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564B1 -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564B1
KR890002564B1 KR1019850000797A KR850000797A KR890002564B1 KR 890002564 B1 KR890002564 B1 KR 890002564B1 KR 1019850000797 A KR1019850000797 A KR 1019850000797A KR 850000797 A KR850000797 A KR 850000797A KR 890002564 B1 KR890002564 B1 KR 890002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s
film
polyester film
average particle
calcium carbo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0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5863A (ko
Inventor
가쓰아끼 구제
야스히로 니시노
유우지로오 마쓰야마
고오죠오 마에다
마시히로 고바야시
다다시 오꾸다이라
쓰요시 혼고오
오사무 마끼무라
Original Assignee
도오요오 보오세끼 가부시끼가이샤
쟈다니 슈우지로오
가부시끼가이샤 닛뽄마구환
와끼무라 하루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211410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89000256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도오요오 보오세끼 가부시끼가이샤, 쟈다니 슈우지로오, 가부시끼가이샤 닛뽄마구환, 와끼무라 하루오 filed Critical 도오요오 보오세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5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5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73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 G11B5/739Magnetic recording media substrates
    • G11B5/73923Organic polymer substrates
    • G11B5/73927Polyester substrate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0Magnetic fe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Product with molecular orien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6Heavy metal or aluminum or compound thereof
    • Y10T428/257Iron oxide or aluminum 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8Alkali metal or alkaline earth metal or compound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9Silic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1도는 필름조면(粗面)의 반복 주행성능을 측정하는 테이프 시험기의 모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크랭크 2, 4, 6, 8 : 프리로울
3, 7 : 장력 검출장치 5 : 시판 VTR 가이드핀
9 : 하중
본 발명은 평활성 및 주행특성, 내마모성이 뛰어난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대표되는 바와같은 폴리에스테르는 그의 뛰어난 물리적 및 화학적 제특성 때문에 섬유용, 성형품용외에 자기테이프용, 프로피 디스크용, 사진용, 콘덴서용, 포장용, 렌트겐 필름, 마이크로 필름등의 필름용으로서도 여러 종류의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들 필름용으로서 사용될 경우 그의 윤활성 및 내마모성 특성은 필름의 제조공정 및 각 용도에 있어서의 가공공정의 작업성의 양부, 또한 그 제품품질의 양부를 좌우하는 커다란 요인으로 되고 있다.
특히 폴리에스테르 필름 표면에 자성층을 도포하여 자기테이프로 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자성층 도포시에 있어서의 코우팅 로울과 필름 표면과의 마찰 및 마모가 극히 심하여 필름 표면에 대한 주름 및 찰상이 발생되기 쉽다.
또 자성층 도포후의 필름을 슬릿하여 오디오, 비데오 또는 컴퓨터용 테이프 등으로 가공한 후에도 리일이나 카세트 등으로부터의 인출, 말아올리기 기타의 조작시에 많은 가이드부, 재생헤드 등의 사이에 마찰 및 마모가 현저하게 생겨서 찰상, 왜곡의 발생 더 나아가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표면의 깍임 등으로 인한 백분상(白粉狀)물질을 석출시키는 결과 자기기록 신호의 흠락(欠落) 즉 드로프 아우트의 커다란 원인으로 되는 일이 많다.
또 자기테이프로서 반복 사용한 경우에는 그의 사용회수와 함께 금속가이드 로울러 등과의 마찰계수가 증대하여 극단적인 경우에는 가이드 로울러가 테이프를 말아넣거나 테이프와 재생헤드 혹은 테이프와 가이드 로울러의 사이에서 이른바 울림이 생기거나 주행 특성이 악화한다.
일반적으로 필름의 활성, 내마모성 및 내구성등의 주행특성의 개량에는 필름표면에 요철을 부여하므로써 가이드 로울러등과의 사이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으며 이 표면 요철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서, 필름 원료로 사용하는 고분자의 촉매 잔사로부터 불용성의 입자를 석출시키는 방법이나, 불활성의 무기입자를 첨가시키는 방법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원료 고분자중의 입자는 그의 크기가 클수록 활성의 개량효과가 큰 것이 일반적이지만 자기테이프, 특히 비데오용과 같은 정밀용도에는 그 입자가 큰 것 자체가 드롭 아우트 등의 결점방생의 원인으로도 될 수 있기 때문에 필름표면의 요철은 가급적 미세할 필요가 있고 상반하는 특성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요구되고 있는 것이 현재 실정이다.
더우기 그중에서도 금속 도포형 및 증착형 비데오테이프용과 같은 고 S/N비가 요구되는 자기테이프는 자성층의 두께가 매우 얇기 때문에 사용할 베이스 필름의 표면형태가 그대로 자성층의 표면형태로 되고 그 때문에 베이스 필름의 표면조도가 거치르면 자성체를 도포후 혹은 증착후의 비데오 테이프의 전자변환 특성이 현저하게 악화한다.
따라서 이와같은 용도에서는 활성, 내마모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특히 평활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자기테이프용 기재 특히 비데오 테이프용 기재로서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한 경우 표면이 평활하며 또한 활성, 내마모성, 주행특성에 뛰어나고 또한 전자변환 특성에도 뛰어난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주된 반복단위가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된 폴리에스테르 중에 평균입경이 0.01 내지 0.5㎛의 실리카 입자 및/또는 이산화티탄 입자를 0.01 내지 0.5중량%와 평균입경이 0.01 내지 0.05㎛의 탄산칼슘 입자를 0.005 내지 1.0중량 %를 함유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다.
본 발명의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표면 평활성이 뛰어나고 자기기록 기재로서 사용한 경우 전자변환 특성도 양호하며 또한 활성 및 내마모성 등의 가공성이 뛰어나 있으므로 찰상 및 백분 발생량이 현저하게 적으며 또한 다수회 반복하여 사용하더라도 극히 양호한 주행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특징은 적어도 2종류의 특정 성분입자의 특정 입경의 입자를 특정량씩 병용하는 점에 있다.
즉 특정입경을 가진 실리카 및/또는 이산화티탄의 특정량과 특정입경을 가진 탄산칼슘 입자의 특정량이 필름중에 공존할 경우에 있어서만 각각의 입자의 단독 사용이나 다른 입자류의 첨가에 의해서는 도저히 달할 수 없는 뛰어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다.
본 발명 방법에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알킬렌 나프탈레이트 등의 결정성 폴리에스테르이며 특히 한정은 되지 않으나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적합하며 그중에서도 그 반복단위의 80몰%이상이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이며, 다른 공중합 성분으로서는 이소프탈산, p-β-옥시에톡시 안식향산, 2, 6-나프탈렌 디카르복시산, 4, 4'-디카르복실 디페닐, 4, 4'-디카르복실 벤조페논, 비스(4-카르복실 페닐)에탄, 아디핀산, 세바신산, 5-나트륨 술포이소프탈산, 시클로헥산-1, 4-디카르복시산 등의 디카르복시산 성분, 프로필렌 글리콜, 부탄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시클로헥산 디메탄올, 비스페놀 A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테트라 메틸렌 글리콜등의 글리콜성분, P-옥시안식향산 등의 옥시 카르복시산 성분등을 임의로 선택 사용할 수가 있다.
이밖에 공중합성분으로서 소량의 아미드결합, 우레탄결합, 에테르결합, 카아보네이트 결합등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이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법으로서는 방향족 디카르복시산과 글리콜을 직접 반응시키는 이른바 직접중합법,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의 디메틸 에스테르와 글리콜을 에스테르 교환반응시키는 이른바 에스테르 교환법등 임의의 제조법을 적용할 수가 있다.
또한 필름으로서는 1축 배향필름, 2축 배향필름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지만 2축 배향필름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첨가할 불활성 무기입자의 제1성분인 실리카 및 이산화티탄 입자의 평균입경은 0.01 내지 0.5μ일 필요가 있고 0.01 내지 0.4μ가 보다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3μ이며, 그중에서도 금속도포형(型) 및 증착형 비데오테이프 등과 같이 특히 초평활성이 요구되는 용도에서는 0.01 내지 0.1μ이다.
0.01㎛미만에서는 활성, 내마모성 및 내구 주행성이 현저하게 악화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반대로 0.5μ를 초과하면 자기테이프용, 특히 비데오용으로서는 표면 평활성이 불충분하며 또한 드롭 아우트발생의 원인으로 되는 조대입자의 생성이 많아지고 또 전자 변환특성도 악화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 첨가량은 이 폴리에스테르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로 할 필요가 있고 0.02 내지 0.6중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기는 0.05 내지 0.5중량%이며, 그중에서도 특히 초평활성이 요구되는 용도에서는 0.05 내지 0.3중량%이다.
0.01중량% 미만에서는 활성, 내마모성 및 내구 주행성이 현저하게 악화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반대로 1.0중량%를 초과하면 자기테이프용, 특히 비데오용으로서는 표면 평활성이 불충분하고 또한 드롭 아우트 발생의 원인으로 되는 조대입자의 생성이 많아지고 또 전자변환 특성도 악화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제2성분인 탄산칼슘 입자의 평균입경은 0.01㎛ 이상 0.5㎛ 미만의 범위가 필요하며 0.03㎛ 내지 0.49㎛가 보다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기는 0.04㎛ 내지 0.48㎛이며, 내구 주행성, 내마모성이 특히 요구되는 용도에서는 0.1㎛ 내지 0.48㎛ (특히 초평활성이 요구되는 용도에서는 0.04㎛)내지 0.1㎛이다.
0.01㎛ 미만에서는 활성, 내마모성 및 내구주행성이 현저하게 악화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반대로 0.5㎛ 이상에서는 자기테이프용, 특히 비데오용으로서는 표면 평활성이 불충분하며 또한 드롭아우트 발생의 원인으로 되는 조대입자의 생성이 많아지고 또 전자변환 특성도 악화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 첨가량은 이 폴리에스테르에 대하여 0.005 내지 1.0중량%로 할 필요가 있으며, 0.01 내지 0.6중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기는 0.02 내지 0.5중량%이며, 그중에서도 금속도포형 및 증착성 비데오테이프등과 같이 특히 초평활성이 요구되는 용도에서는 0.02 내지 0.2중량%이다.
0.0005중량% 미만에서 활성, 내마모성 및 내구 주행성이 현저하게 악화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반대로 1.0중량%를 초과하면, 자기테이프용, 특히 비데오용으로서는 표면평활성이 불충분하며 또한 드롭 아우트 발생의 원인으로 되는 조대입자의 생성이 많아지고 또 전자변환 특성도 악화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들의 입자성분은 앞서 규정한 조건을 충족시키면 제법 그밖에 하등 한정은 없다.
또 각 입자성분의 각각의 평균입경 및 첨가량의 관계는 앞서 규정한 조건을 충족시키는 범위이면 임의로 선택할 수가 있다.
탄산칼슘으로서는 천연품 및 합성품의 어느것도 사용 가능하다.
예컨대 중질 탄산칼슘, 경질 탄산칼슘 및 아교질 탄산칼슈의 어느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들의 입자는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것을 사용하여도 되고 표면처리한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분산조제나 응집방지제의 사용의 유무도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각 입자의 결정형상도 특히 한정은 없으나 체적형상계수가 0.08 내지 π/6의 범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체적 형상계수(f)는 다음식으로 표시된다.
f=v/D3
식중 V는 입자체적(μ㎥), D는 입자의 투영면에서의 최대경(㎛)을 나타낸다.〕
체적 형상계수는 입자의 괴상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π/6에 가까울수록 괴상 혹은 구상(球狀)에 가까워진다.
탄산칼슘 입자의 평균입경은 실리카 입자 및 이산화티탄 입자의 평균입경보다 크거나 작거나 하등 관계치 않으나 실리카 입자 및 이산화티탄 입자보다 큰 편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평균입경이란 스토오크스의 식(Stoke's equation)에 따라 산출된 등가구경(等價球經) 입도분포의 적산(積算) 50%점에 있어서의 직경을 가르킨다.
본 발명에서의 미립자의 폴리에스테르중에 대한 첨가방법은 이 폴리에스테르 제조과정에서의 임의의 단계에서 첨가할 수가 있으나 초기 축합이 끝날때까지 첨가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폴리에스테르 제조과정에 대한 미립자의 첨가방법은 슬러리상 및 분말상의 어느 상태에서나 첨가하여도 좋으나 입자의 비산방지, 공급정밀도나 균일성의 향상의 점에서 슬러리상으로 분산시켜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에틸렌 글리콜(EG)의 슬러리로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러리상으로 분산시킬 경우에는 각각의 입자본래의 1차입자를 가급적 재현하도록 균일한 분산을 행할 필요가 있다.
또 소정의 평균입경의 입자를 얻기 위하여 시판 미립자의 분쇄처리나 분급조작 등을 채용하더라도 무방하다.
이 입자를 슬러리로서 첨가할때에는 슬러리중의 5㎛ 이상의 입자의 비율이 전입자에 대하여 0.5중량%이하로 하여 첨가하는 것이 조대입자를 저하시키는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또 이 입자를 슬러리로서 폴리에스테르 제조과정에서 첨가할 경우는 실리카나 산화티탄 슬러리와 탄산칼슘 슬러리를 동시에 첨가하여도 좋고 또 별개로 첨가하여도 좋다.
동시에 첨가할 경우는 별개의 공급구로부터 첨가하여도 좋고 또 폴리에스테르 제조과정에 첨가하기 전에 양슬러리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나서 첨가하여도 좋다.
또 응집하지 않은 범위내에서 개개의 입자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를 미리 별개로 제조하고 이어서 소정의 입자농도로 되도록 혼합하여도 좋다.
조대입자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또한 표면 평활성에 대하여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의 평균입경 및 함유량이면 폴리에스테르의 제조과정에서 석출한 미립자, 이른바 내부입자를 함유하고 있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필름의 용도가 그의 편면만이면 금속로울이 접촉하는 경우는 접촉면만을 본 발명의 불활성 무기입자를 함유시키고 타면은 목적이 따라 불활성 무기입자를 함유시켜도 좋고 함유시키지 않는 별도의 층이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필름은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자기기록용 기재 그중에서도 자기테이프용, 특히 비데오용 베이스 필름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기용도, 증착용필름, 마이크로필름등의 다른 분야에도 널리 적용할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표시한다.
실시예중의 부는 특히 양해가 없는한 모두 중량부를 의미한다. 또 사용한 측정법을 다음에 표시한다.
(1) 필름의 가공성
필름을 세폭(細幅)으로 슬릿한 테이프상 로울을 금속제 가이드로울에 힘을 주어 접촉시키면서 고속, 장시간 주행시킬 때 일정한 공급장력에 대하여 가이드로울 찰과후의 테이프장력의 대소 및 가이드로울 표면에 발생하는 백분량의 다소를 각각 5단계로 평가하여 다음의 등급으로 나타냈다.
(가) 활성
1급…장력대(찰상 많음)
2급…장력 약간 대(찰상 상당히 많음)
3급…장력 중(찰상 약간 있음)
4급…장력 약간 소(찰상 거의 없음)
5급…장력 소(찰상 전혀 없음)
(나) 내마모성
1급…백분 발생 매우 많음
2급…백분 발생 많음
3급…백분 발생 약간 있음
4급…백분 발생 거의 없음
5급…백분 발생 전혀 없음
(2)반복 주행특성
제1도에 표시한 장치를 사용하여 23℃, 상대습도 65%의 분위기하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조면측의 면을 시판 가정용 VTR의 가이드핀(촉침식 표면) 조도계(租度計)로 측정한 최대돌기 높이가 0.15㎛, 중심선 평균조도(거침도)가 0.08m)에 각도3/4π(단위 레이디언)만큼 접촉시키고 일정하중 50그램의 장력을 부여하고 회전반경 42mm의 크랭크를 각속도 8.0rpm로 회전시키고 100회 필름을 황복시켰을 때 동마찰계수, 정마찰계수의 각각의 초기 동마찰계수, 초기 정마찰계수로부터의 증가분(△μkd, △μks)을 5단계로 평가하고 다음의 등급으로 나타냈다.
1급…동마찰계수, 정마찰계수 증가분 0.20이상
2급…0.15 내지 0.20
3급…0.10 내지 0.15
4급…0.05 내지 0.10
5급…0.05 미만
(3)평균입경
시마쓰(
Figure kpo00001
)제작소제 원심 침강식 입도분포 측정기(CP-50형)에 의해서 얻은 등가구경 분포에 있어서의 적산 50%점의 값을 사용한다.
(4) 필름의 표면 평활성(TAR)
필름표면을 오사까(小
Figure kpo00002
)연구소제 촉침식 3차원 표면조도계(SE-3AK)를 사용하여 침의 반경 2㎛, 하중 70mg의 조건하에 필름의 길이방향으로 커트오프치 0.25mm로 기준길이 1mm에 걸쳐서 측정하고 2㎛간격으로 높이방향의 데이터를 양자화폭(量子化幅) 0.00312㎛로 외부 기억장치에 취입(取
Figure kpo00003
)시킨다. 이와같은 측정을 필름의 폭방향에 대하여 2㎛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150회, 즉 필름의 폭방향 0.3mm의 폭에 걸쳐서 측정하였다. 이때의 높이방향의 데이터를
h(i, j)〔i=1 내지 500, j=1 내지 150〕
로 하였을 때 차식의 계산을 하여서 얻어진 것을 ㎛단위로 표시한 것이 TAR[Three dimensional average roughness]이다.
Figure kpo00004
(5) 필름중의 조대(粗大)입자수
필름의 소량을 2대의 커버유리 사이에 끼워서 280℃에서 용융 프레스하여 급냉한 후 위상차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고 화상 해석처리장치 루우젝스 500(니혼 레규레이터 제)를 사용하여 처리하고 입자상 내의 최대 길이가 5㎛이상의 입자수(측정면적 4.8㎟당의 개수)를 계수하여 입자수의 다소에 의해서 다음의 등급으로 나타냈다.
1급…51개 이상/4.8㎟
2급…21 내지 50개/4.8㎟
3급…11 내지 20개/4.8㎟
4급…4 내지 10개/4.8㎟
5급…0 내지 3개/4.8㎟
(6) 전자 변환특성(S/N비)
상기 필름을 자기테이프로 하였을 시의 S/N 비는, 50% 백(白) 래벨신호를 각 테이프의 최적 기록전류에서 측정하고, 재생시의 비데오 복조신호에 함유되는 신호와 노이즈의 비(S/N 비)를 비데오 노이즈 측정기를 사용하여 구하여, 시판 표준 테이프에 대한 각 테이프의 S/N 비의 대소를 각각 5단계로 평가하여 다음의 등급으로 나타냈다.
1급…S/N 비 소
2급…S/N 비 약간 소
3급…S/N 비 시판 표준테이프 평균
4급…S/N 비 약간 대
5급…S/N 비 대
[실시예 1]
교반장치 분축기, 원료투입구 및 생성물 취출구를 설치한 2단의 완전혼합조로 이루어진 연속 에스테르화 반응장치를 사용하여 그의 제1에스테르화 반응관의 에스테르화 반응생성물이 존재하는 계(係)에 테레프탈산(TPA)에 대한 EG의 몰비율 1.7에 조정하고 또한 삼산화안티몬을 안티몬 원자로서 TPA단위당 289ppm을 함유한 TPA의 EG 슬러리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였다.
동시에 TPA의 EG슬러리 공급구와는 별도의 공급구로부터 아세트산 마그네슘 사수염의 EG용액과 아세트산 나트륨의 EG용액을 반응관내를 통과하는 반응생성물줄의 폴리에스테르 단위유니트당 각각 Mg원자 및 Na 원자로서 100ppm 및 10ppm로 되도록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상압에서 평균 체류시간 4.5시간, 온도 255℃에서 반응시켰다.
이 반응생성물을 연속적으로 계외로 꺼내서 제2에스테르화 반응관에 공급하였다. 제2에스테르화 반응관을 통과하는 반응생성물중의 폴리에스테르 단위유니트에 대하여 0.5중량부의 EG, 트리메틸 포스페이트의 EG용액을 P원자로서 64ppm 및 평균입경이 0.04㎛의 실리카의 EG슬러리와 평균입경이 0.08㎛의 탄산칼슘의 EG슬러리를 실리카 및 탄산칼슘으로서 각각 0.25중량% 및 0.15중량%로 되도록 각각 별개의 공급구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상압에서 평균 체류시간 5.0시간, 온도 260℃에서 반응시켰다.
이 에스테르화 반응생성물을 교반장치, 분축기, 원료 투입구 및 생성물 취출구를 설치한 2단의 연속 중축합 반응장치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중축합을 행하여 고유점도 0.620의 폴리에스테르를 얻었다. 이 폴리머를 290℃에서 용융 압출하여 90℃에서 세로 방향으로 3.5배, 130℃에서 횡방향으로 3.5배 연신한 후 220℃에서 열처리하여 얻어진 15㎛의 필름의 필름특성을 표 1에 표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얻은 필름은 표면 평활성, 활성, 내마모성, 주행특성 및 조대 입자수의 모든 특성이 극히 양호하며, 특히 전자(電磁)변환특성은 극히 양호하며 고품질인 것을 알수 있다.
[실시예 2]
탄산칼슘의 평균입경 및 첨가량을 각각 0.47㎛ 및 0.05중량%로 변경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얻은 필름의 필름물성을 표 1에 표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얻은 필름은 모든 특성이 극히 양호하며, 고품질인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탄산칼슘의 첨가를 제외하는 이외에,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얻은 필름의 필름물성을 표 1에 표시하였다. 본 비교예에서 얻은 필름은 내구 주행성, 활성, 내마모성이 극히 나쁘다.
[비교예 2]
비교예 1에서 실리카의 첨가량을 0.50중량%로 변경하는 이외에, 비교에 1과 같은 방법으로 얻은 필름의 필름물성을 표 1에 표시하였다. 비교예에서 얻은 필름은 내구 주행성, 활성, 내마모성이 극히 나쁘다.
[비교예 3]
실시예 2에서, 실리카의 첨가를 제외하는 이외에,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에서 얻은 필름의 필름물성을 표 1에 표시하였다. 본 비교예에서 얻은 필름은 내구 주행성에 뒤떨어진다.
[비교예 4]
비교예 3에서 탄산칼슘의 평균입경 및 첨가량을 각각 0.35㎛ 및 0.10중량%로 변경하는 이외에, 비교예 3과 같은 방법에서 얻은 필름의 필름물성을 표 1에 표시하였다. 본 비교예에서 얻은 필름은 내구 주행성에 뒤떨어진다.
[비교예 5]
실시예 2에서 실리카에서 평균입경을 0.52㎛로 변경한 이외에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얻은 필름의 필름물성을 표 1에 표시하였다. 본 비교예에서 얻은 필름은 조대입자수, 전자 변환특성이 극히 나쁘다.
[비교예 6]
실시에 2에서 실리카의 첨가량을 1.20중량%로 변경한 이외에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얻은 필름의 필름물성을 표 1에 표시하였다. 본 비교예에서 얻은 필름은 조대입자수, 전자 변환특성이 극히 나쁘다.
[실시예 3]
실시예 2에서 실리카 및 탄산칼슘의 첨가량을 각각 0.15중량%, 0.1중량%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얻은 필름의 필름물성을 표 1에 표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얻은 필름은 모든 특성이 극히 양호하며 고품질인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7]
실시예 3에서 실리카 및 탄산칼슘의 평균입경을 각각 0.65㎛, 0.08㎛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얻은 필름의 필름물성을 표 1에 표시하였다. 본 비교예에서 얻은 필름은 조대입자수, 전자 변환특성이 극히 나쁘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실리카의 평균입경 및 첨가량을 각각 0.08㎛, 0.20중량%로, 탄산칼슘의 첨가량을 0.20중량%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얻은 필름의 필름물성을 표 1에 표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얻은 필름은 모든 특성이 극히 양호하며 고품질인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8]
실시예 4에서 실리카의 평균입경 및 첨가량을 각각 0.04㎛, 1.20중량%, 탄산칼슘의 첨가량을 0.15중량%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4와 같은 방법으로 얻은 필름의 필름물성을 표 1에 표시하였다. 본 비교예에서 얻은 필름은 조대입자수, 전자 변환특성이 뒤떨어진다.
[비교예 9]
실시예 4에서 실리카의 평균입경을 0.65㎛로, 탄산칼슘의 평균입경 및 첨가량을 각각 0.60㎛, 0.07중량%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4와 같은 방법으로 얻은 필름의 필름물성을 표 1에 표시하였다. 본 비교예에서 얻은 필름은 조대입자수, 전자 변환특성이 극히 나쁘다.
[실시예 5 내지 6]
실시예 1에서 실리카의 첨가량을 0.50중량%, 탄산칼슘의 평균입경을 각각 0.35㎛, 0.20㎛로 첨가량을 각각 0.07중량%, 0.20중량%로 변경한 이외에,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얻은 필름의 필름물성을 표 1에 표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얻은 필름은 모든 특성이 극히 양호하며, 고품질인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서 실리카 및 탄산칼슘의 첨가량을 각각 0.10중량%, 0.10중량%로 변경한 이외에,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얻은 필름의 필름물성을 표 1에 표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얻은 필름은 모든 특성이 극히 양호하고 고품질인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
실시예 1에서 탄산칼슘의 평균입경을 0.15㎛로 로 변경한 이외에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얻은 필름의 필름물성을 표 1에 표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얻은 필름은 모든 특성이 극히 양호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9]
실시예 1에서 실리카를 평균입경이 0.25㎛의 이산화티탄으로 바꾸고 또한 그의 첨가량을 0.20중량%로 하고, 탄산칼슘의 평균입경 및 첨가량을 각각 0.35㎛, 0.10중량%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얻은 필름의 필름물성을 표 1에 표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얻은 필름은 모든 특성이 극히 양호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0]
실시예 1에서 이산화티탄의 평균입경을 0.03㎛로 탄산칼슘의 평균입경 및 첨가량을 각각 0.08㎛, 0.15중량%로 변경한 이외에, 실시예 9와 같은 방법으로 얻은 필름의 필름물성을 표 1에 표시하였다. 본 실시에에서 얻은 필름은 모든 특성이 극히 양호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0]
실시예 9에서 탄산칼슘의 첨가를 제외하는 이외에, 실시예 9와 같은 방법으로 얻은 필름의 필름물성을 표 1에 표시하였다. 본 비교예에서 얻은 필름은 내구 주행성, 활성, 내마모성이 극히 나쁘다.
[실시예 11]
실시예 1의 방법에서 이산화티탄, 실리카, 탄산칼슘의 3종을 병용한 경우의 결과를 표1에 표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얻은 필름은 모든 특성이 극히 양호하며 고품질인 것을 알 수 있다.
[표 1]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Claims (17)

  1. 주 반복단위가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된 폴리에스테르중에, 각 평균 입자크기가 0.01 내지 0.5μ인 실리카 입자와 이산화티탄(TiO2)입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입자 0.01 내지 1.0중량%와 평균입자크기가 0.01 내지 0.5μ인 탄산칼슘 입자 0.005 내지 1.0중량%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각 실리카 입자 및 이산화티탄 입자가 0.01 내지 0.4μ의 평균 입자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각 실리카 입자 및 이산화티탄 입자가 0.01 내지 0.3μ의 평균 입자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각 실리카 입자 및 이산화티탄 입자가 0.03 내지 0.1μ의 평균 입자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각 실리카 입자 및 이산화티탄 입자가 0.02 내지 0.6중량%의 양으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각 실리카 입자 및 이산화티탄 입자가 0.05 내지 0.1중량%의 양으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각 실리카 입자 및 이산화티탄 입자가 0.05 내지 0.3중량%의 양으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탄산칼슘 입자가 0.03 내지 0.49μ의 평균 입가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탄산칼슘 입자가 0.04 내지 0.48μ의 평균 입가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탄산칼슘 입자가 0.04 내지 0.1μ의 평균 입자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탄산칼슘 입자가 0.01 내지 0.48μ의 평균 입자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12. 제1항에 있어서, 탄산칼슘 입자가 0.01 내지 0.6중량%의 양으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13. 제1항에 있어서, 탄산칼슘 입자가 0.02 내지 0.5중량%의 양으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14. 제1항에 있어서, 탄산칼슘 입자가 0.02 내지 0.2중량%의 양으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15. 제1항에 있어서, 탄산칼슘의 평균 입자크기가 실리카와 이산화티탄의 평균 입자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16. 제1항에 있어서, 두축으로 배향된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17. 제1항에 있어서, 비데오 테이프용 기본필름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9850000797A 1984-02-09 1985-02-08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8900025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23567 1984-02-09
JP59-023567 1984-02-09
JP59023567A JPS60166435A (ja) 1984-02-09 1984-02-09 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863A KR850005863A (ko) 1985-09-26
KR890002564B1 true KR890002564B1 (ko) 1989-07-18

Family

ID=12114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0797A KR890002564B1 (ko) 1984-02-09 1985-02-08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693932A (ko)
EP (1) EP0152265B2 (ko)
JP (1) JPS60166435A (ko)
KR (1) KR8900025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9721A (ja) * 1985-02-05 1986-08-12 Toyobo Co Ltd 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S6295339A (ja) * 1985-10-22 1987-05-01 Teijin Ltd ポリエステル組成物
FR2594381B1 (fr) * 1986-02-14 1988-06-17 Rhone Poulenc Films Films composites polyester transparents utilisables notamment pour l'obtention de films metallises a haute brillance
US5304324A (en) * 1986-03-07 1994-04-19 Nippon Shokubai Kagaku Kogyo Co., Ltd. Monodispersed glycol suspension of fine inorganic oxide particles having excellent dispersion stability
DE3751849T2 (de) * 1986-03-07 1996-11-28 Nippon Catalytic Chem Ind Verfahren zur Verbesserung des Gleitvermögens von Polyesterfolie
JPS62245520A (ja) * 1986-04-16 1987-10-26 Diafoil Co Ltd 磁気記録媒体
JPS6361028A (ja) * 1986-09-01 1988-03-17 Teijin Ltd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US4818581A (en) * 1986-08-27 1989-04-04 Teijin Limited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JPH0618071B2 (ja) * 1987-03-10 1994-03-09 帝人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ATE109493T1 (de) 1986-08-29 1994-08-15 Diafoil Hoechst Co Ltd Polyester-zusammensetzung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polyesterfilme, polyesterfilme für magnetbänder und daraus hergestellte filme für kondensatoren.
JPS6372730A (ja) * 1986-09-16 1988-04-02 Teijin Ltd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S6372729A (ja) * 1986-09-16 1988-04-02 Teijin Ltd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S63112631A (ja) * 1986-10-30 1988-05-17 Teijin Ltd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H0739534B2 (ja) * 1986-12-10 1995-05-01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表面特性の良好な液晶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H0628099B2 (ja) * 1987-01-07 1994-04-13 帝人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
JPH0628101B2 (ja) * 1987-01-14 1994-04-13 帝人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
US5106681A (en) * 1987-02-12 1992-04-21 Diafoil Company, Limited Polyester films, magnetic recording media and film capacitors produced therefrom
JPS63235335A (ja) * 1987-03-24 1988-09-30 Teijin Ltd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S63235337A (ja) * 1987-03-24 1988-09-30 Teijin Ltd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S63235342A (ja) * 1987-03-25 1988-09-30 Teijin Ltd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S63235340A (ja) * 1987-03-25 1988-09-30 Teijin Ltd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S63235341A (ja) * 1987-03-25 1988-09-30 Teijin Ltd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S63235343A (ja) * 1987-03-25 1988-09-30 Teijin Ltd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S63238136A (ja) * 1987-03-26 1988-10-04 Teijin Ltd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S63238135A (ja) * 1987-03-26 1988-10-04 Teijin Ltd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DE3854830T2 (de) * 1987-04-07 1996-06-27 Toray Industries Polyesterfilm
US5000871A (en) * 1987-06-24 1991-03-19 Maruo Calcium Company Limited Gycol dispersion of calcium carbonate
JPS6414246A (en) * 1987-07-07 1989-01-18 Diafoil Co Ltd Polyphenylene sulfide film
JPH0662792B2 (ja) * 1987-08-11 1994-08-17 東洋紡績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5085800A (en) * 1988-07-06 1992-02-04 Maruo Calcium Company, Limited Glycol dispersion of precipitated calcium carbonate
EP0356343A1 (en) * 1988-07-25 1990-02-28 EASTMAN KODAK COMPANY (a New Jersey corporation) Copolymers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rapid crystallization rate from the glassy state
JPH0818456B2 (ja) * 1989-09-08 1996-02-28 帝人株式会社 スタンピングホイル
JPH0778133B2 (ja) * 1989-12-14 1995-08-23 ダイアホイルヘキスト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862955B2 (ja) * 1990-05-28 1999-03-03 嗣郎 源吉 バテライト型炭酸カルシウムを含有するポリエステル組成物
EP0460640A1 (en) * 1990-06-07 1991-12-11 Diafoil Hoechst Co., Ltd Polyester film for magnetic recording media
DE69127188T2 (de) * 1990-09-21 1998-01-22 Toray Industries Thermoplastische polyesterzusammensetzung und daraus hergestellter film
JP2963949B2 (ja) * 1990-10-08 1999-10-18 東洋紡績株式会社 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EP0488603B1 (en) * 1990-11-26 2000-01-19 Teijin Limited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US5336079A (en) * 1991-03-06 1994-08-09 Toray Industries, Inc. Biaxially oriented laminated film comprising particles in a specific ratio of particle density
JPH04282226A (ja) * 1991-03-12 1992-10-07 Diafoil Co Ltd 2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CA2081626A1 (en) * 1991-11-08 1993-05-09 Taiichi Sakaya Phase retarder
US5391609A (en) * 1993-06-09 1995-02-21 Mobil Oil Corp. Transparent films providing a barrier to the transmission of ultra-violet light
KR960000956A (ko) * 1994-06-30 1996-01-25 하기주 농업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JP3569987B2 (ja) * 1994-12-22 2004-09-29 東洋紡績株式会社 2軸配向ポリアミド系樹脂フィルム
US6231966B1 (en) * 1995-04-14 2001-05-15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Oriented polyester film
FR2741627B1 (fr) * 1995-11-27 1997-12-19 Poudres & Explosifs Ste Nale Compositions entierement biodegradables utiles pour fabriquer des cartouches de chasse et de tir
JPH10157024A (ja) * 1996-11-29 1998-06-16 Teijin Ltd 積層フイルム
KR100558566B1 (ko) * 1998-01-03 2006-06-16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자기기록매체용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DE102004061390A1 (de) 2004-12-21 2006-07-06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Matte,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DE102004061389A1 (de) 2004-12-21 2006-06-22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die Siliziumdioxid und Titandioxid enthält
DE102010019010A1 (de) 2010-05-03 2011-11-03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mit sphärischen Partikeln und Titandioxid-Partikeln
JP2013049785A (ja) * 2011-08-31 2013-03-14 Toray Ind Inc 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
CN104292780B (zh) * 2014-10-27 2016-08-24 河南卓立膜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省色带型条幅碳带专用5.3微米bopet
EP4049839A4 (en) * 2019-10-25 2023-11-29 Toyobo Co., Ltd. LASER PRINTABLE FILM AND PACKAGING IN WHICH IT IS USED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1226A (en) * 1960-12-20 1965-11-30 Eastman Kodak Co Wrinkle free polyester film dielectric for capacitors
JPS5417789B1 (ko) * 1969-04-25 1979-07-03
US3980611A (en) * 1970-07-07 1976-09-1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illed thermoplastic films
US3821156A (en) * 1972-01-03 1974-06-28 Celanese Corp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US4198458A (en) * 1973-05-11 1980-04-15 Teijin Limited Laminate polyester films
JPS5341355A (en) * 1976-09-29 1978-04-14 Toray Ind Inc Biaxilialy streched polyester film
GB1591582A (en) * 1977-03-01 1981-06-24 Teijin Ltd Polyester film having slipperiness
US4242396A (en) * 1977-10-20 1980-12-30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Limited Films of thermoplastics materials having roughened surfaces
US4375494A (en) * 1980-03-12 1983-03-01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Polyester film composites
JPS57189822A (en) * 1981-05-20 1982-11-22 Toray Ind Inc Biaxially stretched polyester film
JPS583289A (ja) * 1981-06-30 1983-01-10 Fujitsu Ltd 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JPS59179555A (ja) * 1983-03-30 1984-10-12 Teijin Ltd 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52265B1 (en) 1989-10-04
JPH0240252B2 (ko) 1990-09-11
KR850005863A (ko) 1985-09-26
EP0152265A2 (en) 1985-08-21
US4693932A (en) 1987-09-15
EP0152265A3 (en) 1985-10-30
EP0152265B2 (en) 1995-10-11
JPS60166435A (ja) 1985-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2564B1 (ko)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890003627B1 (ko)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JPS61236852A (ja) 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H0512374B2 (ko)
JPS6244775B2 (ko)
JPH053377B2 (ko)
JPS6244774B2 (ko)
JPH03292354A (ja) 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S62205133A (ja) 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KR960011757B1 (ko)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JPS61179721A (ja) 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H0458814B2 (ko)
JPH0415727B2 (ko)
KR960007014B1 (ko) 고밀도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JPH0513977B2 (ko)
JPS59152948A (ja) 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S60179931A (ja) 磁気テ−プ用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KR100290304B1 (ko) 이축배향폴리에스테르필름의제조방법
KR0131994B1 (ko)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248728B1 (ko) 자기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S63300423A (ja) 磁気記録媒体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H0733964A (ja) 磁気記録媒体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5301977A (ja) 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H0458812B2 (ko)
JPS5942374B2 (ja) ジキキロクザイリヨ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1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