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9866A - 운전 지원 장치 및 운전 지원 방법 - Google Patents

운전 지원 장치 및 운전 지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9866A
KR20140059866A KR1020147010812A KR20147010812A KR20140059866A KR 20140059866 A KR20140059866 A KR 20140059866A KR 1020147010812 A KR1020147010812 A KR 1020147010812A KR 20147010812 A KR20147010812 A KR 20147010812A KR 20140059866 A KR20140059866 A KR 20140059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ine
warning
partition lin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0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4421B1 (ko
Inventor
히로아끼 가따오까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59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0Path keeping
    • B60W30/12Lane k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8Recognition of the road, e.g. of lane markings; Recognition of the vehicle driving pattern in relation to the roa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7Driving aids for lane monitoring, lane changing, e.g. blind spot de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08Lane monitoring; Lane Keep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20Steering systems
    • B60W2510/202Steering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0Path keeping
    • B60Y2300/12Lane kee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운전 지원 ECU(1)는, 카메라(2)가 촬상한 차량 전방의 주행 노면의 화상을 이용하여, 상기 주행 노면의 구획선을 검출하는 동시에 구획선이 존재하지 않는 구간에 가상적인 구획선을 설정하고, 상기 구획선과 상기 가상적인 구획선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을 제어해서 상기 운전 지원을 행하고, 상기 가상적인 구획선에서 상기 차량이 이탈하는 경우에 경고를 통지한다. 또한, 운전 지원 ECU(1)는, 상기 차량의 상태를 검출하여, 당해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차량 정보로서 산출하고, 상기 차량 정보가 미리 정해진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운전 지원을 해제하고, 상기 운전 지원이 해제된 경우에는 상기 경고를 금지한다.

Description

운전 지원 장치 및 운전 지원 방법 {DRIVE ASSISTANCE DEVICE AND DRIVE ASSISTANCE METHOD}
본 발명은, 운전 지원 장치 및 운전 지원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특정적으로는, 차량에 탑재되어, 당해 차량의 탑승원에 대하여 경고를 행할 수 있는 운전 지원 장치 및 운전 지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 등에 의해, 상기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주행 노면의 도로 표시(lane marker)(이하, 간단히 구획선이라고 칭하기도 함)를 인식하는 기술이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주행 노면의 도로 표시를 인식하는 장치의 일례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장치가 있다.
일본 공개 특허 제2003-044836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은, 주행 노면의 우측 구획선 및 좌측 구획선 중 어느 한쪽의 구획선에 기초하여 다른 쪽의 백선을 추정하는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은, 구체적으로는, 주행 노면에 그려져 있는 구획선을 인식하고, 우측 구획선 및 좌측 구획선 중 어느 한쪽이 검출된 경우, 이 검출된 구획선(예를 들어, 우측 구획선)에 설정하는 복수의 샘플 점의 좌표와, 당해 샘플 점에 대응하는 도로 폭 산출 파라미터 및 차량이 주행하는 차선의 도로 폭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출되지 않은 쪽의 구획선(예를 들어, 좌측 구획선)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이다.
그런데, 최근들어,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 등에 의해, 상기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주행 노면의 구획선을 인식하고, 당해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드라이버가 행하는 핸들 조작을 보조하는 장치가 실용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에 의해 검출된 주행 노면의 구획선에 기초하여,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이 차선 내(우측 구획선과 좌측 구획선 사이의 영역)를 주행하도록 드라이버의 운전 조작을 보조하는 장치(예를 들어, 조타 지원 장치라고 칭함)가 실용화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는, 어디까지나 드라이버의 운전 조작의 보조이기 때문에, 드라이버의 운전 조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차량이 우측 구획선 또는 좌측 구획선에서 이탈할 것 같은 경우에는, 일반적으로는 상기 보조를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차량에는, 상기 조타 지원 장치와 함께, 차량이 우측 구획선 또는 좌측 구획선에서 이탈할 것 같다고 판단한 경우나, 이탈한다고 판단한 경우, 사전에 차량의 드라이버에 대하여, 경고를 행하는 장치(예를 들어, 차선 이탈 경보 장치)가 탑재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주행 노면의 구획선을 인식할 때에, 예를 들어 전술한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을 이용한 경우, 검출되지 않은 쪽의 구획선의 위치를 추정하고, 당해 추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실제로 구획선이 존재하지 않는 구간에 일시적으로 가상적인 구획선을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일시적으로 설정된 가상적인 구획선에 기초하여, 차선 이탈 경보를 행한 경우, 실제로는 구획선이 존재하지 않는 구간에서도 차선 이탈 경보가 행하여지게 되는 경우가 있어, 드라이버는 위화감을 갖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라서 드라이버에 대하여 행하는 경고를 변화시킬 수 있는 운전 지원 장치 및 운전 지원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에 개시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1 국면은, 차량에 탑재되어 주행 차선을 따른 운전을 지원하는 운전 지원 장치이다. 상기 운전 지원 장치는, 상기 차량 전방의 주행 노면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이 촬상한 화상을 이용하여, 상기 주행 노면의 구획선을 검출하는 동시에 구획선이 존재하지 않는 구간에 가상적인 구획선을 설정하는 화상 처리 수단과, 상기 구획선과 상기 가상적인 구획선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을 제어해서 상기 운전 지원을 행하는 지원 수단과, 상기 차량의 상태를 검출하여, 당해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차량 정보로서 산출하는 산출 수단과, 상기 차량 정보가 미리 정해진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운전 지원을 해제하는 해제 수단과, 상기 가상적인 구획선에서 상기 차량이 이탈하는 경우에 경고를 통지하는 경고 수단과, 상기 운전 지원이 해제된 경우에는 상기 경고 수단의 작동을 금지하는 금지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 국면은, 상기 제1 국면에 있어서, 상기 산출 수단이 산출하는 상기 차량 정보는,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를 나타내는 정보,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가 조작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차량의 핸들이 조작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차량의 턴 시그널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상기 차량의 와이퍼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국면은, 상기 제2 국면에 있어서, 상기 해제 수단은, 상기 차량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차량의 차속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운전 지원을 해제한다.
본 발명의 제4 국면은, 상기 제2 국면에 있어서, 상기 해제 수단은, 상기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핸들, 턴 시그널, 와이퍼 중 적어도 1개가 조작 또는 구동된 경우에 상기 운전 지원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국면은, 상기 제1 국면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 수단은, 상기 촬상 수단이 촬상한 화상을 이용하여, 주행 노면의 구획선을 검출하는 동시에 상기 차량의 좌측 및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구획선이 존재하지 않는 구간에 가상적인 구획선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국면은, 상기 제5 국면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 수단은, 상기 차량의 좌측 및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구획선이 존재하지 않는 구간이 미리 정해진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에 당해 구간에 가상적인 구획선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7 국면은, 상기 제5 국면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 수단이 가상적인 구획선을 설정하는 구획선이 존재하지 않는 구간은, 분기 구간, 합류 구간, 차선 증가 구간, 교차점 내, 버스 정류소의 승강 구간, 카풀 차선 출구 구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8 국면은, 차량에 탑재되어 주행 차선을 따른 운전을 지원하는 운전 지원 방법이다. 상기 운전 지원 방법은, 상기 차량 전방의 주행 노면을 촬상하는 촬상 스텝과, 상기 촬상 스텝에서 촬상한 화상을 이용하여, 상기 주행 노면의 구획선을 검출하는 동시에 구획선이 존재하지 않는 구간에 가상적인 구획선을 설정하는 화상 처리 스텝과, 상기 구획선과 상기 가상적인 구획선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을 제어해서 상기 운전 지원을 행하는 지원 스텝과, 상기 차량의 상태를 검출하여, 당해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차량 정보로서 산출하는 산출 스텝과, 상기 차량 정보가 미리 정해진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운전 지원을 해제하는 해제 스텝과, 상기 가상적인 구획선에서 상기 차량이 이탈하는 경우에 경고를 통지하는 경고 스텝과, 상기 운전 지원이 해제된 경우에는 상기 경고 스텝에서의 작동을 금지하는 금지 스텝을 구비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제1 국면에 의하면, 예를 들어 운전 지원이 해제된 경우에 있어서 가상적인 구획선에서 차량이 이탈하는 경우에 발하여지는 경고를 해제하므로, 구획선이 없는 장소에서 경고가 발하여지는 것에 의한 위화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운전 지원이 해제된 경우에 있어서 가상적인 구획선에서 차량이 이탈하는 경우에 발하여지는 경고를 해제하므로, 즉, 바꾸어 말하면, 운전 지원이 행하여지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가상적인 구획선에서 차량이 이탈하는 경우에 있어서 경고를 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주행 차선을 따른 운전 지원이 행하여지고 있는 경우에는, 가상정한 구획선을 포함하는 구획선에서 차량이 이탈하는 경우에는 경고가 발하여진다. 따라서, 가상정한 구획선을 포함하는 구획선에서 차량이 이탈하는 경우에 경고가 필요한 구간에서는 당해 경고를 발할 수 있고, 경고를 발하면 드라이버가 위화감을 갖는 구간에서는 경고를 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라서 드라이버에 대하여 행하는 경고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제2 국면에 의하면, 드라이버의 운전 조작에 따라서 운전 지원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제3 국면에 의하면, 차량의 차속에 따라서 운전 지원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제4 국면에 의하면, 예를 들어 드라이버가 차선 변경을 하기 위해서 핸들이나 턴 시그널 등을 조작한 경우, 가상선에 대하여 경고가 되지 않으므로, 실제로 구획선이 없는 장소에서 경고가 발하여지는 것과 같은 위화감을 드라이버는 갖는 일이 없다. 바꾸어 말하면, 드라이버가 의도적으로 차량의 진행 방향을 바꾼 경우에 가상선을 이탈했다고 하더라도 경고가 되지 않으므로, 드라이버는 위화감을 갖는 일이 없다.
상기 본 발명의 제5 국면에 의하면, 우측 구획선 또는 좌측 구획선 중 어느 한쪽이 존재하지 않는 구간 뿐만 아니라, 우측 구획선 및 좌측 구획선 모두 구획선이 존재하지 않는 구간에서도 가상선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제6 국면에 의하면, 구획선이 존재하지 않는 구간의 거리에 따라서, 가상선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대향 차선을 구획하는 구획선에 있어서, 당해 구획선의 일부만이 희미해져 있거나, 끊어져 있는 구간에 가상선을 설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본래는 경고가 필요한 구간임에도 불구하고 경고가 발하여지지 않는 것과 같은 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제7 국면에 의하면, 구획선이 없는 장소에서 경고가 발하여지면 특히 위화감을 갖는 구간에 가상선이 설정되고, 당해 가상선에 있어서 경고할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드라이버가 갖는 위화감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운전 지원 방법에 의하면, 전술한 본 발명의 운전 지원 장치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운전 지원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운전 지원 ECU(1)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스텝 S14에서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주행 노면의 우측 및 좌측 중 어느 한쪽에 구획선이 없는 분기 구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주행 노면의 우측 및 좌측 중 어느 한쪽에 구획선이 없는 합류 구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구획선이 없는 우좌회전 도로가 존재하는 주행 노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추월 차선이 나타나는 구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카풀 차선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버스의 정류소에서의 승강 구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교차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자차량(mv)의 주행 노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LDW 작동 조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LKA 작동 조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운전 지원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당해 운전 지원 장치가 차량(구체적으로는, 승용차를 상정하고, 이하, 자차량(mv)이라고 칭함)에 탑재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당해 운전 지원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운전 지원 장치는, 운전 지원 ECU(Electrical Control Unit)(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운전 지원 ECU(1)에는, 카메라(2), 레이더 장치(3), 차량 정보 취득 장치(4), 전동 파워 스티어링(Electric Power Steering, 이하 EPS라고 칭함)(5), 표시 장치(6) 및 음성 출력 장치(7) 등이 접속되어 있다.
운전 지원 ECU(1)는, 후술하는 카메라(2), 레이더 장치(3) 및 차량 정보 취득 장치(4) 등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자차량(mv)에 탑재된 EPS(5), 표시 장치(6) 및 음성 출력 장치(7) 등을 제어하여, 드라이버의 운전을 서포트한다.
카메라(2)는, 예를 들어 CCD 카메라, CMOS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등이며, 자차량(mv)의 전방을 촬상한다. 그리고, 카메라(2)는, 예를 들어 소정 시간 간격으로 자차량(mv)의 전방을 촬상하고, 당해 촬상한 화상을 운전 지원 ECU(1)에 출력한다. 또한, 카메라(2)가 설치되는 위치는, 자차량(mv)의 전방을 촬상하기 위해서, 당해 자차량(mv)의 진행 방향으로 향하여져 있어, 드라이버의 운전에 방해가 되지 않는, 예를 들어 백미러 이면측 등에 설치된다. 또한, 카메라(2)는, 청구항에 기재된 촬상 수단의 일례에 상당한다.
레이더 장치(3)는, 자차량(mv)의 소정의 위치(예를 들어, 전조등이나 방향 지시기 등이 탑재되어 있는 위치)에 설치되고, 자차량(mv)의 외측을 향해서 전자파를 조사하여, 자차량(mv) 전방의 주위를 감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레이더 장치(3)는, 자차량(mv)의 전방의 주위를 향해서 전자파를 조사하여, 당해 레이더 장치(3)의 검출 범위 내에 존재하는 타깃(타차량, 자전거, 보행자, 건조물 등 물체)을 검출한다. 그리고, 레이더 장치(3)는, 예를 들어 자차량(mv)의 전방 및 측방 주위에 존재하는 타깃을 검출하고, 당해 타깃을 검출한 신호를 운전 지원 ECU(1)에 출력한다.
차량 정보 취득 장치(4)는, 자차량(mv)의 주행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차량 정보 취득 장치(4)의 일례로서, 예를 들어 자차량(mv)이 주행할 때의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검출 장치, 자차량(mv)의 스티어링 핸들의 스티어링 로드에 설치되어 당해 스티어링 핸들에 부여된 조타 토크를 검출하는 조타 토크 검출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차량 정보 취득 장치(4)에는, 예를 들어 자차량(mv)의 와이퍼를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나 방향 지시기를 점등시키기 위한 장치, 자차량(mv)의 브레이크 장치도 포함된다. 즉, 예를 들어 자차량(mv)의 드라이버가 와이퍼를 구동시키거나, 방향 지시기를 점등시키거나, 브레이크 조작을 행하거나 한 경우, 드라이버가 각각 구동이나 조작 등을 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차량 정보 취득 장치(4)는 취득한다.
또한, 드라이버의 운전을 서포트하기 위해서 행하여지는 각종 제어를 개시 또는 정지시키기 위한 스위치의 ON/OFF를 나타내는 정보도 차량 정보 취득 장치(4)는 취득한다. 또한, 드라이버의 운전을 서포트하기 위해서 행하여지는 각종 제어를 총칭해서 안전 조치라고 칭한다.
여기에서, 운전 지원 ECU(1)가 행하는 각종 안전 조치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운전 지원 ECU(1)는 카메라(2)에 의해 검출된 주행 노면의 도로 표시(우측 구획선 및 좌측 구획선)에 기초하여, 자차량(mv)에 탑재되어 있는 각종 장치(후술하는 EPS(5) 등)의 동작을 제어하여, 예를 들어 자차량(mv)이 차선 내(우측 구획선과 좌측 구획선 사이의 영역)를 주행하도록 운전 지원을 행한다. 또한, 운전 지원 ECU(1)는, 청구항에 기재된 화상 처리 수단, 지원 수단, 산출 수단, 해제 수단, 금지 수단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한편으로, 자차량(mv)의 드라이버가 의도하지 않고, 당해 자차량(mv)이 주행해야 할 주행 차선(우측 구획선과 좌측 구획선 사이의 영역)에서 이탈한다고 판단했다고 가령 상정한 경우, 운전 지원 ECU(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후술하는 EPS(5)는 드라이버가 행하는 핸들 조작을 보조하거나, 자차량(mv)이 주행 차선에서 이탈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 등에, 예를 들어 자차량(mv)이 구획선 내의 중앙 부근을 주행하도록 자차량(mv)에 탑재되어 있는 각종 장치(후술하는 EPS(5) 등)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해서, 드라이버의 핸들 조작의 지원을 행한다.
또한, 카메라(2)가 촬상한 화상에 기초하여, 자차량(mv)이 안전하게 주행 차선 내를 주행할 수 있도록 마땅한 조치를 행하는 것이면 되고, 운전 지원 ECU(1)가 자차량(mv)이 당해 자차량(mv)이 주행해야 할 주행 차선(우측 구획선과 좌측 구획선 사이의 영역)에서 이탈한다고 판단한 경우에 행하는 제어는, 전술한 드라이버의 핸들 조작의 지원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카메라(2)가 촬상한 화상에 기초하여, 운전 지원 ECU(1)가 자차량(mv)이 안전하게 주행 차선 내를 주행할 수 있도록 마땅한 조치를 행하는 제어를, 특히 LKA(Lane keep Assist) 제어라고 칭한다.
또한, 운전 지원 ECU(1)는 카메라(2)에 의해 검출된 주행 노면의 도로 표시(우측 구획선 및 좌측 구획선)에 기초하여, 드라이버가 의도하지 않고, 자차량(mv)이 당해 자차량(mv)이 주행해야 할 주행 차선(우측 구획선과 좌측 구획선 사이의 영역)에서 이탈할 것 같다고 판단한 경우나, 이탈한다고 판단한 경우, 사전에 자차량(mv)의 드라이버에 대하여, 후술하는 표시 장치(6)나 음성 출력 장치(7)를 통해서 경고를 행한다. 또한, 카메라(2)가 촬상한 화상에 기초하여, 운전 지원 ECU(1)가 후술하는 표시 장치(6)나 음성 출력 장치(7)를 통해서 경고를 행하는 제어를, 특히 LDW(Lane Departure Warning) 제어라고 칭한다.
또한, 전술한 LKA 제어는, 일반적으로 드라이버의 운전 조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우측 구획선 또는 좌측 구획선에서 어느 정도 이탈한 곳에서, 당해 LKA 제어는 정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상기 LDW 제어는, LKA 제어가 정지되는 어느 정도 전부터, 당해 LKA 제어가 정지하는 취지를 표시 장치(6)나 음성 출력 장치(7)를 통해서 드라이버에게 경고를 행하는, LKA 제어의, 소위 지원의 한계를 미리 드라이버에게 통지한다고 하는 성질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운전 지원 ECU(1)는, 카메라(2)로부터 얻어지는 정보(구체적으로는, 카메라(2)가 촬상한 자차량(mv) 전방의 촬상 화상)를 이용하여, 자차량(mv)이 구획선 내를 이탈한다고 판단한 경우, 당해 자차량(mv)이 안전하게 주행 차선 내를 주행할 수 있도록, 자차량(mv) 및 당해 자차량(mv)의 드라이버에 대하여, 경고나 경보, 핸들 조작의 지원 등(즉, LDW 제어나 LKA 제어)을 행함으로써, 사고 등의 안전성이 위구되는 상황에서는 위험을 미연에 피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전술한 LKA 제어 및 LDW 제어 등의 총칭으로서 차선 유지 제어라고 칭하기도 한다.
또한, 전술한 차선 유지 제어(LKA 제어 및 LDW 제어) 이외에, 예를 들어 운전 지원 ECU(1)는 이하의 안전 조치를 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운전 지원 ECU(1)는, 레이더 장치(3)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자차량(mv)과 당해 자차량(mv)의 전방을 주행하고 있는 타차량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운전 지원 ECU(1)는, 자차량(mv)과 당해 자차량(mv) 전방을 주행하고 있는 속도가 느린 타차량이 접근하여, 자차량(mv)과 당해 타차량이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 자차량(mv)의 드라이버에 대하여 도 1의 표시 장치(6)나 음성 출력 장치(7)를 통해서 경고를 행하거나, 엔진 ECU(도시하지 않음)에 지시하여 자차량(mv)의 스피드를 감속시키거나 한다. 또한, 운전 지원 ECU(1)는, 레이더 장치(3)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물체(타차량이나 노측물 등)와 자차량(mv)이 충돌할 위험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거나, 당해 물체와의 충돌의 위험성이 높은 경우에는, 드라이버에 대하여 경고를 행하거나, 자차량(mv)에 구비된 브레이크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해서 드라이버가 행하는 브레이크 조작을 어시스트하거나 한다. 또한, 운전 지원 ECU(1)가 물체와 자차량(mv)의 충돌은 피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 안전 벨트를 권취하거나, 시트를 구동시키거나 함으로써, 자차량(mv)의 탑승원의 구속성을 높여, 충돌 피해를 저감시킨다.
도 1의 설명으로 되돌아와서, EPS(5)는, 운전 지원 ECU(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드라이버가 행하는 핸들 조작을 보조하거나, 자차량(mv)이 주행 차선에서 이탈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 등에, 예를 들어 자차량(mv)이 차선 내(우측 구획선과 좌측 구획선 사이의 영역의 중앙 부근)를 주행하도록 드라이버의 핸들 조작을 지원하거나 한다. 또한, 일례로서, 도 1에는 EPS(5)를 나타냈지만, EPS(5)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자차량(mv)의 엔진의 토크를 제어하는 엔진 ECU(도시하지 않음)나 자차량(mv)의 드라이버가 행하는 브레이크 조작을 어시스트하는 브레이크 장치(도시하지 않음) 등도 운전 지원 ECU(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구동하도록 해도 좋다. 즉, 운전 지원 ECU(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자차량(mv)을 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차선 유지 제어를 실시하는 장치는, EPS(5)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도 1의 표시 장치(6)는, 자차량(mv)의 운전석에 착석해서 당해 자차량(mv)을 운전하는 드라이버가 시인 가능한 위치(운전석 전방면의 계기판 등의 속 등)에 설치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발광 다이오드(LED),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매체이다. 또한, 표시 장치(6)는, 하프 미러(반사 유리)를 운전석 전방면의 앞유리의 일부에 설치하고, 당해 하프 미러에 정보 등의 허상을 형광 표시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 등, 다른 표시 장치이어도 좋다. 이에 의해, 자차량(mv)의 드라이버는, 운전석에 착석하여 정면(주행 방향)을 향한 채, 표시 장치(6)에 표시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음성 출력 장치(7)는, 각종 정보를 음성으로 자차량(mv)의 드라이버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음성 출력 장치(7)는, 운전 지원 ECU(1)로부터의 지시에 따른 경고나 정보를 드라이버에게 통지한다. 또한, 음성 출력 장치(7)는, 구체적으로는, 자차량(mv)에 구비되어 있는 스피커 등이다. 또한, 음성 출력 장치(7)는, 청구항에 기재된 경고 수단의 일례에 상당한다.
이어서, 도 2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운전 지원 장치의 운전 지원 ECU(1)에서 행하여지는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운전 지원 장치의 운전 지원 ECU(1)에서의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흐름도는, 예를 들어 운전 지원 ECU(1)가 당해 운전 지원 ECU(1) 내에 구비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행하여진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흐름도의 처리는, 운전 지원 ECU(1)의 전원이 ON(예를 들어, 운전 지원 장치가 탑재된 자차량(mv)의 이그니션 스위치가 ON)됨으로써 개시된다. 또한, 당해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는, 운전 지원 ECU(1)의 전원이 OFF(예를 들어, 운전 지원 장치가 탑재된 자차량(mv)의 이그니션 스위치가 OFF)됨으로써 종료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이그니션 스위치를 IG라고 칭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운전 지원 장치의 운전 지원 ECU(1)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안전 조치를 실시하지만, 본 흐름도에서는 상기 각종 안전 조치 중, 특히 상기 LKA 제어 및 LDW 제어, 즉 차선 유지 제어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우선, 도 2의 스텝 S11에서, 운전 지원 ECU(1)는, IG가 ON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IG가 ON이라고 판단한 경우("예"), 다음 스텝 S12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운전 지원 ECU(11)는 IG가 ON이 아닌, 즉 IG가 OFF라고 판단한 경우("아니오"), 당해 흐름도에서의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12에서, 운전 지원 ECU(1)는, 차량 정보 취득 장치(4)로부터 자차량(mv)의 차량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당해 스텝 S12에서, 운전 지원 ECU(1)가, 차량 정보 취득 장치(4)하는 차량 정보란, 예를 들어 차선 유지 제어를 행하게 하기 위한 스위치(예를 들어, LKA 메인 스위치 등)가, 드라이버에 의해 눌러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 등이다.
스텝 S13에서, 운전 지원 ECU(1)는, 차선 유지 제어를 개시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운전 지원 ECU(1)는, 스텝 S12에서 취득한 차량 정보를 참조하여, 차선 유지 제어를 개시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예를 들어 운전 지원 ECU(1)는, 스텝 S12에서 취득한 차량 정보로부터, 예를 들어 LKA 메인 스위치가 드라이버에 의해 눌러지고 있는 경우 등, 판단을 긍정하고("예"), 다음 스텝 S14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예를 들어 운전 지원 ECU(1)는, 스텝 S12에서 취득한 차량 정보로부터, 예를 들어 LKA 메인 스위치가 드라이버에 의해 눌러지지 않았던 경우 등, 판단을 부정하고("아니오"), 상기 스텝 S12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스텝 S14에서, 운전 지원 ECU(1)는, 도로 정보를 산출한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운전 지원 ECU(1)가, 스텝 S14에서 행하는 도로 정보를 산출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스텝 S14에서, 운전 지원 ECU(1)가 행하는 도로 정보를 산출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의 스텝 S21에서, 운전 지원 ECU(1)는, 카메라(2)로부터 카메라 화상을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운전 지원 ECU(1)는, 카메라(2)에 의해 촬상된 자차량(mv) 전방의 화상, 즉 자차량(mv) 전방의 주행 노면의 화상을 당해 카메라(2)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운전 지원 ECU(1)는, 다음 스텝 S22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 S22에서, 운전 지원 ECU(1)는, 구획선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운전 지원 ECU(1)는, 상기 스텝 S21에서 취득한 화상(차량 전방의 주행 노면의 화상)에 대해서, 에지점을 추출하는 처리 등을 실시함으로써, 우측 구획선 및 좌측 구획선(즉, 자차량(mv)이 주행하고 있는 주행 노면의 양측에 그어진 선)을 검출한다. 그리고, 운전 지원 ECU(1)는, 다음 스텝 S23으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그런데, 상기 스텝 S22에서, 운전 지원 ECU(1)는, 우측 구획선 및 좌측 구획선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구획선을 검출할 수 없으면, 후술하는 중앙선(자차량(mv)이 주행할 때의 목표 궤도가 되는 선)을 결정할 수 없다. 이에, 운전 지원 ECU(1)는, 상기 스텝 S22의 다음 처리인 스텝 S23에서, 우측 구획선 및 좌측 구획선 모두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운전 지원 ECU(1)는, 당해 스텝 S23에서의 처리를 긍정한 경우("예"), 스텝 S25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운전 지원 ECU(1)는, 당해 스텝 S23에서의 처리를 부정한 경우("아니오"), 스텝 S24로 처리를 진행시키고, 가상선인 구획선을 설정한다.
여기에서, 운전 지원 ECU(1)가 스텝 S24에서 행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운전 지원 ECU(1)가, 우측 구획선 및 좌측 구획선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구획선을 검출할 수 없었던 경우, 검출되지 않은 측에 가상적인 구획선(이하, 간단히 가상선이라고 칭함)을 설정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우측 구획선 및 좌측 구획선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구획선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의 구체예로서, 예를 들어 우측 구획선 및 좌측 구획선 중 어느 한쪽에 구획선이 없어, 에지를 검출할 수 없거나, 우측 구획선 및 좌측 구획선 중 어느 한쪽의 구획선이 카메라(2)가 인식할 수 없을 정도로 구획선의 색이 희미하거나 하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우측 구획선 및 좌측 구획선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구획선이 없어, 에지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란, 보다 구체적으로 (i)주행 노면의 우측 및 좌측 중 어느 한쪽에 구획선이 없는 구간, (ii)주행 노면에서의 차선 증가 구간, (iii)주행 노면의 도로 폭이 변화하는 구간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상기 (i) 내지 상기 (iii)의 구체예를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든다. 또한, 도 4 내지 도 9에서는, 차량이 우측통행인 나라(예를 들어 미국, 유럽 등)의 주행 노면을 자차량(mv)이 주행하고 있는 것으로 가령 상정해서 설명한다. 또한, 후술하는 설명을 위해서, 도 4 내지 도 9의 도면 중에는 참조 부호 및 화살표를 붙였다.
예를 들어, 상기 (i)의 예로서,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주행 노면의 우측 및 좌측 중 어느 한쪽에 구획선이 없는 분기 구간을 들 수 있다(도 4에서는 자차량(mv)의 우측에 구획선이 없는 예를 도시했음). 또한, 상기 (i)의 예로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주행 노면의 우측 및 좌측 중 어느 한쪽에 구획선이 없는 합류 구간을 들 수 있다(도 5에서는 자차량(mv)의 우측에 구획선이 없는 예를 도시했음). 또한, 상기 (i)의 예로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획선이 없는 우좌회전 도로가 존재하는 주행 노면(도 6에서는 구획선이 없는 좌회전 도로를 도시했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ii)의 예로서는,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자차량(mv)의 좌측에 추월 차선이 나타나는 구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획선이 없는 우좌회전 도로가 존재하는 주행 노면도 상기 (ii)의 예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iii)의 예로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카풀 도로의 출구 구간 S1이나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버스의 정류소에서의 승강 구간 S2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카풀 차선이란, 일부의 나라(예를 들어 미국)에서, 복수인이 승차하고 있는 차량 또는 환경 기준을 만족시키는 차량만 주행 가능한 주행 차선을 말한다. 카풀 차선은, 좌측의 1개의 황색 또는 오렌지색 등으로 착색된 경계선과 우측의 복수개의 경계선 등에 의해 다른 도로와 구별된다. 또한, 카풀 차선의 입구부에서는 우측의 선이 내측으로 경사져 있어 당해 카풀 차선에 차량을 유도하는 침입구를 형성하고, 카풀 차선의 출구부의 우측의 선은 도로가 분기하도록 외측으로 굴곡되어 있다. 또한, 도 8에서 도시한 예에서는, 자차량(mv)은, 카풀 차선의 출입구 구간 부근을 주행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스텝 S23에서의 판단이 부정되는 경우란, (iv)우측 구획선 및 좌측 구획선을 검출할 수 없는 구간도 포함된다.
상기 (iv)우측 구획선 및 좌측 구획선을 검출할 수 없는 구간의 구체예로서, 예를 들어 우측 구획선 및 좌측 구획선 모두 구획선이 없는, 도 10에 도시하는 교차점 등을 들 수 있다.
도 3의 흐름도의 설명으로 되돌아와서, 스텝 S24에서, 운전 지원 ECU(1)는, 도 4 내지 도 10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우측 구획선 및 좌측 구획선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 검출되지 않은 측에 가상선을 설정한다.
스텝 S24에서, 우선, 제1 방법으로서, 운전 지원 ECU(1)는, 우측 구획선 및 좌측 구획선 중 어느 한쪽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 당해 운전 지원 ECU(1)가 과거에 검출한, 우측 구획선 및 좌측 구획선으로부터 주행 노면의 폭에 기초하여, 구획선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주행 노면을 가령 상정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은, 자차량(mv)의 주행 노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자차량(mv)의 좌측에는, 좌측 구획선 L이 존재하는 것으로 하고, 자차량(mv)의 우측의 우측 구획선 R은 도중에 끊어져 있는 것으로 가령 상정한다. 또한, 단순히 구획선이 끊어져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카메라(2)가 인식할 수 없을 정도로 구획선의 색이 희미하거나 하는 경우 등도 포함한다. 이 경우, 운전 지원 ECU(1)는, 검출할 수 있었던 좌측 구획선 L로부터, 소정의 거리 w1 이격된 위치의 자차량(mv)의 우측에 가상선(도 11의 파선 Rf)을 설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운전 지원 ECU(1)는, 과거에 검출한 우측 구획선과 좌측 구획선(즉, 도 11에서는, 우측 구획선 R 및 좌측 구획선 L)의 거리 w2에 기초하여, 자차량(mv)의 우측의 우측 구획선 R이 도중에 끊어진 개소로부터, 검출할 수 있었던 좌측 구획선 L로부터, 거리 W2 이격된 위치에 우측 구획선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서, 가상선 Rf를 설정한다.
또한, 스텝 S24에서의 처리의 제2 방법으로서, 운전 지원 ECU(1)는, 우측 구획선 및 좌측 구획선 중 어느 한쪽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 이하의 방법을 이용해서도 가상선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일례로서, 전술한 주행 노면의 우측 및 좌측 중 어느 한쪽에 구획선이 없는 분기 구간을 도시하는 도 4를 다시 참조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차량(mv)의 우측에 분기 구간이 있고, 당해 분기 구간에 구획선이 없는 경우, 도면 중의 화살표 arS 방향으로 직진하는 자차량(mv)에 있어서는, 구획선이 없는 구간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운전 지원 ECU(1)는, 카메라(2)로부터의 화상에 기초하여 자차량(mv)이 우측 구획선 R을 얻을 수 없게 된 포인트(도면 중의 포인트 PcR)까지 왔다고 판단했을 때, 지금까지 얻어진 우측 구획선 R에 기초하여, 당해 우측 구획선 R을 연장한 선을 가상선 Rf로서 설정한다.
이와 같이, 운전 지원 ECU(1)는, 우측 구획선 및 좌측 구획선 중 어느 한쪽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도, 상기 제1 방법 및/또는 상기 제2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가상선을 설정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직진하는 자차량(mv)에 있어서, 우측 구획선 및 좌측 구획선 중 어느 한쪽이 없는 차선을 주행했다고 하더라도, 상기 제1 방법 및/또는 상기 제2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가상선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우측 구획선 및 좌측 구획선 모두 구획선이 없는 교차점 등에서는, 특히 상기 제2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가상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경우, 운전 지원 ECU(1)는, 카메라(2)로부터의 화상에 기초하여 자차량(mv)이 좌측 구획선 L 및 우측 구획선 R을 얻을 수 없게 된 포인트까지 왔다고 판단했을 때, 지금까지 얻어진 좌측 구획선 L 및 우측 구획선 R에 기초하여, 당해 좌측 구획선 L 및 우측 구획선 R을 각각 연장한 선을 가상선 Lf 및 가상선 Rf로서 설정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경우에도, 상기 제1 방법, 즉, 지금까지 검출할 수 있었던 구획선의 폭에 기초하여 가상선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방법 및 제2 방법의 설명에 있어서, 차량이 우측통행인 나라(예를 들어 미국, 유럽 등)의 주행 노면을 자차량(mv)이 주행하고 있는 것으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방법 및 제2 방법은, 차량이 좌측통행인 나라(예를 들어 일본국 내)의 주행 노면을 자차량(mv)이 주행하고 있는 경우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 3의 설명으로 되돌아와서, 운전 지원 ECU(1)는, 스텝 S25에서, 우측 구획선 R 및 좌측 구획선 L 또는 그들에 대응하는 가상선에 기초하여, 자차량(mv)이 주행할 때의 목표 궤도가 되는 중앙선 CL을 설정한다. 그리고, 운전 지원 ECU(1)는, 당해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하고, 도 2의 스텝 S15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또한, 스텝 S25에서, 운전 지원 ECU(1)가 행하는 처리의 일례로서, 도 11을 다시 참조하여 설명한다. 운전 지원 ECU(1)는, 지금까지의 처리에서 검출할 수 있었던 우측 구획선 R(또는 우측 구획선 R에 대응하는 가상선 Rf)과 좌측 구획선 L(또는 좌측 구획선 L에 대응하는 가상선 Lf)로부터 차선 폭 W1을 구하고, 당해 차선 폭 W1의 거의 중심을 지나고, 주행 노면을 따르는 방향의 선을 자차량(mv)이 주행할 때의 목표 궤도가 되는 중앙선 CL을 설정한다. 그리고, 운전 지원 ECU(1)는, 도 3에 나타낸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도 4 내지 도 10에 각각 도시한 주행 노면과 같이 직선 도로가 아닌 커브에서도, 운전 지원 ECU(1)는, 예를 들어 자차량(mv)에 구비되어 있는 요레이트 센서 등으로부터 목표 궤도가 되는 중앙선 CL을 설정하면 된다.
도 2의 설명으로 되돌아와서, 스텝 S15에서, 운전 지원 ECU(1)는, 차량 정보 취득 장치(4)로부터 차량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운전 지원 ECU(1)는, 다음 스텝 S16으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 S16에서, 운전 지원 ECU(1)는, LDW 제어가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당해 스텝 S16에서의 판단을 긍정("예")한 경우, 다음 스텝 S17로 처리를 진행시키고, 판단을 부정("아니오")한 경우, 스텝 S15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여기에서, 스텝 S16에서의 처리에서 판단이 긍정되는 경우란, 구체적으로는, 운전 지원 ECU(1)가, 상기 스텝 S15에서 취득한 차량 정보나 상기 스텝 S14에서 산출한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시간 후에 자차량(mv)의 전륜이 우측 구획선 R(우측 구획선 R에 대응하는 가상선 Rf) 또는 좌측 구획선 L(좌측 구획선 L에 대응하는 가상선 Lf)에 도달한다고 판단한 경우 등이다.
또한, 운전 지원 ECU(1)는, 상기 스텝 S16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후에 자차량(mv)의 전륜이 우측 구획선 R(우측 구획선 R에 대응하는 가상선 Rf) 또는 좌측 구획선 L(좌측 구획선 L에 대응하는 가상선 Lf)에 도달한다고 판단한 경우이더라도, 예를 들어 도 12에 나타내는 LDW 작동 조건을 만족하지 않거나, 후술하는 LDW 일시 중단 조건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당해 스텝 S16의 판단을 부정("아니오")한다.
구체적으로는, 운전 지원 ECU(1)에 의해 LDW 제어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이더라도, 예를 들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KA 스위치가 ON이 되어 있지 않거나(도 12의 D1a), 자차량(mv)이, 소정의 속도 v1 내로 주행하고 있지 않거나(도 12의 D1b), 우측 구획선 R(또는 우측 구획선 R에 대응하는 가상선 Rf) 및 좌측 구획선 L(또는 좌측 구획선 L에 대응하는 가상선 Lf)이 인식되지 않았거나 한 경우(도 12의 D1c)에는, LDW 제어는 행하여지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소정의 속도 v1이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약 50km/h 내지 약 60km/h로 설정된다.
또한, 자차량(mv)의 드라이버가 차선 변경을 목적으로 한 의도된 핸들 조작을 행하거나, 예를 들어 차선 변경을 하기 위해서 턴 시그널을 켜거나, 예를 들어 자차량(mv)을 정지시키기 위해서 브레이크 조작을 행하거나, 와이퍼가 작동하고 있거나, 시스템에 이상이 있었던 경우에는, LDW 작동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즉, 운전 지원 ECU(1)가, 미리 정해진 시간 후에 자차량(mv)의 전륜이 우측 구획선 R(우측 구획선 R에 대응하는 가상선 Rf) 또는 좌측 구획선 L(좌측 구획선 L에 대응하는 가상선 Lf)에 도달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도, 도 12의 LDW 작동 조건의 D1a 내지 D1h를 만족하지 않으면, LDW 제어는 행하여지지 않는다.
스텝 S16에서의 판단이 긍정("예")된, 즉, 운전 지원 ECU(1)가 미리 정해진 시간 후에 자차량(mv)의 전륜이 우측 구획선 R(우측 구획선 R에 대응하는 가상선 Rf) 또는 좌측 구획선 L(좌측 구획선 L에 대응하는 가상선 Lf)에 도달한다고 판단된 경우 등의 다음의 스텝 S17에서, 운전 지원 ECU(1)는, 미리 정해진 시간 후에 자차량(mv)의 전륜이 도달하는 구획선은 가상선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운전 지원 ECU(1)는, 당해 스텝 S17의 판단을 부정한 경우("아니오"), 스텝 S18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운전 지원 ECU(1)는, 당해 스텝 S17의 판단을 긍정한 경우("예"), 즉, 미리 정해진 시간 후에 자차량(mv)의 전륜이 도달하는 구획선은 가상선인 경우, 스텝 S19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 S18에서, 운전 지원 ECU(1)는, 자차량(mv)이 당해 자차량(mv)이 주행해야 할 주행 차선에서 이탈할 것 같다는 취지의 경고를 자차량(mv)의 드라이버에 대하여, 표시 장치(6)나 음성 출력 장치(7)를 통해서 행하는 LDW 제어를 한다. 그리고, 운전 지원 ECU(1)는, 스텝 S20으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상기 스텝 S17에서의 처리가 긍정("예") 된 다음 스텝 S19에서, 운전 지원 ECU(1)는, 가상선에 대하여 경고할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운전 지원 ECU(1)는, 당해 스텝 S19에서, 가상선에 대하여 경고할 지의 여부의 판단은, 가상선에서의 LKA 작동 상황에 따라서 판단한다.
여기에서, 일반적인 LKA 작동 상황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13은, LKA 작동 조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운전 지원 ECU(1)는, 예를 들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KA 작동 조건 D2a 내지 D2i를 모두 만족한 경우에, 운전 지원 ECU(1)는, LKA 제어를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LKA 제어는, 우선, 전제로서 LKA 스위치가 ON되어 있지 않으면 안된다(도 13의 D2a). 그리고, 자차량(mv)이, 소정의 속도 v2 내로 주행하고 있고, 우측 구획선 R(또는 우측 구획선 R에 대응하는 가상선 Rf) 및 좌측 구획선 L(또는 좌측 구획선 L에 대응하는 가상선 Lf)이 인식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다(도 13의 D2b 및 D2c).
또한, 일반적으로 LKA 제어는, 자차량(mv)이, 예를 들어 자동차 전용 도로 등의 주행 시에 이용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기 때문에, 전술한 소정의 속도 v2란, 대략 70km/h 이상(구체적으로는, 약 65km/h 내지 약 100km/h)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LKA 제어는, 자차량(mv)이, 예를 들어 자동차 전용 도로 등의 주행 시에, 당해 차선의 중앙 부근(목표 궤도인 중앙선 CL 부근)을 주행하기 위해서, EPS(5) 등을 제어하여, 작은 조타력을 부가하고, 자차량(mv)의 드라이버의 핸들 조작의 지원을 행함으로써 드라이버의 부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다. 그로 인해, 자차량(mv)의 드라이버가 차선 변경을 목적으로 한 의도된 핸들 조작을 행하거나, 예를 들어 차선 변경을 하기 위해서 턴 시그널을 켜거나, 예를 들어 정지하기 위해서 브레이크 조작을 행하거나 한 경우에는, LKA 제어는 작동하지 않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KA 제어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작동 조건 D2d 내지 D2f의 조건을 만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와이퍼가 작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LKA 제어는 작동하지 않게 된다. 예를 들어, 드라이버가 와이퍼를 작동시키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은, 일반적으로는 우천 시라고 생각된다. 그로 인해, 운전 지원 ECU(1)는, 우천 시에 카메라(2)에 의해 자차량(mv)이 주행하고 있는 주행 노면을 촬상하여, 예를 들어 구획선 등을 인식하는 경우, 인식 정밀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한편으로, LKA 제어는, 예를 들어 EPS(5) 등을 제어하여, 자차량(mv)의 드라이버의 핸들 조작의 지원을 행하도록, 자차량(mv)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그로 인해, 높은 정밀도로, 예를 들어 구획선 등을 인식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우천 시 등 인식 정밀도가 저하되는 경우라고 미리 알고 있는 경우에는, LKA 제어는 작동하지 않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LKA 제어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동 조건 D2g의 조건을 더 만족할 필요가 있다.
또한, LKA 제어 시스템이 이상하여, 레이더 크루즈 컨트롤이 상기 작동 속도 v3 내로 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LKA 제어는 작동하지 않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LKA 제어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동 조건 D2h 내지 D2i의 조건을 만족할 필요가 있다.
또한, 레이더 크루즈 컨트롤이란, 예를 들어 자차량(mv)에 탑재된 레이더 장치(3)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자차량(mv)의 전방을 주행하는 선행 차량을 인식하고, 미리 정해진 설정 속도 내에서, 차속에 따른 차간 거리를 유지하도록, 자차량(mv)에 구비된 브레이크 장치 등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레이더 크루즈 컨트롤에서도, 속도를 미리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당해 레이더 크루즈 컨트롤에서 미리 설정하는 속도가 상기 소정의 속도 v2로 설정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자차량(mv)의 대략 절반 이상이 구획선을 걸친 경우나, 드라이버가 손을 떼고 운전하고 있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도, LKA 제어는 작동하지 않게 된다. 즉, 가령 LKA 제어 중이어도 당해 LKA 제어는 일시 중단된다(LKA 일시 중단 조건).
이와 같이, 운전 지원 ECU(1)는, 도 13에 나타낸 LKA 작동 조건을 모두 만족하고 있고, 또한 전술한 LKA 일시 중단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운전 지원 ECU(1)는, LKA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도 2의 스텝 S19의 처리의 설명으로 되돌아와서, 운전 지원 ECU(1)는, 스텝 S19에서, 전술한 LKA 작동 상황에 따라서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운전 지원 ECU(1)는, 전술한 LKA 작동 조건을 모두 만족하고 있으며, 또한 전술한 LKA 일시 중단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스텝 S19의 판단을 긍정("예"), 즉, 가상선에 대해서도 경고한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운전 지원 ECU(1)는, 스텝 S18에서, 운전 지원 ECU(1)는, 자차량(mv)이 당해 자차량이 주행해야 하는 주행 차선에서 이탈할 것 같다는 취지의 경고를 자차량(mv)의 드라이버에 대하여, 표시 장치(6) 및 음성 출력 장치(7)를 통해서 행하는 LDW 제어를 한다.
한편, 운전 지원 ECU(1)는, 전술한 LKA 작동 조건을 모두 만족하지 않거나, 전술한 LKA 일시 중단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당해 스텝 S19의 판단을 부정("아니오"), 즉, 가상선에 대하여는 경고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이와 같이, LDW 제어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도, 미리 정해진 시간 후에 자차량(mv)의 전륜이 도달하는 구획선은, 실선인지 가상선인지의 여부에 의해, LDW 제어가 달라진다. 즉, 미리 정해진 시간 후에 자차량(mv)의 전륜이 도달하는 구획선이 실선인 경우에는, 상기 스텝 S19의 판단에 관계없이, 도 12에 나타낸 LDW 작동 조건을 만족하고 있으면, LDW 제어가 행하여지게 된다.
또한, 도 12에 나타낸 LDW 작동 조건은 일례이며,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LDW 제어는, 자차량(mv)이 당해 자차량(mv)이 주행해야 할 주행 차선에서 이탈할 것 같다는 취지의 경고를 자차량(mv)의 드라이버에 대하여, 표시 장치(6)나 음성 출력 장치(7)를 통해서 행하는 것으로, 사고 등의 안전성이 위구되는 상황에서는 위험을 미연에 피하기 위해서는, 중요한 제어가 된다.
예를 들어, 와이퍼가 작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 12에 나타낸 LDW 작동 조건을 만족시킬 수는 없지만, 실선인 경우에는, 와이퍼가 작동하고 있는 경우에도 도 12에 나타낸 LDW 작동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해도 좋다. 즉, LDW 작동 조건의 D1g를 고려하지 않고, LDW 제어를 행해도 좋다. 일반적으로, 드라이버가 와이퍼를 작동시키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은, 우천 시라고 생각된다. 그로 인해, 운전 지원 ECU(1)는, 우천 시에 카메라(2)에 의해 자차량(mv)이 주행하고 있는 주행 노면을 촬상하고, 예를 들어 구획선 등을 인식하는 경우, 인식 정밀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그로 인해, LKA 제어는, 예를 들어 EPS(5) 등을 제어하여, 자차량(mv)의 드라이버의 핸들 조작의 지원을 행하도록, 자차량(mv)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그로 인해, 높은 정밀도로, 예를 들어 구획선 등을 인식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우천 시 등 인식 정밀도가 저하되는 경우라고 미리 알고 있는 경우에는, LKA 제어는 작동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한편으로, LDW 제어는, 자차량(mv)이 당해 자차량(mv)이 주행해야 하는 주행 차선에서 이탈할 것 같다는 취지의 경고를 자차량(mv)의 드라이버에 대하여, 표시 장치(6)나 음성 출력 장치(7)를 통해서 행하는 것으로, 사고 등의 안전성이 위구되는 상황에서는 위험을 미연에 피하기 위해서는, 중요한 제어이다. 그로 인해, 우천 시에 카메라(2)에 의해 인식된 구획선의 인식 정밀도가 LKA 제어로 구해지는 정밀도만큼 높지 않더라도, LDW 제어를 작동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드라이버가 의도한 핸들 조작을 한 경우, 도 12에 나타낸 LDW 작동 조건을 만족시킬 수는 없지만, 실선의 경우, 드라이버가 의도된 핸들 조작을 한 경우이더라도 도 12에 나타낸 LDW 작동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해도 좋다. 즉, LDW 작동 조건의 D1d를 고려하지 않고, LDW 제어를 행해도 좋다. 예를 들어, 자차량(mv)의 드라이버가, 당해 자차량(mv)의 전방에 있는 장해물을 피하려고 핸들 조작을 행한 경우, 자차량(mv)이 주행할 때의 목표 궤도가 되는 선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 때, 자차량(mv) 전방의 장해물을 피하려고 핸들 조작을 행한 경우, LKA 제어가 행하여지면, 드라이버는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그로 인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라이버가 의도적인 핸들 조작을 행한 경우, LKA 제어는 행하여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예를 들어 자차량(mv)의 드라이버가, 당해 자차량(mv)의 전방에 있는 장해물을 피하려고 핸들 조작을 행하여, 예를 들어 구획선을 벗어나서 대향 차선에 접근한 경우, 사고 등의 안전성이 위구되는 상황에서는 위험을 미연에 피하기 위한 LDW 제어는 작동시키도록 해도 좋다.
도 2의 스텝 S20에서, 운전 지원 ECU(1)는, 당해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운전 지원 ECU(1)는, 예를 들어 운전 지원 시스템이 탑재된 차량의 이그니션 스위치가 OFF된 경우에 당해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운전 지원 ECU(1)는, 처리를 계속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스텝 S12로 복귀해서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흐름도의 처리에서는, 상기 스텝 S13에서, 차선 유지 제어를 개시할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예를 들어 LKA 메인 스위치가 드라이버에 의해 눌러지고 있는 경우, 판단을 긍정하고("예"), 다음 스텝 S14에서 우측 구획선 및 좌측 구획선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구획선을 검출할 수 없을 때, 가상선을 설정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가상선에 대하여 경고할지의 여부의 판단은, LKA 작동 상황에 따라서 판단하는 것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우측 구획선 및 좌측 구획선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구획선을 검출할 수 없을 때에 LKA 작동 조건을 만족하지 않거나, 일시 중단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가상선을 설정하지 않거나, 가상선을 설정하는 거리를 LKA 작동 중일 때와 비교해서 짧게 해도 좋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흐름도의 스텝 S17에서, 운전 지원 ECU(1)는, 미리 정해진 시간 후에 자차량(mv)의 전륜이 도달하는 구획선은 가상선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였다. 이 때, 예를 들어 운전 지원 ECU(1)는, 가상선의 길이(거리)를 고려해서 상기 스텝 S17을 행하여도 좋다. 즉, 운전 지원 ECU(1)는, 미리 정해진 시간 후에 자차량(mv)의 전륜이 도달하는 구획선은 가상선인 경우, 또한 당해 가상선의 길이(거리)는, 미리 정해진 거리를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더 판단해도 좋다. 그리고, 운전 지원 ECU(1)는, 미리 정해진 시간 후에 자차량(mv)의 전륜이 도달하는 구획선은 가상선이며, 또한 당해 가상선의 길이(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를 초과한 경우, 당해 스텝 S17의 판단을 긍정("예")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운전 지원 ECU(1)는, 자차량(mv)의 주행 환경에 따라서 드라이버에 대하여 행하는 경고를 변화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도 4 내지 도 10에서 예시한, 보다 구체적인 장면을 상정하여, LDW 제어의 가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어, (i)주행 노면의 우측 및 좌측 중 어느 한쪽에 구획선이 없는 구간인, 도 4에 도시한 분기 구간의 예에 대해서, 우선 설명한다.
도 4에서, LKA 제어 중의 자차량(mv)이 위치 A에서, 운전 지원 ECU(1)에 의해, 예를 들어 LDW 제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고 가령 상정한다(도 2의 스텝 S16에서 "예"). 이 경우, 자차량(mv)의 위치 A에서의 우측 구획선 R 및 좌측 구획선 L은 실선이기 때문에, 도 2의 스텝 S17의 판단은 부정("아니오")되고, 주행 차선에서 이탈할 것 같다는 취지의 경고를 자차량(mv)의 드라이버에 대하여, 표시 장치(6)나 음성 출력 장치(7)를 통해서 행하는 LDW 제어가 이루어진다.
또한, 도 12 및 도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와이퍼가 작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LKA 제어는 작동하지 않게 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주행 차선에서 이탈할 것 같다는 취지의 경고를 자차량(mv)의 드라이버에 대하여, 표시 장치(6)나 음성 출력 장치(7)를 통해서 행하는 LDW 제어를 해도 좋다. 또한, 자차량(mv)의 드라이버가 차선 변경을 목적으로 한 의도된 핸들 조작을 행한 경우에도 LKA 제어는 작동하지 않게 되지만, 주행 차선에서 이탈할 것 같다는 취지의 경고를 자차량(mv)의 드라이버에 대하여, 표시 장치(6)나 음성 출력 장치(7)를 통해서 행하는 LDW 제어를 해도 좋다. 또한, LKA 작동 조건 중 1개인 소정의 속도 v2 내로 자차량(mv)이 주행하지 않더라도, LDW 작동 조건인 소정의 속도 v1 내로 자차량(mv)이 주행하고 있으면, LKA 제어는 작동하지 않게 되지만, 주행 차선에서 이탈할 것 같다는 취지의 경고를 자차량(mv)의 드라이버에 대하여, 표시 장치(6)나 음성 출력 장치(7)를 통해서 행하는 LDW 제어는 이루어진다.
도 4에서, 그 후, 도면 중의 화살표 arS 방향으로 직진하여, 자차량(mv)이 위치 B까지 주행하고, 이 위치 B에서 도면 중의 화살표 arR 방향, 즉 가상선 Rf의 방향으로 진행하려고 하여, 운전 지원 ECU(1)에 의해, LDW 제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고 가령 상정한다(도 2의 스텝 S16에서 "예"). 이 경우, 자차량(mv)의 위치 B에서, 우측 구획선은 가상선 Rf이기 때문에, 도 2의 스텝 S17의 판단은 긍정("예")된다. 그리고, 도 2의 스텝 S19에서, 운전 지원 ECU(1)에 의해, 가상선 Rf에 대하여 경고가 필요한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구체적으로는, 운전 지원 ECU(1)는, 전술한 LKA 작동 조건을 모두 만족하고 있으며, 또한 전술한 LKA 일시 중단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주행 차선에서 이탈할 것 같다는 취지의 경고를 자차량(mv)의 드라이버에 대하여, 표시 장치(6)나 음성 출력 장치(7)를 통해서 행하는 LDW 제어는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의 위치 B에서, 예를 들어 자차량(mv)의 드라이버가, 도 13에 나타낸 LKA 작동 조건 중 1개를 만족하지 않은 경우(예를 들어, 차선 변경을 의도한 핸들 조작이 행하여진 경우), 미리 정해진 시간 후에 자차량(mv)의 전륜이 가상선 Rf에 도달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도 LDW 제어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이에 대하여, 도 2의 스텝 S1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선 변경을 의도한 핸들 조작이 행하여진 경우, 미리 정해진 시간 후에 도달하는 선이 실선이었던 경우에는, LDW 제어는 이루어지는 경우는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분기 구간에서, 자차량(mv)의 드라이버가, 도 4 중의 화살표 arR 방향으로 진행하기 위해서 핸들을 꺾은 경우이더라도 LDW 제어가 행하여지는 일은 없다. 바꾸어 말하면, 미리 정해진 시간 후에 자차량(mv)의 전륜이 도달하는 구획선은, 실선인지 가상선인지의 여부에 의해, LDW 제어를 행할지의 여부의 판단에 차이가 없는 경우,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분기 구간에서, 자차량(mv)의 드라이버가, 도 4 중의 화살표 arR 방향으로 진행하기 위해서 핸들을 꺾은 경우, 가상선 Rf를 실선이라고 판단하고, 실제로 구획선이 없는 장소에서도 불필요한 LDW 제어를 행하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한 분기 구간에서, 자차량(mv)의 드라이버가, 도 4 중의 화살표 arR 방향으로 진행하기 위해서 핸들을 꺾어서 분기 방향으로 진행하는 경우, 당연히 자차량(mv)의 전륜은 구획선에 도달하게 되지만, 이 경우의 경고는 불필요하다. 따라서, 이 경우, 실선이 없는 개소에서, LDW 제어는 되지 않고, 드라이버는 실선이 없는 구간에서 LDW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에 의한 위화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ii)주행 노면에서의 차선 증가 구간인, 도 7에 도시한 자차량(mv)의 좌측에 추월 차선이 나타나는 구간 등이나 (iv)우측 구획선 및 좌측 구획선을 검출할 수 없는 구간인, 도 10에 도시한 교차점 등도 마찬가지이다.
이어서, 보다 구체적인 장면으로서, (iii)주행 노면의 도로 폭이 변화하는 구간인,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카풀 차선의 출구 구간 S1을 예로, LDW 제어의 가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에서, LKA 제어 중의 자차량(mv)이 위치 C에서, 운전 지원 ECU(1)에 의해, 예를 들어 LDW 제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고 가령 상정한다(도 2의 스텝 S16에서 "예"). 이 경우, 자차량(mv)의 위치 C에서의 우측 구획선 R 및 좌측 구획선 L은 실선이기 때문에, 도 2의 스텝 S17의 판단은 부정("아니오")되고, 주행 차선에서 이탈할 것 같다는 취지의 경고를 자차량(mv)의 드라이버에 대하여, 표시 장치(6)나 음성 출력 장치(7)를 통해서 행하는 LDW 제어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8에서, 그 후, 도면 중의 화살표 arS 방향으로 직진하여, 자차량(mv)이 위치 D까지 주행하고, 이 위치 D에서 도면 중의 화살표 arR 방향, 즉 가상선 Rf의 방향으로 진행하려고 해서, 운전 지원 ECU(1)에 의해, LDW 제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고 가령 상정한다(도 2의 스텝 S16에서 "예"). 이 경우, 자차량(mv)의 위치 D에서, 우측 구획선은 가상선 Rf이기 때문에, 도 2의 스텝 S17의 판단은 긍정("예")된다. 그리고, 도 2의 스텝 S19에서, 운전 지원 ECU(1)에 의해, 가상선 Rf에 대하여 경고가 필요한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구체적으로는, 운전 지원 ECU(1)는, 전술한 LKA 작동 조건을 모두 만족하고 있고, 또한 전술한 LKA 일시 중단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주행 차선에서 이탈할 것 같다는 취지의 경고를 자차량(mv)의 드라이버에 대하여, 표시 장치(6)나 음성 출력 장치(7)를 통해서 행하는 LDW 제어는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8의 위치 D에서, 예를 들어 자차량(mv)의 드라이버가, 도 13에 나타낸 LKA 작동 조건 중 1개를 만족하지 않은 경우(예를 들어, 차선 변경을 의도한 핸들 조작이 행하여진 경우), 미리 정해진 시간 후에 자차량(mv)의 전륜이 가상선 Rf에 도달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도 LDW 제어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차선 변경을 의도한 핸들 조작이 행하여진 경우, 미리 정해진 시간 후에 도달하는 선이 실선인 경우에는, LDW 제어는 이루어지는 경우는 있다. 즉,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카풀 차선의 출구 구간에서, 예를 들어 차선 변경을 의도한 핸들 조작이 행하여진 것으로 한다. 이 경우는, 도 8의 가상선 Rf에 대하여는 LDW 제어는 행하여지지 않는다. 그러나, 도 12 및 도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와이퍼가 작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LKA 제어는 작동하지 않게 되지만, 주행 차선에서 이탈할 것 같다는 취지의 경고를 자차량(mv)의 드라이버에 대하여, 표시 장치(6)나 음성 출력 장치(7)를 통해서 행하는 LDW 제어를 해도 좋다.
또한, 자차량(mv)의 드라이버가 차선 변경을 목적으로 한 의도된 핸들 조작을 행한 경우에도 LKA 제어는 작동하지 않게 되지만, 주행 차선에서 이탈할 것 같다는 취지의 경고를 자차량(mv)의 드라이버에 대하여, 표시 장치(6) 및 음성 출력 장치(7)를 통해서 행하는 LDW 제어를 해도 좋다. 또한, LKA 작동 조건 중 1개인 소정의 속도 v2 내로 자차량(mv)이 주행하지 않더라도, LDW 작동 조건인 소정의 속도v1 내로 자차량(mv)이 주행하고 있으면, LKA 제어는 작동하지 않게 되지만, 주행 차선에서 이탈할 것 같다는 취지의 경고를 자차량(mv)의 드라이버에 대하여, 표시 장치(6) 및 음성 출력 장치(7)를 통해서 행하는 LDW 제어는 이루어진다. 즉, 자차량(mv)이 카풀 차선에서 나온 후의 당해 자차량(mv)의 우측에 있는 구획선, 즉, 실선 R2에 대하여는 LDW 제어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버스의 정류소에서의 승강 구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형태는, 단순히 구체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전혀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원의 효과를 발휘하는 범위에서, 임의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 지원 장치 및 운전 지원 방법은,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라서 드라이버에 대하여 행하는 경고를 변화킬 수 있는, 차량에 탑재되는 운전 지원 장치 및 운전 지원 방법 등에 유용하다.
1 : 운전 지원 ECU
2 : 카메라
3 : 레이더 장치
4 : 차량 정보 취득 장치
5 : EPS
6 : 표시 장치
7 : 음성 출력 장치

Claims (8)

  1. 차량이 차선 내를 주행하도록 운전 지원하는 운전 지원 장치이며,
    상기 차량 전방의 주행 노면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이 촬상한 화상으로부터, 상기 주행 노면의 구획선을 검출하는 동시에 구획선이 검출되지 않는 구간에 가상적인 구획선을 설정하는 화상 처리 수단과,
    상기 구획선 또는 상기 가상적인 구획선에서 상기 차량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차량을 제어해서 상기 운전 지원을 행하는 지원 수단과,
    상기 구획선 또는 상기 가상적인 구획선에서 상기 차량이 이탈할 것 같은 경우에 경고를 행하는 경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지원 수단이 운전 지원의 요구에 응하여 지원 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대기되는 "작동 상태"일 때, 상기 구획선이 상기 가상적인 구획선인지에 관계없이 상기 차량이 선을 이탈할 것 같은 경우에는, 상기 경고 수단을 작동시키고,
    상기 지원 수단이 운전 지원이 요구되어도 지원 동작을 실행하지 못하도록 정지되는 "작동하지 않는 상태"일 때,
    상기 차량이 상기 구획선에서 이탈할 것 같은 경우에는, 상기 경고 수단을 작동시키고,
    상기 차량이 상기 가상적인 구획선에서 이탈할 것 같은 경우에는, 상기 경고 수단의 작동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지원 장치.
  2. 차량이 차선 내를 주행도록 운전 지원하는 운전 지원 장치이며,
    상기 차량 전방의 주행 노면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이 촬상한 화상으로부터, 상기 주행 노면의 구획선을 검출하는 동시에 구획선이 검출되지 않는 구간에 가상적인 구획선을 설정하는 화상 처리 수단과,
    상기 구획선 또는 상기 가상적인 구획선에서 상기 차량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차량을 제어해서 상기 운전 지원을 행하는 지원 수단과,
    상기 구획선 또는 상기 가상적인 구획선에서 상기 차량이 이탈할 것 같은 경우에 경고를 행하는 경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구획선에서 이탈할 것 같은 경우에는, 상기 지원 수단이 운전 지원의 요구에 응하여 지원 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대기되는 "작동 상태"인지에 관계없이, 상기 경고 수단을 작동시키고,
    상기 차량이 상기 가상적인 구획선에서 이탈할 것 같은 경우, 상기 지원 수단이 운전 지원의 요구에 응하여 지원 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대기되는 "작동 상태"인지에 따라 상기 경고 수단의 작동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지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상기 가상적인 구획선에서 이탈할 것 같은 경우, 상기 지원 수단이 "작동 상태"일 때에는 상기 경고 수단을 작동시키고, 상기 지원 수단이 운전 지원이 요구되어도 지원 동작을 실행하지 못하도록 정지되는 "작동하지 않는 상태"일 때에는 상기 경고 수단을 작동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지원 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 수단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의 조건은, 상기 차량의 와이퍼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 상기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조타 토크가 미리 정해진 값보다 큰 상태,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 상태, 상기 차량의 턴 시그널이 작동하고 있는 상태 및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가 조작되고 있는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에 상기 차량이 해당하고 있는 것인, 운전 지원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 수단은, 상기 구획선을 검출할 수 없을 때, 가장 최근에 검출된 측과 동일한 측의 구획선을 연장한 선을 상기 가상적인 구획선으로 설정하는, 운전 지원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 수단은, 좌우중 어느 한쪽의 구획선을 검출할 수 없을 때, 검출된 다른쪽의 구획선의 위치로부터, 이전에 검출된 우측 구획선과 좌측 구획선의 간격만큼 떨어진 위치에 상기 가상적인 구획선을 설정하는, 운전 지원 장치.
  7. 차량이 차선 내를 주행하도록 운전 지원하는 운전 지원 방법이며,
    상기 차량 전방의 주행 노면을 촬상하는 촬상 스텝과,
    상기 촬상한 화상으로부터, 상기 주행 노면의 구획선을 검출하는 동시에 구획선이 검출되지 않는 구간에 가상적인 구획선을 설정하는 화상 처리 스텝과,
    상기 구획선 또는 상기 가상적인 구획선에서 상기 차량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차량을 제어해서 상기 운전 지원을 행하는 운전 지원 스텝과,
    상기 구획선 또는 상기 가상적인 구획선에서 상기 차량이 이탈할 것 같은 경우에 경고를 행하는 경고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운전 지원 스텝이 운전 지원의 요구에 응하여 지원 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대기되는 "작동 상태"일 때, 상기 구획선이 상기 가상적인 구획선인지에 관계없이 상기 차량이 선을 이탈할 것 같은 경우에는, 상기 경고 스텝에 의해 경고를 행하고,
    상기 운전 지원 스텝이 운전 지원이 요구되어도 지원 동작을 실행하지 못하도록 정지되는 "작동하지 않는 상태"일 때,
    상기 차량이 상기 구획선에서 이탈할 것 같은 경우에는, 상기 경고 스텝에 의해 경고를 행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가상적인 구획선에서 이탈할 것 같은 경우에는, 상기 경고 스텝에 의한 경고를 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지원 방법.
  8. 차량이 차선 내를 주행도록 운전 지원하는 운전 지원 방법이며,
    상기 차량 전방의 주행 노면을 촬상하는 촬상 스텝과,
    상기 촬상한 화상으로부터, 상기 주행 노면의 구획선을 검출하는 동시에 구획선이 검출되지 않는 구간에 가상적인 구획선을 설정하는 화상 처리 스텝과,
    상기 구획선 또는 상기 가상적인 구획선에서 상기 차량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차량을 제어해서 상기 운전 지원을 행하는 운전 지원 스텝과,
    상기 구획선 또는 상기 가상적인 구획선에서 상기 차량이 이탈할 것 같은 경우에 경고를 행하는 경고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구획선에서 이탈할 것 같은 경우에는, 상기 운전 지원 스텝이 운전 지원의 요구에 응하여 지원 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대기되는 "작동 상태"인지에 관계없이, 상기 경고 스텝에 의해 경고를 행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가상적인 구획선에서 이탈할 것 같은 경우, 상기 운전 지원 스텝이 운전 지원의 요구에 응하여 지원 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대기되는 "작동 상태"인지에 따라 상기 경고 스텝에 의한 경고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지원 방법.
KR1020147010812A 2009-11-27 2009-11-27 운전 지원 장치 및 운전 지원 방법 KR1014244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06446 WO2011064825A1 (ja) 2009-11-27 2009-11-27 運転支援装置および運転支援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3603A Division KR101406457B1 (ko) 2009-11-27 2009-11-27 운전 지원 장치 및 운전 지원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866A true KR20140059866A (ko) 2014-05-16
KR101424421B1 KR101424421B1 (ko) 2014-08-01

Family

ID=440659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0812A KR101424421B1 (ko) 2009-11-27 2009-11-27 운전 지원 장치 및 운전 지원 방법
KR1020127013603A KR101406457B1 (ko) 2009-11-27 2009-11-27 운전 지원 장치 및 운전 지원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3603A KR101406457B1 (ko) 2009-11-27 2009-11-27 운전 지원 장치 및 운전 지원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06232B2 (ko)
JP (1) JPWO2011064825A1 (ko)
KR (2) KR101424421B1 (ko)
CN (1) CN102667888B (ko)
DE (1) DE112009005401B4 (ko)
WO (1) WO201106482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4173A (ko) * 2014-12-12 2017-08-17 소니 주식회사 차량 제어 디바이스 및 차량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US20180354527A1 (en) * 2017-06-09 2018-12-13 Subaru Corporation Vehicle control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50297B2 (ja) * 2010-03-17 2013-11-27 クラリオン株式会社 車両姿勢角算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車線逸脱警報システム
KR20120127830A (ko) 2011-05-16 2012-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용 단말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WO2012169029A1 (ja) 2011-06-08 2012-12-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線逸脱防止支援装置、区分線表示方法、プログラム
US9399464B2 (en) 2012-07-06 2016-07-2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cruise control device
JP5492962B2 (ja) * 2012-09-28 2014-05-14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視線誘導システム
JP6045888B2 (ja) * 2012-11-27 2016-12-14 クラリオン株式会社 車載画像処理装置
US20150367859A1 (en) * 2012-12-21 2015-12-24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Input device for a motor vehicle
JP5739460B2 (ja) * 2013-02-14 2015-06-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走行支援装置
JP6068185B2 (ja) * 2013-02-20 2017-01-25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の運転支援装置
JP6154213B2 (ja) * 2013-06-28 2017-06-28 株式会社Soken 路面情報取得装置
DE102013217860A1 (de) * 2013-09-06 2015-03-1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stimmen eines Fahrbahnverlaufs einer Fahrbahn eines Fahrzeugs
KR101502511B1 (ko) * 2013-11-28 2015-03-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가상 차선 생성 장치와 방법 및 상기 장치를 구비하는 차선 유지 제어 시스템
KR101509995B1 (ko) * 2013-12-03 201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Jc 진출입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EP3812962A1 (en) 2013-12-04 2021-04-28 Mobileye Vision Technologies Ltd. Navigating a vehicle to pass another vehicle
JP6364797B2 (ja) * 2014-02-06 2018-08-01 株式会社デンソー 画像解析装置、および画像解析方法
KR20150104346A (ko) * 2014-03-05 2015-09-1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디바이스 간 배치 정보 계산 시스템 및 배치 정보 계산 방법
US9120486B1 (en) 2014-04-22 2015-09-01 Fca Us Llc Vehicle lane keeping techniques
US9409570B2 (en) * 2014-05-09 2016-08-0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most probable path of vehicle travel and vehicle control loss preview
JP2015221636A (ja) * 2014-05-23 2015-12-10 日野自動車株式会社 車線維持支援装置
US10279742B2 (en) * 2014-05-29 2019-05-07 Nikon Corporation Image capture device and vehicle
US9830517B2 (en) 2014-06-19 2017-11-2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Road branch detection and path selection for lane centering
CN105620477B (zh) * 2014-10-28 2018-06-29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的车道偏离预警控制方法
JP6456682B2 (ja) * 2014-12-25 2019-01-23 株式会社Soken 走行区画線認識装置
JP6193912B2 (ja) * 2015-04-24 2017-09-06 株式会社パイ・アール ドライブレコーダ
JP6413955B2 (ja) * 2015-06-30 2018-10-31 株式会社デンソー 逸脱回避装置
JP6222785B2 (ja) * 2015-08-10 2017-11-01 株式会社Subaru 操舵支援装置
CN108137045B (zh) * 2015-10-16 2021-07-06 日立汽车系统株式会社 车辆控制系统、车辆控制装置
KR102433791B1 (ko) * 2015-11-20 2022-08-19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차선 이탈 경고 장치 및 방법
US20170160744A1 (en) * 2015-12-08 2017-06-08 Delphi Technologies, Inc. Lane Extension Of Lane-Keeping System By Ranging-Sensor For Automated Vehicle
JP6209232B2 (ja) * 2016-02-19 2017-10-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線変更支援装置
KR20170098488A (ko) * 2016-02-22 2017-08-30 주식회사 만도 운전지원장치 및 운전지원방법
DE112016006745T5 (de) 2016-04-15 2018-12-27 Honda Motor Co., Ltd. Fahrzeugsteuersystem, Fahrzeugsteuerverfahren und Fahrzeugsteuerprogramm
DE102016212587A1 (de) * 2016-07-11 2018-01-1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System zur Erzeugung von Karteninformationen
CA3030540C (en) * 2016-07-12 2019-07-23 Nissan Motor Co., Ltd. Travel control method and travel control apparatus
CA3030538A1 (en) * 2016-07-12 2018-01-18 Nissan Motor Co., Ltd. Travel control method and travel control apparatus
US10369994B2 (en) * 2016-07-20 2019-08-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ar camera stub detection
CN106184206B (zh) * 2016-08-31 2018-12-14 威马汽车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单目视觉原理的智能化汽车离道预警系统及方法
JP6402756B2 (ja) * 2016-09-21 2018-10-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運転支援装置
JP6690506B2 (ja) * 2016-11-17 2020-04-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車線内走行支援装置
JP6544341B2 (ja) 2016-11-25 2019-07-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運転支援装置
JP6547969B2 (ja) * 2016-11-30 2019-07-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運転支援装置
JP6536548B2 (ja) * 2016-12-01 2019-07-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線内走行支援装置
CN106681318A (zh) * 2016-12-09 2017-05-17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自动驾驶中车道线检测短暂丢失的车辆安全控制系统及方法
KR20180084556A (ko) * 2017-01-17 2018-07-25 팅크웨어(주)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이용한 운전 안내 제공 방법, 운전 안내 제공 장치, 전자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6547767B2 (ja) * 2017-01-17 2019-07-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線内走行支援装置
KR20180099280A (ko) * 2017-02-28 2018-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 차로 생성 장치 및 방법
JP2018144643A (ja) * 2017-03-06 2018-09-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報知システム、走行支援システム
CN107097781B (zh) * 2017-04-21 2019-04-19 驭势科技(北京)有限公司 车辆自动驾驶方法、系统、存储介质及自动驾驶汽车
JP6917827B2 (ja) * 2017-08-14 2021-08-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車両、車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5620545A (zh) * 2017-08-24 2023-01-1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用于辅助驾驶的增强现实的方法及装置
JP6627153B2 (ja) * 2017-09-11 2020-01-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車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572271B2 (ja) * 2017-09-13 2019-09-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車両、車両制御装置の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7933557B (zh) * 2017-11-17 2019-09-13 吉林大学 一种基于多摄像头的车辆直角转弯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JP6973100B2 (ja) * 2018-01-17 2021-1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走行支援システム
JP6997005B2 (ja) * 2018-02-26 2022-01-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車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98117B2 (ja) * 2018-04-02 2020-05-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
US20190337452A1 (en) 2018-05-02 2019-11-07 Honda Motor Co., Ltd. Rear wiper operation indicator and full display mirror system of a motor vehicle
DE102018207260A1 (de) * 2018-05-09 2019-11-1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stimmung der breite einer fahrspur
CN108805074B (zh) * 2018-06-06 2020-10-09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车道线检测方法及装置
DE102018115317A1 (de) * 2018-06-26 2020-01-02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Verfahren und Fahrunterstützungssystem zum Betreiben eines Fahrzeugs oder zum Unterstützen eines Fahrers des Fahrzeugs unter Verwendung von Fahrspurinformation
JP6954243B2 (ja) * 2018-07-25 2021-10-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運転支援装置
JP7132337B2 (ja) * 2018-08-23 2022-09-06 日立Astemo株式会社 車載システム
JP6913063B2 (ja) * 2018-08-28 2021-08-04 株式会社Subaru 車線維持制御装置
DE102018215448B3 (de) * 2018-09-11 2019-10-31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Verfahren zur Schätzung der Geometrie eines Bewegungsweges
CN109035868B (zh) * 2018-09-26 2021-01-05 吉林大学 一种在无车道线情况下自动驾驶车辆进行车道划分的方法
CN110361021B (zh) * 2018-09-30 2021-06-22 毫末智行科技有限公司 车道线拟合方法及系统
CN109584706B (zh) * 2018-10-31 2021-08-03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电子地图车道线处理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586331B1 (ko) * 2018-11-19 2023-10-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선유지 성능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991244B2 (en) 2018-12-28 2021-04-27 Beijing Voyager Technology Co., Ltd. On-board vehicle stop cause determination system
US11435751B2 (en) 2018-12-28 2022-09-06 Beijing Voyager Technology Co., Ltd. Vehicle-based road obstacle identification system
CN113748448B (zh) * 2018-12-28 2023-03-07 北京航迹科技有限公司 基于车辆的虚拟停止线和让行线检测
WO2020139388A1 (en) * 2018-12-28 2020-07-02 Didi Research America, Llc Vehicle-provided virtual stop and yield line clustering
US10990105B2 (en) 2018-12-28 2021-04-27 Beijing Voyager Technology Co., Ltd. Vehicle-based virtual stop and yield line detection
WO2020139392A1 (en) * 2018-12-28 2020-07-02 Didi Research America, Llc Vehicle-based road obstacle identification system
DE102019105612A1 (de) * 2019-03-06 2020-09-10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Fahrunterstützungsverfahren
KR20200115827A (ko) * 2019-03-27 2020-10-08 주식회사 만도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20200307590A1 (en) * 2019-03-29 2020-10-01 Robert Bosch Gmbh Highway exit detection and line mirroring for vehicle trajectory determination
CN113841190A (zh) * 2019-05-15 2021-12-24 日产自动车株式会社 驾驶辅助方法及驾驶辅助系统
CN110263664A (zh) * 2019-05-29 2019-09-20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乘员车道违章识别方法及装置
JP7189087B2 (ja) * 2019-06-05 2022-12-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走行支援方法および走行支援装置
CN110281945B (zh) * 2019-06-28 2021-01-15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驾驶辅助监测方法、设备及系统
CN112304291B (zh) * 2019-07-26 2023-12-22 厦门雅迅网络股份有限公司 基于hud的车道线显示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250800B1 (ko) * 2019-09-11 2021-05-11 한국도로공사 노면 객체 인식 기반의 차로 검출 장치 및 방법
JP7443705B2 (ja) * 2019-09-12 2024-03-06 株式会社アイシン 周辺監視装置
JP7272255B2 (ja) 2019-12-16 2023-05-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運転支援装置
CN111738057A (zh) * 2020-04-30 2020-10-02 上海智目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路边特征的车道线校正方法和装置
US11688180B2 (en) * 2020-06-03 2023-06-27 Continental Autonomous Mobility US, LLC Lane departure warning without lane lines
JP7342807B2 (ja) * 2020-06-30 2023-09-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走行予定経路設定装置及び走行予定経路設定方法
WO2022112811A1 (ja) * 2020-11-27 2022-06-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走行制御方法及び走行制御装置
CN113335272B (zh) * 2021-05-14 2023-04-25 江铃汽车股份有限公司 辅助驾驶方法
CN113602267B (zh) * 2021-08-26 2023-01-31 东风汽车有限公司东风日产乘用车公司 车道保持控制方法、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4368393B (zh) * 2021-12-21 2023-09-15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直道上的车道线丢失预警方法、系统与人机共驾方法
CN117058900A (zh) * 2023-04-24 2023-11-14 深圳市赛诺杰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埋地信号灯的交通信号灯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4797A (ja) 1993-03-23 1994-09-30 Mazda Motor Corp 車両の制御装置
US5987174A (en) * 1995-04-26 1999-11-16 Hitachi,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vehicles
US6185492B1 (en) * 1997-07-09 2001-02-0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steering control apparatus for assisting a steering effort to move a vehicle along a line desired by a driver
JP2001310719A (ja) 2000-04-27 2001-11-06 Nissan Motor Co Ltd 車線逸脱防止装置
JP2002029438A (ja) 2000-07-13 2002-01-29 Nissan Motor Co Ltd 車両の車線追従制御装置
JP3890928B2 (ja) 2001-07-26 2007-03-0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仕切線認識装置
JP3585874B2 (ja) 2001-09-04 2004-11-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走行制御装置
JP3760879B2 (ja) 2002-03-22 2006-03-2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線逸脱警報装置
AU2003225228A1 (en) * 2002-05-03 2003-11-17 Donnelly Corporation Object detection system for vehicle
JP3606276B2 (ja) * 2002-11-26 2005-01-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線逸脱防止装置
JP3922194B2 (ja) * 2003-03-11 2007-05-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線逸脱警報装置
DE102004026590A1 (de) 2004-06-01 2006-01-12 Siemens Ag Assistenzsystem für Kraftfahrzeuge
DE102005018697A1 (de) 2004-06-02 2005-12-29 Daimlerchrys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Warnung eines Fahrers im Falle eines Verlassens der Fahrspur
JP3885818B2 (ja) * 2005-05-27 2007-02-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逸脱判定装置
JP4193815B2 (ja) 2005-05-30 2008-12-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線逸脱警報装置
DE102005054972A1 (de) * 2005-10-27 2007-05-03 Daimlerchrysler Ag Verfahren zur Totwinkelüberwachung bei Fahrzeugen
DE102005061909A1 (de) * 2005-12-23 2007-07-05 Volkswagen Ag Parklenkassistenz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Parklenkassistenzsystems
JP4605145B2 (ja) * 2006-11-14 2011-01-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線検出装置
JP4861850B2 (ja) * 2007-02-13 2012-01-25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レーン判定装置及びレーン判定方法
CN101237565A (zh) * 2007-09-28 2008-08-06 东南大学 嵌入式车道偏离报警系统
JP4872897B2 (ja) 2007-12-12 2012-02-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線維持支援装置
JP5124875B2 (ja) 2008-03-12 2013-01-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走行支援装置、車両、車両走行支援プログラム
EP3975138A1 (en) * 2008-10-06 2022-03-30 Mobileye Vision Technologies Ltd. Bundling of driver assistance systems
KR101163446B1 (ko) * 2009-03-18 2012-07-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가상 차선을 이용하는 차선 이탈 경보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
US20120283912A1 (en) * 2011-05-05 2012-11-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of steering override end detection for automated lane center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4173A (ko) * 2014-12-12 2017-08-17 소니 주식회사 차량 제어 디바이스 및 차량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US20180354527A1 (en) * 2017-06-09 2018-12-13 Subaru Corporation Vehicle control device
US11608071B2 (en) * 2017-06-09 2023-03-21 Subaru Corporation Vehicle contro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09005401B4 (de) 2021-01-28
CN102667888A (zh) 2012-09-12
JPWO2011064825A1 (ja) 2013-04-11
US20120226392A1 (en) 2012-09-06
KR101406457B1 (ko) 2014-06-27
DE112009005401T5 (de) 2012-12-20
US9406232B2 (en) 2016-08-02
KR20120078736A (ko) 2012-07-10
CN102667888B (zh) 2014-12-31
KR101424421B1 (ko) 2014-08-01
WO2011064825A1 (ja) 201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4421B1 (ko) 운전 지원 장치 및 운전 지원 방법
US20200324764A1 (en) Vehicular control system with pedestrian avoidance
JP5831585B2 (ja) 運転支援装置および運転支援方法
EP2746137B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isting a driver
JP5454179B2 (ja) 運転支援装置
US8583341B2 (en) Method for the open-loop and closed-loop control of traffic flow
EP1602562B1 (en) Driv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6990020B2 (ja) 車両の追従発進制御装置
CN107176099B (zh) 车辆的行驶控制装置
JP2011511729A (ja) 走行支援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走行支援システム
JP5692668B2 (ja) 運転支援装置
JP5167016B2 (ja) 車両の運転支援装置
CN111824126B (zh) 车辆控制系统
EP1564703A1 (en) Vehicle driving assist system
US20180273089A1 (en) Lane keeping control device
CN105408181A (zh) 用于运行汽车的驾驶员辅助系统的方法和用于汽车的驾驶员辅助系统
JP2001273588A (ja) 隊列走行制御装置
JP2009041209A (ja) 車輌ドアシステム
JP5486254B2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
JP5892038B2 (ja) 運転支援装置
CN112849133B (zh) 驾驶支援装置
JP5049931B2 (ja) ナビ協調走行制御装置
JP6972960B2 (ja) 運転支援装置
WO2018168099A1 (ja) 集中度判定装置、集中度判定方法及び集中度判定のためのプログラム
JP7014314B2 (ja) 運転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