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9088A - 광학 적층체,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 개선 방법 - Google Patents

광학 적층체,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 개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9088A
KR20140039088A KR1020147005996A KR20147005996A KR20140039088A KR 20140039088 A KR20140039088 A KR 20140039088A KR 1020147005996 A KR1020147005996 A KR 1020147005996A KR 20147005996 A KR20147005996 A KR 20147005996A KR 20140039088 A KR20140039088 A KR 20140039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active index
light
image display
optical laminate
prim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5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1815B1 (ko
Inventor
다카시 구로다
마코토 혼다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52944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03908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39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Heating, e.g. for cross 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3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 B29C48/914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cool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2Holograms used as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2Antiglare, refractive index matching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009Measured parameter
    • B29C2948/92114Dimensions
    • B29C2948/92152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009Measured parameter
    • B29C2948/92247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323Location or phase of measurement
    • B29C2948/92447Moulded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609Dimensions
    • B29C2948/92647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742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819Location or phase of control
    • B29C2948/92942Moulded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8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orienting, stretching or shrinking, e.g. film blo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5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extrusion moulding around inserts
    • B29C48/154Coating solid articles, i.e. non-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21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5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67/003PET, i.e. poyl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26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34Polar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8Wide strips, e.g. films,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B29L2009/005Layered products co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1/00Optical elements, e.g. lenses, prisms
    • B29L2011/0066Optical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6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 placement of the optical elements
    • G02F1/133562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 placement of the optical elements on the viewer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38Anti-reflection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40Materials having a particular birefringence, retard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413/00Indexing scheme related to G02F1/13363, i.e. to 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position, orientation or value of the compensation plates
    • G02F2413/08Indexing scheme related to G02F1/13363, i.e. to 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position, orientation or value of the compensation plates with a particular optical axis orien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764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with testing or indicating
    • Y10T29/49778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with testing or indicating with aligning, guiding, or instru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같은 면 내에 복굴절률을 갖는 광투과성 기재를 구비한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경우에도, 반사 방지 성능과 명소 콘트라스트가 우수한 화상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는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면 내에 복굴절률을 갖는 광투과성 기재의 한쪽 면 위에 광학 기능층을 갖는 광학 적층체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 개선 방법이며,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굴절률이 큰 방향인 지상축과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의 상하 방향이 평행해지도록, 상기 광학 적층체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광학 적층체,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 개선 방법 {OPTICAL LAYERED BODY,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FABRICATION METHOD,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IMAGE DISPLAY DEVICE VISUAL RECOGNIZABILITY IMPROVEMENT METHOD}
본 발명은 광학 적층체,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전력 절약, 경량, 박형 등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는 점에서, 종래의 CRT 디스플레이 대신에 최근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에는 액정 셀의 화상 표시면측에 편광 소자가 배치되어 있고, 통상, 취급시에 편광 소자에 흠집이 나지 않도록 경도를 부여할 것이 요구되므로, 편광판 보호 필름으로서, 광투과성 기재 위에 하드 코트층을 형성한 하드 코트 필름을 이용함으로써, 화상 표시면에 경도를 부여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 이러한 하드 코트 필름의 광투과성 기재로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로 대표되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필름이 사용되고 있었다. 이것은, 셀룰로오스에스테르는, 투명성, 광학 등방성이 우수하여, 면 내에 거의 위상차를 갖지 않기(리타데이션값이 낮기) 때문에, 입사 직선 편광의 진동 방향을 변화시키는 경우가 매우 적어,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에 대한 영향이 작은 것이나, 적당한 투수성을 갖는 점에서, 광학 적층체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편광판을 제조했을 때에 편광자에 잔류한 수분을, 광학 적층체를 통해 건조시킬 수 있는 등의 이점에 기초하는 것이다.
그러나,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필름은 내습, 내열성이 충분하지 않고, 하드 코트 필름을 편광판 보호 필름으로서 고온 다습한 환경하에서 사용하면, 편광 기능이나 색상 등의 편광판 기능을 저하시킨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셀룰로오스에스테르는 비용적으로 불리한 소재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필름의 문제점으로부터, 투명성, 내열성, 기계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필름에 비해 저렴하게 시장에서 입수가 용이하거나, 또는 간이한 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범용성 필름을 광학 적층체의 광투과성 기재로서 사용할 것이 요망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에스테르 대체 필름으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이용하는 시도가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내지 3 참조).
그런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분자쇄 중에 분극률이 큰 방향족 환을 갖기 때문에, 고유 복굴절이 매우 크고, 우수한 투명성, 내열성, 기계 강도를 부여시키기 위한 연신 처리에 의한 분자쇄의 배향에 따라 복굴절이 발현되기 쉽다는 성질을 갖는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같은 면 내에 복굴절률을 갖는 광투과성 기재를 사용한 광학 적층체를 화상 표시 장치의 표면에 설치한 경우, 광학 적층체의 표면에서의 반사 방지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하여, 명소 콘트라스트가 저하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0577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5734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44059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현 상황을 감안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같은 면 내에 복굴절률을 갖는 광투과성 기재를 사용한 경우에도, 반사 방지 성능과 명소 콘트라스트가 우수하고, 나아가 무지개 얼룩도 방지할 수 있는 화상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는 광학 적층체 및 편광판, 상기 편광판의 제조 방법, 상기 광학 적층체 또는 편광판을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 개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시인성 개선 상태"란, 적어도 반사 방지 성능과 명소 콘트라스트가 우수한 상태를 나타내고, 또한 무지개 얼룩도 방지할 수 있는 상태를, "시인성 개선이 매우 잘된 상태"라고 한다.
또한, 상기 무지개 얼룩이란, 종래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광투과성 기재로서 사용한 광학 적층체를 화상 표시 장치의 표면에 설치한 경우, 편광 선글라스를 낀 상태에서 표시 화면을 보았을 때에, 표시 화면에 발생하는 색이 서로 다른 얼룩을 말하며, 표시 품질이 손상되어 버리는 현상이다.
본 발명은, 면 내에 복굴절률을 갖는 광투과성 기재의 한쪽 면 위에 광학 기능층을 갖고, 화상 표시 장치의 표면에 배치하여 사용되는 광학 적층체이며,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굴절률이 큰 방향인 지상축이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의 상하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적층체이다.
상기 광투과성 기재는, 굴절률이 큰 방향인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nx)과 상기 지상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ny)의 차(nx-ny)가 0.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에서, 상기 광투과성 기재는 리타데이션이 3000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투과성 기재는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재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상기 광투과성 기재와 광학 기능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갖고, 상기 프라이머층의 굴절률(np)이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nx) 및 상기 광학 기능층의 굴절률(nf)보다 큰 경우(np>nx, nf), 또는 상기 프라이머층의 굴절률(np)이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ny) 및 상기 광학 기능층의 굴절률(nf)보다 작은 경우(np<ny, nf),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가 3 내지 3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상기 광투과성 기재와 광학 기능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갖고, 상기 프라이머층의 굴절률(np)이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nx)보다 크고, 상기 광학 기능층의 굴절률(nf)보다 작은 경우(nx<np<nf), 또는 상기 프라이머층의 굴절률(np)이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ny)보다 작고, 상기 광학 기능층의 굴절률(nf)보다 큰 경우(nf<np<ny),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가 65 내지 125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상기 광투과성 기재와 광학 기능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갖고, 상기 프라이머층의 굴절률(np)이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ny)과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nx) 사이에 존재하는(ny<np<nx)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면 내에 복굴절률을 갖는 광투과성 기재의 한쪽 면 위에 광학 기능층을 갖는 광학 적층체가 편광 소자 위에 설치되고, 화상 표시 장치의 표면에 배치하여 사용되는 편광판이며, 상기 광학 적층체와 상기 편광 소자는,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굴절률이 큰 방향인 지상축과 상기 편광 소자의 흡수축이 수직으로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굴절률이 큰 방향인 지상축이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의 상하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이기도 하다.
본 발명의 편광판에서, 상기 면 내에 복굴절률을 갖는 광투과성 기재는, 굴절률이 큰 방향인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nx)과 상기 지상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ny)의 차(nx-ny)가 0.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면 내에 복굴절률을 갖는 광투과성 기재는 리타데이션이 3000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은, 상기 광투과성 기재와 광학 기능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갖고, 상기 프라이머층의 굴절률(np)이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nx) 및 상기 광학 기능층의 굴절률(nf)보다 큰 경우(np>nx, nf), 또는 상기 프라이머층의 굴절률(np)이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ny) 및 상기 광학 기능층의 굴절률(nf)보다 작은 경우(np<ny, nf),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가 3 내지 3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은, 상기 광투과성 기재와 광학 기능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갖고, 상기 프라이머층의 굴절률(np)이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nx)보다 크고, 상기 광학 기능층의 굴절률(nf)보다 작은 경우(nx<np<nf), 또는 상기 프라이머층의 굴절률(np)이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ny)보다 작고, 상기 광학 기능층의 굴절률(nf)보다 큰 경우(nf<np<ny),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가 65 내지 125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은, 상기 광투과성 기재와 광학 기능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갖고, 상기 프라이머층의 굴절률(np)이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ny)과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nx) 사이에 존재하는(ny<np<nx)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 또는 본 발명의 편광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이기도 하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 광원으로서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한 VA 모드 또는 IPS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면 내에 복굴절률을 갖는 광투과성 기재의 한쪽 면 위에 광학 기능층을 갖는 광학 적층체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굴절률이 큰 방향인 지상축과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의 상하 방향이 평행해지도록, 상기 광학 적층체를 배치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이기도 하다.
본 발명은 또한, 면 내에 복굴절률을 갖는 광투과성 기재의 한쪽 면 위에 광학 기능층을 갖는 광학 적층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 개선 방법이며,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굴절률이 큰 방향인 지상축과,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의 상하 방향이 평행해지도록, 상기 광학 적층체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 개선 방법이기도 하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단량체, 올리고머, 예비 중합체 등의 경화성 수지 전구체도 "수지"라고 기재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면 내에 복굴절률을 갖는 광투과성 기재를 사용한 광학 적층체 또는 편광판에 있어서, 상기 광학 적층체 또는 편광판을 화상 표시 장치에 설치할 때에,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굴절률이 큰 방향인 지상축을, 편광 소자의 흡수축 또는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에 대하여 특정한 방향이 되도록 함으로써, 반사 방지 성능 및 명소 콘트라스트가 우수한 화상 표시 장치로 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광학 적층체로서 사용되었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로 대표되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필름은 광학 등방성이 우수하여, 면 내에 거의 위상차를 갖지 않는다. 이로 인해, 상기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필름을 광투과성 기재로서 사용한 광학 적층체 또는 편광판의 경우,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설치 방향은 고려할 필요가 없었다. 즉, 상술한 반사 방지 성능 및 명소 콘트라스트의 문제는, 광학 적층체의 광투과성 기재로서, 면 내에 복굴절률을 갖는 광투과성 기재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한 것이다.
여기서, 액정 표시 장치를, 편광 선글라스를 끼고 관찰한 경우, 액정 표시 장치측의 편광자의 흡수축과 편광 선글라스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시인성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 시인성 개선 방법으로서, 액정 표시 장치의 관측자측의 편광자보다 더 관측자측에, λ/4 위상차 필름과 같이, 면 내에 복굴절률을 갖는 광투과성 기재를 설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것은, 크로스니콜하에서 관측되는 투과광 강도는, 편광자의 흡수축과 면 내에 복굴절률을 갖는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를 θ로 했을 경우, 하기 식으로 표현되는 값을 제어하는 방법이다.
I=I0·sin2(2θ)·sin2(π·Re/λ)
상기 식 중, I는 크로스니콜을 투과한 광의 강도, I0은 면 내에 복굴절률을 갖는 광투과성 기재에 입사하는 광의 강도, λ는 광의 파장, Re는 리타데이션이다.
또한, 상기 θ의 값에 따라, sin2(2θ)는 0 내지 1의 값을 취하는데, 편광 선글라스를 끼고 관찰한 경우의 시인성 개선 방법의 경우, 투과하는 광의 강도를 큰 값으로 하기 위해서, sin2(2θ)=1이 되도록, 상기 θ를 45°로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상기 식에 의한 편광 선글라스 대응과는 전혀 다른 기술적 사상에 기초해서 이루어진 발명이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면 내에 복굴절률을 갖는 광투과성 기재의 한쪽 면위에 광학 기능층을 갖고, 화상 표시 장치의 표면에 배치하여 사용되는 것이며,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굴절률이 큰 방향인 지상축이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의 상하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화상 표시 장치는, 통상, 실내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벽면이나 바닥면에서 반사한 광의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광학 적층체의 표면)에서의 반사를 방지함으로써, 반사 방지 성능을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벽면이나 바닥면에서 반사하여,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에 입사하는 광은, 그 대부분이 상기 표시 화면의 좌우 방향으로 진동한 상태로 되어 있는 것에 착안하여,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를,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굴절률이 큰 방향인 지상축이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의 상하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하는 것으로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그 용도를 화상 표시 장치의 표면에 설치하는 것에 한정하여, 이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를 설치한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굴절률이 큰 방향인 지상축이 상기 벽면이나 바닥면에서 반사한 광의 진동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을 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렇게 광투과성 기재의 굴절률이 큰 방향인 지상축의 방향을 특정한 방향이 되도록 광학 적층체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는, 반사 방지 성능과 명소 콘트라스트가 우수한 것이 된다.
이것은, 상술한 특정한 상태로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를 배치한 구성의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상기 표시 화면에 입사하는 비율이 많은 좌우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S 편광)에 대하여,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굴절률이 작은 방향인 진상축의 방향이 평행하게 되어, 최표면에서의 외광 반사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N의 굴절률을 갖는 기재 표면의 반사율(R)은,
R=(N-1)2/(N+1)2
로 표현되는데,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에서의 광투과성 기재와 같은 굴절률 이방성을 갖는 기재에서는, 화상 표시 장치에서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굴절률(N)은, 굴절률이 작은 진상축의 굴절률이 적용되는 비율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이유에 의해, 면 내 위상차를 갖는 광투과성 기재를 사용한 광학 적층체임에도 불구하고, 화상 표시 장치에 대한 배치 방향을 고려하지 않고 광학 적층체를 설치한 경우와, 본 발명과 같이, 광투과성 기재의 굴절률이 큰 방향인 지상축의 방향을 특정한 방향이 되도록 광학 적층체를 설치한 경우에, 후자의 경우의 반사율이 전자의 반사율보다 낮아져 있다. 본 발명에서의 "반사 방지 성능이 우수한 상태"란, 이러한 상태의 것을 말한다.
또한, 상술한 구성으로 화상 표시 장치에 설치했을 때의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의 반사율의 수치 자체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로 대표되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필름과 같이, 광학 등방성이 우수하여, 면 내에 거의 위상차를 갖지 않는 필름을 기재로 했을 경우의 반사율 정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필름이면, 반사율은 4.39% 전후가 된다.
또한, 화상 표시 장치의 콘트라스트는 암소 콘트라스트와 명소 콘트라스트로 나뉘어지며, 암소 콘트라스트는 (백색 표시의 휘도/흑색 표시의 휘도)로서 산출되고, 명소 콘트라스트는 {(백색 표시의 휘도+외광 반사)/(흑색 표시의 휘도+외광 반사)}로서 산출된다. 어느 콘트라스트의 경우에든 분모의 영향이 보다 커짐으로써 콘트라스트가 저하된다. 즉, 최표면에서의 외광 반사를 저감할 수 있으면, 결과적으로 명소 콘트라스트가 향상된다.
또한, 상기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굴절률이 큰 방향인 지상축이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의 상하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이란, 상기 지상축이, 상기 표시 화면의 상하 방향에 대하여 0°±40°의 범위에서 광학 적층체가 화상 표시 장치에 배치된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에서,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과 상기 표시 화면의 상하 방향의 각도는, 0°±30°인 것이 바람직하고, 0°±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에서,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과 상기 표시 화면의 상하 방향의 각도가 0°±40°임으로써,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에 의한 명소 콘트라스트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에서는,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과 상기 표시 화면의 상하 방향의 각도는 0°인 것이, 명소 콘트라스트의 향상을 도모함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과 상기 표시 화면의 상하 방향의 각도는, 0°±40°인 것보다 0°±3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가 된다. 또한,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과 상기 표시 화면의 상하 방향의 각도가 0°±5°이면, 상기 각도가 0°일 경우와 동일 레벨의 명소 콘트라스트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2개의 축이 이루는 각도에 관해서, 관찰자측에서 보아, 기준이 되는 각도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이루는 각도를 플러스(+)로 하고, 기준이 되는 각도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이루는 각도를 마이너스(-)로 한다. 그리고, 특별히 표기하지 않고 각도를 나타냈을 경우, 기준이 되는 각도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이루는 각도인 경우(즉, 플러스인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 면 내에 복굴절률을 갖는 광투과성 기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카르보네이트, 아크릴,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재를 들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비용 및 기계적 강도에서 유리한 폴리에스테르 기재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면 내에 복굴절률을 갖는 광투과성 기재를 폴리에스테르 기재로서 설명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는, 무지개 얼룩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시인성 개선이 매우 양호해지는 점에서, 리타데이션이 3000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3000nm 미만이면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를 액정 표시 장치(LCD)에서 사용한 경우, 무지개빛의 줄무늬 모양과 같은 무지개 얼룩이 시인되어 표시 품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리타데이션의 상한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3만n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3만nm를 초과하면, 막 두께가 상당히 두꺼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리타데이션은, 박막화의 관점에서, 5000 내지 250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7000 내지 2만nm이며, 이 범위이면,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가 화상 표시 장치에,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지상축이 상기 표시 화면의 상하 방향에 대하여 0°±30° 내지 40°의 범위에서 배치되었을 경우, 즉,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지상축이 상기 표시 화면의 상하 방향에 대하여 완전한 평행보다 약간 어긋난 각도를 갖고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무지개 얼룩 방지성을 더욱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지상축의 배치가 상기 표시 화면의 상하 방향에 대하여 완전한 평행으로부터 ±30° 내지 40°이어도, 리타데이션이 3000nm 이상이면, 무지개 얼룩 방지성을 가져 실질적으로 사용상에 문제는 없다. 단,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지상축과 상기 표시 화면의 상하 방향의 각도는 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므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지상축과 상기 표시 화면의 상하 방향의 각도는, 0°±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타데이션이란,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면 내에서 가장 굴절률이 큰 방향(지상축 방향)의 굴절률(nx)과, 지상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진상축 방향)의 굴절률(ny)과,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두께(d)에 의해, 이하의 식에 의해 표현되는 것이다.
리타데이션(Re)=(nx-ny)×d
또한, 상기 리타데이션은, 예를 들어 오지 게이소꾸 기끼사 제조 KOBRA-WR에 의해 측정(측정각 0°, 측정 파장 589.3nm)할 수 있다.
또한, 2장의 편광판을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배향축 방향(주축의 방향)을 구하고, 배향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2개의 축의 굴절률(nx, ny)을 아베 굴절률계(아타고사 제조 NAR-4T)에 의해 구한다. 여기서, 보다 큰 굴절률을 나타내는 축을 지상축이라고 정의한다. 폴리에스테르 기재 두께(d)(nm)는, 전기 마이크로미터(안리쓰사 제조)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단위를 nm로 환산한다. 굴절률차(nx-ny)와 필름의 두께(d)(nm)의 곱으로부터, 리타데이션을 계산할 수도 있다.
또한, 굴절률은, 아베 굴절률계나 엘립소미터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도 있고, 분광 광도계(시마즈 세이사꾸쇼사 제조의 UV-3100PC)를 사용해서,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에서의 광학 기능층의 파장 380 내지 780nm의 평균 반사율(R)을 측정하고, 얻어진 평균 반사율(R)로부터 이하의 식을 사용해서 굴절률(n)의 값을 구해도 된다.
광학 기능층의 평균 반사율(R)은, 접착 용이화 처리가 없는 50㎛ PET 위에 각각의 원료 조성물을 도포해서, 1 내지 3㎛의 두께의 경화막으로 하고, PET의 도포하지 않은 면(이면)에, 이면 반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측정 스폿 면적보다 큰 폭의 흑색 비닐 테이프(예를 들어, 야마토 비닐 테이프 No 200-38-21 38mm 폭)를 붙이고나서 각 경화막의 평균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굴절률은, 측정면과는 반대면에 마찬가지로 흑색 비닐 테이프를 붙이고나서 측정을 행하였다.
R(%)=(1-n)2/(1+n)2
또한, 광학 적층체가 된 후에 광학 기능층의 굴절률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각 층의 경화막을 커터 등으로 깍아내어, 가루 상태의 샘플을 제작하여, JIS K7142(2008) B법(분체 또는 입상의 투명 재료용)에 따른 벡케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벡케법이란, 굴절률이 기지인 카길 시약을 사용하여, 상기 가루 상태의 샘플을 슬라이드 글래스 등에 얹어, 그 샘플 위에 시약을 적하해서, 시약으로 샘플을 침지한다. 그 모습을 현미경 관찰에 의해 관찰하여, 샘플과 시약의 굴절률이 상이함으로써 샘플 윤곽에 발생하는 휘선; 벡케선이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게 되는 시약의 굴절률을, 샘플의 굴절률로 하는 방법이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경우에는, 방향에 따라 굴절률(nx, ny)이 상이하므로, 벡케법이 아니라, 광학 기능층의 처리면에 상기 흑색 비닐 테이프를 붙임으로써, 분광 광도계(V7100형, 자동 절대 반사율 측정 유닛 VAR-7010 닛본 분꼬우사 제조)를 사용하여, 편광 측정: S 편광으로,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을 평행하게 설치한 경우와, 진상축을 평행하게 설치한 경우의 5도 반사율을 측정하여, 지상축과 진상축의 굴절률(nx, ny)을 상기 식으로부터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가 후술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원료로 하는 PET 기재인 경우, 상기 nx-ny(이하, Δn이라고도 표기함)는 0.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Δn이 0.05 미만이면 진상축의 굴절률이 크기 때문에, 상술한 화상 표시 장치의 명소 콘트라스트의 향상을 도모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술한 리타데이션값을 얻기 위해 필요한 막 두께가 두꺼워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한편, 상기 Δn은 0.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0.25를 초과하면, PET 기재를 과도하게 연신할 필요가 발생하기 때문에, PET 기재가 터져, 찢어짐 등이 발생하기 쉬워져, 공업 재료로서의 실용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이상의 관점에서, 상기 PET 기재인 경우의 Δn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07,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0.20이다. 또한, 상기 Δn이 0.20을 초과하면, 내습열성 시험에서의 PET 기재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내습열성 시험에서의 내구성이 우수한 점에서, 상기 PET 기재인 경우의 Δn의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0.15이다.
또한, 상기 PET 기재인 경우의 (nx)로는, 1.66 내지 1.78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68,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1.73이다. 또한, 상기 PET 기재인 경우의 (ny)로는, 1.55 내지 1.65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57,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1.62이다.
상기 nx 및 ny가 상기 범위에 있고, 또한 상술한 Δn의 관계를 만족함으로써, 적합한 반사 방지 성능 및 명소 콘트라스트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가 후술하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를 원료로 하는 PEN 기재인 경우, 상기 Δn은, 바람직한 하한이 0.05이며, 바람직한 상한이 0.30이다. 상기 Δn이 0.05 미만이면 상술한 리타데이션값을 얻기 위해 필요한 막 두께가 두꺼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상기 Δn이 0.30을 초과하면, PEN 기재로서, 터짐, 찢어짐 등이 발생하기 쉬워져, 공업 재료로서의 실용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PEN 기재인 경우의 Δn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07,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0.27이다. Δn이 0.07보다 작으면, 상술한 충분한 무지개 얼룩 및 색감 변화의 억제 효과를 얻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Δn이 0.27을 초과하면, 내습열성 시험에서의 PEN 기재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내습열성 시험에서의 내구성이 우수한 점에서, 상기 PEN 기재인 경우의 Δn의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0.25이다.
또한, 상기 PEN 기재인 경우의 (nx)로는, 1.70 내지 1.9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72,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1.88이다. 또한, 상기 PEN 기재인 경우의 (ny)로는, 1.55 내지 1.75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57,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1.73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를 구성하는 재료로는, 상술한 리타데이션을 충족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방향족 이염기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와 디올 또는 그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로부터 합성되는 선형 포화 폴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폴리에스테르의 구체예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1,4-시클로헥실렌 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1,4-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1,5-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7-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3-나프탈레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기재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는, 이들 폴리에스테르의 공중합체이어도 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를 주체(예를 들어 80몰% 이상의 성분)로 해서, 소비율(예를 들어 20몰% 이하)이 다른 종류의 수지와 블렌드한 것이어도 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가 역학적 물성이나 광학 물성 등의 밸런스가 좋으므로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범용성이 높아 입수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PET와 같은 범용성이 매우 높은 필름이라도, 표시 품질이 높은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한 광학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PET는, 투명성, 열 또는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여, 연신 가공에 의해 리타데이션의 제어가 가능하고, 고유 복굴절이 커서, 막 두께가 얇아도 비교적 용이하게 큰 리타데이션이 얻어진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를 얻는 방법으로는, 상술한 리타데이션을 충족하는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재료인 상기 PET 등의 폴리에스테르를 용융하여, 시트 형상으로 압출 성형된 미연신 폴리에스테르를 유리 전이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텐터 등을 사용하여 가로 연신한 후, 열처리를 실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가로 연신 온도로는, 80 내지 13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20℃이다. 또한, 가로 연신 배율은 2.5 내지 6.0배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5배이다. 상기 가로 연신 배율이 6.0배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투명성이 저하되기 쉬워지고, 연신 배율이 2.5배 미만이면 연신 장력도 작아지기 때문에,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복굴절이 작아져, 리타데이션을 3000nm 이상으로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2축 연신 시험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미연신 폴리에스테르의 가로 연신을 상기 조건에서 행한 후, 상기 가로 연신에 대한 흐름 방향의 연신(이하, 세로 연신이라고도 함)을 행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세로 연신은, 연신 배율이 2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로 연신의 연신 배율이 2배를 초과하면, Δn의 값을 상술한 바람직한 범위로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열 처리시의 처리 온도로는, 100 내지 25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 내지 245℃이다.
여기서, 종래의 폴리에스테르 기재는, 미연신의 폴리에스테르 기재를 길이 방향으로 연신시킨 후에, 폭 방향으로 길이 방향과 동일 정도의 배율로 연신시킴으로써 얻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연신 방법으로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기재에서는, 보잉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서의 상기 리타데이션값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기재는, 롤 형상의 미연신의 광투과성 필름을 폭 방향으로만 연신시키거나, 또는 세로 방향으로 약간 연신시킨 후에 폭 방향으로 연신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기재는, 상기 보잉 현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그 지상축이 폭 방향을 따라서 존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후술하지만, 편광 소자 위에 설치하여 편광판으로 할 수 있는데, 롤 형상의 상기 편광 소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흡수축이 존재하고 있다. 이로 인해, 롤 투 롤법에 의해 상기 광투과성 기재와 상기 편광 소자를 접합하면, 편광 소자의 흡수축과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수직으로 된 편광판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 편광 소자의 흡수축과의 이루는 각도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한다.
상술한 방법으로 제작한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리타데이션을 3000nm 이상으로 제어하는 방법으로는, 연신 배율이나 연신 온도, 제작하는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막 두께를 적절히 설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연신 배율이 높을수록, 연신 온도가 낮을수록, 또한 막 두께가 두꺼울수록, 높은 리타데이션을 얻기 쉬워지고, 연신 배율이 낮을수록, 연신 온도가 높을수록, 또한 막 두께가 얇을수록, 낮은 리타데이션을 얻기 쉬워진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두께로는, 40 내지 50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40㎛ 미만이면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리타데이션을 3000nm 이상으로 할 수 없고, 또한 역학 특성의 이방성이 현저해져서, 터짐, 찢어짐 등이 발생하기 쉬워져, 공업 재료로서의 실용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500㎛를 초과하면 폴리에스테르 기재가 매우 강직해서, 고분자 필름 특유의 유연함이 저하되어, 역시 공업 재료로서의 실용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두께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50㎛,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400㎛이며,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300㎛이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는, 가시광 영역에서의 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4%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과율은 JIS K7361-1(플라스틱-투명 재료의 전체 광투과율의 시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에는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비누화 처리, 글로우 방전 처리, 코로나 방전 처리, 자외선(UV) 처리 및 화염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행해도 된다.
상기 광학 기능층은, 하드 코트 성능을 갖는 하드 코트층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하드 코트층은, 경도가 JIS K5600-5-4(1999)에 의한 연필 경도 시험(하중 4.9N)에서, H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H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 코트층은,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의 표면의 하드 코트성을 담보하는 층이며, 예를 들어 자외선에 의해 경화하는 수지인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와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에서,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계의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등의 1 또는 2 이상의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하나의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메틸스티렌, N-비닐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2 이상의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폴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1,6- 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 및 이것들을 에틸렌옥시드(EO) 등으로 변성한 다관능 화합물, 또는 상기 다관능 화합물과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반응 생성물(예를 들어 다가 알코올의 폴리 (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레이트를 가리키는 것이다.
상기 화합물 외에,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비교적 저분자량(수 평균 분자량 300 내지 8만,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5000)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알키드 수지, 스피로아세탈 수지, 폴리부타디엔 수지, 폴리티올폴리엔 수지 등도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의 수지란, 단량체 이외의 이량체, 올리고머, 중합체 모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바람직한 화합물로는, 3 이상의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을 사용하면 형성하는 하드 코트층의 가교 밀도를 높일 수 있고, 도포 경도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서는,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3 내지 15관능), 우레탄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3 내지 15관능) 등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는 용제 건조형 수지와 병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용제 건조형 수지를 병용함으로써, 도포면의 피막 결함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제 건조형 수지란, 열가소성 수지 등, 도포 시공시에 고형분을 조정하기 위하여 첨가한 용제를 건조시키는 것만으로 피막이 되는 수지를 말한다.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와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용제 건조형 수지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스티렌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아세트산 비닐계 수지, 비닐에테르계 수지, 할로겐 함유 수지, 지환식 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셀룰로오스 유도체, 실리콘계 수지 및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비결정성이고, 또한 유기 용매(특히 복수의 중합체나 경화성 화합물을 용해 가능한 공통 용매)에 가용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막성, 투명성이나 내후성의 관점에서, 스티렌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지환식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셀룰로오스 유도체(셀룰로오스에스테르류 등)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은 열경화성 수지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멜라민 수지, 구아나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아미노 알키드 수지, 멜라민-요소 공축합 수지, 규소 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는, 구체예로는, 아세토페논류, 벤조페논류, 미힐러벤조일벤조에이트, α-아밀옥심에스테르, 티오크산톤류, 프로피오페논류, 벤질류, 벤조인류, 아실포스핀 옥시드류를 들 수 있다. 또한, 광증감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n-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폴리-n-부틸포스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는,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가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 기를 갖는 수지계인 경우에는, 아세토페논류, 벤조페논류, 티오크산톤류, 벤조인, 벤조인 메틸에테르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가 양이온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수지계인 경우에는,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는, 방향족 디아조늄염, 방향족 술포늄염, 방향족 요오도늄염, 메탈로센 화합물, 벤조인술폰산 에스테르 등을 단독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개시제로는,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 기를 갖는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의 경우에는, 1-히드록시- 시클로헥실-페닐-케톤이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와의 상용성 및 황변도 적다는 이유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에서의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1질량부 미만이면 제1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에서의 하드 코트층의 경도를 상술한 범위로 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10질량부를 초과하면, 도포 설치한 막의 심부까지 전리 방사선이 닿지 않게 되어 내부 경화가 촉진되지 않아, 목표인 하드 코트층의 표면의 연필 경도 3H 이상을 얻을 수 없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2질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8질량부이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이 이 범위에 있음으로써, 막 두께 방향으로 경도 분포가 발생하지 않아, 균일한 경도로 되기 쉬워진다.
상기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은 용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용제로는, 사용하는 수지 성분의 종류 및 용해성에 따라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케톤류(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디아세톤 알코올 등), 에테르류(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등), 지방족 탄화수소류(헥산 등), 지환식 탄화수소류(시클로헥산 등), 방향족 탄화수소류(톨루엔, 크실렌 등), 할로겐화 탄소류(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등), 에스테르류(아세트산 메틸,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 등), 물, 알코올류(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시클로헥산올 등), 셀로솔브류(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등), 셀로솔브 아세테이트류, 술폭시드류(디메틸술폭시드 등), 아미드류(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이것들의 혼합 용매이어도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케톤계의 용매로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이, 수지와의 상용성, 도포 시공성이 우수하다는 이유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 중에서의 원료의 함유 비율(고형분)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5 내지 70질량%, 특히 25 내지 60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에는, 하드 코트층의 경도를 높게 하는, 경화 수축을 억제하는, 블로킹을 방지하는, 굴절률을 제어하는, 방현성을 부여하는, 입자나 하드 코트층 표면의 성질을 바꾸는 등의 목적에 따라, 종래 공지된 유기, 무기 미립자, 분산제, 계면 활성제, 대전 방지제, 실란 커플링제, 증점제, 착색 방지제, 착색제(안료, 염료), 소포제, 레벨링제, 난연제, 자외선 흡수제, 접착 부여제, 중합 금지제, 산화 방지제, 표면 개질제 등을 첨가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은 광증감제를 혼합해서 사용해도 되고, 그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n-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폴리-n-부틸포스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는, 각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페인트 셰이커, 비즈 밀, 니이더, 믹서 등의 공지된 장치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을 상기 광투과성 기재 위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그라비아 코트법, 스핀 코트법, 침지법, 스프레이법, 다이 코트법, 바 코트법, 롤 코터법, 메니스커스 코터법, 플렉소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피드 코터법 등의 공지된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광투과성 기재 위에 상기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한 도막은, 필요에 따라 가열 및/또는 건조하고, 활성 에너지선 조사 등에 의해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조사로는, 자외선 또는 전자선에 의한 조사를 들 수 있다. 상기 자외선원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초고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저압 수은등, 카본 아크등, 블랙 라이트 형광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등 등의 광원을 들 수 있다. 또한, 자외선의 파장으로는, 190 내지 380nm의 파장 영역을 사용할 수 있다. 전자선원의 구체예로는, 코크로프트 월턴형, 반더그라프트형, 공진 변압기형, 절연 코어 변압기형, 또는 직선형, 다이나미트론형, 고주파형 등의 각종 전자선 가속기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드 코트층의 바람직한 막 두께(경화시)는, 0.5 내지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20㎛, 컬 방지성이나 균열 방지성이 특히 우수하므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의 범위이다. 상기 하드 코트층의 막 두께는, 단면을 전자 현미경(SEM, TEM, STEM)으로 관찰하여, 임의의 10점을 측정한 평균값(㎛)이다. 하드 코트층의 막 두께는, 그 밖의 방법으로서, 두께 측정 장치 미쯔토요사 제조의 디지매틱 인디케이터 IDF-130을 사용하여 임의의 10점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해도 된다.
상기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 중에 대전 방지제를 함유시킴으로써, 상기 하드 코트층에 대전 방지 성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대전 방지제로는 종래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4급 암모늄염 등의 양이온성 대전 방지제나, 주석 도프 산화인듐(ITO) 등의 미립자나, 도전성 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대전 방지제를 사용하는 경우, 그의 함유량은 전체 고형분의 합계 질량에 대하여 1 내지 3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상기 하드 코트층 위에 저굴절률층을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굴절률층으로는, 바람직하게는 1) 실리카 또는 불화 마그네슘 등의 저굴절률 무기 미립자를 함유하는 수지, 2) 저굴절률 수지인 불소계 수지, 3) 실리카 또는 불화 마그네슘 등의 저굴절률 무기 미립자를 함유하는 불소계 수지, 4) 실리카 또는 불화 마그네슘 등의 저굴절률 무기 박막 등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불소계 수지 이외의 수지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인더 수지와 마찬가지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리카는 중공 실리카 미립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중공 실리카 미립자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099778호 공보의 실시예에 기재된 제조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들 저굴절률층은 그의 굴절률이 1.47 이하, 특히 1.4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굴절률층의 두께는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10nm 내지 1㎛ 정도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상기 불소계 수지로는, 적어도 분자 중에 불소 원자를 포함하는 중합성 화합물 또는 그의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중합성 화합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전리 방사선으로 경화하는 관능기, 열경화하는 극성기 등의 경화 반응성의 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반응성의 기를 동시에 겸비하는 화합물이어도 된다. 이 중합성 화합물에 대하여 중합체란, 상기와 같은 반응성 기 등을 일절 갖지 않는 것이다.
상기 전리 방사선으로 경화하는 관능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로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불소 함유 단량체를 널리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루오로올레핀류(예를 들어 플루오로에틸렌,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퍼플루오로부타디엔, 퍼플루오로-2,2-디메틸-1,3-디옥솔 등)를 예시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것으로는, 2,2,2-트리플루오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퍼플루오로 부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퍼플루오로 헥실)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퍼플루오로 옥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퍼플루오로 데실)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α-트리플루오로 메타크릴산 메틸, α-트리플루오로 메타크릴산 에틸과 같은, 분자 중에 불소 원자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분자 중에, 불소 원자를 적어도 3개 갖는 탄소수 1 내지 14의 플루오로알킬기, 플루오로시클로알킬기 또는 플루오로알킬렌기와, 적어도 2개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불소 함유 다관능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화합물 등도 있다.
상기 열경화하는 극성기로서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어 수산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등의 수소 결합 형성기이다. 이들은 도막과의 밀착성뿐만 아니라, 실리카 등의 무기 초미립자와의 친화성도 우수하다. 열경화성 극성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4-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 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플루오로에틸렌-탄화수소계 비닐에테르 공중합체; 에폭시, 폴리우레탄, 셀룰로오스, 페놀, 폴리이미드 등의 각 수지의 불소 변성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전리 방사선으로 경화하는 관능기와 열경화하는 극성기를 겸비하는 중합성 화합물로는,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산의 부분 및 완전 불소화 알킬, 알케닐, 아릴에스테르류, 완전 또는 부분 불소화 비닐에테르류, 완전 또는 부분 불소화 비닐에스테르류, 완전 또는 부분 불소화 비닐케톤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불소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성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의 불소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적어도 1종 포함하는 단량체 또는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체; 상기 불소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중 적어도 1종과,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분자 중에 불소 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과의 공중합체; 플루오로에틸렌, 불화비닐리덴, 트리플루오로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3,3,3-트리플루오로 프로필렌, 1,1,2-트리클로로-3,3,3-트리플루오로 프로필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과 같은 불소 함유 단량체의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등. 이들 공중합체에 실리콘 성분을 함유시킨 실리콘 함유 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실리콘 성분으로는,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디에틸실록산, (폴리)디페닐실록산, (폴리)메틸페닐실록산, 알킬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아조기 함유 (폴리)디메틸실록산, 디메틸실리콘, 페닐메틸실리콘, 알킬·아르알킬 변성 실리콘, 플루오로 실리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지방산 에스테르 변성 실리콘, 메틸 수소 실리콘, 실라놀기 함유 실리콘, 알콕시기 함유 실리콘, 페놀기 함유 실리콘, 메타크릴 변성 실리콘, 아크릴 변성 실리콘, 아미노 변성 실리콘, 카르복실산 변성 실리콘, 카르비놀 변성 실리콘, 에폭시 변성 실리콘, 머캅토 변성 실리콘, 불소 변성 실리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등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디메틸실록산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이하와 같은 화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비중합체 또는 중합체도, 불소계 수지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분자 중에 적어도 1개의 이소시아나토기를 갖는 불소 함유 화합물과, 아미노기, 히드록실기, 카르복실기와 같은 이소시아나토기와 반응하는 관능기를 분자 중에 적어도 1개 갖는 화합물을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화합물; 불소 함유 폴리에테르 폴리올, 불소 함유 알킬 폴리올, 불소 함유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불소 함유 ε-카프로락톤 변성 폴리올과 같은 불소 함유 폴리올과, 이소시아나토기를 갖는 화합물을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불소 원자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이나 중합체와 함께, 상기에 기재한 바와 같은 각 바인더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반응성 기 등을 경화시키기 위한 경화제, 도포 시공성을 향상시키거나 방오성을 부여시키기 위해서, 각종 첨가제, 용제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저굴절률층의 형성에서는, 저굴절률제 및 수지 등을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저굴절률층용 조성물의 점도를 바람직한 도포성이 얻어지는 0.5 내지 5mPa·s(25℃),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3mPa·s(25℃)의 범위의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시광선의 우수한 반사 방지층을 실현할 수 있고, 또한 균일하고 도포 얼룩이 없는 박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밀착성이 특히 우수한 저굴절률층을 형성할 수 있다.
수지의 경화 수단은, 후술하는 하드 코트층에서의 경화 수단과 마찬가지이어도 좋다. 경화 처리를 위해 가열 수단이 이용되는 경우에는, 가열에 의해, 예를 들어 라디칼을 발생하여 중합성 화합물의 중합을 개시시키는 열 중합 개시제가 불소계 수지 조성물에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상술한 방법으로 제작한 폴리에스테르 기재 위에 하드 코트층용 도막을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건조시킨 후, 상기 하드 코트층용 도막을 경화시켜서 하드 코트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저굴절률층을 상기 하드 코트층 위에 공지된 방법으로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드 코트층용 도막의 건조의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30 내지 120℃에서 3 내지 120초간 건조를 행하면 된다.
상기 하드 코트층용 도막을 경화시키는 방법으로는, 구성 성분에 따라서 공지된 방법을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예를 들어, 함유하는 바인더 수지 성분이 자외선 경화형의 것이라면, 도막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시키면 된다.
상기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우에는, 자외선 조사량이 80mJ/cm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mJ/cm2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30mJ/cm2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상기 광투과성 기재와 광학 기능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상술한 폴리에스테르 기재와 하드 코트층의 밀착성 향상을 제1 목적으로 해서 설치하는 층인데, 상기 프라이머층의 바람직한 두께는, 상기 프라이머층이 설치된 것에 기인한 간섭 줄무늬의 발생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굴절률(nx, ny), 광학 기능층의 굴절률(nh) 및 프라이머층의 굴절률(np)의 관계에서, 이하와 같이 적절히 선택된다.
(1) 프라이머층의 굴절률(np)이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nx) 및 상기 광학 기능층의 굴절률(nf)보다 큰 경우(np>nx, nf), 또는 상기 프라이머층의 굴절률(np)이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ny) 및 상기 광학 기능층의 굴절률(nf)보다 작은 경우(np<ny, nf),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3 내지 3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2) 상기 프라이머층의 굴절률(np)이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nx)보다 크고, 상기 광학 기능층의 굴절률(nf)보다 작은 경우(nx<np<nf), 또는 상기 프라이머층의 굴절률(np)이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ny)보다 작고, 상기 광학 기능층의 굴절률(nf)보다 큰 경우(nf<np<ny),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65 내지 125nm인 것이 바람직하다.
(3) 상기 프라이머층의 굴절률(np)이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ny)과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nx) 사이에 존재하는(ny<np<nx) 경우,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간섭 줄무늬 방지의 관점에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층과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계면에서의 반사량을 줄여 간섭 줄무늬를 약화시킨다는 관점에서, 상기 프라이머층의 굴절률(np)은 (nx+ny)/2에 가까울수록 바람직하다.
상술한 (1) 및 (2)에서 각각 프라이머층의 두께가 바람직한 이유는, (1)에서는, 프라이머층과 광학 기능층의 계면(계면 A)과 광투과성 기재와 프라이머층의 계면(계면 B)을 비교했을 때, 외광 입사에 대한 굴절률의 변화의 대소 관계는 계면 A와 계면 B에서는 반대이다. 그로 인해, 외광이 계면에서 반사할 때, 계면 A와 계면 B의 한쪽에서 자유 단부 반사를 하면, 다른 쪽에서는 고정 단부 반사가 되어 위상이 역회전하고 있으므로, 프라이머층이 얇으면 양쪽 계면에서의 반사광은 간섭하여 강도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한편, (2)에서는, 굴절률의 변화가 상기 계면 A와 계면 B에서 동일하기 때문에, 계면 A와 계면 B에서의 반사광의 위상은 동일해지므로, 프라이머층의 광학 막 두께는 광의 파장의 1/4일 때 양쪽 계면에서의 반사광은 간섭하여 강도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2)에서의 프라이머층의 두께의 범위는, 프라이머층의 굴절률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통상 1.47 내지 1.63 정도이므로, 이 범위의 중간값인 1.55를 굴절률로 해서, 광의 파장 380 내지 780nm로 계산한 값이다.
또한, 프라이머층과 광투과성 기재 및 광학 기능층의 굴절률의 차가 동등할 때에 양쪽 계면에서의 반사율도 동등해져, 상기 (1) 및 (2)에서의 간섭에 의한 효과가 가장 발휘된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상기 (1)의 경우에서는 두께가 3 내지 3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3nm 미만이면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와 하드 코트층의 밀착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고, 30nm를 초과하면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의 간섭 줄무늬 방지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1)의 경우에서의 프라이머층의 두께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0nm,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0nm이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층은, 상기 (2)의 경우에서는, 두께가 65 내지 125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의 간섭 줄무늬 방지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2)의 경우에서의 프라이머층의 두께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70nm,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110nm이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층은, 상기 (3)의 경우에서는,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로 설정하면 되는데, 바람직한 하한은 3nm, 바람직한 상한은 125nm이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상기 프라이머층의 단면을 전자 현미경(SEM, TEM, STEM)으로 관찰함으로써, 임의의 10점을 측정하여 얻어진 평균값(nm)이다. 매우 얇은 두께의 경우에는, 고배율 관찰한 것을 사진으로서 기록하고, 더 확대함으로써 측정한다. 확대했을 경우, 층 계면 라인이, 경계선으로서 명확하게 알 수 있을 정도로 매우 가는 선이었던 것이 굵은 선으로 된다. 그 경우에는, 굵은 선 폭을 이등분한 중심 부분을 경계선으로서 측정한다.
이러한 프라이머층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광투과성 기재와의 밀착성을 가지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종래, 광학 적층체의 프라이머층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단, 종래의 광학 적층체용의 프라이머층의 재료로부터 고려한 경우, 밀착성이나 경도도 만족하는 것을 선택하면, 상기 프라이머층의 굴절률은 1.47 내지 1.63의 범위가 되는데, 프라이머층 두께를 제어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에서는, 프라이머층의 재료 선택 범위가 매우 커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학 기능층의 굴절률(nf)은 상기 (1) 및 (2)에서의 간섭에 의한 효과가 가장 발휘되므로, 프라이머층과 광투과성 기재 및 광학 기능층의 굴절률의 차가 가까울수록 바람직하고, (3)에서는, 계면의 증가를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프라이머층의 굴절률에 가까울수록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에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상술한 재료와, 필요에 따라 광중합 개시제 및 다른 성분을 용매 중에 혼합 분산시켜서 제조한 프라이머층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혼합 분산은, 페인트 셰이커, 비즈 밀, 니이더 등의 공지된 장치를 사용하여 행하면 된다.
상기 용매로는, 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수용액, 수분산액 또는 유화액 등의 수성 도액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소의 유기 용매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 유기 용매로는, 예를 들어 알코올(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s-부탄올, t-부탄올, 벤질 알코올, PGME, 에틸렌글리콜), 케톤(예를 들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사논, 헵타논, 디이소부틸케톤, 디에틸케톤), 지방족 탄화수소(예를 들면, 헥산, 시클로헥산), 할로겐화 탄화수소(예를 들면, 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방향족 탄화수소(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크실렌), 아미드(예를 들면,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에테르(예를 들면, 디에틸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에테르 알코올(예를 들면, 1-메톡시-2-프로판올), 에스테르(예를 들면, 아세트산 메틸,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 아세트산 이소프로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기타의 성분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레벨링제, 유기 또는 무기 미립자, 광중합 개시제, 열중합 개시제, 가교제, 경화제, 중합 촉진제, 점도 조정제,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방오제, 슬립제, 굴절률 조정제,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용 조성물은, 총 고형분이 3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3% 미만이면 잔류 용제가 남거나, 백화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20%를 초과하면 프라이머층용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서, 도포 시공성이 저하되어 표면에 얼룩이나 줄무늬가 생기거나, 원하는 막 두께를 얻지 못할 우려가 있다. 상기 고형분은 4 내지 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프라이머층용 조성물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에 대한 도포는, 임의의 단계에서 실시할 수 있는데,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제조 과정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배향 결정화가 완료하기 전의 폴리에스테르 기재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결정 배향이 완료하기 전의 폴리에스테르 기재란, 미연신 필름, 미연신 필름을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배향시킨 1축 배향 필름, 나아가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의 2방향으로 저배율 연신 배향시킨 것(최종적으로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재연신시켜 배향 결정화를 완료시키기 전의 2축 연신 필름)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미연신 필름 또는 1방향으로 배향시킨 1축 연신 필름에, 상기 프라이머층용 조성물의 수성 도액을 도포하고, 그대로 세로 연신 및/또는 가로 연신과 열 고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라이머층용 조성물을 폴리에스테르 기재에 도포할 때에는, 도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예비 처리로서 폴리에스테르 기재 표면에 코로나 표면 처리, 화염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의 물리 처리를 실시하거나, 또는 프라이머층용 조성물과 함께 이것과 화학적으로 불활성인 계면 활성제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라이머층용 조성물의 도포 방법으로는, 공지된 임의의 도포 시공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롤 브러시법, 스프레이 코트법, 에어 나이프 코팅법, 함침법, 커튼 코트법 등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막은 필요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편면에만 형성해도 되고, 양면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라이머층의 굴절률과 두께를 상기 특정한 범위로 함으로써, 상기 프라이머층에 의한 간섭 줄무늬 방지 성능이 발현된다.
이러한 굴절률이 특정한 관계를 갖는 프라이머층이나 하드 코트층은, 상술한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이나 프라이머층용 조성물에, 고굴절률 미립자나 저굴절률 미립자를 함유시켜서 굴절률을 조정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굴절률 미립자로는, 예를 들어 굴절률이 1.50 내지 2.80인 금속 산화물 미립자 등이 적절하게 사용된다. 상기 금속 산화물 미립자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산화티타늄(TiO2, 굴절률: 2.71), 산화지르코늄(ZrO2, 굴절률: 2.10), 산화세륨(CeO2, 굴절률: 2.20), 산화주석(SnO2, 굴절률: 2.00), 안티몬 주석 산화물(ATO, 굴절률: 1.75 내지 1.95), 인듐 주석 산화물(ITO, 굴절률: 1.95 내지 2.00), 인 주석 화합물(PTO, 굴절률: 1.75 내지 1.85), 산화안티몬(Sb2O5, 굴절률: 2.04), 알루미늄 아연 산화물(AZO, 굴절률: 1.90 내지 2.00), 갈륨 아연 산화물(GZO, 굴절률: 1.90 내지 2.00) 및 안티몬산 아연(ZnSb2O6, 굴절률: 1.90 내지 2.00)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산화주석(SnO2), 안티몬 주석 산화물(ATO), 인듐 주석 산화물(ITO), 인 주석 화합물(PTO), 산화안티몬(Sb2O5), 알루미늄 아연 산화물(AZO), 갈륨 아연 산화물(GZO) 및 안티몬산 아연(ZnSb2O6)은 도전성 금속 산화물이며, 미립자의 확산 상태를 제어하고 도전 패스를 형성함으로써, 대전 방지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저굴절률 미립자로는, 예를 들어 굴절률이 1.20 내지 1.45인 것이 적절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저굴절률 미립자로는, 종래 공지된 저굴절률층에 사용되고 있는 미립자를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술한 중공 실리카 미립자나, LiF(굴절률 1.39), MgF2(불화마그네슘, 굴절률 1.38), AlF3(굴절률 1.38), Na3AlF6(빙정석, 굴절률 1.33) 및 NaMgF3(굴절률 1.36) 등의 금속 불화물 미립자를 들 수 있다.
상기 고굴절률 미립자 및 상기 저굴절률 미립자의 함유량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에 첨가하는 수지 성분의 경화물의, 미리 측정한 굴절률의 값과의 가중 평균으로, 형성하는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이 상술한 관계를 만족하도록, 그 밖의 성분과의 관계에서 적절히 조정하면 된다.
또한, 상기 하드 코트층은, 상술한 방법으로 형성한 프라이머층 위에 상기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하드 코트층용 도막을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건조시킨 후, 상기 하드 코트층용 도막을 경화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이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프라이머층용 조성물 중에 상기 하드 코트층용 도막의 경화에 사용하는 개시제를 함유시켜 둠으로써, 하드 코트층과 프라이머층의 밀착성을 보다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경도가, JIS K5600-5-4(1999)에 의한 연필 경도 시험(하중 4.9N)에서, HB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H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전체 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80% 미만이면 화상 표시 장치에 장착한 경우에, 색 재현성이나 시인성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는 것 외에도, 원하는 콘트라스트를 얻지 못할 우려가 있다. 상기 전체 광선 투과율은 9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전체 광선 투과율은, 헤이즈 미터(무라까미 시끼사이 기술 연구소사 제조, 제품 번호; HM-150)를 사용하여 JIS K-7361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헤이즈가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1%를 초과하면 원하는 광학 특성이 얻어지지 않아,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를 화상 표시 표면에 설치했을 때의 시인성이 저하된다.
상기 헤이즈는, 헤이즈 미터(무라까미 시끼사이 기술 연구소사 제조, 제품 번호; HM-150)를 사용하여 JIS K-7136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상기 광학 기능층이 하드 코트층인 경우, 광투과성 기재 위에, 예를 들어 상술한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하드 코트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기능층이 상기 하드 코트층 위에 저굴절률층이 적층된 구조인 경우, 광투과성 기재 위에, 상술한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하드 코트층을 형성한 후, 상술한 저굴절률층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하드 코트층 위에 저굴절률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 및 하드 코트층의 형성 방법, 저굴절률층용 조성물 및 저굴절률층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의 재료,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면 내에 복굴절률을 갖는 광투과성 기재의 한쪽 면 위에 광학 기능층을 갖는 광학 적층체가 편광 소자 위에 설치되어, 화상 표시 장치의 표면에 배치하여 사용되는 편광판이며, 상기 광투과성 기재와 상기 편광 소자는,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굴절률이 큰 방향인 지상축과 상기 편광 소자의 흡수축이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굴절률이 큰 방향인 지상축이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의 상하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편광판도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이다.
본 발명의 편광판에서의 상기 광학 적층체로는,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와 마찬가지의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에서, 상기 면 내에 복굴절률을 갖는 광투과성 기재는, 상술한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와 마찬가지의 이유에 의해, 리타데이션이 3000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굴절률이 큰 방향인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nx)과, 상기 지상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ny)의 차(nx-ny)가 0.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은, 상술한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와 마찬가지의 이유에 의해, 상기 광투과성 기재와 광학 기능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갖고,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상술한 (1) 내지 (3)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광 소자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요오드 등에 의해 염색하여 연신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폴리비닐포르말 필름, 폴리비닐아세탈 필름,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계 비누화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편광 소자와 상기 광학 적층체의 라미네이트 처리에서는, 광투과성 기재에 비누화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누화 처리에 의해, 접착성이 양호해져 대전 방지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에서, 상기 광투과성 기재와 상기 편광 소자는,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굴절률이 큰 방향인 지상축과 상기 편광 소자의 흡수축이 수직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상기 광투과성 기재와 상기 편광 소자가 상술한 바와 같이 배치되고, 또한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굴절률이 큰 방향인 지상축이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의 상하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상술한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와 마찬가지로, 반사 방지 성능과 명소 콘트라스트가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상기 "상기 광투과성 기재와 상기 편광 소자는,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굴절률이 큰 방향인 지상축과 상기 편광 소자의 흡수축이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는"이란,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과 상기 편광 소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가 90°±40°의 범위가 되도록, 상기 광투과성 기재와 상기 편광 소자가 설치된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에서,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과 상기 편광 소자의 흡수축의 각도는, 90°±30°인 것이 바람직하고, 90°±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편광판에서,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과 상기 편광 소자의 흡수축의 각도가 90°±40°임으로써, 상술한 반사 방지 성능과 명소 콘트라스트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에서는,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과 상기 편광 소자의 지상축의 각도는 90°인 것이, 반사 방지 성능과 명소 콘트라스트의 향상을 도모함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과 상기 편광 소자의 흡수축과 각도는, 90°±40°인 것보다 90°±3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10°가 된다. 또한,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과 상기 편광 소자의 흡수축의 각도가 0°±5°이면, 상기 각도가 0°일 경우와 동 레벨의 반사 방지 성능과 명소 콘트라스트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편광판은, 상기 광학 적층체의 광투과성 기재와 상기 편광 소자를,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굴절률이 큰 방향인 지상축과 상기 편광 소자의 흡수축이 수직으로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고,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굴절률이 큰 방향인 지상축이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의 상하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 또는 본 발명의 편광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도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이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LCD, PDP, FED, ELD(유기 EL, 무기 EL), CRT, 태블릿 PC, 터치 패널, 전자 페이퍼 등의 화상 표시 장치이어도 된다.
상기 중 대표적인 예인 LCD는, 투과성 표시체와, 상기 투과성 표시체를 배면으로부터 조사하는 광원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가 LCD일 경우, 이 투과성 표시체의 표면에,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 또는 본 발명의 편광판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가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 또는 편광판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인 경우, 광원 장치의 광원은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 또는 본 발명의 편광판의 하측으로부터 조사된다. 또한, 액정 표시 소자와 본 발명의 편광판의 사이에 위상차판이 삽입되어도 좋다. 이 액정 표시 장치의 각 층간에는 필요에 따라서 접착제층이 설치되어도 좋다.
상기 PDP는, 표면에 전극을 형성한 표면 유리 기판과, 당해 표면 유리 기판에 대향하여 사이에 방전 가스가 봉입되어 배치되고, 전극 및 미소한 홈을 표면에 형성하고, 홈 내에 적색, 녹색, 청색의 형광체층을 형성한 배면 유리 기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가 PDP일 경우, 상기 표면 유리 기판의 표면, 또는 그의 전방면판(유리 기판 또는 필름 기판)에 상술한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를 구비하는 것이기도 하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전압을 걸면 발광하는 황화아연, 디아민류 물질: 발광체를 유리 기판에 증착하고, 기판에 거는 전압을 제어하여 표시를 행하는 ELD 장치, 또는 전기 신호를 광으로 변환하여, 육안으로 보이는 상을 발생시키는 CRT 등의 화상 표시 장치이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은 각 표시 장치의 최표면 또는 그 전방면판의 표면에 상술한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를 구비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상기 광학 적층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인 경우, 상기 액정 표시 장치에서, 백라이트 광원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백색 발광 다이오드(백색 LED)인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 광원으로서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한 VA 모드 또는 IPS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백색 LED란, 형광체 방식, 즉 화합물 반도체를 사용한 청색광 또는 자외광을 발하는 발광 다이오드와 형광체를 조합함으로써 백색을 발하는 소자이다. 그 중에서도, 화합물 반도체를 사용한 청색 발광 다이오드와 이트륨·알루미늄·가닛계 황색 형광체를 조합한 발광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는, 연속적이고 폭넓은 발광 스펙트럼을 갖고 있으므로 반사 방지 성능 및 명소 콘트라스트의 개선에 유효함과 동시에, 발광 효율도 우수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의 상기 백라이트 광원으로서 적합하다. 또한, 소비 전력이 작은 백색 LED를 광범위하게 이용 가능하게 되므로, 에너지 절약화의 효과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VA(Vertical Alignment) 모드란, 전압 무인가일 때에 액정 분자가 액정 셀의 기판에 수직이 되도록 배향되어 암 표시를 나타내고, 전압의 인가로 액정 분자를 쓰러뜨림으로써 명 표시를 나타내는 동작 모드이다.
또한, 상기 IPS(In-Plane Switching) 모드란, 액정 셀의 한쪽 기판에 설치한 빗살형 전극쌍에 인가된 가로 방향의 전계에 의해, 액정을 기판 면 내에서 회전시켜서 표시를 행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 또는 편광판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가, 백라이트 광원으로서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한 VA 모드 또는 IPS 모드인 것이 바람직한 것은, 이하의 이유로부터이다.
즉,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표시 화면에 입사하는 비율이 많은 좌우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S 편광)의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 또는 편광판에서의 반사를 저감시킬 수 있지만, 결과적으로, 많은 S 편광이 투과하게 된다. 통상, 이들의 투과한 S 편광은 표시 장치 내부에서 흡수되지만, 관측자측으로 되돌아 오는 광도 극히 얼마 안되지만 존재한다. VA 모드 또는 IPS 모드는, 액정 셀보다 관측자측에 설치된 편광자의 흡수축이 표시 화면에 대하여 좌우 방향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 또는 편광판을 투과한 S 편광을 흡수할 수 있어, 보다 관측자측에게 되돌아 오는 광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표시 화면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편광 소자의 흡수축을 설치한 유기 EL 표시 장치이어도 된다. 상기 유기 EL 표시 장치는, 화상 표시 원리상, 편광 소자를 필요로 하지 않지만, 외광 반사 방지의 관점에서, 관측자측에서 편광 소자, λ/4 위상차판, 유기 EL 소자의 순서대로 적층한 구성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상기 편광 소자 및 λ/4 위상차판은 외광 반사 방지용 원편광판으로서 기능하는데, 통상의 λ/4 위상차판은 어떤 특정한 파장에 대해서만 λ/4 위상차판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입사한 모든 외광 반사를 방지할 수 없다. 이로 인해, 편광 소자의 흡수축을 표시 화면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함으로써, 상기 표시 화면에 입사하는 S 편광을 흡수하여, 화상 내부에 입사하는 광을 저하시킴으로써, 관찰자측에 되돌아 오는 광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유기 EL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 방식으로는, 백색 발광층을 사용하여 컬러 필터를 통과함으로써, 컬러 표시를 얻는 컬러 필터 방식, 청색 발광층을 사용하고, 그 발광의 일부를, 색변환층을 통과시킴으로써 컬러 표시를 얻는 색변환 방식, 적색·녹색·청색의 발광층을 사용하는 3색 방식, 이 3색 방식에 컬러 필터를 병용한 방식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발광층의 재료로는, 저분자이나 고분자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어떤 경우든, 텔레비전, 컴퓨터, 전자 페이퍼, 터치 패널, 태블릿 PC 등의 디스플레이 표시에 사용할 수 있다. 특히, CRT, 액정 패널, PDP, ELD, FED, 터치 패널 등의 고정밀 화상용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면 내에 복굴절률을 갖는 광투과성 기재의 한쪽 면 위에 광학 기능층을 갖는 광학 적층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도 본 발명의 하나이다.
즉,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면 내에 복굴절률을 갖는 광투과성 기재의 한쪽 면 위에 광학 기능층을 갖는 광학 적층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굴절률이 큰 방향인 지상축과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의 상하 방향이 평행해지도록, 상기 광학 적층체를 배치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학 적층체로는, 상술한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와 마찬가지의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굴절률이 큰 방향인 지상축과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의 상하 방향이 평행해지도록, 상기 광학 적층체를 배치하는"이란, 상기 지상축과 상기 표시 화면의 상하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0°±40°의 범위가 되도록, 상기 광학 적층체를 배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과 표시 화면의 상하 방향의 각도는, 0°±30°인 것이 바람직하고, 0°±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반사 방지 성능과 명소 콘트라스트가 우수하여 시인성이 개선된 것이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에 의한 시인성 개선 방법도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이다.
즉,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 개선 방법은, 면 내에 복굴절률을 갖는 광투과성 기재의 한쪽 면 위에 광학 기능층을 갖는 광학 적층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 개선 방법이며,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굴절률이 큰 방향인 지상축과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의 상하 방향이 평행해지도록, 상기 광학 적층체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 개선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학 적층체로는, 상술한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와 마찬가지의 것을 들 수 있고, 또한 상기 화상 표시 장치로는, 상술한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와 마찬가지의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굴절률이 큰 방향인 지상축과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의 상하 방향이 평행해지도록, 상기 광학 적층체를 배치하는 "이란, 상기 지상축과 상기 표시 화면의 상하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0°±40°의 범위가 되도록, 상기 광학 적층체를 배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과 표시 화면의 상하 방향의 각도는, 0°±30°인 것이 바람직하고, 0°±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 및 편광판은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같은 면 내에 복굴절률을 갖는 광투과성 기재를 사용한 경우에도, 반사 방지 성능과 명소 콘트라스트가 우수한 화상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 및 편광판은, 음극선관 표시 장치(CRT),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디스플레이(ELD), 필드 에미션 디스플레이(FED), 전자 페이퍼, 터치 패널, 태블릿 PC 등에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등에서 사용한 액정 모니터의 백라이트 광원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명소 콘트라스트 평가법)
반사율 측정시의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의 관계가 동일해지도록, 액정 모니터(FLATORON IPS226V(LG Electronics Japan사 제조))의 관찰자측의 편광 소자 위에, 광학 기능층을 관측자측이 되도록 광학 적층체를 설치하고, 주변 조도 400 럭스(명소)에서, 표시 화면의 명소 콘트라스트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명소 콘트라스트는 하기 식에 의해 표현되며, 일반적으로 명소 백색 휘도의 변화율은 작고 명소 흑색 휘도의 변화율은 크므로, 명소 콘트라스트는 명소 흑색 휘도에 지배된다. 또한, 패널 본래의 흑색 휘도는 명소 흑색 휘도에 비해 작아 무시할 수 있으므로, 하기 요령으로 흑색도(명소 흑색 휘도)를 평가하여 실질적으로 명소 콘트라스트의 평가로 하였다.
즉,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의 각도가 서로 다른 2종류의 액정 모니터에 대해서, 한쪽을 액정 모니터 A, 다른 쪽을 액정 모니터 B라 하여, 액정 모니터 A, B를 배열하고, 15명의 피험자에 의해 관능 평가(흑색 표시한 액정 모니터를 50 내지 60cm 이격된 위치에서 육안 관찰하여, 어느 쪽이 검게 보이는지를 평가)를 행하여, 검다고 대답한 인원이 12명 이상인 액정 모니터를 명소 콘트라스트가 우수하고, 인원이 12명에 미치지 못한 경우, 즉 11명 이하인 경우에는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로 하였다. 또한, 액정 모니터 A, B에 광학 적층체를 설치하는 각도는, 각 실시예, 비교예마다 적절히 각도를 달리해서 평가를 행하고 있다. 또한, 13명 이상의 피험자가 검다고 대답했을 경우에는, 특히 우수한 것으로 하였다.
명소 콘트라스트: CR=LW/LB
명소 백색 휘도(LW): 외광이 있는 명소(주변 조도 400럭스)에서, 표시 장치를 백색 표시했을 때의 휘도
명소 흑색 휘도(LB): 외광이 있는 명소(주변 조도 400럭스)에서, 표시 장치를 흑색 표시했을 때의 휘도
(반사율 측정 방법)
측정측인, 광학 적층체의 광학 기능층을 설치한 측과는 반대측에, 흑색 비닐 테이프(야마토 비닐 테이프 No 200-38-21 38mm 폭)를 붙인 후, 분광 광도계(V7100형, 자동 절대 반사율 측정 유닛 VAR-7010 닛본 분꼬우사 제조)를 사용하여, 편광 측정: S 편광에 대하여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을 평행하게 설치한 경우와, 진상축을 평행하게 설치한 경우의 5도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무지개 얼룩의 평가)
각 실시예, 비교예, 참고예에서, 상기 명소 콘트라스트 평가용에 광학 적층체를 설치한 액정 모니터를, 정면 및 경사 방향(약 50°), 50 내지 60cm 이격된 위치에서 육안 및 편광 선글라스를 끼고 표시 화상의 관찰을 행하여, 무지개 얼룩을 평가하였다.
도 1에, 사용한 액정 모니터의 백라이트 광원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리타데이션의 측정)
광투과성 기재의 리타데이션은,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하였다.
우선, 연신 후의 광투과성 기재를, 2장의 편광판을 사용하여 광투과성 기재의 배향축 방향을 구하고, 배향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2개의 축의 파장 590nm에 대한 굴절률(nx, ny)을 아베 굴절률계(아타고사 제조 NAR-4T)에 의해 구하였다. 여기서, 보다 큰 굴절률을 나타내는 축을 지상축이라 정의한다. 광투과성 기재의 두께(d)(nm)는 전기 마이크로미터(안리쓰사 제조)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단위를 nm로 환산하였다. 굴절률차(nx-ny)와 필름의 두께(d)(nm)의 곱으로부터, 리타데이션을 계산하였다.
(굴절률의 측정)
엘립소미터(UVISEL 호리바 세이사꾸쇼사 제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면 내에 복굴절률을 갖는지 여부의 판단)
면 내에 복굴절률을 갖는지 여부는, 다음과 같이 하여 판단하였다. 오지 게이소꾸 기끼사 제조 KOBRA-WR을 사용하여, 측정 각 0°이면서 측정 파장 589.3nm로 설정하여, 면 내 위상차를 측정하고, 면 내 위상차가 20nm 미만인 것은 면 내에 복굴절률을 갖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20nm 이상인 것은 면 내에 복굴절률을 갖는다고 판단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재료를 290℃에서 용융하여, 필름 형성 다이를 통해서 시트 형상으로 압출하고, 수냉 냉각한 회전 급냉 드럼 위에 밀착시켜서 냉각하여, 미연신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 미연신 필름을 2축 연신 시험 장치(도요 세끼사 제조)로, 120℃에서 1분간 예열한 후, 120℃에서 연신 배율 4.5배로 연신한 후, 그 연신 방향과는 90도의 방향으로 연신 배율 1.5배로 연신을 행하여, nx=1.70, ny=1.60, (nx-ny)=0.10, 막 두께 80㎛, 리타데이션=8000nm의 광투과성 기재를 얻었다.
이어서, 광학 기능층으로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TA)를 MIBK 용매에 30질량% 용해시키고, 광중합 개시제(Irg184, 바스프(BASF)사 제조)를 고형분에 대하여 5질량% 첨가한 광학 기능층용 조성물을, 바 코터에 의해, 건조 후의 막 두께가 5㎛가 되도록 도포 시공해서 도막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형성한 도막을 70℃에서 1분간 가열하여 용제를 제거하고, 도포 시공면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고정화하여, 굴절률(nf) 1.53의 광학 기능층을 갖는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을 평행(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의 각도가 0°)하게 설치하여 측정한 실시예 1의 광학 적층체의 반사율은 4.45%이고,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을 평행(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의 각도가 90°)하게 설치하여 측정한 비교예 1의 반사율은 4.73%로, 실시예 1의 광학 적층체가 반사 방지 성능이 더 우수하였다.
또한, 반사율 측정시의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의 관계가 동일해지도록, 액정 모니터(FLATORON IPS226V(LG Electronics Japan사 제조))의 관찰자측의 편광 소자 위에, 광학 기능층을 관측자측이 되도록 광학 적층체를 설치하고, 주변 조도 400럭스(명소)에서, 표시 화면의 명소 콘트라스트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의 경우, 표시 화면에 입사하는 비율이 많은 상기 표시 화면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진동하는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을 평행(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이 표시 화면의 상하 방향과 평행, 즉,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과 표시 화면의 상하 방향의 각도가 0°)이 되도록 설치하고, 비교예 1의 경우,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을 평행(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과 표시 화면의 상하 방향의 각도를 90°)하게 설치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A는, 비교예 1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B보다 표시 화면의 명소 콘트라스트가 특히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1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A는, 무지개 얼룩도 없어 시인성 개선이 매우 잘된 상태이었다. 한편, 비교예 1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B는 무지개 얼룩은 보이지 않지만, 실시예 1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A와 비교하여 명소 콘트라스트가 떨어지고, 반사 방지 성능도 떨어진 것이었다.
(실시예 2, 비교예 2)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재료를 290℃에서 용융하여 필름 형성 다이를 통해서 시트 형상으로 압출하고, 수냉 냉각한 회전 급냉 드럼 위에 밀착시켜서 냉각하여, 미연신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 미연신 필름을 2축 연신 시험 장치(도요 세끼사 제조)로 120℃에서 1분간 예열한 후, 120℃에서 연신 배율 4.5배로 연신한 후, 그 연신 방향과는 90도의 방향으로 연신 배율 1.8배로 연신을 행하여, nx=1.68, ny=1.62, (nx-ny)=0.06, 막 두께 80㎛, 리타데이션=4800nm의 광투과성 기재를 얻었다.
얻어진 광투과성 기재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굴절률(nf) 1.53의 광학 기능층을 갖는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광학 적층체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의 각도를 0°)로 해서 반사율을 측정하고, 명소 콘트라스트를 평가한 결과, 실시예 2의 광학 적층체의 반사율은 4.46%이고,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을 평행(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의 각도를 90°)하게 설치하여 측정한 비교예 2의 광학 적층체의 반사율은 4.63%로, 실시예 2의 광학 적층체가 반사 방지 성능이 더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가한 실시예 2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A는, 비교예 2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B보다 표시 화면의 명소 콘트라스트가 특히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2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A는, 무지개 얼룩도 없어 시인성 개선이 매우 잘된 상태이었다. 한편, 비교예 2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B는 무지개 얼룩은 보이지 않지만, 실시예 2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A와 비교하여 명소 콘트라스트가 떨어진 것이었다.
(실시예 3, 비교예 3)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재료를 290℃에서 용융하여, 필름 형성 다이를 통해서 시트 형상으로 압출하고, 수냉 냉각한 회전 급냉 드럼 위에 밀착시켜서 냉각하여, 미연신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 미연신 필름을 2축 연신 시험 장치(도요 세끼사 제조)로 120℃에서 1분간 예열한 후, 120℃에서 연신 배율 4.5배로 연신한 후, 편측에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 분산체 28.0질량부와 물 72.0질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라이머층용 수지 조성물을 롤 코터로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계속해서, 이 도포 필름을 95℃에서 건조하고, 앞의 연신 방향과는 90도의 방향으로 연신 배율 1.5배로 연신을 행하여, nx=1.70, ny=1.60, (nx-ny)=0.10, 막 두께 80㎛, 리타데이션=8000nm의 필름 위에, 굴절률 1.56, 막 두께 100nm의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광투과성 기재를 얻었다.
얻어진 광투과성 기재를 사용한 것 이외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굴절률(nf) 1.53의 광학 기능층을 갖는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광학 적층체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의 각도를 0°)로 하여 반사율을 측정하고, 명소 콘트라스트를 평가한 결과, 실시예 3의 광학 적층체의 반사율은 4.36%이고,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을 평행(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의 각도를 90°)하게 설치하여 측정한 비교예 3의 광학 적층체의 반사율은 4.48%로, 실시예 3의 광학 적층체가 반사 방지 성능이 더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가한 실시예 3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A는, 비교예 3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B보다 표시 화면의 명소 콘트라스트가 특히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3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A는, 무지개 얼룩도 없어 시인성 개선이 매우 잘된 상태이었다. 한편, 비교예 3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B는 무지개 얼룩은 보이지 않지만, 실시예 3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A와 비교하여 명소 콘트라스트가 떨어진 것이었다.
(실시예 4, 비교예 4)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재료를 290℃에서 용융하여, 필름 형성 다이를 통해서 시트 형상으로 압출하고, 수냉 냉각한 회전 급냉 드럼 위에 밀착시켜서 냉각하여, 미연신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 미연신 필름을 2축 연신 시험 장치(도요 세끼사 제조)로 120℃에서 1분간 예열한 후, 120℃에서 연신 배율 4.0배로 연신한 후, 편측에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 분산체 28.0질량부와 물 72.0질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라이머층용 수지 조성물을 롤 코터로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계속해서, 이 도포 필름을 95℃에서 건조하고, 앞의 연신 방향과는 90도의 방향으로 연신 배율 1.8배로 연신을 행하여, nx=1.68, ny=1.63, (nx-ny)=0.05, 막 두께 70㎛, 리타데이션=3500nm의 필름 위에, 굴절률(np) 1.56, 막 두께 100nm의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광투과성 기재를 얻었다.
얻어진 광투과성 기재를 사용한 것 이외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굴절률(nf) 1.53의 광학 기능층을 갖는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또한, 광학 기능층은 프라이머층 위에 형성하였다. 얻어진 광학 적층체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의 각도를 0°)로 하여 반사율을 측정하고, 명소 콘트라스트를 평가한 결과, 실시예 4 광학 적층체의 반사율은 4.38%이고,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을 평행(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의 각도를 90°)하게 설치하여 측정한 비교예 4의 광학 적층체의 반사율은 4.47%로, 실시예 4의 광학 적층체가 반사 방지 성능이 더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가한 실시예 4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A는, 비교예 4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B보다 표시 화면의 명소 콘트라스트가 특히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4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A는, 무지개 얼룩도 없어 시인성 개선이 매우 잘된 상태이었다. 한편, 비교예 4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B는 무지개 얼룩은 보이지 않지만, 실시예 4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A와 비교하여 명소 콘트라스트가 떨어진 것이었다.
(실시예 5, 비교예 5)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재료를 290℃에서 용융하여, 필름 형성 다이를 통해서 시트 형상으로 압출하고, 수냉 냉각한 회전 급냉 드럼 위에 밀착시켜서 냉각하여, 미연신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 미연신 필름을 2축 연신 시험 장치(도요 세끼사 제조)로 120℃에서 1분간 예열한 후, 120℃에서 연신 배율 4.5배로 연신한 후, 편측에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 분산체 28.0질량부와 물 72.0질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라이머층용 수지 조성물을 롤 코터로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계속해서, 이 도포 필름을 95℃에서 건조하고, 앞의 연신 방향과는 90도의 방향으로 연신 배율 1.5배로 연신을 행하여, nx=1.70, ny=1.60, (nx-ny)=0.10, 막 두께 38㎛, 리타데이션=3800nm의 필름 위에, 굴절률(np) 1.56, 막 두께 100nm의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광투과성 기재를 얻었다.
얻어진 광투과성 기재를 사용한 것 이외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굴절률(nf) 1.53의 광학 기능층을 갖는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또한, 광학 기능층은 프라이머층 위에 형성하였다. 얻어진 광학 적층체를 사용하여,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30°가 되도록 설치하여 측정한 실시예 5의 광학 적층체의 반사율은 4.39%이고,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30°가 되도록 설치하여 측정한 비교예 5의 광학 적층체의 반사율은 4.45%로, 실시예 5의 광학 적층체가 반사 방지 성능이 더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가한 실시예 5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A는, 비교예 5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B보다 표시 화면의 명소 콘트라스트가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5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A는, 무지개 얼룩은 편광 선글라스를 끼고 희미하게 보이는 정도로 실제 사용상 문제없는 레벨이며, 시인성이 개선된 상태이었다. 한편, 비교예 5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B는, 무지개 얼룩은 편광 선글라스를 끼고 희미하게 보이는 정도로 실제 사용상 문제없는 레벨이었지만, 실시예 5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A와 비교하여 명소 콘트라스트가 떨어진 것이었다.
또한, 실시예 5의 광학 적층체에서의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이 이루는 각도를 마이너스측으로 동 각도로 한 액정 모니터 A'와, 비교예 5의 광학 적층체에서의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를 마이너스측으로 동 각도로 한 액정 모니터 B'에 대해서, 반사율 및 명소 콘트라스트를 평가한 결과, 실시예 5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A 및 비교예 5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B와 마찬가지의 결과이었다.
(실시예 6, 비교예 6)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재료를 290℃에서 용융하여, 필름 형성 다이를 통해서 시트 형상으로 압출하고, 수냉 냉각한 회전 급냉 드럼 위에 밀착시켜서 냉각하여, 미연신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 미연신 필름을 2축 연신 시험 장치(도요 세끼사 제조)로 120℃에서 1분간 예열한 후, 120℃에서 연신 배율 4.5배로 연신한 후, 편측에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 분산체 28.0질량부와 물 72.0질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라이머층용 수지 조성물을 롤 코터로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계속해서, 이 도포 필름을 95℃에서 건조하고, 앞의 연신 방향과는 90도의 방향으로 연신 배율 1.5배로 연신을 행하여, nx=1.70, ny=1.60, (nx-ny)=0.10, 막 두께 10㎛, 리타데이션=1000nm의 필름 위에, 굴절률(np) 1.56, 막 두께 100nm의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광투과성 기재를 얻었다.
얻어진 광투과성 기재를 사용한 것 이외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굴절률(nf) 1.53의 광학 기능층을 갖는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광학 적층체를 사용하여,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이 평행(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의 각도가 0°)이 되도록 설치하여 측정한 실시예 6의 광학 적층체의 반사율은 4.40%, S 편광과 지상축이 평행(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의 각도가 90°)이 되도록 설치하여 측정한 비교예 6의 광학 적층체의 반사율은 4.47%로, 실시예 6의 광학 적층체가 반사 방지 성능이 더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가한 실시예 6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A는, 비교예 6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B보다 표시 화면의 명소 콘트라스트가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6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A는, 무지개 얼룩도 없고 시인성이 개선된 상태이었다. 한편, 비교예 6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B는 무지개 얼룩은 보이지 않지만, 실시예 6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A와 비교하여 명소 콘트라스트가 떨어진 것이었다.
(실시예 7, 비교예 7)
실시예 1에서 얻은 광학 적층체를 사용하여,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5°가 되도록 설치하여 측정한 실시예 7의 광학 적층체의 반사율은 4.46%이고,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5°가 되도록 설치하여 측정한 비교예 7의 광학 적층체의 반사율은 4.72%로, 실시예 7의 광학 적층체가 반사 방지 성능이 더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가한 실시예 7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A는, 비교예 7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B보다 표시 화면의 명소 콘트라스트가 특히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7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A는, 무지개 얼룩도 없고 시인성 개선이 매우 잘된 상태이었다. 한편, 비교예 7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B는 무지개 얼룩은 보이지 않지만, 실시예 7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A와 비교하여 명소 콘트라스트가 떨어지고, 반사 방지 성능도 떨어진 것이었다.
또한, 실시예 7의 광학 적층체에서의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이 이루는 각도를 마이너스측으로 동 각도로 한 액정 모니터 A'와, 비교예 7의 광학 적층체에서의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를 마이너스측으로 동 각도로 한 액정 모니터 B'에 대해서, 반사율 및 명소 콘트라스트를 평가한 결과, 실시예 7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A 및 비교예 7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B와 마찬가지의 결과이었다.
(실시예 8, 비교예 8)
실시예 1에서 얻은 광학 적층체를 사용하여,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10°가 되도록 설치하여 측정한 실시예 8의 광학 적층체의 반사율은 4.48%이고,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10°가 되도록 설치하여 측정한 비교예 8의 광학 적층체의 반사율은 4.68%로, 실시예 8의 광학 적층체가 반사 방지 성능이 더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가한 실시예 8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A는, 비교예 8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B보다 표시 화면의 명소 콘트라스트가 특히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8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A는, 무지개 얼룩도 없고 시인성 개선이 매우 잘된 상태이었다. 한편, 비교예 8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B는 무지개 얼룩은 보이지 않지만, 실시예 8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A와 비교하여 명소 콘트라스트가 떨어지고, 반사 방지 성능도 떨어진 것이었다.
또한, 실시예 8의 광학 적층체에서의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이 이루는 각도를 마이너스측으로 동 각도로 한 액정 모니터 A'와, 비교예 8의 광학 적층체에서의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를 마이너스측으로 동 각도로 한 액정 모니터 B'에 대해서, 반사율 및 명소 콘트라스트를 평가한 결과, 실시예 8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A 및 비교예 8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B와 마찬가지의 결과이었다.
(실시예 9, 비교예 9)
실시예 1에서 얻은 광학 적층체를 사용하여,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30°가 되도록 설치하여 측정한 실시예 9의 광학 적층체의 반사율은 4.56%이고,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30°가 되도록 설치하여 측정한 비교예 9의 광학 적층체의 반사율은 4.64%로, 실시예 9의 광학 적층체가 반사 방지 성능이 더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가한 실시예 9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A는, 비교예 9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B보다 표시 화면의 명소 콘트라스트가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9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A는, 무지개 얼룩도 없고 시인성 개선이 매우 잘된 상태이었다. 한편, 비교예 9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B는 무지개 얼룩은 보이지 않지만, 실시예 9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A와 비교하여 명소 콘트라스트가 떨어지고, 반사 방지 성능도 떨어진 것이었다.
또한, 실시예 9의 광학 적층체에서의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이 이루는 각도를 마이너스측으로 동 각도로 한 액정 모니터 A'와, 비교예 9의 광학 적층체에서의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를 마이너스측으로 동 각도로 한 액정 모니터 B'에 대해서, 반사율 및 명소 콘트라스트를 평가한 결과, 실시예 9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A 및 비교예 9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B와 마찬가지의 결과이었다.
(실시예 10, 비교예 10)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재료를 290℃에서 용융하여, 필름 형성 다이를 통해서 시트 형상으로 압출하고, 수냉 냉각한 회전 급냉 드럼 위에 밀착시켜서 냉각하여, 미연신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 미연신 필름을 2축 연신 시험 장치(도요 세끼사 제조)로 120℃에서 1분간 예열한 후, 120℃에서 연신 배율 4.5배로 연신한 후, 편측에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 분산체 28.0질량부와 물 72.0질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라이머층용 수지 조성물을 롤 코터로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계속해서, 이 도포 필름을 95℃에서 건조하고, 앞의 연신 방향과는 90도의 방향으로 연신 배율 1.5배로 연신을 행하여, nx=1.81, ny=1.60, (nx-ny)=0.21, 막 두께 40㎛, 리타데이션=8400nm의 필름 위에, 굴절률(np) 1.56, 막 두께 100nm의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광투과성 기재를 얻었다.
얻어진 광투과성 기재를 사용한 것 이외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굴절률(nf) 1.53의 광학 기능층을 갖는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또한, 광학 기능층은 프라이머층 위에 형성하였다. 얻어진 광학 적층체를 사용하여,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0°가 되도록 설치하여 측정한 실시예 10의 광학 적층체의 반사율은 4.37%이고,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0°가 되도록 설치하여 측정한 비교예 10의 광학 적층체의 반사율은 4.79%로, 실시예 10의 광학 적층체가 반사 방지 성능이 더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가한 실시예 10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A는, 비교예 10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B보다 표시 화면의 명소 콘트라스트가 특히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10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A는, 무지개 얼룩도 없고 시인성 개선이 매우 잘된 상태이었다. 한편, 비교예 10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B의 표시 화면은 무지개 얼룩은 보이지 않지만, 실시예 10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A와 비교하여 명소 콘트라스트가 떨어진 것이었다.
(비교예 11)
실시예 1에서 제작한 광학 적층체를 사용하여,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45°가 되도록 설치하여 측정한 반사율은 4.59%,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45°가 되도록 설치하여 측정한 반사율도 마찬가지로 4.59%로, 반사율에 차이는 없어 반사 방지 성능은 얻어지지 않았다.
실시예 9의 광학 적층체를 설치한 액정 모니터를 액정 모니터 A로 하고, 비교예 11의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45°가 되도록 한 광학 적층체를 설치한 액정 모니터를 액정 모니터 B로 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명소 콘트라스트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비교예 11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B의 표시 화면의 명소 콘트라스트보다, 실시예 9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A의 표시 화면의 명소 콘트라스트가 우수하였다. 비교예 11의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45°가 되도록 한 광학 적층체를 설치한 액정 모니터를 액정 모니터 B'로 하여, 액정 모니터 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명소 콘트라스트를 평가한 결과, 상기 액정 모니터 B와 마찬가지의 결과이었다.
계속해서, 실시예 1, 7 및 8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를 액정 모니터 A로 하고, 실시예 9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를 액정 모니터 B로 해서, 마찬가지로 명소 콘트라스트를 평가한 결과, 실시예 9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B의 표시 화면의 명소 콘트라스트보다 실시예 1, 실시예 7 및 실시예 8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A의 표시 화면의 명소 콘트라스트가 우수하였다.
(비교예 12)
실시예 3에서 제작한 광학 적층체를 사용하여,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45°가 되도록 설치하여 측정한 반사율은 4.42%,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45°가 되도록 설치하여 측정한 반사율도 마찬가지로 4.42%로, 반사율에 차이는 없어, 반사 방지 성능은 얻어지지 않았다.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45°가 되도록 한 광학 적층체를 설치한 액정 모니터를 액정 모니터 A로 하고,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45°가 되도록 한 광학 적층체를 설치한 액정 모니터를 액정 모니터 B로 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무지개 얼룩 및 명소 콘트라스트를 평가한 결과, 어느 각도로 설치한 경우든 무지개 얼룩은 보이지 않고 각도마다의 명소 콘트라스트에도 차이는 없었지만, 실시예 3에 관한 광학 적층체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 A에 비해, 비교예 12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는 어느 각도로 설치한 경우든 명소 콘트라스트가 떨어진 것이었다.
(참고예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재료를 290℃에서 용융하여, 필름 형성 다이를 통해서 시트 형상으로 압출하고, 수냉 냉각한 회전 급냉 드럼 위에 밀착시켜서 냉각하여, 미연신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 미연신 필름을 2축 연신 시험 장치(도요 세끼사 제조)로 120℃에서 1분간 예열한 후, 120℃에서 연신 배율 4.5배로 연신한 후, 편측에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 분산체 28.0질량부와 물 72.0질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라이머층용 수지 조성물을 롤 코터로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계속해서, 이 도포 필름을 95℃에서 건조하고, 앞의 연신 방향과는 90도의 방향으로 연신 배율 1.5배로 연신을 행하여, nx=1.70, ny=1.60, (nx-ny)=0.10, 막 두께 28㎛, 리타데이션=2800nm의 필름 위에, 굴절률(np) 1.56, 막 두께 100nm의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광투과성 기재를 얻었다. 얻어진 광투과성 기재를 사용한 것 이외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굴절률(nf) 1.53의 광학 기능층을 갖는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광학 적층체를 사용하여,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30°가 되도록 설치하여 측정한 반사율은 4.39%, S 편광과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30°가 되도록 설치하여 측정한 반사율은 4.45%로, 반사율에 차이가 있어, 반사 방지 효과가 얻어졌다. 명소 콘트라스트에서도,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30°가 되도록 설치한 광학 적층체를 설치한 액정 모니터를 액정 모니터 A로 하고, S 편광과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30°가 되도록 설치한 액정 모니터를 액정 모니터 B로 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무지개 얼룩 및 명소 콘트라스트를 평가한 결과, 액정 모니터 A가 명소 콘트라스트는 더 우수했지만, 리타데이션이 3000nm 미만이었기 때문에, 편광 선글라스를 끼고 본 무지개 얼룩이 강하게 관측되었다.
또한, 참고예 1의 상기 액정 모니터 A의 광학 적층체에서의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이 이루는 각도를 마이너스측으로 동 각도로 한 액정 모니터를 액정 모니터 A'로 하고, 참고예 1의 상기 액정 모니터 B의 광학 적층체에서의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를 마이너스측으로 동 각도로 한 액정 모니터를 액정 모니터 B'로 하여, 액정 모니터 A' 및 액정 모니터 B'에 대해서, 반사율 및 명소 콘트라스트를 평가한 결과, 참고예 1의 액정 모니터 A 및 액정 모니터 B와 마찬가지의 결과이었다.
(참고예 2)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재료를 290℃에서 용융하여, 필름 형성 다이를 통해서 시트 형상으로 압출하고, 수냉 냉각한 회전 급냉 드럼 위에 밀착시켜서 냉각하여, 미연신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 미연신 필름을 2축 연신 시험 장치(도요 세끼사 제조)로 120℃에서 1분간 예열한 후, 120℃에서 연신 배율 3.8배로 연신한 후, 편측에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 분산체 28.0질량부와 물 72.0질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라이머층용 수지 조성물을 롤 코터로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계속해서, 이 도포 필름을 95℃에서 건조하고, 앞의 연신 방향과는 90도의 방향으로 연신 배율 1.8배로 연신을 행하여, nx=1.66, ny=1.63, (nx-ny)=0.03, 막 두께 100㎛, 리타데이션=3500nm의 필름 위에, 굴절률(np) 1.56, 막 두께 100nm의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광투과성 기재를 얻었다. 얻어진 광투과성 기재를 사용한 것 이외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굴절률(nf) 1.53의 광학 기능층을 갖는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광학 적층체를 사용하여,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을 평행(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의 각도를 0°)하게 설치하여 측정한 반사율은 4.41%,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을 평행(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의 각도를 0°)하게 설치하여 측정한 반사율은 4.43%로, 반사율에 약간의 차이가 있어 반사 방지 효과가 있었다. 또한,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0°가 되도록 설치한 광학 적층체를 설치한 액정 모니터를 액정 모니터 A로 하고, S 편광과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0°가 되도록 설치한 액정 모니터를 액정 모니터 B로 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무지개 얼룩 및 명소 콘트라스트를 평가한 결과, 어느 각도로 설치한 경우든 무지개 얼룩은 보이지 않았지만, 명소 콘트라스트에서는, 어느 각도로 설치한 경우든 차이가 보이지 않고, (nx-ny)=0.03으로 작기 때문에, 명소 콘트라스트가 실시예 4, 5의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액정 모니터에 비하면 떨어졌다.
(참고예 3)
nx=1.48026, ny=1.48019, (nx-ny)=0.0007, 막 두께 80㎛이며, 면 내 위상차가 5.6nm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D80ULM 후지 필름사 제조) 기재 위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굴절률(nf) 1.53의 광학 기능층을 형성해서 광학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광학 적층체를 사용하여,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을 평행(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의 각도를 0°)하게 설치하여 측정한 반사율은 4.39%,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을 평행(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의 각도를 0°)하게 설치하여 측정한 반사율도 마찬가지로 4.39%로, 반사율에 차이는 없었다. 상기 반사율에 차이는 없지만, 광투과성 기재로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를 사용했기 때문에, 반사율에 문제는 없다.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0°가 되도록 설치한 광학 적층체를 설치한 액정 모니터를 액정 모니터 A로 하고, S 편광과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0°가 되도록 설치하여 측정한 광학 적층체를 설치한 액정 모니터를 액정 모니터 B로 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무지개 얼룩 및 명소 콘트라스트를 평가한 결과, 어느 각도로 설치한 경우든 명소 콘트라스트에 차이는 없고, 무지개 얼룩도 보이지 않았다. 당해 참고예 3에 의해, 종래,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되었던 면 내에 복굴절률을 갖지 않는 광투과성 기재를 사용한 경우, 명소 콘트라스트 및 무지개 얼룩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시인성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실시예에서는, 이 참고예 3의 시인성과 동일 정도로 우수한 시인성이 얻어졌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 및 편광판은, 음극선관 표시 장치(CRT),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디스플레이(ELD), 필드 에미션 디스플레이(FED), 터치 패널, 전자 페이퍼, 태블릿 PC 등에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2)

  1. 면 내에 복굴절률을 갖는 광투과성 기재의 한쪽 면 위에 광학 기능층을 갖고, 화상 표시 장치의 표면에 배치하여 사용되는 광학 적층체이며,
    상기 화상 표지 장치의 편광자의 흡수축이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에 대하여 좌우 방향이고,
    상기 광투과성 기재는, 굴절률이 큰 방향인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nx)과 상기 지상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ny)의 차(nx-ny)가 0.05 이상이고,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굴절률이 큰 방향인 지상축이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의 상하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적층체.
  2. 제1항에 있어서, 광투과성 기재와 광학 기능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갖고,
    상기 프라이머층의 굴절률(np)이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nx) 및 상기 광학 기능층의 굴절률(nf)보다 큰 경우(np>nx, nf), 또는
    상기 프라이머층의 굴절률(np)이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ny) 및 상기 광학 기능층의 굴절률(nf)보다 작은 경우(np<ny, nf),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가 3 내지 30nm인 광학 적층체.
  3. 제1항에 있어서, 광투과성 기재와 광학 기능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갖고,
    상기 프라이머층의 굴절률(np)이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nx)보다 크고, 상기 광학 기능층의 굴절률(nf)보다 작은 경우(nx<np<nf), 또는
    상기 프라이머층의 굴절률(np)이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ny)보다 작고, 상기 광학 기능층의 굴절률(nf)보다 큰 경우(nf<np<ny),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가 65 내지 125nm인 광학 적층체.
  4. 제1항에 있어서, 광투과성 기재와 광학 기능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갖고,
    상기 프라이머층의 굴절률(np)이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ny)과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nx) 사이에 존재하는(ny<np<nx) 광학 적층체.
  5. 면 내에 복굴절률을 갖는 광투과성 기재의 한쪽 면 위에 광학 기능층을 갖는 광학 적층체가 편광 소자 위에 설치되고, 화상 표시 장치의 표면에 배치하여 사용되는 편광판이며,
    상기 편광 소자의 흡수축이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에 대하여 좌우 방향이고,
    상기 광학 적층체와 상기 편광 소자는,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굴절률이 큰 방향인 지상축과 상기 편광 소자의 흡수축이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광투과성 기재는, 굴절률이 큰 방향인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nx)과 상기 지상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ny)의 차(nx-ny)가 0.05 이상이고,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굴절률이 큰 방향인 지상축이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의 상하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6. 제5항에 있어서, 광투과성 기재와 광학 기능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갖고,
    상기 프라이머층의 굴절률(np)이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nx) 및 상기 광학 기능층의 굴절률(nf)보다 큰 경우(np>nx, nf), 또는
    상기 프라이머층의 굴절률(np)이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ny) 및 상기 광학 기능층의 굴절률(nf)보다 작은 경우(np<ny, nf),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가 3 내지 30nm인 편광판.
  7. 제5항에 있어서, 광투과성 기재와 광학 기능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갖고,
    상기 프라이머층의 굴절률(np)이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nx)보다 크고, 상기 광학 기능층의 굴절률(nf)보다 작은 경우(nx<np<nf), 또는
    상기 프라이머층의 굴절률(np)이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ny)보다 작고, 상기 광학 기능층의 굴절률(nf)보다 큰 경우(nf<np<ny),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가 65 내지 125nm인 편광판.
  8. 제5항에 있어서, 광투과성 기재와 광학 기능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갖고,
    상기 프라이머층의 굴절률(np)이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ny)과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nx) 사이에 존재하는(ny<np<nx) 편광판.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광학 적층체, 또는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편광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백라이트 광원으로서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VA 모드 또는 IPS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인 화상 표시 장치.
  11. 면 내에 복굴절률을 갖는 광투과성 기재의 한쪽 면 위에 광학 기능층을 갖는 광학 적층체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편광자의 흡수축이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에 대하여 좌우 방향이고,
    상기 광투과성 기재는, 굴절률이 큰 방향인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nx)과 상기 지상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ny)의 차(nx-ny)가 0.05 이상이고,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굴절률이 큰 방향인 지상축과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의 상하 방향이 평행해지도록, 상기 광학 적층체를 배치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2. 면 내에 복굴절률을 갖는 광투과성 기재의 한쪽 면 위에 광학 기능층을 갖는 광학 적층체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 개선 방법이며,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편광자의 흡수축이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에 대하여 좌우 방향이고,
    상기 광투과성 기재는, 굴절률이 큰 방향인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nx)과 상기 지상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ny)의 차(nx-ny)가 0.05 이상이고,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굴절률이 큰 방향인 지상축과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의 상하 방향이 평행해지도록 상기 광학 적층체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 개선 방법.
KR1020147005996A 2012-05-31 2013-05-21 광학 적층체,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 개선 방법 KR1014018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25412 2012-05-31
JP2012125412 2012-05-31
JP2012223583A JP5304939B1 (ja) 2012-05-31 2012-10-05 光学積層体、偏光板、偏光板の製造方法、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の視認性改善方法
JPJP-P-2012-223583 2012-10-05
PCT/JP2013/064084 WO2013179951A1 (ja) 2012-05-31 2013-05-21 光学積層体、偏光板、偏光板の製造方法、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の視認性改善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2601A Division KR101390520B1 (ko) 2012-05-31 2013-05-21 광학 적층체,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 개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088A true KR20140039088A (ko) 2014-03-31
KR101401815B1 KR101401815B1 (ko) 2014-05-29

Family

ID=49529443

Famil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5995A KR101465944B1 (ko) 2012-05-31 2013-05-21 광학 적층체,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 개선 방법
KR1020207007214A KR20200029635A (ko) 2012-05-31 2013-05-21 광학 적층체,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 개선 방법
KR1020177028541A KR102090123B1 (ko) 2012-05-31 2013-05-21 광학 적층체,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 개선 방법
KR1020147012469A KR20140069350A (ko) 2012-05-31 2013-05-21 광학 적층체,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 개선 방법
KR1020147005998A KR20150003709A (ko) 2012-05-31 2013-05-21 광학 적층체,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 개선 방법
KR1020147005996A KR101401815B1 (ko) 2012-05-31 2013-05-21 광학 적층체,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 개선 방법
KR1020137032601A KR101390520B1 (ko) 2012-05-31 2013-05-21 광학 적층체,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 개선 방법
KR1020147012467A KR101441282B1 (ko) 2012-05-31 2013-05-21 광학 적층체,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 개선 방법
KR1020147005997A KR101401895B1 (ko) 2012-05-31 2013-05-21 광학 적층체,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 개선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5995A KR101465944B1 (ko) 2012-05-31 2013-05-21 광학 적층체,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 개선 방법
KR1020207007214A KR20200029635A (ko) 2012-05-31 2013-05-21 광학 적층체,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 개선 방법
KR1020177028541A KR102090123B1 (ko) 2012-05-31 2013-05-21 광학 적층체,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 개선 방법
KR1020147012469A KR20140069350A (ko) 2012-05-31 2013-05-21 광학 적층체,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 개선 방법
KR1020147005998A KR20150003709A (ko) 2012-05-31 2013-05-21 광학 적층체,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 개선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2601A KR101390520B1 (ko) 2012-05-31 2013-05-21 광학 적층체,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 개선 방법
KR1020147012467A KR101441282B1 (ko) 2012-05-31 2013-05-21 광학 적층체,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 개선 방법
KR1020147005997A KR101401895B1 (ko) 2012-05-31 2013-05-21 광학 적층체,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 개선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7) US9995953B2 (ko)
EP (2) EP3839582A1 (ko)
JP (11) JP5304939B1 (ko)
KR (9) KR101465944B1 (ko)
CN (10) CN108919409B (ko)
TW (7) TW201403116A (ko)
WO (1) WO20131799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04939B1 (ja) 2012-05-31 2013-10-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積層体、偏光板、偏光板の製造方法、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の視認性改善方法
JP5895880B2 (ja) * 2013-03-18 2016-03-30 ソニー株式会社 光学素子、投射型画像表示装置および原盤
JP2015132691A (ja) * 2014-01-10 2015-07-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樹脂積層板及びタッチパネル
JP2015219508A (ja) * 2014-05-21 2015-12-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積層体、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の干渉縞改善方法
CN106796371B (zh) * 2015-03-04 2018-02-09 东洋纺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
JP6483811B2 (ja) * 2015-04-13 2019-03-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透明基材フィルム積層体、タッチパネル用センサーフィルム、タッチパネル、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視認性改善方法
KR101871573B1 (ko) * 2016-04-27 2018-06-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명암비 개선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CN107533180B (zh) * 2015-04-29 2020-09-22 三星Sdi株式会社 改善对比率的光学膜、包含其的偏光板及液晶显示装置
DE112016003418B4 (de) * 2015-07-28 2023-01-19 Alps Alpine Co., Ltd. Mehrlagenstruktu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Mehrlagenstruktur
JP2017049536A (ja) * 2015-09-04 2017-03-09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反射防止積層体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JP6880548B2 (ja) * 2015-12-02 2021-06-02 東洋紡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WO2017119473A1 (ja) * 2016-01-08 2017-07-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光学フィルムの選定方法
JP6819871B2 (ja) * 2016-03-22 2021-01-27 荒川化学工業株式会社 積層体の製造方法
KR101953860B1 (ko) * 2016-07-28 2019-03-04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자 보호용 광학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040293B1 (ko) * 2016-08-29 2019-11-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988549B1 (ko) * 2016-12-12 2019-06-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JP7259207B2 (ja) * 2017-03-30 2023-04-18 東レ株式会社 フィルム
WO2018181653A1 (ja) * 2017-03-31 2018-10-04 東洋紡株式会社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TWI661223B (zh) 2017-04-28 2019-06-01 南韓商Lg化學股份有限公司 光調變裝置及眼睛佩戴物
KR102063201B1 (ko) * 2017-05-18 2020-01-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063202B1 (ko) * 2017-06-01 2020-02-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CN109696995A (zh) * 2017-10-20 2019-04-30 苏州欧菲光科技有限公司 触摸屏和电子装置
CN111684324B (zh) * 2018-01-30 2022-05-13 富士胶片株式会社 偏振片、圆偏振片、显示装置
KR102181559B1 (ko) * 2018-03-06 2020-11-20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WO2019172651A1 (ko) * 2018-03-06 2019-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JP2021513111A (ja) 2018-06-29 2021-05-20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偏光板、液晶パネル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6824935B2 (ja) * 2018-07-10 2021-02-0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09291512B (zh) * 2018-08-09 2020-09-01 桐乡市凯瑞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环保型可降解的气泡包装袋及其制作工艺
KR102281759B1 (ko) * 2018-10-17 2021-07-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2020134678A (ja) * 2019-02-19 2020-08-31 東洋紡株式会社 位相差層積層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CN113631366B9 (zh) * 2019-03-29 2023-12-05 株式会社Lg化学 光学层合体
WO2020242117A1 (ko) * 2019-05-28 2020-1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08249A (ko) 2019-07-12 2021-01-21 희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JPWO2022196756A1 (ko) * 2021-03-18 2022-09-22

Family Cites Families (1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7401A (ja) * 1982-09-22 1984-05-02 Nitto Electric Ind Co Ltd 偏光板
JPH0339903A (ja) * 1989-04-27 1991-02-20 Mitsubishi Gas Chem Co Inc 防眩用ポリカーボネート偏光板
JP3105374B2 (ja) * 1993-03-04 2000-10-30 ローム株式会社 液晶表示デバイス
JPH0756119A (ja) 1993-08-13 1995-03-03 Nec Corp プロジェクタ用偏光スクリーン
US5909314A (en) * 1994-02-15 1999-06-01 Dai Nippon Printing Co., Ltd. Optical functional material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004341541A (ja) * 1994-02-15 2004-12-02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機能性膜、光学機能性フィルム、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5838408A (en) 1994-10-26 1998-11-17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ing the same
TW453951B (en) 1995-06-07 2001-09-11 Toyo Boseki Recording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TW383508B (en) * 1996-07-29 2000-03-01 Nichia Kagaku Kogyo Kk Light emitting device and display
JPH1049082A (ja) * 1996-08-05 1998-02-20 Dainippon Printing Co Ltd 液晶表示装置
JP3596664B2 (ja) 1999-11-01 2004-12-02 東洋紡績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
JP2000228040A (ja) 1999-02-04 2000-08-15 Sony Corp 光磁気記録媒体
JP3813036B2 (ja) * 1999-05-24 2006-08-23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30164A (ko) * 1999-08-31 2001-04-16 고지마 아끼로, 오가와 다이스께 터치 패널 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 장치
JP4714188B2 (ja) * 2001-10-12 2011-06-29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4749391B2 (ja) * 2001-10-12 2011-08-17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AU2003241186A1 (en) * 2002-06-24 2004-01-06 Fuji Photo Film Co., Ltd. Plastic film and image display unit
JP4783547B2 (ja) 2002-06-24 2011-09-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フイ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4163581A (ja) 2002-11-12 2004-06-10 Konica Minolta Holdings Inc 光学補償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GB0227964D0 (en) * 2002-11-29 2003-01-08 Rsr Ltd Binding partners for the thyrotropin receptor and uses thereof
JP2004205773A (ja) * 2002-12-25 2004-07-22 Konica Minolta Holdings Inc 偏光板、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TWI265325B (en) 2003-01-23 2006-11-01 Nippon Oil Corp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ly laminated body, elliptic polarization plate formed by the laminated body, circular polarization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JP4374859B2 (ja) * 2003-01-23 2009-12-02 東レ株式会社 偏光膜用支持体フィルムおよび偏光板
JP4283551B2 (ja) * 2003-01-24 2009-06-24 日東電工株式会社 楕円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4309771A (ja) 2003-04-07 2004-11-04 Nippon Oil Corp 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当該積層体からなる楕円偏光板、円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064649B2 (ja) * 2003-08-28 2012-10-3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反射防止積層体
JP4675597B2 (ja) * 2003-09-01 2011-04-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補償フィルム、液晶表示装置および偏光板
JP2005157082A (ja) * 2003-11-27 2005-06-16 Stanley Electric Co Ltd 表示装置
JP2005300978A (ja) 2004-04-13 2005-10-27 Konica Minolta Opto Inc 位相差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
TW200606449A (en) 2004-07-01 2006-02-16 Fuji Photo Film Co Ltd Optical cellulose acylate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4887612B2 (ja) * 2004-10-20 2012-02-29 日油株式会社 減反射材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画像表示装置
CN100407001C (zh) 2004-10-22 2008-07-30 日东电工株式会社 液晶面板和液晶显示装置
TWI529428B (zh) * 2004-11-09 2016-04-11 Zeon Corp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682230B1 (ko) * 2004-11-12 2007-0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직 배향 액정표시장치
JP4459229B2 (ja) * 2004-11-12 2010-04-28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垂直配向液晶表示装置
JP2006163151A (ja) 2004-12-09 2006-06-22 Bridgestone Corp 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この反射防止フィルムを有する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
JP2006163156A (ja) 2004-12-09 2006-06-22 Bridgestone Corp 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この反射防止フィルムを有する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
KR100840166B1 (ko) 2005-02-25 2008-06-23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타원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타원 편광판을 사용한화상표시장치
US20060209239A1 (en) 2005-03-18 2006-09-21 Toppoly Optoelectronics Corporation Anti-reflective polarizing plate and uses thereof
JP4792777B2 (ja) * 2005-03-25 2011-10-12 東ソー株式会社 広視野角補償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透過型液晶表示装置
US20090011229A1 (en) * 2005-03-30 2009-01-08 Dai Nippon Printing Co., Ltd. Optical multilayer body
US20080266661A1 (en) * 2005-03-30 2008-10-30 Dai Nippon Printing Co., Ltd Polarizing Plate
JP4784972B2 (ja) * 2005-04-26 2011-10-05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7004123A (ja) 2005-05-25 2007-01-11 Nitto Denko Corp 光学フィルム、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20070091229A1 (en) * 2005-06-09 2007-04-26 Jang Soo J Vertically aligned liquid crystal display
TW200717016A (en) * 2005-07-25 2007-05-01 Hitachi Maxell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apparatus panel using the same
JP2007233392A (ja) 2005-07-25 2007-09-13 Hitachi Maxell Ltd 光学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用パネル
JP2007079533A (ja) 2005-08-17 2007-03-29 Fujifilm Corp 光学樹脂フィルム、こ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WO2007029843A1 (en) * 2005-09-05 2007-03-15 Fujifilm Corporatio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4802067B2 (ja) * 2005-09-05 2011-10-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偏光板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4850499B2 (ja) * 2005-12-01 2012-01-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補償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7187717A (ja) 2006-01-11 2007-07-26 Sumitomo Chemical Co Ltd 大型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4816183B2 (ja) 2006-03-24 2011-11-16 東レ株式会社 光学用積層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5081479B2 (ja) * 2006-03-29 2012-11-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反射防止積層体、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CN101410729B (zh) * 2006-03-31 2011-03-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层积体
JP2007279323A (ja) * 2006-04-05 2007-10-25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装置
JP2007316603A (ja) 2006-04-28 2007-12-06 Sumitomo Chemical Co Ltd 複合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8018543A (ja) * 2006-07-10 2008-01-31 Nof Corp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反射防止性フィルム及び反射防止性近赤外線遮蔽フィルム
JP5123507B2 (ja) 2006-09-22 2013-01-23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反射防止フィルム
US8279383B2 (en) 2006-09-29 2012-10-02 Kimoto Co., Ltd. Film for optical use, transparent conductive member and transparent touch panel using the same
JP2008134270A (ja) * 2006-10-27 2008-06-12 Nitto Denko Corp 液晶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8165185A (ja) 2006-12-07 2008-07-17 Nitto Denko Corp 積層光学フィルム、積層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CN101573643B (zh) 2006-12-27 2011-03-09 帝人株式会社 偏振元件和液晶显示装置
JP2008176059A (ja) * 2007-01-18 2008-07-31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US7839570B2 (en) 2007-01-22 2010-11-23 Dai Nippon Printing Co., Ltd. Optical layered body,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JP5235316B2 (ja) 2007-01-31 2013-07-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用積層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CN101652134B (zh) * 2007-03-30 2015-07-15 兴和株式会社 用于预防和/或治疗脂肪肝或非酒精性脂肪性肝炎的药物
EP2823829B1 (en) * 2007-04-23 2016-07-20 Baxter International Inc. Fibrin compositions containing strontium compounds for use in bone growth
JP2009086470A (ja) 2007-10-02 2009-04-23 Nitto Denko Corp 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位相差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および液晶パネル
CN101779158A (zh) * 2007-10-18 2010-07-14 夏普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
JP4924381B2 (ja) * 2007-11-22 2012-04-25 東洋紡績株式会社 被覆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09157347A (ja) * 2007-12-03 2009-07-16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のセット、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9157343A (ja) * 2007-12-04 2009-07-16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9139642A (ja) 2007-12-06 2009-06-25 Sumitomo Chemical Co Ltd 複合偏光板ロール、複合偏光板セ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9169389A (ja) 2007-12-18 2009-07-30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のセット、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9156938A (ja) 2007-12-25 2009-07-16 Sumitomo Chemical Co Ltd 防眩フィルム、防眩性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9169837A (ja) * 2008-01-18 2009-07-30 Fujitsu Component Ltd タッチパネル付き液晶ディスプレイ
KR20100125164A (ko) 2008-03-21 2010-11-30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광학용 필름, 적층체 및 터치패널
US9664834B2 (en) 2008-03-31 2017-05-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film
JP5184944B2 (ja) 2008-04-01 2013-04-17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解消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2068641A (ja) 2008-04-14 2012-04-05 Nitto Denko Corp 光学表示装置製造システム及び光学表示装置製造方法
JP2009300611A (ja) * 2008-06-11 2009-12-24 Nitto Denko Corp 偏光板及び液晶パネル
JP2010008693A (ja) 2008-06-26 2010-01-14 Casio Comput Co Ltd 液晶表示素子
JP2010032734A (ja) * 2008-07-28 2010-02-1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反射防止フィルム
KR20100020906A (ko) 2008-08-13 2010-02-23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눈부심방지성 필름, 광학층이 부착된 편광자 및 표시 장치
JP2010054824A (ja) 2008-08-28 2010-03-11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115403B2 (ja) * 2008-08-29 2013-01-09 住友化学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用保護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0072091A (ja) * 2008-09-16 2010-04-02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
JP5185039B2 (ja) 2008-09-24 2013-04-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0078758A (ja) 2008-09-25 2010-04-08 Fujifilm Corp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US8611010B2 (en) 2008-09-30 2013-12-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ubstrate comprising unmatched refractive index primer at optically significant thickness
JP2010107542A (ja) * 2008-10-28 2010-05-13 Hitachi Maxell Ltd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反射防止フィルム
JP4575978B2 (ja) * 2008-10-31 2010-11-04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10113175A (ja) * 2008-11-07 2010-05-20 Ube Nitto Kasei Co Ltd 積層体
JP2010139823A (ja) 2008-12-12 2010-06-24 Konica Minolta Opto Inc 光学補償フィルム、偏光板、液晶表示装置、ips(インプレーンスイッチング)モード型液晶表示装置
JP5471249B2 (ja) * 2009-02-06 2014-04-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偏光板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TWI506104B (zh) 2009-03-11 2015-11-01 旭化成電子材料股份有限公司 塗覆組成物、塗膜、積層體及積層體之製造方法
JP2010217844A (ja) * 2009-03-19 2010-09-30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のセット、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100106838A (ko) 2009-03-24 2010-10-0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복합구성 편광판 세트 및 이를 포함하는 면상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
JP5451186B2 (ja) 2009-06-01 2014-03-26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偏光子支持基材用一軸配向芳香族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644064B2 (ja) * 2009-06-09 2014-12-24 住友化学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偏光板
JP5363206B2 (ja) 2009-06-15 2013-12-11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451214B2 (ja) 2009-06-29 2014-03-26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偏光子支持基材用フィルム
JP5519217B2 (ja) 2009-08-31 2014-06-11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偏光子支持基材用フィルム
JP5219971B2 (ja) 2009-09-08 2013-06-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
JP5811431B2 (ja) * 2009-09-11 2015-11-11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568808B2 (ja) 2009-10-20 2014-08-13 住友化学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用光学部材セット
JP4888853B2 (ja) 2009-11-12 2012-02-29 学校法人慶應義塾 液晶表示装置の視認性改善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5377252B2 (ja) * 2009-11-27 2013-12-25 日東電工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5400646B2 (ja) 2010-02-04 2014-01-29 グンゼ株式会社 二軸延伸多層フィルムを用いた食品用容器
JP5604899B2 (ja) * 2010-02-18 2014-10-15 東洋紡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透明導電性積層フィルム、透明導電性積層シート並びにタッチパネル
JP2011197656A (ja) 2010-02-25 2011-10-06 Sumitomo Chemical Co Ltd 液晶表示装置
JP5291048B2 (ja) * 2010-05-24 2013-09-1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
EP2399984B1 (de) * 2010-06-22 2013-03-20 Lonza Cologne GmbH Verfahren und Elektrodenanordnung zur Behandlung von adhärenten Zellen
JP4962661B2 (ja) * 2010-06-22 2012-06-27 東洋紡績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偏光板および偏光子保護フィルム
JP2012058433A (ja) * 2010-09-08 2012-03-22 Konica Minolta Opto Inc 長尺ロール状偏光板、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2087290A (ja) 2010-09-21 2012-05-10 Nitto Denko Corp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層、その製造方法、粘着剤層付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2093723A (ja) * 2010-09-30 2012-05-17 Fujifilm Corp 光学フィルム、偏光板、画像表示装置、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12049977A1 (ja) * 2010-10-13 2012-04-19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Tn液晶表示装置の前面板
JP4888593B2 (ja) * 2010-10-22 2012-02-29 日油株式会社 減反射材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画像表示装置
JP5565292B2 (ja) * 2010-12-15 2014-08-06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CN103430055B (zh) 2011-03-14 2016-10-12 3M创新有限公司 多层纳米结构化制品
US10449457B2 (en) * 2011-04-20 2019-10-22 Disney Enterpris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matchmaking population herding
TWI792087B (zh) * 2011-05-05 2023-02-1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半導體裝置及其製造方法
JP5810667B2 (ja) 2011-06-23 2015-11-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デバイス及び検出装置
JP5396439B2 (ja) * 2011-07-22 2014-01-22 学校法人慶應義塾 液晶表示装置の視認性改善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KR101950257B1 (ko) 2011-07-29 2019-02-20 도소 가부시키가이샤 수지 조성물, 그것을 이용한 광학 보상 필름 및 광학 보상 필름의 제조 방법
JP2013076146A (ja) * 2011-09-30 2013-04-25 Panasonic Corp 水素生成システム
KR101397702B1 (ko) * 2011-12-26 2014-05-22 제일모직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5304939B1 (ja) 2012-05-31 2013-10-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積層体、偏光板、偏光板の製造方法、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の視認性改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92432B2 (ja) 2014-01-22
WO2013179951A1 (ja) 2013-12-05
TW201403116A (zh) 2014-01-16
KR20140039220A (ko) 2014-04-01
TWI507713B (zh) 2015-11-11
CN103688194A (zh) 2014-03-26
US20180299710A1 (en) 2018-10-18
JP5673831B2 (ja) 2015-02-18
JP5790734B2 (ja) 2015-10-07
TW201432291A (zh) 2014-08-16
US20140184994A1 (en) 2014-07-03
CN103955013A (zh) 2014-07-30
JP5804021B2 (ja) 2015-11-04
KR101465944B1 (ko) 2014-11-27
KR20170127004A (ko) 2017-11-20
JP5757315B2 (ja) 2015-07-29
CN108919409B (zh) 2024-04-26
EP2857870B1 (en) 2021-03-24
TW201432289A (zh) 2014-08-16
JP2014089446A (ja) 2014-05-15
EP2857870A1 (en) 2015-04-08
TWI474037B (zh) 2015-02-21
JP5392428B2 (ja) 2014-01-22
CN103823255B (zh) 2015-03-25
TW201425986A (zh) 2014-07-01
TW201425985A (zh) 2014-07-01
JP6597742B2 (ja) 2019-10-30
CN103955013B (zh) 2016-01-20
KR20140039089A (ko) 2014-03-31
JP2014006526A (ja) 2014-01-16
US20140211310A1 (en) 2014-07-31
US20190339571A1 (en) 2019-11-07
CN109116450A (zh) 2019-01-01
KR20150003709A (ko) 2015-01-09
TW201432290A (zh) 2014-08-16
JP5644927B2 (ja) 2014-12-24
CN103823270A (zh) 2014-05-28
JP2014013419A (ja) 2014-01-23
TWI452328B (zh) 2014-09-11
TWI452326B (zh) 2014-09-11
KR102090123B1 (ko) 2020-03-17
KR101390520B1 (ko) 2014-04-30
CN103913783A (zh) 2014-07-09
KR101441282B1 (ko) 2014-09-17
CN103823255A (zh) 2014-05-28
JPWO2013179951A1 (ja) 2016-01-18
CN107884864B (zh) 2021-05-25
EP3839582A1 (en) 2021-06-23
KR20200029635A (ko) 2020-03-18
JP5304939B1 (ja) 2013-10-02
KR101401895B1 (ko) 2014-05-29
CN103823269B (zh) 2015-11-18
CN103926637A (zh) 2014-07-16
CN103688194B (zh) 2018-09-28
TWI452327B (zh) 2014-09-11
CN103913783B (zh) 2015-07-15
JP2014089448A (ja) 2014-05-15
TWI541531B (zh) 2016-07-11
US10048522B2 (en) 2018-08-14
JP2014089447A (ja) 2014-05-15
KR20140069350A (ko) 2014-06-09
TW201425984A (zh) 2014-07-01
US10761366B2 (en) 2020-09-01
US20140247413A1 (en) 2014-09-04
US10409105B2 (en) 2019-09-10
EP2857870A4 (en) 2016-02-24
US20140247414A1 (en) 2014-09-04
JP2014006560A (ja) 2014-01-16
JP2017227917A (ja) 2017-12-28
US20190155070A1 (en) 2019-05-23
JP2014006497A (ja) 2014-01-16
CN108919409A (zh) 2018-11-30
KR101401815B1 (ko) 2014-05-29
CN103823269A (zh) 2014-05-28
US9995953B2 (en) 2018-06-12
JP2014149320A (ja) 2014-08-21
US10042194B2 (en) 2018-08-07
KR20140039087A (ko) 2014-03-31
JP5725128B2 (ja) 2015-05-27
KR20140063909A (ko) 2014-05-27
CN103926637B (zh) 2019-02-15
CN109116450B (zh) 2021-04-09
JP2016027405A (ja) 2016-02-18
CN107884864A (zh) 2018-04-06
US9069197B2 (en) 201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1815B1 (ko) 광학 적층체,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 개선 방법
JP6645491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の視認性改善方法
JP2020008883A (ja) 偏光板複合体、偏光板セット、画像表示装置、偏光板複合体の製造方法、偏光板セットの製造方法、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の視認性改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