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9980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9980B1
KR102229980B1 KR1020167000217A KR20167000217A KR102229980B1 KR 102229980 B1 KR102229980 B1 KR 102229980B1 KR 1020167000217 A KR1020167000217 A KR 1020167000217A KR 20167000217 A KR20167000217 A KR 20167000217A KR 102229980 B1 KR102229980 B1 KR 102229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lder
container
guide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0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1438A (ko
Inventor
임지현
김진동
김현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21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9Ho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을 저장하는 제1저장영역을 정의하는 캐비닛; 상기 제1저장영역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제1저장영역을 실링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가스켓; 상기 가스켓에 의하여 의하여 정의되는 실링영역의 외부에 위치하며, 일측은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힌지; 제2저장영역을 정의하며, 상기 제1저장영역에 수용되는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가 컨테이너와 분리되어 회전될 때에 컨테이너를 캐비닛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토출하여 고내의 온도를 저하시켜 음식물 등을 냉동시키거나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는 음식물 또는 음료를 얼려서 보관하는 냉동실과, 상기 음식물 또는 음료를 저온에서 보관하는 냉장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된 탑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과,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된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과, 냉동실과 냉장실이 격벽에 의해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냉장고는 상기 냉동 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 열교환하면서 발생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냉동실 또는 냉장실과 같은 저장실을 냉각시킨다. 따라서, 냉장고의 저장실 내부는 보통 외부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된다.
냉동실과 냉장실은 냉장고 캐비닛를 이루는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어 각각 냉동실도어와 냉장실도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냉동실도어와 냉장실도어는 전면이 개구된 냉동실과 냉장실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각 도어에는 저장실 내부의 밀폐를 위해 개스킷이 마련된다.
최근에는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고 도어를 자주 개폐함에 따른 냉기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캐비닛과 냉장실도어 또는 냉동실도어의 사이에 보조 도어를 설치하고, 보조 도어에 저장용기를 설치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냉동실 또는 냉장실 도어와 상기 보조도어에는 각각의 개스킷이 각각 구비되므로, 보조도어 없이 개스킷이 하나만 구비되는 경우에 비해 상기 2개의 개스킷을 통한 냉기 손실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개스킷이 접촉하는 부위인 캐비닛의 전면과 냉장실 또는 냉동실 도어 전면에는 내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이슬이 맺히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두 부위에 히터를 내장하여 가열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이슬 맺힘을 방지하기 위한 히터가 2개가 필요하므로 그만큼 소비전력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냉동실 또는 냉장실 도어는 보조도어와는 개별적으로 개폐될 수 있기 때문에, 냉동실 또는 냉장실 도어가 개폐될 때에 보조도어를 안정적으로 캐비닛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도어가 컨테이너와 별도로 회전될 때에 컨테이너를 캐비닛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만 회전될 때에 컨테이너가 사용자를 향해서 이동될 수 있는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식품을 저장하는 제1저장영역을 정의하는 캐비닛; 상기 제1저장영역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제1저장영역을 실링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가스켓; 상기 가스켓에 의하여 의하여 정의되는 실링영역의 외부에 위치하며, 일측은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힌지; 제2저장영역을 정의하며, 상기 제1저장영역에 수용되는 컨테이너; 상기 실링영역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측은 상기 컨테이너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도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힌지; 상기 제1저장영역에 돌출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부; 및 상기 컨테이너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는 고정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힌지의 회전축은 상기 제1힌지의 회전축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지 않아, 상기 도어가 상기 컨테이너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되면, 상기 컨테이너와 상기 제2힌지가 결합된 부분은 전방으로 인출되며,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도어에 눌러지는 푸쉬부와, 상기 도어가 회전되어 상기 푸쉬부의 누름이 해제되는 동안에,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컨테이너의 회전 중심이 되도록 고정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의하면,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해서 하나의 도어만을 구비하기 때문에 2개의 가스켓을 사용함으로 인해서 발생되는 냉기손실과 히터에 의한 소비전력이 감소해서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테이너와 도어를 개별 또는 함께 동작시킬 수 있어서, 저장실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테이너에 거치된 식품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테이너를 제외한 도어만을 동작시킬 때에 컨테이너가 캐비닛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해서, 컨테이너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컨테이너가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동작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만을 동작시킬 때에, 컨테이너가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컨테이너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서 도어가 저장실을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서 도어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서 도어와 컨테이너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테이너에 고정 장치가 설치된 도면.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어가 회동될 때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6는 도 3에서 ‘A’부분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8는 도 7의 좌측면도.
도 9는 도 7의 우측면도.
도 10은 도 7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상태에서 가이드부와 고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2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상태에서 가이드부와 고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3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상태에서 가이드부와 고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4은 도 13의 상태에서 도 11의 상태로 변환되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에 고정 장치가 설치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어가 회동될 때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17는 도 3에서 ‘A’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도 18의 좌측면도.
도 20는 도 18의 우측면도.
도 21은 도 18의 분해 사시도.
도 22은 다른 실시예에서 푸쉬부, 캠 및 수용홈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 도면.
도 2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상태에서 가이드부와 고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2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상태에서 가이드부와 고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25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상태에서 가이드부와 고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서 도어가 저장실을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냉장고의 캐비닛(10)에는 도어(20)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20)는 냉장실 또는 냉동실을 개방하는 도어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저장실은 식품을 저장하는 제1저장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물이나 얼음을 공급받을 수 있는 디스펜서(30)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도어(20)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디스펜서(30)를 통해서 얼음 또는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도어(20)에는 사용자가 손을 파지해서 상기 도어(20)를 회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22)가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부(22)에 사용자가 손을 파지해서 상기 도어(20)를 회동시켜 저장실을 개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손잡이부(22)에는 사용자가 가압할 수 있는 버튼(652)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버튼(652)을 가압해서 냉장고의 도어 개방 등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버튼(652)은 추후에 설명할 체결 장치를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손잡이부(22)의 일측에는 상기 도어(20) 내부로 연결될 수 있도록 버튼 부재 하우징(654)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버튼 부재 하우징(654)은 상기 버튼(652)에 의해서 발생되는 변위가 상기 도어(20) 내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내부에 푸쉬 바가 내장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서 도어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2에서는 상기 도어(20)만 회동된 상태이고, 상기 도어(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컨테이너(100)는 상기 저장실(2) 내에 수용된 상태이다.
상기 캐비닛(10)의 내측에는 냉동실 또는 냉장실에 해당되고 식품이 저장될 수 있는 저장실(2)이 구비된다. 상기 저장실(2)을 개폐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20)를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캐비닛(10)에 대해서 상기 도어(20)는 제1힌지(40)를 통해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힌지(40)는 상기 캐비닛(10)의 측면 일 단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20)의 측면 일 단에 설치되어서, 상기 도어(20)는 상기 캐비닛(10)에 대해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의 내측에는 상기 캐비닛(10)에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가스켓(26)이 구비된다. 상기 가스켓(26)은 상기 도어(20)의 외주면을 따라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가스켓(26)은 상기 도어(20)의 사각 형상을 따라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도어(20)가 상기 캐비닛(10)를 향해서 회전되어 상기 저장실(2)이 밀폐되면, 상기 가스켓(26)은 상기 캐비닛(10)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저장실(2)이 최종적으로 밀폐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의 내측에는 식품이 보관되는 저장부(24)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20)를 개방한 후에, 사용자가 상기 저장부(24)에 접근해서, 상기 도어(20)의 내측에 설치된 저장부(24)에 식품을 보관하거나 보관된 식품을 꺼낼 수 있다.
상기 도어(20)에는 상기 컨테이너(100)가 제2힌지(200)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힌지(200)는 상기 제1힌지(40)와는 별도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2힌지(200)의 회전축은 상기 도어(2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제1힌지(40)와 상기 제2힌지(200)는 서로 연결되는 구조가 없이 상기 도어(20)에 함께 결합된다.
상기 체결 장치(600)의 일부는 상기 도어(20)에 설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컨테이너(100)에 설치된다. 상기 체결 장치(600)는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도어(20)를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체결 장치(600)의 일부 중 상기 컨테이너(100)에 설치되는 부분은 체결부(610)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 장치(600)의 일부 중 상기 도어(20)에 설치되는 부분은 상기 체결부(610)에 결합되는 홀더(630)와, 상기 체결부(610)를 동작시켜 상기 체결부(610)와 상기 홀더(630)의 결합을 해제하는 조작부(640)이다.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22)에 마련된 버튼(652)의 조작 여부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도어(20)가 함께 회전될 지, 또는 상기 도어(20)만 회전될 지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버튼(652)를 조작해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100)가 상기 저장실(2)에 수용되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도어(20)만을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홀더(630)는 상기 가스켓(26)에 의해 구분되는 내측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가스켓(26)은 전체적으로 상기 도어(20)의 외주면과 유사한 사각 형상을 이루면서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체결 장치(600)의 일부는 그 사각 형상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630)와 상기 체결부(610)는 상기 가스켓(26)을 기준으로 상기 저장실(2)을 이루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 장치(600)는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2)을 밀폐하는 경우에, 상기 가스켓(26)에 의해서 구분되는 상기 저장실(2)을 이루는 공간에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 장치(600)는 냉기가 공급되는 상기 저장실(2)에 위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체결부(610)는 상기 컨테이너(100)에 설치되지만, 상기 체결부(610)도 상기 가스켓(26)에 의해 구분되는 내측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가스켓(26)을 기준으로 상기 저장실(2)을 이루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 장치(600)는 상기 제2힌지(200)가 설치되는 위치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도어(20)에 대해서 상기 제2힌지(200)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는데, 상기 체결 장치(600)의 위치는 상기 제2힌지(200)에 의한 회전 중심의 외곽에 배치된다. 상기 래치(600)가 회전 중심인 상기 제2힌지(200)로부터 멀리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컨테이너(100)과 상기 도어(20)의 결합을 상대적으로 작은 힘으로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100)의 상측에는 상기 컨테이너(100)를 상기 캐비닛(10)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 장치(500)가 구비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서 도어와 컨테이너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3에서는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가 함께 회전되어서 상기 저장실(2)이 개방된 상태이다.
상기 컨테이너(100)에는 복수 개의 저장부(52)가 설치되어서, 사용자는 상기 저장부(52)에 식품을 저장하거나, 상기 저장부(52)에 저장된 식품을 꺼낼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저장부(52)는 서로 높이를 다르게 해서 설치되어서, 상기 컨테이너(100)에는 복수 개의 저장부(5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100)는 식품이 저장되는 제2저장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컨테이너(100)에 설치된 저장부(52)를 이용하기 위해서, 상기 컨테이너(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100)가 회전되고 상기 저장실(2)로부터 꺼내져서 사용자가 상기 저장부(52)에 접근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100)가 상기 도어(20)에 접촉한 상태에서도 상기 가스켓(26)은 상기 컨테이너(100)와 접촉하지 않는다. 즉 상기 가스켓(26)이 상기 도어(20)에 설치된 위치는 상기 컨테이너(100)의 외주면보다 크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가스켓(26)과 상기 컨테이너(100)과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2)을 밀폐한 상태에서도,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가스켓(26)의 사이에는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가스켓(26)은 상기 캐비닛(10)에 접촉할 수 있다.
즉 도 1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가스켓(26)을 사이에 두고 상기 도어(20)와 상기 캐비닛(10)가 마주보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저장실(2)은 상기 가스켓(26)과 상기 도어(20)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밀폐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컨테이너(100)를 위한 가스켓을 구비하지 않고, 상기 도어(20)를 위한 가스켓(26) 만을 구비한다. 즉 상기 도어(20)에만 가스켓(26)을 설치하더라도 상기 저장실(2)은 충분히 밀폐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가스켓의 설치로 인한 냉기 손실이나 히팅을 위한 에너지 낭비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저장실(2) 내에는 식품이 거치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선반(4)이 높이를 달리해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실(2) 내에는 슬라이딩되어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서랍(6)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서랍(6)은 상기 도어(20) 또는 상기 컨테이너(100)의 회동으로 인해서 상기 저장실(2)이 개방되더라도, 상기 서랍(6) 내에 수용된 식품이 일정 수준으로 밀폐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컨테이너(100)에는 상기 컨테이너(100)가 상기 캐비닛(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 장치(50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 장치(500)는 상기 캐비닛(10)의 내측, 즉 상기 저장실(2)의 상면에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사용자는 편의에 따라 상기 도어(20) 만을 회전시키거나,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을 함께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 장치(500)에 의해서 상기 컨테이너(100)과 상기 캐비닛(10)가 고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20)만이 회동된다. 반면에 상기 컨테이너(100)과 상기 캐비닛(10)가 고정되지 않으면, 상기 컨테이너(100)과 상기 도어(20)가 함께 회전되어서 상기 저장실(2)이 개방될 수 있다.
도 3에서 ‘A’라고 부분의 상기 캐비닛(10) 내측에는 도 6 또는 도 17에서 설명할 가이드부가 구비된다. 가이드부에 대해서는 도 6 또는 도 17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테이너에 고정 장치가 설치된 도면이다. 다만 도 4에서는 상기 체결부만을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분해해서 도시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컨테이너(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110), 상기 바디(110)에 결합되는 커버(13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130)는 상기 바디(110)의 개구부를 마감해서 상기 바디(110)의 내부 중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커버(130)에는 상기 체결 장치(60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 장치(600) 중에 상기 컨테이너(100)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는 상기 체결부(610)와 상기 체결부(610)의 전방을 마감하는 커버(6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610)와 상기 커버(612)는 상기 도어(20)에 접촉가능하도록 상기 컨테이너(100)에 설치된다.
상기 바디(110)의 상측에는 상기 고정 장치(5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장치(500)는 상기 저장실(2)의 내측 상면과 선택적으로 접촉되어서 상기 컨테이너(100)가 상기 저장실(2)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힌지(200)는 상기 도어(20)에 결합되는 회전축(20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06)은 상기 도어(2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서, 상기 회전축(206)을 중심으로 상기 컨테이너(100)가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힌지(200)는 상기 컨테이너(10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전체가 두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제2힌지(200)는 상기 컨테이너(100)과 상기 도어(20)에 설치되는 위치만을 달리할 뿐, 전체적인 형상은 동일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어가 회동될 때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5 (a)는 도 1에 도시된 상태처럼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2)을 밀폐해서,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제2힌지는 앞에서 설명한 제2힌지로부터 변형된 형태이지만,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명칭인 제2힌지로 통일해서 설명한다.
상기 도어(20)가 상기 컨테이너(100)의 전면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컨테이너(100)는 약간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즉 도 5 (a)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도어(20)의 일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컨테이너(100)의 좌측보다 우측이 상기 도어(20)에 대해 멀도록 배치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100)의 좌측에는 상기 고정 장치(500)가 배치되어 있다.
도 5 (b)는 도 2에 도시된 상태처럼 상기 도어(20)만 회전되어서,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는 서로 떨어지도록 배치된 상태이다.
이때 상기 도어(20)만 회전되면, 상기 고정 장치(500)에 의해서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캐비닛(10)에 고정되도록 배치된다. 다만, 도 5 (a)와 비교했을 때에, 상기 컨테이너(100)는 경사지지 않고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컨테이너(100)가 사용자를 향해서 소정 길이만큼 인출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도어(20)를 회전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컨테이너(100)는 사용자를 향해서 이동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컨테이너(100)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은 상기 제1힌지(40)의 회전축(42)과 상기 제2힌지(200)의 회전축(206)이 서로 상이하게 배치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힌지(40)의 회전축(42)와 상기 제2힌지(200)의 회전축(206)의 중심이 동일한 연장선 상에 배치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1힌지(40)의 회전축(42)와 상기 제2힌지(200)의 회전축(206)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뿐, 위에서 바라봤을 때에 다른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도어(20)가 상기 캐비닛(10)에 대해서 회전되면 상기 컨테이너(100)도 상기 도어(20)의 회전에 영향을 받아 이동이 될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제2힌지(200)에 의해서 상기 도어(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도어(20)가 회전되면 상기 제2힌지(200)의 회전축(206)도 상기 제1힌지(40)의 회전축(42)에 대해서 회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한편 도 5 (a)의 위치에 비해서 도 5 (b)의 상태에서 상기 고정 장치(500)가 하방을 향해서 이동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장치(500)는 상기 컨테이너(100)에 설치되는데, 상기 도어(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100)의 이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고정 장치(500)도 함께 이동된다.
이후에 설명하겠지만, 도 5 (b)의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 장치(500)가 상기 캐비닛(10)에 걸려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도어(20)를 따라 함께 회전되지 않는다.
도 6는 도 3에서 ‘A’부분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6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캐비닛(10)의 상측에는 상기 저장실(2)에 돌출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부(12)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12)는 상기 캐비닛(10)의 상측에서 하방을 향해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2)는 기둥 형태로 돌출된 가이드 핀(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14)은 상기 캐비닛(10)의 내측에 이동되지 않고,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 핀(14)은 소정 크기의 두께를 가지기 때문에 일정 수준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장치(500)에 접촉되면서 상기 고정 장치(500)에 의해서 이동되거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14)은 전체적으로 원형 단면을 갖는 원기둥의 형상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가이드 핀(14)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2)는 회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가이드 바(15)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바(15)는 일측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바(15)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원래 위치로 복귀하도록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16)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바(15)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 바(15)가 특정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멈춤 돌기(18)가 구비된다. 상기 멈춤 돌기(18)는 상기 가이드 바(15)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이드 바(15)에 접촉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바(15)에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멈춤 돌기(18)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돌출되도록 마련되어서, 상기 가이드 바(15)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바(15)는 상기 가이드 핀(14)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가지면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바(15)와 상기 가이드 핀(14)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상기 고정 장치(500)의 동작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는 도 7의 좌측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우측면도이며, 도 10은 도 7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고정 장치(500)는 상기 가이드부(12)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장치(500)는 상기 컨테이너(100)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고정 장치(500)의 위치는 상기 가이드부(12)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 장치(500)는 상기 가이드부(12)의 일측을 감싸는 제1홀더(510)와 상기 가이드부(12)의 타측을 감싸는 제2홀더(5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홀더(510)는 상기 가이드 핀(14)의 일측을 감싸고, 상기 제2홀더(520)는 상기 가이드 핀(14)의 타측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장치(500)는 상기 바디(110)에 설치되는 하우징(502)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502)에는 상기 제1홀더(510)와 상기 제2홀더(52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1홀더(510)와 상기 제2홀더는 상기 하우징(502)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홀더(510)에는 상기 가이드 핀(14)에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제1안착면(5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안착면(512)에는 상기 가이드 핀(14)에 잦은 접촉으로 파손 또는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홀더(510)는 상기 제1홀더(51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제1회전축(518)을 구비한다. 상기 제1회전축(518)은 상기 하우징(502)에 마련된 제1중공(504)에 삽입된다. 상기 제1중공(504)은 원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축(518)의 타단에는 제1홀더 고정편(514)이 고정되어서, 상기 제1홀더(510)가 상기 제1중공(504)으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축(518)의 일단과 상기 제1홀더 고정편(514)의 일단은 상기 제1중공(504)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되어서, 상기 제1중공(504)으로 상기 제1홀더 고정편(514)나 상기 제1회전축(518)의 일단이 빠져나가지 못하고, 상기 제1홀더(510)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홀더(510)는 상기 제1중공(504), 즉 상기 제1회전축(518)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홀더(51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1홀더(510)가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힘을 제공하는 제1탄성 부재(519)가 구비된다. 상기 제1탄성 부재(519)는 일단은 상기 제1홀더(510)에 고정되고, 상기 제1탄성 부재(519)의 타단은 상기 하우징(50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홀더(510)는 상기 제1회전축(518)의 반대편에 돌출되도록 마련된 제1걸림편(516)이 구비된다. 상기 제1걸림편(516)은 상기 제1홀더(510)의 하방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02)에는 상기 제1홀더(51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1스톱퍼(560)가 구비된다. 상기 제1스톱퍼(560)는 회동이 가능하도록 스프링(564)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고, 외력이 가해지지 않게 되면 상기 스프링(56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톱퍼(560)는 하방으로 연장된 제1연장 부재(562)를 구비한다. 상기 제1연장 부재(562)는 이후에 설명할 푸쉬부(550)에 접촉하면서 상기 제1스톱퍼(56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연장 부재(562)는 상기 제1스톱퍼(560)의 상측과는 다른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어서, 상기 푸쉬부(550)에 접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스톱퍼(560)는 상기 제1걸림편(516)에 선택적으로 접촉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502)에 배치된다.
상기 제2홀더(520)에는 상기 가이드 핀(14)에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제2안착면(5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안착면(521)에는 상기 가이드 핀(14)에 잦은 접촉으로 파손 또는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홀더(520)는 상기 제2홀더(52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제2회전축(528)을 구비한다. 상기 제2회전축(528)은 상기 하우징(502)에 마련된 제2중공(506)에 삽입된다. 상기 제2중공(506)은 원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축(528)의 타단에는 제2홀더 고정편(522)이 고정되어서, 상기 제2홀더(520)가 상기 제2중공(506)으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축(528)의 일단과 상기 제2홀더 고정편(522)의 일단은 상기 제2중공(506)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되어서, 상기 제2중공(506)으로 상기 제2홀더 고정편(522)나 상기 제2회전축(528)의 일단이 빠져나가지 못하고, 상기 제2홀더(520)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홀더(520)는 상기 제2중공(506), 즉 상기 제2회전축(528)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홀더(52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2홀더(520)가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힘을 제공하는 제2탄성 부재(529)가 구비된다. 상기 제2탄성 부재(529)는 일단은 상기 제2홀더(520)에 고정되고, 상기 제2탄성 부재(529)의 타단은 상기 하우징(50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홀더(520)는 상기 제2회전축(528)의 반대편에 돌출되도록 마련된 제2걸림편(526)이 구비된다. 상기 제2걸림편(526)은 상기 제2홀더(520)의 하방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02)에는 상기 제2홀더(52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2스톱퍼(570)가 설치된다. 상기 제2스톱퍼(570)는 회동이 가능하도록 스프링(574)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고, 외력이 가해지지 않게 되면 상기 스프링(57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제2스톱퍼(570)는 하방으로 연장된 제2연장 부재(572)를 구비한다. 상기 제2연장 부재(572)는 이후에 설명할 푸쉬부(550)에 접촉하면서 상기 제2스톱퍼(57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연장 부재(572)는 상기 제2스톱퍼(570)의 상측과는 다른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어서, 상기 푸쉬부(550)에 접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스톱퍼(570)는 상기 제2걸림편(526)에 선택적으로 접촉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502)에 배치된다.
상기 제1홀더(510)와 상기 제2홀더(520)는 상기 제1안착면(512)과 상기 제2안착면(521)이 서로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일시적으로 상기 제1홀더(510)와 상기 제2홀더(520)는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홀더(510)와 상기 제2홀더(520)는 상기 하우징(502)에 개별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1홀더(510)와 상기 제2홀더(520)는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제1홀더(510)의 회전은 상기 제2홀더(520)에 영향을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제1스톱퍼(560)와 상기 제2스톱퍼(570)도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하우징(502)에 배치될 수 있다.물론 상기 제1스톱퍼(560)와 상기 제2스톱퍼(570)는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502)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고정 장치(500)는 상기 하우징(502)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푸쉬부(550)를 포함한다.
상기 푸쉬부(550)는 상기 도어(20)에 접촉해서 선택적으로 가압되는 가압편(552)과, 상기 가압편(552)에서 연장되고 상기 컨테이너(100)를 관통하는 연결편(554)과, 상기 연결편(554)에 결합되어 상기 스톱퍼(560)를 회동시키는 힘을 전달하는 전달편(556)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편(552)은 상기 컨테이너(100)의 외측으로 일부가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압편(552)은 상기 도어(20)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상기 도어(20)와 접촉에 따른 가압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결편(554)보다 큰 단면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편(554)은 상기 컨테이너(100)에 일부가 수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압편(552)에서 가해지는 힘을 상기 전달편(556)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연결편(554)은 두 개의 봉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일 단에서 상기 가압편(552)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가압편(552)에 가해지는 힘을 두 곳으로 분산시켜서, 힘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연결편(554)과 상기 전달편(556)은 스크류 결합 등을 통해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푸쉬부(550)는 상기 하우징(502)에 대해서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푸쉬부(55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원래 위치로 복귀하도록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푸쉬부(550)의 동작을 제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전달편(556)에는 다른 측면보다 돌출되도록 마련된 제1돌출면(557)과 제2돌출면(558)이 형성된다. 상기 제1돌출면(557)은 상기 제1스톱퍼(560)의 상기 제1연장 부재(562)에 선택적으로 접촉 가능하고, 상기 제2돌출면(558)은 상기 제2스톱퍼(570)의 상기 제2연장 부재(572)에 선택적으로 접촉 가능하다.
상기 제1돌출면(557)과 상기 제2돌출면(558)은 상기 전달편(556)의 반대편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돌출면(557)의 일단과 상기 제2돌출면(558)의 일단에는 경사지면서, 상기 전달편(556)의 폭이 좁아지도록 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달편(556)은 상기 제1돌출면(557)과 상기 제2돌출면(558)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갖고, 다른 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상태에서 가이드부와 고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2)을 밀폐하는 경우에는 상기 컨테이너(100)은 도 2에서와 같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100)은 상기 도어(20)에 완전히 가려져 도 1의 상태에서는 도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100)과 상기 도어(20)는 서로 맞닿아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가압편(552)은 상기 도어(20)에 의해서 가압되어 눌려진 상태이다. 상기 가압편(552)이 눌려지기 때문에 상기 제1스톱퍼(560)의 제1연장 부재(562)는 상기 제1돌출면(557)에 접촉하고, 상기 제2스톱퍼(570)의 제2연장 부재(572)는 상기 제2돌출면(558)에 접촉한다.
상기 제1돌출면(557)과 상기 제2돌출면(558)은 상기 전달편(556)의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1스톱퍼(560)와 상기 제2스톱퍼(570)의 회전된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1스톱퍼(560)는 원래 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만큼 회전되어서, 상기 제1걸림편(516)에 걸리지 않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스톱퍼(570)는 원래 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만큼 회전되어서, 상기 제2걸림편(526)에 걸리지 않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스톱퍼(560)와 상기 제2스톱퍼(570)는 상기 전달편(556)에 의해서, 상기 제1스톱퍼(560)와 상기 제2스톱퍼(57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상기 제1홀더(510)와 상기 제2홀더(520)는 상기 제1스톱퍼(560)와 상기 제2스톱퍼(570)에 의해서 고정되지 않은 상태이다.
상기 제1홀더(510)와 상기 제2홀더(520)는 상기 제1탄성 부재(519)와 상기 제2탄성 부재(529)의 탄성력을 이길 정도의 힘만 가하면, 각각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장치(500)는 상기 가이드부(12)에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이룬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는 상기 컨테이너(100)가 상기 캐비닛(10)에 고정된 상태는 아니지만, 상기 도어(20)가 상기 컨테이너(100)에 맞닿아 있고 상기 도어(20)가 상기 컨테이너(100)의 이동을 막기 때문에 상기 컨테이너(100)는 회전될 수 없는 상태이다.
특히 상기 가이드 핀(14)에 의해서 상기 제1홀더(51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이다. 즉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2)을 밀폐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홀더(510)는 상기 컨테이너(100)을 향해서 소정 각도 만큼 회전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홀더(51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502)과 상기 제1홀더(510)의 사이에는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11의 상태에서는 상기 제1홀더(510)가 회전된 상태인 반면에, 상기 제2홀더(520)는 정지된 상태로 배치된다. 즉 상기 제1홀더(510)와 상기 제2홀더(520) 중에 어느 하나만 회전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2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상태에서 가이드부와 고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2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한편 사용자가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100)의 전방을 통해서 상기 컨테이너(100)에 접근하거나, 상기 도어(20) 내측에 저장된 식품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20)만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캐비닛(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컨테이너(100)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도어(20)만을 회전시키면,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20)가 상기 가압편(552)을 가압하던 힘이 제거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술한 체결 장치(600)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만 회전하게 되면 상기 도어(20)는 상기 컨테이너(100)으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상기 가압편(552)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제1돌출면(557)은 상기 제1스톱퍼(560)의 상기 제1연장 부재(562)에 접촉하지 못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돌출면(558)은 상기 제2스톱퍼(570)의 상기 제2연장 부재(572)에 접촉하지 못한다.
상기 제1스톱퍼(560)와 상기 제2스톱퍼(570)는 상기 전달편(556)에서 각각 상기 제1돌출면(557)과 상기 제2돌출면(558)보다 내측으로 함몰된 부분에 접촉한다. 즉 도 11과 비교해서, 상기 제1스톱퍼(560)와 상기 제2스톱퍼(57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서로 가깝도록 배치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제1스톱퍼(560)는 상기 제1걸림편(516)에 걸려서, 상기 제1홀더(51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스톱퍼(570)는 상기 제2걸림편(526)에 걸려서, 상기 제2홀더(52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1홀더(510)와 상기 제2홀더(520)는 회전이 모두 불가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고정 장치(500)는 상기 가이드 핀(14)에 고정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100)은 상기 캐비닛(10)에 고정되게 된다.
한편 도 12의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핀(14)은 상기 제1안착면(512)과 상기 제2안착면(521)에 접촉하게 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도 11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체결 장치(600)에 의해서 상기 도어(20)만을 회전시킨 경우에는 상기 고정 장치(500)가 상기 컨테이너(100)를 상기 캐비닛(10)에 결합시키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도어(20)가 회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10)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3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상태에서 가이드부와 고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3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사용자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도어(20)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도 11에서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가 함께 회전되게 된다.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의 간격은 유지되면서, 함께 상기 제1힌지에 의해서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가 상기 캐비닛(10)에 대해서 회전되기 때문이다.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가 함께 동작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체결 장치(600)를 앞에서 설명한 방식에 따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체결 장치(600)의 동작 방식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의 상태에서 상기 고정 장치(500)는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캐비닛(10)를 고정하지 않은 상태이다. 즉 상기 제2홀더(520)는 상기 제2스톱퍼(570)에 맞물려 있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2홀더(520)는 상기 제2탄성 부재(529)의 탄성 복원력을 극복할 정도의 작은 힘만 가하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핀(14)은 상기 캐비닛(10)에 일체를 이루면서 정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2홀더(520)는 상기 도어(20)와 컨테이너(100)가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홀더(520)는 상기 가이드 핀(14)에 접촉해서 상기 가이드 핀(14)에 의해서 반 시계 방향으로 충분히 회전되게 된다. 특히 상기 제2홀더(520)가 충분히 회전되면 상기 제2홀더(520)는 상기 가이드 핀(14)에 더 이상 접촉하지 못한다.
즉 상기 고정 장치(500)는 상기 가이드 핀(14)에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도어(20)를 상기 캐비닛(10)에 대해서 회전시켜, 상기 저장실(2)에 저장된 식품에 접근할 수 있다.
물론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도어(20)가 상기 캐비닛(10)에 대해서 충분히 회전된 상태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것보다 상기 제2홀더(520)는 반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핀(14)은 상기 고정 장치(500)로부터 멀리 떨어지도록 배치된다.
도 14은 도 13의 상태에서 도 11의 상태로 변환되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4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사용자가 상기 저장실(2)에 보관된 식품을 꺼내거나, 상기 저장실(2)에 식품을 넣은 후에는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를 도 1에 도시된 형태로 회전시켜야 한다.
이때 도 3과 같이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도어(20)가 함께 회전된 상태에서는 도 14 (a)와 같이 상기 제2홀더(52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왜냐하면 상기 제2탄성 부재(529)는 상기 제2홀더(520)가 일정 영역 이상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홀더(520)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2탄성 부재(529)가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제2홀더(520)는 반 시계 방향을 회전되어 정지되어 있다.
사용자가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를 상기 저장실(2)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2홀더(520)가 상기 가이드 바(15)에 맞닿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컨테이너(100)를 상측으로 점점 회전시키게 됨에 따라 상기 제2홀더(520)는 상기 가이드 바(15)의 다른 부분에 연속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특히 상기 가이드 바(15)는 회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제2홀더(520)에 순간적으로 강한 힘을 가하지는 않는다. 즉 상기 제2홀더(520)가 상기 가이드 바(15)에 큰 힘을 가하면, 상기 가이드 바(15)는 도 14 (b)에서와 같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바(15)가 상기 제2홀더(520)에 부딪혀서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4 (c)와 도 14 (d)과 같은 상태로 점점 변화되면서, 상기 제2홀더(520)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서, 도 11에 도시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에 고정 장치가 설치된 도면이다. 다만 도 15에서는 도 4에서와는 달리 다른 형태의 고정 장치(1500)가 설치되어 있다는 차이만 있기 때문에, 다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서 도어가 회동될 때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도 1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6 (a)는 도 1에 도시된 상태처럼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2)을 밀폐해서,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도어(20)가 상기 컨테이너(100)의 전면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컨테이너(100)가 약간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즉 도 16 (a)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도어(20)의 일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컨테이너(100)의 좌측보다 우측이 상기 도어(20)에 대해 멀도록 배치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100)의 좌측에는 상기 고정 장치(1500)가 배치되어 있다.
도 16 (b)는 도 2에 도시된 상태처럼 상기 도어(20)만 회전되어서,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는 서로 떨어지도록 배치된 상태이다.
이때 상기 도어(20)만 회전되면, 상기 고정 장치(1500)에 의해서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캐비닛(10)에 고정되도록 배치된다. 다만, 도 16 (a)와 비교했을 때에, 상기 컨테이너(100)는 경사지지 않고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컨테이너(100)가 사용자를 향해서 소정 길이만큼 인출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도어(20)를 회전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컨테이너(100)가 사용자를 향해서 이동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컨테이너(100)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은 상기 제1힌지(40)의 회전축(42)과 상기 제2힌지(200)의 회전축(206)이 서로 상이하게 배치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힌지(40)의 회전축(42)와 상기 제2힌지(200)의 회전축(206)의 중심이 동일한 연장선 상에 배치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1힌지(40)의 회전축(42)와 상기 제2힌지(200)의 회전축(206)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뿐, 위에서 바라봤을 때에 다른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도어(20)가 상기 캐비닛(10)에 대해서 회전되면 상기 컨테이너(100)도 상기 도어(20)의 회전에 영향을 받아 이동이 될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제2힌지(200)에 의해서 상기 도어(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도어(20)가 회전되면 상기 제2힌지(200)의 회전축(206)도 상기 제1힌지(40)의 회전축(42)에 대해서 회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한편 도 16 (a)의 위치에 비해서 도 16 (b)의 상태에서 상기 고정 장치(1500)가 하방을 향해서 이동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장치(1500)는 상기 컨테이너(100)에 설치되는데, 상기 도어(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100)의 이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고정 장치(1500)도 함께 이동된다.
이후에 설명하겠지만, 도 16 (b)의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 장치(1500)가 상기 캐비닛(10)에 걸려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도어(20)를 따라 함께 회전되지 않는다.
도 17는 도 3에서 ‘A’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7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캐비닛(10)의 상측에는 상기 저장실(2)에 돌출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부(1012)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1012)는 상기 캐비닛(10)의 상측에서 하방을 향해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012)는 기둥 형태로 돌출된 가이드 핀(10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1016)은 상기 캐비닛(10)의 내측에 이동되지 않고,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 핀(1016)은 소정 크기의 두께를 가지기 때문에 일정 수준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장치(1500)에 접촉되면서 상기 고정 장치(1500)에 의해서 이동되거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는 도 18의 좌측면도이고, 도 20는 도 18의 우측면도이며, 도 21은 도 18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고정 장치(1500)는 상기 가이드부(1012)에 대해 이동이 선택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 장치(1500)가 상기 가이드부(1012)에 대해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고정 장치(1500)는 상기 가이드부(1012)에 대해서 이동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고정 장치(1500)가 상기 가이드부(1012)에 대해서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고정 장치(1500)는 상기 가이드부(1012)에 대해서 이동이 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고정 장치(1500)는 상기 컨테이너(100)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고정 장치(1500)의 위치는 상기 가이드부(1012)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 장치(1500)는 상기 바디(110)에 설치되는 하우징(1502)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502)에는 다수 개의 구성요소가 설치되어서, 상기 고정 장치(1500)가 상기 가이드부(1012)에 접촉이 가능한 구조를 구현한다.
상기 하우징(1502)에는 원형을 이루는 중공(150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502)에는 상기 하우징(1502)에 대해서 회전이 가능한 홀더(151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홀더(1510)는 상기 중공(1504)에 삽입되고, 그 반대편에 상기 홀더 고정편(1530)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홀더(1510)는 상기 중공(1504)으로부터 탈거되지 않고, 상기 중공(1504)에 대해서 회전가능하다.
상기 홀더(1510)는 플레이트(1511)를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1511)의 하방으로는 회전축(1512)가 돌출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511)는 상기 회전축(151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511)는 원형의 형상을 갖는 것도 가능하지만,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1511)의 상측에는 상기 가이드 핀(1016)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편(1514)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편(1514)은 두 개의 평행한 가이드 벽(1516)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상기 가이드 벽(1516)의 사이에는 소정의 길이 방향의 공간이 존재하고, 상기 가이드 핀(1016)은 상기 가이드 벽(1516)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1016)은 상기 두 개의 가이드 벽(1516)의 사이가 아닌, 상기 가이드 벽(1516)을 가로질러서 이동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벽(1516)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 핀(1016)의 이동 경로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편(1514)은 상기 가이드 벽(1516)의 일측에 개방된 개구부(15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1016)이 상기 개구부(1518)를 통해서 상기 가이드 편(1514)으로부터 벗어나면, 상기 고정 장치(1500)는 더 이상 상기 가이드부(1012)의 이동 경로에 대해서 영향을 줄 수 없다.
한편 상기 홀더(1510)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홀더(1510)를 원래 위치로 회전시키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 부재(1528)가 구비된다. 상기 제1탄성 부재(1528)는 일단은 상기 플레이트(1511)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탄성 부재(1528)의 타단은 상기 하우징(1502)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장치(1500)가 가압되면 상기 제1탄성 부재(1528)가 인장되었다가, 상기 고정 장치(1500)를 가압하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탄성 부재(1528)는 원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512)에는 상기 홀더(1510)의 회전을 가능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홀더(1510)가 회전이 가능하지 못하도록 하는 캠(152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홀더(1510)의 회전 가능여부는 상기 캠(1520)의 형상에 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캠(1520)은 상기 회전축(1512)과 동일한 각도로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축(1512)에 설치된다.
상기 캠(1520)은 돌출된 형태의 제1돌기(1522), 상기 제1돌기(1522)의 반대편에 마련되어 돌출된 형태의 제2돌기(15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돌기(1522)는 상기 캠(1520)의 중심인 상기 회전축(1512)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로 테이퍼지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2돌기(1524)는 일 측에 편평하게 이루어지는 면이 마련되어서, 다른 부재와 면접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캠(1520)은 뒤에서 설명할 상기 푸쉬부(1550)에 접촉하면서, 상기 캠(1520)이 회전되도록 안내할 수 있는 경사면(15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1526)은 완곡되도록 마련되어서, 상기 캠(1520)이 연속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장치(1500)는 상기 도어(20)에 의해서 가압되어 눌릴 수 있는 푸쉬부(1550)를 포함한다. 상기 푸쉬부(1550)는 상기 도어(20)에 의해서 가압되면 직선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푸쉬부(1550)는 상기 도어(20)에 접촉해서 선택적으로 눌려지는 가압편(1552)과, 상기 가압편(1552)에 결합되어 상기 홀더(1510)를 회전시키면서 직선 이동 시키는 전달편(15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편(1552)은 상기 컨테이너(100)에 일부가 수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압편(1552)에서 가해지는 힘을 상기 전달편(1554)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푸쉬부(1550)는 상기 하우징(1502)에 대해서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달편(1554)은 상기 하우징(1502)에 스프링(1556)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외력에 의해서 상기 전달편(1554)이 상기 하우징(1502)로부터 멀어지게 되면 상기 스프링(1556)은 인장된다. 반면 상기 전달편(1554)을 상기 하우징(1502)로부터 멀어지도록 하는 외력이 사라지면, 상기 스프링(1556)은 원래 길이로 복귀해서 상기 전달편(1554)이 상기 하우징(1502)과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 부재(1528)와 스프링(1556)은 모두 인장에 의한 변형이 가능하고, 복원에 의해서 인장된 길이가 원래 길이로 복귀되는 방식으로 탄성력을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달편(1554)에는 상기 홀더(1510)에 결합되는 캠(1520)이 수용되는 수용홈(156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홀더(1510)의 상기 회전축(1512)은 상기 중공(1504)과 상기 수용홈(1560)을 함께 통과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 고정편(1530)에 결합된다. 특히 상기 캠(1520)은 상기 회전축(1512)에 맞물려서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1512)이 회전되면 상기 캠(1520)도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1560)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제1돌기(1522)가 수용되어 고정되는 안착홈(1562)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1562)은 상기 제1돌기(152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안착홈(1562)도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용홈(1560)에는 상기 제2돌기(1524)는 상기 캠(1520)이 어느 정도 회전되면 접해서 걸리는 안착턱(156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턱(1564)은 상기 수용홈(1560) 내에서 소정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홈(1560)의 경계를 이루는 내주면은 상기 캠(1520)의 상기 경사면(1526)과 접촉하면서 상기 캠(1520)이 회전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도 22는 다른 실시예에서 푸쉬부, 캠 및 수용홈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도 2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22 (a)에 도시된 도면은 상기 푸쉬부(1550)가 눌리지 않은 상태이고, 도 22 (b) 내지 도 22 (d)는 상기 푸쉬부(1550)가 단계적으로 눌리는 상태이다. 즉 도 22 (b)에서 도 22 (d)로 갈수록 상기 푸쉬부(1550)는 더 많은 길이 만큼 눌린 상태이다.
도 22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쉬부(1550)가 눌리지 않으면, 상기 스프링(1556)은 인장되지 않고 원래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제1돌기(1522)는 상기 안착홈(1562)에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캠(1520)은 회전되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1돌기(1522)는 상기 안착홈(1562)에 의해서 양측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캠(1520)은 시계 방향은 물론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없다.
도 22 (a)의 상태에서 상기 캠(1520)과 상기 수용홈(1560)의 내주면 사이에는 ‘l’의 길이 만큼 간격이 존재하게 된다.
도 2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쉬부(1550)가 눌리면, 상기 수용홈(1560) 내에서 상기 캠(1520)이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캠(1520)의 하단이 상기 수용홈(1560)의 내주면과 만나서 도 22 (a)에 도시된 간격인 ‘l’이 사라질 때까지 상기 캠(1520)이 눌릴 수 있다.
이때 상기 푸쉬부(1550)가 도 22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더라도, 상기 푸쉬부(1550)는 상기 캠(1502)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푸쉬부(1550)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지 않고 정지한다. 따라서 상기 제1돌기(1522)는 상기 안착홈(1562)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특히 상기 푸쉬부(1550)이 ‘l’이 사라질 때까지 눌리게 되면(이를 ‘특정 위치’라고 표현한다), 그때까지는 상기 캠(1520)은 회전되지 않고, 상기 수용홈(1560) 내에서 직선 방향으로 이동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캠(1520)의 회전은 상기 홀더(1510)의 회전과 동시에 발생되기 때문에 특정 위치까지 상기 푸쉬부(1550)가 눌리는 동안에는 상기 홀더(1510)는 회전되지 않는다.
상기 수용홈(1560)은 상기 하우징(1502)로부터 멀어지게 되면서, 상기 스프링(1556)은 인장될 수 있다.
도 22 (c)에 도시된 바처럼, 도 22 (b)에 도시된 것보다 상기 푸쉬부(1550)가 특정 위치보다 더 가압되면, 상기 경사면(1526)이 상기 수용홈(1560)의 내주면에 접촉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경사면(1526)은 완곡된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푸쉬부(1550)가 가압되어 눌려지면서 상기 캠(1520)이 연속적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홀더(1510)는 상기 하우징(1502)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푸쉬부(1550)가 눌린다고 하더라도 상기 홀더(1510)에 설치된 상기 캠(1520)은 상기 하우징(1502)을 기준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푸쉬부(1550)의 직선 방향 이동은 상기 캠(1520)의 회전 방향 이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상기 푸쉬부(1550)가 특정 위치보다 더 많이 가압되면, 상기 캠(1520)은 회전되기 시작한다. 이때 특정 위치는 상기 캠(1520)과 상기 수용홈(1560)이 만나게 되도록 상기 푸쉬부(1550)가 눌린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2 (d)에서와 같이 상기 푸쉬부(1550)가 더 많이 가압되면, 상기 캠(1520)은 반 시계 방향으로 충분히 회전된 후에, 상기 제2돌기(1524)가 상기 안착턱(1564)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제2돌기(1524)의 일면은 편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턱(1564)의 일면도 편평하게 형성되어서, 상기 제2돌기(1524)가 상기 안착턱(1564)에 접촉하는 순간 상기 캠(1520)의 회전은 중지될 수 있다.
즉 도 22 (d)와 같이 상기 푸쉬부(1550)가 가압되면, 더 이상 상기 푸쉬부(1550)는 가압되지 않고, 따라서 상기 홀더(1510)의 회전도 정지될 수 있다.
도 23은 다른 실시예에서 도 1의 상태에서 가이드부와 고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 (a)는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3 (b)는 도 23 (a)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2)을 밀폐하는 경우에는 상기 컨테이너(100)은 도 2에서와 같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100)은 상기 도어(20)에 완전히 가려져 도 1의 상태에서는 도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100)과 상기 도어(20)는 서로 맞닿아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가압편(1552)은 상기 도어(20)에 의해서 가압되어 눌려진 상태이다. 상기 가압편(1552)이 눌려지기 때문에 상기 홀더(1510)는 회전되어, 상기 가이드 편(1514)의 연장된 방향이 회전된 상태이다. 이때 상기 캠(1520)의 상태는 도 22 (d)에 도시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고정 장치(500)의 내부 구성요소도 도 22 (d)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즉 상기 캠(1520)의 상기 제2돌기(1524)는 상기 안착턱(1564)에 맞닿아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홀더(1510)는 추가적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지 못한다.
상기 고정 장치(1500)는 상기 가이드부(1012)의 이동을 제한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즉 상기 가이드 핀(1016)은 상기 가이드 벽(1516)의 사이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벽(1516)이 배치된 상태이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는 상기 컨테이너(100)가 상기 캐비닛(10)에 고정된 상태는 아니지만, 상기 도어(20)가 상기 컨테이너(100)에 맞닿아 있고 상기 도어(20)가 상기 컨테이너(100)의 이동을 막기 때문에 상기 컨테이너(100)는 회전될 수 없는 상태이다.
도 2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상태에서 가이드부와 고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 (a)는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4 (b)는 도 24 (a)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한편 사용자가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100)의 전방을 통해서 상기 컨테이너(100)에 접근하거나, 상기 도어(20) 내측에 저장된 식품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20)만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캐비닛(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컨테이너(100)는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도어(20)만을 회전시키면, 도 23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20)가 상기 가압편(1552)을 가압하던 힘이 제거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술한 체결 장치(600)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만 회전하게 되면,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도어(20)의 사이가 멀어져서 상기 가압편(1552)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기 때문에, 상기 제1탄성 부재(1528)와 상기 스프링(1556)에 가해지는 외력도 사라진다. 따라서 상기 제1탄성 부재(1528)와 상기 스프링(1556)은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려는 복원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홀더(1510)는 도 23에서 도시된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도 22에 도시된 순서와는 반대의 순서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즉 상기 캠(152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후에, 다시 상측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제1돌기(1522)가 상기 안착홈(156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캠(1520), 즉 상기 홀더(1510)의 회전은 제한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 핀(1016)이 상기 홀더(1510)에 부딪히더라도 상기 홀더(1510)의 상태는 고정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가압편(1552)은 도 24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컨테이너(10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이 커지게 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가이드 벽(1516)의 방향은 수평 방향에 유사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 벽(1516)의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 핀(1016)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컨테이너(100)가 상기 캐비닛(10)로부터 회전이 가능하려면, 상기 가이드 벽(1516)의 방향이 도 23에 도시된 상태로 배치되어야 하는데, 상기 가이드 벽(1516)이 도 24에 도시된 상태로 배치되었기 때문에, 상기 컨테이너(100)은 상기 캐비닛(10)에 실질적으로 고정된 것과 동일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결론적으로 도 23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체결 장치(600)에 의해서 상기 도어(20)만을 회전시킨 경우에는 상기 고정 장치(1500)가 상기 컨테이너(100)를 상기 캐비닛(10)에 결합시키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도어(20)가 회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10)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상태에서 가이드부와 고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 (a)는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5 (b)는 도 25 (a)의 내부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5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사용자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도어(20)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서 사용자는 상기 저장실(2)에 접근할 수 있다.
이때 도 23에서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가 함께 회전되게 된다. 사용자는 도 23의 상태에서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를 상기 캐비닛(10)에 대해 회전시킨다.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가 함께 동작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체결 장치(600)를 앞에서 설명한 방식에 따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도어(20)를 함께 회전시키면, 상기 가이드 핀(1016)은 상기 가이드 벽(1516)의 내부를 통과한 후에, 상기 개구부(1518)을 통해서 두 개의 상기 가이드 벽(1516)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도 23에 도시된 상태에서도, 상기 고정 장치(1500)는 상기 가이드 핀(1016)을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도어(20)를 상기 캐비닛(10)에 대해서 회전시켜, 상기 저장실(2)에 저장된 식품에 접근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저장실(2)에 보관된 식품을 꺼내거나, 상기 저장실(2)에 식품을 넣은 후에는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을 도 1에 도시된 형태로 회전시켜야 한다.
사용자가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를 상기 저장실(2)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는 함께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가압편(1552)은 눌려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핀(1016)은 상기 개구부(1518)을 통과해서, 상기 두 개의 가이드 벽(1516)의 사이에 진입한 후에 상기 두 개의 가이드 벽(1516)의 사이에서 이동하게 된다. 물론 상기 가이드 핀(1016)은 상기 캐비닛(10)에 고정된 구성요소이고, 상기 홀더(1510), 즉 상기 컨테이너(100)가 실제 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도 23에 도시된 상태는 도 22 (d)에 도시된 상태와 동일하고, 상기 제2돌기(1524)가 상기 안착턱(1564)에 걸려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3)

  1. 식품을 저장하는 제1저장영역을 정의하는 캐비닛;
    상기 제1저장영역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제1저장영역을 실링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가스켓;
    상기 가스켓에 의하여 의하여 정의되는 실링영역의 외부에 위치하며, 일측은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힌지;
    제2저장영역을 정의하며, 상기 제1저장영역에 수용되는 컨테이너;
    상기 실링영역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측은 상기 컨테이너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도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힌지;
    상기 제1저장영역에 돌출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부; 및
    상기 컨테이너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는 고정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힌지의 회전축은 상기 제1힌지의 회전축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지 않아, 상기 도어가 상기 컨테이너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되면, 상기 컨테이너와 상기 제2힌지가 결합된 부분은 전방으로 인출되며,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도어에 눌러지는 푸쉬부와,
    상기 도어가 회전되어 상기 푸쉬부의 누름이 해제되는 동안에,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컨테이너의 회전 중심이 되도록 고정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푸쉬부에 대해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을 감싸는 제1홀더와 상기 가이드부의 타측을 감싸는 제2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부가 눌려지면, 상기 제1홀더와 상기 제2홀더는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와 상기 제2홀더는 각각 서로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홀더 및 상기 제2홀더에 의해서 감싸지는 가이드 핀과,
    상기 제2홀더가 접촉해서 회전되도록 안내되는 회동가능한 가이드 바를 포함하는 냉장고.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제1홀더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1스톱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푸쉬부가 눌려지면 상기 제1스톱퍼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제2홀더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2스톱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푸쉬부가 눌려지면 상기 제2스톱퍼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톱퍼와 상기 제2스톱퍼는 각각 서로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는 상기 가이드 부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도록 두 개의 평행한 가이드 벽을 구비하는 가이드 편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편은 일측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는,
    상기 도어에 접촉해서 선택적으로 눌려지는 가압편과,
    상기 홀더에 구비되는 캠이 수용되어 동작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전달편을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에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캠에는 제1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제1돌기가 상기 안착홈에 수용되면 상기 홀더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에는 안착턱이 형성되고,
    상기 캠에는 제2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제2돌기가 상기 안착턱에 걸리면 상기 홀더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67000217A 2013-06-14 2014-06-16 냉장고 KR1022299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235 2013-06-14
KR20130068235 2013-06-14
KR20130068183 2013-06-14
KR1020130068183 2013-06-14
PCT/KR2014/005246 WO2014200315A1 (en) 2013-06-14 2014-06-16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438A KR20160021438A (ko) 2016-02-25
KR102229980B1 true KR102229980B1 (ko) 2021-03-22

Family

ID=52022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0217A KR102229980B1 (ko) 2013-06-14 2014-06-16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41222B2 (ko)
EP (1) EP3008409B1 (ko)
KR (1) KR102229980B1 (ko)
WO (1) WO20142003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916B1 (ko) * 2014-03-11 2021-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9468313B2 (en) * 2014-10-03 2016-10-18 ATA Retail Services, Inc. Product display tray
KR102517410B1 (ko) * 2016-03-25 2023-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11750602B (zh) * 2019-03-29 2022-03-25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冷藏冷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29923A (en) 1936-11-18 1938-09-13 Fairbanks Morse & Co Refrigerator cabinet
KR100733309B1 (ko) * 2005-05-20 2007-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100748980B1 (ko) * 2005-07-16 2007-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및 도어 힌지기구
KR101537600B1 (ko) 2008-12-18 2015-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삽입식 힌지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CN102116554A (zh) * 2010-01-04 2011-07-06 Lg电子株式会社 电冰箱
WO2013022198A1 (en) 2011-08-05 2013-02-1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inner door
JP2013053843A (ja) * 2011-08-31 2013-03-21 Lg Electronics Inc 冷蔵庫
KR101861368B1 (ko) 2011-09-16 2018-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860718B1 (ko) * 2013-02-21 2018-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고
KR102606132B1 (ko) * 2013-06-14 2023-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28676B1 (ko) * 2013-06-14 2023-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14200318A1 (en) * 2013-06-14 2014-12-18 Lg Electronics Inc. Fixing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118047B1 (ko) * 2013-09-09 2020-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218309B1 (ko) * 2013-11-18 2021-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234011B1 (ko) * 2014-02-17 2021-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200315A1 (en) 2014-12-18
US9841222B2 (en) 2017-12-12
KR20160021438A (ko) 2016-02-25
US20160131413A1 (en) 2016-05-12
EP3008409A1 (en) 2016-04-20
EP3008409A4 (en) 2017-03-08
EP3008409B1 (en) 201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5373B1 (ko) 냉장고
KR102245371B1 (ko)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11808513B2 (en) Refrigerator
US8506028B2 (en) Refrigerator with door opening device
KR20140104638A (ko)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고
KR102229980B1 (ko) 냉장고
US9568239B2 (en) Refrigerator
KR101697112B1 (ko)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고
KR101645539B1 (ko) 냉장고
KR102078368B1 (ko)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206239B1 (ko)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78369B1 (ko)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988306B1 (ko) 냉장고
KR20140104639A (ko)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고
KR20130087321A (ko) 냉장고
KR101988307B1 (ko) 냉장고
KR20130087324A (ko) 냉장고
KR20130087323A (ko) 냉장고
KR20130087316A (ko) 래치장치, 래치장치로 구성되는 저장용기 지지장치와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