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5669Y1 - 자동차용 시트의 등받이 틸팅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의 등받이 틸팅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5669Y1
KR200205669Y1 KR2019970033845U KR19970033845U KR200205669Y1 KR 200205669 Y1 KR200205669 Y1 KR 200205669Y1 KR 2019970033845 U KR2019970033845 U KR 2019970033845U KR 19970033845 U KR19970033845 U KR 19970033845U KR 200205669 Y1 KR200205669 Y1 KR 2002056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bracket
plate
operating
rota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38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0391U (ko
Inventor
김태조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338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5669Y1/ko
Publication of KR199900203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3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56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56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4Stepwise movement mechanisms, e.g. ratch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13Gear wheel driven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2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and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시트의 등받이 틸팅구조에 관한 것으로, 등받이가 쿠션과 나란하게 펼쳐지도록 회전가능하게 구성하는 동시에, 이 등받이가 쿠션에 접혀지게 함으로써, 탑승자가 편리하게 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테이블로도 이용이 가능하게 되어, 편의성을 더욱 높인 자동차용 시트의 등받이 틸팅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쿠션의 측면 후부에 장착된 고정브라켓에 작동레버로 동작가능한 회전수단을 장착하고, 등받이의 지지브라켓에는 이 회전수단과 조합되어 2개의 작동구멍이 겹쳐짐에 따라 등받이를 앞쪽으로 젖힐 수 있도록 틸팅수단이 설치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의 등받이 틸팅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시트의 등받이 틸팅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등받이가 뒷쪽으로 완전히 젖힘가능하게 하고, 또한 앞쪽으로 소정의 경사만큼 젖힘가능하게 함으로써, 테이블로도 이용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의 등받이 틸팅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시트는, 첨부도면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설치된 쿠션과 이 쿠션의 후부에 장착된 등받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쿠션은 차체에 트랙을 매개로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등받이는 쿠션의 후부에 리클라이너에 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시트는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쿠션과 등받이를 움직이거나 회전시켜서 사용하게 되며, 특히 상기 등받이는 쿠션과 나란하게 뒤로 젖혀서 탐승자가 편하게 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시트의 등받이 틸팅구조에 관한 것으로, 등받이가 쿠션과 나란하게 펼쳐지도록 회전가능하게 구성하는 동시에, 이 등받이가 쿠션에 접혀지게 함으로써, 탑승자가 편리하게 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테이블로도 이용이 가능하게 되어, 편의성을 더욱 높인 자동차용 시트의 등받이 틸팅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쿠션의 측면 후부에 장착된 고정브라켓에 작동레버로 동작가능한 회전수단을 장착하고, 등받이의 지지브라켓에는 이 회전수단과 조합되어 2개의 작동구멍이 겹쳐짐에 따라 등받이를 앞쪽으로 젖힐 수 있도록 틸팅수단이 설치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시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등받이 틸팅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a 내지 3c는 본 고안에 따른 등받이 틸팅구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작동레버 11 : 회전작동부
12 : 손잡이부 13 : 스프링
14 : 돌출부 15 : 작동핀
20 : 회전판 30 : 섹터 기어
31 : 스톱퍼 32 : 나선형 스프링
40 : 고정부재 41 : 치
42 : 자리면 43 : 걸림턱
50 : 고정판 51, 61 : 작동구멍
60 : 작동판 62 : 회전제한부
63 : 걸림돌기 70 : 핀
100 : 쿠션 110, 210 : 브라켓
200 : 등받이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쿠션(100)과 등받이(200)의 각 측면에 회전할 수 있도록 조합된 2개의 브라켓(110), (210)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등받이 틸팅구조에 있어서, 상기 각 브라켓(110), (210)에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작동가능한 회전수단과 틸팅수단이 갖추어져 있되;, 상기 회전수단은 탄성지지를 받아 회전가능하도록 브라켓(110)에 힌지고정된 작동레버(10)와, 이 작동레버(10)에 일체로 조합되어 움직이면서 작동판(60)과 일부 구간에서 회전간섭을 받는 회전판(20)과, 상기 브라켓(210)의 회전중심에 고정되어 탄성지지를 받아 제한된 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한 섹터 기어(30)와, 상기 작동레버(10)와 섹터 기어(30) 사이에 위치하도록 브라켓(110)에 장착되어 이 섹터 기어(30)와 치합/분리가능한 고정부재(40)로 구성되고;, 상기 틸팅수단은 소정의 곡률을 갖는 호 형상의 작동구멍(51)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브라켓(210) 상부에 고정설치되어 등받이(200)의 회전 중심이 되는 고정판(50)과, 이 고정판(50)에 겹쳐진 상태로 탄성지지를 받아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고정되어 상기 회전판(40)과 간섭으로 작동구멍(51)과 포개짐이 가능한 작동구멍(61)이 형성된 작동판(60)과, 상기 등받이(200)의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어 2개의 작동구멍(51), (61)에 수직으로 끼워져서 상대적으로 움직임 가능한 가이드 핀(7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브라켓(110)에는 섹터기어(30)가 전·후방으로 회전되는 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스톱퍼(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은 쿠션(100)과 수직인 위치에서 등받이(200)가 전후방에 대하여 각각 30°와 60°범위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틸팅수단은 등받이(200)가 앞쪽으로 최대 회전 위치에서 다시 전방으로 81°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2는 본 고안에 따른 등받이 틸팅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로서, 도면부호 100은 쿠션을, 200은 등받이를, 110과 210은 브라켓을 각각 나타낸다.
본 고안은 상기 쿠션(100)의 후부에 고정된 브라켓(110)에 등받이(200)의 브라켓(210)이 회전가능하도록 회전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등받이(200)의 브라켓(210) 상부에는 이 등받이(200)가 앞쪽으로 젖혀지도록 틸팅수단을 장착함으로써, 상기 등받이(200)가 쿠션(100)에 포개질 수 있게 하여, 등받이(200)를 테이블로도 이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수단은 탄성지지를 받아 회전가능하도록 브라켓(110)과 나란하게 설치된 작동레버(10)와, 이 작동레버(10)에 조합되어 일체로 움직이는 회전판(20)과, 상기 브라켓(210)에 고정되어 탄성지지를 받아 일체로 회전가능한 섹터 기어(30)와, 상기 작동레버(10)와 섹터 기어(30) 사이에 설치되어 이 섹터 기어(30)에 치합/분리되면서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고정부재(40)로 이루어져 있다.
도면부호 10은 작동레버를 나타낸다.
상기 작동레버(10)는 브라켓(110)에 스프링(13)의 지지를 받아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작동부(11)와, 이 회전작동부(11)의 끝단에 일체로 이루어진 손잡이부(12)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회전작동부(11)에 그 측면에 바깥쪽으로 일부 구간이 돌출되도록 돌출부(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출부(14)의 상부에는 작동핀(15)이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작동부(11)에는 케이블(16)이 갖추어져 있으며, 이 케이블(16)은 상기 쿠션(100)의 양측에 구비된 각 브라켓(11)에 갖추어진 2개의 회전작동부(11)를 연결하여, 어느 하나의 작동레버(10)를 작동시키게 되면 동시에 잠금/해제를 유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작동레버(10)는 브라켓(110)에 탄성지지를 받아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고정되게 된다.
도면부호 20은 회전판을 나타낸다.
상기 회전판(20)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판체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회전작동부(1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20)은 돌출부(14)의 바깥쪽면에 밀착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작동핀(15)은 이 회전판(20)과 간섭을 받지 않도록 안쪽에 위치하게 된다.
특히, 상기 회전판(20)은 상단부가 브라켓(110)보다 윗쪽으로 돌출되어 후술하는 작동판(60)의 회전 궤적내에 있게 되는데, 이렇게 간섭을 받는 구간은 기존의 등받이(200) 위치에서 상기 작동판(60)을 회전시켜주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작동판(60)은 탄성지지를 받아 회전가능하도록 고정판(50)에 설치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20)의 회전간섭을 받아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면부호 30은 섹터 기어를 나타낸다.
상기 섹터 기어(30)는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반경을 갖는 호 형상의 외주면에 치가 형성된 공지기술로 이루어진 것이며, 이러한 섹터 기어(30)는 상기 등받이(200)의 회전중심이 되는 브라켓(210)에 일체로 고정설치된다.
특히, 상기 섹터 기어(30)는 측면에 나선형 스프링(32)이 갖추어져 있으며, 이 나선형 스프링(32)은 양단이 각각 섹터 기어(30)와 등받이(200)의 회전중심과 브라켓(110)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섹터 기어(30)를 포함하는 브라켓(210)은 다른 브라켓(110)을 중심으로 탄성지지를 받아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렇게 회전가능한 섹터 기어(30)는 등받이(200)의 기준위치로부터 앞뒤로 움직이는 범위를 제한받게 되는데, 이러한 제한은 상기 브라켓(110)에 형성된 스톱퍼(31)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등받이(200)는 이미 알려진 기준위치(첨부도면 3a와 첨부도면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로부터 앞뒤로 각각 30°및 60°범위내에서 회전을 하게 되며, 이때 상기 브라켓(110)에는 섹터 기어(30)에 고정되어 연동하는 나선형 스프링(32)의 끝단에 의하여 형성되는 회전궤적 내에 스톱퍼(31)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섹터 기어(30)는 탄성지지를 받아 회전하면서 이 스톱퍼(31)에 걸려 회전제한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등받이(200)와 일체로 이루어진 브라켓(210)이 제한된 범위내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섹터 기어(30)가 갖추어진 브라켓(210)은 탄성지지를 받아 등받이(200)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되고, 이때 상기 등받이(200)의 최대 회전각도에 따라 제한된 범위내에서 동작하게 된다.
도면부호 40은 고정부재를 나타낸다.
상기 고정부재(40)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판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에는 일부구간에 걸쳐 상기 섹터 기어(30)에 치합가능하도록 치(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40)는 치(41)가 형성된 측면의 반대쪽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자리면(42)이 절개성형되어 있으며, 그 일측단에는 상기 작동핀(15)이 위치하도록 걸림턱(4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고정부재(40)는 상기 작동레버(10)와 섹터 기어(30) 사이에 위치하도록 브라켓(110)에 설치되며, 이때 상기 고정부재(40)는 섹터 기어(30)와 동일 평면을 이루면서 치합되고 상기 자리면(42)에는 작동핀(15)이 회전간섭을 받을 수 있도록 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40)는 항상 섹터 기어(30)에 치합되어 브라켓(210)과 조합된 등받이(200)의 회전을 제한하게 되며, 상기 작동레버(10)를 회전시켜서 작동핀(15)이 회전간섭으로 자리면(42)을 누르게 되면 치합된 상태가 풀리면서 섹터 기어(30)를 회전가능한 상태로 유지시켜주게 된다.
도면부호 50은 고정판을, 60은 작동판을, 70은 핀을 각각 나타낸다.
상기 고정판(50)과 작동판(60)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판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면에는 각각 일정 곡률를 가지면서 서로 포개질 수 있도록 작동구멍(51), (61)이 호 형상으로 관통성형되어 있다.
특히, 상기 작동구멍(61)은 일단이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회전제한부(6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2개의 작동구멍(51), (61)은 여기에 끼워져서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핀(70)의 작동 길이로서, 이 작동구멍(51), (61)의 호 길이가 핀(70)과 일체로 결합된 등받이(200)의 회전각도와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호의 회전각도는 81°범위내에서 회전가능하게 하여 등받이(200)가 쿠션(100)과 나란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고정판(50)은 브라켓(210)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판(60)은 이 고정판(50)에 탄성지지를 받아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고정되어 있다.
이때, 상기 작동판(60)은 탄성지지를 받아 회전제한부(61)에 작동구멍(51)의 하부가 위치하도록 설치하게 되는데, 바람직하기로는 이 작동판(60)이 첨부도면에서와 같이 회전을 하게 되면 2개의 작동구멍(51), (61)이 하나로 포개지도록 장착하게 된다.
한편, 상기 2개가 겹쳐진 작동구멍(51), (61)에는 핀(70)이 끼워져서 상대적으로 움직이게 되는데, 이 핀(70)은 상기 등받이(200)의 프레임에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등받이(200)는 작동구멍(51)의 곡률 중심점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고정되어, 2개의 작동구멍(51), (61)이 하나로 겹쳐지게 되면 핀(70)이 여기를 따라 상대적으로 움직임에 따라 회전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판(60)은 하부에 걸림돌기(63)가 돌출되어 있으며, 이 걸림돌기(63)는 상기 회전판(20)의 회전궤적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돌기(63)는 상기 회전판(20)과의 회전간섭을 받아 작동판(60)을 회전시켜주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제한부(63)가 위로 회전하면서 2개의 작동구멍(51), (61)이 하나로 겹침가능하도록 유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레버(10)를 잡아당기게 되면 회전판(20)이 회전하면서 작동판(60)을 회전시켜주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2개의 작동구멍(51), (61)이 겹쳐져서 등받이(200)를 앞쪽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이 작동구멍(51), (61)을 따라 핀(70)이 상대적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상기 핀(70)은 작동구멍(51), (61)의 상부에서 등받이(200)의 최대 회전각도를 제한하게 되고, 상기 작동구멍(51), (61)의 하부에서는 회전제한부(62)와 작동구멍(51)의 움직임 가능한 방향이 따라 등받이(200)가 회전되지 않도록 제한하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3a 내지 3c는 본 고안에 따른 등받이 틸팅구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을 그대로 이용한다.
본 고안의 틸팅장치는 브라켓(210)과 일체로 등받이(200)를 회전시켜서 체형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상기 브라켓(210)을 중심으로 등받이(200)만 회전시켜서 테이블로 이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등받이(200)의 사용상태를 체형에 맞도록 각도조절을 하는 것을 첨부도면을 참조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3a는 상기 등받이(200)를 회전시키기 전 상태의 기준 위치를 보여주는 것으로, 점선으로 도시된 2개의 등받이(200)는 앞과 뒷쪽으로 움직일 수 있는 최대 회전범위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등받이(200)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탄성지지를 받는 작동레버(10)를 잡아 위로 당기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14)가 고정부재(40)를 아래로 눌러 이 고정부재(40)가 섹터 기어(30)에 치합된 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섹터 기어(30)를 포함하는 브라켓(210)이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고, 이때 상기 등받이(200)를 회전시키게 되면 나선형 스프링(32)에 탄성력을 저장하면서 브라켓(110)을 중심으로 앞쪽이나 뒷쪽으로 회전시켜서 체형에 맞는 등받이(200)의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작동레버(10)는 등받이(200)가 적당한 위치에 놓여질 때까지 잡아당겨진 상태로 있게 되고, 상술한 것과 같이 위치가 결정되면 다시 탄성력으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자리면(42)이 돌출부(14)과의 간섭을 피하게 되어, 상기 고정부재(40)가 탄성을 받아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가면서 섹터 기어(30)에 치합되면서 등받이(30)의 위치를 고정시켜주게 된다.
이때, 상기 등받이(200)는 기준 위치에서 앞쪽과 뒷쪽으로 각각 30°및 80°범위내에서 회전하게 된다.
첨부도면 3c는 상기 등받이(200)로 이용하기 위해 쿠션(100)과 겹쳐지도록 젖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이와 같은 상태로 두기 위해, 먼저 상기 작동레버(10)를 잡아 위로 올리게 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것과 같이 브라켓(210)이 앞쪽으로 젖혀지면서 작동판(60)이 회전판(20)에 걸려 회전간섭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작동판(60)이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회전을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작동구멍(61)은 회전제한부(62)가 윗쪽으로 돌아가면서 2개의 작동구멍(51), (61)이 동일한 형태로 겹쳐지게 되며, 상기 2개의 작동구멍(51), (61)에 끼워진 핀(70)이 이렇게 겹쳐진 작동구멍(51), (61)을 따라 윗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등받이(200)는 작동구멍(51), (61)의 호 길이에 비례하여 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핀(70)이 작동구멍(51), (61)의 상부에 있게 되면 완전히 회전된 상태로 쿠션(100)과 나란한 상태가 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쿠션과 등받이의 브라켓에 각각 회전수단과 틸팅수단을 서로 연동가능하도록 구비하여, 등받이를 앞뒤로 움직이거나 쿠션과 겹쳐지도록 젖힐 수 있게 함으로써, 체형에 적합하게 등받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테이블로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쿠션(100)과 등받이(200)의 각 측면에 회전할 수 있도록 조합된 2개의 브라켓(110), (210)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등받이 틸팅구조에 있어서,
    상기 각 브라켓(110), (210)에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작동가능한 회전수단과 틸팅수단이 갖추어져 있되,
    상기 회전수단은 탄성지지를 받아 회전가능하도록 브라켓(110)에 힌지고정된 작동레버(10)와, 이 작동레버(10)에 일체로 조합되어 움직이면서 작동판(60)과 일부 구간에서 회전간섭을 받는 회전판(20)과, 상기 브라켓(210)의 회전중심에 고정되어 탄성지지를 받아 제한된 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한 섹터 기어(30)와, 상기 작동레버(10)와 섹터 기어(30) 사이에 위치하도록 브라켓(110)에 장착되어 이 섹터 기어(30)와 치합/분리가능한 고정부재(40)로 구성되고,
    상기 틸팅수단은 소정의 곡률을 갖는 호 형상의 작동구멍(51)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브라켓(210) 상부에 고정설치되어 등받이(200)의 회전 중심이 되는 고정판(50)과, 이 고정판(50)에 겹쳐진 상태로 탄성지지를 받아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고정되어 상기 회전판(40)과 간섭으로 작동구멍(51)과 포개짐이 가능한 작동구멍(61)이 형성된 작동판(60)과, 상기 등받이(200)의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어 2개의 작동구멍(51), (61)에 수직으로 끼워져서 상대적으로 움직임 가능한 가이드 핀(7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등받이 틸팅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10)에는 섹터기어(30)가 전·후방으로 회전되는 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스톱퍼(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등받이 틸팅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쿠션(100)과 수직인 위치에서 등받이(200)가 전후방에 대하여 각각 30°와 60°범위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등받이 틸팅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수단은 등받이(200)가 앞쪽으로 최대 회전 위치에서 다시 전방으로 81°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등받이 틸팅구조.
KR2019970033845U 1997-11-25 1997-11-25 자동차용 시트의 등받이 틸팅구조 KR2002056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845U KR200205669Y1 (ko) 1997-11-25 1997-11-25 자동차용 시트의 등받이 틸팅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845U KR200205669Y1 (ko) 1997-11-25 1997-11-25 자동차용 시트의 등받이 틸팅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391U KR19990020391U (ko) 1999-06-15
KR200205669Y1 true KR200205669Y1 (ko) 2000-12-01

Family

ID=19515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3845U KR200205669Y1 (ko) 1997-11-25 1997-11-25 자동차용 시트의 등받이 틸팅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56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653B1 (ko) * 2012-09-06 2013-10-15 현대다이모스(주) 시트백 틸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950B1 (ko) * 2007-12-05 2013-09-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CN116160935A (zh) * 2023-02-03 2023-05-26 广西双英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收折式汽车座椅桌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653B1 (ko) * 2012-09-06 2013-10-15 현대다이모스(주) 시트백 틸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391U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9953B1 (en) Sector recliner with single position memory
KR100929791B1 (ko) 높이 조정가능한 중앙 팔걸이를 구비한 후방 등받이
JP2005335697A (ja) 乗物シートおよびそのようなシートを備えた乗物
JP2003118436A (ja) 車両用シート
JP3936166B2 (ja) 車両用シート構造
KR200205669Y1 (ko) 자동차용 시트의 등받이 틸팅구조
KR100456515B1 (ko) 자동차의 암레스트 자동 폴딩 장치
JPH01164310A (ja) 自動車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前後調整装置
JP2006271581A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のメモリ機構
JPH0321639Y2 (ko)
JPH09109746A (ja) 車両のシート装置
JP2518006Y2 (ja) アームレスト構造
KR100318078B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틸팅 조절장치
JPH0721160Y2 (ja) 車両用シートのアームレスト
JPH0537869Y2 (ko)
JPH024819Y2 (ko)
KR19980057289A (ko)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JPH08913Y2 (ja) シートロック解除装置
JP2000179600A (ja) ばね付勢手段および自動車用シートのストッパ装置
KR100187151B1 (ko) 자동차의 헤드 레스트 리클라이너
JPS5849863Y2 (ja) 車輛用シ−ト
KR200152225Y1 (ko) 차량의 조수석 발받침대
JP4003936B2 (ja) アームレスト装置
JPS6317706Y2 (ko)
JPS5911645Y2 (ja) 車輌用シ−ト等のリクライニングアジヤス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