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8085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8085A
KR20130058085A KR1020137012481A KR20137012481A KR20130058085A KR 20130058085 A KR20130058085 A KR 20130058085A KR 1020137012481 A KR1020137012481 A KR 1020137012481A KR 20137012481 A KR20137012481 A KR 20137012481A KR 20130058085 A KR20130058085 A KR 20130058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cabinet
cam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2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6866B1 (ko
Inventor
오승진
최창봉
박만호
임기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58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42For refrigerators or cold roo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81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for transmitting energy, e.g. electrical cable rou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7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arallel to the pivo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25D23/082Strips
    • F25D23/087Sealing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7Rotatable she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71Secondary wings, e.g. pass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25D23/082Strips
    • F25D23/085Breaking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다수 개의 선반이 상하로 배치되는 제 1 저장 영역을 가지는 캐비닛; 제 2 저장 영역과, 상기 제 2 저장 영역으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 1 도어; 닫힘 시, 상기 제 1 도어의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고, 상기 제 1 도어보다 얇은 단열 두께를 가지는 제 2 도어; 및 상기 제 1 도어와 상기 제 2 도어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폐되도록, 상기 제 1 도어의 상부와 상기 캐비닛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 1 힌지 및 상기 제 2 도어의 상부와 상기 제 1 도어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 2 힌지를 포함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힌지의 힌지축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 2 힌지에 인접하는 상기 제 2 도어의 측면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 1 힌지의 힌지축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 1 힌지에 인접하는 상기 제 1 도어의 측면부까지의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실시 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이 저온의 상태에서 보관되도록 하는 기기이다.
상기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시키는 도어가 포함된다.
상기 저장실은 일 례로 냉장실과 냉동실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는, 상기 냉장실을 개폐시키는 냉장실 도어와, 상기 냉동실을 개폐시키는 냉동실 도어가 포함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냉장실 또는 냉동실에 저장된 식품을 꺼내기 위해서는 냉동실 도어 또는 냉장실 도어를 열어야 한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제 1 도어에 형성되는 저장실의 용량을 크게하여 수납 효율성 및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저장실을 차폐하는 제 2 도어가 제 1 도어와 일체감이 있도록 하여 외관을 개선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다수 개의 선반이 상하로 배치되는 제 1 저장 영역을 가지는 캐비닛; 제 2 저장 영역과, 상기 제 2 저장 영역으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 1 도어; 닫힘 시, 상기 제 1 도어의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고, 상기 제 1 도어보다 얇은 단열 두께를 가지는 제 2 도어; 및 상기 제 1 도어와 상기 제 2 도어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폐되도록, 상기 제 1 도어의 상부와 상기 캐비닛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 1 힌지 및 상기 제 2 도어의 상부와 상기 제 1 도어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 2 힌지를 포함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힌지의 힌지축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 2 힌지에 인접하는 상기 제 2 도어의 측면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 1 힌지의 힌지축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 1 힌지에 인접하는 상기 제 1 도어의 측면부까지의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다수 개의 선반이 상하로 배치되는 제 1 저장 영역을 가지는 캐비닛; 제 2 저장 영역과, 상기 제 2 저장 영역으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구부 및 상면에 단차지는 단차부를 가지며,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 1 도어; 닫힘 시, 상기 제 1 도어의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고, 상면에 함몰되는 함몰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도어보다 얇은 단열 두께를 가지는 제 2 도어; 및 상기 제 1 및 함몰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도어와 상기 제 2 도어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폐되도록, 상기 단차부와 상기 캐비닛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 1 힌지 및 상기 함몰부와 상기 단차부를 연결하는 제 2 힌지를 포함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힌지는,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1 결합부에서 상기 제 1 도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 및 상기 제 1 연장부에 결합되어 상기 단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도어의 후면보다 전면에 가까운 지점에 삽입되는 제 1 힌지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힌지는, 상기 제 1 도어에 고정되는 제 2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에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 및 상기 제 2 연장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도어의 상부에 삽입되는 제 2 힌지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더 다른 측면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다수 개의 선반이 상하로 배치되는 제 1 저장 영역을 가지는 캐비닛; 제 2 저장 영역과, 상기 제 2 저장 영역으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구부 및 상면에 단차지는 단차부를 가지며,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 1 도어; 닫힘 시, 상기 제 1 도어의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고, 상면에 함몰되는 함몰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도어보다 얇은 단열 두께를 가지는 제 2 도어; 및 상기 단차부 및 함몰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도어와 상기 제 2 도어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폐되도록, 상기 단차부와 상기 캐비닛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 1 힌지 및 상기 함몰부와 상기 단차부를 연결하는 제 2 힌지를 포함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힌지는,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1 결합부에서 상기 제 1 도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 및 상기 제 1 연장부에 결합되는 제 1 힌지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힌지는, 상기 제 1 도어에 고정되는 제 2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에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 및 상기 제 2 연장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힌지축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함몰부에 삽입되는 제 2 힌지축을 포함한다.
더 다른 측면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다수 개의 선반이 상하로 배치되는 제 1 저장 영역을 가지는 캐비닛; 제 2 저장 영역과, 상기 제 2 저장 영역으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 1 도어; 닫힘 시, 상기 제 1 도어의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고, 상기 제 1 도어보다 얇은 단열 두께를 가지는 제 2 도어; 및 상기 제 1 도어와 상기 제 2 도어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폐되도록, 상기 제 1 도어와 상기 캐비닛을 연결하는 제 1 힌지 및 상기 제 2 도어와 상기 제 1 도어를 연결하는 제 2 힌지를 포함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힌지는,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1 결합부에서 상기 제 1 도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도어의 측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1 연장부 및 상기 제 1 연장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도어의 상부에 삽입되는 제 1 힌지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힌지는, 상기 제 1 도어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 2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 2 도어의 측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2 연장부 및 상기 제 2 연장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도어의 상부에 삽입되는 제 2 힌지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힌지축이 삽입되는 지점은, 상기 제 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도어의 상면과 상기 제 2 도어의 상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평면의 중간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바스켓에 의해서 상기 제 2 저장실에 식품을 효과적으로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수의 바스켓이 상기 수납 장치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제 1 도어의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다수의 바스켓에 식품을 용이하게 수납 또는 식품을 바스켓으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 2 도어가 제 1 도어의 좌우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냉장고 도어의 미감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제 2 결합부 중 일부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바스켓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의 하중이 상기 바스켓에 가해지는 것이 줄어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바스켓의 하중이 상기 프레임에 가해지는 것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 제 2 결합부와 상기 제 1 바스켓 또는 상기 프레임의 경계 부위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2 돌출부 사이에 제 2 결합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상기 제 2 결합부가 상기 제 1 돌출부와 접촉하게 되어, 상기 수납 장치가 회전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상기 냉장실 도어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제 1 도어의 저장실이 크게 형성되어 수납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 2 도어가 제 1 도어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크기가 큰 저장실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도어는 제 1 도어의 상면과 좌우측면을 공유하게 되며, 상기 제 2 도어의 하단에는 도어핸들이 구비되어, 전방에서 볼 때 상기 제 2 도어는 상기 제 1 도어와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도어로 인식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냉장고의 전체적인 외관이 개선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저장실이 개방된 상태의 냉장고의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저장실이 개방된 상태의 냉장고의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수납 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수납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의 사시도.
도 8은 수납 장치가 냉장실 도어에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냉장실 도어의 측면도.
도 9는 제 2 도어가 제 2 저장실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바스켓이 인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 1 도어와 제 2 도어가 분리된 냉장고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 1 힌지와 제 2 힌지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상기 제 1 힌지와 제 2 힌지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13은 상기 제 1 도어와 제 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힌지와 제 2 힌지의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4는 제 1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제 1 힌지와 제 2 힌지의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5는 제 2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제 1 힌지와 제 2 힌지의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 2 도어가 개방된 냉장고의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한부재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제 2 도어의 부분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제한부재의 상태를 보여주는 냉장고의 부분 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 2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의 제한부재의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 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제한부재의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 2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냉장고의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록킹장치 및 개방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25는 도 24의 4-4' 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
도 26은 제 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 25의 5-5'를 따라 절개된 모습을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
도 27은 제 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 25의 6-6'를 따라 절개된 모습을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
도 28은 래치 로드가 스토퍼를 밀었을 때의 스토퍼의 상태를 보여주는 로킹 어셈블리의 배면도.
도 29는 제 2 도어가 닫혀서 스토퍼가 래치 캠에 걸린 상태를 보여주는 로킹 어셈블리의 배면도.
도 30은 상기 제 2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에서의 상기 록킹장치 및 개방유닛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1은 상기 개방유닛의 조작시 상기 록킹장치 및 개방유닛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2는 상기 제 2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상기 록킹장치 및 개방유닛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 2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
도 35는 상기 제 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록킹유닛의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6은 상기 제 2 도어의 개방을 위한 신호 입력시의 록킹유닛의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7은 제 2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사시도.
도 38은 상기 제 2 도어의 개방에 의해 선반이 회동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39는 상기 제 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제 1 도어 배면의 모습을 보인 도면.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인트부재와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결합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결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2는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동작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3은 상기 제 2 도어의 장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4는 상기 제 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하부 힌지 어셈블리의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5는 상기 제 2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하부 힌지 어셈블리의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6은 상기 제 2 도어의 사시도.
도 47은 상기 제 2 도어의 전방 분해 사시도.
도 48은 상기 제 2 도어의 후방 분해 사시도.
도 49는 도 46의 7-7'를 따라 절개되는 절개 사시도.
도 50은 도 46의 8-8'를 따라 절개되는 절개 사시도.
도 51은 도어 플레이트만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제 2 도어의 사시도.
도 52는 보강부재가 결합된 제 2 도의 분해 사시도.
도 53은 도 52의 9-9'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
도 54는 상기 제 2 도어를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55는 상기 제 2 도어를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56은 상기 제 2 도어가 지그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57 내지 도 61은 상기 지그의 각도에 따른 발포액의 충진 상태를 시뮬레이션한 도면.
도 6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 2 도어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
도 6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가스켓의 온도 변화에 따른 재질별 경도 변화를 보인 그래프.
도 64는 상기 제 2 도어의 전방 분해 사시도.
도 65는 내부에 접지선이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제 2도어의 배면도.
도 66은 상기 제 2 도어에서의 정전기 발생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6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도어의 구조를 보여주는 냉장고의 사시도.
도 6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도어의 구조를 보여주는 냉장고의 사시도.
도 6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도어의 구조를 보여주는 냉장고의 사시도.
도 7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 2 도어가 개방된 냉장고의 사시도.
도 7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 1 도어의 부분 정면도.
도 7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 2 도어의 배면도.
도 7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기 제 2 도어가 열렸을 때의 냉장실 도어의 단면도.
도 74는 상기 제 2 도어가 닫혔을 때의 상기 냉장실 도어의 단면도.
도 7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 2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냉장실 도어의 사시도.
도 7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실 도어의 측단면도.
도 7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 2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
도 7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실 도어의 측단면도.
도 7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 2 도어가 개방된 냉장실 도어의 사시도.
도 8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 2 도어가 개방된 냉장고의 사시도.
도 81은 상기 제 2 도어의 분해 사시도.
도 82는 상기 제 2 도어 및 하부 힌지가 분리된 모습을 보인 냉장실 도어의 분해 사시.
도 83은 상기 제 2 도어의 결합 상태를 보인 냉장실 도어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84는 상기 제 2 도어가 닫힌 모습을 보인 냉장고의 정면도.
도 85는 상기 제 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부 힌지 어셈블리의 상태를 보인 제 2 도어의 부분 저면도.
도 86은 상기 제 2 도어가 열린 모습을 보인 냉장고의 정면도.
도 87은 상기 제 2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부 힌지 어셈블리의 상태를 보인 제 2 도어의 부분 저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저장실이 개방된 상태의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저장실이 개방된 상태의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냉장고(1)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시키는 도어(20, 30)가 포함된다.
상기 저장실은, 냉동실(102)과 냉장실(104)이 포함된다. 상기 냉동실(102)과 상기 냉장실(104)은 좌우로 배치되고, 구획부에 의해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 30)는 상기 냉동실(102)을 개폐시키는 냉동실 도어(20)와 상기 냉장실(104)을 개폐시키는 냉장실 도어(30)가 포함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30)의 배면에는 식품이 수납되기 위한 수납 장치(40)가 구비된다. 상기 수납 장치(40)는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41)이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41)은 상기 냉장실 도어(30)의 배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냉장실(104)은 하나 이상의 선반(105)에 의해서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30)가 상기 냉장실(104)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41)은 상기 냉장실(104)에 위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냉장실(104)을 제 1 저장실이라 할 수 있고, 상기 프레임(41)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을 제 2 저장실(405)이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장실(104)이 제 1 저장실(104)인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 도어(30)가 상기 제 1 저장실(104)을 닫은 상태에서, 제 2 저장실(405)은 상기 제 1 저장실(104) 내에 위치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30)에는, 상기 제 1 저장실(104)을 개폐시키는 제 1 도어(310)와, 상기 제 1 도어(3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 2 저장실(405)을 개폐시키는 제 2 도어(34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도어(310)는 힌지 어셈블리에 의해서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도어(310)와 상기 제 2 도어(340)를 연결시키는 제 2 힌지(51)와, 상기 제 1 도어(310)와 상기 캐비닛(10)을 연결시키는 제 1 힌지(52)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도어(310)에는, 상기 제 1 도어(310)가 상기 제 1 저장실(104)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 2 저장실(405)에 수용된 식품을 인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316)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도어(310)가 상기 제 1 저장실(104)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316)를 개방시켜, 식품을 상기 제 2 저장실(405)에 넣거나 꺼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도어(340)의 좌우 폭은 상기 제 1 도어(310)의 좌우 폭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340)와 상기 제 1 도어(310)의 일체감이 향상되어 냉장실 도어(30)의 미감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 도어(340)의 배면에는 상기 제 1 도어(310)와의 결합을 위한 래치 후크(341)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어(310)의 제 2 부분(312)에는, 상기 상기 래치 후크(341)가 결합되기 위한 래치 슬롯(317)이 형성된다.
상기 래치 후크(341)와 상기 래치 슬롯(317)의 구조는 공지의 구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도어(310)가 상기 제 1 저장실(104)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 2 도어(340)의 전면을 누르면, 상기 래치 후크(341)와 래치 슬롯(317)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제 2 도어(340)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제 1 도어(310)의 배면에는 상기 제 1 저장실(104)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러(319)가 구비된다. 상기 실러(319)의 내부에는 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10) 전면과 상기 자석의 인력에 의해서 상기 제 1 도어(310)는 상기 제 1 저장실(104)을 닫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도어(310)의 배면에는 식품을 수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바스켓(318)이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냉장실 도어(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도어(310) 및 제 2 도어(34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도어(310)의 측면은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도어(310)는 제 1 부분(311)과, 상기 제 1 부분(311)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312)이 포함된다. 상기 제 2 부분(312)의 두께는 상기 제 1 부분(311)의 두께 보다 얇다.
상기 개구부(316)는 상기 제 2 부분(312)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도어(340)는 상기 제 2 부분(312)에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316) 및 상기 제 2 저장실(405)을 개폐한다.
상기 제 1 부분(311)의 상측에는 사용자가 잡기 위한 그립부(313: grip part)가 형성된다. 상기 그립부(313)는 상기 제 1 부분(311)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이 때, 사용자가 상기 그립부(313)를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그립부(313)는 상기 제 2 부분(312)의 전면 및 상기 제 2 도어(340)의 하면과 이격된다. 즉,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 2 부분(312)의 길이 보다 짧다.
사용자가 상기 그립부(313)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그립부(313)를 당기면, 상기 제 1 도어(310)가 회전되어 상기 제 1 저장실(104)이 개방된다.
상기 제 1 도어(310)에는, 아우터 케이스(321)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321)에 결합되는 도어 라이너(322)가 포함된다. 상기 도어 라이너(322)가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저장실(104)을 닫는다.
상기 도어 라이너(322)에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다이크(323)가 포함된다. 상기 각 다이크(323)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다이크(323)는 상기 도어 라이너(322)의 일 부분이다.
상기 수납 장치(40)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바스켓(318)의 일부는 상기 복수의 다이크(323)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각 다이크(323)에는, 상기 수납 장치(40)가 결합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 1 결합부가 포함된다. 상기 수납 장치(40)가 상기 각 다이크(323)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각 다이크(323)에는 복수의 결합부 제 1 결합부(330, 331, 3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결합부(330, 331, 332)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각 제 1 결합부(330, 331, 332)는, 제 1 돌출부(333)와 제 2 돌출부(334)가 포함된다. 상기 각 돌출부(333, 334)는 상기 각 다이크(323)에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 돌출부(333)와 제 2 돌출부(334)는 상기 냉장실 도어(30)의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돌출부(333)와 상기 제 2 돌출부(334) 사이에는 공간(33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돌출부(333)는 상기 제 1 도어(310)의 개구부(316)와 인접하게 위치된다. 즉, 상기 제 1 돌출부(333)와 상기 개구부(316) 간의 거리는 상기 제 2 돌출부(334)와 상기 개구부(316) 간의 거리보다 짧다.
또한, 상기 수납 장치(40)의 하측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도어(310)의 배면에는 소정 깊이로 단차지는 단차부(323a)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 장치(40)가 장착되는 영역에서의 상기 다이크(323)의 수평 방향 돌출 길이는, 상기 수납 장치(40)의 하측에 해당하는 영역에서의 수평 방향 돌출 길이보다 짧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수납 장치(40) 내에 장착되는 바스켓의 전후 방향 폭보다 상기 제 1 도어(310)의 배면, 즉 상기 수납 장치(40)의 하측에 해당하는 상기 제 1 도어(310)의 배면에 장착되는 바스켓의 전후 방향 폭이 더 크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1 결합부(330, 331, 332)와 상기 수납 장치(40)의 결합 관계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수납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수납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수납 장치(40)에는, 프레임(41)과, 식품을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바스켓(510, 540, 560)이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바스켓(510, 540, 560)은 상기 프레임(41)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바스켓(510, 540, 560)에는, 제 1 바스켓(510)과, 상기 제 1 바스켓(510)의 하방에 배치되는 제 2 바스켓(540) 및 상기 제 1 바스켓(510)과 상기 제 2 바스켓(540)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바스켓(560)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바스켓(510)은 상기 프레임(41)에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서 고정 장착되고, 상기 제 2 바스켓(540) 및 상기 제 3 바스켓(560)은 상기 프레임(41)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물론, 상기 제 1 바스켓(510)은 상기 프레임(4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340)가 상기 제 2 저장실(405)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2 바스켓(540) 및 상기 제 3 바스켓(560)은 상기 제 1 도어(310)의 개구부(316)를 통하여 상기 제 2 저장실(405)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바스켓(510, 540, 560)에 의해서 상기 제 2 저장실(405)에 식품을 효과적으로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41)은, 상기 제 2 저장실(405)을 형성하기 위한 양측면(401), 배면(402), 하면(403) 및 상면(404)이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41)에는 상기 제 1 저장실(104)과 상기 제 2 저장실(405)을 연통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연통홀(406)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41)의 배면(402)에는 상기 제 1 도어(310)가 상기 제 1 저장실(104)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2 저장실(405)로 식품을 인출입하기 위한 개구부(408)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408)는 커버(411)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배면(402)에는 상기 커버(411)에 형성된 힌지(412)가 결합되기 위한 힌지 결합부(410)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412)는 상기 커버(411)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411)는 상단의 힌지(412)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배면(402)에는 상기 커버(411)가 상기 개구부(408)를 닫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커버(411)가 일정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409: stopper)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 1 도어(310)의 개구부(316) 또는 상기 프레임(41)의 개구부(408)를 통하여 식품을 상기 제 2 저장실(405)에 넣거나 뺄수 있다. 상기 커버(411)에는 제 1 저장실(104)과 상기 제 2 저장실(405)을 연통시키기 위한 홀(413)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41)의 상측부에는 상기 제 1 바스켓(510)이 체결되기 위한 복수의 체결보스(430)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체결 보스(430)는 상기 각 측면(401)의 상측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41)의 중간부에는 서포터(420)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달리 상기 서포터(20)는 상기 프레임(4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420)는 상기 양측면(401)을 연결한다. 상기 서포터(420)의 전후 길이는 상기 양측면(401)의 전후 길이보다 길다. 즉, 상기 서포터(420)는 상기 프레임(41)의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양측면(401)의 앞쪽으로 더 연장되는 연장부(420a)가 포함된다.
상기 연장부(420a)는, 상기 연장부(420a)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면(421)과 상기 각 수직면(421)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면(423)이 포함된다. 상기 각 수평면(423)은 상기 각 수직면(4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각 수직면(421)의 일측에는 상기 제 1 결합부(331)와 상호 작용하는 제 2 결합부(425)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결합부(425)는 상기 수직면(421)과 상기 수평면(423)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결합부(425)가 상기 제 1 결합부(33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서포터(420)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서 상기 제 2 결합부(425)와 상기 서포터(420)의 경계 부분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부(425)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놓임부(426)와, 상기 놓임부(426)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삽입부(427)가 포함된다. 상기 삽입부(427)는 상기 제 1 돌출부(333) 및 상기 제 2 돌출부(334) 사이의 공간(335)에 삽입되고, 상기 놓임부(426)는 상기 제 2 돌출부(334)의 상면에 놓인다. 즉, 상기 제 2 돌출부(334)는 상기 놓임부(426)를 지지한다.
이 때, 상기 공간(425)의 폭은 상기 삽입부(427)의 폭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놓임부(426)의 중간에 상기 삽입부(42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삽입부(427)가 상기 공간(33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각 돌출부(333, 334)가 상기 놓임부(426)를 지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각 수직면(421)의 서로 마주보는 면(상기 각 수직면의 타측)에는 후술할 바스켓 장착부(550)의 장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리브(422)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41)의 하면(403)은 상기 프레임(41)의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양측면(401)의 앞쪽으로 더 연장되는 연장부(441)가 포함된다. 상기 연장부(441)의 양측에는 각각 수직면(442)이 형성되고, 상기 각 수직면(442)에는 상기 제 1 결합부(330)과 상호 작용하는 제 2 결합부(445)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41)의 하측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결합부(445)는 상기 프레임(41)의 중간부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결합부(425)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프레임(41)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결합부(425. 445)가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41) 및 식품의 하중이 상기 복수의 제 2 결합부(425, 445)로 분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바스켓(510)은 전면, 상면 및 후면이 개구된다. 즉, 상기 제 1 바스켓(510)은 하면(511) 및 양측면(513)이 포함된다. 상기 하면(511)에는 냉기가 통과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홀(512)이 형성된다.
상기 각 측면(513)에는 상기 제 1 결합부(333)와 상호 작용하는 제 2 결합부(515)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결합부(515)는 상기 프레임(41)에 구비되는 제 2 결합부(425, 445)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측면(513)에는 상기 프레임(41)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517)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517)에는 체결부재가 관통하기 위한 체결홀(518)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홀(518)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41)의 체결 보스(430)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결합부(515)는 상기 각 측면(513) 및 상기 고정부(517)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바스켓(510) 및 식품의 하중에 의해서 상기 제 1 바스켓(510)과 상기 제 2 결합부(515)의 경계 부위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복수의 제 2 결합부 중 일부는 상기 프레임(41)에 형성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 1 바스켓(510)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41)의 하중이 상기 제 1 바스켓(510)에 가해지는 것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바스켓(510)의 하중이 상기 프레임(41)에 가해지는 것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 제 2 결합부와 상기 제 1 바스켓 또는 상기 프레임의 경계 부위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스켓(510)에는 식품이 놓인 상태에서 식품을 커버하기 위한 커버(520)가 연결된다. 상기 커버(520)는 전면(521)과, 상기 전면(521)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522)과, 상기 전면(521)과 상기 경사면(522)에 연결되는 한 쌍의 측면(523)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각 측면(523)에 회전축(524)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524)은 상기 제 1 바스켓(510)의 측면(513)에 형성되는 축 삽입홀(514)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520)는 회전 동작에 의해서 상기 제 1 바스켓(510)에 놓인 식품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커버(520)에 의해서 상기 제 1 바스켓(510)에 놓인 식품이 커버됨에 따라, 상기 제 2 도어(340)가 상기 제 2 저장실(405)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1 바스켓(510)에 놓인 식품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바스켓 장착부(550)는 상기 서포터(420)에 안착된다. 상기 바스켓 장착부(550)는 한 쌍의 측면(551)과 상면(555)이 포함된다. 상기 한 쌍의 측면(551) 및 상면(555)은 상기 제 2 바스켓(540)이 수용되는 수용부(557)를 형성한다.
상기 각 측면(551)에는 상기 제 2 바스켓(540)의 전후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장착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 2 가이드부(552)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가이드부(552)는 상기 제 2 바스켓(540)에 형성되는 제 1 가이드부(542)와 상호 작용한다. 일 례로, 상기 제 1 가이드부(542)는 상기 제 2 가이드부(552)에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부(552)는 상기 각 측면(551)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가이드부(552)는, 제 1 부분(553)과 상기 제 1 부분(553)에서 후방(상기 프레임의 배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2 부분(554)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부분(553)의 상하 높이는 상기 제 2 부분(554)의 상하 높이 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부분(553)의 상하 높이는 상기 제 2 부분(554) 측으로 갈수록 줄어들 수 있다.
상기 바스켓 장착부(550)의 상면(555)에는 상기 제 3 바스켓(560)이 상기 상면(555)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제 3 바스켓(560)의 전후 및 좌우 움직임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움직임 방지부(556)가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움직임 방지부(556)는 상기 상면(555)의 양측단부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2 바스켓(540)은, 상면이 개구된다. 상기 제 2 바스켓(540)이 상기 바스켓 장착부(550)에 장착되면, 상기 제 2 바스켓(540)의 상면 개구는 상기 바스켓 장착부(550)의 상면(555)에 의해서 커버된다.
상기 제 2 바스켓(540)의 양측면(541)에는 상기 제 2 가이드부(552)와 상호 작용하는 제 1 가이드부(542)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부(542)는 상기 제 2 바스켓(540)의 각 측면(541)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2 가이드부(552)는 상기 제 1 가이드부(542)를 수용한다. 이 때, 상기 제 2 가이드부(552)의 제 1 부분(553)의 입구 측 상하 길이는 상기 제 1 가이드부(542)의 상하 길이 보다 크다. 상기 제 2 가이드부(552)의 제 2 부분(554)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 1 가이드부(542)의 상하 길이와 동일하거나 크다.
따라서, 상기 제 1 가이드부(542)의 상하 길이보다 상기 제 1 부분(553)의 입구 측 상하 길이가 크므로, 상기 제 1 가이드부(542)가 상기 제 1 부분(553)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부(552)의 제 1 부분(553)에는, 상기 제 1 가이드부(542)에 삽입되는 제 1 돌출부(553a)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이드부(542)에는 상기 제 1 돌출부(553a)가 삽입되는 제 1 삽입홈(54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이드부(542)에는 제 2 돌출부(544)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가이드부(552)의 제 2 부분(554)에는 상기 제 2 돌출부(544)가 삽입되는 제 2 삽입홈(554a)이 형성된다.
상기 각 돌출부(544, 553a) 및 상기 각 삽입홈(543, 554a)에 의해서 상기 제 2 바스켓(540)이 상기 바스켓 장착부(55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바스켓(540)의 전후 이동이 방지된다.
상기 제 2 바스켓(540)이 상기 바스켓 장착부(55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316)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바스켓(540)의 좌우 길이는 상기 개구부(316)의 좌우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3 바스켓(560)은, 상기 바스켓 장착부(550)의 상면(555)에 안착된다. 상기 제 3 바스켓(560)은 상하 방향으로 상기 바스켓 장착부(550)에 안착 및 분리된다.
상기 제 3 바스켓(560)은 상면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3 바스켓(560)은 전면(561)과 양측면(562) 및 하면(미도시)이 포함된다.
상기 제 3 바스켓(560)의 각 측면(562)은, 상기 전면(56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측면(563)과, 상기 각 제 1 측면(563)에서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2 측면(564)과, 상기 제 2 측면(564)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3 측면(565)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측면(563)과 상기 제 3 측면(565)은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연장된다. 상기 각 제 2 측면(564)은 상기 각 제 1 측면(563)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제 2 측면(564)에 의해서 상기 각 제 1 측면(563) 간의 거리는 상기 각 제 3 측면(565) 간의 거리 보다 짧다.
상기 제 3 바스켓(560)이 상기 바스켓 장착부(550)에 안착되면, 상기 움직임 방지부(556)는 상기 제 3 바스켓(560)의 제 1 측면(563)의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움직임 방지부(556)에 의해서 상기 제 3 바스켓(560)이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제 1 도어(310) 또는 제 2 도어(340)의 작동 과정에서 상기 제 3 바스켓(560)이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은 수납 장치가 냉장실 도어에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냉장실 도어의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수납 장치(40)를 상기 냉장실 도어(30)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 수납 장치(40)의 제 2 결합부(425, 445, 515)를 상기 냉장실 도어(30)의 각 다이크(323)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제 2 결합부(425, 445, 515)와 상기 제 1 결합부(330, 331, 332)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제 2 결합부(425, 445, 515)를 상기 각 다이크(323) 사이에 위치시킨다.
도 8에는 제 2 결합부(425, 445, 515)가 상기 제 1 결합부(330, 331, 332)와 간섭되지 않게 위치된 모습이 도시된다.
상기 제 2 결합부(425, 445, 515)가 상기 각 다이크(323) 사이에 위치되면, 상기 각 결합부(425, 445, 515)의 삽입부(427)는 상기 각 돌출부(333, 334) 사이의 공간(335)과 정렬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수납 장치(40)를 상기 냉장실 도어(30)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납 장치(40)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삽입부(427)가 상기 공간(335)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돌출부(334)가 상기 제 2 결합부(425, 445, 515)의 놓임부(426)를 지지하게 된다.
식품은 상기 제 2 결합부(425, 445, 515)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수납 장치(40)에 수납되므로, 식품이 상기 수납 장치(40)에 수납되면, 상기 수납 장치(40)는 상기 제 2 결합부(425, 445, 515)를 기준으로 회전하려고 한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1 돌출부(333)와 상기 제 2 돌출부(334) 사이에 상기 삽입부(427)가 위치하기 위한 공간(33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427)는 상기 제 1 돌출부(333)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수납 장치(40)는 회전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상기 냉장실 도어(3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저장 장치(40)가 상기 제 1 도어(3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 장치(40)의 배면은 상기 제 1 도어(310)의 배면에서 소정의 거리(H)만큼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 장치(40)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제 1 도어(310)의 배면에는 상기 바스켓(318)이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318)의 배면은 상기 제 1 도어(310)의 배면에서 소정의 거리(H)만큼 돌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저장 장치(40)와 상기 바스켓(318)은 상기 제 1 도어(310)에 장착된 상태에서 각각의 배면이 동일한 거리만큼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저장 장치(40)와 상기 바스켓(318)의 배면은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도어(31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저장실(104)의 내부에 구비되는 선반, 서랍 등과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제 2 도어가 제 2 저장실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바스켓이 인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저장실(405)에 식품을 수납하거나, 상기 제 2 저장실(405)에 저장된 식품을 꺼내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제 2 도어(340)의 전면을 가압한다. 그러면, 상기 래치 후크(341)와 상기 래치 슬롯(317)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제 2 도어(340)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340)가 회전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제 1 바스켓(510)을 커버하는 커버(5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제 3 바스켓(560)을 상기 바스켓 장착부(550)의 상방으로 들어올려 상기 제 3 바스켓(560)을 상기 바스켓 장착부(55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제 2 바스켓(540)을 전방으로 잡아당겨, 상기 제 2 바스켓(540)을 상기 제 2 저장실(405)로부터 슬라이딩 인출시킬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바스켓에 의해서 상기 제 2 저장실에 식품을 효과적으로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수의 바스켓이 상기 수납 장치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제 1 도어의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다수의 바스켓에 식품을 용이하게 수납 또는 식품을 바스켓으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 2 도어가 제 1 도어의 좌우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냉장고 도어의 미감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제 2 결합부 중 일부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바스켓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의 하중이 상기 바스켓에 가해지는 것이 줄어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바스켓의 하중이 상기 프레임에 가해지는 것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 제 2 결합부와 상기 제 1 바스켓 또는 상기 프레임의 경계 부위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2 돌출부 사이에 제 2 결합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상기 제 2 결합부가 상기 제 1 돌출부와 접촉하게 되어, 상기 수납 장치가 회전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상기 냉장실 도어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 1 도어와 제 2 도어가 분리된 냉장고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 1 힌지와 제 2 힌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2는 상기 제 1 힌지와 제 2 힌지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고, 도 13은 상기 제 1 도어와 제 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힌지와 제 2 힌지의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장고(1)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3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냉동실(102)과 냉장실(104)이 각각 좌측과 우측에 형성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340)는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30)에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도어(310)에 형성되는 상기 개구부(316)는 상기 그립부(313)에서 상기 제 1 도어(310)의 상단과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 1 도어(310)의 좌우 양측단과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 장치(40)의 전면이 개구되어 상기 제 1 도어(310)의 개구부와 연통한다.
한편, 상기 제 1 도어(310)의 상면에는 제 1 장착부(310b)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장착부(310b)에는, 제 상기 제 2 힌지(51)가 고정 장착되고, 상기 제 1 힌지(52)의 일부가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장착부(310b)는 상기 제 1 도어(310)의 측면 단부까지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도어(310)의 상면 일부는 단차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힌지(52)는 하측으로 함몰된 상기 제 1 장착부(310b)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힌지(52)는 상기 제 1 도어(310)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놓이게 된다.
상기 제 2 도어(340)는 상기 개구부(316)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제 2 힌지(51)에 의해 상기 제 1 도어(3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 2 힌지(51)는 상기 제 1 도어(310)의 제 1 장착부(310)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340)의 하단에는 하부 힌지 어셈블리(후술함)가 장착되고, 힌지 브라켓(후술함)에 의하여 상기 제 2 도어의 전면부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제 2 도어(340)는 상기 제 1 도어(310)가 닫힌 상태에서도 독립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개구부(316)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340)는 상기 제 1 도어(310)의 회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한편,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면에는 상기 제 2 힌지(51)가 위치되는 제 2 장착부(340b)가 함몰 형성된다. 상기 제 2 장착부(340b)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장착부(340b)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측면 단부까지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면 일부는 상기 제 2 장착부(340b)에 의하여 단차진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제 2 힌지(51)는 하방으로 함몰된 상기 제 2 장착부(340b)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단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제 2 장착부(340b)의 전방에는 차폐부(57)가 형성된다. 상기 차폐부(57)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전면 일부를 구성한다. 즉, 상기 차폐부(57)의 상단과 측단이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단 및 측단과 동일 평면상에 각각 놓인다. 이는, 상기 제 2 장착부(340b)가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약간 이격된 지점에서 단차지기 때문이다. 상기 차폐부(57)에 의하여, 상기 제 1 장착부(310b) 및 제 2 장착부(340b)에 놓이는 상기 제 1 힌지(52) 및 제 2 힌지(51)가 차폐된다. 즉, 냉장고의 전면에서 볼 때, 상기 제 1 힌지(52)와 제 2 힌지(5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뿐 아니라, 상기 제 2 도어(340)가 제 1 도어(310)와 한 몸으로 이루어지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힌지(52)는 상기 제 1 도어(310)가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힌지(52)의 일부는 상기 캐비닛(10) 상에 위치하게 되며,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 1 장착부(310b)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 1 힌지(52)는 제 1 힌지 플레이트(523)와, 제 1 힌지축(52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힌지 플레이트(523)는 상기 제 1 힌지(52)가 상기 캐비닛(10)에 고정될 수 있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힌지 플레이트(523)는 상기 캐비닛(10)에 고정되는 제 1 결합부(521)와 상기 제 1 결합부(521)에서 상기 제 1 도어(310) 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5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부(521)에는 상기 제 1 힌지 플레이트(523)의 고정을 위한 고정구(521a)와, 삽입구(521b) 및 고정홈(521c)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고정구(521a)는 상기 캐비닛 상면의 고정돌기(11)가 삽입되도록 천공된다. 상기 삽입구(521b)는 소정 길이와 폭으로 개구된다. 상기 삽입구(521b)에는, 구속레버(525)의 고정을 위해서 상기 캐비닛(10) 상부에서 돌출되는 구속부(12)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홈(521c)은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서 돌출되는 고정편(13)이 수용되도록 상기 제 1 결합부(521)의 후단에 함몰된다.
한편, 캐비닛(10)에 장착된 상기 제 1 힌지(52)의 고정을 위해서는 구속레버(525)가 장착되며, 상기 구속레버(525)는 상기 제 1 결합부(521)의 상면에 놓여서 상기 제 1 힌지 플레이트(523)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제 1 연장부(522)는 상기 제 1 결합부(521)의 단부에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결합부(521)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단차 또는 경사진 연결부위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522)의 단부는 상기 제 1 도어(310)의 외측을 향하여 절곡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연장부(522)의 단부에는 제 1 힌지축(524)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힌지축(524)은 상기 제 1 연장부(522)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 1 도어(310)의 제 1 힌지홈(310a)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도어(310)의 회전 중심이 된다. 상기 제 1 힌지축(524)은 상하로 개구된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도어(310) 내부로 안내되는 전선, 접지선 또는 물공급 튜브 등이 상기 제 1 힌지축(524)의 내측을 통해서 안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힌지축(524)은 제 2 힌지축(514)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 1 도어(310)는 상기 제 2 도어(340)보다 더 클 뿐만 아니라, 상기 수납장치(40)가 장착되기 때문에, 식품이 수납되는 경우에는 무게가 훨씬 더 무거워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 1 도어(310)의 회동시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1 힌지축(524)의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제 1 힌지축(524)이 삽입되는 제 1 힌지홈(310a) 또한 그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2 힌지(51)는 상기 제 2 도어(340)가 상기 제 1 도어(3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힌지(51)의 일부는 상기 제 1 장착부(310b)에 장착되며,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 2 장착부(340b)의 내측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힌지(51)는 제 2 힌지 플레이트(513)와 제 2 힌지축(51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힌지 플레이트(513)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도어(310)의 상면에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제 2 힌지 플레이트(513)는 상기 제 1 도어(310)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511)와 상기 제 2 결합부(511)에서 제 2 도어(340)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5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부(511)에는 다수의 결합구(511a)가 형성되며,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제 1 도어(310)의 상면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 2 결합부(511)의 위치는 상기 제 1 힌지(52)보다 더 내측(도 4에서 좌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장부(512)는 상기 제 2 결합부(511)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 2 도어(340)의 측면 방향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장부(512)의 단부는 상기 제 1 힌지(52)의 제 1 연장부(522)의 단부보다 더 외측(도 13에서 우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제 2 연장부(512)의 단부에는 제 2 힌지축(514)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힌지축(514)이 상기 제 1 힌지축(524)보다 도어의 측면 가장자리에 더 가깝게 위치한다. 즉, 상기 냉장실 도어(30)의 외측단에서 상기 제 2 힌지축(514)의 중심까지의 거리(D1)는 상기 제 1 힌지축(524)의 중심까지 거리(D2)보다 더 가깝게 된다.
상기 제 1 힌지축(524)은 상대적으로 그 직경이 클 뿐만 아니라, 큰 하중의 상기 제 1 도어(310)를 지지하여야 한다. 그 결과, 상기 제 1 힌지축(524)이 상기 제 2 힌지축(514)에 비하여 도어의 측면 가장자리에 더 가깝게 위치할 경우, 파손의 위험성이 있다. 반면에, 상기 제 2 도어(340)의 경우 별도의 수납 공간이 제공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두께 및 크기가 상기 제 1 도어(310)와 비교할 때 현저히 작아서, 상기 제 1 힌지축(524)보다 더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힌지축(514)이 상기 제 1 힌지축(524)보다 더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도어(340)의 외측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제 2 도어(340)가 회동할 때 상기 제 1 도어(310)와 간섭되는 가능성이 낮아진다. 그 결과,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도어(310)와 제 2 도어(340) 사이의 간격이 보다 더 좁혀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볼 때 상기 제 1 도어(310)와 제 2 도어(340)가 하나의 도어처럼 느껴질 수 있도록 일체감이 더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 힌지축(514)은 상기 제 2 연장부(512)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 2 도어(340)의 제 2 힌지홈(340a)에 삽입되어 상기 제 2 도어(340)의 회전 중심이 된다. 상기 제 2 힌지축(514)은 상하로 개구된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340) 내부로 안내되는 전선, 접지선 또는 물공급 튜브 등이 상기 제 2 힌지축(514)의 내부 공간을 통해서 안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힌지축(514)은 제 1 힌지축(524)에 비해 그 직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힌지축(514)이 삽입되는 제 2 힌지홈(340a) 또한 그 직경이 작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도어와 제 2 도어가 개폐 동작에 관하여 도면을 참도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4는 제 1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제 1 힌지와 제 2 힌지의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15는 제 2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제 1 힌지와 제 2 힌지의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도어(310)와 제 2 도어(340)가 모두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 1 도어(310)와 제 2 도어(340)가 도 13에서와 같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도어(310)가 상기 제 1 저장실(104)을 완전히 차폐하게 되고, 상기 제 2 도어(340)는 상기 제 2 저장실(405)을 완전히 차폐하게 된다.
상기 제 1 도어(310)의 개방을 위해서는, 상기 그립부(313)를 파지한 채로 전방으로 당겨 상기 제 1 도어(310)를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제 1 도어(310)는 상기 제 1 힌지(52)의 제 1 힌지축(524)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며, 도 14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도어(3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저장실(104)이 개방된다.
한편, 상기 제 2 도어(340)의 개방을 위해서는 상기 제 2 도어(340)에 마련된 별도의 손잡이를 잡고 개방하거나, 상기 제 2 도어(340)에 구비되는 록킹유닛의 구속을 해제시킨 후, 상기 제 2 도어(340)를 잡고 회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 2 도어(340)는 상기 제 2 힌지(51)의 제 2 힌지축(514)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며, 도 15와 같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3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2 저장실(405)이 개방된다.
이때, 상기 제 2 도어(340)의 회전축이 되는 상기 제 2 힌지축(514)은, 상기 제 1 힌지축(524)보다, 상기 제 2 도어(340)의 측면에 가깝게 위치되어, 상기 제 2 도어(340)의 회전시 상기 제 1 도어(310)와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도어(310)와 제 2 도어(340) 사이의 전후 간격이 좁혀질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 2 도어가 개방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구성 대부분은 위에서 설명되었으므로, 이하에서는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제 2 도어(340)의 전면은 상기 제 1 도어(310) 및 상기 냉동실 도어(20)의 전면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며, 무늬 또는 패턴이 연속성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340)의 전면은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2 도어(340) 하방의 상기 냉장실 도어(30) 전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도어(340)의 배면에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34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42a)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배면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316)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돌출부(342a)가 상기 개구부(316)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개구부(316)와 형합되어 냉기 누설을 일차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342a)의 둘레를 따라서 가스켓(344)이 형성된다. 상기 가스켓(344)은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이 탄성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힐 때 상기 제 1 도어(310)의 전면에 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스켓(344)이 상기 개구부(316)의 내주면 또는 상기 개구부(316)의 외측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상기 제 1 도어(310)의 제 2 부분(321) 전면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가스켓(344)은 압착된 상태가 되어 상기 수납장치(40) 내부의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30)의 상단에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 2 도어 스위치(349)가 구비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 스위치(349)는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히지 않았을 때, 외부로 알림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340)의 회전축이 연결되는 쪽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배면 측단 영역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도어(310)의 전면에는 록킹유닛이 구비된다.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누름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속 여부가 전환되어 상기 제 2 도어(340)를 선택적으로 구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록킹유닛은 일반적인 누름 스위치와 같은 구조를 가지며, 상기 냉장실 도어(30)측에 장착되는 록킹장치(60)와, 상기 제 2 도어(340)에 구비되는 래치 후크(34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록킹장치(60)가 형성되는 상기 냉장실 도어(30) 전면에는 래치 슬롯(317)이 형성된다. 상기 록킹유닛은, 1차 누름 동작에 의하여 래치 후크(341)가 록킹장치(60)에 걸리고, 2차 누름 동작에 의하여 래치 후크(341)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형태의 푸쉬풀 버튼(push-pull button)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히게 되면 상기 래치 후크(341)가 상기 래치 슬롯(317)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록킹장치(60)와 선택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도어(340)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 2 도어(340)를 닫아 누르게 되면, 상기 래치 슬롯(317)으로 상기 래치 후크(341)가 삽입되면서 상기 록킹장치(60)와 결합되어 상기 제 2 도어(340)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340)를 다시한번 누르게 되면, 상기 래치 후크(341)가 상기 록킹장치(60)와 결합 해지되어 상기 래치 슬롯(317)을 통해 빠져나올 수 있게 되어, 상기 제 2 도어(340)의 개방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래치 후크(341)의 수직 하방에는 제한부재(limiting member)(350)가 구비된다. 상기 제한부재(350)는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도어(310)의 회동 조작에 의해 상기 록킹유닛이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한부재(350)는 상기 가스켓(344)의 외측에 제공되어 상기 개구부(316) 외측의 상기 제 1 도어(310)의 전면제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 제한부재에 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한부재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제 2 도어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제한부재(350)는 제 2 도어(340)의 배면 하측에 구비된다. 상기 제한부재(350)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고무,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한부재(350)는 상기 제 1 도어(310)에 접하는 접촉부(352)와, 상기 제 2 도어(340)에 고정 장착되는 장착부(3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352)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원기둥 또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도어(340)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이때, 상기 접촉부(352)의 돌출된 높이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의 가스켓(344) 높이보다 더 낮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한부재(350)는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도어(310)와 접하는 상태가 되거나, 다소 떨어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힌 상태에서 외력이 어느 정도 가해지더라도, 상기 제 1 도어(310)와 상기 제 2 도어(34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즉, 상기 외력에 의하여 상기 래치 후크(341)가 상기 록킹장치(60)를 눌러 결합이 해지되는 현상을 차단하도록 기능한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340)를 닫으면, 상기 가스켓(344)이 먼저 상기 제 1 도어(310)와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344)이 어느 정도 압축 변형되면, 상기 접촉부(352)의 단부가 상기 제 1 도어(310)의 배면에 접하게 된다.
상기 장착부(354)는 상기 접촉부(352)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며, 압축시 변형 가능한 후크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354)는 다수개의 후크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도어(340)의 배면에 형성된 장착구(342b)에 압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340)의 조립을 완료한 후, 상기 장착구(342b)에 상기 장착부(354)를 압입하면, 상기 제한부재(350)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배면에 고정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도어의 개폐 작용에 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제한부재의 상태를 보여주는 냉장고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냉장실(104) 내부에 식품을 수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그립부(313)를 잡고 전방으로 잡아당긴다. 그러면, 상기 제 1 도어(310)가 회동하면서 상기 냉장실(104)이 개방된다. 이때, 상기 제 2 도어(340)는 상기 제 1 도어(310)에 밀착된 상태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장치(40)의 내측에 식품을 수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전면 중 상기 록킹유닛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을 손으로 눌렀다 뗀다. 그러면, 상기 래치 후크(341)가 상기 래치 슬롯(317)으로부터 빠져나오면서 구속이 해제되어, 상기 제 2 도어(340)가 상기 제 1 도어(310)로부터 회동한다. 이때, 상기 냉장실 도어(30)는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돌출부(342a)가 상기 냉장실 도어(30)의 개구부(316)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344)은 상기 개구부(316)의 둘레에 대응하는 상기 냉장실 도어(30)의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수납장치(40)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래치 후크(341)가 상기 래치 슬롯(317)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된다. 즉, 상기 래치 후크(341)가 상기 록킹장치(60)에 구속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록킹유닛에 의해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가스켓(344)은 다소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한부재(350)는 상기 제 1 도어(310)의 전면에 접하거나, 아주 짧은 거리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 2 도어(340)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록킹유닛이 구비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전면을 누른다. 상기 제 2 도어(340)를 누르면, 상기 제 2 도어(340)는 상기 제 1 도어(310)의 전면을 가압하고, 상기 래치 후크(341)가 상기 록킹장치(60)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상기 가스켓(344)은 압축되며, 상기 제한부재(350) 또한 상기 제 1 도어(310)에 접촉된 상태에서 약간 압축된다. 즉, 상기 록킹유닛의 결합 상태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한부재(350)가 압축될 수 있을 정도의 힘으로 상기 제 2 도어(340)를 눌러야 한다.
한편,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상기 냉장실 도어(30),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1 도어(310)를 순간적으로 열거나 닫는 회동을 하게 될 경우, 상기 제 2 도어(340)에 관성력이 작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그립부(313)를 잡고 상기 냉장실 도어(30)를 잡아당길 때, 상기 제 2 도어(340)에 작용하는 관성에 의하여 상기 제 2 도어(340)가 상기 제 1 도어(310)의 전면을 가압하게 된다. 즉, 상기 제 2 도어(340)가 상기 제 1 도어(310)를 가압하는 쪽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작용하여, 상기 가스켓(344)이 더 압축된다. 이런 현상은 주로, 자력에 의하여 상기 상기 캐비닛(10)에 밀착된 상기 제 1 도어(310)를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도어(310)를 잡아당길 때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도어(340)가 상기 제 1 도어(310)의 전면을 가압하는 방향, 즉 상기 제 2 도어(340)가 상기 제 1 도어(310)의 회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대 회동하는 순간, 상기 제한부재(350)가 상기 제 1 도어(310)의 전면을 가압한다. 따라서, 상기 제한부재(350)상기 제 2 도어(340)가 더 이상 상기 제 1 도어(310)를 누르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이 차단된다.
물론, 상기 제 2 도어(340)에 작용하는 관성력이 상기 제한부재(350)를 압축하는 힘보다 크다면, 상기 제 2 도어(340)가 여전히 상기 제 1 도어(310)를 가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 도어(30)를 회동시키는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제 2 도어(340)에 작용하는 관성력이, 상기 제한부재(350)를 압축시키는 힘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좋다. 다시 말하면, 상기 관성력보다 더 큰 힘으로 상기 제 2 도어(340)를 눌러야만 상기 제한부재(350)가 압축되어, 상기 로킹유닛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도록 설계한다. 그러면, 상기 제한부재(350)의 개입에 의해, 상기 제 1 도어(310), 즉 냉장실 도어(30)의 회동 과정에서 상기 제 2 도어(340)는 더 이상 상기 제 1 도어(310)의 전면을 가압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유닛의 결합 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제 1 도어(310)의 개방 과정에서 상기 제 2 도어(340)가 임의로(inadvertently) 개방되지 않고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다른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제 1 도어와 제 2 도어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한부재가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 2 도어의 임의 개방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제 2 도어의 개방시 상기 제 2 도어가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제한부재의 구성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할 것이며,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서는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 2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한부재(356)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임의 개방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제 2 도어(340)의 개방 조작시 상기 제 2 도어(340)가 자동으로 회전되면서 개방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상세히, 상기 제한부재(356)는 상기 개구부(316)의 외측에 해당하는 상기 제 1 도어(31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356)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회전축이 형성되는 쪽과 반대되는 쪽에 해당하는 상기 개구부(316)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록킹장치(60)를 통과하는 수직선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356)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소재 또는 탄성 변형 가능한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356)는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힐 때 압축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한부재(356)의 외측에는 제한부재 커버(358)가 형성되어, 상기 제한부재(356)가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 커버(358)는 상기 제한부재(356)의 압축 또는 인장에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도어(310)의 전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한부재 커버(358)는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이 신축성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한부재(356)는,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혔을 때 상기 제 2 도어(340)가 전후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도어(340)의 중앙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측과 하측 지점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한부재(356)는 동일한 위치에서 상기 제 2 도어(340)의 배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의 제한부재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 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제한부재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상기 제 1 도어(310) 및 제 2 도어(340)의 개폐에 따른 상기 제한부재(356)의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제 2 도어(340)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한부재(356)에는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가 되며, 도 20에서와 같이 정상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제 2 도어(340)와 상기 제한부재(356)의 단부가 점차 가까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340)가 완전히 닫히기 전에 상기 제한부재(356)의 단부가 상기 제 2 도어(340)와 접하게 된다.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래치 후크(341)가 상기 래치 슬롯(317)에 삽입되어 상기 록킹장치(60)와 결합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상기 제 2 도어(340)는 제 1 도어(310)의 전면을 향해 더 회동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제한부재(356)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이동에 의해 압축되며, 동시에 상기 가스켓(344)도 상기 제 2 도어(340)와 접하여 압축되어, 상기 제 1 도어(310)의 개구부(316) 외측 전면에 밀착된다.
상기 제 2 도어(340)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도 21에서와 같이 상기 제한부재(356)가 압축되며, 상기 가스켓(344) 또한 상기 개구부(316)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한부재(356)와 가스켓(344)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제 2 도어(340)가 임의로 개방되지 않도록 상기 래치 후크(341)가 록킹장치(60)에 걸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냉장실을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냉장실 도어(30)를 순간적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제 2 도어(340)의 관성력에 의하여 상기 제한부재(356)를 압축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한부재(356)에는 상기 제 2 도어(340)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반발력이 작용하여, 상기 래치 후크(341)가 상기 록킹장치(60)에 걸린 상태가 계속 유지된다. 즉, 푸쉬-풀 기능이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340)는, 상기 제 1 도어(310)의 갑작스런 회동에도 불구하고, 푸쉬-풀 기능 동작에 의한 상기 제 2 도어(340)의 임의 개방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도 21과 같이 상기 제 2 도어(340)가 완전히 닫혀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2 도어(340)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상기 래치 후크(341)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전면을 눌러주어 푸쉬-풀 기능이 작용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래치 후크(341)가 상기 록킹장치(60)로부터 구속이 해제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한부재(356)는 더 압축되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제 2 도어(340)의 전면을 누르는 힘을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제한부재(356)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 2 도어(340)는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 2 도어(340)를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 2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록킹장치(60)와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제 2 도어(340) 일측에는, 상기 로킹유닛의 구속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 수단에 해당하는 개방유닛(630)이 구비된다. 상기 개방유닛(630)은, 사용자의 조작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록킹장치(60)와 상기 래치 후크(341)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는 것으로, 상기 제 2 도어(340)의 전면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340)의 전면을 통해서 상기 개방유닛(630)을 조작하면, 상기 록킹장치(60)와 상기 래치 후크(341)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제 2 도어(340)가 개방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록킹 유닛 및 상기 개방유닛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록킹장치 및 개방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록킹유닛을 구성하는 상기 래치 후크(341)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배면에 스크류에 의해 고정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록킹유닛을 구성하는 록킹장치(60)는 상기 래치 후크(341)와 대응하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래치 후크(341)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배면에 고정되며, 상기 스크류가 체결되는 후크 고정부(341a)와, 상기 후크 고정부(341a)의 전면에서 연장되는 후크부(341b)를 포함한다. 상기 후크부(341b)는 상기 래치 슬롯(317)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록킹장치(60)에 선택적으로 구속된다.
상기 록킹장치(60)는, 상기 제 1 도어(310)에 함몰된 록킹장치 장착부(314a)에 장착되는 록킹 어셈블리(610)와, 상기 록킹장치 장착부(314a)를 차폐하는 록킹장치 커버(620)를 포함한다. 상기 록킹 장치 커버(620)는 상기 록킹 어셈블리(610)를 덮어서 차폐한다.
상기 록킹 어셈블리(610)의 일측은 상기 록킹장치 장착부(314a)의 내측에서 걸림 구속되며, 다른 일측은 스크류에 의해 상기 록킹장치 장착부(314a)의 내측에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 어셈블리(610)에는 개방유닛(630)의 푸쉬 로드(633)에 의해 눌려지는 래치 로드(615)가 장착된다. 상기 래치 로드(615)는 상기 록킹 어셈블리(610)의 내측에서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617)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상기 록킹장치 커버(620)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래치 후크(341)가 삽입되도록 개구되는 래치 슬롯(31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 로드(615)에 대응하는 상기 록킹장치(60)의 일측에는 로드 홀(621)이 형성된다. 상기 로드 홀(621)은 상기 푸쉬 로드(633)가 출입될 수 있도록 상기 푸쉬 로드(633)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방유닛(630)은 상기 제 2 도어(340)의 내측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2 도어(340)의 전면을 통해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방유닛(630)은, 상기 제 2 도어(340)의 내측에서 고정되는 개방유닛 바디(631)와, 상기 개방유닛 바디(631)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는 조작버튼(632)과, 상기 조작버튼(632)의 조작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래치 로드(615)를 밀어주는 푸쉬 로드(6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방유닛 바디(631)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후면을 형성하는 도어 케이스(342)에 스크류 등에 의해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방유닛 바디(631)가 장착되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사이드 데코(side decor)(346)는 상기 개방유닛 바디(631)와 간섭되지 않도록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방유닛 바디(631)의 후면은 상기 도어 케이스(342)에 고정되고, 전면은 도어 플레이트(343)의 배면에 접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개방유닛 바디(631)에는 상기 푸쉬 로드(633)의 전후방향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로드 안내부(6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 안내부(635)는 상기 개방유닛 바디(631)를 관통하는 보스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드 안내부(635)의 전반부는 보스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조작버튼(63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버튼(632)은 상기 로드 안내부(635)의 전반부를 이루는 보스의 외주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상기 푸쉬 로드(633)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로드 안내부(635)의 내측에 삽입된다. 상기 푸쉬 로드(633)는 상기 조작버튼(632)의 조작시 상기 도어 케이스(342)의 구멍을 통해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쉬 로드(633)의 전단부는 상기 조작버튼(632)의 배면에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쉬 로드(633)는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래치 로드(615)와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푸쉬 로드(633)의 외주면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단이 돌출되어,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63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푸쉬 로드(633) 및 상기 조작버튼(632)은 조작 후 상기 탄성부재(634)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상기 조작버튼(632)은 상기 상기 로드 안내부(635)에 안착되며, 상기 로드 안내부(635)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버튼(632)은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의 구멍(343a)을 통해 상기 제 2 도어(340)의 전면으로 노출되며,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있다. 상기 조작버튼(632)에는 후크 형상의 버튼 고정부(632a)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의 구멍(343a)에 장착되는 고정링(636)에 의해 상기 버튼 고정부(632a)가 구속되어 전방으로 탈거되지 않는다.
도 25는 도 24의 4-4' 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이고, 도 26은 제 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 25의 5-5'를 따라 절개된 모습을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이며, 도 27은 제 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 25의 6-6'를 따라 절개된 모습을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상기 록킹장치(60)는, 상기 록킹 어셈블리(610)와 록킹장치 커버(620)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록킹 어셈블리(610)는, 상기 록킹장치 장착부(314a)에 고정 되는 록킹 어셈블리 케이스(611)와, 상기 록킹 어셈블리 케이스(6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래치 후크(341)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래치 캠(612)과, 상기 래치 캠(612)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613)와, 상기 스토퍼(613)를 후방으로 밀어서 상기 래치 캠(612)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래치 로드(615)를 포함한다.
상기 록킹 어셈블리 케이스(611)의 전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래치 후크(34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로킹장치 커버(620)의 래치 슬롯(317)과 일치한다. 그리고, 상기 록킹 어셈블리 케이스(611)의 내부에는 상기 래치 캠(612)과 상기 스토퍼(613) 및 상기 래치 로드(615) 등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래치 캠(612)은 상기 록킹 어셈블리 케이스(6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며, 토션 스프링(612c:도 28 참조) 등에 의해 회전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치 캠(612)에는 상기 래치 후크(341)가 삽입되어 걸리는 후크 삽입부(612a)가 형성된다. 상기 후크 삽입부(612a)는 상기 래치 후크(341)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힐 때 상기 래치 슬롯(317)을 통해 삽입되는 상기 래치 후크(341)에 의해 밀려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 캠(612)이 회전하여 상기 래치 후크(341)가 상기 후크 삽입부(612a)에 걸리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래치 후크(341)가 상기 래치 캠(612)에 구속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 캠(612)의 외측면에는 돌기 또는 단차부와 같은 형태의 걸림부(612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612b)의 형상은 도 28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래치 캠(612)의 하방에는 상기 래치 캠(612)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613)가 제공된다. 상기 스토퍼(613)는 하단이 좌우 또는 전후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축결합 또는 그 외의 다른 방식으로 상기 록킹어셈블리 케이스(611)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613)의 상단은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걸림부(612b)에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613)의 상단은 상기 래치 캠(612)의 회전시 상기 걸림부(612b)의 표면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613)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614:도 27 참조)에 의해 상기 록킹 어셈블리 케이스(611) 일측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614)의 탄성에 의해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 후에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스토퍼(613)의 전방에는 상기 래치 로드(615)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드 장착부(616)가 형성된다. 상기 로드 장착부(616)는 상기 록킹 어셈블리 케이스(611) 전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로드 장착부(616)의 위치는 상기 푸쉬 로드(633)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래치 로드(615)는 상기 로드 장착부(616)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치 로드(615)의 전단은 상기 록킹장치 커버(620)에 형성되는 로드 홀(621)에 위치되고 후단은 상기 스토퍼(613)와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 로드(615)에는 로드 지지부(615a)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로드 장착부(616)와의 간섭에 의해 전방 이동이 제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치 로드(615)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617)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래치 로드(615)의 후방이동 후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617)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푸쉬 로드(633)후단이 상기 래치 로드(615)의 전단을 가압하여 상기 래치 로드(615)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래치 로드(615)는 상기 스토퍼(613)를 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613)가 후방으로 밀리면서 상기 래치 캠(612)의 걸림부(612b)로부터 상기 스토퍼(613)가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토션 스프링(612c)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래치 캠(612)이 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래치 캠(612)과 상기 래치 후크(341)가 서로 분리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28은 래치 로드가 스토퍼를 밀었을 때의 스토퍼의 상태를 보여주는 로킹 어셈블리의 배면도이고, 도 29는 제 2 도어가 닫혀서 스토퍼가 래치 캠에 걸린 상태를 보여주는 로킹 어셈블리의 배면도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상기 래치 로드(615)가 상기 스토퍼(613)를 밀면, 상기 스토퍼(613)의 절곡된 상단부가 상기 래치 캠(612)의 걸림부(612b)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 캠(612)의 회전축에 장착된 상기 토션 서프링(612c)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래치 캠(612)은 전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후크부(341b)가 상기 래치 캠(612)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한편, 상기 스토퍼(613)에는 탄성부재(614)가 연결되는데,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614)의 일단이 타단으로부터 측방으로 비켜난 어느 지점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613)가 상기 래치 로드(615)에 의하여 후방으로 가압될 때, 상기 탄성부재(614)의 탄성력에 의하여 회전도 같이 하게 된다. 따라서, 도 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래치 로드(615)에 의하여 가압될 때 상기 스토퍼(613)가 왼쪽으로 약간 회전한 상태로 된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므로, 상기 탄성부재(614)가 회전하지 않고 전후 방향으로 휘어지는 동작만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히는 과정에서는 상기 후크부(341b)가 상기 래치 캠(612)을 후방으로 밀게 된다. 그러면, 상기 래치 캠(612)이 후방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래치 캠(612)의 외주면은 상기 스토퍼(613)의 절곡된 상단부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 캠(612)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부(612b)에 상기 스토퍼(613)의 상단부가 걸리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 2 도어 개폐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0은 상기 제 2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에서의 상기 록킹장치 및 개방유닛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1은 상기 개방유닛의 조작시 상기 록킹장치 및 개방유닛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2는 상기 제 2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상기 록킹장치 및 개방유닛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 내지 도 32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도 30에서와 같이 상기 래치 후크(341)의 후크부(341b)가 상기 래치 슬롯(317)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부(341b)는 상기 래치 캠(612)에 형성되는 상기 후크 삽입부(612a)의 내측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613)는 상기 래치 캠(612)의 걸림부(612b)에 걸려서, 상기 래치 캠(612)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속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제 2 도어(340)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개방유닛(630)을 조작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제 2 도어(340)의 개방을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조작버튼(632)을 누른다. 그러면, 도 3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푸쉬 로드(633)가 후방(도 31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푸쉬 로드(633)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푸쉬 로드(633)와 접하는 상기 래치 로드(615) 또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 로드(615)의 후방이동에 의하여 상기 스토퍼(613)가 후방으로 가압되고, 그 결과 상기 스토퍼(613)의 상단이 상기 걸림부(612b)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613)가 상기 래치 캠(612)으로부터 이탈하면, 상기 래치 캠(612)은 토션 스프링(612a)의 복원력에 의해 전방(도면상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 2 도어(340)는 상기 가스켓(344)의 탄성 복원력 및 상기 래치 캠(612)의 회전력에 의해 열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래치 후크(341)의 후크부(341b)는 상기 후크 삽입부(612a)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래치 슬롯(317)으로부터 외측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제 2 도어(340)에 대한 구속이 완전히 해제되어, 도 32와 같은 상태가 된다.
한편, 제 2 도어(340)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조작버튼(632)을 눌러 상기 푸쉬 로드(633) 및 래치 로드(615)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푸쉬 로드(633) 및 래치 로드(615)를 지지하는 탄성부재(617,634)는 모두 압축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버튼(632)을 가압하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탄성부재(617,634)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조작버튼(632)과 푸쉬 로드(633) 및 래치 로드(615)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도 3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도어(34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래치 캠(612)이 전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후크 삽입부(612a)의 입구부가 상기 래치 슬롯(317)을 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613)는 상기 래치 캠(612)의 외측하부에서 상기 래치 캠(612)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 2 도어(340)를 다시 닫게 되면, 상기 래치 후크(341)의 후크부(341b)는 상기 래치 슬롯(317)으로 삽입된 후, 상기 후크 삽입부(612a)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부(341b)는 상기 후크 삽입부(612a)의 후면을 밀어서 상기 래치 캠(612)을 후방(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래치 캠(612)의 회전에 의해 상기 토션 스프링(612c)이 압축되고, 상기 래치 캠(612)의 외주면이 상기 스토퍼(613)의 상단과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613)의 상단은 상기 래치 캠(612)의 걸림부(612b)에 걸려서 도 30과 같은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록킹유닛의 구속 상태, 구체적으로는 상기 래치 후크(341)와 래치 캠(612)의 연결 상태(또는 구속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수단은, 상기 조작 버튼(632)과, 푸쉬 로드(633) 및 탄성 부재(634)를 포함하는 제 1 부재와; 상기 래치 로드(615)와 탄성부재(617)를 포함하는 제 2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다른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제 2 도어에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부재의 조작에 의해, 록킹장치에 구비되는 엑츄에이터(actuator)가 작동하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하여 록킹장치와 래치 후크간의 결합이 해제되어 제 2 도어가 개방 가능한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입력부재와 엑츄에이터의 구성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할 것이며,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서는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3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 2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며, 도 35는 상기 제 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록킹유닛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36은 상기 제 2 도어의 개방을 위한 신호 입력시의 록킹유닛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3 내지 도 36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도어(340)에는 상기 록킹유닛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한 입력부재(6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재(640)는 사용자의 조작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록킹장치(60)의 엑츄에이터(618)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재(640)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도 24 참조)의 후방 또는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340)의 외부로 상기 입력부재(640)가 직접 노출되지 않는다. 대신, 상기 입력부재(640)의 조작을 위해 상기 입력부재(640)가 위치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 상에는 상기 입력부재(640)의 위치를 표시하는 인쇄부(6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재(640)는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작동하는 터치 스위치, 또는 압력 스위치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의 스위치 외에도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는 다른 전기적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에도, 상기 입력부재(640)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재(640)는 필요에 따라서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입력부재(640)의 조작을 통해 상기 냉장고(1)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 2 도어(340)에는 디스플레이(65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650) 또한 상기 제 2 도어(34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의 배면과 접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650)가 꺼진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로 상기 디스플레이(650)가 나타나지 않게 되며, 상기 디스플레이(650)가 켜진 상태에서만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를 통해 정보의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입력부재(640)가 상디 디스플레이(650)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입력부재(640) 및 상기 디스플레이(650)와 연결되는 전선(642)은 상기 제 2 도어(340)의 내부를 지나 상기 제 2 힌지(51)의 힌지축을 통해서 외측으로 안내된다. 이때, 상기 제 2 도어(340)의 내부에 접지선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전선(642)과 함께 상기 제 2 힌지(51)의 힌지축을 통해서 외부로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전선들(619,642)은 상기 제 1 힌지(52)를 통해 상기 캐비닛(10)에 구비된 메인 컨트롤러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록킹장치(60)는 상기 제 1 도어(310)의 내측에 장착되는 록킹 어셈블리(610)와, 상기 록킹 어셈블리(610)를 차폐하는 록킹장치 커버(62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록킹 어셈블리(610)는 록킹 어셈블리 케이스(611)와, 상기 록킹 어셈블리 케이스(61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래치 후크(341)를 구속하는 래치 캠(612)과, 상기 래치 캠(612)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613)와, 상기 스토퍼(613)를 이동시켜 상기 래치 캠(612)이 회전되도록 하는 엑츄에이터(6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618)를 제외한 로킹장치(60)의 구성은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의 로킹 장치와 동일하다.
상기 엑츄에이터(618)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동작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스토퍼(613)를 밀어 상기 래치 캠(612)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엑츄에이터(618)로 전달되는 동작신호는 상기 입력부재(640)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엑츄에이터(618)는 상기 스토퍼(613)를 순간적으로 밀어낸 후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엑츄에이터(618)는 필요에 따라서 다른 동력수단 또는 기구적 수단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613)를 선택적으로 밀어서 상기 래치 캠(612)의 구속을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618)와 연결되는 전선(619)은 상기 제 1 도어(310)의 내측을 가로질러 상기 제 1 힌지(52)의 힌지축을 통해서 상기 제 1 도어(310)의 외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310)의 외측으로 안내된 전선(619)은 상기 제 2 힌지(51)를 통해 외측으로 안내되는 전선(642)과 함께 상기 캐비닛(10)의 메인 컨트롤러와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 제 1 도어(310)의 내부에 접지선이 있는 경우 상기 전선(619)과 함께 상기 캐비닛(10) 측으로 안내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부재(640)의 조작시 상기 엑츄에이터(618)로 동작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록킹유닛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제 2 도어(340)가 완전히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도 35에서와 같이 상기 래치 후크(341)는 상기 래치 캠(612)의 후크 삽입부(612a)에 고정 결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는 닫혀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 2 도어(340)를 개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도 36에서와 같이 상기 인쇄부(641)를 터치하게 된다. 상기 인쇄부(641)를 터치하게 되면, 상기 입력부재(640)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게 되어 상기 메인 컨트롤러로 조작신호를 전달하게 되며, 다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엑츄에이터(618)의 동작을 지시하게 된다.
상기 엑츄에이터(618)의 동작에 따라 상기 엑츄에이터(618)는 상기 스토퍼(613)를 밀어 상기 스토퍼(613)가 상기 래치 캠(612)으로부터 떨어지고, 상기 래치 캠(612)은 상기 토션 스프링(613)의 복원력에 의해 반시계(도 36에서 볼 때)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래치 캠(612)의 회전으로 상기 래치 후크(341)와 상기 래치 캠(612)의 구속은 해제되고, 상기 래치 후크(341)는 상기 래치 슬롯(317)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도어(340)가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340)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 2 도어(340)를 다시 닫을 경우 도 35와 같이 상기 래치 후크(341)가 상기 래치 슬롯(317)으로 삽입되어 상기 래치 캠(612)을 회전 시키고 상기 후크 삽입부(612a)와 고정 결합되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해제 수단은, 상기 제 1 도어(310)에 제공되는 입력부재(640)를 포함하는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도어(340)에 제공되는 액추에이터(618)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37은 제 2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사시도이다.
도 37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도어(340)의 배면에는 돌출부(342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342a)의 하측 일부는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단차지는 부분에 후술하게 될 선반(370)이 직립상태에서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단차부의 깊이는 상기 선반(370)의 두께에 대응하는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도어(310)의 일측에는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선반(370)이 구비되며, 상기 제 2 도어(340)의 일측에는 상기 선반(370)과 제 2 도어(340)를 연결하는 연결 어셈블리(39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340)의 개폐에 연동하여 상기 선반(37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선반(370)은 상기 개구부(316)의 내측 테두리부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선반(370)의 좌우 양측에는 선반 회전축(371)이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 하단의 양 측면 테두리부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선반 회전축(371)이 상기 개구부(316)의 내측 테두리부에 돌출되어 상기 선반(370)의 양 측면에 각각 삽입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상기 선반(370)은 상기 개구부(316)의 내측에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개구부(316)의 가로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반(370)의 폭은 상기 돌출부(342a)의 폭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혔을 때,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돌출부(342a)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340)의 배면 하측에는 연결 어셈블리 장착부(342d)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 어셈블리 장착부(342d)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돌출부(342a)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어셈블리(390)의 일단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된다.
이하, 상기 선반에 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8은 상기 제 2 도어의 개방에 의해 선반이 회동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39는 상기 제 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제 1 도어 배면의 모습을 보인 도면이며,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인트부재와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결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8 내지 도 40을 참조하면, 상기 선반(370)의 하면에는 상기 연결 어셈블리(390)가 결합되는 조인트부재(38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부재(380)는 상기 선반(370)과 결합되는 조인트 결합부(381)와 상기 연결 어셈블리(390)의 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조인트 수용부(382)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조인트 결합부(381)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선반(370)과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양측에 각각 스크류홀(381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홀(381a)에 체결되는 스크류에 의해 상기 조인트부재(380)가 상기 선반(370)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 수용부(382)는 상기 연결 어셈블리(390)를 구성하는 볼 형상의 베어링(391a)을 수용하는 것으로, 상기 베어링(391a)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 수용부(382)의 바닥면에 해당하는 상기 조인트 결합부(381) 부분은 개구되어 상기 베어링(391a)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 수용부(382)의 일측에는 상기 조인트 로드(391)가 회동하는 경로를 정의하기 위해 절개되는 절개부(382a)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382a)의 형상에 의하여, 상기 조인트 로드(391)의 이동 경로의 일부분이 정의되며, 상기 절개부(382a)는 상기 베어링(391a)이 상기 조인트 수용부(382)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도 함께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절개부(382a)의 일측에는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부(382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어링(391a)은 상기 선반(370)이 완전히 접혔을 때와 완전히 펼쳐졌을 때 상기 절개부(382a)의 양단에 형성된 홈들에 각각 위치하게 된다.
상기 선반(370)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 어셈블리(390)를 구속하는 구속부재(372:도 38 참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속부재(372)는 상기 선반(370)의 하면에 구비되며, 상기 구속부재(372)의 내부에 상기 연결 어셈블리(390)가 관통한다. 따라서, 상기 선반(370)의 회동시 상기 연결 어셈블리(390)가 예정되지 않은 경로를 따라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결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2는 상기 연결 어셈블리의 동작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1 및 도 42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 어셈블리(390)는, 상기 조인트부재(380)에 연결되는 조인트 로드(391)와; 상기 조인트 로드(391)의 길이 조절 및 상기 조인트 로드(391)의 이동시 충격을 완화하는 댐핑유닛(394)과; 상기 제 2 도어(340)의 연결 어셈블리 장착부(342d)에 장착되는 장착부재(398)와; 상기 장착부재(398)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재(395); 및 상기 조인트 로드(391)와 연결부재(395)를 연결하는 커넥팅 로드(392)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조인트 로드(391)의 일단에는 구 형상의 베어링(391a)이 형성되어, 상기 조인트부재(38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 로드(391)의 타단은 상기 커넥팅 로드(392)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조인트 로드(391)는 상기 선반(370)의 회동시 상기 연결 어셈블리(390)의 이동 경로에 따라 상기 커넥팅 로드(392)의 내측으로 인입되거나 인출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로드(392)는 상기 조인트 로드(391)의 일단을 수용하는 한편, 상기 연결부재(395)와 축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커넥팅 로드(392)의 일단부에서 소정 길이에 해당하는 만큼, 상기 커넥팅 로드(392)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조인트 로드(391) 및 댐핑유닛(394)이 수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커넥팅 로드(392)의 일단에는 상기 조인트 로드(391)가 삽입되는 로드 캡(393)이 형성된다. 상기 로드 캡(393)은 상기 커넥팅 로드(392)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로드 캡(393)은 상기 조인트 로드(391)가 삽입되고, 상기 댐핑유닛(394)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양단이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팅 로드(392)의 다른 일단에는 로드 연결부(392a)가 형성된다. 상기 로드 연결부(392a)는 상기 연결부재(395)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로드 연결부(392a)는 로드축(397a)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재(395)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팅 로드(392)는 상기 로드축(397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395)의 타단은 회전축(396a)에 의하여 상기 장착부재(398)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커넥팅 로드(392)의 회전 중심과 상기 연결부재(395)의 회전 중심은 서로 직교한다. 즉, 상기 회전축(396a)은 수직하게 상기 장착부재(398)에 끼워지고, 상기 로드축(397a)은 수평하게 상기 연결부재(395)에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로드 연결부(392a)의 단부(392b)는 도 8에서와 같이 소정의 곡률로 라운드지는 곡면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340)의 회동에 따른 상기 커넥팅 로드(392)의 회동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이 접하게 되더라도, 사용자의 손이 끼이지 않고 상기 곡면을 따라 넘어갈 수 있게 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댐핑유닛(394)은 상기 커넥팅 로드(392)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조인트 로드(391)의 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조인트 로드(391)의 이동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댐핑유닛(394)은, 상기 조인트 로드(391)의 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394a)과; 상기 커넥팅 로드(392)의 내측에서 슬라이딩되며, 상기 스프링(394a)을 지지하는 스토퍼(394b)와; 상기 스토퍼(394b)에 장착되고, 상기 커넥팅 로드(392)의 내측면에 접하여 마찰력을 제공하는 오링(394c)(O-ring)과; 상기 오링(394c)의 탈거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토퍼(394b)에 장착되는 와셔(394d); 및 상기 와셔(394d)를 고정하고 상기 스토퍼(394b)의 밀림을 방지하는 스냅링(394e)을 포함한다.
상기 댐핑유닛(394)에 의하여, 상기 선반(370)의 회동시 상기 조인트 로드(391)가 상기 커넥팅 로드(393) 내부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면서 상기 선반(370)의 원할한 회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 로드(391)가 인출 또는 인입되어 이동하게 되면, 상기 스프링(394a)는 인장 또는 압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394b) 또한 이동되어 상기 조인트 로드(391)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여 상기 조인트 로드(391)의 이동속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 로드(391)의 이동속도를 줄여주게 됨에 따라 상기 선반(370)의 급격한 회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댐핑유닛(394)이 상기 커넥팅 로드(392)의 일단에만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고 있으나, 상기 댐핑유닛(394)은 상기 커넥팅 로드(392)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커넥팅 로드(392)가 양방향으로의 스트로크 변화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장착부재(398)는 상기 연결 어셈블리 장착부(342d)에 삽입되며, 상기 연결부재(395)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컵(398a)과, 상기 컵(398a)의 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도어(340)와 스크류에 의해 결합되는 플랜지(398b)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연결부재(395)는 상기 연결 어셈블리(390)의 회동을 보다 원할하게 하는 것으로, 체결 힌지(396a)에 의하여 상기 장착부재(398)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395)는, 상기 체결 힌지(396a)가 관통하는 축결합부(396)와, 상기 로드 연결부(392a)를 수용하는 수용리브(397)로 구성된다. 상기 축 결합부(396)에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축 삽입구(396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 힌지(396a)가 상기 컵(398a)을 관통하여 상기 축삽입구(396b)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 힌지(396a)는 상기 연결 부재(396b)의 회전 중심이 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리브(397)의 내측에는 상기 커넥팅 로드(392)가 수용되며, 상기 커넥팅 로드(392)가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커넥팅 로드(392)의 양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드축(397a)이 상기 수용리브(397) 및 상기 로드 연결부(392a)를 관통하여 상기 커넥팅 로드(392)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395)에 의해 상기 커넥팅 로드(392)는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상기 제 2 도어(340)의 개폐 과정에서 상기 커넥팅 로드(392)가 자유롭게 회동하여, 상기 선반(370)이 부드럽게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2 도어에 구비되는 하부 힌지 어셈블리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3은 상기 제 2 도어의 장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4는 상기 제 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하부 힌지 어셈블리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45는 상기 제 2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하부 힌지 어셈블리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3 내지 도 45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도어(340)의 하단은 힌지 브라켓(53)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힌지 브라켓(53)은 상기 제 1 도어(3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 2 도어(340)를 하방에서 지지하게 되며, 상기 제 2 도어(340)에 구비되는 하부 힌지 어셈블리(54)와 결합된다. 상기 하부 힌지 어셈블리(54) 및 상기 힌지 브라켓(53)은 전도성을 가지는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힌지 어셈블리(54)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개방 조작시 상기 제 2 도어(340)가 자동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개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 2 도어(340)가 소정의 각도로 개방된 후에는 더 이상 개방되지 않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하부 힌지 어셈블리(54)는 상기 힌지 브라켓(53)에 고정 장착되는 힌지고정부(55)와, 상기 제 2 도어(340)의 내부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힌지고정부(55)와 접하는 힌지회전부(56)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회전부(56)는 상기 제 2 도어(340)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힌지고정부(55)의 상측면 형상을 따라 승강하게 된다.
상기 힌지고정부(55)는 상기 힌지 브라켓(53)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돌기(551)와, 상기 삽입돌기(551) 상방에 구비되는 하부캠(55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힌지고정부(55)는 상기 힌지 브라켓(53)에 고정되므로, 상기 제 2 도어(340)의 회전 동작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상세히, 상기 하부캠(552)의 상면에는, 하방으로 경사진 제 1 캠면(552a)과, 상기 제 1 캠면(552a)의 하단에서 다시 상방으로 경사진 제 2 캠면(552b)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캠면(552a)과 제 2 캠면(552b)은 연속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캠(552)의 상면 둘레를 따라 연속하여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회전부(56)의 측면 둘레에는 고정돌기(56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340) 내부에는 힌지 수용부(340a)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 수용부(340a)에 상기 힌지회전부(56)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 수용부(340a)의 내측면 둘레에는 돌기 수용홈(340b)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돌기 수용홈(340b)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돌기(561)가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회전부(56)는 상기 제 2 도어(340)와 일체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회전부(56)의 하면에는 상부캠(562)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캠(562)에는, 하방으로 경사진 제 3 캠면(562a)과, 상기 제 3 캠면(562a)의 하단에서 다시 상방으로 경사진 제 4 캠면(562b)이 형성된다. 상기 제 3 캠면(562a)과 제 4 캠면(562b)은 연속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캠(552)의 상면 둘레를 따라 연속하여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캠면(562a)과 제 4 캠면(562b)은 각각 상기 제 1 캠면(552a)과 제 2 캠면(552b)과 접하게 되며,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회전부(56)의 상면은 상기 힌지 수용부(340a) 내측에 구비되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56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힌지회전부(56)의 하면과 상기 힌지고정부(55)의 상면은 서로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도어(3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힌지고정부(55)의 제 1 캠면(552a) 및 제 2 캠면(552b)이 상기 힌지 회전부(56)의 제 3 캠면(562a)과 제 4 캠면(562b)과 접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예컨데,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캠면(552a)과 제 3 캠면(562a)이 접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 제 1 캠면(552a)과 제 3 캠면(562a)은 모두 하향 경사를 가지게 되어 상기 제 2 도어(340)의 구속이 해제되면, 상기 제 2 도어(340)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제 3 캠면(562a)은 상기 제 1 캠면(552a)을 따라 미끄러져 내려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340)에 회전력을 가하지 않아도 상기 제 2 도어(340)는 자동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 도어(340)의 개방시 상기 제 2 도어(340)가 소정의 각도 이상 회동하게 되면, 상기 제 1 캠면(552a)과 제 3 캠면(562a)은 더이상 접촉되지 않고 상기 제 2 캠면(552b)과 제 4 캠면(562b)이 서로 접하게 된다. 도 45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캠면(552b)과 제 4 캠면(562b)은 모두 상향 경사를 가지게 되므로 상기 제 2 도어(340)의 회전 속도가 점진적으로 느려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340)가 소정의 각도, 예컨데 110°만큼 회동하게 되면, 상기 제 2 캠면(552b)과 제 4 캠면(562b)은 도 45에서와 같이 완전히 접한 상태가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탄성부재(563) 또한 압축되어 상기 힌지회전부(56)는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회동이 정지 및 제한된다.
상기 제 2 도어(340)의 개방이 제한되는 각도는 상기 제 2 캠면(552b)과 제 4 캠면(562b)의 곡률 및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나, 상기 제 2 도어(340)의 회동에 연동하여 펼쳐지는 상기 선반(370)을 고려할 때 상기 제 2 도어(340)는 대략 110°만큼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 2 도어의 동작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선반(370)은 직립 상태로 접혀서 상기 돌출부(342a)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선반(370)이 접혀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 어셈블리(390) 또한 상기 선반(370)에 밀착된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래치 후크(341)의 구속을 해제하여 상기 제 2 도어(340)를 개방하면, 상기 래치 후크(341)의 구속 해제와 동시에 상기 하부 힌지 어셈블리(54)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 2 도어(340)가 자동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340)의 회전과 동시에 상기 연결 어셈블리(390)에 의해 연결된 상기 선반(370)은 하측으로 회전하여 수평 상태가 될 때까지 펼쳐진다. 상기 선반(370)의 회동으로 상기 연결 어셈블리(390) 또한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선반(370)은 상기 댐핑유닛(394)의 댐핑 작용에 의해 서서히 하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제 2 도어(340)는 소정의 각도까지 상기 하부 힌지 어셈블리(54)의 작동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되며, 상기 선반(370)이 수평 상태가 되면 정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도어(340)의 각도는 대략 110°가 되며, 상기 제 2 도어(340)는 상기 선반(370)이 완전히 펼쳐져서 수평 상태가 되기 직전에, 상기 하부 힌지 어셈 블리( 54)에 의해 점차 속도가 느려지면서 정지하게 된다.
상기 선반(370)이 수평하게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 어셈블리(390) 또한 수평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선반(370)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동시에 상기 선반(370)의 하면은 상기 개구부(316)의 하단에 지지되어 , 상기 선반(370)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선반(370)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 어셈블리(390)의 조인트 로드(391)가 상기 조인트부재(380)의 절개부(382a) 단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 (340) 또한 상기 하부 힌지 어셈블리(54)에 의해 더 이상 개방되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선반(370)은 보다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6은 상기 제 2 도어의 사시도이고, 도 47은 상기 제 2 도어의 전방 분해 사시도이며, 도 48은 상기 제 2 도어의 후방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9는 도 46의 7-7'를 따라 절개되는 절개 사시도이고, 도 50은 도 46의 8-8'를 따라 절개되는 절개 사시도이며, 도 51은 도어 플레이트만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제 2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46 내지 도 51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도어(340)는, 전면 외형을 형성하는 도어 플레이트(343)와, 배면 외형을 형성하는 도어 케이스(342)와, 상하면을 형성하는 캡 데코(cap decor)(345) 및 좌우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데코(side decor)(346)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에 의하여 상기 제 2 도어(340)의 전면 사이즈가 결정된다. 그리고,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는 상기 제 1 도어(310) 및 상기 냉동실 도어(20)의 전면과 동일한 재질 또는 동일한 색상 또는 무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는 강화유리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배면에는 특정 형태의 패턴이나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는 투명한 강화유리 소재이므로, 상기 패턴 또는 무늬가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의 전방에서 확인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는 접착부재(343b:도 51 참조)에 의해 상기 캡 데코(345) 및 상기 사이드 데코(346)의 전면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의 배면에 형성되는 패턴이나 무늬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도어(110)의 전면 색상과 동일한 색상을 가지는 불투명 소재의 필름 전면에 특정 형태의 패턴이나 무늬가 인쇄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패턴이나 무늬가 인쇄된 필름을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의 배면에 부착한다. 상기 필름이 불투명 소재이므로,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의 배면에 채워지는 단열재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된다. 종래에는, 플라스틱 사출물 또는 금속판으로 제공되는 도어 커버의 전면에 별도의 강화유리가 부착되는 형태로 냉장고의 도어가 형성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도어 커버가 필요없게 되고, 상기 유리소재의 도어 플레이트(343)가 두 가지 기능을 모두 수행하게 된다. 즉, 기존의 도어 커버 기능과 도어 커버의 전면에 부착되는 강화유리 기능을 모두 수행하게 된다.
상기 도어 케이스(342)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배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케이스(342)는 내부에 단열재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함몰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개구부(316)와 대응하는 형상의 돌출부(342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혔을 때 상기 돌출부(342a)는 상기 개구부(316)의 내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케이스(342)에는 가스켓(344)이 장착되기 위한 가스켓 홈이 상기 돌출부(342a)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344)은 상기 도어 케이스(342)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316)의 외측과 접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도어 케이스(342)에는 상기 래치 후크(341)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케이스(342)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상기 제 1 힌지(52)와 상기 하부 힌지 어셈블리(54)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케이스(342)의 내측 및 가장자리 면에는 상기 도어 케이스(342)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 또는 리브 등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케이스(342)의 좌우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340c)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340c)는 스틸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340c)는 상기 도어 케이스(342)에 장착되어 상기 제 2 도어(340)의 뒤틀림 또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강부재(340c)에 관하여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캡 데코(345)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면과 하면의 외형을 각각 형성하며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캡 데코(345)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면을 이루는 상부 캡데코와, 하면을 이루는 하부 캡데코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면을 이루는 상부 캡 데코(345)의 일측에는 상기 제 2 힌지(51)가 장착되기 위한 제 2 장착부(340b)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의 캡 데코(345)의 일측에는 상기 하부 힌지 어셈블리(54)가 장착되기 위한 제 3 장착부(345f)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의 캡 데코(345)에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개방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된 손잡이부(345g)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 데코(345)는 스크류(345h)에 의해 상기 도어 케이스(34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캡 데코(345)에는 상기 스크류(345h)가 관통하는 스크류 홀(345i)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상기 도어 케이스(342)에는 상기 스크류(345h)가 체결되는 스크류 체결부(342e)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캡 데코(345)는 상기 도어 케이스(342)의 상단 및 하단에 장착되는 도어 케이스 결합부(345a)와,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의 상면 또는 하면을 지지하는 도어 플레이트 안착부(345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케이스 결합부(345a)는 상기 도어 케이스(342)의 상단 및 하단과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플레이트 안착부(345b)는 상기 도어 케이스 결합부(345a)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며, 상기 도어 케이스(342)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는 상기 도어 케이스 결합부(345a)의 상면에 안착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캡 데코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캡 데코의 장착구조는 상부의 캡 데코와 하부의 캡 데코 모두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상부 캡 데코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어 케이스 결합부(345a)는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도어 케이스(342) 상단에 형성되는 상단 테두리(342f)에 삽입될 수있다. 이때, 상기 상단 테두리(342f)에는 상기 도어 케이스 결합부(345a)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342g)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케이스 결합부(345a)는 단차지게 형성되어 하부는 상기 삽입홈(342g)에 삽입되고, 상부는 상기 상단 테두리(342f)와 동일 평면을 형성하여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플레이트 안착부(345b)는 상기 도어 케이스(342)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의 배면과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 플레이트 안착부(345b)의 외측단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요동 방지턱(345c)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요동 방지턱(345c)은 상기 도어 케이스 결합부(345a)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의 상단과 하단을 지지 및 구속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사이드 데코(346)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데코(346)는 상기 도어 케이스(342)의 양측단에 장착되며, 스크류(346e)에 의해 상기 도어 케이스(342)에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사이드 데코(346)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의 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코팅 또는 도색 처리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데코(346)는, 상기 도어 케이스(342)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도어 케이스 결합부(346a)와, 상기 도어 케이스 결합부(346a)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를 지지하는 도어 플레이트 안착부(346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플레이트 안착부(346b)는 상기 도어 케이스(342)의 내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의 배면이 안착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사이드 데코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어 케이스 결합부(346a)는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도어 케이스 결합부(346a)의 하단에는 후크(346c)가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케이스(342) 좌우측단에 형성된 사이드 데코 결합홈(342i)에 상기 후크(346c)가 형합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케이스(342)의 좌우 양측단의 테두리(342h)는 상기 도어 케이스 결합부(346a)에 접촉되어 상기 사이드 데코(346)를 측방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어 플레이트 안착부(346b)는 상기 도어 케이스(342)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연장된 단부는 하방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데코(346)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플레이트 안착부(346b)의 외측단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요동 방지턱(346d)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요동 방지턱(346d)은 상기 도어 케이스 결합부(346a)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가 좌우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도 51에서와 같이 상기 제 2 도어(340)는 상기 도어 케이스(342)의 상하단에 각각 상기 캡 데코(345)가 결합되고, 상기 도어 케이스(342)의 좌우측단에 각각 상기 사이드 데코(346)가 결합되며,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 안착부(345b,346b)에 안착된다.
한편,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와 접하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 안착부(345b,346b)에는 접착부재(343b)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343b)는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착부재(343b)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의 배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가 상기 도어 플레이트 안착부(345b,346b)에 접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와 상기 도어 케이스(342)의 사이 공간에는 발포액이 충진되어 단열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어 케이스의 내측에 장착되는 상기 보강부재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52는 보강부재가 결합된 제 2 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3은 도 52의 9-9'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이다.
도 52 및 도 5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340c)는 상기 도어 케이스(342)의 좌우 양측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340c)는 상기 도어 케이스(342)의 가장자리 전면에 안착되며, 상기 사이드 데코(346)의 도어 플레이트 안착부(346b)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340c)는 상하단이 상기 도어 케이스(342)의 내측을 향하여 절곡 연장되며, 소정거리만큼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보강부재(340c)의 개구된 부분이 상기 도어 케이스(342)의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단열재의 주입시 상기 보강부재(340c) 내측까지 고르게 주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340c)와 상기 도어 플레이트 안착부(346b)의 사이 또한 이격되어 발포액의 주입시 상기 보강부재(340c)와 상기 도어 케이스(342) 사이의 공간까지 고르게 주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340c)는 상기 사이드 데코(346)의 결합을 위한 스크류(346e)가 체결되는 부위보다 외측에 위치되어 상기 스크류(346e)의 체결시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강부재(340c)는 상기 도어 케이스(342)의 측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지점에 배치되며, 상기 사이드 데코 결합홈(342i)이 형성된 부분과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340c)는 상기 도어 케이스(342)의 좌우 양측 뿐만 아니라 상기 도어 케이스(342)의 둘레를 따라서 4 개가 장착되거나,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보강부재(340c)는 상기 도어 케이스(342)의 전면에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보강부재(340c)의 바닥면에는 프라이머(340d)가 도포되고, 상기 프라이머(340d)가 도포된 상기 보강부재(340c)의 바닥면에 양면테이프(340e)가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케이스(342)의 상면에도 프라이머(340f)가 도포되도록 한다. 즉, 상기 양면테이프(340e)의 상하면(또는 전후면)에는 프라이머(340d,340f)가 부착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제 2 도어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2 도어(340)의 조립을 위해서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의 배면에 색상 또는 무늬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 케이스(342)와 상기 캡 데코(345)를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하고, 상기 사이드 데코(346)를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소재로 성형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340c)를 일정 길이로 성형한다.
상세히, 상기 도어 케이스(342)의 내부 좌우 양측에 상기 보강부재(340c)를 장착한다. 상기 보강부재(340c)의 장착을 위해 상기 보강부재(340c)와 상기 도어 케이스(342)에 프라이머(342f)를 도포하고, 양면테이프(342e)에 의해 상기 보강부재(340c)가 상기 도어 케이스(342)의 내측면에 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 케이스(342)의 상단과 하단에 상기 상부 캡 데코(345)와 하부 캡 데코(345)를 결합시킨다. 상기 캡 데코(345)의 결합 후에 상기 도어 케이스(342)의 좌우 양측단에 상기 사이드 데코(346)를 결합시킨다.
상세히, 상기 캡 데코(345)는 상기 도어 케이스 결합부(345a)를 상기 도어 케이스(342)의 상단 테두리(342f)와 하단 테두리에 각각 삽입하고, 스크류(345h)를 체결하여 상기 캡 데코(345)를 상기 도어 케이스(342)에 고정 장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데코(346)는 상기 도어 케이스 결합부(346a)의 후크(346c)가 상기 사이드 데코 결합홈(342i)에 결합되도록 한 후 스크류(342h)를 체결하여, 상기 사이드 데코(346)를 상기 도어 케이스(342)에 고정 장착시킨다.
상기 캡 데코(345)와 사이드 데코(346)가 상기 도어 케이스(342)에 결합된 후에는, 상기 상기 도어 플레이트 안착부(345b,346b)에 접착부재(343b)를 도포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를 상기 도어 플레이트 안착부(345b,346b)에 안착시킨다. 그러면,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는 상기 접착부재(343b)에 의해서 상기 도어 플레이트 안착부(345b,346b)에 고정 장착된다.
또한, 상기 캡 데코(345)에 형성되는 요동 방지턱(345c)과 상기 사이드 데코(346)에 형성되는 요동 방지턱(346d)에 의해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의 가장자리부 지지 및 구속되어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의 요동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가 장착 완료된 후에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와 상기 도어 케이스(342) 사이 공간에 발포액을 충진하여, 상기 제 2 도어(340)의 내부에 단열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발포액의 주입을 완료하게 되면 상기 제 2 도어(340)의 조립이 된다.
한편, 상기 도어 케이스(342)에 장착되는 가스켓(344)과, 래치 후크(341), 하부 힌지 어셈블리(54)를 비롯한 다수의 구성은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의 성형 직후에 조립될 수도 있고, 발포액의 주입 전 또는 발포액의 주입 후에 조립될 수도 있다.
도 54는 상기 제 2 도어를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5는 상기 제 2 도어를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6은 상기 제 2 도어가 지그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 54 내지 도 56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도어(340)는 전체적으로 상기 제 2 도어(340)의 전면 외형을 형성하는 도어 플레이트(343)와, 상기 제 2 도어(340)의 배면 외형을 형성하는 도어 케이스(342)와,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하면을 형성하는 캡 데코(345), 및 상기 제 2 도어(340)의 좌우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데코(3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도어 케이스(342)에 형성되는 상기 돌출부(342a)의 어느 지점에는, 발포액 주입부(342j)가 형성된다. 상기 발포액 주입부(342j)의 대략 중앙에는 주입구(342k)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구(342k)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내부에 단열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발포액(84)이 주입되는 홀이다.
상기 발포액 주입부(342j)의 위치는 상기 돌출부(342a)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발포액 주입부(342j)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 2 도어(340) 길이의 대략 1/4 ~ 1/3 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주입구(342k)는 상기 제 2 도어(340)를 이등분하는 횡단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2 도어(340)에 발포액을 주입할 때 상기 제 2 도어(340)의 하단부가 상측으로 들어올려져서, 대략 4°~6°정도로 경사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발포 과정에서는 상기 주입구(342k)가 상기 제 2 도어(340)를 이등분하는 횡단면보다 높은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발포액을 주입하면, 상기 제 2 도어(340) 내부로 유입되는 발포액(84)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유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도어(340)는 구조적 특성상 일반적인 냉장고의 도어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며, 두께 대비 그 길이와 좌우 폭은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340)의 내측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발포액을 주입하게 될 경우에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내부 공간이 좁고 넓어서, 발포액(84)이 고르게 퍼지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 2 도어(340)를 기울인 상태에서 상기 주입구(342k)를 통해 발포액(84)을 주입할 경우, 주입되는 발포액(84)이 제 2 도어(340) 내측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단까지 유입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제 2 도어(340) 내측의 다른 영역에 까지 고르게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2 도어(340)를 지면을 기준으로 대략 4°~ 6°만큼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지그(80)에 장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제 2 도어(340)가 장착되는 지그(80) 자체는 수평하게 놓이되, 내부 공간이 경사를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 2 도어(340)가 기울어진 각도가 상기 범위보다 작게 되면,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단까지 발포액(84)이 충진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340)가 기울어진 각도가 상기 범위보다 크게 되면, 수평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단부, 즉 상기 제 2 도어(340)의 하단부까지 발포액(84)이 채워지기 어려울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지그(80)의 이동 및 결합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의 각도로 지그(8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주입구(342k)의 위치가 더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단까지 발포액(84)이 주입되기 전에 발포액이 굳어버려, 일부 영역에 단열층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입구(342k)의 위치가 더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하단부, 즉 지그(80) 내에서 최상단부 공간까지 발포액(84)이 충진되지 않아, 일부 영역에 단열층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주입구(342k)가 형성되는 상기 발포액 주입부(342j)에는, 상기 발포액 주입부(342j)를 차폐하는 주입부 커버(342l)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포액 주입부(342j)에는 커버 결합부(342m)가 형성되어 상기 주입부 커버(342l)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발포액 주입부(342j)에 장착된 상기 주입부 커버(342l)는 상기 돌출부(342a)의 외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제 2 도어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2 도어(340)의 조립을 위해서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를 성형한 후에, 상기 제 1 도어(310)의 전면부 색상과 동일한 바탕색에 패턴 또는 무늬가 형성된 필름을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의 배면에 부착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 케이스(342)와 상기 캡 데코(345)를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하고, 상기 사이드 데코(346)를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소재로 성형한다.
상기 도어 케이스와 상기 캡 데코(345) 및 사이드 데코(346)의 성형이 완료된 후에는, 사출 성형된 상기 도어 케이스(342)의 상단과 하단에 사출 성형된 상기 상부 캡 데코(345)와 하부 캡 데코(345)를 결합시킨다. 상기 캡 데코(345)의 결합 후에 상기 도어 케이스(342)의 좌우 양측단에 상기 사이드 데코(346)를 결합시킨다.
상기 캡 데코(345)와 사이드 데코(346)를 상기 도어 케이스(342)에 결합시킨 후에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를 상기 캡 데코(345)와 사이드 데코(346)의 상면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캡 데코(345)와 사이드 데코(346) 또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342)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도어 플레이트(342)는 상기 캡 데코(345)와 사이드 데코(346)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제 2 도어(340)의 전면을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캡 데코(345)와 사이드 데코(346)에는 걸림턱과 같은 별도의 고정 구조가 제공되어, 상기 도어 플레이트(342)의 요동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의 장착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제 2 도어(340)를 지그(80)에 장착한다. 상기 지그(80)는 발포액(84)의 주입시 상기 제 2 도어(340)를 고정하는 틀로서, 상부 지그(81)와 하부 지그(8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지그(81)와 하부 지그(82)에는 각각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와 상기 도어 케이스(342)가 각각 놓인다.
상기 지그(80)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외형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340)는 상기 지그(80)에 장착되었을 때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지그(80)의 내측에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제 2 도어(340)가 장착된 후에 상기 지그(80)가 닫힌다. 그리고, 상기 지그(80)의 일측에 구비되는 주입 노즐(83)을 통해서 상기 주입구(342k)로 발포액(84)을 주입하게 된다.
한편, 상기 주입구(342k)로 발포액(84)을 주입하면, 도 58에서와 같이 상기 발포액(84)은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의 경사면을 따라 흘러 내려간다. 그리고, 가장 낮은 지점부터 발포액(84)이 채워지게 된다. 동시에 상기 주입구(342k)를 통해 주입되는 발포액(84)의 압력에 의해, 상기 주입구(342k)보다 높은 지점까지 발포액이 채워진다. 그리고, 설정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상기 제 2 도어(340)의 내부 전체에 발포액(84)이 고르게 충진되어 단열충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 케이스(342)에 장착되는 가스켓(344)과, 래치 후크(341), 하부 힌지 어셈블리(54)를 비롯한 다수의 구성은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의 성형 직후에 조립될 수도 있고, 발포액(84)의 주입 전 또는 발포액(84)의 주입 후에 조립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 2 도어(340)의 기울어진 각도에 따라 상기 발포액(84)의 주입 상태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를 도면을 참고로 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7 내지 도 61은 상기 지그의 각도에 따른 발포액의 충진 상태를 시뮬레이션한 도면이다. 도 57 내지 도 61은 상기 주입구의 주입구경이 18mm이고, 주입되는 발포액의 총 주입량은 1,100g, 발포액의 주입속도는 0.7856m/sec, 발포액의 초당 토출량은 280g/sec, 발포액의 토출 시간은 3.93sec을 기준으로 하여 시뮬레이션되었으며, 상기의 동일한 조건에서 상기 제 2 도어(340)의 각도만을 달리하였다.
도 57 내지 도 61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도어(340)가 기울어지지 않고 지면과 수평한 상태에서는, 도 57에서와 같이 상기 주입구(342k)를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경으로 발포액(84)이 확산된다. 그러나, 상기 주입구(342k)가 상기 제 2 도어(340)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단측에는 발포액(84)의 주입이 충분하지 못하게 되며, 넓은 영역에 걸쳐서 고르게 분포되지 못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주입구(342k)에 인접하는 영역에만 발포액이 집중되고,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단과 하단에는 발포액(84)이 충분히 주입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340)가 지면을 기준으로 10°만큼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도 58과 같이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단 쪽으로 발포액(84)이 주로 충진되고, 상기 제 2 도어(340)의 하단 쪽으로도 일부의 발포액(84)이 충진된다. 이때, 발포액(84)은 상기 제 2 도어(340)의 넓은 면에 고르게 분포하게 되며, 전체적으로 고른 두께를 가지도록 충진된다. 그리고, 발포액(84)이 더 주입될 경우, 상기 제 2 도어(340)의 내부 전체에 고르게 발포액(84)이 충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 도어(340)가 지면을 기준으로 20°만큼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도 59와 같이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단 쪽으로 대부분의 발포액(84)이 충진된다. 이때, 상기 제 2 도어(340)의 하단 쪽으로는 발포액(84)이 거의 주입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제 2 도어(340)의 내측에 고르게 발포액(84)이 주입될 수 없게 된다.
상기 제 2 도어(340)가 지면을 기준으로 30°만큼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도 60과 같이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단 쪽으로 발포액(84)이 흘러내리게 되며, 상기 제 2 도어(340)의 하단 쪽으로 발포액(84)이 주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서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하단 쪽 일부에는 발포액(84)이 충진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340)가 지면을 기준으로 45°만큼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도 61과 같이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단 쪽으로 발포액(84)이 흘러내리게 된다. 뿐만 아니라, 빠른 속도로 흘러내리는 발포액(84)이 여러 갈래로 나뉘어서 흐르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에 의해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단 쪽에서도 단열층이 균일한 두께를 형성하지 못할 수 있다. 그리고, 일부 영역에서 발포액(84)이 먼저 고화되어 발포액(84)의 유동을 방해할 수도 있어, 전체적으로 발포액(84)이 고르게 채워지지 못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조건에서의 실험 결과, 발포액 충진시 제 2 도어(340)의 경사 각도는 10°이내가 좋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 구체적으로는 경사 각도가 4°- 6°가 좋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 2 도어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가스켓의 온도 변화에 따른 재질별 경도 변화를 보인 그래프이다.
도 62에 개시된 냉장고의 구조는 이미 위에서 모두 설명되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3에서, 가로축은 온도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쇼어 경도를 나타낸다.
도 63을 참조하면, 실리콘 소재의 가스켓은 도시된 것과 같이 온도 변화에 따른 경도의 변화가 미미하며, 피브이씨(PVC)소재의 가스켓과 비교할 때 경도 변화의 차이가 매우 적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실리콘75 소재의 경우에는 -20℃에서 60℃ 사이의 온도역에서 거의 1-2의 변화만 보이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리콘75 소재로 상기 가스켓(344)을 성형하게 되는 경우 상기 가스켓(344)은 온도 변화에도 경도의 변화가 없게 되어 온도 변화에 따른 반발력의 변화가 거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도어(310)와 제 2 도어(340) 사이를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온도가 낮은 경우에도 일정한 수준의 탄성력으로 상기 제 1 도어(310)에 밀착되어 냉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64는 상기 제 2 도어의 전방 분해 사시도이고, 도 65는 내부에 접지선이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제 2도어의 배면도이다.
도 64에 도시된 제 2 도어의 구조는 도 47과 도 54에서 대부분 설명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내용은 생략하되, 다만 상기 제 2 도어의 내부에 접지선(347)이 구비되는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4 및 도 65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 케이스(342)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는 강화 유리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도어 케이스(342)와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의 사이에는 단열재가 제공된다. 상기 단열재는 상기 도어 케이스(342)와 도어 플레이트(343)의 내부에 발포액을 충진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도어 케이스(342)와 상기 도어 플레이트(343)의 사이에 성형된 단열재(예컨대, 진공 단열재)가 상기 제 2 도어(340)의 조립시 부착 또는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하부 힌지 어셈블리(54)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 케이스(342)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힌지 어셈블리(54)는 상기 도어 케이스(342)에 장착된 상태에서 금속 소재의 사이드 데코(346)와 접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도어(340)의 조립 후에는 상기 하부 힌지 어셈블리(54)와 상기 사이드 데코(346)는 서로 접촉된 상태로 전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캡 데코(345)는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기 캡 데코(345)에는 상기 제 2 힌지(51)가 축결합되는 힌지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도어(340)의 하면을 형성하는 상기 캡 데코(345)에는 상기 하부 힌지 어셈블리(54)에 상기 힌지 브라켓(53)이 축결합될 수 있는 힌지 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데코(346)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도어(340)의 외관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 양측의 사이드 데코(346) 사이에는 접지선(34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지선(347)은 상기 제 2 도어(340)의 사용 중 발생될 수 있는 전류를 상기 제 2 도어(340)의 외측으로 전달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사이드 데코(346)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사이드 데코(346)와 상기 접지선(347)의 양단은 테이프 등에 의해 접착되거나 스크류 등과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체결되거나, 클립과 같은 형합구조에 의해서 연결되는 등 다양하게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데, 도 64에서와 같이 상기 접지선(347)의 양단에는 상기 사이드 데코(346)의 돌출된 단부에 삽입될 수 있는 클립 형상의 연결부(347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지선(347)의 장착시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 상기 연결부(347a)를 좌우양측에 구비된 상기 사이드 데코(346)의 일측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사이드 데코(346)와 상기 접지선(347)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양측의 상기 사이드 데코(346) 중 일측에 잔류되는 정전기는 접지선(347)을 따라 타측의 사이드 데코(346)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도어(34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2 도어(340)에서의 정전기의 발생 및 정전기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의 이동에 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66은 상기 제 2 도어에서의 정전기 발생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66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도어(340)가 다수회 개폐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자의 이동이 활발하게 이루어 지지않는다. 도 5의 (A)에서와 같이 제 1 도어(310)의 프론트 케이스(314)(도 4에서 제 2 부분(312)에 대응)와, 상기 가스켓(344)은 모두 전기적으로 중성을 띠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제 2 도어(340)의 개폐 조작시 상기 제 2 도어(340)를 잡게 되더라도 잔류 전하가 없어 정전기가 발생하기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의 사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상기 제 2 도어(340)를 빈번하게 개폐하는 경우, 상기 가스켓(344)의 표면과 상기 제 1 도어(310)의 프론트 케이스(314) 표면은 반복적으로 접촉 및 분리된다. 특히, 접촉과 분리가 빈번하게 일어날수록 정전기가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340)의 회전축으로부터 먼 쪽에 위치하는 가스켓(344) 부분의 회전 반경이 크기 때문에, 접촉과 분리 현상이 명확하게 일어나는 반면, 회전축으로부터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가스켓(344) 부분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314)와의 접촉 및 분리 현상이 명확하게 일어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회전축으로부터 먼 쪽에 위치하는 가스켓(344)과 프론트 케이스(314) 부분에서 정전기가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한다.
상세히, 상기 제 2 도어(340)의 개폐를 반복하게 되면, 상기 프론트 케이스(314)의 표면과 상기 가스켓(344)에서는 반복적인 접촉과 분리에 의해 전자의 이동이 활발하게 일어난다. 즉, 상기 제 1 도어(310)의 전자가 상기 가스켓(344)으로 이동하며, 상기 가스켓(344)에서는 전자가 축적되어 상기 제 1 도어(310)는 양전하를 띄게 되고, 상기 제 2 도어(340)는 음전하를 띄게 된다.
이렇게 상기 가스켓(344)에 축적된 전자는 상기 가스켓(344)이 장착된 상기 제 2 도어(340) 쪽으로도 이동하여, 도 66의 (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제 2 도어(340)를 파지하는 순간 정전기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 2 도어(340)의 회전축으로부터 먼 쪽에 있는 사이드 데코(346)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회동 과정에서, 구조적으로 사용자의 손과 접하기 쉽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가스켓(344)에 인접한 위치에 있어, 전자의 이동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데코(346)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소재로 형성되어 있어, 음전하를 띄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만지게 되면 정전기에 의한 스파크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좌우 양측의 사이드 데코(346)를 상기 접지선(347)으로 연결할 경우, 상기 제 2 도어(340)의 회전축으로부터 먼 쪽에 위치하는 상기 사이드 데코(346)에 잔류하는 전자(전하)를 상기 제 2 도어(340)의 회전축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반대편의 사이드 데코(346)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340)는 금속 소재의 힌지 브라켓(53)과 축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도어(340)의 회전축에 가까운 쪽의 상기 사이드 데코(346)는 상기 하부 힌지 어셈블리(54)와 접하는 구조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하부 힌지 어셈블리(54)는 상기 힌지 브라켓(53)에 결합되므로, 상기 제 2 도어(340)에 잔류하는 전자는 상기 사이드 데코(346)와 하부 힌지 어셈블리(54) 및 힌지 브라켓(53)을 거쳐 상기 제 1 도어(310)로 유도된다.
즉, 상기 제 2 도어(340) 일측의 사이드 데코(346)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는 상기 접지선(347)을 통해 반대편의 상기 사이드 데코(346)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에 가까운 쪽의 사이드 데코(346)는 상기 하부 힌지 어셈블리(54)와 접하며, 상기 하부 힌지 어셈블리(54)는 상기 힌지 브라켓(53)과 연결되므로, 순차적으로 상기 제 1 도어(310) 측으로 잔류 전하가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340)의 회동을 위한 조작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먼 쪽에 있는 사이드 데코(346)와 접촉하더라도 정전기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 도어(340)를 통해 유도된 전하는 상기 제 1 도어(310)에서 소멸하거나, 상기 제 1 도어(3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접지선(315)으로 안내되어, 상기 캐비닛(10) 또는 외부 접지를 통해 방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도어(310)로 유도된 전류가 외부로 방출되는 다양한 구조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서는 제 2 도어(340)의 구조는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6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도어의 구조를 보여주는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6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제 2 도어(340)는 상기 제 2 힌지(51)에 의해 상기 제 1 도어(3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340)의 좌우 양측면은 상기 사이드 데코(346)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하면은 상기 캡 데코(345)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캡 데코(345)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340)의 내측에는 상기 사이드 데코(346)를 연결하는 접지선(347)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힌지(51)는 상기 사이드 데코(346)와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지선(347)을 통해 상기 사이드 데코(346)로 유도된 전하는 상기 제 2 도어(340) 상단에 결합된 상기 캡 데코(345)와, 상기 제 2 힌지(51)를 차례로 거쳐서 상기 제 1 도어(310)로 유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도어(310)와 상기 캐비닛(10)을 연결하는 제 1 힌지(52)를 통해서 상기 캐비닛(10) 측으로 방출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340)의 힌지축에 가까운 위치의 상기 사이드 데코(346)에 일단이 연결된 서브 접지선(348)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접지선(348)은 상기 캡 데코(345)의 일측에 연결되거나, 상기 제 2 힌지(51)를 통해 외부로 안내되어 상기 캐비닛(1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6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도어의 구조를 보여주는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68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도어(340)는 상기 제 2 힌지(51)와 상기 하부 힌지 어셈블리(54) 및 상기 힌지 브라켓(53)에 의해 상단과 하단이 상기 제 1 도어(3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 2 도어(340)의 양측면은 상기 사이드 데코(346)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하면은 상기 캡 데코(345)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340)의 내측에는 상기 한 쌍의 사이드 데코(346)를 연결하는 접지선(347)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도어(310)의 내측에도 접지선(315)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접지선(315)의 일단은 상기 제 1 도어(310)의 내측에서 상기 힌지 브라켓(53)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지선(315)은 상기 힌지 브라켓(53)을 상기 제 1 도어(310)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힌지 브라켓(53)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도어(310) 내측에 구비되는 접지선(315)의 타단은 상기 제 1 힌지(52)를 통해서 외부로 안내되어, 상기 캐비닛(1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340)의 내부에 잔류하는 전하는 상기 접지선(347)을 통해 상기 제 2 도어(340)의 회전축에 인접한 상기 사이드 데코(346)로 유도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데코(346)로 유도된 전하는 상기 하부 힌지 어셈블리(54)와 상기 힌지 브라켓(53) 측으로 차례로 유도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 브라켓(53)과 연결되는 상기 제 1 도어(310) 내부의 접지선(315)을 통해 상기 힌지 브라켓(53)으로 유도된 전하는 상기 캐비닛(10) 또는 냉장고 외부로로 방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도어(3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접지선(315)은 상기 제 1 힌지(52)를 통해 외부로 안내되지 않고, 하방으로 연장된 후 상기 제 1 도어(310)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힌지 브라켓(미도시)을 통해 상기 캐비닛(10)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도어의 구조를 보여주는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69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도어(340)는 상기 제 2 힌지(51)와 힌지 브라켓(53)에 의해 상기 제 1 도어(3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 2 도어(340)의 양측면은 상기 사이드 데코(346)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하면은 상기 캡 데코(345)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는 캡 데코(345)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캡 데코(345)는 상기 한 쌍의 사이드 데코(346)가 상호 통전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도어(340)의 하면을 형성하는 캡 데코(345) 중 적으로 일부는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캡 데코(345)의 장착시 상기 캡 데코(345)의 양 단부는 상기 한 쌍의 사이드 데코(346)의 하단에 각각 접하도록 조립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사이드 데코(346)는 상기 캡 데코(345)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를 위해서, 상기 캡 데코(345)는 전체가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일부가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캡 데코(345)를 길이 방향으로 이분하는 선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 중 어느 일측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고, 다른 일측은 비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캡 데코(345) 전체가 금속 소재가 아니더라도 상기 한 쌍의 사이드 데코(346)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상기 캡 데코(345) 전체가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캡 데코(345)의 상측 또는 하측 가장자리에 상기 사이드 데코(346)를 연결하는 도전성 접지부(345a)가 씌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세히, 상기 접지부(345a)는 금속판 또는 상기 접지선(347)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캡 데코(345)를 따라서 가로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캡 데코(345)의 조립시 상기 한 쌍의 사이드 데코(346)와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340)의 내부 또는 상기 일측의 사이드 데코(346)에 잔류하는 전하는, 상기 캡 데코(345)의 접지부(345a)를 통해서 상기 제 2 도어(340)의 회전축에 인접하는 사이드 데코(346)로 유도된 후, 상기 제 2 힌지(51) 또는 하부 힌지 어셈블리(54)와 힌지 브라켓(53)을 통해 상기 제 1 도어(310)의 내측으로 유도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도어(310) 내부의 접지 구조에 의해 캐비닛(10) 또는 냉장고 외부로 방출될 수도 있다.
도 7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 2 도어가 개방된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7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 1 도어의 부분 정면도이며, 도 7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 2 도어의 배면도이다.
도 70 내지 도 7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구성 대부분은 위에서 설명되었고, 다만 상기 제 1 도어(310)의 개구부(316) 내측 테두리부에 경사면(316a)이 형성되는 것과, 가스켓(344)이 상기 경사면(316a)에 밀착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이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 1 도어(310)는, 상기 그립부(313)를 기준으로, 상기 그립부(313)의 하방에는 제 1 부분(311)이 형성되고, 상기 그립부(313)의 상방에는 제 2 부분(312)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부분(311)과 제 2 부분(312)은 서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부분(312)이 더 낮게 형성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340)는 상기 제 2 부분(312)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부분(311)의 전면과 상기 제 2 도어(340)의 전면이 동일 평면을 이룬다.
한편, 상기 제 2 부분(312)은 플라스틱 소재의 프론트 케이스(314)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314)에는 상기 개구부(31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316)의 둘레에는 경사면(316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면(316a)의 기울기는 상기 돌출부(342a) 둘레의 기울기와 다르게 형성되어, 냉기 누설이 1차적으로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도 7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2 도어(340)의 배면에 둘러지는 가스켓(344)이 상기 경사면(316a)의 전단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스켓(344)은 상기 돌출부(342a)의 바닥부 가장자리를 따라 둘러진다. 즉, 상기 가스켓(344)은 상기 돌출부(342a)와 상기 제 2 도어(340) 배면과의 경계 부분을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가스켓(344)이 상기 경사면(316a)에 밀착되어 냉기 누설을 2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 2 도어의 개폐 상태를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7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기 제 2 도어가 열렸을 때의 냉장실 도어의 단면도이고, 도 74는 상기 제 2 도어가 닫혔을 때의 상기 냉장실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 73 및 도 74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도어(34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도 73에서와 같이 상기 가스켓(344)이 상기 개구부(316)의 내측 테두리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제 2 도어(340)를 더 회동시켜 상기 개구부(316)를 통해 상기 저장장치(40)에 수납된 식품들을 인출하거나 저장 장치(40) 내부에 수납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 도어(340)가 회동하여 닫히면, 상기 제 2 도어(340)의 돌출부(342a)는 상기 개구부(316)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344)은 상기 개구부(316)의 경사면(316a)에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면(316a)의 경사 각도와, 상기 돌출부(342a)의 가장자리부의 경사 각도가 다르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사면(316a)은, 상기 개구부(316)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중심부로 갈수록(도면에서는 상단에서 하단 방향) 상기 돌출부(342a)의 가장자리부에 가까워지는 쪽으로 경사진다.
또한, 상기 제 2 도어(340)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돌출부(342a)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경사면(316a)이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이격 공간 내부에 상기 가스켓(344)이 수용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제 2 도어(340)의 배면이 상기 제 1 도어(310)의 제 1 부분(311)에 좀 더 가까워져서 냉기 누설 차단 효과가 더 좋아질 수 있다. 만일, 상기 가스켓(344)이 상기 제 2 도어(340)의 배면과 상기 제 1 도어(310)의 제 1 부분(311) 사이에 놓이는 경우, 상기 가스켓(344)의 두께만큼 상기 제 1 도어(310)와 제 2 도어(340)가 이격될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가스켓(344)이, 상기 경사면(316a)에 밀착될 수 있는 상기 돌출부(342a)의 바닥부 가장자리에 둘러지도록 함으로써, 제 2 도어(340)의 배면이 상기 제 1 도어(310)의 전면에 좀 더 가까워질 수 있다. 그 결과, 냉기가 외부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는 가능성이 더 낮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 2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냉장실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7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도어(310)의 전면, 구체적으로는 상기 개구부(316)의 외측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314)의 전면에는 가스켓 수용부(314b)가 형성된다. 상기 가스켓 수용부(314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316)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 폐곡선 형태로 둘러진다. 상기 가스켓 수용부(314b)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 2 도어(340)의 가스켓(710)이 수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크기로 함몰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부(342a)의 둘레에는 가스켓(71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710)은,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혔을 때 상기 가스켓 수용부(314b)에 밀착되어 냉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으로,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가스켓 및 가스켓과 접하는 제 1 도어의 구성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7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실 도어의 측단면도이다.
도 76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도어(340)의 배면에는 가스켓 장착부(342b)가 형성된다. 상기 가스켓 장착부(342b)는 상기 가스켓(710)의 고정부(711)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342a)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710)은 상기 가스켓 장착부(342b)에 삽입되는 고정부(711)와, 내부가 빈 챔버부(712) 및 영구자석(714)이 내장된 자석부(713)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고정부(711)는 상기 가스켓 장착부(342b)의 내부에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챔버부(712)는 상기 고정부(711)에서 연장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가스켓(710)에 압력이 가해지면 변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340)의 개폐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며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자석부(713)는 내부에 영구자석(714)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자석부(713)는 상기 가스켓(710)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혔을 때 상기 제 1 도어(310)의 전면과 직접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석부(713)는 상기 제 1 도어(310)에 형성된 가스켓 수용부(314b)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혔을 때 상기 자석부(713)가 상기 가스켓 수용부(314b)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도어(310)의 내측에는 상기 가스켓(710)의 밀착을 위한 부착부재(720)가 구비된다. 상기 부착부재(720)는 상기 영구자석(714)이 자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도록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폭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착부재(720)는 비교적 강도가 높은 스틸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316) 외측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착부재(720)는 상기 제 1 도어(310)의 상측 즉, 상기 개구부(316)가 형성된 상기 제 1 도어(310) 일부의 강도를 보강하여, 상기 제 1 도어(310)의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상기 부착부재(720)는 상기 가스켓 수용부(314b)의 후면에 해당하는 상기 제 1 도어(310)의 내부에 매설되어 외부로의 노출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부착부재(720)는, 단일의 금속 부재가 상기 가스켓 수용부(314b)를 따라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부착 부재(720)는, 다수의 플레이트가 상기 가스켓 수용부(314b)를 따라서 간격을 두어 배치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부착부재(720)는 상기 가스켓 수용부(314b)의 후면을 감싸는 형태로 절곡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냉장고의 제 2 도어가 개폐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개방된 상기 제 2 도어(340)를 사용자가 닫게 되면, 상기 래치 후크(341)가 상기 래치 슬롯(317)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록킹장치(60)에 구속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340)는 상기 제 1 도어(310)에 구속되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힐 때 상기 가스켓(710)은 상기 제 1 도어(310)에 밀착되어 상기 제 2 저장실(405) 내부의 냉기 누설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히면, 상기 제 2 도어(340)에 장착된 상기 가스켓(710)의 자석부(713)는 상기 가스켓 수용부(314b)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710)의 자석부(713)는 자력에 의해, 상기 제 1 도어(310)의 프론트 케이스(314)를 사이에 두고 상기 부착부재(720)에 간접적으로 밀착된다. 상기 자석부(713)는 상기 가스켓 수용부(314b)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도어(340)가 완전히 닫히게 되면, 상기 챔버부(712) 또한 압축 변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가스켓(710)의 대부분이 상기 가스켓 수용부(314b)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가 되므로, 상기 제 2 도어(340)는 상기 제 1 도어(310)에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도어(310)와 제 2 도어(340) 사이의 간격은 최소화되어,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도어(310)와 제 2 도어(340)가 보다 일체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제 1 도어에 가스켓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도어에 부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가스켓 및 부착부재의 구성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7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 2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 도 7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실 도어의 측단면도이다.
도 77 및 도 78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도어(310)의 개구부(316) 둘레에는 가스켓(730)이 구비된다.
상기 가스켓(730)은, 도 75 및 도 76에서 제시된 가스켓과 동일할 수 있으며, 고정부(731)와, 상기 고정부(731)와 한 몸으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빈 챔버부(732) 및 영구자석(734)이 내장된 자석부(733)를 포함한다. 상기 가스켓(73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다만, 상기 자석부(733)가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혔을 때 상기 제 2 도어(340)의 배면에 직접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에 차이가 있음을 밝혀 둔다. 그리고, 상기 자석부(733)는 상기 제 2 도어(340)에 구비되는 부착부재(740)측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부(342a)의 둘레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배면 또는 내부에는 부착부재(7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부착부재(740)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내부에서 상기 제 2 도어(340)의 배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가스켓(730)의 자석부(733)가 상기 상기 제 2 도어(340) 배면의 상기 부착부재(740)에 대응하는 위치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부착부재(740)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사각형 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착부재(740)는 절곡된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도어(340)의 변형을 방지하고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재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부착부재(740)는 상기 돌출부(342a)와 다소 떨어진 상기 제 2 도어(340)의 배면 둘레부를 따라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가스켓(710) 또한 대응하는 상기 제 1 도어(310)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제 1 도어에 자력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도어에 부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자력부재 및 부착부재의 구성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7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 2 도어가 개방된 냉장실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79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도어(310)의 내측에는 자력부재(7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력부재(750)는 영구자석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316)의 외측에 구비된다. 상기 자력부재(750)는 상기 제 1 도어(310)의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혔을 때 자력에 의해 부착부재(760)와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력부재(750)는 상기 개구부(316)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개구부(316)의 외부 어느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록깅 장치(60)를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예컨데, 도 79에서와 같이 상기 자력부재(750)는 상기 개구부(316)의 좌우 양측에 해당하는 상기 제 1 도어(3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착부재(760)도 상기 자력부재(750)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배면에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자력부재(750)와 상기 부착부재(760)와의 자력에 의해 상기 래치 후크(341)와 상기 록킹장치(60)가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력 부재(750)와 부착 부재(760)의 장착 위치가 반대로 될 수 있다. 즉, 상기 자력 부재(750)가 상기 제 2 도어(340)에 제공되고, 상기 부착부재(760)가 상기 제 1 도어(310)에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부착부재(760)는 상기 돌출부(342a) 외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자력부재(750)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스켓(344)은 상기 돌출부(342a)의 바닥부와 상기 부착부재(760)의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혔을 때 자력에 의해 상기 자력부재(750)와 상기 부착부재(760)가 서로 밀착되고, 가스켓(344)이 상기 제 1 도어(310)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부재(760)는 소정의 단면을 가지거나 절곡 형성된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도어(340)의 내측에서 상기 제 2 도어(340)의 변형을 방지하고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8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 2 도어가 개방된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81은 상기 제 2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0 및 도 8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3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20)는 단일 도어로 구성되며, 상기 냉장실 도어(30)는 제 1 도어(310)와 제 2 도어(34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30)와 냉동실 도어(20)의 전면에는 상기 냉장실 도어(30)와 냉동실 도어(20)의 개폐를 위해 파지하는 그립부(313)가 형성된다. 상기 그립부(313)는 포켓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며, 가로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그립부(313)는 상기 냉장실 도어(30)와 냉동실 도어(20)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냉장실 도어(30)의 외측단에서 상기 냉동실 도어(20)의 외측단까지 동일 선상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313)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용이한 지점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동실(20) 도어 및 냉장실 도어(30)의 상하 높이를 기준으로 중앙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30)에 형성되는 상기 그립부(313)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 1 도어(310)와 제 2 도어(340) 사이의 경계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도어(340)의 배면에는 도어 바스켓(342f)이 고정 또는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스켓(342f)은 상기 돌출부(342a)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바스켓(342f)이 장착된 상기 돌출부(342a)의 영역에는 함몰부(342g)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342a)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도어 바스켓(342f)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스켓 장착부(342e)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바스켓(342f)의 양측과 상기 바스켓 장착부(342e)는 서로 형합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 바스켓(342f)이 상기 개구부(316)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바스켓(342f)은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혔을 때 상기 수납장치(40) 내부의 구성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 바스켓(342f)의 후면이, 상기 수납 장치(40)가 장착된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제 1 도어(310)의 후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수직면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 즉, 적어도 상기 도어 바스켓(342f)의 전후 방향 폭은, 상기 수납 장치(40) 내부로 침범하지 않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면 충분하다.
그러면,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 바스켓(342f)의 후면이 상기 수납 장치(40) 내부로 침범하지 않게 되어, 상기 수납 장치(40)에 수납된 음식물 또는 바스켓들과 간섭되지 않게 된다. 또는,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혔을 때, 상기 도어 바스켓(342f)이 상기 수납장치(40)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바스켓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래치 후크(34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도어(340)의 회동에 따라 상기 록킹장치(6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록킹장치(60)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후크 고정부(341a)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341c)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1c)는 상기 제 2 도어(340) 배면의 후크 장착홈(342h)에 결합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하여, 상기 래치 후크(341)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배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후크 장착홈(342h)은, 상기 제 2 도어(340)의 배면을 형성하는 상기 도어 케이스(342)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1c)가 상기 도어 케이스(342)와 동일 평면을 이룬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1c)는 상기 후크 장착홈(342h)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1c)의 전면에는 상기 후크 고정부(341a)의 고정돌기에 대응하는 형상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1c)의 후방에서 상기 홀을 관통하는 스크류가 상기 고정돌기에 삽입되어, 상기 래치 후크(341)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1c)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1c)의 전면에서 삽입되는 스크류에 의하여, 상기 래치 후크(341)가 결합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1c)가 상기 후크 장착홈(342h)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래치 후크(341)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1c)에 결합된 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1c)가 다시 상기 후크 장착홈(342h)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결합 구조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상세히, 상기 래치 후크(341)에 충격 또는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 래치 후크(341) 또는 상기 래치 후크(341)가 장착된 제 2 도어(340)의 일측이 파손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래치 후크(341)가 상기 도어 케이스(342)에 직접 결합되지 않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1c)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고정되는 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래치 후크(341)가 파손될 경우 상기 도어 케이스(342)가 함께 파손되는 가능성이 낮아진다. 그리고, 상기 래치 후크(341)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1c)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래치 후크(341)만 교체하거나, 상기 래치 후크(341)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1c) 결합체를 모두 교체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도어 케이스(342)를 교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수리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도어와 제 2 도어의 결합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82는 상기 제 2 도어 및 하부 힌지가 분리된 모습을 보인 냉장실 도어의 분해 사시이고, 도 83은 상기 제 2 도어의 결합 상태를 보인 냉장실 도어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82 및 도 83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단은 상기 제 2 힌지(51)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 2 도어(340)의 하단은 하부 힌지 어셈블리(57)에 의해, 상기 제 1 도어(310)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하부 힌지 어셈블리(57)는 위에서 설명된 하부 힌지 어셈블리(54)와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상기 하부 힌지 어셈블리(57)는 상기 제 2 도어(340)에 고정 장착되는 힌지부재(571)와, 상기 힌지부재(571)에 결합되는 힌지 스토퍼(572)와, 상기 제 1 도어(310)에 장착되며 상기 힌지부재(571)의 회전축(571b)과 결합되는 댐핑부재(574) 및 상기 제 1 도어(310)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 2 도어(340)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구속부재(5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힌지부재(571)는 상기 제 2 도어(340) 하단에 형성되는 힌지 장착부(571a)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재(571)는 상기 제 2 도어(340)에 고정되어, 상기 제 2 도어(340)와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34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상기 힌지축(571b)은 상기 구속부재(573)를 관통하여 상기 댐핑부재(574)와 축결합된다.
상기 힌지 스토퍼(572)는 체결 부재에 의하여 상기 힌지부재(571)의 하면에 결합된다. 상기 힌지 스토퍼(572)는 상기 힌지부재(571)와 단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 스토퍼(572)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구속돌기(57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속돌기(572a)는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구속부재(573)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구속돌기(572a)는 상기 제 2 도어(340)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구속부재(573)의 일측과 간섭되어 상기 제 2 도어(340)가 일정 각도까지만 개방되도록 제한한다.
상기 댐핑부재(574)는 상기 제 1 도어(310)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댐핑부재(574)는 상기 힌지부재(571)와 축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댐핑부재(574)의 내측에는 상기 힌지부재의 회전을 감속하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댐핑부재(574)는 필요에 따라, 상기 제 2 도어(340)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할 때 까지는 자동으로 개방되고, 소정의 각도 이상 회전 한 후에는 감속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댐핑부재(574)의 내부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에 개시된 하부 힌지 어셈?리(54)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그 상세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댐핑부재(574)는 상기 제 1 도어(310)에 구비되는 그립부 데코(575)에 장착된다. 상기 그립부 데코(575)는 상기 그립부(313)가 형성되는 상기 제 1 도어(310)의 전면에 장착된다. 즉, 상기 제 2 도어(340)의 하단부와 상기 제 1 도어(310)의 제 1 부분(311)의 상단 사이를 정의하는 상기 제 1 도어(310)의 전면에 장착된다. 상기 그립부 데코(575)는 상기 냉동실 도어(20) 쪽에도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될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 데코(575)는, 상기 제 1 도어(310)의 회전축의 반대 쪽에서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함몰부(575a)와, 회전축에 가까운 부분에서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는 지지부(575b)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함몰부(575a) 쪽에 형성되는 상기 그립부(313)를 파지하여 상기 제 1 도어(310)를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575b)에 상기 댐핑부재(574) 및 구속부재(573)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구속부재(573)는 상기 지지부(575b)의 상면에 장착된다. 상기 구속부재(573)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회전을 제한하는 동시에 상기 댐핑부재(574)를 구속할 수있도록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구속부재(573)는 스크류에 의해 상기 지지부(575b)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도어(310)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댐핑부재(574)를 상방에서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댐핑부재(574)의 회전축(574a)이 상기 구속부재(573)에 형성된 회전축 삽입구(573a)를 통해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힌지 부재(571)의 회전축(571b)이 상기 회전축 삽입구(573a)를 관통하고, 상기 댐핑부재(574)의 회전축(574a)도 상기 회전축 삽입구(573a)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571b) 내부에 삽입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2 도어의 개폐 동작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84는 상기 제 2 도어가 닫힌 모습을 보인 냉장고의 정면도이고, 도 85는 상기 제 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부 힌지 어셈블리의 상태를 보인 제 2 도어의 부분 저면도이다.
도 84 및 도 85를 참조하면, 상기 구속부재(573)에는, 상기 회전축 삽입구(573a)와, 상기 구속돌기(572a)가 수용되는 구속돌기 수용부(573b)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구속돌기 수용부(573b)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회동에 따라 상기 구속돌기(572a)가 이동할 때, 상기 구속돌기(572a)의 이동 경로를 따라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340)의 회동시 상기 구속돌기(572a)는 상기 구속돌기 수용부(573b)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구속 돌기(572a)는 상기 회전축(571b)을 중심으로 공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구속돌기 수용부(573b)는 상기 제 2 도어(340)가 완전히 닫혔을 때와 소정의 각도만큼 개방되었을 때, 상기 구속돌기(572a)의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제 2 도어(340)를 구속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구속돌기 수용부(573b)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일측단은 도 8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혔을 때 상기 구속돌기(572a)와 접한다.
도 86은 상기 제 2 도어가 열린 모습을 보인 냉장고의 정면도이고, 도 87은 상기 제 2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부 힌지 어셈블리의 상태를 보인 제 2 도어의 부분 저면도이다.
도 86 및 도 87을 참조하면, 상기 구속돌기 수용부(573b)의 타측단은, 상기 제 2 도어(340)가 일정각도(대략 100°~ 130°)만큼 개방된 상태 일때 상기 구속돌기(572a)와 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340)가 일정 각도만큼 개방되면, 상기 구속돌기(572a)와 상기 구속돌기 수용부(573b)는 간섭되어 상기 구속돌기(572a)가 더 이동되지 못하게 되며, 상기 제 2 도어(340) 또한 회동이 제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도어(340)는, 상기 하부 힌지 어셈블리(57)에 의해 회동 각도가 제한되어, 제 2 도어(340)의 과도한 개방에 의한 냉기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도어(340)가 냉장고(1)와 인접한 가구 등에 부딪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도어(340)의 회동을 제한하는 구성들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1. 냉장고 10. 캐비닛
20. 냉동실 도어 30. 냉장실 도어
40. 수납장치 41. 프레임
51. 제 2 힌지 52. 제 1 힌지
60. 록킹장치 104. 제 1 저장실
310. 제 1 도어 340. 제 2 도어
405. 제 2 저장실

Claims (59)

  1. 다수 개의 선반이 상하로 배치되는 제 1 저장 영역을 가지는 캐비닛;
    제 2 저장 영역과, 상기 제 2 저장 영역으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 1 도어;
    닫힘 시, 상기 제 1 도어의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고, 상기 제 1 도어보다 얇은 단열 두께를 가지는 제 2 도어; 및
    상기 제 1 도어와 상기 제 2 도어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폐되도록, 상기 제 1 도어의 상부와 상기 캐비닛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 1 힌지 및 상기 제 2 도어의 상부와 상기 제 1 도어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 2 힌지를 포함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힌지의 힌지축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 2 힌지에 인접하는 상기 제 2 도어의 측면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 1 힌지의 힌지축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 1 힌지에 인접하는 상기 제 1 도어의 측면부까지의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도어의 측면부와 상기 제 2 도어의 측면부는 동일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는 상기 캐비닛 상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캐비닛 상에 결합되는 힌지 플레이트 및
    상기 힌지 플레이트의 상면에 놓여서, 상기 힌지 플레이트를 상기 캐비닛에 고정시키는 구속 레버를 포함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어의 하단부를 상기 제 1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하부 힌지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도어 측에 고정되는 힌지 고정부와,
    상기 제 2 도어 측에 고정되는 힌지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고정부는,
    함몰되는 형태의 캠면을 가지는 하부캠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회전부는,
    상기 하부캠의 캠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캠의 캠면에 접하는 상부캠 및
    상기 상부캠의 상측에서 상기 상부캠을 상기 하부캠 쪽으로 밀어주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제 2 도어의 하단에서 돌출되는 구속 돌기를 가지며, 상기 제 2 도어와 함께 회전하는 힌지 스토퍼와,
    상기 제 1 도어에 고정되고, 상기 구속 돌기의 이동량을 제한하는 구속 돌기 수용부를 가지는 구속 부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어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상측에서 상기 제 1 부분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제 2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제 2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 2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도어는 상기 제 2 부분에 안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2 도어의 전면과 상기 제 1 부분의 전면은 동일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는,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1 결합부에서 상기 제 1 도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 및
    상기 제 1 연장부에 결합되는 제 1 힌지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힌지는,
    상기 제 1 도어에 고정되는 제 2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에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 및
    상기 제 2 연장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도어의 상부에 삽입되는 제 2 힌지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제 2 연장부보다 높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축의 직경은 상기 제 2 힌지축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축의 삽입 깊이는 상기 제 2 힌지축의 삽입 깊이보다 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축은 상기 제 1 도어의 후면보다 전면에 더 가깝게 치우치는 지점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어의 상단은 상기 제 1 힌지 및 상기 제 2 힌지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어의 상부에는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도어의 상부에는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차부 및 상기 함몰부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상기 힌지 어셈블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제 2 도어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는 지점에서 하방으로 함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축은 상기 단차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힌지축은 상기 함몰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제 1 도어의 측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장부는 상기 제 2 도어의 측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다수 개의 선반이 상하로 배치되는 제 1 저장 영역을 가지는 캐비닛;
    제 2 저장 영역과, 상기 제 2 저장 영역으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구부 및 상면에 단차지는 단차부를 가지며,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 1 도어;
    닫힘 시, 상기 제 1 도어의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고, 상면에 함몰되는 함몰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도어보다 얇은 단열 두께를 가지는 제 2 도어; 및
    상기 제 1 및 함몰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도어와 상기 제 2 도어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폐되도록, 상기 단차부와 상기 캐비닛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 1 힌지 및 상기 함몰부와 상기 단차부를 연결하는 제 2 힌지를 포함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힌지는,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1 결합부에서 상기 제 1 도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 및
    상기 제 1 연장부에 결합되어 상기 단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도어의 후면보다 전면에 가까운 지점에 삽입되는 제 1 힌지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힌지는,
    상기 제 1 도어에 고정되는 제 2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에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 및
    상기 제 2 연장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도어의 상부에 삽입되는 제 2 힌지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축이 삽입되는 지점은, 상기 제 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도어의 상면과 상기 제 2 도어의 상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평면의 중간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제 1 도어의 측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장부는 상기 제 2 도어의 측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도어의 측면부와 상기 제 2 도어의 측면부는 동일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는 상기 캐비닛 상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캐비닛 상에 결합되는 힌지 플레이트 및
    상기 힌지 플레이트의 상면에 놓여서, 상기 힌지 플레이트를 상기 캐비닛에 고정시키는 구속 레버를 포함하는 냉장고.
  29.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어의 하단부를 상기 제 1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하부 힌지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도어 측에 고정되는 힌지 고정부와,
    상기 제 2 도어 측에 고정되는 힌지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고정부는,
    함몰되는 형태의 캠면을 가지는 하부캠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회전부는,
    상기 하부캠의 캠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캠의 캠면에 접하는 상부캠 및
    상기 상부캠의 상측에서 상기 상부캠을 상기 하부캠 쪽으로 밀어주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제 2 도어의 하단에서 돌출되는 구속 돌기를 가지며, 상기 제 2 도어와 함께 회전하는 힌지 스토퍼와,
    상기 제 1 도어에 고정되고, 상기 구속 돌기의 이동량을 제한하는 구속 돌기 수용부를 가지는 구속 부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32.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어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상측에서 상기 제 1 부분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제 2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제 2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 2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도어는 상기 제 2 부분에 안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축의 직경은 상기 제 2 힌지축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축의 삽입 깊이는 상기 제 2 힌지축의 삽입 깊이보다 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제 2 도어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는 지점에서 하방으로 함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제 2 연장부보다 높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8. 다수 개의 선반이 상하로 배치되는 제 1 저장 영역을 가지는 캐비닛;
    제 2 저장 영역과, 상기 제 2 저장 영역으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구부 및 상면에 단차지는 단차부를 가지며,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 1 도어;
    닫힘 시, 상기 제 1 도어의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고, 상면에 함몰되는 함몰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도어보다 얇은 단열 두께를 가지는 제 2 도어; 및
    상기 단차부 및 함몰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도어와 상기 제 2 도어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폐되도록, 상기 단차부와 상기 캐비닛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 1 힌지 및 상기 함몰부와 상기 단차부를 연결하는 제 2 힌지를 포함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힌지는,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1 결합부에서 상기 제 1 도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 및
    상기 제 1 연장부에 결합되는 제 1 힌지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힌지는,
    상기 제 1 도어에 고정되는 제 2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에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 및
    상기 제 2 연장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힌지축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함몰부에 삽입되는 제 2 힌지축을 포함하는 냉장고.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축은, 상기 제 1 도어의 상부 중앙에서 상기 제 2 도어 방향으로 치우치는 지점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0.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축의 삽입 깊이는 상기 제 2 힌지축의 삽입 깊이보다 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1.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힌지축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 2 힌지축에 인접하는 상기 제 2 도어의 측면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 1 힌지축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 1 힌지축에 인접하는 상기 제 1 도어의 측면부까지의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2.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제 2 도어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는 지점에서 하방으로 함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3.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와 상기 함몰부는 동일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를 제외한 상기 제 1 도어의 상면과, 상기 함몰부를 제외한 상기 제 2 도어의 상면은 동일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5.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어의 양 측면부와 상기 제 2 도어의 양 측면부는 각각 동일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6.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는 상기 캐비닛 상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캐비닛 상에 결합되는 힌지 플레이트 및
    상기 힌지 플레이트의 상면에 놓여서, 상기 힌지 플레이트를 상기 캐비닛에 고정시키는 구속 레버를 포함하는 냉장고.
  48.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어의 하단부를 상기 제 1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하부 힌지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도어 측에 고정되는 힌지 고정부와,
    상기 제 2 도어 측에 고정되는 힌지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고정부는,
    함몰되는 형태의 캠면을 가지는 하부캠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회전부는,
    상기 하부캠의 캠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캠의 캠면에 접하는 상부캠 및
    상기 상부캠의 상측에서 상기 상부캠을 상기 하부캠 쪽으로 밀어주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제 2 도어의 하단에서 돌출되는 구속 돌기를 가지며, 상기 제 2 도어와 함께 회전하는 힌지 스토퍼와,
    상기 제 1 도어에 고정되고, 상기 구속 돌기의 이동량을 제한하는 구속 돌기 수용부를 가지는 구속 부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51.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어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상측에서 상기 제 1 부분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제 2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제 2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 2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도어는 상기 제 2 부분에 안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3.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제 2 연장부보다 높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4. 다수 개의 선반이 상하로 배치되는 제 1 저장 영역을 가지는 캐비닛;
    제 2 저장 영역과, 상기 제 2 저장 영역으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 1 도어;
    닫힘 시, 상기 제 1 도어의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고, 상기 제 1 도어보다 얇은 단열 두께를 가지는 제 2 도어; 및
    상기 제 1 도어와 상기 제 2 도어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폐되도록, 상기 제 1 도어와 상기 캐비닛을 연결하는 제 1 힌지 및 상기 제 2 도어와 상기 제 1 도어를 연결하는 제 2 힌지를 포함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힌지는,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1 결합부에서 상기 제 1 도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도어의 측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1 연장부 및
    상기 제 1 연장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도어의 상부에 삽입되는 제 1 힌지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힌지는,
    상기 제 1 도어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 2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 2 도어의 측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2 연장부 및
    상기 제 2 연장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도어의 상부에 삽입되는 제 2 힌지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힌지축이 삽입되는 지점은, 상기 제 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도어의 상면과 상기 제 2 도어의 상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평면의 중간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5.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어의 상부에는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도어의 상면부에는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힌지축은 상기 단차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힌지축은 상기 함몰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6.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축의 직경은 상기 제 2 힌지축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7.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제 2 연장부보다 높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8.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어의 하단부를 상기 제 1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하부 힌지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59.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어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상측에서 상기 제 1 부분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제 2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제 2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37012481A 2010-01-04 2010-09-15 냉장고 KR1013468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00086 2010-01-04
PCT/KR2010/006297 WO2011081279A1 (en) 2010-01-04 2010-09-15 Refrigerator including multiple storage compartment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0298A Division KR101774070B1 (ko) 2010-01-04 2010-09-15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085A true KR20130058085A (ko) 2013-06-03
KR101346866B1 KR101346866B1 (ko) 2014-01-07

Family

ID=44215435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2481A KR101346866B1 (ko) 2010-01-04 2010-09-15 냉장고
KR1020127020298A KR101774070B1 (ko) 2010-01-04 2010-09-15 냉장고
KR1020137012472A KR101275987B1 (ko) 2010-01-04 2010-09-15 냉장고
KR1020137012568A KR101347002B1 (ko) 2010-01-04 2010-09-15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0298A KR101774070B1 (ko) 2010-01-04 2010-09-15 냉장고
KR1020137012472A KR101275987B1 (ko) 2010-01-04 2010-09-15 냉장고
KR1020137012568A KR101347002B1 (ko) 2010-01-04 2010-09-15 냉장고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4) US20130026900A1 (ko)
EP (6) EP4137662A1 (ko)
KR (4) KR101346866B1 (ko)
CN (7) CN102116554A (ko)
AU (1) AU2010339263B8 (ko)
BR (1) BR112012016545B1 (ko)
CA (1) CA2786085C (ko)
DE (2) DE202010018118U1 (ko)
MX (1) MX343593B (ko)
RU (1) RU2503898C1 (ko)
WO (1) WO201108127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5332A1 (ko) * 2014-01-07 2015-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9429356B2 (en) 2014-03-11 2016-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26658A1 (de) * 2009-06-03 2010-12-0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mindestens einer Versteifungsschiene
CN102116554A (zh) 2010-01-04 2011-07-06 Lg电子株式会社 电冰箱
US8690273B2 (en) * 2010-03-26 2014-04-08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utilities in a refrigerator
CN102914118B (zh) * 2011-07-31 2018-08-17 博西华家用电器有限公司 冰箱
CN103477170B (zh) 2011-08-05 2016-03-16 Lg电子株式会社 具有内部门的冰箱
KR101368583B1 (ko) 2011-08-05 2014-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내부 도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861368B1 (ko) * 2011-09-16 2018-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923471B1 (ko) * 2011-10-04 2018-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30045538A (ko) * 2011-10-26 2013-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844072B1 (ko) 2011-11-11 2018-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884349B1 (ko) * 2011-11-18 2018-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869556B1 (ko) * 2011-11-15 2018-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2494479B (zh) * 2011-12-02 2014-05-21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冰箱及冰箱门组件
CN102494483B (zh) * 2011-12-05 2014-04-16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一种冰箱门体和具有该冰箱门体的冰箱
KR101988307B1 (ko) * 2012-01-27 2019-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007838B1 (ko) * 2012-01-27 2019-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래치장치, 래치장치로 구성되는 저장용기 지지장치와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929776B1 (ko) * 2012-01-03 2018-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래치장치 및 래치장치와 보조저장실을 구비하는 냉장고
KR101988306B1 (ko) * 2012-01-27 2019-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952679B1 (ko) * 2012-01-27 2019-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952680B1 (ko) * 2012-01-27 2019-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952678B1 (ko) * 2012-01-27 2019-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래치장치, 래치장치로 구성되는 저장용기 지지장치와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956034B1 (ko) * 2012-01-27 2019-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952681B1 (ko) * 2012-01-27 2019-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071907B2 (en) 2012-04-02 2015-06-30 Whirpool Corporation Vacuum insulated structure tubular cabinet construction
US9221210B2 (en) 2012-04-11 2015-12-29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to create vacuum insulated cabinets for refrigerators
KR101891251B1 (ko) * 2012-04-18 2018-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도어 개폐 방법
KR101918296B1 (ko) * 2012-06-21 2019-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40008597A (ko) * 2012-07-09 201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래치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20140019906A (ko) * 2012-08-06 2014-02-18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025177B1 (ko) * 2012-11-09 2019-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내부 도어의 제조 방법
KR102025734B1 (ko) * 2012-11-09 2019-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내부 도어의 제조 방법
KR102028014B1 (ko) 2012-11-09 2019-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내부 도어의 제조 방법
DE202013100137U1 (de) * 2013-01-11 2014-01-31 Tielsa Gmbh Möbelfront einer Möbelzeile
KR102102642B1 (ko) * 2013-01-30 2020-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냉장고 도어의 제조 방법 및 냉장고
KR20140104640A (ko) * 2013-02-21 2014-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고
KR101860718B1 (ko) * 2013-02-21 2018-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고
KR101860713B1 (ko) * 2013-02-23 2018-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CN103400450B (zh) * 2013-04-08 2015-09-30 天津雷云峰科技有限公司 一种安全锁闭的多柜门自动售货机
DE102013206413A1 (de) * 2013-04-11 2014-10-3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m Türschließ-Beschlagsteil
KR102073004B1 (ko) * 2013-04-12 2020-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40132522A (ko) * 2013-05-08 2014-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575929B1 (ko) * 2013-06-05 2015-12-08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이중 도어방식을 갖는 내부도어의 버튼 래치장치
DE102013009937A1 (de) * 2013-06-13 2014-12-18 Liebherr-Hausgeräte Lienz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KR102245373B1 (ko) * 2013-06-14 2021-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229980B1 (ko) * 2013-06-14 2021-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245370B1 (ko) * 2013-06-14 2021-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3388432A (zh) * 2013-08-15 2013-11-13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制冷设备
KR102118047B1 (ko) * 2013-09-09 2020-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185719B1 (ko) * 2013-10-21 2020-12-02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냉장고
KR102163957B1 (ko) * 2013-10-25 2020-10-12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냉장고
WO2015062665A1 (en) * 2013-11-01 2015-05-07 Arcelik Anonim Sirketi Refrigerator do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06237B1 (ko) * 2013-11-01 2021-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218309B1 (ko) 2013-11-18 2021-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ES2936142T3 (es) * 2013-12-23 2023-03-1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dor
KR102179342B1 (ko) * 2013-12-23 2020-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392210B1 (ko) * 2013-12-23 2022-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513047B2 (en) * 2014-01-10 2016-12-06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oor module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KR102234011B1 (ko) * 2014-02-17 2021-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622228B1 (ko) 2014-02-21 2016-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183870B1 (ko) 2014-02-21 2020-11-27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냉장고
US10052819B2 (en) 2014-02-24 2018-08-21 Whirlpool Corporation Vacuum packaged 3D vacuum insulated door structure and method therefor using a tooling fixture
US9689604B2 (en) 2014-02-24 2017-06-27 Whirlpool Corporation Multi-section core vacuum insulation panels with hybrid barrier film envelope
KR102186243B1 (ko) * 2014-02-28 2020-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206179B1 (ko) * 2014-03-11 2021-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9605891B2 (en) 2014-03-11 2017-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101618129B1 (ko) 2014-04-28 2016-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0080446B2 (en) 2014-06-11 2018-09-25 Carrier Corporation Refrigerated sales furniture
CN104329902A (zh) * 2014-06-30 2015-02-04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
CN104329882B (zh) * 2014-06-30 2017-04-26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
CN104061746B (zh) * 2014-07-17 2016-04-06 泰州乐金电子冷机有限公司 冰箱门搁架组件及包括其的冰箱
KR102228898B1 (ko) * 2014-07-25 2021-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18172A (ko) * 2014-08-08 2016-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 고정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102220923B1 (ko) 2014-08-22 2021-03-02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냉장고
KR102220922B1 (ko) 2014-08-22 2021-03-02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냉장고
KR101643640B1 (ko) * 2014-08-27 2016-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60045545A (ko) 2014-10-17 2016-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16060530A1 (ko) * 2014-10-17 2016-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677334B1 (ko) 2014-10-24 2016-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CN105588400B (zh) 2014-11-07 2018-04-13 Lg电子株式会社 冰箱及冰箱控制方法
KR101659180B1 (ko) 2014-12-22 201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1659181B1 (ko) 2014-12-22 2016-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1668922B1 (ko) 2014-12-24 201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가전제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668921B1 (ko) * 2014-12-24 201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1659184B1 (ko) 2014-12-24 201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 제조 방법
KR101649151B1 (ko) * 2014-12-31 201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3250863B1 (en) * 2015-01-26 2021-11-10 Arçelik Anonim Sirketi A refrigerator comprising a storage container that has a tilting crisper and a removable filter
CN104631986B (zh) * 2015-01-30 2016-08-24 新石器龙码(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取件结构及快递柜
US9476633B2 (en) 2015-03-02 2016-10-25 Whirlpool Corporation 3D vacuum panel and a folding approach to create the 3D vacuum panel from a 2D vacuum panel of non-uniform thickness
US10161669B2 (en) * 2015-03-05 2018-12-25 Whirlpool Corporation Attachment arrangement for vacuum insulated door
US9897370B2 (en) 2015-03-11 2018-02-20 Whirlpool Corporation Self-contained pantry box system for insertion into an appliance
TR201908691T4 (tr) * 2015-03-18 2019-07-22 Lg Electronics Inc Buzdolabı.
KR101639522B1 (ko) 2015-05-07 2016-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US10280673B2 (en) 2015-06-11 2019-05-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refrigerator
USD794685S1 (en) * 2015-06-24 2017-08-15 Bsh Hausgeraete Gmbh Refrigerator
US9441779B1 (en) 2015-07-01 2016-09-13 Whirlpool Corporation Split hybrid insulation structure for an appliance
KR102098689B1 (ko) 2015-07-08 2020-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529853B1 (ko) 2015-08-03 2023-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진공단열체의 제조방법, 다공성물질패키지, 및 냉장고
KR102498210B1 (ko) 2015-08-03 2023-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02160B1 (ko) 2015-08-03 2023-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25551B1 (ko) * 2015-08-03 2023-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20170016188A (ko) 2015-08-03 2017-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25550B1 (ko) 2015-08-03 2023-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US10907887B2 (en) 2015-08-03 2021-02-02 Lg Electronics Inc.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KR102456642B1 (ko) 2015-08-03 2022-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66469B1 (ko) 2015-08-03 2022-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42973B1 (ko) 2015-08-03 2022-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1758284B1 (ko) * 2015-09-11 2017-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723415B1 (ko) * 2015-09-18 2017-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736608B1 (ko) 2015-11-27 2017-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0222116B2 (en) 2015-12-08 2019-03-05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vacuum insulated structure for an appliance having a pressing mechanism incorporated within an insulation delivery system
US10429125B2 (en) 2015-12-08 2019-10-01 Whirlpool Corporation Insulation structure for an appliance having a uniformly mixed multi-component insulation material, and a method for even distribution of material combinations therein
US10422573B2 (en) 2015-12-08 2019-09-24 Whirlpool Corporation Insulation structure for an appliance having a uniformly mixed multi-component insulation material, and a method for even distribution of material combinations therein
US10041724B2 (en) 2015-12-08 2018-08-07 Whirlpool Corporation Methods for dispensing and compacting insulation materials into a vacuum sealed structure
US11052579B2 (en) 2015-12-08 2021-07-06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preparing a densified insulation material for use in appliance insulated structure
US11994336B2 (en) 2015-12-09 2024-05-28 Whirlpool Corporation Vacuum insulated structure with thermal bridge breaker with heat loop
EP3387351B1 (en) 2015-12-09 2021-10-13 Whirlpool Corporation Vacuum insulation structures with multiple insulators
KR102391404B1 (ko) 2015-12-17 2022-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391409B1 (ko) * 2015-12-17 2022-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0422569B2 (en) 2015-12-21 2019-09-24 Whirlpool Corporation Vacuum insulated door construction
US10018406B2 (en) 2015-12-28 2018-07-10 Whirlpool Corporation Multi-layer gas barrier materials for vacuum insulated structure
US10610985B2 (en) 2015-12-28 2020-04-07 Whirlpool Corporation Multilayer barrier materials with PVD or plasma coating for vacuum insulated structure
US10030905B2 (en) 2015-12-29 2018-07-24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a vacuum insulated appliance structure
US10807298B2 (en) 2015-12-29 2020-10-20 Whirlpool Corporation Molded gas barrier parts for vacuum insulated structure
US11247369B2 (en) 2015-12-30 2022-02-15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3D vacuum insulated refrigerator structure having core material
KR102550258B1 (ko) * 2016-01-05 2023-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00293B1 (ko) * 2016-03-23 202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856835B1 (ko) 2016-01-05 2018-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0495373B2 (en) 2016-01-05 2019-12-0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1862564B1 (ko) 2016-01-05 2018-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829352B1 (ko) 2016-01-05 2018-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697112B1 (ko) * 2016-02-11 2017-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고
DE102016006221A1 (de) * 2016-03-22 2017-09-28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Türabsteller
WO2017180147A1 (en) 2016-04-15 2017-10-19 Whirlpool Corporation Vacuum insulated refrigerator cabinet
KR102447530B1 (ko) * 2016-04-15 2022-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3443284B1 (en) 2016-04-15 2020-11-18 Whirlpool Corporation Vacuum insulated refrigerator structure with three dimensional characteristics
KR101858236B1 (ko) * 2016-05-31 2018-05-16 주식회사 대우전자 냉장고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538772B1 (ko) * 2016-06-28 2023-06-02 주식회사 위니아 냉장고의 도어 조립 구조
US11320193B2 (en) 2016-07-26 2022-05-03 Whirlpool Corporation Vacuum insulated structure trim breaker
EP3500804B1 (en) 2016-08-18 2022-06-22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cabinet
KR102687627B1 (ko) * 2016-08-29 2024-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6403474A (zh) * 2016-08-31 2017-02-15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及其门体
WO2018063182A1 (en) 2016-09-28 2018-04-05 Whirlpool Corporation Structural panel for an appliance having stamped components and method therefor
CN106568292B (zh) * 2016-11-10 2020-12-04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抽屉组件及具有其的冰箱
US9816746B1 (en) 2016-11-18 2017-11-14 Whirlpool Corporation Slide out door bin
WO2018101954A1 (en) 2016-12-02 2018-06-07 Whirlpool Corporation Hinge support assembly
US10352613B2 (en) 2016-12-05 2019-07-16 Whirlpool Corporation Pigmented monolayer liner for applianc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0234190B2 (en) 2016-12-06 2019-03-1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Locking assemblies for door-in-door refrigerator appliances
CN108240155B (zh) * 2016-12-23 2022-02-11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家用电器
CN108252600B (zh) * 2016-12-29 2021-03-30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冰箱
CN108253708A (zh) * 2016-12-29 2018-07-06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家用电器
KR102385823B1 (ko) * 2017-01-03 2022-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0544983B2 (en) * 2017-01-03 2020-0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CN106839625B (zh) * 2017-01-10 2019-10-0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门体及具有该冰箱门体的冰箱
KR101942416B1 (ko) 2017-01-19 2019-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도어 개폐장치
CN106679300B (zh) * 2017-01-20 2019-08-27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门体组件及具有该门体组件的冰箱
CN106931704A (zh) * 2017-03-31 2017-07-07 宁波韩电电器有限公司 一种节能冰箱
KR102412060B1 (ko) * 2017-04-26 2022-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DE102017109262A1 (de) * 2017-04-28 2018-10-31 Binder Gmbh Laborschrank
CN107255391A (zh) * 2017-06-26 2017-10-17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及其打开冰箱箱门的方法
US10184716B1 (en) * 2017-07-12 2019-01-22 Whirlpool Corporation Door ajar detection system
US11168936B2 (en) * 2017-08-01 2021-11-09 Whirlpool Corporation Storage bin assembly for a refrigerator
US10302350B2 (en) 2017-08-23 2019-05-28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Neutral grip refrigerator door handle
US10458164B2 (en) * 2017-09-18 2019-10-2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oor hinge assembly for an appliance
KR102442380B1 (ko) * 2017-11-08 2022-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0422571B2 (en) * 2017-11-13 2019-09-24 Midea Group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aling french doors for a freezer compartment
US10605516B2 (en) * 2018-02-27 2020-03-3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frigerator appliance
KR102525816B1 (ko) * 2018-05-02 2023-04-26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냉장고의 홈바 도어 개폐장치
KR102012462B1 (ko) * 2018-05-11 2019-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9028734B (zh) * 2018-05-21 2021-09-10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
EP3796812B1 (en) * 2018-05-23 2024-05-01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hinge assembly
US10907888B2 (en) 2018-06-25 2021-02-02 Whirlpool Corporation Hybrid pigmented hot stitched color liner system
CN108895747A (zh) * 2018-07-06 2018-11-27 许春燕 一种家用冰箱
CN110736281B (zh) * 2018-07-18 2023-01-17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一种制冷设备
US10723390B2 (en) * 2018-07-27 2020-07-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hood storage compartment
DE202018105686U1 (de) * 2018-10-04 2020-01-09 Rehau Ag + Co Profilanordnung für ein Kühl- und / oder Gefriergerät
KR102573779B1 (ko) * 2018-11-20 2023-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1359414B2 (en) * 2019-01-24 2022-06-14 Whirlpool Corporation Latch assembly
US10907891B2 (en) 2019-02-18 2021-02-02 Whirlpool Corporation Trim breaker for a structural cabinet that incorporates a structural glass contact surface
CN111664640B (zh) * 2019-03-05 2022-11-11 Bsh家用电器有限公司 具有包括覆盖件的门装置的家用制冷器具
CN111664645B (zh) * 2019-03-05 2022-05-13 Bsh家用电器有限公司 门嵌入件、家用制冷器具的门及用于安装门嵌入件的方法
US11313611B2 (en) * 2019-05-01 2022-04-26 Whirlpool Corporation Construction method for vacuum insulated door
US11072956B2 (en) * 2019-05-21 2021-07-27 Whirlpool Corporation Hinge bracket
CN112031553B (zh) * 2019-06-04 2023-06-16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冰箱以及用于冰箱的门锁
KR20210006698A (ko) 2019-07-09 2021-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CN112304009B (zh) * 2019-08-02 2022-01-21 重庆海尔制冷电器有限公司 冰箱的门体及其装配方法
KR102067743B1 (ko) * 2019-08-13 2020-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087685B1 (ko) * 2019-08-13 2020-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093456B1 (ko) * 2019-08-21 2020-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093435B1 (ko) * 2019-08-21 2020-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111717B1 (ko) * 2019-08-21 2020-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093461B1 (ko) * 2019-08-21 2020-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093448B1 (ko) * 2019-08-21 2020-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150095B1 (ko) * 2019-08-21 2020-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150097B1 (ko) * 2019-08-21 2020-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1287176B2 (en) * 2019-10-08 2022-03-2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Cooling system for refrigerator appliance with flexible chamber in door
USD951309S1 (en) * 2019-11-22 2022-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D951310S1 (en) * 2019-11-29 2022-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CN110984743B (zh) * 2019-12-17 2023-07-21 合肥雪祺电气股份有限公司 冰箱闭门器及冰箱
KR102234771B1 (ko) * 2019-12-20 2021-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 지능 냉장고
KR20210087310A (ko) * 2020-01-02 2021-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게이트
KR102167549B1 (ko) * 2020-01-09 2020-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206063B1 (ko) * 2020-01-13 202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106270A (ko) 2020-02-20 2021-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20230012438A1 (en) * 2020-02-26 2023-01-1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N115244349B (zh) * 2020-02-26 2023-12-29 Lg电子株式会社 冰箱
KR102435504B1 (ko) * 2020-04-02 2022-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148686A (ko) 2020-06-01 2021-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20001781A (ko) * 2020-06-30 2022-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2070924B2 (en) 2020-07-27 2024-08-27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liner having natural fibers
CN114061227B (zh) * 2020-07-30 2023-12-22 Lg电子株式会社 多关节连杆铰链和包括该多关节连杆铰链的冰箱
CN111972974B (zh) * 2020-07-31 2021-05-18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双开门烹饪装置台阶差调节机构及其烹饪装置
CN114076480B (zh) * 2020-08-10 2023-01-20 青岛海尔特种电冰箱有限公司 可更换门面的冰箱门
CN114183973A (zh) * 2020-09-15 2022-03-15 沈阳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
USD968481S1 (en) * 2020-09-18 2022-11-0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D960210S1 (en) * 2020-09-18 2022-08-09 Lg Electronics Inc. Door for refrigerator
USD959512S1 (en) * 2020-09-18 2022-08-02 Lg Electronics Inc. Door for refrigerator
USD960209S1 (en) * 2020-09-18 2022-08-09 Lg Electronics Inc. Door for refrigerator
KR102402524B1 (ko) * 2020-09-22 2022-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84693B1 (ko) * 2020-11-10 2023-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1668513B2 (en) 2020-12-01 2023-06-06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taged access door for a home appliance
US11215391B1 (en) 2020-12-01 2022-01-04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taged access door for a home appliance
US11486627B2 (en) 2020-12-30 2022-11-01 Whirlpool Corporation Reinforcement assembly for an insulated structure
KR20220101524A (ko) * 2021-01-11 2022-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14963640B (zh) * 2021-02-18 2024-05-24 内蒙古伊利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门组件及冷柜
CN114961477B (zh) * 2021-02-26 2023-10-27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带有腔体的铰链组件及具有其的制冷设备
CN114961472B (zh) * 2021-02-26 2023-10-27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带有盖板的铰链组件及具有其的制冷设备
CN113792391B (zh) * 2021-08-12 2023-11-07 珠海深能洪湾电力有限公司 旋转机械周向零件安装次序计算方法、系统及介质
KR20230117498A (ko) * 2022-01-31 2023-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 기기
CN114617370B (zh) * 2022-03-14 2023-09-01 江西金虎保险设备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指纹识别的可调节枪弹柜
CN116147257A (zh) * 2022-12-22 2023-05-23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一种冰箱
WO2024147480A1 (ko) * 2023-01-03 2024-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17477396B (zh) * 2023-07-26 2024-06-14 河北电之力电气有限公司 一种户外高压配电柜

Family Cites Families (1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75511A (en) 1918-02-23 1918-08-13 James Welch Refrigerator.
US1581776A (en) 1924-08-16 1926-04-20 Otto A Altschul Service door
US1915249A (en) 1931-08-31 1933-06-20 Jorgensen Specialty Company Resilient buffer
US1927398A (en) * 1933-01-07 1933-09-19 Harold A Glasser Refrigerator
US2150064A (en) * 1933-02-08 1939-03-07 Boots Refrigerator
US2131680A (en) 1934-02-05 1938-09-27 Crosley Radio Corp Refrigerator
US2051132A (en) 1934-03-08 1936-08-18 Crosley Radio Corp Refrigerator door
US2112771A (en) 1934-03-30 1938-03-29 Nash Kelvinator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US2095811A (en) 1934-03-30 1937-10-12 Kelvinator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US1984977A (en) * 1934-06-26 1934-12-18 Robert W Forbes Refrigerator
US2046909A (en) * 1934-09-26 1936-07-07 Merrill H Terry Refrigerator door
US2135878A (en) 1935-07-05 1938-11-08 Nash Kelvinator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US2136558A (en) * 1935-09-20 1938-11-15 Manshel Charles Refrigerator
US2130617A (en) 1936-03-23 1938-09-20 Hazel L Groves Refrigerator
US2129923A (en) 1936-11-18 1938-09-13 Fairbanks Morse & Co Refrigerator cabinet
US2213274A (en) 1937-10-07 1940-09-03 Alexander L Flamm Refrigerator
US2284293A (en) 1940-02-13 1942-05-26 Kenneth A Mills Refrigerator
US2281430A (en) * 1941-04-18 1942-04-28 David M Grant Refrigerator
US2276937A (en) 1941-05-06 1942-03-17 Cordova Arturo Refrigerator
US2653851A (en) 1947-05-03 1953-09-29 Avco Mfg Corp Cabinet having improved means for facilitating opening doors singly or in multiple
US2692813A (en) 1951-03-22 1954-10-26 Peter A Toronto Auxiliary refrigerator shelf
US2942438A (en) * 1955-11-23 1960-06-28 Gen Motors Corp Refrigerator
US3086830A (en) 1960-06-09 1963-04-23 Malia John Peter Compartmentalized refrigerator
US3140134A (en) 1961-12-21 1964-07-07 Mark A Nairn Cabinet
US3218111A (en) 1964-01-27 1965-11-16 Gen Motors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US3389424A (en) 1966-11-14 1968-06-25 Whirlpool Co Reversible hinges for refrigerator door
US3518716A (en) 1968-05-24 1970-07-07 Keystone Consolidated Ind Inc Self-closing hinge
US3510986A (en) 1968-10-01 1970-05-12 Kason Hardware Corp Self-closing hinged doors and hinges therefor
US3628845A (en) 1970-05-11 1971-12-21 Gen Electric Refrigerator cabinet with self-closing door
US3643464A (en) * 1970-06-29 1972-02-22 Gen Electric External ice service
US3822925A (en) 1971-10-06 1974-07-09 M Osroff Utility-door storage container
US3836221A (en) 1973-10-09 1974-09-17 Gen Motors Corp Refrigerator door with removably mounted radio
US4087140A (en) 1977-04-14 1978-05-02 Whirlpool Corporation Magnetic latch - movable ice receptacle
DK105978A (da) * 1977-05-13 1978-11-14 Zanussi A Spa Industrie Indsatskurv til kummefrysere
CA1126785A (en) 1978-10-13 1982-06-29 Jose Massana Canals Personal security door arrangement
JPS56164495U (ko) * 1980-05-10 1981-12-05
JPS56164495A (en) 1980-05-20 1981-12-17 Ricoh Kk Signal detecting circuit
US4382177A (en) 1980-09-15 1983-05-03 Heaney James J Substantially transparent insulating anti-condensation structure
US4368622A (en) 1981-05-14 1983-01-18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or with through-the-door quick-chilling service
DE3215607A1 (de) 1982-04-27 1983-10-27 Paul Hettich & Co, 4983 Kirchlengern Schrank mit einer aus einerinnentuer und einer aussentuer bestehenden doppeltuer.
US4572427A (en) 1984-03-02 1986-02-25 Mallinckrodt, Inc. Controlled atmosphere enclosure
JPS6158486A (ja) 1984-08-28 1986-03-25 Tokyo Electric Co Ltd サ−ボモ−タ装置
JPS6342304Y2 (ko) * 1984-09-22 1988-11-07
US4728915A (en) 1986-03-18 1988-03-01 Matsushita Electronics Corporation Deflection yoke for a color cathode ray tube
KR900008203Y1 (ko) 1986-09-02 1990-09-03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좌우 가변 힌지구조
JPS63142682A (ja) 1986-12-05 1988-06-15 Fujitsu Ltd 電界効果半導体装置
JPH045905Y2 (ko) 1987-03-06 1992-02-19
JPS63142682U (ko) * 1987-03-09 1988-09-20
JPS63295034A (ja) 1987-05-28 1988-12-01 Sanshu Press Kogyo Kk ポリvプーリの製造方法
US4801182A (en) 1987-12-21 1989-01-31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door structure
US5111618A (en) 1989-12-11 1992-05-12 Ardco, Inc. Refrigerator door assembly with stylized substantially all glass front
KR930000043Y1 (ko) * 1991-01-29 1993-01-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합 냉장고의 신선실 구조
ES1017395Y (es) 1991-05-13 1992-06-16 S.A. De Fabricantes De Electrodomesticos (Safel) Tirador de puerta de frigorifico.
JPH0666473A (ja) 1992-08-15 1994-03-08 Matsumoto Sakiko 冷蔵庫・冷凍庫の二重扉
JPH06180178A (ja) 1992-12-08 1994-06-28 Toshiba Corp 貯蔵庫の扉
US5376455A (en) 1993-10-05 1994-12-27 Guardian Industries Corp. Heat-treatment convertible coated glass and method of converting same
KR970007468B1 (ko) * 1993-11-30 1997-05-09 아남산업 주식회사 반도체 리이드 프레임
DE4428445A1 (de) * 1994-08-11 1996-02-15 Joachim Stopfer Verschluß für Schranktüren und Schubladen
KR970007503B1 (ko) 1994-09-15 1997-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잠금장치
JPH109757A (ja) * 1996-06-26 1998-01-16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KR0169462B1 (ko) * 1996-10-08 1999-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6155616A (en) * 1997-06-16 2000-12-05 Randall C. Hansen Locking mechanism and closure assembly including same
KR20000068357A (ko) * 1997-07-03 2000-11-25 제이 엘. 차스킨, 버나드 스나이더, 아더엠. 킹 냉장고용 신선한 식품 저장실을 위한 모듈러 신선 센터
KR19990026937A (ko) 1997-09-26 1999-04-15 윤종용 냉장고용 도어 지지 구조
JPH11136111A (ja) 1997-10-30 1999-05-21 Sony Corp 高周波回路
KR19990039593A (ko) 1997-11-13 1999-06-05 윤종용 포토레지스트 플로우 공정에 사용되는 배기장치
KR19990042339A (ko) 1997-11-26 1999-06-15 윤종용 냉장고
KR100288943B1 (ko) * 1997-11-26 2001-05-02 구자홍 냉장고의 상부힌지어셈블리
KR19990062159A (ko) * 1997-12-31 1999-07-26 윤종용 냉장고
KR200314145Y1 (ko) 1998-04-11 2003-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홈바록킹장치
US6085542A (en) * 1998-06-30 2000-07-11 Maytag Corporation Refrigerator door storage system
US5966963A (en) * 1998-07-30 1999-10-19 Kovalaske; Kenneth A. Refrigerator with a third door
JP2000065459A (ja) 1998-08-25 2000-03-03 Fujitsu General Ltd 冷凍冷蔵庫
DE19844046C2 (de) 1998-09-25 2001-08-23 Schott Glas Mehrscheibenisolierglas
US7976916B2 (en) 1999-05-25 2011-07-12 Saint-Gobain Vitrage Refrigerated display case having a transparent insulating glazing unit
KR200164322Y1 (ko) 1999-07-13 2000-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보조도어용 힌지
US6193340B1 (en) 1999-08-03 2001-02-27 Geographics, Inc. Snap-together file storage system
KR200168373Y1 (ko) 1999-08-30 2000-02-15 이정희 절전형 냉장고
KR100596533B1 (ko) 1999-09-04 2006-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 핸들장치
JP2001108357A (ja) 1999-10-04 2001-04-20 Hideyuki Machida 冷蔵庫
ATE330743T1 (de) 1999-10-19 2006-07-15 Miyanaga Kk Schaftinstallationsstruktur und schneidwerkzeug
US6371581B1 (en) * 2000-04-05 2002-04-16 Royla Vendors, Inc. Vending machine with quick release door
DE10115196A1 (de) 2001-03-27 2002-10-17 Pilkington Deutschland Ag Glasscheibe als Vorprodukt für eine thermisch vorgespannte und/oder gebogene Glasscheibe mit Sonnenschutz- und/oder Low-E-Beschichtung
KR100376167B1 (ko) * 2001-04-18 2003-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온장고
JP3336000B1 (ja) 2001-04-25 2002-10-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冷蔵庫
GB0200360D0 (en) * 2002-01-09 2002-02-20 Schofield Christine I Thermally insulated door for controlling access to a refrigerated storage space
KR100887575B1 (ko) 2002-04-22 2009-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중도어를 구비한 냉장고
KR20030083813A (ko) 2002-04-22 2003-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중도어를 구비한 냉장고
AU2003279657A1 (en) 2002-07-01 2004-01-19 Savient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rapeutic treatment
US6782710B2 (en) * 2002-07-16 2004-08-31 Maytag Corporation Kid's zone compartment assembly for a refrigerator
WO2004029528A1 (en) 2002-09-30 2004-04-08 Dong-Jin Shin Door assembly for a refrigerator
KR100861348B1 (ko) 2002-11-04 2008-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식 냉장고 도어가스켓 보호 장치
KR100857605B1 (ko) * 2002-11-27 2008-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EP1581777B1 (en) * 2002-12-31 2010-09-22 Arçelik A.S. Refrigerator
US6722142B1 (en) 2003-02-07 2004-04-20 Sub-Zero Freezer Company, Inc. Refrigerated enclosure
US7404298B2 (en) * 2003-03-10 2008-07-2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DE112004003073B4 (de) * 2003-03-28 2018-11-08 Lg Electronics Inc. Kühlschrank
JP3839801B2 (ja) * 2003-07-09 2006-11-01 吉岡電気工業株式会社 冷蔵庫用カバーパネルユニット
US7008032B2 (en) 2003-08-29 2006-03-07 Maytag Corporation Refrigerator incorporating french doors with rotating mullion bar
DE10339929A1 (de) 2003-08-29 2005-03-1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ürabsteller für ein Kältegerät
PL1697607T3 (pl) * 2003-11-14 2008-01-31 Bsh Hausgeraete Gmbh Elektryczne urządzenie gospodarstwa domowego z urządzeniem zabezpieczającym dzieci przed niebezpieczeństwem obrażeń
CN100397009C (zh) 2003-12-12 2008-06-25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冰箱的冷藏室瓶框门安装结构
KR20050072617A (ko) * 2004-01-07 2005-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7111363B2 (en) 2004-02-26 2006-09-26 Lotte Engineering & Machinery Mfg., Co., Ltd. Door hinge structure for refrigerator
US7257958B2 (en) * 2004-03-10 2007-08-21 Carrier Corporation Multi-temperature cooling system
JP2005282897A (ja) * 2004-03-29 2005-10-13 Toshiba Corp 冷蔵庫
KR20050096334A (ko) * 2004-03-30 2005-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050103722A (ko) * 2004-04-27 2005-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실의 이중도어구조
KR20050111094A (ko) 2004-05-21 2005-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AU2004242445B2 (en) * 2004-07-16 2006-02-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having basket lift apparatus
CN100523681C (zh) * 2004-07-22 2009-08-05 阿塞里克股份有限公司 一种冷却装置
JP2006038437A (ja) 2004-07-24 2006-02-09 Haruo Wakabayashi 冷蔵庫
US7360374B2 (en) 2004-08-11 2008-04-22 Larose Jr Leo D Refrigerated display merchandiser with light filter
EP1809523B1 (en) 2004-09-20 2016-06-22 AGC Flat Glass North America, Inc. Anti-fog refrigeration do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7437885B2 (en) * 2004-10-26 2008-10-21 Whirlpool Corporation Water spillage management for in the door ice maker
US7188479B2 (en) * 2004-10-26 2007-03-13 Whirlpool Corporation Ice and water dispenser on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KR20060081938A (ko) * 2005-01-11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RU2350859C1 (ru) * 2005-02-01 2009-03-27 Эл 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Холодильник
US7243394B2 (en) 2005-02-22 2007-07-17 Ching Chih Kao Door closing hinge device
KR20060106338A (ko) * 2005-04-08 2006-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바도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0707450B1 (ko) * 2005-04-16 2007-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US7472974B2 (en) * 2005-05-06 2009-01-06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storage bin
KR100683411B1 (ko) * 2005-05-19 2007-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갖는 냉장고
KR100733309B1 (ko) 2005-05-20 2007-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US20070018548A1 (en) 2005-05-27 2007-01-25 Maytag Corporation Refrigerator storage system
KR100657496B1 (ko) * 2005-07-16 2006-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 개폐장치 및 이격기구
USD522541S1 (en) * 2005-07-26 2006-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DE102005057154A1 (de) 2005-11-30 2007-05-3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einem von einer Glastür her beleuchteten Innenraum
KR100660708B1 (ko) * 2006-01-25 2006-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홈바
CN101071018B (zh) * 2006-05-12 2011-07-06 泰州乐金电子冷机有限公司 设置有插锁饮料柜门的冰箱
KR101357496B1 (ko) 2006-07-05 2014-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입력장치
KR101275568B1 (ko) 2006-10-24 2013-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홈바
KR101349999B1 (ko) * 2006-11-24 2014-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홈바
US20100231110A1 (en) * 2006-12-21 2010-09-16 Chang-Bong Choi Door support device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KR101351090B1 (ko) * 2007-01-16 2014-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01261062A (zh) * 2007-03-05 2008-09-10 泰州乐金电子冷机有限公司 设置有储藏室的冰箱
AT10097U1 (de) * 2007-04-30 2008-09-15 Blum Gmbh Julius Federpuffer für ein möbel
DE102007021555A1 (de) * 2007-05-08 2008-11-1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ehälter mit einer Unterteilungsvorrichtung
EP2066594B1 (en) 2007-09-14 2016-12-07 Cardinal CG Company Low-maintenance coatings, and methods for producing low-maintenance coatings
CN101398248B (zh) * 2007-09-28 2010-11-03 博西华家用电器有限公司 家用电器
JP2009103395A (ja) 2007-10-25 2009-05-14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
KR101203424B1 (ko) * 2008-01-11 2012-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176962B1 (ko) * 2008-02-04 2012-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576672B1 (ko) 2008-02-21 2015-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US8182055B2 (en) * 2008-04-22 2012-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mping uni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100019616A (ko) 2008-08-11 2010-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602431B1 (ko) 2008-11-05 2016-03-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00122155A (ko) * 2009-05-12 2010-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307681B1 (ko) 2009-06-03 2013-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307735B1 (ko) * 2009-06-03 2013-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302757B1 (ko) * 2009-07-28 2013-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307690B1 (ko) 2009-07-28 2013-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10040567A (ko) * 2009-10-14 2011-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할식 선반을 갖는 냉장고
KR101054927B1 (ko) * 2009-10-20 2011-08-05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의 힌지장치
KR101638193B1 (ko) * 2010-01-04 2016-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2116554A (zh) 2010-01-04 2011-07-06 Lg电子株式会社 电冰箱
EP2390887A1 (de) 2010-05-28 2011-11-30 ABB Technology AG Leistungsschalter
KR101786966B1 (ko) 2010-08-06 2017-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704817B1 (ko) * 2010-08-20 201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3477170B (zh) * 2011-08-05 2016-03-16 Lg电子株式会社 具有内部门的冰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5332A1 (ko) * 2014-01-07 2015-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0808993B2 (en) 2014-01-07 2020-10-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9429356B2 (en) 2014-03-11 2016-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03695A1 (en) 2014-07-24
EP4137766A1 (en) 2023-02-22
USRE48724E1 (en) 2021-09-07
CN102695933B (zh) 2015-07-22
US20140139090A1 (en) 2014-05-22
KR20130072186A (ko) 2013-07-01
DE202010018121U1 (de) 2014-07-01
KR20130058087A (ko) 2013-06-03
CN105783373A (zh) 2016-07-20
USRE50154E1 (en) 2024-10-01
KR20130058084A (ko) 2013-06-03
DE202010018118U1 (de) 2014-07-21
MX343593B (es) 2016-11-10
WO2011081279A1 (en) 2011-07-07
US9170045B2 (en) 2015-10-27
MX2012007792A (es) 2012-08-03
EP2521889B1 (en) 2018-06-06
CA2786085A1 (en) 2011-07-07
AU2010339263A1 (en) 2012-07-26
KR101346866B1 (ko) 2014-01-07
US20130026900A1 (en) 2013-01-31
US20140139091A1 (en) 2014-05-22
EP2759791B1 (en) 2023-08-30
CN104019606B (zh) 2016-09-14
US20140139094A1 (en) 2014-05-22
CN105806008A (zh) 2016-07-27
USRE50167E1 (en) 2024-10-08
EP2743619A1 (en) 2014-06-18
US9200830B2 (en) 2015-12-01
US20140139092A1 (en) 2014-05-22
AU2010339263B2 (en) 2014-09-18
US9175902B2 (en) 2015-11-03
EP2521889A1 (en) 2012-11-14
CN104019606A (zh) 2014-09-03
US20150276301A1 (en) 2015-10-01
CN105806008B (zh) 2018-09-11
KR101347002B1 (ko) 2014-01-07
RU2503898C1 (ru) 2014-01-10
KR101774070B1 (ko) 2017-09-12
US20140139093A1 (en) 2014-05-22
US20140139089A1 (en) 2014-05-22
BR112012016545A2 (pt) 2016-04-19
AU2010339263B9 (en) 2014-10-09
US9175901B2 (en) 2015-11-03
EP2521889A4 (en) 2014-06-18
EP2743619B1 (en) 2022-11-02
USRE47753E1 (en) 2019-12-03
CN103673480A (zh) 2014-03-26
KR101275987B1 (ko) 2013-06-17
CN105783373B (zh) 2018-07-17
EP2762817B1 (en) 2024-03-27
US9175903B2 (en) 2015-11-03
EP2759791A1 (en) 2014-07-30
CN102116554A (zh) 2011-07-06
EP2762817A1 (en) 2014-08-06
BR112012016545B1 (pt) 2020-10-13
CN104019597A (zh) 2014-09-03
USRE48733E1 (en) 2021-09-14
CN104019597B (zh) 2016-09-07
CN102695933A (zh) 2012-09-26
EP4137662A1 (en) 2023-02-22
CN103673480B (zh) 2016-03-16
AU2010339263B8 (en) 2014-10-09
CA2786085C (en) 2015-01-20
US9322591B2 (en) 201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866B1 (ko) 냉장고
AU2014277716B2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