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8509A - 수지 조성물 및 이형 필름 - Google Patents

수지 조성물 및 이형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8509A
KR20140038509A KR1020147000467A KR20147000467A KR20140038509A KR 20140038509 A KR20140038509 A KR 20140038509A KR 1020147000467 A KR1020147000467 A KR 1020147000467A KR 20147000467 A KR20147000467 A KR 20147000467A KR 20140038509 A KR20140038509 A KR 20140038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film
release
propylene
layer
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0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나코 이케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38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850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56Coatings, e.g. enameled or galvanised; 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 B29C33/60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 B29C33/62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based on polymers or olig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56Coatings, e.g. enameled or galvanised; 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 B29C33/68Release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09J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J159/00 - C09J18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0Carboxylic acid am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hesive Tap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균일하고 또한 적당한 이형성을 갖고, 점착층의 재점착성도 양호하고, 공압출 성형에 의해서도 양호한 롤 풀림성을 갖는 이형 필름 및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굽힘 탄성률이 800 ㎫ 이하인 폴리올레핀 수지 (A) 와,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 (B) 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및 그 수지 조성물을 이형층에 함유하는 이형 필름으로 한다.
R-CONH-(CH2)n-NHCO-R (1)
(식 중, n 은 1 ∼ 6 의 정수를 나타내고, R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가 19 이상인 지방족기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수지 조성물 및 이형 필름 {RESIN COMPOSITION AND RELEASE FILM}
본 발명은 양호한 이형성을 갖는 수지 조성물 및 이형 필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부재의 표면 보호에 바람직한 이형 필름, 및 그 이형 필름의 이형층으로서 바람직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 부재, 자동차 부재, 표시용 부재 등의 표면의 보호에 바람직한 표면 보호용 이형 필름, 및 그 표면 보호용 이형 필름의 이형층으로서 바람직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지, 금속, 유리 등의 표면의 보호에 바람직한 표면 보호용 이형 필름, 및 그 표면 보호용 이형 필름의 이형층으로서 바람직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형 필름은 양면 점착 테이프나 이형 필름이 부착된 편면 점착 테이프, 제품의 보호 필름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형 필름은, 종래, 수지 필름이나 종이 등의 기재의 표면에, 실리콘계 화합물이나 장사슬 알킬계 화합물, 폴리비닐알코올·카바메이트 등의 이형제를 도포하는 방법이 채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이형제를 기재에 도포하는 타입의 이형 필름은, 균일한 도포가 곤란하기 때문에 이형력의 제어가 곤란한 점이나, 이형 필름을 롤상으로 한 경우에, 대면의 점착층측으로 이형제가 전사되어 재점착성 (이형 필름을 박리한 후의 점착층의 점착력) 이 저하되는 점 등이 문제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수법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실록산에 의해 가교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한 이형 필름 (특허문헌 1 참조) 이나, 폴리에틸렌계 수지에 지방산 아미드계 화합물을 함유한 이형 필름 (특허문헌 2 참조), 프로필렌계 중합체에 지방산 비스아미드계 화합물을 함유한 이형 필름 (특허문헌 3 참조) 등, 수지 중에 이형제를 배합한 이형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을 첨가하여 얻어지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농업용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4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4434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1952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6148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28965호
전술한 점착 테이프나 보호 필름 등에 있어서의 이형 필름의 역할로는, 점착면을 보호하고, 점착제에 대하여 양호한 이형성을 갖는 것이 중요한데, 요즈음의 이형 필름에는, 보다 높은 레벨로 균일한 이형성을 갖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점착 테이프를 제조할 때에는, 폭이 넓은 테이프를 성형한 후, 이것에 등간격의 슬릿을 넣어 절단함으로써 복수 개의 세폭의 롤 테이프를 제조하는데, 제품 로트 사이의 이형 성능의 편차를 없애기 위해서는, 시트의 폭 방향의 이형 성능을 균일하게 할 필요가 있다. 또, 제조 공정이나 출하시에 있어서의 자동차 외장 부재나 대형 액정 디스플레이 부재의 보호를 위해서는, 대면적의 보호 필름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들에는 균일한 점착성 및 이형성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이들 이형 필름은 통상 공압출 성형이나 압출 라미네이트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데, 공압출 성형하여 롤상으로 권취하는 경우에는, 점착층이 대면의 이형층과 강고히 접착되고, 사용시에 롤로부터 필름을 조출할 수 없다는 (풀림성이 나쁘다)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균일하고 또한 적당한 이형성을 갖고, 점착층의 재점착성도 양호하고, 공압출 성형에 의해서도 양호한 롤 풀림성을 갖는 이형 필름은 얻어지지 않고, 어떻게 하면 달성하는 것이 가능한지는 명확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양호한 이형성을 갖는 이형 필름 및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균일하고 또한 적당한 이형성을 갖고, 점착층의 재점착성도 양호하고, 공압출 성형에 의해서도 양호한 롤 풀림성을 갖는 이형 필름, 및 그 이형 필름의 이형층으로서 바람직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여러 가지 부재의 표면 보호에 바람직한 이형 필름, 및 그 이형 필름의 이형층으로서 바람직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건축 부재, 자동차 부재, 표시용 부재 등의 표면의 보호에 바람직한 표면 보호용 이형 필름, 및 그 표면 보호용 이형 필름의 이형층으로서 바람직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합성 수지, 금속, 유리 등의 표면의 보호에 바람직한 표면 보호용 이형 필름, 및 그 표면 보호용 이형 필름의 이형층으로서 바람직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예의 검토를 실시한 결과, 특정한 굽힘 탄성률을 갖는 폴리올레핀 수지에, 특정한 화학 구조를 갖는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을 함유시킴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1] ∼ [15] 를 요지로 한다.
[1] 굽힘 탄성률이 800 ㎫ 이하인 폴리올레핀 수지 (A) 와,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 (B) 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R-CONH-(CH2)n-NHCO-R (1)
(식 중, n 은 1 ∼ 6 의 정수를 나타내고, R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가 19 이상인 지방족기를 나타낸다.)
[2]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A) 가 프로필렌계 중합체인 상기 [1] 의 수지 조성물.
[3]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A) 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인 상기 [1] 의 수지 조성물.
[4]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A) 중에 프로필렌 이외의 성분이 4 중량% 이상 포함되어 있는 상기 [2] 또는 [3] 의 수지 조성물.
[5] 상기 [1] ∼ [4] 중 어느 하나의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지는 성형체.
[6] 굽힘 탄성률이 800 ㎫ 이하인 폴리올레핀 수지 (A) 와,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 (B) 를 함유하는 이형층을 적어도 갖는 이형 필름.
R-CONH-(CH2)n-NHCO-R (1)
(식 중, n 은 1 ∼ 6 의 정수를 나타내고, R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가 19 이상인 지방족기를 나타낸다.)
[7] 상기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 (B) 를 이형층 중에 0.5 ∼ 20 중량부 함유하는 상기 [6] 의 이형 필름.
[8]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A) 가 프로필렌계 중합체인 상기 [6] 또는 [7] 의 이형 필름.
[9]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A) 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인 상기 [6] 또는 [7] 의 이형 필름.
[10] 추가로 점착층을 갖는 상기 [6] ∼ [9] 중 어느 하나의 이형 필름.
[11] 상기 이형층이 일방의 표면을, 상기 점착층이 타방의 표면을 형성하는 상기 [10] 의 이형 필름.
[12] 공압출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상기 [6] ∼ [11] 중 어느 하나의 이형 필름.
[13] 표면 보호용인 상기 [6] ∼ [12] 중 어느 하나의 이형 필름.
[14] 건축 부재, 자동차 부재 및 표시용 부재 중 어느 표면의 보호에 사용하는 상기 [13] 의 이형 필름.
[15] 수지, 금속 및 유리 중 어느 표면의 보호에 사용하는 상기 [13] 의 이형 필름.
본 발명에 의하면, 양호한 이형성을 갖는 이형 필름 및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 가지 부재의 표면 보호에 바람직한 이형 필름, 및 그 이형 필름의 이형층으로서 바람직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균일하고 또한 적당한 이형성을 갖고, 점착층의 재점착성도 양호하고, 공압출 성형에 의해서도 양호한 롤 풀림성을 갖는 이형 필름, 및 그 이형 필름의 이형층으로서 바람직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 부재, 자동차 부재, 표시용 부재 등의 표면의 보호에 바람직한 표면 보호용 이형 필름, 및 그 표면 보호용 이형 필름의 이형층으로서 바람직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 수지, 금속, 유리 등의 표면의 보호에 바람직한 표면 보호용 이형 필름, 및 그 표면 보호용 이형 필름의 이형층으로서 바람직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하의 설명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이형」이란, 특정한 형상으로부터의 이형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박리」와 동일한 의미이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수지 (A) 와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 (B) 를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은 그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는 이형층을 적어도 갖는다.
먼저, 이하에,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A) 및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 (B) 에 대해서 설명한다.
<폴리올레핀 수지 (A)>
폴리올레핀 수지 (A) 로서 사용하는 폴리올레핀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등의 단독 중합체 ; 상기 단독 중합체끼리의 공중합체 ; 또는 상기 단독 중합체와 3-메틸-1-부텐, 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등의 탄소수 4 ∼ 20 정도의 다른 α-올레핀이나, (메트)아크릴산,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각종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세트산비닐, 비닐알코올, 무수 말레산 등의 극성 모노머, 스티렌, 스티렌 유도체 등의 스티렌계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메트)아크릴산이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의미하고, (메트)아크릴레이트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들 폴리올레핀 수지는 무수 말레산, 말레산, 아크릴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나 불포화 실란 화합물 등으로 변성한 것이어도 된다. 나아가서는, 부분적으로 가교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폴리올레핀 수지로서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의 연쇄 형식은 한정되지 않고, 블록 공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그래프트 공중합체 등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 중합 방법 및 중합에 사용하는 촉매도 공지된 것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이들 폴리올레핀 수지는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 수지 (A) 는 굽힘 탄성률이 800 ㎫ 이하인 폴리올레핀 수지이다. 폴리올레핀 수지의 굽힘 탄성률이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형 필름으로 했을 때의 이형성이나 그 균일성이 저하된다. 이 원인은 분명하지 않지만, 굽힘 탄성률이 낮은 폴리올레핀 수지는 결정화도가 낮고, 이 결정화도의 낮음이 이형성의 양호 또한 균일한 발현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바꾸어 말하면, 폴리올레핀 수지의 비결정 영역이 일정량 이상 존재함으로써, 후술하는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 (B) 와 양호한 친화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 수지 (A) 는 상기한 폴리올레핀 수지를 적절히 선택하고, 굽힘 탄성률이 800 ㎫ 이하가 되도록 조제하여 사용하면 된다.
또, 폴리올레핀 수지의 굽힘 탄성률의 상한값은, 상기와 동일한 이유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7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5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0 ㎫ 이하이다. 또, 폴리올레핀 수지의 굽힘 탄성률은 JIS K7203 (1995) 에 준거하여 측정한 값으로 한다 (이하의 측정에 있어서 동일하다).
폴리올레핀 수지의 굽힘 탄성률의 하한은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5 ㎫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이다. 폴리올레핀 수지의 굽힘 탄성률이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에는, 성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나, 이형 필름의 역학 특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프로필렌계 중합체]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 수지 (A) 의 일 양태로는, 굽힘 탄성률이 800 ㎫ 이하인 프로필렌계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폴리올레핀 수지 (A) 로서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폴리올레핀 수지 (A) 로서 사용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는 프로필렌 단량체 단위를 갖는 것, 즉, 프로필렌을 원료 모노머의 1 성분으로 하여 중합된 것이면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프로필렌 단량체 단위를 5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이상 갖는 중합체이다.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프로필렌 단량체 단위를 상기 하한값 이상으로 하는 것이 얻어지는 이형 필름의 이형성이나 그 균일성이 최적화되는 경향이 있다.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프로필렌 단량체 단위의 상한은 한정되지 않고,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이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단량체 단위를 98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하로 갖는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프로필렌 단량체 단위를 상기 상한값 이하로 하는 것이, 폴리올레핀 수지 (A) 에 필요시되는 굽힘 탄성률을 달성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 때문에, 이형 필름으로 했을 때의 이형성이나 그 균일성이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는 상기와 같이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이어도 되는데, 아이소택틱 호모폴리프로필렌이나, 신디오택틱 호모폴리프로필렌으로는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굽힘 탄성률을 달성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폴리올레핀 수지 (A) 로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택티시티를 저하시킨 것을 사용한다.
폴리올레핀 수지 (A) 로서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에 비해, 프로필렌 단량체와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과 공중합하는 단량체로는, 프로필렌과 공중합 가능한 화합물이면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에틸렌 ; 1-부텐, 1-펜텐, 3-메틸-1-부텐, 1-헥센, 4-메틸-1펜텐, 3-메틸-1펜텐, 1-헵텐,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 등의 탄소수가 4 ∼ 20 정도의 α-올레핀 ; (메트)아크릴산 ;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각종 (메트)아크릴레이트 ; 아세트산비닐, 비닐알코올, 무수 말레산 등의 극성 모노머 ; 스티렌, 스티렌 유도체 등의 스티렌계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메트)아크릴산이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의미하고,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들 단량체는 1 종을 사용해도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프로필렌과 공중합하는 단량체로는, 에틸렌, 탄소수가 4 ∼ 20 정도의 α-올레핀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중합체는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프로필렌·4-메틸-1-펜텐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그 밖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극성 모노머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각 공중합체는 랜덤 공중합체뿐만 아니라, 블록 공중합체, 그래프트 공중합체 등이어도 된다.
이들 각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입체 규칙성에는 한정은 없고, 프로필렌 연쇄 부분이 아이소택틱, 신디오택틱, 아탁틱, 스테레오 블록 등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중합에 사용하는 촉매 및 중합 방법은 공지된 것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프로필렌계 중합체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 불포화 실란 화합물 등으로 변성되어 있어도 된다. 나아가서는, 부분적으로 가교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프로필렌계 중합체로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1-부텐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프로필렌계 중합체는 상기 수지를 2 종 이상 병용할 수도 있고, 프로필렌계 중합체와 프로필렌계 중합체 이외의 폴리올레핀을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프로필렌계 중합체는 굽힘 탄성률이 800 ㎫ 이하이다.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굽힘 탄성률이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형 필름으로 했을 때의 이형성이나 그 균일성이 저하된다. 이 원인은 분명하지는 않지만, 굽힘 탄성률이 낮은 프로필렌계 중합체는 결정화도가 낮고, 이 결정화도의 낮음이 이형성의 양호 또한 균일한 발현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바꾸어 말하면,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비결정 영역이 일정량 이상 존재함으로써, 후술하는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 (B) 와 양호한 친화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굽힘 탄성률의 상한값은, 상기와 동일한 이유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7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5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0 ㎫ 이하이다.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굽힘 탄성률의 하한은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5 ㎫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이다.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굽힘 탄성률이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에는, 성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나, 이형 필름의 역학 특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멜트플로우레이트 (MFR)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30 ℃, 하중 2.16 ㎏ (21.18 N) 의 조건에서, 통상 0.5 ∼ 50 g/10 분, 바람직하게는 1 ∼ 30 g/10 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25 g/10 분이다.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MFR 이 상기 하한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중 어느 경우도,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을 제조할 때의 성형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프로필렌·에틸렌-블록 공중합체]
본 발명에서는, 폴리올레핀 수지 (A) 로서,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일 양태인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프로필렌 블록과 에틸렌 및 α-올레핀 중의 적어도 1 개의 블록으로 구성되는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프로필렌 블록과 에틸렌 및 α-올레핀 중의 적어도 1 개의 블록으로 구성되는 블록 공중합체」를, 「프로필렌·에틸렌-블록 공중합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α-올레핀으로는, 상기 탄소수가 4 ∼ 20 정도인 α-올레핀을 들 수 있다. 또, 에틸렌 및 α-올레핀 중의 적어도 1 개의 블록이란, 에틸렌 단독의 중합체 블록, α-올레핀 단독의 중합체 블록뿐만 아니라, 에틸렌과 α-올레핀의 공중합체 블록이나, 2 종 이상의 상이한 α-올레핀을 갖는 블록도 포함하고, 그 구성 단위로서 프로필렌도 포함한다.
프로필렌·에틸렌-블록 공중합체는 통상 프로필렌 중합체 블록의 도메인과, 에틸렌 및 α-올레핀 중의 적어도 1 개의 중합체 블록의 도메인을 갖는다. 이와 같이 상이한 도메인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를 폴리올레핀 수지 (A) 로서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이형 필름으로 했을 때의 이형성이나 그 균일성이 양호해짐과 함께, 내충격성, 강성 등이 우수한 것이 되는 경향이 있다.
프로필렌·에틸렌-블록 공중합체의 바람직한 양태로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 부분 (a) 와, 에틸렌·프로필렌-랜덤 공중합 부분 (b) 를 함유하는 블록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프로필렌 단독 중합 부분 (a) 와 에틸렌·프로필렌-랜덤 공중합 부분 (b) 의 함유 비율은 한정되지 않지만, 프로필렌 단독 중합 부분 (a) 가 20 ∼ 50 중량%, 에틸렌·프로필렌-랜덤 공중합 부분 (b) 가 80 ∼ 5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필렌 단독 중합 부분 (a) 의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이형 필름으로 했을 때의 이형성이나 그 균일성이 양호해짐과 함께, 내약품성, 내충격성, 강성 등이 우수한 것이 되는 경우가 있다.
프로필렌 단독 중합 부분 (a) 와 에틸렌·프로필렌-랜덤 공중합 부분 (b) 의 함유 비율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와 동일한 이유에 의해, 프로필렌 단독 중합 부분 (a) 가 30 ∼ 45 중량%, 에틸렌·프로필렌-랜덤 공중합 부분 (b) 가 70 ∼ 55 중량% 이다.
프로필렌·에틸렌-랜덤 공중합 부분 (b) 중의 에틸렌 함량은 한정되지 않고, 프로필렌을 포함하는 α-올레핀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는데, 에틸렌 함량이 40 ∼ 7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 함량이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이형 필름으로 했을 때의 이형성이나 그 균일성이 양호해짐과 함께, 내충격성, 강성 등이 우수한 것이 되는 경우가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 (A) 로서, 프로필렌 단독 중합 부분 (a) 와, 에틸렌·프로필렌-랜덤 공중합 부분 (b) 를 함유하는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 통상, 에틸렌·프로필렌-랜덤 공중합 부분 (b) 의 굽힘 탄성률보다, 프로필렌 단독 중합 부분 (a) 의 굽힘 탄성률이 높아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 수지 (A) 의 굽힘 탄성률은 상기와 같이 800 ㎫ 이하인데, 폴리올레핀 수지 (A) 로서 프로필렌 단독 중합 부분 (a) 와, 에틸렌·프로필렌-랜덤 공중합 부분 (b) 를 함유하는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에틸렌·프로필렌-랜덤 공중합 부분 (b) 의 굽힘 탄성률이 800 ㎫ 이하이면 된다.
즉, 에틸렌·프로필렌-랜덤 공중합 부분 (b) 의 굽힘 탄성률이 800 ㎫ 이하이면, 블록 공중합체 전체로서의 굽힘 탄성률이 800 ㎫ 를 초과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것은, 상기와 같이, 프로필렌·에틸렌-블록 공중합체는 통상 프로필렌 중합체 블록의 도메인과, 에틸렌 및 α-올레핀 중의 적어도 1 개의 중합체 블록의 도메인을 갖고 있고, 이들 상 (相) 은 독립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에틸렌·프로필렌-랜덤 공중합 부분 (b) 의 굽힘 탄성률이 800 ㎫ 이하이면,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에틸렌·프로필렌-랜덤 공중합 부분 (b) 의 굽힘 탄성률은, 상기와 동일한 이유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7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5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0 ㎫ 이하이다.
에틸렌·프로필렌-랜덤 공중합 부분 (b) 의 굽힘 탄성률의 하한은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5 ㎫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이다. 에틸렌·프로필렌-랜덤 공중합 부분 (b) 의 굽힘 탄성률이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에는, 성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나, 이형 필름의 역학 특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프로필렌 단독 중합 부분 (a) 와, 에틸렌·프로필렌-랜덤 공중합 부분 (b) 를 함유하는 블록 공중합체에 있어서, 에틸렌·프로필렌-랜덤 공중합 부분 (b) 의 굽힘 탄성률을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그 에틸렌·프로필렌-랜덤 공중합 부분 (b) 에만 상당하는 조성의 공중합체를 제조하고, 그 굽힘 탄성률을 측정해도 된다. 또, 블록 공중합체를 용매에 용해시킴으로써 프로필렌 단독 중합 부분 (a) 와, 에틸렌·프로필렌-랜덤 공중합 부분 (b) 로 분별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에는, 이것을 분별, 회수하여 굽힘 탄성률을 측정해도 된다. 분별할 때의 조건으로는, 예를 들어 용매로서 오르토디클로로벤젠을 사용하고, 150 ∼ 200 ℃ 에서 추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프로필렌·에틸렌-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은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고입체 규칙성 촉매를 사용하여 슬러리 중합, 기상 중합 또는 액상 괴상 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중합 방식으로는 배치 중합, 연속 중합 중 어느 방식도 채용할 수 있다.
프로필렌·에틸렌-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할 때에는, 최초에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에 의해 프로필렌 단독 중합 부분 (a) 를 형성하고, 다음으로 에틸렌과 α-올레핀 및 프로필렌 중의 적어도 1 개의 랜덤 공중합에 의해 에틸렌·프로필렌-랜덤 공중합 부분 (b) 를 형성한 것이 품질상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염화마그네슘에 4 염화티탄, 유기산 할라이드 및 유기 규소 화합물을 접촉시켜 형성한 고체 성분에,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성분을 조합한 촉매를 사용하여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을 실시하고, 이어서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랜덤 공중합을 실시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프로필렌·에틸렌-블록 공중합체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밖의 불포화 화합물, 예를 들어 아세트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를 함유하는 3 원계 이상의 공중합체이어도 되고, 또한, 이들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이러한 프로필렌·에틸렌-블록 공중합체의 예로서, 미쯔비시 화학사 제조 「제라스 7023」, 닛폰 폴리프로사 제조 「노바텍 PP BC3H」, 산아로마사 제조 「캬탈로이 CA7320A」, 「캬탈로이 아도플렉스 C200F」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프로필렌계 중합체 이외의 폴리올레핀 수지 (A)]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 수지 (A) 로서 사용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 이외의 폴리올레핀 수지, 즉, 굽힘 탄성률이 800 ㎫ 이하인 프로필렌계 중합체 이외의 폴리올레핀 수지로는,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즉, 구체적으로는, 저·중·고밀도 폴리에틸렌 등 (분기형 또는 직사슬형) 의 에틸렌 단독 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에틸렌·4-메틸-1-펜텐 공중합체,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을 포함한다),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계 중합체 ; 1-부텐 단독 중합체, 1-부텐·에틸렌 공중합체, 1-부텐·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1-부텐계 중합체 ; 노르보르넨의 개환 메타세시스 중합체나 노르보르넨 유도체·에틸렌 공중합체 등의 이른바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에틸렌계 중합체란, 원료 모노머로서 에틸렌을 주요 성분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을 50 중량% 이상 함유하는 중합체를 의미하고, 1-부텐계 중합체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폴리올레핀 수지 (A) 로서 사용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 이외의 폴리올레핀 수지는, 상기에서 예시한 수지 중, 굽힘 탄성률이 800 ㎫ 이하, 바람직하게는 7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5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0 ㎫ 이하의 수지가 선택된다. 굽힘 탄성률의 하한은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5 ㎫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이다.
폴리올레핀 수지 (A) 로서 사용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 이외의 폴리올레핀 수지의 멜트플로우레이트 (MFR) 는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0.5 ∼ 50 g/10 분, 바람직하게는 1 ∼ 30 g/10 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25 g/10 분이다. 여기서 MFR 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A) 가 프로필렌계 수지인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230 ℃, 21.2 N 하중에서의 값을 의미하지만, 폴리올레핀 수지 (A) 가 에틸렌계 중합체, 1-부텐계 중합체 또는 그 밖의 폴리올레핀 수지인 경우에는 190 ℃, 21.2 N 하중에서의 값을 의미한다. 폴리올레핀 수지 (A) 의 MFR 이 상기 하한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중 어느 경우도,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을 제조할 때의 성형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수지 (A) 중에 프로필렌 이외의 성분이 4 중량%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수지 (A) 중의 프로필렌 이외의 성분의 측정 방법은 이하의 순서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필름으로부터 이형층 성분의 적출 방법 : 편광 현미경을 사용하고, 단면 관찰을 실시하여 필름 중의 이형층 두께를 측정한다. 이형층을 날붙이 등을 사용하여 벗겨낸다. 이 때 에탄올, 아세톤 등의 용제에 필름을 침지하고, 팽윤시켜 벗겨내도 된다.
·프로필렌 (C3) 이외의 성분은 NMR 에 의해 구한다. 특히 에틸렌 성분에 대한 구체적 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가) NMR 에 의한 프로필렌 이외의 함량 측정 : 필름으로부터 적출한 이형층은 프로톤 완전하고 커플링법에 의해 이하의 조건에 따라서 측정한다. 13C-NMR 스펙트럼을 해석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기종으로는 예를 들어 닛폰 전자사 제조 GSX-400 또는 동등한 장치 (탄소핵 공명 주파수 100 ㎒ 이상) 를 사용할 수 있고, 측정 조건으로는 이하와 같다.
용매 : o-디클로르벤젠 : 중벤젠 = 4 : 1 (체적비)
농도 : 100 ㎎/㎖ 이상
온도 : 130 ℃
펄스각 : 90°
펄스 간격 : 15 초
적산 횟수 : 5000 회 이상
나) 스펙트럼 : 스펙트럼의 귀속은 Macromolecules, 17, 1950 (1984) 을 참고로 실시하면 된다. 상기 조건에 의해 측정된 스펙트럼의 귀속은 다음 표와 같다. 표 중, 「Sαα」등의 기호는 Carman 등 (Macromolecules, 10, 536 (1977)) 의 표기법에 따라서, P 는 메틸탄소, S 는 메틸렌탄소, T 는 메틴탄소를 각각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다) 에틸렌 함량의 계산 : 이하, 「P」를 공중합체 연쇄 중의 프로필렌 단위, 「E」를 에틸렌 단위로 하면, 연쇄 중에는 PPP, PPE, EPE, PEP, PEE, 및 EEE 의 6 종류의 트라이어드가 존재할 수 있다. Macromolecules, 15, 1150 (1982)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들 트라이어드의 농도와, 스펙트럼의 피크 강도는 이하의 (a) ∼ (f) 의 관계식으로 연결시킨다.
[PPP] = k×I (Tββ) (a)
[PPE] = k×I (Tβδ) (b)
[EPE] = k×I (Tδδ) (c)
[PEP] = k×I (Sββ) (d)
[PEE] = k×I (Sβδ) (e)
[EEE] = k×{I(Sδδ)/2 + I(Sγδ)/4} (f)
여기서, 대괄호 「[ ]」는 트라이어드의 분율을 나타내고, 예를 들어 [PPP] 는 전체 트라이어드 중의 PPP 트라이어드의 분율이다. 따라서,
[PPP] + [PPE] + [EPE] + [PEP] + [PEE] + [EEE] = 1 (g)
이다. 또한, k 는 계수이고, I 는 스펙트럼 강도를 나타내고, 예를 들어 I (Tββ) 는 Tββ 로 귀속되는 28.7 ppm 의 피크 강도를 의미한다.
상기 (a) ∼ (g) 의 관계식을 사용함으로써, 각 트라이어드의 분율이 구해지고, 추가로 하기 식에 의해 에틸렌 함량이 구해진다.
에틸렌 함량 (몰%) = ([PEP] + [PEE] + [EEE])×100
또, 에틸렌 함량의 몰% 로부터 중량% 로의 환산은 이하의 식을 사용하여 실시한다.
에틸렌 함량 (중량%) = (28×X/100)/{28×X/100 + 42×(1 - X/100)}×100
여기서, X 는 몰% 표시에서의 에틸렌 함량이다. 여기에 표기한 방법은 에틸렌 함량을 구하는 방법이고, 에틸렌 이외의 성분의 함량은 각각 스펙트럼을 귀속시켜 환산을 실시할 수 있다.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 (B)>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 (B) 는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이들 양단의 지방족기 R 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지만, 제조 용이성에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R-CONH-(CH2)n-NHCO-R (1)
(식 중, n 은 1 ∼ 6 의 정수를 나타내고, R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가 19 이상인 지방족기를 나타낸다.)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은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지방족기 R 의 화학 구조가 이형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 (B) 는, 탄소수가 19 이상인 지방족기를 양 말단에 갖는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이기 때문에, 흐트러짐이 적은 결정 구조를 형성 가능하다. 이 때문에, 그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 (B) 를 함유하는 이형층이 점착층과 접촉하였을 때에, 양 층간의 분자의 얽힘이 억제되어, 양호한 이형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 그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 (B) 를 포함하는 이형층으로 함으로써, 그 이형층 상에 점착제를 도포·건조시켜 점착층을 형성할 때에 열을 받은 경우나, 점착층과 첩합된 상태로 고온 환경하에 보관된 경우 등에 있어서도, 양호한 이형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것은,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 (B) 의 융해 온도가 높으므로, 그 결정 구조를 고온에서도 유지할 수 있고, 점착성 물질과의 분자의 얽힘이 억제되기 때문이다. 이 결과, 시간경과적으로도 안정된 이형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 (B) 를 구성하는 2 개의 지방족기 (상기 식 중의 R) 가 장사슬일수록 이형 성능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지만, 제조 용이성, 입수 용이성의 관점에서, 각각이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9 ∼ 27,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9 ∼ 23,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1 ∼ 23 의 지방족기를 갖는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족기의 탄소수가 상기 범위의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충분한 이형 성능이 얻어짐과 함께, 폴리올레핀 수지 (A) 와의 수지 조성물이나 이형 필름을 제조할 때에 발연, 발포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기 어려우므로 바람직하다.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에 있어서의 2 개의 지방족기 (상기 식 중 R) 는 각각, 직사슬 지방족기이어도 분기를 갖는 지방족기이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직사슬 지방족기이다.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에 있어서의 지방족기가 직사슬이면, 이형 성능이 양호해진다. 그 이유는 분명하지 않지만, 탄소수가 19 이상인 직사슬 지방족기를 갖는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은 흐트러짐이 적은 결정 구조를 형성 가능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에 있어서의 2 개의 지방족기 (상기 식 중 R) 는 각각, 포화 지방족기이어도 불포화 지방족기이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포화 지방족기이다. 그 지방족기의 예로는, 노나데실기, 이코사닐기, 헨이코사닐기, 도코사닐기, 및 트리코사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이상 중에서도, 탄소수 21 ∼ 23 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헨이코사닐기 및 트리코사닐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 (B) 는 2 개의 아미드기를 연결하는 2 가의 연결기 (상기 식 중의 -(CH2)n- 부분에 상당) 를 갖는다. 그 2 가의 연결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메틸렌기, 에틸렌기, 트리메틸렌기, 테트라메틸렌기, 헥사메틸렌기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메틸렌기 또는 에틸렌기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 (B) 는 상기 일반식 (1) 에 해당하는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다른 화합물을 2 종 이상 병용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일반식 (1) 이외의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을 병용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일반식 (1) 에 있어서, R 이 각각 탄소수 18 이하의 직사슬 지방족기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단, 상기 일반식 (1) 에 해당하는 화합물을 전체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 중의 90 몰% 이상으로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은 소정의 지방산과 소정의 알킬렌디아민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아미드화한다는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 아미드화하여 얻어진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정제해도 된다.
일반적인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온도 100 ∼ 250 ℃, 불활성 가스 분위기의 상압하 또는 가압하, 필요에 따라 수소화붕소알칼리 화합물, 아인산, 차아인산 또는 이들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 등의 존재하에서, 지방산과 알킬렌디아민을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원료의 지방산으로는, 탄소수 20 이상,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0 ∼ 28,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0 ∼ 24,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2 ∼ 24 의 지방산이 바람직하고, 그 예에는, 아라키드산, 베헨산, 리그노세린산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헨산, 리그노세린산이다. 또, 원료로서 사용하는 지방산의 탄소수에 분포를 갖는 경우에는, 얻어지는 지방산 비스아미드의 분자 구조는 여러 가지의 것이 얻어지는데, 상기 일반식 (1) 에 해당하는 지방산 비스아미드를 갖고 있으면, 상이한 분자 구조를 갖는 지방산 비스아미드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알킬렌디아민으로는, 탄소수 1 ∼ 6 의 알킬렌디아민을 들 수 있고, 그 예에는, 메틸렌디아민, 에틸렌디아민, 트리메틸렌디아민, 테트라메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틸렌디아민, 에틸렌디아민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디아민이다.
<그 밖의 성분>
본 발명의 이형 필름에 있어서의 이형층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히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폴리올레핀 수지 (A),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 (B) 이외의 수지나 첨가제 등 (이하, 「그 밖의 성분」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을 배합할 수 있다. 그 밖의 성분은 1 종류만을 사용해도,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조합과 비율로 병용해도 된다.
폴리올레핀 수지 (A) 이외의 수지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수지 (A) 에 포함되지 않는 폴리올레핀류 ;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1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계 수지 ; 폴리스티렌 등의 스티렌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나, 각종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 (A) 에 포함되지 않는 폴리올레핀류로는, 굽힘 탄성률이 800 ㎫ 를 초과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인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수지 (A) 와 함께, 굽힘 탄성률이 800 ㎫ 를 초과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병용하는 것을, 바람직한 일 양태로서 들 수 있다.
또한, 첨가제 등으로는, 각종 열안정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노화 방지제, 조핵제, 가소제, 충격 개량제, 상용화제, 소포제, 증점제, 가교제, 계면 활성제, 활제, 블로킹 방지제, 가공 보조제, 대전 방지제, 난연제, 난연 보조제, 충전제, 착색제, 무기 결정 핵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 이외의 이형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 그 밖의 수지나 첨가제 등은 1 종류만을 사용해도,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조합과 비율로 병용해도 된다.
열안정제 및 산화 방지제로는, 예를 들어 힌더드페놀류, 인 화합물, 힌더드아민, 황 화합물, 구리 화합물, 알칼리 금속의 할로겐화물 등을 들 수 있다.
난연제는 할로겐계 난연제와 비할로겐계 난연제로 크게 구별되는데, 비할로겐계 난연제가 환경면에서 바람직하다. 비할로겐계 난연제로는, 인계 난연제, 수화 금속 화합물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난연제, 질소 함유 화합물 (멜라민계, 구아니딘계) 난연제 및 무기계 화합물 (붕산염, 몰리브덴 화합물) 난연제 등을 들 수 있다.
충전제는 유기 충전제와 무기 충전제로 크게 구별된다. 유기 충전제로는, 전분, 셀룰로오스 미립자, 목분, 비지, 왕겨, 밀기울 등의 천연 유래의 폴리머나 이들의 변성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무기 충전제로는, 탤크, 탄산칼슘, 탄산아연, 월러스토나이트,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마그네슘, 규산칼슘, 알루민산나트륨, 알루민산칼슘, 알루미노규산나트륨, 규산마그네슘, 유리벌룬, 카본 블랙, 산화아연, 3 산화안티몬, 제올라이트, 하이드로탈사이트, 금속 섬유, 금속 위스커, 세라믹 위스커, 티탄산칼륨, 질화붕소, 그라파이트, 탄소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조핵제로는, 소르비톨 화합물 및 그 금속염 ; 벤조산 및 그 금속염 ; 인산에스테르 금속염 ; 에틸렌비스올레산아미드, 메틸렌비스아크릴산아미드, 에틸렌비스아크릴산아미드, 헥사메틸렌비스-9,10-디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비스아미드, p-자일릴렌비스-9,10-디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아미드, 데칸디카르복실산디벤조일하이드라지드, 헥산디카르복실산디벤조일하이드라지드,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디시클로헥실아미드,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디아닐리드, N,N',N''-트리시클로헥실트리메신산아미드, 트리메신산트리스(t-부틸아미드),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디아닐리드,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디시클로헥실아미드, N,N'-디벤조일-1,4-디아미노시클로헥산, N,N'-디시클로헥산카르보닐-1,5-디아미노나프탈렌, 에틸렌비스스테아르산아미드, N,N'-에틸렌비스(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아미드, 옥탄디카르복실산디벤조일하이드라지드 등 아미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무기 결정핵제로는, 탤크, 카올린, 실리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형층에 이들 「그 밖의 성분」을 사용하는 경우의 함유량은 한정되지 않지만, 이형층 중 또는 후술하는 수지 조성물 중에, 통상 0.01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2 중량% 이상이고, 통상 1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들 그 밖의 성분은, 이형층에 사용하는 원료를 미리 수지 조성물로 해 두는 경우에 있어서, 마스터 배치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함유량의 2 ∼ 50 배, 바람직하게는 3 ∼ 30 배의 농도로 함유시킬 수도 있다.
<수지 조성물 및 이형층>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수지 (A),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 (B), 및 임의로 그 밖의 성분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형층은 폴리올레핀 수지 (A),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 (B), 및 임의로 그 밖의 성분을 함유하는 층이다.
수지 조성물 또는 이형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A) 와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 (B) 의 함유 비율은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올레핀 수지 (A)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 (B) 를, 통상 0.5 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중량부 이상 함유하고, 한편, 통상 20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로 함유한다.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 (B) 의 함유 비율이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에는, 이형 필름으로 했을 때의 이형성이나 그 균일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 (B) 의 함유 비율이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잉의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이 이형층으로부터 누출되어 점착층측으로 전사되는 경우나, 이형 필름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수지 조성물 중 또는 이형층 중의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 (B) 의 함유 비율은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0.5 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중량부 이상 함유하고, 한편, 통상 20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로 함유한다.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 (B) 의 함유 비율이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에는, 이형 필름으로 했을 때의 이형성이나 그 균일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 (B) 의 함유 비율이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잉의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이 이형층으로부터 누출되어 점착층측으로 전사되는 경우나, 이형 필름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형층은 상기 서술한 각 성분을 원료로서 배합하고, 그대로 성형하여 성형체로서 얻을 수도 있지만, 미리 이들을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 해 두고, 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지는 성형체를 제조하고 이것을 이형층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서술한 각 성분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혼합 방법은 원료 성분이 균일하게 분산 혼합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즉, 상기 서술한 각 원료 성분 등을 동시에 또는 임의의 순서로 혼합함으로써, 각 성분이 균일하게 분포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보다 균일한 혼합·분산을 위해서는, 소정량의 상기 원료 성분을 용융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수지 조성물의 각 원료 성분 등을 임의의 순서로 혼합하고 나서 가열하거나, 전체 원료 성분 등을 순차 용융시키면서 혼합해도 된다. 나아가서는, 상기 서술한 각 성분 중 일부만을 수지 조성물로 해 두고, 이 수지 조성물과 다른 성분을 배합하여 이형층의 성형에 제공해도 된다.
혼합 방법이나 혼합 조건은 각 원료 성분 등이 균일하게 혼합되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생산성 면에서는, 예를 들어 텀블러 블렌더, V 블렌더, 리본 블렌더, 헨쉘 믹서 등을 사용하여 원료를 혼합하고, 단축 압출기나 2 축 압출기와 같은 연속 혼련기 및 밀롤, 밴버리 믹서, 가압 니더 등의 배치식 혼련기로 용융 혼련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용융 혼합시의 온도는 각 원료 성분의 적어도 하나가 용융 상태가 되는 온도이면 되는데, 통상은 사용하는 전체 성분이 용융되는 온도가 선택되고, 일반적으로는 150 ∼ 250 ℃ 에서 실시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멜트플로우레이트 (MFR)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30 ℃, 하중 2.16 ㎏ (21.18 N) 의 조건에서, 통상 0.5 ∼ 200 g/10 분, 바람직하게는 1 ∼ 50 g/10 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25 g/10 분이다. MFR 이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에는, 고속에서의 성형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 MFR 이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지는 이형층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이형 필름>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은, 상기 이형층을 갖고 있으면, 그 이형층만을 단독으로 성형한 단층 필름이어도 되고, 이형층 이외의 층 (이하, 다른 층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을 갖는 적층체이어도 된다. 다른 층으로는, 후술하는 점착층 외에, 그 밖의 수지, 금속, 유리 등의 기재층 (지지층) 이나 보호층, 코팅층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은 이형성이 우수하므로, 이형층과 다른 층을 갖는 적층체로서 이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현저히 발휘할 수 있다. 또, 적층체의 층 구성은 임의이고, 다른 층으로서 동종 또는 이종의 복수의 층을 갖고 있어도 되고, 이형층을 2 층 이상 갖고 있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의 형상도 한정되지 않고, 통상은 매엽의 평면상이나, 평면상 필름을 권취한 롤상인데, 통상이나 부정 형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용융 압출 성형이 바람직하다. 용융 압출 성형에서는, 원료를 압출기로부터 필름상 또는 시트상으로 압출 성형함으로써 이형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용융 압출 성형에는, 인플레이션 성형이나 블로우 성형도 포함된다. 또, 용융 압출 성형 이외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사출 성형, 프레스 성형 등의 성형 방법에 의해 이형 필름을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성형 방법에 의해 얻어진 이형 필름에 1 축 또는 2 축 등의 연신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또한, 진공 성형, 압공 성형, 진공 압공 성형 등의 2 차적 성형을 실시해도 된다.
적층체로서의 이형 필름은 공압출 성형이나 압출 라미네이트 성형, 압출 코팅 등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제조 효율 면에서 바람직하다.
적층체로서의 이형 필름을 압출 라미네이트 성형 또는 압출 코팅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에는, 통상, 적어도 1 층의 기재층이 사용된다. 즉, 이미 성형된 기재층을 풀어냄과 함께, 그 기재층의 표면에 용융 수지 등을 라미네이트하거나, 용액을 도포·건조시켜 코팅하거나 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은 이형층을 기재층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고, 그 밖의 층을 기재층으로 할 수도 있다.
공압출 성형을 실시하는 경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형층의 원료와, 그 밖의 층을 구성하는 원료 수지 등을 상이한 압출기로부터 압출하고, 다이스 내에서 적층화하여 성형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형층은 이형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다른 층으로서 사용하는 수지 등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공압출 성형에 의해서도 양호한 적층체의 이형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 공압출 성형에 의해 3 층 이상의 층 구성의 적층체로 할 수도 있다.
통상, 공압출 성형에 의해 적층체의 이형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제조 효율 면에서는 메리트가 있지만, 얻어지는 이형 필름에 있어서의 층간의 접착성은 강고해지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이형층과 그 밖의 층 사이의 이형성에 따라 상품 가치를 만들어내는 경우에 있어서는, 양호한 제품을 얻는 것이 곤란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은, 이형층의 이형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그 이유는 분명하지 않지만,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 (B) 가 특정한 지방족기를 갖기 때문에 안정된 결정 구조를 형성함과 함께, 폴리올레핀 수지 (A) 가 특정한 굽힘 탄성률을 갖는 것에 의해,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 (B) 와 양호한 친화성을 갖고 있는 것에서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이것에 의해,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 (B) 가 그 밖의 층으로 이행하는 것이 억제되고, 그것에 의해 공압출 성형에 의해서도 양호한 이형성을 갖는 이형 필름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의 구체적인 양태로는, 이형층만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이형 필름」, 점착층의 편면 또는 양면에 이형층을 갖는 「이형 필름이 부착된 양면 점착 테이프」, 기재층과 점착층이 일체화되고, 점착층측에 이형층이 적층된 「이형 필름이 부착된 편면 점착 테이프」, 이형층과 점착층이 일체화된 「편면 점착 테이프」등을 들 수 있다.
이형층의 기능으로는, 점착층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로 보관 등을 할 때, 다른 물질이 점착되지 않도록 점착면을 보호하는 기능, 점착층끼리가 점착하는 것을 저지하는 차폐 기능, 점착 성분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등을 가짐과 함께, 용이하게 점착층으로부터 박리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이형제 성분이 점착층에 잔류하는 것에 의한 점착력 저하를 발생시키지 않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은, 이형층의 이형력이 균일하기 때문에, 상기 특성을 높은 레벨로 가질 수 있다. 또한, 폭이 넓은 이형 필름을 성형한 경우에 있어서도, 시트의 폭 방향의 이형 성능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대면적의 이형 필름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도, 균일한 점착성 및 이형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폭이 넓은 이형 필름을 슬릿 절단하여 가는 폭의 이형 필름 (테이프) 을 복수 개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로트 사이의 점착성 및 이형성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단층 이형 필름이나 적층체에 있어서의 이형층의 두께로는, 통상 0.1 ∼ 100 ㎛, 바람직하게는 0.5 ∼ 100 ㎛ 이다. 두께가 상기 범위이면, 두께의 불균일에 의한 이형 성능의 저하가 없고, 또한 경제적으로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이 적층체인 경우의 총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0.5 ㎛ ∼ 5 ㎜, 바람직하게는 1 ㎛ ∼ 2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 1 ㎜ 이다.
<점착층>
적층체로서의 이형 필름을 구성하는 점착층은 한정되지 않고, 다른 물질에 대한 점착 성능을 갖는 것이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점착층을 독립적으로 갖고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이형층이나 기재층의 표면에 점착 성분을 도포 또는 함침시킴으로써 점착층으로서 기능하는 경우도 점착층에 포함된다. 이러한 기재층으로는, 다공질상의 것이나, 부직포 등의 섬유상의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점착층에 사용하는 재료로는, 예를 들어 23 ℃ 이하에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비결정성 또는 저결정성의 수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평균 분자량이 500 ∼ 10000 인 각종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또, 가교 또는 무가교 수지를 저휘발성의 용제로 용해 또는 팽윤시켜 사용해도 된다.
구체적인 점착층의 재료로는, 예를 들어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나, 아크릴계 점착제, 천연 고무계 점착제, 합성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실리콘계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는, 비닐 방향족 화합물을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과, 유연성을 부여하는 중합체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닐 방향족 화합물을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과, 부타디엔 및/또는 이소프렌을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 및/또는 그 블록 공중합체를 수소 첨가하여 얻어지는 수소첨가 블록 공중합체가 예시된다. 비닐 방향족 화합물은 한정되지 않지만,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의 스티렌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탄소수 4 ∼ 10 정도의 α-올레핀, 비공액디엔, 아세트산비닐 등을 모노머 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에틸렌과 탄소수 4 ∼ 10 정도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탄소수 4 ∼ 10 정도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에틸렌과 비공액디엔 성분의 공중합체, 에틸렌과 탄소수 3 ∼ 10 정도의 α-올레핀과 비공액디엔 성분의 공중합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와 올레핀 고무의 블렌드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블록 공중합체, 그래프트 공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가교된 것이어도 된다.
α-올레핀으로는, 1-부텐, 3-메틸-1-부텐, 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등을 들 수 있다. 그 비공액디엔으로는, 1,4-헥사디엔, 1,6-옥타디엔, 2-메틸-1,5-헥사디엔, 6-메틸-1,5-헵타디엔, 7-메틸-1,6-옥타디엔과 같은 사슬형 비공액디엔 ; 시클로헥사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 메틸테트라하이드로인덴, 5-비닐노르보르넨,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5-메틸렌-2-노르보르넨, 5-이소프로필리덴-2-노르보르넨, 6-클로로메틸-5-이소프로페닐-2-노르보르넨과 같은 고리형 비공액디엔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는, 결정성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알킬렌에테르 또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블록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블록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나,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과 시클로헥산디메탄올로부터 축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 등의 지환식 폴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폴리알킬렌에테르 블록으로는,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폴리트리메틸렌에테르글리콜, 폴리프로필렌에테르글리콜, 폴리에틸렌에테르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로는, 아디프산이나 세바크산 등의 탄소수 2 ∼ 10 정도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에틸렌글리콜이나 1,4-부탄디올 등의 탄소수 2 ∼ 10 정도의 지방족 디올로부터 축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점착층에는, 이형층에 함유하고 있어도 되는 상기 그 밖의 성분을 동일하게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특히 점착층에는, 탄화수소계 고무용 연화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특히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탄화수소계 고무용 연화제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화수소계 고무용 연화제로는, 광물유계 또는 합성 수지계의 연화제가 바람직하고, 광물유계 연화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광물유계 연화제는, 일반적으로, 방향족 탄화수소, 나프텐계 탄화수소 및 파라핀계 탄화수소의 혼합물이고, 전체 탄소 원자의 50 % 이상이 파라핀계 탄화수소인 것이 파라핀계 오일, 전체 탄소 원자의 30 ∼ 45 % 정도 이상이 나프텐계 탄화수소인 것이 나프텐계 오일, 전체 탄소 원자의 35 % 이상이 방향족계 탄화수소인 것이 탄소 원자 방향족계 오일로 각각 불리고 있다. 이들 중, 색상이 양호한 점에서, 파라핀계 오일이 바람직하다. 또한, 합성 수지계 연화제로는, 폴리부텐 및 저분자량 폴리부타디엔 등을 들 수 있다. 또, 탄화수소계 고무용 연화제는 상기 서술한 각종 연화제 중 어느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복수 종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탄화수소계 고무용 연화제의 40 ℃ 에 있어서의 동점도는 20 센티스톡스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센티스톡스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한편, 800 센티스톡스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00 센티스톡스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화수소계 고무용 연화제의 인화점 (COC 법) 은 한정되지 않지만, 20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5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점착층에는, 추가로 점착 부여제로서, 예를 들어 지방족·방향족계 공중합체계나 지환식계 등의 석유계 수지, 쿠마론-인덴계 수지, 테르펜계 수지, 테르펜페놀계 수지, 알킬페놀계 수지, 로진계 수지, 자일렌계 수지, 나아가서는 이들의 수소화물 등을 1 종 또는 2 종 이상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점착층은 이들 점착 부여제 자체가 주성분이어도 된다.
<표면 보호용 이형 필름>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의 용도는 한정되지 않지만, 각종 제품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 필름 (이하, 표면 보호 필름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층 구성은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한 이형 필름의 양태 중, 이형 필름이 부착된 편면 점착 테이프 또는 편면 점착 테이프가 바람직하다.
즉, 기재층과 점착층이 일체화되고, 점착층측에 이형층이 적층된 「이형 필름이 부착된 편면 점착 테이프」로부터 이형층을 박리하여 표면 보호하는 대상물에 첨착해도 되고, 이형층과 점착층이 일체화된 「편면 점착 테이프」의 점착층을 표면 보호하는 대상물에 첨착해도 된다.
표면 보호하는 대상물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지만, 수지, 금속, 유리, 그 밖의 무기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표면에 도장 등이 실시된 것이나 화학적, 물리적 처리가 실시된 것이 대상물이어도 된다.
표면 보호하는 대상물의 용도는 한정되지 않지만, 건축 부재, 자동차 부재, 표시용 부재, 일용품 등을 들 수 있다. 건축 부재로는, 예를 들어 외장 부재, 내장 부재, 욕조, 키친 부재 등을 들 수 있다. 자동차 부재로는, 예를 들어 보닛, 도어 패널, 범퍼, 대시 패널, 창, 지붕 등을 들 수 있고, 표시용 부재로는, 예를 들어 편광판, 위상차판, OA 기기의 외장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은, 이들 각종 제품에 대한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한 경우에도, 제품 보호시에는 양호한 점착성을 유지함과 함께, 제품으로부터 박리할 때에는 이형 필름이나 이형제가 제품에 부착, 잔류하지 않고, 안정된 이형력으로 제품으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을 첨착한 제품을 고온 환경하에 유지한 경우에 있어서도, 양호한 이형 성능 및 점착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초과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이하의 원료를 사용하였다.
[이형층의 원료]
<프로필렌계 중합체>
● A-1 : 닛폰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웰넥스 PP, RFG4VA (MFR (230 ℃, 2.16 ㎏) 6 g/10 분, 굽힘 탄성률 250 ㎫,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 A-2 : 닛폰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노바텍 PP BC3H (MFR (230 ℃, 2.16 ㎏) 8.5 g/10 분, 굽힘 탄성률 : 900 ㎫, 프로필렌·에틸렌-블록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블록과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블록을 갖고,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블록 부분의 굽힘 탄성률은 20 ㎫ 에 상당한다.
● A-3 : 산아로마 주식회사 제조, 캬탈로이 아도플렉스 C200F (MFR (230 ℃, 2.16 ㎏) : 6.0 g/10 분, 굽힘 탄성률 : 200 ㎫, 프로필렌·에틸렌-블록 공중합체)
● A-4 : 미쯔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 타프마 P0480 (MFR (230 ℃, 2.16 ㎏) 1.8 g/10 분, 굽힘 탄성률 20 ㎫,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 A-5 : 닛폰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노바텍 PP MA3 (MFR (230 ℃, 2.16 ㎏) 11 g/10 분, 굽힘 탄성률 1500 ㎫,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 A-6 : 닛폰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노바텍 PP FW4B (MFR (230 ℃, 2.16 ㎏) 6.5 g/10 분, 굽힘 탄성률 850 ㎫, 프로필렌·1-부텐·에틸렌 공중합체)
● A-7 : 닛폰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노바텍 PP EG7F (MFR (230 ℃, 2.16 ㎏) 1.3 g/10 분, 굽힘 탄성률 1050 ㎫,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 A-8 : 미쯔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 타프마 A4085S (MFR (230 ℃, 2.16 ㎏) 3.4 g/10 분, 굽힘 탄성률 70 ㎫,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이형제>
● B-1 : 베헨산비스아미드
베헨산 (C21H43COOH, 도쿄 화성 공업사 제조, 순도 95 % 이상) 115.6 부를 질소 분위기하 140 ℃ 에서 융해시키고, 거기에 에틸렌디아민 (와코 쥰야쿠 공업사 제조, 순도 99 % 이상) 10 부를 첨가하였다. 첨가 후 160 ℃ 까지 가열하고, 6 시간 반응을 실시하였다. 반응 중에 생성된 수분 등은 딘스탁관을 사용하여 분리 제거하였다. 반응 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자일렌 1320 부를 첨가하여 160 ℃ 로 가열하고 1 시간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그 후 실온까지 냉각시켜 생성물을 석출시키고, 이것을 여과 분리 후, 아세톤 1600 부 중에 분산시키고 다시 여과 분리하였다. 얻어진 생성물을 80 ℃ 에서 12 시간 감압 건조시키고, 베헨산비스아미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지방산 비스아미드 (B-1) 116.4 부를 얻었다.
● B-2 (비교예용) : 라이온 주식회사 제조, 아모스립 E (에루크산아미드)
● B-3 (비교예용) : 니치유 주식회사 제조, 알프로 AD-281F (에틸렌비스올레산아마이드)
● B-4 (비교예용) : 닛폰 화성 주식회사 제조, 스리팍스 E (에틸렌비스스테아르산아마이드)
[지지층의 원료]
·닛폰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노바텍 PP FY4 (MFR (230 ℃, 2.16 ㎏) 5 g/10 분,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점착층]
·점착 테이프 1 : 폭 25 ㎜ 의 시판되는 실리콘계 점착제 테이프 (닛토 전공 주식회사 제조, No.903UL)
·점착 테이프 2 : 폭 25 ㎜ 로 절단한 아크릴계 점착제 각 테이프 (닛토 전공 주식회사 제조, No.31B)
·점착 테이프 3 : 플라코사 제조 3 종 3 층 T 다이 필름 성형기를 사용하고, 성형 온도 220 ℃, 인취 속도 10 m/분의 조건에서, 냉각 롤측으로부터 「외층/중간층/점착층」을 각각 10 ㎛, 35 ㎛, 5 ㎛ 의 막두께 구성으로 하는 적층체를 얻었다. 또, 외층, 중간층은 동일한 수지이고, 두께 45 ㎛ 의 단일층으로 간주한다. 얻어진 적층체를 압출 방향으로 폭 25 ㎜ 의 점착 테이프로서 절단한 것을 점착 테이프로 하였다. 외층/중간층 및 점착층에 사용한 수지는 이하와 같다.
<외층/중간층> 호모폴리프로필렌 : 닛폰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노바텍 PP FY4」(MFR (230 ℃, 21.2 N 하중) 5.0 g/10 분)
<점착층>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 카네카사 제조 「시부스타 062M-UN」
<실시예 1>
A-1 의 100 중량부에 대하여, B-1 의 6 중량부를 배합하고, 압출기 (닛폰 제강소사 제조, TEX30 2 축 압출기) 로 230 ℃ 에서 용융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의 펠릿을 얻었다.
이 수지 조성물의 펠릿을 이형층에 사용하고, 상기 닛폰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노바텍 PP FY4 를 지지층의 원료로 하여, 플라코사 제조, 다층 T 다이 공압출 성형기로 두께 50 ㎛ (이형층 : 10 ㎛, 지지층 : 40 ㎛), 폭 25 ㎝ 의 적층체 (이형 필름) 를 성형하였다. 얻어진 적층체 (이형 필름) 를 사용하고, 이하의 이형 성능의 평가 1 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1 에 나타낸다.
<평가 1>
상기에서 제조한 적층체 (이형 필름) 를, 압출 방향 (MD 방향) 으로 폭 30 ㎜ 의 장방형으로 절단하고, 그 이형층측의 면에 상기 점착 테이프 1, 점착 테이프 2, 점착 테이프 3 중 어느 점착제면을 합친 후, 무게 2 ㎏ 의 고무 롤러를 1 왕복시켜 압착하고, 평가용 시험편으로 하였다. 평가용 시험편을 실온에서 1 시간 방치 후, 이형층과 점착층의 계면을 인장 속도 300 ㎜/분으로 180°방향으로 떼어낼 때에 요하는 힘 (5 개의 시료의 평균값) 을 측정하고, 이것을 「이형력 (N/㎝)」으로 하였다.
또, 폭 30 ㎜ 로 절단한 평가용 시험편은, 폭 25 ㎝ 의 적층체 (이형 필름) 에 있어서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서 폭 방향으로 균등한 위치에서 7 지점 채취하고, 각각 (1) ∼ (7) 로 번호를 붙이고, 각각의 이형력을 측정하였다 ((1) 및 (7) 이 시트의 단부이고, (4) 가 시트폭의 중앙부이다). (1) ∼ (7) 의 평가용 시험편에 대해서 각각 5 회의 평균값을 측정하고, (1) ∼ (7) 의 시험편에 있어서의 이형력의 최대값 및 최소값을 확인하였다. 이형력의 값이 작고 또한 이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 ∼ 9, 비교예 1 ∼ 9>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종류 및 이형제의 배합량을 표-1 과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 조성물의 펠릿을 제조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 (이형 필름) 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 (이형 필름) 를 사용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이형 성능의 평가 1 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1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표-1 의 결과로부터, 실시예에서는, 이형제의 배합량을 변화시킨 어느 경우도 이형력이 균일하고, 시트의 위치에 따른 차이는 전혀 보이지 않았다. 한편, 굽힘 탄성률이 높은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원료로 하고 있는 비교예에서는, 적층체 (이형 필름) 의 위치에 따라 이형력에 차이가 발생했다. 이 성능차는 보다 넓은 폭의 적층체 (이형 필름) 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더욱 현저해진다.
<실시예 10 ∼ 16, 비교예 10 ∼ 20>
이형제의 종류 및 배합량을 표-2 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 조성물의 펠릿을 제조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 (이형 필름) 를 성형하였다. 얻어진 적층체 (이형 필름) 를 사용하고, 이하의 이형 성능의 평가 2 및 평가 3 을 실시하였다. 평가 2 의 결과를 표-2 에, 평가 3 의 결과를 표-3 에 나타낸다. 또, 실시예 10 ∼ 16 의 원료 배합 조성은 각각 실시예 1 ∼ 6 및 8 과 동일하다.
<평가 2>
상기에서 제조한 적층체 (이형 필름) 의 중앙 부분을, 압출 방향으로 폭 30 ㎜ 의 장방형으로 절단하고, 그 이형층측의 면에 상기 점착 테이프 1, 점착 테이프 2, 점착 테이프 3 중 어느 점착제면을 합친 후, 무게 2 ㎏ 의 고무 롤러를 1 왕복시켜 압착하고, 평가용 시험편으로 하였다. 평가용 시험편을 실온에서 1 시간 방치 후, 이형층과 점착층의 계면을 인장 속도 300 ㎜/분으로 180°방향으로 떼어낼 때에 요하는 힘 (5 개의 시료의 평균값) 을 측정하고, 이것을 「이형력 (N/㎝)」으로 하였다. 또, 이 값은 평가 1 에 있어서의 (4) 의 평가용 시험편의 이형력에 상당한다. 이 값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떼어낸 평가용 시험편 중 점착층측을, 스테인리스 (SUS) 판의 상면에 첩부하고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면을 스테인리스판에 첩부), 무게 2 ㎏ 의 고무 롤러를 1 왕복시켜 압착하였다. 실온에서 1 시간 방치 후, 스테인리스판과 점착 테이프의 계면을 인장 속도 300 ㎜/분으로 180°방향으로 떼어내는 데에 요하는 힘 (5 개의 시료의 평균값) 을 측정하고, 이것을 「점착력 (N/㎝)」으로 하였다. 이 값은 큰 것이 바람직하다.
<평가 3>
상기에서 제조한 적층체 (이형 필름) 의 중앙 부분을, 압출 방향으로 폭 30 ㎜ 의 장방형으로 절단하고, 그 이형층측의 면에 상기 점착 테이프 1 또는 점착 테이프 2 중 어느 점착제면을 합친 후, 무게 2 ㎏ 의 고무 롤러를 1 왕복시켜 압착하여 평가용 시험편으로 한 후, 50 gf/㎠ 의 하중을 가하여 60 ℃ 에서 3 일간 가만히 정지시켰다. 그 후 실온으로 옮겨 1 시간 방치한 후, 이형층과 점착층의 계면을 인장 속도 300 ㎜/분으로 180°방향으로 떼어내는 데에 요하는 힘 (5 개의 시료의 평균값) 을 측정하고, 이것을 「가열 이형력 (N/㎝)」으로 하였다. 이 값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떼어낸 평가용 시험편 중 점착층측을, 스테인리스 (SUS) 판의 상면에 첩부하고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면을 스테인리스판에 첩부), 무게 2 ㎏ 의 고무 롤러를 1 왕복시켜 압착하였다. 실온에서 1 시간 방치 후, 스테인리스판과 점착 테이프의 계면을 인장 속도 300 ㎜/분으로 180°방향으로 떼어내는 데에 요하는 힘 (5 개의 시료의 평균값) 을 측정하고, 이것을 「가열 점착력 (N/㎝)」으로 하였다. 이 값은 큰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표-2 및 표-3 의 결과로부터, 실시예에서는, 이형제의 배합량을 변화시킨 어느 경우도 이형성이 양호하고, 또한 점착층과 이형층을 첩합하여 고온 환경하에 보관된 경우에 있어서도, 박리력의 변동이 작음과 함께, 맞닿은 점착 테이프의 점착 성능도 우수하였다.
한편, 이형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비교예나, 일반식 (1) 과는 상이한 이형제를 원료로 하고 있는 비교예에서는, 이형성이 나쁘고, 또한 점착층과 이형층을 첩합하여 고온 환경하에 보관된 경우에, 박리력의 변동이 큰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 특정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분명하다. 본 출원은 2011년 7월 12일 출원의 일본특허출원 (일본 특허출원 2011-153804호), 2012년 3월 27일 출원의 일본특허출원 (일본 특허출원 2012-072132호) 에 기초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받아들인다.

Claims (15)

  1. 굽힘 탄성률이 800 ㎫ 이하인 폴리올레핀 수지 (A) 와,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 (B) 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R-CONH-(CH2)n-NHCO-R (1)
    (식 중, n 은 1 ∼ 6 의 정수를 나타내고, R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가 19 이상인 지방족기를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A) 가 프로필렌계 중합체인 수지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A) 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인 수지 조성물.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A) 중에 프로필렌 이외의 성분이 4 중량% 이상 포함되어 있는 수지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지는 성형체.
  6. 굽힘 탄성률이 800 ㎫ 이하인 폴리올레핀 수지 (A) 와,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 (B) 를 함유하는 이형층을 적어도 갖는 이형 필름.
    R-CONH-(CH2)n-NHCO-R (1)
    (식 중, n 은 1 ∼ 6 의 정수를 나타내고, R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가 19 이상인 지방족기를 나타낸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비스아미드 화합물 (B) 를 이형층 중에 0.5 ∼ 20 중량부 함유하는 이형 필름.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A) 가 프로필렌계 중합체인 이형 필름.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A) 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인 이형 필름.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점착층을 갖는 이형 필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층이 일방의 표면을, 상기 점착층이 타방의 표면을 형성하는 이형 필름.
  12. 제 6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압출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이형 필름.
  13. 제 6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면 보호용인 이형 필름.
  14. 제 13 항에 있어서,
    건축 부재, 자동차 부재 및 표시용 부재 중 어느 표면의 보호에 사용하는 이형 필름.
  15. 제 13 항에 있어서,
    수지, 금속 및 유리 중 어느 표면의 보호에 사용하는 이형 필름.
KR1020147000467A 2011-07-12 2012-07-11 수지 조성물 및 이형 필름 KR201400385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53804 2011-07-12
JPJP-P-2011-153804 2011-07-12
JPJP-P-2012-072132 2012-03-27
JP2012072132 2012-03-27
PCT/JP2012/067746 WO2013008861A1 (ja) 2011-07-12 2012-07-11 樹脂組成物及び離型フィル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509A true KR20140038509A (ko) 2014-03-28

Family

ID=47506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0467A KR20140038509A (ko) 2011-07-12 2012-07-11 수지 조성물 및 이형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047964B2 (ko)
KR (1) KR20140038509A (ko)
CN (1) CN103649204A (ko)
TW (1) TWI568782B (ko)
WO (1) WO20130088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382A (ko) * 2017-06-06 2020-02-10 주식회사 쿠라레 다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3963A1 (ja) 2013-10-31 2015-05-07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及び無線端末
WO2016121875A1 (ja) * 2015-01-30 2016-08-04 日東電工株式会社 セパレータ付き光学用表面保護フィルム
JP6804843B2 (ja) * 2015-01-30 2020-12-23 日東電工株式会社 セパレータ付き光学用表面保護フィルム
CN104846692A (zh) * 2015-04-27 2015-08-19 苏州斯迪克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压纹离型纸的制造方法
TWI706853B (zh) * 2018-01-17 2020-10-11 南亞塑膠工業股份有限公司 聚烯烴離型膜及其製造方法、熱塑性聚氨酯複合結構
CN114350061B (zh) * 2021-11-30 2023-09-26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0119A (ja) * 1994-08-23 1996-03-05 Sekisui Chem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3304719B2 (ja) * 1995-10-23 2002-07-22 豊田合成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H0977881A (ja) * 1995-09-18 1997-03-25 Mitsubishi Chem Corp 積層用フィルム
JP2001520697A (ja) * 1997-04-16 2001-10-30 ザ・ダウ・ケミカル・カンパニー スリップ剤と抗ブロック剤を含有する組成物
US20030004248A1 (en) * 1997-09-08 2003-01-02 Kazuyuki Wakamura Polyamide resin composition
SG80034A1 (en) * 1998-06-08 2001-04-17 Sumitomo Chemical Co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JP4367990B2 (ja) * 1999-03-03 2009-11-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易剥離性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衛生材
JP2002003618A (ja) * 2000-06-22 2002-01-09 Sekisui Chem Co Ltd 熱収縮フィルム
FR2811552B1 (fr) * 2000-07-17 2002-12-27 Oreal Composition notamment cosmetique ou pharmaceutique se presentant sous forme solide
JP2002128965A (ja) * 2000-10-25 2002-05-09 Sekisui Chem Co Ltd ポリオレフィン系農業用フィルム
JP2002155188A (ja) * 2000-11-22 2002-05-28 Japan Polychem Corp 自動車用トリム
JP5110747B2 (ja) * 2001-06-01 2012-12-26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無延伸フィルム
JP2003049132A (ja) * 2001-08-06 2003-02-21 Nitto Denko Corp 表面保護シート
JP2003064194A (ja) * 2001-08-30 2003-03-05 Japan Polychem Corp ポリプロピレン系単層フィルム
US8003725B2 (en) * 2002-08-12 2011-08-23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lasticized hetero-phase polyolefin blends
US20060020056A1 (en) * 2004-07-23 2006-01-26 Specialty Minerals (Michigan) Inc. Method for improved melt flow rate fo filled polymeric resin
JP5148816B2 (ja) * 2005-02-08 2013-02-20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28741B2 (ja) * 2005-04-29 2012-05-09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プロピレン系樹脂フィルム及びプロピレン系樹脂積層フィルム並びにそれらの用途
JP4714526B2 (ja) * 2005-08-09 2011-06-29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CN101293977A (zh) * 2007-04-26 2008-10-29 华夏海湾塑胶股份有限公司 胶带用的非卤素薄膜及其制备
JP5282401B2 (ja) * 2008-01-08 2013-09-04 三菱化学株式会社 脂肪酸ビスアミド組成物、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離型剤、離型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2010234794A (ja) * 2009-03-10 2010-10-21 Dainippon Printing Co Ltd 離型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005664A (ja) * 2009-06-23 2011-01-13 Dainippon Printing Co Ltd 離型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005780A (ja) * 2009-06-26 2011-01-13 Dainippon Printing Co Ltd 離型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056654A (ja) * 2009-09-11 2011-03-24 Takao Hisamatsu 墨つぼ
JP2013035898A (ja) * 2011-08-04 2013-02-21 Mitsubishi Chemicals Corp 防汚剤、防汚性樹脂組成物及び防汚フィル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382A (ko) * 2017-06-06 2020-02-10 주식회사 쿠라레 다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49204A (zh) 2014-03-19
JP6047964B2 (ja) 2016-12-21
TWI568782B (zh) 2017-02-01
TW201313808A (zh) 2013-04-01
JP2013227472A (ja) 2013-11-07
WO2013008861A1 (ja) 201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8509A (ko) 수지 조성물 및 이형 필름
CA2888745C (en) Polypropylene impact copolymer based hot melt adhesive
KR100590459B1 (ko) 중합체 혼합물 및 이것으로 제조된 테이프
JP5279495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多層積層体、該熱可塑性樹脂組成物を粘着させてなる物品、ならびに物品の表面保護方法
JP2017516888A (ja) 改良された性質を有するポリオレフィンベースのホットメルト接着剤
JP5850773B2 (ja) 粘着剤、積層体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TW201900806A (zh) 電池用積層體
JP6500699B2 (ja) 延伸フィルム
JP2010215684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の製造方法、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発泡体及び積層シート
JP7283033B2 (ja) 積層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用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JP4732749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成形体およびその用途
WO2002038654A1 (fr) Film/feuille de protection de surface et film/feuille a fonction decorative, et materiau decoratif
JP6677155B2 (ja) 剥離性フィルム
JP5484032B2 (ja) 表面保護用フィルム
WO2017125810A1 (ja) 剥離性フィルム
RU2725892C1 (ru) Полиолефинов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неориентированной пленки с улучшенными барьерными свойствами по отношению к кислороду
JP7215034B2 (ja) 積層多孔フィルム
JP5484033B2 (ja) 表面保護用フィルム
JP6620694B2 (ja) 剥離性フィルム
JP2016135567A (ja) 剥離性フィルム
JP2022143003A (ja)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KR100615935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그 수지의 시트로의 응용
JP2018144351A (ja) 多層二軸延伸フィルム
JP2014213542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