동레버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구동축은 그 외면에 톱니를 가진 연결보스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작동축은 내면에 톱니를 가진 연결공동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공동부의 톱니는 상기 구동축의 상기 연결보스의 톱니와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크기구는, 상기 작동축에 느슨하게 장착되는 정기부재, 이 정지부재는 작동축의 회전에 대해 고정위치에 유지되며, 또한 걸어맞춤부를 가지며; 작동레버부재에 고착된 피벗부재와, 상기 피벗부재는 상기 작동축의 축 평행하며; 상기 피벗부재에 요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정지부재의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출 수 있는 걸어맞춤부를 가지는 로크부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해제기구는, 상기 작동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해제레버부재와, 이 해제레버부재는 제 1위치로부터 제 2위치로 이동가능하며, 또 그 역도 가능하며: 그리고 상기 해제레버부재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접촉부재를 구비하고, 이 접촉부재는 상기 로크부재와 접촉해서 작동가능하며,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해제레버부재가 제 1위치에 있을 때 로크부재를 정지부재상에 가압하여 로크부재의 걸어맞춤부를 정지부재의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추게 하는 동시에, 상기 해제레버부재가 제 2위치에 있을 때 상기 로크부재를 정지부재로부터 떨어지게 해서 로크부재의 걸어맞춤부를 정지부재의 걸어맞춤부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로크기구는 상기 로크부재를 상기 정지부재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더 구비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크부재에는, 상기 해제레버부재의 상기 접촉부재가 이동하는 접촉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면은 상기 해제레버부재가 제 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접촉부재가 접촉하고 있는 로크접촉면과, 상기 해제레버부재가 제 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접촉부재가 접촉하고 있는 해제접촉면을 가진다.
상기 해제기구는 상기 헤제레버부재를 제 1위치로 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더 구비함을 알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정지부재와 상기 해제레버부재가 상기 작동축으로부터 미끄러져 나가는 것을 저지하기 위하여 상기 작동축의 외단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는 유지부재에 의해 유지된다. 상기 유지부재는, 상기 정지부재와 해제레버부재가 상기 작동측으로부터 미끄러져 나가는 것을 저지하는 링부와; 상기 스프링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링부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뻗는 복수개의 스프링유지부를 구비하고 복수개의 스프링유지부 중의 하나는 다른 스프링유지부보다 길게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뻗는다.
상기 정지부재를 고정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서 시트프레임에 고착된 고정부재와; 상기 시트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부재와; 상기 작동레버부재에 형성된 가이드돌기부를 더 구비하고, 이 가이드돌기부는, 상기 작동레버축이 소정위치에 설정될 때 상기 정지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와 걸어맞춰지고 상기 가이드돌기부가 상기 가이드부재를 슬라이드시키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시트레벨조절장치에 의해, 작동기구, 로크기구, 및 해제기구를 장착하는 핸들조립체는 시트프레임에 부착된 승강기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작동, 로크, 및 해제기구중의 하나가 고장이 나더라도, 그것들이 시트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보수점검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핸들조립체는 승강기구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핸드의 구동력은 승강기구에 직접 전달될 수 있다. 또한, 구동축과 작동축은 톱니결합에 의해 서로연결되어 있으며, 이것은 작동력을 슬립없이 확실히 전달할 수 있게 한다.
피벗로크부재는 해제레버부재에 부착된 접촉부재에 의해 조정된다. 이 해제레버부재는 작동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해제레버부재와 작동레버부재는 동축상에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로크해제와 승강작동은 연속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분리방향으로 가압된 로크부재는 로크부재의 신속한 분리를 보장한다. 또한, 로크접촉면과 해제접촉면이 형성된 로크부재는 원활한 로크와 해제를 보장한다.
해제레버부재는 스프링에 의해 로크방향으로 가압되며, 이 스프링은 해제레버부재를 자동적으로 복귀시킨다. 또한, 이것은 로크기구에 증가된 신뢰성을 준다. 링부와 스프링유지부를 가진 유지부재는 스프링을 소정위치에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로크기구의 정지부재와 해제레버부재가 빠져나가는 것을 저지한다. 이것은 스프링을 유지하기 위한 특수부품을 제거시키며, 핸들조립체의 축방향돌기부를 감소시킨다.
작동레버부재는 또한 가이드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가이드돌기부는 정지부재와 시트프레임에 형성된 고정부재와의 걸어맞춤을 더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핸들조립체와 승강기구의 연결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들, 특징과 특장은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파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시트레벨조절장치를 구비한 차량용시트(1)의 측면도이다.
차량용시트(1)는 시트쿠션(2)과 시트백(3)을 구비한다. 차량용시트(1)는 차체의 플로어(5)에 부착된 슬라이더(4)에 장착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4)는 차량용시트(1)의 전후위치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차량용시트(1)는, 시트쿠션(2)의 후방시트레벨을 조절하는 후방레벨조절기(RLA)와, 시트쿠션(2)의 전방시트레벨을 조절하는 전방레벨조절기(FLA)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후방레벨조절기(RLA)에 적용된다.
전방시트레벨조절기(FLA)는, 제 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부재(18)와 로크레버(20)를 구비한다. 요동부재(18)는 링크부재(19)를 개재해서 브래킷(16)에 연결되어 있어, 브래킷(16)의 피벗핀(16a)을 중심으로 요동가능하다. 브래킷(16)은 슬라이더(4)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요동부재(18)는 시트쿠션프레임(6)에 부착된 연결축(17)을 개재해서 시트쿠션(2)의 프레임(6)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요동부재(18)에는 링크부재(19)에 대향해서 그 일단부에 복수개의 오목부(18a)가 형성되어 있다.
로크레버(20)는 시트쿠션프레임(6)에 부착된 핀(6a)에 요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그 자유단에 로크핀(20a)을 구비하고 있다. 이 로크핀(20a)은 요동부재(18)를 고정된 위치에 로크하기 위하여 요동부재(18)의 복수개의 오목부(18a)중의 선택된 하나에 끼워맞출 수 있다. 로크레버(20)는 시트쿠션(2)의 바깥쪽에 위치한 핸들(21)과 연결되어 있다. (22)는 요동부재(18)를 로크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이다. 시트쿠션(2)의 전방부의 레벨은 핸들(21)을 조작함으로써 조절되어, 로크핀(20a)을 요동부재(18)로부터 해제해서, 시트쿠션(2)의 전방 단부를 수동으로 소정레벨까지 승강시키거나 하강시키며, 또한 다시 로크핀(20a)을 요동부재(18)의 복수개의 오목부(18a)중의 선택된 하나에 끼워맞춘다. 시트쿠션(2)의 상승 또는 하강시에 요동부재(18)는 축(17)의 변경에 따라 피벗핀(16a)을 중심으로 요동한다.
후방레벨조절기(RLA)는, 시트쿠션(2)의 후방부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기구(W)와, 승강기구(W)를 작동하는 작동기구(X)와, 시트쿠션(2)의 후방부를 소정레벨로 유지하기 위하여 승강기구(W)를 로크하는 로크기구(Y)와, 그리고 승강기구(W)의 로크상태를 해제하는 해제기구(Z)를 구비한다.
승강기구(W)는 제 2도에 명백히 표시되어 있으며, 또한 제 1요동부재(9)와, 피벗핀(10)에서 요동부재(9)와 요동가능하게 연결된 링크부재(11)와, 피벗핀(12)에서 링크부재(11)와 요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슬라이더(4)에 고착된 브래킷(15)과 요동가능하게 연결된 제 2요동부재(14)를 구비한다. 제 1요동부재(9)는 시트쿠션프레임(6)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구동축(8)에 고착되어 있다. 따라서, 요동부재(9)는 구동축(8)의 회전과 함께 요동하거나 회전한다. 제 2요동부재(14)는 시트쿠션프레임(6)에 부착된 연결축(13)에 의해 시트쿠션프레임(6)과 연결되어 있다.
구동축(8)은, 제 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링(29), E링(30), 및 부시베어링(31)에 의해 시트쿠션프레임(6)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구동축(8)의 외측단부는 보스(8a)를 가진다. 보스(8a)의 원주면에는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8a)는 후술하는 작동기구(X)를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시트쿠션(2)의 후방부는 구동축(8)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승된다. 상세하게는, 구동축(8)의 시계방향회전은 제 1요동부재(9)를 시계방향으로 회전 또는 요동시켜, 링크부재(11)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제 2요동부재(14)를 피벗핀(15a)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 결과, 연결축(13)이 상승하고, 따라서 시트쿠션프레임(6)이 상승한다.
시트쿠션(2)의 다른 쪽에는 구동축(8)이 피벗핀으로 대체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균형된 상승 또는 하강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 2도에 표시한 것과 같은 구조가 제공됨을 주목해야 한다.
다음, 작동기구(X), 로크기구(Y) 및 해제기구(Z)를 도면 제 3도 내지 제 9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작동기구(X), 로크기구(Y), 및 해제기구(Z)는, 제 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한부분 또는 핸들조립체(H)로 조립된다.
작동기구(X)는, 작동레버부재(25)와, 이 작동레버부재(25)와 고정적으로 연결된 축(24)을 구비한다. 이 축(24)은 구동축(8)의 톱니가 형성된 보스(8a)와 걸어맞출수 있는 톱니가 형성된 공동부(24a)를 가진다. 톱니는 축(24)의 공동부(24a)의 내면과 축(8)의 보스(8a)의 외면에 형성되어, 공동부(24a)와 보스(8a)사이에 톱니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톱니결합은 작동축(24)과 구동축(8)사이에 견고한 연결을 할 수 있게 하며, 이것은 작동레버부재(25)의 회전을 구동축(8)에 확실히 전달할 수 있게 한다.
작동레버부재(25)는 제 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손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작동레버부재(25)는 작동레버부재(25)의 자유단과 피벗단 사이의 적당한 위치에 피벗핀(3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작동레버부재(25)의 후단에는 스토퍼돌기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돌기부는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또한 작동레버부재(25)가 더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로크기구(Y)의 일부와 접촉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스토퍼돌기부(43)는 작동레버부재(25)의 상한을 결정한다.
로크기구(Y)는, 작동축(24)에 느슨하게 장착된 정지부재(32)와, 작동레버부재(25)에 구비된 피벗핀(34)에 요동가능하게 장착된 로크아암(35)을 구비한다.
정지부재(32)는 앞쪽에 톱니부(32a), 뒤쪽에 포크부(32b)를 가진다. 포크부(32b)는 시트쿠션프레임(6)에 부착된 고정로드(33)를 통과시키는 오목부를 형성한다. 정지부재(32)는 포크부(32b)의 오목부를 통과하는 고정로드(33)에 의해 축(24)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저지된다.
로크아암(35)의 뒤쪽에는 정지부재(32)의 톱니부(32a)와 맞물릴 수 있는 톱니부(35a)를 가진다. 로크아암(35)은 또한 그 앞쪽에 로크접촉면(35b)과 해제접촉면(35c)이 형성되어 있다.
톱니부(35a)가 톱니부(32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로크아암(35)을 자유상태에서 가압하기 위하여 로크아암(35)의 피벗부에 가압스프링(36)이 구비되어 있다.
로크아암(35)이 톱니부(35a)와 정지부재(32)의 톱니부(32a)와의 맞물림은 작동레버부재(25)를 요동하지 못하게 한 후, 작동축(24)을 회전하지 못하게 한다. 작동축의 회전저지는 시트쿠션프레임(6)을 미리 설정된 위치, 즉, 로크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해제기구(Z)는, 해제레버부재(37)와, 보강부재(38)와, 이 해제레버부재(37)와 이 보강부재(38)사이의 접촉핀(39)을 구비한다: 해제레버부재(37)와 보강부재(38)는 정지부재(32)와 마찬가지로 작동축(24)에 느슨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접촉핀(39)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해제레버부재(37)와 보강부재(38)는 작동축(24)을 중심으로 일체적으로 요동가능하다.
해제레버부재(37)는 작동레버부재(25)의 자유단의 근방까지 뻗으며, 한편 보강부재(38)는 접촉핀(39)을 지나서 뻗는다. 로크기구(Y)의 정지부재(32)와 로크아암(35)은 제 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제기구(Z)의 헤제레버부재(37)와 보강부재(38)의 사이에 끼어 있다.
해제기구(Z)는, 일단이 피벗핀(34)상에 있고 타단이 보강부재(38)의 자유단 근처에 놓인 스프링(40)에 의해 아래쪽으로 가압된다.
제 7도 및 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축(24)의 외단에는 환형상홈(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52)내에는 작동축(24)상에 정지부재(32), 해제레버부재(37), 보강부재(38), 및 스프링(40)을 유지하기 위하여 유지부재(54)가 끼워맞춰져 있다.
유지부재(54)는 링부(55)와 3개의 유지부(56),(57),(57)를 가진다. 링부(55)는 공간부를 가지는 E링형태로 되어 있다. 이 링부는 작동축(24)의 환형상홈(52)내에 끼워맞춰져 있다.
유지부(56),(57),(57)는 스프링(40)을 유지하게 되어 있다. 이 3개의 유지부는 반경방향으로 뻗으며, 또한 원주방향으로 120° 의 간격을 두고 서로 떨어져 있다. 각 유지부는 처음에 축방향바깥쪽으로 굽어지며, 두 번째로 제 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반경방향으로 L형상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반경방향바깥쪽으로 굽어진다. 유지부(57)는 반경방향바깥쪽으로 자유상태의 스프링(40)의 내주근방에 뻗으며, 한편 유지부(56)는 반경방향바깥쪽으로 유지부(57)보다 길게 뻗는다. 그러나, 유지부(57)는 반방향바깥쪽으로 압축상태의 스프링(40)의 외주보다 길게 뻗는다.
더 상세하게는, 제 7도에 있어서, 실선으로 표시된 스프링(40)은 자유상태를 나타내며, 2점쇄선으로 표시한 스프링(40)은 압축상태를 나타낸다. 스프링(40)은 유지부재(54)상에 자유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이때, 스프링(40)은 처음에 유지부(56)에 매달려서 다른 유지부(57)위를 지나간다. 스프링의 유지부(57)위의 통과는, 유지부(57)가 자유스프링(40)의 내주에만 뻗어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행해진다. 그러나, 스프링(40)이 길게 뻗은 유지부(56)에 의해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40)이 유지부재(54)로부터 빠져나갈 가능성은 없다. 이것은 유지부재(54)상에의 스프링(40)의 장착을 용이하게 한다.
스프링(40)이 유지부재(54)상에 장착된 후, 스프링(40)의 일단(40a)은 작등레버부재(25)상에 구비된 피벗(34)상에 놓이며, 그 타단(40b)은 해제기구(Z)의 보강부재(38)의 자유단상에 놓인다. 그 타단(40b)이 보강부재(38)의 자유단상에 놓이면, 스프링(40)은 압축되며, 스프링(40)의 원통부는 3개의 모든 유지부(56),(57),(57)내로 압축된다. 그 결과, 스프링(40)은 유지부재(54)에 의해견고하게 유지된다.
이 유지부재(57)는 정지부재(32), 해제레버부재(37), 및 보강부재(38)가 작동축(24)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저지할 뿐만 아니라, 스프링(40)을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도록 한다. 스프링(40)을 장착하기 위하여 부품을 추가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스프링(40)을 장착하기 위한 전용부품, 예를 들면, 특수너트등을 구비하는 경우에 비해, 핸들조립체(H)의 축방향돌기부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제 5도에 의하면, 해제레버부재(37)가 아래쪽으로 회전하면 접촉핀(39)은 로크접촉면(35b)과 접촉하게 된다. 한편, 해제레버부재(37)가 위쪽으로 회전하면, 접촉핀(39)은 해제접촉면(35c)과 접촉하게 된다.
작동기구(X), 로크기구(Y), 및 해제기구(Z)는 커버부재(27)에 의해 덮여진다. 커버부재(27)는 나사(26)로 작동레버부재(25)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다른 커버부재(42)는 해제레버부재(37)의 노출부를 덮기 위하여 해제기구(Z)의 해제레버부재(37)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돌기부(46)가 스토퍼돌기부(43)에 가까운 작동레버부재(25)상에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돌기부(46)는 내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선단부는 아래쪽으로 더 굽어져 있다. 가이드돌기부(46)는 구동축(8)상에 핸들조립체(H)를 장착함에 있어서 위치결정가이드로서 작용한다. 제 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히 가이드돌기부(46)는, 작동레버부재(25)가 상한에 있을 때만 시트사이드커버(44)에 형성된 오목부(45)를 통과해서 시트쿠션(2)의 시트사이드커버(44)에 삽입되거나 그로부터 후퇴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 위치는 고정축(33)이 정지부재(32)의 포크부(3b)의 오목부를 통과하도록 하는 위치에 대응한다. 따라서, 구동축(8) 상에 핸들조립체(H)를 장착할 때, 정지부재(32)의 포크부(32b)를 통한 고정축(33)의 통과는, 작동레버부재(25)를 상한에 설정함으로써, 또한 가이드돌기부(46)를 시트사이드커버(44)에 형성된 오목부(45)에 위치결정함으로써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다.
다음에, 후방레벨조절기(RLA)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시트쿠션(2)의 후방시트레벨을 조절하기 위해서, 처음에, 해제레버부재(37)는 잡은손의 손가락에 의해서 스프링(40)의 탄성력에 대항해서 위쪽으로 회전된다. 해제레버부재(37)의 상방향회전은 접촉핀(39)을 로크접촉면(35b)으로부터 해제접촉면(35c)으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 로크아암(35)이 스프링(36)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요동하므로, 톱니부(35a)는 정지부재(32)의 톱니부(32a)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제 9도는 후방레벨조절기(RLA)의 해제상태를 표시하며, 여기서 접촉핀(39)은 해제접촉면(35c)과 접촉하고 톱니부(35a)는 정지부재(32)의 톱니부(32a)로부터 떨어진다. 이 해제상태에 있어서, 작동레버부재(25)는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작동레버부재(25)의 회전은 작동축(24)의 회전을 유발하고, 이 작동축(24)의 회전은 구동축(8)에 전달된다.
더 상세하게는, 작동레버부재(25)의 상방향회전은 구동축(8)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또 제 1요동부재(9)를 시계방향으로 요동시키며, 또 링크부재(11)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며, 또 제 2요동부재(14)를 반시계방향으로 요동시키며, 그 후 시트쿠션프레임(6)을 상방으로 상승시킨다.
한편, 작동레버부재(25)의 후방향회전은 구동축(8)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또 제 1요동부재(9)를 반시계방향으로 요동시키며, 또 링크부재(11)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며, 또 제 2요동부재(14)를 시계방향으로 요동시키며, 그 후 시트쿠션프레임(6)을 하방향으로 하강시킨다.
소정의 시트레벨에 도달하면, 작동레버부재(25)의 회전은 정지되며 해제레버부재(37)는, 그의 잡음을 느슨하게 함으로써 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스프링(40)의 탄성력으로 인해, 해제기구(Z)의 접촉핀(39)은, 로크아암(35)을 정지부재(32)를 향해 요동시키면서 해제접촉면(35c)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한 후, 로크접촉면(35b)과 접촉하게 된다. 이때, 로크아암(35)의 톱니부(35a)는 정지부재(32)의 톱니부(32a)와 맞물리며, 이것은 최종적으로 작동레버부재(25)가 회전하는 것을 저지한다. 이와 같이 해서, 후방레벨조절기(RLA)는 제 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상태에 놓이게 된다.
제 5도 및 제 9도는, 작동레버부재(25)가 상한까지 회전되고, 따라서 스토퍼돌기부(43)가 정지부재(32)와 접촉하게 되는 상태를 표시한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작동기구(X), 로크기구(Y), 및 해제기구(2)를 장착하는 핸들조립체(H)는 한손으로 유지된다. 시트레벨조절시에, 해제레버부재(37)는 잡혀올려지고 핸들조립체(H)는 한손으로 선택된 방향으로 회전되어, 시트쿠션(2)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조절 후, 해제레버부재(37)의 잡음(gripping)을 느슨하게 함으로써 해제기구(Z)의 접촉핀(39)은 로크아암(35)의 로크접촉면에 귀환해서 자동적으로 로크상태를 얻게 된다. 따라서, 시트레벨은 한손으로 용이하게 조절될수 있다.
또한, 작동기구(X), 로크기구(Y), 해제기구(Z)는 일체, 즉 핸들조립체(H)로 조립된다. 이 핸들조립체(H)는, 시트쿠션프레임(6)에 장착된 승강기구(W)와 제거가능하게 연결된다. 상세하게는, 작동기구(X)의 작동축(24)은, 톱니가 형성된 공동부(24a)와 톱니가 형성된 보스(8a)를 걸어맞춤으로써 승강기구(W)의 구동축(8)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따라서, 작동기구(X), 로크기구(Y), 해제기구(Z)는 차량용시트(1)의 구성으로부터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것은 시트레벨조절기의 구성을 더 용이하게 해서 생산비용을 감소시킨다.
또한, 작동기구(X), 로크기구(Y), 및 해제기구(Z) 중의 하나에 고장이 생기더라도, 이 고장은 쉽게 발견될 수 있어 보수가 용이해진다.
이것은, 작동, 로크, 및 해제기구를 장착하는 핸들조립체(H)가 승강기구(W)의 구동축(8)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어, 차량시트와 독립적으로 점검되기 때문이다.
선행 실시예에 있어서, 승강기구(X)는 시트쿠션(2)의 후방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기구(X)는 시트쿠션(2) 전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방레벨조절기(FLA)를 빼면서 구동축(8)이 위치를 더 앞으로 이동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선행실시예에 있어서, 작동축(24)과 구동축(8)은 톱니맞물림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작동축(24)의 회전을 구동축(8)에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는 다른 결합수단, 예를 들면, 키 및 키홈결합수단을 사용할 수있음을 알 수 있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시트레벨조절장치를 구비한 차량용시트의 측면도
제 2도는 차량용시트의 시트쿠션의 단면도
제 3도는 커버가 제거된 채 시트프레임과 연결되어 있는, 시트레벨조절장치의 핸들조립체를 표시한 횡단면도
제 4도는 핸들조립체의 부품을 표시하는 분해사시도
제 5도는 커버가 제거되어 있는, 로크상태의 핸들조립체의 측면도
제 6도는 제 5도의 Ⅵ-Ⅵ선 단면도
제 7도는 작동축에 장착된 스프링을 표시한 측면도
제 8도는 제 7도의 Ⅷ-Ⅷ선 단면도
제 9도는 커버가 제거되어 있는, 해제상태의 핸들조립체의 측면도
(1) . . .차량용시트 (8) . . .구동축
(8a) . . .연결보스 (11) . . .링크부재
(24) . . .작동축 (24a) . . .연결공동부
(25) . . .작동레버부재 (32) . . .정지부재
(33) . . .고정축 (32a), (35a) . . .톱니부
(35) . . .로크아암 (36), (40) . . .스프링
(37) . . .해제레버부재 (39) . . .접촉핀
(46) . . .가이드돌기부 (55) . . .링부
(56),(57) . . .스프링유지부 (W) . . .승강기구
(X) . . .작동기구 (Y) . . .로크기구
(Z) . . .해제기구 (H) . . .핸들조립체

Claims (20)

  1. 차량용시트의 시트레벨을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시트레벨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하여 차량용시트의 프레임에 부착되는 승강기구; 및
    이 승강기구를 조작하기 위하여 이 승강기구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핸들 조립체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조립체는,
    상기 승강기구를 작동하는 작동기구;
    이 작동기구를 로크하는 로크기구; 및
    상기 작동기구의 로크상태를 해제하는 해제기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핸들조립체 자체가 시트레벨조절시에 소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차량용시트의 시트레벨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링크기구; 및
    이 링크기구를 구동하는 구동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기구는,
    상기 승강기구의 구동축과 제거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작동축; 및
    이 작동축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작동레버부재로 이루어지는 시트레벨조절장치.
  3. 차량용시트의 시트레벨을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링크기구와 이 링크기구를 구동하는 구동축을 포함하고, 시트레벨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하여 차량용시트의 프레임에 부착된 승강기구;
    이 승강기구를 조작하기 위하여 이 승강기구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핸들조립체로서,
    상기 승강기구의 구동축과 제거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작동축과, 이 작동축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작동레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기구를 작동하는 작동기구;
    이 작동기구를 로크하는 로크기구; 및
    상기 작동기구의 로크상태를 해제하는 해제기구를 포함하는 핸들조립체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축은 외면에 톱니가 형성된 연결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축은 내면에 톱니를 가진 연결공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공동부의 톱니는 상기 구동축의 연결보수의 톱니와 맞물릴 수 있고,
    상기 핸들조립체 자체가 시트레벨조절시에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차량용시트의 시트레벨조절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기구는,
    상기 작동축의 회전에 대해 고정위치를 유지하며, 걸어맞춤부를 가지고, 이 작동축에 느슨하게 장착된 정지부재;
    상기 작동축의 축과 평행하며, 상기 작동레어부재에 고착된 피벗부재; 및
    이 피벗부재에 요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정지부재의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출 수 있는 걸어맞춤부를 가진 로크부재를 포함하는 시트레벨조절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기구는,
    제 1위치에서 제 2위치로 이동가능하고, 그 반대로도 이동가능하며, 상기 작동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해제레버부재; 및
    상기 로크부재와 접촉해서 작동가능하며, 상기 해제레버부재가 제 1위치에 있을 때 상기 로크부재를 상기 정지부재상에 가압하여 이 로크부재의 걸어맞춤부를 이 정지부재의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추게 하는 동시에, 상기 해제레버부재가 제 2위치에 있을 때 상기 로크부재를 상기 정지부재로부터 떨어지게 해서 이 로크부재의 걸어맞춤부를 이 정지부재의 걸어맞춤부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해제레버부재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시트레벨조절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기구는 상기 로크부재를 상기 정지부재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크부재에는, 상기 해제레버부재의 상기 접촉부재가 따라서 이동하는접촉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면은 상기 해제레버부재가 제 1위치에 있을때 상기 접촉부재가 접촉하고 있는 로크접촉면과, 상기 레버부재가 제 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접촉부재가 접촉하고 있는 해제접촉면을 가지는 시트레벨조절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기구는 상기 해제레버부재를 제 1위치로 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시트레벨조절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재와 상기 해제레버부재가 상기 작동축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저지하고 상기 스프링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작동축의 외단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는 유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시트레벨조절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재는,
    상기 정지부재와 상기 해제레버부재가 상기 작동축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저지하는 링부와;
    상기 스프링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링부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뻗는 복수개의 스프링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스프링유지부 중의 하나는 다른 스프링유지부보다 길게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뻗는 시트레벨조절장치.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기구는 상기 로크부재를 상기 정지부재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시트레벨조절장치.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재를 고정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서 시트프레임에 고착된 고정부재와;
    상기 시트프레임에 설치된 가이드부재와;
    상기 작동레버부재에 형성된 가이드돌기부를 더 구비하고, 이 가이드돌기부는, 상기 작동레버축이 소정위치에 설정될 때 상기 정지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와 걸어맞춰지고 상기 가이드돌기부가 상기 가이드부재를 슬라이드시키는 위치에 형성되는 시트레벨조절장치.
  12. 차량용시트의 시트레벨을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링크기구와 이 링크기구를 구동하는 구동축을 포함하고, 시트레벨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하여 차량용 시트프레임에 부착된 승강기구;
    이 승강기구를 조작하기 위해 이 승강기구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핸들조립체로서,
    상기 승강기구의 구동축과 제거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작동축과 이 작동축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작동레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기구를 작동하는 작동기구;
    이 작동기구를 로크하는 로크기구로서,
    상기 작동축의 회전에 대해서 고정위치를 유지하며, 걸어맞춤부를 가지고, 이 작동축에 느슨하게 장착된 정지부재;
    상기 작동축의 축과 평행하며, 상기 작동레버부재에 고착된 피벗부재; 및
    이 피벗부재에 요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정지부재의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출 수 있는 걸어맞춤부를 가진 로크부재를 포함한 로크기구를 구비한 핸들조립체; 및
    상기 작동기구의 로크상태를 해제하는 해제기구로서,
    제 1위치에서 제 2위치로 이동가능하고, 그 반대로도 이동가능하며, 상기 작동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해제레버부재;
    상기 로크부재와 접촉해서 작동가능하며, 상기 해제레버부재가 제 1위치에 있을 때 상기 로크부재를 상기 정지부재상에 가압하여 이 로크부재의 걸어맞춤부를 이 정지부재의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추게 하는 동시에, 상기 해제레버부재가 제 2위치에 있을 때 상기 로크부재를 상기 정지부재로부터 떨어지게 해서 이 로크부재의 걸어맞춤부를 이 정지부재의 걸어맞춤부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해제레버부재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해제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조립체 자체가 시트레벨조절시에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차량용시트의 스트레벨조절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기구는 상기 로크부재를 상기 정지부재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시트레벨조절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에는, 상기 해제레버부재의 상기 접촉부재가 따라서 이동하는 접촉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면은 상기 해제레버부재가 제 1위치에 있을때 상기 접촉부재가 접촉하고 있는 로크접촉면과, 상기 해제레버부재가 제 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접촉부재가 접촉하고 있는 해제접촉면을 가지는 시트레벨조절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기구는 상기 해제레버부재를 제 1위치로 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시트레벨조절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재와 상기 해제레버부재가 상기 작동축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저지하고 상기 스프링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작동축의 외단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는 유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시트레벨조절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재는,
    상기 정지부재와 상기 해제레버부재가 상기 작동축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저지하는 링부와;
    상기 스프링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링부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뻗는 복수개의 스프링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스프링유지부 중의 하나는 다른 스프링유지부보다 길게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뻗는 시트레벨조절장치.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재를 고정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서 시트프레임에 고착된 고정부재;
    상기 시트프레임에 설치된 가이드부재; 및
    상기 작동레버부재에 형성된 가이드돌기부를 더 구비하고, 이 가이드돌기부는, 상기 작동레버축이 소정위치에 설정될 때 상기 정지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와 걸어맞춰지고 상기 가이드돌기부가 상기 가이드부재를 슬라이드시키는 위치에 형성되는 시트레벨조절장치.
  19. 차량용시트의 시트레벨을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링크기구와 이 링크기구를 구동하는 구동축을 포함하고, 시트레벨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하여 차량용시트프레임에 부착된 승강기구;
    상기 승강기구를 조작하기 위해 이 승강기구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핸들조립체로서,
    상기 승강기구의 구동축과 제거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작동축과 이 작동축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작동레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기구를 작동하는 작동기구;
    상기 작동기구를 로크하는 로크기구로서,
    상기 작동축의 회전에 대해서 고정위치를 유지하며, 걸어맞춤부를 가지고, 이 작동축에 느슨하게 장착된 정지부재;
    상기 작동축의 축과 평행하며, 상기 작동레버부재에 고착된 피벗부재; 및
    이 피벗부재에 요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정지부재의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출 수 있는 걸어맞춤부를 가진 로크부재를 구비한 로크기구를 구비한 핸들조립체, 및
    상기 작동기구의 로크상태를 해제하는 해제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조립체 자체가 시트레벨조절시에 소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차량용시트의 시트레벨조절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재를 고정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서 시트프레임에 고착된 고정부재;
    상기 시트프레임에 설치된 가이드부재; 및
    상기 작동레버부재에 형성된 가이드돌기부를 더 구비하고, 이 가이드돌기부는, 상기 작동레버축이 소정위치에 설정될 때 상기 정지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와 걸어맞춰지고 상기 가이드돌기부가 상기 가이드부재를 슬라이드시키는 위치에 형성되는 시트레벨조절장치.
KR1019940012330A 1993-06-04 1994-06-02 차량용시트의시트레벨조절장치 KR1003215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30036 1993-06-04
JP93-134764 1993-06-04
JP13476493A JPH06344814A (ja) 1993-06-04 1993-06-04 車両用シートのリフター装置
JP1993030036U JP2603302Y2 (ja) 1993-06-04 1993-06-04 抜け止め用リングの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457A KR950000457A (ko) 1995-01-03
KR100321587B1 true KR100321587B1 (ko) 2002-06-20

Family

ID=26368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2330A KR100321587B1 (ko) 1993-06-04 1994-06-02 차량용시트의시트레벨조절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547158A (ko)
KR (1) KR100321587B1 (ko)
DE (1) DE441978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5903A1 (en) * 2011-12-09 2013-06-13 Grand Rapids Controls Company Llc Release mechanism
US10675997B2 (en) 2011-12-09 2020-06-09 CTC Acquisition Company LLC Method of assembling a release mechanis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33011A1 (de) * 1996-08-16 1998-02-19 Teves Gmbh Alfred Manuelle Betätigungseinheit für eine Sitzhöhenverstellvorrichtung
DE19744726A1 (de) 1997-10-10 1999-04-15 Itt Mfg Enterprises Inc Verstellmechanik für eine selbsthemmende Dreh-Verstellung eines Abtriebs-Wirkteiles
DE19744944A1 (de) 1997-10-10 1999-04-15 Itt Mfg Enterprises Inc Verstellmechanik für eine stufenlose Dreh-Verstellung eines Abtriebs-Wirkteiles
DE19942994C1 (de) * 1999-09-09 2001-03-22 Keiper Gmbh & Co Schrittschaltmechanik für einen Fahrzeugsitz
US6484995B1 (en) * 2000-07-20 2002-11-26 Tachi-S Co., Ltd. Seat lifter with ratchet-type lever mechanism
KR100398628B1 (ko) * 2000-08-21 2003-09-19 손석민 루바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폴리페놀옥시다제 활성 저해제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갈변방지방법
US8582798B2 (en) * 2012-02-08 2013-11-12 Ms Electronics Speaker mounting system
KR101987977B1 (ko) * 2017-12-26 2019-06-11 현대트랜시스(주) 펌핑 디바이스의 레버 흔들림 방지장치
CN110154838A (zh) * 2018-02-13 2019-08-23 福州明芳汽车部件工业有限公司 汽车座椅升降机构
CN110395149B (zh) * 2019-08-30 2024-06-25 湖北中航精机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及其高度调节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2611A (en) * 1981-09-11 1983-12-27 Minoru Kitsuda Liftable driver's seat for automobiles
US4533027A (en) * 1982-08-09 1985-08-06 Mazda Motor Corporation Friction brake assembly
AU576251B2 (en) * 1984-08-31 1988-08-18 Tachikawa Spring Co. Ltd. A rotation adjusting apparatus
JPS61150640A (ja) * 1984-12-25 1986-07-09 Sanyo Electric Co Ltd 永久磁石回転子
KR960004301B1 (ko) * 1986-03-03 1996-03-30 후지 기꼬오 가부시끼가이샤 차량용 시이트
US4834333A (en) * 1988-03-08 1989-05-30 Tachi-S Co., Ltd.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utomotive seat
JPH0618836Y2 (ja) * 1988-09-29 1994-05-18 池田物産株式会社 車両用のシート
AU623415B2 (en) * 1989-07-13 1992-05-14 Tachi-S Co., Ltd. Power seat for automobile
US4995580A (en) * 1989-07-31 1991-02-26 Tachi-S. Co., Ltd. Height adjusting device for vehicle seat
JP2910179B2 (ja) * 1990-07-26 1999-06-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上下位置調整装置
US5203532A (en) * 1990-09-18 1993-04-20 Fuji Kiko Co., Ltd. Seat adjust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5903A1 (en) * 2011-12-09 2013-06-13 Grand Rapids Controls Company Llc Release mechanism
US10675997B2 (en) 2011-12-09 2020-06-09 CTC Acquisition Company LLC Method of assembling a release mechanism
US11052792B2 (en) 2011-12-09 2021-07-06 CTC Acquisition Company LLC Release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47158A (en) 1996-08-20
KR950000457A (ko) 1995-01-03
DE4419789A1 (de) 199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1587B1 (ko) 차량용시트의시트레벨조절장치
EP1905640B1 (en) Seat device for vehicle
US4626028A (en) Seat for vehicles
US7017993B2 (en) Seat device
JPS6130535Y2 (ko)
JP4896891B2 (ja) 車両シート用取り付け具
US7404604B2 (en) Twin recliner for automotive seats
US8800947B2 (en) Stepped lowering device and stepped lifter device
KR101180652B1 (ko)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
US6019430A (en) Recliner assembly
US5567013A (en) Seat support and slide mechanism
JP2002262954A (ja) 自動車座席用ヒンジ金具
EP0173044B1 (en) A rotation adjusting apparatus
US5785291A (en) Seat support and slide mechanism
US5224759A (en) Double lock recliner for automotive seat
US6578803B2 (en) Seat elevation adjuster and an actuator mechanism for use in the same
JP3834937B2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CN113423911B (zh) 制动装置
WO2011056414A1 (en) Semi active height adjuster
JP3524473B2 (ja) ラチェット式レバー機構
KR20020048793A (ko) 차량용 시트의 탈부착장치
KR100296698B1 (ko) 자동차용시트리클라이닝장치
KR200299034Y1 (ko) 자동차 스티어링 샤프트의 틸팅장치
JPH0644449U (ja) 車両用シート
JPH032437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