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5482A - 엘리베이터의 도어 패널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도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5482A
KR20190015482A KR1020197000147A KR20197000147A KR20190015482A KR 20190015482 A KR20190015482 A KR 20190015482A KR 1020197000147 A KR1020197000147 A KR 1020197000147A KR 20197000147 A KR20197000147 A KR 20197000147A KR 20190015482 A KR20190015482 A KR 20190015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eat insulating
back surface
insulating memb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0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1614B1 (ko
Inventor
도시야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15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5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3Details of do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도어 패널에서, 표판(5)과, 단열 부재(10)와, 고정 부재(15, 15)와, 세로 보강판(20)을 구비하며, 표판(5)의 상하단과 양측단을, 이면(6)측으로 U자 모양으로 절곡하여, 4개의 절곡부(5a~5d)를 형성하고, 표판(5)의 이면(6)에서, 이면(6)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 상태에서, 세로 보강판(20)을, 2개의 차양부(21, 21)에 의해, 절곡부(5a, 5b)에 접속하고, 단열 부재(10)를, 세로 보강판(20)과 이면(6)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하여, 고정 부재(15, 15)에 의해 고정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도어 패널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도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화재 등에 의한 열이 엘리베이터의 도어 패널로부터 승강로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도어 패널에 단열 패널을 부가하는 것(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이 제안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 제2502182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승강장 도어 장치는, 화장판이 마련된 단열 패널을, 장착 브라켓과 볼트를 매개로 하여 도어 본체와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도어의 두께가 크고, 중량이 무거워져 버린다. 게다가, 도어 본체의 내부에 마련된 세로 보강재를, 도어 본체의 표판에 접촉시켜 고정하고 있으므로, 단열 패널의 장착 브라켓이나 볼트를 매개로 하여, 화장판의 열이 세로 보강재에 전해지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특허 문헌 1에서는, 세로 보강재와 도어 본체의 이판(裏板)과의 사이에, 단열 시트를 삽입하고, 또, 이판의, 세로 보강재가 마련되어 있는 주변에, 추가로 단열 시트와 커버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많은 부품을 개재시켜, 이판의 주변에 화장판측의 열이 전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적은 부품수로, 표판의 열이 보강 부재로 전해지기 어려운, 단열성과 강성을 구비한 도어 패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패널은, 표판(表板)과, 단열 부재와, 보강 부재를 구비하며, 보강 부재를, 표판의 이면(裏面)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 상태에서, 표판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접속하고, 단열 부재를, 보강 부재와 표판의 이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이면에 맞닿게 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패널에 의하면, 적은 부품수로, 표판의 열을, 보강 부재로 전해지기 어렵게 할 수 있어, 단열성과 강성을 구비한 도어 패널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도어 패널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승강장 도어 장치에서의, 도어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르는 도어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선을 따르는 도어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고정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도어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선을 따르는 도어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패널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도어 패널(2)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장치를, 승강로측으로부터 본 개략도이다. 또, 도 2는, 도 1의 승강장 도어 장치에서의, 도어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르는 도어 패널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IV-IV선을 따르는 도어 패널의 단면도, 도 5는 고정 부재(15)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 패널(2)은, 승강장 도어 장치(1)에 대해, 도어 패널(2)에 마련된 세로 보강판(20)에 일단측이 고정된 링크 기구(4)를 매개로 하여 장착되어 있다. 또,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 패널(2)은, 승강장측으로 표면이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표판(5)과, 단열 부재(10)와, 고정 부재(15)와, 세로 보강판(20)과, 이판(裏板)(7)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판(5)은, 상하단 및 양측단이, 이면(6)의 방향으로 U자 모양으로 절곡된, 4개의 절곡부(5a~5d)를 가지고 있다. 표판(5)은, 이들 4개의 절곡부(5a~5d)와 이면(6)에 의해 상자형으로 성형되고, 4개의 절곡부(5a~5d)의 단부는, 상자형의 개구부(8)를 형성한다. 이 개구부(8)로부터 단열 부재(10)가 삽입되고, 2개의 고정 부재(15, 15)에 의해, 이면(6)에 접촉한 상태로 유지된다. 또, 표판(5)의 이면(6)측의 상하가 절곡부(5a 및 5b)에는, 추가로 보강판(40 및 50)이, 리벳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 4의 단면도 및 도 5의 사시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고정 부재(15, 15)는, 각각, 도 4의 단면도에서 L자를 형성하는 제1 판 모양부(15a) 및 제2 판 모양부(15b)를 가진다. 그리고, 제1 판 모양부(15a)의 단부로부터 중앙측으로 일정 거리, 이간한 위치에 일단측이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측이, 제2 판 모양부(15b)의 연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서, 제1 판 모양부(15a)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판 모양부(15c)를 가지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고정 부재(15, 15)는, 각각 제1 판 모양부(15a)에 의해, 단열 부재(10)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또, 제3 판 모양부(15c)는, 단열 부재(10)를 표판(5)의 이면(6)에 맞닿게 하도록 유지한다. 그리고, 2개의 고정 부재(15, 15)는, 제2 판 모양부(15b)에 의해, 표판(5)의 양측단이 형성하는 절곡부(5c 와 5d)에, 리벳 등을 이용하여 고정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 보강판(20)은, 도어 패널(2)의 중앙 부근에 설치되고, 도어 패널(2)의 강성을 높임과 아울러, 도어 패널(2)을 이동시키는 링크 기구(4)의 지지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 보강판(20)은, 도어 패널(2)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수평 방향의 단면 형상이, 볼록부와 2개의 차양부(21, 21)를 가지는 모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 보강판(20)은, 표판(5)의 이면(6)에서, 이면(6)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 상태에서, 2개의 차양부(21, 21)에 의해, 표판(5)의 절곡부(5a 및 5b)에, 리벳 등을 이용하여 접속된다. 그리고, 이 세로 보강판(20)과 이면(6)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단열 부재(10)를 수용한다.
또, 도 2 내지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양부(21)의 표판(5)과 반대측의 면에는, 이판(7)이 장착되어 있고, 이판(7)에는, 도 1에 나타낸 링크 기구(4)의 지지부가 마련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패널(2)에 의하면, 표판(5)의 상하단과 양측단을, 표판(5)의 이면(6)의 방향으로 U자 모양으로 절곡하여, 4개의 절곡부(5a~5d)를 형성하고, 단열 부재(10)를, 4개의 절곡부(5a~5d)의 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8)로부터 삽입하여 이면(6)에 배치한다. 그리고, 2개의 고정 부재(15, 15)에 의해, 표판(5)의 이면(6)에서, 단열 부재(10)를 이면(6)에 맞닿게 하여 유지함과 아울러, 표판(5)의 양측단이 형성하는, 2개의 절곡부(5c, 5d)에 각각 고정한다. 또, 세로 보강판(20)을, 도어 패널(2)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수평 방향의 단면 형상이, 볼록부와 2개의 차양부(21, 21)를 가지는 모자 모양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세로 보강판(20)을, 표판(5)의 이면(6)에서, 이면(6)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 상태에서, 2개의 차양부(21, 21)에 의해, 절곡부(5a 및 5b)에 접속한다. 그리고, 이 세로 보강판(20)과 이면(6)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단열 부재(10)를 수용한다.
이것에 의해, 단열 시트나 커버를 개재시키지 않고, 표판(5)의 열을, 세로 보강판(20)으로 전해지기 어렵게 할 수 있으므로, 세로 보강판(20)에 장착된 링크 기구(4)가 열변형하여, 승강장 도어의 개폐에 문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1에서는, 세로 보강판(20)을, 2개의 차양부(21, 21)에 의해, 표판(5)의 절곡부(5a, 5b)에 고정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2개의 차양부(21, 21)를, 표판(5)의 이면(6)측의 상하에 장착된, 상하의 보강판(40 및 50)에 고정해도 괜찮다. 또, 실시 형태 1에서는, 이판(7)의 폭을, 세로 보강판(20)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하고 있지만, 도어 패널(2)과 동일한 폭으로 해도 좋다. 게다가, 이판(7)을 없애고, 링크 기구(4)의 지지부를 세로 보강판(20)에 마련해도 좋다.
실시 형태 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도어 패널(3)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의 VII-VII선을 따르는 도어 패널(3)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 패널(3)은, 표판(5)과, 단열 부재(10) 및 세로 보강판(30)을 구비하고 있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 패널(3)에는, 고정 부재(15), 및 이판(7)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또, 표판(5)의 절곡부(5a~5d)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세로 보강판(30)은, 수평면에서의 단면이, 복수의 볼록부와 2개의 차양부(31, 31)를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세로 보강판(30)은, 표판(5)의 이면(6)에서, 표판(5)의 이면(6)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 상태에서, 2개의 차양부(31, 31)에 의해, 표판(5)이 절곡부(5c 및 5d)에 각각 리벳 등을 이용하여 접속된다. 이 세로 보강판(30)과 이면(6)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단열 부재(10)를 수용한다. 단열 부재(10)는, 이 공간에서, 세로 보강판(30)에 마련된 복수의 볼록부의 꼭대기부(32)에 의해 압압되어, 표판(5)의 이면(6)에 맞닿도록 유지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패널(3)에 의하면, 세로 보강판(30)을, 표판(5)의 이면(6)에서, 이면(6)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절곡부(5c, 5d)에 고정한다. 그리고, 이 공간에 단열 부재(10)를 수용하고, 세로 보강판(30)에 마련된 복수의 볼록부의 꼭대기부(32)에 의해, 단열 부재(10)를 압압, 유지한다. 이것에 의해, 단열 시트나 커버를 개재시키지 않고, 표판(5)의 열이, 세로 보강판(20)으로 전해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세로 보강판(20)에 장착된 링크 기구(4)가 열변형하여, 승강장 도어의 개폐에 문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고정 부재(15)를 이용하지 않고 단열 부재(10)를 유지하므로, 적은 부품수로, 도어 패널(3)에 단열성과 강성을 구비할 수 있다.
또, 도 7의 단면도에서, 세로 보강판(30)의 볼록부는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볼록부가 반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고, 세로 보강판(30)의 차양부(31)를 제외한 부위 전체가, 물결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또, 도 6에서는, 세로 보강판(30)의 높이를, 도어 패널(3)의, 상단의 절곡부(5a)로부터 하단의 절곡부(5b)까지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높이를 낮게 하여, 단열 부재(10)의 상부와 하부 및 중간을 압압하도록, 복수매 마련해도 좋다. 게다가, 실시 형태 2에서는, 2개의 차양부(31, 31)를, 표판(5)의 양측단이 형성하는, 2개의 절곡부(5c 및 5d)에 각각 고정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표판(5)의 상하단이 형성하는, 2개의 절곡부(5a 및 5b)에 고정해도 괜찮고, 표판(5)의 이면(6)측의 상하에 마련된 보강판(40 및 50)에 고정해도 괜찮다.
1 : 승강장 도어 장치 2~3 : 도어패널
4 : 링크 기구 5 : 표판
5a~5d : 절곡부 6 : 이면
7 : 이판 8 : 개구부
10 : 단열 부재 15 : 고정 부재
15a : 제1 판 모양부 15b : 제2 판 모양부
15c : 제3 판 모양부 20, 30 : 세로 보강판(보강 부재)
21, 31 : 차양부 32 : 꼭대기부

Claims (9)

  1. 표판(表板)과,
    단열 부재와,
    보강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표판의 이면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표판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접속되고,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보강 부재와, 상기 이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공간에서, 상기 이면에 맞닿아 고정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패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판의 상기 둘레 가장자리부는, 단부를 상기 표판의 이면의 방향으로 절곡한, 복수의 절곡부를 가지고,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표판의 상기 이면에서, 상기 복수의 절곡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복수의 절곡부에 접속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패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열 부재를 장착하는 고정 부재를 가지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표판의 상기 이면에서, 상기 단열 부재를 상기 이면에 맞닿게 하여 유지하는 부위와,
    상기 절곡부에 고정되는 부위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패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 부재를 장착하는 고정 부재를 가지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표판의 상기 이면에서, 상기 단열 부재를 상기 이면에 맞닿게 하여 유지하는 부위와,
    상기 표판의 상기 둘레 가장자리부에 고정되는 부위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패널.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표판에 고정된 상태의 수평 방향의 단면(斷面)에서, L자를 형성하는 제1 판 모양부 및 제2 판 모양부와,
    상기 단면에서, 상기 제1 판 모양부의 단부로부터 중앙측에 일정 거리, 이간한 위치에 일단측이 고정되고, 타단측이, 상기 단면에서, 상기 제2 판 모양부의 연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서, 상기 제1 판 모양부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판 모양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판 모양부와 상기 제3 판 모양부에 의해, 상기 단열 부재의 단부를 유지하고,
    상기 제2 판 모양부에 의해, 상기 표판에 고정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패널.
  6.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를 복수 구비하며,
    복수의 상기 고정 부재 중 하나는, 상기 단열 부재의 일단측을 유지하고,
    복수의 상기 고정 부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단열 부재의 타단측을 유지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패널.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수평면에서의 단면(斷面)이, 볼록부와 복수의 차양부를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복수의 차양부에 의해, 상기 표판의 상기 둘레 가장자리부에 고정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패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꼭대기부는, 상기 단열 부재를 압압하여, 상기 단열 부재를 상기 이면에 맞닿게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패널.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볼록부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패널.
KR1020197000147A 2016-07-13 2016-07-13 엘리베이터의 도어 패널 KR1021616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70726 WO2018011921A1 (ja) 2016-07-13 2016-07-13 エレベータのドアパネ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482A true KR20190015482A (ko) 2019-02-13
KR102161614B1 KR102161614B1 (ko) 2020-10-05

Family

ID=60952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0147A KR102161614B1 (ko) 2016-07-13 2016-07-13 엘리베이터의 도어 패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54543B2 (ko)
JP (1) JP6336222B1 (ko)
KR (1) KR102161614B1 (ko)
CN (1) CN109415187B (ko)
DE (1) DE112016007060T5 (ko)
WO (1) WO20180119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18401A1 (de) * 2015-09-24 2017-03-30 Thyssenkrupp Ag Flächiges Fahrkorbelement für eine Aufzugsanlage
JP7149916B2 (ja) * 2019-09-27 2022-10-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JP7229903B2 (ja) * 2019-11-28 2023-02-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ドア
IT202000004324U1 (it) * 2020-07-20 2022-01-20 Wittur Holding Gmbh Anta per ascensore e impianto elevatore
US20230399200A1 (en) * 2021-09-07 2023-12-14 Wittur Holding Gmbh A sheet metal base panel for use in elevator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2182Y2 (ja) 1990-02-21 1996-06-19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自動開放蓋体のフック構造
JP2010143688A (ja) * 2008-12-17 2010-07-01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JP5217440B2 (ja) * 2006-07-19 2013-06-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3979A (ja) * 1982-06-04 1983-12-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ドア
JPS61130583U (ko) * 1985-02-05 1986-08-15
JP2502182B2 (ja) * 1990-10-01 1996-05-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乗場ドア装置
JP2605992B2 (ja) 1991-03-14 1997-04-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乗場戸
EP0548486B1 (de) * 1991-12-24 1996-09-25 Inventio Ag Brandsichere Schachttür für Aufzugsanlagen
DE19645517A1 (de) * 1996-10-25 1998-04-30 Haushahn C Gmbh Co Türblatt, insbesondere für Aufzugstüren
JP3816215B2 (ja) * 1997-10-28 2006-08-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FI106631B (fi) * 1998-05-14 2001-03-15 Kone Corp Hissin tason oven palosuojaus
JP2000302361A (ja) * 1999-04-12 2000-10-31 Inventio Ag 耐火エレベータシャフトドア
ZA200004312B (en) * 1999-09-08 2001-04-17 Inventio Ag Lift door panel.
JP3471758B2 (ja) * 2001-01-19 2003-12-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乗場の戸
JP4821089B2 (ja) * 2001-08-17 2011-11-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乗場戸
JP2003104672A (ja) * 2001-10-01 2003-04-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パネル
JP2003327376A (ja) * 2002-05-10 2003-11-19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暖房装置
JP4967326B2 (ja) * 2005-12-02 2012-07-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乗場装置
JP2007211501A (ja) * 2006-02-10 2007-08-23 Mitsubishi Electric Corp 断熱扉
KR20110100818A (ko) * 2010-03-05 2011-09-15 정기호 엘리베이터 도어
JP5447460B2 (ja) * 2011-08-25 2014-03-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乗場装置
WO2013076838A1 (ja) * 2011-11-24 2013-05-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
EP2888192B1 (en) * 2012-08-21 2018-06-13 SEMATIC S.p.A. Panel for lift doors and relative assembly method thereof
JP5743349B2 (ja) * 2013-09-30 2015-07-0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パネル
CN104760875B (zh) * 2015-04-14 2016-11-09 中科西奥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防火门结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2182Y2 (ja) 1990-02-21 1996-06-19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自動開放蓋体のフック構造
JP5217440B2 (ja) * 2006-07-19 2013-06-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装置
JP2010143688A (ja) * 2008-12-17 2010-07-01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36222B1 (ja) 2018-06-06
CN109415187A (zh) 2019-03-01
US20200024107A1 (en) 2020-01-23
DE112016007060T5 (de) 2019-03-21
CN109415187B (zh) 2020-08-11
US11254543B2 (en) 2022-02-22
KR102161614B1 (ko) 2020-10-05
WO2018011921A1 (ja) 2018-01-18
JPWO2018011921A1 (ja) 2018-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5482A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패널
CN108569237B (zh) 车身构造
JP5846193B2 (ja) 車両用電池搭載構造
EP3330163B1 (en) Central part structure for vehicle
JPWO2019198753A1 (ja) 自動車の車体構造
KR100844712B1 (ko) 차량의 카울 사이드부 보강구조
CN107249958B (zh) 安装件、安装单元、以及铁道车辆
KR20170071472A (ko) 차체 구조
JP2013159126A (ja) 車両用シートクッションフレーム
JP5395186B2 (ja) 車両前端部アッセンブリ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2018114911A (ja) 自動車車両
WO2015008511A1 (ja) 車両のフェンダーパネル支持構造
JP6717027B2 (ja) 車体の前部構造
WO2018061669A1 (ja) ドアインパクトビーム
JP4092712B1 (ja) 車両の前部構造
JP5172325B2 (ja) 車両のシート間の荷重伝達部構造
KR101490935B1 (ko) 차량용 시트 크로스 멤버유닛
JP6025455B2 (ja) 車両のラジエータ取付け構造
CN107662646B (zh) 侧围a柱结构和车辆
JP2019031129A (ja) 鉄道車両構体
JP6479586B2 (ja) 車両のフレーム構造
JP7338207B2 (ja) 画像形成装置
JP7136279B1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壁
CN217260331U (zh) 车辆底板结构
JP6070948B2 (ja) サイドシ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