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4449A - 차량 탑재용 기기 및 ev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탑재용 기기 및 ev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4449A
KR20150124449A KR1020157025929A KR20157025929A KR20150124449A KR 20150124449 A KR20150124449 A KR 20150124449A KR 1020157025929 A KR1020157025929 A KR 1020157025929A KR 20157025929 A KR20157025929 A KR 20157025929A KR 20150124449 A KR20150124449 A KR 20150124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vehicle
current position
unit
mounted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5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3626B1 (ko
Inventor
다케시 고레나가
히사지 다케우치
료타 히우라
도모히로 무라타
다케시 나가타
히로미치 나카모토
세이키 가토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24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60L11/1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5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volving identification of vehicles or their battery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18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 G01S5/0027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of actual mobile position, i.e. position determined on mobi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1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L2230/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10Vehicle control parameters
    • B60L2240/12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60Navigation input
    • B60L2240/62Vehicle position
    • B60L2240/622Vehicle position by satellite navig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70Interactions with external data bases, e.g. traffic centres
    • B60L2240/72Charging station selection relying on external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80Time lim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40Control modes
    • B60L2260/44Control modes by parameter esti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피크 시프트에 의해 EV의 충전량을 제어하는 EV 관리 시스템과, 이 EV 관리 시스템에 이용하는 차량 탑재용 기기가 제공된다. 이것에 의해, EV에 탑재된 차량 탑재용 기기는 현재 위치를 검출하고, 네트워크상에 마련된 EV 관리 센터는 미리 작성된 충전 스케줄을 관리한다. 양자가 통신하는 것에 의해 그 시간대에 있어서의 충전 행위의 가부를 확인하고, 확인의 결과를 차량 탑재용 기기의 표시부로부터 운전자에게 통지하는 것에 의해, EV의 충전은 충전 스케줄에 근거하여 관리된다.

Description

차량 탑재용 기기 및 EV 관리 시스템{ONBOARD DEVICE AND EV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EV(Electric Vehicle : 전기 자동차) 관리 시스템과, 이 EV 관리 시스템에 이용하는 차량 탑재용 기기에 관한 것이고, 지역 전체의 전력 소비량을 관리하는 스마트 커뮤니티에 있어서의 EV 관리 시스템과, 이 EV 관리 시스템에 이용하는 차량 탑재용 기기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른바 스마트 커뮤니티 등에서는, 주로 외부로부터 충전되는 충전지를 동력원으로 하여 주행하는 EV가 교통 수단의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것에 의해 저탄소 사회를 구축하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스마트 커뮤니티에 있어서, EV의 운용에 필요한 전력은, 각 가정의 충전 설비나, 전용 충전 설비에 있어서, EV의 충전시에 집중적으로 소비된다. 주민의 대부분의 생활 패턴이 서로 비슷하면, 다수의 EV가 동시에 충전되는 것이 예상된다. 이와 같은 소비 전력의 피크시에도, 스마트 커뮤니티 전체의 소비 전력이 공급 가능 전력을 넘지 않도록, EV 충전 설비의 충전량을 EV 관리 센터 등에 의해 관리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특히, 피크 커트나, 피크 시프트 등으로 불리는 방법을 포함하여, EV 충전을 위해 소비되는 전력의 일부를 피크의 시간대로부터 다른 시간대로 옮기는 구체적인 수법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에 관련하여, 특허 문헌 1(일본 특허 공개 2007-282383호 공보)에는, 전력 부하 평준화 방법 및 시스템과 관련되는 기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전력 부하 평준화 방법 및 시스템은, 통근용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주간의 전력 수요 피크시에는 사용되고 있지 않은 전기 자동차 등의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낮은 비용으로 전력 부하의 평준화를 도모한다.
특허 문헌 2(일본 특허 공개 2011-15521호 공보)에는,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시스템,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방법, 서버, 및 스마트 미터와 관련되는 기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시스템,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방법, 서버, 및 스마트 미터는, 여러 가지의 시간대별 전기 요금을 고려하여 전기 자동차의 충전 비용을 저감한다.
특허 문헌 3(WO2012/017936호 공보)에는, 전력 수급 평준화 시스템의 배터리 정보 출력 장치와 관련되는 기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전력 수급 평준화 시스템의 배터리 정보 출력 장치는, 전력의 피크 커트를 행하기 위해 주간에는 가동하지 않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운전 계획에 근거하여 적절히 방전시켜 유효하게 이용한다.
특허 문헌 4(WO2012/017937호 공보)에는, 전력 수급 평준화 시스템과 관련되는 기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4에 기재된 전력 수급 평준화 시스템은, 전력의 피크 커트를 행하기 위해 주간에는 가동하지 않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운전 계획에 근거하여 적절히 방전시켜 유효하게 이용한다.
특허 문헌 5(일본 특허 공개 2012-213316호 공보)에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의 최적 부하 계획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과 관련되는 기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5에 기재된 전기 자동차의 충전의 최적 부하 계획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은, 전력 수요의 최적 계획을 위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 계획을 입안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특허 문헌 6(일본 특허 공개 2012-228170호 공보)에는, 일체화된 전기 계기 및 전기 자동차 충전 스탠드와 관련되는 기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6에 기재된 일체화된 전기 계기 및 전기 자동차 충전 스탠드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위해 필요한 충전 설비, 계측 설비, 통신 설비를 일체화한 하우징에 수납하여, 간소화된 전기 자동차 충전 스탠드를 제공한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7-282383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11-15521호 공보
(특허 문헌 3) WO2012/017936호 공보
(특허 문헌 4) WO2012/017937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2012-213316호 공보
(특허 문헌 6) 일본 특허 공개 2012-228170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EV의 충전량을 적절히 제어하는 EV 관리 시스템과, 이 EV 관리 시스템에 이용하는 차량 탑재용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 외의 과제와 신규 특징을 본 명세서의 기재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분명히 한다.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EV에 탑재된 차량 탑재용 기기는 현재 위치를 검출하고, 네트워크상에 마련된 EV 관리 센터는 미리 작성된 충전 스케줄을 관리하고, 양자가 통신하는 것에 의해 그 시간대에 있어서의 충전 행위의 가부를 확인하고, 확인의 결과를 차량 탑재용 기기의 표시부로부터 운전자에게 통지한다.
상기 일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EV의 충전을 충전 스케줄에 근거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EV 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회로도이다.
도 2는 EV의 충전량의 제어의 개념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EV 관리 센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 회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차량 탑재용 기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 회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EV 관리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차량 탑재용 기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 회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EV 관리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의한 EV 관리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에 의한 EV 관리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EV 관리 시스템 및 차량 탑재용 기기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이하에 설명한다.
[제 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EV 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회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EV 관리 시스템은, 센터 관리 시스템(20)과, 서버로서도 기능하는 EV 관리 센터(30)와, 네트워크(40)와, 무선 통신망으로서의 휴대 전화망(50)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 전 지구 측위 시스템) 위성군(60)과, 전용 충전 설비(70)와, 가정 충전 설비(80)와, EV(90)를 포함하고 있다. EV(90)는, 충전지(91)와, 충전 회로(92)와, 차량 탑재용 기기(100)를 포함하고 있다. 또, 도 1에 나타낸 구성 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는, 소정의 스마트 커뮤니티(10)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센터 관리 시스템(20)은, 스마트 커뮤니티(10)에 있어서의 에너지의 전반적인 관리를 행하는 CEMS(Community Energy Management System : 지역 에너지 관리 시스템)이더라도 좋다.
도 1에 나타낸 EV 관리 시스템의 구성 요소의 접속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센터 관리 시스템(20)은, EV 관리 센터(30)에 접속되어 있다. EV 관리 센터(30)는, 센터 관리 시스템(20)과, 네트워크(40)에 접속되어 있다. 네트워크(40)는, EV 관리 센터(30)와, 휴대 전화망(50)과, 전용 충전 설비(70)에 접속되어 있다. 휴대 전화망(50)은, EV(90)의 차량 탑재용 기기(100)에 무선 통신으로 접속 가능하다. GPS 위성군(60)은, EV(90)의 차량 탑재용 기기(100)에 위치 측위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전용 충전 설비(70)는, 네트워크(40)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EV(90)의 충전 회로(92)에 충전 플러그 등을 통해서 접속 가능하다. 가정 충전 설비(80)는, EV(90)의 충전 회로(92)에 충전 플러그 등을 통해서 접속 가능하다. EV(90)의 충전 회로(92)는, 충전지(91)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전용 충전 설비(70) 및 가정 충전 설비(80)에 충전 플러그 등을 통해서 접속 가능하다. EV(90)의 차량 탑재용 기기(100)는, 무선 통신에 의해 휴대 전화망(50) 및 GPS 위성군(60)에 접속 가능하다.
도 1에 나타낸 EV 관리 시스템의 구성 요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센터 관리 시스템(20)은, 스마트 커뮤니티(10) 전체를 관리하고 있고, 특히, 스마트 커뮤니티(10)에 있어서의 시간대마다 사용 가능한 전력량을 관리하고 있고, 더 구체적으로는, 스마트 커뮤니티(10) 내에서 EV(90)군의 충전지(91)의 충전용으로 사용 가능한 전력량의 시간 분포를 관리하고 있다. EV 관리 센터(30)는, 센터 관리 시스템(20)이 관리하는 EV 충전용으로 사용 가능한 전력량의 시간 분포에 맞추어, 스마트 커뮤니티(10)에 등록된 모든 EV(90)의 충전 스케줄을 관리하고 있다. 전용 충전 설비(70)는, 네트워크(40)를 통해서 EV 관리 센터(30)의 관리하에 있고, 원칙적으로는 충전 스케줄에서 허가된 범위 내에서, EV(90)의 충전지(91)에 충전 전력을 공급한다. 가정 충전 설비(80)는, EV 관리 센터(30)로부터 관리되지 않고, 원칙적으로는 충전 스케줄과는 관계없이 EV(90)의 충전지(91)에 충전 회로(92)를 통해서 충전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충전 회로(92)는, 전용 충전 설비(70)나 가정 충전 설비(8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 전류, 파형 등을 적절히 변환한 다음 충전지(91)를 충전한다. 충전지(91)는, 충전 회로(92)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으로 충전되고, 또한, 충전된 전력을 EV(90)에 공급한다. 차량 탑재용 기기(100)는, GPS 위성군(60)으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EV(9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함과 아울러, 휴대 전화망(50) 및 네트워크(40)를 통해서 EV 관리 센터(30)와 통신을 행하고, 또한, 충전의 가부가 확인되었을 때에는 EV(90)의 이용자를 향해서 그 취지를 표시하여 통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 2는 EV의 충전량의 제어의 개념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EV 관리 센터(30)가 관리하는 충전 스케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의 그래프는, 제 1 그래프(A)와, 제 2 그래프(B)와, 제 3 그래프(C)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그래프(A)~제 3 그래프(C)의 각각에 있어서, 가로축은 하루의 시간 경과를 나타내고 있고, 세로축은 EV(90)의 충전에 사용되는 전력량을 나타내고 있다.
제 1 그래프(A)는, 센터 관리 시스템(20)이 결정하여 EV 관리 센터(30)에 지시하는, 스마트 커뮤니티(10) 내에서, 시간대마다, EV(90)의 충전에 사용이 허가된 전력의 총량을 나타내고 있다. 제 2 그래프(B)는, EV 관리 센터(30)가 과거의 기록이나 장래의 예측 등에 근거하여 산출하는, 스마트 커뮤니티(10) 내에서, 시간대마다, EV(90)군의 충전에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전력의 총량을 나타내고 있다. 제 3 그래프(C)는, EV 관리 센터(30)가, 제 1 그래프(A)로 나타낸 허가의 범위 내로 억제하기 위해, 제 2 그래프(B)로 나타낸 예상을 제어하여 작성하는 충전 스케줄, 즉, 스마트 커뮤니티(10) 내에서, 시간대마다, EV(90)군의 충전의 사용에 실제로 허가되는 전력의 총량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그래프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 1 그래프(A)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급 가능한 전력량은, 이른 아침 및 야간에는 여유가 있지만, 주간에는 여유가 적다. 또한, 제 2 그래프(B)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예측되는 충전량은 이른 아침, 정오 전후 및 야간에 집중되어 있다. 공급 가능한 전력량은, 이른 아침 및 야간에는 충분하지만, 정오 전후에는 부족할 것이 예측된다. 그래서, 제 3 그래프(C)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오 전후에 요구될 것인 충전 전력을, 오전 및 오후의, 전력 공급량에 여유가 있는 시간대에 할당한다. 이와 같이 작성한 충전 스케줄에 따라서, EV(90)의 운전자가 계획적으로 충전지(91)의 충전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스마트 커뮤니티(10) 내에 있어서의 전력의 소비가 최적화될 수 있거나, 또는 그것에 준하는 상태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EV 관리 센터(30)의 관리하에 있는 모든 EV(90)의 운전자에게, 그날 또는 익일에 있어서의 향후의 충전 요구를, 인터넷에 접속된 정보 단말 등을 이용하여 등록시킨다. EV 관리 센터(30)는, 센터 관리 시스템(20)으로부터 요구된 충전 지시량을 모든 시간대에서 하회하도록, 각 운전자로부터 등록된 충전 요구를 적절하게 조정한 충전 스케줄을 작성한다.
그 후, 작성된 충전 스케줄은, 각 운전자에게, 정보 단말 등을 통해서 통지된다. 운전자가 EV(90)의 충전을 개시할 때에, 그 충전 행위가 충전 스케줄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EV(90)의 차량 탑재용 기기(100)에 충전의 정지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 메시지는, 정보 단말에 송신하더라도 좋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EV 관리 센터(3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 회로도이다. 도 3에 나타낸 EV 관리 센터(30)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EV 관리 센터(30)는, 인터넷 I/F(InterFace : 인터페이스)(31)와, 제어부(32)와, 충전량 지시 저장부(33)와, 충전 스케줄 작성부(34)와, 충전량 가산부(35)와, 충전 경향 추정부(36)를 포함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EV 관리 센터(30)의 구성 요소의 접속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터넷 I/F(31)는, 네트워크(40)와, 제어부(32)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32)는, 인터넷 I/F(31)와, 충전량 지시 저장부(33)와, 충전 스케줄 작성부(34)와, 충전량 가산부(35)와, 충전 경향 추정부(36)에 접속되어 있다. 충전량 지시 저장부(33)는, 제어부(32)와, 충전 스케줄 작성부(34)와, 충전량 가산부(35)와, 충전 경향 추정부(36)에 접속되어 있다. 충전 스케줄 작성부(34)는, 제어부(32)와, 충전량 지시 저장부(33)와, 충전량 가산부(35)와, 충전 경향 추정부(36)에 접속되어 있다. 충전량 가산부(35)는, 제어부(32)와, 충전량 지시 저장부(33)와, 충전 스케줄 작성부(34)와, 충전 경향 추정부(36)에 접속되어 있다. 충전 경향 추정부(36)는, 제어부(32)와, 충전량 지시 저장부(33)와, 충전 스케줄 작성부(34)와, 충전량 가산부(35)에 접속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EV 관리 센터(30)의 구성 요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터넷 I/F(31)는, 제어부(32)가 네트워크(40)를 통해서 송수신하는 신호를 중계한다. 충전량 지시 저장부(33)는, 센터 관리 시스템(20)으로부터 지시받은 충전량과 관련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충전량 가산부(35)는, 각 운전자가 등록한 충전 요구를 시간대마다 가산하여, 요구된 충전량을 산출한다. 충전 경향 추정부(36)는, 산출된 충전 요구량에, 실제의 충전량과 관련되는 과거의 데이터나, 일기 예보 등의 충전 행위의 변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장래의 데이터 등을 가미하여, 예측되는 충전량을 추정한다. 충전 스케줄 작성부(34)는, 충전량 지시 저장부(33)에 저장된 충전 지시량과, 충전 경향 추정부(36)에서 추정한 충전 예상량에 근거하여, 충전 스케줄을 작성한다. 여기서, 충전량 지시 저장부(33), 충전량 가산부(35), 충전 경향 추정부(36) 및 충전 스케줄 작성부(34)가 행하는 동작은, 제어부(32)의 제어하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32)는, 그 외에, 차량 탑재용 기기(100)나, 전용 충전 설비(70)나, 도시하지 않는 정보 단말 등과의 통신도 행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차량 탑재용 기기(1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 회로도이다. 도 4a에 나타낸 차량 탑재용 기기(100)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에 나타낸 차량 탑재용 기기(100)는, 전원부(110)와, 버스(120)와, 입출력부(130)와, 연산부(140)와, 기억부(150)와, 현재 위치 검출부로서의 GPS부(160)를 포함하고 있다. 입출력부(130)는, 무선 통신 회로(131)와, 표시 장치(132)와, ACC(ACCessory : 액세서리) 신호 입력부와, IGCT(이그니션) 신호 입력부와, 충전 개시 신호 입력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 입출력부(130)는, 반드시 ACC 신호 입력부와, IGCT 신호 입력부와, 충전 개시 신호 입력부의 전부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좋다.
도 4a에 나타낸 차량 탑재용 기기(100)의 구성 요소의 접속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원부(110)는, 입출력부(130)와, 연산부(140)와, 기억부(150)와, GPS부(160)에 접속되어 있다. 버스(120)는, 입출력부(130)와, 연산부(140)와, 기억부(150)와, GPS부(160)에 접속되어 있다.
도 4a에 나타낸 차량 탑재용 기기(100)의 구성 요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원부(110)는, EV(90)의 도시하지 않는 배터리 또는 충전지(91)로부터 전력을 입력받아, 필요에 따라서 안정된 전력을 생성하여 각 회로를 향해서 출력한다. 입출력부(130)는, EV(90)로부터 출력되는 조작 신호, 보다 구체적으로는 ACC 신호나, IGCT 신호, 충전 개시 신호 등을 입력받아, 버스(120)를 통해서 각 회로에 전달한다. GPS부(160)는, GPS 위성군(60)으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EV(90) 및 차량 탑재용 기기(10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고, 버스(120)를 통해서 각 회로에 전달한다. 무선 통신 회로(131)는, 휴대 전화망(50) 및 네트워크(40)를 통해서 EV 관리 센터(30) 등과의 통신을 행한다. 표시 장치(132)는, 주로 충전 행위의 가부와 관련되는 메시지 등을 EV(90)의 운전자를 향해서 표시한다. 이 메시지는, 일반적으로는 시각 정보이지만, 음성 등의 청각 정보를 포함하더라도 좋고, 그 경우에 표시 장치(132)는 음성의 출력 장치를 포함하더라도 좋다. 연산부(140)는, 상기의 각 회로를 제어하고, 또한, 그 외의 필요한 연산을 행한다. 기억부(150)는, 차량 탑재용 기기(100)의 식별 번호를 저장하고 있다. 기억부(150)는, 또한, 연산부(14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등을 판독 가능하게 저장하고 있더라도 좋다.
또, 이 메시지는, 운전자가 사전에 등록한 휴대 전화 단말이나 스마트폰 등의 정보 단말도 이용하여 운전자에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정보 단말로의 통신은, 차량 탑재용 기기(100)로부터 무선 신호로 행하더라도 좋고, 휴대 전화망(50)을 통해서 행하더라도 좋고, EV 관리 센터로부터 네트워크(40) 및 휴대 전화망(50)을 통해서 행하더라도 상관없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EV 관리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4b에 나타낸 시퀀스도는, 충전 회로(92)와, 차량 탑재용 기기(100)와, EV 관리 센터(30)가 각각 행하는 동작과, 그때에 서로 송수신하는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동작을 제 1 스텝 S101~제 4 스텝 S104로서 설명한다.
우선, 제 1 스텝 S101에 있어서, 충전 회로(92)에 의한 충전지(91)의 충전이 개시된다. 여기서는, 이 충전이 가정 충전 설비(80)로 행해지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전용 충전 설비(70)로 행해지고 있더라도 상관없다. 이때, 차량 탑재용 기기(100)는, 충전이 개시된 것을 나타내는 충전 개시 신호를 검출한다.
이 충전 개시 신호는, 예컨대, ACC 신호 및 IGCT 신호의 상태를 조합한 연산 결과로 대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ACC 신호가 오프의 상태이고 IGCT 신호가 온이 되는 것에 의해, 충전이 개시되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이 충전 개시 신호는, EV(90)의 CAN(Controller Area Network : 컨트롤러 에리어 네트워크) 버스를 통해서 취득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차량 탑재용 기기(100)의 입출력부(130)가 CAN 버스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게 되지만, 반대로 CAN 버스를 향해서 소망하지 않는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이른바 CAN 게이트웨이 등의 안전 장치를 통해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예로서, 이 충전 개시 신호는, EV(90)의 OBD2(On Board Diagnosis 2) 버스를 통해서 취득되더라도 좋다.
제 1 스텝 S101의 다음에는, 제 2 스텝 S102가 실행된다.
제 2 스텝 S102에 있어서, 차량 탑재용 기기(100)가 충전의 개시를 검지하면, 차량 탑재용 기기(100)는, EV 관리 센터(30)에 그 취지를 통지한다. 이때,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탑재용 기기(100)의 식별 번호와, 검출된 현재 위치와, 충전 개시 신호가, 차량 탑재용 기기(100)로부터 EV 관리 센터(30)를 향해서 송신된다. 또한, 이때, 충전지(91)의 충전 잔량도 아울러 송신되더라도 좋다. 제 2 스텝 S102의 다음에는, 제 3 스텝 S103이 실행된다.
제 3 스텝 S103에 있어서, EV 관리 센터(30)는, 송신된 식별 번호 및 현재 위치와, 현재 시각의 조합에 대응하는 충전 행위가, 충전 스케줄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송신된 식별 번호에 근거하여, 그 EV(90)가 EV 관리 센터(30)의 관리 대상인 것을 확인하고, 또한, 송신된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그 EV(90)가 스마트 커뮤니티(10)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다. 그 다음에, EV 관리 센터(30)는, 그 EV(90)가 현재 시각에 충전을 행하는 것이, 충전 스케줄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의 결과, 특히 이 충전 행위가 충전 스케줄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그 취지가 EV 관리 센터(30)로부터 차량 탑재용 기기(100)를 향해서 통지된다. 제 3 스텝 S103의 다음에는, 제 4 스텝 S104가 실행된다.
제 4 스텝 S104에 있어서, 차량 탑재용 기기(100)는, EV 관리 센터(30)로부터 통지된 확인 결과를, 표시 장치(132)에 표시한다. 특히, 개시된 충전이 충전 스케줄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충전 정지」 등의 메시지를 표시 장치(132)가 표시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EV 관리 센터(30)는, 이와 같이 동작하는 것에 의해, 충전 스케줄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충전 행위에 대하여 그 EV(90)의 운전자에게 통지한다. 이와 같은 통지를 받은 운전자는, 신속하게 충전을 정지시킬 것이 기대된다. 그 결과, 스마트 커뮤니티(10)에 있어서의 충전량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2 실시 형태]
도 5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차량 탑재용 기기(1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 회로도이다. 도 5a에 나타낸 차량 탑재용 기기(100)는, 도 4a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차량 탑재용 기기(100)에, 이하의 변경을 가한 것과 동일하다. 즉, 기억부(150)에, 충전 스케줄 저장부(151)를 마련한다.
도 5a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차량 탑재용 기기(100)의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4a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a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차량 탑재용 기기(100)에 포함되는 충전 스케줄 저장부(15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EV 관리 센터(30)로부터 송신되는 충전 스케줄을 저장한다. 도 5a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차량 탑재용 기기(100)의 구성 요소의 그 외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4a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EV 관리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5b에 나타낸 시퀀스도는, EV(90)와, 충전 회로(92)와, 차량 탑재용 기기(100)와, EV 관리 센터(30)가 각각 행하는 동작과, 그때에 서로 송수신하는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동작을 제 1 스텝 S201~제 8 스텝 S208로서 설명한다.
우선, 제 1 스텝 S201에 있어서, EV(90)에서 키의 조작이 행해진다. 즉, 운전자가 EV(90)의 키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EV(90)가 ACC 신호 또는 IGCT 신호가 온 상태가 된다. 이 ACC 신호 또는 IGCT 신호를, 차량 탑재용 기기(100)가 검지한다. 제 1 스텝 S201의 다음에는, 제 2 스텝 S202가 실행된다.
제 2 스텝 S202에 있어서, ACC 신호 또는 IGCT 신호가 ON 상태가 되면, 이것을 검지한 차량 탑재용 기기(100)의 전원이 온이 되고, 특히, 연산부(140)가 동작을 개시한다. 제 2 스텝 S202의 다음에는, 제 3 스텝 S203이 실행된다.
제 3 스텝 S203에 있어서, 동작을 개시한 연산부(140)는, GPS부(160)에 의해 현재 위치의 검출을 행하고, 검출된 현재 위치를 무선 통신 회로(131)에 의해 EV 관리 센터(30)를 향해서 송신한다. 이때, 기억부(150)에 저장된 차량 탑재용 기기(100)의 식별 번호도 아울러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스텝 S203의 다음에는, 제 4 스텝 S204가 실행된다.
제 4 스텝 S204에 있어서, EV 관리 센터(30)는, 차량 탑재용 기기(100)로부터 송신된 현재 위치 및 식별 번호를 수신하면, 이들의 수신 신호에 따라서, 최신의 충전 스케줄을 확인하고, 그 내용을 차량 탑재용 기기(100)를 향해서 통지한다. 제 4 스텝 S204의 다음에는, 제 5 스텝 S205가 실행된다.
제 5 스텝 S205에 있어서, 차량 탑재용 기기(100)는, EV 관리 센터(30)로부터 수신한 최신의 충전 스케줄을, 충전 스케줄 저장부(151)에 저장한다.
여기서, 제 1 스텝 S201이 실행될 때마다, 즉, ACC 신호나 IGCT 신호가 온 상태가 될 때마다, 제 2 스텝 S202~제 5 스텝 S205가 실행되어, 최신의 충전 스케줄이 차량 탑재용 기기(100)에 저장된다.
그 후, 임의의 타이밍에 충전 회로(92)에 의한 충전지(91)의 충전이 개시되고, 즉 제 6 스텝 S206이 실행된다. 여기서는, 이 충전이 가정 충전 설비(80)로 행해지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전용 충전 설비(70)로 행해지고 있더라도 상관없다.
제 6 스텝 S206에서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스텝 S201의 경우와 동일하게, 충전 회로(92)에 의한 충전지(91)의 충전이 개시되면, 차량 탑재용 기기(100)는, 충전이 개시된 것을 나타내는 충전 개시 신호를 검출한다. 제 6 스텝 S206의 다음에는, 제 7 스텝 S207이 실행된다.
제 7 스텝 S207에 있어서, 차량 탑재용 기기(100)가 충전의 개시를 검지하면, 연산부(140)는, 식별 번호, 현재 위치 및 현재 시각의 조합에 대응하는 충전 행위가, 충전 스케줄 저장부(151)로부터 읽어낸 충전 스케줄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제 7 스텝 S207의 다음에는, 제 8 스텝 S208이 실행된다.
제 8 스텝 S208에 있어서, 차량 탑재용 기기(100)는, 제 7 스텝 S207에서 행한 확인의 결과를, 즉 충전의 가부를, 표시 장치(132)에 표시한다. 특히, 개시된 충전이 충전 스케줄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는, 「충전 정지」 등의 메시지를 표시 장치(132)가 표시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EV 관리 센터(30)는, 이와 같이 동작하는 것에 의해, 충전 스케줄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충전 행위에 대하여 그 EV(90)의 운전자에게 통지한다. 이와 같은 통지를 받은 운전자는, 신속하게 충전을 정지시킬 것이 기대된다. 그 결과, 스마트 커뮤니티(10)에 있어서의 충전량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제 2 실시 형태의 경우는, 차량 탑재용 기기(100)가 충전 개시 신호를 검지하고 나서 표시 장치(132)에 메시지를 표시할 때까지의 사이에, EV 관리 센터(30)로의 문의를 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부적절한 충전 행위의 시간을 되도록 짧게 할 수 있다.
[제 3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서 이용하는 차량 탑재용 기기(1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4a에 나타낸 제 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의한 EV 관리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6에 나타낸 시퀀스도는, EV(90)와, 차량 탑재용 기기(100)와, EV 관리 센터(30)가 각각 행하는 동작과, 그때에 서로 송수신하는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동작을 제 1 스텝 S301~제 10 스텝 310으로서 설명한다.
우선, 제 1 스텝 S301에 있어서, EV(90)에서 키의 조작이 행해진다. 즉, 운전자가 EV(90)의 키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EV(90)가 ACC 신호 또는 IGCT 신호를 온 상태로 한다. 이 ACC 신호 또는 IGCT 신호를, 차량 탑재용 기기(100)가 검지한다. 제 1 스텝 S301의 다음에는, 제 2 스텝 S302가 실행된다.
제 2 스텝 S302에 있어서, ACC 신호 또는 IGCT 신호가 ON 상태가 되면, 이것을 검지한 차량 탑재용 기기(100)의 전원이 온이 되고, 특히, 연산부(140)가 동작을 개시한다. 제 2 스텝 S302의 다음에는, 제 3 스텝 S303이 실행된다.
제 3 스텝 S303에 있어서, 연산부(140)는, GPS부(160)에 의해 현재 위치의 검출을 행하고, 검출된 현재 위치를 무선 통신 회로(131)에 의해 EV 관리 센터(30)를 향해서 송신한다. 이때, 기억부(150)에 저장된 차량 탑재용 기기(100)의 식별 번호도 아울러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스텝 S301의 이후, 제 2 스텝 S302 및 제 3 스텝 S303과 평행 하게, EV(90)는 주행하고, 즉 제 4 스텝 S304가 실행된다. 여기서는, 스마트 커뮤니티(10)의 범위 내에서 주행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지만, 그 범위 밖을 주행하더라도 상관없다.
또, 제 4 스텝 S304의 실행 중, 즉 EV(90)의 주행 중에도, 차량 탑재용 기기(100)는 GPS부(160)에 의해 현재 위치의 검출을 반복하고, 그 검출 결과의 송신을 EV 관리 센터(30)에 반복한다.
다음으로, 제 4 스텝 S304의 실행 중, 즉 EV(90)의 주행 중에, EV(90)의 충전 잔량이 저하하여 운전자가 충전의 필요성을 느낀 경우 등에, 전용 충전 설비(70)에 접근하고, 즉 제 5 스텝 S305가 실행된다.
제 5 스텝 S305에 있어서, EV(90)가 전용 충전 설비(70)에 접근하는 동안에도, 차량 탑재용 기기(100)는 GPS부(160)에 의한 현재 위치의 검출을 반복하고 있고, 그 검출 결과의 송신을 EV 관리 센터(30)에 반복하고 있고, 즉 제 6 스텝 S306이 실행된다. 제 6 스텝 S306의 다음에, 제 7 스텝 S307이 실행된다.
제 7 스텝 S307에 있어서, EV 관리 센터(30)는, 전용 충전 설비(70)의 위치를 미리 기억하고 있고, 차량 탑재용 기기(100)로부터 수신한 현재 위치가 어느 하나의 전용 충전 설비(70)에 충분히 접근하고 있는 것을 검출한다. 이 검출과 관련되는 판단 기준은, EV(90)의 현재 위치로부터 전용 충전 설비(70)까지의 거리로 행하더라도 좋고, 연속하여 수신하고 있는 현재 위치로부터 추정되는 EV(90)의 속도를 가미하여 행하더라도 좋다. 어느 경우도, EV 관리 센터(30)는, 전용 충전 설비(70)에 충분히 접근하고 있는 EV(90)가, 충전지(91)의 충전을 하려고 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제 7 스텝 S307의 다음에는, 제 8 스텝 S308이 실행된다.
제 8 스텝 S308에 있어서,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 3 스텝 S103의 경우와 동일하게, EV 관리 센터(30)는, 송신된 식별 번호 및 현재 위치와, 현재 시각의 조합에 대응하는 충전 행위가, 충전 스케줄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제 8 스텝 S308의 다음에는, 제 9 스텝 S309가 실행된다.
제 9 스텝 S309에 있어서, EV 관리 센터(30)는, 제 8 스텝 S308에서 행한 확인의 결과를, 차량 탑재용 기기(100)를 향해서 통지한다. 제 9 스텝 S309의 다음에는, 제 10 스텝 S310이 실행된다.
제 10 스텝 S310에 있어서, 차량 탑재용 기기(100)는, EV 관리 센터(30)로부터 통지된 확인 결과를, 표시 장치(132)에 표시한다. 특히, EV(90)가 현재 접근 중인 전용 충전 설비(70)에 있어서의 충전이 충전 스케줄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충전 금지」 등의 메시지를 표시 장치(132)가 표시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의한 EV 관리 센터(30)는, 이와 같이 동작하는 것에 의해, EV(90)의 충전지(91)를 충전하기 시작하기 전에, 차량 탑재용 기기(100)의 표시 장치(132)에 그 충전 행위의 가부와 관련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 결과, 부적절한 충전을, 그 개시 전에 막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4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에서 이용하는 차량 탑재용 기기(1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4a에 나타낸 제 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에 의한 EV 관리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7에 나타낸 시퀀스도는, EV(90)와, 전용 충전 설비(70)와, 충전 회로(92)와, 차량 탑재용 기기(100)와, EV 관리 센터(30)가 각각 행하는 동작과, 그때에 서로 송수신하는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동작을 제 1 스텝 S401~제 8 스텝 S408로서 설명한다.
우선, 제 1 스텝 S401에 있어서, EV(90)가 전용 충전 설비(70)에 도착한다. 그 후, 제 2 스텝 S402에 있어서, 전용 충전 설비(70)로부터 충전 회로(92)를 통해서 충전지(91)에 대한 충전이 개시된다. 이때,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스텝 S101의 경우와 동일하게, 차량 탑재용 기기(100)는, 충전이 개시된 것을 나타내는 충전 개시 신호를 검출한다. 제 2 스텝 S402의 다음에는, 제 3 스텝 S403이 실행된다.
제 3 스텝 S403에 있어서, 차량 탑재용 기기(100)는, 충전의 개시를 검지하면,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 2 스텝 S102의 경우와 동일하게, EV 관리 센터(30)에 그 취지를 통지한다. 제 3 스텝 S403의 다음에는, 제 4 스텝 S404가 실행된다.
제 4 스텝 S404에 있어서, EV 관리 센터(30)는, 차량 탑재용 기기(100)로부터 송신된 현재 위치와, 미리 기억하고 있는 전용 충전 설비(70)의 위치를 대조하여, EV(90)가 그 전용 충전 설비(70)에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제 4 스텝 S404의 다음에는, 제 5 스텝 S405가 실행된다.
제 5 스텝 S405에 있어서, EV 관리 센터(30)는,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제 3 스텝 S103의 경우와 동일하게, 송신된 식별 번호 및 현재 위치와, 현재 시각의 조합에 대응하는 충전 행위가, 충전 스케줄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차량 탑재용 기기(100)를 향해서 통지한다. 제 5 스텝 S405의 다음에는, 제 6 스텝 S406 및 제 7 스텝 S407이 실행된다.
제 6 스텝 S406에 있어서, 차량 탑재용 기기(100)는,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제 4 스텝 S104의 경우와 동일하게, EV 관리 센터(30)로부터 통지된 확인 결과를, 표시 장치(132)에 표시한다.
제 7 스텝 S407에 있어서, EV 관리 센터(30)는, 필요에 따라서, 즉, 그 충전이 충전 스케줄에 등록되어 있지 않고, 또한, 운전자가 자주적으로 충전을 정지하지 않는 경우 등에는, 전용 충전 설비(70)의 충전을 강제적으로 정지할 수 있다. 이때, EV 관리 센터(30)는, 예컨대, 네트워크(40)를 통해서 전용 충전 설비(70)를 향해서 강제 정지 신호를 송신하면 된다. 제 7 스텝 S407의 다음에는, 제 8 스텝 S408이 실행된다.
제 8 스텝 S408에 있어서, 강제 정지 신호를 수신한 전용 충전 설비(70)는 전력의 공급을 정지하므로, 충전 회로(92)에 의한 충전지(91)로의 충전은 종료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에 의한 EV 관리 시스템은, 이와 같이 동작하는 것에 의해, 충전 스케줄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충전 행위에 대하여 그 EV(90)의 운전자에게 통지한다. 이와 같은 통지를 받은 운전자는, 신속하게 충전을 정지시킬 것이 기대되지만, 그런데도 충전이 정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EV 관리 센터(30)가 전용 충전 설비(70)를 원격 조작하여 충전의 강제 정지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결과, 스마트 커뮤니티(10)에 있어서의 충전량을 보다 확실히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의 형태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 설명한 각각의 특징은, 기술적으로 모순되지 않는 범위에서 자유롭게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원은, 일본 특허 출원 번호 JP2013-036242에 근거하여 조약상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그 개시는, 인용에 의해 여기에 포함된다.

Claims (17)

  1. 외부로부터 충전 가능한 충전지를 이용하여 주행하는 전기 자동차에 탑재된 차량 탑재용 기기로서,
    상기 전기 자동차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현재 위치 검출부와,
    외부 네트워크상에 마련되고, 미리 허가된 충전 스케줄을 관리하는 서버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충전 스케줄에 근거하는, 상기 현재 위치 및 현재 시각에 있어서의 충전 행위의 가부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구비하는
    차량 탑재용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재용 기기의 식별 번호를 미리 저장한 기억부와,
    상기 충전지로의 충전 개시를 검지하는 입력부와,
    상기 충전 개시가 검지되었을 때에, 상기 현재 위치 및 상기 식별 번호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서버를 향해서 송신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충전 스케줄을 확인한 결과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서 수신하고, 상기 결과를 상기 표시부에 전달하는 연산부
    를 더 구비하는
    차량 탑재용 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동차로부터 송신되는 조작 신호에 따라서 전원을 온 상태로 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이 온 상태가 될 때마다, 검출된 상기 현재 위치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서버를 향해서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충전 스케줄을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서 수신하는 연산부와,
    상기 차량 탑재용 기기의 식별 번호를 미리 저장하고, 또한, 수신된 상기 충전 스케줄을 저장하는 기억부와,
    상기 충전지로의 충전 개시를 검지하는 입력부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충전 개시의 검지에 따라서, 저장된 상기 충전 스케줄에 근거하여 상기 현재 위치, 상기 식별 번호 및 현재 시각의 조합에 대응하는 충전의 가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의 결과를 상기 표시부에 전달하는
    차량 탑재용 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재용 기기의 식별 번호를 미리 저장한 기억부와,
    상기 전기 자동차로부터 송신되는 조작 신호에 따라서 전원을 온 상태로 하는 전원부와,
    상기 현재 위치의 검출을 상기 현재 위치 검출부에 반복하여 지시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서버를 향해서 상기 식별 번호 및 상기 현재 위치를 반복하여 송신하고, 상기 전기 자동차가 전용 충전 설비에 접근한 경우에 상기 서버로부터 송신되는 충전 스케줄의 확인 결과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서 수신하고, 상기 결과를 상기 표시부에 전달하는 연산부를 더 구비하는
    차량 탑재용 기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신호는, ACC(ACCessory : 액세서리) 신호 또는 IGCT(이그니션) 신호인
    차량 탑재용 기기.
  6. 네트워크상에 마련되고, 미리 허가된 충전 스케줄을 관리하는 EV(Electric Vehicle : 전기 자동차) 관리 센터와,
    외부로부터 충전 가능한 충전지를 이용하여 주행하는 전기 자동차에 탑재되고, 상기 EV 관리 센터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통신하는 차량 탑재용 기기
    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 탑재용 기기는,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현재 위치 검출부와,
    상기 충전 스케줄에 근거하는, 상기 현재 위치 및 현재 시각에 있어서의 충전 행위의 가부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구비하는
    EV 관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재용 기기는,
    상기 차량 탑재용 기기의 식별 번호를 미리 저장한 기억부와,
    상기 충전지로의 충전 개시를 검지하는 입력부와,
    상기 충전 개시가 검지되었을 때에, 상기 현재 위치 및 상기 식별 번호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EV 관리 센터를 향해서 송신하는 연산부
    를 더 구비하고,
    상기 EV 관리 시스템은,
    송신된 상기 현재 위치 및 상기 식별 번호 및 현재 시각의 조합에 대응하는 충전 허가가 상기 충전 스케줄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의 결과를 상기 차량 탑재용 기기를 향해서 송신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EV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확인의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결과를 상기 표시부에 전달하는
    EV 관리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재용 기기는,
    상기 전기 자동차로부터 송신되는 조작 신호에 따라서 전원을 온 상태로 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이 온 상태가 될 때마다, 검출된 상기 현재 위치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EV 관리 센터를 향해서 송신하는 연산부
    를 더 구비하고,
    상기 EV 관리 센터는,
    송신된 상기 현재 위치와 관련되는 상기 충전 스케줄을 상기 차량 탑재용 기기를 향해서 송신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 탑재용 기기는,
    송신된 상기 충전 스케줄을 저장하는 기억부와,
    상기 충전지로의 충전 개시를 검지하는 입력부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충전 개시의 검지에 따라서, 저장된 상기 충전 스케줄에 근거하여 상기 현재 위치, 상기 식별 번호 및 현재 시각의 조합에 대응하는 충전의 가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의 결과를 상기 표시부에 전달하는
    EV 관리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상기 충전지를 충전 가능한 전용 충전 설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차량 탑재용 기기는,
    상기 차량 탑재용 기기의 식별 번호를 미리 저장한 기억부와,
    상기 전기 자동차로부터 송신되는 조작 신호에 따라서 전원을 온 상태로 하는 전원부와,
    상기 현재 위치의 검출을 상기 현재 위치 검출부에 반복하여 지시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서버를 향해서 상기 식별 번호 및 상기 현재 위치를 반복하여 송신하는 연산부
    를 더 구비하고,
    상기 EV 관리 센터는,
    송신된 상기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가 상기 전용 충전 설비에 접근한 것을 검지하고, 송신된 현재 위치 및 상기 식별 번호 및 현재 시각의 조합에 대응하는 충전의 가부를 상기 충전 스케줄에 근거하여 확인하고, 상기 확인의 결과를 상기 차량 탑재용 기기를 향해서 송신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결과를 상기 표시부에 전달하는
    EV 관리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상기 충전지를 충전 가능한 전용 충전 설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송신된 상기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가 상기 전용 충전 설비에 있는 것을 검지하고, 또한, 상기 조합에 대응하는 충전이 허가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전용 충전 설비의 충전을 강제적으로 정지하는
    EV 관리 시스템.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신호는, ACC 신호 또는 IGCT 신호인
    EV 관리 시스템.
  12. 네트워크상에 마련된 EV 관리 센터에서, 미리 허가된 충전 스케줄을 관리하는 것과,
    외부로부터 충전 가능한 충전지를 이용하여 주행하는 전기 자동차에 탑재된 차량 탑재용 기기에서,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것과,
    상기 EV 관리 센터 및 상기 차량 탑재용 기기가,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통신하는 것과,
    상기 충전 스케줄에 근거하는, 상기 현재 위치 및 현재 시각에 있어서의 충전 행위의 가부를 상기 차량 탑재용 기기에 표시하는 것
    을 구비하는
    EV 충전 스케줄 관리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지로의 충전 개시를 상기 차량 탑재용 기기에서 검지하는 것과,
    상기 충전 개시가 검지되었을 때에, 상기 현재 위치 및 상기 차량 탑재용 기기의 식별 번호를, 상기 무선 통신부에서 상기 EV 관리 센터를 향해서 송신하는 것과,
    송신된 상기 현재 위치 및 상기 식별 번호 및 현재 시각의 조합에 대응하는 충전 허가가 상기 충전 스케줄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과,
    상기 확인의 결과를 상기 차량 탑재용 기기를 향해서 송신하는 것과,
    상기 확인의 결과를 상기 차량 탑재용 기기에서 수신하는 것과,
    상기 결과를 상기 표시부에 전달하는 것
    을 더 구비하는
    EV 충전 스케줄 관리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동차로부터 송신되는 조작 신호에 따라서 상기 차량 탑재용 기기의 전원을 온 상태로 하는 것과,
    상기 전원이 온 상태가 될 때마다, 검출된 상기 현재 위치를 상기 무선 통신부에서 상기 EV 관리 센터를 향해서 송신하는 것과,
    송신된 상기 현재 위치와 관련되는 상기 충전 스케줄을, 상기 EV 관리 센터로부터 상기 차량 탑재용 기기를 향해서 송신하는 것과,
    송신된 상기 충전 스케줄을 기억부에 저장하는 것과,
    상기 충전지로의 충전 개시를 검지하는 것과,
    상기 충전 개시의 검지에 따라서, 저장된 상기 충전 스케줄에 근거하여 상기 현재 위치, 상기 식별 번호 및 현재 시각의 조합에 대응하는 충전의 가부를 판정하는 것과,
    상기 판정의 결과를 상기 표시부에 전달하는 것
    을 더 구비하는
    EV 충전 스케줄 관리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동차로부터 송신되는 조작 신호에 따라서 상기 차량 탑재용 기기의 전원을 온 상태로 하는 것과,
    상기 현재 위치의 검출을 반복하는 것과,
    상기 무선 통신부에서 상기 서버를 향해서 상기 차량 탑재용 기기의 식별 번호 및 상기 현재 위치를 반복하여 송신하는 것과,
    송신된 상기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가 전용 충전 설비에 접근한 것을 EV 관리 센터에서 검지하는 것과,
    송신된 현재 위치 및 상기 식별 번호 및 현재 시각의 조합에 대응하는 수전의 가부를 상기 충전 스케줄에 근거하여 확인하는 것과,
    상기 확인의 결과를 상기 차량 탑재용 기기를 향해서 송신하는 것과,
    상기 결과를 상기 표시부에 전달하는 것
    을 더 구비하는
    EV 충전 스케줄 관리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상기 충전지를 충전 가능한 전용 충전 설비에서, 상기 충전지의 충전을 개시하는 것과,
    송신된 상기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가 상기 전용 충전 설비에 있는 것을 상기 제어부에서 검지하고, 또한, 상기 조합에 대응하는 충전이 허가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전용 충전 설비의 충전을 강제적으로 정지하는 것
    을 더 구비하는
    EV 충전 스케줄 관리 방법.
  17.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신호는, ACC 신호 또는 IGCT 신호인
    EV 충전 스케줄 관리 방법.
KR1020157025929A 2013-02-26 2014-02-25 차량 탑재용 기기 및 ev 관리 시스템 KR1018436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36242A JP6081817B2 (ja) 2013-02-26 2013-02-26 車載器およびev管理システム
JPJP-P-2013-036242 2013-02-26
PCT/JP2014/054456 WO2014132946A1 (ja) 2013-02-26 2014-02-25 車載器およびev管理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449A true KR20150124449A (ko) 2015-11-05
KR101843626B1 KR101843626B1 (ko) 2018-05-14

Family

ID=51428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5929A KR101843626B1 (ko) 2013-02-26 2014-02-25 차량 탑재용 기기 및 ev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9701203B2 (ko)
JP (1) JP6081817B2 (ko)
KR (1) KR101843626B1 (ko)
CN (1) CN105008171B (ko)
HK (1) HK1211907A1 (ko)
SG (2) SG10201601220UA (ko)
WO (1) WO201413294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1706A (ko) * 2020-11-06 2022-05-13 한국전력공사 통합 모듈, 전기차 운영 시스템, 및 전기차 운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20892A (ja) * 2013-05-07 2014-11-20 株式会社東芝 情報発行装置、情報発行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892296B2 (en) 2014-11-12 2018-02-13 Joseph E. Kovarik Method and system for autonomous vehicles
US9840156B2 (en) * 2015-08-14 2017-12-12 Siemens Industry, Inc. Automatically selecting charging routine for an electric vehicle by balancing utility and user considerations
US9789783B2 (en) * 2016-03-18 2017-10-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ybrid/electric vehicle charge port door
US10403145B2 (en) * 2017-01-19 2019-09-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llison mitigation and avoidance
WO2018195327A1 (en) 2017-04-19 2018-10-25 Chase Arnold Remote control system for intelligent vehicle charging
JP6884056B2 (ja) 2017-07-13 2021-06-09 株式会社クボタ バッテリパック監視システム
US10800413B2 (en) * 2017-10-16 2020-10-13 Honda Motor Co., Ltd. System for determining a charging profile for an electric vehicle and method thereof
US10672201B2 (en) * 2017-12-19 2020-06-02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Low-power wireless for vehicle diagnostics and reporting
WO2019207621A1 (ja) * 2018-04-23 2019-10-31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及び車両制御方法
JP7207212B2 (ja) * 2019-07-16 2023-01-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
EP4031405A4 (en) * 2019-09-20 2023-10-11 Amply Power, Inc. MANAGEMENT OF ELECTRIC VEHICLE FLEETS IN REAL TIME
GB2601308B (en) * 2020-11-23 2023-09-06 Phoenix Energy Man Soft Limited Controlling the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CN112622692B (zh) * 2020-12-17 2022-06-14 浙江钱江摩托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电动车的电池包认证方法
CN114148189A (zh) * 2021-12-22 2022-03-08 沙龙智行科技有限公司 电动车辆的无线充电方法、装置、云服务器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8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256A (ja) * 1982-06-25 1984-01-07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イスクプレ−ヤのオ−トロ−デイング機構
JP3466750B2 (ja) * 1995-02-10 2003-11-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ダイナミック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3592256B2 (ja) * 2001-05-28 2004-11-24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装置
JP2003262525A (ja) * 2002-03-08 2003-09-19 Nissan Motor Co Ltd 充電スタンド情報提供装置
JP2005010826A (ja) * 2003-06-16 2005-01-13 Fujitsu Ltd 認証端末装置、生体情報認証システム、及び生体情報取得システム
JP2005025382A (ja) 2003-06-30 2005-01-27 Toshiba Corp 電子機器および電源制御方法
JP2005086953A (ja) * 2003-09-10 2005-03-3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エネルギー需給制御方法及び装置
WO2006061840A2 (en) * 2004-12-09 2006-06-15 Tipigo Ltd. Interactive and adaptive messaging systems
JP2007148590A (ja) * 2005-11-24 2007-06-1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充電スタンド情報提供サーバ、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862153B2 (ja) 2006-04-07 2012-01-25 国立大学法人九州工業大学 電力負荷平準化方法及びシステム
US8912753B2 (en) * 2007-10-04 2014-12-16 General Motors Llc. Remote power usage management for plug-in vehicles
US8054048B2 (en) 2007-10-04 2011-11-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ower grid load management for plug-in vehicles
JP4713623B2 (ja) * 2008-09-25 2011-06-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充放電管理装置
WO2010069078A1 (en) * 2008-12-19 2010-06-24 Intelligent Mechatronic Systems Inc. Monitoring of power charging in vehicle
CN102308431A (zh) * 2009-02-09 2012-01-04 伊克斯动力有限公司 对电池进行放电
JP2010246320A (ja) 2009-04-09 2010-10-28 Fujitsu Ten Ltd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2010267110A (ja) * 2009-05-15 2010-11-25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電動車両充電システムおよび充電支援サービス提供方法
JP5427490B2 (ja) 2009-07-01 2014-02-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気自動車充電制御システム、電気自動車充電制御方法、サーバ、およびスマートメータ
US8013570B2 (en) * 2009-07-23 2011-09-06 Coulomb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ircuit sharing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KR20110044006A (ko) 2009-10-22 2011-04-28 (주)플레넷아이엔티 전기 자동차 충전 관리 시스템 및 충전 관리 방법
JP2011102739A (ja) 2009-11-10 2011-05-26 Showa Shell Sekiyu Kk 電気自動車用充電ステーションの広域案内システム
DE102011003993A1 (de) * 2010-02-15 2011-08-18 DENSO CORPORATION, Aichi-pref. Laderegler und Navigationsvorrichtung für ein Plug-In-Fahrzeug
JP5028505B2 (ja) 2010-03-26 2012-09-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
JP2011203174A (ja) * 2010-03-26 2011-10-13 Denso Corp 車両経路案内装置及び車両経路案内システム
JP5607427B2 (ja) * 2010-05-31 2014-10-15 株式会社モーション 充電配車管理サーバ及び充電配車管理システム
JP5501095B2 (ja) 2010-05-28 2014-05-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充電制御装置および充電制御装置が搭載された車両
WO2011156776A2 (en) * 2010-06-10 2011-12-1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mart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and grid integration apparatus and methods
KR101210204B1 (ko) * 2010-07-02 2012-12-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충방전 시스템, 충방전 장치, 충방전 방법
US8718844B2 (en) * 2010-07-19 2014-05-06 General Motors Llc Charge notification method for extended range electric vehicles
CN103190052B (zh) 2010-08-05 2016-06-08 三菱自动车工业株式会社 电力供需调平系统
US9469203B2 (en) 2010-08-05 2016-10-18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Battery information output equipment for power supply and demand leveling system
JP5395764B2 (ja) 2010-08-24 2014-01-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気自動車の充電制御方法、充電監視制御センタ、車載カーナビ装置、および電力系統安定化システム
US8538621B2 (en) * 2010-09-15 2013-09-17 General Motors Llc. Charge reminder notification to increase electric only efficiency
JP5733933B2 (ja) * 2010-09-17 2015-06-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充電支援システム、充電器管理装置、充電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2046269A1 (ja) * 2010-10-05 2012-04-12 三菱電機株式会社 充電制御装置
JP2012100429A (ja) 2010-11-02 2012-05-24 Toyota Motor Corp 給電管理システム
JP5158183B2 (ja) * 2010-11-25 2013-03-0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の必要電力予測装置
EP2458704A1 (en) * 2010-11-30 2012-05-30 Restore N.V. Method and system for charging a fleet of batteries
JP2012120344A (ja) 2010-12-01 2012-06-21 Clarion Co Ltd 車載装置
KR101730081B1 (ko) 2010-12-23 2017-04-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능형 전력망 연동 홈 네트워크에서의 전력 관리 시스템, 전력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197569B1 (ko) 2010-12-28 2012-11-06 한국전기연구원 지능형 전원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9043060B2 (en) * 2010-12-31 2015-05-26 Cummins In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driveline load management
US8849499B2 (en) * 2011-01-06 2014-09-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a vehicle's energy source
US20130285608A1 (en) * 2011-01-06 2013-10-31 Nec Corporation Charging control device, charging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3314273B (zh) 2011-01-11 2016-02-03 丰田自动车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
JP2012160022A (ja) * 2011-01-31 2012-08-23 Toshiba Corp 充電管理サーバ、充電管理システム、充電管理方法および充電管理プログラム
US20120233077A1 (en) * 2011-03-07 2012-09-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ectric charging station reservation system and method
JP5214764B2 (ja) * 2011-03-25 2013-06-19 株式会社東芝 電気自動車充電スケジューリングシステム
US8972074B2 (en) * 2011-03-30 2015-03-03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optimal load planning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US20120265459A1 (en) 2011-04-14 2012-10-18 General Electric Company Integrated electric meter and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evcs)
US20120268247A1 (en) * 2011-04-20 2012-10-25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authorizing the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s batteries based on biometric identity information
US10217160B2 (en) * 2012-04-22 2019-02-26 Emerging Automotive, Llc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charge availability and route paths for obtaining charge for electric vehicles
US9123035B2 (en) * 2011-04-22 2015-09-01 Angel A. Penilla Electric vehicle (EV) range extending charge systems, distributed networks of charge kiosks, and charge locating mobile apps
KR102000561B1 (ko) * 2011-05-17 2019-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KR101782555B1 (ko) * 2011-06-30 2017-09-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3016570A1 (en) * 2011-07-26 2013-01-31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authentication, security and control of power storage devices, such as batteries, based on user profiles
US9424697B2 (en) * 2011-07-26 2016-08-23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a power storage device compartment
JP2013038909A (ja) * 2011-08-08 2013-02-21 Robert Bosch Gmbh 電気機械を用いて駆動される自動車を動作させるための方法と装置
JP5873986B2 (ja) * 2011-09-20 2016-03-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充電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サーバ装置のプログラム
US9348381B2 (en) * 2011-10-19 2016-05-24 Zeco Systems Pte Lt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US9304566B2 (en) * 2011-10-31 2016-04-05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communicating with a charging station
FR2984622B1 (fr) * 2011-12-19 2014-05-16 Schneider Electric Ind Sas Procede de controle et d'optimisation de fonctionnement d'une borne de chargement d'un vehicule electrique et borne de chargement pour la mise en oeuvre dudit procede
EP2802951B1 (en) * 2012-01-09 2021-03-24 Airbiquity Inc. Electric vehicle charging network services
US20130201316A1 (en) * 2012-01-09 2013-08-08 May Patents Ltd. System and method for server based control
US10023062B2 (en) * 2012-01-10 2018-07-17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ic vehicle mobility modeling and energy resources scheduling
JP5986749B2 (ja) * 2012-01-18 2016-09-06 クラリオン株式会社 予約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装置、充電器およびサーバ
US9219361B1 (en) * 2012-01-31 2015-12-22 Intellectual Ventures Fund 79 Llc Methods, devices, and mediums associated with power management of electrical devices
JP5516618B2 (ja) * 2012-02-22 2014-06-11 株式会社デンソー 充電料金精算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充電対象機器
CN104136267B9 (zh) * 2012-02-22 2016-07-27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充电装置以及充电系统
WO2013125217A1 (ja) * 2012-02-23 2013-08-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車載装置、充放電器、及び、充放電システム
US9225171B2 (en) * 2012-03-30 2015-12-29 Fujitsu Limited Intelligent electric vehicle recharging
JP5774534B2 (ja) * 2012-03-30 2015-09-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気自動車の経路探索システム及び方法
US9045042B2 (en) 2012-04-13 2015-06-0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a one-time departure schedule setup for charging battery-electric vehicles
US20140005847A1 (en) * 2012-06-28 2014-01-02 Toyota Infotechnology Center Co. Ltd. Event Control Schedule Management
US20140006137A1 (en) * 2012-06-28 2014-01-02 Toyota Infotechnology Center Co., Ltd. Event Control Schedule Management
US9352652B2 (en) * 2012-06-29 2016-05-31 Schneider Electric USA, Inc. Coupler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US9831677B2 (en) * 2012-07-19 2017-11-28 Solarcity Corporation Software abstraction layer for energy generation and storage systems
US8996191B2 (en) * 2012-07-19 2015-03-31 Solarcity Corporation Techniques for provisioning energy generation and storage systems
US9403441B2 (en) * 2012-08-21 2016-08-02 Cooper Technologies Company Autonomous management of distribution transformer power load
US9024571B2 (en) * 2012-09-28 2015-05-05 Honda Motor Co., Ltd.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based on historical clean energy profiles
US9975446B2 (en) * 2016-02-25 2018-05-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charge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1706A (ko) * 2020-11-06 2022-05-13 한국전력공사 통합 모듈, 전기차 운영 시스템, 및 전기차 운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08171B (zh) 2017-09-05
US9701203B2 (en) 2017-07-11
US10828996B2 (en) 2020-11-10
US20160001656A1 (en) 2016-01-07
CN105008171A (zh) 2015-10-28
KR101843626B1 (ko) 2018-05-14
US20180290542A1 (en) 2018-10-11
SG10201601220UA (en) 2016-03-30
JP2014166075A (ja) 2014-09-08
HK1211907A1 (en) 2016-06-03
JP6081817B2 (ja) 2017-02-15
WO2014132946A1 (ja) 2014-09-04
SG11201506570RA (en) 2015-09-29
US20170305273A1 (en) 2017-10-26
US10850630B2 (en) 202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3626B1 (ko) 차량 탑재용 기기 및 ev 관리 시스템
US8954223B2 (en) Charge guidance apparatus and onboard navigation system
US8854006B2 (en) Charge control device
CN105555587A (zh) 运行计划创建设备以及运行计划创建方法
CN103814392A (zh) 充电系统、服务器装置以及服务器装置的程序
KR101826801B1 (ko) 전기기기의 제어장치 및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
CN104136267A (zh) 车辆、充电装置以及充电系统
EP2940649B1 (en) Charge/discharge control device, system, method and program
WO2016121333A1 (ja) 車両用電池の充電情報報知システム、充電情報報知プログラム、及び充電情報報知方法
WO2019030985A1 (ja)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17154760A1 (ja) 充電設備案内システム、充電設備案内方法及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
WO2010070954A1 (ja) 車載情報装置及び電気自動車用情報転送システム
US10491670B2 (en) Method for lowering an energy demand of a vehicle
WO2017033610A1 (ja) 車両の使用予測システム
KR102603831B1 (ko) 차량, 차량과 통신하는 서버 및 차량의 제어 방법
JP6539903B2 (ja) Ev充電管理方法、ev充電管理システムおよび充電方法
US20190054871A1 (en) Stop control circuit
JP6278372B2 (ja) 電気自動車
JP6224205B2 (ja) 再生可能エネルギによる走行管理システム
CN111016736B (zh) 充电控制装置
JP2022148669A (ja) サーバ及び外部給電システム
JP202118964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8297695B (zh) 一种电动汽车租赁车辆亏电控制方法及其控制器
CN116766996A (zh) 服务器以及充电控制方法
WO2018139179A1 (ja) 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