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806B1 - 6-메틸-3,4-디하이드로-1,2,3-옥사티아진-4-온 2,2-디옥사이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6-메틸-3,4-디하이드로-1,2,3-옥사티아진-4-온 2,2-디옥사이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806B1
KR930000806B1 KR1019850001853A KR850001853A KR930000806B1 KR 930000806 B1 KR930000806 B1 KR 930000806B1 KR 1019850001853 A KR1019850001853 A KR 1019850001853A KR 850001853 A KR850001853 A KR 850001853A KR 930000806 B1 KR930000806 B1 KR 930000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iphatic
acetoacetamide
acid
organic solvent
am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1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6192A (ko
Inventor
클라우쓰 칼
린키스 아돌프
로이쉴링 디터
Original Assignee
훽스트 아크티엔게젤샤프트
하인리히 벡커, 베른하르트 벡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23121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3000080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훽스트 아크티엔게젤샤프트, 하인리히 벡커, 베른하르트 벡크 filed Critical 훽스트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850006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6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8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9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nitrogen, oxy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9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nitrogen, oxy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91/06Six-membered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 Cephalosporin Compounds (AREA)
  • Seasonings (AREA)
  • Catalyst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6-메틸-3,4-디하이드로-1,2,3-옥사티아진-4-온 2,2-디옥사이드의 제조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하기의 구조식을 갖는 6-메틸-3,4-디하이드로-1,2,3-옥사티아진 -4-온 2,2-디옥사이드 및 그의 비독성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 화합물은 질소에 부착된 수소가 산으로 작용하므로(염기와 결합하여)염을 형성할 수 있다.
Na,K 및 Ca 염과 같은 비독성염은 어떠한 경우에는 강렬하기도 한 그들의 단맛때문에 식품분야에서 감미제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K염(“아세설팜 K”또는 “아세설팜”)이 특히 중요하다.
6-메틸-3,4-디하이드로-1,2,3-옥사티아진-4-온 2,2-디옥사이드 및 그의 비독성염을 제조하는 다른 많은 방법들이 공지되어 있다[참조 : Angewandte Chemie 85, Issue 22(1973) pages 965 to 73, corresponding to International Edition Vol. 12, NO 11(1973), pahes 869-76]. 실제로 모든 공정은 클로로- 또는 플루오로설포닐 이소시아네이트(X=Cl 또는 F인 XS02NCO)를 출발물질로 한다. 클로로- 또는 플루오로설포닐 이소시아네이트를 모노메틸 아세틸렌, 아세톤, 아세토아세트산, 3급-부틸 아세토아세테이트 또는 벤질 프로페닐 에테르와(통상적으로 다단계 반응으로)반응시키면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포닐 글로라이드 또는 플루오라이드가 수득되는데, 이 생성물을 염기(예 : 메탄올성 KOH)의 작용하에서 폐환시키면 6-메틸-3,4-디하이드로-1,2,3-옥사티아진-4-온 2,2-디옥사이드의 상응하는 염이 제조된다.경우에 따라서는 이 염을 통상적인 방법으로(산과 반응시켜) 유리상태의 옥사티아지논을 수득할 수 있다.
옥사티아지논 중간체인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포닐 플루오라이드를 제조하는 또 다른 방법은 플루오로설포닐 이소시아네이트의 부분적 가수분해 생성물인 설파모일 플루오라이드 H2NSO2F를 출발물질로 한다[참조 :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공보 제2 ,453,063호]. 설팜산의 플루오라이드인 H2NSL2F를 약 -30 내지 100℃에서 아민 존재하에 불활성 유기용매중에서 거의 동 몰량의 아세토아세틸화제인 디케텐과 반응시키면 하기 반응도식에 따라 반응이 진행된다(트리에틸아민을 아민으로서 사용) :
Figure kpo00002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포닐 플루오라이드
염기(예 : 메탄올성 KOH)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아세토아세트아미드 -N-설포닐 플루오라이드를 폐환시켜 감미제를 제조한다:
Figure kpo00003
몇몇 공지된 방법에서 6-메틸-3,4-디하이드로-1,2,3-옥사티아진-4-온 2, 2-디옥사이드 및 그의 비독성염의 수율(설파모일 할라이드 출발물질에 기초한 이론치의 약 85%까지 수득됨)이 만족스럽다 하더라도, 이들 방법은 수득이 매우 어려운 클로로- 또는 플루오로설포닐 이소시아네이트를 출발물질로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여전히 개선해야할 필요가 있고, 특히 공업적인 목적에서 개선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는 클로로- 및 플루오로설포 이소시아네이트 제조시에 출발물질(HCN,Cl2, SO3및 HF)(이들중의 몇몇은 다루기가 약간 곤란하다) 때문에 많은 예비처리 및 안전 배열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클로로- 및 플루오로설포닐 이소시아네이트는 하기 반응도식에 따라 제조된다 :
Figure kpo00004
상기 언급된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공보 제2,453,063호에 따르는 방법에서 설파모일 플루오라이드 대신에 예를들어 (예를들어 NH3+SO3로 부터) 훨씬 더 쉽게 수득할 수 있는 설팜산 H2NSO3H 또는 그의 염을 사용하는 것은 거의 소용이 없다. 왜냐하면 Na 설파메이트인 H2NSO3Na와 디케텐을 수성 알칼리 용액에서 반응시키면 순수하게 분리할 수 있는 반응생성물이 전혀 수득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 반응에서는 오히려, 이 반응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될지 모르는 1:1 부가물을 단지 4-니트로페닐-디아조늄 클로라이드와의 결합 생성물의 형태로 연황색 염료로서 수득할 수 있다[참조:Ber. 83(1950), pages 551-558, 특히 page 555, 실시예 설명전의 마지막 단락, 및 page 558, 마지막 단락]: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그렇지 않으면,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폰산은 단지 또는 또한, 수용액중에서 비등시의 6-메틸-3,4-디하이드로-1,2,3-옥사티아진-4-온 2,2-디옥사이드의 분해 중간체로서 가정된다[참조: 도입부에 기술된 문헌, Angew. Chemie(1973) loc. cit.]
Figure kpo00007
따라서, 6-메틸-3,4-디하이드로-1,2,3-옥사티아진-4-온 2,2-디옥사이드 및 그의 비독성염을 제조하는 선행기술 공정의 상태는 수득이 매우 곤란한 출발물질을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공업적인 규모로 수행하는 것이 완전히 만족스럽지 않으므로 공지의 방법을 적절히 개선하거나 신규의 개선된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종래의 목적이었다.
이 목적은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공보 제2,453,063호의 방법을 변경(주로, 공지의 방법에서 설파모일 플루오라이드를 설팜산의 염으로 대치)시킨 다음, 생성된 아세토아세틸화 생성물을 SO3를 사용하여 폐환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성취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설팜산 유도체를 불활성 유기용매중에서, 경우에 따라서는 아민 또는 포스핀 촉매 존재하에서, 적어도 거의 동몰량의 아세토아세틸화제와 반응시켜 아세토아세트아미드 유도체를 수득한 다음 b) 아세토아세트아미드 유도체를 폐환시킴으로써 6-메틸-3,4-디하이드로-1,2,3-옥사티아진-4-온 2,2-디옥사이드 및 그의 비독성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방법은 사용된 불활성 유기 용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해되는 설팜산염을 단계 a)에서의 설팜산 유도체로서 사용하고, 단계 b)에서는 첫번째 단계에서 생성된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포네이트 또는 유리상태의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폰산을, 경우에 따라서는 불활성의 무기 또는 유기용매중에서, 적어도 거의 동몰량의 SO3의 작용에 의하여 폐환시켜 6-메틸-3,4-디하이드로-1,2,3-옥사티아진-4-온 2,2-디옥사이드의 환을 형성시키고, 이로부터 생성된 산형태의 생성물을, 경우에 따라서는 부가적인 단계 c)에서 염기로 중화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방법을 반응도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아세토아세틸화제로서 디케텐을 사용):
Figure kpo00008
이 방법은 수득하기가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한 출발물질을 사용하며, 공정이 매우 쉽게 수행된다. 수율은(설파메이트 출발물질에 기초한) 단계 a)에서의 이론치의 약 90 내지 100%이고,(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포네이트에 기초한) 단계 b)에서의 이론치의 약 70 내지 95%이고,(산형태의 옥사티아지논에 기초한) 단계 c)에서의 이론치의 약 100%이므로 전 공정에서의 수율은 이론치의 약 65 내지 95%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정은 선행기술 공정에 비하여 상당히 진보된 것이다.
단계 a)에서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포네이트를 수득하기 위한 설파메이트와 아세토아세틸화제 사이의 반응이 순조롭게 진행되는 것은 매우 놀랍다. 왜냐하면 문헌[Ber. 83(1950) loc.cit.]에 따르면 수성 알칼리 용액중에서의 Na 설파메이트와 디케텐 사이의 반응은 오히려 확실하지 않아보여서 설팜산 또는 그의 염 및 아세토아세틸화제로 부터 우수한 수율과 분리정제할 수 있는 1:1 반응 생성물을 기대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단계 b)에서 SO3를 사용한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포네이트 또는 유리상태의 설폰산의 폐환이 몹시 잘 일어나는 것도 또한 매우 놀랍다. 왜냐하면 이 단계에서 폐환과 함께 진행되는 물 또는 염기(MOH)의 제거가 발생되지 않거나, 물 또는 염기를 제거시키는 다른 약제 (예 : P2O5, 무수 아세트산, 무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티오닐 클로라이드등)를 사용하여도 실제로 발생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공정은 하기와 같이 수행한다:
단계 a): 아세토아세틸화제로는 예를들어, 아세토아세틸 클로라이드 및 디케텐과 같은 공지의 아세토아세틸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아세토아세틸화제는 디케텐이다.
아세토아세틸화제는(반응물 설파메이트에 대하여) 적어도 거의 동몰량을 사용하여야 한다. 약 30몰%까지의 과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10몰%까지만의 과랑을 사용한다. 약 30몰%이상의 과량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유리한 점은 전혀 없다.
적절한 불활성 유기용매는 출발물질 및 최종 생성물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반응중의 촉매와 바람직하지 못한 방식으로는 반응하지 않으며, 또한 설팜산의 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해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모든 유기용매이다. 이에 관련된 적절하고 바람직한 용매로는 하기의 유기용매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C4까지의 할로겐화된 지방족 탄화수소(예: 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1,2-디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트리크로로플루오로에틸렌등); 바람직하게는 C3내지 C6의 지방족 케톤(예: 아세톤, 메틸에틸케톤등); 지방족 에테르, 바람직하게는 C4또는 C5의 사이클릭 지방족 에테르(예: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등); 바람직하게는 C2내지 C6의 저급 지방족 카복실산(예: 아세트산, 프로피온산등); 지방족 니트릴, 바람직하게는 아세토니트릴; 카본산 및 저급지방족 카복실산의 N-알킬-치환된 아미드, 바람직하게는 C5까지의 아미드(예: 테트라메틸우레아,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등); 지방족 설폭사이드, 바람직하게는 디메틸 설폭사이드; 및 지방족 설폰, 바람직하게는 설폴란
Figure kpo00009
상기 언급된 용매에서 특히 바람직한 용매는 메틸렌 클로라이드, 1,2-디크로로에탄, 아세톤, 빙초산 및 디메틸 포름아미드이고, 특히 메틸렌 클로라이드이다.
이들 용매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혼합물로써 사용할 수 있다.
용매에 대한 반응 출발물질의 양적 비율은 광범위에게 변화시킬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 중량비는 약 1: (2-10)이다. 그러나 다른 비율도 또한 가능하다.
원칙적으로, 아민 및 포스핀 촉매로는 디케텐의 부가 반응시에 촉매로서 사용되는 모든 아민 및 포스핀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주로(여전히) 친핵특성을 갖는 3급 아민 및 포스핀다.
본 발명의 경우에 바람직한 것은 각각의 N 또는 P원자가 C20까지, 특히 C10까지만을 갖는 3급 아민 및 포스핀이다. 예로는 하기의 3급 아민이 있다: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n-프로필아민, 트리이소프로필아민, 트리-n-부틸아민, 트리이소부틸아민, 트리사이클로헥실아민, 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에틸디사이클로헥실아민, N,N-디메틸아닐린, N,N-디에틸아닐린, 벤질디메틸아민, 피리딘, 치환된 피리딘(예: 피콜린, 루티딘, 콜리딘 또는 메틸에틸 피리딘), N-메틸피페리딘, N-에틸피페리딘, N-메틸모르폴린, N,N′-디메틸피페라진, 1,5-디아자비사이클로 [4,3,0]논-5-엔, 1,8-디아자비사이클로[5,4,0]운데크-7-엔, 테트라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테트라메틸프로필렌디아민, 테트라메틸부틸렌디아민, 1,2-디모르폴릴에탄, 펜타메틸디에틸렌트리아민, 펜타에틸디에틸렌트리아민, 펜타메틸디프로필렌트리아민, 테트라메틸디아미노메탄,테트라프로필디아미노메탄, 헥사메틸트리에틸렌테트라민, 헥사메틸트리프로필렌테트라민, 디이소부틸렌트리아민 또는 트리이소프로필테트라민.
특히 바람직한 아민은 트리에틸아민이다.
3급 포스핀의 예로는 메틸디페닐포스핀, 트리페닐포스핀, 트리부틸포스핀등이 있다.
촉매의 양은 통상적으로 설파메이트 1몰당 약 0.1몰까지이다. 더욱 많은 양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잇점이 거의 없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 공정의 반응 단계 a)는 촉매없이 진행괴기도 하지만, 촉매가 반응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촉매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공정에 사용되는 설팜산염은 불활성 유기용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해되어야만 한다. 바람직한 설팜산 염은 설팜산의 리튬, NH4 및 1,2,3 및 4급 암모늄염이다. 또한 바람직한 암모늄은 암모늄 이온이 약20개 이하, 특히 약 10개 이하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염이다. 설팜산의 암모늄의 예는 하기의 암모늄 이온을 갖는 염이다.
Figure kpo00010
특히 바람직한 설파메이트는 트리에틸암모늄염이다.
통상적으로, 설팜산을 LiOH, NH3또는 적절한 아민이나 4급 수산화암모늄 용액으로 중화시킨다음 물을 제거하는 자체로서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염을 수득한다. 염기는 약 30몰%까지, 특히 악 15몰%까지만의(설팜산에 기초한) 화학양론적 과량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암모늄 이온중의 유기 잔기가 아민촉매중의 유기잔기와 동일(예를들어, 설팜산염으로서 트리에틸암모늄 설파메이트를 사용하고, 촉매로서 트리에틸아민을 사용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NH3및 1 및 2급 아민과의 염의 경우에는 화학양론적인 양의 아민 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약 염기성의 3급-아민(예: 피리딘)을 촉매로서 가한다.
통상적으로, 반응온도는 약 -3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약 0 내지 25℃의 온도에서 선정한다.
반응은 통상적으로 대기압하에서 수행한다. 반응시간은 광범위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는 약 0.5 내지 2시간이다. 반응은 설팜산염을 먼저 도입시킨 다음 디케텐을 계량하여 가하거나, 디케텐을 먼저 도입시킨 다음 설팜산염을 계량하여 가 하거나, 또는 디케텐 및 설팜산을 먼저 도입시킨 다음 염기를 계량하여 가하거나, 예를들어, 반응챔버속에 두 반응물을 동시에 계량하여 가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고, 불활성 유기용매도 또한 초기에 도입시키거나 반응물과 함께 계량하여 가할 수 있다.
반응이 완료되면 반응생성물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용매를 증류시켜 제거하고 잔류물(주로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포네이트)을 적절한 용매(예: 아세톤, 메틸아세테이트 또는 에탄올)로 부터 재결정화시킨다. 수율은 이론치의 약 90 내지 100%이다.
Li 및 암모늄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포네이트는 신규의 화합물이다. 이들 화합물은 하기의 일반식을 갖는다.
Figure kpo00011
상기식에서, M
Figure kpo00012
=Li
Figure kpo00013
또는 N
Figure kpo00014
R1R2R3R4(여기에서,R2,R2,R3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H 또는 유기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H 또는 C1-C8-알킬, C6-C10-사이클로알킬, -아릴 및/또는 -아르알킬이다)이다.
암모늄염의 암모늄 이온중에 포함된 탄소원자의 총수는 바람직하게는 약 20개 이하, 특히 약 10개 이하이다.
유리상태의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폰산은 경우에 따라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포네이트로 부터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수득할 수 있다.
단계 b): 단계 a)에서 수득된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포네이트(또는, 경우에 따라 유리상태의 산)를 경우에 따라 불활성의 무기 또는 유기용매중에서 적어도 거의 동몰량의 SO3를 사용하여 단계 b)에서 폐환시킨다.
SO3는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포네이트(또는 유리상태의 산)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약 20배,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10배, 특히 약 4 내지 7배의 몰과량을 사용한다. SO3는 고체 또는 액체 형태로 반응혼합물에 가하거나 SO3증기 중에서 축합시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는 농황산, 액체 SO2또는 불활성 유기용매중의 SO3용액을 사용한다. SO3를 제거시키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원칙적으로는 용매의 부재하에서 반응을 수행할 수 있지만, 물활성의 무기 또는 유기용매중에서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절한 불활성 무기 또는 유기용매는 SO3또는 반응의 출발물질이나 최종생성물과 바람직하지 못한 방식으로 반응하지 않는 액체이다. 따라서, 특히 S03의 반응성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비교적 소수의 용매만이 이 목적에 적절히 사용된다.
바람직한 용매는 다음과 같다 ;
무기용매 : 액체 SO2;
유기용매 : 바람직하게는 C4까지의 할로겐화된 지방족 탄화수소(예 : 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1,2-디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트리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등) ; 저급 지방족 알콜,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과의 카본산 에스테르 ; 바람직하게는 C4까지의 니트로알칸, 특히 니트로메탄 ; 알킬- 치환된 피리딘, 바람직하게는 콜리딘 ; 및 지방족 설폰, 바람직하게는 설폴란.
유기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써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용매는 액체 SO2및 메틸렌 클로라이드이다.
불활성 용매의 사용량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용매를 사용할 경우, 용매는 단지 반응물을 적절한 용액상태로 유지시키는데에 필요하다. 용매 사용량의 상한선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공정의 바람직한 양태는 단계 a)와 단계 b)에서 모두 동일한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고,바람직한 용매는 할로겐화된 지방족 탄화수소, 특히 메틸렌 클로라이드이다. 왜냐하면 이 경우에 단계 a)에서 수득된 용액은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포네이트를 분리시키지 않고 단계 b)에 직접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계 b)에서의 반응온도는 통상적으로 약 -70 내지 +175℃,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10℃이다.
단계 b)는 대기압하에서만 정상적으로 반응이 수행되는 점에서 단계 a)와 유사하다.
반응시간은 약 10시간까지 가능하다.
반응은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포네이트(또는 유리상태의 산)를, 경우에 따라 용액상태로, 도입시킨 다음 S03를, 경우에 따라 용해된 형태로, 계량하여 가하거나 ; 두 반응물을 반응 챔버에 동시에 가하거나 ; SO3를 먼저 도입시킨다음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포네이트(또는 유리상태의 산)를 가하는 방법으로 수행한다.
SO3의 일부를, 경우에 따라 용액상태로, 먼저 도입시킨 다음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포네이트(또는 유리상태의 산) 및 S03를, 경우에 따라 용해된 형태로, 연속적으로 또는 몇회로 나누어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끝처리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한다. 반응용매로서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사용한 바람직한 경우, 끝처리는 예를들어, SO3를 함유한 용액(SO3에 대하여) 약 10배 몰량의 얼음이나 물을 가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이 분리되며, 형성된 6-메틸-3,4-디하이드로-1,2,3-옥사티아진-4-온 2,2-디옥사이드는 주로 유기상에 존재한다. 수성 황산중에 잔존하는 분획은 유기용매(예 : 메틸렌 클로라이드) 또는 유기 에스테르로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물을 가한 후, 반응용매를 증류시켜 제거하고, 황산중에 잔존하는 6-메틸-3,4-디하이드로-1,2,3-옥사티아진-4-온 2,2-디옥사이드를 더욱 적절한 용매로 추출한다. 적절한 용매는 황산에 대해 대단히 안정하며, 만족스러운 용해력을 갖는다. 또한, 반응 생성물은 용매계내에서 분리에 유리한 분배계수를 가져야 한다. 할로겐화된 탄화수소뿐만 아니라 카본산 에스테르(예 :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및 에틸렌 카보네이트) 또는 유기 모노카복실산, 에스테로(예 : 이소프로필 포르메이트 및 이소부틸 포르메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이소부틸 아세테이트 및 네오펜틸 아세테이트) 또는 디카복실산 에스테르 또는 수 불혼합성 아미드(예 : 테트라부틸우레아)도 역시 적절한다.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및 이소부틸아세테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혼합된 유기상을 예를들어 NaSO4로 건조시킨다음 증발시킨다. 추출시에 미처 분리되지 못한 황산은 유기상에 수성 알칼리를 적당히 가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수성상의 pH가 추출제 및 물의 동일한 2상 시스템중의 동일한 농도에서의 순수한 6-메틸-3,4-디하이드로-1,2,3-옥사티아진-4-온 2,2-디옥사이드가 나타내는 pH에 도달할때까지 수성의 알칼리를 유기상에 가한다. 유리상태의 화합물을 수득하고자 할때에는 이 생성물을 통상적인 방법(바람직하게는 재결정화)으로 더욱 정제한다. 수율은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포네이트(또는 유리상태의 산)에 기초한 이론치의 약 70 내지 95%이다.
그러나, 6-메틸-3,4-디하이드로-1,2,3-옥사티아진-4-온 2,2-디옥사이드의 비독성염을 수득하고자 할때에는 중화단계 c)를 또한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단계 b)에서 산의 형태로 제조된 옥사티아지논 화합물을 적절한 염기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중화시킨다. 이를 위하여, 예를들어 단계 b)의 말기에 혼합하여 건조시킨다음 증발시킨 유기상을 적절한 염기, 바람직하게는 칼륨염기(예 :KOH, KHCO3, K2CO3, K 알콜레이트등)를 사용하여 적절한 유기용매(예 : 알콜, 케톤, 에스테르 또는 에테르) 또는 물중에서 중화시킨다. 이와달리, 옥사티아지논 화합물을 중화시킨 다음 수성 칼륨염기를 사용하여, 정제된 유기 추출상(단계 b)으로 부터 직접 추출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용액을 증발시킨 후에, 옥사티아지논 염이 결정 형태로 침전되고, 이는 재결정화시켜 정제할 수도 있다.
중환 단계에서의 수율은 실제로 100%이다.
단계 a), b) 및 c)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는 전체공정 및 개별공정단계 a)와 b)는 모두 신규이며 상당히 유리하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공정단계 a), b) 및 c)를 수행하는 실시예 다음에는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포네이트 S03이외의 물 또는 염기를 제거시키는 약제, 이 경우에는 P205로 폐환되지 않음을 보이는 비교실시예가 소개된다.
A) 공정단계 a)를 수행하는 실시예 :
[실시예 1]
Figure kpo00015
빙초산 100ml중의 트리메틸아민 12ml(0.125몰) 용액에 설팜산 9.7g(0.1몰)을 가한 다음, 완전히 용해될때까지 혼합물을 교반한다. 25 내지 30℃에서 냉각시키면서 8ml(0.104몰)의 디케텐을 적가한다. 16시간후에 에티르를 서서히 가하여 반응 생성물을 침전시킨 다음 흡인여과한다.
22g(92%), 융점 101℃
Figure kpo00016
IR(KBr)1045, 1240, 1470, 1660, 1720cm-1
[실시예 2]
Figure kpo00017
빙초산 500ml중에 현탁된 설팜산 80g(0.825몰)에 디메틸에틸아민 80g(1.096몰)을 냉각시키면서 적가한다. 완전히 용해되면 80ml(1.038몰)의 디케텐을 25 내지 35℃에서 냉각시키면서 가한다. 16시간후에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아세톤과 함께 교반하면 결정화가 일어난다.
110(43%), 융점 73 내지 75℃
반응생성물의 나머지 128g(50%)를 모액으로 부터 시럽으로서 수득한다.
Figure kpo00018
[실시예 3]
Figure kpo00019
메틸렌 클로라이드 100ml중의 설팜산 9.7g(0.1몰)을 16ml(0.12몰)의 트리에틸아민으로 용해시킨다. 0℃에서 8ml(0.104몰)의 디케텐을 적가한다. 0℃에서 2시간동안 교반한 다음 계속하여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다. 헥산을 가하여 반응생성물을 침전시키고, 잔존하는 시럽을 더울 많은 양의 헥산으로 세척한다. 진공 건조시키면 27 내지 28g(95.7 내지 99%)가 잔존하고, 장시간 정치하면 시럽이 결정화되기 시작한다.
Figure kpo00020
IR(니이트) 1040, 1230, 1450, 1650, 1670cm-1
하기 실시예 4 내지 7은 실시예 3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하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실시예 4]
Figure kpo00021
IR(CH2Cl2) 1040, 1260, 1420, 700, 1740cm-1
[실시예 5]
Figure kpo00022
IR(CH2Cl2) 1040, 1250, 1420, 1700, 1740
[실시예 6]
Figure kpo00023
IR(CH2Cl2) 1040, 1260, 1270, 1430, 1470, 1700, 1740cm-1
[실시예 7]
Figure kpo00024
IR(CH2Cl2) 1040, 1210, 1250, 1420, 1700, 1740cm-1
[실시예 8]
Figure kpo00025
9.7g(0.1몰)의 설팜산을 100ml의 아세톤에 현탁시키고, 16ml(0.12몰)의 트리에틸아민을 가한다. 거의 완전히 용해되면 0℃에서 8ml(0.104몰)의 디케텐을 적가한다.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반응이 완결되도록 하는데, 그동안 모든 반응물이 용해된다. 16시간후에 헥산을 사용하여 반응생성물을 시럽으로 침전시키고, 이 시럽을 헥산과 함께 교반하여 더욱 정제한다. 진공건조시키면 27 내지 28g(95.7 내지 99%)의 시럽이 잔존하고, 이를 정지하면 서서히 결정화된다.
Figure kpo00026
IR(니이트) 1040, 1230, 1450, 1670cm-1
[실시예 9]
Figure kpo00027
테트라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의 40% 농도 수용액 105ml(0.16몰)을 메탄올 10ml 및 물 50ml중의 설팜산 15.5g(0.16몰)에 가한다. 혼합물을 증발 건조시킨다. 잔류물을 100ml의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을 사용하여 pH가 9 내지 10이 되도록 조정한다. 10ml의 디케텐을 적가한다. 12시간후에 pH를 다시 9 내지 10으로 조정하고, 디케텐의 첨가를 반복한다. 16시간 후에 혼합물을 증발시키면 잔류물이 결정화된다. 결정의 페이스트를 흡인여과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및 에테르로 세척한다. 34.6g(52%),융점 97 내지 98℃
Figure kpo00028
IR(CH2Cl2) 890, 1040,1255, 1410cm-1
[실시예 10]
Figure kpo00029
0℃에서 메틸렌 클로라이드 200ml중의 설팜산 19.4g(0.2몰) 및 디케텐 15.4ml(0.2몰)을 먼저 도입시킨다. 냉각 및 교반시키면서 29ml(0.21몰)의 트리에틸아민을 45분 이내에 적가한다. 반응혼합물을 0℃에서 30분동안 계속 교반한 다음 실온에서 밤새 정치시킨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전공건조시킨 후에 반응생성물을 시럽으로서 수득한다. 이를 아세톤으로부터 결정화시킨다.
Figure kpo00030
IR(니이트) 1040, 1230, 1450, 1670cm-1
[실시예 11]
Figure kpo00031
0℃에서 메틸렌 클로라이드 100ml중의 설팜산 19.4g(0.2몰), 디케텐 15.4ml (0.2몰) 및 빙초산 1.14ml(0.02몰)을 먼저 도입시킨다. 냉각 및 교반하면서 29ml( 0.21몰)의 트리에틸아민을 45분 이내에 적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30분동안 계속 교반한 다을 실온에서 밤새 정치시킨다. 용매를 증발시킨 후에 잔류물을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여 진공시킨다. 이를 아세톤으로부터 결정화시킨다.
52 내지 55g(92 내지 97.5%), 융점 55 내지 58℃
Figure kpo00032
IR(니이트) 1040,1230,1450,1670cm-1
[실시예 12]
Figure kpo00033
N,N-디메틸아닐린 15.1ml(120밀리몰)을 빙초산 100ml중의 설팜산 9.7g( 100밀리몰)에 가한 다음 온전히 용해될때까지 혼합물을 교반한다. 8ml(104밀리몰)의 디케텐을 가한다. 16시간 후에 이 용액에 2ml의 디케텐을 더 가한다. 디케텐이 소멸되면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생성물을 에테르와 함께 교반하여 침전시킨다.
수율 : 88 내지 92%
Figure kpo00034
IR(CH2Cl2) 1040,1250,1430,1700,1740cm-1
[실시예 13]
Figure kpo00035
빙초산 100ml중의 암모늄 설파메이트 11.4g(100밀리몰) 현탁액에 디케텐 10 ml 및 피리딘 1ml을 가하면서 격렬히 교반한다. 17시간 후에 최종 생성물을 흡인 여과한다.
17g=86%, 약 125℃ 이상에서 분해.
[실시예 14]
Figure kpo00036
CH2Cl2200ml중의 설팜산 19.4g(0.2몰)을 디이소프로필아민 28ml(0.2몰)로 중화시킨다. 0.81ml(10밀리몰)의 피리딘을 가한 후에 0℃에서 15.4ml(0.2몰)의 디케텐을 적가한다. 반응혼합물을 0℃에서 30분동안 계속 교반한 다음 실온에서 밤새 정치시킨다. 용매를 증발시킨 후에 진공건조시키고, 반응생성물을 시럽으로서 수득한다.
45 내지 48g=80 내지 85%
IR(니이트) 1040,1280,1450,1679cm-1
[실시예 15]
Figure kpo00037
DMF 100ml중의 설팜산 19.4g(0.2몰)을 3급-부틸아민 21ml(0.2몰)로 중화시킨다. 0.81ml(10밀리몰)의 피리딘을 가한 후에 15℃에서 15.4ml(0.2몰)의 디케텐을 적가한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다. 끝처리하기 위하여, 반응 생성물을 500ml의 디에틸 에테르로 침전시킨다. 시럽을 아세톤과 함께 교반하여 정제한다.
수율 : 42g=83%
IR(니이트) 1035,1230,1450,1670cm-1
B) 공정단계 b)및 c)를 수행하는 실시예 :
[실시예 1]
메틸렌 클로라이드 110ml중의 디메틸에틸암모늄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포네이트 12.7g(50밀리몰)을 -30℃에서 CH2Cl2100ml중의 액체 SO38ml(200밀리몰)에 격렬히 교반하면서 60분 이내에 적가한다. 30분후에 50ml의 에틸아세테이트 및 50g의 얼음을 용액에 가한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에틸아세테이트로 2회 더 추출한다. 혼합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메탄올에 용해시킨다. 용액을 메탄올성 KOH로 중화시키면 6-메틸-3,4-디하이드로-1,2,3-옥사티아진-4-온 2,2-디옥사이드의 칼륨염이 침전된다.
7.3g=73%
[실시예 2]
CH2Cl2200ml중의 디메틸에틸암모늄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포네이트 12.7g(20밀리몰)을 -30℃에서 SO250ml중의 액체 SO38ml(200밀리몰)에 격렬히 교반하면서 60분 이내에 적가한다. 30분 후에 SO2를 증발시킨 다음 50ml의 에틸아세테이트 및 50g의 얼음을 용액에 가한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에틸아세테이트로 2회 더 추출한다. 혼합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메탄올에 용해시킨다. 용액을 메탄올성 KOH로 중화시키면 6-메틸-3,4-디하이드로-1,2,3-옥사티아진-4온 2,2-디옥사이드의 칼륨염이 침전된다.
8.3g=83%
[실시예 3]
CH2Cl2110ml중의 디메틸에틸암모늄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포네이트 12 .7g(50몰리몰)을 -30℃에서 CH2Cl2100ml중의 액체 SO212ml(300밀리몰)에 격렬히 교반하면서 60분 이내에 적가한다. 30분후에 50ml의 에틸아세테이트 및 50g의 얼음을 용액에 가한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더 추출한다. 혼합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메탄올에 용해시킨다. 용액을 메탄올성 KOH로 중화시키면 6-메틸-3,4-디하이드로-1,2,3-옥사티아진-4온 2,2-디옥사이드의 칼륨염이 침전된다.
7.6g=76%
[실시예 4]
CH2Cl235ml중의 디메틸에틸암모늄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포네이트 4.23 g(16.7밀리몰)을 -30℃에서 CH2Cl2100ml중의 액체 SO34ml(100밀리몰)에 격렬히 교반하면서 20분 이내에 적가한다. 이 용액에 4ml(100밀리몰)의 SO3를 가한 다음 -30℃에서 CH2Cl235ml중의 디메틸에틸암모늄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포네이트 4.24g(16.6밀리몰)을 -30℃에서 격렬히 교반하면서 20분 이내에 적가한다. 4ml (10 0밀리몰)의 SO3를 다시 가한다. CH2Cl235ml중의 디메틸에틸암모늄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포네이트 4.24g(16.6밀리몰)을 -30℃에서 격렬히 교반하면서 20분 이내에 적가한다. 20분 후에 혼합물을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끝처리 한다.
8.7g=87%
[실시예 5]
CH2Cl2110ml중의 디메틸에틸암모늄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포네이트 12.7g(50밀리몰)을 -25℃에서 CH2Cl2100ml중의 SO32.4ml(60밀리몰)에 격렬히 교반하면서 60분 이내에 적가한다. 12,24,36 및 48분 후에 각각 2,4ml(60밀리몰)의 SO3를 동일한 시간에 걸쳐 가한다. 20분 후에 혼합물을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끝처리한다.
8.8g=85%
[실시예 6]
초기에 SO250ml중의 SO32.4ml(60밀리몰)을 도입시켜 실시예 5에서와 같이 공정을 수행한다.
8.8g=88%
[실시예 7]
12.8g(160밀리몰)의 고체 SO3를 150ml의 CH2Cl2에 용해시킨다. 용액을 -45 내지 -55℃로 냉각시킨 다음, CH2Cl225ml중의 트리프로필암모늄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포네이트 8.4g(26밀리몰)을 60분 이내에 적가한다. -45 내지 -55℃에서 45시간 후에 혼합물을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끝처리한다.
2.8g=54%
실시예 8 내지 12에서는 디케텐, 설팜산 및 트리에틸아민을 반응시킨 반응용액을 직접 사용한다.
[실시예 8]
트리에틸암모늄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포네이트 용액 125ml(0.1몰 ; CH2Cl2)을 -30℃에서 CH2Cl2500ml중의 액체 SO32Oml(500밀리몰)에 격렬히 교반하면서 60분 이내에 적가한다. -30℃에서 60분이 더 경과한 후에 혼합물을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끝처리한다.
17.1g=85%
[실시예 9]
-30℃에서 125ml의 트리에틸암모늄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포네이트용액 (0.1몰: CH2Cl2)을 먼저 250ml의 CH2Cl2에 도입시킨다. CH2Cl2250ml에 용해된 액체 SO320ml(500밀리몰)을 60분 이내에 가한다. -30℃에서 60분이 더 경과한 후에 혼합물을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끝처리한다.
14.9g=74%
[실시예 10]
트리에틸암모늄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포네이트용액(0.1몰: CH2Cl2)을 -25℃에서 CH2C12500ml중의 액체 SO34.8ml(120몰리몰)에 60분 이내에 적가한다. 4.8ml(120몰리몰)의 액체 SO3를 12분 간격으로 4회 더 가한다. -25℃에서 60분이 더 경과한 후에 혼합물을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끝처리한다.
18.8g=91%
[실시예 11]
초기에 50ml의 CH2Cl2를 -30℃에서 도입시킨다. 냉각 및 교반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면서, CH2Cl250ml중의 트리에틸암모늄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포네이트 28.1g(0.1몰) 용액과 CH2Cl2500ml중의 액체 SO324ml을 동시에 30분 이내에 지속적으로 적가한다. -25 내지 -30℃에서 30분이 더 경과한 후에 같은 온도에서 110ml의 물을 조심스럽게 적가한다. 증류시켜 CH2Cl2를 제거하고, 반응 생성물을 80ml의 ;
Figure kpo00038
-부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한다. 20ml의 물을 유기상에 격렬히 교반하면서 가하고, 4N KOH를 사용하여 pH를 0.84 내지 0.87로 조절한다(pH미터, 유리전극: Ingold 405-60-S7), 20ml의 ;
Figure kpo00039
-부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수성상을 분리 추출한 후에 15ml의 물을 혼합된 ;
Figure kpo00040
-부틸 아세테이트상에 가하고, 4N KOH로 교반하면서 중화시켜 pH가 5 내지 7이 되도록 한다. 부분적으로 침전된 K 염을 흡인여과하여, 여액의 수성상과 혼합한다. 진공중에서 물을 증발시키면 18.1g=90%의 감미제가 수득된다.
[실시예 12]
초기에 50ml의 CH2Cl2를 -30℃에서 도입시킨다. CH2Cl250ml중의 트리에틸암모늄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포네이트 28.1g(0.1몰) 용액과 CH2Cl250ml중의 액체 SO324ml를 점진적으로 냉각시키면서 (이소프로판올/드라이아이스) 동시에 지속적으로 가한다. 실시예 1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급속히 끝처리(추출용매 :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하면 17.9g=89%의 감미제가 수득된다.
[실시예 13]
초기에 12.4ml 60% 올레움(200밀리몰의 SO3)을 -25℃에서 200ml의 CH2Cl2에 도입시킨다. 62.5ml의 트리에틸암모늄 아세토아세트아미드 -N-설포네이트용액(50밀리몰 ; CH2Cl2)을 30분 이내에 적가한다. -25℃에서 60분이 더 경과한 후에 혼합물을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끝처리한다.
4.7g=47%
[실시예 14]
-30℃에서 8ml(200밀리몰)의 액체 SO3를 200ml의 콜리딘에 조심스럽게 가한다. 16.2g(50밀리몰)의 트리프로필암모늄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포네이트를 가한 다음, 반응혼합물을 약 100℃에서 20시간 동안 가열한다. 진공중에서 증류시켜 대부분의 콜리딘을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킨다. 황산으로 산성화시킨 후에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수성상을 완전히 추출한다. 유기상을 Na2SO4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진공 증발시킨다. 잔류물을 메탄올에 용해시킨 다음, 메탄올성의 수산화칼륨용액으로 중화시킨다. 침전된 감미제를 흡인 여과하여 건조시킨다.
2.2g=22%
[비교실시예]
초기에 35.42g(250밀리몰)의 P2O5를 250ml의 CH2Cl2에 도입시킨다. 설포네이트 함량이 0.05몰인, CH2Cl2중의 트리에틸암모늄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포네이트 용액 62.5ml을 -25℃에서 60분 이내에 적가한다. -25℃에서 60분이 더 경과한 후에 혼합물을 실시예 B-1에서와 같이 끝처리한다. 박층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하면, 6-메틸-3,4-디하이드로-1,2,3-옥사티아진-4-온 2,2-디옥사이드 또는 그의 칼륨염이 반응생성물중에서 검출되지 않는다.

Claims (48)

  1. a) 불활성 유기용매에 용해되는 설팜산 염을 불활성 유기용매중에서, 아민 또는 포스핀 촉매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 30몰-%까지 과량의 아세토아세틸화제와 반응시켜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폰산염을 수득한 다음 b)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폰산염을 불활성 무기 또는 유기용매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포네이트에 대하여 20배까지 몰과량의 SO3와 반응시켜 6-메틸-3,4-디하이드로-1,2,3-옥사티아진-4-온 2,2-디옥사이드의 환을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6-메틸 -3,4-디하이드로-1,2,3-옥사티아진-4-온-2,2-디옥사이드 및 그의 무독성 염을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단계 a)의 아세토아세틸화제로서 디케텐을 사용하는 방법.
  3. 제1항에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아세토아세틸화제를 10몰-%까지의 과량으로 사용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할로겐화된 지방족 탄화수소, 지방족 케톤, 지방족 에테르, 저급 지방족 카복실산, 저급 지방족 니트릴, 카본산 및 저급 지방족 카복실산의 N-알킬-치환된 아미드, 지방족 설폭사이드, 및 지방족 설폰중에서 선택된 용매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단계 a)의 불활성 유기용매로 사용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단계 a)에 사용된 불활성 유기용매가 메틸렌 클로라이드, 1,2-디클로로에탄, 아세톤, 빙초산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단계 a)에 사용된 아민 또는 포스핀 촉매가 각각의 N 또는 P 원자단 20개 까지의 탄소원자를 갖는 친핵성 3급 아민 또는 포스핀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불활성 유기용매에 용해되며 단계 a)에서 사용된 설팜산염이 설팜산의 리튬, NH4및 1급,2급,3급 또는 4급 암모늄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단계 a)를 -30℃ 내지 +5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단계 b)에서 SO3를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포네이트에 대하여 3 내지 10배의 몰과량으로 사용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단계 b)에서 사용된 불활성 무기용매가 액체 SO2이고, 사용된 불활성 유기용매가 할로겐화된 지방족 탄화수소, 저급알콜 및 카본산의 에스테르, 저급 니트로알칸, 콜리딘 및 설폴란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인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단계 a)와 단계 b)에서 동일한 불활성 용매를 사용하고, 단계 a)에서 수득된 용액을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포네이트를 분리시키지 않고 단계 b)의 페환반응에 사용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단계 b)를 -70℃ 내지 +175℃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방법.
  13. 불활성 유기용매중에서, 불활성 유기용매에 용해되는 설팜산염을, 아민 또는 포스핀 촉매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 30몰-%까지 과량의 아세토아세틸화제와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폰산(염)을 제조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디케텐을 아세토아세틸화제로서 사용하는 방법.
  15. 제13항에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아세토아세틸화제를 10몰-%까지의 과량으로 사용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할로겐화된 지방족 탄화수소, 지방족 케톤, 지방족 에테르, 저급 지방족 카복실산, 저급 지방족 니트릴, 카본산 및 저급 지방족 카복실산의 N-알킬-치환된 아미드, 지방족 설폭사이드, 및 지방족 설폰중에서 선택된 용매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써 불활성 유기용매로 사용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사용된 불활성 유기용매가 메틸렌 클로라이드, 1,2-디클로로에탄, 아세톤, 빙초산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사용된 아민 또는 포스핀 촉매가 각각의 N 또는 P 원자당 20개까지의 탄소원자를 갖는 친핵성 3급 아민 또는 포스핀인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사용된, 불활성 유기용매에 용해되는 설팜산염이 설팜산의 리튬, NH4또는 1급,2급,3급 또는 4급 암모늄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반응을 -30℃ 내지 +5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방법.
  21.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폰산 또는 그의 염을 불활성의 무기 또는 유기용매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폰산(염)에 대해 20배까지 몰과량의 SO3와 폐환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6-메틸-3,4-디하이드로-1,2,3-옥사티아진 -4-온 2,2-디옥사이드 및 그의 무독성 염을 수득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SO3를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폰산(염)에 대하여 3 내지 10배의 몰과량으로 사용하는 방법.
  23. 제21항 또는 제22하에 있어서, 사용된 불활성 무기용매가 액체 SO2이고, 사용된 불활성 유기용매가 할로겐화된 지방족 탄화수소, 저급알콜 및 카본산의 에스테르, 저급니트로알칸, 콜리딘 및 설폴란중에서 선택한 하나 이상의 용매인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폐환 반응을 -70 내지 +175℃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산형태로 제조된 6-메틸-3,4-디하이드로-1,2,3-옥사티아진 -4-온 2,2-디옥사이드를 할로겐화된 용매, 또는 카본산 또는 유기 카복실산의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황산반응 매질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6. 제1항에 있어서, c) 6-메틸-3,4-디하이드로-1,2,3-옥사티아진-4-온 2,2 -디옥사이드를 염기로 중화시켜 염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단계 c)에 사용된 염기가 K 염기인 방법.
  28. 제13항에 있어서, 생성된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포네이트에 강산을 첨가하여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폰산을 분리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9. 제21항에 있어서, 생성된 생성물을 염기로 중화시켜 6-메틸-3,4-디하이드로 -1,2,3-옥사티아진-4-온 2,2-디옥사이드의 무독성 염을 수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0. 제25항에 있어서, 반응이 수행된 황산을 염기로 중화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1. 제4항에 있어서,할로겐화된 지방족 탄화수소가 C4까지의 할로겐화된 지방족 탄화수소이고, 지방족 케톤이 C3내지 C6의 지방족 케톤이며, 지방족 에테르가 C4또는 C5의 사이클릭 에테르이고, 저급 지방족 카복실산이 C2내지 C6의 저급 지방족 카복실산이며, 저급 지방족 니트릴이 아세토니트릴이고, 카본산 및 저급 지방족 카복실산의 N-알킬-치환된 아미드가 총탄소수 5개까지의 아미드이며, 지방족 설폭사이드가 디메틸 설폭사이드이고, 지방족 설폰이 설폴란인 방법.
  32. 제6항에 있어서, 단계 a)에 사용된 아민 또는 포스핀 촉매가 각각의 N 또는 P 원자단 10개까지의 탄소원자를 갖는 친핵성 3급 아민 또는 포스핀인 방법.
  33. 제6항에 있어서, 단계 a)에 사용된 촉매가 아민인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아민이 트리에틸아민인 방법.
  35. 제8항에 있어서, 단계 a)를 0℃ 내지 125℃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방법.
  36. 제9항에 있어서, 단계 b)에서 SO3를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포네이트에 대하여 4 내지 7배의 몰과량으로 사용하는 방법.
  37. 제10항에 있어서, 할로겐화된 지방족 탄화수소가 C4까지의 할로겐화된 지방족 탄화수소이고, 저급알콜 및 카본산의 에스테르가 메틸 및 에틸 카보네이트이며, 저급 니트로알칸이 C4까지의 저급 니트로알칸이 방법.
  38. 제11항에 있어서, 단계 a)와 단계 b)에서 동일하게 사용된 불활성 용매가 할로겐화된 지방족 탄화수소인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할로겐화된 지방족 탄화수소가 메틸렌 클로라이드인 방법.
  40. 제12항에 있어서, 단계 b)를 -40℃ 내지 +1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방법.
  41. 제16항에 있어서, 할로겐화된 지방족 탄화수소가 C4까지의 할로겐화된 지방족 탄화수소이고, 지방족 케톤이 C3내지 C6의 지방족 케톤이며, 지방족 에테르가 C4또는 C5의 사이클릭 에테르이고, 저급 지방족 카복실산이 C2내지 C6의 저급 지방족 카복실산이며, 저급 지방족 니트릴이 아세토니트릴이고, 카본산 및 저급 지방족 카복실산의 N-알킬-치환된 아미드가 총 탄소수 5개까지의 아미드이며, 지방족 설폭사이드가 디메틸 설폭사이드이고, 지방족 설폰이 설폴란인 방법.
  42. 제18항에 있어서, 사용된 아민 또는 포스핀 촉매가 각각의 N 또는 P 원자당 10개까지의 탄소원자를 갖는 친핵성 3급 아민 또는 포스핀인 방법.
  43. 제18항에 있어서, 사용된 촉매가 아민인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아민이 트리에틸아민인 방법.
  45. 제20항에 있어서, 반응을 0℃ 내지 +25℃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방법.
  46. 제22항에 있어서, SO3를 아세토아세트아미드-N-설폰산(염)에 대하여 4 내지 7배의 몰과량으로 사용하는 방법.
  47. 제23항에 있어서, 할로겐화된 지방족 탄화수소가 C4까지의 할로겐화된 지방족 탄화수소이고, 저급알콜 및 카본산의 에스테르가 메틸 및 에틸 카보네이트이며, 저급 니트로알칸이 C4까지의 저급 니트로알칸인 방법.
  48. 제24항에 있어서, 폐환반응을 -40℃ 내지 +1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방법.
KR1019850001853A 1984-03-22 1985-03-21 6-메틸-3,4-디하이드로-1,2,3-옥사티아진-4-온 2,2-디옥사이드의 제조방법 KR9300008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43410439 DE3410439A1 (de) 1984-03-22 1984-03-22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6-methyl-3,4-dihydro-1,2,3-oxathiazin-4-on-2,2-dioxid und dessen nichttoxischen salzen sowie der dabei als zwischenprodukt(e) auftretenden acetoacetamind-n-sulfonsaeure(salze)
DEP3410439.9 1984-03-22
DE3410439.9 1984-03-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6192A KR850006192A (ko) 1985-10-02
KR930000806B1 true KR930000806B1 (ko) 1993-02-05

Family

ID=6231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1853A KR930000806B1 (ko) 1984-03-22 1985-03-21 6-메틸-3,4-디하이드로-1,2,3-옥사티아진-4-온 2,2-디옥사이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4) US4607100A (ko)
EP (1) EP0155634B1 (ko)
JP (2) JPS60209578A (ko)
KR (1) KR930000806B1 (ko)
AT (1) ATE53579T1 (ko)
AU (2) AU587970B2 (ko)
BR (1) BR8501306A (ko)
CA (1) CA1273923A (ko)
CS (3) CS249549B2 (ko)
DD (3) DD244551A5 (ko)
DE (2) DE3410439A1 (ko)
DK (2) DK170401B1 (ko)
ES (2) ES8606315A1 (ko)
FI (1) FI83076C (ko)
HU (2) HU196976B (ko)
IE (1) IE58342B1 (ko)
IL (1) IL74676A (ko)
MX (1) MX162880B (ko)
NO (3) NO163771C (ko)
SU (1) SU1342418A3 (ko)
ZA (1) ZA8521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10233A1 (de) * 1984-03-21 1985-09-26 Hoechst Ag, 6230 Frankfurt Verfahren zur herstellung kristalliner salze des acetoacetamid-n-sulfofluorids
DE3410440A1 (de) * 1984-03-22 1985-09-26 Hoechst Ag, 6230 Frankfur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6-methyl-3,4-dihydro-1,2,3-oxathiazin-4-on-2,2-dioxid und dessen nichttoxischen salzen
DE3527070A1 (de) * 1985-07-29 1987-01-29 Hoechs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6-methyl-3,4-dihydro-1,2,3-oxathiazin-4-on-2,2-dioxid
DE3531359A1 (de) * 1985-09-03 1987-03-12 Hoechs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6-methyl-3,4-dihydro-1,2,3-oxathiazin-4-on-2,2-dioxid sowie zu dessen reinigung
DE3531358A1 (de) * 1985-09-03 1987-03-12 Hoechs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nicht-toxischen salze des 6-methyl-3,4-dihydro-1,2,3-oxathiazin-4-on-2,2-dioxids
TW223067B (ko) * 1992-03-17 1994-05-01 Hoechst Ag
DE10013259A1 (de) 2000-03-17 2001-09-20 Nutrinova Gmbh Acesulfam-Metall-Komplex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130298A1 (de) 2001-06-22 2003-01-23 Nutrinova Gmbh Antimikrobiell wirksame Acesulfam-Komplex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130504B4 (de) 2001-06-25 2005-02-03 Nutrinova Nutrition Specialties & Food Ingredients Gmbh Xanthin- und Phenazon-Acesulfam-H-Komplexe mit verbessertem Geschmack,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2003026671A (ja) * 2001-07-13 2003-01-29 Daicel Chem Ind Ltd オキサチアジン類の製造方法
CN1336363A (zh) 2001-07-25 2002-02-20 张元宾 乙酰磺胺酸钾的合成制备方法
AU2003304021A1 (en) 2002-11-19 2004-10-18 Nutrinova Nutrition Specialties And Food Ingredients Gmbh Use of sweetener acids for the microbiological stabilisation of foodstuffs, cosmetic products, consumer goods and pharmaceutical products
DE10253773B3 (de) * 2002-11-19 2004-06-24 Nutrinova Nutrition Specialties & Food Ingredients Gmbh Verwendung von Acesulfamsäure zur pH-Wert-Absenkung
US8043647B1 (en) 2003-03-10 2011-10-25 Perry Stephen C Sugar replacement
DE10330025A1 (de) * 2003-07-03 2005-01-20 Nutrinova Nutrition Specialties & Food Ingredient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üßstoffsalzes basierend auf Aspartam und Acesulfam
JP2005263779A (ja) * 2004-02-17 2005-09-29 Daicel Chem Ind Ltd 3,4−ジヒドロ−1,2,3−オキサチアジン−4−オン−2,2−ジオキサイド化合物又はその塩の製造法
CN100410246C (zh) * 2006-09-24 2008-08-13 张家港浩波化学品有限公司 一种合成乙酰磺胺酸钾过程中的水解工艺及该工艺的专用设备
CN100516054C (zh) * 2006-09-24 2009-07-22 张家港浩波化学品有限公司 一种合成乙酰磺胺酸钾过程中的磺化环合工艺及该工艺的专用设备
US8143412B2 (en) 2008-07-08 2012-03-27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Inhibitors of proliferation and activation of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STATs)
EP2382237A1 (en) 2008-12-23 2011-11-02 Schering Corporation Purification of recombinantly produced interferon
EP2407146A1 (en) 2010-07-15 2012-01-18 Nutrinova Nutrition Specialties & Food Ingredients GmbH Use of acesulfame K as a flavour modulator
US9024016B2 (en) 2012-06-08 2015-05-05 Nutrinova Nutrition Specialists & Food Ingredients GmbH Process for producing acesulfame potassium
CN103450114B (zh) * 2013-08-19 2015-09-02 苏州浩波科技股份有限公司 5-氯-6-甲基-1,2,3-氧噁嗪-4(3h)-酮-2,2-二氧化物的合成方法
CN104292181B (zh) * 2014-09-27 2016-10-26 安徽金禾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mvr系统浓缩安赛蜜母液的方法
PT3319948T (pt) 2016-09-21 2021-09-13 Celanese Int Corp Composições de acessulfame de potássio e processos para produzir as mesmas
US10029999B2 (en) 2016-09-21 2018-07-24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Acesulfame potassium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producing same
JP6912582B2 (ja) 2016-09-21 2021-08-04 セラニーズ・インターナショナル・コーポレーション アセスルファムカリウム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DK3317260T3 (da) * 2016-09-21 2020-01-27 Celanese Int Corp Acesulfam-kalium-sammensætninger og fremgangsmåder til fremstilling af disse
BR112022018615A2 (pt) 2020-03-19 2022-12-20 Trizell Ltd Sistema de armazenamento de vírus sensível à temperatura
KR20230012471A (ko) 2020-03-30 2023-01-26 트리젤 엘티디. 암 치료용 조성물 및 방법
WO2022246870A1 (zh) * 2021-05-28 2022-12-01 安徽金禾实业股份有限公司 乙酰乙酰胺-n-磺酸三乙胺盐的制备方法
CN113454056B (zh) * 2021-05-28 2022-11-04 安徽金禾实业股份有限公司 乙酰乙酰胺-n-磺酸三乙胺盐的制备方法
WO2022246865A1 (zh) * 2021-05-28 2022-12-01 安徽金禾实业股份有限公司 乙酰磺胺酸钾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57304B (nl) * 1970-01-10 1978-07-17 Hoechst Ag Werkwijze voor het bereiden van zoetmiddelen, onder toepassing van deze werkwijze verkregen gevormd voortbrengsel, alsmede werkwijze voor het bereiden van zoetsmakende verbindingen.
DE2001017C3 (de) * 1970-01-10 1978-05-18 Hoechst Ag, 6000 Frankfurt 3,4-Dihydro-1,23-oxathiazin-4on-2,2-dioxide,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2228423C3 (de) * 1972-06-10 1982-05-13 Hoechst Ag, 6000 Frankfurt 3,4-Dihydro-1,2,3-oxathiazin-4-on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2434549A1 (de) * 1974-07-18 1976-01-29 Hoechs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suesstoffes 6-methyl-3,4-dihydro-1,2,3-oxathiazin4-on-2,2-dioxid
DE2434564A1 (de) * 1974-07-18 1976-01-29 Hoechs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6-methyl3,4-dihydro-1,2,3-oxathiazin-4-on-2,2-dioxid und seine verwendung als suesstoff
DE2453063A1 (de) * 1974-11-08 1976-05-13 Hoechs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cetoacetamid-n-sulfofluorid
DE3410440A1 (de) * 1984-03-22 1985-09-26 Hoechst Ag, 6230 Frankfur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6-methyl-3,4-dihydro-1,2,3-oxathiazin-4-on-2,2-dioxid und dessen nichttoxischen salzen
DE3429039A1 (de) * 1984-08-07 1986-02-20 Hoechst Ag, 6230 Frankfur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6-methyl-3,4-dihydro-1,2,3-oxathiazin-4-on-2,2-dioxid und dessen nichttoxischen salzen
DE3527070A1 (de) * 1985-07-29 1987-01-29 Hoechs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6-methyl-3,4-dihydro-1,2,3-oxathiazin-4-on-2,2-diox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695629A (en) 1987-09-22
HU196954B (en) 1989-02-28
ES551338A0 (es) 1986-12-16
IL74676A (en) 1988-12-30
EP0155634B1 (de) 1990-06-13
NO854604L (no) 1985-09-23
AU2237288A (en) 1988-12-22
JPH03184948A (ja) 1991-08-12
AU587970B2 (en) 1989-09-07
FI83076B (fi) 1991-02-15
DK129185A (da) 1985-09-23
NO166364C (no) 1991-07-10
EP0155634A2 (de) 1985-09-25
HU196976B (en) 1989-02-28
NO166364B (no) 1991-04-02
DD244551A5 (de) 1987-04-08
NO854605L (no) 1985-09-23
NO163771B (no) 1990-04-09
FI83076C (fi) 1991-05-27
EP0155634A3 (en) 1987-03-04
AU4021085A (en) 1985-09-26
FI851104L (fi) 1985-09-23
ATE53579T1 (de) 1990-06-15
JPH0570627B2 (ko) 1993-10-05
CA1273923A (en) 1990-09-11
BR8501306A (pt) 1985-11-19
ZA852116B (en) 1985-11-27
IE58342B1 (en) 1993-09-08
DD244554A5 (de) 1987-04-08
DD234007A5 (de) 1986-03-19
NO163773C (no) 1990-07-18
DE3578174D1 (de) 1990-07-19
DE3410439A1 (de) 1985-09-26
KR850006192A (ko) 1985-10-02
DK171986B1 (da) 1997-09-08
AU598698B2 (en) 1990-06-28
ES8606315A1 (es) 1986-04-16
FI851104A0 (fi) 1985-03-20
ES8701743A1 (es) 1986-12-16
CS249549B2 (en) 1987-03-12
US5011982A (en) 1991-04-30
HUT36467A (en) 1985-09-30
SU1342418A3 (ru) 1987-09-30
DK42394A (da) 1994-04-13
IE850723L (en) 1985-09-22
CS249540B2 (en) 1987-03-12
MX162880B (es) 1991-07-02
JPS60209578A (ja) 1985-10-22
CS249550B2 (en) 1987-03-12
IL74676A0 (en) 1985-06-30
NO163773B (no) 1990-04-09
US5103046A (en) 1992-04-07
DK129185D0 (da) 1985-03-21
NO851143L (no) 1985-09-23
JPH0647571B2 (ja) 1994-06-22
ES541417A0 (es) 1986-04-16
US4607100A (en) 1986-08-19
NO163771C (no) 1990-07-18
DK170401B1 (da) 1995-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0806B1 (ko) 6-메틸-3,4-디하이드로-1,2,3-옥사티아진-4-온 2,2-디옥사이드의 제조방법
FI81792C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6-metyl-3,4-dihydro-1,2,3-oxatiazin-4-on-2,2-dioxid och rening av densamma.
FI83077C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och rening av giftria salter av 6-metyl-3,4-dihydro-1,2,3-oxatiazin-4-on -2,2-dioxid.
KR920005968B1 (ko) 6-메틸-3, 4-디히드로-1, 2, 3-옥사티아진-4-온 2,2-디옥사이드의 제조방법
KR920008617B1 (ko) 6-메틸-3,4-디하이드로-1,2,3-옥사티아진-4-온2,2-디옥사이드 및 이의 무독성 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