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922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0922B1
KR102220922B1 KR1020140109891A KR20140109891A KR102220922B1 KR 102220922 B1 KR102220922 B1 KR 102220922B1 KR 1020140109891 A KR1020140109891 A KR 1020140109891A KR 20140109891 A KR20140109891 A KR 20140109891A KR 102220922 B1 KR102220922 B1 KR 102220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rotrusion
refrigerator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3451A (ko
Inventor
조익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Priority to KR1020140109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922B1/ko
Publication of KR20160023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76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장고 도어케이스의 상측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에 데코부재를 끼워 설치하되, 상기 데코부재에는 보강대를 더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보강대가 걸려 설치되는 단턱을 더 형성함으로써, 상기 보강대와 상기 단턱이 상호 간에 지지하므로 데코부재의 비틀림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돌출부가 데코부재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유려해지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장고 도어케이스의 상측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에 데코부재를 끼워 설치하되, 상기 데코부재에는 보강대를 더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보강대가 걸려 설치되는 단턱을 더 형성함으로써, 상기 보강대와 상기 단턱이 상호 간에 지지하므로 데코부재의 비틀림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돌출부가 데코부재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유려해지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이 저온의 상태에서 보관되도록 하는 기기이다.
상기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시키는 도어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과 냉동실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는 상기 냉장실을 개폐시키는 냉장실 도어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냉장실 또는 냉동실에 저장된 식품을 꺼내기 위해서 냉동실 또는 냉장실 도어를 열어야 한다.
특허문헌 1에 전면 외형을 형성하는 도어 플레이트(343)와, 배면 외형을 형성하는 도어 케이스(342)와, 상하면을 형성하는 캡 데코(cap decor)(345) 및 좌우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데코(side decor)(미도시)를 포함하는 제 2 도어(340)에 대해 공지되어 있다(도 5 참조).
상기 캡 데코(345)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면과 하면의 외형을 각각 형성하며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캡 데코(345)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면을 이루는 캡데코와, 하면을 이루는 하부 캡데코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의 캡데코(345)에는 상기 제2 도어(340)의 개방시 사용자가 손잡이로 잡을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된 손잡이부(345g)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 데코(345)는 스크류(345h)에 의해 상기 도어 케이스(34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데코는 상기 도어 케이스(342)의 양측단에 장착되며, 스크류(미도시)에 의해 상기 도어 케이스(342)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캡데코(345) 및 사이드데코는 도어 케이스(342)에 조립된 후 뒤틀림이 발생하여 제품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공개공보 제10-2013-007218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냉장고 도어케이스의 상측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에 데코부재를 끼워 설치하되, 상기 데코부재에는 보강대를 더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보강대가 걸려 설치되는 단턱을 더 형성함으로써, 상기 보강대와 상기 단턱이 상호 간에 지지하므로 데코부재의 비틀림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돌출부가 데코부재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유려해지는 냉장고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외형을 형성하는 도어케이스, 상기 도어케이스 전면 상측에 형성된 돌출부; 상기 돌출부에 끼워 설치되는 데코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데코부재는, 상기 돌출부의 전면을 지지하는 전면 플레이트와,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상측이 연장되어 상기 돌출부의 상측을 덮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일측이 연장되어 상기 돌출부의 후면을 받쳐 지지하는 후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후면에는 후크가 더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후크가 걸려 설치되는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후면 플레이트 전면에는 보강대가 더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보강대가 걸려 설치되는 단턱이 더 형성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덮개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끝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후면 플레이트 전면에 보강대를 더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보강대가 걸려 설치되는 단턱을 더 형성하되, 상기 보강대가 후면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하여, 데코부재가 돌출부에 끼워져 설치된 후, 비틀림 등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덮개에 의해 상기 돌출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하여, 냉장고의 외관이 유려해진다.
또한, 데코부재의 전면 플레이에는 후크를 더 형성하고, 돌출부에는 상기 후크가 걸려 설치되는 단턱을 더 형성하였는데, 상기 후크와 단턱은 상호간에 지지되어, 데코부재의 비틀림 방지에 더욱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덮개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상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므로, 돌출부와 전면 플레이트의 직선거리가 추가 확보되어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지므로, 데코부재의 비틀림 방지에 더욱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섹션 일부는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코부재와 상기 데코부재가 설치되는 돌출부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캡데코가 설치된 도어의 단면으로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100)와, 본체(100)에 형성되며 전방이 개방된 다수의 저장실과, 각 저장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210, 220, 230, 24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저장실은 제1저장실과, 제2저장실과, 제3저장실과, 제4저장실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도어는 제1저장실을 개폐하는 제1도어(210)와, 제2저장실을 개폐하는 제2도어(220)와, 제3저장실을 개폐하는 제3도어(230)와, 제4저장실을 개폐하는 제4도어(240)를 포함하여, 4룸 4도어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제1저장실과 제2저장실은 본체(100)의 상부 좌, 우측에 각각 배치된 저장실을 지칭하며, 제3저장실과 제4저장실은 본체(100)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하부가 다시 상하측으로 구분되어 배치된 저장실을 지칭한다.
제1도어(210)와 제2도어(220)는 좌, 우 회동식으로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본체(100)의 중심을 지나는 세로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본체(100)의 양측에 힌지축(101)이 마련되어, 제1도어(210)와 제2도어(220)가 상기 본체(100)의 힌지축(101)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도어(230)와 제4도어(240)는 서랍식 도어이다.
제3도어(230)와 제4도어(240)는 상기 본체(10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움직여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각 도어(210, 220, 230, 240)에는 각 도어(210, 220, 230, 240)의 가장자리에 홈 형상으로 손잡이(211, 221, 231, 241)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제1도어(210)와 제2도어(220)의 손잡이(211, 221)는 측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도어(210)와 제2도어(220)의 전면에서 보이지 않도록 도어(210, 22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들어간 함몰홈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1도어(210)와 제2도어(220)가 본체(100)의 중심을 지나는 세로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회전하여 좌, 우 회동식으로 개폐됨에 따라, 손잡이(211, 221)는 본체(100)의 중심축으로 배치된 제1도어(210)와 제2도어(220)의 측벽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1도어(210)는 우측벽에 손잡이(211)가 형성되어 있고, 제2도어(220)는 좌측벽에 손잡이(2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도어(210)와 제2도어(220)는 각 도어의 하측에 손잡이(211, 221)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도어(210)와 제2도어(220)가 닫혔을 때, 손잡이(211, 221)는 본체(100)의 중심을 지나는 세로선 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3도어(230)와 제4도어(240)의 손잡이(231, 241)는 상기 도어(230, 240)의 전면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3도어(230)와 제4도어(240)의 전면에서 보이지 않도록 도어(230, 24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들어간 함몰홈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3도어(230)와 제4도어(240)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4도어(240)에 대해 설명하겠으나, 제4도어(240)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제3도어(230)는 물론이고, 제1도어(210) 및 제2도어(220)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제4도어(240)에 대해 도어(240)라 칭한다.
상기 도어(240)는 상기 도어(240)의 상하좌우측벽을 형성하는 도어케이스(10, 10a)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케이스(10, 10a)는 사각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상기 도어(240)의 상측벽에 형성된 도어케이스(10a)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들어간 함몰홈(15)이 형성되며, 상기 함몰홈(15)에는 사용자가 도어(240)를 개폐할 때 사용하는 손잡이부(17)가 형성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도어(240)를 열고 닫을 때, 사용자의 손을 상기 함몰홈(15)이 형성된 손잡이부(17)에 끼워 상기 도어(240)를 손쉽게 개폐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부(17)의 단면은 '
Figure 112014079965432-pat00001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손잡이부(17)의 전면은 도어 플레이트(13)에 의해 덮여진다.
상기 손잡이부(17)는 함몰홈(15)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워 도어(240)를 잡아당김으로써 사용자가 도어(240)를 열 수 있는 구조인데, 이때, 손잡이부(17)의 중심이 가장 볼록하고, 상기 손잡이부(17)의 양끝단으로 갈수록 함몰홈(15)의 폭이 좁아지도록 상기 손잡이부(17)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17)를 사용할 때 그립감이 향상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17)는 함몰홈(15)의 형태로 형성되어, 냉장고를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손잡이부(17)가 노출되지 않아 미관이 유려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손잡이부(17)는 도어(240)의 상측벽에 함몰홈(15)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17)의 전면 상측에는 상기 도어케이스(10a)의 상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부(19)가 더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9)에는 데코부재(30)가 설치된다.
상기 돌출부(19)에 데코부재(30)가 끼워져 설치됨으로써, 데코부재(30)에 의해 돌출부(19)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관이 유려해진다.
도 3 및 도 4에 상기 데코부재(30)와 상기 데코부재(30)가 설치된 돌출부(19)의 단면을 도시하였다.
상기 데코부재(30)는, 상기 돌출부(19)의 전면을 받쳐 지지하는 전면 플레이트(31)와, 상기 전면 플레이트(31)의 상측이 절곡연장되어 상기 돌출부(19)의 상측을 덮는 덮개(35)와, 상기 덮개(35)의 일측이 절곡연장되어 상기 돌출부(19)의 후면을 받쳐 지지하는 후면 플레이트(37)를 포함한다.
즉, 상기 돌출부(19)는 전면 플레이트(31)와 후면 플레이트(37) 사이에 끼워지는 것이다.
상기 전면 플레이트(31)의 후면에는 후크(33)가 더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9)의 제1단턱(21a)에 걸려 지지된다.
상기 제1단턱(21a)은 돌출부(19)의 전면에 형성되되, 상기 후크(33)가 걸릴 수 있도록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후크(33)가 제1단턱(21a)에 설치되면, 후크(33)는 제1단턱(21a)에 맞닿게되고, 전면 플레이트(31)의 후면은 돌출부(19)의 전면에 맞닿게 된다.
상기 후크(33)와 제1단턱(21a)은 상호간에 지지되어, 돌출부(19) 및 데코부재(30)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따르면, 전면 플레이트(31)의 일측은 도 4상의 y축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연장부(34)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34)의 일측과 후면 플레이트(39)의 상측은 덮개(35)로 연결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34)는 전면 플레이트(31)의 상측에 y축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연장부(34)가 도어 플레이트(13)의 상측면의 일부 혹은 전체를 덮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부(34)는 전면 플레이트(31)의 상단에서 직각으로 절곡형성되어, 돌출부(19)와 전면 플레이트(31)의 직선거리가 추가 확보되어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지므로, 데코부재(30)의 비틀림 방지에 더욱 효과적이다.
데코부재(30)가 도어(240)에 설치되었을 때, 연장부(34)의 하면이 도어 플레이트(13)의 상단을 덮어 감싸게 되므로, 상기 도어 플레이트(13)가 보호될 뿐만 아니라, 상기 도어 플레이트(13)의 후면이 노출되지 않아 심미감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연장부(34)의 전면 끝단에는, 도어 플레이트(13)의 후면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절곡되는 제1덮개(35a)가 형성된다.
제1덮개(35a)의 끝단은 한번 더 절곡 연장되되, 도 4상의 y축과 평행하도록 형성된 제2덮개(35b)를 더 형성하고, 상기 제2덮개(35b)의 끝단이 후면 플레이트(39)의 상측과 연결되어, 상기 데코부재(30)가 끼워지는 돌출부(19) 전체를 덮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였다.
후면 플레이트(39)는 제2덮개(35b)의 후측 끝단에서 도 4상의 z축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후면 플레이트(39)의 전면에는 보강대(39a)가 더 형성된다.
상기 보강대(39a)는 단면이 사각형상이다.
상기 돌출부(19)의 후면에는 보강대(39a)가 위치할 수 있도록, 'ㄴ'자 형상의 제2단턱(21b)이 더 형성된다.
보강대(39a)의 전면 및 하면이 제2단턱(21b)과 맞닿게 된다.
후면 플레이트(39)의 전면에 도면상의 x축을 따라 상기 보강대(39a)가 형성되기 때문에, 데코부재(30)가 비틀려 변형되는 문제가 감소한다.
또한, 상기 보강대(39a)가 형성된 데코부재(30)가 돌출부(19)에 끼워져 설치되면서, 상기 돌출부(19)가 보강대(39a)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구조이므로, 상기 돌출부(19) 및 데코부재(30)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후면 플레이트(39)의 상측은 도어 케이스(10a)의 후면에 형성된 제3단턱(21c)에 끼워지며, 상기 제3단턱(21c)은 후면 플레이트(39) 전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깊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단턱(21c)에 후면 플레이트(39)의 전면과 후면이 맞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후면 플레이트(39)와 제3단턱(21c)이 상호 간에 서로 받쳐 지지함으로써, 돌출부(19)와 데코부재(30)의 비틀림 방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데코부재(30)는 도어 케이스(10a)의 돌출부(19)에 끼워져 설치되어, 도어(240)의 외관이 유려해질 뿐만 아니라, 상기 데코부재(30)가 비틀려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10, 10a : 도어케이스 13 : 도어 플레이트
15 : 함몰홈 17 : 손잡이부
19 : 돌출부 21a : 제1단턱
21b : 제2단턱 21c : 제3단턱
30 : 데코부재 31 : 전면 플레이트
33 : 후크 34 : 연장부
35 : 덮개 35a : 제1덮개
35b : 제2덮개 39 : 후면 플레이트
39a : 보강대

Claims (2)

  1.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외형을 형성하는 도어케이스;
    상기 도어케이스 전면 상측에 형성된 돌출부;
    상기 돌출부에 끼워 설치되는 데코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데코부재는,
    상기 돌출부의 전면을 지지하는 전면 플레이트와,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상측이 연장되어 상기 돌출부의 상측을 덮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일측이 연장되어 상기 돌출부의 후면을 받쳐 지지하는 후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후면에는 후크가 더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후크가 걸려 설치되는 제1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후면 플레이트 전면에는 보강대가 더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보강대가 맞닿는 제2단턱이 더 형성되어 상기 보강대와 상기 제2단턱이 상호 간에 지지되는 냉장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상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냉장고.
KR1020140109891A 2014-08-22 2014-08-22 냉장고 KR102220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891A KR102220922B1 (ko) 2014-08-22 2014-08-22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891A KR102220922B1 (ko) 2014-08-22 2014-08-22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451A KR20160023451A (ko) 2016-03-03
KR102220922B1 true KR102220922B1 (ko) 2021-03-02

Family

ID=55535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891A KR102220922B1 (ko) 2014-08-22 2014-08-22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92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6837A (ja) * 2004-08-06 2006-02-16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冷蔵庫扉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034B1 (ko) * 2005-07-12 2014-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트림킷 구조의 냉장고 아웃도어
CN102116554A (zh) 2010-01-04 2011-07-06 Lg电子株式会社 电冰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6837A (ja) * 2004-08-06 2006-02-16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冷蔵庫扉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451A (ko)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40336B1 (en) Built-in kitchen appliance
US9241568B2 (en) Refrigerator drawers with trim
USD886164S1 (en) Refrigerator
USD874527S1 (en) Refrigerator
CN105258437B (zh) 用于冰箱的门以及冰箱
CN105333679B (zh) 冰箱
US11415364B2 (en) Refrigerator
USD928537S1 (en) Storage furniture
USD532799S1 (en) Refrigerator
KR102220922B1 (ko) 냉장고
EP2833090B1 (en) Refrigerator with drawer
KR102220923B1 (ko) 냉장고
KR20150112590A (ko) 도어 핸들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D890228S1 (en) Refrigerator handle and lock
USD625122S1 (en) Cabinet for a home exercise system
WO2016031534A1 (ja) 冷蔵庫の扉および冷蔵庫
KR20140123738A (ko) 냉장고
CN205332644U (zh) 一种改进把手设计的双开门冰箱
JP5606490B2 (ja) 冷蔵庫扉
USD869205S1 (en) Display and storage cabinet
JP2021162285A (ja) 冷蔵庫用扉および冷蔵庫
JP2008261588A (ja) 冷蔵庫扉
KR102195545B1 (ko) 냉장고 도어
EP2233869A2 (en) Refrigerator appliance with horizontal handle
EP3742090B1 (en) Refrigerator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