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3828A -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대 및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대 및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3828A
KR20140143828A KR1020147031117A KR20147031117A KR20140143828A KR 20140143828 A KR20140143828 A KR 20140143828A KR 1020147031117 A KR1020147031117 A KR 1020147031117A KR 20147031117 A KR20147031117 A KR 20147031117A KR 20140143828 A KR20140143828 A KR 20140143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holes
steel material
mounting hole
mounting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1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7467B1 (ko
Inventor
료지 다나카
히데키 나카무라
시게키 미즈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3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machine ro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권상기대(13)는, 상부 부재(20), 하부 부재(18), 하부 부재(19), 제1 볼트, 제2 볼트를 구비한다. 상부 부재(20)는, 권상기(7)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하부 부재(18)에, 상부 부재(20)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장착 구멍(25)이 형성된다. 하부 부재(19)에, 상부 부재(20)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장착 구멍(30)이 형성된다. 제1 볼트는, 장착 구멍(25)을 관통하고, 상부 부재(20)를 하부 부재(18)에 고정한다. 제2 볼트는, 장착 구멍(30)을 관통하고, 상부 부재(20)를 하부 부재(19)에 고정한다. 상부 부재(20)는, 장착 구멍(25)의 수 보다도 적은 수의 제1 볼트를 사용하여 하부 부재(18)에 고정된다. 또, 상부 부재(20)는, 장착 구멍(30)의 수 보다도 적은 수의 제2 볼트를 사용하여 하부 부재(19)에 고정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대 및 엘리베이터 장치{HOISTING MACHINE BASE OF ELEVATOR AND 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를 지지하기 위한 권상기대(台)와, 권상기대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 내지 3에, 엘리베이터 권상기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권상기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에는, 여러 가지의 기능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권상기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기능이, 지지 장치에 요구된다. 특허 문헌 1 내지 3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복수의 강재를 용접이나 볼트에 의해서 고정하여, 상기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실용신안공개 소58-137681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특허공개 평7-81861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특허공개 제2007-70082호 공보
승강로 내에서의 엘리베이터 칸과 균형추와의 위치 관계(배치)는, 엘리베이터의 레이아웃 설계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 위치 관계를 결정할 때에는, 건축 설계의 관계자로부터 여러 가지 요구가 이루어진다.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및 디플렉터 쉬브(deflector sheave)는, 엘리베이터 칸의 매달림 위치 및 균형추의 매달림 위치에 맞추어 적절히 배치해야만 한다.
종래에는, 권상기 및 디플렉터 쉬브의 배치에 맞추어 지지 장치를 제작하고 있었기 때문에, 많은 종류의 지지 장치를 제작해야만 했다. 지지 장치를 제작하는 경우는, 공사 기간을 단기화하기 위해서, 사전에 생산해 두는 반가공 생산을 행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창고에 보관하는 부재의 수나 종류가 증가해 버린다. 이 때문에, 넓은 보관 장소가 필요하게 되어, 보관에 관한 관리 코스트가 증가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제작 및 보관하는 부재나 부품의 종류를 큰 폭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권상기대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대(台)는, 엘리베이터 권상기를 지지하기 위한 제1 부재와, 제1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1 장착 구멍이 형성되며, 복수의 제1 장착 구멍이, 소정의 방향으로 1열로 배치된 제2 부재와, 제1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2 장착 구멍이 형성되며, 복수의 제2 장착 구멍이, 제1 장착 구멍의 열과 동일 방향으로 1열로 배치된 제3 부재와, 제1 장착 구멍을 관통하고, 제1 부재를 제2 부재에 고정하는 제1 볼트와, 제2 장착 구멍을 관통하고, 제1 부재를 제3 부재에 고정하는 제2 볼트를 구비하며, 제1 부재는, 제1 장착 구멍의 수 보다도 적은 수의 제1 볼트를 사용하여 제2 부재에 고정되며, 제2 장착 구멍의 수 보다도 적은 수의 제2 볼트를 사용하여 제3 부재에 고정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상기 권상기대와, 권상기대에 지지된 권상기와, 권상기의 구동 쉬브에 감아 걸려진 메인 로프와, 메인 로프에 의해서 승강로 내에 매달려진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작 및 보관하는 부재나 부품의 종류를 큰 폭으로 저감 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지지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지지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지지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지지 장치의 하부 부재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지지 장치의 상부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지지 장치의 장착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지지 장치의 장착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지지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권상기대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지지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권상기대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지지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지지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지지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지지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지지 장치의 하부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나타내는 하부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지지 장치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지지 장치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지지 장치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중복하는 설명에 대해서는, 적절히 간략화 혹은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에서, 1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2는 엘리베이터의 기계실이다. 승강로(1)는, 빌딩의 각 층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기계실(2)은, 승강로(1)의 상부에 형성된다. 3은 바닥부이다. 바닥부(3)의 상면은, 기계실(2)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바닥부(3)의 하면은, 예를 들면, 승강로(1)의 천정면을 형성한다.
4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5는 엘리베이터의 균형추이다. 엘리베이터 칸(4)은,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엘리베이터 칸(4)과 균형추(5)는, 메인 로프(6)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진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4)의 상부에, 메인 로프(6)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메인 로프(6)의 타단부는, 균형추(5)의 상부에 연결된다.
도 1에서는, 1:1 로핑 방식을 나타내고 있다. 다른 로핑 방식(예를 들면, 2:1 로핑 방식)에 대해서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7은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이다. 권상기(7)는, 엘리베이터 칸(4)을 구동(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권상기(7)는, 지지 장치(8)를 매개로 하여, 기계실(2)에 마련된다. 권상기(7)는, 구동 쉬브(9)를 구비한다. 메인 로프(6)는, 일부가, 구동 쉬브(9)에 감아 걸려진다. 메인 로프(6)는, 구동 쉬브(9)에 감아 걸려진 부분으로부터 하부로 연장하고, 이 구동 쉬브(9)로부터 하부에 연장한 부분의 단부가, 엘리베이터 칸(4)에 접속된다. 메인 로프(6)의 다른 일부는, 디플렉터 쉬브(deflector sheave, 10)에 감아 걸려진다. 메인 로프(6)는, 디플렉터 쉬브(10)에 감아 걸려진 부분으로부터 하부로 연장하고, 이 디플렉터 쉬브(10)로부터 하부로부터 연장한 부분의 단부가 균형추(5)에 접속된다. 구동 쉬브(9)가 회전하면, 메인 로프(6)가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엘리베이터 칸(4)은, 메인 로프(6)의 이동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균형추(5)는, 엘리베이터 칸(4)과는 역방향으로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지지 장치(8)는, 권상기(7)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지지 장치(8)는, 그 요부가, 예를 들면, 기계대(11), 방진 장치(12), 권상기대(13)에 의해 구성된다.
지지 장치(8)는, 여러 가지의 기능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지지 장치(8)는, 권상기(7) 및 디플렉터 쉬브(10)로부터 받은 힘을 분산시켜, 바닥부(3) 및 건축 빔(beam, 도시하지 않음)을 매개로 하여 빌딩측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 지지 장치(8)는, 권상기(7)를 소정의 수평도로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지지 장치(8)는, 권상기(7)로부터 바닥부(3) 및 건축 빔(도시하지 않음)을 매개로 하여 빌딩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기능을 구비한다. 지지 장치(8)는, 구동 쉬브(9)를 소정의 높이에 배치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게다가, 지지 장치(8)는, 엘리베이터 칸(4)의 매달림 위치와 균형추(5)의 매달림 위치에 맞추어, 권상기(7)의 위치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 도 2 내지 도 22도 참조하여, 지지 장치(8)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일례로서, 기설(旣設)된 엘리베이터를 리뉴얼했을 때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빌딩에 엘리베이터를 신설했을 때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의 기재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지지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지지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지지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기계대(11)는, 기계실(2)의 바닥부(3)에 고정된다. 기계대(11)는,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서, 혹은, 볼트(예를 들면, 앵커(anchor) 볼트)를 사용하여, 바닥부(3)에 고정된다. 앵커 볼트를 사용하여 기계대(11)를 바닥부(3)에 고정한 경우는, 기계실(2)의 바닥면을 평탄하게 하기 위해, 바닥부(3) 상에 경량 콘크리트를 부어 넣어 굳혀도 좋다. 이러한 경우, 기계대(11)의 하부가 경량 콘크리트에 의해서 덮여도 좋다.
도 1에서는, 부양대(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기계대(11)를 바닥부(3)에 고정한 경우를 일례로서 나타내고 있다. 부양대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바닥부(3)의 상면으로부터 띄운 상태로, 기계대(11)를 바닥부(3)에 고정할 수 있다.
기계대(11)는, 예를 들면, 단면이 H형(혹은, I형·C형)을 나타내는 2개의 강재(14 및 15)를 구비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5)에 대한 강재(14 및 15)의 배치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에서는, 균형추(5)가, 엘리베이터 칸(4)과 일측의 승강로벽과의 사이를 통과한다.
기계실(2)의 바닥부(3)에는, 엘리베이터 칸(4)의 매달림 위치의 바로 상부에, 로프 구멍(16)이 형성된다. 메인 로프(6) 중, 엘리베이터 칸(4)으로부터 구동 쉬브(9)에 이르는 부분이, 로프 구멍(16)을 관통한다. 기계실(2)의 바닥부(3)에는, 균형추(5)의 매달림 위치의 바로 상부에, 로프 구멍(17)이 형성된다. 메인 로프(6) 중, 균형추(5)로부터 디플렉터 쉬브(10)에 이르는 부분이, 로프 구멍(17)을 관통한다. 강재(14 및 15)는, 로프 구멍(16 및 17)의 양측에, 수평 또한 평행하게 배치된다. 즉, 강재(14 및 15)의 사이(연장선 상의 사이도 포함함)에, 로프 구멍(16 및 17)이 배치된다.
엘리베이터를 리뉴얼하는 경우는, 기설(旣設)의 엘리베이터 칸(4) 및 기설(旣設)의 균형추(5)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많다. 엘리베이터 칸(4)의 매달림 위치 및 균형추(5)의 매달림 위치를 변경하지 않으면, 로프 구멍(16 및 17), 기계대(11)에 대해서도, 기설의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엘리베이터를 리뉴얼하는 경우는, 권상기(7)를 신규의 것으로 교환하는 것이 많다. 이러한 경우는, 권상기대(13) 및 방진 장치(12)를 신규의 것으로 교환할 필요가 있다.
권상기대(13)는, 권상기(7)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권상기대(13)는, 방진 장치(12)를 매개로 하여, 기계대(11)에 고정된다. 권상기(7)는, 권상기대(13)에 형성된 소정의 고정면에 고정된다. 디플렉터 쉬브(10)는, 회전축이 구동 쉬브(9)의 회전축에 대해서 평행하게 되도록, 권상기대(13)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권상기대(13)는, 예를 들면, 하부 부재(18 및 19), 상부 부재(20), 장착 부재(21 및 22)를 구비한다.
하부 부재(18)(제2 부재)는, 예를 들면, 장척(長尺)의 강재(23)와, 복수의 보강재(24)로 구성된다.
강재(23)는, 단면이, 예를 들면 コ자 모양을 나타내고, 측부로 개구한다. 강재(23)는, 상면에, 복수의 장착 구멍(25)(제1 장착 구멍)이 형성된다. 장착 구멍(25)은, 상부 부재(20)를 강재(23)(하부 부재(18))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다. 도 2에서는, 부호 25가 일부의 장착 구멍 밖에 붙여 있지 않지만, 장착 구멍(25)은, 강재(23)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길이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1열로 배치된다. 강재(23)는, 상면에, 복수의 장착 구멍(26)이 형성된다. 장착 구멍(26)도, 상부 부재(20)를 강재(23)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다. 장착 구멍(26)은, 강재(23)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1열로 배치된다. 장착 구멍(26)의 열은, 장착 구멍(25)의 열에 대해서 평행하게 배치된다.
강재(23)는, 하면에, 복수의 장착 구멍(27)(제5 장착 구멍)이 형성된다. 장착 구멍(27)은, 방진 장치(12)를 강재(23)(하부 부재(18))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지지 장치의 하부 부재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6에서는, 부호 27이 일부의 장착 구멍 밖에 붙여 있지 않지만, 장착 구멍(27)은, 강재(23)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길이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1열로 배치된다. 도 6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장착 구멍(27)을 2열로 배치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보강재(24)는, 예를 들면, 판 모양을 나타낸다. 보강재(24)는, 용접에 의해, 강재(23)에 고정된다. 보강재(24)는, 강재(23)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직립한 상태로 배치된다. 보강재(24)는, 상부 부재(20)를 고정할 때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장착 구멍(25 및 26)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하부 부재(18)의 구성(예를 들면, 강재(23)의 형상, 보강재(24)의 형상이나 장착 위치)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부 부재(18)는, 필요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면, 다른 구성을 가지고 있어도 상관없다.
하부 부재(19)(제3 부재)는, 하부 부재(18)에 대해서 선대칭인 구성을 가진다. 하부 부재(19)는, 하부 부재(18)와 동일 높이에, 하부 부재(18)에 대해서 평행하게 배치된다. 하부 부재(19)는, 예를 들면, 장척의 강재(28)와, 복수의 보강재(29)로 구성된다.
강재(28)는, 단면이, 예를 들면 コ자 모양을 나타내며, 측부로 개구한다. 강재(28)는, 상면에, 복수의 장착 구멍(30)(제2 장착 구멍)이 형성된다. 장착 구멍(30)은, 상부 부재(20)를 강재(28)(하부 부재(19))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다. 도 2에서는, 부호 30이 일부의 장착 구멍 밖에 붙여 있지 않지만, 장착 구멍(30)은, 강재(28)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길이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1열로 배치된다. 강재(28)에 형성된 장착 구멍(30)의 열은, 강재(23)에 형성된 장착 구멍(25)의 열에 대해서 평행하게 배치된다. 강재(28)는, 상면에, 복수의 장착 구멍(31)이 형성된다. 장착 구멍(31)도, 상부 부재(20)를 강재(28)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다. 장착 구멍(31)은, 강재(28)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1열로 배치된다. 장착 구멍(31)의 열은, 장착 구멍(30)의 열에 대해서 평행하게 배치된다.
강재(28)는, 하면에, 복수의 장착 구멍(32)(제6 장착 구멍)이 형성된다. 장착 구멍(32)은, 방진 장치(12)를 강재(28)(하부 부재(19))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다. 도 6에서는, 부호 32가 일부의 장착 구멍 밖에 붙여 있지 않지만, 장착 구멍(32)은, 강재(28)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길이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1열로 배치된다. 강재(28)에 형성된 장착 구멍(32)의 열은, 강재(23)에 형성된 장착 구멍(27)의 열에 대해서 평행하게 배치된다. 도 6에는, 소정의 간격(예를 들면, 장착 구멍(27)의 열의 간격과 동일 간격)을 두고, 장착 구멍(32)을 2열로 배치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보강재(29)는, 예를 들면, 판 모양을 나타낸다. 보강재(29)는, 용접에 의해, 강재(28)에 고정된다. 보강재(29)는, 강재(28)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직립한 상태로 배치된다. 보강재(29)는, 상부 부재(20)를 고정할 때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장착 구멍(30 및 31)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하부 부재(19)의 구성(예를 들면, 강재(28)의 형상, 보강재(29)의 형상이나 장착 위치)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부 부재(19)는, 필요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면, 다른 구성을 가지고 있어도 상관없다.
상부 부재(20)(제1 부재)는, 권상기(7)가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부 부재(20)의 상면은, 권상기(7)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면을 형성한다. 상부 부재(20)는, 하부 부재(18 및 19)의 쌍방에 고정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지지 장치의 상부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상부 부재(20)는, 예를 들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강재(33, 34, 35)와, 판 모양의 보강재(36, 37, 38)가, 용접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고정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강재(33)는, 단면이, 예를 들면 コ자 모양(J자 모양)을 나타내고, 측부로 개구한다. 강재(33)는, 그 길이와 하부 부재(18)의 길이(하부 부재(19)의 길이)가 이루는 각(角)이, 약 90도가 되도록 배치된다. 강재(33)는, 하부 부재(18)의 상면과 하부 부재(19)의 상면과의 쌍방에 놓여지도록 배치된다.
강재(33)는, 일단부의 하면에, 복수의 장착 구멍(39)이 형성된다. 장착 구멍(39)은, 상부 부재(20)를 강재(23)(하부 부재(18))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다. 장착 구멍(39)은, 장착 구멍(25)과 동일 간격으로 형성된다. 40은, 강재(33)의 일단부를 강재(23)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이다. 강재(33)는, 일단부가, 강재(23)의 상면에 놓여진다. 볼트(40)는, 장착 구멍(39)과 장착 구멍(25)을 관통한다. 볼트(40)는, 나사부가, 장착 구멍(25)의 하부에서, 너트(41)(암나사가 형성된 부재)에 단단히 죄어진다.
강재(33)는, 타단부의 하면에, 복수의 장착 구멍(42)이 형성된다. 장착 구멍(42)은, 상부 부재(20)를 강재(28)(하부 부재(19))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다. 장착 구멍(42)은, 장착 구멍(30)과 동일 간격으로 형성된다. 43은, 강재(33)의 타단부를 강재(28)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이다. 강재(33)는, 타단부가, 강재(28)의 상면에 놓여진다. 볼트(43)는, 장착 구멍(42)과 장착 구멍(30)을 관통한다. 볼트(43)는, 나사부가, 장착 구멍(30)의 하부에서, 너트(도시하지 않음)에 단단히 죄어진다.
보강재(36)는, 강재(33)의 중앙부에 고정된다. 보강재(36)는, 강재(33)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직립한 상태로 배치된다.
강재(34)는, 단면이, 예를 들면 コ자 모양(J자 모양)을 나타내며, 측부로 개구한다. 강재(34)는, 강재(33)에 대해서 평행하게 배치된다. 즉, 강재(34)의 길이와 하부 부재(18)의 길이(하부 부재(19)의 길이)는, 거의 직각을 이룬다. 강재(34)는, 하부 부재(18)의 상면과 하부 부재(19)의 상면과의 쌍방에 놓여지도록 배치된다.
강재(34)는, 일단부의 하면에, 복수의 장착 구멍(44)이 형성된다. 장착 구멍(44)은, 상부 부재(20)를 강재(23)(하부 부재(18))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다. 장착 구멍(44)은, 장착 구멍(25)과 동일 간격으로 형성된다. 45는, 강재(34)의 일단부를 강재(23)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이다. 강재(34)는, 일단부가, 강재(23)의 상면에 놓여진다. 볼트(45)는, 장착 구멍(44)과 장착 구멍(25)을 관통한다. 볼트(45)는, 나사부가, 장착 구멍(25)의 하부에서, 너트(46)(암나사가 형성된 부재)에 단단히 죄어진다.
특허 청구 범위에서의 제1 볼트는, 본 실시의 형태에서, 볼트(40 및 45)에 의해 구성된다.
강재(34)는, 타단부의 하면에, 복수의 장착 구멍(47)이 형성된다. 장착 구멍(47)은, 상부 부재(20)를 강재(28)(하부 부재(19))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다. 장착 구멍(47)은, 장착 구멍(30)과 동일 간격으로 형성된다. 48은, 강재(34)의 타단부를 강재(28)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이다. 강재(34)는, 타단부가, 강재(28)의 상면에 놓여진다. 볼트(48)는, 장착 구멍(47)과 장착 구멍(30)을 관통한다. 볼트(48)는, 나사부가, 장착 구멍(30)의 하부에서, 너트(도시하지 않음)에 단단히 죄어진다.
특허 청구 범위에서의 제2 볼트는, 본 실시의 형태에서, 볼트(43 및 48)에 의해 구성된다.
강재(34)는, 하면에, 복수의 장착 구멍(49)(제4 장착 구멍)이 형성된다. 장착 구멍(49)은, 디플렉터 쉬브(10)를 지지하기 위해서 형성된 구멍이다. 장착 구멍(49)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보강재(37)는, 강재(34)의 중앙부에 고정된다. 보강재(37)는, 강재(34)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직립한 상태로 배치된다.
강재(35)는, 단면이, 예를 들면 コ자 모양을 나타내며, 측부로 개구한다. 강재(35)는, 그 길이가, 하부 부재(18)의 길이(하부 부재(19)의 길이)에 대해서 평행하게 배치된다. 강재(33)는, 타단부가 강재(35)에 용접에 의해서 고정된다. 강재(34)는, 타단부가 강재(35)에 용접에 의해서 고정된다.
강재(35)는, 하면에, 복수의 장착 구멍(50)이 형성된다. 장착 구멍(50)은, 상부 부재(20)를 강재(28)(하부 부재(19))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다. 장착 구멍(50)은, 장착 구멍(31)과 동일 간격으로, 1열로 형성된다. 51은, 강재(35)를 강재(28)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이다. 강재(35)는, 강재(28)의 상면에 놓여지도록 배치된다. 볼트(51)는, 장착 구멍(50)과 장착 구멍(31)을 관통한다. 볼트(51)는, 나사부가, 장착 구멍(31)의 하부에서, 너트(도시하지 않음)에 단단히 죄어진다.
보강재(38)는, 강재(35)의 단부에 고정된다. 보강재(38)는, 강재(35)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직립한 상태로 배치된다.
상부 부재(20)의 구성(예를 들면, 각 강재의 형상, 각 보강재의 형상이나 장착 위치)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부 부재(20)는, 필요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면, 다른 구성을 가지고 있어도 상관없다.
상부 부재(20)가 복수의 강재를 구비하는 경우는, 상부 부재(20)의 상면(고정면)을 판재(52)에 의해서 형성해도 괜찮다. 이러한 경우, 판재(52)는, 상부 부재(20)를 구성하는 각 강재에 용접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이면, 고정면에 높은 평탄도를 구비하게 할 수 있어, 권상기(7)를 소정의 수평도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장착 부재(21)(제5 부재) 및 장착 부재(22)(제4 부재)는, 디플렉터 쉬브(1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디플렉터 쉬브(10)의 축은, 한 쌍의 지지 부재(53)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지지 부재(53)는, 장착 부재(21 및 22)에 고정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지지 장치의 장착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장착 부재(21)를 나타내고 있다.
장착 부재(21)는, 하부 부재(18 및 19)의 쌍방에 고정된다. 장착 부재(21)는, 하부 부재(18)(하부 부재(19))의 일방의 단부 근처에 배치된다. 장착 부재(21)는, 예를 들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강재(54)와, 판 모양의 보강재(55)로 구성된다.
강재(54)는, 강도를 높게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예를 들면, L자 모양의 단면을 나타낸다. 강재(54)는, 그 길이와 하부 부재(18)의 길이(하부 부재(19)의 길이)와 이루는 각(角)이, 약 90도가 되도록 배치된다. 강재(54)는, 하부 부재(18)의 일단부의 상면과 하부 부재(19)의 일단부의 상면의 쌍방에 놓여지도록 배치된다.
강재(54)는, 일단부의 하면에, 장착 구멍(56)이 형성된다. 장착 구멍(56)은, 장착 부재(21)를 강재(23)(하부 부재(18))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다. 57은, 강재(54)의 일단부를 강재(23)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이다. 강재(54)는, 일단부가, 강재(23)의 일단부의 상면에 놓여진다. 볼트(57)는, 장착 구멍(56)과, 강재(23)의 가장 일단부 근처에 배치된 장착 구멍(25)을 관통한다. 볼트(57)는, 나사부가, 장착 구멍(56)의 상부에서, 너트(58)에 단단히 죄어진다.
강재(54)는, 타단부의 하면에, 장착 구멍(59)이 형성된다. 장착 구멍(59)은, 장착 부재(21)를 강재(28)(하부 부재(19))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다. 60은, 강재(54)의 타단부를 강재(28)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이다. 강재(54)는, 타단부가, 강재(28)의 일단부의 상면에 놓여진다. 볼트(60)는, 장착 구멍(59)과, 강재(28)의 가장 일단부 근처에 배치된 장착 구멍(30)을 관통한다. 볼트(60)는, 나사부가, 장착 구멍(59)의 상부에서, 너트(61)에 단단히 죄어진다.
강재(54)는, 디플렉터 쉬브(10)의 바로 상부에, 노치부(62)가 형성된다. 노치부(62)는, 메인 로프(6) 중, 강재(54)에 가장 접근하는 부분의 방향을 향해 개구한다. 노치부(62)는, 메인 로프(6)가 장착 부재(21)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메인 로프(6) 중, 구동 쉬브(9)로부터 디플렉터 쉬브(10)에 이르는 부분이, 노치부(62)를 통과한다.
도면에서는, 노치부(62)는, 권상기대(13)에 대해서 밖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메인 로프(6)가 강재(54)의 장착 부재(22)측을 통과하는 경우는, 메인 로프(6)의 배치에 맞추어 내측으로 개구하도록, 노치부(62)를 형성하면 좋다.
강재(54)는, 하부 부재(18 및 19)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의 하면에, 복수의 장착 구멍(63)이 형성된다. 장착 구멍(63)은, 디플렉터 쉬브(10)를 지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구멍이다. 장착 구멍(63)은, 지지 부재(53)를 장착 부재(21)에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64는 지지 부재(53)를 강재(54)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이다. 볼트(64)는, 장착 구멍(63)을 관통하고, 나사부가 지지 부재(53)에 단단히 죄어진다.
보강재(55)는, 강재(54)에 고정된다. 보강재(55)는, 노치부(62)의 양측에 배치된다. 보강재(55)는, 강재(54)의 강도에 맞추어, 필요한 매수를 강재(54)에 고정하면 좋다. 예를 들면, 강재(54)만으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면, 보강재(55)를 마련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이러한 경우는,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강재(54)를 두께를 더한 평판으로 형성해도 좋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지지 장치의 장착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장착 부재(22)를 나타내고 있다.
장착 부재(22)는, 하부 부재(18 및 19)의 쌍방에 고정된다. 장착 부재(22)는, 장착 부재(21)나 상부 부재(20)의 강재(34)에 대해서 평행하게 배치된다. 장착 부재(22)는, 장착 부재(21)의 상부 부재(20)측에 배치된다. 장착 부재(22)는, 예를 들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강재(65)와, 판 모양의 보강재(66)로 구성된다.
강재(65)는, 강도를 높게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예를 들면, L자 모양의 단면을 나타낸다. 강재(65)는, 그 길이와 하부 부재(18)의 길이(하부 부재(19)의 길이)가 이루는 각(角)이, 약 90도가 되도록 배치된다. 강재(65)는, 하부 부재(18)의 상면과 하부 부재(19)의 상면의 쌍방에 놓여지도록 배치된다.
강재(65)는, 일단부의 하면에, 장착 구멍(67)이 형성된다. 장착 구멍(67)은, 장착 부재(22)를 강재(23)(하부 부재(18))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다. 68은, 강재(65)의 일단부를 강재(23)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제3 볼트)이다. 강재(65)는, 일단부가, 강재(23)의 상면에 놓여진다. 볼트(68)는, 장착 구멍(25)과 장착 구멍(67)을 관통한다. 볼트(68)는, 나사부가, 장착 구멍(67)의 상부에서, 너트(69)에 단단히 죄어진다.
강재(65)는, 타단부의 하면에, 장착 구멍(70)이 형성된다. 장착 구멍(70)은, 장착 부재(22)를 강재(28)(하부 부재(19))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다. 71은, 강재(65)의 타단부를 강재(28)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제4 볼트)이다. 강재(65)는, 타단부가, 강재(28)의 상면에 놓여진다. 볼트(71)는, 장착 구멍(30)과 장착 구멍(70)을 관통한다. 볼트(71)는, 나사부가, 장착 구멍(70)의 상부에서, 너트(72)에 단단히 죄어진다.
강재(65)는, 하부 부재(18 및 19)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의 하면에, 복수의 장착 구멍(73)(제3 장착 구멍)이 형성된다. 장착 구멍(73)은, 디플렉터 쉬브(10)를 지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구멍이다. 구체적으로, 장착 구멍(73)은, 지지 부재(53)를 장착 부재(22)에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74는 지지 부재(53)를 강재(65)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이다. 볼트(74)는, 장착 구멍(73)을 관통하고, 나사부가 지지 부재(53)에 단단히 죄어진다.
보강재(66)는, 강재(65)에 고정된다. 보강재(66)는, 강재(65)의 강도에 맞추어, 필요한 매수를 강재(65)에 고정하면 괜찮다. 예를 들면, 강재(65)만으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면, 보강재(66)를 마련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이러한 경우는,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강재(65)를 두께를 두껍게 한 평판으로 형성해도 좋다.
권상기대(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방진 장치(12)를 매개로 하여, 기계대(11)에 고정된다. 기계대(11)의 강재(14)의 상면에, 예를 들면, 2개의 방진 장치(12)가 마련된다. 방진 장치(12)는, 볼트나 클립을 사용하여, 강재(14)에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기계대(11)의 강재(15)의 상면에, 예를 들면, 2개의 방진 장치(12)가 마련된다. 방진 장치(12)는, 볼트나 클립을 사용하여, 강재(15)에 고정된다. 방진 장치(12)는, 엘리베이터 칸(4)의 매달림 위치나 균형추(5)의 매달림 위치에 맞추어,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강재(14)의 상면에 마련된 방진 장치(12)에, 권상기대(13)의 하부 부재(18)가 마련된다. 하부 부재(18)는, 강재(14)의 상부에서, 강재(14)에 대해서 평행하게 배치된다. 하부 부재(18)는, 강재(14)에 마련된 방진 장치(12)의 상면에 놓여진다. 방진 장치(12)에, 예를 들면, 상부로 돌출하는 나사봉(75)이 구비된다. 강재(14)에 마련된 방진 장치(12)의 나사봉(75)은, 장착 구멍(27)을 관통한다. 장착 구멍(27)의 상부에서, 나사봉(75)에 너트(76)가 단단히 죄어진다.
강재(15)의 상면에 마련된 방진 장치(12)에, 권상기대(13)의 하부 부재(19)가 마련된다. 하부 부재(19)는, 강재(15)의 상부에서, 강재(15)에 대해서 평행하게 배치된다. 하부 부재(19)는, 강재(15)에 마련된 방진 장치(12)의 상면에 놓여진다. 강재(15)에 마련된 방진 장치(12)의 나사봉(75)은, 장착 구멍(32)을 관통한다. 장착 구멍(32)의 상부에서, 나사봉(75)에 너트(77)가 단단히 죄어진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지지 장치(8)에서는, 권상기대(13)의 상부 부재(20)가 하부 부재(18 및 19) 사이에 놓여 있다. 이 때문에, 권상기(7)로부터 받은 힘을, 상부 부재(20)와 하부 부재(18 및 19)를 통해서, 기계대(11)의 강재(14 및 15)의 쌍방으로 전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권상기대(13)의 장착 부재(21 및 22)는, 하부 부재(18 및 19) 사이에 놓여진다. 이 때문에, 디플렉터 쉬브(10)로부터 받은 힘을, 장착 부재(21 및 22)와 하부 부재(18 및 19)를 통해서, 기계대(11)의 강재(14 및 15)의 쌍방으로 전달할 수 있다. 권상기(7) 및 디플렉터 쉬브(10)로부터 받은 힘을 분산시켜 빌딩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에서는, 엘리베이터 칸(4)의 운전을 개시할 때에, 메인 로프(6)에 장력 변동이 생긴다. 이 장력 변동은, 권상기(7)를 진동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 권상기(7) 자체에도, 진동의 발생 요인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구동 쉬브(9)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의 토크 리플(torque ripple)이 원인이 되어, 권상기(7)에 진동이 발생한다. 권상기(7)에 감속기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는, 감속기의 백래쉬(backlash)가 원인이 되어, 권상기(7)에 진동이 발생한다. 지지 장치(8)에서는, 권상기대(13)가, 방진 장치(12)를 매개로 하여, 기계대(11)에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권상기대(13)와 방진 장치(12)와의 조합(스프링 및 질량계)에 의해, 권상기(7)로부터 빌딩에 전해지는 진동을 적절히 저감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권상기(7)를 적절한 위치에 설치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4)의 매달림 위치와 균형추(5)의 매달림 위치와의 수평 방향 거리(이하,「CC치수」라고도 함)는, 엘리베이터의 형식에 따라서 다르다. 엘리베이터를 리뉴얼하는 경우는, 기설 엘리베이터의 CC치수에 맞추어, (신규의) 권상기(7)와 디플렉터 쉬브(10)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해야만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지지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보다 CC치수가 짧은 엘리베이터에, 권상기(7)를 설치했을 때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권상기대의 평면도이다.
권상기대(13)의 하부 부재(18)에, 상부 부재(20)를 장착하기 위한 다수의 장착 구멍(25)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장착 구멍(25)은, 거리 D마다, 하부 부재(18)의 상면에 형성된다. 장착 구멍(39 및 44)은, 서로 이웃하는 구멍의 거리가 D가 되도록, 상부 부재(20)에 1열로 형성된다. 이 때문에, 볼트(40 및 45)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상부 부재(20)(의 일단부측)를 하부 부재(18)에 대해서, 거리 D 마다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권상기대(13)의 하부 부재(19)에, 상부 부재(20)를 장착하기 위한 다수의 장착 구멍(30)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장착 구멍(30)은, 거리 D마다, 하부 부재(19)의 상면에 형성된다. 장착 구멍(42 및 47)은, 서로 이웃하는 구멍의 거리가 D가 되도록, 상부 부재(20)에 1열로 형성된다. 이 때문에, 볼트(43 및 48)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상부 부재(20)(의 타단부측)를 하부 부재(19)에 대해서, 거리 D마다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하부 부재(18 및 19)의 위치를 적절히 맞추면, 상부 부재(20)를, 하부 부재(18 및 19)에 대해서, 거리 D마다 임의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를 리뉴얼하는 경우는, 도 10에 나타내는 A점과 B점과의 수평 방향 거리가, 엘리베이터의 CC치수에 가장 가깝게 되도록, 사용하는 장착 구멍(25 및 30)을 적절히 선택하여, 상부 부재(20)를 하부 부재(18 및 19)에 고정하면 좋다. A점은, 메인 로프(6)가 엘리베이터 칸(4)을 향해서 구동 쉬브(9)로부터 떨어지는 위치이다. B점은, 메인 로프(6)가 균형추(5)를 향해서 디플렉터 쉬브(10)로부터 떨어지는 위치이다.
바닥부(3)에 형성되는 로프 구멍(16)은, 설치 오차 등을 고려하여, 미리 조금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로프 구멍(16)을 통과하는 메인 로프(6)가 약간의 경사져 있어도,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문제가 생기지는 않는다. 로프 구멍(17)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말할 수 있다. 즉, CC치수가 일정한 범위 내에 있는 엘리베이터에 관해서는, 동일한 장착 구멍(25 및 30)을 사용하여, 상부 부재(20)를 하부 부재(18 및 19)에 장착한다.
예를 들면, 권상기(7)의 장착 위치를, 이하와 같이 설정한다.
(I)α<CC 치수≤α+D의 경우
권상기(7)와 디플렉터 쉬브(10)가 가장 접근하도록, 상부 부재(20)를 고정한다. α는, 최소 설정값이다. 최소 설정값 α는, CC치수가 가장 작은 엘리베이터의 형식에 따라서, 적절한 값이 미리 설정된다. 이 때, 도 10에 나타내는 A점과 B점과의 수평 방향 거리는, 예를 들면, α+D/2가 된다.
(II)α+D<CC 치수≤α+2D의 경우
권상기(7)가, 디플렉터 쉬브(10)로부터, (I)의 경우 보다도 거리 D만큼 더 수평 방향으로 떨어지는 위치에, 상부 부재(20)를 고정한다. 이 때, 도 10에 나타내는 A점과 B점과의 수평 방향 거리는, 예를 들면, α+3D/2가 된다.
(III)α+2D<CC 치수≤α+3D의 경우
권상기(7)가, 디플렉터 쉬브(10)로부터, (II)의 경우 보다도 거리 D만큼 더 수평 방향으로 떨어지는 위치에, 상부 부재(20)를 고정한다. 이 때, 도 10에 나타내는 A점과 B점과의 수평 방향 거리는, 예를 들면,α+5D/2가 된다.
이하, CC치수가 α+3D 보다도 큰 경우도, 상기와 동일한 조건으로, 상부 부재(20)를 고정한다.
장착 구멍(25)이나 장착 구멍(30)의 간격인 거리 D는, 로프 구멍(16)의 지름의 현재 상태나 기설 엘리베이터의 CC치수의 현재 상태를 조사하거나, 권상기대(13)에 필요하게 되는 강도를 고려하거나 하여, 적절한 값으로 설정하면 괜찮다. 최소 설정값 α, 거리 D를 적절한 값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거의 모든 형식의 엘리베이터의 CC치수에 대해서, 권상기대(13)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는, 장착 구멍(25 및 30)을 각각 등간격으로 형성하는 경우의 설명이다. 장착 구멍(25 및 30)을 불균일한 간격으로 형성해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장착 구멍(25)의 수는, 장착 구멍(39 및 44)의 총수(總數)보다 많다. 이 때문에, 볼트(40 및 45)의 총수는, 장착 구멍(25)의 수보다 적다. 상부 부재(20)가 하부 부재(18)에 적절히 고정되어도, 일부의 장착 구멍(25)에 볼트는 장착되지 않는다. 일부의 장착 구멍(25)은, 개구한 채로 있다. 마찬가지로, 장착 구멍(30)의 수는, 장착 구멍(42 및 47)의 총수보다 많다. 이 때문에, 볼트(43 및 48)의 총수는, 장착 구멍(30)의 수보다 적다. 상부 부재(20)가 하부 부재(19)에 적절히 고정되어도, 일부의 장착 구멍(30)에 볼트는 장착되지 않는다. 일부의 장착 구멍(30)은, 개구한 채로 있다.
상부 부재(20)의 고정면에 고정되는 권상기(7)는, 어느 장착 구멍(25 및 30)을 사용하여, 상부 부재(20)의 일단부측이 하부 부재(18)에, 타단부측이 하부 부재(19)에 고정되어도, 동일 높이로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동일 방향을 향한다」함은, 권상기(7)를 구성하는 구동 쉬브(9)의 회전축이 동일 방향을 향하는(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장착 구멍(25 및 30)을 사용하여 상부 부재(20)를 하부 부재(18 및 19)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권상기(7)의 배치를, 권상기(7)가 평행 이동하도록 변화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지지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보다 CC치수가 더 짧은 엘리베이터에, 권상기(7)를 설치했을 때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는, 권상기(7)를 디플렉터 쉬브(10)에 가장 접근시켰을 때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권상기대의 평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장착 부재(22)를 사용하지 않고, 상부 부재(20)에 의해서 디플렉터 쉬브(10)를 지지하고 있다. 상부 부재(20)의 장착 구멍(49)은, 장착 부재(22)의 장착 구멍(73)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강재(34)가 장착 부재(22)의 장착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부 부재(20)가 고정되면, 도 2나 도 11에서 장착 구멍(73)이 배치되어 있던 위치에, 장착 구멍(49)이 배치된다. 볼트(74)는, 장착 구멍(49)을 관통하고, 나사부가 지지 부재(53)에 단단히 죄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것에 의해, 권상기(7)를 디플렉터 쉬브(10)에 대해서 매우 가까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를 리뉴얼할 때에 기설의 기계대(11)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는, 구동 쉬브(9)를, 엘리베이터 칸(4)의 매달림 위치와 균형추(5)의 매달림 위치에 맞추어 적절히 배치한 다음에, 권상기대(13)를, 방진 장치(12)를 매개로 하여 기계대(11)에 고정해야만 한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지지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방진 장치(12)는, 강재(14)의 상면과 강재(15)의 상면에 마련된다. 강재(14)에 마련된 방진 장치(12)와 강재(15)에 마련된 방진 장치(12)와의 거리는, 강재(14)와 강재(15)와의 거리에 의해서 정해진다.
하부 부재(18)의 하면에, 장착 구멍(27)이 2열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하부 부재(19)의 하면에, 장착 구멍(32)이 2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방진 장치(12)의 하부 부재(18 및 19)에 대한 장착 위치를 바꾸는 것에 의해, 도 14 내지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종류의 기계대(11)에 맞추어 권상기(7)를 적절히 배치할 수 있다.
또, 강재(14)에 장착하는 방진 장치(12)의 위치(간격)는, 엘리베이터 칸(4)의 매달림 위치와 균형추(5)의 매달림 위치에 맞추면 좋다. 강재(15)에 장착하는 방진 장치(12)의 위치(간격)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강재(14)에 마련된 방진 장치(12)를, 내측에 배치된 장착 구멍(27)을 사용하여, 하부 부재(18)에 고정하고 있다. 강재(15)에 마련된 방진 장치(12)를, 외측에 배치된 장착 구멍(32)을 사용하여, 하부 부재(19)에 고정하고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강재(14)에 마련된 방진 장치(12)를, 외측에 배치된 장착 구멍(27)을 사용하여, 하부 부재(18)에 고정하고 있다. 강재(15)에 마련된 방진 장치(12)를, 내측에 배치된 장착 구멍(32)을 사용하여, 하부 부재(19)에 고정하고 있다.
장착 구멍(27) 및 장착 구멍(32)을 각각 2열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거의 모든 형식의 엘리베이터에 대해서, 권상기대(13)를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권상기대(13)는, CC치수나 기계대(11)의 구성이 다른 각종 엘리베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작 및 보관하는 부재나 부품의 종류를, 큰 폭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제작 및 보관을 위한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고, 그 관리도 용이하게 된다. 부재나 부품의 대부분을 공통화할 수 있기 때문에, 공사기간을 단기화하기 위한 교육 생산을 행해도, 종래와 같은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의 권상기대(13)에서는, 하부 부재(18)에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강재(23) 및 보강재(24)만으로는 하부 부재(18)에 소정의 강도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는, 다른 보강재를 추가해도 좋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지지 장치의 하부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나타내는 하부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하부 부재(18)는, 소정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강재(23)의 하면에 하부 보강재(78)를 고정하고 있다. 하부 보강재(78)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하부 부재(18)의 단면 계수를 크게 하여 강성을 높일 수 있다.
하부 부재(19)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권상기대(13)에서는, 사용되고 있는 볼트(특히, 제1 볼트를 구성하는 볼트(40 및 45), 제2 볼트를 구성하는 볼트(43 및 48))를, 암나사가 형성된 부재(너트 등)에, 소정의 접착제에 의해서 접착 고정해도 괜찮다. 예를 들면, 너트(41)에 접착제를 충전한 후에, 볼트(40)를 너트(41)에 단단히 조인다. 권상기대(13)에는, 권상기(7)로부터의 미세 진동이 장기간에 걸쳐 작용한다. 볼트를 접착 고정해 두면, 볼트가 진동에 의해서 느슨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일 접착제가 열화(劣化)하여 볼트가 느슨해진 경우라도, 접착제에 발생한 균열을, 눈으로 보는 것에 의해서 용이하게 찾아낼 수 있다.
권상기대(13)에, 충분한 트랙션(traction) 능력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증축대를 추가해도 괜찮다. 권상기(7)가 디플렉터 쉬브(10)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면, 메인 로프(6)가 구동 쉬브(9)에 감아 걸려지는 거리(감김 길이)가 짧게 된다. 이 거리가 짧게 되면, 엘리베이터 칸(4)을 구동하기 위한 충분한 구동력을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증축대는, 권상기대(13)의 상부 부재(20)와 권상기(7)와의 사이에 마련된다. 증축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권상기(7)의(디플렉터 쉬브(10)에 대한) 위치를 높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감김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충분한 트랙션 능력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권상기(7)가 디플렉터 쉬브(10)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권상기대(13)에 증축대를 추가해도 괜찮다. 이러한 경우라도, 권상기(7)의(디플렉터 쉬브(10)에 대한) 위치를 높게 할 수 있어, 감김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증축대를 사용하지 않아도 충분한 트랙션 능력을 얻을 수 있는 경우는, 권상기대(13)에 증축대를 추가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구성이면, 지지 장치(8)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권상기대(13)에서는, 하부 부재(18)의 상면에, 장착 구멍(25 및 26)이 2열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하부 부재(19)의 상면에, 장착 구멍(30 및 31)이 2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부 부재(20)와 선대칭인 구성을 가지는 부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권상기(7)를 권상기대(13)에 대해서 반대 방향으로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부재 중, 강재(35)에 상당하는 강재가, 장착 구멍(26)을 사용하여 하부 부재(18)에 고정된다.
또, 강재(33)에 장착 구멍(49)를 형성하고, 강재(33)에, 디플렉터 쉬브(10)를 지지하기 위한 강도를 확보하면, 동일 부재(상부 부재(20))를 이용하여, 권상기(7)를 쌍방의 방향으로 장착할 수도 있다.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지지 장치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균형추(5)가, 엘리베이터 칸(4)과 타측의 승강로벽과의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의 배치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1 및 도 22는, 균형추(5)가, 엘리베이터 칸(4)과 안쪽의 승강로벽과의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의 배치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구성을 가지는 권상기대(13)라면, 균형추(5)의 위치나 권상기(7)의 방향에 상관없이, 여러 가지의 엘리베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기설 엘리베이터를 리뉴얼할 때의 순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를 리뉴얼하는 경우는, 기설의 엘리베이터 칸(4), 기설의 균형추(5), 기설의 기계대(11)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많다. 기설의 기계대(11)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는, 먼저, 방진 장치(12)를, 클립 혹은 볼트를 사용하여, 강재(14 및 15)에 가(假)고정한다. 다음으로, 강재(14)에 가고정한 방진 장치(12)와 강재(15)에 가고정한 방진 장치(12)와의 사이에, 디플렉터 쉬브(10)를 놓는다.
상부 부재(20)는, 각 강재, 각 보강재, 판재(52)가 일체적으로 용접 고정된 상태로, 보관되어 있다. 상부 부재(20)는, 개수(改修)하는 엘리베이터의 CC치수에 맞추어, 하부 부재(18 및 19) 사이에, 볼트를 사용하여 고정된다. 권상기대(13)에는, 권상기(7)를 장착하기 위한 높은 정밀도(수평 정밀도 등)가 요구된다. 이 때문에, 상기 권상기대(13)의 조립은, 설비가 구비된 공장 내에서 행해진다.
일체적으로 조립된 권상기대(13)는, 엘리베이터의 설치 현장에 반입된다. 현장에서, 권상기대(13)에 권상기(7)가 장착된다. 권상기(7)가 장착된 권상기대(13)는, 양중(揚重) 장치(예를 들면, 체인 블록)에 의해서 양중되어, 기계대(11)에 가고정된 방진 장치(12) 위에 놓여진다. 또, 디플렉터 쉬브(10)가 권상기대(13)에 고정된다. 방진 장치(12)가 권상기대(13)에 고정된 후, 권상기(7)의 위치 조정이 행해지며, 방진 장치(12)가 기계대(11)에 고정된다.
이러한 순서라면, 권상기대(13)와 권상기(7)를 일체적인 구조물로서 취급할 수 있다. 양중이나 위치 조정을 행할 때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권상기(7)를 설치할 때의 미세 조정을 방진 장치(12)에서 일괄하여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권상기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을 구동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1 : 승강로  2 : 기계실
3 : 마루부  4 : 엘리베이터 칸
5 : 균형추  6 : 메인 로프
7 : 권상기  8 : 지지 장치
9 : 구동 쉬브  10 : 디플렉터 쉬브
11 : 기계대  12 : 방진 장치
13 : 권상기대
14, 15, 23, 28, 33, 34, 35, 54, 65 : 강재
16, 17 : 로프 구멍  18, 19 : 하부 부재
20 : 상부 부재  21, 22 : 장착 부재
24, 29, 36, 37, 38, 55, 66 : 보강재
25, 26, 27, 30, 31, 32, 39, 42, 44, 47, 49, 50, 56, 59, 63, 67, 70, 73 : 장착 구멍
40, 43, 45, 48, 51, 57, 60, 64, 68, 71, 74 : 볼트
41, 46, 58, 61, 69, 72, 76, 77 : 너트
52 : 판재  53 : 지지 부재
62 : 노치부  75 : 나사봉
78 : 하부 보강재

Claims (11)

  1. 엘리베이터 권상기를 지지하기 위한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1 장착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장착 구멍이, 소정의 방향으로 1열로 배치된 제2 부재와,
    상기 제1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2 장착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2 장착 구멍이, 상기 제1 장착 구멍의 열과 동일 방향으로 1열로 배치된 제3 부재와,
    상기 제1 장착 구멍을 관통하고, 상기 제1 부재를 상기 제2 부재에 고정하는 제1 볼트와,
    상기 제2 장착 구멍을 관통하고, 상기 제1 부재를 상기 제3 부재에 고정하는 제2 볼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1 장착 구멍의 수 보다도 적은 수의 상기 제1 볼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제2 장착 구멍의 수 보다도 적은 수의 상기 제2 볼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3 부재에 고정된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대(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를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있지 않은 상기 제1 장착 구멍 및 상기 제2 장착 구멍은, 그들 구멍을 사용하여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제2 부재 및 상기 제3 부재에 고정된 경우에, 상기 제1 부재에 고정된 상기 권상기가 동일 높이로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장착 구멍은, 상기 제2 부재의 상면에, 상기 제2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2 장착 구멍은, 상기 제3 부재의 상면에, 상기 제3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대.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디플렉터 쉬브(deflector sheave)를 지지하기 위한 제4 부재와,
    상기 제1 장착 구멍을 관통하고, 상기 제4 부재를 상기 제2 부재에 고정하는 제3 볼트와,
    상기 제2 장착 구멍을 관통하고, 상기 제4 부재를 상기 제3 부재에 고정하는 제4 볼트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4 부재는, 상기 디플렉터 쉬브를 지지하기 위한 제3 장착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4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디플렉터 쉬브를 지지하기 위한, 상기 제3 장착 구멍에 대응하는 제4 장착 구멍이 형성된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대.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디플렉터 쉬브를 지지하기 위한 제5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5 부재는, 상기 제2 부재의 일단부와 상기 제3 부재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디플렉터 쉬브의 바로 상부에, 메인 로프를 통과시키기 위한 노치부가 형성된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대.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방진(防振)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5 장착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5 장착 구멍이, 소정의 방향으로 1열로 배치되며,
    상기 제3 부재는, 방진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6 장착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6 장착 구멍이, 상기 제5 장착 구멍의 열과 동일 방향으로 1열로 배치된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5 장착 구멍은, 상기 제2 부재의 하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2열로 형성되며,
    상기 제6 장착 구멍은, 상기 제3 부재의 하면에, 상기 제5 장착 구멍의 열의 간격과 동일 간격으로 2열로 형성된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대.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볼트 및 상기 제2 볼트는, 암나사가 형성된 부재에, 소정의 접착제에 의해서 접착 고정된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대.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권상기대와,
    상기 권상기대에 지지되는 권상기와,
    상기 권상기의 구동 쉬브에 감아 걸려진 메인 로프와,
    상기 메인 로프에 의해서 승강로 내에 매달려진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대에 마련되며, 상기 메인 로프가 감아 걸려진 디플렉터 쉬브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 로프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향해서 상기 구동 쉬브로부터 떨어지는 위치와 상기 메인 로프가 상기 균형추를 향해서 상기 디플렉터 쉬브로부터 떨어지는 위치와의 수평 방향 거리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매달림 위치와 상기 균형추의 매달림 위치와의 수평 방향 거리에 가장 가깝게 되는 상기 제1 장착 구멍 및 상기 제2 장착 구멍을 사용하여,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제2 부재 및 상기 제3 부재에 고정된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147031117A 2012-05-30 2012-05-30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대 및 엘리베이터 장치 KR1016874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63966 WO2013179423A1 (ja) 2012-05-30 2012-05-30 エレベーターの巻上機台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828A true KR20140143828A (ko) 2014-12-17
KR101687467B1 KR101687467B1 (ko) 2016-12-19

Family

ID=49672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1117A KR101687467B1 (ko) 2012-05-30 2012-05-30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대 및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66375B2 (ko)
JP (1) JP5743029B2 (ko)
KR (1) KR101687467B1 (ko)
CN (1) CN104395223B (ko)
DE (1) DE112012006449B4 (ko)
WO (1) WO20131794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21150A1 (en) * 2014-06-11 2017-05-04 Auréllen FAUCONNET Elevator system
JP6558765B2 (ja) * 2014-12-18 2019-08-14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処理装置、処理方法、推測装置、推測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151963A (zh) * 2015-10-09 2015-12-16 康力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家用电梯曳引机驱动装置
WO2017216911A1 (ja) * 2016-06-15 2017-12-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巻上機台、エレベータ用巻上機台の固定方法
US10394930B2 (en) * 2016-10-01 2019-08-27 Intel Corporation Binary vector factorization
JP6345374B1 (ja) * 2016-12-22 2018-06-2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CN107188007A (zh) * 2017-05-15 2017-09-22 上海三荣电梯制造有限公司 一种组合式曳引机座
CN108928716A (zh) * 2017-05-23 2018-12-04 奥的斯电梯公司 曳引机组件及电梯
JP6738771B2 (ja) * 2017-05-31 2020-08-12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巻上機の運搬台車及びその運搬方法
JP6751480B2 (ja) * 2017-09-27 2020-09-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乗りかご
CN108584625A (zh) * 2018-06-13 2018-09-28 沃克斯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新型电梯使用主机安装支撑装置及其新型电梯
DE102019203931A1 (de) * 2019-03-22 2020-02-20 Thyssenkrupp Ag Verfahren zur Planung einer Modernisierung einer Aufzugsanlage
CN111392553B (zh) * 2020-03-10 2021-06-18 奥帝亚电梯有限公司 一种新型施工用升降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7681A (ja) 1981-10-09 1983-08-16 ボルト・テクノロジ−・コ−ポレ−シヨン ソレノイド弁装置
JPH06135666A (ja) * 1992-10-26 1994-05-17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巻上機取付装置
JPH0781861A (ja) 1993-09-14 1995-03-28 Toshiba Erebeeta Technos Kk エレベータの巻上機装置
JP2007070082A (ja) 2005-09-08 2007-03-2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巻上機のリニューアル方法、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マシンベッド
WO2011051559A1 (en) * 2009-10-28 2011-05-05 Kone Corporation Fixing arrangement of a hoisting machine of an elevator and method for installing a hoisting machine of an elevato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50118A (en) * 1928-10-15 1932-03-22 Alfred M Meyers Building construction
DE2828477A1 (de) * 1978-06-29 1980-01-03 Keiper Recaro Gmbh Co Konsole fuer einen fahrzeugsitz
US4807723A (en) * 1983-10-17 1989-02-2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roping arrangement
JPS60236989A (ja) 1984-05-09 1985-11-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機器の支持装置
FI84051C (fi) * 1988-03-09 1991-10-10 Kone Oy Linupphaengning foer en hiss.
JPH0326684A (ja) 1989-06-23 1991-02-05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巻上機防振構造
US5396782A (en) * 1993-10-01 1995-03-14 American Standard Inc. Integral suspension system
EP0763495A1 (de) * 1995-09-15 1997-03-19 Inventio Ag Maschinenrahmen
SG110016A1 (en) * 2002-02-18 2005-04-28 Inventio Ag Engine frame with counter-roller support for an elevator drive
US8302740B2 (en) * 2003-01-31 2012-11-06 Otis Elevator Company Integrated support for elevator machine, sheaves and terminations
CN100554119C (zh) * 2003-06-18 2009-10-28 东芝电梯株式会社 电梯
JP4364017B2 (ja) 2004-03-09 2009-11-11 プレス工業株式会社 サイドメンバの製造方法
JP2007182270A (ja) 2006-01-04 2007-07-19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用巻上機ユニットの吊り治具
AT504820B1 (de) * 2007-02-09 2012-10-15 Miba Frictec Gmbh Reibbelag
FI20090028A (fi) * 2009-01-30 2010-07-31 Kone Corp Menetelmä hissin köysityksen järjestämiseksi, menetelmä hissin modernisoimiseksi ja menetelmällä toteutettu hissi
CN201712560U (zh) 2010-07-16 2011-01-19 中国重汽集团济南动力有限公司 一种重型汽车后部防护装置
JP2012046287A (ja) 2010-08-25 2012-03-0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巻上げ機支持機構
DE102010041864A1 (de) * 2010-10-01 2012-04-05 Otto Bihler Handels-Beteiligungs-Gmbh Halterungsmodul für Fertigungs- und/oder Montagekomponenten einer Bearbeitungsanlage sowie eine mit einem solchen Halterungsmodul ausgestattete Bearbeitungsanlage
BR112013020859B1 (pt) * 2011-05-31 2021-02-09 Inventio Ag instalação de elevador com uma estrutura de acionamento e uma unidade de acionamento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7681A (ja) 1981-10-09 1983-08-16 ボルト・テクノロジ−・コ−ポレ−シヨン ソレノイド弁装置
JPH06135666A (ja) * 1992-10-26 1994-05-17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巻上機取付装置
JPH0781861A (ja) 1993-09-14 1995-03-28 Toshiba Erebeeta Technos Kk エレベータの巻上機装置
JP2007070082A (ja) 2005-09-08 2007-03-2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巻上機のリニューアル方法、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マシンベッド
WO2011051559A1 (en) * 2009-10-28 2011-05-05 Kone Corporation Fixing arrangement of a hoisting machine of an elevator and method for installing a hoisting machine of an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7467B1 (ko) 2016-12-19
US10266375B2 (en) 2019-04-23
JPWO2013179423A1 (ja) 2016-01-14
JP5743029B2 (ja) 2015-07-01
WO2013179423A1 (ja) 2013-12-05
DE112012006449T5 (de) 2015-03-05
US20150027815A1 (en) 2015-01-29
CN104395223B (zh) 2016-09-14
DE112012006449B4 (de) 2018-11-15
CN104395223A (zh) 2015-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7467B1 (ko)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대 및 엘리베이터 장치
JP5989549B2 (ja) 乗客コンベア
EP2724971B1 (en) Support apparatus for elevator hoisting machine
JP2007297209A (ja) エレベータ装置
JP5898057B2 (ja) エレベーターの荷重支持ビーム保持装置
JP5656085B2 (ja) エレベータ
CN108698792B (zh) 电梯装置
WO2014174576A1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9502457B (zh) 电梯曳引机座及采用该电梯曳引机座的电梯装置
JP5680198B2 (ja) エレベータ及び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6404493B1 (ja) エレベータ装置の釣合いおもり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4195063B2 (ja) エレベーター
WO2023026386A1 (ja) 昇降路上部構造体、昇降路上部構造体の設置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
JP7205589B1 (ja) エレベーターのガイドレール固定用ブラケット
JP7028382B1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
JP2015030559A (ja) エレベータの主索固定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6072146B2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の支持構造体およびエレベータ用巻上機のリニューアル方法
JP2018118842A (ja) エレベーターの釣合おもり用耐震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の釣合おもり用耐震装置の取付方法
JP6669610B2 (ja) エレベーター及びロープ支持機構
JP2023128272A (ja) 工事用エレベータ、及び、その工事用エレベータにおけるエレベータ基礎部の構築方法
JP6459417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盤固定装置
WO2020194523A1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機械台
JP2020169085A (ja) カウンターウェート及びこ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装置
WO2017037910A1 (ja) エレベータの釣り合いおもり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の釣り合いおもり装置の改修方法
JP2007182308A (ja) 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組合せ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