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339B1 -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필름을 옮기는 장치 - Google Patents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필름을 옮기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339B1
KR920008339B1 KR1019880005559A KR880005559A KR920008339B1 KR 920008339 B1 KR920008339 B1 KR 920008339B1 KR 1019880005559 A KR1019880005559 A KR 1019880005559A KR 880005559 A KR880005559 A KR 880005559A KR 920008339 B1 KR920008339 B1 KR 920008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rod
tape
support member
adhesiv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5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7156A (ko
Inventor
만누쉬 크리스토프
하르프 한스-위르겐
반 스비텐 로이
Original Assignee
펠리칸 악티엔게젤샤프트
클라우스 빈홀트, 페터 폴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33919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2000833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펠리칸 악티엔게젤샤프트, 클라우스 빈홀트, 페터 폴커 filed Critical 펠리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890017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7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65H35/06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from or with blade, e.g. shear-blade,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B65H37/005Hand-held apparatus
    • B65H37/007Applicators for applying coatings, e.g. correction, colour or adhesive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88Work traversing type and/or means applying work to wall or static structure
    • Y10T156/1795Implement carried web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8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handle or handgri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9Delaminating means
    • Y10T156/1978Delaminating bending means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 Wrappers (AREA)
  • Manipulator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Wire Bonding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Winding Of Web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Paper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필름을 옮기는 장치
제1도는 핸드롤러등에 삽입될 교환가능한 카트리지의 형태로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제1도의 카트리지에서 그 측면덮개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3a도 내지 제3e도는 본 발명에 따라서 기판에 필름을 접착시키기 위한 단계들을 일련의 연속된 단계로 나타낸 도면들.
제4a도 내지 제4d도는 접착봉상의 접착단부의 여러 가지 형상을 나타낸 도면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부재의 전단부 및 하우징에 고정된 멈춤쇠의 작동원리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트리지 2a, 2b : 측면덮개
4 : 접착부재 5 : 캐리어 테이프
5a : 필름 5 : 스프링
7 : 돌출부 8 : 멈춤쇠
10 : 공급릴 11 : 감김릴
12 : 지지레버 13 : 베이스
14 : 접착봉 14' : 접착단부
15 : 리셉터클 16 : 스프링 가이드
17 : 기판 18 : 후방접촉단부
19 : 만입부 21 : 후단부
22, 23 : 측면 24 : 상단부
25 : 앞면 25, 27 : 개구부
28 :고정부재 29 : 분리단부
30 : 윗면
본 발명은 접착필름과 같은 필름을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종이와 같은 기판에 옮기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접착성있는 얇고 긴 필름을 접착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기판에 필름을 옮기는 장치는, 사무실 등에서 예를 들어 한 장의 종이를 다른 종이의 어떤 곳에 부착시키거나 또는 한 페이지를 다른 페이지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접착성 필름이나 테이프를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종이로 옮겨 부착시키는데 사용된다. 이와같은 목적으로는 핸드 롤러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접착층을 깨끗하고 신속하게 그리고 정확한 위치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핸드 롤러는, 사용되지 않을 때 급속히 먼지가 끼게 되는 경향이 있으며, 또 롤러상에서 접착제의 건조에 의해 생기는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핸드롤러형태의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는, 감김릴(테이크업릴 또는 사용된 테이프릴)과 공급릴이 하우징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장치에서 압력을 가하는 부재는, 하우징내에서 회전할 수 있고 또 스프링에 의해서 처음 위치로부터 멀리 밀려지도록 구성되어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한 레버이다. 이 레버의 일단부에는 일반적으로, 하우징에서 돌출하여 있는 다소 넓은 회전지점이 제공되어 있는데, 이러한 회전지정상에는 플라스틱 슬리이브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서 공급릴로부터 공급되는 테이프가 하우징안으로 다시 안내되어 감김릴상에 감기어진다. 그와 같은 장치에서 감김릴은 일반적으로 마찰 휘일(클러치)에 의해서 치차륜으로 구동된다.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레버 형태로된 접착부재는, 하우징내부에서 그 회전지점을 경유하여 하우징의 다른 측면으로 뻗어있으며, 여기에서 정지부재에 의히여 공급릴상에 있는 치차륜의 톱니와 결합되므로, 핸드롤러가 그 출발지점(정지지점)에 있을 때 공급릴의 회전은 방지된다. 접착부재의 단부에 있는 회전지점을 지지레버 너머로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서, 이 레버가 스프링에 반하여 하우징쪽으로(즉, 윗쪽으로) 눌리어질 때 회전지점의 연장된 부분이 하우징에 닿을 때 까지 스프링이 신장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지의 장치는 접착부재의 단부에서 압력을 가하는 부분의 반경이 아주 커서, 실제 사용에 있어서 기판(종이와 같은)에 접착되는 필름의 조악한 분리선이 생기게 된다는 불리한 점을 가지고 있으며, 더욱이 이러한 장치를 사용하여 기판상의 정확히 어느 지점까지 접착필름이 실제로 접착되는가를 사용자가 확실히 알기는 매우 어렵다. 더구나, 접착부재로서 그리고 동시에 공급릴이 정지 아암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레버의 가변위치는, 공급릴의 해제가 그러한 장치의 다소 큰 운동에 의해 수행되므로 비교적 숙련되지 않은 사람이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그 장치를 안내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준다는 불리한 점이 생긴다. 만일 이와 같은 롤러가 어느 정도 경사진 각도로 유지된다면, 작은 경사라고 보상될 수 없으며 또 기판상에서의 바람직한 필름접착이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숙련자에 의해 어려움없이 수동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한 일반적인 형태의 장치를 개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하면서도 제조비가 저렴한 장치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판에 접착되는 필름이 보다 양호한 분리선을 가지도록 작동하는 장치를 얻는 것이다. 그외의 목적은 이후에 설명한다.
상기한 여러 가지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서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기판으로 필름을 옮기는 장치에 의해 성취되는데, 이러한 장치는 동일한 평면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테이프 공급릴 및 테이프 감김릴을 포함하고 있는 카트리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공급릴로부터 감김릴로 테이프가 전달된다. 또한, 카트리지에는 단단한 접착봉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는 지지부재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접착봉의 다른 단부는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여서, 이를 통해 공급릴로부터 감김릴로 전달되는 테이프와 접촉한다. 이러한 단단한 접착봉은, 기판에 대해서 테이프를 눌어주는 (필름을 수용하고 있는 테이프의 측면이 기판에 마주하여)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필름이 기판으로 전달된다. 본 장치의 하방으로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탄력성있게 구부려지는 지지부재에 의해서 단단한 접착봉이 따라서 휘어질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의 한 특징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단단한 접착봉의 휘어짐을 제한하기 위한 고정된 멈춤쇠 수단이 하우징에 마련되어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접착봉이 캐리어 테이프에 접하는 측면상에 끝이 둥글게된 접착단부를 가지며, 이 접착 단부로부터 어느정도 거리를 두고 돌출부가 위치하고 있어서, 접착봉이 휘어질 때 이 접착봉의 이동을 제한하기위해 돌출부가 하우징상에 고정된 멈춤쇠에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공지기술의 장치와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장치는 커다란 접착부재를 갖지 않으며, 사용자로부터 가해진 압력하에서 그 자체의 탄성의 결과로서 탄력적인 휘어짐을 받게 되고, 그 시작위치로 복귀하기위해 카트리지내에서 특별히 추가적으로 작용하는 스프링이나 카트리지내의 회전주축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작고 가요성이 있는 접착부재(단단한 접착봉 및 그 지지부재로 구성됨)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부재는 단지 카트리지내에 고정된 부착지점만이 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재의 단부에 제공된 접착봉은 스프링과 같은 지지부재와는 대조적으로 단단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 공지 기술장치에서의 대응하는 부품보다 그 크기가 더 작고 제조시 재료가 적게 요구되며, 더욱이 기판에 대해서 필름과 함께 캐리어 테이프를 눌러주기위해 끝이 둥글게 되어있는 접착단부를 가지고 있다. 이 접착단부의 훨씬 작은 만곡반경에 의해 기판으로 옮겨지는 필름의 분리단부는 사용자를 위하여 매우 편리한 것이다. 단단한 접착봉의 스프링 휨에 대하여 제한을 가하는 멈춤쇠는 지지부재의 일단부 부근에만 제공되며, 이렇게하여 그 칫수가 아주 작게 될 수 있고, 접착 단부로부터 멈춤쇠까지의 간격이 아주 작아지며,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압력을 접착봉을 통해서 접착단부로 전달하는 지지레버도 아주 작게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접착단부에 가하는 아주 큰 압력도 적절히 전달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한 것이외에도, 예컨대 작은 압력을 지탱하는 접착단부의 반경부분에 커다란 압력이 가해져야 하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타자기나 프린터에서 타자된 글자를 수정하기 위해 덮는 필름(수정필름)을 갖는 캐리어 테이프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종이상에 타자기를 타이프하는 충격에 의해 글자의 칫수에 해당하는 종이상에 생기는 자국 때문에, 덮는 필름층이 이들 자국에 잘 붙도록 하기 위해 충분히 큰 압력이 덮는 필름층에 접착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경우에 선행 기술의 장치는, 접착봉의 단부에서 원통형 추축의 큰 반경 때문에, 그리고 또한 필요한 위치에서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필름을 눌러주기 위해 아주 큰 국소적인 압력을 가하는 것이 불가능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장치는, 전체의 접착부재가 아주 작고, 카트리지상의 일정한 지점에 접착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필요한 구동수단, 공급릴과 감기릴 사이의 마찰연결 및 전체 부품의 조립이 보다 간단할 뿐만 아니라, 제작에 있어서 재료가 아주 적게들며, 스프링을 사용할 필요성이 없다. 결국, 전체 장치가 공지의 장치보다 더 작고 맵시있게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강성 및 강도가 요구되는 접착봉의 단부에 필요한 강성도를 제공하는 동시에 접착봉이 필요한 탄성을 가지며 소형으로 제조될 수 있도록 하기위해서, 접착봉의 두께는 지지부재의 두께보다 적어도 1.25배 더 두껍고, 접착봉의 길이는 그 지지부재의 길이의 약 4분의 1 내지 3분의 1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장치는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여 최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접착봉 및 그 지지부재는 같은 종류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또 단일체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각각의 재료가 그 기능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서로 다른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잇점은, 사용자가 여러 가지 용도 및 기판재료에 따라서 최적의 접착봉을 선택하도록 여러 가지 접착봉을 바꾸어 교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점에서, 접착봉을 테이프가 이완되지 않도록 올바른 방향으로 지지부재상에 잘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캐리어 테이프가 빠져도 접착봉이 미끄러지는 일이 없도록 충분한 마찰에 의해 접착봉을 지지부재상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접착봉상의 압력을 가하는 접착단부의 둥근 형상은, 옮겨질 필름에 따라 여러 가지 형상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는 접착 단부는 보다 큰 압력을 주는데 사용된다. 접착봉의 접착단부는 반원형 특히 1.5밀리미터 이하의 반경을 갖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 접착단부는 테이프의 운동방향으로 점차 작아지는 반경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에 사용되는 접착단부의 최소의 반경이 1.5밀리미터 이하여야 한다.
접착단부의 반경의 이러한 변화는 사용후에 기판으로부터 접착단부를 분리시키기에 좋다. 이는, 접착단부의 뒤쪽으로 어느 정도의 거리를 두고서 이 접착 단부와 평행하게 연장하는 "후방접촉단부"를 접착봉상에 제공함으로써 더욱 바람직하게 성취된다.
이러한 "후방접착단부"는 접착단부보다 아주 작은 반경을 갖는다. 후방접착단부와 접착단부의 공통 접선을 단단한 접착봉의 종축에 대하여 35도 내지 45도 특히 바람직하게 4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해야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접착제가 기판상에 즉시로 접착되는 유리한 가능상을 제공한다. 또한, 분리단부가 접착단부의 바로 밑으로 오지 않을 경우에 특히 유리한데, 이 경우에 사용자가 핸드롤러를 이동시켜서 접착을 수행하고 나서 접착제와 같은 필름이 기판상에 제대로 옮겨지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되면, 곧바로 접착단부 뒷쪽의 후방접착 단부쪽으로 각도를 약간 더 낮추어서 제2의 접착점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의 접착점에서 필름의 옮김이 제대로 이루어지면 처음의 실패가 극복된다.
본 발명에서는, 단단한 접착봉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가 혹과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 접착봉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한 돌출부는 캐리어 테이프지역과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이 좋으며, 이는 접착봉의 길이가 비교적 짧은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돌출부는, 접착봉의 윗쪽에서 볼 때, 윗쪽으로 수렴되어 합쳐지는 측벽들과 혹모양의 둥근 상단부를 가지는 단면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돌출부의 앞표면이 기판으로 압력을 가하는 접착단부에 가장 가깝데 윗쪽으로 경사져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멈춤쇠와 맞닿는 돌출부의 상부는 둥글게, 예컨대 반구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작은 면적을 가지며, 따라서 사용자가 장치를 기울이면 지지부재의 탄성 회복력이 보상되어서 기판에 대해 압력을 가하는 접촉단부의 균일한 착지와 함께, 수동으로 가해지는 압력이 계속 전달될 수가 있다. 따라서, 멈춤쇠와 접촉하는 돌출부의 상부면이 원통형이나 구형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돌출부의 표면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춘 접촉표면이 먼춤쇠에 제공되어 있다. 멈춤쇠와 접촉하는 돌출부의 표면이 편평하지 않고 상기한 바와 같이 원통형이거나 구형으로 되어 있으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두 접촉표면간의 최적의 상소지지접촉은, 지지부재의 표면을 최대화(전달되는 압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접착봉이 기판에 대하여 정확한 방향으로 밀려질 때 바람직한 탄성휨이 제공되는 적절한 방법에 의해서 각각의 부재들간의 지지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지지부재의 바람직한 구성은 굽혀져있는 부분을 갖는 레버로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구부려진 부분은 공급릴롸 접착봉 사이의 테이프쪽을 향하고 있으며, 또 압력을 가하는 접착단부와 지지부재의 부착지점과 공급릴의 회전축은 모두 압력을 가하는 접착단부에 대해 수직하고 또한 지지부재의 부착지점을 통과하는 평면상의 일직선상에 놓여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공급릴의 삽입시에 작용선이 이 직선을 따라 놓여져서 압력이 해제될 때 정지위치로 즉시 복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잇점이 있다.
본 발명의 장치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지부재, 단단한 접착봉, 돌출부 및 멈춤쇠가 모두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재료의 선택은 사용조건에 따라서 바뀔수 있다. 따라서, 어떤 경우에는 스프링 작용을 하는 금속스트립으로 만들어진 지지부재를 갖게하는 것이 유리하며, 그 위에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접착봉을 설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지지부재가 보다 큰 힘을 받는 경우에(덮개 필름의 경우에서와 같이), 또는 특별한 이유로 지지부재가 보다 강한 하중을 특히 긴 시간동안 받게되는 경우 또는 조금만 기울어져도 특별히 강한 탄성 회복력이 요구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이미 설명된 형태의 핸드롤러에 끼워져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핸드롤러에 직접 설치되는 대신에 접착부재, 공급릴 및 감김릴을 포함하는 홀더안에 설치되고, 이 홀더는 핸드롤러의 하우징에 끼워지며 교체가능한 카트리지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는, 공급릴과 감김릴 안으로 테이프를 끼워넣거나 감을 필요없이 핸들롤러내에서의 이들 릴을 아주 빠르게 교체할 수 있다는 커다란 잇점을 갖는다. 사용된 카트리지는 빼내서 새로운 것을 넣기만하면 된다. 핸드롤러는, 새 카트리지를 넣고 하우징을 닫으면 바로 사용준비가 완료 되도록 접착부재가 돌출한 부분에 이에 상응하는 개구부를 갖추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공급릴롸 감김릴 사이에는 마찰 커플링과 같은 구동링크가 제공되어 있고, 이는 또한 핸드롤러의 하우징내에도(카트리지내부가 아님) 제공되어 있어서, 카트리지에 힘이 작용할 때 카트리지내에서 하나의 릴만이 결합되며, 상응하는 개구부를 통해서 카트리지내의 릴과 맞물리는 하우징내의 구동 커플링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타자기내의 교체가능한 색리본카트리지에 사용되는 것과 유사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에는, 핸드롤러의 하우징(도면에는 도시되지 아니함)에 끼워지며 교환가능한 카트리지(1)가 도시되어 있다. 카트리지(1)에는 2개의 측면덮개(2a,2b)가 제공되어 있는데, 제1도에는 한쪽 측면덮개(2a) 만이 도시되어 있으며, 제2도에는 한쪽 측면덮개(2a)가 제거되고 반대쪽 측면덮개(2b)만이 도시되어 있다. 카트리지(1)가 열린 상태가 도시된 제2도를 참조하면, 캐리어 테이프(5)가 감기어 있는 공급릴(10)이 있고, 이 캐리어 테이프(5)는 적절한 필름(5a)(제3도 참조)에 의해 그 외부면이 덮여져 있으며, 이 필름(5a)은 적당한 접착성 필름 또는 덮개층의 형태로서 예를 들어 종이와 같은 기판상에 전달된다.
이렇게 필름(5a)으로 덮여진 캐리어 테이프(5)는 공급릴(10)로부터 카트리지(1) 전방의(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왼쪽으로), 카트리지의 외부로 돌출한 접착부재(4)(제1도 참조)쪽으로 시계방향으로 이동한다. 접착부재(4)는, 고정부재(28)의 베이스(13)상에 견고하게 회전할 수 없게 지지된 즉, 단단하게 고정된 지지레버(12)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지지레버(12)는 공급릴(10)과 접착부재(4) 사이에 있는 캐리어 테이프 쪽으로 심하게 굽혀져 있는 부분(20)을 가진다. 지지레버(12)의 일단부에는, 최전방의 자유단부에 접착단부(14')가 형성된 단단한 접착봉(14)이 제공되어 있어서, 공급릴(10)로부터 공급된 캐리어 테이프(5)가 이 접착부(14')둘레로 안내되어 다시 카트리지(1) 안으로 되돌아온다. 그리고 나서, 캐리어 테이프(5)는 스프링(6)을 거쳐서 감김릴(11)로 안내되는데, 이 스프링(6)은 그 인단부가 고정부재(28)의 베이스(13)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얇고 탄력성있게 휘어지는 레버이다.
스프링(6)과 감김릴(11) 사이에 있는 캐리어 테이프(5)의 부분은 공급릴(10)상에 있는 캐리어 테이프의 상부쪽과 접촉하게 된다. 공급릴(10)상에 있는 캐리어 테이프의 부분은 그 외부면에 접착성 필름을 보유하며, 이 접착성 필름에 의해서, 감김릴(11)로 감겨들어가는 접착성이 없는 캐리어 테이프와 공급릴(10)로부터 공급되는 캐리어 테이프와의 사이에 접착효과가 생긴다. 이러한 접착효과는, 캐리어 테이프(5)가 풀려나오면서 공급릴(10)이 화살표(W)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동일한 방향의 운동이 존재하는 한, 스프링(6)을 통해서 감겨들어가는 캐리어 테이프(5)가 감김릴(11)의 방향(화살표 U방향)으로 감기는데 유리하게 작용한다. 지지레버(12)의 일단부에 있는 단단한 접착봉(14)상에는, 접착단부(14')의 맞은편쪽에 스프링(6)의 바깥쪽 이동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7)가 제공되어 있다.
이 돌출부(7)는 카트리지(1)상에 견고하게 고정된 멈춤쇠(8)의 맞은편에 배열되어 있는데, 멈춤쇠(8)는 한쪽 측면덮개(2b)상에 설치된 리셉터클(15)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리셉터클(15)은 카트리지(1)의 양 측면덮개(2a,2b)를 서로 부착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리셉터클(15)은, 제2도로부터 알 수 있듯이 측면덮개(2b)의 다른 지점들에도 설치되어 있다. 반대쪽 측면덮개(2a)상에는 리셉터클(15)에 상응하는 약간 밖으로 돌출한 슬립-인-핀(도면에는 도시되지 아니함)이 제공되며, 이 핀은 각 리셉터클의 중앙의 구멍이 뚫린 소켓내에 씨워져서 함께 잠궈지거나 그렇지 않으면 고정될 수도 있다.
카트리지의 멈춤쇠(8)와 돌출부(7)의 상호배열을 더 잘 나타내기 위하여, 제1도 및 제2도는 이들 사이의 자유공간을 지지레버(12)가 최대로 휘어진 상태에서 확대하여 도시하였다.
실제로는 카트리지(1)내에서 지지레버(12)에 의한 접착단부(14')의 최대 스프링휨은 약 1mm이고, 따라서 돌출부(7)와 멈춤쇠(8) 사이의 간격(f)(제3a도 참조)은 지지레버(12)와의 관계에 따라서 더 작다(예를 들면 0.6 또는 0.7mm이다).
제2도로부터, 측면덮개(2b)에서 스프링가이드(16)가 감김릴(11)쪽으로 제공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스프링 가이드(16)는 톱니휘일(제2도에는 도시 되지 아니함)과 맞물려서 스프링(6)의 백래쉬를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김릴(11)과 맞닿는 측면덮개(2b) 상에는 방사형 톱니장치(9)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 톱니장치(9)는 카트리지가 닫혔을 때(제1도 참조) 사용자가 손으로 감김릴을 보유하기에 편리하도록 측면덮개(2a)상에 제공된 구멍을 통해 외부로 튀어나와 있다.
사용시에, 상기한 카트리지(1)는 핸들 롤러의 적절하게 배열된 하우징안으로 끼워지며, 이 하우징내에는 감김릴과 공급릴 사이의 마찰연결에 의해서 공급릴로부터 감김릴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동구동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수단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 여기서 설명하지 않는다. 이 구동수단은 감김릴(11) 및 공급릴(10)용 회전볼트(피봇핀)를 가지는데, 카트리지(1)가 핸드롤러의 하우징(도시되지 않음) 내에 설치되면 이 회전볼트는 카트리지(1)상의 개구부(26 및 27)(공급릴(10)과 감김릴(11)의 내부구멍에 해당함)에 끼워져서 적절한 결합수단에 의해 적절한 방법으로 각각의 릴(10 및 11)을 구동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항상 필요하지만 갈아끼울수 없는 구동 수단이 카트리지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효과적으로 유지되며 핸드롤러의 하우징 내에 항상 준비된 상태로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단부(14')의 부착점, 지지레버(12)가 부착되는 베이스(13) 및 공급릴(10)의 중심축이 공통선(L)(지지레버(12)와 접착단부(14')의 출발지점, 즉 지지부재(12)와 접착단부(14')가 그들의 정지위치로부터 스프링 작용에 의해 기울어지지 않은 지점)상에 배열되어 있다. 단단한 접착봉(14) 및 지지레버(12)는 스프링(6)과 함께 단일 부품유닛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지지레버(12)의 베이스(13)는 고정부재(28)에 의해서 스프링(6)에 연결되며, 고정부재(28)는 적당한 수단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인서어트링크장치(insert linkage)에 의해서 측면덮개(2b), 즉 카트리지(1)에 연결된다.
이렇게하여, 예를들면 여러 가지 접착봉이 여러 가지 페이프와 함께 사용될 경우에, 전체부품을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새로운 접착봉을 갖춘 완전히 다른 부품으로 교체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레버(12)의 단부상에 접착봉(14)을 단지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시키고, 필요한 경우에는 이 접착봉(14)을 제거하여 새로운 접착봉을 설치함으로써 부품을 교체할 수도 있다. 측면덮개(2a)의 적절한 지점에는 창(3)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카트리지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혀있을 때 사용자가 창(3)을 통해서 공급릴(10)의 풀린 정도를 볼 수 있어서 이 공급릴이 거의 사용되었을 때를 알게 된다. 카트리지(1)를 핸드롤러내에 끼워 넣으려면, 핸드롤러의 하우징내에는 접착부재(4)가 카트리지(1)의 전방 방향으로 돌출한 지점에 개구부가 제공되어 있어야 한다.
이제 제3a도 내지 제3e도를 참조하면, 핸드롤러는 사용자에 의해 접착성 필름이 덮여질 기판(17)상에 유지되어 있으며, 특히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한 접착봉(14)의 이러한 기판(17)에 대해서 경사각을 이루고 있다. 캐리어 테이프(5)상에 있는(접착단부(14')까지)접착성 필름(5a)의 분리 단부(29)가 접착봉(14)에 의해 눌리어져서(제3a도 참조), 접착성필름(5a)과 기판(17)사이의 초기접촉이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핸드롤러상에 손으로 압력을 가하는데 ,베이스(13)에 고정되어 카트리지(1)의 측면덮개(2b)에 대해서 회전하지 못하는 지지레버(12)는, 돌출부(7)의 상부표면이 멈춤쇠(8)의 마주하는 면과 맞닿을 만큼만 스프링 작용에 의해서 휘어지며 그 이상의 휨이 억제된다.
제3a도 내지 제3e도에는 이러한 접착공정의 각 단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3a도는 접착봉(14), 압력이 작용되는 잡착단부(14'), 돌출부(7) 및 멈춤쇠(8)를 갖는 지지레버(12)의 단부를 나타내며, 돌출부(7)와 멈춤쇠(8)의 사이에는 간격(f)이 제공되어 있는데, 이 간격(f)은 접착봉(14)의 스프링휨의 범위에서 허용되는 최대 간격이다. 이 단계에서, 공급릴(10)로부터 접착단부(14')까지 공급되는 캐리어 테이프(5)는 기판(17)을 향한 그 측면상에 분리단부(29)에서 끝나는 접착필름(5a)을 계속 보유하고 있다.
제3a도는 접착단부(14')를 기판(17)상에 내려 놓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며, 여기서 캐리어 테이프(5)의 경로는 팽팽하게 당겨져 있다.
제3b도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기판(17)상에 내려놓은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며, 이 시점에서 접착봉(14)은 이미 지지레버(12)가 최대 스프링이동 위치로 구부려진 지점에 있고, 돌출부(7)는 멈춤쇠(8)에서 정지되어 있다.
이 스프링휨의 결과, 접착단부(14')를 통과한 캐리어 테이프(5)는 더 이상 팽팽하게 당겨져 있지 않고 약간 느슨하다. 스프링휨의 과정에서 실제로 종종 발생하고 제3b도에 도시된 대로, 접착단부(14')가 캐리어 테이프(5)의 뒷면에서 약간 앞쪽으로 미끄러지기 때문에 이러한 제1착지위치에서 필름(5a)의 분리단부(29)가 기판(17)과 아직 직접 접촉한 상태가 아니라면, 제3c도에 도시된대로 접착봉(14)의 압력지점은 분리단부(29)쪽으로 약간 이동하기 때문에 분리단부(29)가 기판(17)에 대해서 소위 "아이어닝 온(ironing on)"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아이어닝 온"상태 즉, 접착필름(5a)의 분리단부(29)와 기판(17)과의 접촉이 생기자마자, 이 지점으로부터 단지 일정한 압력하에 핸드롤러를 기판(17)상에서 접착하여 하는 길이만큼만 이동시키면 된다.
제3d도는 접착공정에서 중간단계를 나타낸다. 이 단계에서, 필름(5a)은 캐리어 테이프(5)로부터 소망하는 양만큼의 접착제가 전달되는 기판(17)상에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제3e도에 보여진대로 접착공정이 완료되면, 핸드롤러는 다시 들어 올리어져서 지지레버(12)(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함)가 그 정지위치로 되돌아오고, 돌출부(7)는 다시 멈춤쇠(8)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캐리어 테이프(5)는 다시 팽팽하게 당겨진다. 테이프(5)가 팽팽하게 당겨지므로 접착부재(4)와의 마찰이 증가되어지고, 이에 따라서 필름(5a)이 테이프(5)로부터 양호하게 벗겨진다.
핸드롤러가 들어 올리어진 후에, 접착필름(5a)은 새로운 분리단부(29)를 따라서 벗기어지며, 장치는 제3a도의 출발위치로 되돌아온다. 기판(17)상에는 제3e도에 도시된 대로, 소망하는 길이(y)를 따라 접착필름(5a)이 해당 길이만큼 접착되어 있다.
제2도에는, 풀림 및 감김공정 동안에 각 부재들의 회전 및 이동방향이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사용시에, 공급릴(10)은 회전축(A)을 중심으로 화살표(W)의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서 캐리어 테이프(5)는 접착단부(14')까지 화살표(V)방향으로 이동하여 이 접착단부(14') 둘레를 지나서 스프링(6)을 통과하고 감김릴(11)로 이동되며, 감김릴(11)은 화살표(U)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필름(5a)이 제거된 테이프(5)를 감는다.
제3a내지 3e도에 도시된대로, 단단한 접착봉(14)은 이 접착봉(14)을 포함하는 지지레버(12)와 두께(t)보다 실질적으로 더 큰 두께(T)(제3e도 참조)를 가진다. 이와 관련하여, 도면들에서 이러한 두께차는 정확한 축척으로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명심해야만 한다. 단단한 접착봉(14)의 두께는 지지레버(12)의 두께의 적어도 1.25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4a도 내지 제4d도는 단단한 접착봉(14)의 접착단부(14')에서의 휨의 형상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을 나타낸 것이다(세부를 크게 확대한 개략도임).
제4a도에는 (제4b도 내지 제4d도에서와 동일하게)사용위치에 있고, 기판(17)에 대해서 비스듬히 놓여 있으며, 후방의 상단부에 돌출부(7)를 가지는 단단한 접착봉(14)의 측면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4a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접착봉(14)은 이 접착봉(14)의 두께의 절반에 해당하는 일정한 반경(R)의 반원에 의해 둘러싸인 접착단부(14')를 가진다.
제4b도의 실시예에서, 단면도로 보았을 때 접착단부(14')의 곡률은 우선 단단한 접착봉(14)의 윗면(30)에서 출발하여 약 90°이상 뻗어 있는 원형(반경 R)이 있고, 이 원형은 더 큰 반경(R')을 가지는 접착봉(14)의 아랫면과 합쳐질때까지 연장하여 왔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4a도의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접착단부(14')와 기판(17)의 표면사이에 약간 더 큰 접촉지역이 얻어진다.
제4c도에 또 다른 단면형상이 도시되어 있는데, 단단한 접착봉(14)의 윗면에서 출발하여 90°또는 90°이상의 영역에 걸쳐 뻗어 있는 반원형(반경 R) 곡률이 있으며, 이 반원형 곡률은 계속 연장하여 훨씬 더 큰 반경부분(R")과 만나거나, 또는 계속적으로 반경이 증가하는 호가 된다. 이러한 형상은 접착될 필름의 분리 단부가 "아이어닝 온"되는데 특히 바람직하게 작용하는데, 그 이유는 단단한 접착봉(14)에 대한 이러한 형상에서는(장치에 적용하는 압력을 약간만 증가시킴으로써)각도위치가 조금만 감소해도 압력지점이 뒤쪽으로 즉, 테이프(15)의 전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틀리없이 이동하기 때문이다.
제4d도는 단단한 접착봉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접착봉(14)의 선단부에는 비교적 작은 반경(r')을 갖는 반원으로 이루어진 잡착단부(14')가 있으며, 이러서 그 뒷쪽에는(즉, 테이프(5)의 진행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후방접촉단부(18)가 평행하게 제공되어 있다. 매우 작은 반경(r")의 반원형 단면을 가지는 후방접촉단부(18)와, 테이프 이동방향을 따라서 서로 평행하게 뻗어 있는 접착단부(14')와의 사이에 만입부(19) 가 있다. 후방접촉단부(18)의 반경(r")이 최대로 접착단부(14')의 반경(r')의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단부(14' 및 18)는, 그 공통접선(Y)(제4d도 참조)이 접착봉의 종축(X)과 적어도 35°, 최대로 45°, 바람직하게는 약 40°의 교차각(α)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다. 제4d도에 도시된 사용위치에서, 접착단부(14')는 캐리어 테이프(5)를 기판(17)에 대해서 단지 눌러 주어서, 이미 설명된 대로 필름(5a)을 캐리어 테이프(5)로부터 기판(17)으로 연속적으로 전달시킨다.
그러나, 접착공정의 초기에 접착제가 접착단부로부터 즉시 감기지 않거나 기판표면이 특히 평탄하기 때문에, 접착제의 이동이 시작되도록 접착제의 분리단부(29)(제3a도 내지 제3e도 참조)에 특별한 노력이 필요하며, 접착단부(14') 뒤에 형성된 후방접촉단부(18)가 기판(17)에 대해 압착되로록 하기 위하여 교차각(α)을 약간 감소시키기만 하면 된다.
이렇게 하여, 충분한 초기접촉이 얻어져서 접착봉(14)과 기판(17) 사이의 추가적인 상대이동에 의하여 접착공정이 시작될 수 있게 된다.
제5도는 접착봉(14)이 부착된 지지레버(12)의 선단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이 접착봉(14)상에는 돌출부(7)가 설치되어 있고 멈춤쇠(8)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제5도에 확실하게 도시된대로, 돌출부(7)는 단단한 접착봉(14)의 윗면의 대략 중앙에 배열되어 접착단부(14')로부터 충분히 뒤로 떨어져(거리 D만큼) 있으며 접착봉(14)의 후단부(21)까지 뻗어 있다. 돌출부(7)는 서로 마주하여 윗쪽에서 만나는 2개의 측면(22 및 23)을 가지며 이들 측면이 둥근 상단부(24)를 형성하고 있다.
동시에, 접착단부(14')를 향한 앞면(25)은 뒤쪽 및 윗쪽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접착봉의 길이방향으로 보았을 때, 둥근 상단면(S)은 돌출부(7)의 기초면적보다 훨씬 더 작은 면적을 가진다.
앞면(25)의 반대편에 있는 돌출부의 뒷면은 앞면과 마찬가지로 앞쪽으로 작은 경사를 가지거나 또는 접착봉의 뒷면과 공동평면을 이루는 표면을 시킨다. 또한, 돌출부(7)의 형상은 제5도에서와 같이, 둥근 상단면(S)이 반원통형이나 구형의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레버(12)가 멈춤쇠(8) 방향으로 최대로 변형되었을 때, 돌출부(7)의 상단면(S)은 멈춤쇠(8)의 아랫면과 바로 접촉하여서, 멈춤쇠(8)의 아랫면이 평면인 경우에 이들 재료의 자체-탄성의 범위내에서 돌출부의 표면적이 늘어나는 선형운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지지레버(12)가 최대 변형시에 상단면(S)과 맞닿는 멈춤쇠(8)의 아랫면상에 훨씬 증가된 강성을 제공하는 접촉면을 가지는 것이 아주 바람직하며, 접착공정에서 상당한 힘이 가해지는 지지레버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실제로, 지지레버(12)는 아주 작고 얇은 부품이기 때문에, 테이프를 표면에 대해서 압착할 동안에 장치가 단지 약간 비틀리게 설치되는 경우, 지지레버(12)(탄성변형을 위한 적합성 때문에 선택됨)의 탄성에 의해서 어떤 어려움없이, 기판표면과 접촉하는 접착봉의 위치와 장치 그 자체와의 사이의 각도차이만큼 지지레버(12)의 세로축 둘레로 추가의 작은 비틀림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돌출부(7)가 상단면(S)에 대해 제5도에 도시된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 상당하는 비틀림이 어떠한 어려움없이 수용된다. 사용자가 장치에 작용시킨 압력은 멈춤쇠(8)와 돌출부(7)에 의해서 전달되며, 돌출부(7)가 제5도에 보여진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는, 돌출부(7) 및 멈춤쇠(8)가 장치의 측방향 경사 때문에 약간의 각변형을 가지도록 서로에 대해서 위치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압력이 돌출부(7)와 멈춤쇠(8)의 사이로부터 접착봉(14)으로 충분하게 전달될 수 있다. 게다가, 지지레버상(12)에 작용된 비틀림 하중이 제거되었을 때 복원력으로서 작용한다.
돌출부(7)와 멈춤쇠(8)의 배열이 반대로 될 수도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이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며, 이에 의해서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20)

  1. 캐리어 테이프(5)로부터 기판(17)으로 필름(5a)을 옮기는 장치로서,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안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테이프(5)의 공급릴(10)과, 상기 하우징안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테이프(5)의 감김릴(11)과, 상기 하우징(1)으로부터 돌출하여 그 위로 상기 공급릴(10)로부터 상기 감김릴(11)로 공급되는 상기 테이프(5)가 통과하고 있으며, 상기 필름(5a)이 상기 테이프(5)의 측면에 의해서 상기 기판(17)상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테이프(5)를 상기 기판(17)에 대해 눌러주는 형상을 가지는 단단한 접착봉으로서, 상기 테이프(5)와 마주하는 그 측면상에는 상기 테이프(5)에 압력을 가하는 둥근형상의 접착단부(14')가 제공되어 있는 단단한 접착봉(14)과, 상기 하우징안에 제공된 설치수단(4)으로서, 상기 장치에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탄성적으로 휘어지며 그 일단부가 상기 단단한 접착봉(14)에 연결되어서 상기 접착봉(14)을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기다란 지지부재(12) 및 이 지지부재(12)의 타단부를 상기 하우징(1)에 대해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시켜주는 수단(28)을 포함하고 있는 설치수단(4), 상기 접착단부(14')와 어느 정도의 거리를 두고서 상기 접착봉(14)상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7)와, 상기 접착봉(14)의 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도록 상기 접착봉(14)상에 제공된 상기 돌출부(7)와 마주하게 상기 하우징상에 고정된 멈춤쇠(8)와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봉(14)이 교체가능하게 제공되어 있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봉(14)이 상기 지지부재(12)상에 설치되어 그 마찰에 의해서 유지되어 있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봉(14)이 상기 지지부재(12)보다 더 짧고 더 두꺼워서, 상기 접착봉(14)의 길이가 상기 지지부재(12)의 길이의 1/4내지 1/3이 되고, 상기 접착봉(14)의 두께가 상기 지지부재(12)의 두께의 적어도 1.25배가 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봉(14)과 상기 지지부재(12)가 서로 다른 재료로 제조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봉(14)상에 제공되어서 상기 테이프(5)에 압력을 가하는 접착단부(14')가 상기 캐리어 테이프(5)의 운동방향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곡률반경(R,R';R,R")을 갖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단부(14')가 반경(R) 1.5밀리미터 이하의 반원형 단면을 갖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단부(14')의 최소반경(R)이 1.5밀리미터 이하인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봉(14)이 상기 접착단부(14')외에도, 상기 캐리어 테이프(5)와 마주하는 단부상에 만입부(19)에 의하여 상기 접착단부(14')와 분리되어 이와 평행하게 제공된 후방접촉단부(18)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후방접촉단부(18)가 상기 접착단부(14')보다 더 작은 반경(r")을 가지며, 상기 접착단부(14')와 후방접촉단부(18)의 공통접선(Y)이 상기 접착봉(14)의 종축(X)에 대하여 35°내지 45°의 각(α)을 이루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봉(14)상의 상기 돌출부(7)가 상기 접착봉(14)상의 중심에 위치되어 혹모양의 형상을 이루고 있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봉(14)과 상기 지지부재(12)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7)가 상기 캐리어 테이프(5)에 압력을 가하는 상기 접착단부(14')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접착봉(14)의 후단부(21)상에 위치되어 있는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봉(14)을 윗쪽에서 볼 때, 상기 돌출부(7)는 윗쪽으로 수렵되는 측면들(22,23) 및 둥근 상단부(24)를 갖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7)가 상기 접착봉(14)의 상기 접착단부(14')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위로 경사진 앞면(25)을 갖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쇠(8)와 마주하는 상기 돌출부(7)의 상단면(S)이 원통형이나 구형 단면형상을 갖는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쇠(8)가 상기 돌출부(7)의 상기 상단면(S)에 일치하도록 적절하게 형성된 표면을 갖는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2)가 굽혀져 있는 부분(20)을 가지는 탄성레버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부분(20)은 상기 테이프(5)쪽을 향하고 굽혀져 있으며, 상기 접착단부(14')에 대해 수직한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접착단부(14')의 부착지점과, 상기 지지부재(12)의 부착지점(13)과, 상기 공급릴(10)의 회전축(A)이 모두 하나의 직선(L)상의 놓여지는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2), 단단한 접착봉(14), 멈춤쇠(8), 및 돌출부(7)가 모두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2)가 스프링 작용을 하는 금속 스트립인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릴(10), 감김릴(11), 접착봉(14), 및 지지부재(12)가 손에 쥘 수 있는 카트리지(1)의 내부에 교체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카트리지(1)가 상기 하우징안으로 끼워지기에 적합한 형상을 가지고 있는 장치.
KR1019880005559A 1987-10-27 1988-05-13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필름을 옮기는 장치 KR9200083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736367.0 1987-10-27
DE3736367 1987-10-27
DE3736367A DE3736367C1 (de) 1987-10-27 1987-10-27 Handgeraet zum UEbertragen eines Filmes von einer Traegerfolie auf ein Substr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156A KR890017156A (ko) 1989-12-15
KR920008339B1 true KR920008339B1 (ko) 1992-09-26

Family

ID=6339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5559A KR920008339B1 (ko) 1987-10-27 1988-05-13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필름을 옮기는 장치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4853074A (ko)
EP (1) EP0313719B1 (ko)
JP (1) JPH0633125B2 (ko)
KR (1) KR920008339B1 (ko)
AT (1) ATE72658T1 (ko)
AU (1) AU585194B1 (ko)
BR (1) BR8805731A (ko)
CR (1) CR4306A (ko)
DE (2) DE3736367C1 (ko)
DK (1) DK164095C (ko)
ES (1) ES2031169T3 (ko)
FI (1) FI87176C (ko)
GR (1) GR3003855T3 (ko)
MX (1) MX171727B (ko)
NO (1) NO166031C (ko)
PT (1) PT88863B (ko)
ZA (1) ZA8880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32163C1 (ko) * 1988-09-22 1989-11-23 Pelikan Ag, 3000 Hannover, De
DE3837621C1 (ko) * 1988-11-05 1990-04-05 Pelikan Ag, 3000 Hannover, De
ES2046045T3 (es) * 1989-12-27 1994-01-16 Czewoplast Kunststofftechnik G Distribuidor para aplicar un material adhesivo sobre un sustrato.
EP0606477A4 (en) * 1991-10-02 1994-11-09 Fuji Kagaku Shikogyo TRANSFER DEVICE FOR COATING FILMS.
US5281298A (en) * 1992-03-03 1994-01-25 The Gillette Company Film transfer device
JPH0632445U (ja) * 1992-05-18 1994-04-28 ユニオンケミカー株式会社 転写器
US5310445A (en) * 1992-10-15 1994-05-10 The Gillette Company Tape dispenser
US5310437A (en) * 1992-10-15 1994-05-10 The Gillette Company Single spool correction tape dispenser
JPH0649448U (ja) * 1992-12-14 1994-07-08 丸十化成株式会社 転写式修正具
GB2275042B (en) * 1993-02-10 1995-10-25 Gillette Co Correction tape dispenser
US5393368A (en) * 1993-02-10 1995-02-28 The Gillette Company Correction tape dispenser
DE4437384A1 (de) * 1994-10-19 1996-04-25 Esselte Meto Int Gmbh Vorrichtung zur Ausgabe von Etiketten
GB9422905D0 (en) * 1994-11-14 1995-01-04 Gillette Co Tape dispensers
JP2869855B2 (ja) * 1995-03-28 1999-03-10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字消し具
CN1154581C (zh) * 1995-10-06 2004-06-23 种子橡胶工业株式会社 涂覆膜传输器具的离合机构及涂覆膜传输器具
DE19546581C2 (de) * 1995-12-13 2000-01-20 Silu Verwaltung Ag Vorrichtung zum Aufbringen von klebendem Montageband
DE19604056C1 (de) * 1996-02-05 1997-07-24 Pritt Produktionsgesellschaft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s von einer Trägerfolie auf ein Substrat
JPH1059340A (ja) * 1996-08-12 1998-03-03 Minnesota Mining & Mfg Co <3M> 粘着テープの貼付治具
JP3505673B2 (ja) * 1997-07-23 2004-03-08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塗布具
US5938070A (en) * 1997-11-07 1999-08-17 Woodrow W. Welborn Self-adhesive stamp dispenser
DE59905667D1 (de) * 1998-08-19 2003-06-26 Pritt Produktionsgesellschaft Gerät zum übertragen eines in form eines filmes auf ein trägerband aufgebrachten stoffes auf ein substrat
DE19859269C2 (de) * 1998-08-19 2003-03-27 Pritt Produktionsgesellschaft Gerät zum Übertragen eines in Form eines Filmes auf ein Trägerband aufgebrachten Stoffes auf ein Substrat
TR200100127T2 (tr) * 1998-08-19 2001-06-21 Pritt Produktionsgesellschaft Mbh Taşıyıcı bir bant üzerine yerleştirilmiş film haldeki maddenin bir alt tabakaya transferi için alet
JP2995659B1 (ja) 1998-09-18 1999-12-27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塗膜転写具
JP3503052B2 (ja) 1998-09-25 2004-03-02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塗膜転写具における転写ヘッド
JP3618586B2 (ja) 1999-06-25 2005-02-09 株式会社壽 塗膜転写具
JP2001138690A (ja) * 1999-11-15 2001-05-22 Tombow Pencil Co Ltd 塗布具
ES2218053T3 (es) * 2000-01-06 2004-11-16 Tombow Pencil Co., Ltd. Cabezal de impresion de una herramienta de recubrimiento.
DE10001465C2 (de) * 2000-01-15 2003-11-13 Pritt Produktionsgesellschaft Gerät zum Übertragen eines in Form eines Filmes auf ein Trägerband aufgebrachten Stoffes auf ein Substrat
CN1178829C (zh) * 2000-06-30 2004-12-08 普乐士文具株式会社 薄膜转送工具和用于其转送头的小直径辊的制造方法
EP1249420B1 (en) 2001-04-09 2009-12-23 Société BIC A hand-held device for transferring a film onto a substrate and having an application member compris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edges
DE10118830B4 (de) * 2001-04-17 2009-06-18 Henkel Ag & Co. Kgaa Kassettengerät
EP1295834B1 (en) * 2001-09-19 2008-05-21 Société BIC A hand-held device for applying a film of adhesive, covering or coloured material onto a substrate
US20050056375A1 (en) * 2003-09-16 2005-03-17 Sanford, L.P. Applicator tip for a corrective tape dispenser
US6997229B2 (en) * 2003-09-16 2006-02-14 Sanford, L.P. Rotatable applicator tip for a corrective tape dispenser
JP3836831B2 (ja) * 2003-10-28 2006-10-25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プリントギャップ形成補助部材、リボンガイド、リボンカートリッジ、リボンカセット、プリンタ、及びプリント方法
US7163040B2 (en) * 2004-01-13 2007-01-16 Sanford L.P. Correction tape applicator tip with cylindrical projection
DE102006031173B4 (de) * 2006-07-06 2011-04-14 Henkel Ag & Co. Kgaa Vorrichtung zum Übertragen eines Film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KR20100061540A (ko) * 2007-09-17 2010-06-0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라이너-부착된 테이프 어플리케이터
DE102007053449A1 (de) 2007-11-07 2009-05-20 Henkel Ag & Co. Kgaa Vorrichtung zum Übertragen eines Filmes auf ein Substrat
JP5039662B2 (ja) * 2008-08-19 2012-10-03 ゼネラル株式会社 転写具
JP5618351B2 (ja) * 2010-04-30 2014-11-05 ユニオンケミカー株式会社 切断了知機構付き塗膜転写具
MY154643A (en) 2010-08-20 2015-07-15 First Solar Inc Tape applicator
US8397784B2 (en) 2010-08-31 2013-03-19 Sanford, L.P.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US8578999B2 (en) 2010-12-29 2013-11-12 Sanford, L.P. Variable clutch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US8746313B2 (en) 2010-12-29 2014-06-10 Sanford, L.P. Correction tape re-tensioning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comprising same
FR2981057B1 (fr) 2011-10-10 2013-11-29 Bic Soc Dispositif manuel d'application par ruban d'un revetement sur un support a embout ameliore
US8746316B2 (en) 2011-12-30 2014-06-10 Sanford, L.P. Variable clutch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US8720521B1 (en) 2012-04-16 2014-05-13 Leonora Peary Tape dispenser assembly
US20150238376A1 (en) * 2014-02-21 2015-08-27 Jody Seibold Adhesive bandage dispensing device
US9199758B1 (en) * 2014-05-28 2015-12-01 Hsiu-Man Yu Chen Automatic label stripping machine
CN105197662B (zh) * 2015-09-06 2017-03-22 广东乐普升文具有限公司 一种供卷带的功能薄膜转帖并将基带回收的卷绕式装置
FR3046786B1 (fr) * 2016-01-15 2018-02-09 Societe Bic Dispositif manuel d'application par ruban d'un revetement sur un support presentant un embout d'application ameliore
WO2017163274A1 (ja) * 2016-03-23 2017-09-28 ニチバン株式会社 スタンプ型塗膜転写具
US20190046370A1 (en) 2017-08-09 2019-02-14 Jeffrey Coleman Dispenser for a sterile bandage on a continuous roll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6913A (en) * 1968-03-08 1971-01-19 Wood Industries Inc Adhesive applicator
US3586587A (en) * 1968-07-26 1971-06-22 Carpenter Paul J Tape applicator
US3839127A (en) * 1973-06-01 1974-10-01 Minnesota Mining & Mfg Adhesive applicator
DE2337946C3 (de) * 1973-07-26 1979-10-31 Heinrich Hermann Gmbh + Co, 7000 Stuttgart Gerät zum Spenden von Selbstklebeetiketten
US4096022A (en) * 1976-03-15 1978-06-20 Crawford Harry J Tape dispenser and applicator
NL7711779A (en) * 1977-10-27 1979-05-02 Gerrit Christiaan Van Winkoop Adhesive strip applicator hand grip - swivels under spring pressure relatively to housing, and has projection engaging strip support toothing
US4576311A (en) * 1983-08-30 1986-03-18 Horton Stuart L Tab dispenser with odor applicator
US4574030A (en) * 1984-01-16 1986-03-04 Pilcher Henry D Apparatus for dispensing tape having a protective backing
DE3436523A1 (de) * 1984-10-05 1986-04-10 Heinrich Hermann Gmbh + Co, 7000 Stuttgart Handspendegeraet zum spenden und andruecken von haftetiketten
US4718971A (en) * 1986-10-09 1988-01-12 Moore Push-Pin Company Dispenser for a transfer adhes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881270A0 (fi) 1988-03-17
ZA888077B (en) 1989-09-27
NO166031C (no) 1991-05-22
DK164095B (da) 1992-05-11
PT88863A (pt) 1989-07-31
CR4306A (es) 1991-04-08
AU585194B1 (en) 1989-06-08
BR8805731A (pt) 1989-07-18
DE3868484D1 (de) 1992-03-26
PT88863B (pt) 1993-12-31
FI87176C (fi) 1992-12-10
JPH0633125B2 (ja) 1994-05-02
NO881663L (no) 1989-04-28
NO166031B (no) 1991-02-11
GR3003855T3 (ko) 1993-03-16
EP0313719B1 (de) 1992-02-19
DK164095C (da) 1992-10-12
US4853074A (en) 1989-08-01
KR890017156A (ko) 1989-12-15
JPH01122870A (ja) 1989-05-16
ATE72658T1 (de) 1992-03-15
EP0313719A2 (de) 1989-05-03
FI87176B (fi) 1992-08-31
NO881663D0 (no) 1988-04-15
EP0313719A3 (en) 1989-06-07
DE3736367C1 (de) 1989-02-23
DK236488A (da) 1989-04-28
DK236488D0 (da) 1988-04-28
FI881270A (fi) 1989-04-28
ES2031169T3 (es) 1992-12-01
MX171727B (es) 1993-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8339B1 (ko)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필름을 옮기는 장치
AU684410B2 (en) Tape dispenser
US6736500B2 (en)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that form and transfer image of liquid drops of increased viscosity
EP0488998A2 (en) Tape printing device
KR100473846B1 (ko) 공급 릴에 감겨진 기재 스트립으로부터 접착 재료 또는 피복 재료 또는 채색 재료의 필름을 대상물에 전달하기 위한 휴대형 기구
JPH0244716B2 (ko)
US8579001B2 (en) Tape feeding device and tape applicator
US5714035A (en) Correction tape dispenser
US4273046A (en) Attaching mechanism for inking device of portable label printing machine or the like
GB2059384A (en) Label printing apparatus
CA2400270C (en) Hand-held device for the application of a total tape onto a substrate
KR100476517B1 (ko) 필름을지지판으로부터기판에전달하기위한수동기구
GB1598512A (en) Labelling machines
JP2003523906A (ja) 搬送コイル付きディスペンサ
US4563235A (en) Hand-held labeler
AU688774B2 (en) Correction tape dispenser
JPS6025375Y2 (ja) 手動型ラベラ−
JP2627250B2 (ja) 印字ヘッド用クリーナ
JPS5917648Y2 (ja) 印字リボンの送り装置
JPH0337516B2 (ko)
JP2627249B2 (ja) 印字ヘッド用クリーナ
JPH0534948Y2 (ko)
JPH0541894U (ja) テープ式字消し器
JPH02158541A (ja) 紙送り装置
JPH10138693A (ja) 塗布具の転写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5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