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1858A - 가공물 조립방법 및 그 장치 및 자동차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가공물 조립방법 및 그 장치 및 자동차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1858A
KR920011858A KR1019910025099A KR910025099A KR920011858A KR 920011858 A KR920011858 A KR 920011858A KR 1019910025099 A KR1019910025099 A KR 1019910025099A KR 910025099 A KR910025099 A KR 910025099A KR 920011858 A KR920011858 A KR 920011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vehicle body
assembling
trolley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5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3573B1 (ko
Inventor
마사미찌 꼬가이
노부오 끼하라
나오유끼 이께미즈
마사까쓰 오오쓰기
요시까즈 후지오까
세이끼찌 야마모또
마사히로 오오스미
Original Assignee
와다 요시히로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408549A external-priority patent/JP300436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408551A external-priority patent/JP300436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009446A external-priority patent/JP301446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00944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244326A/ja
Priority claimed from JP3038624A external-priority patent/JP301447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059951A external-priority patent/JP3020294B2/ja
Application filed by 와다 요시히로,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다 요시히로
Publication of KR920011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5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4Joining preassembled modular units composed of sub-units performing diverse functions, e.g. engine and bonn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28Progressively advancing of work assembly station or assembled portion of 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28Progressively advancing of work assembly station or assembled portion of work
    • Y10T29/49829Advancing work to successive stations [i.e., assembly l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28Progressively advancing of work assembly station or assembled portion of work
    • Y10T29/49831Advancing s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539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including work convey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539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including work conveyor
    • Y10T29/5354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including work conveyor including transporting tra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539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including work conveyor
    • Y10T29/5354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including work conveyor including transporting track
    • Y10T29/53548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including work conveyor including transporting track and work carrying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공물 조립방법 및 그 장치 및 자동차 조립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자동차의 차체조립라인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2도는 도장후의 자동차 차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도장후에 분리된 상부 차체와 바닥부재와를 나타내는 사시도.

Claims (74)

  1. 가공물에 대해서 부품의 조립을 행하는 가공물 조립라인이 부설된 안내레일(3)과 전기한 가공물이 탑재되고 전기한 안내레일(3)에 안내되어 주행하는 대차(5)와를 구비하고 상기한 대차에는 상기한 가공물에 대한 부품의 조립을 행하는 작업로보트(8A)(8B) 그 대차에 탑재된 전기한 가공물을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 과가 설치되어 전기한 대차(5)의 주행중에 전기한 작업로보트(8A)(8B)를 사용하여 미리 전기한 대차에 탑재되어 있는 전기한 부품을 전기한 가공물에 대해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의 조립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대차(5)에는 상기한 가공물과 함께 미리 상기한 대차에 복수종류의 부품이 탑재되어서 그 대차의 주행중에 상기한 작업 로보트(8A)(8B)를 사용해서 복수종류의 부품의 조립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대차(5)에는 상기한 가공물과 함께 복수종류의 공구가 탑재되어서 상기한 작업로보트(8A)(8B)는 가공물에 조립해야할 부품에 따라서 상기한 공구의 교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가공물 조립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대차(5)에는 전기한 작업로보트(8A)(8B)를 제어하는 제어장치(10A)(10B)가 설치되어서 그 제어장치(10A)(10B)에는 전기한 작업로보트(8A)(8B)의 작업데이타가 격납되고 이 격납되는 작업데이타에 기초해서 상기한 작업로보트(8A)(8B)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의 조립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가공물 조립라인이 복수종류의 가공물에 대해 동시에 부품의 조립을 행하는 혼합조립라인으로 하고, 상기한 대차(5)가 주행을 개시하기전에 상기한 제어장치(10A)(10B)에 대해 가공물의 종류에 따른 전기한 작업데이타의 입력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의 조립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공물이 자동차용 차체로(20)으로 되고, 그 자동차용 차체(20)은 대차(5)에 탑재되는 전단계에서 바닥 및 문이 떼어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의 조립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작업로보트(8A)는 상기한 자동차용차체(20)의 캐빈내에 위치하는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부품이 구로밋 와이어하니스, 화스너, 손잡이 등의 소형물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가공물이 자동차용 차체(20)이고, 그 자동차차체(20)은 전기한 대차(5)에 탑재되는 전단계에서 엔진덮개(22) 및 덮개 패널이 떼어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작업로보트(8B)는 상기한 자동차 차체(20)의 엔진실을 전방으로부터 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한 부품이 그로밋, 와이어하니스, 화스너 손잡이등의 소형물 부품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방법.
  12. 가공물에 대해 부품의 조립을 행하는 가공물 조립라인에 부설된 안내레일(3)과 전기한 가공물이 탑재되고, 전기한 안내레일(3)에 안내되어서 주행하는 대차(5)와 그 대차(5)에 설치된 작업로보트(8A)(8B)와 상기한 대차(5)상에 설치되고, 그 대차(5)에 탑재된 상기한 가공물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수단과 상기한 대차(5)에 설치되고 상기한 대차(5)의 주행중에 전기한 작업로보트(8A)(8B)을 제어해서 미리 전기한 대차(5)에 탑재되어 있는 전기한 부품을 전기한 가공물에 대해 조립시키는 제어수단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전기한 작업로보트(8A)(8B)에 대해 미리 전기한 대차(5)에 탑재되어 있는 복수의 종류의 부품의 조립을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상기한 대차(5)의 주행중에 상기한 작업로보트에 대해 미리 전기한 대차(5)에 탑재되어 있는 복수종류의 공구중에서 전기한 가공물에 조립해야할 부품에 따른 공구의 교환을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가공물이 자동차용 차체(20)이고, 그 자동차차체(20)은 상기한 대차(5)에 탑재되기 전단계에 있어서 바닥부재 및 문부재가 떼어내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작업로보트(8B)가 상기한 자동차용차체(20)의 캐빈내에 위치하는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부품이 그로밋, 와이어하니스, 화스너, 손잡이 등의 소형물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가공물이 자동차용 차체(20)이고, 그 자동차용 차체(20)은 전기한 대차(5)에 탑재되기 전단계에서 엔진덮개(22) 및 덮개패널이 떼어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작업로보트(8B)은 전기한 자동차용 차체(20)의 엔진실을 전방으로부터 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부품이 그로밋 와이어하니스, 화스너 손잡이 등의 소형물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21. 제12항에 있어서, 가공물이 자동차용 차체(20)이며, 그 자동차용 차체(20)은 전기한 대차(5)에 탑재되기전단계에서 바닥부재, 문, 엔진덮개 및 덮개패널이 떼어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작업로보트가 1대의 전기한 대차마다에 2대 설치되어서 제1의 작업로보트(8A)가 전기한 자동차차체(20)의 캐빈내에 위치하는 부위에 설치되고, 다른 작업로보트(8B)이 전기한 자동차용 차체(20)의 엔진실을 전방으로부터 향하는 위치에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부품이 그로밋, 와이어하니스, 화스너 손잡이 등의 소형물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이 전기한 대차(5)의 주행중에 전기한 작업로보트(8A)(8B)에 대해 미리 전기한 대차(5)에 탑재되어 있는 복수 종류의 공구로부터 자동차용 차체(20)에 조립해야할 부품에 따른 공구의 교환을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25. 제12항에 있어서, 가공물 조립라인이 복수종류의 가공물에 대해 동시에 부품의 조립을 행하는 혼합조립라인이고, 다시 또 전기한 대차(5)에 설치되고, 전기한 재어수단에 접속된 수신장치와 전기한 가공물 조립라인에 설치되고, 전기한 수신장치에 향해서 전기한 가공물에 관한 작업데이타를 공급하는 송수신수단과를 구비하고 전기한 대차(5)가 주행을 개시하기전에 전기한 수신장치에 대해 가공물의 종류에 따른 전기한 작업데이타의 공급이 행해져서 그 작업데이타는 전기한 제어수단에 포함되는 기억장치에 격납되어서 이 격납된 작업데이타에 기초해서 전기한 작업로보트(8A)(8B)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26. 가공물에 대해 부품의 조립을 행하는 가공물 조립라인에 환상으로 부설된 안내레일(3)과 전기한 가공물이 탑재되고 전기한 안내레일(3)에 안내되어서 주행하는 대차(5)와 그 대차에(5)에 설치된 제1작업로보트(8A)와 전기한 대차(5)에 설치되고, 그 대차(5)에 탑재된 전기한 가공물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위치결정 수단과 전기한 대차(5)에 설치되고, 전기한 대차(5)의 주행과정에 있어서 제기한 제1작업로보트(8A)를 제어해서 미리 전기한 대차(5)에 탑재되어 있는 전기한 제1부품을 전기한 가공물에 대해 조립시키는 제어수단과 전기한 안내레일의 도중에 설치되고, 전기한 대차상의 가공물에 대해 제2부품의 조립을 행하는 부품조립스테이션과 그 부품 조립스테이션에 대해 전기한 제2부품을 공급하는 부품 공급라인과 전기한 부품조립스테이션에 설치된 제2작업로보트(8B)와를 구비하고, 전기한 부품조립스테이션에 도착한 전기한 대차상의 가공물에 대해 전기한 제2작업로보트(8B)를 사용해서 전기한 제2부품을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가공물이 자동차용 차체(20))이며, 자동차용차체(20)은 그 대차(5)에 탑재되기 전단계에서 바닥부재 및 문이 떼어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한 작업로보트(8A)는 상기한 자동차용차체(20)의 캐빈내에 위치하는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제1부품이 그로밋, 와이어하니스, 화스너, 손잡이 등의 소형물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30. 제26항에 있어서, 가공물이 자동차용 차체(20)이며 그 자동차용차체(20)은 전기한 대차에 탑재괴기 전단계에서 엔진덮개(22) 및 덮개 패널이 떼어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작업로보트(3B)가 전기한 자동차용 차체(20)의 엔진실을 전방으로부터 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제1부품이 그로밋, 와이어하니스, 화스너, 손잡이 등의 소형물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33. 제26항에 있어서, 자동차용 차체(20)은 전기한 대차(5)에 탑재되기 전단계에서 바닥부재, 문, 엔진덮개(22) 및 덮개패널이 떼어내져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작업로보트는 한 대의 대차 마다에 2대 설치되어서, 제1의 작업로보트(8A)가 전기한 자동차용차체(20)의 캐빈내에 위치하는 부위에 설치되고, 다른 작업로보트(8B)가 전기한 자동차용차체(20)의 엔진실을 전면으로부터 향하는 위치에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제1부품이 그로밋, 와이어하니스, 화스너, 손잡이 등의 소형물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작업로보트(8A)(8B)에 대해, 미리 전기한 대차(5)에 탑재되어 있는 복수종류의 공구중에서 자동차용차체에 부착시킬 부품에 따른 공구의 교환을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37. 제26항에 있어서, 가공물이 자동차용 차체(20)이며, 전기한 제2부품이 후면범퍼(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38. 제26항에 있어서, 가공물이 자동차용 차체(20)이며, 전기한 제2부품이 후면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39. 제26항에 있어서, 가공물이 자동차용 차체(20)이며, 전기한 제2부품이 트렁크뚜껑(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40. 제26항에 있어서, 가공물이 자동차용 차체(20)이며 전기한 제2부품이 전면팬더(2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41. 제26항에 있어서, 가공물이 차체(20)이며, 전기한 제2부품이 게기판(1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42. 제26항에 있어서, 가공물이 자동차용 차체(20)이며 전기한 제2부품이 좌석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43. 제26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이 전기한 대차(5)의 주행과정에 있어서, 그 종말기에 전기한 제1작업로보트(8A)를 제어해서 전기한 가공물에 조립된 부품에 대해 그 체결볼트의 조임을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44. 가공물에 대해 부품의 조립을 행하는 가공물 조립라인에 환상으로 부설된 제1의 안내레일과 그 제1의 안내레일에 인접해서 배치되고, 전기한 가공물 조립라인에 환상으로 부설된 제2의 안내레일 과를 갖고, 그 가공물 조립라인에 있어서의 가공물 반송경로가 전기한 가공물이 탑재되고, 전기한 제1의 안내레일에 안내되어서 주행하는 제1대차(5)와 전기한 가공물이 탑재되고, 전기한 제2의 안내레일에 안내되어서 주행하는 제2의 대차(4)와 전기한 제1의 대차(5)에 탑재되어 있는 가공물을 달아올려서 ,그 가공물을 전기한 제2의 대차(4)로 이송탑재시키는제1의 행어콘베이어(H1)과 전기한 제2의 대차(4)에 탑재되어 있는 가공물을 달아올려서 그 가공물을 전기한 제1의 대차(5)에 이송탑재시키는 제2의 행어콘베이어(H2)와로 구성되고, 그 가공물의 반송순서는 가공물의 반송방향에 향해서 순차로 상기한 제1의 대차(5)와 상기한 제1의 행어콘베이이(H1)전기한 제2의 대차(4) 전기한 제2의행어콘베이어(H2) 상기한 제 1의 대차(5) 하고, 다시 또, 상기한 제1대차(5)에 설치된 제1작업로보트(8A)와전기한 제1의 대차(5)에 설치되고 그 대차(5)에 탑재된 전기한 가공물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위치결정 수단과 전기한 제1대차(5)에 설치되고, 그 제1대차(5)의 주행과정에 있어서 전기한 제1작업로보트(8A)를 제어해서 미리 제1대차(5)에 탑재되어 있는 전기한 제1부품을 전기한 가공물에 대해 조립시키는 제어수단과, 전기한 제2의 대차(4)에 설치되고, 그 제2의 대차(4)에 탑재된 가공물의 자세를 변경하는 자세변경 수단과 전기한 제2의 안내레일에 설치되고, 전기한 대차(4)상의 가공물에 대해서 제2부품의 조립을 행하는 부품조립스테이션과 부품조립스테이션에 대해 전기한 제2부품을 공급하는 부품공급 라인과 전기한 부품조립스테이션에 설치된 제2작업로보트와를 구비하고, 전기한 부품조립스테이션에 있어서 전기한 제2부품의 조립작업에 바람직한 자세로 된 전기한 가공물에 대해서 전기한 제2작업로보트를 사용해서 전기한 제2부품의 조립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다시 또 전기한 제2의 대차(4)에 설치되고, 그 제2대차(4)에 탑재된 가공물의 높이위치를 변경하는 높이위치 변경수단을 구비하고, 전기한 부품 조립스테이션에 있어서 제2부품의 조립작업에 바람직한 자세 및 바람직한 높이위치가 된 전기한 가공물에 대해 전기한 제2작업로보트를 사용해서 전기한 제2부품의 조립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46. 제44항에 있어서, 가공물이 자동차차체(20)이며 그 자동차차체(20)은 전기한 제1대차(5)에 탑재되는 전단계에서 바닥부재 및 문이 떼어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47. 제46항에 있어서, 제1로보트(8A)는 전기한 자동차용 차체(20)의 캐빈내에 위치하는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제1부품이 그로밋, 와이어하니스, 화스너 손잡이 등의 소형물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49. 제44항에 있어서, 가공물이 자동차용차체(20)이며, 그 자동차용차체(20)은 전기한 제1대차(5)에 탑재되는 전단계에서 엔진덮개(22) 및 덮개패널이 떼어내져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50. 제49항에 있어서, 제2작업로보트(8B)는 전기한 자동차용차체(20)의 엔진실을 전방으로부터 향하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51. 제50항에 있어서, 제1부품이 그로밋, 와이어하니스, 화스너, 손잡이 등의 소형물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52. 제51항에 있어서, 가공물이 자동차용 차체(20)이며 그 자동차용차체(20)은 전기한 제1대차(5)에 탑재되기 전단계에서 바닥부재, 문 엔진덮개 및 덮개패널이 떼어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53. 제52항에 있어서, 제1작업로보트(8A)는 1대의 전기한 대차마다에 2대 설치되어서 제1의 작업로보트(8A)가 전기한 자동차용차체(20)의 캐빈내에 위치하는 부위에 설치되고, 다른 작업로보트(8B)가 전기한 자동차용차체(20)의 엔진실을 전방으로 부터 향하는 위치에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54. 제53항에 있어서, 제1부품이 그로밋, 와이어하니스, 화스너, 손잡이 등의 소형물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55. 제54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이 전기한 제1작업로보트(8A)에 대해 미리 전기한 대차에 탑재되어 있는 복수 종류의 공구중에서 자동차용 차체에 부착해야할 제거한 제1부품에 따른 공구의 교환을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56. 제44항에 있어서, 제2부품이 전기한 자동차용 차체(20)에 있어서의 캐빈에 장착되는 내장장치(130)로 되고, 그 내장 장치는 상무밀폐제(131)과 필터트림부재를 일체화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57. 제44항에 있어서, 가공물이 자동차용 차체(20)이며, 전기한 제2부품이 좌석밸트(9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58. 제44항에 있어서, 가공물이 자동차용 차체(20)이며, 전기한 제2부품이 루프몰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59. 제44항에 있어서, 가공물이 자동차용 차체(20)이며, 제2부품이 창 유리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60. 제44항에 있어서, 가공물이 자동차용차체(20)이며 제2부품이 계기판(1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61. 제44항에 있어서, 가공물이 자동차용 차체(20)이며 전기한 제2부품이 좌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62. 제44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이 전기한 제1의 대차(5)가 전기한 가공물을 2회째 탑재시킨 상태에 있어서, 그 주행중에 전기한 제1작업로보트(8A)를 제어해서 전기한 가공물에 조립된 부품에 대해 그 체결볼트의 나사조임을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63. 도장후의 자동차차체(20)을 상부 차체(24)와 적어도 바닥 부재로 된 하부 차체(25)로 분리시키는 제1공정과 그 상부차체(24)에 대해 그 내장부품을 조립하는 제2공정과 전기한 하부차체(25)에 대해 좌석등의 내장부품을 조립하는 제3공정과 상기한 제2공정후의 상부 차체(24)와 상기한 제3공정후의 하부차체(25)와를 결합시켜서 자동차 차체(20)을 형성하는 제4공정과 그 제4공정이후의 자동차 차체(20)에 대해 전기한 바닥부재의 하면측에 배치되는 하부부품을 조립하는 제5공정과를 갖는 자동차 조립방법.
  64. 제63항에 있어서, 하부부품이 엔진을 포함하는 구동계통 부품과 배기계통부품과 서스펜션과로 구성되는 조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방법.
  65. 제64항에 있어서, 제2공정에 있어서 전기한 상부차체(24)에 대해 우선 와이어 하니스, 그로밋, 화스너 손잡이 등의 소형물 부품을 조립하고, 그후 캐빈내트림부제 및 계기판을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방법.
  66. 제63항에 있어서, 제3공정에 있어서 하부차체(25)에 대해 우선 후로 아메트를 조립하고 그후 좌석을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방법.
  67. 제63항에 있어서, 다시 또 제5공정후에 전기한 자동차용 차체(20)에 대해 범퍼(200)을 조립하는 제6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방법.
  68. 제63항에 있어서, 다시 또 제5공정 이후에 전기한 자동차용 차체(20)에 대해 문을 조립하는 제6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조립방법.
  69. 제63항에 있어서, 다시 또 제5공정 이후에 전기한 자동차용차체(20)에 대해 엔진덮개(22)를 조립하는 제6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방법.
  70. 제63항에 있어서, 제5공정이후에 전기한 자동차용차체(20)에 대해 전면팬더(26)을 조립하는 제6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방법.
  71. 제63항에 있어서, 다시 또 전기한 제5공정이후에 전기한 자동차용 차체(20)에 대해 트렁크 뚜껑(23)을 조립하는 제6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방법.
  72. 바닥부재를 떼어낸 도장후의 자동차용차체(20)을 그 지붕을 아래로 하고, 바닥부재 열린곳을 위로한 반전자세의 상태에서 스테이션에 반입하는 반입공정과 그 스테이션에 있어서, 반전자세에 있는 전기한 자동차차체(20)의 캐빈내에 그 위쪽으로부터 전기한 바닥부재 열린곳을 통해서 상부 밀폐부와 필러트림과를 일체화한 내장장치(130)을 삽입하는 장치 장착공정과를 갖고, 전기한 내장장치(130)은 전기한 자동차용 차체의 캐빈내로 삽입되는때에 전기한 필러트림의 필라부 선단이 그 내장장치의 중앙을 향해서 강제적으로 경사진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방법.
  73. 제72항에 있어서, 스테이션에 내장장치 유지장치(150)이 배치되고, 그 내장장치 유지장치(150)은 전기한 내장장치(130)의 중앙부를 파지해서 그 내장장치(130)을 전기한 자동차용차체(20)의 캐빈내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방법.
  74. 제73항에 있어서, 내장장치(130)은 그 필러트림의 필러부 선단이 대각선상에 있는 필러부 끼리 와이어로 결합되고, 전기한 내장장치 유지장치(150)이 전기한 내장장치(130)의 중앙부를 파지하는 때에 함께 와이어를 밀어내려서 전기한 필러트림의 필러부 선단을 그 내장장치(130)의 중앙으로 향해 강제적으로 경사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되는 것임.
KR1019910025099A 1990-12-28 1991-12-28 가공물 조립방법 및 그 장치 KR9700035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08549A JP3004366B2 (ja) 1990-12-28 1990-12-28 ワークの組立方法及びその実施に使用される装置
JP90-408551 1990-12-28
JP90-408549 1990-12-28
JP2408551A JP3004367B2 (ja) 1990-12-28 1990-12-28 ワークの加工または組立方法
JP91-009448 1991-01-30
JP3009446A JP3014464B2 (ja) 1991-01-30 1991-01-30 ワークの加工又は組立方法
JP91-009446 1991-01-30
JP3009448A JPH04244326A (ja) 1991-01-30 1991-01-30 自動車内装部材の組付方法
JP91-038624 1991-03-05
JP3038624A JP3014474B2 (ja) 1991-03-05 1991-03-05 ワークの組立方法及びその実施に使用される装置
JP3059951A JP3020294B2 (ja) 1991-03-25 1991-03-25 自動車の組立方法
JP91-059951 1991-03-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858A true KR920011858A (ko) 1992-07-25
KR970003573B1 KR970003573B1 (ko) 1997-03-20

Family

ID=27548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5099A KR970003573B1 (ko) 1990-12-28 1991-12-28 가공물 조립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145180A (ko)
EP (1) EP0492673B1 (ko)
KR (1) KR970003573B1 (ko)
DE (1) DE69120784T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8736A (ko) * 2000-12-30 2002-07-12 이계안 차량 조립라인
KR100435667B1 (ko) * 2001-07-13 2004-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 아우터 어셈블리 시스템
KR100757644B1 (ko) * 2005-12-02 2007-09-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운전석 에어백의 조립라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29469B1 (en) * 1992-12-04 1998-03-1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utomatic assembly apparatus
JP3765509B2 (ja) * 1996-12-13 2006-04-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組立ライン及び自動車搬送方法
EP1008510B1 (en) 1998-12-11 2013-03-06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Production of vehicles
CZ20013491A3 (cs) * 1999-03-31 2002-05-15 Siemens Aktiengesellschaft Dynamické zkuąební zařízení pro vozidlo, zkuąebna a výrobní linka s dynamickým zkuąebním zařízením a jejich vyuľití pro přezkuąování bezpečnostního systému příčné stability ve vozidle
DE19929443A1 (de) 1999-06-26 2001-01-04 Thyssenkrupp Ind Ag Bearbeitungsstation in Fertigungsstraßen für Kfz
US6360421B1 (en) 1999-07-16 2002-03-26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Automotive manufacturing system for frame component
US6564440B2 (en) * 2000-02-07 2003-05-20 Progressive Tool & Industries Co. Flexible automotive assembly workstation and method
US6557690B2 (en) 2000-02-07 2003-05-06 Progessive Tool & Industries Co. Interchangeable nests for supporting components on a transport system
US6554119B2 (en) * 2000-02-07 2003-04-29 Progressive Tool & Industries Co. Flexible automotive assembly line and method
US20040055147A1 (en) * 2002-09-24 2004-03-25 Abid Ghuman Process line for a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US20040055131A1 (en) * 2002-09-24 2004-03-25 Abid Ghuman Method of assembling vehicles in a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US20040055129A1 (en) * 2002-09-24 2004-03-25 Abid Ghuman Method of engineering a flexible process line
US6918577B2 (en) * 2002-09-24 2005-07-19 Ford Motor Company Tooling plate for a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US20040056497A1 (en) * 2002-09-24 2004-03-25 Abid Ghuman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US7178227B2 (en) 2002-09-24 2007-02-20 Ford Motor Company Workpiece presenter for a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US6899377B2 (en) * 2002-09-24 2005-05-31 Ford Motor Company Vehicle body
US20040056069A1 (en) * 2002-09-24 2004-03-25 Abid Ghuman Method of engineering a process line for a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US20050223532A1 (en) * 2004-04-08 2005-10-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of designing a vehicle closure assembly line
JP4092324B2 (ja) * 2004-10-28 2008-05-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車体移載方法及び移載装置
JP4764070B2 (ja) * 2005-05-24 2011-08-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作業ステーションの安全システム
AU2007239056A1 (en) 2006-04-14 2007-10-25 Genesistp,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a structure
US20080000068A1 (en) * 2006-06-28 2008-01-03 Savoy Mark A Adjustment of work pallets for vehicle body assembly lines
KR20090105759A (ko) 2008-04-03 2009-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플로워 생산시스템
US8239063B2 (en) * 2008-07-29 2012-08-07 Fanuc Robotics America, Inc. Servo motor monitoring and hood/deck exchange to enhance the interior coating process
MX2011010843A (es) * 2009-04-15 2012-01-27 Comau Inc Ensamble de carroceria de vehiculo y sistema de secuencia.
PL3000697T3 (pl) * 2009-12-15 2018-04-30 Comau Llc Urządzenie i sposób do unieruchamiania zespołu karoserii pojazdu
IT1397438B1 (it) 2009-12-30 2013-01-10 Comau Spa Installazione per l'assemblaggio di parti meccaniche su scocche di autoveicoli
JP2015043268A (ja) * 2013-08-26 2015-03-05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18109934A1 (de) * 2018-04-25 2019-10-31 Eisenmann Se Behandlungsanlage zum Behandeln von Werkstücken
CN111515582A (zh) * 2019-02-01 2020-08-11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加工装置和加工方法
US11352209B2 (en) * 2019-06-28 2022-06-0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Rear suspension member transfer assemblies and methods
DE102019130619A1 (de) * 2019-11-13 2021-05-2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zeugkarosseriefördereinrichtung
US20220347831A1 (en) * 2021-04-30 2022-11-03 Divergent Technologies, Inc. Mobile parts tabl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047A (en) * 1980-06-18 1982-01-16 Hitachi Ltd Working or assembling equipment
JPS6033173A (ja) * 1983-07-29 1985-02-20 Fuji Heavy Ind Ltd 作業用台車
JPS60252077A (ja) * 1984-05-26 1985-12-12 Mazda Motor Corp 車体組立システム
JPS61111863A (ja) * 1984-11-05 1986-05-29 Nissan Motor Co Ltd ロボットによる組立装置
GB2168934B (en) * 1984-12-19 1988-07-27 Honda Motor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parts to both sides of a main body
US4781519A (en) * 1986-02-19 1988-11-01 Monfort Robotics, Inc. End effector tools
US4730870A (en) * 1986-03-14 1988-03-15 American Motors Corporation Modular vehicle construction and assembly method
JP2685188B2 (ja) * 1987-08-28 1997-12-03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組立ラインの搬送装置
US4977667A (en) * 1988-07-29 1990-12-18 Mazda Motor Corporation Vehicle suspension assembly system
DE9004814U1 (ko) * 1990-04-27 1990-08-16 Kever, Helmut, 8904 Friedberg, D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8736A (ko) * 2000-12-30 2002-07-12 이계안 차량 조립라인
KR100435667B1 (ko) * 2001-07-13 2004-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 아우터 어셈블리 시스템
KR100757644B1 (ko) * 2005-12-02 2007-09-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운전석 에어백의 조립라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573B1 (ko) 1997-03-20
DE69120784T2 (de) 1996-12-05
DE69120784D1 (de) 1996-08-14
EP0492673A1 (en) 1992-07-01
US6145180A (en) 2000-11-14
EP0492673B1 (en) 1996-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11858A (ko) 가공물 조립방법 및 그 장치 및 자동차 조립방법
CN1059633C (zh) 装配车身部件的方法和设备
CN105813934B (zh) 用于在生产时传送工件的传送车辆、生产机组和生产方法
DE3670808D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auen des wagenkastens eines kraftfahrzeuges.
CA2054856A1 (en) System for Assembling Motorcar Vehicle Body
EP1403176B1 (en) A method of engineering a process line for a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US6865795B2 (en) Method of installing a vehicle roof assembly
JPH05105135A (ja) 自動車ボデイの搬送装置及び自動車の組立方法
JP3014474B2 (ja) ワークの組立方法及びその実施に使用される装置
JP2947619B2 (ja) ワークの加工または組立方法
JP3004366B2 (ja) ワークの組立方法及びその実施に使用される装置
KR101627457B1 (ko) 차체공장의 사이드판넬 조립용 다차종 혼류 시스템
JP2966167B2 (ja) 自動車の車体組立方法
JP2907584B2 (ja) 自動車の組立方法
JPS63235174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KR960007332B1 (ko) 자동차의 제조방법
JPS63265780A (ja) 自動車組立方法
JPH05116656A (ja) 自動車の製造方法
JPH05105134A (ja) 自動車の組立方法
JPS6346976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H0578469B2 (ko)
KR20010103301A (ko) 다축 로봇용 이송 유니트
JPS63235177A (ja) リヤパ−セルパネルの取付構造
JP4723625B2 (ja) ワーク組立設備
GB2347661A (en) Electric convey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