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9791B1 - 높이 조정가능한 중앙 팔걸이를 구비한 후방 등받이 - Google Patents

높이 조정가능한 중앙 팔걸이를 구비한 후방 등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9791B1
KR100929791B1 KR1020070020899A KR20070020899A KR100929791B1 KR 100929791 B1 KR100929791 B1 KR 100929791B1 KR 1020070020899 A KR1020070020899 A KR 1020070020899A KR 20070020899 A KR20070020899 A KR 20070020899A KR 100929791 B1 KR100929791 B1 KR 100929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vehicle
axis
arm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0819A (ko
Inventor
베르너 슐레히트
위르겐 잘레브스키
하르트무트 볼케
볼프강 지츨러
올라프 뷔쉬겐스
Original Assignee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70090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0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53Arm-rests movable to an inoperative position
    • B60N2/757Arm-rests movable to an inoperative position in a recess of the back-rest

Abstract

차량의 후방 등받이를 위한 중앙 팔걸이는 힌지에 의해 함께 결합된 팔걸이의 상부 부분과 팔걸이의 하부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 힌지는 상기 중앙 팔걸이의 단부면에 위치한다. 상기 중앙 팔걸이가 미사용 위치로부터 상기 팔걸이 위치 아래로 회전될 때, 상기 중앙 팔걸이의 두께를 양호하게 자동으로 조절하는 조절 기구이 본래 중공인 중앙 팔걸이 내부에 있으며, 미사용 위치에서 조절 기구는 등받이의 부분으로서 기능한다.
Figure R1020070020899
후방 등받이, 기구, 팔걸이, 상부 부분, 하부 부분, 조인트, 캠 트랙, 제어 레버

Description

높이 조정가능한 중앙 팔걸이를 구비한 후방 등받이{REAR SEAT BACK WITH HEIGHT-ADJUSTABLE CENTER ARMREST}
도 1은 간단한 사시도로 우측 후방 내부를 향해 바라본 분리된 차량의 후방 부분 판단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상당한 두께의 위치에서, 아래로 접혀진 중앙 팔걸이를 구비한 도 1의 차량 도면.
도 3은 함께 접혀진 중앙 팔걸이를 구비한 도 2에 따른 차량 도면.
도 4는 상당히 개략화된 형태인 팔걸이의 상부 부분을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의 개략도와 길이 방향 섹션에서의 도 1 내지 도 3의 중앙 팔걸이 도면.
도 5는 위로 접혀진 상태인 도 4의 팔걸이 도면.
도 6은 이동을 변화하기 위한 도 4에 따른 팔걸이의 제어 레버의 일 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상이한 위치들에서의 팔걸이와 조합된 팔걸이의 상부 부분을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 4 및 도 5와 유사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3 ; 후방 등받이 18 ; 팔걸이
22 ; 하부 부분 23 ; 상부 부분
26 ; 기구 39 ; 링크
42 ; 제어 레버 44 ; 캠 트랙
오늘날 대형 차량에서, 중앙 팔걸이(center armrest)는 일반적이다. 후방 등받이(rear seat back)는 2개의 섹션(section), 즉 좌측 섹션 및 우측 섹션으로 분할되고, 중앙부에 중간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중앙부의 중간 공간은 예를 들어 예를 들어 탑승 공간에 스키를 수용하도록 종종 관통부(pass-through opening)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스키는 트렁크 공간에 끼워 넣기에는 너무 길어서, 스키 가방 채로 트렁크 공간으로부터 탑승 공간 내로 밀어 넣어진다.
사용되지 않을 때, 이러한 관통부는 중앙 팔걸이로 기능할 수 있는 쿠션(cushion)에 의해 폐쇄된다. 위로 접힐 때, 쿠션은 후방 시트 뱅크(bank) 중간의 제 3 승객을 위한 등받이를 형성한다.
관통부 배열이 없는 다른 구성에서, 중앙 팔걸이는 여전히 제공되고, 중앙 팔걸이는 중앙 팔걸이가 위로 접힐 때 중간에 승객이 앉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중앙 팔걸이가 아래로 접힐 때, 2명의 후방 승객을 위한 상기된 팔걸이의 기능을 가진다.
중앙 팔걸이에 대한 공지된 구성에서, 중앙 팔걸이의 구조적 두께와 그 회전 축에 따라서, 오직 하나의 가용 높이만이 활용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기능 및 사용에 있어서 보다 융통성이 있는 중앙 팔걸이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부 구성에 의해서 해결된다.
새로운 등받이에서, 중간 공간은 중앙 팔걸이가 힌지 결합되는 좌측 섹션과 우측 섹션 사이에 공지된 방식으로 제공된다. 위로 접혀질 때, 중앙 팔걸이는 후방 등받이의 연속적인 연장부를 형성하고, 아래로 접혀질 때, 대략 수평 팔걸이 표면을 제공한다.
신규한 중앙 팔걸이는 2개의 부분으로 분할되고, 하나는 팔걸이 위치와 관련하여 하부 부분을 형성하며, 다른 하나는 상부 부분을 형성한다. 이러한 2개의 부분은 힌지 조인트(joint)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하부 부분과 상부 부분 사이의 간격은 기구(mechanism)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새로운 구성의 도움으로, 상부 부분에 형성된 팔걸이 표면을 인체공학적으로 선호하는 높이에 배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가능하다.
게다가, 상부 부분의 높이 조정성은 관통부를 위해 가능한 최대의 연속적인 개구를 형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앙 팔걸이는 시트 표면의 부근에 가능한 낮게 힌지 결합된다. 중앙 팔걸이를 아래로 접는 한편 하부 부분에 대해 상부 부분을 포개는 것에 의하여, 팔걸이는 낮은 높이를 가지며, 이것은 탑승 공간과 트렁크 공간 사이의 격벽에 있는 큰 영역을 자유롭게 한다. 자연적으로, 이 위치에서, 팔걸이 표면은 매우 낮은 높이에 있으며, 이 높이에서 중앙 팔걸이가 더 이상 팔걸이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이는 실제로 등받이의 아래로 접혀진 부분으로서만 기능한다. 하부 부분에 대한 상부 부분의 조정성으로 인해, 상부 부분은 마찬가지로 쿠션 위에서 팔을 인체공학적으로 안락하게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등받이의 2개의 섹션 사이의 중간 공간에 위치된 고정 축을 중심으로 팔걸이가 회전할 수 있을 때, 매우 단순한 구조적 관계가 만들어진다. 상기 축은 수평으로뿐만 아니라 차량의 길이 방향 축을 횡단하여 연장한다.
물론, 높이 조정성을 달성하기 위한 기구는 본래 중앙 팔걸이의 하부 부분과 상호작용하며, 하부 부분 상의 회전 축과 맞물린다.
가능한 최대의 관통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축은 후방 등받이의 하부 에지(edge) 부근에 위치된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상기 축은 연속 로드(rod)에 의해 형성된다. 팔걸이의 하부 부분이 이러한 것을 허용하면, 축은 2개의 개별 볼트 또는 리벳 볼트에 의해 또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팔걸이의 상부 부분은 팔걸이가 아래로 접힐 때 상향하는 쿠션 표면을 가진다. 유사하게, 팔걸이의 하부 부분은 바람직하게 쿠션 표면을 구비하여서, 팔걸이가 위로 접힐 때 팔걸이는 쿠션 등받이로 기능할 수 있다.
팔걸이의 상부 부분이 2개의 측벽과 하나의 단부벽을 가질 때, 특히 간단하고 안정적인 구조적 관계들이 만들어진다. 유사한 방식으로, 팔걸이의 하부부분이 컵형으로 형성될 수 있어서, 2개의 측벽과 하나의 단부벽이 다시 한번 하부 부분에 존재한다. 팔걸이가 위로 접혀질 때, 상부 부분의 단부벽과 하부 부분의 단부벽은 상향한다.
대략 컵형의 상술된 팔걸이 부분이 다른 것에 하나가 포개질(telescoped) 수 있어서, 내부 공간은 중첩하는 측벽에 의해 항상 외측으로부터 폐쇄된다. 동시에, 이러한 것은 끼임 방지 효과(antijamming effect)를 제공한다. 상부 부분의 각도의 큰 이동과 동시에 비교적 작은 회전은, 팔걸이가 위로 접힐 때 상향하는 팔걸이의 전방 단부 영역에 힌지 결합된 조인트가 배열되면 달성된다.
가장 간단한 경우, 힌지 결합된 조인트는 힌지로서, 팔걸이의 2개의 부분은 축에 의해 서로에 대해서만 회전할 수 있고, 힌지 축은 수평으로 연장하고 팔걸이와 차량의 종축을 횡단하며, 그래서 힌지 축은 회전 축과 평행하게 놓이고, 팔걸이는 2개의 기능 위치들 사이에서 전후로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팔걸이의 하부 부분에 대하여 상부 부분을 회전시키기 위한 기구는 팔걸이가 팔걸이 위치로 아래로 스윙(swing)할 때, 팔걸이의 상부 부분이 특정 간격만큼 하부 부분으로부터 멀리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체공학적 개선과 관련하여, 상기 간격이 조정가능하도록 기구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구의 매우 간단한 구성은 팔걸이의 하부 부분에 대한 상부 부분의 자동적인 이동을 위한 기구가 캠 트랙(cam track)을 가질 때 달성된다. 캠 트랙은 팔걸이의 폭과 관련하여 대략 중앙에 제공될 수 있다. 주어진 탄성 조건을 위한 개선은 팔걸이의 측부에 이웃하여 2개의 캠 트랙들을 배열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것은 팔걸이의 본래 강도가 불충분하더라도 종축에 대한 상부의 임의의 비틀림을 필수적으로 방지한다. 한편, 이동 조정성에 관련해서, 단일 캠 트랙의 사용이 디자인면에서 더욱 양호하다.
또한, 기구는 바람직하게 각각의 캠 트랙과 상호작용하는 제어 레버(lever)를 가진다.
제어 레버의 길이가 조정가능하다면, 이렇게 하여, 사용자는 팔걸이가 아래로 스윙할 때, 팔걸이의 상부 부분이 하부 부분으로부터 멀리 스윙하는 간격을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디자인 상태는 제어 레버가 회전 축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팔걸이의 하부 부분에서 이동할 수 있으면 단순화된다.
제어 레버는 선택에 따라서 1-아암(arm) 레버 또는 2-아암 레버로 구성될 수 있다. 2-아암 레버 구성의 경우에, 아암 중 한쪽은 캠 트랙과 상호작용하며, 다른 쪽은 커플링(coupling) 레버에 의해 고정 접합부에 결합된다.
이동을 조정하기 위해, 원칙적으로 한쪽 아암 또는 다른 쪽 아암의 디자인을 적절히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캠 트랙과 상호작용하는 아암은 보다 긴 아암이기 때문에 숙고한 끝에 길이가 조정가능하게 만들어지고, 그러므로 더욱 양호한 공간 조건을 형성한다.
제어 레버로서 1-아암 레버를 사용할 때, 적소에 고정되어 팔걸이를 아래로 접을 때 팔걸이의 회전 동작과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1-아암의 회전 동작을 제한하는 정지부가 제공된다. 스프링으로 인하여, 레버는 이 정지부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인장된다.
길이 조정성 레버 또는 아암은 2개의 세장형 부품을 가지며, 한쪽의 세장형 부품은 다른 쪽의 세장형 부품 상에서 안내된다. 2개의 부품은 스프링에 의해, 바람직하게 2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레버 또는 아암의 연장 방향으로 인장된다. 이러한 것은 중앙 팔걸이에 하중이 부과되지 않을 때 팔걸이의 상부 부분이 록킹(locking) 기구을 해제하는 것에 의하여 간단하게 상향으로 이동되는 효과를 가진다.
조정 장치는 유익하게 사용자에 의해 자유자재로 해제될 수 있는 멈춤쇠 장치이다. 멈춤쇠 장치는 팔걸이의 상부 부분이 하중하에 있을 때 임의의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멈춤쇠 장치가 적절하게 구성되면 양방향 록킹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변형들이 종속항의 주제이다.
하기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기본 이론적 디자인만이 설명된다. 물론, 기본 원리를 특정 상황들에 적용하기 위한 세부적인 다수의 변화가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들의 개별 형태들은 상호간에 조합될 수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의 목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1은 절개되어 개방된 차량의 후방 영역을 도시한다. 이 도면은 우측 내부를 바라본 도면을 제공하며, 미도시된 좌측 내부의 미러 이미지(mirror image)이다. 도면은 단순화된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보강재 및 체결구와 같은 차체의 내부 구조들은 도시되지 않았으며, 이것들은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필요하기 않기 때문이다. 또한, 차체의 도면은 간략화되고 그 내부에 존재하는 공동(cavity)도 도시되지 않는다.
만약 달리 표시되지 않는다면, 좌, 우, 상, 하와 같은 용어들은 습관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서 차량 자체의 방향들을 나타낸다.
예시된 차체(1)의 섹션은 지붕(2)을 구비하고, 지붕으로부터 B-칼럼(3)이 측부에서 하향으로 플로어(floor) 조립체(미도시)에 이르게 된다. 대응하는 B-칼럼이 차체의 분리된 좌측에 존재할 수 있다. 지붕(2)은 그 후방 에지에서 후방 윈도우(4)로 바뀐다. 측부에서, 후방 윈도우는 B-칼럼(3)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있는 C-칼럼(5)에서 종료된다. C-칼럼(5)은 절취된 C-칼럼의 미러 이미지이며, 도시되지 않은 내부 라이닝을 가진다.
B-칼럼(3)과 C-칼럼(5) 사이에서, 후방 측면 도어(7)는 기존 방식으로 B-칼럼에 힌지 결합된다. 측면 도어(7)는 자동차에서 통상적인 윈도우(8)를 포함한다.
후방 측면 도어(7)의 높이에, 시트 표면(12)과 후방 등받이(13)로 구성된 후방 시트(11)가 있다. 시트 표면(12)은 베이스 표면(14) 상에 위치되며, 베이스 표면은 플로어 조립체의 일부이며 발(foot) 영역이 형성된다.
후방 등받이(13)의 상부 에지 아래에는 후방 윈도우(4)의 하부 에지까지 연장하는 모자(hat) 보관 공간(25)이 있다.
후방 등받이(13)는 단편(a piece)으로 상호 분리된 우측 섹션(16)과 좌측 섹션(17)으로 분할된다. 이러한 중간 공간에, 등받이 섹션(18)이 위치되고, 등받이 섹션은 다른 기능 위치에서 중앙 팔걸이를 형성하며, 그러므로 이후에 중앙 팔걸이로 지칭된다. 중앙 팔걸이(18)는 그 하부 에지 부근에서 힌지 결합되지만, 회전 축은 또한 중앙 팔걸이(18)가 위로 접힐 때 전방을 향하는 표면 부근에 놓일 수 있다. 위로 접혀진 위치에서, 중앙 팔걸이(18)는 2개의 등받이 섹션(16, 17)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채운다. 이런 방식으로, 제 3의 비상 시트가 만들어진다. 머리 받침대(19, 20)는 섹션(16, 17)의 등받이의 상부 에지에 위치된다.
도 1은 중앙 팔걸이(18)의 위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하며, 도 2는 아래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앙 팔걸이(18)는 이후에 간단히 하부 부분 및 상부 부분으로 지칭되는 중앙 팔걸이 하부 부분(22) 및 중앙 팔걸이 상부 부분(23)으로 이루어진다. 상부 부분(23)과 하부 부분(22)은 각각 단부면(24, 25)을 형성하고, 단부면은 본래 서로의 연장부로서 진행하고, 도 2의 아래로 접혀진 상태에서 전방을 향하며, 도 1의 접혀진 상태에서 위를 향한다. 2개의 단부면(24, 25) 부근에서, 상부 부분(23)은 하부 부분(22) 상에 힌지 결합되고, 2개의 섹션(16, 17)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중앙 팔걸이(18) 내측에 존재하는 기구(26, 도 4)는 상부 부분(23)과 하부 부분(22) 사이의 상대 이동을 제어한다.
아래로 접혀진 상태에서, 중앙 팔걸이(18)의 상부 부분(23)의 표면은 사용위치에서 대략 수평으로 위치하는 팔 지지면(27)을 형성한다. 한편, 하부 부분(22)은 위로 접혀진 위치에서 등 지지면(28)을 형성한다.
2개의 단부면(24, 25)의 전체 폭은 시트(16, 17)의 상부 에지에서 두 시트(16, 17)의 등받이의 깊이와 일치하여서, 도 1의 위로 접혀진 상태에서, 후방 등받이(13)의 상부에서 연속하는 라인이 만들어진다.
또한, 위로 접혀진 상태에서, 등 지지면(28)은 두 시트(16, 17)의 등받이 사이의 공간을 막는다.
기술된 중앙 팔걸이(18)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도 1의 위로 접혀진 상태에서, 중앙 팔걸이(18)는 후방 시트(11)의 제 3 중앙 시트용 등받이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배치가 사용되지 않을 때, 중앙 팔걸이(18)는 도 1의 위치로부터 도 2의 위치로 접힐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중앙 팔걸이(18)는 하부 부분(22)의 하부 에지에서, 등 지지면(28) 부근에 위치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 축은 수평으로 또한 차량의 종축을 횡단하여 놓인다.
또한, 아래로 접히는 동안, 기구(26)는 인체공학적으로 안락한 높이에 팔 지지면(27)을 위치시키도록 상부 부분(23)이 하부 부분(22)에 대해 상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러한 회전 운동 동안, 중앙 팔걸이(18)의 두께는 단부면(24, 25)으로부터 멀리 있는 단부에서 증가한다. 위로 접혀진 상태에서, 이러한 위치에 있는 중앙 팔걸이(18)의 두께는 두 시트(16, 17)의 등받이의 두께와 일치하는 반면에, 아래로 접혀진 상태에서, 중앙 팔걸이의 두께는 상당히 두껍다.
하향 회전 이동은 중앙 팔걸이(18)의 등 지지면(28)이 시트(12)에 걸리거나 또는 적절한 내부 정지부가 제공되는 것으로 제한된다.
또한, 기구(26)가 적절하게 구성될 때, 중앙 팔걸이(18)의 두께는 도 3에 의하여 단부면(24, 25)으로부터 멀리 있는 단부에서 변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는 작동 버튼(29)을 누른다. 그런 후에, 상부 부분(23)은 하부 부분(22)의 방향으로 아래로 눌려질 수 있다. 이러한 조정성은 팔 지지면(27)을 인체공학적으로 선호하는 높이에 위치시키거나, 또는 탑승 공간과 트렁크 공간 사이의 격벽(30)에 포함된 관통부(미 도시)를 완전하게 자유롭게 하기(free up)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중앙 팔걸이(18)가 2개의 작동 위치 사이에서 전후로 스윙할 때, 하부 부분(22)에 대하여 상부 부분(23)의 자동 회전을 만드는 기구(26)를 설명할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부분(22)은 상부와 후부, 즉 도 4의 표현에 관해서는 우측으로 개방되는 조개 껍질(shell)과 같은 형상이다. 하부 부분은 베이스 판(31), 이미 언급한 단부면(25), 및 대략 서로 평행하고 베이스 판(31)에 직각인 2개의 측벽(32)으로 구성된다. 세로로 절개된 도면으로 인해, 2개의 측벽 중 하나만이 보이며, 즉 우측의 것만이 보인다. 측벽(32)은 상부 에지(33)에서 종료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서, 베이스 판(31)은 측벽(32) 및 단부면(25)을 구비한 단일체의 금속판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판의 외측에 등 지지면(28)을 형성하는 쿠션(34)이 체결된다. 쿠션(34)은 베이스 판(31)의 전체 면을 덮는다. 쿠션의 치수는 2개의 섹션(16, 17)의 등받이와 시트 표면(12) 사이의 중간 공간에 일치한다.
상부 부분(23)은 도 4에서 바닥과 후부에서 개방되는 조개 껍질을 닮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상부 부분은 베이스 판(35), 상기된 단부면(24), 및 2개의 측벽(36)을 포함한다. 측벽(36)은 상부 에지(37, 도 3)에서 종료한다.
베이스 판(35)의 외측에 쿠션(38)이 있으며, 쿠션의 외측은 팔 지지면(27)이 된다.
상부 부분(23)은 2개의 측벽(36)에 의해 하부 부분(22)의 측벽(32)을 중첩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팔걸이의 2개의 부분(22, 23)의 상부 에지(33)와 상부 에지(37) 사이의 어떠한 가위형 틈도 임의의 기능 위치에서 만들어지지 않는다.
팔걸이의 2개의 부분(22, 23)은 힌지(39)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힌지(39)는 2개의 단부면(24, 25)의 내측에 배열되고, 단부면을 서로 결합한다. 힌지(39)의 축은 도면의 평면에 수직, 그러므로 중앙 팔걸이(18)의 종축에 직각, 즉 차량의 종축을 횡단한다. 위로 접혀진 상태에서, 이 축은 상부에 위치한다.
상부 부분(23)과 하부 부분(22) 사이의 제한된 이동을 제어하는 기구(26)는 포켓(41 ; pocket), 제어 레버(42), 및 커플링 레버(43)를 포함한다.
중앙 팔걸이는 하부 부분(22)에 의해 차량에 링크된다. 이를 위하여, 굴대 로드(40 ; axle rod)는 적절한 위치에서 2개의 측벽(32)을 관통하고, 회전하지 않도록 차량에 고정된다. 굴대 로드(40)의 관통을 위하여 측벽(32)에 있는 대응하는 보어홀(borehole)과 측벽(36)에 있는 임의의 슬롯(slot)은 감추어져서 보이지 않는다.
포켓(41)은 외측에 폐쇄되며, 베이스 판(35)에 대략 평행한 캠 트랙(44)을 그 상부 에지(도면 상부)에서 형성한다. 이 포켓의 정확한 치수들은 시행 착오를 걸쳐 알려지게 되며 개별 상황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제어 레버(42)는 아암(45, 46)으로 만들어진 2-아암 레버이다. 2개의 아암(45, 46)들 사이의 접합부에서, 제어 레버(42)는 축(47) 상에서 선회(pivot)된다. 이 축(47)은 도면에 개략적으로 지시될 뿐이다. 이 축은 상부 에지(33) 부근에서 측벽(32)에 체결되는 대응 리벳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어 레버(42)는 굴대 로드(40) 축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이 리벳 상에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축(47)의 위치는 필요할 때 실험적으로 알 수 있다. 제어 레버의 위치설정은 하기의 기능 설명으로 기술될 것이다. 기본적으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레버는 캠 트랙(44) 아래에 대략 수직으로 놓인다.
아암(45)의 자유 단부에는, 포켓(44) 내로 돌출되고 캠 트랙(44)과 상호작용하는 외형 추적 핀(48 ; contour-following pin)이 리벳팅된다(도 7). 상기 핀의 리벳 머리부(49)만이 보인다.
다른 아암(46)의 자유 단부는 커플링 레버(43)에 링크된다. 커플링 레버(43)는 아암(46)을 브래킷(51 ; bracket)에 결합하고, 하부 부분(22)의 내측 굴대 로드(40) 상에서 회전함이 없이 안치된다. 브래킷(51)은 상향한다. 브래킷은 임의의 회전 위치에서 베이스 판(31)과 충돌하지 않도록 배열된다.
또한, 기구(26)는 절개된 측벽(32, 36)의 영역에서 미러 이미지로 존재할 수 있어서, 양 측부에서 하부 부분(22)에 대하여 상부 부분(23)을 위한 대응 지지부를 달성한다. 비틀림을 방지하는데 충분한 강성이 주어질 때, 2개의 측벽(36) 사이의 중간에 배치되는 중앙 벽에서의 대응하는 개구로서 포켓(41)을 제공하는 것이 충분할 수 있다. 중간 배치는 이동에 대한 조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것은 추후에 논의될 것이다. 단지 단일 기구(26)의 경우에, 비틀림에 대한 강성은 힌지(39)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기구(26)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위로 접혀진 위치에서, 중앙 팔걸이(18)는 쿠션(38)이 격벽(30)에 기댄다. 상부 부분(23)은 하부 부분(22)과 함께 최대한 접혀져서, 두께 치수에서 공간 요구성이 만들어지지 않으며, 이는 중앙 팔걸이(18)가 2개의 시트(16, 17)의 등받이의 표면을 지나 돌출되도록 한다. 또한, 도 5의 위로 접혀진 위치에서, 제어 레버(42)는 상부 에지(33)에 대하여 매우 예각으로 연장하도록 그 축 상에서 스윙한다. 이런 식으로, 제어 레버는 캠 트랙(44)의 후부 또는 하부에 배치된다. 게다가, 이런 식으로 외형 추적 핀(48)은 상부 에지(33)에 이웃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것은 접힘 운동을 제한하지 않는다. 부가하여, 캠 트랙(44)에 대향한 포켓(41)의 에지의 적절한 구성이 주어지면, 쿠션(38)과 격벽(30) 사이의 스침 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 부분(23)이 상기 외형 추적 핀(48)의 이동에 의해 하부 부분(22)에 대해 적극적으로 당겨지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출발하여, 사용자가 중앙 팔걸이(18)를 도 5의 위치로부터 도 4의 위치 아래로 회전하면, 커플링 레버(43)를 경유한 상대 운동은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의 제어 레버(42)의 회전 운동을 유발한다. 그러므로, 제어 레버(42)는 상부 에지(33)를 향해 배향되며, 외형 추적 핀(48)은 상부 에지(33) 또는 베이스 판(31)으로부터 최대 거리에 있는 위치에 있게 된다. 캠 트랙(44)의 적절한 구성에 의해, 상부가 하부 부분(22)으로부터 충분히 멀리 스윙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회전 운동은 힌지(39)의 축을 중심으로 일어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것을 위한 힘은 중앙 팔걸이(18)의 후방 에지 부근에서, 그러므로 힌지(39)로부터 먼 곳에 적용된다. 위로 접을 때, 고정된 브래킷(51)과 연계된 커플링 레버(43)는 제어 레버(42)가 축(47)에 대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보장하여, 외형 추적 핀(48)이 베이스 판(31)을 향해 이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부 부분(23)은 중앙 팔걸이(18)의 후방 에지 영역에서의 두께를 2개의 측면(24, 25) 두께로 조정하기 위해 하부 부분(22)을 향해 회전할 수 있다.
외형 추적 핀(48)의 위치가 이러한 이동을 허용하면, 또는 포켓(41)이 적절하게 구성되면, 상부 부분(23)의 하향 접힘은 그 자체의 중량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외형 추적 핀(48)은 캠 트랙(44)에 대향하는 포켓(41)의 에지 또는 여백에 대해 작동할 수 있으며, 포켓의 에지 또는 여백을 향해서 상부 부분(23)을 당길 수 있다.
중앙 팔걸이(18)가 도 4 및 도 5에 따른 2개의 위치 사이에서 전후로 회전될 수 있을 때, 하부 부분(22)에 대해 상부 부분(23)에 의해 실행되는 회전 이동이 아암(45)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도 4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도 6은 필요한 아암 길이 변화를 달성하기 위한 기구(26)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에 따른 제어 레버(42)는 2개의 로드(52, 53)로 이루어진다. 2개의 로드(52, 53)는 편평한 직사각형 외형을 가지며, 조립된 상태에서, 로드의 평탄 측부가 서로 기대어 있다. 로드(52)에서, 전체 3개의 보어홀(54, 55, 56)은 동일 축 상에서 다른 것 위에 하나가 있도록 만들어진다. 리벳(57)은 보어홀(56)에 배치되고, 제어 레버(42)를 커플링 로드(43)에 연결한다. 리벳(57)은 그 샤프트가 보어홀(56)과 커플링 로드(43)에 있는 대응하는 보어홀을 관통한다.
보어홀(55)은 굴대 보어홀을 형성하고, 굴대 보어홀에 의해, 제어 레버(42)는 축(47) 상에서 피봇된다. 이 축은 리벳 헤드(61)로부터 돌출하는 계단형 샤프트(59)를 가지는 리벳(58)에 의해 형성된다. 리벳 헤드(61)는 샤프트(59)의 반대편에 있는 다른 샤프트(62)를 가지며, 이 샤프트에 의하여, 리벳(58)은 측벽(32)에 고정된다.
로드(53)는 평행 에지들을 갖는 장방형 홀(63)을 갖는다. 장방형 홀(63)은 로드(53)의 길이 방향 치수에 평행하게 진행한다. 장방형 홀(63)의 폭은 리벳(58)의 샤프트(59)의 보다 두꺼운 영역에 대응한다.
조립된 상태에서, 추가 리벳(64)은 장방형 홀을 관통하며, 마찬가지로 계단형 샤프트(65)를 갖는다. 보다 두꺼운 직경을 가진 샤프트(65)의 부분은 장방형 홀(63)의 폭에 적응되며, 샤프트(59)의 보다 큰 직경 섹션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2개의 샤프트(59, 65)의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이 영역의 길이는 로드(53)의 두께에 대응한다.
장방형 홀(63) 바로 위에, 로드(53)는 외형 추적 핀(48)의 샤프트(49)를 수용하기 위한 보어홀(66)을 포함하고, 핀은 이 보어홀에 리벳팅된다.
조립된 상태에서, 리벳(64)은 그 샤프트(65)에 의해서 장방형 홀(63)을 통하여 결국은 보어홀(54) 내로 안내된다. 리벳(64)은 이 보어홀에서 리벳팅된다. 샤프트(59)는 마찬가지로 장방형 홀(63)에 안내되지만, 샤프트는 리벳(64)에 대해 장방형 홀(63)의 길이 방향으로 명확하게 이동되며, 최종적으로 보어홀(55)로부터 돌출한다. 샤프트(59)의 돌출부분은 멈춤쇠(67)를 위한 지지부로서 기능한다.
2개의 리벳들(58,64)로 인해서, 장방형 홀(63)에 관련하여, 사용자는 로드(52)에 대해 거의 유격없이 로드(53)를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평행 안내 시스템을 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평행 안내 시스템은 2개의 로드(52, 53)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다.
아암(68, 69)은 각각 로드(52)의 상부 단부와 로드(53)의 하부 단부에 있다. 이러한 2개의 아암(68, 69)은 서로로부터 이격되고, 인장 스프링(71)을 위한 접합부로서 기능한다. 인장 스프링(71)으로 인하여, 로드(52, 53)는 외형 추적 핀(48)이 피봇 축(47)과 보어홀(55)로부터 가능한 최대 거리를 갖도록 서로에 대해 인장된다.
아암(68, 69)으로부터 이격된 측부에서, 그 사이에 형성된 갭(73)을 구비한 수개의 치형부(72)가 다른 것 위에 하나가 있는 방식으로 로드(53)의 협측부 상에 제공된다.
멈춤쇠(67)는 브래킷(74)과, 이 브래킷(74)에 형성된 멈춤쇠 돌기(75)로 구성된다. 보어홀(76)이 브래킷(74)에 형성되며, 보어홀에 의해 멈춤쇠(67)는 샤프트(59) 상에서 피봇된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서, 멈춤쇠(67)는 치형부의 갭들(73)과 결합할 수 있다.
조립된 상태에서, 샤프트(59)는 멈춤쇠(67)가 느슨하게 회전하도록 리벳팅된다.
지지 보어홀(76)에 인접한 측부로 변위된 브래킷(74)은 멈춤쇠 돌기(75)에 반대방향을 가리키는 핀(77)을 가진다. 대응하는 보어홀(78)을 갖는 작동 로드(79)는 핀(77)에 안치하며, 그 원단에서 크로스 브레이스(81 ; cross brace)가 된다. 작동 버튼(29)은 크로스 브레이스(81)에 고정된다. 인장 스프링(82)에 의해서, 멈춤쇠 돌기(75)가 치형부 갭들(73)내에서 예비 인장되도록 작동 로드(79)는 예비 인장된다.
작동 모드는 다음과 같다 : 중앙 팔걸이(18)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 접혀질 때, 사용자는 작동 버튼(29)을 누를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작동 로드(79)는 인장 스프링(82)의 작용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밀린다. 이러한 밀림으로 인하여, 멈춤쇠(67)는 회전되고, 멈춤쇠의 멈춤쇠 돌기(75)는 작동 버튼(29)을 작동하기 전에 위치된 특정 치형부 갭(73)으로부터 해제된다. 사용자가 이 위치에서 상부 부분(23)을 압박하지 않는다면, 인장 스프링(71)은 샤프트(59)가 장방형 홀(63)의 만곡된 하부 에지에 위치될 때까지 로드(53)를 상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중앙 팔걸이(18)는 그 후방 단부 영역에서 최대 두께를 가진다. 그러나, 사용자가 상부 부분(23)을 압박하면, 상부 부분(23)은 아래로 눌려질 것이며, 상부는 장방형 홀(63)의 상부 에지에 샤프트(63)가 위치될 때까지, 로드(52)에 대하여 하향으로 로드(53)를 밀게 된다. 그러므로, 팔걸이(1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후방 에지 영역에서 최소 두께를 갖는다.
로드(53)의 길이 방향 이동 동안, 로드(52)는 하부 부분(22)에서 고정된 채로 유지된다. 사용자가 상부 부분(23)을 압박하는 수직 작동 힘은 축(47)에 의해서 만들어지고, 리벳(58)에 의해 흡수된다.
정확한 셋팅 후에, 사용자는 작동 버튼(29)을 해제하며, 그 때문에, 스프링(82)은 시작 위치로 작동 로드(79)를 다시 당길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멈춤쇠(67)는 핀(59) 상에서 회전되고, 멈춤쇠 돌기(75)는 대응하는 치형부 갭(73)내로 수용된다. 멈춤쇠 돌기가 치형부 갭(73)의 바닥에 도달될 때, 회전 동작의 끝에 이르게 된다.
멈춤쇠 돌기(75)는 치형부 갭(73)에 안치될 때 로드(52)에 대한 로드(53)의 임의의 길이 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설명과 같이, 보어홀(55) 바로 위로 연장하는 로드(53)의 세그먼트(segment)는 아암(45)을 형성하는 한편, 보어홀(55)과 보어홀(56) 사이의 영역에 있는 로드(52)는 아암(46)을 나타낸다.
제어 레버(42)가 최단 크기를 가질 때, 외형 추적 핀(48)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는 원상에서 일치하여 원호 운동을 한다. 이 때문에, 포켓(44)은 대략 삼각형상이다.
도 7 및 도 8은 팔걸이(18)의 2개 부분(22, 23)을 서로를 향해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26)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 제어 레버(42)는 굴대 로드(40)상에서 직접 피봇되는 1-아암 제어 레버이다.
단부면(24, 25)의 방향으로, 하부 부분(22) 및 상부 부분(23)에 의해 형성된 중앙 팔걸이 내부에, 제어 레버(42)를 위한 고정식 정지 핀(83)이 있다. 정지 핀(83)은 예를 들어, 브래킷(51)과 같은 브래킷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브래킷은, 정지 핀(83)과 제어 레버(42) 뿐만 아니라 이것들의 상호 작용을 나타내도록,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지 않는다. 인장 스프링(84)에 의해서, 제어 레버(42)는 정지 핀(83)에 대하여 예비 인장된다. 이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스프링은 한쪽 단부에서 제어 레버(42) 상에 고정되고 다른 쪽 단부에서 측벽(32)에 고정된다.
게다가,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제어 레버(42)는 캠 트랙(44)의 외형을 따르도록 포켓(41) 내에 결합되는 외형 추적 핀(48)을 가진다. 상기 레버가 도 4의 제어 레버(42)와 비교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포켓(41)은 또한 결과적으로 반대로 배향된다.
중앙 팔걸이(18)가 아래로 접힐 때,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레버(42)가 대개 수직이어서, 중앙 팔걸이(18)가 위로부터 압박되면, 상부 부분(23)은 캠 트랙(44)과 제어 레버(42)에 의해 굴대 로드(40) 상에 지지될 수 있다. 도 8의 위치 위로 스윙할 때, 캠 트랙(44)은 처음에는 외형 추적 핀(48)을 따라서 슬라이딩하여, 상부 부분(23)이 후방 에지의 영역에서 하부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한다; 즉, 팔걸이(18)는 함께 접혀지기 시작한다. 회전 이동 과정 중에, 상부 에지(33)가 외형 추적 핀(48)과 부딪히게 되어서, 제어 레버(42)는 추가의 이동 동안 정지 핀(83)에 의해 상승된다.
종료 위치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따른 제어 레버(42)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 레버(42)가 길이에 있어서 조절 가능하게 될 수 있는 것을 인지하기 위해 어떠한 추가 설명도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부 보어홀(56)의 영역에서 굴대 로드(40) 상에 제어 레버(42)를 장착하고, 또한 커플링 브레이스(43)를 생략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와는 달리, 작동 모드는 도 6과 관련하여 설명되었다.
차량들의 후방 등받이를 위한 중앙 팔걸이는 힌지에 의해 서로 결합된 팔걸이 상부와 팔걸이 하부로 구성된다. 힌지는 중앙 팔걸이의 단부면에 위치한다. 조절 기구가 본래 중공인 중앙 팔걸이 내부에 있으며, 중앙 팔걸이가 등받이의 일부로서 기능하는 미사용 위치로부터 팔걸이 위치로 아래로 회전될 때, 중앙 팔걸이의 두께는 조절 기구에 의하여 바람직하게 자동으로 조절된다.
신규한 중앙 팔걸이는 팔걸이 위치와 관련하여 하나는 하부를 형성하며 다른 하나는 상부를 형성하는 2개의 부분들로 분할된다. 이러한 2개의 부분들은 힌지 결합된 조인트로 함께 결합된다. 하부와 상부 사이의 간격은 기구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인체공학적으로 선호되는 높이에서 상부에 형성된 팔걸이 표면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부의 높이 조정성은 관통부를 위한 가능한 최대 연속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9)

  1. 좌측 섹션과 우측 섹션(16, 17) 사이에 직사각형의 중간 공간이 형성된 후방 등받이(13),
    상기 중간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좌측 섹션과 우측 섹션(16, 17) 사이에 접혀 올려진 위치와 후방 등받이(13)로부터 앞으로 연장되어 접혀 내려진 위치 사이를 이동하며, 접혀 내려진 위치에서, 길이 방향으로, 팔걸이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 부분(22)과 팔걸이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부분(23), 두 부분(22, 23)으로 나뉘어지는 팔걸이(18),
    힌지 결합하는 회전 축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이동을 하기 위해서 상기 두 부분(22, 23)을 결합시키며, 상기 두 부분(22, 23)에 대해 고정된 회전 축을 갖는 힌지(39) 결합의 형태로 상기 두 부분(22, 23)의 한쪽 단부에 인접한 링크, 및
    상기 고정된 힌지 결합 회전 축에 대해 상기 두 부분(22, 23)을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팔걸이가 접혀 내려진 위치에서, 힌지(39) 결합의 두 부분(22, 23)의 타단을 서로 멀어지도록 위치시키는 기구(26)를 포함하고,
    상기 팔걸이의 상기 상부 부분(23)은, 팔걸이가 상기 접혀 내려진 위치에 있을 때 상향하고 상기 상부 부분(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팔걸이 쿠션 표면(34)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등받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18)는 고정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고정 축은 중간 공간에 위치되고 차량의 길이방향 축을 횡단하여 수평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등받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축은 후방 등받이(13)의 하부 에지 부근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등받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축은 사용자와 마주하는 후방 등받이(13)의 표면 부근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등받이.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축은 로드(40)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등받이.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의 상부 부분(23)은 2개의 측벽(36)과 하나의 단부벽(2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등받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의 하부 부분(22)은 쿠션 표면(34)을 갖고, 상기 쿠션 표면은 상기 팔걸이(18)가 위로 접혀질 때 후방 등받이(13)와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등받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의 하부 부분(22)은 2개의 측벽(32)과 하나의 단부벽(25)을 갖고, 상기 단부 벽은 팔걸이(18)가 위로 접혀질 때 상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등받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팔걸이(18)의 전방 단부 영역에 배열되고, 상기 팔걸이의 전방 단부는 팔걸이(18)가 위로 접혀질 때 상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등받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 부분(23)은 상기 팔걸이(18)의 하부 부분(22)과 포개져 (telescopically)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등받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힌지(39)로서, 상기 팔걸이의 상기 두 부분(22, 23)은 힌지 축과 관련하여 서로에 대해서만 회전하며, 상기 힌지 축은 수평으로, 상기 팔걸이(18) 및 차량의 길이 방향을 가로질러 진행하여서, 상기 힌지 축은 회전 축(40)에 평행하게 놓이고, 팔걸이(18)는 상기 회전 축을 중심으로 아래로 접혀진 위치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등받이.
  13. 삭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의 하부 부분(22)에 대해 상부 부분(23)을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기구(26)는 이동 조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등받이.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26)는 적어도 하나의 캠 트랙(44)을 구비하고, 상기 팔걸이의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23, 22) 중 하나 이상에 하나 이상의 캠 트랙(44)을 구비하고, 상기 팔걸이의 상기 각각의 부분은 상기 팔걸이(18)의 측부(32, 36) 중 하나에 인접하여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등받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캠 트랙(44)은 상기 팔걸이의 상기 상부 부분(23)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등받이.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26)는 상기 캠 트랙(44)과 상호작용하는 제어 레버(4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등받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레버(42)의 유효 길이는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등받이.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레버(42)는 회전 축에 평행한 축(47, 59)을 중심으로 상기 팔걸이의 하부 부분(22)에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등받이.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레버(42)는 2-아암 레버로 구성되고, 상기 아암 중 하나의 아암(45)은 상기 캠 트랙(44)과 상호작용하며, 다른 아암(46)은 고정된 접합부(51) 상에서 피봇하는 커플링 브레이스(43)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등받이.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캠 트랙(44)과 상호 작용하는 상기 아암(45)의 길이는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등받이.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레버(42)는 1-아암 레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등받이.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1-아암 레버는 적소에 고정되는 정지부(83)에 의해 조정되고, 상기 1-아암 레버는 스프링(84)에 의해 상기 정지부(83)에 대해 탄성적으로 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등받이.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1-아암 레버는 길이가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등받이.
  25. 제 17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레버(42) 또는 아암(45)은, 하나가 다른 것 상에서 안내되는 2개의 세장형 부품(52, 5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등받이.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세장형 부품(52, 53)은, 상기 아암(45) 또는 상기 2개의 세장형 부품(52, 53)으로 구성되는 레버(42)의 연장 방향으로 스프링(71)에 의해 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등받이.
  27. 제 25 항에 있어서,
    멈춤쇠 장치(67, 72)는 상기 2개의 세장형 부품(52, 53)에 의해 조정되고, 상기 멈춤쇠 장치(67, 72)는 상기 레버(42) 또는 아암(45)의 상기 2개의 세장형 부품(52, 53) 사이의 예비 조정된 상대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등받이.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쇠 장치(67, 72)는 필요할 때 상기 멈춤쇠 장치(67, 72)를 해제하기 위해서 작동 버튼(29)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등받이.
  29. 제 27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팔걸이(18)를 압박할 때, 상기 멈춤쇠 장치(67, 72)는 적어도 상기 아암(45) 또는 레버(42)가 힘에 노출되는 방향으로 포지티브 록킹(positive locking)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등받이.
KR1020070020899A 2006-03-03 2007-03-02 높이 조정가능한 중앙 팔걸이를 구비한 후방 등받이 KR1009297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10376A DE102006010376A1 (de) 2006-03-03 2006-03-03 Rücksitzlehne mit höhenverstellbarer Mittelarmlehne
DE102006010376.9 2006-03-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819A KR20070090819A (ko) 2007-09-06
KR100929791B1 true KR100929791B1 (ko) 2009-12-07

Family

ID=38121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899A KR100929791B1 (ko) 2006-03-03 2007-03-02 높이 조정가능한 중앙 팔걸이를 구비한 후방 등받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58634B2 (ko)
EP (1) EP1829740B1 (ko)
JP (1) JP2007238081A (ko)
KR (1) KR100929791B1 (ko)
CN (1) CN101028801A (ko)
AT (1) ATE448111T1 (ko)
DE (2) DE1020060103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56651A1 (de) 2006-11-29 2008-06-05 Bos Gmbh & Co. Kg Mittelarmlehne mit Parallelverstellungsmöglichkeiten
WO2008141440A1 (en) * 2007-05-18 2008-11-27 Intier Automotive Inc. Deployable center armrest
WO2009114765A1 (en) * 2008-03-13 2009-09-17 Elio Paul A Infinitely adjustable armrest for seat
DE102010041898A1 (de) * 2010-10-04 2012-04-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ückenlehne mit Kopfstütze
CN104108328B (zh) * 2013-04-19 2017-07-28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辆内装构造
CN105253039A (zh) * 2014-06-19 2016-01-20 常州昊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机动车吧台隐藏式座椅
US9676305B2 (en) * 2014-08-18 2017-06-13 Tum Create Limited Vehicle seat with integrated child seat
CN107428275B (zh) * 2014-12-12 2020-03-06 上海延锋金桥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用于车辆内部的扶手总成
JP6329524B2 (ja) * 2015-11-18 2018-05-2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車両
US10239434B2 (en) * 2016-01-14 2019-03-26 Adient Luxembourg Holding S.a.r.l. Vehicle seat with center seat cushion and console armrest
JP2017136983A (ja) * 2016-02-04 2017-08-10 株式会社タチエス 車両用シート
US9764662B1 (en) * 2016-03-15 2017-09-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assembly with integral child seat module
JP6488326B2 (ja) * 2017-03-09 2019-03-20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US10227027B2 (en) * 2017-06-30 2019-03-12 Lear Corporation Seat back with pivotable armrest and armrest restrictor
US10882427B2 (en) * 2017-09-27 2021-01-05 Gulfstream Aerospace Corporation Seat assembly including an armrest sub-assembl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10737602B2 (en) * 2018-11-07 2020-08-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ployable armrest
US10759316B2 (en) * 2018-12-10 2020-09-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ynamic adjustable armrest
CN111823984A (zh) * 2019-04-16 2020-10-27 标致雪铁龙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后排座椅扶手及车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8043A (en) * 1995-12-28 1997-08-19 Lear Corporation Inertia lock for side-mounted armrest
JPH10166919A (ja) 1996-12-05 1998-06-23 Nhk Spring Co Ltd アームレスト支持構造
US6220616B1 (en) * 1999-11-02 2001-04-24 Teftec Corporation Wheelchair arm rest support assembly with slide lock positioning arm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35947A (en) * 1929-05-16 1931-12-08 Brewertitchener Corp Vehicle seat arm
US3168346A (en) * 1963-05-31 1965-02-02 Gen Motors Corp Pull-up arm rest for vehicle seats
US3191995A (en) * 1963-09-12 1965-06-29 Gen Motors Corp Folding arm rest
US3666319A (en) * 1970-08-21 1972-05-30 Earle F Moloney Jr Power operated armrest
US3779600A (en) * 1971-09-01 1973-12-18 Flexsteel Industries Foldable arm rest assembly
JPS6112838Y2 (ko) * 1981-01-26 1986-04-21
JPS6088854U (ja) * 1983-11-25 1985-06-18 池田物産株式会社 車両用ア−ムレスト
JPH0313242Y2 (ko) * 1986-06-25 1991-03-27
GB2194305B (en) * 1986-08-08 1991-03-27 Rolls Royce Motors Ltd A mechanism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n element
JPH02130245U (ko) * 1989-03-31 1990-10-26
JPH0335752U (ko) * 1989-08-17 1991-04-08
US5104182A (en) * 1991-08-12 1992-04-14 The Berkline Corporation Convertible sofa
US5540479A (en) * 1992-05-22 1996-07-30 Thomas; Alan V. Vehicle seats
IT1257946B (it) * 1992-12-21 1996-02-19 Bruzolo Manifatt Gestind Mb Bracciolo posteriore centrale con appoggiatesta per autoveicoli.
FR2716786B1 (fr) * 1994-03-02 1996-05-03 Faure France Bertrand Perfectionnements aux accoudoirs rabattables et aux sièges équipés de tels accoudoirs.
FR2735732B1 (fr) * 1995-06-26 1997-08-29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Accoudoir rabattable, et siege de vehicule equipe d'un tel accoudoir
US5628543A (en) * 1995-09-27 1997-05-13 Hoover Universal, Inc. Vehicle seat back having ski tote bag and trunk pass through
US5752739A (en) * 1996-09-30 1998-05-19 Tachi-S Co., Ltd. Mounting for an armrest in seat
US6220660B1 (en) * 1998-01-02 2001-04-2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ehicle activity center
DE29912877U1 (de) * 1999-07-23 2000-11-30 Johnson Controls Gmbh Klappbares Sitzteil und Sitzmodul
US6572188B2 (en) * 2001-11-07 2003-06-03 Tachi-S Co., Ltd. Arrangement for supporting rotation adjustment mechanism of rotary body in vehicle seat
JP4135523B2 (ja) * 2003-02-19 2008-08-20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シート装置
JP2005119506A (ja) * 2003-10-17 2005-05-12 Tachi S Co Ltd 乗り物シートに用いるアームレスト
US7178865B2 (en) * 2004-09-24 2007-02-20 Lear Corporation Center occupant armrest actuated head restraint
DE102005029235B4 (de) * 2005-06-23 2011-06-09 Isringhausen Gmbh & Co. Kg Armlehne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DE202005021378U1 (de) * 2005-09-29 2007-11-22 Faurecia Autositze Gmbh Sitzreihe eines Kraftfahrzeugs mit einer zwischen zwei Außensitzen angeordneten Armleh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8043A (en) * 1995-12-28 1997-08-19 Lear Corporation Inertia lock for side-mounted armrest
JPH10166919A (ja) 1996-12-05 1998-06-23 Nhk Spring Co Ltd アームレスト支持構造
US6220616B1 (en) * 1999-11-02 2001-04-24 Teftec Corporation Wheelchair arm rest support assembly with slide lock positioning a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58634B2 (en) 2008-12-02
EP1829740A3 (de) 2008-03-26
US20070205638A1 (en) 2007-09-06
EP1829740B1 (de) 2009-11-11
DE502007001935D1 (de) 2009-12-24
CN101028801A (zh) 2007-09-05
ATE448111T1 (de) 2009-11-15
JP2007238081A (ja) 2007-09-20
KR20070090819A (ko) 2007-09-06
EP1829740A2 (de) 2007-09-05
DE102006010376A1 (de) 200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9791B1 (ko) 높이 조정가능한 중앙 팔걸이를 구비한 후방 등받이
JP4190553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6615596B2 (ja) 自動車用シートクッションエクステンション装置
JPH1059037A (ja) 傾動可能な背部を有するチャイルドシート
JP4066785B2 (ja) 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
KR101307281B1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US6533341B2 (en) Adjustable pivoting means for a vehicle seat backrest
KR20130024625A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KR102621617B1 (ko) 자동차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
KR102125978B1 (ko) 시트쿠션 길이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KR101372108B1 (ko) 시트 높이 조절 연동형 슬라이딩 레버장치
JP2007111121A (ja) 乗物用シート
JP2006273021A (ja) 自動車のシート位置調整装置
JP2005119506A (ja) 乗り物シートに用いるアームレスト
JP5141198B2 (ja) 自動車のシート装置
KR20060091755A (ko) 차량 시트 백 폴딩을 위한 스트라이커의 자동격납장치
KR200205669Y1 (ko) 자동차용 시트의 등받이 틸팅구조
KR102420607B1 (ko) 변위 조절식 콘솔 암레스트
KR100318078B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틸팅 조절장치
JPH09109746A (ja) 車両のシート装置
KR101601525B1 (ko) 좌석 팔걸이
JP5872385B2 (ja) 車両用シート
JP4048789B2 (ja) 車両のシート格納構造
KR102647189B1 (ko) 차량용 시트의 럼버서포트 장치
JP5277898B2 (ja) 乗物シート用ヘッドレス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