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034Y1 - 자동차 스티어링 샤프트의 틸팅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스티어링 샤프트의 틸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034Y1
KR200299034Y1 KR2019980014772U KR19980014772U KR200299034Y1 KR 200299034 Y1 KR200299034 Y1 KR 200299034Y1 KR 2019980014772 U KR2019980014772 U KR 2019980014772U KR 19980014772 U KR19980014772 U KR 19980014772U KR 200299034 Y1 KR200299034 Y1 KR 2002990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movable member
locking member
fixed gear
extension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47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4364U (ko
Inventor
신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20199800147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034Y1/ko
Publication of KR200000043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3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0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0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스티어링 샤프트의 틸팅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고안의 주된 목적은 잠금부재 복귀용 스프링을 개선하므로써, 코일 스프링을 1개로 줄이는 한편, 공간을 확보하여 조립 및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특징적인 수단은 상측 샤프트의 끝단에 연결 고정하되, 원호부 끝단에 고정치차가 형성된 상측 연결부재와, 하측 샤프트의 끝단에 연결 고정하되, 힌지축으로써 상기한 상측 연결부재에 축설한 하측 연결부재와, 상기한 하측 연결부재의 하반부에 회동축으로 축착하여, 그 끝단의 치형이 상기 고정치차에 접할 수 있으면서 측편으로 돌출핀을 가지는 가동부재와, 상기한 힌지축에 축설하여 회동가능하되, 양측의 연장편과 양측 연장편을 연결한 횡간부가 디귿자로 형성된 채, 회동시 연장편의 경사부가 상기한 가동부재의 돌출핀에 접할 수 있으며, 손잡이 레버를 포함하는 작동기구와, 상기한 작동기구를 하측으로 당겨 복귀시키기 위한 코일 스프링과, 상기한 작동기구의 연장편 안쪽에 위치한 채, 측편 돌기가 연장편의 장공에 끼워지고, 돌출부가 상기한 가동부재를 밀어 줄 수 있도록 한 잠금부재로 구성한 어퍼 틸팅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잠금부재와 작동기구의 횡간부 사이에 판 스프링을 개입시켜, 상기 판 스프링이 잠금부재를 하측으로 밀어 잠금부재가 가동부재의 치형을 고정치차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스티어링 샤프트의 틸팅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용 스티어링 샤프트의 틸팅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스티어링 샤프트를 중단의 힌지점을 축으로 상,하 틸팅할 수 있도록 하되, 틸팅된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스티어링 샤프트에는 관절 힌지점이 하측에 있는 로우어 틸팅구조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절 힌지점이 상측 중단에 있는 어퍼 틸팅구조(T)가 알려져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은 어퍼 틸팅구조(T)는 상측 샤프트(A)와 하측 샤프트(B)를 힌지(C)로써 연결하여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되, 작동기구(3)와, 가동부재(4)에 의해 틸팅 잠금구조가 해제되며, 다시 작동기구(3)와, 잠금부재(5)에 의해 틸팅 잠금구조가 잠기도록 되어 있다.
즉, 작동기구(3)의 손잡이 레버(31)를 당기면 힌지축(C)을 지점으로 작동기구(3)가 상향 회동하고, 작동기구(3)가 상향 회동하면 연장편(32)의 경사부(33)가 가동부재(4)의 돌출핀(41)을 밀어 주게 된다.
돌출핀(41)이 밀리면 가동부재(4)는 회동축(43)을 지점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그 치형(42)이 상측 연결부재(1)의 고정치차(11)로부터 이격되는 것이고, 따라서 상측 샤프트(A)는 구속력이 없어졌으므로 힌지축(C)을 지점으로하여 회동이 가능하며, 틸팅각도를 조절한 후에는 손잡이 레버(31)를 놓는다.
손잡이 레버(31)를 놓으면 잠금부재(5)용 코일 스프링(8)이 잠금부재(5) 및 작동기구(3)를 아래로 당기기 때문에 잠금부재(5)의 돌출부(51)가 가동부재(4)를 반대로 밀어 그 치형(42)이 상측 연결부재(1)의 고정치차(11)에 다시 치합된다.
따라서 가동부재(4)의 치합부분 및 회동축(43)부분과 힌지축(C)부분이 3점에서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하측 샤프트(A)(B)는 정해진 각도를 유지한 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틸팅장치에 있어서는 작동기구 복귀용 및 잠금부재 복귀용으로 2개의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원가가 상승되고, 조립성이 어렵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고안의 주된 목적은 잠금부재 복귀용 스프링을 개선하므로써, 코일 스프링을 1개로 줄이는 한편, 공간을 확보하여 조립 및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특징적인 수단은 상측 샤프트의 끝단에 연결 고정하되, 원호부 끝단에 고정치차가 형성된 상측 연결부재와, 하측 샤프트의 끝단에 연결 고정하되, 힌지축으로써 상기한 상측 연결부재에 축설한 하측 연결부재와, 상기한 하측 연결부재의 하반부에 회동축으로 축착하여, 그 끝단의 치형이 상기 고정치차에 접할 수 있으면서 측편으로 돌출핀을 가지는 가동부재와, 상기한 힌지축에 축설하여 회동가능하되, 양측의 연장편과 양측 연장편을 연결한 횡간부가 디귿자로 형성된 채, 회동시 연장편의 경사부가 상기한 가동부재의 돌출핀에 접할 수 있으며, 손잡이 레버를 포함하는 작동기구와, 상기한 작동기구를 하측으로 당겨 복귀시키기 위한 코일 스프링과, 상기한 작동기구의 연장편 안쪽에 위치한 채, 측편 돌기가 연장편의 장공에 끼워지고, 돌출부가 상기한 가동부재를 밀어 줄 수 있도록 한 잠금부재로 구성한 어퍼 틸팅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잠금부재와 작동기구의 횡간부 사이에 판 스프링을 개입시켜, 상기 판 스프링이 잠금부재를 하측으로 밀어 잠금부재가 가동부재의 치형을 고정치차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자동차의 스티어링 샤프트의 틸팅장치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틸팅장치를 보인 요부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요부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측 연결부재 2 : 하측 연결부재
3 : 작동기구 4 : 가동부재
5 : 잠금부재 7 : 판 스프링
8 : 코일 스프링 11 : 고정치차
12 : 원호부 31 : 손잡이 레버
32 : 연장편 32a : 장공
33 : 경사부 34 : 횡간부
41 : 돌출핀 42 : 치형
43 : 회동축 51 : 돌출부
52 : 측편돌기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동을 첨부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요부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3에서 보듯이 본 고안의 틸팅장치는 상측 샤프트(A)의 끝단에 고정된 상측 연결부재(1)와, 하측 샤프트(B)에 고정된 하측 연결부재(2)와, 이들을 축착 연결하는 힌지축(C)과, 작동기구(3)와, 가동부재(4)와, 잠금부재(5) 등으로 이루어 진다.
즉, 상측 연결부재(1)는 상측 샤프트(A)의 끝단에 연결 고정하되, 원호부(12) 끝단에 고정치차(11)가 형성된 것이며, 하측 연결부재(2)는 하측 샤프트(B)의 끝단에 연결 고정하되, 힌지축(C)으로써 상기한 상측 연결부재(1)에 축설한 것이다.
또, 가동부재(4)는 상기한 하측 연결부재(2)의 하반부에 회동축(43)으로 축착하여, 그 끝단의 치형(42)이 상기 고정치차(11)에 접할 수 있으면서 측편으로 돌출핀(41)을 가지도록 한 것이고, 작동기구(3)는 상기한 힌지축(C)에 축설하여 회동가능하되, 양측의 연장편(32)과 양측 연장편을 연결한 횡간부(34)가 디귿자로 형성된 채, 회동시 연장편(32)의 경사부(33)가 상기한 가동부재(4)의 돌출핀(41)에 접할 수 있으며, 손잡이 레버(31)를 포함하는 것인데 이 작동기구(3)는 하측으로 당겨 복귀시키기 위한 코일 스프링(8)이 있다.
잠금부재(5)는 상기한 작동기구(3)의 연장편(32) 안쪽에 위치한 채, 측편 돌기(52)가 연장편의 장공(32a)에 끼워지고, 돌출부(51)가 상기한 가동부재(4)를 밀어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손잡이 레버(31)를 놓았을 경우, 상기한 잠금부재(5)와 작동기구(3)의 횡간부(34) 사이에 판 스프링(7)을 개입시켜, 하강하는 작동기구(3)의 횡간부(34)가 상기 판 스프링(7)을 누르고, 판 스프링(7)이 잠금부재(5)를 하측으로 밀어 잠금부재(5)가 가동부재(4)의 치형(42)을 고정치차(11)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9는 압축코일 스프링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의 각도를 달리하고자 할 때, 운전자는 운전석에 앉은 채, 작동기구(3)의 손잡이 레버(31)를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조작하여 작동기구(3)를 조작한다.
작동기구(3)의 손잡이 레버(31)를 화살표 방향으로 조작하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힌지축(C)을 지점으로 작동기구(3)가 상향 회동하고, 작동기구(3)가 상향 회동할 때 연장편(32)의 경사부(33)가 가동부재(4)의 돌출핀(41)을 밀어 주게 된다.
돌출핀(41)이 밀리면 가동부재(4)는 회동축(43)을 지점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그 치형(42)이 상측 연결부재(1)의 고정치차(11)로부터 이격되는 것이고, 따라서 상측 샤프트(A)는 구속력이 없어졌기 때문에 힌지축(C)을 지점으로하여 회동이 가능하여 틸팅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틸팅각도를 조절한 후에 손잡이 레버(31)를 놓으면 작동기구(3)가 코일 스프링(8)의 힘으로 하향 복귀하고, 이에 따라 잠금부재(5)에 의해 가동부재(4)가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틸팅장치가 고정된다.
즉, 작동기구(3)가 코일 스프링(8)에 의해 하향 복귀하면 연장편(32)의 장공(32a)에 끼워진 돌기(52)가 잠금부재(5)를 1차 하강시키며, 작동기구(3)의 횡간부(34) 아래에 탄설되어 있는 판 스프링(7)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2차적으로 잠금부재(5)를 밀어 내리게 된다.
따라서 도 3에서 보듯이 잠금부재(5)의 돌출부(51)가 가동부재(4)의 상단을 밀어 치형(42)이 상측 연결부재(1)의 고정치차(11)에 치합되어 틸팅작동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와같은 본 고안은 틸팅장치의 잠금부재(5)가 가동부재(4)의 후방을 눌러 단속할 수 있도록 하되, 1차적으로 작동기구(3)가 잠금부재(5)를 이동시키고, 2차적으로 횡간부(34) 아래에 탄설시킨 판 스프링(7)의 양단이 잠금부재(5)를 눌러 줄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코일 스프링을 1개로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고, 코일 스프링을 줄일 수 있는 만큼 틸팅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공간활용에 용이하며, 더 나가서 부품이 줄어 드는 만큼 생산원가가 저렴해 지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등 많은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Claims (1)

  1. 상측 샤프트(A)의 끝단에 연결 고정하되, 원호부(12) 끝단에 고정치차(11)가 형성된 상측 연결부재(1)와;
    하측 샤프트(B)의 끝단에 연결 고정하되, 힌지축(C)으로써 상기한 상측 연결부재(1)에 축설한 하측 연결부재(2)와;
    상기한 하측 연결부재(2)의 하반부에 회동축(43)으로 축착하여, 그 끝단의 치형(42)이 상기 고정치차(11)에 접할 수 있으면서 측편으로 돌출핀(41)을 가지는 가동부재(4)와;
    상기한 힌지축(C)에 축설하여 회동가능하되, 양측의 연장편(32)과 양측 연장편을 연결한 횡간부(34)가 디귿자로 형성된 채, 회동시 연장편(32)의 경사부(33)가 상기한 가동부재(4)의 돌출핀(41)에 접할 수 있으며, 손잡이 레버(31)를 포함하는 작동기구(3)와;
    상기한 작동기구(3)를 하측으로 당겨 복귀시키기 위한 코일 스프링(8)과;
    상기한 작동기구(3)의 연장편(32) 안쪽에 위치한 채, 측편 돌기(52)가 연장편의 장공(32a)에 끼워지고, 돌출부(51)가 상기한 가동부재(4)를 밀어 줄 수 있도록 한 잠금부재(5)로 구성한 어퍼 틸팅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잠금부재(5)와 작동기구(3)의 횡간부(34) 사이에 판 스프링(7)을 개입시켜, 상기 판 스프링(7)이 잠금부재(5)를 하측으로 밀어 잠금부재(5)가 가동부재(4)의 치형(42)을 고정치차(11)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스티어링 샤프트의 틸팅장치.
KR2019980014772U 1998-08-05 1998-08-05 자동차 스티어링 샤프트의 틸팅장치 KR2002990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772U KR200299034Y1 (ko) 1998-08-05 1998-08-05 자동차 스티어링 샤프트의 틸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772U KR200299034Y1 (ko) 1998-08-05 1998-08-05 자동차 스티어링 샤프트의 틸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364U KR20000004364U (ko) 2000-03-06
KR200299034Y1 true KR200299034Y1 (ko) 2003-02-19

Family

ID=49397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772U KR200299034Y1 (ko) 1998-08-05 1998-08-05 자동차 스티어링 샤프트의 틸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0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5586A (ko) * 2001-05-09 2002-1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틸트레버 작동각 제한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5586A (ko) * 2001-05-09 2002-1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틸트레버 작동각 제한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364U (ko) 200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30535Y2 (ko)
US6905173B2 (en) External control of recliner assembly background of the invention
US5904403A (en) Fitting for vehicle seat, particularly motor vehicle seat
JP3392312B2 (ja) シフトレバーのシフトロック装置
KR200299034Y1 (ko) 자동차 스티어링 샤프트의 틸팅장치
JP3703421B2 (ja) 自動車座席用操作装置
KR200301924Y1 (ko) 자동차 스티어링 샤프트의 틸팅장치
JP3419890B2 (ja) 前後調節可能な操作ペダル装置
EP0741056A1 (fr) Articulation pour le réglage de l&#39;inclinaison d&#39;un dossier de siège et véhicule
JP2001333830A (ja) ラチェット式レバー機構
JP3462113B2 (ja) ラチェット式レバー機構
KR100296698B1 (ko) 자동차용시트리클라이닝장치
JP2001114071A (ja) キーインターロック機構付きコラムシフト装置
JPH0417062Y2 (ko)
JPH0546690Y2 (ko)
JP3772387B2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KR200190990Y1 (ko)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의 틸트 레버 록킹용 쐐기 구조
JPH0243173Y2 (ko)
KR970007732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Tilt)장치
KR970007731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Tilt)장치
JP4285867B2 (ja) 可倒式パーキングブレーキレバー
KR200247113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잠금장치
KR19980057289A (ko)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KR200150625Y1 (ko) 차량용 후론트시트의 리클라이너노브
KR100223445B1 (ko) 접이식 변속레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