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7289A -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7289A
KR19980057289A KR1019960076563A KR19960076563A KR19980057289A KR 19980057289 A KR19980057289 A KR 19980057289A KR 1019960076563 A KR1019960076563 A KR 1019960076563A KR 19960076563 A KR19960076563 A KR 19960076563A KR 19980057289 A KR19980057289 A KR 19980057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pin
seat back
locking piec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6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희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76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7289A/ko
Publication of KR19980057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289A/ko

Links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를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조절할 수 있게 하여 보다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해 줄 수 있게 해주는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장치의 조작수단, 잠금수단 및 조절수단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수를 최소화 하면서 이것들이 서로 유기적인 연계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구성부품수의 감소에 따른 구조의 단순화를 도모하여 조작성 및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치형조합을 이용한 잠금수단을 채택함에 따른 미세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그 적용의 폭을 넓힐 수 있게 한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를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조절할 수 있게 하여 보다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해 줄 수 있게 해주는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는 뒷쪽으로 젖힐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보다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해 줄 수 있게 되며, 시트의 일측 하단에 장착되어 있는 리클라이닝 레버를 조작하여 체형에 맞게 등받이의 젖힘정도를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장치는 그 기능에 비해 구성부품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한 비효율적인면이 있었으며, 또한 각도조절범위가 한정되어 있고 미세조절이 불가능함에 따라 다양한 체형을 갖는 여러 탑승자 모두에게 만족할 만한 승차감을 주지 못했던 단점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장치의 조작수단, 잠금수단 및 조절수단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수를 최소화 하면서 이것들이 서로 유기적인 연계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구성부품수의 감소에 따른 구조의 단순화를 도모하여 조작성 및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치형조합을 이용한 잠금수단을 채택함에 따른 미세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그 적용의 폭을 넓힐 수 있게 한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a,2b는 도 1의 결합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축 끼움구멍11: 핀 끼움구멍
12: 하부 브라켓13: 잠금 기어
14: 축15: 상부 브라켓
16: 핀 17: 잠금편
18: 판 스프링19: 코일 스프링
20: 조작 레버 21: 치형부
22: 걸림홈부 23: 브라켓 커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축 끼움구멍(10)과 그 일측 2 개의 핀 끼움구멍(11)을 가지면서 쿠션에 고정되는 하부 브라켓(12)과, 잠금 기어(13)를 가지면서 상기 축 끼움구멍(10)에 끼워지는 축(14)을 매개로 하여 회동가능하도록 하부 브라켓(12)상에 지지되는 동시에 등받이에 일체 고정되는 상부 브라켓(15)과, 상기 핀 끼움구멍(11)에 끼워지는 핀(16)을 매개로 하여 관통지지되면서 서로 연동가능한 동시에 어느 1 개가 상기 잠금 기어(13)와 맞물릴 수 있는 3 개의 잠금편(17)과, 상기 상부 브라켓(15)과 축(14) 사이에 양단고정되어 상부 브라켓(15)을 항상 일방향 탄성지지하는 코일형 판 스프링(18)과, 위치복원용 코일 스프링(19)을 포함하는 동시에 상기 잠금편(17)중에서 어느 1 개와 전동가능하도록 결속되면서 상기 축(14)에 관통지지되는 조작 레버(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3 개의 잠금편(17)은 상기 잠금 기어(13)와 맞물릴 수 있는 치형부(21)와 그 반대쪽의 걸림홈부(22)를 포함하면서 하부 브라켓(12)의 윗쪽 핀 끼움구멍(11a)에 끼워진 핀(16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제 1 잠금편(17a)과, 하부 브라켓(12)의 아래쪽 핀 끼움구멍(11b)에 끼워진 핀(16b)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가능한 동시에 상기 제 1 잠금편(17a)의 걸림홈부(22)에 수납되어 전동되는 제 2 잠금편(17b) 및 상기 조작 레버(20)의 일측에 결속되어 전동되는 제 3 잠금편(17c)으로 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2 는 하부 브라켓을 나타낸다.
상기 하부 브라켓(12)은 시트 쿠션의 측면부에 설치되는 일종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의미한다.
즉, 후술하는 각각이 구성요소들이 하부 브라켓(12)상에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하부 브라켓(12)에는 상단 폭중심부에 위치되는 1 개의 축 끼움구멍(10)과 이곳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위치되는 2 개의 핀 끼움구멍(11)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구멍에는 후술하는 상부 브라켓(15) 및 조작 레버(20)와 잠금편(17)의 회전 중심축 역할을 하는 축(14)과 핀(16)이 각각 끼워져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축(14)의 선단에는 축선을 따라 길게 절개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에는 후술하는 등받이 위치복원용 스프링의 일단이 끼워져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부호 15 는 상부 브라켓을 나타낸다.
상기 상부 브라켓(15)은 시트 등받이의 측면부에 설치되어 이것과 일체 회전되는 브라켓이다.
이러한 상부 브라켓(15)의 하단부에는 톱니형상의 치형부를 갖는 잠금 기어(13)가 일부 중첩되면서 2 개의 핀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브라켓과 기어의 중첩부위에는 이 2 개를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브라켓(12)의 축(14)에 축설된다.
특히, 축 관통부위의 윗쪽에는 전면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핀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핀은 상기 축(14)에 일단 지지되는 스프링의 다른 일단이 걸려질 수 있도록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면부호 17 은 잠금편을 나타낸다.
상기 잠금편(17)은 조작 레버(20)의 조작력을 받아 서로 연동되면서 상기 상부 브라켓(15)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단속해 주는 역할을 하며, 모두 3 개의 링크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 1 잠금편(17a)은 한쪽 끝단의 위아래에 각각 치형부(21)와 걸림홈부(22)를 갖고 있으며, 다른 한쪽 끝단의 핀 구멍을 이용하여 하부 브라켓(12)의 윗쪽 핀 끼움구멍(11a)에 끼워지는 핀(16a)에 관통지지되면서 미소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렇게 장착되는 제 1 잠금편(17a)의 치형부(21)는 상기 상부 브라켓(15)이 갖는 잠금 기어(12)의 치형과 맞물릴 수 있게 되며, 제 1 잠금편(17a)이 핀 관통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위아래로 요동함에 따라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거나 재차 단속될 수 있게 된다.
제 2 잠금편(17b)과 제 3 잠금편(17c)은 둘다 중심부에 핀 구멍을 갖는 V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제 2 및 3 잠금편(17b),(17c)은 동일한 자세로 위아래에 중첩 배치되는 동시에 중심부의 핀 구멍을 이용하여 하부 브라켓(12)의 아래쪽 핀 끼움구멍(11b)에 끼워지는 핀(16b)에 관통지지되며, 각 한쪽 끝단이 함께 연결되어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조작 레버(20)의 조작력을 받아 상기 제 1 잠금편(17a)을 움직여 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2 잠금편(17b)의 다른 한쪽 끝단은 제 1 잠금편(17a)이 걸림홈부(22)내에 수납되어 접촉전동가능하게 되고, 상기 제 3 잠금편(17c)의 다른 한쪽 끝단은 핀을 매개로 조작 레버(20)의 슬롯 구멍에 삽입되어 이와 함께 연동가능하게 되므로서, 조작 레버(20)를 당기게 되면, 제 2 및 3 잠금편(17b),(17c)이 함께 당겨져 회전되면서 제 1 잠금편(17a)을 아래쪽으로 밀어줄 수 있게 된다.
즉, 제 1 잠금편(17a)이 아래쪽으로 밀려남에 따라 잠금 기어(13)와의 물림상태가 해제되어 상부 브라켓(12)을 포함하는 등받이 전체가 앞뒤로 젖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부호 18 과 19 는 판 스프링과 코일 스프링을 각각 나타낸다.
상기 판 스프링(18)은 띠편형의 스프링 강을 마치 태엽과 같이 둘둘 말아놓은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 끝단을 하부 브라켓(12)이 갖는 축(14)과 상부 브라켓(15)이 갖는 핀에 각각 걸려져 지지되면서 상부 브라켓(15)을 원래의 자세로 복귀시키는 쪽으로 탄성을 발휘하게 되므로 조작 레버(20)를 당기고 있는 상태에서 착석자가 등에 힘을 주지 않는다면 등받이를 항상 세워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19)은 조작 레버(20)의 일측과 후술하는 브라켓 커버(23)의 일측 사이에 양단 고정되는 스프링으로서, 조작 레버(20)을 항상 한쪽으로 당겨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면부호 20 과 23 은 조작 레버와 브라켓 커버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조작 레버(20)는 상기 축(14)에 일단 끼워져 지지되면서 상기 제 3 잠금편(17c)과 핀을 매개로 하여 연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사용자가 레버의 한쪽 끝단을 당기면 다른 한쪽 끝단의 축(14)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제 3 잠금편(17c)을 회전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상기 브라켓 커버(23)는 상부 브라켓(15), 잠금편(17) 등과 같은 각 구성요소들이 장착되는 하부 브라켓(12)의 전면을 덮어주는 일종의 마감판으로서, 3 개의 구멍을 이용하여 상기 축(14)과 2 개의 핀(16)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등받이의 각도조절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 2a 도에서는 시트 등받이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에는 조작 레버(20)를 탄성지지하는 코일 스프링(19)에 의해 각 잠금편(17)들의 고정상태가 단속될 수 있게 되고, 등받이와 일체 회전되는 상부 브라켓(15)의 잠금 기어(13)가 제 1 잠금편(17a)과 맞물려 있게 되므로 상부 브라켓(15)을 포함하는 등받이 전체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첨부도면 제 2b 도에서는 시트 등받이를 젖힐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조작 레버(20)의 손잡이를 윗쪽으로 잡아 당기면, 이것의 슬롯 구멍에 핀을 통해 끼워져 있는 제 3 잠금편(17c) 및 이 제 3 잠금편(17c)과 일체 결속되어 있는 제 2 잠금편(17b)이 당겨지면서 핀(16b)을 중심축으로 하여 도면의 A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 1 잠금편(17a)의 걸림홈부(22)에 삽입되어 있던 제 2 잠금편(17b)의 한쪽 끝단부가 제 1 잠금편(17a)을 아래쪽으로 누르게 되며, 이때의 제 1 잠금편(17a)이 도면의 B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부 브라켓(15)의 잠금 기어(13)로부터 떨어지게 되므로서, 상부 브라켓(15)의 단속상태가 해제될 수 있게 된다.
이때에는 착석자가 등으로 등받이를 밀면 뒷쪽으로 젖혀질 수 있게 되므로 자신의 체형에 맞는 적합한 상태로 등받이 민 다음, 당기고 있던 조작 레버(20)을 놓게 되면, 조절된 상태를 첨부도면 제 2a 도와 같은 고정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상부 브라켓(15)의 잠금기어(13)가 갖는 치형의 한 피치를 최소 젖힘단위로 하여 등받이의 젖힘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미세조절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등받이의 젖힘위치를 다양하게 확보할 수 있어서, 다양한 체형을 갖는 여러 탑승자들에게 폭 넓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장치는 조작수단으로 조작 레버(20), 잠금수단으로 잠금편(17), 조절수단으로 잠금 기어(13)를 갖는 상부 브라켓(15)으로 각각 구성됨에 따라 최소한의 구성부품수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것들이 서로 연계적인 작동메커니즘을 갖게 됨에 따라 각 구성부품들 간의 연동관계가 원할이 이루어 질 수 있게 되므로 한층 향상된 조작성 및 기능성을 갖출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구성부품수을 최대한 줄여 구조를 단순화 하고, 치형을 이용한 잠금수단을 채택하여 미세조절을 가능하게 한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최대한의 편의를 줄 수 있으며, 사양의 고급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축 끼움구멍(10)과 그 일측 2 개의 핀 끼움구멍(11)을 가지면서 쿠션에 고정되는 하부 브라켓(12)과, 잠금 기어(13)를 가지면서 상기 축 끼움구멍(10)에 끼워지는 축(14)을 매개로 하여 회동가능하도록 하부 브라켓(12)상에 지지되는 동시에 등받이에 일체 고정되는 상부 브라켓(15)과, 상기 핀 끼움구멍(11)에 끼워지는 핀(16)을 매개로 하여 관통지지되면서 서로 연동가능한 동시에 어느 1 개가 상기 잠금 기어(13)와 맞물릴 수 있는 3 개의 잠금편(17)과, 상기 상부 브라켓(15)과 축(14) 사이에 양단고정되어 상부 브라켓(15)을 항상 일방향 탄성지지하는 코일형 판 스프링(18)과, 위치복원용 코일 스프링(19)을 포함하는 동시에 상기 잠금편(17)중에서 어느 1 개와 전동가능하도록 결속되면서 상기 축(14)에 관통지지되는 조작 레버(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 개의 잠금편(17)은 상기 잠금 기어(13)와 맞물릴 수 있는 치형부(21)와 그 반대쪽의 걸림홈부(22)를 포함하면서 하부 브라켓(12)의 윗쪽 핀 끼움구멍(11a)에 끼워진 핀(16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제 1 잠금편(17a)과, 하부 브라켓(12)의 아래쪽 핀 끼움구멍(11b)에 끼워진 핀(16b)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가능한 동시에 상기 제 1 잠금편(17a)의 걸림홈부(22)에 수납되어 전동되는 제 2 잠금편(17b) 및 상기 조작 레버(20)의 일측에 결속되어 전동되는 제 3 잠금편(17c)으로 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KR1019960076563A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KR199800572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563A KR19980057289A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563A KR19980057289A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289A true KR19980057289A (ko) 1998-09-25

Family

ID=66396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6563A KR19980057289A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728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890B1 (ko) * 2000-06-09 2002-05-03 이동훈 자동차용 시트의 양측 리클라이너
KR100490311B1 (ko) * 2002-11-22 2005-05-17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
KR101489924B1 (ko) * 2013-06-18 2015-02-06 김승호 의자의 틸팅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890B1 (ko) * 2000-06-09 2002-05-03 이동훈 자동차용 시트의 양측 리클라이너
KR100490311B1 (ko) * 2002-11-22 2005-05-17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
KR101489924B1 (ko) * 2013-06-18 2015-02-06 김승호 의자의 틸팅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6028A (en) Seat for vehicles
KR100446127B1 (ko)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US20100109406A1 (en) Seat
US6484995B1 (en) Seat lifter with ratchet-type lever mechanism
JPH11342773A (ja) カムによって駆動される固定用装置を備えた座席の軌道
KR19980057289A (ko)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KR100512876B1 (ko) 컨티뉴즐리타입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
KR100456515B1 (ko) 자동차의 암레스트 자동 폴딩 장치
JPH061004Y2 (ja) 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
US5216937A (en) Mechanical positioning jack for vehicle seats
JP3462113B2 (ja) ラチェット式レバー機構
KR200205669Y1 (ko) 자동차용 시트의 등받이 틸팅구조
KR100297135B1 (ko)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
KR100235024B1 (ko) 자동차 시트의 허리받침대 각도조정장치
JP2780968B2 (ja) 自動車用のシート構造体
KR200217805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장치
KR100461100B1 (ko) 차량 시트의 허리받침장치
JPS5849863Y2 (ja) 車輛用シ−ト
JPH0515241Y2 (ko)
JPH0546690Y2 (ko)
KR0131141Y1 (ko) 리어시트백의 헤드레스트 각도 조정장치
JPH054754Y2 (ko)
KR200207968Y1 (ko) 자동차의 프론트시트 위치 조절장치
JPS6310770Y2 (ko)
KR100492228B1 (ko) 자동차용 시트백의 요추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