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5164A - 광학용 필름, 적층체 및 터치패널 - Google Patents

광학용 필름, 적층체 및 터치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5164A
KR20100125164A KR1020097016966A KR20097016966A KR20100125164A KR 20100125164 A KR20100125164 A KR 20100125164A KR 1020097016966 A KR1020097016966 A KR 1020097016966A KR 20097016966 A KR20097016966 A KR 20097016966A KR 20100125164 A KR20100125164 A KR 20100125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layer
hard coat
refractive index
optical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6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로 노자와
마사토 사이토
Original Assignee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00125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51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2B1/105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1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6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having an anti-static effect, e.g. electrically conducting coat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표면경도와 투시해상성을 유지하면서 간섭무늬가 눈에 띄지 않는 광학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광학용 필름(1)은, 투명 기재층(12)을 갖는다. 투명 기재층(12)의 적어도 한쪽 면에는, 하지층(14)이 적층되어 있다. 하지층(14) 상에는, 투명 하드코트층(16)이 적층되어 있다. 투명 하드코트층(16) 상에는, 반사방지층(18)이 적층되어 있다. 반사방지층(18)은, 투명 하드코트층(16)의 굴절률보다 낮은 저굴절률의 층이다. 투명 기재층(12)의 굴절률을 n0, 하지층(14)의 굴절률을 n1, 투명 하드코트층(16)의 굴절률을 n2, 반사방지층(18)의 굴절률을 n3로 한 경우, n3<n2≤n1≤n0이고, 또한 (n0-n3)≤0.5의 관계를 만족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Description

광학용 필름, 적층체 및 터치패널{Optical film, laminate and touch panel}
본 발명은 광학용 필름, 적층체 및 터치패널에 관한 것이다.
표면경도가 높아, 흠집이 생기기 어려운 투명한 수지막(이하, 「투명 하드코트막」이라고 한다.)을 투명 기재 필름의 표면에 형성한 광학용 필름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3-334891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광학용 필름에서는 간섭무늬가 눈에 띄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간섭무늬는, 투명 하드코트막의 두께 불균일을 완전히 없앰으로써 이론상으로는 해소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제막 정도(精度)로 투명 하드코트막의 두께 불균일을 완전히 없애는 것은 곤란하다.
두께 불균일에 기인하는 간섭무늬를 해소하는 방책으로서, 투명 기재 필름과 투명 하드코트막의 굴절률을 동일하게 설계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굴절률을 제어하면, 투명 하드코트막의 표면경도가 저하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또한, 두께 불균일에 기인하는 간섭무늬를 해소하는 다른 방책으로서, 투명 하드코트막에 매트제를 다량 함유시켜, 투명 하드코트막의 표면에 요철을 부여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투명 하드코트막의 표면에 요철을 부여하면, 광학용 필름을 매개로 관찰되는 상의 해상성(투시해상성(透視解像性))이 저하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높은 표면경도와 투시해상성을 유지하면서 간섭무늬가 눈에 띄지 않는 광학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 광학용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와, 이 적층체를 포함하는 터치패널을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투명 기재층, 하지층(foundation layer), 투명 하드코트층 및 반사방지층을 향해 각 층의 굴절률이 작아지고, 또한 투명 기재층과 반사방지층의 굴절률차가 소정값 이하가 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발명의 효과
상기 발명에 의하면, 광학용 필름을 구성하는 각 층의 굴절률을 소정의 관계로 설계하기 때문에, 높은 표면경도와 투시해상성을 유지하면서, 광학용 필름의 간섭무늬를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층의 굴절률을 소정의 관계로 설계하기 때문에, 최표면에 두께가 얇은 반사방지층을 형성해도 두께 불균일에 기인하는 간섭무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의 광학용 필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광학용 필름을 갖는 적층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적층체를 갖는 터치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광학용 필름, 12…기재층, 14…하지층, 16…수지층, 18…반사방지층, 3…적층체, 32…투명 기판, 34…투명 도전막, 5…터치패널, 52…상(上)전극 기판(제1 전극 기판), 522…상(上)투명 기판(제1 투명 기판), 524…상(上)투명 도전막(제1 투명 도전막), 54…하(下)전극 기판(제2 전극 기판), 542…하(下)투명 기판(제2 투명 기판), 544…하(下)투명 도전막(제2 투명 도전막), 56, 58…스페이서, 7…접착층, 9…표시 소자.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상기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토대로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두께 불균일에 기인하는 간섭무늬 및 이 간섭무늬에 의한 색 불균일을 「간섭 불균일」이라 한다.
《광학용 필름》
도 1에 나타내는 광학용 필름(1)은, 투명 기재층(12)을 갖는다. 투명 기재층(12)의 적어도 한쪽 면에는, 하지층(14)이 적층되어 있다. 하지층(14) 상에는, 투명 하드코트층(16)이 적층되어 있다. 투명 하드코트층(16) 상에는, 반사방지층(18)이 적층되어 있다. 반사방지층(18)은 투명 하드코트층(16)의 굴절률보다 낮은 저굴절률의 층이다.
《투명 기재층》
투명 기재층(12)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광학용 필름(1)의 기재로서 통상 사용되는 수지 기재로 구성된다. 특히 가요성(flexibility)을 갖는 수지 기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필름상이나 시트상으로 수지 기재를 형성하는 경우의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아크릴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아세탈계 수지, 비닐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페놀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불소계 수지, 환상 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기계적 강도나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점에서, 이축연신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투명 기재층(12)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열성이 필요한 용도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는,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로 투명 기재층(12)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수지 기재는, 투명 및 반투명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투명」이란, 전광선 투과율이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을 말한다. 또한, 착색되어 있어도 되고, 무착색의 것이어도 되어,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투명 기재층(12)의 두께는, 취급상 지장이 없는 정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0~500 ㎛ 정도, 바람직하게는 12~350 ㎛이다.
《하지층》
하지층(14)은 투명 하드코트층(16)의 하드코트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투명 기재층(12)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하지층(14)은 투명 기재층(12)의 적어도 한쪽 면에 설치되어 있으면 되고, 투명 기재층(12)의 양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하지층(14)은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나 열경화성 수지로 구성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나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아크릴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아세탈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페놀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하지층(14)의 두께는 0.03~1 ㎛ 정도가 바람직하다. 하지층(14)의 두께를 소정 두께 이상으로 함으로써, 투명 기재층(12)이나 투명 하드코트층(16)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층(14)의 두께를 소정 두께 이하로 함으로써, 투명 하드코트층(16)의 하드코트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투명 하드코트층(16)이나 반사방지층(18)을 적층했을 때, 광학용 필름(1) 전체에 색미(色味)를 띠게 되는 것도 방지된다.
이 실시형태의 하지층(14)은, JIS-K6768(1999)에 준거하여 측정된 습윤장력의 값이 40 mN/m 이상으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습윤장력의 값을 소정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투명 하드코트층(16)이 불균일 없이 균일하고 평활한 도막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투명 하드코트층(16)의 두께 불균일에 기인하는 간섭 불균일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투명 기재층(12)과 투명 하드코트층(16)의 밀착성 불량을 억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간섭 불균일을 방지함으로써, 반사 모양에 따른 투시해상성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지층(14)의 습윤장력은, 수지 본래의 성질에 의해 40 mN/m 이상이 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지층(14)의 표면에 코로나방전처리 등을 실시함으로써 습윤장력을 높여, 40 mN/m 이상으로 한 것이어도 된다.
《투명 하드코트층》
투명 하드코트층(16)은, 광학용 필름(1)의 표면경도를 높이고, 표면에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의 투명 하드코트층(16)은, 표면경도가 바람직하게는 H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H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H 이상으로 조정되어 있다. 표면경도가 소정값 이상으로 조정되어 있음으로써, 광학용 필름(1)의 표면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표면경도의 값은, JIS-K5400(1990)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한 연필긁기값(연필경도)으로 나타내어진다.
투명 하드코트층(16)은,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등의 수지로 구성된다. 특히,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로 구성한 경우에는, 표면경도 등으로 대표되는 하드코트성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하지층(14)을 구성하는 수지와 동일한 수지를 들 수 있다.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로서는, 전리방사선(자외선 또는 전자선)의 조사에 의해 가교 경화되는 광중합성 프리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후술하는 광중합성 프리폴리머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광중합성 프리폴리머에는, 양이온 중합형과 라디칼 중합형이 있다.
양이온 중합형 광중합성 프리폴리머로서는, 에폭시계 수지나 비닐에테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비스페놀계 에폭시 수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지환식 에폭시 수지, 지방족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라디칼 중합형 광중합성 프리폴리머로서는, 1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아크릴로일기를 갖고, 가교 경화함으로써 3차원 망목구조가 되는 아크릴계 프리폴리머(경질 프리폴리머)가, 하드코트성의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아크릴계 프리폴리머로서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멜라민아크릴레이트, 폴리플루오로알킬아크릴레이트,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폴리올이나 폴리에스테르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올리고머를, (메타)아크릴산과의 반응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다가 카르복실산과 다가 알코올의 축합에 의해 얻어지는 양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수산기를 (메타)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또는, 다가 카르복실산에 알킬렌옥시드를 부가하여 얻어지는 올리고머 말단의 수산기를 (메타)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예를 들면, 비교적 저분자량의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나 노볼락 에폭시 수지의 옥실란 고리와, (메타)아크릴산과의 반응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아크릴계 프리폴리머는 단독으로도 사용 가능하지만, 가교 경화성의 향상이나, 경화 수축의 조정 등, 각종 성능을 부여하기 위해, 광중합성 모노머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성 모노머로서는, 단관능 아크릴 모노머(예를 들면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등), 2관능 아크릴 모노머(예를 들면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에스테르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등), 3관능 이상의 아크릴 모노머(예를 들면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등)를 들 수 있다. 또한, 「아크릴레이트」에는, 문자 그대로의 아크릴레이트 외에, 메타크릴레이트도 포함한다. 이들 광중합성 모노머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투명 하드코트층(16)을 형성할 때,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시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광중합성 프리폴리머 및 광중합성 모노머 외에, 광중합 개시제, 광중합촉진제, 자외선증감제 등의 첨가제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라디칼 중합형 광중합성 프리폴리머나 광중합성 모노머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아세토페논, 벤조페논, 미힐러케톤, 벤조인, 벤질메틸케탈, 벤조일벤조에이트, α-아실옥심에스테르, 티옥산톤류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 중합형 광중합성 프리폴리머에 대한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방향족 설포늄이온, 방향족 옥소설포늄이온, 방향족 요오도늄이온 등의 오늄과,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헥사플루오로알세네이트 등의 음이온으로 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광중합촉진제로서는, p-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 이소아밀에스테르, p-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 에틸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증감제로서는, n-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n-부틸포스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첨가제의 배합량은, 전술한 광중합성 프리폴리머 및 광중합성 모노머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해, 통상 0.2~1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또한, 전술한 광중합성 프리폴리머나 광중합성 모노머 등 대신에,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로서, 전리방사선 경화형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수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리방사선 경화형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수지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FRP)으로 대표되는 종래의 복합체와 달리, 유기물과 무기물의 혼합법이 긴밀하고, 또한 분산상태가 분자레벨이나 그에 가까운 것으로, 전리방사선의 조사에 의해 무기 성분과 유기 성분이 반응하여 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리방사선 경화형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수지의 무기 성분으로서는, 실리카, 티타니아 등의 금속산화물을 들 수 있으나, 그 중에서도 실리카를 사용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실리카로서는, 표면에 광중합반응성을 갖는 감광성기가 도입된 반응성 실리카를 들 수 있다.
전리방사선 경화형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수지는, 무기 성분의 함유율이 10 중량%~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서는 20 중량%~4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유기 성분으로서는, 상기 반응성 실리카와 중합 가능한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 예를 들면,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다가 불포화 유기화합물, 또는 분자 중에 1개의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단가 불포화 유기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투명 하드코트층(16)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이면, 필요에 따라, 첨가 성분을 적절히 배합해도 된다. 첨가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표면조정제, 활제, 착색제, 안료, 염료, 형광증백제, 난연제, 항균제, 곰팡이 방지제,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가소제, 레벨링제, 유동조정제, 소포제, 분산제, 저장안정제, 가교제, 실란커플링제, 매트제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블로킹방지성을 부여한다는 관점에서, 투시해상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매트제를 극소량(예를 들면 수지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0.1~5.0 중량부 정도) 첨가해도 된다.
첨가 가능한 매트제의 종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황산바륨, 수산화알루미늄, 실리카, 카올린, 클레이, 탈크 등의 무기입자나, 아크릴 수지입자, 폴리스티렌 수지입자, 폴리우레탄 수지입자, 폴리에틸렌 수지입자, 벤조구아나민 수지입자, 에폭시 수지입자 등의 수지입자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매트제로서는, 취급성 및 표면형상의 제어 용이함이라는 관점에서, 구형 미립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투명성을 저해하지 않는다는 관점에서는 수지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 성분으로서 하이브리드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는, 투명 하드코트층(16) 내에서 매트제가 표면으로 모이는 경향이 있고, 이 현상은 실리카 미립자를 사용한 경우에 특히 현저하게 발생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실리카 미립자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매트제의 크기(평균입자경)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0.2 ㎛~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15 ㎛,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10 ㎛이다.
단, 예를 들면 광학용 필름으로 했을 때의 JIS-K7136(2000)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한 헤이즈값이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술한 하지층(14)과 투명 하드코트층(16)의 각 층을 구성하는 수지는, 주성분이 되는 수지의 용해도 계수가 상호 가까운 것을 선택하는 것이, 층간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특히, 용해도 계수의 차가 1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투명 하드코트층(16)에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를 구성하는 프리폴리머의 주된 올리고머 성분의 용해도 계수와, 하지층(14)의 주된 수지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의 용해도 계수의 차가 1 이내가 되도록 수지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투명 하드코트층(16)을 형성하는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의 올리고머 성분이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인 경우, 그 용해도 계수는 10인 것으로부터, 이 용해도 계수 10과의 차가 1 이내인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의해 하지층(14)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용해도 계수는 von Kreevelen이 제창한 원자단 총합법에 의한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하기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비특허문헌 1: Polymer Handbook, Fourth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1999(VII/675 페이지~VII/686 페이지)
투명 하드코트층(16)은 그 두께가 0.1~30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5 ㎛, 더욱 바람직하게는 2~10 ㎛로 한다. 투명 하드코트층(16)의 두께를 0.1 ㎛ 이상으로 함으로써, 투명 하드코트층(16)에 충분한 표면경도(하드코트성)를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투명 하드코트층(16)의 두께를 30 ㎛를 초과하게 해도 투명 하드코트층(16)의 표면경도가 추가적으로 향상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투명 하드코트층(16)의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당해 투명 하드코트층(16)의 경화 수축에 의한 컬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동시에, 자외선 조사부족에 의한 경화부족이 발생하거나, 하지층(14)과의 밀착성이 저하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경제성, 컬 방지성, 경화부족의 해소, 하지층(14)과의 밀착성의 관점에서는, 투명 하드코트층(16)의 두께를 30 ㎛ 이하로 하는 것이 유효하다.
《반사방지층》
반사방지층(18)은, 투명 하드코트층(16)의 표면부분에서의 비침을 감소시키고, 광학용 필름(1) 전체의 전광선 투과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표면부분에서의 비침을 방지하기 위해서, 투명 하드코트층(16)의 굴절률을 작게 설계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굴절률이 작아지도록 투명 하드코트층(16)을 설계하면, 투명 하드코트층(16)의 하드코트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이 실시형태에서는, 투명 하드코트층(16)의 하드코트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표면부분에서의 비침을 방지하기 위해서, 투명 하드코트층(16)의 굴절률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는 반사방지층(18)을, 투명 하드코트층(16)의 표면에 얇은 두께로 형성하는 것으로 한 것이다. 즉 이 실시형태의 반사방지층(18)은, 투명 하드코트층(16)보다도 굴절률이 낮은 재료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재료의 종류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규소계 수지, 불소계 수지, 금속산화물 졸이나, 이들에 금속산화물 미립자, 바람직하게는 다공상 또는 중공상의 금속산화물 미립자를 첨가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투명 하드코트층(16)의 설명란에서 열거한 수지에 상기 금속산화물 미립자를 첨가한 것도 사용 가능하다.
금속산화물 졸로서는, 실리카, 알루미나 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금속산화물 졸 중에서도, 굴절률, 유동성, 비용의 관점에서, 실리카 졸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금속산화물 졸이란, 금속산화물의 존재에 의해 틴들현상(Tyndall phenomenon)을 관측할 수 없는 재료를 말하고, 소위 균일 용액을 말한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콜로이달 실리카 졸이라 불리는 재료여도, 틴들현상이 관측되는 것이면, 이 실시형태에서는 금속산화물 졸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금속산화물 졸은, 테트라에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지르코니아프로폭시드, 알루미늄이소프로폭시드, 티탄부톡시드, 티탄이소프로폭시드 등의 금속 알콕시드를 가수분해해서 조정할 수 있다. 금속산화물 졸의 용매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1,4-디옥산 등을 들 수 있다.
금속산화물 미립자는, 전술한 금속산화물을 미분말화한 것으로, 실리카 미립자, 알루미나 미립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굴절률, 유동성, 비용의 관점에서, 실리카 미립자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금속산화물 미립자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굴절률이 낮은 다공상 또는 중공상의 금속산화물 미립자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와 같은 금속산화물 미립자로서는, 이를 분산액으로 했을 때 틴들현상이 관측되는 일정 입자경을 갖는 것을 사용한다. 금속산화물 미립자의 평균입자경은,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40~100 n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입자경이 40 nm 이상인 미립자를 사용함으로써, 반사방지층(18)의 표면에 부상하는 금속산화물 입자가 없어져, 표면경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100 nm 이하의 미립자를 사용함으로써, 반사방지층(18)으로부터 금속산화물 미립자가 비어져 나오지 않게 되어, 표면경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투명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 금속산화물 미립자의 평균입자경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40~70 nm의 범위로 한다.
금속산화물 졸과 금속산화물 미립자의 혼합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금속산화물 졸 중의 금속산화물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금속산화물 미립자가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중량부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00 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중량부 이하이다.
반사방지층(18)의 두께는, 빛의 반사방지 이론으로부터 다음 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9049608336-PCT00001
여기서, d는 반사방지층(18)의 두께(단위는 「nm」), a는 0 또는 양의 짝수, λ는 반사를 방지하고자 하는 빛의 중심파장, n3는 반사방지층(18)의 굴절률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2 ㎛ 정도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3 ㎛ 이하이다.
반사방지층(18)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두께 불균일에 기인하는 간섭 불균일이 발생하기 어려워지는 반면, 아랫면에 설치되는 투명 하드코트층(16)의 하드코트성이 발휘되기 어려워진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투명 하드코트층(16)의 하드코트성의 저하와 빛 간섭에 의한 반사방지효과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당해 투명 하드코트층(16)의 표면에 반사방지층(18)을 얇게 형성한다. 반사방지층(18)을 얇게 형성하면, 반사방지층(18)에 두께 불균일이 발생하기 쉽고, 이 반사방지층(18) 자체의 두께 불균일에 기인하여 간섭 불균일이 발생하기 쉽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광학용 필름(1)의 각 층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설계되기 때문에, 반사방지층(18)을 얇게 형성해도, 반사방지층(18)의 두께 불균일에 기인하는 간섭 불균일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하지층(14), 투명 하드코트층(16), 반사방지층(18)의 형성방법으로서는, 각각의 구성 성분이나 필요에 따라 다른 성분을 배합하고, 추가적으로 적당한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서 도포액을 조제하여, 당해 도포액을 롤코팅법, 바코팅법, 스프레이코팅법, 에어나이프코팅법, 다이코팅법, 블레이드코팅법, 스핀코팅법, 그라비아코팅법, 플로우코팅법, 스크린인쇄법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투명 기재층(12)에 순차 도포하여 건조시키고, 필요한 경우 적절히 필요한 경화방법으로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투명 기재층(12)의 굴절률을 n0, 하지층(14)의 굴절률을 n1, 투명 하드코트층(16)의 굴절률을 n2, 반사방지층(18)의 굴절률을 n3로 한 경우에, 적어도 이들 4층의 굴절률이, 소정 관계를 갖도록 설계되어 있는 점이 특징이다. 본 발명자들은, 광학용 필름(1)을 구성하는 각 층(12, 14, 16, 18)의 굴절률 n0~n3를 특정 관계로 함으로써, 두께 불균일에 기인하는 간섭 불균일을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이 실시형태에서는, n3<n2≤n1≤n0이고, 또한 (n0-n3)≤0.5, 바람직하게는 (n0-n3)≤0.3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투명 기재층(12)과 투명 하드코트층(16) 사이에 하지층(14)이 배치되고, 투명 기재층(12), 하지층(14) 및 투명 하드코트층(16)의 굴절률 n0, n1 및 n2가 상기의 관계를 만족하는 경우, 이들 3층의 계면의 굴절률차가 작아진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투명 하드코트층(16) 상에, 추가적으로, 이 투명 하드코트층(16)의 굴절률 n2 보다도 낮은 굴절률 n3를 갖는 반사방지층(18)이 얇은 막두께로 적층된다. 이에 따라, 투명 하드코트층(16)의 두께 불균일에 기인하는 간섭 불균일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광학용 필름의 투시해상성이 높은 레벨로 유지된다. 그 결과, 간섭 불균일이 눈에 띄지 않고, 또한 투시해상성이 높은 광학용 필름을 얻을 수 있다. n3<n2≤n1≤n0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어도, 투명 기재층(12)과 반사방지층(18)의 굴절률차가 0.5보다 커지면, 각 층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굴절률 변화가 커져, 간섭 불균일을 억제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간섭 불균일을 억제하기 위해, 투명 하드코트층(16)을 불소 수지 등으로 형성하고, 투명 기재층(12)과 투명 하드코트층(16)의 굴절률을 작게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투명 하드코트층(16)이 물러지기 쉬운 동시에, 투명 기재층(12)과의 밀착성도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하지층(14)을 배치하고, 3층의 굴절률차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고, 간섭 불균일을 억제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투명 하드코트층(16) 상에, 추가적으로, 이 투명 하드코트층(16)의 굴절률 n2보다도 낮은 굴절률 n3를 갖는 반사방지층(18)을 얇은 막두께로 적층함으로써, 표면부분에서의 비침을 방지하면서, 광학용 필름의 투시해상성을 높은 레벨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투명 하드코트층(16)을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로 구성한 경우, 투명 하드코트층(16)의 굴절률 n2는 1.40~1.50 정도가 된다. 이 때문에, 투명 기재층(12)과의 굴절률차를 작게 하는 동시에, 반사방지성의 향상에 기여시키는 관점에 서는,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의 굴절률보다도 높은 굴절률을 갖는 무기미립자를 투명 하드코트층(16)에 함유시켜, 투명 하드코트층(16)의 굴절률을 끌어 올려도 된다. 이와 같은 무기미립자로서는, 구체적으로는 굴절률이 1.9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산화안티몬, 산화주석, 산화탄탈, 산화아연, 산화세륨, 산화납, 산화인듐, 금, 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 및 범용성의 관점에서, 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자외선 차단성을 부여할 수 있는 점에서,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세륨, 산화납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대전방지성을 부여할 수 있는 점에서, 안티몬을 도프한 산화주석이나, 주석을 도프한 산화인듐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와 같은 무기미립자의 평균입자경은 0.1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입자경이 0.1 ㎛ 이하인 무기미립자를 사용함으로써, 투명 하드코트층(16)의 빛의 난반사를 방지하여, 투명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투명 하드코트층(16)에 있어서 무기미립자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또한 무기미립자의 종류에 따라서도 상이해지기 때문에 일률적으로는 말할 수 없으나, 바인더 성분으로서의 수지와 무기미립자의 체적비로, 1:0.5~1:2 정도가 되는 함유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투명 하드코트층(16)에 무기미립자를 함유시킴으로써, 투명 하드코트층(16)의 굴절률 n2를 후술하는 범위로 조절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인접하는 각 층의 굴절률차가 이하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n0와 n1의 차가 0.2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이하 이다. n1과 n2의 차가 0.15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이하이다. n2와 n3의 차가 0.08 이상, 바람직하게는 0.1 이상이다. 이와 같이 인접하는 각 층의 굴절률차를 작게함으로써, 간섭 불균일의 억제에 더욱 유리해진다. 또한, n2와 n3의 차가 커질수록, 표면부분에서의 비침이 적어지는 경향이 있다.
특히 간섭 불균일의 방지를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투명 기재층(12)의 굴절률 n0는, 바람직하게는 1.45~1.75,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1.75이다. 하지층(14)의 굴절률 n1은, 바람직하게는 1.40~1.70, 보다 바람직하게는 1.45~1.70이다. 투명 하드코트층(16)의 굴절률 n2는, 바람직하게는 1.35~1.70, 보다 바람직하게는 1.45~1.70이다. 반사방지층(18)의 굴절률 n3는, 바람직하게는 1.20~1.47,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1.45이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투명 기재층(12)의 한쪽 면에만 투명 하드코트층(16)을 설치하는 경우를 예시하지만, 투명 하드코트층(16)은 투명 기재층(12)의 양면에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투명 기재층(12)의 한쪽 면에, 하지층(14), 투명 하드코트층(16) 및 반사방지층(18)을 순차 적층하는 동시에, 투명 기재층(12)의 다른쪽 면에 투명 하드코트층(16)과는 별도의 투명 하드코트층(도시 생략)을 설치해도 된다. 또는, 투명 기재층(12)을 중심으로, 한쪽 면과 다른쪽 면의 각각에 하지층(14) 및 투명 하드코트층(16)을 설치하고, 적어도 편면에서, 바람직하게는 양면 각각에서, 전술한 굴절률 조건(n3<n2≤n1≤n0이고, 또한 (n0-n3)≤0.5)을 만족하게 해도 된다.
또한, 반사방지층(18)에 대해서도 투명 기재층(12)의 양면에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투명 기재층(12)의 한쪽 면에, 하지층(14), 투명 하드코트층(16) 및 반사방지층(18)을 순차 적층하는 동시에, 투명 기재층(12)의 다른쪽 면에 반사방지층(18)과는 별도의 반사방지층(도시 생략)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투명 기재층(12)의 한쪽 면에, 하지층(14), 투명 하드코트층(16) 및 반사방지층(18)을 순차 적층하는 동시에, 투명 기재층(12)의 다른쪽 면에, 점착층(도시 생략)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점착층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천연고무계, 재생고무계, 클로로프렌고무계, 니트릴고무계, 스티렌·부타디엔계 등의 엘라스토머 점착제, 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계, 에폭시계, 우레탄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등의 합성수지 점착제 외에, 에멀전계 점착제 등의 공지의 점착제를 들 수 있다. 점착층은, 점착성을 발휘시키기 위해 두께 15 ㎛ 이상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문에, 간섭 불균일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각 층(12, 14, 16, 18) 및 점착층에는, 자외선흡수성능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350~380 nm 범위의 광선투과율을 0.1%~70% 정도로 한 경우, 하드코트성을 유지하면서, 내후성을 부여할 수 있다. 투명 하드코트층(16)에,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는,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가 경화하는 자외선영역과 흡수하는 자외선영역을 조정함으로써, 투명 하드코트층(16)의 경화에 영향을 주지 않고, 자외선흡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외선흡수제의 흡수파장역의 피크와 20 nm 이상 상이한 위치에 흡수파장역의 피크를 갖는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투명 하드코트층(16)을 충분히 경화시킬 수 있어, 우수한 하드코트성을 부여할 수 있다.
화상 표시 소자로서의 액정 표시 소자는, 휴대용 전자수첩이나 정보단말 등으로의 입력장치에 응용된다. 이 종류의 입력장치는, 물건이 확실히 보이는 특정 파장의 발광강도가 강한 삼파장 형광등 아래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이 종류의 입력장치에 액정 표시 소자를 사용하는 경우, 액정 표시 소자 상에 투명한 터치패널을 올린 구조가 채용된다. 이 종류의 터치패널에는, 투명 기재 필름의 표면에 투명 하드코트막이 형성된 광학용 필름이 표면 기판으로서 사용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투명 기재층(12), 하지층(14), 투명 하드코트층(16) 및 반사방지층(18)의 각 굴절률 n0~n3를 특정 관계로 설계하고 있다. 이에 따라, 표면경도와 투시해상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특히 삼파장 형광등을 조명으로 하는 환경에 있어서, 현재의 제막 정도(精度)로는 완전히 없애는 것이 곤란한 두께 불균일에 기인하는 간섭 불균일을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의 광학용 필름(1)은, 간섭 불균일이 눈에 띄지 않기 때문에, 대전방지 필름, 적외선차폐 필름, 반사방지 필름, 비산방지 필름, 터치패널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적층체》
도 2에 나타내는 적층체(3)는, 투명 기판(32)과, 투명 기판(32)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적층된 투명 도전막(34)을 갖는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투명 기판(32)을 도 1에 나타내는 광학용 필름(1)으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광학용 필름(1)의 반사방지층(18)이 설치되어 있는 면과는 반대면을 「배면(背面)」, 광학용 필름(1)의 반사방지층(18)이 설치되어 있는 면을 「전면(前面)」으로 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투명 도전막(34)을, 투명 기판(32)을 구성하는 광학용 필름(1)의 배면에 설치하는 경우를 예시하지만, 전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투명 도전막(34)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투명 도전성 재료나 유기도전성 재료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투명 도전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인듐, 산화주석, 산화인듐주석, 금, 은, 팔라듐 등의 투명 도전성 물질을 들 수 있다.
유기도전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파라페닐렌, 폴리아세틸렌, 폴리아닐린, 폴리티오펜, 폴리파라페닐렌비닐, 폴리피롤, 폴리푸란, 폴리셀레노펜, 폴리피리딘 등의 도전성 고분자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과 도전성이 우수하고, 비교적 저비용으로 얻어지는 산화인듐, 산화주석 또는 산화인듐주석 중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한 투명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도전막(34)은, 전술한 도전성 재료를 사용하여, 드라이 프로세스(예를 들면 진공증착법, 스퍼터링법, 이온플레이팅법 등)나 웨트 프로세스(예를 들면 용액도포법 등)에 의해, 박막상태로 형성할 수 있다.
투명 도전막(34)의 두께는, 적용하는 재료에 따라서도 상이하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말할 수 없으나, 표면저항률로 1000 Ω 이하, 바람직하게는 500 Ω 이하가 되는 두께로 한다. 예를 들면, 10 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n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경제성을 고려하면, 80 nm 이하, 바람직하게는 70 nm 이하의 범위가 적합하다. 이와 같은 박막에 있어서는 투명 도전막(104)의 두께 불균일에 기 인하는 가시광의 간섭무늬는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전광선 투과율은 통상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5%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며, 88%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실시형태의 적층체(3)는, 간섭 불균일이 눈에 띄지 않기 때문에, 대전방지 필름이나 적외선차폐 필름, 반사방지 필름, 터치패널 등의 전극 기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 실시형태의 적층체(3)를 터치패널에 사용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터치패널》
도 3에 나타내는 터치패널(5)은, 각종 전자기기(예를 들면 휴대전화나 카네비게이션 등)에 설치되는 액정 등의 표시 소자(9)의 전면에 장착되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이다. 이 터치패널(5)을 통해 배면의 표시 소자(9)에 표시된 문자나 기호, 그림 등의 시인(視認)이나 선택을 행하여, 손가락이나 전용 펜 등으로 누름조작함으로써, 기기 각 기능의 전환을 행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의 터치패널(5)은, 상전극 기판(제1 전극 기판)(52)과, 하전극 기판(제2 전극 기판)(54)을 갖는다. 상전극 기판(52)은, 상투명 기판(제1 투명 기판)(522)을 갖는다. 상투명 기판(522)의 아랫면에는, 상투명 도전막(제1 투명 도전막)(524)이 형성되어 있다. 하전극 기판(제2 전극 기판)(54)은, 하투명 기판(제2 투명 기판)(542)을 갖는다. 하투명 기판(542) 윗면에는, 하투명 도전막(제2 투명 도전막)(544)이 형성되어 있다.
터치패널(5)은, 상전극 기판(52)측과 하전극 기판(54)측 중 어느 하나가 가동(可動)전극이어도 되나,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전극 기판(52)을 가동전극으로 하 고, 하전극 기판(54)을 고정(비가동)전극으로 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전극 기판(52)의 아랫면과 하전극 기판(54)의 윗면 각각의 외주부분은, 대략 액자상의 스페이서(56)를 매개로 첩합(貼合)되어 있다. 또한, 상전극 기판(52)의 상투명 도전막(524)과, 하전극 기판(54)의 하투명 도전막(544)이, 소정 간극을 두고 대향(對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하투명 도전막(544)의 윗면에는, 필요에 따라 도트상의 스페이서(58)가 소정 간격으로 복수 배치된다. 또한, 스페이서(58)는 필요에 따라 배치하면 되고, 스페이서(58)를 배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하 투명 도전막(524, 544)의 양단에는, 각각 한쌍의 전극(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투명 도전막(524)에 형성되는 한쌍의 상전극(도시 생략)과, 하투명 도전막(544)에 형성되는 한쌍의 하전극(도시 생략)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하전극 기판(54)의 아랫면에는, 접착층(7)을 매개로 세퍼레이터(도시 생략)가 첩부(貼付)되어 있어도 된다.
이 실시형태의 터치패널(5)을, 예를 들면 컬러 액정 등의 표시 소자(9)의 전면에 탑재하는 데에는, 먼저 이 실시형태의 터치패널(5)의 세퍼레이터(도시 생략)를 떼어내고 접착층(7)을 노출시켜, 표시 소자(9)의 전면에 대향하도록 하여 접촉시킨다. 이에 따라, 터치패널 부착 컬러 액정 표시 소자를 형성할 수 있다.
이 터치패널 부착 액정 표시 소자에서는, 유저가 터치패널(5)의 배면에 배치되는 표시 소자(9)의 표시를 시인하면서, 손가락이나 펜 등으로 상전극 기판(52)의 윗면을 누름조작하면, 상전극 기판(52)이 휘어져, 눌린 개소의 상투명 도전막(524)이 하투명 도전막(544)에 접촉한다. 이 접촉을 전술한 한쌍의 상하 전극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검출함으로써, 눌린 위치가 검출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가동전극으로서의 상전극 기판(52)을, 도 2에 나타내는 적층체(3)로 구성하고 있다. 적층체(3)의 투명 도전막(34)이 상투명 도전막(524)에 상당한다. 즉, 상전극 기판(52)의 상투명 기판(522)이, 도 1에 나타내는 광학용 필름(1)으로 구성되어 있고, 광학용 필름(1)의 배면에, 상투명 도전막(524)이 적층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고정전극으로서의 하전극 기판(54)의 하투명 기판(542)은, 예를 들면 유리 등으로 구성된다.
이 실시형태의 터치패널(5)은, 가동전극으로서, 도 2에 나타내는 적층체(3)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간섭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적층체(3)에 사용되고 있는 도 1에 나타내는 광학용 필름(1)은, 높은 하드코트성 및 높은 투시해상성을 갖기 때문에, 터치패널(5)에 흠집이 생기기 어렵고, 터치패널(5)의 배면에 배치되는 액정 등의 표시 소자(9)의 표시를 보기 쉽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가동전극에 더하여, 고정전극(하전극 기판(54))에도, 도 2에 나타내는 적층체(3)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보다 가볍고, 보다 박형이며, 깨지기 어려운 터치패널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발명의 실시형태를 보다 구체화한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 하게 설명한다. 또한, 「부」「%」는, 특별히 나타내지 않는 한 중량기준이다.
《실험예 1》
먼저, 하지층용 도포액, 투명 하드코트층용 도포액 및 반사방지층용 도포액을 조제하였다.
<하지층용 도포액>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1부
(에리텔 UE3200, 유니티카사)
·희석용제 32부
<투명 하드코트층용 도포액>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100부
(고형분 35%, 히타로이드 7975, 히타치카세이사)
·광중합 개시제 1부
(이루가큐어 184, 씨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12부
또한, 투명 하드코트층용 도포액에 포함되는 히타로이드 7975에는, 프리폴리머의 주된 올리고머 성분으로서 아크릴아크릴레이트가 함유되어 있다.
<반사방지층용 도포액>
·실리카 졸(실리카 성분: 10%) 200부
·다공상 실리카 미립자 분산액 250부
(실리카 성분: 5%, 평균입자경 55 nm)
·이소프로판올 350부
·n-부탄올 350부
또한, 실리카 졸의 조제는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하였다. 테트라에톡시실란의 에탄올용액에 대해, 염산을 촉매로서 가수분해반응을 행하여, 실리카 성분이 10% 상당의 실리카 졸을 얻었다. 얻어진 실리카 졸은 틴들현상을 관찰할 수 없는 것이었다.
다음으로, 조제한 하지층용 도포액을, 투명 기재층(12)으로서의 두께 100 ㎛의 투명 고분자 필름(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굴절률: 1.65)의 한쪽 면에 바코터법에 의해 도포하고, 가열 경화시켜서, 두께 약 0.2 ㎛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제의 하지층(14)(굴절률: 1.60)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조제한 투명 하드코트층용 도포액을, 하지층(14) 상에 바코터법에 의해 도포하고, 건조시켜서 도막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형성한 도막에 대해, 고압수은등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고, 두께 약 10 ㎛,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제의 투명 하드코트층(16)(굴절률: 1.53)을 형성하였다. 이 시점에서, 투명 하드코트층(16)의 밀착성(이하, 「밀착성 1」이라고도 한다.)을 다음과 같이 하여 평가하였다. 「밀착성 1」에 대해서는, JIS-K5600-5-6에 준거한 크로스컷법으로, 먼저, 투명 하드코트층(16)측에 대해, 간극 간격 1 mm의 모눈이 100개 생기도록 커팅 라인을 넣는다. 다음으로, 커팅 라인이 들어간 면에 JIS-Z1522에 준거하는 셀로판 점착 테이프를 붙이고, 떼어낸 후의 도막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전혀 박리가 일어나지 않는 것을 「○」, 약간 박리되어 버리는 것을 「△」, 모두 박리되어 버리는 것을 「×」로서 평가하였다.
다음으로, 조제한 반사방지층용 도포액을, 투명 하드코트층(16) 상에 바코터법에 의해 도포하고, 가열 경화시켜서, 파장 550 nm의 부근에서 최소 반사율이 되도록 두께 약 0.1 ㎛의 반사방지층(18)(굴절률: 1.36)을 형성하고, 필름 시료를 얻었다.
얻어진 필름 시료에 대해, 하기의 방법으로, 간섭 불균일, 밀착성 2, 투시해상성, 연필경도를 평가하고, 헤이즈와 절대 경면 반사의 값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1) 「간섭 불균일」에 대해서는, 먼저 흑색 천 상에 필름 시료를 반사방지층을 설치한 면이 위쪽이 되도록 올려놓는다. 다음으로, 이 필름 시료의 반사방지층(18)측에, 삼파장 램프에 의한 조명광을 조사한다. 다음으로, 반사광에 발생하는 간섭 불균일을, 반사광에 의한 삼파장 램프의 상이 관찰되는 위치에서 육안으로 관찰한다. 그 결과, 간섭 불균일이 전혀 눈에 띄지 않는 것을 「◎」, 간섭 불균일이 눈에 띄지 않는 것을 「○」, 간섭 불균일이 있으나 눈에 띄지 않는 것을 「△」, 간섭 불균일이 매우 눈에 띄는 것을 「×」로서 평가하였다.
(2) 「밀착성 2」에 대해서는, 필름 시료의 반사방지층(18)측에 대해서, 90°로 직교하도록 2개의 직선상 커팅 라인을 넣은 후의 도막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한다. 그 결과, 크로스된 부분에 박리가 발생하지 않은 것을 「○」, 박리가 발생한 것을 「×」로서 평가하였다.
(3) 「투시해상성」에 대해서는, 사상성 측정기(ICM-1DP: 스가시험기사)를 사용하여, JIS-K7105에 준거한 방법으로, 필름 시료에 대해, 광학 빗 2.0 mm의 상 선명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측정값이 90% 이상이었던 것을 「○」, 80% 이상 90% 미만이었던 것을 「△」, 80% 미만이었던 것을 「×」로서 평가하였다. 또한, 상 선명도의 측정은 반사방지층(18)측에서 빛을 입사시킴으로써 행하였다.
(4) 「연필경도」에 대해서는, JIS-K5400(1990)에 준거한 방법으로, 필름 시료 표면의 연필긁기값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측정값이 2H 이상인 것을 「◎」, H 이상 2H 미만인 것을 「○」, H 미만인 것을 「×」로서 평가하였다.
(5) 「헤이즈」에 대해서는, 헤이즈미터(NDH2000, 닛폰덴쇼쿠사)를 사용하여, JIS-K7136(2000)에 준거한 방법으로, 필름 시료의 헤이즈값을 측정하였다(단위는 「%」). 또한, 헤이즈값의 측정은 반사방지층(18)측에서 빛을 입사시킴으로써 행하였다. 그 결과, 5% 이하였던 것을 「○」, 5%를 초과하는 것을 「×」로서 평가하였다.
(6) 「절대 경면 반사」에 대해서는, 먼저 필름 시료의 반사방지층을 설치한 면의 반대면에 흑색 점착 테이프를 첩부한다. 다음으로, 분광광도계(UV3101PC, 시마즈제작소사)를 사용하여, 필름 시료의 반사방지층이 설치된 면에 있어서 입사각 5° 및 반사각 5°에서의 경면반사율(이 반사율은 파장 550 nm 부근의 최소 반사율을 나타낸다. 단위는 %)을 측정한다. 그 결과, 측정결과가 2.0% 이하였던 것을 「◎」, 2.0% 초과 3.0% 이하였던 것을 「○」, 3.0%를 초과하는 것을 「×」로서 평가하였다. 수치결과와 함께 나타낸다.
또한, 하지층(14)과 투명 하드코트층(16) 각각의 주성분의 「용해도 계수」 를 산출하여, 양자의 차가 1 이내였던 것을 「≤1」, 1보다도 컸던 것을 「>1」로서 평가하였다. 또한, 투명 기재층(12)에 하지층(14)을 형성한 단계에서, 형성된 하지층(14)의 「습윤장력」을 측정하였다. 습윤장력에 대해서는, JIS-K6768(1999)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시험용 혼합액으로서는, 습윤장력 40.0 mN/m인 것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습윤장력이 40.0 mN/m 이상인 것을 「40≤」, 40.0 mN/m 미만인 것을 「<40」으로서 평가하였다. 이들 결과에 대해서도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실험예 2》
이하의 처방으로 조제한 투명 하드코트층용 도포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험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도포액을 조제하여, 필름 시료를 얻었다. 그리고 실험예 1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투명 하드코트층용 도포액>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10부
(빔세트 575, 아라카와화학공업사)
·광중합 개시제 0.5부
(이루가큐어 184, 씨바·재팬사)
·희석용제 10부
또한, 투명 하드코트층용 도포액에 포함되는 빔세트 575에는, 프리폴리머의 주된 올리고머 성분으로서 우레탄아크릴레이트가 함유되어 있다.
본 실험예에서는, 조제한 투명 하드코트층용 도포액을, 하지층(14) 상에 바 코터법에 의해 도포하고, 건조시켜서 형성한 도막에 대해, 고압수은등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고, 두께 약 10 ㎛의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제의 투명 하드코트층(16)(굴절률: 1.50)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3》
투명 기재층(12)으로서의 두께 100 ㎛의 투명 고분자 필름(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굴절률: 1.75)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험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도포액을 조제하여, 필름 시료를 얻었다. 그리고 실험예 1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험예 4》
이하의 처방으로 조제한 하지층용 도포액을 준비하였다.
<하지층용 도포액>
·아크릴계 수지 1부
(쥬리머 FC60, 닛폰순약사)
·희석용제 7부
다음으로, 조제한 하지층용 도포액을, 투명 기재층(12)으로서의 두께 100 ㎛의 투명 고분자 필름(폴리카보네이트, 굴절률: 1.59)의 한쪽 면에 바코터법에 의해 도포하고, 가열 경화시켜서, 두께 약 0.2 ㎛의 아크릴 수지제의 하지층(14)(굴절률: 1.50)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실험예 2의 투명 하드코트층용 도포액을, 하지층(14) 상에 바코터법에 의해 도포하고, 건조시켜서 도막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형성한 도막에 대 해, 고압수은등으로 자외선을 조사해서 경화시키고, 두께 약 10 ㎛의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제의 투명 하드코트층(16)(굴절률: 1.50)을 형성하였다. 이 시점에서, 투명 하드코트층(16)의 밀착성(1)을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다음으로, 실험예 1의 반사방지층용 도포액을, 투명 하드코트층(16) 상에 바코터법에 의해 도포하고, 가열 경화시켜서, 두께 약 0.1 ㎛의 반사방지층(18)(굴절률: 1.36)을 형성하고, 필름 시료를 얻었다. 그리고 실험예 1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험예 5》
실험예 1의 투명 고분자 필름(굴절률: 1.65)의 한쪽 면에 실험예 4의 하지층용 도포액을 바코터법에 의해 도포하고, 가열 경화시켜서, 실험예 4와 동일한 하지층(14)(굴절률: 1.50)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실험예 1의 투명 하드코트층용 도포액을, 하지층(14) 상에 바코터법에 의해 도포하고, 건조시켜서 형성한 도막에 대해, 고압수은등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고, 실험예 1과 동일한 투명 하드코트층(16)(굴절률: 1.53)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실험예 1의 반사방지층용 도포액을, 투명 하드코트층(16) 상에 바코터법에 의해 도포하고, 가열 경화시켜서, 실험예 1과 동일한 반사방지층(18)(굴절률: 1.36)을 형성하고, 필름 시료를 얻었다. 그리고 실험예 1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험예 6》
이하의 처방으로 조제한 하지층용 도포액을 준비하였다.
<하지층용 도포액>
·폴리초산비닐 10부
(고세놀 GL05, 닛폰고세이화학공업사)
·희석용제 10부
다음으로, 조제한 하지층용 도포액을, 실험예 1의 투명 고분자 필름(굴절률: 1.65)의 한쪽 면에 바코터법에 의해 도포하고, 가열 경화시켜서, 두께 약 0.2 ㎛의 폴리초산비닐제의 하지층(14)(굴절률: 1.45)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실험예 1의 투명 하드코트층용 도포액을, 하지층(14) 상에 바코터법에 의해 도포하고, 건조시켜서 형성한 도막에 대해, 고압수은등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고, 실험예 1과 동일한 투명 하드코트층(16)(굴절률: 1.53)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실험예 1의 반사방지층용 도포액을, 투명 하드코트층(16) 상에 바코터법에 의해 도포하고, 가열 경화시켜서, 실험예 1과 동일한 반사방지층(18)(굴절률: 1.36)을 형성하고, 필름 시료를 얻었다. 그리고 실험예 1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험예 6-1》
이하의 처방으로 조제한 투명 하드코트층용 도포액을 준비하였다.
<투명 하드코트층용 도포액>
·전리방사선 경화형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수지 100부
(고형분 50%, 무기 성분 38%, 데소라이트 7503, JSR사)
·미립자(실리카) 1.9부
(평균입자경 3.5 ㎛)(변동계수 60%)
·메틸에틸케톤 40부
·톨루엔 15부
다음으로, 실험예 1의 투명 고분자 필름(굴절률: 1.65)의 한쪽 면에 실험예 1의 하지층용 도포액을 바코터법에 의해 도포하고, 가열 경화시켜서, 실험예 4와 동일한 하지층(14)(굴절률: 1.60)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조제한 투명 하드코트층용 도포액을, 하지층(14) 상에 바코터법에 의해 도포하고, 건조시켜서 형성한 도막에 대해, 고압수은등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고, 투명 하드코트층(16)(굴절률: 1.50)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실험예 1의 반사방지층용 도포액을, 투명 하드코트층(16) 상에 바코터법에 의해 도포하고, 가열 경화시켜서, 실험예 1과 동일한 반사방지층(18)(굴절률: 1.36)을 형성하여, 필름 시료를 얻었다. 그리고 실험예 1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험예 6-2》
실험예 1의 투명 고분자 필름(굴절률: 1.65)의 한쪽 면에 실험예 6의 하지층용 도포액을 바코터법에 의해 도포하고, 가열 경화시켜서, 실험예 6과 동일한 하지층(14)(굴절률: 1.45)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실험예 6-1의 투명 하드코트층용 도포액을, 하지층(14) 상에 바코 터법에 의해 도포하고, 건조시켜서 형성한 도막에 대해, 고압수은등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고, 투명 하드코트층(16)(굴절률: 1.50)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실험예 1의 반사방지층용 도포액을, 투명 하드코트층(16) 상에 바코터법에 의해 도포하고, 가열 경화시켜서, 실험예 1과 동일한 반사방지층(18)(굴절률: 1.36)을 형성하여, 필름 시료를 얻었다. 그리고 실험예 1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험예 7》
이하의 처방으로 조제한 반사방지층용 도포액을 준비하였다.
<반사방지층용 도포액>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50부
(고형분 100%, CN-120A60, 닛폰카야쿠사)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50부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TMPTA), 고형분 100%)
·광중합 개시제 3부
(이루가큐어 184, 씨바·재팬사)
·다공상 실리카 미립자 100부
(평균입자경: 55 mm)
·희석용제 6500부
다음으로, 실험예 1의 투명 고분자 필름(굴절률: 1.65)의 한쪽 면에 실험예 1의 하지층용 도포액을 바코터법에 의해 도포하고, 가열 경화시켜서, 실험예 4와 동일한 하지층(14)(굴절률: 1.60)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실험예 1의 투명 하드코트층용 도포액을, 하지층(14) 상에 바코터법에 의해 도포하고, 건조시켜서 형성한 도막에 대해, 고압수은등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고, 실험예 1과 동일한 투명 하드코트층(16)(굴절률: 1.53)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조제한 반사방지층용 도포액을, 투명 하드코트층(16) 상에 바코터법에 의해 도포하고, 건조시켜서 형성한 도막에 대해, 고압수은등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고, 두께 약 0.1 ㎛의 반사방지층(18)(굴절률: 1.37)을 형성하여, 필름 시료를 얻었다. 그리고 실험예 1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험예 8》
반사방지층용 도포액으로서, 다공상 실리카 미립자 분산액을 포함하지 않는 실험예 1의 반사방지층용 도포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험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도포액을 조제하여, 필름 시료를 얻었다. 그리고 실험예 1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본 실험예에서는, 조제한 반사방지층용 도포액을, 투명 하드코트층(16) 상에 바코터법에 의해 도포하고, 가열 경화시켜서, 두께 약 0.1 ㎛의 반사방지층(18)(굴절률: 1.44)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9》
이하의 처방으로 조제한 반사방지층용 도포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험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도포액을 조제하여, 필름 시료를 얻었다. 그리고 실험예 1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반사방지층용 도포액>
·폴리에스테르 수지 1부
(바이런200, 고형분 100%, 도요보세키사)
·희석용제 19부
본 실험예에서는, 조제한 반사방지층용 도포액을, 투명 하드코트층(16) 상에 바코터법에 의해 도포하고, 가열 경화시켜서, 두께 약 0.1 ㎛의 반사방지층(18)(굴절률: 1.55)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10》
이하의 처방으로 조제한 반사방지층용 도포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험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도포액을 조제하여, 필름 시료를 얻었다. 그리고 실험예 1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반사방지층용 도포액>
·아크릴 수지 5부
(아크리딕 A814, 고형분 50%, 다이닛폰잉크화학공업사)
·희석용제 45부
본 실험예에서는, 조제한 반사방지층용 도포액을, 투명 하드코트층(16) 상에 바코터법에 의해 도포하고, 가열 경화시켜서, 두께 약 0.1 ㎛의 반사방지층(18)(굴절률: 1.50)을 형성하였다.
Figure 112009049608336-PCT00002
표 1의 결과로부터 이하의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간섭 불균일에 대해서는, 투명 하드코트층(16)의 굴절률 n2가 하지층(14)의 굴절률 n1보다 크거나(n2>n1. 실험예 5, 6 및 6-2), 반사방지층(18)의 굴절률 n3가 투명 하드코트층(16)의 굴절률 n2 이하(n3≥n2. 실험예 9)이고, n3<n2≤n1≤n0의 관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적어도 간섭 불균일이 존재하고, 눈에 띄기 쉽다. 이에 대해, n3<n2≤n1≤n0의 관계를 만족하는 경우(실험예 1~4, 6-1, 7, 8, 10), 간섭 불균일이 존재하지 않고,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고 있다. 특히 실험예 1~4, 6-1, 7, 8, 10에서는, 반사방지층(18)을 얇은 두께로 형성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반사방지층(18) 자체의 두께 불균일에 기인하여 발생하기 쉬운 간섭 불균일의 발생이 충분히 억제되고 있다.
다음으로, 연필경도에 대해서는, 반사방지층(18)의 바인더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나 아크릴 수지를 사용한 경우(실험예 9 및 10), 충분한 연필경도가 얻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실험예 1~8에 대해서는 충분한 연필경도가 얻어지고 있다.
또한, 투시해상성이나 헤이즈에 대해서는, 불투명요소가 될 수 있는 매트제를 함유시키고 있지 않기 때문에, 모든 실험예에서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고 있다. 이에 대해, 실험예 6-1에서는 불투명요소가 될 수 있는 실리카를 함유시키고 있다. 그러나, 그 함유량을 극소량으로 억제해 보니, 투시해상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블로킹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얻어졌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실험예에 있어서, 충분한 연필경도와 투시해상성을 유지하면서 간섭 불균일이 눈에 띄지 않는 것은 실험예 1~4, 6-1, 7, 8이고, 이들 중에서도 특히 우수한 것은 실험예 1, 2, 4, 7, 8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실험예 1, 2, 4, 7, 8의 시료에서는, 높은 연필경도와 투시해상성을 유지하면서 간섭무늬를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험예 1, 2, 4, 7, 8 중에서도, n2-n3가 0.1 이상인 실험예 1, 2, 4, 7이, 비침방지의 관점에서 특히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1》
먼저, 도 3에 나타내는 상전극 기판(52)으로서의 제1 적층체 시료를, 실험예 1에서 얻어진 필름 시료의 배면(=반사방지층(18)과는 반대면)에 두께 약 20 nm의 ITO막을 스퍼터링법으로 형성함으로써 제작하였다.
다음으로, 도 3에 나타내는 하전극 기판(54)으로서의 제2 적층체 시료를, 두께 1 mm 강화 유리판의 한쪽 면에, 두께 약 20 nm의 ITO막을 스퍼터링법으로 형성한 후, 이것을 4형의 크기(세로 87.3 mm×가로 64.0 mm의 직사각형)로 잘라냄으로써 제작하였다.
다음으로, 제2 적층체 시료의 ITO막을 갖는 면에, 스페이서용 도포액으로서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DotCureTR5903: 다이요잉크사)를 스크린인쇄법에 의해 도트상으로 인쇄한 후, 고압수은등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직경 50 ㎛, 높이 8 ㎛의 스페이서(58)를 1 mm의 간격으로 배열시켰다.
다음으로, 양 시료의 ITO막이 소정 갭을 두고 대향하도록, 제1 적층체 시료와, 스페이서(58)를 배열시킨 제2 적층체 시료를 배치하고, 두께 30 ㎛, 폭 3 mm 양면 접착 테이프로 가장자리를 접착하여, 도 3에 나타내는 터치패널(5)에 상당하는 터치패널 시료를 제작하였다. 또한, 이 실험예에서는, 양 시료의 접착부분이 터치패널 시료의 표시면 영역외가 되도록 하였다.
제작한 터치패널 시료에서는, 간섭 불균일이 눈에 띄지 않고, 그 결과, 양호하게 조작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9)

  1. 투명 기재층과, 상기 투명 기재층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적층된 하지층과,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하지층의 표면에 적층된 투명 하드코트층과, 상기 투명 하드코트층의 표면에 적층된 반사방지층을 갖는 광학용 필름으로서,
    상기 투명 기재층의 굴절률을 n0, 상기 하지층의 굴절률을 n1, 상기 투명 하드코트층의 굴절률을 n2, 상기 반사방지층의 굴절률을 n3로 했을 때, n3<n2≤n1≤n0이고, 또한 (n0-n3)≤0.5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필름.
  2. 제1항의 광학용 필름으로서,
    (n0-n1)≤0.2, (n1-n2)≤0.15, (n2-n3)≥0.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의 광학용 필름으로서,
    상기 n0가 1.45~1.75, 상기 n1이 1.40~1.70, 상기 n2가 1.35~1.70, 상기 n3가 1.20~1.4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광학용 필름으로서,
    상기 반사방지층의 두께가 2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광학용 필름으로서,
    상기 하지층의 JIS-K6768(1999)에 준거하여 측정한 습윤장력의 값이 40 mN/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광학용 필름으로서,
    JIS-K7136(2000)에 준거하여 측정한 헤이즈의 값이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필름.
  7. 투명 기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투명 도전막을 갖는 적층체로서,
    상기 투명 기판이,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광학용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8. 제1 투명 도전막이 제1 투명 기판에 형성된 제1 전극 기판과, 제2 투명 도전막이 상기 제1 투명 도전막과 소정의 간극을 두고 대향하도록 제2 투명 기판에 형성된 제2 전극 기판을 갖는 터치패널로서,
    상기 제1 투명 기판 및 상기 제2 투명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광학용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9. 제8항의 투명 터치패널로서,
    상기 제1 전극 기판 및 상기 제2 전극 기판 중 어느 한쪽이 가동측 전극 기판이고, 다른 어느 한쪽이 고정측 전극 기판인 동시에, 상기 가동측 전극 기판이,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광학용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는 투명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KR1020097016966A 2008-03-21 2009-02-24 광학용 필름, 적층체 및 터치패널 KR201001251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74230 2008-03-21
JPJP-P-2008-074230 2008-03-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164A true KR20100125164A (ko) 2010-11-30

Family

ID=41090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6966A KR20100125164A (ko) 2008-03-21 2009-02-24 광학용 필름, 적층체 및 터치패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053101A1 (ko)
JP (1) JPWO2009116363A1 (ko)
KR (1) KR20100125164A (ko)
CN (1) CN101680968A (ko)
TW (1) TW200946334A (ko)
WO (1) WO2009116363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032B1 (ko) * 2010-12-31 2014-04-14 제일모직주식회사 이방 전도성 필름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이방 전도성 필름
KR20140121176A (ko) * 2013-04-05 2014-10-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9710117B2 (en) 2012-09-11 2017-07-18 Fujifilm Corporation Transfer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static capacitance type input device, electrostatic capacitance type input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80076459A (ko) * 2016-12-28 2018-07-06 한국세라믹기술원 스크린 프린팅이 가능한 반사방지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반사방지막의 제조방법
KR102215047B1 (ko) * 2019-10-01 2021-02-15 조덕재 용융압출식 분산형 편광필름 제조장치
WO2021066401A1 (ko) * 2019-10-01 2021-04-08 조덕재 용융 압출식 편광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15596A4 (en) * 2009-03-31 2015-08-19 Kimoto Kk FUNCTION FILM AND LAMINATE THEREFOR
WO2011096700A2 (en) * 2010-02-02 2011-08-11 Samsung Techwin Co., Ltd.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78180B1 (ko) * 2010-05-07 2012-08-30 한국다이요잉크 주식회사 결정형 태양전지 후면 전극 제조용 조성물
JP5505174B2 (ja) * 2010-07-30 2014-05-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パターン印刷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多機能映写スクリーン
KR20110125155A (ko) * 2010-08-30 2011-11-18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스크린
KR101850713B1 (ko) * 2010-11-11 2018-04-20 (주)도은 터치 스크린용 고분자 수지 기판 및 그의 제조방법
JP5674446B2 (ja) * 2010-12-16 2015-02-2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熱線遮蔽フィルム、これを用いた熱線遮蔽ガラス、及び複層ガラス
JP5699738B2 (ja) * 2011-03-29 2015-04-1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と、それを用いた熱線遮断フィルム及び有機素子デバイス
JP5758672B2 (ja) * 2011-03-30 2015-08-05 グンゼ株式会社 光反射防止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光反射防止シート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およびディスプレイ
CN102490429B (zh) * 2011-10-29 2016-03-02 合肥乐凯科技产业有限公司 一种具有低干涉纹的透明硬化膜
JP5440747B2 (ja) * 2011-11-07 2014-03-12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
KR20130065051A (ko) * 2011-12-09 2013-06-19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강화 글라스의 절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패널의 제조방법
KR102021630B1 (ko) * 2012-02-03 2019-09-16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투명 도전막 부착 기재 및 터치 패널
JP2013196531A (ja) * 2012-03-22 2013-09-30 Japan Display Inc タッチパネルおよ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JP5304939B1 (ja) 2012-05-31 2013-10-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積層体、偏光板、偏光板の製造方法、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の視認性改善方法
JP6171299B2 (ja) * 2012-10-03 2017-08-02 日油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
JP6171300B2 (ja) * 2012-10-03 2017-08-02 日油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及び透明粘着層を積層した透明導電性粘着フィルム
KR20140089995A (ko) * 2013-01-08 2014-07-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6264367B2 (ja) * 2013-02-20 2018-01-24 凸版印刷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及びこれを備えたタッチパネル並びに表示デバイス
CN104423745A (zh) * 2013-09-02 2015-03-18 天津富纳源创科技有限公司 触摸屏的制备方法
KR102087422B1 (ko) * 2013-09-18 2020-03-11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적층 필름과 그의 제조 방법, 터치 패널 장치, 화상 표시 장치 및 모바일 기기
JP6235288B2 (ja) * 2013-09-30 2017-11-22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
KR20150119755A (ko) * 2014-04-16 2015-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항균커버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CN105224120B (zh) * 2014-07-03 2018-07-31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基板结构
CN111031715A (zh) * 2014-08-28 2020-04-1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壳体及具有该壳体的电子装置
JP2016078245A (ja) * 2014-10-10 2016-05-16 株式会社巴川製紙所 透明電極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CN104260526A (zh) * 2014-10-17 2015-01-07 山东胜通光学材料科技有限公司 高透光率的多层聚酯薄膜
KR102542864B1 (ko) * 2015-01-19 2023-06-14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적층 기재, 커버글라스, 터치패널 및 적층 기재의 제조 방법
TWI570608B (zh) * 2015-03-20 2017-02-11 禾瑞亞科技股份有限公司 壓力感測觸控面板、壓力感測方法、壓力感測之電子裝置及其控制單元
CN106977113A (zh) * 2016-01-19 2017-07-25 精工爱普生株式会社 透光性部件、钟表及透光性部件的制造方法
CN109642964A (zh) * 2016-08-23 2019-04-16 琳得科株式会社 硬涂膜
JP6307205B1 (ja) * 2016-08-23 2018-04-0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KR20180056443A (ko) 2016-11-18 2018-05-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I678282B (zh) 2017-04-21 2019-12-01 國立研究開發法人產業技術綜合研究所 積層體及其製造方法
JP6532929B2 (ja) * 2017-11-28 2019-06-1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CN108089246A (zh) * 2017-12-04 2018-05-29 张家港康得新光电材料有限公司 一种光学膜及触控屏及光学膜的制备方法
CN108169826A (zh) * 2017-12-04 2018-06-15 张家港康得新光电材料有限公司 一种光学膜、ito膜及触控屏
KR20200005888A (ko) 2018-07-09 2020-01-1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광학 다층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품 및 표시 장치
KR102032316B1 (ko) * 2018-07-09 2019-10-15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광학 다층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품 및 표시장치
KR20200040137A (ko) * 2018-10-08 2020-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층 필름, 및 적층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0204981A (zh) * 2019-06-13 2019-09-06 天津市朗威柏丽科技有限公司 消光透明的防水涂料
CN115302879A (zh) * 2021-05-06 2022-11-08 天材创新材料科技(厦门)有限公司 透明隔热薄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7940A (ja) * 2000-12-25 2002-07-12 Bridgestone Corp タッチパネル
JP2003251256A (ja) * 2002-03-06 2003-09-09 Fuji Photo Film Co Ltd 塗布装置および塗布方法
JP2004021550A (ja) * 2002-06-14 2004-01-22 Sony Corp タッチパネル、表示体、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CN100397531C (zh) * 2003-02-03 2008-06-25 普利司通股份有限公司 透明导电性膜、透明导电板和触摸面板
WO2005023888A1 (ja) * 2003-09-05 2005-03-17 Kaneka Corporation ポリオレフィン系グラフト共重合体、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388876B (zh) * 2003-12-26 2013-03-11 Fujifilm Corp 抗反射膜、偏光板,其製造方法,液晶顯示元件,液晶顯示裝置,及影像顯示裝置
WO2006101218A1 (en) * 2005-03-22 2006-09-28 Fujifilm Corporation Antireflec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4053574B1 (ja) * 2006-09-27 2008-02-27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7156391A (ja) * 2005-11-14 2007-06-21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反射防止膜付き透明基材
JP2007178999A (ja) * 2005-11-29 2007-07-12 Bridgestone Corp 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032B1 (ko) * 2010-12-31 2014-04-14 제일모직주식회사 이방 전도성 필름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이방 전도성 필름
US9710117B2 (en) 2012-09-11 2017-07-18 Fujifilm Corporation Transfer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static capacitance type input device, electrostatic capacitance type input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40121176A (ko) * 2013-04-05 2014-10-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80076459A (ko) * 2016-12-28 2018-07-06 한국세라믹기술원 스크린 프린팅이 가능한 반사방지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반사방지막의 제조방법
KR102215047B1 (ko) * 2019-10-01 2021-02-15 조덕재 용융압출식 분산형 편광필름 제조장치
WO2021066401A1 (ko) * 2019-10-01 2021-04-08 조덕재 용융 압출식 편광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80968A (zh) 2010-03-24
WO2009116363A1 (ja) 2009-09-24
US20100053101A1 (en) 2010-03-04
TW200946334A (en) 2009-11-16
JPWO2009116363A1 (ja) 201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5164A (ko) 광학용 필름, 적층체 및 터치패널
JP5872770B2 (ja) 被膜を持つ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30210B1 (ko) 표시소자 전면용 필름 및 표면부재 부착 표시소자
KR20090058587A (ko) 광학용 필름 및 이를 사용한 투명 도전성 부재, 투명 터치 패널
KR20070015077A (ko)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및 그것을 갖춘 디스플레이
JP7095761B2 (ja) タッチパネルペン用筆記シート、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及び表示装置、並びにタッチパネルペン用筆記シートの選別方法
JP6575191B2 (ja) 指滑り層形成用樹脂組成物、指滑り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6790524B2 (ja) タッチパネルペン用筆記シート、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ペン用筆記シートの選別方法
KR20180055704A (ko) 필기감 향상 필름
JP4753764B2 (ja) タッチパネル
KR102225360B1 (ko) 하드코트 필름 및 표면부재 부착 표시소자
JP6819446B2 (ja) タッチパネル用表面部材、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用表面部材の選別方法
KR101779624B1 (ko) 반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JP2017102864A (ja) タッチパネルペン用筆記シート、タッチパネル及び表示装置、並びにタッチパネルペン用筆記シートの選別方法
JP2010186020A (ja) 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
KR102181559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CN113557138A (zh) 成型用层叠膜
JP6288666B2 (ja) ハードコート転写媒体
JP6205224B2 (ja) ベース基材シート及び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
CN109476073B (zh) 光学构件的制造方法
KR101565963B1 (ko) 터치스크린 패널용 투명 도전성 필름
KR20120077017A (ko) 터치스크린 패널용 보호필름 및 이를 채용한 터치스크린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