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7137A - 모터 및 차량 탑재 장치 - Google Patents

모터 및 차량 탑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7137A
KR20160117137A KR1020150160265A KR20150160265A KR20160117137A KR 20160117137 A KR20160117137 A KR 20160117137A KR 1020150160265 A KR1020150160265 A KR 1020150160265A KR 20150160265 A KR20150160265 A KR 20150160265A KR 20160117137 A KR20160117137 A KR 20160117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tator
axial direction
bearing holder
bu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6204B1 (ko
Inventor
타츠로 카와모토
타카유키 미기타
타카오 아타라시
마사테루 카와카미
타카히로 키즈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7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61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 H02K3/325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for windings on salient poles, such as claw-shaped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02Connections between slip-rings and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8Layout of windings or of connections between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 H02K3/3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 H02K3/345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 H02K3/38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around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for generally annula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샤프트를 갖는 로터와, 로터와 대향해서 배치되고 복수의 코일을 갖는 스테이터와, 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과, 스테이터를 축 방향으로부터 덮고 베어링을 지지하는 금속제의 베어링 홀더와, 스테이터에 대하여 베어링 홀더보다 축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코일로부터 연장되는 코일단과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갖는 버스바와, 스테이터와 베어링 홀더 사이에 위치하고 스테이터에 고정된 코일 서포트를 구비하고, 베어링 홀더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해서 코일단을 통과시키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코일 서포트는 축 방향으로 관통해서 코일단을 통과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된 절연 지지부를 갖고, 절연 지지부의 개구부의 가장 좁은 부분은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베어링 홀더의 관통구멍의 내측에 위치하는 모터.

Description

모터 및 차량 탑재 장치{MOTOR AND ON-VEHICLE DEVICE}
본 발명은 모터 및 차량 탑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이너 로터형의 브러시리스 모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모터는 베어링과, 베어링을 유지하는 절연 플레이트와, 절연 플레이트보다 축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버스바를 갖는다. 이 모터의 코일의 코일단은 절연 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과시켜서 버스바의 단자와 접속되어 있다. 코일단은 관통구멍에 의해 위치결정이 행하여져 버스바의 단자와의 접속이 용이하게 된다.
일본 특허 제4902738호 공보
차량 탑재용의 모터는 강한 진동을 받기 때문에, 베어링을 유지하는 부재(특허문헌 1의 절연 플레이트에 상당)로서 강성이 높은 금속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베어링을 유지하는 부재를 금속 재료로 했을 경우에 코일단과의 절연을 확보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코일단의 단락을 방지함과 아울러 코일단의 위치결정을 용하게 하는 모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모터의 하나의 형태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샤프트를 갖는 로터와, 상기 로터와 대향해서 배치되고 복수의 코일을 갖는 스테이터와,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스테이터를 축 방향으로부터 덮고 상기 베어링을 지지하는 금속제의 베어링 홀더와, 상기 스테이터에 대하여 상기 베어링 홀더보다 축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코일로부터 연장되는 코일단과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갖는 버스바와, 상기 스테이터와 상기 베어링 홀더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스테이터에 고정된 코일 서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 홀더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해서 코일단을 통과시키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 서포트는 축 방향으로 관통해서 코일단을 통과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된 절연 지지부를 갖고, 상기 절연 지지부의 상기 개구부의 가장 좁은 부분은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상기 베어링 홀더의 관통구멍의 내측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모터의 하나의 형태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샤프트를 갖는 로터와, 상기 로터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복수의 코일을 갖는 스테이터와,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스테이터를 축 방향으로부터 덮고 상기 베어링을 지지하는 금속제의 베어링 홀더와, 상기 스테이터에 대하여 상기 베어링 홀더보다 축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코일로부터 연장되는 코일단과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갖는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를 지지하는 버스바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 홀더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해서 코일단을 통과시키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버스바 홀더는 축 방향으로 관통해서 코일단을 통과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된 절연 지지부를 갖고, 상기 절연 지지부의 개구부의 가장 좁은 부분은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상기 베어링 홀더의 관통구멍의 내측에 위치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한 예시적인 일실시형태에 의하면,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고 코일 결선부의 빠짐을 방지하는 고정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형태의 모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일실시형태의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일실시형태의 모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실시형태의 모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일실시형태의 스테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변형예 1의 스테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변형예 2의 스테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변형예 3의 스테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변형예 4의 코일 서포트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변형예 5의 코일 서포트를 구비한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변형예 6의 모터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변형예 6의 모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일실시형태의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의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모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는 각 구성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실제의 구조와 각 구조에 있어서의 축척이나 수 등을 다르게 할 경우가 있다.
도면에 있어서는 모터의 중심축(J)과 평행한 Z축을 나타낸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Z축 방향의 정의 측(+Z측)을 「상측」이라고 부르고, Z축 방향의 부의 측(-Z측)을 「하측」이라고 부른다. 또한,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J)을 중심으로 하는 지름 방향을 단지 「지름 방향」이라고 부르고, 중심축(J)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 즉 중심축(J)의 축 둘레를 단지 「둘레 방향」이라고 부르며, 중심축(J)과 평행한 방향(즉, 상하 방향 또는 Z축 방향)을 축 방향이라고 부른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라는 것은 엄밀하게 중심축(J)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경우에 추가해서, 축 방향에 대하여 45° 미만의 범위 내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될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지름 방향으로 연장된다라는 것은 엄밀하게 지름 방향, 즉 상하 방향(Z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될 경우에 추가해서, 지름 방향에 대하여 45° 미만의 범위 내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될 경우도 포함한다.
<모터>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모터(1)를 나타내는 평면도(+Z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르는 모터(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모터(1)의 분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모터(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10)와, 스테이터(20)와, 제 1 베어링(12)과, 제 2 베어링(13)과, 베어링 홀더(30)와, 버스바(40)를 갖는 버스바 유닛(49)과, 코일 서포트(50)와, 하우징(60)을 구비한다.
[로터]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10)는 샤프트(11)와, 로터 코어(14)와, 로터 마그넷(15)을 갖는다. 샤프트(11)는 축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J)을 중심으로 한다. 샤프트(11)는 제 1 베어링(12)과 제 2 베어링(13)에 의하여 중심축(J)의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샤프트(11)의 상측 단부(11a)는 베어링 홀더(30)에 대하여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11)의 상측 단부(11a)에는 센서 마그넷(16)이 고정되어 있다. 센서 마그넷(16)의 상측에는, 도시 생략의 센서 소자가 대향해서 배치되고, 센서 소자에 의해 샤프트(11)의 회전각이 측정된다. 샤프트(11)의 하측 단부(11b)는 출력축 구멍부(61a)를 통해서 하우징(6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샤프트(11)의 하측 단부(11b)에는 모터(1)의 구동 대상물이 부착된다.
로터 코어(14)는 샤프트(11)에 고정되어 있다. 로터 코어(14)는 샤프트(11)를 둘레 방향으로 둘러싸고 있다. 로터 마그넷(15)은 로터 코어(14)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외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로터 코어(14) 및 로터 마그넷(15)은 샤프트(11)와 일체로 되어서 회전한다.
[스테이터]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20)는 로터(10)와 대향해서 로터(10)의 지름 방향 외측을 둘러싸고 있다. 스테이터(20)는 스테이터 코어(25)와, 상측 인슐레이터(26)와, 하측 인슐레이터(27)와, 복수의 코일(21)을 갖는다. 스테이터 코어(25)는 코어백부(25a)와, 코어백부(25a)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티스부(25b)를 갖는다. 티스부(25b)에는 상측 인슐레이터(26) 및 하측 인슐레이터(27)를 통해서 코일(21)이 권취된다.
상측 인슐레이터(26)는 스테이터 코어(25)의 상측에 위치한다. 하측 인슐레이터(27)는 스테이터 코어(25)의 하측에 위치한다. 상측 인슐레이터(26)와 하측 인슐레이터(27)는 스테이터 코어(25)의 티스부(25b)의 둘레 방향 끝면 및 축 방향 끝면을 덮는다.
도 4는 모터(1)의 중심축(J)을 따르고 또한 도 2와는 다른 단면을 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인슐레이터(26)에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클로부(26a)가 설치되어 있다. 클로부(26a)는 스테이터(20)의 내주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클로부(26a)의 상단부에는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기(26b)가 형성되어 있다. 클로부(26a)의 상단부의 돌기(26b)는 후술하는 코일 서포트(50)의 클로 수용부(56)에 걸린다.
도 5에, 스테이터(20)의 평면도(+Z측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낸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스테이터(20)는 하우징(60)에 수용된 상태로서 나타낸다. 또한, 도 5에는 하나의 버스바(40)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스테이터(20)는 12개의 코일(21)을 갖는다. 각 코일(21)로부터는 코일 선(22)이 연장되어 있다. 코일 선(22)은 스테이터(20)의 상측을 통과하여 코일 서포트(50)의 개구부(53)(도 1 참조)의 하측까지 둘러쳐져 있다. 코일 선(22)의 단부인 코일단(21a)은 개구부(53)를 통과해서 개구부(53)의 상측에서 버스바(40)에 접속되어 있다.
12개의 코일(21)은 2세트의 삼상회로를 구성한다. 한쪽의 삼상회로는 U상, V상, W상에 각각 2개의 코일(21)을 갖는다. 다른쪽의 삼상회로는, U'상, V'상, W'상에 각각 2개의 코일(21)을 갖는다. 동 세트의 삼상회로의 동 상의 코일(21)로부터 연장되는 코일단(21a)끼리는 동일한 버스바(40)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동 세트의 삼상회로의 동 상의 코일(21)끼리는 병렬 접속되어 있다.
각 코일(21)로부터는 상하로 한개씩 코일 선(22)이 인출된다. 코일단(21a)은 코일(21)의 권취 시작 또는 권취 끝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코일 선(22)의 단부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코일(21)의 권취 시작 및 권취 끝으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접속단자측(상측)에 코일 선(22)이 인출되는 위치는, 스테이터(20)의 지름 방향 외측이다. 코일(21)로부터 연장되는 코일 선(22)은 스테이터(20)의 상측에 있어서 지름 방향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둘러쳐지고, 코일단(21a)에 있어서 스테이터(20)의 지름 방향 내측 근처에서 버스바(40)에 접속된다. 따라서, 코일 선(22)은 스테이터(20) 상면의 지름 방향 내측, 또는 외측에 집중되는 일이 없고, 코일 선(22)이 상하 방향(축 방향)으로 겹치는 것을 억제해서 둘러칠 수 있어 스테이터(20)의 축 방향의 치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베어링]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베어링(12) 및 제 2 베어링(13)은 샤프트(1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 1 베어링(12)은 스테이터(20)의 상측에 위치하고, 제 2 베어링(13)은 스테이터(20)의 하측에 위치한다. 제 1 베어링(12) 및 제 2 베어링(13)의 구성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공지의 베어링을 사용해도 좋다.
[베어링 홀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 홀더(30)는 스테이터(20)의 상측에 위치하고, 스테이터(20)를 축 방향 상측으로부터 덮는다. 베어링 홀더(30)는 제 1 베어링(12)을 지지한다. 베어링 홀더(30)는 하우징(60)에 고정되어 있다. 베어링 홀더(30)의 평면으로 본(XY면으로 본) 형상은, 예를 들면 샤프트(11)와 동심의 원형상이다. 베어링 홀더(30)는 제 1 베어링 유지부(33)와, 원판부(32)를 갖는다.
제 1 베어링 유지부(33)는 샤프트(11)와 동심의 원통 형상이다. 제 1 베어링 유지부(33)의 지름 방향 내측에는 제 1 베어링(12)의 외륜이 끼워맞추어진다. 제 1 베어링 유지부(33)는 상단으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상측 가장자리부(33b)를 갖는다. 상측 가장자리부(33b)의 중앙에는 샤프트(11)와 동심의 원형의 구멍부(33a)가 형성되어 있다. 구멍부(33a)에는 샤프트(11)가 관통한다.
원판부(32)는 제 1 베어링 유지부(33)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원판부(32)의 상하면은 중심축(J)와 직교하고 있다. 원판부(32)에는 복수의 관통구멍(31)이 형성되어 있다. 즉, 베어링 홀더(30)에는 복수의 관통구멍(31)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31)은 베어링 홀더(30)를 축 방향으로 관통한다. 관통구멍(31)에는 코일(21)로부터 연장되는 코일단(21a)이 통과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1개의 관통구멍(31)에는 복수(2개)의 코일단(21a)이 통과한다.
베어링 홀더(30)는 금속제이다. 이 때문에, 베어링 홀더(30)는 강성이 높고, 제 1 베어링(12)을 강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진동 하에 있어서도 제 1 베어링(12)을 통해 베어링 홀더(30)에 지지된 샤프트(11)가 중심축(J)에 대하여 축진동을 일으키기 어려워진다. 이것에 의해, 진동 하에 있어서도 모터(1)의 회전 성능을 안정시킬 수 있다.
[하우징]
하우징(60)은 스테이터(20)와 제 2 베어링(13)을 지지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60)은 상측으로 개구되는 통형상을 갖는다. 하우징(60)은 모터 통형상부(62)와, 저부(63)와, 제 2 베어링 유지부(61)를 갖는다.
모터 통형상부(62)는 스테이터(20)의 지름 방향 외측을 둘러싸는 원통 형상을 갖는다. 모터 통형상부(62)의 내측면에는 스테이터(20)가 고정되어 있다. 저부(63)는 모터 통형상부(62)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베어링 유지부(61)는 저부(63)의 평면으로 볼 때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베어링 유지부(61)는 샤프트(11)와 동심의 원통 형상이다. 제 2 베어링 유지부(61)의 지름 방향 내측에는 제 2 베어링(13)의 외륜이 끼워맞추어져 있다. 제 2 베어링 유지부(61)는 하단으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하측 가장자리부(61b)를 갖고 있다. 하측 가장자리부(61b)의 중앙에는 샤프트(11)와 동심의 원형상을 갖는 출력축 구멍부(61a)가 형성되어 있다.
[버스바 유닛]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바 유닛(49)은 베어링 홀더(30)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버스바 유닛(49)은 하우징(60)의 상측의 개구를 덮는다. 버스바 유닛(49)은 하우징(60)에 고정되어 있다. 버스바 유닛(49)은 버스바 홀더(48)와, 복수(6개)의 버스바(40)를 갖는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바(40)는 본체부(42)와, 접속단자(41)를 갖는다. 본체부(42)는 도시 생략의 외부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소켓부(42a)를 갖는다.
접속단자(41)는 코일(21)로부터 연장되는 코일단(21a)과 접속된다. 접속단자(41)는 지름 방향 외측으로 개구되는 U자 형상을 갖는다. 접속단자(41)와 코일단(21a)은 코일단(21a)을 사이에 둔 상태로 용접함으로써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1에는 접속단자(41)와 코일단(21a)이 접속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접속단자(41)는 코일단(21a)을 끼워넣도록 전극봉(도시 생략)에 의해 가압되어서, 또한 전극봉으로부터 전류가 흘려짐으로써 코일단(21a)과 용접(저항 용접)된다.
접속단자(41)는 본체부(42)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코일단(21a)은 스테이터(20)의 상측에 있어서 지름 방향 외측 근처의 위치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 근처로 둘러쳐져서 접속단자(41)와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1개의 접속단자(41)에는 복수(2개)의 코일단(21a)이 접속된다. 코일단(21a)에 접속되는 복수의 코일단(21a)은 동 상의 코일단(21a)이다. 이와 같이, 버스바(40)의 1개의 접속단자(41)에 복수의 코일단(21a)을 접속함으로써 버스바(40)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접속단자(41)에 코일단(21a)을 접속함으로써 동 상의 코일단(21a)끼리를 결선할 수 있다. 즉, 제조 공정에 있어서 코일단(21a)의 결선을 위한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 공정의 간소화를 꾀할 수 있다.
버스바 홀더(48)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고, 버스바(40)의 일부를 메워넣어서 인서트 성형함으로써 일체화한 버스바 유닛(49)을 구성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바 홀더(48)는 원통부(45)와, 버스바 유지부(46)와, 복수의 다리부(47)를 갖는다. 원통부(45)는 샤프트(11)와 동심의 원통 형상을 갖고 상하로 개구된다. 원통부(45)의 내측에는 샤프트(11)가 관통한다. 버스바 유지부(46)는 원통부(45)를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는 원환 형상을 갖는다. 버스바 유지부(46)의 내부에는 버스바(40)의 본체부(42)가 메워넣어져 있다. 원통부(45)와 버스바 유지부(46) 사이에는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리부(4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원통부(45)와 버스바 유지부(46) 사이에는 버스바(40)의 접속단자(41)가 위치한다.
[코일 서포트]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서포트(50)는 스테이터(20)와 베어링 홀더(30)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코일 서포트(50)는 스테이터(20)에 고정되어 있다. 코일 서포트(50)는, 예를 들면 수지 등의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서포트(50)는 환상 판부(55)와, 복수의(6개의) 절연 지지부(51)과, 복수의 클로 수용부(56)를 갖는다. 절연 지지부(51)에는 코일단(21a)을 통과시키는 개구부(53)가 형성되어 있다.
환상 판부(55)는 원환 형상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상하면이 중심축(J)과 직교하고 있다. 환상 판부(55)의 중앙에는 샤프트(11)와 동심의 원형 개구(55a)가 형성되어 있다. 원형 개구(55a)에는 샤프트(11)가 관통한다. 환상 판부(55)는 스테이터(20)의 상측, 또한 베어링 홀더(30)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환상 판부(55)는 스테이터(20)의 상측에서 둘러쳐져 있는 코일 선(22)(도 5 참조)의 상측을 덮고, 코일 선(22)과 베어링 홀더(30)의 절연을 확보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클로 수용부(56)는 각각 환상 판부(55)의 내주 가장자리(55b)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복수의 클로 수용부(56)는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상측 인슐레이터(26)의 클로부(26a)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클로 수용부(56)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지지축(56a)과, 지지축(56a)의 하단끼리를 연결하는 하단 클로 수용체(56b)를 갖고, 직사각형의 프레임형상을 구성한다.
클로 수용부(56)의 하단 클로 수용체(56b)에는 상측 인슐레이터(26)의 클로부(26a)의 돌기(26b)가 걸려 고정된다. 즉, 코일 서포트(50)의 클로 수용부(56)와 상측 인슐레이터(26)의 클로부(26a)는 스냅피트를 구성한다. 스냅피트에 의해, 코일 서포트(50)는 상측 인슐레이터(26)에 고정된다. 코일 서포트(50)는 둘레 방향의 위치를 맞춰서 스테이터(20)에 겹쳐짐으로써 용이하게 스테이터(20)에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코일 서포트(50)를 스테이터(20)에 고정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코일단(21a)의 개구부(53) 및 관통구멍(31)으로의 삽입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모터(1)에서는, 조립 작업자는 코일 서포트(50)의 개구부(53)에 코일단(21a)을 통과시키면서 코일 서포트(50)를 스테이터(20)에 부착한다. 그 후에, 코일 서포트(50)의 상측으로부터 베어링 홀더(30)의 관통구멍(31)으로 코일단(21a)을 통과시키면서 베어링 홀더(30)를 부착한다. 이와 같이, 코일 서포트(50)를 스테이터(20)에 고정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코일단(21a)은 개구부(53)와 관통구멍(31)에 각각 삽입하는 조립 순서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베어링 홀더(30)의 부착 공정에서는 코일단(21a)이 코일 서포트(50)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단(21a)의 관통구멍(31)의 삽입이 용이하다. 비교예로서 코일 서포트(50)가 베어링 홀더(30)에 고정될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조립 작업자는 코일단(21a)을 코일 서포트(50)의 개구부(53)와 베어링 홀더(30)의 관통구멍(31)에 연속해서 삽입할 필요가 생긴다. 또한, 삽입할 때에 코일단(21a)은 지지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삽입의 곤란성이 증가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서포트(50)의 복수의 절연 지지부(51)는 환상 판부(55)의 내주 가장자리(55b)를 따라서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절연 지지부(51)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부(5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연 지지부(51)는 개구부(53)의 가장자리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베어링 홀더(30)측(즉, 상측)으로 연장되는 벽부(52)를 갖는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53)는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너라운딩된 장구멍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1개의 개구부(53)에는 복수(2개)의 코일단(21a)이 통과한다. 동일의 개구부(53)를 통과하는 복수의 코일단(21a)은 동 상의 코일단(21a)이다.
개구부(53)에 동 상의 코일단(21a)을 한데 모아서 통과시킴으로써 다른 상의 코일단(21a)끼리가 단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53)는 버스바(40)의 1개의 접속단자(41)에 접속되는 코일단(21a)을 묶는 기능을 하고, 접속단자(41)에의 코일단(21a)의 접속이 용이하게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53)는 축 방향을 따라 크기가 다른 제 1 영역(53a)과 제 2 영역(53b)을 갖는다. 제 1 영역(53a)은 상측[스테이터(20)와 반대측]에 위치하고, 제 2 영역(53b)은 하측에 위치한다. 제 1 영역(53a)과 비교해서 제 2 영역(53b)은 크게 개구되어 있다. 제 1 영역(53a)은 개구부(53)의 가장 좁은 부분이다. 제 1 영역(53a)과 제 2 영역(53b)은 테이퍼면에 의해 완만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개구부(53)는 스테이터(20)측(하측)을 향해서 확장되어 있다. 코일단(21a)은 스테이터(20)측으로부터 개구부(53)로 삽입되기 때문에, 개구부(53)를 하측을 향해서 확장되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삽입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개구부(53)의 제 1 영역(53a)(즉, 가장 좁은 부분)은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베어링 홀더(30)의 관통구멍(31)의 내측에 위치한다. 개구부(53)를 통과하는 코일단(21a)은 베어링 홀더(30)의 관통구멍(31)의 내측을 통과한다. 이것에 의해, 개구부(53)는 베어링 홀더(30)와 코일단(21a)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벽부(52)는 개구부(53)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통형상을 갖고 있다. 즉, 벽부(52)의 내측에는 개구부(53)가 형성되어 있다. 벽부(52)는 코일단(21a)의 외주를 둘러싸서 지지한다. 이것에 의해, 벽부(52)는 코일단(21a)의 외주를 축 방향의 충분한 길이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코일단(21a)의 지지의 확실성을 높일 수 있다.
벽부(52)는 베어링 홀더(30)의 관통구멍(31)을 관통한다. 벽부(52)는 코일단(21a)의 외주와 베어링 홀더(30)의 관통구멍(31)의 내주면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코일단(21a)과 관통구멍(31)의 내주면이 벽부(52)에 의해 칸막이되고, 코일단(21a)과 베어링 홀더(30)의 절연의 확실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모터(1)에 의하면, 코일 서포트(50)의 절연 지지부(51)에 의해 코일단(21a)을 지지함으로써 코일단(21a)을 위치결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코일단(21a)과 버스바(40)의 접속단자(41)의 접속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코일 서포트(50)의 절연 지지부(51)의 지지에 의해 코일단(21a)이 베어링 홀더(30)의 관통구멍(31)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코일단(21a)과 베어링 홀더(30)의 절연의 확실성을 높여서 모터(1)의 동작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변형예 1∼변형예 3>
이어서, 상술한 모터(1)에 채용 가능한, 변형예 1∼변형예 3의 스테이터(20A)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도 8은 변형예 1∼변형예 3의 스테이터(20A, 20B, 20C)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6∼도 8에 있어서 스테이터(20A, 20B, 20C)는 하우징(60)에 수용된 상태로서 나타낸다. 또한 도 6∼도 8에는 한 개의 버스바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변형예 1∼변형예 3의 스테이터(20A, 20B, 20C)는 코일(21)의 권취 시작 및 권취 끝으로부터 상측으로 코일 선(22)이 인출되는 위치 또는 코일단(21a)과 버스바의 접속 위치가 상술한 실시형태와 다르다.
도 6에 나타내는 변형예 1에 있어서, 버스바(40)는 상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본체부(42)와, 본체부(42)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접속단자(41)를 갖는다. 또한, 스테이터(20A)는 코일(21)의 권취 시작 및 권취 끝으로부터 상측으로 코일 선(22A)이 인출되는 위치가 스테이터(20A)의 지름 방향 내측이다. 스테이터(20A)에 있어서, 코일(21)로부터 연장되는 코일단(21a)은 스테이터(20A)의 지름 방향 내측 근처에서 버스바(40)에 접속된다. 스테이터(20A)의 상측에 있어서 코일 선(22A)은 스테이터(20A)의 내측 근처에 집중하여 둘러쳐져 있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코일 선(22A)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코일 선(22A)의 둘러침이 용이하게 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변형예 2에 있어서, 버스바(40B)는 본체부(42B)와, 본체부(42B)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접속단자(41B)를 갖는다. 또한, 스테이터(20B)는 코일(21)의 권취 시작 및 권취 끝으로부터 상측으로 코일 선(22B)이 인출되는 위치가 스테이터(20B)의 지름 방향 외측이다. 스테이터(20B)에 있어서, 코일(21)로부터 연장되는 코일단(21a)은 스테이터(20B)의 지름 방향 외측 근처에서 버스바(40B)에 접속된다.
스테이터(20B)의 상측에 있어서 코일 선(22B)은 스테이터(20B)의 외측 근처에 집중하여 둘러쳐져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변형예 1과 마찬가지로 코일 선(22B)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코일 선(22B)의 둘러침이 용이하게 된다.
도 8에 나타내는 변형예 3에 있어서, 버스바(40B)는 변형예 2와 마찬가지로 본체부(42B)와, 본체부(42B)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접속단자(41B)를 갖는다. 또한, 스테이터(20C)는 코일(21)의 권취 시작 및 권취 끝으로부터 상측으로 코일 선(22C)이 인출되는 위치가 스테이터(20C)의 지름 방향 내측이다. 스테이터(20B)에 있어서, 코일(21)로부터 연장되는 코일단(21a)은 스테이터(20A)의 지름 방향 외측 근처에서 버스바(40B)에 접속된다. 스테이터(20)의 상측에 있어서 코일 선(22C)은 지름 방향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둘러쳐져 있다. 이 때문에, 코일 선(22C)은 내측, 또는 외측에 집중할 일이 없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코일 선(22C)을 상하 방향(축 방향)으로 겹치는 것을 억제하면서 둘러칠 수 있어 스테이터(20)의 축 방향의 치수 증대가 억제된다.
<변형예 4>
이어서, 상술한 모터(1)에 채용 가능한, 변형예 4의 코일 서포트(15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변형예의 코일 서포트(150)의 절연 지지부(151)의 사시도이다. 본 변형예의 코일 서포트(150)는 상술의 코일 서포트(50)와 비교하여 절연 지지부(151)의 구성이 다르다.
절연 지지부(151)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부(153)가 형성되어 있다. 절연 지지부(151)에는 1개의 코일단(21a)이 통과한다. 또한, 절연 지지부(151)에는 개구부(153)로부터 일방향(지름 방향 외측)으로 확장되고,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유도 구멍(155)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 지지부(151)는 개구부(153)의 가장자리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는 벽부(152)를 갖는다. 벽부(152)는 축 방향과 직교하는 면내의 일방향(지름 방향 외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벽부(152)의 개구 방향은 개구부(153)에 대하여 유도 구멍(155)이 확장되는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벽부(152)는 개구부(153)의 가장자리에만 형성되고, 유도 구멍(155)의 가장자리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구부(153)와 유도 구멍(155)이 연결되어서 구성된 1개의 구멍 중, 벽부(152)의 내측에 위치하는 영역이 개구부(153)이며, 그 이외의 영역이 유도 구멍(155)이다.
벽부(152)는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U자 형상을 갖는다. 벽부(152)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대향벽(152a)과, 한쌍의 대향벽(152a)을 지름 방향 내측에서 연결하는 연결벽(152b)을 갖는다. 한쌍의 대향벽(152a)끼리가 대향하는 벽면에는 각각 볼록부(152c)가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볼록부(152c)끼리의 거리는 코일단(21a)의 선지름보다 약간 좁게 되어 있다. 벽부(152)의 내측이며, 한쌍의 볼록부(152c)와 연결벽(152b)에 의하여 둘러싸여지는 영역은,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코일단(21a)의 외형을 따르는 형상을 갖는다. 벽부(152)는 한쌍의 볼록부(152c)와 연결벽(152b) 에 의하여 코일단(21a)을 둘러싸서 코일단(21a)을 지지할 수 있다.
벽부(152)의 내측이며, 한쌍의 볼록부(152c)와 연결벽(152b)에 의하여 둘러싸여지는 영역은 개구부(153)의 가장 좁은 부분이다. 개구부(153)의 가장 좁은 부분은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베어링 홀더(30)의 관통구멍(31)의 내측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코일단(21a)을 베어링 홀더(30)의 관통구멍(31)의 내측에서 지지하고, 관통구멍(31)과 코일단(21a)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변형예의 절연 지지부(151)의 개구부(153)에의 코일단(21a)의 삽입 순서를 설명한다. 우선, 작업자는 코일단(21a)을 유도 구멍(155)에 삽입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코일단(21a)을 축 방향 내측으로 이동시키고, 코일단(21a)의 외주면에 의해 한쌍의 볼록부(152c)를 펴서 넓혀서 코일단(21a)을 볼록부(152c)의 지름 방향 내측에 끼워 넣는다. 이것에 의해, 벽부(152)에 의해 코일단(21a)을 지지시킨다.
본 변형예의 절연 지지부(151)에 의하면, 개구부(153)로부터 확장되는 유도 구멍(155)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개구부(153)에의 삽입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코일단(21a)을 볼록부(152c)의 지름 방향 내측에 끼워 넣음으로써 코일단(21a)의 지지의 확실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볼록부(152c)끼리의 거리를 코일단(21a)의 선지름보다 좁게 함으로써 코일단(21a)이 개구부(153)로부터 유도 구멍(155)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절연의 확실성을 높일 수 있다.
벽부(152)는 상술한 실시형태의 벽부(52)와 마찬가지로, 상측으로 연장되어서 베어링 홀더(30)의 관통구멍(31)을 관통해서 배치된다(도 2 참조). 따라서, 벽부(152)는 코일단(21a)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와 베어링 홀더(30)의 관통구멍(31)의 내주면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벽부(152)는 코일단(21a)과 베어링 홀더(30)의 절연의 확실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유도 구멍(155)은 코일 서포트(150)의 일방측(지름 방향 외측)을 향해서 개구되는 노치이어도 좋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 1개의 개구부(153)에는 1개의 코일단(21a)이 통과한다. 그러나, 1개의 개구부(153)에 동 상의 코일(21)로부터 연장되는 2개 이상의 코일단(21a)을 통과시켜도 좋다.
<변형예 5>
이어서, 상술한 모터(1)에 채용 가능한 변형예 5의 코일 서포트(35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변형예 5의 코일 서포트(350)를 채용한 모터(1)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의 코일 서포트(350)는 상술의 코일 서포트(50)와 비교하여 주로 절연 지지부(351)의 구성이 다르다. 코일 서포트(350)의 절연 지지부(351)는 벽부를 갖고 있지 않다.
코일 서포트(350)는 스테이터(20)와 베어링 홀더(3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코일 서포트(350)는 스테이터(20)에 고정되어 있다. 코일 서포트(350)는 절연 지지부(351)를 갖는다. 절연 지지부(351)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부(353)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353)에는 코일단(21a)이 통과한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 1개의 개구부(353)에는 2개 이상의 코일단(21a)을 통과시켜도 좋다.
개구부(353)는 베어링 홀더(30)의 관통구멍(31)보다 작은 개구 지름을 갖는다. 개구부(353)는 축 방향으로 똑같은 내경을 갖고, 축 방향을 따르는 전역이 가장 좁은 부분이다. 개구부(353)는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관통구멍(31)의 내측에 위치한다. 개구부(353)를 통과하는 코일단(21a)은 베어링 홀더(30)의 관통구멍(31)의 내측을 통과한다. 이것에 의해, 개구부(353)는 베어링 홀더(30)와 코일단(21a)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코일 서포트(350)가 개구부(353)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벽부를 갖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이여도, 개구부(353)의 가장 좁은 부분이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관통구멍(31)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으면, 코일단(21a)과 베어링 홀더(30)의 접촉을 억제해 절연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353)의 가장 좁은 부분의 내경은 관통구멍(31)의 내경에 대하여 작을수록, 코일단(21a)이 기울었을 경우에도 절연 확보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개구부(353)는 관통구멍(31)에 가까울수록 코일단(21a)이 기울었을 경우에도 절연 확보가 용이하게 된다.
<변형예 6>
이어서, 변형예 6의 모터(2)를 설명한다. 도 11은 본 변형예의 모터(2)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12는 도 11의 XII-X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모터(2)는 상술의 모터(1)와 비교하여 코일 서포트(50)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점과, 버스바 유닛(249)의 구성이 주로 다르다. 모터(2)에 관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의 모터(1)와 동일 형태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모터(2)는 상술한 모터(1)와 마찬가지로, 로터(10)와, 스테이터(20)와, 제 1 베어링(12)과, 제 2 베어링(13)과, 베어링 홀더(30)와, 하우징(60)을 구비하고 있다(도 2 참조).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2)는 버스바 유닛(249)을 구비하고 있다.
버스바 유닛(249)은 베어링 홀더(30)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버스바 유닛(249)은 버스바[중성점용 버스바(240A) 및 상용 버스바(240B)]와 버스바 홀더(248)를 갖는다. 즉, 모터(2)는 버스바(240A, 240B)와, 버스바 홀더(248)를 구비하고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성점용 버스바(버스바)(240A)는 버스바 유닛(249)에 1개 구비되어 있다. 중성점용 버스바(240A)는 본체부(242A)와, 본체부(242A)로부터 연장되는 복수(4개)의 접속단자(241)를 갖는다. 중성점용 버스바(240A)는 각각의 접속단자(241)에 접속되는 코일단(21a)끼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스타 결선되는 삼상회로의 중성점으로서 기능한다.
상용 버스바(버스바)(240B)는 버스바 유닛(249)에 3개 구비되어 있다. 상용 버스바(240B)는 본체부(242B)와, 접속단자(241)를 갖는다. 본체부(242B)는 각각의 버스바마다 다른 형상을 갖는다. 본체부(242B)는 도시 생략의 외부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242a)를 갖는다.
도 11에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성점용 버스바(240A) 및 상용 버스바(240B)의 접속단자(241)는 한쪽으로 개구되는 U자 형상을 갖는다. 접속단자(241)와 코일단(21a)의 접속은 코일단(21a)을 끼워넣은 상태에서 용접함으로써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 11에는 접속단자(241)와 코일단(21a)이 접속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1개의 접속단자(241)에 1개의 코일단(21a)이 접속되지만, 복수의 코일단(21a)을 접속해도 좋다.
버스바 홀더(248)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고, 버스바(240A, 240B)의 일부를 메워넣어서 인서트 성형함으로써 일체화한 버스바 유닛(249)을 구성한다. 버스바 홀더(248)는 버스바(240A, 240B)를 지지한다.
도 11에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바 홀더(248)는 원판 형상을 갖는다. 버스바 홀더(248)의 중앙에는 샤프트(11)가 관통하는 구멍(248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버스바 홀더(248)는 둘레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절연 지지부(251)를 갖는다.
절연 지지부(251)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해서 코일단(21a)을 통과시키는 개구부(253)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253)의 상측에는 중성점용 버스바(240A) 또는 상용 버스바(240B)의 접속단자(241)가 위치하고 있고, 개구부(253)를 통과한 코일단(21a)이 접속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 지지부(251)는 개구부(253)의 가장자리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베어링 홀더(30)측(즉, 하측)으로 연장되는 벽부(252)를 갖는다. 즉, 벽부(252)의 내측의 영역이 개구부(253)이다.
벽부(252)는 원통 형상을 갖고 있다. 벽부(252)의 내주면의 하단에는 하측으로 확장되는 테이퍼면(252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벽부(252)의 내측의 개구부(253)는 스테이터(20)측(하측)을 향해서 확장되어 있다. 코일단(21a)은 스테이터(20)측으로부터 개구부(253)에 삽입된다. 개구부(253)를 하측을 향해서 확장되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코일단(21a)은 개구부(253)에 용이하게 삽입된다.
벽부(252)의 내주면 중, 테이퍼면(252a)을 제외하는 부분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둘레면(252b)이 형성되어 있다. 둘레면(252b)에 둘러싸인 영역은 개구부(253)의 가장 좁은 부분이다. 개구부(253)의 가장 좁은 부분은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베어링 홀더(30)의 관통구멍(31)의 내측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코일단(21a)을 베어링 홀더(30)의 관통구멍(31)의 내측에서 지지하고, 관통구멍(31)과 코일단(21a)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벽부(252)는 베어링 홀더(30)의 관통구멍(31)에 삽입된다. 벽부(252)는 코일단(21a)의 외주와 베어링 홀더(30)의 관통구멍(31)의 내주면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코일단(21a)과 관통구멍(31)의 내주면이 벽부(252)에 의해 칸막이되고, 코일단(21a)과 베어링 홀더(30)의 절연의 확실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상술한 모터(1)와 마찬가지로 코일단(21a)과 베어링 홀더(30)의 관통구멍(31)의 절연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모터(1)과 마찬가지로 코일단(21a)을 위치결정해서 코일단(21a)과 접속단자(241)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모터(1)와 비교하여 코일 서포트(50)를 구비하지 않고 상술의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즉, 부품수를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 삭감을 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변형예를 설명했지만,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 및 그것들의 조합 등은 일례이며, 본 발명의 취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의 부가, 생략, 치환 및 기타의 변경이 가능하다.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
이어서, 상술한 모터(1)[또는 모터(2)]를 탑재하는 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모터(1)를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차량 탑재 장치)(500)에 탑재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의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500)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500)는 자동차의 차륜의 조타기구에 탑재된다.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500)는 조타력을 유압에 의해 경감하는 장치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500)는 모터(1)와, 조타축(574)과, 오일펌프(576)와, 컨트롤 밸브(577)를 구비한다.
조타축(574)은 스티어링(571)으로부터의 입력을, 차륜(572)을 갖는 차축(573)에 전달한다. 오일펌프(576)는 차축(573)에 유압에 의한 구동력을 전하는 파워실린더(575)에 유압을 발생시킨다. 컨트롤 밸브(577)는 오일펌프(576)의 오일을 제어한다.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500)에 있어서, 모터(1)는 오일펌프(576)의 구동원으로서 탑재되어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의 모터(1)[또는 모터(2)]는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500)로 대표되는 차량 탑재 장치에 적합하게 채용할 수 있다. 모터(1)는 절연 지지부(51)에 의해서 코일단(21a)과 베어링 홀더(30)의 절연의 확실성을 높이고 있다. 따라서, 차량 탑재 장치와 같은 강한 진동을 받는 환경 하에 있어서도 절연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구성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적당하게 조합시킬 수 있다.
1, 2 : 모터 10 : 로터
11 : 샤프트 12, 13 : 베어링
20, 20A, 20B, 20C : 스테이터 21 : 코일
21a : 코일단 22, 22A, 22B, 22C : 코일 선
26 : (상측)인슐레이터 26a : 클로부
26b : 돌기 27 : (하측)인슐레이터
30 : 베어링 홀더 31 : 관통구멍
40, 40B, 240A, 240B : 버스바 41, 41B, 241 : 접속단자
42, 42B, 242A, 242B : 본체부 48, 248 : 버스바 홀더
49, 249 : 버스바 유닛 50, 150, 350 : 코일 서포트
51, 151, 251, 351 : 절연 지지부 52, 152, 252 : 벽부
53, 153, 253, 353 : 개구부 53a : 제 1 영역
53b : 제 2 영역 56 : 클로 수용부
56b : 하단 클로 수용체 60 : 하우징
152c : 볼록부 155 : 유도 구멍
252a : 테이퍼면
500 :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차량 탑재 장치)
J : 중심축

Claims (16)

  1.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샤프트를 갖는 로터와,
    상기 로터와 대향해서 배치되고 복수의 코일을 갖는 스테이터와,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스테이터를 축 방향으로부터 덮고 상기 베어링을 지지하는 금속제의 베어링 홀더와,
    상기 스테이터에 대하여 상기 베어링 홀더보다 축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코일로부터 연장되는 코일단과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갖는 버스바와,
    상기 스테이터와 상기 베어링 홀더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스테이터에 고정된 코일 서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 홀더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해서 상기 코일단을 통과시키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 서포트는 축 방향으로 관통해서 상기 코일단을 통과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된 절연 지지부를 갖고,
    상기 절연 지지부의 상기 개구부의 가장 좁은 부분은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상기 베어링 홀더의 관통구멍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는 인슐레이터를 갖고,
    상기 코일 서포트는 스냅피트에 의해 상기 인슐레이터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3.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샤프트를 갖는 로터와,
    상기 로터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복수의 코일을 갖는 스테이터와,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스테이터를 축 방향으로부터 덮고 상기 베어링을 지지하는 금속제의 베어링 홀더와,
    상기 스테이터에 대하여 상기 베어링 홀더보다 축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코일로부터 연장되는 코일단과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갖는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를 지지하는 버스바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 홀더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해서 상기 코일단을 통과시키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버스바 홀더는 축 방향으로 관통해서 상기 코일단을 통과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된 절연 지지부를 갖고,
    상기 절연 지지부의 개구부의 가장 좁은 부분은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상기 베어링 홀더의 관통구멍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지지부의 상기 개구부의 가장 좁은 부분은 상기 스테이터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지지부는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서 상기 베어링 홀더측으로 연장되는 벽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가 상기 코일단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베어링 홀더의 관통구멍의 내주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는 상기 코일단의 외주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는 축 방향과 직교하는 면내의 일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절연 지지부에는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일방향으로 확장되고,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유도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스테이터측을 향해서 확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지지부의 1개의 상기 개구부 및 상기 베어링 홀더의 1개의 관통구멍에는,
    복수의 상기 코일단이 통과하여 복수의 상기 코일단이 상기 버스바의 1개의 상기 접속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동일의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는 복수의 상기 코일단은 동 상의 코일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접속단자를 갖고,
    상기 코일의 권취 시작 및 권취 끝으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접속단자측으로 코일선이 인출되는 위치는 상기 스테이터의 지름 방향 외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접속단자를 갖고,
    상기 코일의 권취 시작 및 권취 끝으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접속단자측으로 코일선이 인출되는 위치는 상기 스테이터의 지름 방향 내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접속단자를 갖고,
    상기 코일의 권취 시작 및 권취 끝으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접속단자측으로 코일선이 인출되는 위치는 상기 스테이터의 지름 방향 외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접속단자를 갖고,
    상기 코일의 권취 시작 및 권취 끝으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접속단자측으로 코일선이 인출되는 위치는 상기 스테이터의 지름 방향 내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장치.
KR1020150160265A 2015-03-30 2015-11-16 모터 및 차량 탑재 장치 KR1017262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69814 2015-03-30
JP2015069814A JP6589336B2 (ja) 2015-03-30 2015-03-30 モータおよび車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137A true KR20160117137A (ko) 2016-10-10
KR101726204B1 KR101726204B1 (ko) 2017-04-12

Family

ID=56937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265A KR101726204B1 (ko) 2015-03-30 2015-11-16 모터 및 차량 탑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63120B2 (ko)
JP (1) JP6589336B2 (ko)
KR (1) KR101726204B1 (ko)
CN (1) CN106026476B (ko)
DE (1) DE1020162046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35982B2 (ja) * 2013-01-17 2017-05-31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JP6681261B2 (ja) * 2016-04-28 2020-04-15 住友理工株式会社 電磁式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能動型制振装置
CN107846128B (zh) * 2016-09-18 2022-05-31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直流无刷电机及使用其的电动助力转向系统
US11171536B2 (en) 2016-11-07 2021-11-09 Lg Innotek Co., Ltd. Cover assembly and motor including same
DE112017005930T5 (de) * 2016-11-23 2019-08-01 Nidec Corporation Motor und elektrische servolenkvorrichtung
JP2018107988A (ja) * 2016-12-28 2018-07-05 日本電産株式会社 引出線位置決め装置、ステータの製造方法、モータの製造方法、及びモータ
JP6834479B2 (ja) * 2016-12-28 2021-02-24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CN110495076B (zh) * 2017-03-31 2021-06-04 日本电产株式会社 汇流条单元和马达
WO2018180816A1 (ja) * 2017-03-31 2018-10-04 日本電産株式会社 バスバーユニットおよびモータ
US11056946B2 (en) 2017-03-31 2021-07-06 Nidec Corporation Bus bar unit and motor
CN110476328B (zh) 2017-03-31 2021-11-30 日本电产株式会社 汇流条单元和马达
US11196316B2 (en) * 2017-03-31 2021-12-07 Nidec Corporation Motor and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CN110476330A (zh) * 2017-03-31 2019-11-19 日本电产株式会社 汇流条单元和马达
WO2018180639A1 (ja) * 2017-03-31 2018-10-04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CN110476327B (zh) 2017-03-31 2021-08-06 日本电产株式会社 汇流条单元和马达
FR3065125B1 (fr) * 2017-04-10 2019-07-05 Somfy Sas Moteur electrique synchrone et procede d'assemblage de ce moteur electrique
JP2019022311A (ja) * 2017-07-14 2019-02-07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製造方法及びモータ
JP2019022312A (ja) * 2017-07-14 2019-02-07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製造方法及びモータ
JP2019062708A (ja) * 2017-09-28 2019-04-18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JPWO2019065586A1 (ja) * 2017-09-28 2020-10-22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WO2019065140A1 (ja) * 2017-09-29 2019-04-04 日本電産株式会社 ステータ、モータおよび圧縮機
WO2019065141A1 (ja) * 2017-09-29 2019-04-04 日本電産株式会社 ステータ、モータ、圧縮機およびステータの製造方法
WO2019074290A2 (ko) * 2017-10-11 2019-04-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CN111247719B (zh) * 2017-10-20 2022-06-14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定子、电动机和压缩机
WO2019102641A1 (ja) * 2017-11-24 2019-05-31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CN110224525A (zh) * 2018-03-01 2019-09-10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电机及其壳体
CN111919365B (zh) * 2018-03-23 2023-05-30 日本电产株式会社 马达和电动助力转向装置
JP2019180198A (ja) * 2018-03-30 2019-10-17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JP2019180197A (ja) * 2018-03-30 2019-10-17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CN112005468A (zh) * 2018-04-24 2020-11-27 日本电产株式会社 汇流条单元、马达以及电动助力转向装置
CN111989846A (zh) * 2018-04-24 2020-11-24 日本电产株式会社 汇流条单元、马达以及电动助力转向装置
CN112020813A (zh) * 2018-04-24 2020-12-01 日本电产株式会社 汇流条单元、马达以及电动助力转向装置
DE102019107526A1 (de) * 2018-07-11 2020-01-16 Hanon Systems Vorrichtung zum Antreiben eines Verdichters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r Vorrichtung
CN208581108U (zh) * 2018-07-18 2019-03-05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转接端子、定子组装结构及电机
JP7234559B2 (ja) * 2018-09-28 2023-03-08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JP2020054208A (ja) * 2018-09-28 2020-04-02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JP7081429B2 (ja) * 2018-09-28 2022-06-07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JP7218861B2 (ja) * 2018-12-18 2023-02-07 Kyb株式会社 回転電機
WO2020195396A1 (ja) * 2019-03-28 2020-10-01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JP2021158775A (ja) * 2020-03-26 2021-10-07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CN115336144A (zh) * 2020-03-31 2022-11-11 日本电产株式会社 马达
FR3119948A1 (fr) * 2021-02-16 2022-08-19 Valeo Equipements Electriques Moteur Interconnecteur pour une machine électrique tournant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2738A (ko) 1972-04-27 1974-01-11
JPS492738B1 (ko) * 1970-11-13 1974-01-22
JP2004040853A (ja) * 2002-06-28 2004-02-05 Mitsuba Corp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8079465A (ja) * 2006-09-22 2008-04-03 Mitsuba Corp ブラシレスモータ
KR20110040574A (ko) * 2009-10-14 2011-04-20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의 구동모터용 레졸버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056Y2 (ja) * 1988-08-17 1994-07-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電動機の口出線構造
DE19642132A1 (de) * 1996-10-12 1998-04-16 Bosch Gmbh Robert Elektromotor
JP4536664B2 (ja) * 2006-01-19 2010-09-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コンデンサー搭載誘導電動機及び換気装置
JP2008118792A (ja) * 2006-11-06 2008-05-22 Jtekt Corp 電動モータ及びバスバー端子構造
US7723879B2 (en) * 2006-12-12 2010-05-25 Nidec Corporation Motor having multiple busbar plates and wire for the same
TWI334682B (en) * 2007-01-26 2010-12-11 Delta Electronics Inc Motor and bearing supporting structure thereof
CN101682246B (zh) * 2007-05-25 2013-08-21 三菱电机株式会社 无刷电动机
JP5239413B2 (ja) 2008-03-13 2013-07-17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JP2010009644A (ja) * 2008-06-24 2010-01-14 Alphana Technology Co Ltd ディスク駆動装置
JP2010178436A (ja) * 2009-01-27 2010-08-12 Nippon Densan Corp バスバーユニット、モータ及び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2223030A (ja) * 2011-04-13 2012-11-12 Jtekt Corp 電動モータおよびステータ
JP6135982B2 (ja) 2013-01-17 2017-05-31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JP6239393B2 (ja) * 2014-01-27 2017-11-29 愛三工業株式会社 燃料ポンプ
JP5839627B2 (ja) * 2014-06-04 2016-01-0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ブラシレスモー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2738B1 (ko) * 1970-11-13 1974-01-22
JPS492738A (ko) 1972-04-27 1974-01-11
JP2004040853A (ja) * 2002-06-28 2004-02-05 Mitsuba Corp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8079465A (ja) * 2006-09-22 2008-04-03 Mitsuba Corp ブラシレスモータ
KR20110040574A (ko) * 2009-10-14 2011-04-20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의 구동모터용 레졸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6204B1 (ko) 2017-04-12
JP2016189687A (ja) 2016-11-04
US10063120B2 (en) 2018-08-28
CN106026476A (zh) 2016-10-12
US20160294240A1 (en) 2016-10-06
DE102016204647A1 (de) 2016-10-06
CN106026476B (zh) 2019-01-29
JP6589336B2 (ja) 2019-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6204B1 (ko) 모터 및 차량 탑재 장치
US11557936B2 (en) Motor including a bearing holder with through-holes
CN110601388B (zh) 马达
CN108039787B (zh) 定子单元以及马达
US8729754B2 (en) Motor incuding bearing supported by busbar holder
JP6178869B2 (ja) 自動車部品用の電気モータ
US11271448B2 (en) Stator, mo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tator
US11411453B2 (en) Motor
JPWO2020013078A1 (ja) モータ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9170013A (ja) モータ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20054162A (ja) モータ
US11881747B2 (en) Motor
JP5896333B2 (ja) モータ
JPWO2018062349A1 (ja) ロータユニット、モータ、及びロータ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2021016293A (ja) モータ
KR20220067059A (ko) 모터
JP5952571B2 (ja) インシュレータ、及び回転電機
JP2020018165A (ja) モータ
CN111740547B (zh) 马达、车载产品以及马达的组装方法
WO2019082410A1 (ja) バスバーユニット、モータ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114465392B (zh) 马达和电气产品
CN113261180B (zh) 马达
CN109586479B (zh) 马达和电动助力转向装置
CN210075008U (zh) 马达以及车载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