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770B1 -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770B1
KR860000770B1 KR1019830002363A KR830002363A KR860000770B1 KR 860000770 B1 KR860000770 B1 KR 860000770B1 KR 1019830002363 A KR1019830002363 A KR 1019830002363A KR 830002363 A KR830002363 A KR 830002363A KR 860000770 B1 KR860000770 B1 KR 860000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ropylene
ethylene
particle size
inorganic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2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4924A (ko
Inventor
요이찌 가와이
요시히사 고또
마사미 마끼
아끼오 요시하라
미노루 호시노
가쯔미 세끼구찌
Original Assignee
미쓰이 도오아쓰 가가꾸 가부시끼 가이샤
요시오까 시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도오아쓰 가가꾸 가부시끼 가이샤, 요시오까 시로 filed Critical 미쓰이 도오아쓰 가가꾸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4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4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7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우수한 도장성, 고강성(high stiffness), 고내충격성 및 고성형 유동성을 가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폴리프로필렌수지는 경비중, 고강성 및 우수한 내열성 및 내약품성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초기에는 특히 저온하의 내충격성이 나쁘기 때문에 저온하에서 사용하는 것은 부적당하였다. 이들 중에 에틸렌 및 프로필렌과의 공중합에 의해 얻어진 내충격 그레이드(grade)를 가진 폴리프로필렌수지가 개발되어, 저온하에서 사용 가능한 폴리프로필렌수지로서 시판되었지만, 최근에는 더 높은 성능 및 내충격성이 필요로 되기 때문에 내충격 그레이드는 어떤 적용에서는 충분치 않음이 밝혀졌다. 예를들면 자동차용 범퍼, 범퍼스커트, 트림(trim)등의 분야에는 고강성, 고내열성, 쉬운 도장성과 동시에 고내충격성 등의 상반되는 성질을 가진 수지가 요구되며, 특히 범퍼의 경우에는 성형품의 대형화에 수반되는 고성형유동성이 한층 더 요구된다.
그리하여 폴리프로필렌수지의 내충격성, 도장성을 개선하기 위해, 여러가지 수단이 제안되었다.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47344/1982호는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블럭 공중합체 50~97 중량 % 및 무니점도(Mooney Viscosity(ML1+4, 100℃) 70~150를 갖는 탄성 에틸렌-프로필렌-디엔 3 중합체 50~3 중량 %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발표하였다.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55952/1982호는 범퍼제작에 사용되기 적당한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발표하였다. 그의 조성은 에틸렌 함량 5~10 중량 %, 폴리프로필렌 성분의 비등 n-헵탄불용분 97 중량 % 이상, 실온의 파라-자일렌에 용해되며 데칼린(135℃)에서 측정한 고유점도 3~4, 용융 유동지수 2~10인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블럭 공중합체 55~65 중량 %, 데칼린(135℃에서 측정한 고유점도 2.0~3.5 및 무니점도(ML1+4, 100℃) 40~100을 갖는 무정형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30~35 중량 % 및 0.5~5μm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활석 5~15 중량 %로 구성된다. 반면에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70141/1982는
(a)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폴리머 30~85 중량 %
(b)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 고무 5~50 중량 %
(c) 평균 입자크기 0.05~1.0μm인 침전된 또는 습윤의 무겁고 미세한 칼슘 카르보네이트 입자로 구성된 프로필렌폴리머 조성물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이와같은 조합된 내충격성 향상제를 함유하는 수지조성물은 그들의 내충격성 및 도장성은 확실히 증가되었지만 반면에 그들의 강성, 내열성 및 성형유동성이 저하된다는 결점을 수반하고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수지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기 충전재를 첨가하는 것이 주로 시행되었다. 이 방법에 따르면, 이와같은 무기 충전재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강성이 증가하고 열저항은 향상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충전재의 첨가는 반면에 주목할만한 내충격성의 감소를 유발하였다. 예를들면 "공업재료(Engineering Materials)" 20권, 제7호, 29페이지(1972)에는 활석을 첨가함에 따라 폴리프로필렌의 강도 및 열변형 온도는 향상되었지만 이조드(Izod) 충격강도는 감소된다는 것을 발표하였다. "플라스틱학(Plastics)" 17권, 제12호, 27페이지(1966)는 규조토, 칼슘카르보네이트, 활석 또는 석면을 첨가하였을 때, 폴리프로필렌의 이조드충격강도는 낮아진다는 것을 또한 발표하였다.
덧붙여 말하면 상기 방법에 사용된 무기 충전재는 관례적으로 적용된 것들이었으며 그들의 입자크기에는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도장성, 고강성 및 내충격성뿐만 아니라 고성형유동성을 가진 프로필렌수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이하 EPM이라 칭한다) 또는 EPM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3 중합체 고무(이하 EPDM이라 칭한다)를 조합한 내충격성 향상제 및 무기충전재를 사용하여 폴리프로필렌수지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그의 도장성 및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려는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관례적으로, 적용된 입자크기 5~150μm를 갖는 무기충전재는(상기한 참조 문헌에 발표된 결과와 비슷하게) 그들의 비가 증가됨에 따라 폴리프로필렌의 내충격성을 저하하였으며, 따라서 강성 및 내충격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없게 되었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들은 그들의 연구범위를 확대하여, 특정한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블럭 공중합체, EPM 및 EPDM 뿐만아니라 특정한 입자크기를 갖는 무기충전재를 특정비율로 결합하여 폴리프로필렌의 도장성, 강성 및 내충격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그의 성형적용성도 또한 좋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이리하여 본 발명은
(a) 에틸렌 함량 11~30 중량 %, 폴리프로필렌 성분의 비등 n-헵탄 불용분 75 중량 % 이상, 테트라 린용액(135℃)중의 고유점도 1.2~2.0 및 용융 유동지수 8 이상의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불럭 공중합체 80~60 중량 %
(b) 프로필렌함량 20~50 중량 % 및 무니점도(ML1+4, 100℃) 20~100를 가진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5~35 중량 %
(c) 프로필렌 함량 20~50 중량 % 및 무니점도(ML1+4, 100℃) 20~110을 갖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3 중합체 5~35 중량 %(상기 디엔은 에틸리덴노르보넨, 디사이클로펜타엔 또는 1, 4 헥사디엔이다) 및
(d) 상기 수지 조성물 (a), (b) 및 (c)의 전체 무게에 기초한 입자크기 3μm 이하인 무기충전제 2~5 중량 %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제에 유용한 결정성 에틸렌 프로필렌블럭 공중합체는 에틸렌 함량 11~30 중량 %, 폴리프로필렌 성분의 비등 n-헵탄에 불용분 75 중량 % 이상(바람직하기는 75~약 100), 테트라린 용액(135℃)으로 측정된 고유점도 1.20~2.0 및 용융유동지수 8 이상(바람직하기는 8~80)을 가지고 있다. 상기 에틸렌 함량이 11 중량 % 이하이면, 도장성 특히 결과의 성형품에 초기 밀착성이 감소된다. 반면에 다른 에틸렌 함량이 30 중량 % 이상이면 결과의 성형품에 굽힘 탄성률(the modulus of flexural elasticity)은 9000kg/cm2보다 작다. 테트라린 용액(135℃)으로 측정된 1.20 이하의 어떤 고유점도도 결과 성형품의 이조드 충격강도가 -40℃에서 10kg. cm/cm보다 적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2.0 이상의 어떤 고유점도도 6g/10분보다 작은 용융 유동지수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나타내었다. 상기 용융 유동지수가 8 보다 작다면, 결과의 프로필렌 조성물의 용융 유동지수는 6g/10보다 적을 것이다. 상기 성질중 어느 것이 상기에 특정하게 정의된 그의 각 범위 밖에 있다면 결과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강성, 내충격성 및 성형유동성은 너무 낮다.
본 발명의 실제에 유용한 EPM은 프로필렌함량 20~50 중량 % 및 무니점도(ML1+4, 100℃) 20~100을 갖는 것으로 제한된다. 비슷하게, EPDM은 또한 프로필렌 함량 20~50 중량 %, 무니점도(ML1+4, 100℃) 20~110을 가지고, 에틸레덴 노르보넨, 디사이클로펜타디엔 중의 하나 및 제3성분으로서 1, 4헥사디엔, 예를들면 디엔을 함유하는 것으로 제한된다. 이들 제한은 EPM 및 EPDM의 낮은 유리전이온도(이하 Tg라 약한다)가 폴리프로필렌수지의 내충격성의 향상에 효율적이고, 사용된 EPM 및 EPDM의 분자량에 대해 어떤 일정한 범위가 존재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는 필수적이다.
EPM 및 EPDM 각각의 Tg는 프로필렌 농도가 15 몰 %~40 몰 % 범위에서 최소값에 도달한다고 알려졌다. 프로필렌의 상기 농도 범위는 프로필렌 함량 20~50 중량 %와 일치한다. 그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무를 수지에 결합하였을때, 분산된 고무입자의 크기에 따른 적절한 값이 존재함이 알려졌다. 이와 비슷하게 적성 입자크기가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EPM 및/또는 EPDM의 게에서 또한 존재한다.
EPM 및 EPDM의 분자량이 너무 작으면, 그들의 분산입자의 크기는 그들의 적정치 보다 작으며, 너무 큰 분자량의 EPM 및 EPDM의 경우는 그들 각각의 적정치 보다 큰 입자크기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분자량 모두가 바람직하다. 분산된 입자크기에 대해 적정치를 제공하는 EPDM 및 EPM의 분자량은 분자량과 연관된 무니점도(ML1+4, 100℃)로 결정하여 EPM의 경우는 20~100 및 EPDM의 경우는 20~110이다.
본 발명에서는 배합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입상의 EPM 및 EPDM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상 EPM의 예로는 타프머(Toughmer) PO180, 타프머 PO 280, 타프머 PP480 및 타프머 P-680(미쓰이 석유화학공업(주)의 상품명) 및 EPO2P 및 EPO7P(일본, 이. 피. 고무(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EPM 및 EPDM을 조합하여 모든 도장성, 내충격성 및 성형유동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EPM 및 EPDM의 비는 5~35 중량 %의 범위내에 있어야 하고, 그들 전체비는 보통 20 중량 %~40 중량 % 범위에 있는 것이 좋다. EPM 및 EPDM의 전체비가 20 중량 % 보다 작으면, 그들의 내충격성 및 도장성 향상효과를 필요한 만큼 얻을 수 없고, 결과의 성형품의 -40℃의 이조드 강도는 10kg. cm/cm보다 작다. 그러므로 EPM 및 EPDM을 이와같은 작은 전체비로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반면에 EPM 및 EPDM의 전체 비율이 40 중량 % 이상이면 결과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성형유동성 및 강도가 낮게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더우기 EPM이 5 중량 % 이하의 비로 조합되었을 시는 도장성의 중요한 향상을 제공할 수 없다. EPDM이 5 중량 % 이하의 비로 조합될 시는 그의 충격강도 향상 효과가 적고, 결과 성형품의 -40℃ 이조드 충격강도는 10kg. cm/cm보다 작다. 따라서 EPM 및 EPDM을 이와같은 낮은 비로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실제에 유용한 무기충전재는 수지에 사용하기 적당한 무기 및 분말상 충전재이다. 무기 충전재의 예로서는 칼슘옥시드, 마그네슘옥시드, 칼슘하이드록시드, 마그네슘 사이드록시드, 알루미늄 하이드록시드, 칼슘 카르보네이트, 마그네슘 카르보네이트, 염기성 마그네슘 카르보네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칼슘 설페이트, 바블 설페이트, 칼슘 설파이트, 활석, 점토, 유리, 돌로마이트, 피이소나이트 등, 특히 바람직하기는 칼슘 카르보네이트, 바륨 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및 활석이 좋다.
본 발명에 사용된 무기충전재의 입자 크기는 3μm 이하인 것이 필수적이다. 특히 바람직하기는 2μm 이하의 입자크기가 바람직하다. 입자크기 3μm 이상을 가진 무기충전재가 사용된다면 결과의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이 나쁘다.
여기에서 이와같은 무기충전재의 입자크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입자크기에 대해서는 그린(Green) 또는 페레트(Feret)의 입자크기, 고벨라인(Goebelein)의 입자크기, 누센스타인(Nussenstein)의 입자크기 및 스토크스(Stokes)의 입자크기를 포함하는 여러가지 정의가 있다. 입자크기는 "화학공업 편람(Chemical Industry Handbook)에 주어진 측정방법의 다양함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여기서 "입자크기"라 사용되는 말은 광투과법으로 결정된 누센스타인의 입자크기를 의미한다. 입자크기의 측정은 예를들면 광투과식 입도분포 측정기 Mdoel SKC 2000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입자크기로서 입도적산 분포의 50%(일반적으로 D50이라 칭함)에 해당하는 입자크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부가적으로 시장에 일반적으로 유용한 무기충전재의 대부분은 5~150μm 범위의 입자크기를 갖는다. 이와같은 관용적인 무기충 전재와는 달리, 본 발명에서는 예를들면 제트-오-마이저(JET-O-MIZER) Model 0202 초 미분쇄기를 사사용하여 3μm 이하의 크기로 작게 만들어진 무기충전재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참가된 3μm 이하의 입자크기를 가진 무기충전재의 비는 결정성 에틸레-프로필렌블럭공중합체 EPM 및 EPDM의 수지성분에 기초하여 2 중량 %~5 중량 % 범위여야 한다. 2 중량 % 이하의 비는 항상 너무 적기 때문에 충전재의 강도 향상 효과가 많이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와같이 적은 비의 충전재를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무기충전재의 비가 약 15중량부로 증가됨에 따라 강도 및 내충격성은 모두 향상되지만 도장성은 감소되고, 수지의 예비건조가 성형시 필요 불가결하게 된다. 그러므로 비의 상한선을 훨씬 낮은 수준으로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무기충전재가 5 중량 %를 초과하는 비로 첨가된다면 수지가 무기충전재의 흡습성에 기인한 성형물의 표면에 실버스트리크(silver streak)를 만들기 때문에 결과의 수지조성물에 예비건조를 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무기충전재가 5 중량 5 이상 첨가된다면, 도장성 가운데 초기 밀착성은 향상되지만, 반면에 수지 조성물에 분포된 무기충전재는 습기를 흡수하여, 수지층 및 코팅층 사이가 부풀게 하기 때문에 결과의 수지조성물의 온수 및 습기에 대한 저항성은 감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와같은 높은 비로 무기충전재를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에 사용된 다양한 성분의 혼합은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단, 예를들면 단축압출기, FCM, CIM 등의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생산할 때는 폴리프로필렌수지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기는 하나 이상의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금속열화 방지제, 활제, 대전방지제, 발포제 등을 배합하는 것이 가능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은 고강도, 내충격성 및 성형유동성 뿐만아니라 우수한 도장성(예를들면 초기밀착성, 내온수성 및 내흡습성)을 가지고 있다. 즉 상기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은 굽힘 탄성률이 9000kg/cm2이상이며, -40℃의 이조드 충격강도는 10kg. cm/cm 및 용융 유동지수는 6g/10분을 나타낸다. 그것은 또한 초기 밀착성시험 및 내온수성 시험에 있어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명세서에 하기될 도장성에 속하는 것이다. 따라서, 수지 조성물은 자동차용 범퍼, 범퍼스커트, 트림, 2륜차용 펜더 등의 적용에도 가능하고, 사출성형법, 압출성형법 및 압축 성형법 등의 다양한 성형법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이하, 하기예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 용융 유동지수, 굽힘 탄성률 및 이조드 충격 강도는 ASTM D-1238, ASTM D-790 및 ASTM D-256에 따라 각각 측정되었다.
[실시예 1]
에틸레 함유율 26.0 중량 %, 폴리프로필렌 성분의 비등 n-헵탄 불용분 80.6 중량 %, 테트라린 용액(135℃)의 고유점도 1.7 용융 유동지수 20의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블록 공중합체(이하 PP-A라 칭함) 65 중량 %, EPM으로서 프로필렌 함량 27 중량 %, 100℃의 무니점도 21인 미쓰이 석유화학공업주식회사의 상품명 타프머 PO280 25 중량 %, EPDM으로서 프로필렌 함량 28 중량 %, 100℃의 무니점도 85, 제3성분이 에틸리덴노르보넨인 일본, 이. 피. 고무사의 상품명 EP07P를 10 중량 %, 무기충전재로 입자크기 1.8μm의 활석을 표1에 표시된 비율로 각각 배합하여, 헨셀 믹서에서 혼합후 사출기를 통해 펠렛화 하였다. 얻어진 펠렛을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사료로 만들고, 그의 굽힘 탄력성 및 이조드 충격강도를 측정하였다. 반면에 도장성에 있어서는 하기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얻은 시료에 2액형의 아크릴-염소화 폴리프로필렌계의 프라이밍 페인트를 두께 10μm로 도장하고, 그 후에 2액형의 아크릴-우레탄계의 톱코팅 페인트를 두께 25μm가 되게 도장하여 90℃로 30분간 건조한후, 실온에서 24시간 방치하여 도장성 시료를 얻는다. 이 시료의 코팅에 커터를 써서 사방 1mm에 100개의 그리드(grid)패턴을 자르고 셀로판 테프를 접착시킨후, 급격히 셀로판을 잡아 뜯는다. 코팅의 남은 면적의 비를 백분율로 결정하여, 그의 초기 밀착성을 평가하였다. 이외에 도장성 시험에 유용한 시료는 40℃의 온수중에 240시간 침전한 후 코팅 표면의 상태를 관찰 및 그리드 패턴 박리시험을 해하여 내온수성을 평가하였다.
더우기 상기에서 얻은 펠럿을 온도 30℃, 습도 90%의 분위기 중에 일주간 방치한 후, 사출 성형기에서 160mm×80mm×2mm의 평판을 형성하여, 성형물의 표면 상태를 관찰하였다. 얻어진 폴리프로필렌수지의 용융 유동지수, 굽힘 탄성률 및 이조드 충격 강도 측정치, 도장성의 평가결과 및 성형품의 면상태를 표1에 표시하였다.
[실시예 2~3]
실시예 1에 있어서 PP-A 대신에 에틸렌 함유량 16.1 중량 %, 폴리프로필렌 성분의 비등 n-헵탄 불용분 86.4 중량 %, 테트라린 용액(135℃)의 고유점도 1.4, 용융 유동지수 47의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이하 "PP-B"라 칭한다) 또는 에틸렌 함유량 11.6 중량 %, 폴리프로필렌 성분의 비등 n-헵탄 불용분 77.1 중량 %, 테트라린 용액(135℃)의 고유점도 1.3, 용융 유동지수 70의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이하 PP-C라 칭한다)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시험으로 얻은 결과를 표1에 표시하였다.
[비교예 1~2]
실시예 1에 있어서 PP-A 대신에 에틸렌 함유량 6~8 중량 %, 폴리프로필렌 성분의 비등 n-헵탄 불용분 93.8 중량 %, 테트라린 용액(135℃)의 고유점도 2.1, 용융 유동지수 4의 에틸렌-프로필렌블록공중합체(이하 PP-D라 칭함), 또는 에틸렌 함유량 5.6 중량 %, 폴리프로필렌 성분의 비등 n-헵탄 불용분 94.0 중량 %, 테트라린 용액(135℃)의 고유점도 1.9, 용융 유동지수 8의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블록공중합체(이하 PP-E라 칭한다)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여 얻은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kpo00001
* ○ : 성형물의 표면에 어떤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으며, 코팅은 그리드 패턴 박리 시험에서 박리되지 않았다.
[실시예 4~9]
에틸렌 함유량 12.0 중량 %, 폴리프로필렌의 비등 n-헵탄 불용분 88.0 중량 %, 테트라린 용액(135℃)의 고유점도 1.5, 용융 유동지수 20의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블록 공중합체(이하 PP-F라 칭함) 65 중량 %, EPM으로서 상기한 타프머 P0280을 25 중량 %, EPDM으로서, 상기한 EP57P을 10 중량 %, 무기충전재로서 입자크기 1.8μm의 활석, 입자크기 1.2μm의 황산바륨, 입자크기 1.9μm의 탄산칼슘 및 입자크기 1.0μm의 규산칼슘을 표2에 나타난 비유로 배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행한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무기충전재를 첨가하지 않은 것 외에는 실시예 4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여 얻은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7]
입자크기 1.8μm의 활석의 첨가량을 1, 7, 15, 20 중량부로 한것 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여 얻은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8~10]
입자크기 1.8μm의 활석 대신에 입자크기 3.3μm의 활석, 입자크기 5.5μm의 활석 및 입자크기 7.2μm의 활석을 각각 표2에 지시된 비율로 배합한 외에는 실시예 4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여 얻은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 ○ : 성형물의 표면에 어떤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으며, 코팅은 그리드 패턴 박리시험에서 박리되지 않았다.
× : 성형물의 표면에 부풀음이 관찰되었으며, 코팅은 그리드 패턴 박리시험에서 박리되었다.
Δ : 성형물의 표면에 부풀음이 관찰되었으나, 코팅은 그리드 패턴 박리시험에서 박리되지 않았다.
[실시예 10 및 비교예 11~15]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블럭 공중합체로서 PP-F, EPM으로서 상기한 타프머-P280, EPDM으로서 상기한 EP57P, 입자크기 1.9μm의 탄산칼슘을 각각 표-3에 나타낸 비율로 배합한 외는 실시예 4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여 얻은 결과를 표3에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kpo00004
* ○, × : 표2에 정의된 바와 같음.

Claims (5)

  1. (a) 에틸렌 함량 11~30 중량 %, 폴리프로필렌 성분의 비등 n-헵탄 불용분 75 중량 % 이상, 테트라린 용액(135℃)의 고유점도 1.2~2.0, 용융 유동지수 8 이상의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80~60 중량 %(b) 프로필렌 함유량이 20~50 중량 %이고, 100℃의 무니점도가 20~100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5~35 중량 % (c) 프로필렌 함유량이 20~50 중량 %이고 100℃의 무니점도가 20~110이며, 제3성분으로서 디엔이 에틸리덴 노르보넨, 디사이클로펜타디엔 또는 1, 4 헥사디엔을 포함하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의 3중합체 3~35 중량 % 및 (d) 입자크기 3μm 이하의 무기충전재를 전기한 (a), (b) 및 (c) 수지성분의 전체 무게에 대해 2~5 중량부를 첨가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3중합체의 합이 수지 조성물 (a), (b) 및 (c)의 전체 무게에 대해 20~40 중량 %에 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무기충전재의 입자크기가 2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무기충전재가 칼슘 및 마그네슘 옥사이드, 하이드록시드, 카르보네이트, 실리게이트, 칼슘 및 바륨설페이트, 알루미늄 하이드록시드, 염기성 마그네슘 카르보네이트, 칼슘 설파이트, 활석, 점토돌로마이트, 피어소나이트 및 유리로 구성되는 군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무기충전제가 칼슘 카르보네이트, 바륨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및 활석으로 구성되는 군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19830002363A 1982-06-04 1983-05-28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KR8600007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765 1982-06-04
JP94765/1982 1982-06-04
JP57094765A JPS58213043A (ja) 1982-06-04 1982-06-04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924A KR840004924A (ko) 1984-10-31
KR860000770B1 true KR860000770B1 (ko) 1986-06-23

Family

ID=14119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2363A KR860000770B1 (ko) 1982-06-04 1983-05-28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480065A (ko)
JP (1) JPS58213043A (ko)
KR (1) KR860000770B1 (ko)
AU (1) AU555943B2 (ko)
CA (1) CA1198242A (ko)
DE (1) DE3319619C2 (ko)
FR (1) FR2528057B1 (ko)
GB (1) GB21214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8352A (ja) * 1982-10-13 1984-04-18 Showa Denko Kk ポリオレフイン樹脂組成物
JPS59120643A (ja) * 1982-12-27 1984-07-12 Showa Denko Kk ポリオレフイン樹脂組成物
JPS6013838A (ja) * 1983-07-04 1985-01-24 Mitsui Petrochem Ind Ltd 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JPH068375B2 (ja) * 1983-08-18 1994-02-02 三井東圧化学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S60133039A (ja) * 1983-12-21 1985-07-16 Mitsubishi Petrochem Co Ltd オレフィン重合体系二次加工用シート
JPS60228552A (ja) * 1984-04-27 1985-11-13 Ube Ind Ltd ガラス繊維強化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JPH0689201B2 (ja) * 1985-02-19 1994-11-09 宇部興産株式会社 ガラス繊維強化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US4734450A (en) * 1985-03-22 1988-03-29 Mitsui Toatsu Chemicals, Incorporated Polypropylene-bas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n inorganic filler and 0.01 to 0.6 wt. % of carbon black
JPS61233047A (ja) * 1985-04-09 1986-10-17 Mitsui Toatsu Chem Inc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S61276840A (ja) * 1985-06-01 1986-12-06 Mitsubishi Petrochem Co Ltd プロピレン重合体樹脂組成物
JPH086010B2 (ja) * 1985-08-10 1996-01-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製造方法
JPS63207617A (ja) * 1987-02-24 1988-08-29 Mitsui Toatsu Chem Inc 無機フイラ−含有ポリオレフイン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SE466312B (sv) * 1987-05-11 1992-01-27 Tetra Pak Holdings Sa Behaallarlock med aaterfoerslutbar oeppningsanordning innefattande en polyolefin och oorganiskt fyllmedel
JPH0725985B2 (ja) * 1988-11-21 1995-03-22 宇部興産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JPH0618951B2 (ja) * 1989-07-17 1994-03-16 チッソ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の製造方法
JPH0725986B2 (ja) * 1989-12-01 1995-03-22 宇部興産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US5247007A (en) * 1990-03-16 1993-09-21 Mitsui Toatsu Chemicals, Inc.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ating molded products of the resin composition
DE69118662T2 (de) * 1990-06-12 1996-09-19 Advanced Elastomer Systems Thermoplastische elastomerzusammensetzung
JP3253954B2 (ja) * 1990-06-27 2002-02-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樹脂製自動車バンパ
JP3014724B2 (ja) * 1990-06-27 2000-02-2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射出成形体
US5286798A (en) * 1990-10-04 1994-02-15 Bridgestone/Firestone, Inc. Polymer blends for heat seamable roof sheeting
CA2058110A1 (en) * 1990-12-21 1992-06-22 Haruo Hayashida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JP2500081B2 (ja) * 1991-03-13 1996-05-29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US5242970A (en) * 1991-04-24 1993-09-07 Bridgestone Corporation Rooftop curable heat seamable roof sheeting and method for covering roofs
JPH04372637A (ja) * 1991-06-21 1992-12-25 Mitsubishi Petrochem Co Ltd 熱可塑性重合体組成物
DE69225747T2 (de) * 1991-08-01 1998-12-03 Mitsubishi Chem Corp Olefinharzzusammensetzung
US5256228A (en) * 1991-12-06 1993-10-26 Bridgestone Corporation Heat seamable roof sheeting with highly crystalline thermoplasticity promoters and methods for covering roofs
JP3219306B2 (ja) * 1992-06-04 2001-10-15 東燃化学株式会社 塗装性に優れた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EP0714948B1 (en) * 1992-06-04 1998-07-15 Tonen Chemical Corporation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paint coatability
JPH0632951A (ja) * 1992-07-15 1994-02-08 Sumitomo Chem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射出成形体
DE69311782T2 (de) * 1992-07-27 1997-11-13 Bridgestone Corp Polymerzusammensetzungen für verschweissbare Dachbahnen und Verfahren zur Dachabdeckung
DE69306194T2 (de) * 1992-08-05 1997-04-24 Mitsui Petrochemical Ind Propylenpolymerzusammensetzung
US5516829A (en) * 1992-08-10 1996-05-14 Davis; James A. Heat seamable flame retardant roof sheeting with highly crystalline thermoplasticity promoters and method for covering roofs
US5420183A (en) * 1993-07-06 1995-05-30 Hpg International, Inc. Flame retardant polypropylene composition
US5468550A (en) * 1994-06-06 1995-11-21 Bridgestone/Firestone, Inc. EPDM roofing membrane with improved burn resistivity
EP0736640A1 (en) * 1995-03-31 1996-10-09 Bridgestone/Firestone, Inc. Mineral filled EDPM membrane compositions with improved adhesion performance
CA2213086A1 (en) * 1997-10-02 1999-04-02 Martin J. Lilley Processing and use of carbide lime by-product as a resin and polymer filler and extender
DE19857292A1 (de) 1998-12-11 2000-06-15 Targor Gmbh Talkumverstärkte Polypropylen-Formmasse mit hoher Schlagzähigkeit
KR20010010674A (ko) * 1999-07-22 2001-02-15 이내현 포토 앨범 엠보 시이트용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DE10025427A1 (de) * 2000-05-24 2001-12-06 Sachtleben Chemie Gmbh Verwendung eines modifizierten Polypropylencompounds für die Herstellung von Anbauteilen in der Automobilindustrie
US6756446B2 (en) * 2002-10-15 2004-06-29 Solvay Engineered Polymers Engineered polyolefin materials with enhanced surface durability
US6914094B2 (en) * 2000-09-29 2005-07-05 Solvay Engineered Polymers, Inc. Engineered polyolefin materials with enhanced surface durability
US6403721B1 (en) 2000-09-29 2002-06-11 Solvay Engineered Polymers Engineered polyolefin materials with enhanced surface durability
US6509416B2 (en) 2000-09-29 2003-01-21 Solvay Engineered Polymers Engineered polyolefin materials with enhanced surface durability and methods of making same
CA2487517A1 (en) * 2002-06-26 2004-01-08 Basell Poliolefine Italia S.P.A. Impact-resistant polyolefin compositions
EP1517954B1 (en) * 2002-06-26 2014-05-28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Impact-resistant polyolefin compositions
WO2005044911A1 (en) * 2003-11-06 2005-05-19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Polypropylene composition
EP1548054B1 (en) * 2003-12-26 2016-03-23 Japan Polypropylene Corporation Polypropylene-based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BRPI0511307A (pt) * 2004-06-08 2007-12-04 Basell Poliolefine Srl composição poliolefìnica tendo um alto balanço de dureza, resistência a impacto e alongamento na ruptura e um baixo encolhimento térmico
EP1757444A1 (en) * 2005-08-22 2007-02-28 Solvay Advanced Polymers, LLC Multilayer polymer structure
BRPI0908411B1 (pt) * 2008-02-29 2018-10-30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composições de poliolefinas
US20150086785A1 (en) * 2012-03-31 2015-03-26 American Selenite, Llc Reinforced polyolefin compositions and related products and methods
DE102016119531B4 (de) 2016-10-13 2021-01-28 Lisa Dräxlmaier GmbH Formmasse umfassend Übergangsmetalloxid stabilisiertes Zirkoniumdioxid sowie Formkörper, dess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im Automobilbereich
FR3064106B1 (fr) * 2017-03-17 2021-07-30 Nexans Cable electrique presentant une conductivite thermique amelioree
DE102017106647B4 (de) 2017-03-28 2022-04-28 Lisa Dräxlmaier GmbH Verwendung eines keramischen Pulvers auf der Basis von Seltenerdmetalloxid-stabilisiertem Zirconium(di)oxid als Haftverbesserer für Polymerformkörper, klebstoffbeschichteter Polymerformkörper,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aftungsverbesserten Polymerformkörpers und dessen Verwendung
CN107383596A (zh) * 2017-07-18 2017-11-24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中空板母粒、中空板以及冰箱
CN114752146B (zh) * 2022-03-31 2024-05-14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熔体强度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17450A (fr) * 1961-02-17 1963-02-08 Dow Chemical Co Mélanges de propylène et de caoutchouc
JPS5425063B2 (ko) * 1972-01-19 1979-08-25
US4132698A (en) * 1974-03-20 1979-01-02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Elastomeric thermoplastics
JPS541386A (en) * 1977-06-07 1979-01-08 Nippon I P Rubber Kk Manufacture of thermoplastic elastomer
JPS56106948A (en) * 1980-01-29 1981-08-25 Mitsubishi Petrochem Co Ltd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DE3012805C2 (de) * 1980-04-02 1983-04-28 Dynamit Nobel Ag, 5210 Troisdorf Ternäre Spritzguß-Formmassen auf Basis von Äthylen- Propylen-Mischpolymerisat oder EPDM, Polypropylen und Polyäthylen
JPS5712046A (en) * 1980-06-27 1982-01-21 Mitsubishi Petrochem Co Ltd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JPS5723642A (en) * 1980-07-17 1982-02-06 Mitsubishi Petrochem Co Ltd Olefinic polymer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filler
JPS5747344A (en) * 1980-09-03 1982-03-18 Idemitsu Petrochem Co Ltd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JPS603420B2 (ja) * 1980-09-22 1985-01-28 宇部興産株式会社 バンパ−用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JPS5770141A (en) * 1980-10-17 1982-04-30 Mitsubishi Petrochem Co Ltd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JPS57159842A (en) * 1981-03-30 1982-10-02 Ube Ind Ltd Polypropylene composition
JPS5949252B2 (ja) * 1981-03-30 1984-12-01 宇部興産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JPS57190031A (en) * 1981-05-18 1982-11-22 Nippon Zeon Co Ltd Rubber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trength and its preparation
JPS57207630A (en) * 1981-06-15 1982-12-20 Toa Nenryo Kogyo Kk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S5815544A (ja) * 1981-07-21 1983-01-28 Toa Nenryo Kogyo Kk ポリオレフイン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319619A1 (de) 1983-12-08
DE3319619C2 (de) 1986-07-24
GB2121420B (en) 1985-07-24
GB8313830D0 (en) 1983-06-22
FR2528057B1 (fr) 1987-02-20
AU555943B2 (en) 1986-10-16
JPS58213043A (ja) 1983-12-10
KR840004924A (ko) 1984-10-31
US4480065A (en) 1984-10-30
JPH037700B2 (ko) 1991-02-04
CA1198242A (en) 1985-12-17
AU1469583A (en) 1983-12-08
FR2528057A1 (fr) 1983-12-09
GB2121420A (en) 198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0770B1 (ko)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CA1248270A (en) Improved polyolefi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EP0200340A2 (en) Polypropylene-base resin composition
GB2206886A (en) Impact resistant olefin polymer compositions
JPH11511768A (ja) 改良された表面硬度と引掻抵抗とを有するポリオレフィンアロイ及びその製造方法
EP0153415B1 (en) Process for producing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KR960004121B1 (ko) 폴리프로필렌수지조성물, 그 성형물의 도장방법 및 도장된 성형물
GB2213156A (en) Filler reinforced plastic composition
JPH0242852B2 (ko)
EP0412534B1 (en)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JP3219306B2 (ja) 塗装性に優れた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JPH0433814B2 (ko)
US20020077404A1 (en) Composition of polypropylene resin
JPS60152543A (ja) 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EP0583132A2 (en)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KR100204658B1 (ko) 자동차 외장재용 복합 탄성수지 조성물
JPS6058459A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KR100263332B1 (ko) 자동차내장재용도장성이우수한폴리프로필렌수지조성물
JP3092960B2 (ja) 成形物
JP2945189B2 (ja) プロピレン重合体組成物
KR100448121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S62256856A (ja) 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KR100513621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JPH0627238B2 (ja) 塗装バンパ−用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KR880000268B1 (ko) 폴리프로필렌-기본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16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