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9317A - 화상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화상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9317A
KR20140079317A KR1020130157255A KR20130157255A KR20140079317A KR 20140079317 A KR20140079317 A KR 20140079317A KR 1020130157255 A KR1020130157255 A KR 1020130157255A KR 20130157255 A KR20130157255 A KR 20130157255A KR 20140079317 A KR20140079317 A KR 20140079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tination
call
transmission
user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7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스케 수가
미치오 후쿠시마
에이지 오하라
시게루 코이주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79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3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24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04M11/064Data transmission during pauses in telephone conver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04M11/066Telephone sets adapted for data transm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2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fax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2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features of supplementary services
    • H04M2203/2066Call type detection of indication, e.g. voice or fax, mobile of fixed, PSTN or 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6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applications where calls are combined with other types of communication
    • H04M2203/657Combination of voice and fax c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화상처리장치는, 1개의 착신지에 대하여 음성 통화용의 착신지 정보와 데이터 송신용의 착신지 정보를 서로 관련지어 등록한다. 화상처리장치는 음성 통화용의 착신지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착신지와의 음성 통화를 실행하고, 유저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 송신 지시에 따라 데이터 송신용의 착신지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착신지와의 데이터 송신을 실행한다.

Description

화상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IP망 등의 통신망을 통한 통화, 팩시밀리 통신, 이메일 통신, 및 파일 송신을 행하는 화상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126485호에는, 팩시밀리(FAX) 장치에 있어서 1개의 착신지명(destination name)에 통화용 전화번호와 FAX 번호를 각각 등록하고, 1개의 착신지명을 선택한 후 통화 지시를 입력하면 등록된 통화용 전화 번호에 통화를 행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FAX 장치에서 송신 지시가 입력되면, FAX 데이터가 등록된 FAX 번호에 송신된다. 또한, 최근의 MFP(Mu1ti Function Printer)는 IP망과의 통신부를 가지고 있고,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IP망을 통해서 이메일에 첨부해서 송신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MFP는 스텝 SMB(Server Message Block) 등으로 다른 PC의 공유 폴더에 파일을 송신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IP망의 발달에 따라,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Telecommunication) T.38 권고에 의거해, 고속의 IP망을 통해서 FAX 통신을 상업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화상처리장치가 존재한다. T.38에 대응한 화상처리장치에서는, 통신 상대와의 호(call) 접속에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라고 불리는 호 접속 처리를 사용한다. SIP 세션에서는, SIP 메시지의 헤더부에 기재된 SIP URI(예를 들면, sip:0300000001@test.com 과 같은 sip:전화번호@도메인 명)로 착신측의 통신 상대를 지정할 수 있다. 즉, 공중 전화망(이하에서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이라고 칭한다.)에서 사용한 전화 번호로 통신 상대를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SIP 세션에서는,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미디어 타입을 나타내고, T.38에서는 예를 들면 "정지 화상"(image)이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통화나 간주 음성(소위 "인밴드(inband)"라고 한다)에 의한 G3 FAX 통신에서 미디어 타입으로서 "음성"(voice)을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발신측이 오퍼(offer) SDP을 포함하는 INVITE를 송신하고, 착신측이 앤서(answer) SDP을 포함하는 성공 응답을 발신측에 회신함으로써 호 접속을 실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SIP는 IP 패킷의 교환에 의해 호 접속을 지시한다.
또한, 종래의 회선 교환식의 전화 회선망을 IP(Internet Protocol) 기술에 의거한 네트워크로 바꿔 놓는 NGN(Next Generation Network)망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보급되고 있다. NGN망은, 네트워크 자체에 대역 보상 기능 및 시큐리티 기능을 가지고 있고, SIP을 사용하여 전화 서비스, 영상 통신 서비스, 데이터 통신 서비스 등을 통합적으로 실현하는 IP 네트워크다. 일본국 내에서의 전화 서비스로서는, Hikari Denwa가 제공되어 있다. 그리고, 데이터 통신의 서비스로서 IP망을 사용한 FAX 통신을 행하는 경우도 있다. 한층 더, IP망의 발달에 따라, 음성 데이터를 IP 패킷으로 패킷화해서 인터넷을 통해서 발신측과 착신측이 피어 투 피어(peer-to-peer) 통신을 행하는 인터넷 전화 서비스가 보급되고 있다. PC(Personal computer)에 인터넷 전화 소프트웨어를 인스톨해서 인터넷 전화 기능을 실현하는 SkypeTM 등이 알려져 있다. 스카이프(Skype)는 상대편 지정에 종래의 전화번호를 사용해서 유료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스카이프 단말끼리에서는 전화번호 대신에 스카이프명이라고 불리는 유니크한 ID를 사용해서 무료 음성 통화를 허용한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기술에는 이하에 기재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종래기술에 의하면, 1개의 착신지(destination)를 선택한 후, 음성 통화 지시를 입력하면, 등록된 음성 통화용 전화번호에 음성 통화를 행한다. 송신 지시가 입력되면, 등록된 FAX 번호에 FAX 데이터가 송신된다. 따라서, 음성 통화나 FAX 호출(call)을 실수없이 발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같은 상대에 대하여 음성 통화 후에 FAX 데이터를 송신하고 싶은 경우에는, 음성 통화 지시를 입력해서 음성 통화를 행한 후에 다시 FAX 송신 지시를 입력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대편을 2회 지시할 필요가 있어 손이 많이 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유저가 같은 상대에 대하여 음성 통화 후에 FAX 송신을 하고 싶은 경우에는, 종래의 PSTN을 사용하는 G3 FAX 통신에서는, 먼저 음성 통화를 행하여, 상대와 음성 통화한 후에 MFP로 스타트 버튼을 눌러 송신 지시를 입력함으로써 같은 전화번호에의 팩시밀리 송신, 즉 소위 수동 송신이 가능하다. 잘못된 상대편의 지시, 즉 오송신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시퀀스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IP 기술에 근거한 전화 서비스 중에서, 번호 계획에 근거하는 전화번호(예를 들면, 050-0000-0000)가 할당된 서비스를, IP 전화 서비스라고 칭하고, 전화번호의 할당 없이 유니크한 ID(예를 들면, 스카이프명)가 할당된 서비스를 인터넷 전화 서비스라고 칭한다. 어떤 화상처리장치에서는, 음성 통화는 IP 전화 서비스, 인터넷 전화 서비스, Hikari Denwa, 또는 스카이프 등의 통신비가 저렴한 새로운 인프라를 사용하고, FAX 송신은 고속의 시큐리티가 높은 NGN을 사용한다. 이 경우, 상대의 음성 통화와 FAX 전화 번호가 다르면, 수동 송신은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스카이프 등의 인터넷 전화 서비스에서는, 통화의 상대를 지정할 때에 전화번호를 사용하지 않고 스카이프명 등의 문자열을 사용하기 때문에, 인터넷 전화 착신지(스카이프명 등)은 FAX 송신의 전화번호와는 다르다.
또한, 유저가 음성 통화 후에 이메일 메시지를 송신하고 싶은 경우에도, 상대의 음성 통화 착신지와 이메일 어드레스가 서로 다르다. 또한, 유저가 음성 통화 후에 파일을 송신하고 싶은 경우에도, 상대의 음성 통화 착신지와 파일 송신 착신지가 서로 다르다. 그리고, 송신측의 통신부가, 음성 통화, FAX 송신, 이메일 송신 및 파일 송신에 대해서 각각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의 수동 송신은 사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다양한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상이한 통신 방법을 사용해서 동일한 상대와의 통신을, 이들 통신 방법에서의 상대편의 지시 조작을 필요로 하는 일없이 적합하게 행하는 메카니즘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국면은, 음성 통화와 데이터 송신을 실행가능한 화상처리장치로서, 한 개의 착신지에 대하여 상기 음성 통화를 행하기 위해 사용된 음성 통화용의 착신지 정보와 상기 데이터 송신을 행하기 위해 사용된 데이터 송신용의 착신지 정보를 관련지어서 등록하도록 구성된 등록유닛과, 상기 음성 통화용의 착신지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착신지와의 음성 통화를 실행하고, 상기 음성 통화 후에, 유저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 송신 지시에 따라 상기 데이터 송신용의 착신지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착신지와의 데이터 송신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어유닛을 구비하는, 화상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은, 음성 통화와 데이터 송신을 실행가능한 화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1개의 착신지에 대하여 상기 음성 통화를 행하기 위해 사용된 음성 통화용의 착신지 정보와 상기 데이터 송신을 행하기 위해 사용된 데이터 송신용의 착신지 정보를 관련지어서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지에 대하여 음성 통화한 후에 데이터 송신을 행하는 통화후 송신이 지시된 경우에 상기 음성 통화용의 착신지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착신지와의 음성 통화를 실행하고, 유저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 송신 지시에 따라, 상기 데이터 송신용의 착신지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착신지와의 데이터 송신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은, 화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의 각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송신측 MFP의 제어 플로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신측 MFP의 제어 플로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처리장치의 구성과 망 접속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3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처리장치의 구성과 망 접속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착신지 등록시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착신지 등록시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c는, 착신지 등록시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d는, 착신지 등록시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착신지 선택시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착신지 선택시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c는, 착신지 선택시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d는, 착신지 선택시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등록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의 구성소자, 수치적 표현 및 수치 등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념한다.
<제1의 실시예>
<화상처리장치의 구성>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301)의 하드웨어 구성과 망 접속에 관하여 설명한다. 화상처리장치(301)는, LAN(Local Area Network)(507) 및 아날로그 포트를 가진 라우터 506을 통해서 IP망(501)에 접속된다. 도 3에 나타낸 IP망(501)으로서는, 인터넷, NGN, 이들을 서로 접속하는 게이트웨이, 및 명칭 해결(name solution)을 행하는 DNS(Domain Name Server)을 포함하는 망을 상정하고 있다. 수신측의 T.38 대응 FAX 기능을 갖는 T.38 대응 FAX(505)는, LAN 514 및 아날로그 포트를 가진 라우터 504를 통해서 IP망(501)에 접속된다.
LAN 507 및 LAN 514는 LAN 통신을 행하기 위해 필요한 허브 및 케이블을 포함하고 서로 접속되어 있다. 아날로그 포트를 가진 라우터 504과 506의 아날로그 포트에는, 공중 회선용의 통화를 행하는 PSTN 접속용의 전화기(공중회선용 전화기)511, 512이 접속되어, 라우터를 통해서 다른 전화기와의 통화가 가능하다. 아날로그 포트를 가진 라우터 504 및 506은, 아날로그 포트가 없는 라우터로 교체되어도 된다. 그 경우, PSTN 접속용의 전화기 511 및 512은 이용할 수 없다.
PC(516)는, SMB(server message block) 등의 파일 공유 기능을 갖고, LAN 507에 접속되어, LAN 507 내에서 파일 공유가 행해진다. 메일 서버(515)는 IP망에 접속되고,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서버와 POP(Post Office Protocol) 서버로서 동작해, 메일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하다. PC(517)는, LAN 514에 접속되어, 이메일의 송수신 소프트웨어가 인스톨됨으로써, 이메일 메시지의 송수신이 행해진다.
인터넷 전화 단말 510, 513은, LAN 514, 507에 접속되어, 스카이프(Skype) 등의 인터넷 전화 단말로서 통화가 가능하다. 또, IP망 내에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SIP 서버가 존재하고, SIP 세션의 접속 처리를 행하고 있다. 또, IP망(501)과 PSTN(503)과의 사이에 데이터 교환 처리를 행하는 VoIP GW(게이트웨이)(502)가 존재한다. PSTN(503)은, 기존의 공중 전화망이다. G3 팩시밀리 장치(G3 FAX)(508)는, T.30의 음성 통화만을 지원하는 단말이다. 핸드셋(handset)(519)은, G3 FAX(508)의 전화기용 단자에 접속되어, G3 FAX(508)에서 수동 수신이나 수동 송신을 행할 때의 음성 통화용에 사용된다. 전화기(509)는, PSTN(503)에 접속되어 다른 전화기와 통화가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301)는, 음성 통화와 데이터 송신을 행할 수 있다. 화상처리장치(301)는, 화상의 입출력 기능을 가지고 있고, 종이 시트의 입력 동작 및 종이 시트에의 인쇄 출력 동작을 행한다. 화상처리장치(301)는, 입력한 화상정보를 종이 시트 등의 기록재에 인쇄하거나, 그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로서 보존하거나 LAN 및 FAX를 통해서 그 정보를 다른 기기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화상처리장치(301)는, LAN 507에 항상 접속되고,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다른 화상처리장치, PC(Personal Computer), 및 서버와 함께 화상처리장치를 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화상처리장치(301)는 PC로부터의 프린트 데이터와, 다른 MFP으로부터의 화상 정보를 수신하고, 종이 시트에의 인쇄 출력도 가능하다. 유저는 유저 인터페이스(이하, "UI"라고 칭한다.)(314)를 통해서 화상처리장치(301)의 동작을 지시할 수 있다.
이하, 화상처리장치(301)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CPU(302)는, 화상처리장치(301)의 제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ROM(304)이나 HDD(306)로부터 로드(load)하고, 로드한 프로그램을 RAM(305)에 전개하며, 전개한 프로그램을 실행해 장치 전체를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ROM(304)은, 장치의 부트 프로그램, 고정 파라미터 등을 저장하는 리드 온리 메모리(read only memory)이며, 플래시 메모리가 보통 사용된다. RAM(305)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이며, CPU(302)가 화상처리장치(301)를 제어할 때에 일시적인 작업 데이터, 화상 데이터, 및 인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에 사용된다. HDD(306)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이며, 화상 데이터, 인쇄 데이터, 및 착신지 등록 정보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에 사용된다. 또한, RAM(305) 및 HDD(306)는, CPU(302)가 화상 데이터의 화상처리, 부호화/복호화, 및 해상도 변환을 행하는 작업 영역으로서도 사용된다.
UI 제어부(313)는, UI(유저 인터페이스)(314)를 제어하고, 각종 정보를 표시하며, 유저로부터의 지시 입력을 접수한다. 프린터 I/F 제어부(315)는, 프린터(316)를 제어하는 장치다. 스캐너 I/F 제어부(317)는, 스캐너(318)를 제어하는 장치다. 네트워크 I/F 제어부(319)는, LAN 507과의 데이터 교환을 제어하고,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RTP(Real Time Protocol) 등의 IP 패킷을 해석 및 생성한다. IP 패킷의 교환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하는 SIP, SDP, VoIP, 및 데이터는, 일단 RAM(305)이나 HDD(306)에 보존된 후에, CPU(302)에 의해 해석되어 프로토콜 규정에 따라 처리된다. 또한, 버스 311에는, 스캐너 I/F 제어부(317), CPU(302), ROM(304), RAM(305), HDD(306), 모뎀 307, 프린터 I/F 제어부(315), UI 제어부(313), 및 음성회로(322)가 전기신호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버스 311에는, 네트워크 I/F 제어부(319) 및 CODEC(320)이 전기신호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버스 311는, CPU(302)로부터의 제어신호와 각 유닛 간의 데이터 신호를 교환하는 시스템 버스로서 사용된다.
음성회로(322)는, 아날로그 신호(312)를 통해서 헤드셋(309)에 접속되고, 음성을 A/D 또는 D/A 변환해서 신호 처리해, 음성신호를 G.711 형식의 PCM 데이터나 또 다른 부호화된 데이터로서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헤드셋(309)은, 마이크로폰과 스피커를 내장하고, 상대의 음성 데이터가 스피커로부터 출력되어 유저의 음성이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되기 때문에, 유저에 의해 음성 통화에 사용된다. 헤드셋(309)은, 마이크로폰이 부착된 이어폰이나 전화기의 헤드셋과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인터넷 전화기에서는, 음성 패킷 데이터는 네트워크 I/F 제어부(319)와 아날로그 포트를 가진 라우터 506을 통해서 IPI망(501)과 교환된다. 그리고, 음성 패킷 데이터는 상대측의 아날로그 포트를 가진 라우터 504을 통해서 상대의 인터넷 전화 단말(510)과 교환된다.
슬레이브) 전화(슬레이브 유닛(slave unit))(328)는, PSTN용의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SLIC(Subscriber Line Interface Circuit)(327)에 접속된다. SLIC(327)는, 오프 훅(off-hook) 검출, DC 인가, 및 호출 신호 송출이라고 하는 PSTN용에 접속되는 슬레이브 전화(328)의 제어를 행한다. CPU(302)는, SLIC(327)를 제어해서 슬레이브 전화(328)의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음성을 A/D 변환하고, 디지털 음성 신호를 모뎀 307을 통해서 CODEC(320)에 송신하여, 데이터를 G.711 형식의 PCM 데이터나 그 밖의 부호화된 데이터로 변환한다. CPU(302)는, 네트워크 I/F 제어부(319)를 통해서 VoIP 패킷을 송출한다. 또한, CPU(302)는, CODEC(320)을 제어해서 네트워크 I/F 제어부(319)를 통해서 페치된(fetched) VoIP 패킷 내의 G.711 형식의 PCM 데이터나 기타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데이터를 모뎀 307을 통해서 SLIC(327)에 송신한다. CPU(302)는, SLIC(327)를 제어해서 데이터를 D/A 변환하고, 음성신호를 슬레이브 전화(328)의 스피커로부터 송출한다. 또한, 모뎀 307과 CODEC(320)은 동일 칩 내에 통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화상처리장치(301)는, T.38 대응 FAX 기능을 갖고, IP망(501)을 통해서 상대측의 T.38 대응 FAX기와 접속해 T.38에 따른 FAX 통신이 가능하다. 유저는, 전화 회사와 NGN 계약을 해서 번호계획에 근거하는 전화번호(03-0000-0005)를 할당받고, 아날로그 포트를 가진 라우터 506의 설정에 의해 화상처리장치(301)에 전화번호(03-0000-0005)를 할당해서 통신할 수 있다. 화상처리장치(301)는, SIP에 의해 통신 상대와의 호 접속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T.38 FAX 통신을 행할 때의 데이터의 흐름을 설명한다. CPU(302)는, 스캔한 화상 데이터를 JBIG 데이터 등의 부호화 데이터로 변환한다. 그리고, 부호화 데이터는 네트워크 I/F 제어부(319)에 의해 T.38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되고, 그 후에 아날로그 포트를 가진 라우터 506을 통해서 IP망(501)에 전송된다. 그리고나서, 상대측의 T.38 대응 FAX(505)는 T.38 IP 패킷을 수신한다. 한편, T.38 대응 FAX(505)로부터 송출된 T.38 IP 패킷은, IP망(501) 및 라우터를 통해서 네트워크 I/F 제어부(319)에 도달하고, 부호화된 디지털의 화상 데이터가 패킷으로부터 추출되어 CPU(302)에 보내진다. 예를 들면 JBIG로 부호화된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복호화해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수신한 데이터로서 프린터 I/F 제어부(315)에 보낸다. 그리고나서, 그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316)에 의해 프린트한다.
통신 상대가 T.38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화상처리장치(301)가 간주 음성(여기에서는, "T.30 VoIP"라고도 칭한다.)으로 G3 FAX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유저는 전화 회사와 NGN 계약을 해서, 상기와 같은 전화번호(03-0000-0005) 및 간주 음성, 즉 모뎀을 사용해서 G3 FAX 통신을 행한다. 또한, 유저는 전화회사와 계약해서 번호계획에 근거하는 새로운 전화번호를 간주 음성 통화에 할당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그때의 데이터의 흐름을 설명한다.
CPU(302)는, 스캔한 화상 데이터를 JBIG 데이터 등의 부호화 데이터로 변환한다. CPU(302)는, 모뎀 307을 제어해서 부호화된 디지털의 화상 데이터를 변조해서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CODEC(320)(음성 부호화/복호화부)을 제어해서 음성신호를 G.711 형식의 PCM 데이터로서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버스 321 및 버스 308로서는, 병렬 버스 또는 SPI나 I2C와 같은 직렬 버스를 사용한다. 그리고나서, CPU(302)는, 네트워크 I/F 제어부(319)를 제어해서 상기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VoIP 패킷으로 변환하고, 이들 패킷을 아날로그 포트를 가진 라우터 506을 통해서 IP망(501)에 전송한다. 이 VoIP 패킷은, RTP(Real Time Protocol) 형식을 따르고 있다. 또한, IP망(501)과 PSTN(503)과의 사이에는 데이터 교환 처리를 행하는 VoIP GW(502)가 접속되어 있다. VoIP GW(502)는, VoIP 패킷을 PSTN(503)을 투과할 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하고, PSTN(503)을 통해서 상대기기의 G3 FAX(508)에 간주 음성이 도달한다. 또한, G3 FAX(508)로부터 송출된 음성신호는, PSTN(503)을 통해서 VoIP GW(502)에 의해 VoIP 패킷으로 변환되고, 이들 패킷은 IP망(501) 및 아날로그 포트를 가진 라우터를 통해서 네트워크 I/F 제어부(319)에 도달한다. VoIP 패킷은, 버스 311로부터 CPU(302)에 보내지고, 버스 321을 통해서 CODEC(320)에 보내져, G.711 형식의 PCM 데이터로부터 음성신호로 변환된다. 그 음성신호를 모뎀 307에 보내서 복조하고, 부호화된 디지털의 화상 데이터를 복호화된 데이터로부터 추출해 CPU(302)에 보낸다. 예를 들면, JBIG으로 부호화된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원(raw) 화상 데이터로 복호화해 수신 데이터로서 프린터 I/F 제어부(315)에 보낸다. 그리고나서,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316)에 의해 프린트한다.
또한, 화상처리장치(301)에 접속되는 슬레이브 전화(328)를 사용해서, 유저는 IPI망(501)을 통해서 상대의 인터넷 전화 단말이나 전화기와 음성 통화가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의 간주 음성과 같은 전화번호(03-0000-0005)를 슬레이브 전화(328)에서도 사용하고 있다. 즉, FAX 통신용의 모뎀과 슬레이브 전화는 같은 전화번호를 이용한다. 또한, 유저는 전화 회사와 계약해서 번호계획에 근거하는 새로운 전화번호를 슬레이브 전화의 음성 통화에 할당하는 것도 가능하다.
화상처리장치(301)에는, 스카이프(Skype) 등의 인터넷 전화 소프트웨어가 인스톨되고, 인터넷 전화 착신지명(x309**)을 갖는 인터넷 전화 단말로서도 동작한다. 화상처리장치(301)의 인터넷 전화 기능을 이용해서 음성 통화를 행할 때, 음성회로(322)에 접속된 헤드셋(309)을 사용한다. 이렇게 해서, 화상처리장치(301)는 유저가 헤드셋(309)을 사용해서 IP망(501)을 통해서 상대의 인터넷 전화 단말이나 전화기와 음성 통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화상처리장치(301)는, IP망(501)을 통한 T.38 대응 FAX(505)와의 사이에서의 T.38에 의거한 FAX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화상처리장치(301)는, IP망(501), VoIP GW(502), 및 PSTN(503)을 통한 G3 FAX(508)와 간주 음성("T.30 VoIP"라고도 칭한다.)에 의해 FAX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화상처리장치(301)는, 유저가 IP망(501)을 통해서 인터넷 전화 단말(510)과 음성 통화를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 때, 음성 통화에 헤드셋(309)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화상처리장치(301)는, IP망(501)을 통해서 메일 서버에 이메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화상처리장치(301)는, 유저가 IP망(501)을 통해서 전화기(511)와 음성 통화를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때, 음성 통화에 슬레이브 전화(328)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화상처리장치(301)는, LAN(507)을 통해서 PC(516)에 파일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화상처리장치(301)는, 유저가 LAN(507)을 통해서 인터넷 전화 단말(513)과 음성 통화를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유저는, 상대편의 음성 통화용의 전화번호, 인터넷 전화 착신지명, FAX 번호, 이메일 어드레스, 공유 폴더에의 경로명 등을 정확하게 알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화상처리장치(301)가 FAX 송신을 행할 때에, 유저는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T.38이나 T.30 VoIP 중 하나를 미리 선택하는 것으로 한다. 또는, 화상처리장치(301)는, T.38 및 T.3O VoIP 중 하나를 상대편의 능력에 따라 자동으로 판별해서 선택해도 된다.
<송신측의 처리 시퀀스>
다음에, 도 1a 및 1b을 참조하여, 통신에 있어서의 송신측으로서의 화상처리장치(301)의 처리 시퀀스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처리는, CPU(302)가, ROM(304)이나 HDD(306)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RAM(305)에 판독하고, 판독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우선, 화상처리장치(301)가 대기 상태에 있고, 유저가 임의의 조작을 할 수 있는 상태라고 가정한다. 스텝 S101에 있어서, 화상처리장치(301)의 CPU(302)는, 유저가 전화번호부의 착신지 등록의 시작을 선택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유저가 UI(314)을 통해서 착신지 등록의 시작을 지시하면, CPU(302)는 스텝 S102의 처리로 이행한다. 유저가 UI(314)를 통해서 착신지 등록의 시작을 지시하지 않으면, CPU(302)는 스텝 S103의 처리로 이행한다. 전화번호부의 착신지 등록의 시작 지시를, UI(314) 대신에 LAN(507)을 통해서 접속된 PC(516) 상의 소프트웨어로부터 화상처리장치(301)로 행해도 된다. 그 경우, CPU(302)는 네트워크 I/F 제어부(319)를 통해서 PC(516)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의거해 유저에 의해 착신지 등록의 시작이 선택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할 수 있다.
스텝 S102에 있어서, CPU(302)는, UI(314)을 통해서 입력되는 유저 조작에 따라 화상처리장치(301)의 전화번호부에 상대편의 음성 통화 착신지명(음성 통화용의 착신지)과 송신 착신지명(데이터 송신용의 착신지)을 서로 관련지어서 등록한다. 전화번호에의 등록은, UI(314) 대신에 LAN(507)을 통해서 접속된 PC(516) 상의 소프트웨어나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화상처리장치(301)에 다운로드함으로써 행해져도 된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5c(화면 601 내지 608)을 참조하여, UI(314)을 사용한 등록 방법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UI(314)의 화면에 대해서 설명한다.
유저가 UI(314)상에서 착신지 등록을 입력하고, 착신지 No.(No.는 "Number"이다)을 선택하면, 화면 601이 표시된다. 화면 601상에서는, 유저가 "착신지 No.01"을 설정할 수 있다. 유저가 UI(314)을 통해서 명칭을 입력한다. 유저가 UI(314)을 통해서 각종의 입력을 행하도록 UI(314)의 터치 패널 혹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키보드나 음성 식별 입력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입력되는 명칭으로서는, 유저가 상대편을 구별하기 쉬운 적절한 명칭을, 64문자 이내로 자유롭게 기입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유저가 착신지명으로서 "지점 1"을 설정한다.
또한, 유저는, 화면 601상에서, UI(314)을 통해서 음성 통화 상대의 인터넷 전화 착신지명(음성 통화용의 착신지)을 입력한다. 이 경우에, 유저는 인터넷 전화 착신지명으로서 "x510**"을 설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인터넷 전화 착신지명은, 문자와 숫자로 이루어진 열이다. 이 인터넷 전화 착신지명으로서는, 유저가 화상처리장치(301)에 인스톨된 인터넷 전화 소프트웨어에서 사용되는 적절한 착신지명을 입력한다. 예를 들면, 스카이프의 경우에는, 유저가 1바이트 문자로 시작하는 6 ~ 32문자로 결정된 유니크한 스카이프명을 입력한다. 한층 더, 유저는, 화면 601에 있어서, UI(314)을 통해서 FAX 송신하고 싶은 상대의 FAX 전화번호(데이터 송신용의 착신지)를 입력한다. 이 경우에, 유저는 FAX 전화번호로서 "03-0000-0001"을 설정한다. 유저가 NGN를 통해서 T.38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싶은 경우에는, 옵션의 설정으로 통신 방법으로서 T.38을 선택해서 설정한다. 이에 따라, 인터넷 전화를 이용한 음성 통화 후에, T.38 FAX 송신의 설정의 입력이 완료하게 된다.
UI(314)상에는 화면 602가 표시된다. 또는, 화상처리장치(301)가 FAX 송신을 행할 때에, T.38 및 T.3O VoIP 중 하나를 상대편의 능력에 따라 자동으로 판별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유저는 통신 방법란을 공란으로 둔 채로 설정하지 않아도 된다. 유저는, 화면 602의 내용을 확인하고, 설정이 옳다는 것을 확인하면, UI(314)을 통해서 등록을 지시한다. 그러면, "착신지 No.1"에서 설정한 정보가 등록되어, 음성 통화란에서 지시된 착신지와 송신란에서 지시된 착신지가 결부되어서, 통화후 송신의 설정이 완료한다. 여기에서, "통화후 송신"이란, 화상처리장치(301)가 소정의 상대에 대하여, 음성 통화를 실행한 후에, 데이터 송신을 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착신지 등록 화면 601상에서, CPU(302)는 현시점에서 이용할 수 없는 기능과 관련된 착신지를 UI(314)상에서 숨겨서 선택할 수 없게 해도 된다.
도 7은 전화번호부의 등록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등록된 전화번호부의 등록 데이터는, CPU(302)가 취급할 수 있는 문자 코드화나 수치화되어, 화상처리장치(301) 내의 HDD(306)에 보존된다. HDD(306)에 보존된 전화번호부의 등록 데이터는 전원을 오프해도 소실되지 않고, 화상처리장치(301)가 기동할 때마다 로드(load)되어 재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착신지 등록 정보는, 화상처리장치(301) 내의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플래시 메모리나 메모리 카드 등의 불휘발성메모리나 전지로 백업된 SRAM 등에 보존되어도 된다. 또는, 착신지 등록 정보는, LAN(507)을 통해서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다른 서버나 PC에 보존되어도 된다. 전화번호부의 등록 데이터 구조에는, No., 명칭, 음성 통화 착신지 유무, 인터넷 전화 착신지명, 전화번호, 기타 음성 통화 착신지명, 송신 착신지의 유무, FAX 번호, FAX 통신방식, 이메일 어드레스, 파일 송신 착신지, 및 기타 송신 착신지명이 포함된다. 기타 음성 통화 착신지명 및 기타 송신 착신지명은, 장래 새로운 통신 옵션을 추가했을 때의 확장용의 데이터 영역이다. 그룹 착신지 및 그룹 내역은, 후술하지만, 복수의 착신지명에 대하여 같은 처리를 동시에 실행할 때에 사용된다. 음성 통화 착신지의 유무는, 인터넷 전화 착신지명, 전화번호, 및 기타 통화 착신지명 중 하나가 등록되어 있으면 "유(present)"라고 설정된다. 송신 착신지의 유무는, FAX 번호, 이메일 어드레스, 파일 송신 착신지, 및 기타 송신 착신지명 중 하나가 등록되어 있으면 "유"라고 설정된다.
화면 603은, 인터넷 전화로 음성 통화한 후의 이메일 송신 설정을 나타낸다.이 화면 603에서는, 착신지명으로서 "지점 1"을 설정한다. 유저가 음성 통화 상대의 인터넷 전화 착신지명 "x510**"을 설정한다. 유저가 송신 상대의 이메일 어드레스를 입력한다. 이 경우에는, 유저가 "xx@xx.com"을 입력한다. 다른 란은 공란이어도 된다. 설정의 입력이 완료하면, UI(314)에는 화면 603이 표시된다.
화면 604은, 인터넷 전화로 음성 통화한 후의 FAX 송신 설정을 나타낸다. 이 화면에서는, 착신지명으로서 "지점 1"을 설정한다. 유저가 음성 통화 상대의 전화번호 "03-0000-0002"을 설정한다. 유저가 송신 상대의 FAX 번호 "03-0000-0001"을 설정한다. 통신부는 통신 방법 "T.38"을 설정한다. 다른 란은 공란이어도 된다. 설정의 입력이 완료하면, UI(314)에는 화면 604이 표시된다.
화면 605은, 인터넷 전화로 통화한 후의 파일 송신 설정을 나타낸다. 이 화면에서는, "착신지 No.02"을 설정한다. 또한, 이 화면에서는, 착신지명에서 "Taro"를 설정한다. 유저가 음성 통화 상대의 인터넷 전화 착신지명 "x513**"을 설정한다. 유저가 송신 상대의 공유 폴더(공유 폴더에의 경로명)의 장소 "¥¥172.168.0.1¥smb"을 설정한다. 액세스에 필요한 ID 및 패스워드는 이용가능하면 동시에 설정되어도 된다. 다른 란은 공란이어도 된다. 설정의 입력이 완료하면, UI(314)에는 화면 605이 표시된다.
화면 606은, 인터넷 전화에의 음성 통화 설정을 나타낸다. 이 화면에서는, "착신지 No.01"을 설정한다. 또한, 이 화면에서는, 착신지명에 "지점 1"을 설정한다. 유저가 음성 통화 상대의 인터넷 전화 착신지명 "x510**"을 설정한다. 다른 란은 공란이어도 된다. 설정의 입력이 완료하면, UI(314)에는 화면 606이 표시된다.
화면 607은, 이메일에의 송신 설정을 나타낸다. 이 화면에서는, 착신지명에 "지점 1"을 설정한다. 유저가 송신 상대의 이메일 어드레스를 입력한다. 이 경우, 유저가 "xx@xx.com"을 입력한다. 다른 란은 공란이어도 된다. 설정의 입력이 완료하면, UI(314)에는 화면 607이 표시된다.
화면 608은, 복수의 음성 통화 착신지(음성통화용의 착신지)와 송신 착신지(데이터 송신용의 착신지)의 설정을 나타낸다. 이 화면에서는, 착신지명에 "지점 1"을 설정한다. 유저가 음성 통화 상대의 인터넷 전화 착신지명 "x510**"과 전화번호 "03-0000-0002"을 설정한다. 유저가 송신 상대의 이메일 어드레스 "xx@xx.com" 과 FAX 번호 "03-0000-0001"을 설정한다. 또한, FAX 통신부는 FAX 통신방식 "T.38"을 설정한다. 다른 란은 공란이어도 된다. 설정의 입력이 완료하면, UI(314)에는 화면 608이 표시된다.
도 1a 및 1b에 나타낸 플로차트의 설명으로 돌아간다. 스텝 S102에서, 전화번호부의 착신지 등록이 완료하면, CPU(302)는, 처리를 스텝 S103로 이행시킨다. 스텝 S103에 있어서, CPU(302)는, 유저가 UI(314)에서 착신지 선택과 동작 지시를 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유저가 아직 어떤 착신지 선택도 동작 지시도 하지 않은 경우에는, CPU(302)의 처리는 스텝 S101로 되돌아간다. 유저는, 화상처리장치(301)의 스캐너에 송신할 원고를 적재하고, UI(314)에 의해 송신 메뉴를 선택하고, 통화후 송신 상대의 착신지 No.를 선택한다. 통상, 스캐너에는, 자동 원고 이송기가 내장되어 있어, 복수매의 원고를 1회 세트하는 것만으로 순차 판독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유저는 원고를 판독할 때의 해상도, 원고 사이즈, 흑백이나 컬러, 판독 화질 모드, 및 양면/단면의 지시를 입력한다. 또한, 유저는 착신지 등록시에 착신지 등록 정보와 관련지어 필요한 판독 모드 관련 항목을 설정해도 된다.
스텝 S102에서, 화면 60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저가 인터넷 전화로 음성 통화한 후, T.38 FAX 송신을 행하는 설정을 했을 경우, CPU(302)는, UI(314)상에 도 6a에 나타낸 화면 701을 표시한다. 이 화면 701에는 기본적으로 등록한 착신지가 표시된다. 화면 701에서, CPU(302)는 기능의 착신지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기능과 관한 착신지란을 UI(314)상에서 숨긴다. 택일적으로, CPU(302)는 TEL란 등을 공란으로 표시해도 된다.
유저가, 음성 통화 착신지와 FAX 송신 착신지가 올바른지를 확인한 후, UI(314)상의 "통화후 송신"을 지시한다. 또한, 유저가, 음성 통화만을 행하고 싶은 경우에는, UI(314)상의 "통화"를 지시하고, 유저가 송신만을 행하고 싶은 경우에는, UI(314)상의 "송신"을 지시한다. 유저가, UI(314)상의 터치 패널이나 주어진 키를 누르는 것에 의해 지시를 입력한다. 그러면, UI 제어부(313)로부터 CPU(302)로 상기 지시가 전달되고, CPU(302)는, 유저가 UI(314)상에서 착신지를 선택하여 동작 지시를 입력하는 것을 검출하기 때문에, 미리 처리를 스텝 S104로 이행시킨다.
스텝 S102에서 유저가 화면 6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터넷 전화로 음성 통화한 후, 이메일 송신을 행하는 설정을 했을 경우, UI(314)상에는 도 6a에 나타낸 화면 702가 표시된다. 유저가 음성 통화 착신지와 이메일의 착신지가 올바른지를 확인한 후, UI(314)상의 "통화후 송신", "송신", 및 "통화"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한다. 그러면, CPU(302)의 처리는 스텝 S104로 이행한다.
스텝 S102에서 유저가, 화면 60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화로 음성 통화한 후, T.38 FAX 송신을 행하는 설정을 했을 경우, UI(314)상에 도 6a의 화면 703이 표시된다. 유저가 통화 착신지와 이메일의 착신지가 올바른지를 확인한 후, UI(314)상의 "통화후 송신", "송신", 및 "통화"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한다. 그러면, CPU(302)의 처리는 스텝 S104로 이행한다.
스텝 S102에서 유저가, 화면 6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터넷 전화로 음성 통화한 후 파일 송신을 행하는 설정을 했을 경우, UI(314)상에 도 6a에 나타낸 화면 704이 표시된다. 유저가 인터넷 전화 착신지명과 파일 송신의 착신지가 올바른지를 확인한 후, UI(314)상의 "통화후 송신", "송신", 및 "통화"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한다. 그러면, CPU(302)의 처리는 스텝 S104로 이행한다.
스텝 S102에서 유저가 화면 60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터넷 전화로 음성 통화을 행하는 설정을 했을 경우, UI(314)상에 도 6d에 나타낸 화면 712이 표시된다. 유저는 인터넷 전화 착신지명이 올바른지를 확인한 후, UI(314)상의 "통화"를 지시한다. 이 경우, "착신지 No.1"에는 음성 통화용의 착신지만이 등록되므로, "통화후 송신" 및 "송신" 지시(버튼)는 그레이 아웃(gray out)되어, 유저에게 이들 기능이 실행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알린다. 혹은, 이들 지시를 숨긴다. 그러면, CPU(302)의 처리는 스텝 S104으로 이행한다.
스텝 S102에서 유저가 화면 60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메일 송신을 행하는 설정을 했을 경우, UI(314)상에 도 6d에 나타낸 화면 713이 표시된다. 유저가 이메일 어드레스가 올바른지를 확인한 후, UI(314)상의 "송신"을 지시한다. 이 경우, "착신지 No.1"에는 송신용의 착신지만이 등록되기 때문에, "통화후 송신" 및 "통화"의 지시는 그레이 아웃되어, 유저에게 이들 기능이 실행 가능하지 않다은 것을 알린다. 혹은, 이들 지시를 숨긴다. 그러면, CPU(302)의 처리는 스텝 S104로 이행한다.
스텝 S102에서, 유저가 화면 608에 나타낸 복수의 음성 통화 착신지와 송신 착신지를 설정할 경우, UI(314)상에 도 6b에 나타낸 화면 705이 표시된다. 유저가 복수의 음성 통화 착신지으로부터 음성 통화 상대와, 복수의 송신 착신지으로부터 송신 착신지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유저가 착신지를 선택하기 전에, "통화후 송신", "송신", 및 "통화" 중 어느 기능을 실행할 것인지를 CPU(302)가 판단할 수 없다. 그 때문에, CPU(302)는 UI(314)상에서 "통화후 송신", "송신", 및 "통화"의 지시를 그레이 아웃하여, 착신지를 선택하기 전에 유저에게 이들 기능이 실행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알린다. 혹은, 이들 기능을 숨긴다. 만약 UI(314)의 화면 내에는 있을 수 없는 항목이 있는 경우에는, 화면을 스크롤시켜서 표시할 수 있다. 유저가 UI(314)의 화면에서 음성 통화 착신지로서 인터넷 전화 착신지명, 송신 착신지로서 이메일을 선택하면, 화면 70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UI(314)의 화면상의 체크 박스에 기호가 표시되고, "통화후 송신", "송신", 및 "통화"의 지시가 선택 가능하게 표시된다. 유저가 음성 통화 상대의 인터넷 전화 착신지명과 송신 상대의 이메일 어드레스가 올바른지를 확인한 후, UI(314)상의 "통화후 송신", "송신", 및 "통화"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한다. 그러면, CPU(302)의 처리는 스텝 S104로 이행한다.
UI(314)상에 화면 705가 표시되어 있을 때에, 유저가 UI(314)상에서 송신 착신지로서 "이메일"을 선택하면, 화면 70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UI(314)의 화면상에서 체크 박스에 기호가 표시되고, "송신" 지시가 선택 가능하게 표시된다. 음성 통화의 착신지가 선택되지 않기 때문에, "통화후 송신" 및 "통화"의 지시는 그레이 아웃되어, 유저에게 이들 기능이 실행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알린다. 혹은, 이들 기능을 숨긴다. 유저가 송신 상대의 이메일 어드레스가 올바른지를 확인한 후, UI(314)상의 "송신"을 지시한다. 그러면, CPU(302)의 처리는 스텝 S104로 이행한다.
UI(314)상에 화면 705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 유저가 UI(314)상에서 음성 통화 착신지로서 "인터넷 전화 착신지명"을 선택하면, 화면 70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UI(314)의 화면상에서 체크 박스에 기호가 표시된다. 송신의 착신지가 선택되지 않기 때문에 "통화후 송신" 및 "송신"의 지시는 그레이 아웃되어, 유저에게 이들 기능이 실행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알린다. 혹은, 이들 기능을 숨긴다. 유저가 음성 통화 상대의 인터넷 전화 착신지명이 올바른지를 확인한 후, UI(314)상의 "통화"를 지시한다. 그러면, CPU(302)의 처리는 스텝 S104로 이행한다.
UI(314)에 화면 705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 유저가 UI(314)상에서 음성 통화 착신지로서 "인터넷 전화 착신지명"과 "전화 착신지"를 선택하고, 송신 착신지로서 "FAX"을 선택하면, 화면 70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UI(314)의 화면상에서 체크 박스에 기호가 표시된다. 이 경우, 유저는 헤드셋(309)을 이용해서 인터넷 전화로 음성 통화하면서, 슬레이브 전화(328)를 이용해서 전화로 음성 통화하고, 한명의 유저가 2개의 착신지에 동시에 음성 통화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송신"만 표시된다. "통화후 송신" 및 "통화"의 지시는 그레이 아웃되어, 유저에게 이들 기능이 실행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알린다. 혹은, 이들 지시를 숨긴다. 유저는 송신하고 싶은 경우, FAX의 착신지명이 올바른지를 확인한 후, UI(314)의 "송신"을 지시한다. 그러면, CPU(302)의 처리는 스텝 S104로 이행한다.
UI(314)상에 화면 705가 표시되어 있을 때에, 유저가 UI(314)상에서 음성 통화 착신지로서 "인터넷 전화 착신지명"을, 송신 착신지로서 "FAX" 및 "이메일"을 선택하면, 화면 7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UI(314)의 화면상에서 체크 박스에 기호가 표시된다. 이 경우, 전화로 음성 통화한 후, FAX와 이메일의 2개의 착신지에 순차 또는 동시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통화후 송신", "송신" 및 "통화"가 선택 가능하게 표시된다. 유저는 통화후 송신하고 싶은 경우에는, 음성 통화 상대의 인터넷 전화 착신지명, FAX의 착신지명, 및 이메일 어드레스가 올바른지를 확인한 후, UI(314)상의 "통화후 송신"을 지시한다. 그러면, CPU(302)의 처리는 스텝 S104로 이행한다.
유저가 헤드셋(309) 또는 슬레이브 전화(328) 등의 음성 통화부에 대한 이용 지시를 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착신지 등록이 되어 있으면 "통화후 송신" 및 "통화" 표시하는 처리를 상기에서 설명했다. 또는, 또 다른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즉, 착신지 등록이 되어 있어도, 유저가 헤드셋(309) 혹은 슬레이브 전화(328)의 이용 지시를 하기 전에 "통화후 송신" 및 "통화"를 그레이 아웃하거나 숨겨도 된다. 그리고, CPU(302)가 헤드셋(309) 혹은 슬레이브 전화(328)의 이용 지시를 유저가 입력한 것을 검출한 후에, "통화후 송신" 및 "통화"를 표시해도 된다.
스텝 S104에 있어서, CPU(302)는, 유저가 UI상에서 실행가능한 착신지 선택과 동작 지시를 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스텝 S103에서 유저가 "통화후 송신", "송신" 및 "통화"의 어느 쪽인가의 동작 지시 중, UI(314)상에서 그레이 아웃된 지시를 입력하려고 시도했을 경우, CPU(302)는 유저에 의해 지시된 동작을 실행할 수 없기 때문에, 처리가 스텝 S105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 S103에서 유저가 "통화후 송신", "송신" 및 "통화"의 어느 쪽인가의 동작 지시 중, UI(314)상에서 통상 표시되어 실행가능한 지시를 행했을 경우에는, CPU(302)는 스텝 S106의 처리로 이행한다. 또한, UI(314)상에서 지시가 그레이 아웃되어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04의 판정과 스텝 S105의 처리를 생략해도 된다는 점에 유념한다.
이하, 스텝 S104의 상세한 판정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CPU(302)는, 화상처리장치(301)의 전원이 ON된 후에, 초기화 처리를 실행할 때에, 화상처리장치(301)에 추가가능한 각종 기능을 실현하는 하드웨어 구성소자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액세스해서, 그들이 고장나지 않았는지를 확인한다. 이 경우, CPU(302)는, 이용 가능한 기능을 RAM(305)에 보존한다. CPU(302)는, 송신 메뉴로부터 착신지 No.가 유저로부터 지시되었을 때에, 전화번호부의 등록 데이터 구조를 HDD(306)로부터 판독하고, 이용 가능한 기능과 등록된 착신지를 비교해, 일치한 기능만 스텝 S103에서 UI(314)상에 표시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유저가 표시하고 있는 착신지 No.의 등록 데이터의 인터넷 전화 착신지명이 등록되어 있을 때에, 인터넷 전화 기능이 이용 가능하면, CPU(302)는 인터넷 전화에 의한 음성 통화 기능이 실행 가능하다고 판단한다. 또, 전화 번호가 등록되어 있을 때에, 전화 기능이 이용 가능하면, CPU(302)는 전화에 의한 음성 통화 기능이 실행 가능하다고 판단한다. 또한, 기타 음성 통화 착신지명이 등록되어 있을 때에, 기타 음성 통화 기능이 이용 가능하면, 기타 기능에 의한 음성 통화 기능이 실행 가능하다고 판단한다. 기타 음성 통화 기능은 장래 확장되는 통신 기능에 대응하기 위한 예비 기능이다. 유저가 선택한 착신지 No.의 등록 데이터의 FAX 번호가 등록되어 있을 때에, FAX 기능이 이용 가능하면, CPU(302)는 FAX 송신 기능이 실행 가능하다고 판단한다. 이메일 어드레스가 등록되어 있을 때에, 이메일 송신 기능이 이용 가능하면 CPU(302)는 이메일 송신 기능이 실행 가능하다고 판단한다. 파일 송신 착신지가 등록되어 있을 때에, 파일 송신 기능이 이용하면, CPU(302)는 파일 송신 기능이 실행 가능하다고 판단한다. 기타 송신 착신지명이 등록되어 있을 때에, 기타 송신 기능이 이용 가능하면, CPU(302)는 기타 송신 기능이 실행 가능하다고 판단한다. 기타 송신 기능은 장래 확장되는 통신기능을 서포트하는 데에 필요한 예비 기능이다.
착신지 등록을 행하는 화면 601상에서, CPU(302)는 현시점에서 이용할 수 없는 기능에 관한 착신지를 UI(314)상에서 숨겨도 된다.
NGN의 계약에 의하면, 유저는 1개의 전화번호에 대하여 복수의 통신 세션을 동시에 확립할 수 있고, 복수의 상대와 동시에 IP망을 통해서 통신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유저는 전화 회사와 NGN 계약을 해서 번호계획에 근거하는 1개의 전화번호(03-0000-0005)를 할당받고, 화상처리장치(301)에 "03-0000-0005"의 전화번호를 할당해서 통신한다. 복수 세션의 계약을 행함으로써, 유저는 첫 번째의 세션을 T.38 FAX 통신의 데이터 통신에 할당하고, 두 번째의 세션을 슬레이브 전화(328)의 음성 통화에 할당하여, 동시에 통신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는 1개의 전화번호가 할당되고 세션수가 2개라고 하는 계약을 한다. 다만, 모뎀 307을 이용하는 간주 음성에 의한 T.30 VoIP 통신(IP 전화: 인터넷 프로토콜 전화)과, 슬레이브 전화(328)를 이용하는 음성 통화 중 하나만을 선택할 수 있다. 이것은 하드웨어적인 제약이다. 유저가 송신 착신지로서 FAX 번호를 지시하고, 음성 통화부로서 모뎀 307을 이용하는 간주 음성에 의한 T.30 VoIP 통신을 지시할 때에, 음성 통화부로서 슬레이브 전화(328)의 사용 지시를 입력하면, 이들 기능을 동시에 실행할 수 없다. 그 경우, CPU(302)의 처리는 스텝 S105로 이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CPU(302)는 유저가 실행가능한 지시를 입력했는지를 판단한다.
스텝 S105에 있어서, CPU(302)는, 유저로부터 접수한 지시가 실행 불가능하기 때문에, 도 6d의 화면 714에 나타낸 "선택된 기능은 실행불가능합니다"라고 하는 경고 메시지를 UI(314)상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UI(314)상에 화면 713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 유저가 그레이 아웃된 "통화후 송신" 또는 "통화"를 선택하면, 음성 통화 착신지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므로, 선택 기능은 실행불가능하고, UI(314)상에 화면 714이 표시된다. 경고 메시지의 표시 내용을, 선택한 기능에 따라 변경해도 된다. 예를 들면, 음성 통화 착신지가 등록되지 않을 때에, 유저가 "통화후 송신" 또는 "통화"를 선택하면, "음성 통화 착신지의 등록 후에 실행해 주십시오."라고 하는 메시지를 표시해도 된다. 송신 착신지가 등록되지 않을 때에, 유저가 "통화후 송신" 또는 "송신"을 선택하면, "송신 착신지의 등록 후에 실행해 주십시오"라고 하는 메시지를 표시해도 된다. 그 후에, CPU(302)는, 스텝 S111의 처리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 S106에 있어서, CPU(302)는, "통화후 송신"이 유저로부터 선택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만약 유저가 UI(314)상에서 "통화후 송신"을 지시했다면, CPU(302)는 스텝 S107의 처리로 이행한다. 한편, 유저가 UI(314)상에서 "통화후 송신"을 지시하지 않았다면, CPU(302)는 스텝 S113의 처리로 이행한다.
스텝 S107에 있어서, CPU(302)는, 선택된 음성 통화 착신지명에 화상처리장치(301)에 내장된 전화번호부를 이용해서 음성 통화 동작을 행한다. 스텝 S103에서, 유저가 UI(314)상에서 화면 701, 702, 704, 706, 또는 710에 나타낸 "통화후 송신"을 지시했을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인터넷 전화 착신지명 = x 510**이 등록되어 있으므로, CPU(302)는, 화상처리장치(301)에 인스톨되어 있는 인터넷 전화의 소프트웨어(전화번호부)를 실행해 유저가 해당하는 인터넷 전화 착신지명에 통화를 행한다. 인터넷 전화의 소프트웨어가 네트워크 I/F 제어부(319)를 통해서 상대의 인터넷 전화와의 접속 처리를 행한다. 음성 통화의 상대가 인터넷 전화의 호출에 응답하면, 유저는 헤드셋(309)을 사용해서 상대와 음성 통화를 행할 수 있다. 유저는 상대가 올바른 음성 통화 상대인지 송신 착신지가 올바른지를 확인한다. 그러면, CPU(302)은 스텝 S108의 처리로 이행한다.
스텝 S103에서 유저가 UI(314)상에서 화면 703에 나타낸 "통화후 송신"을 지시했을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상대의 전화번호 TEL = 03-0000-0002이 등록되어 있으므로, CPU(302)는, 인터넷 전화 또는 NGN의 음성 계약에 의한 전화번호부를 이용해서 상대의 전화 번호에 음성 통화를 행한다. 유저가 헤드셋(309)을 조작해서 이용 지시를 입력하면, 또는, UI(314)상에서 인터넷 전화로부터의 음성 통화 지시를 입력하면, CPU(302)는, 인터넷 전화를 사용해서 상대의 전화번호(03-0000-0002)에 음성 통화 동작을 행한다. 유저가 슬레이브 전화(328)를 오프 훅(off-hook)해서 이용 지시를 입력하면, 또는, UI(314)상에서 슬레이브 전화를 이용해서 음성 통화 지시를 입력하면, CPU(302)는, NGN의 음성 계약에 의한 전화번호부를 사용해서 상대의 전화번호(03-0000-0002)에 음성 통화 동작을 행한다. 유저가 "통화후 송신"을 지시한 후에 헤드셋(309) 또는 슬레이브 전화(328)의 이용 지시를 입력하지 않았을 경우, CPU(302)는, UI(314)상에 "헤드셋을 이용 시작 상태로 설정하거나 슬레이브 전화를 오프 훅(off-hook)해 주십시오."와 같은 메시지를 표시한다. 유저가 "통화후 송신"을 지시하기 전에 헤드셋(309) 또는 슬레이브 전화(328)의 이용 지시를 입력했을 경우에는, CPU(302)는 상기의 메시지를 표시하지 않는다. 헤드셋(309)의 이용 시작 지시는 음성회로(322)를 이용해서 입력될 수도 있다. 슬레이브 전화(328)의 이용 시작 지시는 SLIC(327)에 의해 오프 훅(off-hook)을 검출하는 것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이하, 도 2에 나타낸 플로차트 210을 참조하여 상대측 장치의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상대측은, 도 3에 나타낸 IP망과 PSTN(503)에 접속된 각종 기기, 즉 화상처리장치(301)와 통신가능한 외부장치를 포함한다는 점에 유념한다. 상대측의 음성 통화부가 대기 상태에 있다고 가정한다. 스텝 302에 있어서, 상대측 장치는, 음성 통화 착신이 검출될 때까지 대기한다. 예를 들면, 틀린 음성 통화 착신지가 등록되면, 올바른 상대는 응답하지 않는다. 음성 통화 착신이 검출되면, 처리는 스텝 S303으로 이행한다. 스텝 S303에 있어서, 상대측 장치는, 상대가 유저와 음성 통화를 행하는 것을 허용한다. 상대측 장치는, 유저와의 음성 통화를 통해서 유저가 올바른 상대이고 송신 착신지가 올바른지를 확인한다. 스텝 S304에 있어서, 상대측 장치가 음성 통화 종료 조작을 행하거나, 또는 유저가 음성 통화 종료 조작을 행하면, IP망이나 PSTN을 통해서 음성 통화 종료 처리를 상대측의 음성 통화부가 행한다. 그 후에, 상대측 장치의 음성 통화부는, 대기 상태로 돌아가서,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도 1a 및 1b에 나타낸 플로차트의 설명으로 되돌아간다. 스텝 S108에 있어서는, CPU(302)는, 송신 지시가 입력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스텝 S107에서, 유저는, 상대측과 음성 통화하고, 송신해도 문제가 없다고 판단했을 경우, UI(314)상에서 스타트 키 누름 등의 조작에 의해 송신 지시를 입력한다. 이렇게 해서, 소정의 키 누름 등의 이벤트를 수신하면, CPU(302)는, UI(314)상에서 송신 지시가 입력되었다고 검출하고, 처리가 스텝 S109로 이행한다. 스텝 S107에서, 유저는, 상대측과 통화하고, 송신을 행하면 문제가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 UI(314)상의 스타트 키 누름 등의 송신 지시 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다. 또는, 유저는 스톱 키 누름 등의 조작에 의해 송신 중지 및 음성 통화 종료 지시를 입력해도 된다. CPU(302)는, UI(314)상에서 송신 지시를 검출할 수 없으면, 처리가 스텝 S112로 이행한다.
스텝 S112에 있어서, CPU(302)는, 음성 통화 종료 지시가 입력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다. 유저는, 상대측과 음성 통화하고, 송신을 행하면 문제가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음성 통화에 사용되는 헤드셋(309) 또는 슬레이브 전화(328)나 UI(314)를 이용해서 음성 통화 종료 지시를 입력한다. 또한, 상대가 음성 통화에 응답하지 않은 경우에도, 유저는 음성 통화 종료 지시를 입력할 수 있다. 슬레이브 전화(328)의 음성 통화 종료 지시는, SLIC(327)에 의해 온 훅(on-hook) 조작을 검출하는 것으로 입력될 수 있다. CPU(302)가 음성 통화 종료 지시를 검출하면, 처리가 스텝 S111의 종료 처리로 이행한다. 또한, CPU(302)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 내에서 유저 지시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도, 음성 통화 종료 지시의 검출을 결정하고, 처리는 스텝 S111로 이행한다. 한편, 음성 통화 종료 지시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CPU(302)는, 스텝 S108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스텝 S109에 있어서, CPU(302)는, 선택된 송신 착신지에 MFP 내장의 송신부를 이용해서 송신을 행한다. 스텝 S103에서 유저가 UI(314)를 통해서 화면 701, 703, 또는 710 상의 "통화후 송신"을 지시했을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FAX = 03-0000-0001"과 "통신부 = T.38"가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CPU(302)는, 해당하는 FAX 번호에 송신을 행한다. 수신기가 호출에 응답하면, CPU(302)는, 스캐너(318) 위에 세트된 원고를 지정된 모드로 판독하고,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T.38과 일치한 통신 방식으로 송신한다. 이 경우, CPU(302)는 원고를 판독하면서 FAX 송신을 행하는 다이렉트 송신을 행해도 된다. 또는, 유저가 "통화후 송신"을 선택한 직후에, CPU(302)는 모든 원고를 미리 판독해서, 화상 데이터를 HDD(306)에 저장해 두고, FAX 송신을 행하는 단계에서는, 저장해 둔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는 메모리 송신을 행해도 된다. 다시 말해, 원고를 임의의 타이밍에서 스캐너(318)를 이용해서 판독해도 된다.
CPU(302)는, 지시된 상대의 FAX 번호에 근거해서 SIP URI를 생성하고, SIP 호 접속을 시작한다. 화상처리장치(301)는 T.38 대응 FAX(505)에 대하여, INVITE 메시지를 송신한다. T.38 대응 FAX(505)는, INVITE 메시지를 수신하면, INVITE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오퍼(offer) SDP을 스캔한다. 오프 SDP에 대응가능한 미디어 정보가 기술되어 있으면, T.38 대응 FAX(505)는 200 OK 메시지를 송신한다. 200 OK 메시지에는, T.38 대응 FAX(505)가 받아들일 수 있는 미디어 정보와 수신 포트 번호를 기술한 SDP가 포함되어 있다. CPU(302)는, 200 OK 메시지를 수신하면, 200 OK 메시지를 수신한 것을 나타내는 ACK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화상처리장치(301)와 T.38 대응 FAX(505)와의 사이에, 양쪽 기기가 동의한 미디어 정보에 근거해 데이터 통신을 실현하는 SIP 세션이 확립된다. CPU(302)는, SIP 세션에서 전송하는 미디어를 T.38로서 확립한 후, 화상처리장치(301)와 T.38 대응 FAX(505)와의 사이에서 화상 데이터를 교환한다. 화상처리장치(301)로부터 화상 데이터의 송신이 완료하면, 화상처리장치(301)는 세션 종료를 나타내는 BYE 메시지를 송신한다. T.38 대응 FAX(505)가 BYE 메시지를 수신하고, 데이터의 수신의 완료 이후의 통신을 필요하지 않으면, 200 OK 메시지를 송신하고, 화상처리장치(301)와 T.38 대응 FAX(505)는 호출을 절단한다. 그러면, CPU(302)는, 스텝 S110의 처리로 이행한다.
한편, 송신 착신지로서 "FAX = 03-0000-0003"과 "통신부 = T.30 VoIP"가 등록되어 있으면, CPU(302)는, 모뎀 307을 사용해서 해당하는 FAX 번호에 간주 음성을 이용해서 G3 FAX 송신을 행한다. CPU(302)는, 미디어 타입 = "오디오(audio)"를 갖는 세션을 확립시킨 후, 화상처리장치(301)와 VoIP GW(502) 사이에서 VoIP 데이터를 교환한다. 그리고나서, VoIP GW(502)는 VoIP 데이터를 변환하고, PSTN(503)을 통해서 간주 음성 신호가 G3 FAX(508)에 전달된다. 그리고, T.30 순서에 따라 화상처리장치(301)와 G3 FAX(508) 사이에서 FAX 통신을 행한다. 화상처리장치(301)로부터의 FAX 송신이 종료할 때, T.30 순서의 DCN(Disconnect)이 송출되어, G3 FAX(508)은, 호출(call)을 절단한다. 화상처리장치(301)는 세션 종료를 나타내는 BYE 메시지를 송신한다. VoIP GW(502)가 BYE 메시지를 수신하고, 200 OK 메시지를 송신하며, CPU(302)는 호출의 절단을 행한다.
이하에서는, 도 2에 나타낸 플로차트 200을 참조하여, 상대측 장치의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텝 S202에 있어서, 상대측 장치는, FAX 착신이 검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착신이 검출되지 않았으면, 상대측 장치는, 응답하지 않기 때문에, 스텝 S202의 대기 상태로 돌아간다. 한편, FAX 착신이 검출되었으면, 상대측 장치는, 응답하기 위해서 스텝 S203로 이행한다. 스텝 S203에 있어서, 상대측 장치는, FAX 수신을 행한다. 계속해서, 스텝 S204에 있어서, 상대측 장치는, 유저로부터의 송신이 완료하면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거나 보존한 후, 종료 처리를 행한다. 상대측 장치의 FAX 통신부는, 대기 상태로 돌아가서,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도 1a 및 1b에 나타낸 플로차트의 설명으로 되돌아간다. 이하, 스텝 S103에서 유저가 UI(314)를 통해서 화면 702, 706, 또는 710상에서 "통화후 송신"을 지시했을 경우의 스텝 S109의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상대의 이메일 어드레스 = xx@xx.com이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CPU(302)는, 해당하는 이메일 어드레스에 송신을 행한다. CPU(302)가 네트워크 I/F 제어부(319)를 통해서 메일 서버(515)에 SMTP와 일치하는 통신방식을 이용해서 이메일 메시지를 송신한다. 스캐너(318)상에 세트된 원고를 지정된 모드로 판독해서 JPG, TIFF, 또는 PDF 형식의 화상 데이터를 첨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원고를 1페이지씩 판독하면서 1페이지마다 화상 데이터를 송신해도 된다. 또는, 모든 원고를 한번에 판독해서 화상 데이터를 HDD(306)에 축적하고, 축적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해도 된다. 또는, 유저가 "통화후 송신"을 선택한 직후에, 모든 원고를 먼저 판독해서 화상 데이터를 HDD(306)에 축적해 두고, 축적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해도 된다. 다시 말해, 원고를 임의의 타이밍에서 스캐너(318)로 판독해도 된다. 그러면, CPU(302)는 스텝 S110의 처리로 이행한다.
이하에서는, 도 2에 나타낸 플로차트 220을 참조하여, 상대측 장치의 처리 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 PC(517)가 이메일 통신부로서 기능한다. 스텝 S402에 있어서, PC(517)는, 이메일 취득 조건이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일반적으로는, 이메일 소프트웨어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신 조작을 실행하거나 또는 상대측 장치가 이메일 소프웨어의 수신 조작을 행할 때는, 이메일 취득 조건에 일치하므로, PC(517)는 스텝 S403의 처리로 이행한다. 이메일 취득 조건에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402의 대기 상태로 돌아간다.
스텝 S403에 있어서는, PC(517)는 이메일 메시지를 수신한다. PC(517)로부터 메일 서버(515)에 POP 형식에 일치하는 통신 방법을 이용해서 이메일 메시지를 수신한다. 스텝 S404에 있어서, PC(517)는, 메일 서버(515)로부터의 수신이 종료하면 종료 처리를 행한다. PC(517)는, 이메일 메시지에 첨부된 JPG, TIFF, 또는 PDF의 화상 데이터를 참조할 수 있다. 이메일 통신부는 대기 상태로 돌아가서,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도 1a 및 1b에 나타낸 플로차트의 설명으로 되돌아간다. 이하, 스텝 S103에서 유저가 UI(314)를 통해서 화면 704상에서 "통화후 송신"을 지시했을 경우의 스텝 S109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파일 송신 착신지로서 "파일 송신 = ¥¥172.168.0.1¥smb"가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CPU(302)는, 해당하는 공유 폴더에 액세스한다. CPU(302)는, 네트워크 I/F 제어부(319)를 통해서 PC(516)에서 설정된 공유 폴더에 SMB 등에 일치한 방식으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해서 기록한다. 공유 폴더의 액세스에 ID 및 패스워드가 필요한 경우에는, 이들 ID 및 패스워드를 착신지 등록 화면에 설정해 두고 사용할 때마다 UI(314)에 설정한다. 스캐너(318)에 설정된 원고를 지정된 모드에서 판독하고, JPG, TIFF, 또는 PDF 형식의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원고를 1페이지씩 판독하면서 1페이지마다 화상 데이터를 송신해도 된다. 또는, 모든 원고를 한번에 판독해서 화상 데이터를 HDD(306)에 축적하고, 축적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해도 된다. 또는, 유저가 "통화후 송신"을 선택한 직후에는, 모든 원고를 먼저 판독해서 화상 데이터를 HDD(306)에 축적해 두고, 축적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해도 된다. 그러면, CPU(302)는, 스텝 S110의 처리로 이행한다.
이하, 도 2에 나타낸 플로차트 230을 참조하여 상대측 장치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 PC(516)가 파일 공유부가 된다. 스텝 S502에 있어서, PC(516)는, 공유 파일 액세스 조건에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일반적으로는, 화상처리장치(301)가 PC(516)의 공유 폴더에 액세스할 때, 공유 파일 액세스 조건에 일치하므로, PC(516)는 스텝 S503의 처리로 이행한다. 공유 파일 액세스 조건에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502의 대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스텝 S503에 있어서, PC(516)는, 화상처리장치(301)로부터 송신된 화상 데이터를 공유 폴더에 액세스해서 기록한다. 계속해서, 스텝 S504에 있어서, PC(516)는, 공유 폴더 액세스의 종료 처리를 행한다. PC(516)의 공유 폴더에 액세스함으로써, JPG, TIFF, 또는 PDF의 화상 데이터를 참조할 수 있다. 그 후에, PC(516)는, 대기 상태로 되돌아가서,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도 1a 및 1b에 나타낸 플로차트의 설명으로 돌아간다. 스텝 S103에서 유저가 UI(314)을 통해서 화면 710상에서 복수의 송신 착신지를 지시했을 경우, 스텝 S109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은 송신 처리를 동시에 행한다. 송신 처리를 동시에 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순차적으로 행한다. 그 후에, CPU(302)는, 스텝 S110의 처리로 이행한다.
스텝 S110에 있어서, CPU(302)는, 음성 통화 종료 지시가 입력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화상처리장치(301)로부터 송신 착신지로의 송신이 완료한 후에는, 유저는 음성 통화에 사용되는 헤드셋(309) 또는 슬레이브 전화(328)나 UI(314)를 이용해서 음성 통화 종료를 지시한다. CPU(302)는, 음성 통화 종료 지시를 검출하면, 스텝 S111의 종료 처리로 이행한다. 또한, CPU(302)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이 경과했을 경우나,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 내에 유저 지시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도, 음성 통화 종료 지시의 검출을 결정하고, 처리가 스텝 S111로 이행한다. CPU(302)는, 음성 통화 종료 지시를 검출할 수 없으면, 처리가 스텝 S110으로 되돌아간다.
스텝 S106에서 CPU(302)는 "통화후 송신"이 선택되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처리가 스텝 S113로 이행하고, CPU(302)는, "송신"이 선택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유저가 UI(314)상에서 "송신"을 지시하면, CPU(302)는 스텝 S114의 처리로 이행한다. 한편, 유저가 UI(314)상에서 "송신"을 지시하지 않으면, CPU(302)는 스텝 S115의 처리로 이행한다.
스텝 S114에 있어서, CPU(302)는, 선택된 송신 착신지에 MFP 내장의 송신부를 이용해서 송신을 행한다. 스텝 S103에서 유저가 UI(314)를 통해서 화면 701~704, 706, 707, 709, 710, 및 713 중 하나에서 "송신"을 지시했을 경우에는, CPU(302)는 등록되어서 있는 송신 착신지에 송신을 행한다. 이 송신 처리는 스텝 S109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처리 내용을 갖기 때문에, 그것의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스텝 S114의 송신 처리가 완료하면, CPU(302)는, 스텝 S111의 처리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 S113에서 CPU(302)가 "송신"이 선택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115로 이행하고, CPU(302)는, "통화"가 선택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유저가 UI(314)상에서 "통화"를 지시하면, CPU(302)는 스텝 S116의 처리로 이행한다. 유저가 UI(314)상에서 "통화"를 지시하지 않으면, "통화후 송신", "송신", 및 "통화"의 어느 것도 선택되지 않으므로, 기타 처리 또는 에러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CPU(302)는, 스텝 S111의 처리로 이행한다.
스텝 S116에 있어서, CPU(302)는, 선택된 음성 통화 착신지명에 MFP 내장의 전화번호부를 통해서 통화를 행한다. 스텝 S103에서 유저가 UI(314)를 통해서 화면 701~704, 706, 708, 710, 및 712 중 하나의 화면상에서 "통화"를 지시했을 경우에는, CPU(302)는 등록되어 있는 통화 착신지에 음성 통화를 행한다. 이 음성 통화 처리는 스텝 S107에서 설명한 처리와 같은 처리 내용을 갖기 때문에, 그것의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스텝 S116의 음성 통화 처리가 완료하면, CPU(302)는 스텝 S111의 처리로 이행한다.
스텝 S111에 있어서, CPU(302)는, 종료 처리를 행한다. CPU(302)는 상술한 동작 및 통신에 사용된 기능을 종료시켜서 초기화하고, 전술한 동작 및 통신 결과의 로그(log)를 HDD(306)에 보존한다. 그러면, 처리는 스텝 S117로 이행한다. 또한, 플로차트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처리 도중에 UI(314)상에서 통신 중지 지시가 입력된 경우나 동작 중에 기능 동작 에러가 발생해 지시된 동작을 더 이상 계속할 수 없을 때도, 통신 종료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처리가 스텝 S111로 이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는, 다양한 통신방식을 제공한다. 화상처리장치는, 1명의 유저에 대하여 2개 이상의 통신방식을 연속해서 사용할 경우에, 미리 설정된 착신지를 사용하여, 연속해서 상이한 통신방식을 사용할지, 단독의 통신방식을 사용할지를 유저에게 선택시킨다. 다시 말해, 유저는 연속해서 상이한 통신방식을 사용할 경우에, 미리 설정된 착신지를 이용해서 연속해서 상이한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지시를 입력할지 또는 단독의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지시를 입력할지를 선택하는 것만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에 의하면, 유저가 연속해서 상이한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지시를 입력하면, 제1의 통신 방법을 사용한 통신이 행해지고, 해당 통신의 종료가 검출되면, 미리 정해진 착신지에 제2의 통신방식을 사용한 통신이 행해진다. 즉, 유저는, 제1의 통신 방법을 사용한 통신이 종료한 후에는, 제2의 통신방식을 사용한 통신에 있어서의 착신지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
<제2의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1a 및 1b을 참조하여, 착신지 등록시에 그룹 등록할 때의 처리 시퀀스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처리는, CPU(302)가, ROM(304)이나 HDD(306)에 보존된 제어 프로그램을 RAM(305)에 판독하고, 판독한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실현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제1의 실시예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스텝 S102에서는 유저가 화상처리장치(301)의 전화번호부에 있어서 UI(314)로부터 복수의 음성 통화 착신지명과 송신 착신지명을 관련지어 등록한다. 이하에서는 화면 609를 이용해서 복수의 착신지를 하나의 그룹으로서 등록해서 동시에 같은 처리를 이 그룹에 적용하고, 복수의 착신지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통화후 송신을 행하는 설정을 설명한다. 이 경우, 유저는 UI(314)상에 "착신지 No. = 04"을 표시시킨다. 유저는 착신지명에 지점 그룹을 설정한다. 유저는 그룹 착신지의 항목을 UI(314)상에 표시시키고, "그룹 착신지 = O"로 변경한다. 착신지 No. 05 , 06, 및 07은 이미 등록되어 있고, 유저가 음성 통화하고 싶은 상대의 인터넷 전화 착신지와 그들의 FAX 번호는 이미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등록시에는, 유저는 착신지 No.05 의 "인터넷 전화 착신지명 = x505**" 및 "FAX 번호 = 03-0005-0000"를 등록한다. 마찬가지로, 유저는 착신지 No.06의 "인터넷 전화 착신지명 = x506**" 및 "FAX 번호 = 03-0006-0000"를 등록한다. 유저는 착신지 No.07의 "인터넷 전화 착신지명 = x507**" 및 FAX 번호 = 03-0007-0000을 등록한다. 상기 No. 05, 06, 및 07의 상대는, IP망(501)이나 PSTN에 접속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모든 착신지 No의 설정에 대해서 "FAX 통신부는 T.38로 설정된다". 다른 란은 공란이어도 된다.
그래서, "착신지 No.= 04"의 설정에 있어서, 유저는 UI(314)상에서 그룹 내역의 항목을 표시시키고, 착신지 No. 05, 06, 및 07을 등록한다. 복수의 착신지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통화후 송신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설정의 입력이 완료하면, UI(314)상에는 화면 609이 표시된다. 전화번호부에 있어서의 착신지 등록이 완료했기 때문에, CPU(302)의 처리는 스텝 S103로 이행한다.
스텝 S103에 있어서, CPU(302)는, 유저가 UI상에서 착신지를 선택해서 동작 지시를 입력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스텝 S102에서 유저가 화면 60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대와 음성 통화한 후, FAX 송신하는 설정을 했을 경우, UI(314)상에 화면 711이 표시된다. 유저는 화상처리장치(301)에 송신하는 원고를 적재하고, UI(314)로부터 송신 메뉴를 선택하고, 그룹화된 착신지 No.04를 선택한다. 유저는 그룹 내역이 올바른지를 확인한 후 통화후 송신을 하고 싶은 경우, UI(314)상의 "통화후 송신"을 지시한다. 한편, 유저가 음성 통화만을 행하고 싶은 경우에는, UI(314)상의 "통화"를 지시한다. 유저가 송신만을 행하고 싶은 경우에는, UI(314)상의 "송신"을 지시한다. 만약 그룹 내역에 포함되는 착신지 No.에 화면 60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통화 착신지와 송신 착신지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UI(314)상에 화면 705가 표시되고, 유저는 개별적으로 음성 통화 착신지와 송신 착신지를 선택한다. 유저는 그룹 내역의 등록 내용에 따라 상기의 선택을 행한다. 만약 UI(314)의 화면 외부에 있는 항목이 있는 경우에는, 화면을 스크롤시켜서 표시할 수 있다. CPU(302)는, UI(314)상에서 착신지 선택과 동작 지시를 검출하면, CPU(302)는 처리를 스텝 S104로 이행한다.
스텝 S104에 있어서, CPU(302)는, 유저가 실행가능한 착신지 선택과 동작 지시를 했는지 아닌지 판정한다. 스텝 S103에서 유저가, "통화후 송신", "송신", 및 "통화" 중 하나의 동작 지시를 입력했을 때, 1개의 착신지 No.에서 지시를 실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해당 착신지 No.에 대해서 처리를 스킵하고, 제어가 다음 착신지 No.의 처리로 이행한다. 그리고나서, 스텝 S111의 종료 처리를 실행해서, 결과를 UI(314)상에 표시하고, 로그에 보존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그룹 내역의 착신지 No.05, 06, 및 07 중 착신지 No.05에 FAX 송신 착신지만이 등록되어 있을 경우에는, 통화후 송신 지시를 착신지 No.05로 실행할 수 없기 때문에, 처리가 스텝 S105로 이행한다. 동작 지시가 실행 가능한 경우에는, CPU(302)의 처리는 스텝 S106로 이행한다.
스텝 S111에서는, CPU(302)는 등록된 그룹 내역의 착신지 No.에 대하여 차례차례 스텝 S104 내지 S111의 처리를 순차적으로 실행하고, 모든 착신지 No.의 처리가 종료했는지를 판정한다. 그리고나서, CPU(302)는 결과를 UI(314)상에 표시하고, 그 결과를 로그에 보존해서, 종료 처리를 행한다. 그러면, CPU(302)는, 처리를 스텝 S117로 이행해서 대기 상태로 돌아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는, 복수의 착신지를 포함하는 그룹 등록된 착신지가 유저에 의해 선택되었고, "통화후 송신" 등이 지시되었을 경우, 각 착신지의 장치에 의해서 실행할 수 없는 기능이 있으면, 해당 착신지에 대한 처리를 스킵한다. 이에 따라, 그룹 등록이 되었을 경우에도, 상기 제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적합하게 통화후 송신을 실현할 수 있다.
<제3의 실시예>
다음에, 제3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301)의 하드웨어 구성과 망 접속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과 다른 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제1의 실시예와 제2의 실시예 중의 적어도 하나와 조합해서 실현되어도 된다.
도 4에 나타낸 화상처리장치(401)에서는, CODEC(320), 버스(321), 음성회로(322), SLIC(327), 아날로그 신호(312), 및 헤드셋(309)이 필요없기 때문에 삭제되어 있다. 대신에, 화상처리장치(401)에는, 모뎀(330), 릴레이(329), 핸드셋(331)이 추가되어 있다. 이들 추가된 블록은 적절한 신호를 통해서 화상처리장치(401) 내에 접속되어 있고, CPU(302)에 의해 제어된다. 화상처리장치(401)는 PSTN에 접속된 G3 FAX 통신기능을 2회선 가지고 있고, 한쪽의 G3 FAX에는 핸드셋(331)과 슬레이브 전화(328)가 접속되어 음성 통화가 가능하다. 화상처리장치(401)는, 모뎀(330)을 통해서 통신할지, 핸드셋(331) 또는 슬레이브 전화(328)를 통해서 음성 통화할지를 릴레이(329)를 이용해서 전환할 수 있다. 모뎀 330과 모뎀 307은 PSTN(503)에 접속되어, PSTN을 통해서 G3 FAX 통신과 음성 통화가 가능하다. 다른 부분은 도 3에 나타낸 화상처리장치(301)와 같은 구조이므로 그것의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다음에, 도 1a 및 1b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처리 시퀀스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중요가 되는 시퀀스를 도 1a 및 1b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처리는, CPU(302)가 ROM(304)이나 HDD(306)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RAM(305)에 판독하고 판독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제1의 실시예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스텝 S102에서는, 전화번호부에 착신지를 등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면 610을 사용해서 핸드셋(331) 또는 슬레이브 전화(328)를 통해서 음성 통화한 후, FAX 송신을 행하는 설정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착신지 등록을 행하는 화면 610에서, CPU(302)는 현시점에서 이용할 수 없는 기능에 관한 착신지를 UI(314)에서 숨겨서 이들 기능을 선택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착신지명으로서 "지점 1"을 설정한다. 유저가 음성 통화 상대의 전화 번호 "03-0000-0004"을 설정한다. 유저가 송신 상대의 FAX 번호 "03-0000-0003"을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처리장치(401)는 어떤 T.38 통신부도 구비하지 않는다. 유저는 통신부란에 T.30을 설정한다. 또는, 유저가 그것을 공란으로 두면, 자동적으로 "T.30"이 선택된다. 핸드셋(331) 또는 슬레이브 전화(328)를 통해서 음성 통화한 후, T.30 FAX 송신을 실행하는 설정의 입력이 완료하면, CPU(302)의 처리는 스텝 S103으로 이행한다.
스텝 S103에 있어서, CPU(302)는, 유저가 UI에서 착신지를 선택해서 동작 지시를 입력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스텝 S102에서, 화면 6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저가 전화로 음성 통화한 후 G3 FAX 송신을 실행하는 설정을 했을 경우에는, UI(314)상에 화면 715가 표시된다. 유저가 음성 통화 착신지와 FAX 송신 착신지가 올바른지 아닌지를 확인한 후, UI(314)상의 "통화후 송신"을 지시한다. 유저가 핸드셋(331)을 오프 훅(off-hook)해서 이용 지시를 입력하면, 또는 UI(314)상에서 핸드셋(331)으로부터의 음성 통화 지시를 입력하면, 이후의 스텝 S107에서는 음성 통화에 핸드셋(331)을 사용한다. 유저가 슬레이브 전화(328)를 오프 훅(off-hook)해서 이용 지시를 입력하면, 또는, UI(314)상에서 슬레이브 전화(328)로부터의 음성 통화 지시를 입력하면, 이후의 스텝 S107에서는 음성 통화에 슬레이브 전화를 사용한다. 그러면, CPU(302)는, UI(314)상에서 착신지 선택과 동작 지시를 검출하므로, CPU(302)의 처리는 스텝 S104로 이행한다. 즉, 유저가 동작 지시 방법에 의해 그 후의 음성 통화 방법을 전환한다.
스텝 S104에서는, CPU(302)는, 유저가 UI(314)상에서 실행가능한 착신지 선택과 동작 지시를 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만약 모뎀 330, 모뎀 307, 핸드셋(331), 및 슬레이브 전화(328) 중의 하나가 통화중인 경우, "통화후 송신"을 실행할 수 없기 때문에, CPU(302)의 처리는 스텝 S105로 이행한다. 만약 핸드셋(331) 및 슬레이브 전화(328) 중 어느 쪽인가를 음성 통화 지시를 입력하기 위해서 오프 훅(off-hook)하는 경우에는, 모뎀 330을 DC 캡처링(capturing) 상태로 제어한 직후에 릴레이(329)를 전환하고, 그 후에 모뎀 330은 PSTN으로부터의 DC 루프를 형성한다. 그리고나서, 모뎀 330은 다이얼 톤을 검출하여, 핸드셋(331) 또는 슬레이브 전화(328)가 통화중인지 단지 "통화후 송신"의 음성 통화 지시를 입력하기 위해서 사용될 뿐인지를 판단한다. 핸드셋(331) 또는 슬레이브 전화(328)가 통화중이면, "통화후 송신"을 실행할 수 없기 때문에, 릴레이(329)를 핸드셋(331) 또는 슬레이브 전화(328)측에 재접속한 후, CPU(302)의 처리는 스텝 S105로 이행한다. 다시 말해, 통화후 송신의 처리에 관해서는 중단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CPU(302)는 실행가능한 지시가 입력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스텝 S107에 있어서, CPU(302)는, 선택된 음성 통화 착신지에 대해서 MFP 내장의 음성 통화부를 이용해서 음성 통화 동작을 행한다. 스텝 S103에서 유저가 UI(314)를 통해서 화면 715상에서 "통화후 송신"을 지시했을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TEL = 03-0000-0004"가 등록되어 있으므로, CPU(302)는 해당하는 전화번호에 음성 통화 동작을 행한다. 유저가 핸드셋(331)을 오프 훅(off-hook)해서 이용 지시를 입력하면, 또는 UI(314)상에서 핸드셋(331)으로부터의 음성 통화 지시를 입력하면, 음성 통화에 핸드셋을 사용한다. CPU(302)는, 릴레이를 모뎀 330측으로 전환하고, 모뎀 330이 DC 전류를 포착한 후에는, PSTN에 DTMF 톤을 출력하여, 상대의 전화번호(03-0000-0004)에 발호한다. 또는, 다이얼 펄스(dial pulse) 생성회로는 펄스를 생성해 상대의 전화번호에 발호한다. 그 후에, CPU(302)는 릴레이를 핸드셋(331)측으로 전환하고, 유저는 핸드셋(331)을 이용해서 상대와 음성 통화를 행한다. 유저가 슬레이브 전화(328)를 오프 훅해서 이용 지시를 입력하면, 또는 UI(314)상에서 슬레이브 전화(328)로부터의 음성 통화 지시를 입력하면, CPU(302)는 릴레이를 모뎀 330측으로 전환한다. 그리고나서, CPU(302)의 제어하에, 모뎀 330이 DC 전류를 포착한 후에는, PSTN에 DTMF 톤을 출력해 상대의 전화번호(03-0000-004)에 발호한다. 또는, 다이얼 펄스 생성회로는 펄스를 생성해 상대의 전화번호(03-0000-0004)에 발호한다. 유저가 "통화후 송신"을 지시한 후에 아직 핸드셋(331) 또는 슬레이브 전화(328)의 이용 지시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에는, CPU(302)는 UI(314)상에 "핸드셋이나 슬레이브 전화를 오프 훅해 주십시오"와 같은 메시지를 표시한다. 유저가 "통화후 송신"을 지시하기 전에, 핸드셋(331) 또는 슬레이브 전화(328)의 이용 지시를 입력했을 경우에는, CPU(302)는, 상기의 메시지를 표시하지 않는다. 핸드셋(331) 및 슬레이브 전화(328) 중 어느 것을 이용할지를 화상처리장치(401) 내의 포토 커플러(photo-coupler)를 이용해서 구별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CPU(302)는 스텝 S108의 처리로 이행한다.
스텝 S109에 있어서, CPU(302)는, 선택된 송신 착신지에 MFP 내장의 FAX 송신부를 이용해서 송신을 행한다. 유저가 스텝 S103에서 UI(314)을 통해서 화면 715상에서 "통화후 송신"을 지시했을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FAX = 03-0000-0003" 및 "통신부 = T.30"이 등록되어 있으므로, CPU(302)는, 해당하는 FAX 번호에 송신을 행한다. 모뎀 307이 DC 전류를 포착한 후에는, PSTN에 DTMF 톤을 출력해, 상대의 FAX 번호(03-0000-003)에 발호한다. 또는, 다이얼 펄스 생성회로는 펄스를 생성해 상대의 FAX 번호에 발호한다.
수신기가 호출에 응답하면, 스캐너(318)에 설정된 원고를 지정된 모드에서 판독해서 얻은 화상 데이터를 T.30에 일치한 통신방식으로 송신한다. 이 경우, CPU(302)는 원고를 판독하면서 FAX 송신을 행하는 다이렉트 송신을 행한다. 또는, 유저가 "통화후 송신"을 선택한 직후에, CPU(302)는 모든 원고를 먼저 판독하고, 화상 데이터를 HDD(306)에 축적해 두고, FAX 송신에서는 축적한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모리 송신을 행해도 된다. 만약 "통화후 송신"으로 등록된 음성 통화 착신지와 FAX 번호가 일치하면, 상대는 NGN의 복수 세션 계약으로 인해 같은 전화번호로 FAX 호출과 음성 통화를 동시에 수신할 수도 있기 때문에, 어떠한 에러도 발생하지 않고 처리를 계속한다. 송신 후에 CPU(302)는 스텝 S110의 처리로 이행한다.
상기 설명에서는, T.38 및 T.3O VoIP 통신에 NGN 계약의 번호 계획에 근거하는 전화번호를 이용해서 착신지를 지시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했다. 또는,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 URL(Uniform Resource Locator),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URI(Uniform Resource Indicator), 부수되는 포트 번호, 1D, 패스워드 등을 사용해서 착신지를 지시해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저가 상대에 대하여 음성 통화 후에 FAX 송신을 실행하고 싶은 경우, 수신측이 새로운 인프라를 도입하면, 음성 통화 번화, FAX 번호, 및 통신부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경우에도, 상대 선택의 회수를 1회로 줄일 수 있고, 송신 에러 가능성을 줄이면서 조작을 스킵할 수 있는 편리한 화상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행하도록 기억매체(예를 들면, 비일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상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판독 및 실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서 실현될 수 있고, 또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행하도록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이 컴퓨터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다른 회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구비할 수도 있고, 독립된 컴퓨터 또는 독립된 컴퓨터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RAM(random-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컴팩트 디스크(CD), DVD(digital versatile disc), Blue-ray Disc(BD)TM 등),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변형 및 균등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음성 통화와 데이터 송신을 실행가능한 화상처리장치로서,
    한 개의 착신지에 대하여 상기 음성 통화를 행하기 위해 사용된 음성 통화용의 착신지 정보와, 상기 데이터 송신을 행하기 위해 사용된 데이터 송신용의 착신지 정보를 관련지어서 등록하도록 구성된 등록유닛과,
    상기 음성 통화용의 착신지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착신지와의 음성 통화를 실행하고, 상기 음성 통화 후에, 유저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 송신 지시에 따라 상기 데이터 송신용의 착신지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착신지와의 데이터 송신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어유닛을 구비하는, 화상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유닛에 의해 등록된 내용에 따라 상기 착신지에 대하여 실행가능한 기능을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제어유닛을 더 구비하는, 화상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유닛은, 상기 1개의 착신지에 대하여 복수의 항목의 음성 통화용의 착신지 정보와 복수의 항목의 데이터 송신용의 착신지 정보를 관련지어 등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표시 제어유닛은, 상기 복수의 항목의 음성 통화용의 착신지 정보와 상기 복수의 항목의 데이터 송신용의 착신지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착신지 정보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도록 구성된, 화상처리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유닛은, 실행 불가능한 기능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 버튼을 그레이 아웃(gray out)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그레이 아웃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기능이 실행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고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화상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유닛은, 상기 음성 통화용의 착신지 정보와 상기 데이터 송신용의 착신지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의 착신지 정보를 그룹화해서 등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그룹화해서 등록된 복수의 항목의 착신지 정보에 대하여 통화후 송신이 지시된 경우에, 착신지마다 상기 통화후 송신의 처리를 차례로 실행하도록 구성된, 화상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유저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는 핸드셋 및 슬레이브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음성 통화는, 공중 회선용 전화에 대응하며,
    상기 데이터 송신은, G3 팩시밀리 송신에 대응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유저가 통화후 송신을 지시하고 상기 핸드셋 또는 상기 슬레이브 유닛이 오프 훅(off-hook)되었을 경우에 모뎀을 이용해서 다이얼 톤(dial tone)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검출유닛이 상기 다이얼 톤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핸드셋 또는 상기 슬레이브 유닛이 통화중이라고 판단하고, 통화후 송신을 중단하며,
    상기 검출유닛이 상기 다이얼 톤을 검출하면, 상기 제어유닛은 통화후 송신의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처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통화는, 인터넷 전화, 공중 회선용 전화, 및 인터넷 프로토콜 전화 중 하나에 대응하는, 화상처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은, G3 팩시밀리 송신,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T.38 대응 팩시밀리 송신, 이메일 송신, 및 공유 폴더에의 송신 중 하나에 대응하는, 화상처리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통화용의 착신지 정보는, 인터넷 전화 착신지명을 나타내는 문자 또는 숫자로 이루어진 열, 전화번호,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URI(Uniform Resource Indicator) 중 하나를 포함하는, 화상처리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용의 착신지 정보는, 전화 번호,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 이메일 어드레스, URL(Uniform Resource Locator),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URI(Uniform Resource Indicator), 및 공유 폴더에의 경로명을 나타내는 문자와 숫자로 이루어진 열 중 하나를 포함하는, 화상처리장치.
  11. 음성 통화와 데이터 송신을 실행가능한 화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1개의 착신지에 대하여 상기 음성통화를 행하기 위해 사용된 음성 통화용의 착신지 정보와, 상기 데이터 송신을 행하기 위해 사용된 데이터 송신용의 착신지 정보를 관련지어서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지에 대하여 음성 통화한 후에 데이터 송신을 행하는 통화후 송신이 지시된 경우에, 상기 음성 통화용의 착신지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착신지와의 음성 통화를 실행하고, 유저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 송신 지시에 따라, 상기 데이터 송신용의 착신지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착신지와의 데이터 송신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청구항 11에 따른 화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의 각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KR1020130157255A 2012-12-18 2013-12-17 화상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KR201400793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76119 2012-12-18
JP2012276119A JP6151911B2 (ja) 2012-12-18 2012-12-18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317A true KR20140079317A (ko) 2014-06-26

Family

ID=50030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7255A KR20140079317A (ko) 2012-12-18 2013-12-17 화상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53995B2 (ko)
JP (1) JP6151911B2 (ko)
KR (1) KR20140079317A (ko)
CN (1) CN103873735B (ko)
GB (1) GB25104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78480B2 (ja) 2013-12-18 2018-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2015167300A (ja) 2014-03-03 2015-09-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20844B1 (ja) * 2014-10-01 2015-05-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送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447263B2 (ja) * 2015-03-10 2019-01-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ファクシミリ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544976B2 (ja) 2015-04-10 2019-07-1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76094B2 (ja) * 2015-09-24 2018-08-2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170070649A (ko) * 2015-12-14 2017-06-22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클라우드 서버, 화상형성시스템 및 화상형성장치와의 연결 설정 방법
JP6633909B2 (ja) 2015-12-24 2020-01-22 株式会社東芝 画像処理装置
JP6814385B2 (ja) * 2016-09-01 2021-01-20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制御装置、機器、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838980B2 (ja) * 2017-02-01 2021-03-0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WO2020174735A1 (ko) * 2019-02-25 2020-09-03
JP7070776B1 (ja) * 2021-03-31 2022-05-1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中継装置、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中継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5352A (ja) 1991-04-15 1992-11-06 Canon Inc 画像通信装置
US5680449A (en) 1991-06-07 1997-10-21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for automatic dialing from a separate terminal
JP2912062B2 (ja) 1991-08-22 1999-06-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通信装置
JP3244823B2 (ja) 1992-12-22 2002-01-0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
JPH07131450A (ja) 1993-10-28 1995-05-19 Canon Inc 通信コントローラ
JP3262435B2 (ja) 1993-12-28 2002-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に接続される外部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3329549B2 (ja) * 1993-12-28 2002-09-30 松下電送システム株式会社 通信装置
JPH10126485A (ja) 1996-10-17 1998-05-15 Ricoh Co Ltd ファクシミリ装置
JP3236518B2 (ja) 1996-10-22 2001-12-1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式の無線割当制御方法
KR100238157B1 (ko) * 1997-03-07 2000-01-15 윤종용 무선전화기 기능을 부가한 팩시밀리 시스템에서 전화통화 시 통화품질 개선장치 및 방법
JPH11289399A (ja) * 1998-04-03 1999-10-19 Ricoh Co Ltd 通信装置
JP2001016462A (ja) 1999-06-30 2001-01-19 Canon Inc 画像通信方法及びその装置
JP3673702B2 (ja) 2000-07-25 2005-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通信装置、通信方式切替方法、及び記憶媒体
KR100365357B1 (ko) 2000-10-11 2002-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방법
US7181492B2 (en) * 2000-10-17 2007-02-20 Concerto Software, Inc. Transfer of an internet chat session between servers
JP4460190B2 (ja) 2001-04-27 2010-05-12 株式会社リコー 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3249973A (ja) * 2002-02-22 2003-09-05 Sharp Corp 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装置および通信端末装置
AU2004286274A1 (en) * 2003-10-28 2005-05-12 Mcneil-Ppc, Inc. Dispensing device for liquid sweetener
JP2005136702A (ja) * 2003-10-30 2005-05-26 Sharp Corp 画像送信装置および画像送信方法
US7196718B1 (en) * 2004-08-26 2007-03-27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of digital image to destination associated with voice call participant
US7672003B2 (en) * 2004-09-01 2010-03-02 Eric Morgan Dowling Network scanner for global document creation, transmission and management
JP2007122521A (ja) 2005-10-28 2007-05-17 Sharp Corp 設定画面制御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4345749B2 (ja) * 2006-01-31 2009-10-14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送信装置
US20080059627A1 (en) 2006-08-29 2008-03-06 Hamalainen Jari P Unified contact database
US8311192B2 (en) * 2007-12-18 2012-11-1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communication
JP5126269B2 (ja) * 2010-03-26 2013-01-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US9553974B2 (en) * 2010-08-11 2017-01-24 Apple Inc. Media/voice binding protocol and related user interfaces
JP5520866B2 (ja) * 2011-03-30 2014-06-1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Ipファクシミリ装置
JP5902922B2 (ja) * 2011-11-10 2016-04-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3128160A (ja) * 2011-12-16 2013-06-27 Canon Marketing Japan Inc ファクシミリ装置、ファクシミリ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070017B2 (ja) * 2012-09-26 2017-02-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アドレス情報表示プログラム、及び、通信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73735B (zh) 2017-01-11
GB2510485B (en) 2017-01-11
US20140169540A1 (en) 2014-06-19
US9553995B2 (en) 2017-01-24
JP2014121017A (ja) 2014-06-30
GB201322172D0 (en) 2014-01-29
JP6151911B2 (ja) 2017-06-21
CN103873735A (zh) 2014-06-18
GB2510485A (en) 201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51911B2 (ja)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343626B2 (ja) 画像通信制御方法、画像通信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通信装置
US7782839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control program of the same
JP4107028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3826107B2 (ja) 画像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WO2004034657A1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通信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2005294993A (ja) Ip電話機及びipアダプタ
WO2004111749A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of communication apparatus
JP4185891B2 (ja) 通信端末、および通信端末の制御方法
US7068763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JP2005079929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通信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4006361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通信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WO2014073351A1 (en) Facsimile apparatus,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JP4114563B2 (ja) Ip通信装置
JP2013046226A (ja) ファクシミリ装置、ファクシミリ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20150365560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apable of selecting proper facsimile communication,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2015226174A (ja) リアルタイム型ネットワークファクシミリ装置
JP6816902B1 (ja) 構内交換機および判断方法
JP2012191549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ip電話端末
JP4193144B2 (ja) 画像通信装置
JP2022040961A (ja) Ip電話アダプタ機器、fax送信方法、fax受信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fax送受信方法
US960269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ich supports multiple sessions including deemed voice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JP5895675B2 (ja) 通信装置
JP6180229B2 (ja)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5303872A (ja) 画像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