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5099A - 업무 관리 장치, 업무 관리 방법,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업무 관리 장치, 업무 관리 방법,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5099A
KR20190075099A KR1020197014711A KR20197014711A KR20190075099A KR 20190075099 A KR20190075099 A KR 20190075099A KR 1020197014711 A KR1020197014711 A KR 1020197014711A KR 20197014711 A KR20197014711 A KR 20197014711A KR 20190075099 A KR20190075099 A KR 20190075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ation
staff
user
notification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4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 코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구루나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구루나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구루나비
Publication of KR20190075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0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8Staff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시설의 스탭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한 업무 관리 방법, 업무 관리 프로그램, 및 업무 관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업무 관리 장치(2)는, 예를 들어 좌석, 예약자명, 인원수, 이용 시간 및 플랜 등의 시설의 예약 내용을 나타내는 예약 정보를 관리하는 예약 처리부(211)와, 상기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설의 스탭의 작업 내용을 당해 작업 내용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통지 타이밍에 상기 스탭에게 통지하는 통지 처리부(21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업무 관리 장치, 업무 관리 방법, 기록 매체
본 발명은, 시설의 스탭에 의한 업무 관리를 지원하는 것이 가능한 업무 관리 장치, 업무 관리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 점포 등의 시설의 스탭은, 예약표 등을 사용하여 그 시설의 예약 내용을 관리하고 있고, 일상 업무에 있어서도, 그 예약표를 참조하면서 업무를 행하게 된다. 또한, 음식 점포 등의 시설에 있어서의 각 좌석의 예약 내용 등을 관리하는 것이 가능한 시스템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08839호 공보
그러나, 음식 점포의 스탭은, 일상 업무에 있어서, 이용자의 내점 시의 좌석 안내,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 코스 요리의 제공 타이밍의 관리 등의 점포의 업무 관리에 신경을 쓸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설의 스탭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한 업무 관리 장치, 업무 관리 방법,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업무 관리 장치는, 시설의 예약 내용을 나타내는 예약 정보를 관리하는 예약 처리부와, 상기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설의 스탭의 작업 내용을 당해 작업 내용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통지 타이밍에 상기 스탭에게 통지하는 통지 처리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업무 관리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시설의 예약 내용을 나타내는 예약 정보를 관리하는 예약 스텝과, 상기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설의 스탭의 작업 내용을 당해 작업 내용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통지 타이밍에 상기 스탭에게 통지하는 통지 스텝을 실행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관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에, 시설의 예약 내용을 나타내는 예약 정보를 관리하는 예약 스텝과, 상기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설의 스탭의 작업 내용을 당해 작업 내용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통지 타이밍에 상기 스탭에게 통지하는 통지 스텝을 실행시키기 위한 업무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설의 스탭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한 업무 관리 장치, 업무 관리 방법, 및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업무 관리 장치에 의해 관리되는 예약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업무 관리 장치에 의해 관리되는 예약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업무 관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업무 관리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업무 관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대응 가부 제어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업무 관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업무 관리 처리에 의해 표시되는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업무 관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업무 관리 처리에 의해 표시되는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업무 관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업무 관리 처리에 의해 표시되는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업무 관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업무 관리 처리에 의해 표시되는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업무 관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예약 확인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여, 본 발명의 이해에 도움이 되게 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례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성격이 것은 아니다.
[업무 관리 시스템(1)]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업무 관리 시스템(1)은, 업무 관리 장치(2)와, 하나 또는 복수의 스탭 단말기(3)와, 하나 또는 복수의 이용자 단말기(4)를 포함한다. 업무 관리 장치(2), 스탭 단말기(3) 및 이용자 단말기(4)는, 인터넷, LAN, WAN, 또는 공중전화 회선 등의 통신망 N1을 통해 통신 가능하다.
그리고, 업무 관리 시스템(1)은, 음식 점포와 같은 시설에 있어서의 스탭의 업무를 지원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업무 관리 시스템(1)에서는,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업무 관리 장치(2)에 있어서 시설의 예약 내용이 관리되고 있으며, 그 예약 내용에 기초하여 시설의 스탭의 각각에의 지시가 그 스탭이 소지하는 스탭 단말기(3)에 대하여 통지된다. 또한, 업무 관리 장치(2)에서는, 시설 내의 현재의 공석 상황 등도 관리된다.
업무 관리 시스템(1)에 의한 관리 대상은, 예를 들어 신년회, 송년회, 바비큐, 연회, 친목회, 동창회, 사원 여행, 및 골프 경기 대회 등의 각종 이벤트에서 사용되는 음식 점포, 이벤트 회장, 호텔, 또는 골프장 등이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관리 대상이 음식 점포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업무 관리 시스템(1)이, 업무 관리 장치(2) 및 스탭 단말기(3)를 구비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업무 관리 장치(2)가 스탭 단말기(3)를 겸한 스탠드 얼론형의 시스템이어도 된다.
[업무 관리 장치(2)]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무 관리 장치(2)는, 제어부(21), 기억부(22), 조작 표시부(23) 및 통신 I/F(24) 등을 구비하는 서버 컴퓨터이다. 예를 들어, 업무 관리 장치(2)는, 업무 관리 시스템(1)에 의한 관리 대상이 되는 시설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지만, 스탭 단말기(3) 및 이용자 단말기(4)와 통신 가능하면 당해 시설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업무 관리 장치(2)는, 1대의 컴퓨터에 한하지 않고, 복수대의 컴퓨터가 협동하여 동작하는 컴퓨터 시스템이어도 된다. 또한, 업무 관리 장치(2)에서 실행되는 각종 처리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분산되어 실행되어도 된다.
통신 I/F(24)는, 업무 관리 장치(2)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망 N1에 접속하고, 통신망 N1을 통해 스탭 단말기(3) 및 이용자 단말기(4) 등의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조작 표시부(23)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부와, 조작을 접수하는 마우스, 키보드, 또는 터치 패널 등의 조작부를 구비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이다.
기억부(22)는,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반도체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또는 SSD(Solid State Drive) 등을 포함하는 불휘발성 기억부이다. 구체적으로, 기억부(22)에는, 예약 정보 D1 및 예약표 D2 등이 기억된다. 여기에, 도 2는 예약 정보 D1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은 예약표 D2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약 정보 D1에는, 좌석, 예약자명, 인원수, 이용 시간 및 플랜 등의 예약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플랜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요리를 포함하는 코스 요리 등이다. 또한, 시설의 좌석수, 좌석 레이아웃, 좌석의 결합·분리·이동의 가부, 플랜마다의 요리 내용, 플랜마다의 타임 스케줄 등의 정보도 미리 설정되어 기억부(22)에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예약표 D2는, 예약 정보 D1의 내용이 시설의 스탭이 직감적으로 파악 가능한 양태로 표시되는 화상 정보이다. 또한, 예약 정보 D1은, 예약 처리부(211)에 의해 편집되고, 예약표 D2는, 예약 처리부(211)에 의해 생성된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로서, 예약 정보 D1 및 예약표 D2 등의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가, 업무 관리 장치(2)로부터 통신망 N1을 통해 액세스 가능한 다른 서버에 기억되어 있는 것도 생각된다. 그리고, 업무 관리 장치(2)의 제어부(21)는, 상기 서버로부터 각종 정보를 취득하여, 후술하는 업무 관리 처리(도 4 참조) 등의 각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또한, 기억부(22)에는, 제어부(21)에 후술하는 업무 관리 처리(도 4 참조)를 실행시키기 위한 업무 관리 프로그램 등의 제어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업무 관리 프로그램은, CD 또는 DVD 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비일시적으로 기록되어 있고, 업무 관리 장치(2)가 구비하는 CD 드라이브 또는 DVD 드라이브 등의 판독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판독되어 기억부(22)에 기억된다.
제어부(21)는 CPU, ROM 및 RAM 등의 제어 기기를 갖는다. 상기 CPU는, 각종 연산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세서이다. 상기 ROM은, 상기 CPU에 각종 연산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BIOS 및 OS 등의 제어 프로그램이 미리 기억되는 불휘발성 기억부이다. 상기 RAM은,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기억부이며, 상기 CPU가 실행하는 각종 처리의 일시 기억 메모리(작업 영역)로서 사용된다. 그리고, 제어부(21)는, 상기 ROM 또는 기억부(22)에 미리 기억된 각종 제어 프로그램을 상기 CPU에서 실행함으로써 업무 관리 장치(2)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약 처리부(211), 통지 처리부(212), 접수 처리부(213) 및 판별 처리부(214) 등의 각종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21)는, 상기 CPU에서 상기 업무 관리 프로그램에 따른 각종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각종 처리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어부(21)에 포함되는 일부 또는 전부의 처리부가 전자 회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업무 관리 프로그램은, 복수의 프로세서를 상기 각종 처리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예약 처리부(211)는, 시설의 예약 내용을 나타내는 예약 정보 D1을 관리하기 위한 예약 스텝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예약 처리부(211)는, 스탭 단말기(3)를 사용한 스탭으로부터의 예약 요구 또는 이용자 단말기(4)를 사용한 이용자로부터의 예약 요구를 접수 가능하고, 상기 예약 요구와 미리 설정된 예약 규칙에 기초하여 예약 정보 D1을 자동 갱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 이러한 처리가 예약 스텝의 일례이다. 예를 들어, 예약 처리부(211)는, 스탭 단말기(3) 또는 이용자 단말기(4)로부터의 액세스에 따라서, 상기 예약 내용을 입력하기 위한 예약 화면을 스탭 단말기(3) 또는 이용자 단말기(4)에 표시시킨다. 그리고, 스탭 단말기(3) 또는 이용자 단말기(4)에 대한 스탭 또는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예약 요구를 접수한다. 또한, 상기 예약 요구에는, 당일 시설에 예약없이 직접 내점한 이용자의 접수 요구가 포함되어도 된다.
그리고, 예약 처리부(211)는, 상기 예약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 예약 정보 D1에 기초하여, 상기 예약 요구에 대응하는 예약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예약이 가능한 경우에 예약 정보 D1에 상기 예약 요구에 대응하는 예약 내용을 추가한다. 특히, 예약 처리부(211)는, 상기 예약 규칙으로서 미리 설정된 좌석의 할당 조건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좌석에 이용자를 할당하여 예약 정보 D1을 갱신한다. 이때, 예약 처리부(211)는, 예약 정보 D1에 기초하여 시설에 있어서의 좌석의 결합, 분리, 또는 이동 등이 필요한 경우에는, 그 좌석의 결합, 분리, 또는 이동을 포함하는 좌석 레이아웃을 예약 정보 D1에 설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 횟수가 많으면 스탭의 작업 부하가 커지기 때문에, 상기 할당 조건으로서는,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이 최대한 불필요한 할당이 행해지도록 좌석이 선택되는 것이 생각된다. 또한, 예약 처리부(211)는, 이용자로부터의 예약 캔슬 요구를 접수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예약 캔슬 요구에 대응하는 예약 내용을 예약 정보 D1로부터 삭제한다. 이와 같은 예약 정보 D1의 자동 관리 기능에 대해서는 각종 종래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약 정보 D1이, 예약 처리부(211)에 의해 자동적으로 갱신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예약 처리부(211)가, 스탭 단말기(3)의 조작에 따라서 임의로 편집 가능해도 된다.
또한, 예약 처리부(211)는, 스탭에 의한 스탭 단말기(3)의 조작에 따라서, 예약 정보 D1에 기초하여 예약표 D2를 생성하고, 예약표 D2를 스탭 단말기(3)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예약 처리부(211)는, 예약 정보 D1의 갱신 시에 예약표 D2를 갱신하여 기억부(22)에 기억하는 것, 또는, 예약 정보 D1의 표시 요구가 행해진 경우에 당해 예약 정보 D1에 기초하여 예약표 D2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것이 생각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업무 관리 장치(2)에서는, 스탭의 작업 내용 및 작업 타이밍이 자동적으로 통지되기 때문에 예약표 D2가 표시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예약 처리부(211)가, 예약표 D2의 표시 기능을 갖지 않는 것도 다른 실시 형태로서 생각된다.
통지 처리부(212)는, 예약 정보 D1에 기초하여, 시설의 스탭이 실시해야 할 작업 내용을, 그 작업 내용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통지 타이밍에 스탭 단말기(3) 또는 이용자 단말기(4) 등에 통지하기 위한 통지 스텝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통지 처리부(21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용자의 내점 시, 요리의 조리 개시 타이밍,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 타이밍 등의 통지 타이밍에 통지를 실행한다.
여기서, 통지 처리부(212)에 의한 스탭 단말기(3)에의 통지는, 업무 관리 장치(2)에 인스톨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스탭 단말기(3)에 인스톨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제휴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통지 처리부(212)에 의한 스탭 단말기(3)에의 통지는, 예를 들어 메일 또는 SNS 등에 의해 행해져도 된다. 또한, 통지 처리부(212)에 의한 스탭 단말기(3)에의 통지는, 브라우저 기능을 사용하여 행해지는 것도 생각된다. 또한, 통지 처리부(212)에 의한 스탭 단말기(3)에의 통지는, 브라우저 기능 등을 이용한 푸시 통지에 의해 행해져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지의 방법으로서, 메시지 표시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음성 재생 등의 다른 방법에 의해 통지가 행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스탭 단말기(3)에 Bluetooth(등록 상표)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유선에 의해 마이크 및 헤드폰을 포함하는 헤드셋이 접속 가능하고, 스탭 단말기(3)의 제어부(21)가 상기 헤드셋에 의해 당해 스탭의 음성 인식에 의해 유저 조작을 접수 가능하고, 통지 처리부(212)에 의한 통지가 상기 헤드셋에 대한 음성 출력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 생각된다.
접수 처리부(213)는, 통지 처리부(212)에 의해 미리 설정된 작업 내용이 통지되는 경우에, 그 작업 내용에 대응 가능한지 여부에 관한 스탭 단말기(3)의 조작을 접수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접수 처리부(213)는, 스탭 단말기(3)에 대한 스탭의 조작 입력에 따라서 스탭 단말기(3)로부터 업무 관리 장치(2)에 송신되는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작업 내용에 대응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 가능하다.
판별 처리부(214)는 시설에 내점한 이용자를 판별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판별 처리부(214)는, 이용자가 휴대하는 이용자 단말기(4)에 대한 소정의 체크인 조작에 따라서 업무 관리 장치(2)에 입력되는 이용자의 성명 또는 ID 등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체크인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이용자 단말기(4)의 이용자를 식별한다. 또한, 업무 관리 장치(2)에는, 이용자에 의한 이용자 단말기(4)의 조작에 따라서, 당해 이용자에 대응하는 이용자의 성명, ID, 연락처 전화번호, 연락처 메일 어드레스 등의 이용자 정보가 기억되어 있어, 업무 관리 장치(2)에서는 이용자마다의 연락처 전화번호 또는 연락처 메일 어드레스 등의 연락처를 특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체크인 조작은, 이용자가 시설에 내점한 경우 등에 그 취지를 등록하기 위해 행해지는 소정의 조작이며, 당해 체크인 조작은, 이용자 단말기(4)에 인스톨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업무 관리 장치(2)에 의해 제공되는 웹페이지 상에서 접수되어, 상기 체크인 정보가 업무 관리 장치(2)에 입력된다.
또한, 이용자 단말기(4)는, 이용자가 조작하는 것이면, 이용자 각각이 개별로 지참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이용자에게 공통의 단말기로서 프론트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이용자 단말기(4)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와 같은 조작 표시부를 구비하고, 메시지의 표시에 의해 이용자에의 통지가 가능함과 함께 이용자의 터치 조작을 접수 가능한 것이어도 되지만, 이용자 단말기(4)가, 메시지의 음성 재생에 의해 이용자에의 통지가 가능함과 함께 이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조작을 접수 가능해도 된다.
또한, 판별 처리부(214)에 의한 이용자의 판별 방법은, 상기 체크인 조작을 사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용자 단말기(4)에 설치된 GPS를 사용하여 취득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이용자의 시설에의 내점이 검출되는 것, 또는 이용자 단말기(4)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비콘 신호의 송수신에 의해 이용자의 시설에의 내점이 검출되는 것도 생각된다. 또한,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기(4)를 사용한 예약 요구 시에 인쇄되는 예약 전표에 인쇄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등록 상표)로부터 바코드 리더에 의해 판독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이용자가 판별되는 것도 생각된다.
[스탭 단말기(3)]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탭 단말기(3)는, 제어부(31), 기억부(32), 조작 표시부(33) 및 통신 I/F(34) 등을 구비한다. 스탭 단말기(3)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기, 또는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정보 처리 장치이며, 시설의 스탭 또는 이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조작 단말기이다. 또한, 이용자 단말기(4)에 대해서도 스탭 단말기(3)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면 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스탭 단말기(3)는, 시설 내의 프론트, 주방, 또는 홀 등의 장소에 배치되거나, 혹은, 프론트, 주방, 또는 홀 등을 담당하는 스탭에 의해 휴대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프론트, 주방, 홀의 각각에 대응하는 스탭 단말기(3)를 스탭 단말기(3A), 스탭 단말기(3B), 스탭 단말기(3C)라 칭하고, 특별히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간단히 스탭 단말기(3)라 칭한다.
또한, 스탭은, 스탭 단말기(3)에서 열람 가능한 소정의 로그인 페이지에 있어서 스탭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함으로써 업무 관리 장치(2)에 로그인한다. 이에 의해, 업무 관리 장치(2)의 제어부(21)는, 스탭 단말기(3)에 현재 로그인 중인 스탭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탭 단말기(3)가 스탭 개인의 휴대 전화 또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기인 것도 생각되며, 이 경우, 업무 관리 장치(2)에서는, 스탭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대응 관계가 미리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
통신 I/F(34)는, 스탭 단말기(3)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망 N1에 접속하고, 통신망 N1을 통해 업무 관리 장치(2) 등의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조작 표시부(33)는, 각종 웹페이지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부와, 조작을 접수하는 마우스, 키보드, 또는 터치 패널 등의 조작부를 구비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이다.
기억부(32)는,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플래쉬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기억부이다. 예를 들어, 기억부(32)에는, 브라우저 프로그램 등의 제어 프로그램이 기억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라우저 프로그램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등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서 업무 관리 장치(2) 등의 외부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 처리를 제어부(31)에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다.
제어부(31)는 CPU, ROM 및 RAM 등의 제어 기기를 갖는다. 상기 CPU는, 각종 연산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세서이다. 상기 ROM은, 상기 CPU에 각종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BIOS 및 OS 등의 제어 프로그램이 미리 기억된 불휘발성 기억부이다. 상기 RAM은,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기억부이며, 상기 CPU가 실행하는 각종 처리의 일시 기억 메모리(작업 영역)로서 사용된다. 그리고, 제어부(31)는, 상기 ROM 또는 기억부(32)에 미리 기억된 각종 제어 프로그램을 상기 CPU에서 실행함으로써 스탭 단말기(3)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1)는, 기억부(32)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브라우저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종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브라우저 처리부(311)로서 기능한다. 브라우저 처리부(311)는, 업무 관리 장치(2)로부터 통신망 N1을 통해 제공되는 웹페이지를 조작 표시부(33)에 표시시키고, 조작 표시부(33)에 대한 조작을 업무 관리 장치(2)에 입력하는 브라우저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31)에 포함되는 일부 또는 전부의 처리부는 전자 회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런데, 음식 점포의 스탭은, 일상 업무에 있어서, 이용자의 내점 시의 좌석 안내,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 코스 요리의 제공 타이밍의 관리 등의 점포의 업무 관리에 신경을 쓸 필요가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업무 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의 업무 관리 방법에 의하면, 시설의 스탭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업무 관리 처리]
이하, 도 4를 참조하면서, 업무 관리 장치(2)의 제어부(21)에 의해 실행되는 업무 관리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당해 업무 관리 처리는, 스탭 단말기(3)의 소정의 조작에 의해 도중에 종료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당해 업무 관리 처리에 포함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스텝을 실행하는 업무 관리 방법의 발명으로서 파악할 수 있고, 여기에서 설명하는 당해 업무 관리 처리에 포함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스텝이 적절히 생략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업무 관리 처리에 있어서의 각 스텝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발생하는 범위에서 실행 순서가 상이해도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제어부(21)에 의해 당해 업무 관리 처리에 있어서의 각 스텝이 실행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당해 업무 관리 처리에 있어서의 각 스텝이 분산되어 실행되는 업무 관리 방법도 다른 실시 형태로서 생각된다.
<스텝 S1>
스텝 S1에 있어서, 제어부(21)는, 시설에의 이용자의 내점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는, 이용자에 의해 이용자 단말기(4)에 대하여 시설에의 체크인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시설에의 이용자의 내점을 검출한다. 여기서, 이용자의 내점이 검출되면(S1 : "예"), 처리가 스텝 S2로 이행되고, 이용자의 내점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S1 : "아니오"), 처리가 스텝 S4로 이행된다.
<스텝 S2>
스텝 S2에 있어서, 제어부(21)는, 스텝 S1에서 검출된 이용자를 판별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1)는, 예를 들어 이용자의 체크인 정보에 기초하여 이용자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 이러한 처리는 제어부(21)의 판별 처리부(214)에 의해 실행된다.
<스텝 S3>
스텝 S3에 있어서, 제어부(21)는, 상기 스텝 S2에서 판별된 이용자와 예약 정보 D1에 기초하여, 당해 이용자가 이용하는 좌석을 특정하고, 그 좌석을 통지하기 위한 통지 스텝을 실행한다. 즉, 이용자의 시설에의 내점 타이밍이 통지 타이밍의 일례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는, 예약 정보 D1에 기초하여, 상기 스텝 S2에서 판별된 이용자의 이용 시간이 도래한 경우, 또는, 상기 이용 시간까지의 남은 시간이 소정 시간 이내인 경우이며, 상기 이용자가 이용하는 좌석이 공석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프론트의 스탭 단말기(3A) 또는 홀의 스탭 단말기(3C) 등에 통지하여 표시시킨다. 또한, 상기 스텝 S2에서 판별된 이용자의 이용 시간이 도래한 경우, 또는, 상기 이용 시간까지의 남은 시간이 소정 시간 이내인 경우에, 상기 이용자가 이용하는 좌석이 공석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21)는, 그 좌석을 현재 이용하고 있는 이용자에 대하여 퇴점을 재촉하는 지시를 스탭 단말기(3A)에 통지하는 것이 생각된다.
여기서, 제어부(21)는, 모든 스탭 단말기(3A 및 3C)에 통지하는 것도 생각되지만, 스탭 단말기(3A 및 3C) 중 미리 설정된 우선 조건에 따라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스탭 단말기(3A 또는 3C)에 통지하는 것도 생각된다. 또한, 하나 또는 복수의 좌석마다 스탭이 미리 대응지어져 있고, 안내 대상의 좌석에 대응하는 스탭의 스탭 단말기(3C)가 통지처로서 선택되는 것도 생각된다.
여기에, 도 6은 스텝 S3에 있어서 스탭 단말기(3A)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 P11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탭 단말기(3A)의 표시 화면 P11에는, 이용자의 성명(XA님), 인원수(4명), 좌석(A-1), 플랜(여성 모임 음료 무제한 코스) 등의 예약 내용과, 그 이용자의 안내를 재촉하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따라서, 프론트 또는 홀의 스탭은, 예약표 등을 참조하여 안내처의 좌석을 판단하지 않고, 스탭 단말기(3A 또는 3C)에 의해 통지되는 표시 화면 P11을 참조하여 용이하게 이용자를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여, 시설에 있어서의 스탭의 업무 효율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텝 S4>
스텝 S4에 있어서, 제어부(21)는, 이미 내점한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요리의 조리 개시 타이밍이 도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이용자의 주문 내용이 미리 설정된 코스 요리인 경우에는, 당해 코스 요리에 포함되는 각 요리의 제공 타이밍을 미리 설정된 타임 스케줄에 따라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어부(21)는, 예약 내용으로서 예약 정보 D1에 코스 요리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당해 코스 요리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타임 스케줄과 이용자의 내점 일시 또는 이용자의 이용 시간 등에 기초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요리의 조리 개시 타이밍을 산출하는 것이 생각된다. 또한, 이용자의 주문 내용이 일품요리와 같이 임의의 메뉴인 경우에, 제어부(21)가, 당해 메뉴마다 미리 설정된 우선도 등에 기초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요리의 조리 개시 타이밍을 판단하는 것도 생각된다. 여기서, 요리 개시 타이밍이 도래하였다고 판단되면(S4 : "예"), 처리가 스텝 S5로 이행되고, 조리 개시 타이밍이 도래하지 않았으면(S4 : "아니오"), 처리가 스텝 S6으로 이행된다.
<스텝 S5>
스텝 S5에 있어서, 제어부(21)는, 예약 정보 D1에 기초하여, 상기 스텝 S4에서 조리 개시 타이밍이 도래하였다고 판단된 이용자의 요리의 조리 개시 지시를 통지하기 위한 통지 스텝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는, 이용자의 플랜에 포함되는 요리 중 상기 스텝 S4에서 조리 개시 타이밍이 도래하였다고 판단된 요리의 조리 개시 지시를, 주방의 이용자의 스탭 단말기(3B)에 통지하여, 스탭 단말기(3B)에 표시시킨다. 즉, 조리 개시 타이밍이 통지 타이밍의 일례이며, 제어부(21)는, 요리의 조리 개시 타이밍이 도래할 때마다 당해 요리의 조리 개시 지시를 스탭 단말기(3B)에 통지한다.
여기에, 도 7은, 스텝 S5에 있어서 스탭 단말기(3B)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 P12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탭 단말기(3B)의 표시 화면 P12에는, 이용자의 성명(XA님), 인원수(4명), 좌석(A-1), 플랜(여성 모임 음료 무제한 코스) 등의 예약 내용과, 플랜에 포함되는 요리(시저 샐러드)의 조리 개시를 재촉하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또한, 예약 정보 D1에 이용자의 알레르기 정보 등의 다른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21)는, 요리의 조리 개시 타이밍을 통지할 때에 그 정보를 통지해도 된다.
따라서, 주방의 스탭은, 예약표 등을 참조하여 각 요리의 조리 개시 타이밍을 판단하지 않고, 스탭 단말기(3B)에 의해 통지되는 표시 화면 P12를 참조하여 각 요리의 조리 개시 타이밍을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여, 시설에 있어서의 스탭의 업무 효율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기(4)를 사용하여, 다음 요리를 원한다는 취지의 조작 입력을 행함으로써, 이용자 단말기(4)로부터 업무 관리 장치(2)에 대하여 요리의 조리 개시 요구가 송신되고, 제어부(21)가 상기 조리 개시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조리 개시 타이밍이 도래하였다고 판단해도 된다.
<스텝 S6>
스텝 S6에 있어서, 제어부(21)는, 시설의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 타이밍이 도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는, 예약 정보 D1에 기초하여, 이용자의 이용 개시 시간보다도 조금 전의 미리 설정된 준비 개시 시간(예를 들어 5분 전 또는 10분 전 등)이 도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21)는, 상기 준비 개시 시간이 도래하였다고 판단되면, 당해 이용자가 이용하는 좌석에 대하여 좌석 레이아웃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가 판단되고, 좌석 레이아웃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21)는,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 타이밍이 도래하였다고 판단한다. 여기서,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 타이밍이 도래하였다고 판단되면(S6 : "예"), 처리가 스텝 S7로 이행되고,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 타이밍이 도래하지 않았으면(S6 : "아니오"), 처리가 스텝 S9로 이행된다.
<스텝 S7>
스텝 S7에 있어서, 제어부(21)는, 예약 정보 D1에 기초하여, 상기 스텝 S6에서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 타이밍이 도래하였다고 판단된 이용자의 좌석에 대하여,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 내용을 통지하기 위한 통지 스텝을 실행한다. 즉,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 타이밍이 통지 타이밍의 일례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는, 상기 스텝 S6에서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 타이밍이 도래하였다고 판단된 이용자의 좌석의 변경 전후의 좌석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모식 화상 또는 메시지 등을 홀의 이용자의 스탭 단말기(3C)에 통지하여, 스탭 단말기(3C)에 표시시킨다. 상기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 내용은, 예를 들어 좌석의 결합, 분리, 또는 이동이다.
여기서, 제어부(21)는, 모든 스탭 단말기(3C)에 통지하는 것도 생각되지만, 스탭 단말기(3C) 중 미리 설정된 우선 조건에 따라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스탭 단말기(3C)에 통지하는 것도 생각된다. 또한, 하나 또는 복수의 좌석마다 스탭이 미리 대응지어져 있고, 변경 대상의 좌석에 대응하는 스탭의 스탭 단말기(3C)가 통지처로서 선택되는 것도 생각된다.
여기에, 도 8은, 스텝 S6에 있어서 스탭 단말기(3C)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 P13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탭 단말기(3C)의 표시 화면 P13에는, 성명(XC님), 인원수(8명), 좌석(A) 및 시간(22시) 등의 예약 내용과,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 내용 및 변경 작업을 재촉하는 메시지(A-1, A-2를 결합해 주세요)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4명의 좌석으로서 좌석 「A-1」, 「A-2」가 분리되어 사용된 후, 8명의 좌석으로서 좌석 「A-1」, 「A-2」가 사용되는 경우에, 그 좌석 「A-1」, 「A-2」를 결합하도록 재촉된다.
여기에, 도 9는, 스텝 S6에 있어서 스탭 단말기(3C)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 P14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탭 단말기(3C)의 표시 화면 P14에는, 성명(ZB님), 인원수(4명), 좌석(C-1) 및 시간(21시) 등의 예약 내용과,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 내용 및 변경 작업을 재촉하는 메시지(C-1을 분리해 주세요)가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12명의 좌석으로서 좌석 「C-1」 내지 「C-3」이 결합되어 사용된 후, 4명의 좌석으로서 좌석 「C-1」이 사용되는 경우에, 그 좌석 「C-1」을 분리하도록 재촉된다.
따라서, 홀의 스탭은, 예약표 등을 참조하여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 필요 여부, 변경 내용, 변경 타이밍 등을 판단하지 않고, 스탭 단말기(3C)에 의해 통지되는 표시 화면 P13 또는 P14를 참조하여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 필요 여부, 변경 내용, 변경 타이밍 등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여, 시설에 있어서의 스탭의 업무 효율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텝 S8>
스텝 S8에 있어서, 제어부(21)는, 상기 스텝 S7에 있어서의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 내용의 통지 후, 그 통지를 받은 스탭 단말기(3)의 소지자인 스탭이 대응 가능한지 여부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대응 가부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상기 대응 가부 제어 처리에 대해서는 후단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상기 대응 가부 제어 처리는,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 통지 시에 한하지 않고, 이용자의 내점의 통지 시 또는 조리 개시의 통지 시 등에 실행되어도 된다.
<스텝 S9 내지 S10>
스텝 S9 내지 S10에 있어서, 제어부(21)는, 상술한 작업 타이밍을 제외한 다른 작업 타이밍이 도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9), 당해 다른 작업 타이밍이 도래한 경우에, 당해 다른 작업 타이밍에 대응하는 작업 내용을 스탭 단말기(3)에 통지한다(S10). 예를 들어, 제어부(21)는, 이용자에게 라스트 오더를 듣는 작업 타이밍이 도래한 경우에, 그 취지를 스탭 단말기(3)에 통지하는 것이 생각된다. 또한, 제어부(21)는, 이용자에게 퇴점을 재촉하는 작업 타이밍이 도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취지를 스탭 단말기(3)에 통지하는 것이 생각된다. 또한, 제어부(21)는, 식재의 구입이 행해지는 예약 대상일의 전날 또는 당일의 미리 설정된 작업 타이밍이 도래한 경우에, 당해 예약 대상일의 예약 정보 D1에 기초하여 필요한 식재량 등을 판단하고, 그 식재량을 스탭 단말기(3)에 통지하는 것도 생각된다. 또한, 제어부(21)는, 예를 들어 플랜의 내용이 나베 코스인 경우에 나베 세트의 준비를, 당해 플랜에 대응하는 이용자의 이용 시간의 조금 전의 미리 설정된 작업 타이밍에 스탭 단말기(3)에 통지하는 것도 생각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업무 관리 장치(2)에 의하면, 예약 정보 D1 등에 기초하여, 스탭에게 필요한 각종 작업 등이 적절한 타이밍에 자동적으로 통지되기 때문에, 스탭은 예약표 D2 등을 참조하면서 신경을 쓰면서 업무를 행할 필요가 없어, 스탭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업무 관리 장치(2)에서는, 스탭 단말기(3) 중 작업 내용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스탭 단말기(3)에 대하여 통지가 행해지기 때문에, 스탭 각각은 필요한 정보만을 효율적으로 참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용자의 내점 시에는 프론트의 스탭 단말기(3A)에 통지가 행해지고, 조리의 개시 시에는 주방의 스탭 단말기(3B)에 통지가 행해지고, 좌석 레이아웃 변경 시에는 홀의 스탭 단말기(3C)에 통지가 행해진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업무 관리 장치(2)가, 이용자 또는 스탭으로부터의 예약 요구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배석을 행하여 예약 정보 D1을 갱신하는 자동 배석 기능을 갖는 구성에서는, 스탭이 배석을 행하는 수고에 더하여, 일상 업무에 있어서의 점내 오퍼레이션의 수고가 저감되기 때문에, 스탭의 업무 효율의 한층 더한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업무 관리 장치(2)에서는, 예약표 D2가 표시되지 않는 구성이어도 되고, 이 경우, 제어부(21)는, 예약 정보 D1에 기초하여 예약표 D2를 생성하여 기억부(22)에 기억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억부(22)에 필요한 기억 용량이 저감되어, 제어부(21)의 RAM의 사용 효율도 개선된다. 또한, 작업 내용만이 통지되게 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스탭 단말기(3) 각각에 예약표 D2를 표시시키는 경우에 비해 데이터 통신량이 억제되어, 처리의 고속화가 실현 가능하다.
[대응 가부 제어 처리]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하면서, 상기 스텝 S8에 있어서 실행되는 상기 대응 가부 제어 처리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11>
스텝 S11에 있어서, 제어부(21)는,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의 통지를 받은 스탭 단말기(3C)에 대한 대응 가능 조작을 접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스탭 단말기(3C)에서는, 제어부(31)가,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의 통지 메시지와 함께, 그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에 대응 가능하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조작 키 K11(도 8 참조)을 조작 표시부(33)에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31)는, 조작 키 K11의 조작에 따라서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에 대응 가능하다고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대응 가능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단되면(S11 : "예"), 당해 대응 가부 제어 처리는 종료되고, 상기 대응 가능 조작이 행해지지 않았으면(S11 : "아니오"), 처리가 스텝 S12로 이행된다.
<스텝 S12>
스텝 S12에 있어서, 제어부(21)는,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의 통지를 받은 스탭 단말기(3C)에 대한 대응 불가 조작을 접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스탭 단말기(3C)에서는, 제어부(31)가,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 통지 메시지와 함께, 그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에 대응 불가라는 취지를 나타내는 조작 키 K12(도 8 참조)를 조작 표시부(33)에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31)는, 조작 키 K12의 조작에 따라서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에 대응 불가라고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대응 불가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단되면(S12 : "예"), 처리가 스텝 S13으로 이행되고, 상기 대응 가능 조작이 행해지지 않았으면(S12 : "아니오"), 처리가 스텝 S11로 되돌려진다.
또한, 스텝 S12에 있어서, 제어부(21)는,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이 스탭 단말기(3C)에 통지된 후, 미리 설정된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당해 스탭 단말기(3C)에 대한 스탭에 의한 대응 가능 조작 등의 확인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 상기 대응 불가 조작을 접수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처리를 스텝 S13으로 이행시키는 것도 생각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스탭이 다른 작업을 하고 있어 스탭 단말기(3C)를 조작할 수 없는 경우에도, 당해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이 이미 통지된 스탭 단말기(3C)와는 상이한 스탭 단말기(3C)에 상기 작업 내용을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텝 S13>
스텝 S13에 있어서, 제어부(21)는, 이미 당해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 통지를 받은 스탭 단말기(3C) 외에 홀에 대응하는 스탭 단말기(3C)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다른 스탭 단말기(3C)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S13 : "예"), 처리가 스텝 S15로 이행되고, 다른 스탭 단말기(3C)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S13 : "아니오"), 처리가 스텝 S14로 이행된다.
<스텝 S14>
스텝 S14에 있어서, 제어부(21)는, 당해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의 통지를 받은 스탭 단말기(3C)에 대하여, 다른 스탭이 대응 불가라는 취지를 통지한다. 또한, 당해 스텝 S14에 있어서, 제어부(21)는, 직전에 당해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의 통지를 받은 스탭 단말기(3C)에만, 다른 스탭이 대응 불가라는 취지를 통지하는 것이 생각된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로서, 당해 스텝 S14에 있어서, 제어부(21)가, 당해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의 통지를 받은 스탭 단말기(3C) 각각에, 다른 스탭이 대응 불가라는 취지를 통지하는 것도 생각된다. 또한, 제어부(21)는, 당해 스텝 S14에 있어서의 통지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당해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과 같은 작업 내용의 통지를 재실행하는 것도 생각된다.
<스텝 S15>
스텝 S15에 있어서, 제어부(21)는, 상기 스텝 S7에서 통지를 받은 스탭 단말기(3C)와는 상이한 다른 스탭 단말기(3)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통지 대상으로 하여, 상기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의 통지를 실행한다. 이에 의해, 상기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의 통지를 받은 스탭이 그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에 대응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다른 스탭 단말기(3C)에 마찬가지의 좌석 레이아웃의 변경의 통지가 행해져, 다른 스탭에 의한 대응이 기대되기 때문에, 시설의 스탭의 업무 효율이 개선된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스텝 S3에 있어서, 이용자의 좌석이 스탭 단말기(3A)에 통지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한편, 상기 스텝 S3에 있어서, 제어부(21)가, 시설에 체크인한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기(4)에 대하여 당해 이용자의 좌석을 통지하는 것도 생각된다. 이에 의해, 이용자는, 자신의 좌석을 파악하여 스스로 좌석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여, 시설의 스탭의 작업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21)에 의한 좌석의 통지 방법으로서는, 프론트로부터 각 좌석에의 통로에 배치된 LED 등의 발광체 중 프론트로부터 당해 이용자가 이용하는 좌석에 연결되는 발광체를 점등시키는 것도 생각된다.
또한, 제어부(21)가, 상기 스텝 S5에 있어서의 조리 개시의 통지 시에,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기(4)에 요리의 조리 개시를 통지하는 것도 생각된다. 이에 의해, 이용자는, 요리 각각의 조리가 개시되는 것을 그때마다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는, 상기 스텝 S10에 있어서, 라스트 오더의 시간 도래의 알림, 또는 퇴점 시간의 도래의 알림 등을 이용자 단말기(4)에 통지하는 것도 생각된다. 이에 의해, 이들 사항이 이용자에게 직접 통지되기 때문에, 시설의 스탭의 수고가 보다 한층 더 경감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스탭 단말기(3)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업무 관리 시스템(1)에 설치된 스탭 단말기(3)가 단일인 것도 다른 실시 형태로서 생각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상기 업무 관리 처리의 스텝 S3, S5, S7, S10에 있어서의 통지가 당해 단일의 스탭 단말기(3)에 대하여 행해지고, 스텝 S8이 생략되는 것이 생각된다. 예를 들어, 상기 단일의 스탭 단말기(3)는, 프론트, 주방, 또는 홀 중 어느 쪽의 스탭이 참조 가능한 스탭 단말기(3A, 3B, 또는 3C) 중 어느 것이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시설의 업무 관리자가, 당해 단일의 스탭 단말기(3)에 통지되는 정보를 참조하여, 다른 스탭에의 지시 등의 오퍼레이션 업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업무 관리 시스템(1)이, 프론트, 주방 및 홀 등의 업무 종별마다 대응하는 스탭 단말기(3)를 1대씩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업무 관리 시스템(1)에 단일의 스탭 단말기(3)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통지처는 모두 당해 스탭 단말기(3)이면 되지만, 복수의 스탭 단말기(3)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업무 내용마다의 통지처가 미리 설정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제어부(21)는, 통지 내용마다 대응하는 통지처의 스탭 또는 스탭 단말기(3)를 업무 관리 장치(2) 또는 스탭 단말기(3)에 대한 유저 조작에 따라서 미리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약 제어 처리]
또한, 제어부(21)는, 상기 업무 관리 처리와 대략 병행하여, 예약 정보 D1과 이용자의 내점 상황에 기초하는 예약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에, 도 10은 상기 예약 제어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또한, 당해 예약 제어 처리는, 제어부(21)의 예약 처리부(211)에 의해 실행된다.
[스텝 S21]
스텝 S21에 있어서, 제어부(21)는, 스탭 또는 이용자에 의한 스탭 단말기(3) 또는 이용자 단말기(4)로부터의 예약 요구가 행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예약 요구가 행해졌다고 판단되면(S21 : "예"), 처리가 스텝 S22로 이행되고, 예약 요구가 행해지지 않았으면(S21 : "아니오"), 처리가 스텝 S23로 이행된다.
[스텝 S22]
스텝 S22에 있어서, 제어부(21)는, 상기 예약 요구와 예약 정보 D1에 기초하여 예약 정보 D1을 갱신하는 예약 정보 갱신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약 정보 D1에 기초하여, 상기 예약 요구에 대응하는 예약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예약이 가능한 경우에 예약 정보 D1에 상기 예약 요구에 대응하는 예약 내용을 추가한다. 또한, 상기 예약 요구에는, 신규 예약, 예약 변경, 예약 캔슬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21)는, 이용자로부터의 예약 캔슬 요구를 접수하면, 당해 예약 캔슬 요구에 대응하는 예약 내용을 예약 정보 D1로부터 삭제한다. 또한, 제어부(21)는, 이용자로부터의 예약 변경 요구를 접수하면, 당해 예약 변경 요구에 따른 예약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예약이 가능한 경우에 예약 정보 D1을 변경한다.
[스텝 S23]
스텝 S23에 있어서, 제어부(21)는, 예약 정보 D1에 기초하여, 이용 시간에 내점하지 않은 이용자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는, 이용자의 체크인 조작 등에 따라서 내점을 접수하고, 예약 정보 D1에 있어서의 예약 레코드마다 이용자의 내점의 유무를 기록한다. 이에 의해, 제어부(21)는, 예약 정보 D1 이용 시간에 이용자가 내점하였는지 여부를 판단 가능하다. 여기서, 이용자가 내점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S23 : "예"), 처리가 스텝 S24로 이행되고, 이용자가 내점하였다고 판단되면(S23 : "아니오"), 당해 예약 제어 처리는 종료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상기 이용 시간에 내점하였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용 시간의 소정 시간 전의 시점과 같은 상기 이용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미리 설정된 확인 시간(예를 들어 이용 시간 5분 전 또는 10분 전 등)에 내점하였는지 여부가 판단되어도 된다.
[스텝 S24]
스텝 S24에 있어서, 제어부(21)는, 상기 스텝 S23에서 이용 시간에 내점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이용자에게, 예약 정보 D1 중 적어도 상기 이용 시간 등을 포함하는 예약 내용을 통지하는 예약 확인 통지 처리를 실행한다. 당해 예약 확인 통지 처리에서 통지되는 예약 내용은, 이용자에 예약 정보 D1에 기록된 이용 시간, 이용자명, 이용 점포명, 인원수, 또는 플랜 등의 정보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는, 이용자의 상기 이용자 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는 이용자 전화번호를 수신처로 하여 전화 회선을 통한 자동 음성 안내의 통화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예약 내용을 통지한다. 또한, 제어부(21)는, 이용자의 상기 이용자 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는 이용자 메일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하여 통신망 N1을 통한 메일 송신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예약 내용을 통지해도 된다. 이에 의해, 이용자에게 자동적으로 예약 내용이 통지되게 되기 때문에, 스탭은, 이용자 각각이 이용 시간에 내점하였는지 여부의 확인 작업 및 내점하지 않은 경우의 연락 작업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로서, 스텝 S24에 있어서, 제어부(21)는, 상기 스텝 S23에서 이용 시간에 내점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이용자의 상기 이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스탭에게 상기 예약 내용을 통지하는 예약 확인 통지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생각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는, 스탭 단말기(3) 중 예를 들어 프론트에 설치된 스탭 단말기(3A)에 대하여 이용자가 이용 시간에 내점하지 않았다는 취지, 및 이용자의 연락처 전화번호(연락처 메일 어드레스)를 표시시켜, 이용자에의 예약 확인을 재촉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에 의해, 스탭은, 이용자에의 연락을 행할 필요는 있지만, 이용자 각각이 이용 시간에 내점하였는지 여부의 확인 작업은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텝 S24에 있어서, 제어부(21)는, 상기 스텝 S23에서 이용 시간에 내점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이용자의 상기 이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예약 내용을 이용자 및 스탭 각각에 통지하는 것도 생각된다.
[스텝 S25]
다음으로, 스텝 S25에 있어서, 제어부(21)는, 예약 정보 D1에 포함되는 예약 레코드 중 상기 스텝 S24에 있어서 예약 확인 통지 처리의 대상이 된 예약 레코드 중, 상기 예약 확인 통지 처리에 의한 통지 후의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 내에 예약 확인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예약 레코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는,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기(4)에 대하여 상기 예약 확인 통지 처리의 대상이 된 예약 레코드에 대하여 예정대로 내점한다는 취지의 조작을 행한 경우에, 이용자 단말기(4)로부터 업무 관리 장치(2)에 입력되는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예약 확인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21)는, 스탭이 스탭 단말기(3)에 대하여 상기 예약 확인 통지 처리의 대상이 된 예약 레코드에 대하여 예정대로 내점한다는 취지의 조작을 행한 경우에, 이용자 단말기(4)로부터 업무 관리 장치(2)에 입력되는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예약 확인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단한다.
여기서, 소정 시간 내에 예약 확인 조작이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단되면(S25 : "예"), 처리가 스텝 S26으로 이행되고, 소정 시간 내에 예약 확인 조작이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단되지 않으면(S25 : "아니오"), 당해 예약 제어 처리는 종료된다. 또한, 스탭 단말기(3) 또는 이용자 단말기(4)에 대하여 상기 예약 레코드에 대한 캔슬 조작이 행해진 경우도 마찬가지로 처리가 스텝 S26으로 이행되는 것이 생각된다.
[스텝 S26]
스텝 S26에 있어서, 제어부(21)는, 상기 스텝 S25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 내에 예약 확인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예약 레코드를 캔슬하는 예약 캔슬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는, 당해 예약 레코드를 예약 정보 D1로부터 자동적으로 삭제함으로써 당해 예약 레코드에 대응하는 좌석 및 이용 시간을 공석으로 설정한다. 이에 의해, 제어부(21)의 예약 처리부(211)가, 당해 캔슬된 예약 레코드의 이용 시간에 그 예약 레코드의 좌석에 대하여 다른 이용자의 이용을 허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텝 S27]
스텝 S27에 있어서, 제어부(21)는, 상기 스텝 S25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 내에 예약 확인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예약 레코드에 대하여, 이용자에 대하여 캔슬료를 청구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는, 이용자의 이용자 메일 어드레스에 대하여 캔슬료의 지불을 행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이용자는, 상기 안내 메시지에 따라서, 신용카드 또는 은행 입금 등에 의한 캔슬료의 지불 조작을 실행하게 된다. 따라서, 스탭이 이용자에게 캔슬료의 지불을 요구하는 작업이 생략된다.
이와 같이, 업무 관리 장치(2)에 있어서, 상기 업무 관리 처리 및 상기 예약 제어 처리가 실행됨으로써, 이용자에 의한 예약 요구의 접수로부터 이용자의 내점 또는 이용자의 예약 캔슬이 행해질 때까지의 일련의 수순에 있어서의 시설의 스탭의 수고를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여, 시설의 업무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발명의 부기]
이하, 상술한 실시 형태로부터 추출되는 발명의 기술 사상에 대하여 부기한다. 또한, 이하의 부기에서 설명하는 각 구성 및 각 처리 기능은 취사 선택하여 임의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기 1>
시설의 예약 내용을 나타내는 예약 정보를 관리하는 예약 처리부와,
상기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설의 스탭의 작업 내용을 당해 작업 내용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통지 타이밍에 상기 스탭에게 통지하는 통지 처리부
를 구비하는 업무 관리 장치.
<부기 2>
상기 예약 처리부는, 이용자 또는 스탭으로부터의 예약 요구를 접수 가능하고, 상기 예약 요구와 미리 설정된 예약 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예약 정보를 자동 갱신하는, 부기 1에 기재된 업무 관리 장치.
<부기 3>
상기 예약 처리부는, 상기 예약 요구에 따라서 상기 시설에 있어서의 좌석의 결합, 분리, 또는 이동을 포함하는 좌석 레이아웃을 설정 가능하고,
상기 통지 처리부는, 상기 예약 처리부에 의해 설정된 상기 좌석 레이아웃을 상기 작업 내용으로서 통지하는, 부기 2에 기재된 업무 관리 장치.
<부기 4>
상기 시설에 내점한 이용자를 판별하는 판별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지 처리부가, 상기 이용자 판별 처리에 의해 판별된 상기 이용자와 상기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자에 대응하는 좌석을 통지하는, 부기 1 내지 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업무 관리 장치.
<부기 5>
상기 통지 처리부는, 상기 작업 내용을 미리 설정된 하나 또는 복수의 스탭에 대응하는 스탭 단말기에 표시시키는, 부기 1 내지 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업무 관리 장치.
<부기 6>
상기 통지 처리부는, 상기 스탭마다 미리 대응지어진 스탭 단말기 중 상기 작업 내용에 대하여 미리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스탭에 대응하는 스탭 단말기에 당해 작업 내용을 통지하는, 부기 1 내지 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업무 관리 장치.
<부기 7>
상기 작업 내용이 통지된 상기 스탭 단말기에 대한 상기 스탭에 의한 상기 작업 내용의 거부 조작을 접수 가능한 접수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지 처리부는, 상기 접수 처리부에 의해 상기 거부 조작이 접수된 경우에 상기 스탭 단말기와는 상이한 상기 스탭 단말기에 상기 작업 내용을 통지하는, 부기 6에 기재된 업무 관리 장치.
<부기 8>
상기 통지 처리부는, 상기 작업 내용이 상기 스탭 단말기에 통지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당해 스탭 단말기에 대한 상기 스탭에 의한 상기 작업 내용의 확인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 상기 스탭 단말기와는 상이한 상기 스탭 단말기에 상기 작업 내용을 통지하는, 부기 6 또는 7에 기재된 업무 관리 장치.
<부기 9>
상기 통지 처리부는, 상기 예약 정보에 미리 설정된 복수의 요리를 포함하는 코스 요리가 포함되는 경우에, 당해 코스 요리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타임 스케줄에 따라서 상기 요리의 조리 개시 타이밍을 산출하고, 당해 요리의 조리 개시 타이밍이 도래할 때마다, 당해 요리의 조리 개시 지시를 미리 지정된 스탭 단말기에 통지하는, 부기 1 내지 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업무 관리 장치.
<부기 10>
상기 예약 처리부는, 상기 예약 정보 중 이용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미리 설정된 확인 시간에 이용자가 내점하지 않은 경우에 이용자 또는 스탭 중 적어도 한쪽에 당해 이용자의 예약 내용을 통지하는, 부기 1 내지 9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업무 관리 장치.
<부기 11>
상기 예약 처리부는, 상기 예약 내용의 통지 후의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 내에 예약 확인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 당해 예약 내용에 대응하는 예약 레코드를 상기 예약 정보로부터 삭제하는, 부기 10에 기재된 업무 관리 장치.
<부기 12>
컴퓨터에 의해,
시설의 예약 내용을 나타내는 예약 정보를 관리하는 예약 스텝과,
상기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설의 스탭의 작업 내용을 당해 작업 내용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통지 타이밍에 상기 스탭에게 통지하는 통지 스텝
을 실행하는 업무 관리 방법.
<부기 13>
컴퓨터에,
시설의 예약 내용을 나타내는 예약 정보를 관리하는 예약 스텝과,
상기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설의 스탭의 작업 내용을 당해 작업 내용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통지 타이밍에 상기 스탭에게 통지하는 통지 스텝
을 실행시키기 위한 업무 관리 프로그램.
<부기 14>
컴퓨터에,
시설의 예약 내용을 나타내는 예약 정보를 관리하는 예약 스텝과,
상기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설의 스탭의 작업 내용을 당해 작업 내용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통지 타이밍에 상기 스탭에게 통지하는 통지 스텝
을 실행시키기 위한 업무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laims (13)

  1. 시설의 예약 내용을 나타내는 예약 정보를 관리하는 예약 처리부와,
    상기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설의 스탭의 작업 내용을 당해 작업 내용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통지 타이밍에 상기 스탭에게 통지하는 통지 처리부
    를 구비하는 업무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처리부는, 이용자 또는 스탭으로부터의 예약 요구를 접수 가능하고, 상기 예약 요구와 미리 설정된 예약 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예약 정보를 자동 갱신하는 업무 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처리부는, 상기 예약 요구에 따라서 상기 시설에 있어서의 좌석의 결합, 분리, 또는 이동을 포함하는 좌석 레이아웃을 설정 가능하고,
    상기 통지 처리부는, 상기 예약 처리부에 의해 설정된 상기 좌석 레이아웃을 상기 작업 내용으로서 통지하는 업무 관리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에 내점한 이용자를 판별하는 판별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지 처리부가, 상기 이용자 판별 처리에 의해 판별된 상기 이용자와 상기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자에 대응하는 좌석을 통지하는 업무 관리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처리부는, 상기 작업 내용을 미리 설정된 하나 또는 복수의 스탭 단말기에 표시시키는 업무 관리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처리부는, 상기 스탭마다 미리 대응지어진 스탭 단말기 중 상기 작업 내용에 대하여 미리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스탭에 대응하는 스탭 단말기에 당해 작업 내용을 통지하는 업무 관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내용이 통지된 상기 스탭 단말기에 대한 상기 스탭에 의한 상기 작업 내용의 거부 조작을 접수 가능한 접수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지 처리부는, 상기 접수 처리부에 의해 상기 거부 조작이 접수된 경우에 상기 스탭 단말기와는 상이한 상기 스탭 단말기에 상기 작업 내용을 통지하는 업무 관리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처리부는, 상기 작업 내용이 상기 스탭 단말기에 통지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당해 스탭 단말기에 대한 상기 스탭에 의한 상기 작업 내용의 확인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 상기 스탭 단말기와는 상이한 상기 스탭 단말기에 상기 작업 내용을 통지하는 업무 관리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처리부는, 상기 예약 정보에 미리 설정된 복수의 요리를 포함하는 코스 요리가 포함되는 경우에, 당해 코스 요리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타임 스케줄에 따라서 상기 요리의 조리 개시 타이밍을 산출하고, 당해 요리의 조리 개시 타이밍이 도래할 때마다, 당해 요리의 조리 개시 지시를 미리 지정된 스탭 단말기에 통지하는 업무 관리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처리부는, 상기 예약 정보 중 이용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미리 설정된 확인 시간에 이용자가 내점하지 않은 경우에 이용자 또는 스탭 중 적어도 한쪽에 당해 이용자의 예약 내용을 통지하는 업무 관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처리부는, 상기 예약 내용의 통지 후의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 내에 예약 확인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 당해 예약 내용에 대응하는 예약 레코드를 상기 예약 정보로부터 삭제하는 업무 관리 장치.
  12. 컴퓨터에 의해,
    시설의 예약 내용을 나타내는 예약 정보를 관리하는 예약 스텝과,
    상기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설의 스탭의 작업 내용을 당해 작업 내용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통지 타이밍에 상기 스탭에게 통지하는 통지 스텝
    을 실행하는 업무 관리 방법.
  13. 컴퓨터에,
    시설의 예약 내용을 나타내는 예약 정보를 관리하는 예약 스텝과,
    상기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설의 스탭의 작업 내용을 당해 작업 내용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통지 타이밍에 상기 스탭에게 통지하는 통지 스텝
    을 실행시키기 위한 업무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97014711A 2016-11-25 2017-10-27 업무 관리 장치, 업무 관리 방법, 기록 매체 KR201900750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28918A JP6702848B2 (ja) 2016-11-25 2016-11-25 業務管理方法、業務管理プログラム、及び業務管理装置
JPJP-P-2016-228918 2016-11-25
PCT/JP2017/038893 WO2018096872A1 (ja) 2016-11-25 2017-10-27 業務管理装置、業務管理方法、記録媒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099A true KR20190075099A (ko) 2019-06-28

Family

ID=62194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4711A KR20190075099A (ko) 2016-11-25 2017-10-27 업무 관리 장치, 업무 관리 방법,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318278A1 (ko)
JP (1) JP6702848B2 (ko)
KR (1) KR20190075099A (ko)
CN (1) CN109983499A (ko)
WO (1) WO20180968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41945B2 (ja) * 2018-12-26 2022-09-26 出光興産株式会社 車両整備予約管理装置
JP7208506B2 (ja) * 2019-03-13 2023-01-19 株式会社ぐるなび 予約管理システム、予約管理方法、及び予約管理プログラム
JP7277717B2 (ja) * 2019-03-13 2023-05-19 株式会社ぐるなび 予約管理システム、予約管理方法、及び予約管理プログラム
JP7458149B2 (ja) * 2019-04-16 2024-03-29 株式会社ぐるなび 施設管理システム、施設管理方法、及び施設管理プログラム
JP7438712B2 (ja) * 2019-10-25 2024-02-2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6948422B2 (ja) * 2020-03-02 2021-10-13 株式会社リクルート 注文管理システム、注文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8839A (ja) 2001-09-28 2003-04-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利用状況情報処理装置、利用状況情報処理方法及び端末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1709B2 (ja) * 1998-09-08 2001-11-26 三菱電機株式会社 飲食店向けサービスシステム
JP2001134682A (ja) * 1999-11-01 2001-05-18 Pia Corp 施設席の予約方法と装置
CA2354990A1 (en) * 2001-08-10 2003-02-10 Ibm Canada Limited-Ibm Canada Limitee Method and apparatus for fine dining queuing
JP3922915B2 (ja) * 2001-11-22 2007-05-30 富士通株式会社 予約に関する情報処理方法及び予約方法
JP2003167949A (ja) * 2001-12-03 2003-06-13 Hitachi Ltd 予約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2003288399A (ja) * 2002-03-28 2003-10-10 Fujitsu Ltd 座席予約方法および座席予約プログラム
JP2004213343A (ja) * 2002-12-27 2004-07-29 Aruze Corp 予約システム及び予約受付サーバ
JP2004302582A (ja) * 2003-03-28 2004-10-28 Ntt Comware West Corp 飲食店向けオーダ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ならびにオーダ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記録媒体
JP4516341B2 (ja) * 2004-03-30 2010-08-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座席予約方法及び座席予約システム
US9324083B2 (en) * 2004-11-18 2016-04-26 Dean Thomas McEvoy Booking system and method
JP2006172211A (ja) * 2004-12-16 2006-06-29 Fujitsu Ltd 座席予約処理プログラム、座席予約処理方法
JP2007164447A (ja) * 2005-12-13 2007-06-28 Hitachi Software Eng Co Ltd 予約管理aspサービスシステム
JP2010204873A (ja) * 2009-03-03 2010-09-16 Atlas System Kk 飲食店用接客管理システム
JP5678536B2 (ja) * 2010-09-16 2015-03-0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2185568A (ja) * 2011-03-03 2012-09-27 Nec Access Technica Ltd 施設予約管理システム、利用状況通知装置および利用状況更新方法
US20130090959A1 (en) * 2011-10-06 2013-04-11 Seatme, Inc. Restaurant management and reservation systems and methods
US10037585B2 (en) * 2013-02-28 2018-07-31 Agilysys Nv,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table and seating use in commercial establishments
TW201619903A (zh) * 2014-11-20 2016-06-01 Ichef Co Ltd 區域型餐飲營運系統及其實施方法
JP6181233B2 (ja) * 2016-05-09 2017-08-16 シャープ株式会社 特典管理システム、特典管理方法、特典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8839A (ja) 2001-09-28 2003-04-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利用状況情報処理装置、利用状況情報処理方法及び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96872A1 (ja) 2018-05-31
CN109983499A (zh) 2019-07-05
JP2018085029A (ja) 2018-05-31
JP6702848B2 (ja) 2020-06-03
US20190318278A1 (en) 2019-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5099A (ko) 업무 관리 장치, 업무 관리 방법, 기록 매체
JP2017182306A (ja) 順番管理システム、順番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92405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7470283B2 (ja) 来客対応rpaシステム
JP6051284B1 (ja) 順番管理システム、順番管理装置および順番管理プログラム
JP6078115B2 (ja) 順番管理システム、順番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335381B1 (ja) 情報管理装置、情報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082796A (ja) 配席支援装置、配席支援プログラム、及び配席支援方法
JP2021180044A (ja) 業務管理方法、業務管理プログラム、及び業務管理装置
US20180068247A1 (en) Schedule displaying method, schedule displaying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23156442A (ja) 施設管理システム、施設管理方法、及び施設管理プログラム
JP2018185599A (ja) 注文管理装置、注文管理システム、注文管理方法、及び注文管理プログラム
JP6931176B2 (ja) 業務管理方法、業務管理プログラム、及び業務管理装置
JP2019114105A (ja) 情報管理装置、情報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08506B2 (ja) 予約管理システム、予約管理方法、及び予約管理プログラム
JP2019070999A (ja) 価格算出装置、価格算出方法、価格算出プログラムおよび価格算出システム
JP7046564B2 (ja) 予約管理装置、予約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3045172A (ja) プログラム、受付方法、受付管理サーバおよび受付管理システム
JP6318294B1 (ja) 情報管理装置、情報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15724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44683B1 (ko) 대기 순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서비스 서버
KR20210011687A (ko) 주문실수 예방 및 신속처리 가능한 식당 주문시스템 및 그 방법
JP6823254B2 (ja) 予約確認方法、プログラム及びサーバ装置
JP7486002B2 (ja) 予約管理システム、予約管理方法、及び予約管理プログラム
JP6620196B1 (ja) 情報管理装置、情報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