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7771B1 - 백킹 테이프에서 작용면으로 필름을 이송하기 위해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 어플리케이션 부재를 갖는 핸드헬드 장치 - Google Patents

백킹 테이프에서 작용면으로 필름을 이송하기 위해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 어플리케이션 부재를 갖는 핸드헬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7771B1
KR100737771B1 KR1020027011191A KR20027011191A KR100737771B1 KR 100737771 B1 KR100737771 B1 KR 100737771B1 KR 1020027011191 A KR1020027011191 A KR 1020027011191A KR 20027011191 A KR20027011191 A KR 20027011191A KR 100737771 B1 KR100737771 B1 KR 100737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member
housing
handheld device
use position
backing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1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5203A (ko
Inventor
롤리옹프랑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빅 filed Critical 소시에떼 빅
Publication of KR20030015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B65H37/005Hand-held apparatus
    • B65H37/007Applicators for applying coatings, e.g. correction, colour or adhesive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2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cutting, punching, piercing, severing or tearing
    • Y10T156/1348Work traversing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88Work traversing type and/or means applying work to wall or static structure
    • Y10T156/1795Implement carried web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8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handle or handgrip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Manipulator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Die 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킹 테이프(2)로부터 예를 들면 접착성이 있고, 덮어 씌워진 또는 착색된 물질의 필름(F)을 작용면(S)에 이송하기 위한 핸드헬드 장치(1)로서, 백킹 테이프(2)를 위한 공급 릴(4)과 테이크-업릴(5)이 하우징(6)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하우징(6)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6)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백킹 테이프(2)가 둘레를 감는 어플리케이션 부재(7)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7)는 탄성적인 풀-백(pull-back) 힘에 의하여 비사용 위치로 편향되는 전방으로 밀려진 사용위치와 후퇴되는 비사용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핸드헬드 장치(1)는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수동적인 작동 힘으로 작동될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7)가 필름(F)을 이송시키기 위해 작용면(S)에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가 눌려질 수 있는 사용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작동 부재(29)를 구비한 이동 장치(13)를 가지는, 상기 핸드헬드 장치(1)에 관한 것이다.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개선시키는 관점에서, 작용력(38)이 각각의 특정 값으로 줄어들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 (7)는 자동으로 그 자체의 비 사용위치로 이동된다.

Description

백킹 테이프에서 작용면으로 필름을 이송하기 위해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 어플리케이션 부재를 갖는 핸드헬드 장치{Hand-held device comprising a movably mounted application member for transferring a film from a backing tape onto a substrate}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핸드헬드(hand-held)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공지 형태의 핸드헬드 장치는 EP 0 575 790 B1에 설명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공지의 핸드헬드 장치에서, 백킹 테이프(backing tape)를 위한 공급 릴(supply reel) 및 테이크-업 릴(take-up reel)과 주걱 모양 어플리케이션 부재는 후미로부터 오프닝(opening)을 통해 하우징으로 밀어 넣을 수 있는 카세트(cassette)에 설치된다. 카세트 유닛이 장착될 사용위치와 비 사용위치가 있다. 사용위치에서, 어플리케이션 부재는 필름을 작용면으로 이송하기 위해 작용면에 대해 눌러질 수 있도록 하우징의 밖으로 돌출된다. 비 사용위치에서 어플리케이션 부재는 하우징내의 후퇴위치에 위치된다. 이러한 위치에서는, 어플리케이션 부재와 어플리케이션 부재 주위로 이동되는 필름이 도포된 백킹 테이프는, 작업현장에서 사용시 피할 수 없는 타 기구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 이러한 공지의 구성에서, 카세트 유닛은 어플리케이션 부재의 사용 위치에서 타 위치로 이동되지 않고 안전하게 고정되어 있다. 비 사용위치에서는 카세트 유닛은 후방으로 밀려나지 않는다. 이러한 고정 작용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서로 갈라져 나온 두 개의 푸시 버튼 스테이지(push button stages)를 가진 푸시 버튼을 포함하는 카세트 유닛 상에 설치된 스프링 암(spring arm)에 의해 이루어지고, 첫 번째 푸시 버튼 스테이지는, 사용 위치에서 하우징에 위치한 관통구멍을 통해 돌출되고 두 번째 푸시 버튼 스테이지는 비 사용위치의 관통구멍을 통해 돌출된다. 사용자는 손가락을 이용해 관통구멍을 통과시켜 외부에서 푸시 버튼 스테이지에 접근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부재를 사용위치에서 비 사용위치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첫 번째 푸시 버튼 스테이지는 외부의 수동 압력으로 관통구멍 내의 잠긴 상태를 벗어나 내부로 압력을 받아야하고, 이는 풀백 (pull-back) 스프링에 의해 카세트 유닛을 자동으로 비 사용위치로 이동시키고 스프링 암의 스프링 힘의 결과로 두 번째 푸시 버튼 스테이지가 상기 카세트 유닛을 자동으로 고정시킨다. 하우징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수동으로 접근가능한 카세트 유닛의 후방 끝단을 수동으로 가압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부재는 비 사용위치에서 사용위치로 이동된다.
그러한 사용 위치로의 이동하는 경우에 첫 번째 푸시 버튼 스테이지는 자동으로 관통 구멍과 맞물린다.
상기와 같은 공지의 핸드헬드 장치는 몇 가지 이유로 인한 단점들이 있다. 한 가지는, 비사용 위치로 어플리케이션 부재의 이동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푸시 버튼을 수동으로 작동해야 하는 것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만약 사용자가 작업현장에서 조작하는 동안 어플리케이션 부재의 돌출부분에서 필름이 충격에 의해 손상되기 쉽다고 판단되면, 비교적 자주 어플리케이션 부재를 비 사용위치로 수동으로 이동시켜야만 하고 사용자의 상당한 수고와 주의를 요구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상기 공지의 형태의 또 다른 단점은 길게 늘어진 또는 팬-형상의(pen-shaped) 하우징의 길이방향 중간 축에 대하여 어플리케이션 부재가 축 방향으로 늘어나며, 또한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는 사실에 있다. 이것은 또한 사용 중에 핸드헬드 장치가 부적절한 위치에 놓이도록 한다.
상기 공지의 핸드헬드 장치의 또 다른 결점은, 이러한 종래 구조는 삽입 카세트(insert cassette) 상에 설치된 릴과 어플리케이션 부재를 구비한 핸드헬드 장치에만 적합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공지의 구조는 하우징에 직접 설치된 릴과 어플리케이션 부재를 구비한 핸드헬드 장치에는 사용될 수 없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부재를 사용위치로 이동하기 위해서 핸드헬드 장치 후미 끝단에 축 방향 횡 압력을 가해야만 한다는 사실은 공지의 헨드핼드 장치의 결점으로 간주되어 질 수 있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 작동시키는 양손을 이용하여 특별한 방법으로 핸드헬드 장치를 쥐어서 횡압력을 가해야 한다.
본 발명은 작동 방식에 있어서 서두 부분에 설명한 핸드헬드 장치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고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능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동화되거나 기계화될 것이며 각각의 기능은 조작하거나 작동하는데 편리하도록 수행되거나 작동될 것이다. 더욱이 핸드헬드 장치는 사용가능한 삽입 카세트가 없고, 즉, 어플리케이션 부재 및 릴이 하우징에 설치되더라도 역시 돌출되는 사용위치와 후퇴되거나 가려진(submerged) 비 사용위치 사이를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들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용한 이점은 하위 청구항에 기술되어 있다.
청구항 1에 따른 핸드헬드 장치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부재가 작용면에서 이탈되거나, 어플리케이션 부재가 작용면을 누르는 힘이 또는 작동 부재가 작동되는 힘이 특정 값 미만으로 떨어질 때, 예를 들어 더 이상 그 힘이 유지되지 않을 때, 또는 어플리케이션 부재를 사용위치로 움직이기 위한 작동 부재의 수동 작업이 완료된 때, 자동으로 어플리케이션 부재를 사용위치에서 비 사용위치로 이송하는 후방 향(backwards) 움직임이 발생한다. 필름의 이송 동안 어플리케이션 부재가 작용면에 대해 누르는 힘 또는 작용력이 어플리케이션 부재를 사용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그리고,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이 실현될 때 기능을 상실한 어플리케이션 부재를 위한 바람직하게 이용가능한 이동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에 본 발명은 근거를 둔다. 상기 핸드헬드 장치를 사용시, 하우징이 작용면에 대한 특정 작업 위치에 유지되고 핸드헬드 장치를 수동으로 잡을 때,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지만 한 손만으로 사용자가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 부재가 작동된다.
작용력을 가하는 동안 또는 작용면에 가압하는 동안, 사용상태에 있는 어플리케이션 부재가 비 사용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억제하는 정지 면(a stopping face)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은 본 발명의 장점이다. 이것은 작동 부재를 움직이거나 작동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발생되는 추진력(thrust)을 사용자가 손으로 방해하지 않더라도 상기 정지 면이 가압력의 대부분을 하우징으로 유도하기 때문에 조작을 더욱 간편하게 하고, 작동 부재를 작동시키는 사용자의 노력을 덜어준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위치와 비 사용위치 간에 연장되는 이동의 주요 방향으로 횡단으로 움직일 수 있는 또는 선회할 수 있는(swivellable) 어플리케이션 부재를 보유하고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압력은 어플리케이션 부재를 횡단으로 위치 지점 예를 들어, 후방 향(backwards) 이동에 대한 위치지점으로 정지표면(a stopping surface)에 대항하여, 이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가압력 및/또는 작용력이 줄어들거나 없어질 때 또는 장치가 작용면에서 이탈될 때, 어플리케이션 부재의 후방 이동 및 비사용 위치로의 이동 또한 자동으로 일어난다. 이렇게 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부재를 비 사용위치로의 자동적이거나 자체 작동(self-acting)하는 후방 이동에 적합한 탄성력 또는 공통 탄성 힘을 가진 이러한 각각의 움직임을 생성하는 것은 본 발명의 장점이다. 상기 정지 표면은 어플리케이션 부재의 전면 끝단을 향해 측면으로 가리키는 가이드 표면(guiding surface)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는 백킹 테이프에서 굴전평면(deflecting plane)에서 가이드 표면(guide surface)과 상호 작용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특히 선회가능하도록 이동할 수 있는 끝단으로부터 떨어져 가리키는 숄더 표면(shoulder surface)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어플리케이션 부재는, 사용위치에서, 횡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가 전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정지를 형성하는 가이드 표면의 정지위치(stopping position)로 이동된다. 이것은 사용자의 작동하는 손이 직접적이기보다는 간접적으로 하우징 위에서 어플리케이션 부재에 압력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조작하기가 상당히 쉽도록 한다.
청구항 5 및/또는 6에 의한 핸드헬드 장치에서, 본 장치의 조작은 또한 인간환경공학적인 이유에서 단순화된다. 이것은 본 발명의 핸드헬드 장치를 사용자의 손으로 편안하게 잡을 때 어플리케이션 부재가 일반적인 작업장소에서 작용면에 대하여 알맞게 위치된다는 것을 조건으로 한다. 이 위치에서 사용자는 편한 방법으로 필름을 이송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어플리케이션 부재를 사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 부재가 본 발명의 핸드헬드 장치의 상단 면의 전방부분에 간단하고 인간환경공학적으로 적당하게 설치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배치구조에서, 어플리케이션 부재 및 작동부재를 밀어내는 움직임은 직접적으로 압력을 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작동 부재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손가락으로 가압할 수 있는 교대(橋臺)로서 이용되어진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11 전제부에 기재된 형태의 핸드헬드 장치에 있어서, 특히 사용위치와 비 사용위치 간의 어플리케이션 부재를 이동시키는 동안, 백킹 테이프의 가이드 또는 백킹 테이프가 어플리케이션 부재 주변으로 편향(deflection)되는 것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은 청구항 11의 특징들에 의해 성취된다. 본 발명의 유용한 개선점은 하위 청구항에 기술되어 있다.
청구항 11에 의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백킹 테이프는 어플리케이션 부재의 양쪽 위치와 접촉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부재의 전면 선단에 근접해서 가이드된다. 본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 부재의 이동 섹션(section)을 통해 백킹 테이프가 가이드 되는 것이 보장되고, 루프형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백킹 테이프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하우징 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움직임을 가이드 하는 구조에서, 어플리케이션 부재 및 릴(reels)들을 위한 카세트 유닛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백킹 테이프는 어플리케이션 부재 부근의 경로에서 실질적으로 폐루프(closed loop)를 형성하는 것이 유용하다. 어플리케이션 부재의 움직임이 변할 때, 이러한 구조는 상기 루프가 어플리케이션 부재의 위치 변화에 적응 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어플리케이션 부재 및 이의 운동방향을 상기 루프의 중간축에 횡방향으로 연장시키기는 것이 유익하다. 이것은 어플리케이션 부재가 이동하는 동안 백킹 테이프의 이동경로에서 변화들에 유익한 효과를 미치고, 백킹 테이프의 가이드 손실에 관한 문제 및 백킹 테이프로부터 작용면으로 필름을 이송하는 동안 시작 시점에 발생하는 문제들을 피할 수 있다.
추가적인 하위 청구항들은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할 수 있고, 본 발명의 핸드헬드 장치에 유용하게 통합될 수 있는 작고 기능적인 구성체의 특징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상기한 바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장점들은 이제 단순화된 도면들과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오픈 하우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 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내며,
도 2는 위에서 내려다 보는 본 발명의 핸드헬드 장치를 나타내며,
도 3은 전방으로부터 보는 본 발명의 핸드헬드 장치를 나타내며,
도 4는 도 1에서와 같이 측면에서 바라보는 본 발명의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5 내지 도 7은 각각의 측면에서 바라보며, 다양한 기능적 위치에 있는 핸 드헬드 장치를 나타내며,
도 8은 측면에서 바라보는 본 발명의 핸드헬드 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서 표현된 부분을 다른 기능적 위치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참조부호 1로 나타낸 핸드헬드 장치는 상기 핸드헬드 장치(1)의 하우징 내부에 있는 테이크-업 릴(5) 및 공급릴(4)에 정렬되어 있는 백킹테이프(2) 상의 필름(F)을 작용면 (S)으로 옮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우징(6)은 길게 늘어난 형태로 본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아직 설명되지 않았지만 작동 위치에서는 곧게 세워진다. 하우징의 전단 하부 부분에 배치되고 백킹 테이프(2)가 있는 하우징(6)으로부터 돌출되는 어플리케이션 부재(7)가 제공된다. 수동으로 바람직하게는 주걱 모양의 어플리케이션 부재(7)를 작용면(S)상에 가압하고 움직임(3)(도 7)의 후 방향으로 핸드헬드 장치를 동시에 누름으로써, 하부 백킹테이프 부분(2a)은 공급릴(4)에서 풀리고, 상부 백킹테이프 부분(2b)으로서 테이크-업릴(4)에 자동으로 감기게 된다. 전형적인 실시예로써, 공급 릴(4)과 테이크-업릴(5)은 백킹테이프(2)의 편향 평면(deflection plane)(E)에 횡단으로 연장된 두 개의 회전축(8,9)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두 릴 사이에는 하우징(6)의 길이 방향으로 갭(gap)이 있으며, 테이크-업릴(5)은 공급릴(4)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6)은 두개의 하우징 부분(6a, 6b) 그리고 백킹 테이프(2)의 편향 평면(E)에 있거나 평행인 분리 조인트 (dividing joint)(6c)로 구성되며, 여기에서 도 2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우징 부분 (6b)은 외벽 (6d)과 함께 조개 껍데기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하우징 부분(6a)은 평평하게 구성되며 뚜껑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릴 (4, 5)은 하우징 부분(6a, 6b)의 측 벽으로부터 돌출된 피벗 베어링 부분(pivot bearing parts)(상세하게 표시되지 않음)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통합 슬라이딩 클러치(12)(integrated sliding clutch)를 갖는 구동 결합부 (drive connection)는 릴들(4, 5) 사이에 위치한다. 구동 결합부( 11)는 - 릴들( 4, 5)에 완전히 감겨 있을 때와 비었을 경우 각각의 유효한 와인딩 직경(winding diameters)을 인지하고- 백킹 테이프 부분(2b)이 항상 다소 팽팽하게 감기도록 하는 속도로 테이크-업릴(5)을 구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클러치(12)는 백킹 테이프(2)가 너무 잡아 늘어지거나 끊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의 구동 결합부 (11)에서 유효한 어떤 구동 토크(drive torque effective) 이상에서 비록 구동 결합부(11)가 테이크-업 표면에서 테이크-업 릴(5)을 더 빠른 속도로 구동하려고 할지라도 오로지 백킹 테이프(2)의 움직임에 맞는 속도로 구동 되도록 슬라이딩 클러치 (12)는 작동한다.
백킹 테이프(2)의 인장력에 의해 발생되는 릴(4, 5)의 역회전을 막기 위해 두개의 릴 (4, 5) 중 하나는 복귀 정지(a return stop)(미도시)에 위치한다.
하우징(6)의 전면 선단 부분에서, 하우징(6) 내부의 보호위치 또는 후퇴된 위치의 비사용 위치(도 1)와, 선단,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부재(7)의 쐐기 모양 선단 부분이 하우징(6) 외부로 돌출되는 사용위치 (도 6, 7) 사이에서 어플리케이션 부재(7)를 이동하기 위한 이동장치(13)가 제공된다. 이동장치(13)는 수동으로 작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부재(7)를 위한 푸시-아웃 기구(push-out mechanism)(14)와, 상기 푸시-아웃 기구(14)의 수동적인 작동이 끝나거나 작용면(S)에서 어플리케이션 부재(7)가 올려지거나 작용면(S)에 대해 어플리케이션 부재(7)를 누르는 힘이, 화살표 (16) 참조, 특정 값 미만으로 떨어지거나 모두 함께 멈추었을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7)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비사용 위치로 후퇴하도록 하기 위한 푸시-인 기구(push-in mechanism)(15)를 포함한다. 이러한 푸싱동작을 위해서, 이동방향 17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늘어진 가이드(18)는, 본 실시 예에서, 직선을 따라 연장된다. 어플리케이션 부재(7)는 길며, 어플리케이션 섹션(7a)으로부터 실제 어플리케이션 요소(7c) 또는 반대 방향의 어플리케이션 팁(본 실시예에서는 주걱 모양)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축(7b)을 가진다.
가이드 축(18a)은 길이방향 축(19)과 비스듬히 또는 교차되도록 연장되고, 장치가 사용될 때, 작용면(S)과 접하는 바닥면(21) 방향 또는 압력-작용면(pressure-exerting side) 방향으로 개방되고, 길이방향의 축(19)과 가이드 축(18a)간의 각인 둔각(a obtuse angle), 예를 들면 약 135도, 을 이룰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부재 (7)가 통과할 수 있도록, 채널 오프닝(channel opening)(22)은 하우징(6)의 하부 전면 코너 부분의 외벽(6d)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채널 오프닝(22) 지역에서, 하우징(6)은 하우징(6)의 바닥면(21)에 남은 부분과 함께 몇 밀리미터 정도 오목한 단(recess step)을 형성하는 하우징의 바닥면에 오목한 부분(23)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18)는 하우징(6)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6e)에 한 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들(25)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부재(7)는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 못(26a,26b)으로 상기 홈들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못 중에서 적어도 전면 가이드 못(26a)은 편향 평면(E)과 평행한 둥글거나 원통형 단면을 가지고 있다. 횡단 가이드 부분(18b)은 가이드(18)의 중앙부분으로부터 바닥면(21)방향으로 횡단으로 연장되고, 어플리케이션 부재(7)의 자유 단과 접해 있는 가이드 표면(18c)은, 본 장치가 사용 중일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7)가 후퇴되는 것을 억제하는 스톱(a stop)을 형성한다. 가이드 표면(18c)과 접촉하여 가이드 되기 위해서는, 어플리케이션 부재 (7)는 사용상태에서 피벗(pivot) 되어져야 한다. 이는 전면 가이드 못(26a)이 둥근 평면 형태를 가지고 있고 후면 가이드 못(26b)은 횡단 가이드 부분(18b) 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역 이동 스프링(28)(reverse movement spring)은 어플리케이션 부재(7)에 작용하여 어플리케이션 부재(7)를 비 사용위치로 이동시키며, 이로 인해, (본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비 사용위치로 변경된다.
푸시-아웃 기구(push-out mechanism)(14)는 상기 가이드(18)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본질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작동 부재(31)와 함께 통로 오프닝(32)을 통한 전방 상단지역에서 외벽(6b)을 통해 돌출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특히 손, 바람직하게는 본 장치를 사용하는 손의 집게손가락을 사용하여 외부에서 수동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하우징(6)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 작동요소(31)를 형성하고 있는 - 작동 캠(actuating cam)은 상방 향을 가리키며 사용자가 안전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그 후면에 비스듬하거나 오목하게 골진(troughed) 가압 표면(pressure-exerting surface)(31a)을 구비한다. 이러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 있어서, 작동부재 (29)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6)의 하단부위 그리고 하우징의 측벽(6e)에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내부방향으로 향하는 스프링 베어링 못으로 형성할 수 있는 하나의 피벗 베어링(34)에 하나 또는 두 개의 측면 베어링 가지(limbs)(33)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피벗 레버(a pivoted lever)이다. 구동요소(31)는 어플리케이션 부재(7)와 중개 역할을 하는 베어링 가지(33)의 상단 끝에 설치되어 있는 수평 웨브(transverse web)로 형성된다. 베어링 가지 (33)는, 작동 부재(29)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어플리케이션 부재(7)를 사용위치로 이동하는 전면의 가압 표면 (36)을 그 전면에 형성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부재(7)와, 예를 들어 적어도 한 면 혹은 양면의 후면 가이드 못(26b)과 슬라이딩 접촉 상태에 있다. 가압 표면 (36)은 어플리케이션 부재(7)가 사용위치에 있을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7)에 토크 또는 힘(도 5의 화살표 37)을 가할 수 있도록, 도 1에서와 같은 볼록하게 커브진 표면을 형성한다; 이 토크는 도 1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어플리케이션 부재(7)를 시계방향으로 선회 시키려고 한다. 이는 가압표면(36)의 커브질 수 있는 특정 경로에 의해 가능하며, 그 가압표면(36)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부재(7)의 중간 위치의 영역에서, 상기 가압표면과 가이드(18)의 길이 방향간의 둔각(obtuse angle)을 이루며, 이러한 각 W는 가압면(21)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선회운동요소(swivel movement component)는 어플리케이션 부재(7)로 전달되는 것과 같은 크기이다. 역 이동 스프링 (28)의 힘은 작동부재 (29)에 작용하는 수동 가압력 (38)을 능가하지 못한다. 작동부재 (29)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역 이동 스프링(28)은 먼저 어플리케이션 부재(7)를 후방으로 선회 시키고 그런 다음 이를 비 사용위치로 밀어낸다.
작동부재(29)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동안 어플리케이션 부재(7)의 상단 끝 부분이 횡단 가이드 섹션(18b) 상으로 힘을 받을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7)는 역 이동 스프링(28)의 효과로 인해 가이드 표면(18c)과 인접한 어플리케이션 부재(7)와 함께 가이드 못(26a)(도면 6)을 중심으로 선회하게 된다.
도 5와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부재의 사용위치는, 사용자의 손에 쥐어져 있는 핸드헬드 장치(1)가 자유공간 상태에 있을 때, 작동부재(29)를 이동시킴으로써만 달성될 수 있다.
작동부재 (29)와 어플리케이션 부재(7)가 이렇게 전방으로 이동된 위치에서, 예를 들면 사용자가 집게 손가락으로 화살표 (38)의 방향으로 작동요소(31) 누르면, 도면 6 또는 7에서 보이는 위치에서, 어플리케이션 부재(7)는 작용면(S)에 눌려진다. 가압력 (16)은 작동부재 (29) 상에 작용한 압력에 의해서 발생되고, 바람직하게는 화살표 (16a, 16b)의 힘과 마찬가지로 하우징에도 발생한다. 필름(F)을 작용면(S)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어플리케이션 부재 (7)는 화살표 (39) 방향으로 후퇴된다. 움직임 및/또는 작용면에 가해진 이러한 가압력의 결과로서, 특히 어플리케이션 부재(7)가 기울어 설치된 결과로써, 화살표 (41)로 표현된 토크가 어플리케이션 부재 (7)에 생성된다. 이 토크는 어플리케이션 부재(7)의 후미 선단 부분이 횡단 가이드 섹션 (18b)으로 피벗하는 것을 지원하거나 책임진다. 이 토크 (41)는,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핸드헬드 장치 (1)가 작용면(S) 방향으로 더욱 피벗될때 보다 더 증대되며, 여기서 상기 장치와 작용면 (S)은, 도 6에서 각 W1이 약 20도의 각도를 이루는 것과 대조적으로, 약 10도의 각도를 이룬다. 토크(41)의 결과로써, 작동 부재(29)의 작동이 제거되거나 이 동작이 종료되고 작동 부재(29)가 후퇴되면, 어플리케이션 부재(7)가 가이드 표면(18c) 상의 정지위치에 유지되고 이것은 도 7에서 힘 화살표 (16b)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하우징(6) 상의 압력에 의한 가압력(16)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위치에서는 또한, 핸드헬드 장치(1)를 화살표 (39)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필름 (F)을 이송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테두리 안에서, 도 6 또는 7에 도시된 위치에서 작동부재(29) 상에 압력(16a)이 또한 가해 질 수 있도록 푸시-인(push-in)과 푸시-아웃(push-out) 기구 (14, 15)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필요 압력 (16a)은 토크 (41)에 의해 줄어들어 사용자가 조작하기 용이하게 된다.
만약 가압력 (16) 혹은 작동부재 (29)에 작용하는 작동력(16a, 38)이 특정값 보다 작다면, 어플리케이션 부재 (7)는 스프링 저항의 결과로써 자동으로 비 사용위치로 이동된다. 즉,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7)는 먼저 정지위치로부터 회전 혹은 선회하고 그런 다음 비 사용위치로 길이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두 개의 역 이동 스프링을, 하나는 어플리케이션 부재 (7)의 회전 이동을 위해 그리고 다른 하나는 측면 이동을 위해,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두 개의 역방향 움직임들이 역 이동력에 의해 수행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역 이동력을 발생시키는 두 개의 이동을 위해 일반적인 역 이동 스프링 (28)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밴딩 바 스프링(28a)은 가이드 (18)의 길이 방향을 횡단 방향으로 또한 어플리케이션 부재 (7)의 전방을 가리키는 숄더 표면, 예를 들면 후방 가이드 못 (26b), 너머로 연장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7)를 비사용 상태 방향으로 이동 시킨다. 벤딩 바 스프링 (28a)은 나선형으로 피벗 베어링(34)에 끼워질 수 있고 제2 베어링 가지(a second bearing limb)(28b)가 또한 하우징 상에서 정지를 언더컷(undercut)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부재(7) 부근에서 백킹 테이프 (2)가 편향(deflection)(45로 표시됨)된 특별한 형태는 도 8과 9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8은 도 1에서와 같은 비 사용위치에서 편향 (45)과 함께 어플리케이션 부재(7)를 보여주며, 도 9는 도 6 또는 도 7에서와 같이 사용위치에서 관련 편향(45)과 어플리케이션 부재(7)를 보여준다.
예를 들어 약 1~5mm 정도의 작은 오프닝(45a)을 제외하고, 루프(loop)(45)는 닫힌 삼각형 모양이고, 삼각형의 한 면은 백킹 테이프 섹션(2c)이 어플리케이션 부재 (7)의 전 길이를 이동할 수 있는 부분인 어플리케이션 부재 (7)의 전방의 긴 면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7)의 약간 둥근 전방 하단에서 백킹 테이프 섹션(2a) 방향으로 편향되며, 어플리케이션 부재(7)의 후방 끝단 둥근 부분에서 길이방향 중간 축(19)을 횡단으로 연장된 백킹 테이프 섹션(2d) 방향으로 편향되고, 바람직하게는 하우징(6)의 가압면(21) 가까이에 위치하는 고정 편향 롤러(46) 방향으로 편향되고, 계속 이어지는 백킹 테이프 섹션(2e)으로써, 공급 릴(4)로부터 나와서 가압면(21) 쪽으로 연장되는 테이크-업릴(5)로 이동하는 백킹 테이프 섹션(2b)의 루프 (2f)를 형성한다. 가압면(21)과 마주보고 있는 편향 롤러(46)의 일면 상에서, 상기 삼각형 모양은 편향 롤러(46)와 백킹 테이프 섹션 (2a) 사이의 갭으로 인해 개방되어 있다(오프닝(45) 참조). 백킹 테이프 섹션(2a, 2d,2c)은 본질적으로 이등변 삼각형 형태이고, 동일 측면을 형성하는 백킹 테이프 섹션 (2a, 2d)과, 불변하는 길이의 - 이 길이는 어플리케이션 부재의 길이와 동일하다 - 삼각형의 대응면을 형성하는 어플리케이션(7)의 전방 긴 면 또는 백킹 테이프 섹션 (2c)을 갖는 루프 (45)를 형성한다. 이 이등변 삼각형(D)은 특히 어플리케이션 부재 (7)의 중앙에 위치해 있고(도시 되지 않음) 도 8에 파선으로 나타나 있다. 이등변 삼각형의 형태는 어플리케이션 부재(7)의 횡단 방향과 측면 방향으로의 이동으로 인해서 비 사용상태(도 8)와 사용상태(도 9)에서 약간 변형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측면방향의 이동은 약 5~7mm이고 횡단 혹은 선회방향의 이동은 약 3m로써, 이동이 끝난 시점에서 형태의 왜곡은 작다. 어플리케이션 부재 (7)의 양쪽 선단에 편향 (45)이 바람직하게 이등변 삼각형 형태로 있기 때문에, 테이프 슬라이딩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부재 (7)가 이동하는 동안 접근/후퇴하는 백킹 테이프 섹션(2a, 2d)의 길이는 자동으로 균형을 이룬다.
이것은 루프가 백킹 테이프 (2)에 형성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부재 (7)에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것은 어플리케이션 부재 (7)을 작용면 (S)에 놓을 때 발생하는 작동 문제들 및 특히 스타팅 문제들을 방지한다.
접근 그리고 후퇴 백킹 테이프 섹션 (2a, 2b)은 그것들 사이의 예각 혹은 둔각 (W2)을 이루고, 이 각은 어플리케이션 부재 (2)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W2가 둔각인 경우, 하우징 (6)에 적용 가능한 좁은 공간이라는 관점에서 유용한 작은 구조가 존재한다.

Claims (15)

  1. 백킹 테이프(2)로부터 접착성이 있고, 덮어 씌워진 또는 착색된 물질의 필름(F)을 작용면(S)에 이송하기 위한 핸드헬드 장치(1)로서,
    백킹 테이프(2)를 위한 공급 릴(4)과 테이크-업릴(5)이 하우징(6)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하우징(6)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6)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백킹 테이프(2)가 둘레를 감는 어플리케이션 부재(7)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7)는 수동 가압력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진 사용위치와, 역 이동 스프링에 의해 후퇴되는 비사용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핸드 헬드 장치(1)는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수동적인 작동 힘으로 작동될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7)가 필름(F)을 이송시키기 위해 작용면(S)에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가 눌려질 수 있는 사용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 작동 부재(29)를 구비한 이동 장치(13)를 가지는, 상기 핸드 헬드 장치(1)에 있어서,
    a) 상기 이동장치(13)는 하우징(6)의 선단 부분에 배치되고,
    b)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7)는 상기 작동 부재(29)와는 분리된 구성 요소이고 그 자신의 가이드(18)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c) 상기 작동 부재(29)는 상부에서 접근할 수 있는 피벗 레버(a pivoted lever)이며, 하우징(6)의 하부 섹션에 설치된 피벗 베어링(34)에 하나 또는 두개의 측면 베어링 가지들(limbs)(33)이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위치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7)를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6)의 끝 단 방향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7)를 이동시키도록 피벗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d) 작용력(38)이 각각의 특정 값으로 줄어들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 (7)는 자동으로 그 자체의 비 사용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위치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 (7)가 가이드 표면 (18c)에 의해 비 사용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헨드 장치.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7)는, 사용위치에서, 백킹 테이프(2)의 편향 평면에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7)의 전방 부분에 구비된 측면 가이드 못(26b) 주위를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가이드 표면(18c)의 전면에서 선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횡단 가이드 부분(18b)은 작용면(S)과 마주보고 있는 핸드 헬드 장치(1)의 일면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18)로부터 연장되며, 그 안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7)가 후면 가이드 못(26b)과 함께 선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장치.
  5. 백킹 테이프(2)로부터 접착성이 있고, 덮어 씌워진 또는 착색된 물질의 필름(F)을 작용면(S)에 이송하기 위한 핸드헬드 장치(1)로서,
    백킹 테이프(2)를 위한 공급 릴(4)과 테이크-업릴(5)이 하우징(6)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하우징(6)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6)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백킹 테이프(2)가 둘레를 감는 어플리케이션 부재(7)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7)는 수동 가압력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진 사용위치와, 역 이동 스프링에 의해 후퇴되는 비사용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핸드 헬드 장치(1)는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수동적인 작동 힘으로 작동될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7)가 필름(F)을 이송시키기 위해 작용면(S)에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가 눌려질 수 있는(can be pressed) 사용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 작동 부재(29)를 구비한 이동 장치(13)를 가지는, 상기 핸드 헬드 장치(1)에 있어서,
    e) 상기 이동장치(13)는 하우징(6)의 선단 부분에 배치되고,
    f)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7)는 상기 작동 부재(29)와는 분리된 구성 요소이고 그 자신의 가이드(18)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g) 상기 작동 부재(29)는 상부로부터 접근 가능하고, 사용위치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7)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7)를 포함하고 있는 하우징(6)의 선단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h) 횡단 가이드 부분(18b)은 작용면(S)과 마주보는 상기 핸드헬드 장치의 일면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안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7)가 후면 가이드 못(26b)과 함께 선회할 수 있고,
    i)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7)는 상기 작용면(S)에 가해진 압력 또는 작용력(38)이 특정 값으로 줄어들 때 자동으로 비 사용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장치.
  6. 제1 항 또는 제2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7)가 작용면(S)으로부터 들어 올려지거나 작동 부재(29)의 작동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7)가 자동으로 비사용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29)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 섹션에 설치된 피벗 베어링(34)에 하나 또는 두 개의 대향하는 측면 베어링 가지(33)가 피벗 가능하게 설치된 피벗 레버(pivoted lev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장치.
  8. 제1 항 또는 제2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6)은 타원형 형태이고, 사용위치와 비 사용위치 간의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7)의 이동 방향(17)은 상기 하우징(6)의 길이방향 중간축(19)을 횡단하는 방향이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7)의 자유단(7c)을 향해 개방된 길이방향 중간축(19)과 둔각으로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장치.
  9. 제1 항 또는 제2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7)는 가이드(18)내의 측면 가이드 요소(26a,26b)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장치.
  10.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7)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선회시키기 위하여 공통 스프링(28)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장치.
  11. 제1 항 또는 제2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 (29)는 하우징의 상부면에 위치한 오프닝(32)을 통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위치와 비 사용위치 간의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7)는, 상기 릴들(4, 5)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것이고, 상기 백킹 테이프(2)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7)의 양 위치에서 접촉되어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7)의 어플리케이션 선단(7c) 근처 가까이에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백킹 테이프(2)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7)를 양 쪽 끝단에서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백킹 테이프(2)는 오프닝(45a)이 있는 삼각형 형태의 루프(45)로 모든 면들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7) 주위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루프(45)는, 어플리케이션 부재(7)의 중앙 이동위치에서 이등변 삼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장치.
KR1020027011191A 2000-02-25 2001-02-13 백킹 테이프에서 작용면으로 필름을 이송하기 위해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 어플리케이션 부재를 갖는 핸드헬드 장치 KR1007377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0103994.0 2000-02-25
EP00103994 2000-02-25
PCT/EP2001/001583 WO2001062646A1 (en) 2000-02-25 2001-02-13 Hand-held device comprising a movably mounted application member for transferring a film from a backing tape onto a substr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203A KR20030015203A (ko) 2003-02-20
KR100737771B1 true KR100737771B1 (ko) 2007-07-11

Family

ID=8167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1191A KR100737771B1 (ko) 2000-02-25 2001-02-13 백킹 테이프에서 작용면으로 필름을 이송하기 위해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 어플리케이션 부재를 갖는 핸드헬드 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6732782B2 (ko)
EP (1) EP1261542B1 (ko)
JP (1) JP2003523859A (ko)
KR (1) KR100737771B1 (ko)
CN (1) CN1264739C (ko)
AT (1) ATE276957T1 (ko)
AU (1) AU773933B2 (ko)
BR (1) BR0108397B1 (ko)
CA (1) CA2406917A1 (ko)
DE (1) DE60105773T2 (ko)
ES (1) ES2225505T3 (ko)
MX (1) MXPA02008030A (ko)
RU (1) RU2244672C2 (ko)
WO (1) WO2001062646A1 (ko)
ZA (1) ZA2002055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01588B1 (en) * 2000-10-30 2004-10-27 Société BIC Hand-held device for applying a film of for example adhesive or covering or coloured material onto a substrate
MY149390A (en) * 2008-03-04 2013-08-30 Widetech Mfg Sdn Bhd Retractable correction tape dispenser
JP5493504B2 (ja) * 2008-07-30 2014-05-14 ぺんてる株式会社 塗膜転写具
US8397784B2 (en) 2010-08-31 2013-03-19 Sanford, L.P.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CA139654S (en) * 2010-11-15 2011-10-07 Plus Kk Refill cartridge for a film dispensing tool for stationery
US8578999B2 (en) 2010-12-29 2013-11-12 Sanford, L.P. Variable clutch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US8746313B2 (en) 2010-12-29 2014-06-10 Sanford, L.P. Correction tape re-tensioning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comprising same
JP5157021B2 (ja) * 2011-01-05 2013-03-06 順▲徳▼工業股▲分▼有限公司 位置決め可能なボタンを備える薄膜転写具
US8746316B2 (en) 2011-12-30 2014-06-10 Sanford, L.P. Variable clutch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KR101736219B1 (ko) * 2015-07-31 2017-05-16 윤유빈 보조 가이드 팁을 포함하는 수정테이프
US10717316B2 (en) 2016-08-20 2020-07-21 Fujicopian Co., Ltd. Coating film transfer tool
ES2725400B2 (es) * 2018-03-23 2020-01-24 Alpe Automatizar S L Aplicador de cinta adhesiva automatic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6580A (en) * 1992-06-25 1994-09-13 Citius Buerotechnik Gmbh Device for applying a possibly coated adhesive film to a substrate
JPH10330021A (ja) * 1997-05-30 1998-12-15 Teruo Furukawa 粘着テ−プ貼付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6464B2 (ja) * 1994-12-26 2002-07-24 ユニオンケミカー株式会社 転写器
DE19824552A1 (de) * 1998-06-03 1999-12-09 Henkel Kgaa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6580A (en) * 1992-06-25 1994-09-13 Citius Buerotechnik Gmbh Device for applying a possibly coated adhesive film to a substrate
JPH10330021A (ja) * 1997-05-30 1998-12-15 Teruo Furukawa 粘着テ−プ貼付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06917A1 (en) 2001-08-30
KR20030015203A (ko) 2003-02-20
CN1406199A (zh) 2003-03-26
EP1261542B1 (en) 2004-09-22
ZA200205560B (en) 2003-07-11
ES2225505T3 (es) 2005-03-16
JP2003523859A (ja) 2003-08-12
DE60105773D1 (de) 2004-10-28
US20030041977A1 (en) 2003-03-06
BR0108397B1 (pt) 2009-08-11
WO2001062646A1 (en) 2001-08-30
EP1261542A1 (en) 2002-12-04
RU2002125500A (ru) 2004-01-20
AU773933B2 (en) 2004-06-10
AU4413801A (en) 2001-09-03
CN1264739C (zh) 2006-07-19
RU2244672C2 (ru) 2005-01-20
DE60105773T2 (de) 2005-02-10
BR0108397A (pt) 2003-03-11
US6732782B2 (en) 2004-05-11
ATE276957T1 (de) 2004-10-15
MXPA02008030A (es) 200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7771B1 (ko) 백킹 테이프에서 작용면으로 필름을 이송하기 위해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 어플리케이션 부재를 갖는 핸드헬드 장치
EP1054832B1 (en) An adhesive tape case
EP1025030B1 (en) Material transfer device
US6000455A (en) Hand-held implement for transferring a film of e. g. adhesive or coating or colored material from a backing strip wound on a supply reel to a substrate
KR100313654B1 (ko) 도포구
JP2010535678A (ja) テープディスペンサー、テーピング方法及び射出機構
AU2001276408B2 (en) Hand-held device for applying a film of for example adhesive or covering or coloured material onto a substrate
US7334622B2 (en) Hand-held device for transferring a film onto a substrate and having an application member compris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edges
US4775084A (en) Adhesive tape case provided with cutter
KR100476517B1 (ko) 필름을지지판으로부터기판에전달하기위한수동기구
JP3476015B2 (ja) 修正テープディスペンサ
KR102122888B1 (ko) 접착테이프 디스펜서
CA2375280A1 (en) Tape dispenser
RU220452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носа пленки с несущей ленты на подложку
JPH08188326A (ja) カッター付きテープホルダー
JPH11301915A (ja) 接着テープ用収納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