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446B1 - 정보기록 재생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기록 재생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446B1
KR940001446B1 KR1019860005346A KR860005346A KR940001446B1 KR 940001446 B1 KR940001446 B1 KR 940001446B1 KR 1019860005346 A KR1019860005346 A KR 1019860005346A KR 860005346 A KR860005346 A KR 860005346A KR 940001446 B1 KR940001446 B1 KR 940001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edge
signal
recording area
demod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5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1577A (ko
Inventor
아쯔시 사이또
다께시 마에다
히사따까 스기야마
가즈오 시게마쯔
와사오 다까스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70001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222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clock-related aspects, e.g. phase or frequency adjustment or bit synchroni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11B20/1403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leve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7Tracks or pit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85P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보기록 재생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광 디스크 장치 기본구성도.
제2도는 앞가장자리, 뒤가장자리 검출회로의 구성도.
제3도는 데이터 포매트의 1예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앞가장자리와 뒤가장자리의 검출신호의 정규위치로 부터의 엇갈림 부분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회로의 구성도.
제5도는 앞가장자리와 뒤가장자리로부터의 복호 개시패턴 검출신호 사이의 엇갈림을 도시한 도면.
제6도는 보정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7도는 기록 피트와 데이터 신호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8도는 2중으로 마련한 복호개시 패턴의 1예를 도시한 도면.
제9도는 제8도의 패턴을 인식하기 위한 회로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정보 기록 재생방법(町步記錄再生方法 및 장치에 관하여, 특히 재생신호 펄스(pulse)의 상승, 하강을 데이터(data)로 하여, 복조(復調)를 행하는 광디스크(disc)장치에 사용하여 가장 적합한 재생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재생신호 파형(波形)의 상승이나 하강을 검출하여, 데이터 복조(demodulation)을 행하는 방법은, DAD(디지탈오디오 디스크(Digital Audio Disc))에서 볼 수가 있다.
데이터 복조의 원리에 대해서는, 예를들면 이와무라씨에 의한 「비디오 디스크와 DAD 입문」(일본국 코로나사 발생) P.212∼215에 기술되어 있다. 복조는 재생파형[(피변조파(被變調波)]의 변화점, 즉 앞가장자리(前綠)(front edge)와 뒤가장자리(復綠)(rear edge)을 검출하여, 그로부터 재생 검출창(reproductive Window)을 발생해서, 재생 데이터를 얻은 것이다. DAD에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데이터의 간격을 T로하면, 검출창의 폭은 T/2이며, 변화점 펄스의 위치가 ±0.25T 이내에 들어가고 있는 것이, 정확한 복조를 가능하게 하는 조건이다. 따라서, 신호의 제로 크로스(Zero cross)점이 잡음, 파형 찌그러짐(波刑歪)(distortion), 지타(jitter)등에 의해서 변동하여, 검출창에서 벗어나면 에러(error)로 된다. 추기형(Writonce type)광 디스크에서도, 앞가장자리, 뒤가장자리를 데이터로 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추기형의 경우는 대상(對象)디스크(disc)에 대하여 직접 레이저(laser) 광(光)펄스의 조사(照射)를 행하여, 그 열에너지(energy)에 의해 기록막을 국부적(局部的)으로 변질시켜서 기록하기 때문에 형성되는 기록영역(피트 또는 자화도메인)의 앞가장자리, 뒤가장자리의 위치가 자기 매체의 특성이나, 지타의 영향을 강하게 받기 때문에, 불확정하게 쉬프트(shift)하기 쉽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어떠한 방법으로 기록시의 앞가장자리, 뒤가장자리의 에지쉬프트(edge shift)를 조정하여 주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 피트(pit)의 앞가장자리 및 뒤가장자리를 데이터로 하는 기록재생방식에 관하여 재생시의 슬라이스 레벨(slice level)변동의 영향을 억제하여, 양자 에지(edge)사이의 정류의 위치로부터의 쉬프트량을 전기적으로 자동 보정하는 것에 의해, 지타가 없는 시계열(時計列)데이터로써 안정하게 검출할수 있는 기록재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정보의 복호개시 위치(타이밍)을 표시하는 기동(起動)타이밍 마트(mark)(일반으로 SYNC 마크라칭함)을 재생 파형의 상승, 하강에 대해서 2중 패턴으로 마련한다.
즉, 기록 피트의 앞가장자리 및 뒤가장자리의 각각에 대하여 같은 패턴을 기록한다. 본 발명은, 특히 레이지광의 열로 기록막에 구멍(冗)을 열여서 정보를 기록하는 추기형(追記型)광 디스크 장치에 사용하여 가장 적합하지만, 상변화형(相變化型)광 디스크, 또는 광 자기 디스크등의 정보 기록 재생에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와 같은 기록매체에 대하여, 데이터 기록시에 데이터 열(列)에 선행하여 마련된 기동 타이밍 마크(timing mark)를, 각 다른 개열의 검출수단에 의해 각각 1펄스의 검출신호로 하여 검지한다. 사전에 2중 패턴으로 하고있는 이유는 상승 에지(앞가장자리)에서의 검출신호 펄스와 하강에지(뒤가장자리)에서의 검출신호 펄스를 따로따로 얻는것에 의해, 양자의 시간차를 구하기 위하여서이다. 가장 이상적인 기록 매체이면, 기록시의 광 펄스와 서로 닮은 재생 파형이 얻어지겠지만, 실제로는 기록막의 열확산의 불균일성이나, 승온(昇溫), 강온(降溫) 구배(勾配)의 틀림이나 기록감도의 흐트러짐(dispersion)등에 의해 일반적으로 광 펄스 조사(照射)를 종료한 후에도 약간 꼬리를 잡아당긴 것과 같은 기록상태로 된다. 따라서, 재상파형도 앞가장자리의 경사(傾斜)와 뒤가장자리의 경사는 일치하지 않는다. 즉 에지 쉬프트(edge shift)가 일어나게된다. 단, 앞가장자리, 뒤가장지리 각각의 경사 그 자체의 일치성은 비교적 좋은 것이 실험에 의해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각각의 기동 타이밍 마크(timing mark)검출신호의 시간차에서 에지쉬프트를 일단 보정하여 두면, 이것에 계속되는 데이터 열에 대하여는 동일 보정양을 부여하면 좋은 것으로 된다. 특히 섹터(sector)관리된 기록매체이면, 각 섹터마다, 상기 보정을 실시하는 것으로 보다 신뢰성을 향상 시킬수가 있다. 다음에 보정 방법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앞가장자리에서 검출되는 타이밍 마크는 뒤가장자리에서 검출되는 기동 타이밍 마크에 대하여 시간적으로 선행하여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앞가장자리로 부터의 마크검출펄스를 지연소자(delay line)에 입력하여, 해당 지연소자의 출력단자에서 출력되는 지연된 펄스 중 지연하지 않는 뒤가장자리로 부터의 마크검출 펄스와 시간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선택하여 준다. 이 조작에 의해서 본래의 양자검출 펄스의 시간차에에지 쉬프트에 의한 오차분(誤差分)이 가산된 수치(値)를 구하는 것으로 된다. 이와같이하여, 구해진 시간 차중 에지 쉬프트에 의한 오차분의 시간을 다른계의 지연소자의 몇개의 출력단자를 선택하여 주는것에 의해 타이밍 마크에 계속되는 이후의 테이터열의 오차시간을 보정한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구성의 1예이다. 레이저 광원(光源)(예를들면, 반도체 레이저)200에서 출사(出射)된 광은, 렌즈(lens)201에서 컬리메이터(collimator)되어, 빔 스플릿터(beam splitter)202를 통과한 후, 갈바노미러(galvano mirror)203에서 반사되어, 조리개(紋oJ)렌즈 204에 의해, 미소 스포트(spot)광으로써, 회전하는 광 디스크 205의 기록막면에 집광(集光)된다. 정보의 기록을 행하는 경우에는 레이저 200을 기록하여야 할 신호에 대응하여 변조하고, 조사부분을 국소적(局所的)으로 가열하여, 기록막에 구멍을 연다. 재생시에는, 비교적 약한 레이저광 속을 조사하여 디스크 205로부터의 반사광을 빔스플릿터로 조사광과 분리하여 끄집어내서, 그 광량 변화를 광 검출기 207로 검지한다. 그리고, 206은 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을 정보 재생용의 광속과 초점(焦點)어긋남 또는 트랙(track)어긋남 검출용의 광속으로 분리하기 위한 빔 스플릿터이다. 초점 어긋남 검출광학계 및 트랙 어긋남 검출 광학계는 공지이며, 본 발명에서는 직접 관계하지 않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광원렌즈, 빔 스플릿터, 갈바노미터 및 광 검출기둥은 광체(筐體)내에 마련되어, 광 헤드(head)를 구성한다. 이 광헤드는, 광 디스크의 반경방향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구성에는, 추기형 광 디스크의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광 헤드의 약간의 변경에의해 상변화형(相變化型), 광 자기형 광 디스크, 또는 신호 검출후의 처리 계만을 고려하면, 자기 디스크에 대해서도 실현할수 있다.
정보의 재생은, 디스크 205로부터의 반사광을 조리개 렌즈 204, 갈바노미터 203을 거쳐서, 빔 스플릿터 202에 반사되어, 빔 스플릿터 206을 통과한후, 광 검출기 207에서 수광하여 행한다. 상기 광 검출기 207에서 전기신호를 변환된후, 증폭기 208에서 바라는 레벨(level)까지 증폭된다.
본 발명에서는 기록신호는, 기록하여야 할 정보에 따라서 가변 길이의 긴구멍(長lu)(pit of Variable length)의 형태로 디스크위에 기록되어 있고, 그 긴구멍 피트의 앞가장자리, 뒤가장자리를 데이터로써 취급한다. 209는 앞가장자리, 뒤가장자리를 검출하는 회로이다. 제2도에 앞가장자리, 뒤가장자리 검출회로 209의 1구성예를 도시한다. 증폭기 208로부터의 신호는, 차동출력형의 비교기 300에 의해 2치화(二値化)된다. 2치화일 때의 스렛쉬홀드(threshold)12는, 그 비교기의 반전입력쪽에 부여하고 있다. 차동출력은 직접 AND 게이트 303,304에 입력되는 경로와 지연소자 301,302를 거친후, 인버터(invertor)305,306에 의해 반전한 후, AND게이트에 입력되는 경로로 분기(分岐)된다. 따라서, AND 게이트 303의 출력은, 앞가장자리 검출펄스 13, AND이트 304의 출력은, 뒤가장자리 검출 펄스 14로 된다. 제2도의 예에서는 비교기에 차동출력형을 사용하고 있으나, 일반의 씽글(single)출력형이라도 좋으며, 이 경우는 로직(logic)의 인버터(반전기)를 넣어 사용하면 동일한 구성을 된다.
앞가장자리 검출 펄스 13과 뒤가장자리 검출 펄스 14는, 각각 셀프 클럭(self clock)발생 동기용의 VFO(Va-riable Feequence Oscillator)210,211에 입력된다. 상기 VFO로 부터의 출력은, 각각 데이터 복조개시 패턴검출회로(일반으로는 SYNC 검출회로)212,213으로 도입된다. 상기 검출회로의 구체적 구성예에 대해서는 제9도를 설명할때에 기술한다. 상기 검출회로 212,213에 검출된 패턴 일치신호 20,21 및 앞가장자리 검출신호 13, 뒤가장자리 검출신호 14는 앞가장자리, 뒤가장자리 위치의 시간적보정을 행하는 회로(보정회로)214로 입력된다. 상기 보정회로 214의 구체적 구성예는 제4도를 설명할때에 기술한다.
보정회로 214의 출력은, 복조회로에 입력되어 데이터의 복호화가 행하여 진다.
복호의 회로나 방법은 종래와 같은 방법이면 좋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복조개시 패턴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데이터의 부호화, 복호화(변조, 복조)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으나, 데이터 복조개시의 타이밍은 어떤 경우도 정확하게 부여할 필요가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할려면, 복조개시 패턴으로서는 직교(直交)조건(ort-hogonal condition)을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패턴을 검출할려면, VFO에 의해 발생한 클럭에 의해서, 쉬프트 레지스터 내를 쉬프트 시켜,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 출력을 작은 블럭(예를들면 4비트)마다 AND를 취하고, 이것들의 AND게이트 출력의 다수결(多數決)에 의해 행한다. 구체적회로 구성예는 제9도의 설명시에 기술한다.
상기 직교 조건은, 작은 블럭 일치 게이트 출력의 모두가 어떤 시각(時刻)에 완전히 일치하는 것을 말한다. 또, 부가적인 조건으로서는 완전히 일치하는 시각이외에는 각각의 적은 블럭으로 부터의 일치 게이트 출력이 일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면, 6개의 적은 블럭으로 구성되는 SYNC 패턴인 경우, 4개 이상의 AND 게이트 출력이 ″H″로 되었을 때, 패턴 인식하는 것과 같은 다수결 로직의 경우이면 일치시각 이외는 4개이상의 작은 블럭 일치신호가 발생해서는 안되는 것으로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사히기 위한, 디스크 포매트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도는, 그 포매트의 1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크 205는 1개의 트랙이 다수개의 섹터로 분할되어 있으며, 데이터의 입출력은 이 섹터를 단위로써 행한다(섹터 관리). 각각의 섹터의 선두에는 헤더(he-ader)신호 500∼502가 사전에 프리 포메트되어 있다. 제3도(a)에는 몇개의 헤더만이 표기되어 있지만, 실제는 디스크 둘레에 같은 간격으로 다수개 마련되어 있다.
제3도(b)는 프리 포메트된 헤더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제3도(c)는, 상기 헤더부에 계속되는 데이터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3도(b)에 있어서, 섹터마크는 각 섹터의 개시를 지시하는 패턴이고, 통상은 열반의 데이터와 구별할 목적에서, 데이터의 주파수 스펙트럼(spectrum)분포의 최저 주파수보다도 낮은 주파수분포의 신호를 사용한다.
간단하게는, 데이터부에 나타나는 피트보다도 긴 피트의 조합(組合)패턴을 사용하고 있다. 셀프 클럭 발새용의 SYNS 패턴은 VFO발진을 끌어들이기 위한 패턴이며, 일반으로는 사용하고 있는 변조방식의 패턴중, 가장 밀접한 비트간격, 혹은 가장 밀접한 에지간격으로 되는 패턴을 사용한다. SYNC패턴은 다음에 계속되는 트랙번호, 섹터 번호의 복조개시를 지시하기 위한 패턴이며, 상술의 직교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다. 프리 포매트 헤더부는 이 외에도 에러(error)정정용 신호(ECC)등이 부가되는 일이 많다. 한편, 제3도(c)의 데이터부는 사용자가 데이터를 기록할때에, 기억하는 부분이며 헤더부에 계속되는 영역이다. 사용자 데이터전에는 역시 데이터 복조개시용의 SYNC 패턴을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시에 데이터와 함께 기록한다. 이 SYNC 패턴은 사용자 데이터에 관계없이 고정 패턴이기 때문에, 사전에 ROM에 기억하여 두고, 사용자 데이터를 기억할때에, 우선 ROM에서, 그 고정패턴(SYNC패턴)을 호출하여, 이를 기록하고, 그 후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한다. 이 SYNC패턴의 구체적 구성에는, 제8도에 도시하였으므로 다음에 설명한다. 제3도(b), 제3도(c)에서는, 각 데이터의 바이트(byte)수에 특별한 제한이 없으므로, 기재는 생략하였다.
다음에, 재생 파형의 앞가장자리, 뒤가장자리를 데이터로 하는 기록, 재생형식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제7도에 있어서, 10에 도시한 것과 같은 장원형(長圓形)피트 혹은 드레인에 대해서는, 11에 도시한 재생파형이 얻어진다.
상기 재생파형 11에 대해서, 12로 표시한 슬라이스 레벨에 의해서 2치화하는 것에 의해, 앞가장자리 검출신호 13 및 뒤가장자리 검출신호 14를 얻을 수가 있다. 양자의 검출신호의 논리화(論理和)를 취하면, 17에 표시한 것과같은 데이터열이 구하여진다. 상기 데이터 신호 17은, 데이터패턴 18에서 도시된 것과같은 2치화 신호의 ″1″,″0″에 대응하는 것이다.
정보 신호를 기록할 경우, 어떠한 변조(부호화)를 행한후에,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변조방식으로 RLL방식을 이용하였을 때는, 데이터 복조의 개시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타이밍 마크가 필요하게 된다. 피트의 중심위치가 그대로 ″1″에 대응하는 소위 피트 퍼지션방식이면, 상기 타이밍 마크의 패턴을 한겹(一重)으로 끝나지만, 제7도에서 표시한 것과 같은 앞가장자리, 뒤가장자리의 각각이 데이터로써의 의미를 가진 기록 방식(피트 에지 방식)의 경우는, 이 타이밍 마크 패턴을 2중으로 할 수가 있다.
전자의 한겹 패턴에 대해서는, 이미 일본극 특허 공개공보 소화58-169341호에 기술되어 있다.
제8도는, 2중화한 타이밍 마크 패턴(데이터부에 기록하는 SYNC 패턴)의 1예이다. 재생 파형 10을 슬라이스 레벨 12에서 2치화하고, 앞가장자리 검출신호 13과 뒤가장자리 검출신호 14를 얻는다. 양자의 검출 신호를 각각 다른계의 패턴 판별회로에 입력하여 주면, 앞가장지리로부터의 일치 신호 20과 뒤가장자리로부터의 일치 신호 21은 각각 제5도에 도시한 위치에 발생한다. 일치 신호 20과 21의 발생 방법으로는, 검출 신호 13과 14를 쉬프트 레지스터에 입력하고, VFO로부터의 재생 클럭에 의해서 쉬프트시켜,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의 출력 패턴을 블럭마다 판단하여, 최후에 다수결을 취하며, 어떤 일치 패턴 개수이상으로 되면, 기동 타이밍 패턴이라고 판단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가 있다.
제8도에 도시한 마크 패턴에 대한 일치 신호 발생회로의 1구성예를 제9도에 도시한다. 제9도는, 제1도의 SYNC 검출회로 213의 구성예이다. 뒤가장자리 검출신호 14는 쉬프트 레지스터 311로 입력된다. 311∼316은 쉬프트 레지스터이고, 차례로 카스케이드 접속되어 있으며, 제9도에서는 전체로 48비트의 쉬프트 레지스터를 구성하고 있다. 신호 14의 쉬프트는, 재상클럭 30에 의해서 행한다. 재생클럭 30은, 피(被)변조 데이터 열에서 발생되는 셀프클럭이다. 상기 셀트 클럭은 뒤가장자리 검출 신호 14를 VFO(Variable Frequence Oscillator)에 입력하여 발생시킬 수가 있다. 쉬프트 레지스터 311∼316의 출력은, 각가 AND게이트 321∼326에 입력되어, 4비트마다의 패턴일치가 판단된다. AND 게이트 321의 경우를 예로하면, 제8도의 뒤가장자리 데이터 패턴 16의 최후의 4비트 ″1000″의 패턴이 정확하게 부여되며, 321의 출력은 ″H″로 된다. 만약 모든 AND 게이트 출력이 ″H″이면, 완전히 패턴이 일치된 것으로 되지만, 다수결 판단회로(majority judgement circuit)331을 이용하면, 모든 블럭 패턴이 일치하지 않아도, 예를들면 6개의 블럭중 4개 이상이 일치하면 일치신호 21을 출력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다수결 판단회로 331의 구성으로는 전부 게이트 회로로 구성하는 방법도 있으나, ROM(Read Only Memory)을 이용하여 어드레스에 AND게이트 321∼326의 출력을 넣어, 상기 어드레스 비트중 ″1″의 수가 4개 이상인 어드레스에 대한 데어터를 부여하여, ″1″로써 기억하여 두면, 다수결 판단을 행할 수가 있다.
제9도에서는, 뒤가장자리로부터의 일치신호 21의 검출을 행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마찬가지로 하여 앞가장자리로부터의 일치신호 20의 발생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타이밍 패턴으로써는, CD(compact disc)에서 채용되고 있는 것과 같은, 데이터 패턴에는 나타나지 않는 것과 같은 긴 피트 길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전제조건으로 재생 파형의 앞가장자리와 뒤가장자리가 정확하게 기록시의 ″1″의 위치를 재현하는 이상적인 경우로써 설명을 하여왔다. 그러나, 실제에는 기록시의 ″1″위치는, 정확하게 재현되지 않는 일이 많으며 정보의 변별창폭(弁別窓幅)이 매우 좁아저 버린다. 그대로 복조를 행하였을 경우, 에러로 될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상술과 같은 2중으로 마련된 복조개시 타이밍용 패턴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그 타이밍 패턴에 계속되는 데이터열의 에지 위치 변동을 자동적으로 보정하는 방식을 실시예로서 도시하는 것으로 한다.
제4도는, 보정회로의 1구성예이며, 제1도의 보정회로 214의 구체적 구성이다. 앞가장자리로 부터의 패턴 일치신호 20은 지연소자 40에 입력된다. 상기 지연소자 40은, 몇개의 지연 출력을 갖고 있다. 각각의 지연출력인 401∼404는 AND 게이트 41∼44에 입력되어 있다. 한편, 뒤가장지리로 부터의 패턴 일치 신호 21은, AND 게이트 41∼44의 1게이트분의 지연과 동일한 지연시간을 가진 버퍼(bu-ffer)51 및 AND 게이트 41∼44로 입력되어 있다. 그리고, AND 게이트의 출력 61∼64는 각각 플립플롭(flip-flop)71∼74의 D(데이터)단자에 입력된다. 또, 플립플롭 71∼74의 T(트리카)단자에는 버퍼 51의 출력 65가 입력되어 있다. 여기서, 제4도에 도시한 회로동작을 제5도와 제6도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제5도는, 앞가장지리로 부터의 패턴 일치신호 20과 뒤가장자리로 부터의 패턴 일치신호 21의 발생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5도(a)는, 정류의 지연 4τ, 즉 4클럭(clock)분의 지연량보다도 α만큼 짧은 지연으로 일치신호 21이 발생 된 경우 제5도(b)는 정규의 지연으로 일치신호 21이 발생된 경우, 제5도(c)는 정류의 지연보다도 또 β만큼 긴 지연으로 일치신호 21이 출력된 경우이다. 항상 제5도(b)와 같이 되어 있으며, 모든 보정을 행하지 않고, 그대로 앞가장자리 검출 신호 13과 뒤가장자리 검출신호 14의 논리화를 검출 데이터로 하면 좋으나, 제5도(a)또는 제5도(c)의 경우는, 각각 α,β만의 시간보정을 하고 나서 논리화를 취하여 데이타열을 생성하지 않으면 아니된다. 제6도는 제5도(a)의 경우에 대해서, 제4도의 회로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지연출력 401∼404는 같은 시간 간격으로 지연되고 있다. 따라서, 제6도의 경우 지연출력 403이 뒤가장자리로 부터의 일치신호 21과 AND조건을 성립시킬수가 있는 지연 출력으로 된다. 따라서, AND게이트 출력 63만이 일치시간에서 ″H″로 되면, 플립플롭 73의 Q출력 83만이 ″H″로 된다. 즉, 제4도에 있어서, 다음에 계속되는 AND게이트 91∼94중, 93의 게이트만을 여는 것으르 된다. 한편, 앞가장자리 검출신호 13은, 지연소자 100에 입력되어 있고, 지연출력 101∼104중, 103의 출력만이 AND게이트 93을 통과하는 것으로 된다.
제4도에 있어서, 뒤가장자리 검출신호 14는, 고정지연소자 110을 통하고 있으나, 이것을 앞가장자리로부터의 패턴 일치 신호 20과 뒤가장자리로 부터의 패턴 일치신호 21이 정규의 지연량인 4τ에 대해서 짧은 경우도, 긴경우도 보정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제6도의 경우는, 제5도(a)의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예를들면, 정류의 지연량일때 AND게이트 42의 출력 62가 ″H″가 되도록 설정하였다고 하면, 플립플롭 72의 출력 Q가 82가 ″H″로 셋트되어, 앞가장자리 검출신호 13의 지연출력 102만이 AND게이트 92를 통과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뒤가장자리 검출 신호 14에 대한 지연소자 110의 지연량을 지연소자 100의 지연량을 지연소자 100의 출력 102의 지연량과 같은 량으로 하여두면, 앞가장자리 검출 신호 13과 뒤가장자리 검출신호 14의 시간차는 변화하지 않고 출력되는 것으로 된다. 만약, 고정 지연소자 110의 지연량을 γ로 하면, 지연소자 100의 출력 102의 지연량을 γ로 하고, 출력 103을 γ-α, 출력 101을 γ+β로 하면, 제5도의(a),(c)의 양쪽의 보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보정을 행한후, OR게이트 120에 의해 앞가장지라 검출신호와 뒤가장자리 검출신호의 논리화를 취하는 것에 의해, 일연의 데이터 열을 생성한다.
최후의 OR게이트 120을 사용하지 않고, 앞가장자리와 뒤가장자리의 각각을 별계(別系)인 데이터 복조회로에 입력하여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제5도(c)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해서 보장을 행할 수가 있다. 또, 지연시간의 간격보다 좋은 지연소자를 사용하면, 보다 미묘한 보정을 행하게 할수가 있다.
본 발명의 방식은, 앞가장지리와 뒤가장자리와의 오차분이 데이터 복조로 할때의 변별창폭을 초과하는 것과같은 경우에 특히 효과적이다. 또, 상기 오차분이 데이터복조용 클럭의 1클럭이상, 확실하게 항상 엇갈려져 있으며, 사전에 클럭단위로 앞가장자리와 뒤가장자리의 검출신호위치를 상대적으로 엇갈리게 하여 두는 것에 의한 보정도병용(倂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재생파형의 앞가장자리와 뒤가장자리를 각각 데이터로 하는 기록 재상 방식에 관하여, 양가장자리 사이의 정규의 간격으로 부터의 쉬프트 분을 2중으로 마련한 복조개시 타이밍 마크의 검출 신호의 엇갈림에서 보정할수가 있다.

Claims (5)

  1. 기록매체에 국부적인 기록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기록영역에서 얻어지는 재생 파형의 상승 및 하강을 데이터로 하는 정보 기록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영역의 앞가장자리와 뒤가장자리의 각각에 대한 복조개시를 나타내는 제1 및 제2의 타이밍 패턴을 상기 기록매체상의 상기 기록영역에 선행하는 위치에 기록하는 스텝, 상기 제1 및 제2의 타이밍 패턴의 재생 파형의 상승 및 하강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 상기 기록 영역의 앞가장자리와 뒤가장자리의 각각에 대한 복조개시를 나타내는 제1 및 제2의 타이밍 신호를 발생하는 스텝과 상기 기록영역의 앞가장자리와 뒤가장자리의 쉬프트를 보정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의 타이밍 신호에 따라 기록영역에서 얻어지는 재생 파형의 상승 및 하강을 나타내는 시간위치를 보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정보기록 재생방법.
  2.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기록되는 상기 복조개시 타이밍을 대수개의 분할블럭패턴으로 구성하는 정보기록 재생방법.
  3.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재생 파형의 상승에서 검출한 기동 타이밍 검출 신호와 상기 재생파형의 하강에서 검출한 기동 타이밍 검출신호와의 시간차를 검출하고, 이로 인해 상기 검출 신호 이후에 계속되는 데이터열의 상승, 하강 에지의 정규위치로부터의 쉬프트분을 보정하는 정보기록 재생방법.
  4.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레이저광 속을 접속하고, 상기 기록매체에 조사하여 상기 광속의 열 에너지에 의해 상기 기록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기록매체의 반사광에서 상기 재생 파형을 얻는 정보기록 재생방법.
  5. 기록매체(205)에 기록하여야 할 정보에 따라 국부적인 기록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기록매체에서 상기 기록영역에 따른 재생 파형을 얻는 헤드(201,202,203,204,206,207), 상기 헤드에 결합되고, 상기 재생 파형에서 상기 기록영역의 앞가장자리와 뒤가장자리를 검출하여, 앞가장자리를 나타내는 신호와 뒤가장자리를 나타내는 신호를 얻는 앞가장자리 뒤가장자리 검출회로(209), 상기 앞가장자리 뒤가장자리 검출회로에 결합되고, 상기 앞가장자리와 뒤가장자리를 나타내는 신호에서 상기 기록영역의 앞가장자리와 뒤가장자리의 각각에 대하여, 기록한 복조개시를 나타내는 타이밍을 각각 별개로 독립해서 검출하며, 상기 기록영역의 앞가장자리와 뒤가장자리의 각각에 대하여 복조개시의 타이밍 신호를 얻는 복조개시 타이밍신호 검출회로(212,213)과, 상기 앞가장자리 뒤가장자리 검출회로와 상기 복조개시 타이밍 신호 검출회로에 결합되고, 상기 복조개시 타이밍신호 사이의 시간간격을 검출하고, 이로 인해 상기 앞가장자리와 뒤가장자리를 나타내는 신호의 시간간격을 보정하는 보정회로(214)를 포함하는 정보기록 재생장치.
KR1019860005346A 1985-07-03 1986-07-02 정보기록 재생방법 및 장치 KR9400014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44751A JPH0731877B2 (ja) 1985-07-03 1985-07-03 情報記録再生方法及び装置
JP144751 1985-07-03
JP60-144751 1985-07-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577A KR870001577A (ko) 1987-03-14
KR940001446B1 true KR940001446B1 (ko) 1994-02-23

Family

ID=15369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5346A KR940001446B1 (ko) 1985-07-03 1986-07-02 정보기록 재생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835759A (ko)
JP (1) JPH0731877B2 (ko)
KR (1) KR940001446B1 (ko)
CN (1) CN86104490B (ko)
DE (1) DE3622239A1 (ko)
NL (1) NL19459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9381B2 (ja) * 1987-03-20 1997-06-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学的情報再生装置
DE68916573T2 (de) * 1988-04-07 1994-10-20 Hitachi Maxell Platteneinheitsvorrichtung.
GB2224911A (en) * 1988-11-09 1990-05-16 Philips Nv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ssigning binary values to sample values
JPH03219426A (ja) * 1988-12-26 1991-09-26 Canon Inc 光学的情報記録媒体及び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JP2845915B2 (ja) * 1989-01-06 1999-01-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再生方法および情報再生装置
JPH0810490B2 (ja) * 1989-03-20 1996-01-31 富士通株式会社 光ディスク情報書込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534778B2 (ja) * 1989-09-26 1996-09-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記録/再生方式および情報記録/再生装置
JPH03142754A (ja) * 1989-10-27 1991-06-1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再生信号のエッジ検出回路
US5237554A (en) * 1989-12-27 1993-08-17 Sony Corporation Apparatus for generating clock signals for data reproduction
US5333126A (en) * 1990-01-03 1994-07-26 Hitachi, Ltd.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optical disk apparatus using same
US5331620A (en) * 1990-02-09 1994-07-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ing method and recording apparatus for optical disk
JP2900507B2 (ja) * 1990-04-26 1999-06-02 ソニー株式会社 デジタルデータ再生装置
US5237550A (en) * 1990-05-24 1993-08-17 Olympus Optical Co., Ltd. Reloadable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2612632B2 (ja) * 1990-05-24 1997-05-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記録/再生装置
EP0910069A3 (en) * 1990-05-25 2008-04-16 Hitachi, Ltd. Optical disk
US5241524A (en) * 1990-08-29 1993-08-31 Olympus Optical Co., Ltd. Method of edge recording on optical record medium
JP2897379B2 (ja) * 1990-09-04 1999-05-31 ソニー株式会社 アドレス情報再生装置
US5615188A (en) * 1991-02-06 1997-03-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ing method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for optical disk
JP3327933B2 (ja) * 1991-08-29 2002-09-24 株式会社リコー 情報記録再生方法及びその装置
DE69220015T2 (de) * 1991-12-27 1997-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tische Platten Lesegerät
US5463606A (en) * 1992-12-22 1995-10-31 Olympus Optical Co., Ltd. Optical information rea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ing pseudo DC-free codes
JP2911704B2 (ja) * 1993-02-16 1999-06-2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ジタル信号再生装置
JPH0765513A (ja) * 1993-08-27 1995-03-10 Canon Inc 同期マーク検出装置及び情報再生装置
JP3059622B2 (ja) * 1994-01-10 2000-07-04 富士通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US5434719A (en) * 1994-03-18 1995-07-18 Seagate Technology, Inc. Correction of header information in a magnetic disc drive
JP3621149B2 (ja) * 1995-03-20 2005-02-16 富士通株式会社 同期パターン読み取り方法、同期パターン検出回路、アドレスマーク検出回路
JP3371187B2 (ja) * 1995-12-04 2003-01-2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信号記録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情報信号複製装置および方法
JP3824699B2 (ja) * 1996-03-15 2006-09-2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その記録装置及び方法、その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US6088323A (en) * 1996-07-16 2000-07-11 Sony Corporation Optical disk, optical disk device, and optical disk recording method
JP3861269B2 (ja) 1996-07-16 2006-12-20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の製造方法
JPH11162035A (ja) * 1997-09-26 1999-06-18 Canon Inc 光磁気情報再生方法、光磁気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US6762987B2 (en) * 2001-01-02 2004-07-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licer arrangement
US7512051B2 (en) * 2003-09-26 2009-03-31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WI258753B (en) * 2004-04-30 2006-07-21 Mediatek Inc Optical record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
JP6623798B2 (ja) 2016-02-02 2019-12-25 富士通株式会社 発光素子の駆動回路
JP6390675B2 (ja) * 2016-08-08 2018-09-19 横河電機株式会社 信号伝送回路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6440A (en) * 1974-12-23 1975-10-28 Ibm Resynchronizable phase-encoded recording
DE3006340C2 (de) * 1979-02-21 1986-09-18 Sharp K.K., Osaka Abtastzeitsteuerungsschaltung für ein Kassettenmagnetband-Datenwiedergabegerät
NL8003477A (nl) * 1980-06-16 1982-01-18 Philips Nv Inrichting voor het verwerken van serieele informatie welke is voorzien van synchronisatiewoorden.
US4523304A (en) * 1981-04-17 1985-06-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4611335A (en) * 1981-09-30 1986-09-09 Hitachi, Ltd. Digital data synchronizing circuit
FR2523348A1 (fr) * 1982-03-12 1983-09-16 Thomson Csf Procede et dispositif de regeneration de phase de signaux de synchronisation dans un appareil optique d'ecriture-lecture de support d'information
JPS58158039A (ja) * 1982-03-15 1983-09-20 Toshiba Corp 光ディスクの記録再生装置
JPS57164443A (en) * 1982-03-19 1982-10-09 Hitachi Ltd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reproducing device
JPS58169340A (ja) * 1982-03-31 1983-10-05 Hitachi Ltd 光デイスク装置
JPH0648582B2 (ja) * 1982-03-31 1994-06-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学的情報記録再生方法
JPS58182117A (ja) * 1982-04-19 1983-10-25 Nec Corp ピ−クシフト補償回路
US4583211A (en) * 1982-06-15 1986-04-15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Frequency detecting circuit for digital information reproducing system
SU1078465A1 (ru) * 1982-07-05 1984-03-07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В-2867 Устройство воспроизведени информации с оптического носител
JPS5987610A (ja) * 1982-11-10 1984-05-21 Fujitsu Ltd 書込デ−タのプリシフト回路
JPS59113529A (ja) * 1982-12-20 1984-06-30 Nec Corp 記憶装置の読出し回路
WO1985001402A1 (en) * 1983-09-19 1985-03-28 Storage Technology Partners Ii Sync pattern encoding system for data sectors written on a storage medium
JPS60151876A (ja) * 1984-01-19 1985-08-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再生装置
US4612586A (en) * 1984-06-05 1986-09-16 Memorex Corporation Method for measuring timing asymmetry in a magnetic storage system
US4646103A (en) * 1985-03-20 1987-02-24 Hitachi, Ltd. Optical record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577A (ko) 1987-03-14
NL194597B (nl) 2002-04-02
NL194597C (nl) 2002-08-05
CN86104490A (zh) 1987-01-21
JPH0731877B2 (ja) 1995-04-10
DE3622239C2 (ko) 1991-03-28
JPS628370A (ja) 1987-01-16
US4835759A (en) 1989-05-30
NL8601715A (nl) 1987-02-02
CN86104490B (zh) 1988-09-14
DE3622239A1 (de) 1987-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1446B1 (ko) 정보기록 재생방법 및 장치
KR910001275B1 (ko) 정보 기록 재생 방법 및 광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
JP2845915B2 (ja) 情報再生方法および情報再生装置
JP2619381B2 (ja) 光学的情報再生装置
JPH0477391B2 (ko)
JPS59165212A (ja) 情報信号再生装置
JP2807362B2 (ja) 情報再生装置
JPH06150578A (ja) 光学式情報再生装置
JP2638520B2 (ja) 光情報記録媒体再生装置
JP3519309B2 (ja) 光ディスク、光再生装置及び光記録装置
JP3347468B2 (ja) 情報再生装置
JP2524696B2 (ja) デ―タ再生装置
US5563863A (en)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igital information by determining the information in multiple bit units based on binarizer output signals
JPH10320783A (ja) ウォブル信号検出回路、ウォブル異常検出回路、これらを用いた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これらに用いる記憶媒体
JP3366658B2 (ja) 光磁気ディスク再生装置
JP2899477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2861627B2 (ja) 記録情報再生装置
JPH0581678A (ja) 光デイスク再生装置
JP3143234B2 (ja)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JPH044677B2 (ko)
JP2852751B2 (ja) データ再生方法及び装置
JP2861998B2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方法及び装置
JP2738700B2 (ja) 信号再生方法及び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記録再生方法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3092523B2 (ja) 光ディスク記録方法及び装置
JP3046403B2 (ja) 光ディスクの記録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