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5077A -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및 그것을 갖춘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및 그것을 갖춘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5077A
KR20070015077A KR1020060071479A KR20060071479A KR20070015077A KR 20070015077 A KR20070015077 A KR 20070015077A KR 1020060071479 A KR1020060071479 A KR 1020060071479A KR 20060071479 A KR20060071479 A KR 20060071479A KR 20070015077 A KR20070015077 A KR 20070015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isplay
resin
uneven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즈야 나카무라
마사야 히키타
신지 마시코
Original Assignee
노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15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50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1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8Coatings for keeping optical surfaces clean, e.g. hydrophobic or photo-catalytic film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2Antiglare, refractive index matching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용 표면재(10)는, 투명 기재(11) 상에 설치된 방현층(14; 14, 16)을 갖추어 방현층은, 수지제의 요철부(13)를 가지는 표면을 가진다.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상기 수지로 형성되는 평탄막의 접촉각이 60도 이하이다.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Description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및 그것을 갖춘 디스플레이{Display surface material and a display incorporating the same}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는 디스플레이용 표면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2(a) 내디(c)는 도1의 변형예이다.
 도3(a)은 본 발명의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3(b)은 본 발명의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4는 전자 유도 방식의 터치 패널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유리 케이스, 플라스틱 케이스 등의 전시용 디스플레이나, 퍼스널 컴퓨터, 텔레비젼, 휴대전화 등의 화상 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및 그것을 갖춘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디스플레이에 대해서는, 외부로부터의 빛이 그 표면(표시면)에서 확산하는 일 없이 반사하면, 거기에는 상이 자주 바뀌어 옮겨지고, 내부의 화상이 매우 보기 어려워지므로, 디스플레이 표면에는 외부로부터의 빛을 확산시키기 위한 방현(防眩) 필름이 설치되어 있다.
그렇지만, 디스플레이의 사용시에는, 그 표면에 손가락이 닿는 것으로부터, 표면에 피지 등의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에 의한 지문 등 (이하,「지문」이라 함)이 부착하고, 화상의 시인성이 손상되기 쉽다. 그 때문에, 지문이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투명 기재 필름 상에 수지층을 적층하고, 그 위에 방오성을 가지는 방현층을 형성한 방현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을 참조). 방오성을 가지는 방현층은, 불소 변성 화합물을 함유하고, 트리아세틴에 대한 접촉각이 43도을 넘기는 것이다.
특허 문헌 1:특개 2000-194272호 공보(제2페이지 및 제4페이지)
상기 불소 화합물에 의해 형성된 방오층은 그 표면 자유에너지가 낮기 때문에, 지문의 부착량이 적게 되는 것과 동시에, 부착한 지문이 닦아내기 쉽다고 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렇지만, 방현층이 불소 화합물을 함유하고, 또 트리아세틴에 대한 접촉각이 43도을 넘기는 것이기 때문에, 방현층상에 부착한 지문을 형성하는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은 부착 지문이 시인되는 요인의 미소 액체방울을 형성하기 쉽고, 그 미소 액체방울로 빛의 난반사가 일어나 디스플레이 표면에서 지문이 눈에 띄는 점은 여전히 개선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상에 대해 시인성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현 기능과, 표면에 부착한 지문을 눈에 띄기 어렵게 하 는 기능을 겸비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및 그것을 갖춘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부착한 지문은 그 표면상에서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이 미소 액체방울을 형성하고, 빛이 그 미소 액체방울에서 난반사하는 것으로써 지문이 눈으로 인식된다. 거기서,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이 부착해도 이 미소 액체방울이 생성하지 않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표면에 젖는 상태가 되면 목시(目視)에서는 지문이 대부분 눈에 띄지 않게 할 수가 있다고 하는 발상 전환을 했다. 즉, 방현성을 발현하기 위한 표면 요철부에 근거하여,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의 부착량 저감과, 요철에 가한 그 표면을 구성하는 물질을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에 대해서 친숙해지기 쉽게 하고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을 그 이상으로 흡수시키도록 하면, 부착한 지문의 두드러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서 본 발명을 완성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의 태양은,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배치되어 이용되는 디스플레이용 표면재이며, 투명 기재상에, 수지에 의해 표면에 요철부를 가지는 방현층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과 동시에,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상기 수지로 형성되는 평탄막의 접촉각이 6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표면재에서는, 수지에 의해 표면에 요철부를 가지는 방현층에 의하고, 빛의 반사 방향이 변화하고 확산되고 눈에 들어오는 반사광이 억 제되어 방현성이 발현된다. 게다가 표면에 요철부를 가지는 것으로 모세관 현상에 근거해 지문을 형성하는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이 표면의 철부(일종의 모세관)로 유도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상기 수지로 형성되는 평탄막의 접촉각이 60도 이하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방현층을 구성하는 수지가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에 대해서 친숙해지기 쉽고,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이 표면의 철부로 신속하게 유도되어 부착한 지문이 시인되기 어려워진다고 추측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용 표면재는 방현 기능과, 표면에 부착한 지문을 눈에 띄기 어렵게 하는 기능을 겸비하고, 디스플레이 화상 등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의 대표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의 구성은 도1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가 있다.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투명 기재 11의 표면에는 미립자 12를 포함한 수지에 의해 요철부 13을 가지는 요철층 14가 형성되는 것과 동시에, 이면에는 점착제층 15가 설치되어 있다. 요철층 14는 표면의 요철부 13에 의해 방현층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는, 요철층 14를 구성하는 수지가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에 친숙성을 가지고 있다.
도2(a)의 (c)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의 다른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은, 상기 도면 1에 대하고, 요철층 14 상에는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에 친숙성을 가지는 피복층(지문 친숙층) 16이 설치되고, 그 외는 도1과 같은 구성이다. 도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은, 요철층 14가 요철 전사에 의해 형성되고 그 요철층 14를 구성하는 수지가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에 친숙성을 가지며, 그 외는 도1과 같은 구성이다. 도2(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은, 요철층 14가 요철 전사에 의해 형성되고 그 요철층 14 상에는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에 친숙성을 가지는 피복층 16이 설치되고, 그 외는 도1과 같은 구성이다. 도2(a) 및 (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요철층 14상에 피복층 16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그것들 요철층 14 및 피복층 16 에 의해 방현층이 구성된다.
상기 투명 기재 11으로서는, 투명 수지 시트, 투명 수지 필름, 투명 유리판 등이 이용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투명 기재 11을 형성하는 수지 재료로서 구체적으로는, 폴리(메타)아크릴계 수지, 폴리(메타)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메틸펜텐계 수지,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TAC)계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재생 셀룰로오스계 수지, 디아세틸셀룰로스계 수지,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3원 공중합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 에테르 케톤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 염화 비닐리덴계 수지,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나일론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아미 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러한 그 중에서, 범용성 및 용도 실적 등의 관점으로부터, 폴리(메타)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TAC)계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투명 기재 11의 두께는 통상 10~5000㎛, 바람직하게는 25~1000㎛,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35~500㎛ 이다. 이 두께가 10~5000㎛인 경우, 작업성은 양호하고, 투명 기재 11의 강도는 저하하지 않고 불필요하게 두꺼워질 것도 없다.
상술과 같이 요철층 14는 수지에 의해 요철부 13이 형성되고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상기 수지로 된 평탄막의 접촉각이 60도 이하인 것이 필요하고, 5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40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요철층 14는 상기와 같이 그 자체가 표면에 요철부 13을 가지며, 한편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과의 친숙성이 양호한 형태일 수 있고, 표면에 요철부 13을 가지며, 그 위에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과의 친숙함이 양호한 피복층 16을 마련한 형태일 수 있다. 이 접촉각이 60도 이하인 것에 의하고, 요철층 14를 구성하는 수지가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에 대해서 친숙해지기 쉽고,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이 요철층 14 또는 피복층 16 표면의 철부 13a로 신속하게 유도되어 부착한 지문이 시인되기 어려워지는 기능을 발현할 수가 있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접촉각이 60도를 넘기는 경우에는,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이 미소 액체방울화하기 쉬워져 빛이 난반사하고, 디스플레이 화상 등의 시인성이 나빠져 부적당하다.
상기 표면의 요철부 13에 관해서, JIS B 0601-1994에 규정되는 산술 평균 거칠기(Ra)로서 0.05~5㎛가 바람직하고, 한편 요철부 13의 평균 간격(Sm)으로서 5~500㎛가 바람직하다. 이 Ra는 0.05~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Sm는 5~5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Ra는 0.1~0.7㎛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Sm는 5~35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Ra가 0.05~5㎛인 경우 또는 Sm가 5~500㎛인 경우, 요철부 13이 지나치게 작아질 것은 없고, 요철부 13의 간격이 지나치게 넓어질 것은 없고, 방현성이 충분하고,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을 흡수하는 모세관 현상의 효과가 감소할 것도 없고, 부착 지문 눈에 띔 방지 기능은 저하하지 않는다. 게다가, 요철부 13이 지나치게 커질 것도 없고, 요철부 13의 간격이 지나치게 좁아질 것도 없기 때문에, 헤이즈(haze)치를 저감할 수가 있다.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은, 필요에 따라 투명 기재 11의 이면, 투명 기재 11과 요철층 14의 사이에 있어서, 소망한 기능층, 예를 들면, 점착제층, 자외선 흡수층, 적외선 흡수층, 반사 방지층, 연질(내충격) 층, 하드 코트층, 도전층, 대전 방지층, 단열층, 반사층, 프라이머층 등의 각층을 단일층 또는 복수층으로 마련할 수가 있다.
방현층이 요철층 14와 그의 위의 지문과의 친숙함이 양호한 피복층 16로 구성되는 경우, 피복층 16에 본 발명의 목적의 기능을 유지하는 정도의 요철부 13이 보관 유지되는 것을 조건으로서, 필요에 따라 요철층 14 및 피복층 16의 사이에 소망한 기능층을 단일층 또는 복수층으로 마련하는 일도 가능하다. 그러한 층으로서 예를 들면 자외선 흡수층, 적외선 흡수층, 연질(내충격) 층, 하드 코트층, 도전층, 대전 방지층, 단열층, 반사층, 프라이머층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에, 상기 피복층 16에 대해 설명한다. 피복층 16은, 지문이 기름 성분을 주로 하는 것이므로, 지문과의 친숙함(친화성)이 양호한 지문 친숙층이다. 지문과의 친숙함이 양호한 것의 지표로서 상기 수지의 평탄막에서의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접촉각이 채용된다. 이 접촉각은 60도 이하인 것이 본 기능 발현에는 필요하고, 5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40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접촉각이 60도 이하이면,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상에서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이 미소 액체방울을 형성하기 어렵고, 표면의 요철부 13에 의한 모세관 현상에 근거하는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의 흡수가 용이해진다. 이러한 접촉각을 가지는 소재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일 없이 어느 쪽의 수지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수지로서 예를 들면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열경화형 수지, 열가소성 수지 등이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생산성 및 여러 물성의 관점으로부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피복층 16 표면의 접촉각은, 트리아세틴에 대한 접촉각으로서 43도 이하이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를 피복층 16용의 코팅제로 하는 경우, 그 코팅제의 구성 성분으로서 중합성 성분이 필수이다. 즉, 중합성 성분은, 단관능 단량체, 다관능 단량체, 비닐기 또는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올리고머(이하, 중합성 올리고머라고 함) 및 비닐기 또는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중합체(이하, 중합성 중합체라고 함)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된다. 그 외 필요에 따라 광분해형 또는 열분해형 등의 중합 개시제, 비닐기 또는 (메타)아크릴 로일기를 포함하지 않는 올리고머(이하, 비중합성 올리고머라고 함), 비닐기 또는 (메타)아크릴로일기를 포함하지 않는 중합체(이하, 비중합성 중합체라고 함), 금속 산화물, 계면활성제, 희석 용제, 광증감제, 안정화제,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피복층 16은, 그 평탄막의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접촉각이 60도 이하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 60도 이하의 접촉각은, 예를 들면 단관능 단량체나 금속 산화물의 종류와 그 양에 의해 제어가 가능하다. 중합성 올리고머, 중합성 중합체, 비중합성 올리고머 또는 비중합성 중합체(이들 2 종류의 올리고머 및 2 종류의 중합체를 총칭해 「각 올리고머 또는 각 중합체」라고 함)를 이용하는 경우에는,「각 올리고머 또는 각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관능 단량체를 단관능 단량체 레벨로 그 종류와 양을 고려하면 좋다.
예를 들면,「각 올리고머 또는 각 중합체」및 금속 산화물을 이용하지 않는 단관능 단량체와 다관능 단량체의 편성에 대하고, 단관능 단량체의 양은,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평탄막의 접촉각이 60도 이하가 되는 수지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면 특별히 제한은 되지 않는다. 단관능 단량체만이 상기 60도 이하의 접촉각을 달성하기 위한 유효 성분인 경우에는, 단관능 단량체의 양은, 중합성 성분 중, 통상 1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75 질량% 이상이다. 이 비율이 30 질량% 이상의 경우, 피복층 16은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과 친숙해지기 쉽다. 만약, 이 비율이 10 질량% 까지 저하하면, 피복층 16은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과 거의 친숙해지 지 않는다.
그 외 필요에 따라 더하는 첨가제에 관해서는, 통상 사용되는 범위 내에서 문제 없지만,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에 대해서 광분해형 또는 열분해형 등의 중합 개시제는, 중합성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서 0.01~2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코팅제로부터 얻을 수 있는 피막은 충분히 또는 완전하게 경화할 수가 있다. 이 배합 비율이 20 질량%를 넘는 경우에는, 충분히 경화한 도막을 얻을 수 있지만, 그 이상의 효과는 바라지 못하고, 불필요하게 많은 양이며 쓸데없다. 사용되는 광분해형 또는 열분해형 등의 중합 개시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는 일 없이 사용할 수가 있다.
상기의 단관능 단량체와 다관능 단량체의 편성에 대해 「각 올리고머 또는 각 중합체」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상기 60도 이하의 접촉각을 달성하기 위한 단관능 단량체가, 단관능 단량체와 다관능 단량체와 「각 올리고머 또는 각 중합체」라는 합계량 중에, 통상 1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75 질량% 이상이다. 이 비율이 30 질량% 이상이면, 피복층 16은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과의 충분히 친숙해진다. 만약, 이 비율이 10 질량% 까지 저하하면, 피복층은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과 거의 친숙해지지 않는다. 비중합성 올리고머나 비중합성 중합체의 첨가량은, 중합성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서 통상 100 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80 질량부이다. 그 첨가량이 1~80 질량부의 경우에는,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에 대한 친숙성 및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피막의 특장(特長)인 강도가 우수하다.
열가소성 수지를 코팅제로 하는 경우, 그 코팅제 구성 성분은,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의 경우에 이용되는 단관능 단량체를 중합하여 얻을 수 있는 중합체, 아크릴계 관능기를 포함하지 않는 중합체가 필수이며, 그 외로서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희석 용제, 안정화제,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 흡수제나 산화 방지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단관능 단량체로서는,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단관능 단량체로부터 얻을 수 있는 수지로 형성되는 평탄막의 접촉각이 60도 이하가 되는 조건을 충족하는 한, 공지의 단관능 단량체가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접촉각을 내리는데 효과적인 단관능 단량체로서 예를 들면 다음의 단관능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즉, 탄소수가 1~20인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화합물이고 한편 불소 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화합물로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이타콘산에스테르, 푸마르산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게다가 탄소수가 1~10인 아민과의 아미드 화합물이고 불소 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메타)아크릴산 아미드를 들 수 있다. 더하고, 스티렌 및 불소 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치환 스티렌을 들 수 있다. 그 외, N-비닐-2-피롤리돈 및 불소 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치환 N-비닐-2-피롤리돈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단관능 단량체를 예시할 수가 있다. 즉, 단관능 단량체로서는, (메타)아크릴산 메틸, (메타)아크릴산 에틸, (메타)아크릴산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산 n-부틸, (메타)아크릴산 t-부틸, (메타)아크릴산 이소부틸, (메타)아크릴산 n-헥실, (메타)아크릴산 2-에틸 헥실, (메타)아크릴산 이소데실, (메타)아크릴산 라우릴, (메타)아크릴산 스테아릴, (메타)아크릴산세틸, (메타)아크 릴산이소보닐, (메타)아크릴산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산 트리시클로데실, (메타)아크릴산 벤질, (메타)아크릴산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메타)아크릴산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 (메타)아크릴산 디시클로펜타닐, (메타)아크릴산펜타메틸피페리딜, (메타)아크릴산 헥사히드로프탈산 에틸,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 프로필 프탈산 에틸,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 부틸, (메타)아크릴산부톡시에틸, (메타)아크릴산 페녹시에틸, (메타)아크릴산 메톡시 디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메톡시 트리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류,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m)-메톡시스티렌, 푸마르산 디t-부틸, 푸마르산 디n-부틸, 푸마르산 디에틸, 이타콘산모노(디)메틸, 이타콘산모노(디)에틸,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 N-비닐-2-피롤리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접촉각은 낮을 수록 부착한 지문의 두드러짐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기 때문에, 다음의 단관능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관계되는 단관능 단량체로서(메타)아크릴산 메틸, (메타)아크릴산 에틸, (메타)아크릴산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산 n-부틸, (메타)아크릴산 t-부틸, (메타)아크릴산 이소부틸, (메타)아크릴산 이소데실, (메타)아크릴산 스테아릴, (메타)아크릴산세틸, (메타)아크릴산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산 트리시클로데실, (메타)아크릴산 벤질, (메타)아크릴산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메타)아크릴산 디시클로펜타닐, (메타)아크릴산 펜타메틸피페리딜, (메타)아크릴산 헥사히드로프탈산 에틸,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 프로필 프탈산 에틸, (메타)아크릴산 부톡시에틸, (메타)아크릴산 페녹시에틸, (메타)아크릴산 메톡시디에틸렌글리콜, ( 메타)아크릴산 메톡시 트리에틸렌 글리콜 등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류, 스티렌, N-이소프로필 아크릴 아미드를 들 수 있다.
이들 바람직한 단관능 단량체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가 있지만,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 중에 차지하는 비율은 30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50 질량% 이상이 한층 더 바람직하고, 75 질량% 이상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 비율이 30 질량% 이상이면,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과 충분히 친숙해지는 피복층 16을 얻을 수 있다.
다관능 단량체로서는, 다가 알코올과 (메타)아크릴산과의 에스테르화물, 우레탄 변성 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2개 이상 포함한 다관능 중합성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테트라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판디올, 부탄디올, 펜탄 디올, 헥산 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2-에틸-1,3-헥산 디올, 2,2'-티오 디에탄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의 2가의 알코올; 트리메티롤프로판, 글리세롤, 펜타에리트리톨, 디글리세롤, 디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티롤프로판 등의 3가 이상의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우레탄 변성 아크릴레이트는, 1 분자 중에 복수 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유기 이소시아네이트와 수산기를 가지는(메타)아크릴산 유도체의 우레탄화 반응에 의해 얻을 수 있다. 1 분자 중에 복수 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유기 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 트,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1 분자 중에 2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유기 이소시아네이트, 그것들 유기 이소시아네이트를 이소시아누레이트 변성, 아닥트(adduct) 변성, 뷰렛(buret) 변성한 1 분자 중에 3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유기 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피막 강도 향상이나 입수성의 점으로부터, 디(메타)아크릴산 헥산 디올, 디(메타)아크릴산 네오펜틸 글리콜, 디(메타)아크릴산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산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트리(메타)아크릴산 폴리메틸올 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산 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타)아크릴산 디펜타에리트리톨 등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류,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 에틸과의 부가체,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 에틸과의 부가체,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 에틸과의 부가체, 아닥트 변성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 에틸과의 부가체 및 뷰렛 변성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 에틸과의 부가체가 바람직하다.
비닐기 또는 (메타)아크릴로일기를 포함하지 않는 올리고머로서는, 아크릴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에폭시 올리고머, 우레탄 올리고머, 폴리 에테르 올리고머, 알키드 올리고머, 폴리 부타디엔 올리고머, 폴리티올폴리엔올리고머 및 스피로 아세탈 올리고머의 각 올리고머, 다가 알코올의 다관능(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로 된 올리고머를 들 수 있다.
비닐기 또는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올리고머로서는, 상기 올리고머에 비닐기 또는 (메타)아크릴로일기를 부가시킨 올리고머를 들 수 있다. 비닐기 또는 (메타)아크릴로일기를 포함하지 않는 중합체로서는, 상기 비닐기 또는 (메타)아크릴로일기를 포함하지 않는 올리고머의 중합체 타입을 들 수 있다. 비닐기 또는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중합체로서는, 상기 비닐기 또는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올리고머의 중합체 타입을 들 수 있다.
이들 올리고머 및 중합체에 대해서는, 각종 기능을 발휘시킬 수가 있도록, 또는 서로 이웃하는 층이라는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도록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밀착성에 대해 말하면, 서로 이웃하는 층을 형성하고 있는 수지에 대한 친화성을 가지는 수지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에 대한 친화성을 가지는 중합체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와 서로 이웃하는 층에 대한 친화성을 가지는 중합체의 양중합체로 이루어진 블록 공중합체 또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등의 부분화 공중합체를 선택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로서는, 자외선이나 광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해 중합을 개시하는 공지의 화합물을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벤조페논류, 아세트페논류, α-아미록심에스테르, 미히라벤조일벤조에이트, 테트라메틸츄람모노술파이드, 티옥산톤류를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히드록시 시클로헥실 페닐 케톤,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페리노프로판-1-온, 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 벤조인, 2,2-디메톡시-1,2-디페닐 에탄-1-온, 벤조페논, [4-(메틸 페닐티오)페닐]페닐메타논, 4-히드록시벤조페논, 4-페닐벤조페논, 3,3',4,4'-테트라(t-부틸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2-클로로티옥산톤, 2,4-디에틸티옥산톤, α-아미록심에스테르, 미히라벤조일벤조에이트, 테트라메틸츄람모노술파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각종 원료를 배합했을 때의 상용화의 목적이나, 피막의 평활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이용된다. 그러한 계면활성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수지로 형성되는 평탄막의 접촉각을 60도 이하에 유지하기 위해서는, 아크릴계 공중합물(이온계, 비이온계), 메타크릴계 공중합물, 용제형 도료용 레벨링제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의 시판품으로서는 「BYK-361」,「BYK380」,「BYK-390」,「BYKetol-WS」,「BYK-OK」,「NANOBYK-3601」(빅크케미 사제)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코팅제 중에 차지하는 배합 비율은, 코팅제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해서 통상 0.01~10 질량부이며, 0.01~5 질량부가 바람직하다. 이 배합 비율이 0.01~10 질량부이면, 상용화 또는 피막의 평활성을 발현하는데 과부족이 없다.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실록산계 화합물도 사용할 수 있지만, 첨가량 및 종류에 따라서는 평탄막의 접촉각이 60도를 넘겨 버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그 첨가량을 적당 조정할 필요가 있다.
폴리실록산계 화합물로서는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계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폴리오르가노실록산기 함유 공중합체일 수 있다. 폴리디오 르가노실록산의 대표예는 폴리 디메틸 실록산이다. 게다가 주쇄나 측쇄의 말단에 비닐기 또는 (메타)아크릴로일기 등의 반응성기를 가질 수 있다. 그 메틸기의 일부 내지 모두가 다른 유기기에 치환된 구조의 것(단, 그 메틸기가 치환되는 위치는 말단에 있어도 연쇄 내에 있어도 괜찮다)이어도 괜찮다. 그러한 다른 유기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이외의 알킬기, 아릴기, 시클로알킬기 및 폴리옥시 알킬렌 쇄이나 폴리에스테르 쇄 등의 반복 단위를 가지는 연쇄 등이 있다. 한층 더 이러한 유기기는 수산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아실기, 아실 옥시기, 카르복실기, 그 외의 관능기를 가질 수가 있다.
상기 반복 단위를 가지는 연쇄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 에틸렌쇄, 폴리옥시 프로필렌쇄,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쇄, 폴리(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쇄 등의 폴리옥시 알킬렌쇄 또는 폴리카프로락톤쇄이나 폴리에틸렌세바케이트쇄, 폴리에틸렌 아디페이트쇄 등의 폴리에스테르쇄를 들 수 있다. 이들 연쇄의 말단은 수산기나 카르복실기, (메타)아크릴로일기나 비닐기이어도, 그 말단이 유기기로 봉쇄되고 있어도 괜찮다. 예를 들면, 알킬 에테르화, 알킬 에스테르화 등으로 봉쇄되고 있어도 괜찮다. 이 연쇄는 통상 디메틸렌기나 트리메틸렌기 등의 알킬렌기를 개입시켜 규소 원자와 결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실록산계 화합물로서는 폴리 에테르 변성 폴리 디메틸 실록산이 바람직하고, 그 시판품으로서는 「BYK-306」,「BYK330」,「BYK-341」,「BYK-344」,「BYK-307」,「BYK-333」(빅크케미 사제),「VXL4930」(비아노바레진즈 사제) 등을 들 수 있다.
희석 용매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로 된 코팅제를 도포하는데 사용되고, 그 도포액의 점도를 조정하기 위해서 이용되고 비중합성의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톨루엔, 크실렌, 초산에틸, 초산 프로필, 초산 부틸, 메틸세르솔브, 에틸세르솔브, 에틸세르솔브아세테이트, 메틸 알코올, 에틸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부틸 알코올,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시클로헥사논, 헥산, 헵탄, 옥탄, 데칸, 도데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3-메톡시 부탄올 등을 들 수 있다.
광증감제로서는, 상기 중합 개시제용의 공지인 화합물이 이용되고, 예를 들면 트리부틸 아민, 트리에틸아민, 폴리에틸렌이민, 폴리-n-부틸호소핀, p-디메틸 아미노 안식향산에틸 에스테르, p-디메틸 아미노 안식향산 이소아밀 에스테르 등의 3급 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에 대하고, 불소 원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0.05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전혀 포함하지 않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는, 불소 원자 이외의 원자로 구성되는지, 또는 불소 원자 이외의 원자가 99.95 질량%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99.99 질량%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불소 원자의 비율이 0.05% 이하의 경우에는, 저표면 자유에너지 성분으로서의 불소 원자가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의 최표면 상에서,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을 미소 액체방울화하기 어렵기 때문에, 부착 지문이 눈에 띄기 어려워져, 지문 부착 후의 디스플레 이 화상 등의 시인성의 저하가 생기지 않는다.
상기 방현층을 형성하는 수지 중에는, 그 표면에 부착한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에 의한 지문을 더욱 눈에 띄게 어렵게 하기 위해서 금속 산화물(미립자)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산화물의 종류로서는 각종의 것이 예시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산화 규소(실리카), 중공 실리카, 산화 알류미늄(알루미나), 산화 티탄, 산화 안티몬, 산화 아연, 산화 주석, 산화 지르코늄 등이 이용된다. 이러한 금속 산화물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히 선택하여 이용된다. 첨가하는 금속 산화물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분체, 콜로이드 용액 등의 형태가 매우 적합하다.
금속 산화물의 평균 입자 지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금속 산화물의 분산성과 피막의 투명성을 고려하고, 1~200 nm인 것이 바람직하고, 1~150 n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80 nm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금속 산화물의 평균 입자 지름은 바람직한 범위에 있는 것에 따라, 피막은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과의 친숙함이 향상하고, 부착한 지문이 더욱 눈에 띄기 어려워진다. 구체적으로는, 평균 입자 지름이 1 nm 이상이면, 피막 표면의 요철이 지나치게 작게 안 되기 때문에, 모세관 현상을 충분히 얻을 수 있고 피막 표면에 부착한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에 의한 지문이 눈에 띄기 어렵다. 평균 입자 지름이 200 nm 이하이면, 금속 산화물의 분산성과 피막의 투명성이 저하할 것은 없다.
상기 금속 산화물을 코팅제에 함유시키기에 즈음해서는, 코팅제 중에서의 분산 안정성, 바인더 수지와의 밀착성 등을 저하시키지 않기 위하고, 미리 유기 분산 매중에 분산한 유기 콜로이드 용액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조성물 중에 있어,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분산 안정성, 바인더 수지 중에서의 밀착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미리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표면을 각종 커플링제 등을 이용하여 수식(修飾)할 수가 있다. 각종 커플링제로서는, 예를 들면, 유기 치환된 규소 화합물; 알루미늄, 티타늄, 지르코늄, 안티몬 또는 이러한 혼합물 등의 금속의 알콕시드; 유기산의 염; 배위성 화합물과 결합한 배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사용하는 금속 산화물 표면은 바인더 수지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알릴기나 아크릴로일기 등의 중합성 관능기로 표면 수식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성 성분 중에 차지하는 금속 산화물의 비율은 5~95 질량%가 바람직하고, 20~80 질량%가 한층 더 바람직하고, 35~70 질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 비율이 5 질량% 이상의 경우에는, 표면에 부착한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에 의한 지문을 눈에 띄기 어렵게 하는 기능은 저하하지 않는다. 그 비율이 95 질량% 이하의 경우에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피막의 특별한 장점인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를 코팅제에 이용하는 경우,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평탄막의 접촉각이 60도 이하가 되는 수지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면 특별히 제한은 되지 않는다. 그것은,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의 경우에 이용되는 단관능 단량체를 중합해 얻을 수 있는 중합체 또는 아크릴계 관능기를 포함하지 않는 중합체가 주체로서 통상 구성된다. 그 외로서 필요에 따라 희석 용제, 안정화제,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 흡수제나 산화 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 다. 열가소성 수지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가 있어 2종 이상 사용하는 경우, 그 비율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그 외 필요에 따라 더하는 첨가제에 관해서는, 통상 사용하는 범위내에서 문제 없게 사용할 수가 있다.
열경화형 수지를 코팅제에 이용하는 경우,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평탄막의 접촉각이 60도 이하가 되는 수지이면 특별히 제한은 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페놀 수지, 요소수지, 디알릴 프탈레이트 수지, 멜라민 수지, 구아나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아미노 알키드 수지, 멜라민-요소 공축합 수지, 규소 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열경화형 수지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가 있고,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그 비율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열경화형 수지에는 필요에 따라 중합 개시제, 금속 산화물, 계면활성제, 희석 용제, 안정화제,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일반적인 방법으로 첨가할 수 있다.
피복층 16 형성용의 코팅제를 요철층 14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롤 도포법, 스핀 도포법, 딥 도포법, 하케 도포법, 스프레이 도포법, 바 도포법, 나이프 도포법, 다이 도포법, 그라비아 도포법, 커텐 플로우 도포법, 리버스 도포법, 키스 도포법, 콤마 도포법 등 공지의 어떠한 방법이라도 좋다. 도포에 즈음해서는, 필요에 따라 층간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미리 코로나 방전 등의 어떠한 사전 처리를 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의 경화에 이용되는 활성 에너지선 공급원으로서는, 예를 들면 고압 수은 램프, 할로겐 램프, 크세논 램프, 질소 레이저, 전자선 가속 장치, 방사성 원소 등의 공급원 등이 사용된다. 에너지선 공급원의 조사량은, 자외선 파장 365 nm에서의 적산 광량으로서 50~5000 mJ/cm2 가 바람직하다. 조사량이, 50 mJ/cm2 이상의 경우, 코팅제를 충분히 경화시킬 수가 있고, 5000 mJ/cm2 이하의 경우에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를 착색시키기 어렵다.
다음에, 요철층 14에 대해 설명한다. 요철층 14는, 투명 수지를 구성 성분으로 하여 형성된다. 투명 수지로서는, 종래의 수지가 사용 가능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열경화형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코팅제로서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중에서도, 생산성 및 여러 물성의 관점으로부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의 코팅제를 구성하는 성분으로서는, 중합성 성분이 필수이다. 중합성 성분으로서는, 단관능 단량체, 다관능 단량체, 중합성 올리고머 및 중합성 중합체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된다. 그 외 필요에 따라 중합 개시제, 비중합성 올리고머, 비중합성 중합체, 계면활성제, 희석 용제, 요철부 13 부여를 위한 미립자 12, 침강 방지제, 광증감제, 안정화제,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 흡수제나 산화 방지제 등이 첨가된다.
단관능 단량체로서는, 공지의 단관능 단량체가 사용할 수 있다. 단, 방현층이 요철층 14 단일층으로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과의 친숙함을 양호하게 하려면, 요철층 14에 상기 피복층 16에서의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과의 친숙함을 양호로 하 는 생각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즉, 요철층 14를 형성하는 단관능 단량체로서는, 상기 피복층 16에 대해 기재된 대로의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한 단량체나 조성 비율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다관능 단량체에 대해서는, 상기 피복층 16에 기재된 대로의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한 단량체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각 올리고머 또는 각 중합체」에 대해서도, 상기 피복층 16에 대해 기재된 대로의 「각 올리고머 또는 각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한 「각 올리고머 또는 각 중합체」 또는 그 첨가 비율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게다가 금속 산화물에 대해서도, 상기 피복층 16에 대해 기재된 대로의 금속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한 금속 산화물이나 그 첨가 비율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열가소성 수지의 코팅제를 구성하는 성분은,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의 경우에 이용되는 단관능 단량체를 중합하여 얻을 수 있는 중합체 및 아크릴계 관능기를 포함하지 않는 중합체가 필수이다. 그 외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희석 용제, 요철부 13 부여를 위한 미립자 12, 침강 방지제, 안정화제,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단관능 단량체로서는, 공지의 단관능 단량체가 사용할 수 있다. 단, 방현층이 요철층 14 단일층으로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과의 친숙함을 양호하게 하려면, 요철층 14를 구성하는 단관능 단량체에 상기 피복층 16에서의 생각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즉, 요철층 14를 형성하는 단관능 단량체로서는,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단관능 단량체로부터 얻을 수 있는 수지로 형성되는 평탄막의 접촉각이 60도 이하가 되는 것을 충족하는 한 공지의 단량체가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 서, 상기 피복층 16에서 기재된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접촉각을 내리는데 효과적인 단관능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한 단관능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이들 바람직한 단관능 단량체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가 있지만,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 중에 차지하는 비율은, 30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50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75 질량% 이상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 비율이 30 질량% 이상의 경우,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과의 충분한 친숙함을 얻을 수 있다. 다관능 단량체에 대해서는, 상기 피복층 16에 기재된 대로의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한 단량체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각 올리고머 또는 각 중합체」에 대해서도, 상기 피복층 16에 기재된 대로의 각 올리고머 및 중합체를 이용할 수가 있다. 이들 올리고머 및 중합체에 대하고, 각종 기능을 발휘시킬 수가 있도록, 또는 서로 이웃하는 층이라는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도록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밀착성에 대해 말하면, 서로 이웃하는 층을 형성하고 있는 수지에 대한 친화성을 가지는 수지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에 대한 친화성을 가지는 중합체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와 서로 이웃하는 층에 대한 친화성을 가지는 중합체의 양중합체로 이루어진 블록 공중합체 또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등의 부분화 공중합체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중합 개시제에 대해서는, 상기 피복층 16에 기재된 대로의 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고, 그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중에 있어서의 배합 비율에 대해서 도, 상기 피복층 16과 같다. 광증감제에 대해서는, 상기 피복층 16에 기재된 대로의 광증감제를 사용할 수가 있다. 계면활성제에 대해서는, 각종 원료를 배합했을 때의 상용화의 목적이나, 피막의 평활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이용되고,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 피복층 16에 기재된 대로의 계면활성제를 이용할 수가 있다. 희석 용매에 대해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로 된 코팅제를 도포하는 것에 해당하고, 그 도포액의 점도를 조정하기 위해서 이용되고, 비중합성의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피복층 16에 기재된 대로의 희석 용매를 사용할 수가 있다.
방현층을 요철층 14 단일층과 지문과의 친숙함이 양호한 조성으로 하는 경우에는, 피복층 16의 경우와 같이 요철층 14에 차지하는 불소 원자의 함유량이 0.05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전혀 포함하지 않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로 된 코팅제를 투명 기재 11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상기 피복층 16에 기재된 대로의 도포 방법을 채용할 수 있고, 도포에 즈음해서는, 필요에 따라 층간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미리 코로나 방전 등의 어떠한 사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의 경화에 이용되는 활성 에너지선 공급원에 대해서도, 상기 피복층 16에 기재된 대로의 활성 에너지선 공급원을 이용할 수 있고, 그 조사량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요철층 14의 표면에 요철부 13을 형성하는 방법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수행하 고, 그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미립자 12 첨가에 의한 방법이나, 소망한 요철 형상의 네가티브 화상인 원판의 압인(押印), 즉 요철 전사에 의한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요철 전사에 의한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금형 타입, 시트 타입, 필름 타입 등을 들 수 있다.
우선, 미립자 12 첨가에 의한 방법에서는, 그 미립자 12로서 무기 입자나 플라스틱 비드를 들 수 있지만, 투명성이나 투명 수지와의 굴절률 차이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 소망한 굴절률을 선택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는 플라스틱 비드가 바람직하다. 그러한 플라스틱 비드의 재질로서는, 염화 비닐 수지, 폴리(메타)아크릴계 수지, 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수지, 멜라민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미립자 12의 평균 입자 지름은, 바람직하게는 0.1~10 ㎛, 보다 바람직하게는 0.5~5 ㎛ 이다. 이 평균 입자 지름이 0.1 ㎛이상의 경우, 충분한 방현성을 얻을 수 있다. 이 평균 입자 지름이 10㎛ 이하의 경우, 헤이즈치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투명성이 손상되지 않는다.
미립자 12의 투명 수지에 첨가하는 배합량으로서는, 투명 수지에 대해서 통상 0.1~40 질량%, 바람직하게는 0.5~3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질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15 질량% 이다. 이 배합량이 0.1 질량% 이상의 경우, 충분한 방현성을 얻을 수 있고, 게다가,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을 흡수하기 위하여 모세관 현상을 발현하기에 충분한 요철부 13을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 배합량이 40 질량% 이하의 경우, 헤이즈치가 지나치게 높아지지는 않는다.
계속되어, 요철 전사에 의해 요철층 14를 형성하는 방법에서는, 예를 들면 투명 수지 또는 상기 미립자 12를 첨가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 수지의 경우, 수지의 코팅제를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 요철 전사가 가능한 정도의 유연성 또는 열가소성의 정도까지 활성 에너지선에 의해 예비 경화를 실시한다. 그 후, 원판에 압인하고, 원판을 없애고, 또는 없애는 일 없이 그대로의 상태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고 경화하여 제작할 수가 있다. 압인시에는 필요에 따라 가열해도 괜찮다. 열가소성 수지의 경우, 수지를 형성하는 코팅제를 도포, 건조 후, 피막을 연화점 이상의 온도로 압인하는 것으로써 요철 전사를 실시할 수가 있다. 원판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부형 필름, 부형 롤, 부형프레스용 평판 금형 등을 들 수가 있고, 부형 필름에 대해 시판의 AG(안치그레아, 방현)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요철층 14의 두께는 소망하는 요철부 13의 고저 차이 이상이면 좋지만, 통상 0.1~1000㎛, 바람직하게는 0.1~200㎛,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0.1~100㎛이다. 0.1~1000㎛의 두께는, 소망한 요철부 13을 형성하는데 과부족이 없는 두께이다.
상술과 같이, 상기 투명 기재 11과 요철층 14의 사이에는, 1층 이상의 기능층을 마련할 수가 있다. 이 기능층은 무기물, 유기물 또는 그러한 혼합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가 있다. 그 두께는 0.005~100㎛ 가 바람직하다. 기능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건식 코팅법 또는 습식 코팅법을 이용할 수가 있다. 기능으로서는, 경도의 향상, 내찰상성의 향상, 방현성의 향상, 뉴턴 링(동심원장의 명암)의 형성 방지, 밀착성의 향상, 특정 파장의 빛의 차단, 도전성 향상, 대전성 의 방지, 자외선 흡수, 적외선 흡수, 내충격성의 향상, 단열성의 향상, 반사성의 향상 등의 각 기능의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기능의 부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방법이 채용된다. 특히, 경도의 향상, 밀착성 및 내찰상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 기능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내찰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투명 기재 11과 요철층 14의 사이의 층의 경도를 높게 하는 방법과 연질화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기능층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유기물, 무기물 및 그 혼합물을 이용할 수가 있다. 특히 경도를 올리기 위해서 (예를 들면, 하드 코트층용으로), 가교성의 경화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성 단량체로서는, 가열에 의해 또는 자외선, 전자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해 단시간에 경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성 단량체로서 예를 들면 단관능 또는 다관능(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테트라에톡시실란 등의 규소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다관능(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 메탄 테트라아크릴레이트(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 메탄 트리아크릴레이트(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1,6-헥산 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6-나사(3-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 프로필옥시)헥산 등의 다관능 알코올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차아 구리 레이트,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무기물로서는 실리카 겔 초미립자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다음에,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의 이면에 설치되는 점착제층 15는,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을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관계되는 점착제층 15를 형성하는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지만, 투명성의 점에서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고, 또 재박리성의 점에서는 실리콘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이들 점착제 중에는, 점착성 중합체 성분외, 가소제, 점착 부여 성분 등을 포함하게 할 수가 있지만, 투명성을 해치지 않게 배합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점착제의 주성분인 점착성 중합체로서는, 탄소수가 1~10의 알킬기를 가지는(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와 관능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와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탄소수가 1~10의 알킬기를 가지는(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로서는, 아크릴산 2-에틸 헥실, 아크릴산 부틸, 아크릴산 이소옥틸, 메타크릴산 부틸, 메타크릴산 프로필 등을 들 수 있다. 관능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아크릴산 히드록시 에틸, 메타크릴산 히드록시 에틸 등을 들 수 있다. 고무계 점착제의 주성분인 점착성 중합체로서는, 스티렌-부타디엔 랜덤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계 블록 공중합체, 천연 고무 등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 15의 두께는 5~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은, 손이 닿아 그 표면이 지문에 의해 더럽혀질 가능성이 있는 디스플레이 본체의 최표면에 준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구체적으로는, 전시용 디스플레이에 이용되는 쇼케이스나 쇼윈도우 등의 유리 케이스나 플라스틱 케이스를 들 수 있다. 퍼스널 컴퓨터, 워드프로세서, 텔레비젼, 휴대전화, 휴대단말, 게임기, 자동 현금 서랍 예입 장치, 현금자동지급기, 자동 판매기, 네비게이션 장치, 안전 시스템 단말 등의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로서의 터치 패널의 표면(CRT,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액정 디스플레이,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전계방출 디스플레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전자 페이퍼 등에 이용되는 토너계 디스플레이 등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가 터치 패널의 경우, 상기와 같은 각종 디스플레이에 짜 넣은 일체형의 경우나,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 표시면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트형이 있다. 터치 패널의 방식으로서는 공지의 방식이 어느 쪽도 채용 가능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초음파 방식,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전기 왜곡 방식, 자기변형 방식, 적외선 방식 및 전자 유도 방식 등의 방식을 들 수 있다. 소비 전력 및 제조 비용의 관점으로부터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이 바람직하고, 분해가능의 관점으로부터는 전자 유도 방식의 터치 패널이 바람직하다.
도3(a)은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 2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편면에 투명 도전성 박막 21,22가 설치된 고정측(도면 하측) 및 가동측(도면 상측)의 투명 수지 시트로 된 기재 23,24가 투명 도전성 박막 21,22 끼리가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그 주위를 접착용 보강재 25로 접착해 일정 간격을 보관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의 투명 도전성 박막 21 상에는 다수의 절연 스페이서 26이 점장(点狀)에 설치되어 대향하는 투명 도전성 박막 21,22간이 절연되는 구조가 되어 있다. 상기 기재 23,24, 투명 도전성 박막 21,22, 절연 스페이서 26 등에 의해 터치 패널 본체가 구성되어 있다. 가동측인 기재 24 상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이 설치되어 있다. 혹은, 도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동측인 기재 24 표면에는, 점착제층 15에 의해 투명 기재 11이 접착되고, 그 위에 요철층 14가 형성된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손가락 27 로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을 누름으로써, 가동측의 투명 도전성 박막 22를 고정측의 투명 도전성 박막 21에 접촉시키고 전기적으로 도통시켜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자 유도 방식의 터치 패널 20은 도4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투명 수지로 된 기재 24의 표면에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이 적층 접착되는 것과 동시에, 기재 24의 이면에는 액정 소자(LCD)에 수신 회로가 둘러진 펜 위치 검출기 28이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은, 투명 수지 시트로 된 투명 기재 11의 표면에 요철층 14가 설치되고, 이면에 점착제층 15가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게다가 도시하지 않는 송신 코일이 내장된 전자형의 입력 펜 29가 갖춰져 있다. 그리고, 입력 펜 29로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을 누름으로써, 전자 유도가 생기고 발생한 전자파가 펜 위치 검출기 28로 검출되고, 입력 위치가 기록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은, 투명 기재 11과 그 위에 수지에 의해 표면에 요철부 13을 가지는 요철층 1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을 디스플레이로서의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 20의 표면에 배치해 사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의 표면을 손가락 27로 누름으로써 터치 패널 20의 조작을 한다. 이때,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의 표면에는 지문을 형성하는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이 부착하고, 터치 패널 20의 화상 시인성이 저하한다. 터치 패널 20이 전자 유도 방식의 경우에는, 입력 펜 29로 조작되고, 손가락 27이 접하여 조작하는 것은 아니지만, 입력 펜 29의 조작시에 손바닥이 디스플레이 표면에 접하여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이 부착하거나 조작이 아니라도 손가락끝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상을 접하여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이 부착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역시와 같이 터치 패널 20의 화상 시인성이 저하한다.
그런데, 요철층 14는 수지에 의해 표면에 요철부 13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기때문에, 표면에 입사한 빛의 반사 방향이 요철부 13으로 변화해 확산되고 눈에 들어오는 반사광이 억제되어 눈부심이 저감된다. 게다가, 표면의 요철부 13에 의해 모세관 현상이 발현되어 지문을 형성하는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이 표면의 철부 13a로 이끌린다. 게다가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요철층 14를 구성하는 수지로 형성되는 평탄막의 접촉각이 60도 이하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가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에 대해서 친숙해지기 쉽고,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이 표면의 철부 13a로 신속하게 이끌려 지문이 시인되지 않게 되어 터치 패널 20의 화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에서는, 수지에 의해 표면에 요철부 13을 가지는 요철층 14에 따라고, 반사하는 빛이 확산되어 방현성이 발현된다. 게다가 표면에 요철부 13을 가지는 것으로 모세관 현상에 근거해 지문을 형성하는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이 표면의 철부 13a로 유도된다. 더하여,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표면을 구성하는 수지로 형성되는 평탄막의 접촉각이 60도 이하로 설정되기 때문에, 요철층 14를 구성하는 수지가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에 대해서 친숙해지기 쉽고,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이 표면의 철부 13a로 신속하게 유도되어 부착한 지문이 시인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은, 방현 기능과, 표면에 부착한 지문을 눈에 띄기 어렵게 하는 기능을 겸비하고,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화상 등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게다가 수지 중에 평균 입자 지름이 1~200 nm의 금속 산화물을 함유하는 것으로써, 방현층 표면의 요철부 13이 나노미터 오더의 미세한 것이 되고, 모세관 현상이 촉진되는 것이라 추측되고,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이 방현층 표면의 철부로 신속하게 유도되어 부착한 지문이 시인되기 어려워진다.
상기 수지 중에는 불소 원자를 포함하지 않던가, 또는 불소 원자를 포함한 경우에는 그 불소 원자의 함유량이 0.05 질량% 이하인 것에 따라, 불소 원자에 의한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의 미소 액체방울화를 억제하여 빛의 난반사를 억제할 수가 있다.
상기 요철층 14 표면의 요철부 13이, JIS B 0601-1994에 규정되는 산술 평균 거칠기(Ra)로서 0.05~5㎛이며, 한편 요철부 13의 평균 간격(Sm)으로서 5~500㎛인 것에 따라, 요철부 13에 의한 모세관 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현할 수가 있다. 이러한 요철부 13의 표면 상태에 대해서는, 헤이즈치가 비교적 작고, 표면에 부착한 지문이 눈에 띄는 영역이기 때문에, 지문 눈에 띄어 방지 효과를 효과적으로 발휘시킬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이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가 구성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에 대해 상기의 효과를 달성할 수가 있어 디스플레이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가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지문 시인성, 표면 거칠기, 접촉각 및 헤이즈치의 측정 방법을 설명한다.
1) 지문 시인성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상에 지문을 부착시켜, 그 시인성에 대해 아래와 같은 4 단계로 목시(目視)에 의한 관능 평가를 실시했다.
4:지문이 전혀 안임, 3:지문이 약간 보임, 2:지문이 얇지만 분명히 보임, 1:지문이 분명히 보임.
2) 표면 거칠기
(주) 고사카연구소제 표면 거칠기 측정기 서프 코다 SE4000를 사용하고, 주사 범위 1.5 mm, 주사 속도 0.1mm/s의 조건으로, JIS B 0601-1994에 규정에 근거해 Ra 및 Sm를 측정했다.
3) 접촉각
쿄와계면과학(주) 제 DropMaster 500를 사용하고, 4㎕ 액체방울에 의해 접촉각을 측정했다.
4) 헤이즈치
직독 헤이즈메이타〔(주) 도요정기제작소제, 상품명:직독 헤이즈메이타(No. 206)〕을 사용하고, 광학 특성으로서의 헤이즈치(%)를 측정했다.
5) 디스플레이 화상의 시인성 평가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을 디스플레이 상에 장착하고, 디스플레이 화상의 시인성에 대해 아래와 같은 4 단계에서 목시에 의한 관능 평가를 실시했다.
4:선명하고 양호한 시인성을 얻을 수 있음, 3:약간 선명하지만 시인성은 있음, 2:약간 시인성이 부족함, 1:화상 식별이 곤란함.
(제조예 1)
플라스크에 콜로이드 실리카〔닛산 화학공업(주)제, 상품명:IPA-ST-L, 2-프로파놀의 30% 용액, 평균 입자 지름 40~50 nm〕500부, Y-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신에츠 화학공업(주)제, 상품명:KBM5103〕30부, 증류수 40부를 혼합하여 변성 콜로이드 실리카용 도포액을 얻었다. 그 후, 4시간 가열 환류(반응 온도:80 ℃)를 실시하고, 가수분해 반응 및 축합 반응을 행했다. 이 조작에 의해 변성 콜로이드 실리카(2-프로파놀의 30% 용액, 평균 입자 지름 55 nm)를 얻었다.
(제조예 2)
콜로이드 실리카를 닛산 화학공업(주)제, 상품명:XBA-ST, 크실렌과 n-부탄올의 혼합액의 30% 용액, 평균 입자 지름 10~15 nm를 사용하는 이외는 제조예 1에 따라 반응을 실시하고, 변성 콜로이드 실리카(크실렌과 n-부탄올의 혼합액의 30% 용액, 평균 입자 지름 20 nm)를 얻었다.
(실시예 1)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50 질량부
아크릴산 디시클로펜타닐 50 질량부
실리카 필러(평균 입자 지름 1 ㎛) 8 질량부
1-히드록시 시클로헥실 페닐 케톤 2 질량부
메틸에틸케톤 150 질량부
상기 원료를 혼합하여 단일층과 지문과의 친숙함이 양호한 요철층 14(이 층을 구성하는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평탄막의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접촉각이 60도 이하)를 형성하는 코팅제로 했다. 이 코팅제를 롤코터에서 투명 기재 11으로서 두께 100㎛의 PET 필름 상에, 건조 막후가 3㎛가 되도록 도포하고, 70℃에서 60초간 건조했다. 그 후, 120W 고압 수은등(일본 전지(주)제)에 의해 자외선을 조사하고(적산 광량 400 mJ/cm2), 경화시켜 단일층과 지문과의 친숙함이 양호해진 요철층 14를 형성했다. 요철층 14의 Ra는 0.33㎛ 이고, Sm는 150㎛이며, 본 필름의 헤이즈치는 10%였다. 트리아세틴에 대한 접촉각은 33도이었다.
그 다음에, PET 필름의 요철부 13과 반대측의 면에 실리콘계 점착제에 의한 점착제층 15를 형성하고,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을 제작했다. 이것을 터치 패널 본체의 전면부에 붙여 맞추어 터치 패널 20을 제작했다. 이 터치 패널 20의 지문 시인성 평가는 3이었다. 디스플레이 화상의 시인성 평가는 3이었다.
다음에, 상기 코팅제로부터 실리카 필러를 제외한 코팅제에 대해서, PET 필 름 상에 도포, 건조 후, 자외선 조사를 실시하고, 요철부 13이 없는 평탄막을 작성했다. 수득한 평탄막의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접촉각은 30도이었다.
(실시예 2)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30 질량부
아크릴산 페녹시 에틸 35 질량부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35 질량부
실리카 필러(평균 입자 지름 1㎛) 7 질량부
1-히드록시 시클로헥실 페닐 케톤 2 질량부
메틸에틸케톤 150 질량부
상기 원료를 혼합하여 단일층과 지문과의 친숙함이 양호해진 요철층 14(이 층을 구성하는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평탄막의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접촉각이 60도 이하)를 형성하는 코팅제로 했다. 이 코팅제를 롤코터에서 두께 100㎛의 PET 필름 상에, 건조 막후가 3㎛가 되도록 도포하고, 70℃에서 60초간 건조했다. 그 후, 120W 고압 수은등(일본 전지(주)제)에 의해 자외선을 조사하고(적산 광량 400 mJ/cm2), 경화시켜 단일층과 지문과의 친숙함이 양호해진 요철층 14를 형성했다. 이 요철층 14의 Ra는 0.30㎛ 이고, Sm는 130㎛ 이며, 본 필름의 헤이즈치는 8%였다. 트리아세틴에 대한 접촉각은 30도이었다.
그 다음에, PET 필름의 요철부 13과 반대측의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한 점착제층 15를 형성하고,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을 제작했다. 이것을 터치 패널 본체의 전면부에 붙여 맞추어 터치 패널 20을 제작했다. 본 터치 패널 20에 있어서의 지문 시인성 평가는 3이었다. 디스플레이 화상의 시인성 평가는 3이었다.
다음에, 상기 코팅제로부터 실리카 필러를 제외한 코팅제에 대해서 PET 필름 상에, 도포, 건조 후, 자외선 조사를 실시하고, 요철부 13이 없는 평탄막을 제작했다. 수득한 평탄막의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접촉각은 25도이었다.
(실시예 3)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일본 합성화학공업(주)제 자광 UV-7600B) 60 질량부
트리메티롤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10 질량부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30 질량부
실리카 필러(평균 입자 지름 1㎛) 8 질량부
1-히드록시 시클로헥실 페닐 케톤 3 질량부
메틸 이소부틸 케톤 150 질량부
상기 원료를 혼합하여 단일층과 지문과의 친숙함이 양호해진 요철층 14(이 요철층 14를 구성하는 수지로 형성되는 평탄막의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접촉각이 60도 이하)를 형성하는 코팅제로 했다. 이 코팅제를 롤코터에서 두께 100㎛의 PET 필름 상에, 건조 막후가 3㎛가 되도록 도포하고, 80℃에서 60초간 건조했다. 그 후, 120W 고압 수은등(일본 전지(주)제)에 의해 질소 기류하에 자외선을 조사하고(적산 광량 200 mJ/cm2), 경화시켜 단일층과 지문과의 친숙함이 양호해진 요철층 14를 형성했다. 이 요철층 14의 Ra는 0.30㎛ 이고, Sm는 130㎛ 이며, 본 필름의 헤이즈치는 8%였다. 트리아세틴에 대한 접촉각은 17도이었다.
그 다음에, PET 필름의 요철부 13과 반대측의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한 점착제층 15를 형성하고,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을 제작했다. 이것을 터치 패널 본체의 전면부에 붙여 맞추어 터치 패널 20을 제작했다. 이 터치 패널 20에 있어서의 지문 시인성 평가는 3이었다. 디스플레이 화상의 시인성 평가는 3이었다.
다음에, 상기 코팅제에 대해서 PET 필름 상에, 도포, 건조 후, 자외선 조사를 실시하고, 요철부 13이 없는 평탄막을 제작했다. 수득한 평탄막의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접촉각은 14도이었다.
(실시예 4)
금속 산화물 미립자로서 실리카 필러 대신에, 가교 PMMA 미립자(소켄 화학(주) 제; MX-300; 평균 입자 지름 3㎛)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을 제작했다. 요철층 14의 Ra는 0.35㎛ 이고, Sm는 150㎛ 이며, 본 필름의 헤이즈치는 6%였다. 트리아세틴에 대한 접촉각은 17도이었다.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의 지문 시인성은 3이었다. 디스플레이 화상의 시인성 평가는 3이었다.
다음에, 상기 코팅제에 대해서 PET 필름 상에, 도포, 건조 후, 자외선 조사를 실시하고, 요철부 13이 없는 평탄막을 제작했다. 수득한 평탄막의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접촉각은 12도이었다.
(실시예 5)
기재로서 PET 필름 대신에, TAC 필름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을 제작했다. 요철층 14의 Ra는 0.33㎛ 이고, Sm는 140㎛ 이며, 본 필름의 헤이즈치는 7%였다. 트리아세틴에 대한 접촉각은 18도이었다.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의 지문 시인성은 3이었다. 디스플레이 화상의 시인성 평가는 3이었다.
다음에, 상기 코팅제에 대해서 PET 필름 상에, 도포, 건조 후, 자외선 조사를 실시하고, 요철부 13이 없는 평탄막을 제작했다. 수득한 평탄막의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접촉각은 13도이었다.
(실시예 6)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100 질량부
실리카 필러(평균 입자 지름 1㎛) 7 질량부
메틸에틸케톤 150 질량부
상기 원료를 혼합하여 단일층과 지문과의 친숙함이 양호해진 요철층 14(이 층을 구성하는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평탄막의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접촉각이 60도 이하)를 형성하는 코팅제로 했다. 이 코팅제를 롤코터에서 두께 100㎛의 PET 필름 상에, 건조 막후가 3㎛가 되도록 도포하고, 70℃에서 60초간 건조시켰다. 그 후, 게다가 80℃에서 30분간 건조시켜, 단일층과 지문과의 친숙함이 양호해진 요철층 14를 형성했다. 요철층 14의 Ra는 0.31㎛ 이고, Sm는 120㎛ 이며, 본 필름의 헤이즈치는 8%였다. 트리아세틴에 대한 접촉각은 18도이었다.
그 다음에, PET 필름의 요철부 13과 반대측의 면에 실리콘계 점착제에 의한 점착제층 15를 형성하고,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을 제작했다. 이것을 터치 패널 본체의 전면부에 붙여 맞추어 터치 패널 20을 제작했다. 터치 패널 20에 있어서의 지문 시인성 평가는 4였다. 디스플레이 화상의 시인성 평가는 3이었다.
다음에, 상기 코팅제로부터 실리카 필러를 제외한 코팅제에 대해서 PET 필름 상에, 도포, 건조를 실시하고, 요철부 13이 없는 평탄막을 제작했다. 수득한 평탄막의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접촉각은 15도이었다.
(실시예 7)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일본 합성화학공업(주)제 자광 UV-7600B) 0.50 질량부
아크릴산 디시클로펜타닐 0.50 질량부
1-히드록시 시클로헥실 페닐 케톤 0.03 질량부
메틸 이소부틸 케톤 100 질량부
상기 원료를 혼합하여 지문에 친숙해지는 피복층 16을 형성하는 코팅제로 했다. 한편, 시판의 AG필름(다이니혼 인쇄(주)제)에, 상기 코팅제를 딥 코팅법에 의해 도포하고, 70℃에서 60초간 건조시켰다. 그 후, 120W 고압 수은등(일본 전지(주)제)에 의해 질소 기류하 자외선을 조사하고(적산 광량 400 mJ/cm2), 요철층 14와 그 위에 지문과의 친숙함이 양호한 피복층 16이 설치된 방현층을 형성했다. 방현층의 Ra는 0.33㎛ 이고, Sm는 210㎛ 이며, 본 필름의 헤이즈치는 10%였다. 트리아세틴에 대한 접촉각은 31도이었다.
그 다음에, PET 필름의 요철부 13과 반대측의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한 점착제층 15를 형성하고,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을 제작했다. 이것을 터치 패널 본체의 전면부에 붙여 맞추어 터치 패널 20을 제작했다. 이 터치 패널 20에 있어서의 지문 시인성 평가는 3이었다. 디스플레이 화상의 시인성 평가는 3이었다.
다음에, 상기 코팅제로부터 코팅제에 대해서 PET 필름 상에, 도포, 건조 후, 자외선 조사를 실시하고, 요철부 13이 없는 평탄막을 제작했다. 수득한 평탄막의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접촉각은 29도이었다.
(실시예 8)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1. 50 질량부
아크릴산 페녹시 에틸 1. 75 질량부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1. 75 질량부
1-히드록시 시클로헥실 페닐 케톤 0.10 질량부
메틸에틸케톤 100 질량부
상기 원료를 혼합하여 지문에 친숙해지는 피복층 16을 형성하는 코팅제로 했다. 한편, 시판의 AG필름(산와 서플라이(주)제, 액정 보호 필름 LCD-190)에, 상기 코팅제를 딥 코팅법에 의해 도포하고, 70℃에서 60초간 건조시켰다. 그 후, 120W 고압 수은등(일본 전지(주)제)에 의해 자외선을 조사하고(적산 광량 400 mJ/cm2), 요철층 14와 그 위에 지문과의 친숙함이 양호한 피복층 16이 설치된 방현층을 형성했다. 방현층의 Ra는 0.33㎛ 이고, Sm는 220㎛ 이며, 본 필름의 헤이즈치는 10%였다. 트리아세틴에 대한 접촉각은 30도이었다.
그 다음에, PET 필름의 요철부 13과 반대측의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한 점착제층 15를 형성하고,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을 제작했다. 이것을 터치 패널 본체의 전면부에 붙여 맞추어 터치 패널 20을 제작했다. 이 터치 패널 20에 있어서의 지문 시인성 평가는 3이었다. 디스플레이 화상의 시인성 평가는 3이었다.
다음에, 상기 코팅제에 대해서 PET 필름 상에, 도포, 건조 후, 자외선 조사를 실시하고, 요철부 13이 없는 평탄막을 제작했다. 수득한 평탄막의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접촉각은 26도이었다.
(실시예 9)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일본 합성화학공업(주)제 자광 UV-7600B) 0.60 질량부
트리메티롤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0.10 질량부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0.30 질량부
1-히드록시 시클로헥실 페닐 케톤 0.03 질량부
메틸 이소부틸 케톤 100 질량부
상기 원료를 혼합하여 지문에 친숙해지는 피복층 16을 형성하는 코팅제로 했다. 한편, 시판의 AG필름(다이니혼 인쇄(주)제)에, 상기 코팅제를 딥 코팅법에 의해 도포하고, 70℃에서 60초간 건조시켰다. 그 후, 120W 고압 수은등(일본 전지(주)제)에 의해 질소 기류하 자외선을 조사하고(적산 광량 200 mJ/cm2), 요철층 14와 그 위에 지문과의 친숙함이 양호한 피복층 16이 설치된 방현층을 형성했다. 방현층의 Ra는 0.33㎛ 이고, Sm는 170㎛ 이며, 본 필름의 헤이즈치는 10%였다. 트리아세틴에 대한 접촉각은 17도이었다.
그 다음에, PET 필름의 요철부 13과 반대측의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한 점착제층 15를 형성하고,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을 제작했다. 이것을 터치 패널 본체의 전면부에 붙여 맞추어 터치 패널 20을 제작했다. 이 터치 패널 20에 있어서의 지문 시인성 평가는 4였다. 디스플레이 화상의 시인성 평가는 3이었다.
다음에, 상기 코팅제에 대해서 PET 필름 상에, 도포, 건조 후, 자외선 조사를 실시하고, 요철부 13이 없는 평탄막을 제작했다. 수득한 평탄막의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접촉각은 15도이었다.
(실시예 10)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일본 합성화학공업(주)제 자광 UV-7600B) 0.60 질량부
트리메티롤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0.10 질량부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0.30 질량부
1-히드록시 시클로헥실 페닐 케톤 0.03 질량부
표면 조정제(빅크케미 사제 BYK-61) 0.02 질량부
메틸 이소부틸 케톤 100 질량부
상기 원료를 혼합하여 지문에 친숙해지는 피복층 16을 형성하는 코팅제로 했다. 한편, 시판의 AG필름(다이니혼 인쇄(주)제)에, 상기 코팅제를 딥 코팅법에 의해 도포하고, 70℃에서 60초간 건조시켰다. 그 후, 120W 고압 수은등(일본 전 지(주)제)에 의해 질소 기류하 자외선을 조사하고(적산 광량 200 mJ/cm2), 요철층 14와 그 위에 지문과의 친숙함이 양호한 피복층 16이 설치된 방현층을 형성했다. 방현층의 Ra는 0.30㎛ 이고, Sm는 175㎛ 이며, 본 필름의 헤이즈치는 10%였다. 트리아세틴에 대한 접촉각은 20도이었다.
그 다음에, PET 필름의 요철부 13과 반대측의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한 점착제층 15를 형성하고,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을 제작했다. 이것을 터치 패널 본체의 전면부에 붙여 맞추어 터치 패널 20을 제작했다. 이 터치 패널 20에 있어서의 지문 시인성 평가는 4였다. 디스플레이 화상의 시인성 평가는 3이었다.
다음에, 상기 코팅제에 대해서 PET 필름 상에, 도포, 건조 후, 자외선 조사를 실시하고, 요철부 13이 없는 평탄막을 제작했다. 수득한 평탄막의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접촉각은 18도이었다.
(실시예 11)
폴리스티렌 5 질량부
톨루엔 100 질량부
상기 원료를 혼합하여 피복층 16을 형성하는 코팅제로 했다. 한편, 시판의 AG필름(산와 서플라이(주)제, 액정 보호 필름 LCD-190)에, 상기 코팅제를 딥 코팅법에 의해 도포하고, 70℃에서 60초간 건조시켰다. 그 후, 게다가 80℃에서 30분간 건조시켜, 요철층 14와 그 위에 지문과의 친숙함이 양호한 피복층 16이 설치된 방현층을 형성했다. 방현층의 Ra는 0.32㎛ 이고, Sm는 230㎛ 이며, 본 필름의 헤 이즈치는 10%였다. 트리아세틴에 대한 접촉각은 35도이었다.
그 다음에, PET 필름의 요철부 13과 반대측의 면에 실리콘계 점착제에 의한 점착제층 15를 형성하고,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을 제작했다. 이것을 터치 패널 본체의 전면부에 붙여 맞추어 터치 패널 20을 제작했다. 이 터치 패널 20에 있어서의 지문 시인성 평가는 4였다. 디스플레이 화상의 시인성 평가는 3이었다.
다음에, 상기 코팅제에 대해서 PET 필름 상에, 도포, 건조를 실시하고, 요철부 13이 없는 평탄막을 작성했다. 수득한 평탄막의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접촉각은 15도이었다.
(실시예 12)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30 질량부
아크릴산 시클로헥실 35 질량부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35 질량부
1-히드록시 시클로헥실 페닐 케톤 2 질량부
메틸에틸케톤 150 질량부
상기 원료를 혼합하여 단일층과 지문과의 친숙함이 양호해진 요철층 14(이 층을 구성하는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평탄막의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접촉각이 60도 이하)를 형성하는 코팅제로 했다. 이 코팅제를 롤코터에서 두께 100㎛의 PET 필름 상에, 건조 막후가 20㎛가 되도록 도포하고, 70℃에서 60초간 건조시켰다. 그 후, 시판의 AG필름(산와 서플라이(주)제, 액정 보호 필름 LCD-190)을, 도포면과 AG면이 접하도록 붙여 맞춘 후, 120W 고압 수은등(일본 전지(주)제)에 의 해 자외선을 조사(적산 광량 400 mJ/cm2)해 경화시킨 후, 시판의 AG필름(산와 서플라이(주)제, 액정 보호 필름 LCD-190)을 벗기는 것으로, 단일층과 지문과의 친숙함이 양호해진 요철층 14를 형성했다. 요철층 14의 Ra는 0.37㎛ 이고, Sm는 300㎛가며, 본 필름의 헤이즈치는 12%였다. 트리아세틴에 대한 접촉각은 31도이었다.
그 다음에, PET 필름의 요철부 13과 반대측의 면에 실리콘계 점착제에 의한 점착제층 15를 형성하고,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을 제작했다. 이것을 터치 패널 본체의 전면부에 붙여 맞추어 터치 패널 20을 제작했다. 이 터치 패널 20에 있어서의 지문 시인성 평가는 3이었다. 디스플레이 화상의 시인성 평가는 3이었다.
다음에, 상기 코팅제로부터 코팅제에 대해서 PET 필름 상에, 도포, 건조 후, 자외선 조사를 실시하고, 요철부 13이 없는 평탄막을 제작했다. 수득한 평탄막의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접촉각은 25도이었다.
(실시예 13)
폴리메타크릴산 t-부틸 5 질량부
메틸에틸케톤 100 질량부
상기 원료를 혼합하여 피복층 16을 형성하는 코팅제로 했다. 한편, 시판의 AG필름(산와 서플라이(주)제, 액정 보호 필름 LCD-190)에, 상기 코팅제를 딥 코팅법에 의해 도포하고, 70℃에서 60초간 건조했다. 그 후, 게다가 80℃에서 30분간 건조시켜, 요철층 14와 그 위에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과의 친숙함이 양호한 피복 층 16이 설치된 방현층을 형성했다. 방현층의 Ra는 0.32㎛ 이고, Sm는 230㎛ 이며, 본 필름의 헤이즈치는 10%였다. 트리아세틴에 대한 접촉각은 40도이었다.
그 다음에, PET 필름의 요철부 13과 반대측의 면에 실리콘계 점착제에 의한 점착제층 15를 형성하고,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을 제작했다. 이것을 터치 패널 본체의 전면부에 붙여 맞추어 터치 패널 20을 제작했다. 본 터치 패널 20에 있어서의 지문 시인성 평가는 2였다. 디스플레이 화상의 시인성 평가는 3이었다.
다음에, 상기 코팅제에 대해서 PET 필름 상에, 도포, 건조를 실시하고, 표면에 요철부 13이 없는 평탄막을 제작했다. 수득한 평탄막의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접촉각은 37도이었다.
(실시예 14)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일본 합성화학공업(주)제 자광 UV-7600B) 0.25 질량부
아크릴산 디시클로펜타닐 0.25 질량부
제조예 1의 변성 콜로이드 실리카
(평균 입자 지름 55 nm, 2-프로파놀의 30% 용액) 1. 70 질량부
1-히드록시 시클로헥실 페닐 케톤 0.03 질량부
메틸 이소부틸 케톤 100 질량부
상기 원료를 혼합하여 지문에 친숙해지는 피복층 16을 형성하는 코팅제로 했다. 한편, 시판의 AG필름(다이니혼 인쇄(주)제)에, 상기 코팅제를 딥 코팅법에 의해 도포하고, 70℃에서 60초간 건조시켰다. 그 후, 120W 고압 수은등(일본 전 지(주)제)에 의해 질소 기류하 자외선을 조사하고(적산 광량 400 mJ/cm2), 요철층 14와 그 위에 지문과의 친숙함이 양호한 피복층 16이 설치된 방현층을 형성했다. 방현층의 Ra는 0.33㎛ 이고, Sm는 220㎛ 이며, 본 필름의 헤이즈치는 10%였다. 트리아세틴에 대한 접촉각은 11도이었다.
그 다음에, PET 필름의 요철부 13과 반대측의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한 점착제층 15를 형성하고,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을 제작했다. 이것을 터치 패널 본체의 전면부에 붙여 맞추어 터치 패널 20을 제작했다. 이 터치 패널 20에 있어서의 지문 시인성 평가는 4였다. 디스플레이 화상의 시인성 평가는 4였다. 이러한 시인성 평가는, 평균 입자 지름 55 nm의 변성 콜로이드 실리카가 포함되지 않은 실시예 7과 비교해 충분히 향상시킬 수가 있었다.
다음에, 상기 코팅제로부터 코팅제에 대해서 PET 필름 상에, 도포, 건조 후, 자외선 조사를 실시하고, 요철부 13이 없는 평탄막을 제작했다. 수득한 평탄막의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접촉각은 11도이며, 실시예 7에 비해 접촉각을 크게 내릴 수가 있었다. 즉,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에 의한 지문에 대한 친숙함을 현격히 양호하게 할 수 있었다.
(실시예 15)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일본 합성화학공업(주)제 자광 UV-7600B) 0.30 질량부
트리메티롤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0.05 질량부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0.15 질량부
제조예 1의 변성 콜로이드 실리카
(평균 입자 지름 55 nm, 2-프로파놀의 30% 용액) 1. 70 질량부
1-히드록시 시클로헥실 페닐 케톤 0.03 질량부
메틸 이소부틸 케톤 100 질량부
상기 원료를 혼합하여 지문에 친숙해지는 피복층 16을 형성하는 코팅제로 했다. 한편, 시판의 AG필름(다이니혼 인쇄(주)제)에, 상기 코팅제를 딥 코팅법에 의해 도포하고, 70℃에서 60초간 건조시켰다. 그 후, 120W 고압 수은등(일본 전지(주)제)에 의해 질소 기류하 자외선을 조사하고(적산 광량 400 mJ/cm2), 요철층 14와 그 위에 지문과의 친숙함이 양호한 피복층 16이 설치된 방현층을 형성했다. 방현층의 Ra는 0.33㎛ 이고, Sm는 220㎛ 이며, 본 필름의 헤이즈치는 10%였다. 트리아세틴에 대한 접촉각은 12도이었다.
그 다음에, PET 필름의 요철부 13과 반대측의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한 점착제층 15를 형성하고,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을 제작했다. 이것을 터치 패널 본체의 전면부에 붙여 맞추어 터치 패널 20을 제작했다. 이 터치 패널 20에 있어서의 지문 시인성 평가는 4였다. 디스플레이 화상의 시인성 평가는 4이며, 평균 입자 지름 55 nm의 변성 콜로이드 실리카가 포함되지 않은 실시예 9와 비교해 향상시킬 수가 있었다.
다음에, 상기 코팅제로부터 코팅제에 대해서 PET 필름 상에, 도포, 건조 후, 자외선 조사를 실시하고, 요철부 13이 없는 평탄막을 제작했다. 수득한 평탄막의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접촉각은 14도이며, 실시예 9와 비교해 약간 좋아졌다.
(실시예 16)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일본 합성화학공업(주)제 자광 UV-7600B) 0.15 질량부
아크릴산 페녹시 에틸 0.175 질량부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0.175 질량부
제조예 1의 변성 콜로이드 실리카
(평균 입자 지름 55 nm, 2-프로파놀의 30% 용액) 1. 70 질량부
1-히드록시 시클로헥실 페닐 케톤 0.03 질량부
메틸 이소부틸 케톤 100 질량부
상기 원료를 혼합하여 지문에 친숙해지는 피복층 16을 형성하는 코팅제로 했다. 한편, 시판의 AG필름(산와 서플라이(주)제, 액정 보호 필름 LCD-190)에, 상기 코팅제를 딥 코팅법에 의해 도포하고, 70℃에서 60초간 건조시켰다. 그 후, 120W 고압 수은등(일본 전지(주)제)에 의해 질소 기류하 자외선을 조사하고(적산 광량 200 mJ/cm2), 요철층 14와 그 위에 지문과의 친숙함이 양호한 피복층 16이 설치된 방현층을 형성했다. 방현층의 Ra는 0.32㎛ 이고, Sm는 210㎛ 이며, 본 필름의 헤이즈치는 9%였다. 트리아세틴에 대한 접촉각은 11도이었다.
그 다음에, PET 필름의 요철부 13과 반대측의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한 점착제층 15를 형성하고,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을 제작했다. 이것을 터치 패널 본체의 전면부에 붙여 맞추어 터치 패널 20을 제작했다. 이 터치 패널 20에 있어서의 지문 시인성 평가는 4였다. 디스플레이 화상의 시인성 평가는 4였다. 이러한 시인성 평가는, 평균 입자 지름 55 nm의 변성 콜로이드 실리카가 포함되지 않은 실시예 8과 비교해 충분히 향상시킬 수가 있었다.
다음에, 상기 코팅제에 대해서 PET 필름 상에, 도포, 건조 후, 자외선 조사를 실시하고, 요철부 13이 없는 평탄막을 제작했다. 수득한 평탄막의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접촉각은 14도이며, 실시예 8에 비해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가 있었다.
(실시예 17)
변성 콜로이드 실리카로서 입자로서 제조예 2의 변성 콜로이드 실리카(평균 입자 지름 20 nm, 크실렌과 n-부탄올의 혼합액의 30% 용액)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5와 동일하게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을 제작했다. 요철층 14의 Ra는 0.32㎛ 이고, Sm는 220㎛ 이며, 본 필름의 헤이즈치는 9%였다. 트리아세틴에 대한 접촉각은 12도이었다.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의 지문 시인성은 4였다. 디스플레이 화상의 시인성 평가는 4였다. 이러한 시인성 평가는, 평균 입자 지름 55 nm의 변성 콜로이드 실리카가 포함되지 않은 실시예 8과 비교해 충분히 향상시킬 수가 있었다.
다음에, 상기 코팅제에 대해서 PET 필름 상에, 도포, 건조 후, 자외선 조사를 실시하고, 요철부 13이 없는 평탄막을 제작했다. 수득한 평탄막의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접촉각은 13도이며, 실시예 8에 비해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가 있었다. 본 실시예 17에서는, 실시예 16과 비교해 접촉각 및 시인성 평가에 거의 차이가 없었다.
(비교예 1)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5 질량부,
폴리메타크릴산 메틸-b-폴리아크릴산(퍼클로로옥틸에틸), 즉 블록 공중합체 0.05 질량부,
메틸에틸케톤 100 질량부
상기 원료를 혼합하여 피복층 16을 형성하는 코팅제로 했다. 한편, 시판의 AG필름(산와 서플라이(주)제, 액정 보호 필름 LCD-190)에, 상기 코팅제를 딥 코팅법에 의해 도포하고, 70℃에서 60초간 건조 후, 게다가 80℃에서 30분간 건조시켰다. 수득한 방현층의 Ra는 0.33㎛ 이고, Sm는 230㎛ 이며, 본 필름의 헤이즈치는 11%였다. 트리아세틴에 대한 접촉각은 73도이었다.
그 다음에, PET 필름의 요철부 13과 반대측의 면에 실리콘계 점착제에 의한 점착제층 15를 형성하고,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을 제작했다. 이것을 터치 패널 본체의 전면부에 붙여 맞추어 터치 패널 20을 제작했다. 본 터치 패널 20에 있어서의 지문 시인성 평가는 1이었다. 디스플레이 화상의 시인성 평가는 3이었다.
다음에, 상기 코팅제에 대해서 PET 필름 상에, 도포, 건조를 실시하고, 요철부 13이 없는 평탄막을 작성했다. 수득한 평탄막의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접촉각은 71도이었다.
(비교예 2)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50 질량부
아크릴산 디시클로펜타닐 50 질량부
1-히드록시 시클로헥실 페닐 케톤 2 질량부
메틸에틸케톤 150 질량부
상기 원료를 혼합하고, 두께 100㎛의 PET 필름에 딥 코팅법에 의해 도포하고, 70℃에서 60초간 건조시켰다. 그 후, 120W 고압 수은등(일본 전지(주)제)에 의해 자외선을 조사하고(적산 광량 400 mJ/cm2), 경화시켜, 지문과의 친숙함은 양호하지만 요철부 13이 없는 평탄막을 제작했다. 상기 평탄막의 Ra는 0.01㎛ 이고, Sm는 12㎛ 이며, 본 필름의 헤이즈치는 0.3%였다. 트리아세틴에 대한 접촉각은 45도이었다.
그 다음에, PET 필름의 요철부 13과 반대측의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한 점착제층 15를 형성하고,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을 제작했다. 이것을 터치 패널 본체의 전면부에 붙여 맞추어 터치 패널 20을 제작했다. 그 터치 패널 20에 있어서의 지문 시인성 평가는 1이었다. 디스플레이 화상의 시인성 평가는 4였다. 수득한 피막의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접촉각은 30도이었다.
본 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해 실시하는 일도 가능하다.
접촉각을 측정하기 위한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신하고, 에라이진산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지문 이외의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에 대해서 디스플레이 표면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의 이면에 점착제층 15를 마련하는 일 없이,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을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설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방현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요철부 13을, JIS B 0601-1994에 규정되는 최대 높이(Ry), 10점 평균 거칠기(Rz)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에 대하여, JIS Z 8729에 규정되고 있는 색도 a* 및 b* 로부터 하기 식으로 규정되는 채도 C*를 보다 크게 하도록 구성하는 것이고,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과 동일계 색으로 할 수 있어 시인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가 있다.
C*=((a*)2+(b*)2)1/2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입도 분포를 가능한 한 좁게(날카롭게) 하고, 수지 중에 있어서의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것과 동시에, 모세관 현상을 충분히 발휘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표면재에 의해, 방현 기능과, 표면에 부착한 지문을 눈에 띄기 어렵게 하는 기능을 겸비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Claims (10)

  1. 투명 기재(11)와 이 투명 기재(11) 상에 설치된 방현층(14; 14,16)을 갖추며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배치되어 이용되는 디스플레이용 표면재(10)에 있어서,
     상기 방현층이 수지제의 요철부(13)를 가지는 표면을 가지며,
     올레인산 액체방울에 대한 상기 수지로 형성되는 평탄막의 접촉각이 6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평균 입자 지름 1~200 nm의 금속 산화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불소 원자를 포함하지 않던가, 또는 불소 원자의 함유량이 0.05 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의, JIS B 0601-1994에 규정되는 산술 평균 거칠기(Ra)는 0.05~5㎛이며, 한편 상기 요철부의 평균 간격(Sm)은 5~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현층은 미립자 또는 요철 전사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요철부를 가지는 요철층(1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철층은 지문을 형성하는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에 대한 친화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6.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현층은 미립자 또는 요철 전사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요철부를 가지는 요철층(14)과 그 요철층 상에 형성되는 피복층(1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복층은 지문을 형성하는 생체 유래 지방질 성분에 대한 친화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7.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와 상기 방현층의 사이에 설치되고 디스플레이용 표면재의 기능을 발현하는 기능층을 또한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8.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의 이면에 설치된 점착제층을 또한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물은 산화 규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10. 표면에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의 디스플레이용 표면재가 배치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KR1020060071479A 2005-07-28 2006-07-28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및 그것을 갖춘 디스플레이 KR200700150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18953 2005-07-28
JPJP-P-2005-00218953 2005-07-28
JP2006024671A JP2007058162A (ja) 2005-07-28 2006-02-01 ディスプレイ用表面材及びそれ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
JPJP-P-2006-00024671 2006-02-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5077A true KR20070015077A (ko) 2007-02-01

Family

ID=37921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479A KR20070015077A (ko) 2005-07-28 2006-07-28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및 그것을 갖춘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7058162A (ko)
KR (1) KR20070015077A (ko)
TW (1) TWI425459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5008A1 (en) * 2007-03-20 2008-09-25 Kolon Industries, Inc. Optical sheets
WO2009134043A2 (ko) * 2008-04-30 2009-11-05 (주)Lg화학 점착 시트, 그 제조 방법, 광학 필터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8506149B2 (en) 2007-03-20 2013-08-13 Kolon Industries, Inc. Optical shee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5337B1 (ja) 2007-02-21 2008-09-24 ソニー株式会社 防眩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表示装置
TWI357507B (en) * 2007-05-23 2012-02-01 Kolon Inc Optical sheet
JP2009025734A (ja) * 2007-07-23 2009-02-05 Nof Corp 防眩フィルム及びそれ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
JP2009151476A (ja) * 2007-12-19 2009-07-09 Nof Corp ペン入力装置用表面材及びそれを備えたペン入力装置
JP2009204728A (ja) * 2008-02-26 2009-09-10 Nof Corp 防眩性積層体及びそれを備えるディスプレイ
JP5422150B2 (ja) * 2008-07-30 2014-02-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防眩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464449B2 (ja) * 2008-08-18 2010-05-19 尾池工業株式会社 透明導電積層体及びタッチパネル
JP5262490B2 (ja) * 2008-09-17 2013-08-14 凸版印刷株式会社 光拡散板、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EP2439230A4 (en) 2009-06-01 2013-09-11 Tsujiden Co Ltd CURED DIGITAL IMPRESSION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DISPLAY, TOUCH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5619392B2 (ja) * 2009-08-20 2014-11-05 株式会社日本触媒 画像表示装置用前面板とその製造方法
CN102762371A (zh) 2010-02-26 2012-10-31 帝人杜邦薄膜日本有限公司 硬涂层膜及其制造方法
JP5757065B2 (ja) * 2010-04-26 2015-07-29 日油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ム及びこれを備えるディスプレイ
JP2013097234A (ja) * 2011-11-02 2013-05-20 Asahi Glass Co Ltd ディスプレイ装置、前面板、および光学フィルタ
JP6003550B2 (ja) * 2012-11-07 2016-10-05 東レ株式会社 成形材料および成形材料の製造方法
JP6049474B2 (ja) * 2013-01-25 2016-12-21 株式会社ニトムズ 皮脂吸収拡散フィルム
JP6189642B2 (ja) * 2013-05-30 2017-08-3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JP6138598B2 (ja) * 2013-06-07 2017-05-3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5140416A (ja) * 2014-01-30 2015-08-03 凸版印刷株式会社 透明アンチブロッキング樹脂組成物、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ロール状フィルム積層体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1553A (ja) * 1994-05-18 2004-12-02 Dainippon Printing Co Ltd 防眩性フィルム
JPH09239924A (ja) * 1996-03-08 1997-09-16 Mitsui Petrochem Ind Ltd 帯電防止性能を有するポリオレフィン多層フィルム
JP2001188102A (ja) * 1999-12-27 2001-07-10 Toppan Printing Co Ltd 反射防止フィルム
US6502943B2 (en) * 2000-07-19 2003-01-07 Fuji Photo Film Co., Ltd. Antiglare and antireflection film,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JP4174344B2 (ja) * 2002-03-15 2008-10-29 日東電工株式会社 反射防止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光学素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TWI281890B (en) * 2002-11-20 2007-06-01 Kimoto Kk Fingerprint-erasable film
JP4517590B2 (ja) * 2003-06-05 2010-08-04 三菱化学株式会社 耐汚染性付与剤及びそれを用いた耐汚染性物品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5008A1 (en) * 2007-03-20 2008-09-25 Kolon Industries, Inc. Optical sheets
US8506149B2 (en) 2007-03-20 2013-08-13 Kolon Industries, Inc. Optical sheets
WO2009134043A2 (ko) * 2008-04-30 2009-11-05 (주)Lg화학 점착 시트, 그 제조 방법, 광학 필터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WO2009134043A3 (ko) * 2008-04-30 2010-01-21 (주)Lg화학 점착 시트, 그 제조 방법, 광학 필터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9175193B2 (en) 2008-04-30 2015-11-03 Lg Chem, Ltd. Adhesive shee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optical filter and plasma display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07350A (en) 2007-02-16
TWI425459B (zh) 2014-02-01
JP2007058162A (ja) 200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15077A (ko) 디스플레이용 표면재 및 그것을 갖춘 디스플레이
TWI429957B (zh) 高畫質顯示器用之表面材料及以該材料製備之高畫質顯示器和觸控面板
TWI725085B (zh) 觸控面板筆用書寫片、觸控面板、觸控面板系統、顯示裝置及觸控面板筆用書寫片之揀選方法
CN100552474C (zh) 显示器用表面材料和具有该表面材料的显示器
JP4665782B2 (ja) ペン入力装置用表面材
TWI678552B (zh) 防眩性硬塗薄膜
JP2009151476A (ja) ペン入力装置用表面材及びそれを備えたペン入力装置
JP2008176318A (ja) 耐傷性薄膜
JP2010128363A (ja) ディスプレイ用表面材及びそれを備えた高精細ディスプレイ
JP7095761B2 (ja) タッチパネルペン用筆記シート、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及び表示装置、並びにタッチパネルペン用筆記シートの選別方法
JP2016122140A (ja) 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6575191B2 (ja) 指滑り層形成用樹脂組成物、指滑り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6492683B2 (ja) 防眩性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6790524B2 (ja) タッチパネルペン用筆記シート、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ペン用筆記シートの選別方法
JP2009025734A (ja) 防眩フィルム及びそれ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
KR101432987B1 (ko) 투과도가 우수한 내지문성 방현코팅액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내지문성 방현필름
JP2010044687A (ja) 透明導電積層体及びタッチパネル
KR20130013881A (ko) 전자종이용 커버필름
TWI740932B (zh) 觸控面板、顯示裝置、光學片及光學片的篩選方法
CN108070326B (zh) 书写感改善膜
KR20210103454A (ko) 필기감 향상 시트
JP2019035951A (ja) 緩衝シート及び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
CN114957755A (zh) 书写感改善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