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3846B1 - 공급 릴에 감겨진 기재 스트립으로부터 접착 재료 또는 피복 재료 또는 채색 재료의 필름을 대상물에 전달하기 위한 휴대형 기구 - Google Patents

공급 릴에 감겨진 기재 스트립으로부터 접착 재료 또는 피복 재료 또는 채색 재료의 필름을 대상물에 전달하기 위한 휴대형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3846B1
KR100473846B1 KR10-1999-7001608A KR19997001608A KR100473846B1 KR 100473846 B1 KR100473846 B1 KR 100473846B1 KR 19997001608 A KR19997001608 A KR 19997001608A KR 100473846 B1 KR100473846 B1 KR 100473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ssette
supply reel
film
substrate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1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8370A (ko
Inventor
셈러죠오지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빅 filed Critical 소시에떼 빅
Publication of KR20000068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8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8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B65H37/005Hand-held apparatus
    • B65H37/007Applicators for applying coatings, e.g. correction, colour or adhesive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02For plural parts or plural areas of single part
    • Y10T156/1705Lamina transferred to base from adhered flexible web or sheet type carri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88Work traversing type and/or means applying work to wall or static structure
    • Y10T156/1795Implement carried web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8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handle or handgrip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 Unwinding Web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접착 재료 또는 피복 재료 또는 채색 재료의 필름(45)을 공급 릴(4)에 감겨진 기재 스트립(6)으로부터 대상물(14) 위로 전달하기 위한 휴대형 기구(1)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하우징(2)과;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고, 기재 스트립 부분(6a)을 안내하고 이동시키는 가압 정점부(11)를 구비하며, 하우징(2) 위에 장착된 가압 작용부(9)와; 하우징의 내부에 공급 릴(4) 및 상기 공급 릴(4)로부터 풀려서 가압 작용부(9) 주위에서 안내되고 이동되는 기재 스트립(6)을 위한 권취 릴(5)을 위해 배열된 두 개의 장착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2)이 상기 공급 릴(4) 및 상기 권취 릴(5)을 지지하는 카세트를 교체할 목적으로 개방되고, 위치 설정 장치(7)가 상기 카세트(3)를 상기 하우징(2) 내에 설치하기 위해 제공되며, 상기 기재 스트립 부분(6a)이 상기 카세트(3)의 상기 하우징 반쪽부(2a)에 대한 측방향으로의 결합 이동에 의해 상기 가압 작용부(9)와 접촉할 수 있도록 기재 스트립/장착 장치(25)가 상기 가압 작용부(9) 쪽을 향하는 상기 카세트(3)의 단부 영역에 배열된다.

Description

공급 릴에 감겨진 기재 스트립으로부터 접착 재료 또는 피복 재료 또는 채색 재료의 필름을 대상물에 전달하기 위한 휴대형 기구{HAND-HELD IMPLEMENT FOR TRANSFERRING A FILM OF E.G. ADHESIVE OR COATING OR COLOURED MATERIAL FROM A BACKING STRIP WOUND ON A SUPPLY REEL TO A SUBSTRATE}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서문에 따른 휴대형 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형태의 휴대형 도포 기구(이하에서는 간단히 "휴대형 기구"라 한다)는 독일 특허 공보 제 DE 36 44 946 C2호에 개시되었다. 이러한 공지된 휴대형 기구에서 가압 작용부 및 스트립 안내부는 카세트 상에 배열된다. 또한, 특정의 기재 장치가 상기 카세트와 가압 작용부 부근의 하우징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카세트를 하우징내에 장착된 위치에서 지지한다. 이러한 공지된 장치에서 카세트는 전방으로부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된다. 그렇지만, 이것은 장치의 구조 및 조립을 복잡하게 하여, 상당한 제조 비용을 초래한다. 또한 이에 의하면, 카세트가 교체될 때에 카세트와 가압 작용부 모두가 버려져야 하는 "손실" 부품이 되기 때문에 재료면에 있어서도 비경제적이다.
이와는 별도로, 상기 공지된 장치에서 릴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기구는 카세트로부터 분리되는 구동 기구로서 상기 하우징 내에 배열된다. 또한 회전 축 구동부가 구동 기구와 릴 사이에 배열되어야 하기 때문에 설계 및 구조가 복잡해진다.
도 1은 두 개의 반쪽부로 이루어진 하우징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기구의 전방 상부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개방된 상태의 하우징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은 카세트를 포함한 하우징 반쪽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카세트의 평면도이다.
도 5는 하부로부터 본 카세트의 도면이다.
도 6은 하우징 반쪽부내에 카세트를 장착 과정 중인 위치에서의 평면도이다.
기재(基材) 스트립으로부터 필름을 대상물 위로 전달하기 위한 청구항 1의 서문에 기술된 형태의 휴대형 기구가 일본 특허 문헌 초록 096권 011호(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08 175 738호)에 공지되었다. 이 문헌에 개시된 장치는 공급 릴 기어와 권취(券取, take-up) 릴 기어를 수용하는 활주 테이블을 포함하며, 활주 테이블은 핀에 의한 안내에 의해 헤드와 접촉하고 헤드로부터 분리되는 방식으로 연동 장치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상기 공지된 기술의 상태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수단에 의해 두개의 릴과 기재 스트립을 수용하는 카세트를 복잡하지 않고 확실하게 교체할 수 있게 하는 서문에 기술된 형태의 휴대형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가압 작용부는 카세트에 장착되지 않고 하우징에 장착된다. 또한, 하우징을 측면으로 개방함으로써 카세트는 측부에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취급 및 사용의 용이함이 보장됨과 동시에, 단순하고 저렴하며 간편한 설계와 구조가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 작용부는 카세트가 교체될 때에 하우징에 남아있게 되는 하우징의 구조적인 부품이어서 교환될 필요가 없으므로, 더 이상은 공지된 장치의 경우처럼 "손실" 부품이 아니다. 또한, 가압 작용부는 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하중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와 관련하여 주목할 점은, 필름이 기재 스트립에서 대상물로 전달될 때에 손에 의한 압축력이 하우징 위에 가해지고 이어서 가압 작용부에 직접 전달된다는 점이다. 또한, 가압 작용부를 하우징에 직접 배열하기 때문에 가압 작용부의 더 나은 위치 설정을 달성할 수 있어서, 이는 불가피한 공차와 관련하여 중요하다.
본 발명은, 공급 릴로부터 가압 작용부를 지나 권취 릴까지 이어지는 기재 스트립 부분은 그 양쪽 단부가 상기 릴들에 연결되기 때문에 소정의 고유 강성(stiffness)을 가지며, 그와 같은 강성은 설령 상기 스트립이 루프(loop) 또는 곡선 경로의 형태로 이동하는 경우라 할지라도 가압 작용부상에서의 측방향 변위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한다. 기재 스트립 부분을 포함하는 카세트의 일 단부가 가압 작용부에 대하여 약간 경사진 그리고/또는 가압 작용부에 대하여 후방으로 다소 옮겨진 위치에서, 카세트를 수용하는 하우징 반쪽부상에 카세트가 장착될 수 있어서, 기재 스트립 부분은, 가압 작용부의 전방에 위치된 다음에, 하우징 반쪽부에 평행하게 위치 설정 장치 또는 베어링부로 이동되거나, 또는 가압 작용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쪽에서 위치 설정 장치 또는 베어링부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갈래 형상의 아암(two fork-shaped arm) 형태인 장착 장치의 설치 및 구성에 의해 기재 스트립의 루프가 아무런 문제 없이 가압 작용부 위에 접촉할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카세트 장착 수순은 단순하고 빠르게 그리고 사용자에게 친숙한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종속항들은 카세트의 삽입 및 기재 스트립의 안내를 더욱 개선하는 특징을 포함하고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용이한 하우징을 제공하므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배열될 수 있는 소형 부품들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단순하고 저렴한 제조가 보장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본 발명에 의해 성취될 수 있는 추가적인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바탕으로 첨부된 도면을 통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휴대형 기구(1)의 주요 요소들에는, 하우징 반쪽부(2a, 2b)들을 구비한 종방향으로 분리할 수 있는 하우징(2)과, 기재 스트립(6)용 공급 릴(4) 및 권취 릴(5)이 장착되고 그리고/또는 베어링부 및 스트립 안내부상에서 안내되는 카세트(3)와, 하우징 반쪽부(2a)상에 배열된 위치 설정 부분(7a1, 7a2)들 및 카세트(3)상에 배열된 위치 설정 부분(7b1, 7b2)들을 구비한 위치 설정 장치(7)와, 하우징 반쪽부(2a)상에 배열된 안내부(8a1, 8a2)들 및 카세트(3)상에 배열된 안내부(8b1, 8b2)들을 구비하여 삽입 위치와 후단 위치 사이로 카세트(3)를 도입하기 위한 안내 장치(8)와, 상기 하우징(2)으로부터 돌출된 위치에 압력 정점부(11)를 가지며 하우징(2)상에 장착된 가압 작용부(9)가 있다.
하우징(2)은 평평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따라서 반대편에서 서로 마주보는 넓은 측벽(2c, 2d)들 및 협소한 주변벽(2e)을 가진다. 상기 하우징 반쪽부(2a, 2b)들은 가압 작용부(9)의 반대편인 단부 영역에서 힌지(12)에 의해 서로가 결합되어 있어서 개방될 수 있다. 도 2에 따른 개방된 상태에서, 하우징 반쪽부(2a)는 평평한 하우징 하부를 형성하고 하우징 반쪽부(2b)는 주변벽(2e)을 가진 캡(cap) 형상의 덮개부를 형성한다. 힌지(12) 반대편의 단부 영역, 즉 가압 작용부(9)의 부근에, 폐쇄 장치, 바람직하게 잠금 장치(13)가 하우징 반쪽부(2a, 2b)들상에 배열된다. 작은 주변벽 융기부(2f)가 평평한 하우징 반쪽부(2a)상에 제공되어, 하우징(2)이 폐쇄된 상태에서, 주변벽(2e) 및 주변벽 융기부(2f)는 각각의 가장자리 요부(凹部) 및 가장자리 철부(凸部)를 통해 서로가 확실하게 맞물린다.
가압 작용부(9)의 정점부(11)는 하우징(2)의 넓은 측벽(2c, 2d)들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한다. 하우징(2)이 도 1에에서 같은 사용 위치에 있는 때에, 가압 작용부(9)는 횡방향 및 하향 돌출하는 위치에 있게 되어, 가압 작용부(9)의 정점부(11)가, 예를 들면 한 장의 종이와 같은 대상물(14) 위에서 하향 각도로 가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넓은 측벽(2c, 2d)들의 측방에서 본 하우징(2)은 그 선단부에 가압 작용부(9)가 위치하는 쐐기(wedge) 형상을 가진다. 쐐기각 W는 약 20° 내지 40°, 특히 약 30°이다. 가압 작용부(9) 반대편의 하우징(2) 단부는 사각형 또는 원형, 특히 반원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오목한 원형 홈(15)이 하우징(2)의 전단부 영역에서 협소한 상부 측면상에 제공된다. 하우징(2)의 크기는 사용 위치에서 휴대형 기구를 사용하는 사람의 손에 쉽고 편리하게 들어 맞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가압 작용부(9)에 전달되는 하우징(2)상의 하향 압력이 손가락, 특히 홈(15)의 전방 영역에 접촉하는 집게 손가락에 의해 쉽게 가해질 수 있다.
카세트(3)는 하우징 반쪽부(2a)의 측벽(2c)의 내측과 접촉할 수 있는 평평한 평면 기판(16)을 가진다. 각 릴(4, 5)에 대해서, 상기 릴(4, 5)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중공의 원통형 베어링 부시(bush)(17, 18)가 평면 기판(16)의 내측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연장된다. 릴(4, 5)의 회전 축(4a, 5a)의 간격은 적어도 한 쌍의 릴 플랜지(flange)(19, 21)가 서로 겹쳐지도록 충분히 크다.
릴(4, 5) 사이에는 구동 기어 기구(22)가 작동하고, 상기 구동 기구의 변속비는 충분히 커서, 권취 직경이 작은 경우에도 권취 릴(5)측의 회전 속도가 공급 릴(4)의 회전 속도보다 항상 같거나 크다. 이와 관련하여, 기재 스트립(6)에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장력이 작용하면, 이에 따라 구동 기구(22)에 미끄러짐이 발생하도록 한다. 따라서 기재 스트립(6)은 끊어지지 않고 항상 장력이 가해지는 상태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동 기구(22)는 릴(4, 5) 사이에 직접 배열된다. 구동 기구는 두 개의 겹쳐진 릴 플랜지(19, 21)들의 부분에서 톱니 기어 구동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링 기어(23)가 공급 릴(4)의 상부 릴 플랜지(19)의 원주부에 설치되는 한편, 이것과 짝을 이루는 링 기어(24)가 권취 릴(5)의 릴 플랜지(21)의 외측면상에, 바람직하게는 경사진 배열로 제공된다. 경사진 배열로 인하여, 소정의 장력이 초과되면 링 기어(23)과 맞물려 있는 릴 플랜지(19)가 비스듬하게 비껴질 수 있게 되어, 미끄러짐 수단을 형성하게 된다.
평면 기판(16)은 그 전단부가 가압 작용부(9)로부터 거리 a 에서 종결하도록 놓여진다. 두 갈래의 직립 벽(two vertical forked wall) 부재(25)가 평면 기판(16)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고, 두 갈래의 직립 벽 부재(25)는 그 후단부에 있는 반원형 연결 벽에 의해 U-형 스트립 지지부 또는 스트립 안내부(27)를 형성할 수 있다. 두 개의 추가적인 스트립 안내 부품들이 평면 기판(16)으로부터 돌출한 핀들 또는 스터드(stud)들에 의해 평면 기판(16)의 하부 가장자리 영역내에 형성되어, 후방 스트립 안내 핀(28)은 공급 릴(4)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이격되어 있고 전방 스트립 안내 핀(29)은 스트립 안내부(27)의 후방 하부로부터 약 1mm의 가까운 거리에 이격되어 있다.
가압 작용부(9)는 압력 정점부(11)로 종결하는 쐐기형 가압 작용 헤드(9a) 및 상기 헤드(9a)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한 섕크(shank)(9b)를 구비하며, 섕크(9b)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플러그인 소켓(plug-in socket)(31)에 의해, 가압 작용부(9)는 하나의 하우징 반쪽부에 또는 하우징 반쪽부(2a, 2b)들 양쪽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섕크는, 횡방향으로 확대되는 형상의 후단 확대부(32)를 구비하며, 하우징 반쪽부(2a)의 내측상의 상응하는 형상의 플러그인 부시(plug-in bush)(33)에 작은 동작 또는 클램핑 방식에 의해 횡방향으로 삽입되고, 전술한 후단 확대부(32)로 인해 길이 방향으로 견고하게 지지된다. 플러그인 부시(33)는 전방을 향하여 개방된 얇은 U-형 부시 벽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플러그인 부시(33)의 높이는 측벽(2c, 2d)들 중 하나의 내측으로부터 다른 내측까지 연장하는 섕크의 폭인 b 보다 작고, 다른 하우징 반쪽부(2b)의 측벽(2d)상에는 마찬가지의 확실한 방식으로 섕크(9b)가 끼워지는 플러그인 부시가 또한 배열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섕크(9b)는 두 개의 하우징 반쪽부(2a, 2b)상의 제 위치에 지지된다.
가압 작용부(9)의 가압 작용 헤드(9a)는 하우징 반쪽부(2b)의 주변벽(2d)을 관통하여 하우징(2)의 선단부에 위치한 개구부로부터 돌출하고, 개구부의 크기는 기재 스트립(6)의 출입을 위한 틈(34)이 쐐기형 가압 작용 헤드(9a)에 의해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안내 표면(9c, 9d) 양쪽 모두에 각각 형성되도록 주어진다.
두 갈래의 직립 벽 부재(25)는, 그 자유 단부에서 경사지거나 또는 만곡하는 방식으로 전방을 향하여 수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2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카세트(3)가 장착된 장착 위치에서,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명확하게 나타내진 것처럼 쐐기 또는 만곡 구간을 형성하도록 경사진 두 갈래의 직립 벽 부재(25)의 후방 영역에서, 플러그인 부시(33)를 둘러싼다. 이에 따라, 위치 설정 요소(7b1)를 형성하는 두 갈래의 직립 벽 부재(25)의 단부에 의해 그리고 위치 설정 요소(7a1)를 형성하는 플러그인 부시(33)의 C-형 만곡부(33a)에 의해 제 1 위치 설정부(7.1)가 형성된다. 위치 설정 장치(7)의 제 2 위치 설정부(7.2)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반쪽부(2a)의 측벽(2c) 내측상에서 돌출하는 중공의 원통형 플러그인 페그(plug-in peg)(35)에 의해 형성되며, 플러그인 페그(35)는 평면 기판(16)의 플러그인 구멍(36)내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베어링 부시(17)내에도 또한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플러그인 페그(35) 및 플러그인 구멍(36)은 하우징 측의 위치 설정 요소(7a2) 및 카세트 측의 위치 설정 요소(7b2)에 의해 위치 설정 장치(7)의 제 2 위치 설정부(7.2)를 형성한다. 카세트(3)의 장착 위치에서, 평면 기판(16)은 그 주변 전체에 걸쳐서 하우징 반쪽부(2a)의 주변벽 융기부(2f)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또한, 평면 기판(16)이 주변벽 융기부(2f)에 접촉하는 방식으로 끼워지도록 위치 설정 장치(7)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안내 장치(8)는 각각 전방 안내부(8.1) 및 후방 안내부(8.2)를 구비한다. 후방 안내부(8.2)는 평면 기판(16)에 있는 안내 장치 요소(8b2)로서 평면 기판(16)의 하측면상에 평평한 오목부(37)에 의해 형성되고, 오목부(37)는 후방을 향하여 발산하는 톱니 경사면 형상(flank-shaped)의 오목부 벽(38)에 의해 경계가 구분되고, 오목부 벽(38)은 상기 플러그인 구멍(36)에 접하여 후방을 향하여 연장하며 플러그인 페그(35)를 안내 장치 요소(8a2)로서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안내 장치의 전방 안내부(8.1)는, 탄력에 의해 바깥으로 벌어질 수 있고 플러그인 부시(33)에 있는 만곡부(33a)의 측부 영역과 함께 안내 장치 요소(8b1)로써 작용하는 두 갈래의 직립 벽 부재(25)에 의해, 안내 장치 요소(8a1)로 형성된다. 이러한 점은 아래에 기술될 카세트(3)의 장착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명료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릴(4, 5) 및 기재 스트립(6)을 구비한 카세트(3)가 즉시 사용 가능 부품(ready-to-use unit)으로서 미리 조립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공급 릴(4)로부터 권취 릴(6)까지 연장하는 기재 스트립 부분(6a)이 가압 작용부(9)보다 더 전방에서 자유롭게 존재하는 루프를 형성하도록 한 다음, 카세트(3)를 삽입하기 위해서, 손에 쥐어 진 카세트(3)가 가압 작용부(9)에 대해 평행하거나 경사진 위치에서, 가압 작용부(9)에 상기 루프를 장착하고, 카세트(3)가 하우징 반쪽부(2a)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가압되어 위치 설정 장치(7)로 도입된다.
이와 관련하여, 장착 위치보다 전방으로 변위된 카세트의 위치에서 스트립 루프를 건 다음에, 안내 장치(8)의 안내에 따라 카세트(3)를 장착 위치까지 후방으로 변위시키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더욱이, 후방의 장착 위치로 변위하는 동안, 기재 스트립(6)이 공급 릴(4)로부터 인출되도록 루프를 짧게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카세트(3)를 전방 변위된 위치에서 후방의 장착 위치로 변위시켜 장착하는 후자의 경우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이 경우에는, 루프를 형성한 기재 스트립 부분(6a)이 장착 장치인 두 갈래의 직립 벽 부재(25)의 자유 단부들 주위에 놓여서 미리 조립되며, 카세트(3)의 장착 위치에서, 릴(4)의 회전 축(4a)으로부터 두 갈래의 직립 벽 부재(25)의 자유 단부까지의 거리 c는 회전 축(4a)으로부터 정점부(11)의 거리 d보다 작다. 두 갈래의 직립 벽 부재(25)의 자유 단부의 측면 가장자리상에 대향하여 배열되어 있는 한 쌍의 안내 융기부(39)에 의해, 기재 스트립(6)은 한 쌍의 안내 융기부 각각에 있는 홈 형상의 트랙에서 확실하게 안내될 수 있다. 전방을 향하여 변위된 삽입 위치에 카세트(3)를 삽입하면, 카세트(3)가 가압 작용부(9)에 대해 평행하거나 경사진 위치에서, 두 갈래의 직립 벽 부재(25)가 가압 작용부(9) 주위에 장착되게 되므로, 루프 형상의 기재 스트립 부분(6a)은 압력 정점부(11)의 전방에 돌출되어 놓여진다(도 6). 두 갈래의 직립 벽 부재(25)의 아암들(arms) 서로간의 거리 e가 가압 작용부(9)의 관련된 단면 치수보다 더 작은 경우, 두 갈래의 직립 벽 부재(25)는 자발적으로 탄성에 의해 벌어질 수 있다. 이 때에 상기 안내 장치(8)의 전방 안내부(8.1)는 이미 안내를 하기 위한 안내 위치에 존재한다. 그 다음에, 카세트(3)는 필요에 따라 하우징 반쪽부(2a)에 대하여 단순히 경사질 수가 있고, 여기에서 플러그인 페그(35)는 오목부(37)의 영역으로 들어가고, 또한 후방 안내부(8)는 안내 기능을 실행하게 되고, 카세트(3)는 화살표(40)로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으로의 변위에 의해 장착 위치로 변위되고, 위치 설정 장치(7)의 후방 위치 설정부(7.2)는 플러그인 페그(35)가 플러그인 구멍(36)내에 결합하도록 작용한다. 카세트의 후방으로의 변위에 의해 필요한 양의 기재 스트립(6)이 풀려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세트를 장착하기 위한 특정의 장착 절차에 관한 것이다. 그 다음에 해야할 것은 하우징(2)의 반쪽부들을 함께 닫는 것이다.
안내 장치(8)의 전방 안내부(8.1)의 안내 기능은 평면 기판(16)의 전방 영역의 하면측에 전방으로 개방된 오목부(41)를 마련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41)에 의해, 섕크(9b) 후방의 후단 확대부(32) 및 플러그인 부시(33)가 오목부(41)에 끼워지는 상태가 됨으로서, 카세트(3)가 하우징 반쪽부(2a)에 신속하게 접할 수 있게 된다.
힌지(12)는 꼭 끼워질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하우징 반쪽부(2a)상에 바람직하게 배열된 힌지 축(12a)이 제공되어, 힌지 축(12a)은 하우징 반쪽부(2b)상에서 측벽(2c)에 대해 횡으로 연장한 힌지 벽(12c)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배열된 두 개의 힌지 오목부(12b) 안으로 찰깍하고 끼워진다.
잠금 장치(13)는 바람직하게 하우징(2)의 전단부 영역의 상부에 배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잠금 장치는 하우징 반쪽부(2a)의 측벽(2c) 상단 부분에 마련된 잠금 오목부(13b)에 형성된 잠금 가장자리와 탄력적으로 결합하는 포착부(catch)(13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포착부(13a)는 주변벽(2e)으로부터 절단되어 두 개의 횡으로 이어지는 부분 또는 슬릿(slit)(13c)을 가지는 탄력부(spring arm)(13d)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고, 탄력부는 잠금 장치(13)를 해제시키기 위해서 손가락 압력에 의해 구부려질 수 있다. 상기 잠금 오목부(13b)는 적절한 정도의 탄력성을 가지도록 치수가 주어진다.
전술한 휴대형 기구(1)를 구성하는 개별 부품들은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고, 구체적으로는 사출 성형된 부품들이다. 휴대형 기구(1)를 제조하는 데에는 단지 일곱 개의 부품, 즉, 두 개의 하우징 반쪽부(2a, 2b)들과, 가압 작용부(9)와, 평면 기판(16)과 두 갈래의 직립 벽 부재(25) 및 스트립 안내부들를 함께 구비한 카세트(3)와, 공급 릴(4)과, 권취 릴(5)과, 그리고 기재 스트립(6)에 의해 가능하다.
기재 스트립(6)의 하면상에 피복된 필름(45)을 대상물(14) 위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기구(1)는 손 안에 쥐어지고 도 1에 따른 자세에서 대상물(14) 위로 가압되며, 이 때에, 가압 작용부(9)만이 가압 정점부(11)와 함께 대상물(14)에 대하여 기재 스트립(6)을 가압한다. 상기 휴대형 기구(1)가 대상물(14)상에서 화살표(46)로 나타낸 것처럼 후방으로 당겨질 때, 기재 스트립은 공급 릴(4)에서 풀리는 동시에 권취 릴(5)에 감겨지고, 가압 정점부(11) 위의 필름(45)은 기재 스트립(6)으로부터 벗겨져서 대상물(14) 위에 스트립 형상의 피복 또는 층으로 남는다.

Claims (11)

  1. 접착 재료 또는 피복 재료 또는 채색 재료의 필름(45)을 공급 릴(4)에 감겨진 기재(基材) 스트립(6)으로부터 대상물(14) 위로 전달하기 위한 휴대형 기구(1)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기구는
    하우징(2)과,
    상기 하우징(2)으로부터 돌출하여 장착되어 기재 스트립 부분(6a)을 안내하여 이동시키는 가압 정점부(11)를 구비하는 가압 작용부(9)와,
    상기 하우징(2) 내부에 배열되어, 공급 릴(4)과 상기 공급 릴(4)로부터 인출되어 가압 작용부(9)를 돌아서 안내되고 이동되는 기재 스트립(6)을 권취하는 권취 릴(5)을 장착하기 위한 두 개의 장착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2)이 공급 릴(4) 및 권취 릴(5)을 지지하는 카세트를 교체할 목적으로 개방되고, 위치 설정 장치(7)가 카세트(3)를 하우징(2) 내에 위치 설정하기 위해 제공되며,
    상기 기재 스트립 부분(6a)이 상기 카세트(3)의 상기 하우징 반쪽부(2a)에 대한 후방의 장착 위치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가압 작용부(9)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장착 장치가 상기 가압 작용부(9) 쪽을 향하는 상기 카세트(3)의 단부 영역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장착 장치가 두 갈래의 직립 벽(two vertical forked wall) 부재(25)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두 갈래의 직립 벽 부재(25)의 아암(arm) 길이가 가압 작용부(9)의 해당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재료 또는 피복 재료 또는 채색 재료의 필름을 공급 릴에 감겨진 기재 스트립으로부터 대상물 위로 전달하기 위한 휴대형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공급 릴(4)의 회전 축(4a)으로부터 상기 두 갈래의 직립 벽 부재(25)의 단부까지의 거리(c)가 공급 릴(4)의 회전 축(4a)으로부터 가압 작용부(9)의 정점부(11)까지의 거리(d)보다 더 작고, 장착 위치에서의 상기 카세트(3)는 가압 작용부(9)에 대하여 후방으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재료 또는 피복 재료 또는 채색 재료의 필름을 공급 릴에 감겨진 기재 스트립으로부터 대상물 위로 전달하기 위한 휴대형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갈래의 직립 벽 부재(25)의 아암들 상호간 거리(e)가 가압 작용부(9)의 관련 단면 치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재료 또는 피복 재료 또는 채색 재료의 필름을 공급 릴에 감겨진 기재 스트립으로부터 대상물 위로 전달하기 위한 휴대형 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갈래의 직립 벽 부재(25)의 아암들 상호간 거리(e)가 가압 작용부(9)의 관련 단면 치수보다 작고, 상기 두 갈래의 직립 벽 부재(25)가 탄성적으로 벌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재료 또는 피복 재료 또는 채색 재료의 필름을 공급 릴에 감겨진 기재 스트립으로부터 대상물 위로 전달하기 위한 휴대형 기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이 종방향으로 두 개의 하우징 반쪽부(2a, 2b)들로 분할되고, 상기 두 개의 하우징 반쪽부(2a, 2b)들은, 폐쇄 장치, 특히 잠금 장치(13)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재료 또는 피복 재료 또는 채색 재료의 필름을 공급 릴에 감겨진 기재 스트립으로부터 대상물 위로 전달하기 위한 휴대형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반쪽부(2a, 2b)들이 힌지(12)에 의해 서로에 대해 개방되고 폐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재료 또는 피복 재료 또는 채색 재료의 필름을 공급 릴에 감겨진 기재 스트립으로부터 대상물 위로 전달하기 위한 휴대형 기구.
  7. 제5항에 있어서, 하나의 하우징 반쪽부(2a)는 평평하고 다른 하우징 반쪽부(2b)는 캡-형상 단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재료 또는 피복 재료 또는 채색 재료의 필름을 공급 릴에 감겨진 기재 스트립으로부터 대상물 위로 전달하기 위한 휴대형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3)는 평평한 하우징 반쪽부(2a) 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재료 또는 피복 재료 또는 채색 재료의 필름을 공급 릴에 감겨진 기재 스트립으로부터 대상물 위로 전달하기 위한 휴대형 기구.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위치 설정 장치(7)가 하우징(2)과 카세트(3)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위치 설정 장치(7)는 하우징(2)에 설치된 위치 설정 요소(7a1, 7b1) 및 카세트(3)에 설치된 위치 설정 요소(7a2, 7b2)에 의해 서로 끼워지는 방식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재료 또는 피복 재료 또는 채색 재료의 필름을 공급 릴에 감겨진 기재 스트립으로부터 대상물 위로 전달하기 위한 휴대형 기구.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안내 장치(8)가 상기 하우징(2)과 상기 카세트(3)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안내 장치(8)는 상기 하우징(2)에 설치된 안내 요소(8a1, 8a2) 및 상기 카세트(3)에 설치된 안내 요소(8b1, 8b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재료 또는 피복 재료 또는 채색 재료의 필름을 공급 릴에 감겨진 기재 스트립으로부터 대상물 위로 전달하기 위한 휴대형 기구.
  11. 삭제
KR10-1999-7001608A 1996-09-02 1997-08-13 공급 릴에 감겨진 기재 스트립으로부터 접착 재료 또는 피복 재료 또는 채색 재료의 필름을 대상물에 전달하기 위한 휴대형 기구 KR1004738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35586A DE19635586B4 (de) 1996-09-02 1996-09-02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es aus z. B. klebendem oder deckendem oder farbigem Material von einem auf einer Vorratsspule aufgewickelten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DE19635586.9 1996-09-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8370A KR20000068370A (ko) 2000-11-25
KR100473846B1 true KR100473846B1 (ko) 2005-03-07

Family

ID=7804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1608A KR100473846B1 (ko) 1996-09-02 1997-08-13 공급 릴에 감겨진 기재 스트립으로부터 접착 재료 또는 피복 재료 또는 채색 재료의 필름을 대상물에 전달하기 위한 휴대형 기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000455A (ko)
EP (1) EP0925250B1 (ko)
JP (1) JP3953114B2 (ko)
KR (1) KR100473846B1 (ko)
CN (1) CN1080695C (ko)
AR (1) AR009504A1 (ko)
AT (1) ATE229470T1 (ko)
BR (1) BR9711656A (ko)
DE (2) DE19635586B4 (ko)
ES (1) ES2190540T3 (ko)
WO (1) WO19980099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02345A1 (de) * 1997-01-23 1998-07-30 Tipp Ex Gmbh & Co Kg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e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DE19816925B4 (de) * 1998-04-16 2009-12-10 SOCIéTé BIC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e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TW394747B (en) * 1998-06-24 2000-06-21 Plus Kk A Coated film transfer-printing apparatus
JP4603738B2 (ja) * 2001-09-28 2010-12-22 プラス株式会社 塗布膜転写具
US6913060B2 (en) * 2002-08-29 2005-07-05 Conros Corporation Adhesive tape dispenser
US7204287B2 (en) * 2003-01-23 2007-04-17 Xyron, Inc. Transfer devices
US6997229B2 (en) * 2003-09-16 2006-02-14 Sanford, L.P. Rotatable applicator tip for a corrective tape dispenser
US20050056375A1 (en) * 2003-09-16 2005-03-17 Sanford, L.P. Applicator tip for a corrective tape dispenser
JP4228915B2 (ja) * 2003-12-26 2009-02-25 コクヨ株式会社 スライド部材のロック構造及び転写具
JP4186023B2 (ja) * 2003-12-26 2008-11-26 コクヨ株式会社 転写具
CN101511605A (zh) * 2006-09-07 2009-08-19 雅芳产品公司 薄膜分配器
JP4934837B2 (ja) * 2007-04-27 2012-05-23 コクヨ株式会社 転写体装填補助具
JP4966821B2 (ja) * 2007-10-29 2012-07-04 ゼネラル株式会社 転写具
US8397784B2 (en) 2010-08-31 2013-03-19 Sanford, L.P.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CA139654S (en) * 2010-11-15 2011-10-07 Plus Kk Refill cartridge for a film dispensing tool for stationery
US8578999B2 (en) 2010-12-29 2013-11-12 Sanford, L.P. Variable clutch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US8746313B2 (en) 2010-12-29 2014-06-10 Sanford, L.P. Correction tape re-tensioning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comprising same
US8746316B2 (en) 2011-12-30 2014-06-10 Sanford, L.P. Variable clutch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TWI476117B (zh) * 2012-01-20 2015-03-11 Sdi Corp Film transducers
JP6348345B2 (ja) * 2014-06-12 2018-06-27 プラス株式会社 塗布膜転写具
CA173237S (en) * 2016-09-01 2018-09-19 SOCIéTé BIC Correction tape dispenser
USD994018S1 (en) 2021-01-06 2023-08-01 Conros Corporation Tape dispens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8971A (en) * 1986-10-09 1988-01-12 Moore Push-Pin Company Dispenser for a transfer adhesive
DE3902552C1 (ko) * 1989-01-28 1990-04-26 Henkel Kgaa, 4000 Duesseldorf, De
DE4220843C1 (ko) * 1992-06-25 1993-08-05 Citius Buerotechnik Gmbh, 8906 Gersthofen, De
DE4322120C1 (de) * 1993-07-02 1995-01-19 Pelikan Ag Wechselkassette für ein Handgerät zur Übertragung eines Filme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DE4322118C1 (de) * 1993-07-02 1994-11-17 Pelikan Ag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JP2829699B2 (ja) * 1993-12-03 1998-11-25 シードゴム工業株式会社 塗膜転写具
JP3420346B2 (ja) * 1994-08-12 2003-06-23 ゼネラル株式会社 テープカートリッジ
TW318812B (ko) * 1994-12-12 1997-11-01 Yutoku Gum Kogyo Kk
JP2943134B2 (ja) * 1995-11-01 1999-08-30 シードゴム工業株式会社 塗膜転写具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塗膜転写具
JP3420364B2 (ja) * 1994-12-21 2003-06-23 ゼネラル株式会社 転写具の連動機構
JP3306464B2 (ja) * 1994-12-26 2002-07-24 ユニオンケミカー株式会社 転写器
JP2869855B2 (ja) * 1995-03-28 1999-03-10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字消し具
JP3548936B2 (ja) * 1995-05-16 2004-08-04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塗布具
JP3516188B2 (ja) * 1995-10-27 2004-04-05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塗布具の転写テープ送出、巻取り部
US5795085A (en) * 1997-03-05 1998-08-18 Yoo; Kwang-Ho Correction ta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90540T3 (es) 2003-08-01
CN1080695C (zh) 2002-03-13
JP2001504419A (ja) 2001-04-03
WO1998009905A1 (en) 1998-03-12
DE69717830T2 (de) 2003-05-28
ATE229470T1 (de) 2002-12-15
DE19635586A1 (de) 1998-03-05
AR009504A1 (es) 2000-04-26
BR9711656A (pt) 1999-08-24
US6000455A (en) 1999-12-14
EP0925250B1 (en) 2002-12-11
CN1228747A (zh) 1999-09-15
JP3953114B2 (ja) 2007-08-08
DE19635586B4 (de) 2005-10-20
KR20000068370A (ko) 2000-11-25
EP0925250A1 (en) 1999-06-30
DE69717830D1 (de) 200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3846B1 (ko) 공급 릴에 감겨진 기재 스트립으로부터 접착 재료 또는 피복 재료 또는 채색 재료의 필름을 대상물에 전달하기 위한 휴대형 기구
AU684410B2 (en) Tape dispenser
KR920008339B1 (ko)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필름을 옮기는 장치
US8266755B2 (en) Cleaning device of optical connector
US5897742A (en) Hand-held implements for transferring a film from a backing strip onto a substrate
US6273982B1 (en) Manual device for transferring a film from a carrier tape to a substrate
NL1009050C2 (nl) Materiaaloverbrengingsinrichting.
US7117915B2 (en) Hand-held device for applying a film of adhesive, covering or colored material onto a substrate
EP0075665B1 (en) Ribbon cartridge with integral pivoted ribbon guide
EP2335946A1 (en) Transfer tool
JP2002523318A (ja) キャリア・テープに塗布されたフィルム状の物質を基体へ転写する器具
CA2430140C (en) Viscous clutch for a correction tape reel assembly
KR100737771B1 (ko) 백킹 테이프에서 작용면으로 필름을 이송하기 위해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 어플리케이션 부재를 갖는 핸드헬드 장치
MXPA03007086A (es) Dispositivo portatil para transferir una pelicula sobre un sustrato y que tiene un elemento de aplicacion que comprende una pluralidad de bordes de aplicacion.
JP4997535B2 (ja) 転写具
CA2165316C (en) Correction tape dispenser
JP3576643B2 (ja) 塗布膜転写具における詰替え用転写テープ
JP2004535999A (ja) フィルム移転用手動ツール
JPH0528049Y2 (ko)
JP2537318Y2 (ja) インクリボンカセット
JPH024027Y2 (ko)
JP4934837B2 (ja) 転写体装填補助具
JPS6031512B2 (ja) 電工用ナイフの鞘
JPH0224725Y2 (ko)
KR200395382Y1 (ko) 테이프부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