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0516A - 분체 반송 장치 및 차콜 회수 장치 - Google Patents

분체 반송 장치 및 차콜 회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0516A
KR20170020516A KR1020177002090A KR20177002090A KR20170020516A KR 20170020516 A KR20170020516 A KR 20170020516A KR 1020177002090 A KR1020177002090 A KR 1020177002090A KR 20177002090 A KR20177002090 A KR 20177002090A KR 20170020516 A KR20170020516 A KR 20170020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harcoal
line
gas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2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2631B1 (ko
Inventor
야스오 소다
요시노리 고야마
야스나리 시바타
하루토 시노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20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0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66Use of indicator or control devices, e.g. for controlling gas pressure, for controlling proportions of material and gas, for indicating or preventing jamming of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72Other features
    • C10J3/82Gas withdrawal means
    • C10J3/84Gas withdrawal means with means for removing dust or tar from the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16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16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 B65G53/18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through a porous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16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 B65G53/18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through a porous wall
    • B65G53/20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through a porous wall of an air slide, e.g. a trough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46Gasification of granular or pulverulent flues in suspen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46Gasification of granular or pulverulent flues in suspension
    • C10J3/48Apparatus; Plants
    • C10J3/50Fuel charging devices
    • C10J3/506Fuel charging devices for entrained flow gasif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46Gasification of granular or pulverulent flues in suspension
    • C10J3/54Gasification of granular or pulverulent fuels by the Winkler technique, i.e. by fluidisation
    • C10J3/56Apparatus;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72Other features
    • C10J3/723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gasification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16Common means for pneumatic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41Air pressure systems
    • B65G2812/1658Air pressure systems with fluidisation of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200/00Details of gasification apparatus
    • C10J2200/09Mechanical details of gasifi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eal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09Details of the feed, e.g. feeding of spent catalyst, inert gas or halogens
    • C10J2300/0913Carbonaceous raw material
    • C10J2300/093Co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6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 C10J2300/1625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with solids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6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 C10J2300/164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with conversion of synthesis gas
    • C10J2300/1643Conversion of synthesis gas to energy
    • C10J2300/165Conversion of synthesis gas to energy integrated with a gas turbine or gas 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6Combined cycle power plant [CCPP], or combined cycle gas turbine [CCGT]
    • Y02E20/18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IGCC], e.g. combined with 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Abstract

소정의 경사 각도로 분체를 중력 낙하에 의하여 반송 가능한 반송 배관(11)과, 반송 배관(11)을 따라 유로 단면을 상하로 분할하여 상부에 분체 유로(11d)를 형성하도록 배치된 다공판(12)과, 다공판(12)의 하방에 마련되어 다공판(12)을 통과시켜 분체 유로(11d)에 어시스트 가스(g)를 공급하는 유동화용 불활성 기체 공급 유로(13)와, 분체 유로(11d) 내에서 다공판(12)의 상면측에 퇴적되는 분체 상황을 상시 감시하는 퇴적 상황 감시 장치(20)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분체 반송 장치 및 차콜 회수 장치{POWDER TRANSPORTING DEVICE AND CHAR RECOVERING DEVICE}
본 발명은, 석탄 가스화 복합 발전 설비(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IGCC) 등에 적용되는 분체 반송 장치 및 차콜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석탄 가스화 복합 발전 설비(IGCC)는, 고체 탄소질 연료로서 석탄을 가스화하고, 콤바인드 사이클 발전과 조합시킴으로써, 종래형 석탄 화력에 비하여 추가적인 고효율화·고환경성을 목표로 한 발전 설비이다. 이 석탄 가스화 복합 발전 설비는, 자원량이 풍부한 석탄을 이용 가능한 것도 큰 메리트이며, 적용 탄종(炭種)을 확대함으로써, 메리트가 더 커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종래의 석탄 가스화 복합 발전 설비는, 일반적으로 급탄 장치, 석탄 가스화 노, 차콜 회수 장치, 가스 정제 설비, 가스 터빈 설비, 증기 터빈 설비, 배열(排熱) 회수 보일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석탄 가스화 노에 대하여, 급탄 장치에 의하여 석탄(미분탄(微粉炭))이 공급됨과 함께, 가스화제(공기, 산소 부화(富化) 공기, 산소, 수증기 등)가 도입된다.
이 석탄 가스화 노에서는, 석탄이 연소하여 가스화되어, 가연성 가스(석탄 가스)가 생성된다. 그리고, 생성된 가연성 가스는, 차콜 회수 장치에서 석탄의 미반응분(차콜)이 제거되고 나서 가스 정제되며, 이 후, 가스 터빈 설비에 공급된다.
가스 터빈 설비에 공급된 가연성 가스는, 연료로서 연소기에서 연소됨으로써 고온·고압의 연소 가스를 생성하고, 이 연소 가스의 공급을 받아 가스 터빈 설비의 가스 터빈이 구동된다.
가스 터빈을 구동한 후의 배기 가스는, 배열 회수 보일러에서 열에너지가 회수되어 증기를 생성한다. 이 증기는, 증기 터빈 설비에 공급되어, 이 증기에 의하여 증기 터빈이 구동된다. 따라서, 가스 터빈 및 증기 터빈을 구동원으로 하는 발전기에 의하여, 발전을 행할 수 있다.
한편, 배열 회수 보일러에서 열에너지가 회수된 배기 가스는, 굴뚝을 통하여 대기로 방출된다.
상술한 석탄 가스화 복합 발전 설비의 차콜 회수 장치는, 석탄 가스화 노에서 생성된 생성 가스로부터, 복수 단(段)의 집진 장치를 이용하여 함유하는 차콜을 제거하고 있다. 그리고, 회수된 차콜은, 차콜 공급 장치에 의하여 소정량씩 석탄 가스화 노로 되돌아간다.
즉, 이와 같은 차콜 회수 장치에 있어서는, 차콜 반송 장치를 갖는 빈 시스템(bin system)이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빈 시스템은, 차콜 용기와, 각 집진 장치에서 회수한 차콜을 차콜 용기에 배출하는 차콜 배출 라인과, 차콜 용기에서 회수한 차콜을 차콜 공급 호퍼에 공급하는 차콜 공급 라인을 갖고 있다. 또한, 차콜 용기, 차콜 배출 라인, 차콜 공급 호퍼 및 차콜 공급 라인은,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하기의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차콜 회수 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유동화 슈트(분체 반송 장치)(10)가 이용되고 있다. 이 유동화 슈트(10)는, 소정의 경사 각도로 설치되어 분체 반송 라인을 형성하는 반송 배관(11)의 내부에 배수 트랩으로서 다공판(12)을 배치하고, 유로 단면을 분체 유로(11d)와 어시스트 가스 체류 공간(11e)으로 분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필터로부터 공급되는 분체의 차콜(흰색 화살표(P))을 차콜 용기로 반송할 때에는, 분체 반송 라인을 따라 배치된 다공판(12)을 통과시켜 어시스트 가스(유동화용 불활성 기체)(g)를 투입하고, 필터로부터 공급되는 분체의 차콜(흰색 화살표(P))을 유동화시키고 있다.
상술한 다공판(12)은,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다공판(12a)과, 제1 다공판(12a)의 상방에 배치된 제2 다공판(12b)을 밀착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다공판(12a)에는, 어시스트 가스(g)를 통과시키는 다수의 구멍(12c)을 형성한 펀칭 메탈이 이용되고, 제2 다공판(12b)에는, 구멍(12c)의 직경보다 미세한 그물코의 스테인리스 철망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도 8a에 있어서, 도면 중의 부호 13은 유동화용 불활성 기체 공급 유로, 14, 15는 반송 배관(11)의 상단부측으로부터 퍼지용 불활성 기체를 공급하는 퍼지용 불활성 기체 공급 유로, 16, 17은 개폐 밸브이다.
또, 하기의 특허문헌 2에는, 미분탄이나 차콜의 반송용 가스로서, 가연성 가스를 이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4-6992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328074호
그런데, 상술한 유동화 슈트(10)는, 어시스트 가스가 되는 유동화용 불활성 기체를 상시 일정 유량으로 공급하고, 퍼지용 불활성 기체는 상시 또는 간헐적으로 통기되고 있다.
한편, 유동화 슈트(10)에서 차콜이 정량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수용측 용기(예를 들면 차콜 공급 호퍼 등)의 증량으로부터 판정할 수 있지만, 판정 결과가 얻어질 때까지는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유동화 슈트(10)의 반송 배관(11) 내에 차콜이 퇴적되어, 차콜의 정량 공급을 할 수 없게 된 경우에는, 이를 검출할 때까지 시간을 필요로 하는 점에서, 다시 유동화시키기 위한 처치에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반송 배관(11) 내에 차콜이 퇴적된 경우에는, 유동화용 불활성 기체나 퍼지용 불활성 기체의 공급량을 증량하여 퇴적을 해소시키는 처치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일단 퇴적된 차콜을 다시 유동화시키는 것은 곤란하고, 따라서 신속한 대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유동화 슈트(10)의 정량 공급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것이 요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동화 슈트(10)의 정량 공급이 정체되면, 즉, 호퍼 간에 있어서의 차콜의 정량 반송을 할 수 없게 되면, 각 호퍼의 저장 한계를 넘어 석탄 가스화 노의 운전 정지에 이르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유동화 슈트(10)에 있어서는, 분체(차콜)의 정량 공급 상태(퇴적의 유무)를 실시간으로 감시 가능하게 하는 것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분체의 정량 공급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 가능하게 한 분체 반송 장치 및 이 분체 반송 장치를 이용한 차콜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의 수단을 채용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분체 반송 장치는, 소정의 경사 각도로 분체를 중력 낙하에 의하여 반송 가능한 분체 반송 라인과, 상기 분체 반송 라인 내에 퇴적되는 분체 상황을 상시 감시하는 퇴적 상황 감시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분체 반송 장치에 의하면, 반송 라인 내에 퇴적되는 분체 상황을 상시 감시하는 퇴적 상황 감시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유동하는 분체의 정량 공급 상태(퇴적의 유무)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다. 그리고, 분체의 정량 공급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분체의 퇴적이 커지기 전에, 다시 유동화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처치를 신속히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분체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체 반송 라인을 따라 유로 단면을 상하로 분할하여 상부에 분체 유로를 형성하도록 배치된 배수 트랩과, 상기 배수 트랩의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배수 트랩을 통과시켜 상기 분체 유로에 어시스트 가스를 공급하는 어시스트 가스 공급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분체 반송 장치에 의하면, 분체 유로 내에서 배수 트랩이 되는 다공판의 상면측에 퇴적되는 분체 상황을 상시 감시할 수 있다.
상기의 분체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퇴적 상황 감시 장치는, 상기 분체 반송 라인 내의 분체의 퇴적 상황을 검지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센서의 검출값에 근거하여, 상기 퇴적 상황을 판정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로서는, 온도 센서, γ선 송수신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분체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퇴적 상황 감시 장치는, 상기 분체 반송 라인의 벽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써 분체의 정량 공급 상태를 벽면 온도의 변화로부터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분체의 유동이 악화된 경우나 분체가 퇴적된 경우의 유동 이상 시에는, 고온의 분체 유동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고온의 분체가 순조롭게 흐르는 정량 공급시와 비교하면, 벽면의 가열량이 감소하여 벽면 온도를 저하시킨다. 따라서, 이 온도 저하를 감시하여 검출함으로써, 정량 공급의 이상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분체 반송 라인의 내벽면 온도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내벽면 온도는, 유동하는 분체에 가깝기 때문에 외벽면보다 민감한 온도 변화를 하므로, 실시간의 판단을 신속하고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의 분체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분체 반송 라인의 축방향으로 복수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써 반송 거리가 긴 분체 반송 라인을 감시하는 경우여도, 분체의 정량 공급 상태를 실시간으로 신속하고 또한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즉, 분체 반송 라인의 축방향으로 복수 마련된 온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온도 저하를 검출하면 유동 이상의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고, 또한 온도 저하를 검출한 온도 센서의 위치로부터 유동 이상이 발생한 축방향 위치의 추측이 가능하다.
상기의 분체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분체 반송 라인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써 분체의 퇴적이 발생하는 유로 단면의 위치(둘레 방향의 위치)에 관계없이, 분체의 정량 공급 상태를 실시간으로 신속하고 또한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즉, 분체 반송 라인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마련된 온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온도 저하를 검출하면 유동 이상의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고, 또한 온도 저하를 검출한 온도 센서의 위치로부터 유동 이상이 발생한 둘레 방향 위치의 추측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온도 센서의 배치는, 직경이 큰 분체 반송 라인에 있어서 특히 유효하다.
상기의 분체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퇴적 상황 감시 장치는, 상기 분체 반송 라인의 상기 배수 트랩보다 높은 주벽(周壁) 위치에 마련되어 유로 내부를 흐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감시 가능한 관측창과, 상기 관측창으로부터 상기 분체 유로 내의 분체 유동을 비접촉으로 계측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분체 반송 장치는, 분체의 유동 상태를 비접촉으로 계측하는 센서를 관측창에 설치했기 때문에, 분체 유로 내의 정량 공급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실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분체 유동을 비접촉으로 계측하는 적합한 센서로서는, 레이저, 광 및 초음파의 조사나, 플로 센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의 분체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측창은 불활성 기체 투입용 노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써 불활성 기체를 투입하여 분체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관측창의 시야를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상기의 분체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측창 및 상기 센서는, 상기 분체 반송 라인의 축방향으로 복수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써 반송 거리가 긴 분체 반송 라인을 감시하는 경우여도, 분체의 정량 공급 상태를 실시간으로 신속하고 또한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상기의 분체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퇴적 상황 감시 장치는, 상기 분체 반송 라인의 상기 배수 트랩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분체 유로 내의 분체 유동을 흐름 방향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으로부터 비접촉으로 계측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퇴적 상황 감시 장치는, 분체 유로 내에 있어서의 분체의 유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실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적합한 센서로서는, 초음파의 송수신에 의하여 유동 상태를 판단하는 초음파 레벨계를 예시할 수 있다.
상기의 분체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퇴적 상황 감시 장치는, 상기 분체 반송 라인의 상기 배수 트랩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분체 유로 내의 흐름 방향 상류측 또는 흐름 방향 하류측에 설치한 γ선 송신기와, 상기 분체 유로 내의 흐름 방향 하류측 또는 흐름 방향 상류측에 설치한 γ선 수신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퇴적 상황 감시 장치는, 분체 유로 내에 있어서의 분체의 유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실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γ선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γ선을 γ선 수신기에서 받아, γ선의 감쇠율을 계측하여 공간 중의 분체 밀도를 계측한다.
상기의 분체 반송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배수 트랩의 하면에, 불활성 기체를 구동원으로 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진동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써 퇴적된 분체를 진동시켜 교반·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분체를 다시 유동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차콜 회수 장치는, 고형 연료를 가스화하여 생성된 생성 가스로부터 미반응분을 회수하는 차콜 회수 장치로서, 생성 가스의 생성 라인에 연결되는 제1 집진 장치와, 상기 제1 집진 장치에 있어서의 제1 가스 배출 라인에 연결되는 제2 집진 장치와, 상기 제1 집진 장치에 있어서의 제1 미반응분 배출 라인 및 상기 제2 집진 장치에 있어서의 제2 미반응분 배출 라인에 연결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로부터 미반응분을 되돌리는 미반응분 복귀 라인과, 상기 제2 미반응분 배출 라인 및 상기 미반응분 복귀 라인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상기의 분체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차콜 회수 장치는, 상기의 분체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유동하는 분체의 정량 공급 상태(퇴적의 유무)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분체의 정량 공급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분체의 퇴적이 커지기 전에, 다시 유동화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처치를 신속히 실시할 수 있다.
분체를 중력 낙하에 의하여 반송하는 분체 반송 라인에 있어서는, 분체 반송 라인 내에 퇴적되는 분체 상황을 상시 감시하고, 분체의 정량 공급 상태(퇴적의 유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다시 유동화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처치를 신속히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분체의 정량 공급이 정체되는 것에 기인하여 각 호퍼의 저장 한계를 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본 발명의 분체 반송 라인을 이용한 차콜 회수 장치 및 이 차콜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석탄 가스화 노 등이 운전 정지에 처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관한 분체 반송 장치의 일 실시형태(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이고, 분체 반송 라인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A-A 단면도이다.
도 2는 분체 반송 라인의 벽면 온도 측정에 의한 정량 공급 상태와 유동화 악화 또는 퇴적 발생의 판단을 설명하는 도이며, 가로축의 시간에 대하여 세로축에 온도 센서로서 이용한 온도계 지싯값의 변화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3a는 본 발명에 관한 분체 반송 장치의 일 실시형태(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분체 반송 라인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B-B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분체 반송 장치의 일 실시형태(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분체 반송 라인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실시형태(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이며, 분체 반송 라인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관한 분체 반송 장치의 일 실시형태(제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분체 반송 라인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C-C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분체 반송 장치 및 차콜 회수 장치를 적용하는 장치 구성예로서, 석탄 가스화 설비에 있어서의 차콜 회수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a는 종래의 분체 반송 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며, 분체 반송 라인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D-D 단면도이다.
도 9는 배수 트랩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분체 반송 장치 및 차콜 회수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의 유동화 슈트(분체 반송 장치)(10A)는, 예를 들면 고체 연료의 일종인 석탄을 가스화한 생성 가스를 가스 터빈 설비에 공급하고, 이 생성 가스를 연료 가스로 하여 운전되는 가스 터빈에 의하여 발전을 행하는 석탄 가스화 복합 발전 설비(IGCC)에 적용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유동화 슈트(10A)는, 석탄 가스화 노에서 생성된 생성 가스 중에 포함되는 미반응(미연(未然))분의 분체, 즉 차콜을 제거하여 회수하는 차콜 회수 장치(1)에 있어서 차콜 반송 라인에 이용되는데, 특히 장치의 전고(全高)를 억제하는 등의 레이아웃 사정에 의하여 충분한 경사 각도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 유효하다.
도 7에 나타내는 차콜 회수 장치(1)는, 석탄 가스화 노(CG)에서 석탄을 가스화한 생성 가스 중에서 분체의 차콜을 분리·제거하여 회수하기 위하여, 생성 가스의 생성 라인(2)에 연결되는 사이클론(제1 집진 장치)(3)을 구비하고 있다. 이 사이클론(3)에서는, 생성 가스 중의 가스분과 입자(분체)가 분리된다. 또한, 도 7에 있어서는, 도면 중의 흰색 화살표(P)가 차콜 또는 가스 중에 포함되는 차콜의 흐름을 나타내고, 도면 중의 검정색 화살표(F)가 각종 처리 전의 연료 가스를 나타내고 있다.
사이클론(3)에서 분리된 생성 가스의 가스분은 고온이고, 마찬가지로 고온의 상태에 있는 차콜의 미립자를 포함한 상태이다. 이로 인하여, 생성 가스의 가스분은, 연료 가스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차콜의 미립자를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므로, 사이클론(3)에 연결된 분리 가스 배출 라인(제1 가스 배출 라인)(3a)을 통과하여 필터(제2 집진 장치)(4)로 유도된다.
한편, 사이클론(3)에서 분리된 차콜은, 사이클론(3)에 연결된 제1 차콜 배출 라인(제1 미반응분 배출 라인)(3b)을 통과하여, 중력 낙하에 의하여 차콜 용기(빈)(5)로 유도된다.
필터(4)에서는, 생성 가스 중에 남아있는 차콜을 추가로 분리 제거하여 회수한다. 이 시점에 있어서, 회수된 차콜은 아직 고온의 상태이다. 이와 같이 하여 필터(4)에 회수된 차콜은, 제2 차콜 배출 라인(제2 미반응분 배출 라인)(4a)에 연결되는 차콜 용기(5)로 유도된다. 이 제2 차콜 배출 라인(4a)에는, 후술하는 유동화 슈트(10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의 부호 8은, 제2 차콜 배출 라인(4a)에 마련된 로터리 밸브이다.
한편, 필터(4)에서 차콜이 제거된 생성 가스는, 연료 가스로서 사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종 처리를 실시하기 위하여, 생성 가스 송출 라인(4b)을 통과하여 후류(後流) 설비로 보내진다.
차콜 용기(5)에 모아진 차콜은, 예를 들면 차콜 공급 호퍼(6)로 보내져 저장되게 된다. 도시의 구성예에서는, 한 쌍의 차콜 공급 호퍼(6)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 호퍼(6)와 차콜 용기(5)의 사이가 차콜 복귀 라인(미반응분 복귀 라인)(5a, 5b)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차콜 공급 호퍼(6)는, 개폐 밸브(7)의 개폐 조작에 의하여 어느 일방이 교대로 사용된다. 또, 도시의 구성예에서는, 차콜 복귀 라인(5a, 5b)에도 후술하는 유동화 슈트(10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차콜 공급 호퍼(6)에 저장된 차콜은, 필요에 따라 다시 석탄 가스화 노(CG)로 공급되어 가스화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유동화 슈트(10A)는, 소정의 경사 각도로 설치되어 분체 반송 라인을 형성하는 반송 배관(11)의 내부에 배수 트랩이 되는 다공판(12)을 배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유동화 슈트(10A)를 설치하는 차콜 반송 라인은, 필터(4)로부터 차콜 용기(5)에 차콜을 반송하는 제2 차콜 배출 라인(4a)의 경우이다.
유동화 슈트(10A)에 있어서, 반송 배관(11)을 설치하는 소정의 경사 각도는, 분체인 차콜의 중력 낙하가 가능한 각도이다. 도시의 반송 배관(11)은 원형 단면을 갖고 있으며, 수평면에 대하여 축방향(길이 방향)을 경사지게 한 높은 측의 단부 근방에 차콜 공급구(11a)를 구비한 차콜 수용 노즐(11b)이 마련되고, 낮은 측의 단부에 차콜 배출구(11c)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일방의 차콜 공급구(11a)에는, 필터(4)에 연결된 대략 수직의 제2 차콜 배출 라인(4a)이 접속되어, 반송 배관(11) 내에 대하여 고온의 차콜을 도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타방의 차콜 배출구(11c)는, 차콜 용기(5)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반송된 차콜을 중력 낙하시켜 차콜 용기(5)로 배출한다.
또, 다공판(12)은, 반송 배관(11)을 따라 유로 단면을 상하로 분할하고, 반송 배관(11) 내의 상부에 분체 유로(11d)를 형성함과 함께, 하부에 어시스트 가스 체류 공간(11e)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다공판(12)은,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다공판(12a) 및 제2 다공판(12b)을 밀착시킨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다공판(12a)에는, 예를 들면 어시스트 가스(g)를 통과시키는 다수의 구멍(12c)을 형성한 펀칭 메탈이 이용되고, 제2 다공판(12b)에는, 예를 들면 구멍(12c)의 직경보다 미세한 그물코인 스테인리스 철망을 이용하고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공판(12)은, 다공판(12)의 하방에 마련된 유동화용 불활성 기체 공급 유로(13)가 어시스트 가스 체류 공간(11e)에 접속되고, 유동화용 불활성 기체 공급 유로(13)로부터 어시스트 가스 체류 공간(11e) 내에 공급된 어시스트 가스(g)가, 다공판(12)을 통과하여 분체 유로(11d) 내의 전역에 걸쳐 대략 균등하게 공급되는 것이면 된다.
필터(4)로부터 공급되는 분체의 차콜을 차콜 용기(5)로 반송할 때에는, 반송 배관(11)을 따라 배치된 다공판(12)을 통과시켜 어시스트 가스(g)를 투입함으로써, 반송 배관(11) 내의 차콜이 다공판(12) 상에 부유하여 유동화된다.
또, 반송 배관(11)에는, 차콜 공급구(11a)가 마련된 높은 측의 단부 부근으로부터 퍼지용 불활성 기체를 공급하는 퍼지용 불활성 기체 공급 유로(14, 15)가 마련되어 있다.
일방의 퍼지용 불활성 기체 공급 유로(14)는, 상측 단부면을 막는 판재를 관통하여 마련된 노즐(14a)로부터 분체 유로(11d) 내에 퍼지용 불활성 기체를 공급하고, 타방의 퍼지용 불활성 기체 공급 유로(15)는, 차콜 수용 노즐(11b)의 주벽면을 관통하여 마련된 노즐(15a)로부터 분체 유로(11d)의 차콜 수용 노즐(11b) 내에 퍼지용 불활성 기체를 공급한다.
퍼지용 불활성 기체 공급 유로(14, 15)는, 도 8a에 나타내는 종래 구조와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개폐 밸브(16, 17)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퍼지용 불활성 기체 공급 유로(14, 15)는, 차콜의 반송 상황에 따라 개폐 밸브(16, 17)를 조작하여, 필요에 따른 퍼지용 불활성 기체의 공급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유동화 슈트(10A)는, 반송 배관(11) 내에서 다공판(12)의 상면측에 퇴적되는 분체 상황(정량 공급 상태)을, 즉 차콜의 퇴적 상황을 상시 감시하는 퇴적 상황 감시 장치(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퇴적 상황 감시 장치(20)는, 반송 배관(11)의 벽면 온도를 상시 검출하는 온도 센서(21)를 구비하고 있다. 적합한 온도 센서(21)로서는, 예를 들면 제어 장치(30)와 신호선(31)에 의하여 접속된 열전대를 예시할 수 있다.
이 제어 장치(30)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종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일련의 처리는, 일례로서 프로그램의 형식으로 기억 매체 등에 기억되어 있으며, 이 프로그램을 CPU가 RAM 등으로 읽어내어, 정보의 가공·연산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각종 기능이 실현된다. 또한, 프로그램은, ROM이나 그 외의 기억 매체에 미리 인스톨해 두는 형태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기억된 상태로 제공되는 형태,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한 통신 수단을 통하여 전송되는 형태 등이 적용되어도 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란, 자기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CD-ROM, DVD-ROM, 반도체 메모리 등이다.
이와 같은 퇴적 상황 감시 장치(20)는, 차콜의 정량 공급 상태를 벽면 온도의 변화로부터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온 상태에 있는 차콜의 유동이 악화된 경우, 혹은 고온 상태인 차콜이 다공판(12) 위에 퇴적된 경우의 유동 이상 시에는, 고온의 차콜 유동량이 감소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콜이 순조롭게 흐르는 정량 공급 시와 비교하면, 반송 배관(11)의 벽면이 고온의 차콜로부터 받는 가열량은 감소하므로, 외기(外氣)에 대한 방열 등에 의하여 벽면 온도가 크게 변동하여 저하된다.
즉, 유동 이상 시에는, 고온의 차콜로부터 받는 열량이 감소하고, 또한 체류된 차콜은 냉각되어 온도 저하되므로, 정량 공급 시의 벽면 온도를 유지할 수 없게 되며, 그 결과, 벽면의 온도가 저하되게 된다. 따라서, 이 온도 저하를 퇴적 상황 감시 장치(20)로 감시함으로써, 정량 공급의 이상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온도 센서(21)에 의한 온도 계측은, 반송 배관(11)의 벽면 온도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실시간의 판단을 신속하고 또한 정확하게 행하기 위해서는, 반송 배관(11)의 내벽면 온도(내면 메탈 온도)를 계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온도 센서(21)가 유동하는 차콜에 가까운 반송 배관(11)의 내벽면 온도를 검출하는 것은, 외벽면보다 민감한 온도 변화를 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온도 센서(21)는, 배송 배관(11) 내로의 돌출량을 필요 최소한으로 하여, 선단이 내벽면과 대략 일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온도 센서(21)의 설치는, 배송 배관(11) 내에 있어서 차콜의 유동화를 저해하는 일은 없다.
또, 온도 센서(21)가 내면 메탈 온도를 계측하는 것으로 했으므로, 내벽면이 노점(露點) 이하의 온도로 저하되며, 외벽면의 가열을 행하는 상황이 되고 있지 않은지 확인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유동화 슈트(10A)는, 반송 배관(11) 내에서 다공판(12)의 상면측에 퇴적되는 차콜의 상황을 상시 감시하는 퇴적 상황 감시 장치(2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유동하는 차콜의 정량 공급 상태를, 바꿔 말하면, 유동하는 차콜의 퇴적 유무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다. 그리고, 반송 배관(11) 내에서 차콜이 퇴적됨으로써, 차콜의 정량 공급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퇴적 상황 감시 장치(20)가 검출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제어 장치(30)로부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등 하여, 차콜의 퇴적이 커지기 전에, 다시 유동화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처치를 신속히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시 유동화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처치예로서는, 유동화용 불활성 기체나 퍼지용 불활성 기체의 공급량을 증가시키는 것이나, 간헐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공급 정지 상태인 퍼지용 불활성 기체의 공급을 개시하는 경우가 있다.
상술한 퇴적 상황 감시 장치(20)는, 반송 배관(11)의 적소에 1개소 마련해도 되지만, 보다 신속하고 또한 정확한 감시를 하기 위해서는, 적소에 복수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복수 설치에 있어서는, 온도 센서(21)를 반송 배관(11)의 축방향으로 복수 마련하는 배치(도시의 구성예에서는 축방향으로 등피치로 3개소)나, 둘레 방향으로 복수 마련하는 배치(도시의 구성예에서는 둘레 방향으로 90도 피치로 3개소)가 있고, 더 바람직한 것은 축방향 및 둘레 방향의 양방에 복수 배치하는 것이다.
축 방향으로 복수의 온도 센서(21)를 배치하면, 반송 거리가 긴 반송 배관(11)을 감시하는 경우여도, 온도 변화를 실시간으로 신속하고 또한 정확하게 계측하는 감시가 가능해진다. 즉, 반송 배관(11)의 축방향으로 복수 마련된 온도 센서(21) 중 적어도 하나가 온도 저하를 검출하면 유동 이상의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고, 또한 온도 저하를 검출한 온도 센서(21)의 위치로부터 유동 이상이 발생한 축방향 위치의 추측이 가능해진다.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온도 센서(21)를 배치하면, 직경이 큰 유로 단면적을 갖는 반송 배관(11)을 감시하는 경우여도, 차콜의 퇴적이 발생하는 유로 단면의 위치(둘레 방향의 위치)에 관계없이, 온도 변화를 실시간으로 신속하고 또한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즉, 반송 배관(11)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마련된 온도 센서(21) 중 적어도 하나가 온도 저하를 검출하면 유동 이상의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고, 또한 온도 저하를 검출한 온도 센서(21)의 위치로부터 유동 이상이 발생한 둘레 방향 위치의 추측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축방향 및 둘레 방향의 양방에 복수 배치하면, 반송 배관(11)의 크기에 관계없이 미세한 온도 변화의 감시를 보다 신속하고 또한 정확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유동 이상이 발생한 위치에 대해서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제2 실시형태의 유동화 슈트(10B)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의 유동화 슈트(10B)에 마련된 퇴적 상황 감시 장치(40)는, 반송 배관(11) 내의 다공판(12)보다 높은 주벽 위치에 마련된 관측창(42)을 구비하고 있다. 이 관측창(42)은, 반송 배관(11)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노즐(41)을 마련하고, 그 선단부에 내열·내압 유리 등의 가시(可視) 부재로 이루어진 관측창(42)을 장착한 것이다. 따라서, 퇴적 상황 감시 장치(40)의 관측창(42)은, 반송 배관(11)의 유로 내부를, 차콜의 흐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감시 가능해진다.
또, 퇴적 상황 감시 장치(40)는, 관측창(42)으로부터 반송 배관(11) 내에 있어서의 차콜의 유동을 비접촉으로 계측 가능한 센서(4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센서(43)는, 제어 장치(30A)와 신호선(31)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적합한 센서(43)로서는, 레이저, 광 및 초음파를 조사하여 반사 상태의 변화 등을 계측하는 것이나, 플로 센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퇴적 상황 감시 장치(40)는, 차콜의 유동 상태를 비접촉으로 계측하는 센서(43)를 관측창(42)에 설치했으므로, 차콜의 유동을 저해하는 일이 없고, 반송 배관(11) 내의 정량 공급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실하게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 배관(11) 내에서 차콜이 퇴적됨으로써, 차콜의 정량 공급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퇴적 상황 감시 장치(40)가 검출한 경우에는, 차콜의 퇴적이 커지기 전에, 다시 유동화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처치를 신속히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콜이 퇴적되어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레이저 조사한 경우에 반사의 수신 시간이 짧아짐으로써 정량 공급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관측창(42)은, 불활성 기체 투입용 노즐(44)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노즐(44)은, 필요 시에 폐색 해제용 불활성 기체를 투입하여 차콜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즉, 관측창(42)의 내부에 차콜이 체류한 경우, 투입하는 불가성 기체로 차콜을 제거하여 관측창(42)의 시야를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 상술한 관측창(42) 및 센서(43)를 구비한 퇴적 상황 감시 장치(40)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이유에 의하여, 반송 배관(11)의 축방향으로 복수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축방향으로 복수 배치한 퇴적 상황 감시 장치(40)는, 감시 대상이 반송 거리가 긴 반송 배관(11)이어도, 차콜의 정량 공급 상태를 실시간으로 신속하고 또한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 나타내는 제3 실시형태의 유동화 슈트(10C)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상술한 제1 실시형태나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동화 슈트(10C)에 마련된 퇴적 상황 감시 장치(50)는, 반송 배관(11)의 다공판(12)보다 높은 위치에서, 반송 배관(11) 내에 있어서의 차콜의 유동을 흐름 방향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으로부터 비접촉으로 계측하는 센서(5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센서(51)는, 제어 장치(30B)와 신호선(31)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에 적합한 센서(51)는, 반송 배관(11) 내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 중 어느 일방에 있어서 송수신을 행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초음파의 송수신에 의하여 유동 상태를 판단하는 초음파 레벨계를 예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퇴적 상황 감시 장치(50)로 해도, 반송 배관(11) 내에 있어서의 차콜의 유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실하게 판단할 수 있다. 즉, 초음파의 반사 시간을 계측함으로써, 체류된 차콜까지의 거리를 계측할 수 있으므로, 이 계측 거리로부터 정량 공급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또, 도 5에 나타내는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는, 유동화 슈트(10D)의 퇴적 상황 감시 장치(60)가, 반송 배관(11)의 다공판(12)보다 높은 위치에서, 반송 배관(11) 내의 흐름 방향 상류측 또는 흐름 방향 하류측에 설치한 γ선 송신기(61)와, 반송 배관(11) 내의 흐름 방향 하류측 또는 흐름 방향 상류측에 설치한 γ선 수신기(62)를 구비하고 있다. 즉, 이 경우에 적합한 γ선 송수신기는, 반송 배관(11)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 중 어느 일방에 송신기를 설치하고, 반송 배관(11)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의 타방에 수신기를 설치하여 송수신을 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퇴적 상황 감시 장치(60)로 해도, 반송 배관(11) 내에 있어서의 차콜의 유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실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시의 구성예에서는, 상류측의 γ선 송신기(61)로부터 송신된 γ선을 하류측의 γ선 수신기(62)에서 받아, γ선의 감쇠율을 계측하여 공간 중의 분체 밀도를 계측하는데, γ선 송신기(61) 및 γ선 수신기(62)의 위치를 반대로 해도 된다. 또한, γ선 수신기(62)의 계측 결과는, 신호선(31)을 통하여 제어 장치(30C)에 입력된다.
마지막으로,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내는 제4 실시형태의 유동화 슈트(10E)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상술한 각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동화 슈트(10E)는, 다공판(12)의 하면에, 불활성 기체를 구동원으로 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진동 장치(7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진동 장치(70)로서는, 예를 들면 압축한 불활성 기체의 공급을 받아 강성(鋼性) 볼 등을 고속 회전시켜, 원심력 진동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예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진동 장치(70)가 진동함으로써, 다공판(12)을 통하여 퇴적된 차콜을 진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진동이 퇴적된 차콜을 교반하여 분산시키므로, 퇴적된 차콜을 다시 유동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진동 장치(70)의 동작은, 상술한 각 실시형태의 퇴적 상황 감시 장치(20) 등이 정량 공급의 이상을 검출한 경우에, 제어 장치(30) 등으로부터 신호를 받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차콜 회수 장치(1)는, 상술한 각 실시형태 또는 그 변형예의 유동화 슈트(10A~10E)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유동하는 차콜의 퇴적에 의하여 변동하는 정량 공급 상태를 퇴적 상황 감시 장치(20~60)로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다.
이 결과, 차콜의 정량 공급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차콜의 퇴적이 커지기 전에, 즉 차콜의 퇴적량이 증대하기 전에, 다시 유동화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처치를 신속히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차콜을 중력 낙하에 의하여 반송하는 반송 배관(11)에 있어서, 다공판(12)의 상면측에 퇴적되는 차콜의 상황을 상시 감시하고, 차콜의 정량 공급 상태(퇴적의 유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다시 유동화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처치를 신속히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차콜의 정량 공급이 정체되는 것에 기인하여, 차콜 용기(5)나 차콜 공급 호퍼(6) 등의 호퍼류에 있어서, 저장 한계를 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게 되므로, 상술한 유동화 슈트(10A) 등을 이용한 차콜 회수 장치(1), 및 이 차콜 회수 장치(1)를 구비한 석탄 가스화 노 등의 장치가 운전 정지에 처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차콜 이외의 분체에도 적용 가능한 등,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1: 차콜 회수 장치
2: 생성 라인
3: 사이클론(제1 집진 장치)
3a: 분리 가스 배출 라인(제1 가스 배출 라인)
3b: 제1 차콜 배출 라인(제1 미반응분 배출 라인)
4: 필터(제2 집진 장치)
4a: 제2 차콜 배출 라인(제2 미반응분 배출 라인)
4b: 생성 가스 송출 라인
5: 차콜 용기(빈)
5a, 5b: 차콜 복귀 라인(미반응분 복귀 라인)
6: 차콜 공급 호퍼
10, 10A~10E: 유동화 슈트(분체 반송 장치)
11: 반송 배관(분체 반송 라인)
11d: 분체 유로
11e: 어시스트 가스 체류 공간
12: 다공판(배수 트랩)
13: 유동화용 불활성 기체 공급 유로
14, 15: 퍼지용 불활성 기체 공급 유로
20, 40, 50, 60: 퇴적 상황 감시 장치
21: 온도 센서
30, 30A~30C: 제어 장치
41: 노즐
42: 관측창
43, 51: 센서
61: γ선 송신기
62: γ선 수신기
70: 진동 장치

Claims (15)

  1. 소정의 경사 각도로 분체를 중력 낙하에 의하여 반송 가능한 분체 반송 라인과,
    상기 분체 반송 라인 내에 퇴적되는 분체 상황을 상시 감시하는 퇴적 상황 감시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반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퇴적 상황 감시 장치는, 상기 분체 반송 라인 내의 분체의 퇴적 상황을 검지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센서의 검출값에 근거하여, 상기 퇴적 상황을 판정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반송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분체 반송 라인의 벽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반송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분체 반송 라인의 내벽면 온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반송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γ선 송수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반송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분체 반송 라인의 축방향으로 복수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반송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분체 반송 라인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반송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γ선 송수신기는,
    상기 분체 반송 라인의 분체 유로 내의 흐름 방향 상류측 또는 흐름 방향 하류측에 설치한 γ선 송신기와,
    상기 분체 유로 내의 흐름 방향 하류측 또는 흐름 방향 상류측에 설치한 γ선 수신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반송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퇴적 상황 감시 장치는,
    상기 분체 반송 라인 내에 있어서의 상기 분체의 흐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감시 가능한 관측창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반송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관측창이 불활성 기체 투입용 노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반송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관측창 및 상기 센서는, 상기 분체 반송 라인의 축방향으로 복수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반송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퇴적 상황 감시 장치는, 상기 분체 반송 라인의 상기 분체 유로 내의 분체 유동을 흐름 방향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으로부터 비접촉으로 계측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반송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 반송 라인을 따라 유로 단면을 상하로 분할하여 상부에 분체 유로를 형성하도록 배치된 배수 트랩과,
    상기 배수 트랩의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배수 트랩을 통과시켜 상기 분체 유로에 어시스트 가스를 공급하는 어시스트 가스 공급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반송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트랩의 하면에, 불활성 기체를 구동원으로 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진동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반송 장치.
  15. 고형 연료를 가스화하여 생성된 생성 가스로부터 미반응분을 회수하는 차콜 회수 장치로서,
    생성 가스의 생성 라인에 연결되는 제1 집진 장치와,
    상기 제1 집진 장치에 있어서의 제1 가스 배출 라인에 연결되는 제2 집진 장치와,
    상기 제1 집진 장치에 있어서의 제1 미반응분 배출 라인 및 상기 제2 집진 장치에 있어서의 제2 미반응분 배출 라인에 연결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로부터 미반응분을 되돌리는 미반응분 복귀 라인과,
    상기 제2 미반응분 배출 라인 및 상기 미반응분 복귀 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라인 내에 퇴적되는 차콜의 상황을 상시 감시하는 퇴적 상황 감시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콜 회수 장치.
KR1020177002090A 2014-09-16 2015-09-14 분체 반송 장치 및 차콜 회수 장치 KR1018826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87526A JP6109796B2 (ja) 2014-09-16 2014-09-16 粉体搬送装置及びチャー回収装置
JPJP-P-2014-187526 2014-09-16
PCT/JP2015/076063 WO2016043167A1 (ja) 2014-09-16 2015-09-14 粉体搬送装置及びチャー回収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516A true KR20170020516A (ko) 2017-02-22
KR101882631B1 KR101882631B1 (ko) 2018-07-26

Family

ID=55533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090A KR101882631B1 (ko) 2014-09-16 2015-09-14 분체 반송 장치 및 차콜 회수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46653B2 (ko)
JP (1) JP6109796B2 (ko)
KR (1) KR101882631B1 (ko)
CN (1) CN106660717B (ko)
WO (1) WO20160431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4396A1 (ko) * 2022-05-20 2023-11-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분체 이송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96105B2 (ja) * 2013-12-20 2017-03-15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チャー回収システムおよびチャー搬送方法
JP6700773B2 (ja) * 2015-12-18 2020-05-27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チャー排出装置、これを有するチャー回収装置及びチャー排出方法、ガス化複合発電設備
CN107697784A (zh) * 2017-10-17 2018-02-16 中国恩菲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箕斗提升竖井的粉矿回收系统
CN108341270B (zh) * 2018-01-31 2019-11-22 河海大学 一种用于粉体固化剂输运的自重流化床管道系统及其使用方法
JP7123569B2 (ja) * 2018-02-19 2022-08-2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粉体燃料供給装置、ガス化炉設備およびガス化複合発電設備ならびに粉体燃料供給装置の制御方法
CN108559537A (zh) * 2018-05-15 2018-09-21 上海派洛利师环保科技有限公司 有机固废无氧裂解碳化处理方法及其处理系统
WO2020201015A1 (en) * 2019-04-04 2020-10-08 Reel Alesa Ag Precision flow feeding device
CN110228712B (zh) * 2019-06-25 2024-02-20 福建工程学院 一种用于激光近净成型的送粉器
RU2746070C1 (ru) * 2019-12-13 2021-04-0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алмыц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Б.Б. Городовикова» Аэродинамический транспортер
CN112605037B (zh) * 2020-12-03 2022-03-18 湖南中曙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石墨粉、块回收用前处理装置
CN115231316B (zh) * 2022-09-22 2022-12-20 山东大学 基于废气携废渣激冷钢渣的流态化粉料供送系统及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3704A (ja) * 1990-02-20 1991-10-30 Sumitomo Metal Ind Ltd 高炉羽口粉体吹き込み操業法
JP2000328074A (ja) 1999-05-21 2000-11-28 Babcock Hitachi Kk 石炭ガス化システム
JP2003054760A (ja) * 2001-08-13 2003-02-26 Babcock Hitachi Kk 灰処理装置と灰処理方法
JP2008230825A (ja) * 2007-03-23 2008-10-02 Ube Ind Ltd 粉体輸送方法および粉体輸送装置
JP2014069927A (ja) 2012-09-28 2014-04-21 Mitsubishi Heavy Ind Ltd 粉体搬送装置及びチャー回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6272A (en) * 1954-09-28 1958-12-30 Smidth & Co As F L Cyclone heat exchange apparatus
US2874999A (en) * 1955-03-08 1959-02-24 Svenska Flaektfabriken Ab Apparatus for pneumatic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
US2882097A (en) * 1956-12-19 1959-04-14 Arvid J Hamren Air-conveyor
US3056632A (en) * 1958-11-07 1962-10-02 Holderbank Cement Pneumatic conveyor
DE2015791A1 (de) * 1970-04-02 1971-10-21 Rheinische Braunkohlenwerke AG, 5000 Köln, Wenzel, Prof Dr Ing Werner, 5 lOO Aachen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den Transport von Kornhaufwerken in Rohren
JPS5976808A (ja) * 1982-10-25 1984-05-02 Kawasaki Steel Corp 粉状予備還元鉱石の重力移送路の吹抜け防止方法
JPS6118635A (ja) * 1984-06-21 1986-01-27 Matsui Seisakusho:Kk 粉粒体を詰りなく気送する装置
DE3638942A1 (de) 1985-11-15 1987-05-21 Canon Kk Stroemungssteuereinrichtung fuer einen feinpartikel-strom
JPS62115824A (ja) * 1985-11-15 1987-05-27 Canon Inc 微粒子の流れ制御装置
JPH032304A (ja) * 1989-05-26 1991-01-08 Sumitomo Metal Ind Ltd 高炉における微粉炭吹込み用分配管の詰り検知方法
US5132917A (en) * 1990-04-23 1992-07-21 Shell Oil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ombined use of dual density measurements to achieve a fast and accurate density measurement in pneumatically transported solids
JP3054788B2 (ja) 1991-12-10 2000-06-19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気流層ガス化装置
JP3196314B2 (ja) * 1992-04-16 2001-08-06 ソニー株式会社 粉体供給装置
JP3212501B2 (ja) * 1995-12-22 2001-09-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配管内詰まり検出方法および装置
JPH09323822A (ja) * 1996-06-04 1997-12-16 Babcock Hitachi Kk 粉粒体輸送管の詰まりパージ方法と装置
DE10116892A1 (de) * 2001-04-04 2002-10-17 Outokumpu Oy Verfahren zum Fördern von körnigen Feststoffen
EP1295822A1 (de) * 2001-09-21 2003-03-26 BMH Claudius Peters GmbH Pneumatische Fördervorrichtung und -verfahren
JP2004162965A (ja) 2002-11-12 2004-06-10 Hitachi Ltd 廃棄物ガス化溶融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081689B2 (ja) * 2005-08-26 2008-04-30 株式会社Ihi 反応器一体型サイフォン
EP1816095B1 (de) * 2006-02-07 2007-09-19 IBAU Hamburg Ingenieurgesellschaft Vorrichtung zum pneumatischen Fördern von partikel-und staubförmigem Schüttgut
EP1894865A1 (de) * 2006-08-31 2008-03-05 Claudius Peters Technologies GmbH Fördervorrichtung für pulverförmiges Gut
US7553111B2 (en) * 2007-06-28 2009-06-30 Flsmidth A/S Fluidizing gravity conveyor with high temperature multi-layered fluid distributor member
US8764350B2 (en) * 2008-06-05 2014-07-01 Alstom Technology Ltd Conveyor for transporting powder, and a method for conveying powder
US8839976B2 (en) 2010-06-14 2014-09-23 Glenn H. Morris, Jr. Locking lid container
CN102466104B (zh) * 2010-11-08 2015-08-26 通用电气公司 管道及输送方法
US9199806B2 (en) * 2010-11-25 2015-12-01 Mitsubishi Hitachi Power Systems, Ltd. Bin system and char recovery unit
SI2685165T1 (sl) * 2011-03-11 2016-10-28 Mitsubishi Heavy Industries Environmental & Chemical Engineering Co., Ltd. Uplinjevalna peč z zvrtinčeno plastjo
JP5859339B2 (ja) 2011-08-15 2016-02-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チャー回収装置
US20140231239A1 (en) * 2011-11-25 2014-08-21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Bin system and char recovery apparatus
JP5877071B2 (ja) * 2012-01-16 2016-03-02 Primetals Technologies Japan株式会社 部分還元鉄製造装置および部分還元鉄製造方法
JP5896777B2 (ja) 2012-02-17 2016-03-30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チャー回収装置
JP5868839B2 (ja) * 2012-12-27 2016-02-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チャー払出管
JP6096105B2 (ja) * 2013-12-20 2017-03-15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チャー回収システムおよびチャー搬送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3704A (ja) * 1990-02-20 1991-10-30 Sumitomo Metal Ind Ltd 高炉羽口粉体吹き込み操業法
JP2000328074A (ja) 1999-05-21 2000-11-28 Babcock Hitachi Kk 石炭ガス化システム
JP2003054760A (ja) * 2001-08-13 2003-02-26 Babcock Hitachi Kk 灰処理装置と灰処理方法
JP2008230825A (ja) * 2007-03-23 2008-10-02 Ube Ind Ltd 粉体輸送方法および粉体輸送装置
JP2014069927A (ja) 2012-09-28 2014-04-21 Mitsubishi Heavy Ind Ltd 粉体搬送装置及びチャー回収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4396A1 (ko) * 2022-05-20 2023-11-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분체 이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60465A1 (en) 2017-09-14
CN106660717B (zh) 2019-04-26
JP2016060767A (ja) 2016-04-25
JP6109796B2 (ja) 2017-04-05
KR101882631B1 (ko) 2018-07-26
CN106660717A (zh) 2017-05-10
WO2016043167A1 (ja) 2016-03-24
US10246653B2 (en) 2019-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2631B1 (ko) 분체 반송 장치 및 차콜 회수 장치
JP5859339B2 (ja) チャー回収装置
CN109751614B (zh) 固体燃料供给装置及其运转方法以及燃烧设备
CN204007783U (zh) 一种液位监测装置及气化系统
JP6255155B2 (ja) 給じん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JP2012242221A (ja) 摩耗検査装置
JP2011102785A (ja) 配管詰まり検知装置及び配管詰まり検知方法
JP5535868B2 (ja) スラグ排出システムおよびスラグ排出システムの運転方法
EP2857747A1 (en) Method for transporting impurities in pressurized fluidized furnace system
CN111684049A (zh) 粉体燃料供给装置、气化炉设备及气化复合发电设备以及粉体燃料供给装置的控制方法
CN207688146U (zh) 电站锅炉灰渣在线测量系统
Yang et al. Recent patents on pressurization and dedusting for pneumatic conveying
KR101012484B1 (ko) 보일러의 미연탄소 측정장치
KR101549132B1 (ko) 가스화기의 슬래그 점도 제어장치
CN105593345A (zh) 煤焦供给料斗、煤焦回收装置及气化炉系统
Hoke Studies of the pressurized fluidized-bed coal combustion process
JPH08258980A (ja) ホッパ内粉粒体の搬送状況判定方法および装置
JP6865149B2 (ja) 石炭ガス化設備の閉塞防止装置及び閉塞防止方法
JP2012037189A (ja) スラグ排出システム
JP5725791B2 (ja) スラグ排出システムおよびスラグ排出システムの運転方法
CN207894492U (zh) 灰渣称重机
JPH0581637B2 (ko)
JP7191528B2 (ja) 粉体燃料供給装置、ガス化炉設備およびガス化複合発電設備ならびに粉体燃料供給装置の制御方法
CN106402907A (zh) 一种热能回收的干式锅炉除渣装置
JP2005343656A (ja) 粉粒体供給装置と燃焼装置とその運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