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5719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5719B1
KR102185719B1 KR1020130125092A KR20130125092A KR102185719B1 KR 102185719 B1 KR102185719 B1 KR 102185719B1 KR 1020130125092 A KR1020130125092 A KR 1020130125092A KR 20130125092 A KR20130125092 A KR 20130125092A KR 102185719 B1 KR102185719 B1 KR 102185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bracket
refrigerator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5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5618A (ko
Inventor
박성관
오정백
윤석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Priority to KR1020130125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5719B1/ko
Publication of KR20150045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힌지 삽입부의 상부에는 제2도어의 상면이 위치함으로써, 힌지 삽입부에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도어와 제2도어 연결시에 절곡부가 없는 일자형 힌지를 사용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제 2 도어의 후면에 힌지 삽입부를 형성함으로써, 제 2 도어 상부에 이물질의 침투 방지와 더불어 제 1 도어와 제 2 도어를 연결시 일자형 즉, 절곡되지 않는 힌지를 사용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위와 같은 유형의 종래 냉장고로서 한국공개특허공보(제10-2013-0058087호)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냉장고는 다수 개의 선반이 상하로 배치되는 제1저장 영역을 가지는 본체(10);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상측에서 상기 제 1 부분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제 2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제 2 부분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접근 가능한 제 2 저장실을 가지며, 상기 제 1 저장 영역을 개폐하는 제1도어(310); 닫힘 시, 상기 제 2 부분에 밀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고, 상기 제 1 도어의 개방을 위한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 1 부분의 단열 두께보다 얇은 단열 두께를 가지는 제2 도어(340); 상기 제 1 도어(310)의 상부와 상기 본체(10)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 1 힌지(52);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부와 상기 제 1 도어(310)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 2 힌지(51);를 포함한다.
한편, 도 2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도어(340)는 상기 개구부(316)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제 2 힌지(51)에 의해 상기 제 1 도어(3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 2 힌지(51)는 상기 제 1 도어(310)의 제 1 장착부(310)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340)의 하단에는 하부 힌지 어셈블리(미도시)가 장착되고, 힌지 브라켓(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제 2 도어의 전면부에 고정된다.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면에는 상기 제 2 힌지(51)를 놓을 수 있도록 제 2 장착부(340b)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 2 장착부(340b)는 상기 제 2도어(340)의 측면 단부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면 일부는 상기 제 2 장착부(340b)에 의하여 단차진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 2 힌지(51)는 하방으로 함몰된 상기 제 2 장착부(340b)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단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상기 제 1 도어(310)와 상기 제 2 도어(340)의 힌지 연결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도 2 참조)
(1)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면에는 상기 제 2 힌지(51)를 놓을 수 있도록 제 2 장착부(340b)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 2 장착부(340b)는 상기 제 2도어(340)의 측면 단부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면 일부는 상기 제 2 장착부(340b)에 의하여 단차진 형상을 가지게 되므로, 단차진 형상에 이물질이 침투될 수 있다
(2) 상기 제 2 장착부(340b)에 의하여 단차진 형상을 가지게 되므로, 냉장고를 외부에서 볼 때 미관상 좋지 않다.
(3) 상기 제 1 도어(310)의 상면과 상기 제 2 도어(340)의 제 2 장착부(340b)는 서로 높이가 같지 않아 단차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2 힌지(51)는 냉장고를 측면에서 봤을 때 절곡되는 형상을 갖게 된다.
즉, 상기 제 2 힌지(51)의 제 2 연장부(512)와 상기 제 1 도어(310)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511)는 측면에서 봤을 때 절곡부가 형성되므로, 힌지 생산비용 증가 및 냉장고를 측면에서 봤을 때 미관상 좋지 않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808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제2도어의 후면에 힌지 삽입부를 형성함으로써,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냉장고는
제1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제1저장실을 개폐하며, 제2저장실을 갖는 제1도어;
상기 제2저장실을 개폐하는 제2도어;
상기 제1도어의 상부와 상기 제2도어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2힌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도어의 상면에는 상기 제2도어를 성형시 인서트 금형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도어의 후면에는 힌지 삽입부가 형성되되, 상기 힌지 삽입부는 상기 제2도어의 상면과 상기 제2도어의 전면에 의해 둘러쌓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냉장고는 상기 힌지삽입부가 상기 제2도어의 측면 또는 측면의 일부에 의해 더 둘러쌓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냉장고는 상기 제2힌지는 제2브라켓과 제2힌지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브라켓에는 절곡부가 형성되지 않아 상기 제2힌지를 측면에서 볼 경우 일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힌지 삽입부는 제2도어의 상면과 제2도어의 전면과 제2도어의 측면에 의해 둘러쌓여 형성되므로 힌지 삽입부가 보이지 않게 되므로, 냉장고를 위에서 볼 경우에도 그 미관이 훌륭하다.
(2) 공간을 형성하는 힌지 삽입부는 제2도어의 상면이 그 일부를 구성하므로,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3) 제1도어와 제2도어 사이에 높이차이가 없으므로, 제2도어를 제1도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하는 제2힌지 연결시 일자형 힌지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힌지 생산비용의 절감, 자재관리의 편리성 및 냉장고를 측면에서 봤을 때도 그 미관이 훌륭하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용 제1도어와 제2도어의 일부 확대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냉장고용 제1도어와 제2도어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냉장고용 제1도어와 제2도어의 일부 확대 상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제1도어와 제2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제2도어와 제2힌지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제2도어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제1힌지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힌지축과 제2힌지축이 같은 선상에 있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메인 저장실인 제1저장실을 갖는 본체(10)와 상기 제1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본체(10)에 대해 상기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힌지(152)를 포함한다.
본체(10)에는 냉동사이클을 위한 기계실이 탑재 또는 장착되어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제1저장실을 개폐하며, 보조 저장실인 제2저장실을 갖는 제1도어(1310)와, 상기 제2저장실을 개폐하는 제2도어(1340)와, 제1도어(1310)의 상부와 제2도어(1340)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2힌지(151)를 포함한다.
제1도어(1310)의 전면에는 제2저장실과 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2도어(1340)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한다.
제2도어(1340)의 배면에는 수납부가 장착되는 것이 좋다.
제1도어(1310)의 측면 가장자리와 제2도어(1340)의 측면 가장자리는 같은 선상에 위치하여 있다.
즉, 상기 도어의 측면 가장자리는 같은 선상에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청구항 1의 핵심인 힌지 삽입부(1350)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제2힌지(151)는 제2도어(1340)가 닫힌 상태에서 힌지 삽입부(1350)에 일부 수용된다.
한편, 제2힌지(151)는 제2브라켓(1513)과 제2힌지축(15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도어(1340)가 제1도어(13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하는 제2힌지(151)의 구성요소인 제2브라켓의 일단(1513a)은 제1도어의 상면(1315)에 체결요소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한편, 제2브라켓의 타단(1513b)은 제2힌지축(1514)에 의해 제2도어(1340)의 상부에 지지된다.
제2도어(1340)가 제1도어(1310)에 대해 닫혔을 때 제2도어(1340)의 상부에 형성된 힌지 삽입부(1350)에는 제2브라켓(1513)의 타단이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한 냉장고는 힌지 삽입부(1350)의 형상은 다음과 같다.
제2도어(1340)를 측면에서 볼 경우, 힌지 삽입부(1350)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갖는 공간이다.
힌지 삽입부(1350)는 제2도어의 후면(1349)을 "ㄷ"자 형상으로 파내는 식으로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용 도어는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되며,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한 힌지 삽입부(1350)는 제2도어의 후면(1349)에 인서트(미도시) 등을 삽입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힌지 삽입부(1350) 상부에 위치하는 제2도어의 상면(1345)은 제2도어의 내측(미도시)으로부터 제2도어의 측면(1348)과 제2도어의 전면(1347)과 일체로 형성된다.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갖는 힌지 삽입부(1350)는 제2도어의 상면(1345)과 제2도어의 전면(1347)과 제2도어의 측면(1348)에 의해 둘러쌓여 형성되는 공간이다.
힌지 삽입부(1350)는 제1도어(1310)를 향하는 방향으로는 개구된다.
반면에 힌지 삽입부(1350)는 제2도어의 전면(1347)을 향하는 방향으로는 막혀 있다.
한편, 힌지 삽입부(1350)는 제2도어의 측면(1348) 가장자리까지 연장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한 냉장고는 제2도어의 측면(1348) 모서리로부터 하향으로 제2도어의 측면의 일부(1348a)가 위치한다.
이러한 경우, 힌지 삽입부(1350)는 제2도어의 측면(1348)과 연통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례에서는 힌지 삽입부(1350)는 제2도어의 측면(1348)에 의해 막힐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힌지 삽입부(1350)는 제2도어의 측면(1348)과 연통하지 않게된다.
힌지 삽입부(1350)는 제2도어의 측면(1348) 내측으로 제2브라켓(1513)의 타단이 수용될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며, 제2도어(1340)가 제1도어(1310)에 대해 원활한 회전이 가능할 정도의 길이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2힌지(151)는 제2도어(1340)가 닫힌 상태에서는 제2힌지(151)의 일부는 힌지 삽입부(1350)에 수용된다.
제2도어의 상면(1345)에는 제2도어(1340)를 성형시 인서트 금형(미도시)이 삽입되는 홀(1360)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도어의 후면에 형성된 힌지 삽입부(1350)라는 공간은 제2도어의 상면(1345)과 제2도어의 전면(1347)과 제2도어의 측면(1348)에 의해 둘러쌓여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한 냉장고는 제2도어(1340)를 내려다 볼 경우에도 힌지 삽입부(1350)가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도어(1310)의 전면에는 씰링부재가 형성되어, 제2도어(1340)를 제1도어(1310)에 대해 닫을 때 밀폐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의한 냉장고는 측면에 볼 경우 제2힌지(151)가 일자형이며 제2브라켓(1513)에 별도의 절곡부를 형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힌지(15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브라켓(1513)과 제2힌지축(15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종래기술의 경우 제1도어(1310)와 제2도어(1340) 사이에는 단차가 존재했다.
따라서, 제1도어(1310)와 제2도어(1340)를 연결하는 제2브라켓은 제1도어(1310)와 제2도어(1340) 사이의 단차를 상쇄하기 위해 제2브라켓의 일단(1513a)과 제2브라켓의 타단(1513b) 사이에 단차 해소를 위한 절곡부를 형성하여야만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의한 냉장고는 제1도어(1310)와 제2도어(1340) 사이에 단차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도어(1310)와 제2도어(1340)를 제2힌지(151)에 의해 연결시 제2브라켓의 일단(1513a)과 제2브라켓의 타단(1513b) 사이에 절곡부가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제1도어(1310)와 제2도어(1340)는 일자형 형태의 힌지로 연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힌지(152)의 형상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첨부 도면 도 7 참조)
제1힌지(152)는 제1도어(1310)의 상부와 본체(10)의 상부를 연결한다.
제1힌지(152)도 제1브라켓(1523)와 제1힌지축(1524)으로 이루어진다.
제1브라켓(1523)의 일단은 본체(10)의 상부에 체결요소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제1브라켓(1523)의 타단은 제1힌지축(1524)에 의해 제1도어(1310)의 상부에 지지된다.
제1힌지축(1524)는 제1힌지홈(1540)에 삽입된다.
제1브라켓(1523)의 일단과 제1브라켓(1523)의 타단 사이에는 본체(10)와 제1도어(1310)와의 단차 해소를 위해 제1브라켓 절곡부(1525)가 형성된다.
제1브라켓 절곡부(1525)는 제1도어의 상면(1315)와 평행하다가 본체(10)를 향해 수직으로 일정 길이만큼 내려온 후 다시 본체(10)의 상면(미도시)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제1브라켓(1523)의 일단의 형상은 다음과 같다.
제1브라켓 절곡부(1525)로부터 본체(10)을 향해 제1브라켓의 일단의 결합부(1526)가 형성된다.
제1브라켓의 일단의 결합부(1526)에는 2개의 홀(1527, 1528)이 형성되며,
홀(1527, 1528)을 통해 체결요소가 삽입된다.
홀의 형상은 하나(1527)는 원형이며, 다른 하나의 홀(1528)은 타원형이다.
제1브라켓의 일단의 결합부의 제1면(1529)으로부터 상향으로 제1브라켓의 일단의 결합부의 제1돌출부(1530)가 형성된다.
제1브라켓의 일단의 결합부의 제1돌출부(1530)는 제1브라켓의 일단의 결합부(1526)와 90도 각도를 갖고 상향으로 돌출된다.
제1브라켓의 일단의 결합부의 제1돌출부(1530)와 일체로 연결된 제1브라켓의 일단의 결합부(1526) 사이에는 공간(1527)을 형성한다.
제1브라켓의 일단의 결합부의 제1돌출부(1530)는 라운드 모서리를 갖는다.
제1브라켓의 일단의 결합부(1526)는 제1브라켓의 일단의 결합부의 제1돌출부(1530)보다 본체(10)를 향해 더 돌출되며, 이와 같이 더 돌출된 부분에 타원형의 홀(1528)이 위치한다.
제1브라켓의 일단의 결합부의 제2면(1531)에는 제1브라켓의 일단의 결합부의 제3면(1532)이 제2도어의 측면(1348)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제1브라켓의 일단의 결합부의 제3면(1532)에는 제1브라켓의 일단의 결합부의 제2돌출부(1533)가 형성된다.
제1브라켓의 일단의 결합부의 제2돌출부(1533)는 제1브라켓의 일단의 결합부의 제1돌출부(1530)보다 크기가 작다.
또한 제1브라켓의 일단의 결합부의 제2돌출부(1533)는 제1브라켓(1523)을 위에서 내려다 볼 경우,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는다.
한편, 이하에서는 제1도어(1310)와 제2도어(1340)가 닫힌 상태에서 제1힌지(152)와 제2힌지(151)가 같은 선상에 있는 상태에 대해 첨부 도면 도 8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제1힌지(152)는 본체(10)의 상부와 제1도어(1310)의 상부를 연결한다.
즉, 제1힌지(152)는 제1브라켓(1523)와 제1힌지축(1524)으로 이루어진다.
제1브라켓(1523)의 일단은 본체(10)의 상부에 체결요소에 의해 체결 고정되고, 제1브라켓(1523)의 타단은 제1힌지축(1524)에 의해 제1도어(1310)의 상부에 지지된다.
제1힌지축(1524)는 제1도어(310)의 측면 가장자리에서 D1만큼 거리가 떨어진 위치에 있다.
즉, D1거리는 제1힌지축(1524)에 의해 가장자리가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두께를 갖는 거리이다.
제2힌지(151)는 제1도어(1310)의 상부와 제2도어(1340)의 상부를 연결한다.
즉, 제2힌지(151)는 제2브라켓(1513)와 제2힌지축(1514)으로 이루어진다.
제2브라켓(1513)의 일단은 제1도어(1310)의 상부에 체결요소에 의해 체결 고정되고, 제2브라켓(1513)의 타단은 제2힌지축(1514)에 의해 제2도어(1340)의 상부에 지지된다.
제2힌지축(1514)은 제2도어(1340)의 상부에 형성된 제2힌지홈에 삽입되지만, 종래와는 달리 제2힌지축(1514)은 제2도어(1340)의 측면 가장자리에서 D1과 같거나 큰 D2 만큼 거리가 떨어진 위치에 있다. (D2≥D1)
바람직하게는 D2는 D1과 같은 위치에 있는 것이 좋다.
따라서, D1과 같거나 큰 D2거리는 제2힌지축(1514)에 의해 가장자리가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두께를 갖는 거리로 설정되게 된다.
이처럼, D2가 D1과 같거나 크기 때문에, D2는 제2도어(1340)의 제2힌지축(1514)에 대해 측면 가장자리까지의 회전반경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제2도어(1340)가 제1도어(1310)에 간섭되지 않고 회전하기 위해서는 제1도어(1310)의 전면과 제2도어(1340)의 배면 사이의 간격이 넓어야 한다.
이러한 간격이 넓어지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2힌지축(1514)과 마주하는 제1도어(1310)의 전면에는 위로 볼록한 라운딩홈(400)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라운딩홈(400)의 구성에 의해, 제1도어(1310)의 전면과 제2도어(1340)의 배면 사이의 간격을 넓히지 않고도, 제2도어(1340)를 간섭받지 않고 회전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본체
151 : 제2힌지 152 : 제1힌지
400 : 라운딩홈 1310 : 제1도어
1315 : 제1도어의 상면 1340 : 제2도어
1345 : 제2도어의 상면 1347 : 제2도어의 전면
1348 : 제2도어의 측면 1348a : 제2도어의 측면의 일부
1349 : 제2도어의 후면 1350 : 힌지 삽입부
1360 : 홀 1513 : 제2브라켓
1514 : 제2힌지축 1523 : 제1브라켓
1524 : 제1힌지축 1525 : 제2브라켓 절곡부

Claims (4)

  1. 제1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제1저장실을 개폐하며, 제2저장실을 갖는 제1도어;
    상기 제2저장실을 개폐하는 제2도어; 및
    상기 제1도어의 상부와 상기 제2도어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2힌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도어의 후면에는 힌지 삽입부가 형성되되,
    상기 힌지 삽입부는 상기 제2도어의 상면과 상기 제2도어의 전면에 의해 둘러쌓여 형성되고,
    상기 제2힌지는 상기 제2도어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2도어는 상기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힌지축과 마주하는 상기 제1도어의 일면에는 라운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라운딩홈은 상기 제1도어의 일면이 상기 제2도어의 회전반경과 겹치지 않도록 상기 제1도어의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 삽입부는 상기 제2도어의 측면 또는 측면의 일부에 의해 더 둘러쌓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는 상기 제2힌지축과 상기 제1도어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2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브라켓에는 절곡부가 형성되지 않아 상기 제2힌지를 측면에서 볼 경우 일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의 상면에는 상기 제2도어 성형시 인서트 금형이 삽입되는 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30125092A 2013-10-21 2013-10-21 냉장고 KR102185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092A KR102185719B1 (ko) 2013-10-21 2013-10-21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092A KR102185719B1 (ko) 2013-10-21 2013-10-21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618A KR20150045618A (ko) 2015-04-29
KR102185719B1 true KR102185719B1 (ko) 2020-12-02

Family

ID=53037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5092A KR102185719B1 (ko) 2013-10-21 2013-10-21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57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258B1 (ko) * 2016-01-05 2023-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722B1 (ko) * 2002-10-09 2004-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용 내상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금형
KR20080027652A (ko) * 2006-09-25 2008-03-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도어용 상부힌지 결합구조
CN102116554A (zh) 2010-01-04 2011-07-06 Lg电子株式会社 电冰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618A (ko) 201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304008B (zh) 对开门冰箱
US10098456B2 (en) Built-in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 and household appliance assembly and built-in furniture unit for a household appliance
CN102235784A (zh) 冰箱及其门把手和门
US10724784B2 (en) Household appliance
US10458164B2 (en) Door hinge assembly for an appliance
CN112282539A (zh) 带有挡板的冰箱
US11624548B2 (en) Refrigerator
US20070182296A1 (en) Structure for automatically shutting basket cover in refrigerator
CN101839609A (zh) 冰箱箱壳及具有其的冰箱
KR102185719B1 (ko) 냉장고
CN216114948U (zh) 冰箱
US8172346B2 (en) Articulated sealing surface
KR200457733Y1 (ko) 스토퍼가 형성된 유리도어 힌지장치.
KR20150045619A (ko) 냉장고
RU2402728C2 (ru) Дверь холоди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CN112012604A (zh) 用于冰箱的铰链装置及冰箱
CN102016465A (zh) 用于家用器具的门
CN112444082B (zh) 可增加开度的对开门冰箱
AU2021245131A1 (en) Refrigerator
KR20120006723A (ko) 냉장고
KR20100129955A (ko)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
CN205368785U (zh) 一种滚筒洗衣机
CN101231092A (zh) 冰箱的合叶组件
US20230213268A1 (en)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s
EP3153800A1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