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8905A - 밀봉 장치 - Google Patents

밀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8905A
KR20210118905A KR1020217027101A KR20217027101A KR20210118905A KR 20210118905 A KR20210118905 A KR 20210118905A KR 1020217027101 A KR1020217027101 A KR 1020217027101A KR 20217027101 A KR20217027101 A KR 20217027101A KR 20210118905 A KR20210118905 A KR 20210118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
shaft
sealing device
peripheral surface
elas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7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7251B1 (ko
Inventor
유키 사토
다쿠야 이토
히로미 스기하라
마사유키 다니다
Original Assignee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18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8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 F16J15/32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having two or more 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5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devices affected by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 F16C19/527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devices affected by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related to vibration and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78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 F16C33/7803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suited for particular types of rolling bearings
    • F16C33/780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suited for particular types of rolling bearings for spherical rolle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78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 F16C33/7816Details of the sealing or parts thereof, e.g. geometry, material
    • F16C33/782Details of the sealing or parts thereof, e.g. geometry, material of the sealing region
    • F16C33/7823Details of the sealing or parts thereof, e.g. geometry, material of the sealing region of sealing 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78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 F16C33/788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mounted outside the gap between the inner and outer races, e.g. sealing rings mounted to an end face or outer surface of a r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 F16J15/3208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provided with tension elements, e.g. elastic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4Arrangements for lubrication or cooling of the sealing itsel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ground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0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radial load mainly
    • F16C19/0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radial load mainly with a single row or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6Drive shaf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2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operating in liquid or gas
    • H02K5/124Sealing of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aling With Elastic Sealing Lips (AREA)
  • Sealing Of Bearings (AREA)

Abstract

본래의 밀봉 성능을 유지하면서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한다. 밀봉 장치(10)는, 축선(x) 주위에서 환형상인 보강환(20)과, 보강환(20)에 부착되고 축선(x) 주위에서 환형상인 도전성의 탄성체인 탄성체부(30)와, 도전성 그리스(G)를 포함하며, 탄성체부(30)는, 베이스부(31)와, 베이스부(31)로부터 축선(x)을 따라 연장되는 립부(35)와, 적어도 하나의 축선(x) 주위에서 환형상인 더스트 립(85)을 가지며, 립부(35)는, 선단에, 축의 외주면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축의 외주면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된 립 접촉면(36s)을 가지는 립 선단부분(36)을 가지고 있으며, 립 접촉면(36s)은 축의 외주면에 면하는 환형상의 면을 가지고 있으며, 도전성 그리스(G)는 축선(x) 방향에 있어서의 립 접촉면(36s)과 더스트 립(85)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환형상의 공간인 립 사이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붙어 있다.

Description

밀봉 장치
본 발명은 밀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 등에 있어서의 회전축의 단부로부터의 오일 누출이나, 외부로부터의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하는 밀봉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 자동차의 전동화가 진행되고 있어, EV(Electric Vehicle)나 HV(Hybrid Vehicle) 등의 전동 자동차가 주류가 되고 있다. 이러한 전동 자동차에 있어서는, 동력원으로서 구동 모터가 이용되고 있어, 이 구동 모터에서 발생하는 유도 전류가 전자 노이즈가 되어 AM 라디오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있었다.
거기서, 금속의 도전성 브러시에 의해 케이스와 드라이브 샤프트를 통전시켜 접지를 위한 통전 경로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고주파 노이즈의 원인이 되는 전동기로부터의 리크 전류를 통전 경로에 의해 배출시키는 차량용 동력 전달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을 참조).
또, 전동기 하우징의 관통구멍과 전동기의 회전축과의 사이를 액밀적으로 밀봉하는 오일 씰이 도전성 고무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동기 하우징과 회전축을 도전성의 오일 씰에 의해 전기적으로 통전시키는 것으로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하는 전기 자동차용의 전자 노이즈 억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를 참조).
또한, 허브 베어링용의 밀봉 장치로서, 도전성 카본을 함유하는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씰 립 부재를 사용하여 노이즈 대책을 세우는 베어링 씰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3을 참조).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5-207534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0-244180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5-14296호 공보
그렇지만, 전술한 특허문헌 1의 차량용 동력 전달 장치에 있어서는, 베어링이나 오일 씰에 더하여 도전성 브러시를 별도로 추가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을 우려가 있었다.
또, 전술한 특허문헌 2의 전자 노이즈 억제 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회전축이 편심되어 있는 경우, 혹은, 도전성의 오일 씰이 장기간 사용되어 회전축과 접촉하는 립 선단부에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도전성의 오일 씰과 회전축이 이격되어 버리게 되어,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전술한 특허문헌 3의 밀봉 장치에 있어서는, 라디오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할 수는 있지만, 3개의 도전성 립부가 허브륜(輪)과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 저항을 더욱 저감시킬 것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밀봉 성능을 향상시킴과 함께 슬라이딩 저항을 저감시키고, 또한,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밀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장치는, 축과 해당 축보다 외주측에 있어서 축선 주위에 배치된 외주측 부재와의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축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고, 상기 축과 상기 외주측 부재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 장치로서, 상기 축선 주위에서 환형상인 보강환과, 상기 보강환에 부착되고, 상기 축선 주위에서 환형상인 도전성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탄성체부와, 도전성 그리스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부는, 베이스부와, 해당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립부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축선 주위에서 환형상인 더스트 립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립부는, 해당 립부의 선단에, 상기 축의 외주면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축의 외주면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된 립 접촉면을 가지는 립 선단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립 접촉면은 상기 축의 외주면에 면하는 환형상의 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도전성 그리스는 상기 탄성체부의 내주측에 면하는 환형상의 면인 내주면에 있어서, 상기 축선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립 접촉면과 상기 더스트 립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환형상의 공간인 립 사이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존재하도록 붙어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밀봉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부는 환형상의 탄성 부재인 텐션 부여 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텐션 부여 부재는 상기 립 선단부분에 있어서 상기 립부의 외주측에 장착되어, 상기 립 접촉면을 상기 축의 외주면에 밀어붙이는 텐션을 부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밀봉 장치에 있어서, 상기 텐션 부여 부재는 상기 립부 중에서 상기 립 접촉면과 배향되는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밀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립 사이 공간에 있어서, 상기 축선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립 접촉면과 상기 더스트 립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내측 더스트 립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밀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립 접촉면은 상기 축의 외주면에 대해서 평행한 환형상의 면을 가지고 있다. 또, 상기 립 접촉면은 요철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장치에 의하면, 밀봉 성능을 향상시킴과 함께 슬라이딩 저항을 저감시키고, 또한,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밀봉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 장치가 사용된 전기 자동차용 모터 구동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 장치가 케이싱의 개구부와 출력축과의 간극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축선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축선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축선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 장치에 있어서의 탄성체부의 내주면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 장치가 사용된 모터 구동장치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축선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축선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 제1 실시형태 >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 장치(10)가 사용된 전기 자동차용 모터 구동장치(10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 장치(10)가 케이싱(103)의 개구부(105)와 출력축(102)과의 간극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축선(x)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 장치(10)의 구성을 나타내는, 축선(x)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에서는, 설명을 위해 후술하는 도전성 그리스(G)가 립 사이 공간에 붙어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도면에 있어서 밀봉 장치(10)로부터 부호 a측을 외측, 밀봉 장치(10)로부터 부호 b측을 모터 내부측이라고 한다. 여기서, 외측이란 케이싱(103)의 외부로서 오수 등이 존재하는 쪽이며, 모터 내부측이란 케이싱(103)의 내측이다. 또, 축선(x)에 수직인 방향(이하, 직경 방향이라고도 한다.)에 있어서, 축선(x)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외주측이라고 하고(화살표 c방향), 축선(x)을 향하는 방향을 내주측이라고 한다(화살표 d방향).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 장치(10)는, 특히, 전기 자동차용 모터 구동장치(100)에 적용된다. 이 모터 구동장치(100)는, 구동륜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101)와, 해당 전동 모터(101)에 있어서의 축으로서의 출력축(102)의 동력(회전)을 전달하는 풀리(121)를 구비하고 있다. 풀리(121)는 전동 모터(101)의 출력축(102)과 일체로 고정됨과 함께, 도시하지 않은 벨트가 설치되어 있고, 해당 벨트를 돌려 동력이 보조 기기류 등에 전달된다.
전동 모터(101)의 출력축(102)은 외주측 부재로서의 케이싱(103)에 베어링(104)을 통해 축 지지 되어 있다. 모터 구동장치(100)의 출력축(102)을 돌출시키는 개구부(105)에 있어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싱(103)의 내주면(103a)과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출력축(102)의 외주면(102g)과의 사이의 환형상의 간극(공간)에는, 케이싱(103)의 내부에 봉입된 윤활유가 외부로 누출되거나, 외부로부터의 모래나 오수 등의 더스트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 장치(10)가 부착되어 있다.
즉, 밀봉 장치(10)는, 모터 구동장치(100)에 있어서의 케이싱(103)의 개구부(105)로부터 돌출된 출력축(102)을 통하여 전동 모터(101)의 동력을 전달할 때, 개구부(105)와 출력축(102)과의 사이의 환형상의 간극을 밀봉하는 것이다.
다만, 밀봉 장치(10)에 의한 밀봉 대상으로서는, 전기 자동차용 모터 구동장치(1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인 휠 모터의 모터 구동부,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모터 구동장치, 전동 오토바이의 모터 구동장치, 전동 자전거의 모터 구동장치 등의 그 밖의 여러 가지 모터 구동장치를 밀봉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장치(10)는 케이싱(103)의 개구부(105)와 출력축(102)과의 사이의 환형상의 간극에 끼워져 장착되는 것이다. 밀봉 장치(10)는, 출력축(102)의 축선(x) 주위에서 환형상인 보강환(20)과, 보강환(20)과 일체로 부착되어 축선(x) 주위에서 환형상인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탄성체부(3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출력축(102)의 축선(x)은 밀봉 장치(10)의 축선(x)과 일치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 장치(10)는, 축(102)과 이 축(102)보다 외주측에 있어서 축선 주위에 배치된 외주측 부재로서의 케이싱(103)과의 사이에 부착되고, 축(102)의 외주면(102g)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여, 축(102)과 케이싱(103)과의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 장치이다. 또, 밀봉 장치(10)는 전기 자동차용 모터 구동장치(100) 등의 여러 가지 모터 구동장치에 적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장치(10)는, 축선(x) 주위에서 환형상인 보강환(20)과, 보강환(20)에 부착되어 축선(x) 주위에서 환형상인 도전성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탄성체부(30)와, 도전성 그리스(G)를 구비하고 있다. 탄성체부(30)는, 베이스부(31)와, 베이스부(31)로부터 축선(x)을 따라 연장되는 립부(35)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축선 주위에서 환형상인 더스트 립으로서의 더스트 립(85)을 가지고 있다. 립부(35)는, 립부(35)의 선단에, 축(출력축(102))의 외주면(외주면(102g))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축의 외주면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된 립 접촉면(36s)을 가지는 립 선단부분(36)을 가지고 있다. 립 접촉면(36s)은 축의 외주면에 면하는 환형상의 면을 가지고 있으며, 도전성 그리스(G)는 탄성체부(30)의 내주측에 면하는 환형상의 면인 내주면(83)에 있어서, 축선(x) 방향에 있어서의 립 접촉면(36s)과 더스트 립(85)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환형상의 공간인 립 사이 공간(S)의 적어도 일부에 존재하도록 붙어 있다. 이하, 밀봉 장치(1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보강환(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선(x)을 중심 또는 대략 중심으로 하는 환형상의 금속제 부재이다. 보강환(20)에 이용되는 금속제 부재로서,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이나 SPCC(냉간압연강)를 들 수 있다. 보강환(20)은 이러한 금속제 부재를 예를 들어 프레스 가공이나 단조하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보강환(20)은, 예를 들어, 축선(x)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또는 대략 원통형 부분인 원통부(21)와, 원통부(21)의 외측의 단부로부터 내주측에 향해 연장되는 중공 원반형상 부분인 원반부(24)와, 원반부(24)의 내주측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향해 내주측에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부분인 추환부(錐環部)(22)를 가지고 있다. 원통부(2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케이싱(103)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내주면(103a)에 밀봉 장치(10)가 끼워맞춤 가능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체부(30)의 일부분을 개재하여 관통구멍의 내주면(103a)에 접촉해서 끼워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원통부(21)는, 원통부(21)의 중간 부분에 도시하지 않은 추환부를 형성한 것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도 있고, 원통부(21)는 일부분이 직접 관통구멍의 내주면(103a)에 접촉해서 끼워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원통부(21)는, 밀봉 장치(10)가 케이싱(103)의 개구부(105)를 형성하고 있는 내주면(103a)에 끼워져 장착되었을 때에, 밀봉 장치(10)의 축선(x)과 출력축(102)의 축선(x)이 일치하도록 개구부(105)에 끼워넣어진다. 보강환(20)에는, 해당 보강환(20)을 외측(화살표 a방향) 및 외주측(화살표 c방향)으로부터 감싸도록 탄성체부(30)가 부착되어 있고, 해당 보강환(20)이 탄성체부(30)를 보강하고 있다.
탄성체부(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환(20)에 장착되어 있고, 보강환(20)을 덮도록 보강환(2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탄성체부(30)는 성형틀을 이용하여 가교(가류) 성형에 의해 성형된다. 이 가교 성형 시에, 보강환(20)은 성형틀 안에 배치되고, 탄성체부(30)가 가교 접착에 의해 보강환(20)에 접착되어, 탄성체부(30)와 보강환(20)이 일체로 성형된다. 탄성체부(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31)와 립부(35)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적어도 하나의 더스트 립으로서 더스트 립(85)을 가지고 있다. 보강환(20)의 추환부(22)는 베이스부(31)의 내부에 파고들어가 있다. 더스트 립(85)은 베이스부(31)로부터 내주측을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있다.
탄성체부(30)는, 보강환(20)에 있어서의 원반부(24)의 내주측(화살표 d방향)의 단부 근방에 위치하는 베이스부(31)와, 보강환(20)의 원통부(21)에서 외주측(화살표 c방향)에 장착되어 있는 부분인 개스킷부(32)와, 베이스부(31)와 개스킷부(32)와의 사이에 있어서 외측(화살표 a방향)으로부터 보강환(20)의 원반부(24)에 부착되어 있는 부분인 커버부(33)와, 베이스부(31)로부터 내측(화살표 b방향)으로 축선(x)을 따라 연장됨과 함께, 내주측(화살표 d방향)으로 돌출하는 립 선단부분(36)이 형성된 립부(35)를 가지고 있다.
탄성체부(30)의 베이스부(31)는, 립부(35)의 립 선단부분(36)을 출력축(102)의 외주면(102g)에 밀어붙인 상태로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지지함과 함께, 출력축(102)의 외경(102d)과 립부(35)의 립 선단부분(36)의 내경(36d)과의 차이 즉 간섭 마진(f1)에 응하여 해당 립부(35)가 휘어질 때의 중심이 되는 부분이다.
개스킷부(32)는, 탄성체부(30)에 있어서, 보강환(20)의 원통부(21)를 외주측에서 덮고 있는 부분이다. 개스킷부(32)는, 그 외경이, 케이싱(103)의 개구부(105)를 형성하고 있는 내주면(103a)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근소하게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밀봉 장치(10)가 케이싱(103)의 개구부(105)에 끼워져 장착되었을 경우, 개스킷부(32)는 보강환(20)의 원통부(21)와 케이싱(103)과의 사이에서 직경 방향으로 압축되어, 개구부(105)를 형성하고 있는 케이싱(103)의 내주면(103a)과 보강환(20)의 원통부(21)와의 사이를 밀봉한다.
이것에 의해, 케이싱(103)의 개구부(105)와 출력축(102)과의 환형상의 간극이 밀봉 장치(10)에 의해 밀봉된다. 또한, 개스킷부(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부(21)의 외주측 전체를 덮고 있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개스킷부(32)는 원통부(21)의 외주측 일부를 덮는 것일 수도 있다.
또, 탄성체부(30)에 있어서는, 베이스부(31)로부터 내측(화살표 b방향) 및 내주측(화살표 d방향)을 향해 환형상의 립부(35)가 연장되어 있으며, 이 립부(35)는 축선(x) 방향에 있어서 내측(화살표 b방향)을 향함에 따라 직경이 축소되는 원추 통 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즉, 립부(35)는, 축선(x)을 따른 단면(이하, 단순히 단면이라고도 한다.)에 있어서, 베이스부(31)로부터 내측(화살표 b방향) 및 내주측(화살표 d방향)의 립 선단부분(36)의 립 접촉면(36s)을 향해, 축선(x)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있다.
또, 립부(35)는, 베이스부(31)로부터 내측(화살표 b방향)으로 먼 선단 측에 내주측(화살표 d방향)으로 돌출하는 립 선단부분(36)을 가지고 있다. 립부(35)는, 립 선단부분(36)과 배향되는 외주측(화살표 c방향)에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오목부에 텐션 부여 부재로서의 환형상의 탄성 부재인 가터 스프링(38)이 장착되어 있다.
립 선단부분(36)은, 단면이 축(102)의 외주면(102g)에 면하는 환형상의 면으로서, 출력축(102)의 외주면(102g)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립 접촉면(36s)을 가지고 있다. 립 접촉면(36s)은 축선(x) 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환형상의 면이다. 즉, 립 선단부분(36)은 립 접촉면(36s)이 축(102)의 외주면(102g)과 면으로 접한다. 립 접촉면(36s)은,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102)의 외주면(102g)과 평행한 축선(x)에 대해서 평행이며 소정의 길이(폭)를 가지는 환형상의 면(원주면 또는 대략 원주면)을 가지고 있다. 또한, 립 접촉면(36s)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선(x)에 대해서 평행한 환형상의 면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밀봉측인 모터 내부측, 즉 내측(b)으로부터 외측(a)을 향해 직경이 확대되도록 완만한 경사를 가지는 환형상의 면(원추면 또는 대략 원추면)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립부(35)를 가지는 탄성체부(30)는, 그 전체가 카본블랙 입자 혹은 금속가루 등의 도전성 필러를 포함한 도전성 고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도전성 고무는, 도전성 필러를 포함하여, 비교적 낮은 전기 저항을 갖춘 것이다. 여기서, 도전성 고무의 체적 전기 저항율은 108Ω·cm 이하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전성 고무는, 임의의 고무재와 도전성 입자와 도전성 섬유가 각각 소정량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고무 재료로는, 예를 들어, 니트릴 고무(NBR), 수소첨가 니트릴 고무(H-NBR), 아크릴 고무(ACM), 불소 고무(FKM), 실리콘 고무 등의 합성고무를 들 수 있다. 도전성 입자로서는, 카본블랙 외에, 그래파이트나 인듐/주석 산화물, 안티몬/주석 산화물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이들 재료를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도전성 섬유로서는, 스테인리스 섬유, 탄소 섬유(카본 파이버, 카본 튜브), 혹은 티탄산칼륨에 도금을 한 도전성 섬유가 있다. 또, 도전성 섬유의 굵기, 길이는 임의로 선택 가능하다.
가터 스프링(38)은, 예를 들어 금속제의 스프링 부재이며, 립 선단부분(36)을 직경 방향에 있어서 내주측(화살표 d방향)으로 가압하여, 해당 립 선단부분(36)을 출력축(102)의 외주면(102g)에 밀어붙이는 소정 크기의 텐션을 부여하는 것이다. 또한, 가터 스프링(38)은, 금속제로 한정되지 않고, 수지제 등의 그 밖의 여러 가지 재료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
즉, 탄성체부(30)에 있어서는, 립 선단부분(36)의 출력축(102)의 외주면(102g)에 대한 간섭 마진(f1)(도 3)과, 가터 스프링(38)에 의한 텐션과, 립 선단부분(36)에 있어서의 립 접촉면(36s)의 출력축(102)에 대한 추종성에 따라서, 밀봉 정도 및 출력축(102)의 외주면(102g)에 대한 슬라이딩 저항이 결정된다.
더스트 립(85)은, 베이스부(31)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내주측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있어, 예를 들어 원추 통 모양 또는 대략 원추 통 모양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더스트 립(85)은, 후술하는 사용 상태에 있어서, 선단측의 부분이 축(출력축(102))의 외주면(외주면(102g))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스트 립(85)의 내주측 단부는 선단(85a)이다. 또한, 더스트 립(85)은, 사용 상태에 있어서, 축(출력축(102))의 외주면(외주면(102g))에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5는 밀봉 장치(10)에 있어서의 탄성체부(30)의 내주면(83)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탄성체부(30)의 내주측에 면하는 환형상의 면인 내주면(83)은, 축선(x)에 직교하는 직경 방향에 있어서 탄성체부(30)가 내주측으로 둘러싸는 공간에 접하는 탄성체부(30)의 내주측의 면이며, 이 내주측의 공간에 접하는, 탄성체부(30)의 내주측의 윤곽을 형성하는 표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 장치(10)에 있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83)은, 가상선(l)을 따르는, 립부(35)의 내주면(83a)과 더스트 립(85)의 내주면(83c)으로 이루어지는 면이다. 립부(35)의 내주면(83a)은, 도 5에 나타내는 가상선(l)을 따르는 립부(35)의 내주측에 면하는 면이며, 립부(35)의 내주측에 면하는 면의 립 선단부분(36)에 있어서의 립 접촉면(36s)이다. 더스트 립(85)의 내주면(83c)은, 도 5에 나타내는 가상선(l)을 따르는 더스트 립(85)의 내주측에 면하는 면이며, 더스트 립(85)의 내주측에 면하는 면의 선단(85a)으로부터 내측의 부분이다.
도전성 그리스(G)는, 이 내주면(83)에 붙어 있으며, 내주면(83)이 형성하는 축선(x) 주위에서 환형상의 공간인 립 사이 공간(S)의 적어도 일부에 도전성 그리스(G)가 존재하도록 내주면(83)에 붙어 있다. 립 사이 공간(S)은, 구체적으로는, 내주면(83)의 내주측으로 돌출하는 부분의 내주측 끝 안에서 서로 인접하는 끝 사이에서 연장되는 면과 내주면(83)이 형성하는 공간이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내주면(83)의 내주측의 공간, 즉, 립부(35)의 립 선단부분(36)의 립 접촉면(36s)의 외측(a)의 단부와 더스트 립(85)의 선단(85a)과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면(원추면 또는 원통면)이 둘러싸는 공간이 립 사이 공간(S)으로 된다.
도전성 그리스(G)는, 전술한 바와 같이, 립 사이 공간(S)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도록 내주면(83)에 부착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도시된 예와 같이 립 사이 공간(S)을 완전하게 채우지 않도록 내주면(83)에 부착되어 있다. 도전성 그리스(G)는, 립 사이 공간(S)의 일부를 채우도록 내주면(83)에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고, 립 사이 공간(S)를 완전하게 채우도록 내주면(83)에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고, 립 사이 공간(S)으로부터 넘쳐흐르도록 내주면(83)에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 도전성 그리스(G)는, 립 사이 공간(S)으로부터 밀려나오도록 내주면(83)에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전성 그리스(G)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그리스라면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도전성 그리스(G)에 사용되는 기유(基油)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그리스의 기유로서 사용되고 있는 오일은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 도전성 물질은, 도전성을 가지는 물질이면 되고, 이 도전성을 가지는 물질은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전성 물질로서는 도전성이 양호한 물질이 바람직하다. 또 도전성 물질은 액체일 수도 고체일 수도 있다. 도전성 물질은 예를 들어 카본블랙이다. 여기서, 도전성 그리스(G)의 체적 전기 저항율은 108Ω·cm 이하로 한다.
다음에,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 장치(1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밀봉 장치(10)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 장치(10)가 사용된 모터 구동장치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에 있어서는, 전기 자동차용 모터 구동장치(100)에 적용된 밀봉 장치(10)가 나타나 있다.
사용 상태에 있어서, 탄성체부(30)의 립부(35) 및 더스트 립(85)은, 각각의 선단인 립 접촉면(36s), 선단(85a) 근방에 있어서, 출력축(102)의 외주면(102g)에 접촉하고 있으며, 내주면(83)과 출력축(102)의 외주면(102g)과의 사이에 폐쇄된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이 접촉에 의해, 립부(35) 및 더스트 립(85)은 변형되어, 사용 상태에 있어서 립 사이 공간(S)은 변형되며, 사용 상태에 있어서 립 사이 공간(S)의 용적은, 설치되지 않은 비설치 상태에 있어서의 밀봉 장치(10)의 립 사이 공간(S)의 용적보다 작아지고 있다. 사용 상태에 있어서, 립부(35) 및 더스트 립(85) 모두가 변형하지 않게 되어 있을 수도 있고, 어느 하나가 변형하지 않게 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비설치 상태에 있어서, 도전성 그리스(G)는 립 사이 공간(S)의 일부를 채우도록 내주면(83)에 부착되어 있으며,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립 사이 공간(S)의 용적보다 내주면(83)에 부착되는 도전성 그리스(G)의 체적이 크게 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사용 상태에 있어서, 도전성 그리스(G)가 팽창하여 도전성 그리스(G)의 체적이 립 사이 공간(S)의 용적보다 커지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립부(35)가 부상하여, 립 접촉면(36s)과 출력축(102)의 외주면(102g)과의 사이의 접촉이 해방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또, 마찬가지로, 더스트 립(85)의 출력축(102)의 외주면(102g)과의 사이의 접촉이 해방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또한, 설치 상태에 있어서, 립부(35) 및 더스트 립(85)이 변형하지 않는다고 해도, 비설치 상태에 있어서 도전성 그리스(G)를 립 사이 공간(S)의 일부를 채우도록 내주면(83)에 부착시키는 것에 의해, 마찬가지로 립의 부상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상태에 있어서, 내주면(83)에 부착된 도전성 그리스(G)가, 탄성체부(30)의 출력축(102)과의 접촉부 이외에 있어서, 탄성체부(30)의 내주면(83)과 출력축(102)의 외주면(102g)과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통전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탄성체부(30)의 출력축(102)과의 접촉부 이외에 있어서도, 출력축(102)과 케이싱(103)과의 사이의 통전로를 형성할 수 있어, 출력축(102)과 케이싱(103)과의 사이의 전기적인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밀봉 장치(10)는, 케이싱(103)의 개구부(105)와 출력축(102)과의 사이의 환형상의 간극에 끼워져 장착되었을 때, 탄성체부(30)의 립부(35)에 있어서의 립 선단부분(36)의 립 접촉면(36s)이 소정의 간섭 마진(f1)에 의해 출력축(102)의 외주면(102g)에 가압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여 사용 상태로 된다.
밀봉 장치(10)는, 출력축(102)이 모터 구동장치(100)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에도, 탄성체부(30)의 립부(35)에 있어서의 립 선단부분(36)의 립 접촉면(36s)이 간섭 마진(f1) 및 가터 스프링(38)의 텐션에 의해 출력축(102)의 외주면(102g)에 밀착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밀봉 장치(10)는, 립부(35)의 립 선단부분(36)의 립 접촉면(36s)이 출력축(102)의 외주면(102g)에 가압되어 밀봉 대상물인 도전성 그리스(G)를 밀봉하고, 그리스가 외측(화살표 a방향)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밀봉 장치(10)는, 탄성체부(30)의 립부(35)에 있어서의 립 선단부분(36)의 립 접촉면(36s)이, 전술한 바와 같이 축(102)의 외주면(102g)에 접하는 환형상의 면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밀봉 장치(10)에 의하면, 간섭 마진(f1)이나 텐션에 의존하지 않고 접촉 면적(접촉 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밀봉 장치(10)에 의하면, 립 접촉면(36s)을 가지는 것에 의해, 도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립 접촉면(36s)은, 전술한 바와 같이 축(102)의 외주면(102g)에 접하는 환형상의 면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밀봉 장치(10)에 의하면, 예를 들어 축(102)의 외주면(102g)에 접하는 선단 부분이 쐐기 형상의 도시하지 않은 립 선단부분을 가지는 밀봉 장치와는 달라, 축(102)의 외주면(102g)에 접한 상태에 있어서의 립 선단부분(36)의 변형이 적다. 즉, 밀봉 장치(10)에 의하면, 내구성이 우수하고, 또한, 축(102)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밀봉 장치(10)는, 도전성 고무로 이루어지는 탄성체부(30)를 가지며, 해당 탄성체부(30)를 통하여 출력축(102)과 케이싱(103)과의 통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모터 구동장치(100)에 있어서 발생하는 리크 전류를 출력축(102)으로부터 탄성체부(30)를 경유하여 케이싱(103)으로 배출시켜,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 탄성체부(30) 자체가 도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출력축(102)과 케이싱(103)을 통전시키기 위해서 금속 브러시 등을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고, 부품 점수를 최소한으로 하여 간소화 및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밀봉 장치(10)에서는, 가터 스프링(38)의 텐션에 의해 립 선단부분(36)의 립 접촉면(36s)을 출력축(102)의 외주면(102g)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출력축(102)의 외주면(102g)에 대한 접촉 상태 즉 통전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고, 이렇게 하여 노이즈의 발생을 안정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밀봉 장치(10)에서는, 출력축(102)이 만일 편심되어 있었다고 해도, 가터 스프링(38)의 텐션에 의해 립 접촉면(36s)을 해당 출력축(102)의 외주면(102g)에 안정적으로 접촉시키는 편심 추종성을 갖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노이즈의 발생을 안정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밀봉 장치(10)에서는, 예를 들어 0℃ 이하 등의 저온 환경 하에 있어서의 탄성체부(30)의 고무 경화시에 있어서도, 가터 스프링(38)의 텐션에 의해 립 접촉면(36s)을 해당 출력축(102)의 외주면(102g)에 대해서 강하게 밀어붙일 수 있으므로, 출력축(102)과 케이싱(103)과의 통전 상태를 유지하여, 노이즈의 발생을 안정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밀봉 장치(10)에 의하면, 립 접촉면(36s)이 환형상의 원추면이기 때문에, 가터 스프링(38)의 텐션에 의해, 접촉 상태를 보다 안정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출력축(102)과 케이싱(103)과의 통전 상태를 유지하여, 노이즈의 발생을 보다 안정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밀봉 장치(10)에서는, 장시간 사용 후에 있어서의 탄성체부(30)의 립부(35)가 주저앉았을 때나 마모시에 립 선단부분(36)의 립 접촉면(36s)과 출력축(102)의 외주면(102g)과의 접촉 면적이 부분적으로 감소하는 일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밀봉 장치(10)에서는, 가터 스프링(38)의 텐션에 의해 탄성체부(30)의 립 선단부분(36)의 립 접촉면(36s)을 해당 출력축(102)의 외주면(102g)에 대해서 강하게 밀어붙이고 있기 때문에, 출력축(102)과 케이싱(103)과의 통전 상태를 유지하여, 노이즈의 발생을 안정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 장치(10)는, 가터 스프링(38) 및 도전성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탄성체부(30)에 있어서, 탄성체부(30)의 내주면(83)에 붙어 있는 도전성 그리스(G)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탄성체부(30)와 출력축(102)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도전성 그리스(G)에 의해, 출력축(102)과 케이싱(103)과의 사이의 전기적인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고, 노이즈의 발생을 안정적으로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 장치(10)에 있어서는, 립부(35), 및 더스트 립(85)의 2개의 립을 가지고 있지만, 도전성 그리스(G)가 내주면(83)에 붙어 있기 때문에, 그리스의 윤활에 의해 슬라이딩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어, 립의 개수가 증가한 것에 의한 슬라이딩 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 제2 실시형태 >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 장치(10)와 동일한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 장치(10A)의 구성을 나타내는 축선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 장치(10A)는, 립 선단부분(36A)에 있어서의 립 접촉면(36sA)이 먼저 설명한 밀봉 장치(10)가 가지고 있는 립 선단부분(36)에 있어서의 립 접촉면(36s)과 상이하다. 립 접촉면(36sA)은, 구체적으로는, 출력축(102)의 외주면(102g)에 접하는 환형상의 면에, 축선(x)을 중심으로 하는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홈 형상의 요철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는 밀봉 장치(10A)에 의하면, 립 접촉면(36sA)에 홈 형상의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출력축(102)의 외주면(102g)에의 접촉 폭을 증가시키면서, 립 접촉면(36sA)과 출력축(102)의 외주면(102g)과의 슬라이딩에 의한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밀봉 장치(10A)에 의하면, 내주면(83)의 립 사이 공간(S)에 붙어 있는 도전성 그리스(G)가 립 접촉면(36sA)에도 부착되기 때문에, 밀봉 장치(10A)와 출력축(102)과의 통전을 확보하면서 립 접촉면(36sA)과 출력축(102)의 외주면(102g)과의 슬라이딩에 의한 마찰을 저감시켜, 밀봉 장치(10A) 및 출력축(102)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제3 실시형태 >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 장치(10) 및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 장치(10A)와 동일한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 장치(10B)의 구성을 나타내는 축선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 장치(10B)는, 립 선단부분(36B)에 있어서의 립 접촉면(36sB)이 먼저 설명한 밀봉 장치(10A)가 가지고 있는 립 선단부분(36A)에 있어서의 립 접촉면(36sA)과 상이하다. 립 접촉면(36sB)은, 구체적으로는, 출력축(102)의 외주면(102g)에 접하는 환형상의 면에, 오톨도톨한 모양의 요철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립 접촉면(36sB)의 환형상의 면에는, 먼저 설명한 립 접촉면(36sA)과 같은 복수의 요철 형상의 표면에, 오톨도톨한 모양의 요철 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는 밀봉 장치(10B)에 의하면, 립 접촉면(36sB)에 오톨도톨한 모양의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출력축(102)의 외주면(102g)에의 접촉 폭을 증가시키면서, 립 접촉면(36sB)과 출력축(102)의 외주면(102g)과의 슬라이딩에 의한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밀봉 장치(10B)에 의하면, 내주면(83)의 립 사이 공간(S)에 붙어 있는 도전성 그리스(G)가 립 접촉면(36sB)에도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밀봉 장치(10B)와 출력축(102)과의 통전을 확보하면서 립 접촉면(36sB)과 출력축(102)의 외주면(102g)과의 슬라이딩에 의한 마찰을 저감시키고, 밀봉 장치(10B) 및 출력축(102)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다른 실시형태 >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 장치(10, 10A, 10B)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개념 및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태양을 포함한다. 또, 전술한 과제 및 효과의 적어도 일부를 거둘 수 있도록, 각 구성을 적절히 선택적으로 조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요소의 형상, 재료, 배치, 사이즈 등은, 본 발명의 구체적 사용 태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 장치(10)에 있어서, 탄성체부(30)는, 하나의 더스트 립, 즉 더스트 립(85)을 가진다고 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성체부(30)는, 더스트 립(85)에 더하여 그 내측(b)에 내측 더스트 립을 구비하여 2개의 더스트 립을 가지는 것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내측 더스트 립은, 더스트 립(85)과 마찬가지로, 더스트 립(85)보다 내측(b)이고 립부(35)의 립 선단부분(36)의 립 접촉면(36s)의 외측(a)의 단부와의 사이의 내주면(83)에 있어서, 베이스부(31)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내주 측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예를 들어 원추 통 모양 또는 대략 원추 통 모양의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탄성체부(30)는, 내측 더스트 립 및 더스트 립(85)에 더하여 다른 더스트 립을 가지고 있어, 3개 이상의 더스트 립을 가지는 것일 수도 있다. 탄성체부(30)가 2개 이상의 더스트 립을 가지는 경우, 내주면(83)은, 립부(35)의 립 접촉면(36s)으로부터 가장 외측의 더스트 립의 선단까지 연장되는 탄성체부(30)의 내주면일 수도 있고, 립부(35)의 립 접촉면(36s)으로부터 가장 외측의 더스트 립보다 내측에 있는 도중의 더스트 립의 선단까지 연장되는 탄성체부(30)의 내주면일 수도 있다. 또, 내주면(83)은, 더스트 립과 더스트 립과의 사이의 탄성체부(30)의 내주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밀봉 장치(10)에 있어서는, 내주면(83)은, 내주면(83a, 83c)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했지만, 내주면(83)은, 내주면(83a)과 내주면(83c)의 선단(85a)보다 내측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도 있고, 또, 내주면(83a)과 내주면(83c)의 선단(85a)보다 외측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도 있다. 또, 내주면(83)은, 연속적인 면이 아니고, 단속적인 면일 수도 있다. 또, 내주면(83)은, 립 접촉면(36s)과 더스트 립의 선단과의 사이에서 끝나는 것일 수도 있고, 또, 더스트 립의 선단과 더스트 립의 선단과의 사이에서 끝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밀봉 장치(10)는, 립부(35)의 립 선단부분(36)과 배향되는 외주측(화살표 c방향)에 텐션 부여 부재로서의 환형상의 탄성 부재인 가터 스프링(38)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것일 수도 있다.
10, 10A, 10B: 밀봉 장치, 20: 보강환, 21: 원통부, 22: 추환부(錐環部), 24: 원반부, 30: 탄성체부, 31: 베이스부, 32: 개스킷부, 33: 커버부, 35: 립부, 36, 36A, 36B: 립 선단부분, 36s, 36sA, 36sB: 립 접촉면, 38: 가터 스프링(텐션 부여 부재), 85: 더스트 립, 83, 83a, 83c: 내주면, 85a: 선단, 100: 모터 구동장치, 101: 전동 모터, 102: 출력축(축), 103: 케이싱(외주측 부재), 104: 베어링, 105: 개구부, 121: 풀리, 200: 구동계 유닛, 221: 하우징(외주측 부재), 222: 회전축(축), 223: 디플렉터, f1: 간섭 마진, G: 도전성 그리스, S: 립 사이 공간, x: 축선.

Claims (5)

  1. 축과 상기 축보다 외주측에 있어서 축선 주위에 배치된 외주측 부재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축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고, 상기 축과 상기 외주측 부재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 장치로서,
    상기 축선 주위에서 환형상인 보강환과,
    상기 보강환에 부착되고 상기 축선 주위에서 환형상인 도전성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탄성체부와,
    도전성 그리스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부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립부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축선 주위에서 환형상인 더스트 립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립부는, 상기 립부의 선단에, 상기 축의 외주면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축의 외주면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된 립 접촉면을 가지는 립 선단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립 접촉면은 상기 축의 외주면에 면하는 환형상의 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도전성 그리스는, 상기 탄성체부의 내주측에 면하는 환형상의 면인 내주면에 있어서, 상기 축선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립 접촉면과 상기 더스트 립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환형상의 공간인 립 사이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존재하도록 붙어 있는, 밀봉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부는 환형상의 탄성 부재인 텐션 부여 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텐션 부여 부재는 상기 립 선단부분에 있어서 상기 립부의 외주측에 장착되어, 상기 립 접촉면을 상기 축의 외주면에 밀어붙이는 텐션을 부여하고 있는,
    밀봉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텐션 부여 부재는, 상기 립부 중 상기 립 접촉면과 배향되는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밀봉 장치.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립 사이 공간에 있어서, 상기 축선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립 접촉면과 상기 더스트 립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내측 더스트 립을 포함하는,
    밀봉 장치.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립 접촉면은 상기 축의 외주면에 대해서 요철 형상을 가지고 있는,
    밀봉 장치.
KR1020217027101A 2019-05-08 2020-04-20 밀봉 장치 KR1026272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88583 2019-05-08
JPJP-P-2019-088583 2019-05-08
PCT/JP2020/017004 WO2020226042A1 (ja) 2019-05-08 2020-04-20 密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8905A true KR20210118905A (ko) 2021-10-01
KR102627251B1 KR102627251B1 (ko) 2024-01-23

Family

ID=73051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7101A KR102627251B1 (ko) 2019-05-08 2020-04-20 밀봉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45936A1 (ko)
EP (1) EP3967896A4 (ko)
JP (2) JP7360454B2 (ko)
KR (1) KR102627251B1 (ko)
CN (1) CN113474568B (ko)
WO (1) WO20202260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0477A1 (ja) * 2021-11-30 2023-06-08 Nok株式会社 密封装置および電動機
CN115833448A (zh) * 2022-11-28 2023-03-21 中通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驱动电机的防泥沙装置及新能源客车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5562U (ja) * 1992-03-16 1993-10-1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クランクシャフトのオイルシール構造
JP2000244180A (ja) 1999-02-22 2000-09-08 Toyota Motor Corp 電気自動車の電磁ノイズ抑制装置
JP2006234093A (ja) * 2005-02-25 2006-09-07 Nsk Ltd 車輪支持用転がり軸受装置
JP2010270909A (ja) * 2009-04-24 2010-12-02 Nok Corp 密封装置
JP2011241868A (ja) * 2010-05-17 2011-12-01 Nok Corp オイルシール
JP2015014296A (ja) 2013-07-03 2015-01-22 内山工業株式会社 密封装置
JP2015207534A (ja) 2014-04-23 2015-11-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動力伝達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99359A5 (ko) * 1970-07-29 1972-03-10 Nippon Seiko Kk
JP2559158Y2 (ja) * 1993-04-09 1998-01-14 内山工業株式会社 密封装置
JP2001099326A (ja) * 1999-09-27 2001-04-10 Koyo Seiko Co Ltd シール
JP2003035371A (ja) * 2001-07-24 2003-02-07 Nok Corp 連鋳機用密封装置
JP2005325310A (ja) * 2004-05-17 2005-11-24 Nsk Ltd 導電性グリース組成物及び転動装置
JP2006046565A (ja) * 2004-08-06 2006-02-16 Nsk Ltd 転がり軸受の密封装置及びハブユニット
JP2008025668A (ja) * 2006-07-19 2008-02-07 Koyo Sealing Techno Co Ltd 密封装置
JP2008106874A (ja) * 2006-10-26 2008-05-08 Nsk Ltd 玉軸受およびこれを用いたブラスレスモータ
US8413995B2 (en) * 2007-04-11 2013-04-09 Nok Corporation Oil seal
JP2010185490A (ja) * 2009-02-10 2010-08-26 Uchiyama Manufacturing Corp 軸受密封装置
JP2011196422A (ja) * 2010-03-18 2011-10-06 Ntn Corp 転がり軸受
CN202418304U (zh) * 2011-12-12 2012-09-05 湖北三环离合器有限公司 一种广转角离合器从动盘总成
JP2014240676A (ja) * 2013-06-11 2014-12-25 日本精工株式会社 シール付車輪支持用軸受ユニット
JP2015102200A (ja) * 2013-11-27 2015-06-04 日本精工株式会社 車載モータ用転がり軸受
JP6317148B2 (ja) * 2014-03-20 2018-04-25 Ntn株式会社 転がり軸受
JP2016005511A (ja) * 2014-06-20 2016-01-14 Nok株式会社 洗濯機用密封装置
RU2673949C1 (ru) * 2015-05-11 2018-12-03 Нок Корпорейшн Уплот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2017067268A (ja) * 2015-10-02 2017-04-06 Nok株式会社 密封装置
WO2017099009A1 (ja) * 2015-12-08 2017-06-15 Nok株式会社 密封装置
WO2017122539A1 (ja) * 2016-01-13 2017-07-20 Nok株式会社 密封装置
JP2018035844A (ja) * 2016-08-30 2018-03-08 Nok株式会社 密封装置
JP2018035855A (ja) * 2016-08-30 2018-03-08 Nok株式会社 密封装置
JP2018071603A (ja) * 2016-10-26 2018-05-10 Nok株式会社 密封装置
CN206234363U (zh) * 2016-11-11 2017-06-09 无锡恩福油封有限公司 密封装置
CN207554678U (zh) * 2017-11-20 2018-06-29 无锡恩福油封有限公司 密封装置
WO2019131899A1 (ja) * 2017-12-27 2019-07-04 Nok株式会社 密封装置
CN208010932U (zh) * 2018-03-01 2018-10-26 无锡恩福油封有限公司 密封装置
US11428322B2 (en) * 2018-07-24 2022-08-30 Nok Corporation Seal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5562U (ja) * 1992-03-16 1993-10-1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クランクシャフトのオイルシール構造
JP2000244180A (ja) 1999-02-22 2000-09-08 Toyota Motor Corp 電気自動車の電磁ノイズ抑制装置
JP2006234093A (ja) * 2005-02-25 2006-09-07 Nsk Ltd 車輪支持用転がり軸受装置
JP2010270909A (ja) * 2009-04-24 2010-12-02 Nok Corp 密封装置
JP2011241868A (ja) * 2010-05-17 2011-12-01 Nok Corp オイルシール
JP2015014296A (ja) 2013-07-03 2015-01-22 内山工業株式会社 密封装置
JP2015207534A (ja) 2014-04-23 2015-11-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動力伝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474568B (zh) 2024-01-05
CN113474568A (zh) 2021-10-01
JPWO2020226042A1 (ja) 2021-12-23
JP7360454B2 (ja) 2023-10-12
EP3967896A4 (en) 2022-12-28
KR102627251B1 (ko) 2024-01-23
US20220145936A1 (en) 2022-05-12
WO2020226042A1 (ja) 2020-11-12
EP3967896A1 (en) 2022-03-16
JP2023138842A (ja) 2023-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14807B2 (ja) 密封装置
JP7475453B2 (ja) 密封装置
JP2023138842A (ja) 密封装置
JP2014240676A (ja) シール付車輪支持用軸受ユニット
JP6967155B2 (ja) 密封装置
JP2559158Y2 (ja) 密封装置
JP7437539B2 (ja) 密封装置
WO2023008181A1 (ja) 密封装置
JP2023028280A (ja) 密封装置
WO2024089960A1 (ja) 導電性密封装置
CN112204278B (zh) 密封装置
JP2024015715A (ja) 密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