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7316A - 래치장치, 래치장치로 구성되는 저장용기 지지장치와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래치장치, 래치장치로 구성되는 저장용기 지지장치와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87316A KR20130087316A KR1020120008600A KR20120008600A KR20130087316A KR 20130087316 A KR20130087316 A KR 20130087316A KR 1020120008600 A KR1020120008600 A KR 1020120008600A KR 20120008600 A KR20120008600 A KR 20120008600A KR 20130087316 A KR20130087316 A KR 201300873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ing
- door
- latch device
- storage container
- latc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2—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with two longitudinal conductors
- H01P3/08—Microstrips; Strip lin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2—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with two longitudinal conductors
- H01P3/08—Microstrips; Strip lines
- H01P3/081—Microstriplin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2—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with two longitudinal conductors
- H01P3/08—Microstrips; Strip lines
- H01P3/081—Microstriplines
- H01P3/082—Multilayer dielectric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2—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with two longitudinal conductors
- H01P3/08—Microstrips; Strip lines
- H01P3/088—Stacked transmission line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용기가 본체와 도어 사이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저장용기의 상부에 구비되는 래치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 배면 또는 상기 저장실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에 마련되며 외력 가압에 따라서 동작하여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도어에 선택적으로 걸려지게 되어 상기 저장용기가 상기 저장실 또는 도어 배면에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지지력을 제공하는 래치장치를 포함되, 상기 래치장치는 상기 저장용기에 마련되는 제1래치장치와; 상기 저장용기에 상기 제1래치장치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래치장치와; 상기 제1래치장치와 상기 제2래치장치가 동시에 움직이도록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및 이에 사용되는 래치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여 하나의 도어 내측에 본체와 도어 사이에서 저장용기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이루어진 냉장고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 배면 또는 상기 저장실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에 마련되며 외력 가압에 따라서 동작하여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도어에 선택적으로 걸려지게 되어 상기 저장용기가 상기 저장실 또는 도어 배면에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지지력을 제공하는 래치장치를 포함되, 상기 래치장치는 상기 저장용기에 마련되는 제1래치장치와; 상기 저장용기에 상기 제1래치장치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래치장치와; 상기 제1래치장치와 상기 제2래치장치가 동시에 움직이도록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및 이에 사용되는 래치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여 하나의 도어 내측에 본체와 도어 사이에서 저장용기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이루어진 냉장고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래치장치 및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또는 본체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냉기손실을 줄일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토출하여 고내의 온도를 저하시켜 음식물 등을 냉동시키거나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는 음식물 또는 음료를 얼려서 보관하는 냉동실과, 상기 음식물 또는 음료를 저온에서 보관하는 냉장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된 탑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과,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된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과, 냉동실과 냉장실이 격벽에 의해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냉장고는 상기 냉동 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 열교환하면서 발생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냉동실 또는 냉장실과 같은 저장실을 냉각시킨다. 따라서, 냉장고의 저장실 내부는 보통 외부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된다.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은 냉장고 본체를 이루는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어 각각 냉동실도어와 냉장실도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냉동실도어와 냉장실도어는 전면이 개구된 냉동실과 냉장실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각 도어에는 저장실 내부의 밀폐를 위해 개스킷이 마련된다.
상기 냉동실 도어 또는 냉장실 도어에는 작은 저장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용기가 마련될 수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고 도어를 자주 개폐함에 따른 냉기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장실도어 또는 냉동실도어에 저장용기의 입구가 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저장용기의 도어를 상기 냉장실도어 또는 냉동실도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장착하는 구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저장용기 도어는 도어를 관통하는 공간에 수납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홈바도어를 열고 수납된 음식물을 수납하거나 취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저장용기 도어의 경우, 한국공개특허 10-2011-006795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장실도어 또는 냉동실도어의 중간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저장용기 도어가 상하로 회동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다.
상기 저장용기 도어 모두, 냉장실 도어 또는 냉동실 도어가 냉장고 본체에 대해 힌지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냉장실 도어 또는 냉동실 도어에 상기 저장용기 도어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 또는 냉동실 도어 중 냉장고 본체의 전면과 접촉되는 내면 가장자리 부위에 냉장실 및 냉동실의 밀폐를 위해 개스킷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저장용기 도어의 내면 가장자리 부위 중 냉동실 또는 냉장실도어와의 접촉 부위에 저장용기 도어 내부의 수납공간을 밀폐하기 위한 개스킷이 구비된다.
그런데, 상기 냉동실 또는 냉장실 도어와 상기 보조도어에는 별도의 개스킷이 각각 구비되므로, 저장용기 도어가 없어서 개스킷이 하나만 구비되는 경우에 비해 상기 2개의 개스킷을 통한 냉기 손실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개스킷이 접촉하는 부위인 본체의 전면과 냉장실 또는 냉동실 도어 전면에는 내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이슬이 맺히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두 부위에 히터를 내장하여 가열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이슬 맺힘을 방지하기 위한 히터가 2개가 필요하므로 그만큼 소비전력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어에 별도의 저장용기 도어를 구비하지 않고 저장용기가 본체와 도어 사이에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이루어진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힌지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가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지지될 수있도록 상기 도어 내면 또는 상기 본체 벽면 또는 상기 저장용기에 각각 구비되어진 저장용기 지지장치와; 상기 저장용기 지지장치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며, 상기 도어에 마련되되, 상기 도어 외부에서 조작이 가능한 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용기 지지장치는; 상기 저장용기에 마련되며 외력 가압에 따라서 동작하여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도어에 선택적으로 걸려지게 되어 상기 저장용기가 상기 저장실 또는 도어 배면에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지지력을 제공하는 제1,2래치장치와; 상기 제1래치장치와 상기 제2래치장치가 동시에 동작하도록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대상물에 마련되며 외력 가압에 따라서 동작하여 제2대상물 또는 제3대상물에 선택적으로 걸려지게 되어 상기 제1대상물이 상기 제2대상물 또는 제3대상물에 착탈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지지력을 제공하는 래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치장치는 제1대상물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2래치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1,2래치장치는 상기 제1대상물에 마련되는 하우징과;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2대상물에 마련되는 걸림안내홈 또는 상기 제3대상물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도록 마련되는 걸림부와;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걸림부와 상기 제3대상물의 고정부재과의 걸림 상태 해제시 상기 걸림부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의 회동을 제한하는 회동제한부와,상기 걸림부와 연결되고 외력의 가압에 따라 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걸림부의 회동운동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안내부와, 상기 제1래치장치와 상기 제2래치장치를 연결하며 둘 중 어느 하나의 운동동작을 다른 하나에 전달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의하면, 보조도어 없이 메인도어만 구비하므로 2개의 개스킷을 통한 냉기손실과 2개의 히터에 의한 소비전력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도어 내측에 본체와 도어 사이에서 저장용기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이루어진 냉장고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저장용기에 대해서 사용자가 저장물을 수납하거나 인출하는 경우, 저장용기가 저장실의 전방을 밀폐하기 때문에 저장실의 냉기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버튼에 의하여 동작하는 2개의 상호 연결된 래치장치가 마련되되, 래치장치들의 동작에 의하여 저장용기와 도어가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즉, 래치장치가 제1래치장치와 제2래치장치로 마련되고, 제1,2래치장치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외부 가압이 가해져서 동작하면, 다른 하나도 그 영향을 받아서 동작할 수 있어서, 저장용기가 도어 또는 본체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사용자가 저장실에 접근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버튼을 누르지 않고 도어를 잡아당기면 래치장치에 의하여 도어와 저장용기가 결합되어 동시에 열려져 저장실이 개방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저장용기에 접근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버튼을 누르고 도어를 잡아당기면 래치장치에 의하여 도어와 저장용기가 분리되고, 저장용기가 저장실 입구에 결합되어 저장용기가 개방된다.
한편, 래치장치의 경우, 걸림부와, 걸림부를 운동시키는 운동안내부와, 걸림부와 고정부재의 분리시 걸림부의 회동을 제한하는 회동제한부를 구비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저장용기와 도어 또는 저장용기와 본체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제1래치장치의 걸림부와 제2래치장치의 걸림부가 바(bar)와 같은 연결부에 연결되어 어느 하나의 걸림부가 회동을 하면, 다른 걸림부도 회동을 함으로써, 각각의 래치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어서, 저장용기의 본체 또는 도어에 대한 결착 또는 분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저장용기에 대해서 저장물을 수납하거나 인출하는 경우에 저장용기가 도어에 장착되지 않고 본체에 안정되게 지지되기 때문에, 도어의 회동에 따라서 수납물이 흔들리는 것이 방지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에서 저장용기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에서 저장실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저장용기와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제1래치장치가 저장용기에 장착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제2래치장치가 저장용기에 장착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제1래치장치 및 제2래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제1래치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제2래치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제1,2래치장치의 걸림부가 연결부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0는 도9에서 제1,2래치장치의 걸림부가 연결부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와 래치 스위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와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13(a)와 (b)는 본 발명에 의한 제1래치장치 및 제2래치장치에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14는 도13에서 걸림부의 위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에 의한 제1래치장치와 고정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16은 도15에서 걸림부의 위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에서 저장실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저장용기와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제1래치장치가 저장용기에 장착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제2래치장치가 저장용기에 장착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제1래치장치 및 제2래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제1래치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제2래치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제1,2래치장치의 걸림부가 연결부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0는 도9에서 제1,2래치장치의 걸림부가 연결부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와 래치 스위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와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13(a)와 (b)는 본 발명에 의한 제1래치장치 및 제2래치장치에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14는 도13에서 걸림부의 위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에 의한 제1래치장치와 고정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16은 도15에서 걸림부의 위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냉장고에서 저장용기가 도어에 결합된 상태로 도어가 열린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어와 저장용기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1과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20)이 마련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30)와, 상기 본체와 도어 사이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되는 저장용기(100)를 포함한다.
도시된 냉장고는 저장실(20)로서 상부에 냉장실이 마련되고 하부에 냉동실이 마련되어 있으나, 냉장실과 냉동실이 이와 반대로 마련되거나 좌우로 마련된 타입의 냉장고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의 도어(30,40))는 각각 냉장실과 냉동실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13)를 통해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도어(30)의 내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본체(10)의 전면과 접촉되는 부위에 밀폐를 위해 개스킷(3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도어(30,40)는 각각 손잡이(32, 42)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상기 저장용기(100)가 장착되는 도어(30)의 손잡이(32)는 도어(30)의 좌측 하부 모서리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용기(1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와 도어(30)에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지지된다.
도1은 사용자가 상기 저장용기(100)에 물건을 수납하거나 인출하도록 상기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본체(10)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30)을 열었을 경우, 상기 저장용기(100)의 전면이 노출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사용자가 상기 저장실(20)에 물건을 수납하거나 인출하도록 상기 보조 저장실(100)가 상기 도어(30)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30)를 열였을 경우, 상기 저장실(20)의 전면이 노출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어(30)의 손잡이(32)의 상단부에는 상기 저장용기(100)의 결합 위치를 본체(10)로부터 도어(30)로 바꾸도록 하는 버튼(610)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도어(30)를 열 때, 사용자가 버튼(610)을 누르면 도 1와 같이 상기 저장용기(100)가 도어(30)와 분리되어 상기 저장실(20)에 결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 저장실(100)의 전면이 노출된다.
상기 버튼(610)의 작동관계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는 상기 저장용기 지지장치 중 일부 구성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장치가 마련되는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도어에 마련되고, 상기 도어의 외부에서 조작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버튼(610) 및 상기 버튼(610)과 연결되는 여러가지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용기(100)는 상기 본체(10)와 냉장실 도어(30)에 각각 지지될 수 있고 그 위치를 유지하도록 고정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저장용기(100)에 마련된 제1,2래치장치(520,53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저장용기(100)가 도어(30) 또는 저장실(20)에 선택적으로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저장용기(100)는 상기 도어(30) 또는 본체(10)에 선택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별도의 장치들이 마련되는데, 이러한 장치는 제1래치장치(도4, 520) 및 상기 제2래치장치(도5, 530), 또는 제1가이드 지지부(도3, 510), 제2가이드 지지부(도3, 540),또는 상기 제1,2래치장치(520, 540)의 일부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스토퍼홈(도4,5참조, 111,121)과 걸림안내홈(도4,5참조, 112, 122)을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들을 통칭하여 저장용기 지지장치라고 정의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용기(100)는 상기 저장용기의 테두리부를 이루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선반(120)과, 상기 프레임(110)과 후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저장실(20)과 분리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1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11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테두리부를 형성하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에는 하나 이상의 수납선반(120)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수납선반(120)은 상기 저장용기(100)가 대체로 상하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태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므로,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저장용기(100) 내부의 수납공간을 복수개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수납선반(120)은 2개 이상이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장용기(100)는 그 내부 수납공간을 상기 본체 내부의 저장실(20)과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110)의 후측에서 결합되는 커버(13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130)는 상기 수납선반(120)이 프레임(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10)의 후방측에서 프레임(11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나사 등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130)는 상기 냉장실(20)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13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용기(100)가 본체(10)에 장착된 상태로 도어(30)가 열린 경우, 사용자는 투명한 커버(130)를 통해 상기 본체의 저장실(20) 내부를 볼 수 있다.
또한, 저장용기(100)가 도어(30)에 장착된 상태로 도어가 열린 경우에, 사용자는 투명한 커버(130)를 통해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 수납공간을 볼 수 있어서, 더욱 편리하게 냉장고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용기(100)는 상기 수납선반(120)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저장용기 지지장치의 일부는 상기 수납선반(1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수납선반(120)과 수납선반(120)사이로 냉장실(20)이 보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도어(30)의 좌하측 모서리에 장착되는 손잡이(32)와, 상기 저장용기(100)의 좌하측 모서리와 좌상측 모서리에 마련되는 제1,2래치장치(520, 530) 및 상기 저장용기(100)의 우하측 모서리와 우상측 모서리에 마련되는 제1,2가이드 지지부(510,5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래치장치(520)와 상기 제2래치장치(530)은 상기 도어(30)의 회동부의 위치 반대편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래치장치(520,530)의 반대편에는 상기 제1,2가이드 지지부(510,540)가 마련된다.
상기 도어(30)의 손잡이가 설치된 부분에는 상기 제1래치장치(520)를 가압하여 상기 제1래치장치(520)를 동작시키는 래치 스위치 장치(600)가 마련되는데, 상기 래치 스위치 장치(600)가 상기 제어장치를 구성한다.
상기 래치 스위치 장치(600)는 상기 버튼(610)과 연동되어 상기 도어(30)의 후방방향으로 힘을 가하며, 상기 래치 스위치 장치(600)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제1래치장치(520)가 동작하고 이에 의하여 상기 도어(20)와 상기 저장용기(100)간의 결합상태 또는 걸림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즉, 버튼(610)이 눌러지지 않으면 상기 도어(20)와 상기 저장용기(100) 간에 결합상태 또는 걸림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버튼(610)이 눌러지면 상기 도어(20)와 상기 저장용기(100)간의 결합상태 또는 걸림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저장용기(100)와 상기 본체(10)간에 결합 또는 걸림상태가 된다.
상기 손잡이(32)는 상기 도어(30)의 일측면에 나사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손잡이(32)에는 손잡이(32)를 이루는 수직의 봉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도어의 일측면에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연장부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치 스위치장치(600)는 상기 도어(30)의 손잡이(32)가 체결되는 부위 근처에서 상기 도어(30) 내부에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30)의 가장자리 부위에는 상기 제1,2래치장치(520,530) 및 상기 가이드 지지부(510,540)에 삽입되어 결합되거나 걸리는 고정부재(550)가 상기 도어(30)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체결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550)은 상기 저장용기(100)의 상기 래치장치(520,530)에 선택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1,2래치장치(520, 530)에 걸려서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도어(30)에 장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30)가 회동될 때 제1,2래치장치(520, 530)와 상기 고정부재(550)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저장용기(100)도 상기 도어(30)와 같이 회동운동을 수행한다.
상기 고정부재(550)는 제1,2래치장치(520,53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도어(30) 배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32)에는 상기 래치 스위치장치(600)를 작동시키는 상기 버튼(610)이 마련되어 상기 래치 스위치장치(600)의 내부에 마련되는 링크구조(미도시)에 의해 상기 래치장치(520,530) 중 냉장고의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저장용기(100)의 좌하측에 배치된 제1래치장치(520)를 눌러주어 그 잠김 상태가 해제되도록 한다.
그래서, 사용자가 도어(30)의 손잡이(32)에 있는 버튼(610)을 눌러서 래치 스위치장치(600)를 통해 상기 래치장치(520)의 잠김상태를 해제한 다음 도어 손잡이(32)를 당기면, 상기 저장용기(100)는 본체(1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도어(30)만 회동되어 열리게 된다.
상기 저장용기(100)의 하부에는 한 쌍의 롤러장치(30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롤러장치(300)는 상기 저장용기 지지장치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장치(300)는 복수의 롤러가 장착되어 각 롤러가 상기 저장용기(100)를 상기 본체(10)의 바닥면 또는 선반 상면, 그리고 선택적으로 도어의 내면에 돌출된 지지턱(35)에 대해 지지한다.
상기 제1래치장치(520)와 상기 제2래치장치(530)는 연결부(1500)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호 연동되어 동시에 작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래치장치(520)는 상기 프레임(110) 일측(냉장고 정면에서는 좌측)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래치장치(530)는 상기 프레임(110)의 일측(냉장고 정면에서 좌측)의 상부에 마련된다.
상기 연결부(1500)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2래치장치(520, 530)를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제1래치장치(520)가 주동, 제2래치장치(530)가 종동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래치스위치 장치(600)가 상기 제1래치장치(520)와 인접하게 배치되었기 때문이다.
다만, 이러한 위치나 주동, 종동의 관계는 바뀔 수 있다.
상기 제1,2가이드 지지부(510,540)는 상기 도어(30) 배면에 마련되는 또 다른 고정부재들(550)이 걸려서 지지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고정부재(550)들은 상기 도어(30)의 배면의 4개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데, 상기 도어의 회동부에 가까운 곳에는 상기 제1,2가이드 지지부(510,540)에 삽입가능한 고정부재(550)가 마련된다.
상기 도어(30)의 회동부의 반대편에는 상기 제1,2래치장치(520,530)에 삽입되어 걸려지는 고정부재(550)들이 마련된다.
각 고정부재(550)들은 상하 방향으로 두 개씩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저장용기(100)는 상기 저장실(20)의 전면 개구부를 모두 막도록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상기 저장실(20)의 최하부에 마련된 서랍(26)상의 선반(23) 위의 개구부를 막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본체(1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롤러장치(300)의 하나 이상의 롤러는 상기 최하측 서랍(26) 위에 있는 선반(23)의 전방 상면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냉장실(20) 내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선반(21, 22)과 상기 최하측 서랍(26)의 위에 있는 서랍(25)은, 상기 저장용기(100)가 본체에 장착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로 들어간 위치에 장착될 수 있는 형상과 치수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저장실(20)의 전면 개구부를 모두 막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상기 저장용기(100)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저장실(20)의 전면 개구부의 높이에 가깝도록 형성되고, 저장용기(100)의 폭도 상기 냉장실(20)의 전면 개구부의 폭에 대응하는 치수로 형성될 것이다.
또한, 상기 냉장실(20) 내에 서랍이 2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최하측 서랍(26)은 그 위의 서랍과 마찬가지로 상기 저장용기(100)와 간섭되지 않도록 안쪽으로 인입된 형상 및 치수로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 경우 상기 롤러장치(300)는 상기 최하측 서랍(26) 위의 선반(25)이 아니라 상기 냉장실(20)의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것이다.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에는 상기 제1래치장치(520)가 설치된다. 상기 제1래치장치(520)는 상기 롤러장치(300)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1래치장치(520)에는 스토퍼(523)와 걸림핀(5247)이 마련된다.
상기 저장실(20)의 하부 테두리 또는 상기 서랍(23)의 상부에는 상기 스토퍼(523)가 삽입되는 스토퍼홈(111)과, 상기 걸림핀(5247)이 삽입되는 걸림안내홈(112)이 마련된다.
상기 걸림안내홈(112)중 상기 스토퍼 홈(111) 방향으로 'C'자 형의 연장홈이 마련된다.
상기 저장용기(제1대상물)(100)가 상기 도어(제3대상물)(30)에 결착되어 상기 도어(30)와 같이 움직이는 경우, 상기 걸림핀(5247)은 상기 걸림안내홈(112)의 연장홈에 걸리지 않고 상기 도어(30)의 회동방향에 따라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도어(30)와 분리되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핀(5247)이 상기 연장홈 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연장홈의 걸림단차(112a)에 걸려서 상기 저장용기(10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스토퍼(523)는 상기 제1래치장치(520)의 하부에 하방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며 봉 또는 롤러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523)의 역할은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도어(30)와 결착된 상태에서 회동하며 움직이되, 상기 본체(제2대상물)(10) 전방을 폐쇄하는 경우,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저장실(20) 방향으로 깊이 들어가지 않도록 움직임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스토퍼(523)가 상기 스토퍼홈(111)의 후면에 접함으로써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저장실(20) 방향으로 일정 깊이 이상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제1래치장치(520)의 상부에는 상기 연결부(1500)가 회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여, 상기 연결부(1500)는 상기 제2래치장치(도5참조, 530)와 연결된다.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에는 상기 제2래치장치(530)가 설치된다.
상기 제2래치장치(530)에는 스토퍼(533)와 걸림핀(5347)이 마련된다.
상기 저장실(20)의 상부 테두리에는 상기 스토퍼(523)가 삽입되는 스토퍼홈(121)과, 상기 걸림핀(5347)이 삽입되는 걸림안내홈(122)이 마련된다.
상기 걸림안내홈(122)중 상기 스토퍼 홈(121) 방향으로 'C'자 형의 연장홈이 마련된다.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도어(30)에 결착되어 상기 도어(30)와 같이 움직이는 경우, 상기 걸림핀(5347)은 상기 걸림안내홈(122)의 연장홈에 걸리지 않고 상기 도어(30)의 회동방향에 따라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도어(30)와 분리되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핀(5347)이 상기 연장홈 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연장홈의 걸림단차(122a)에 걸려서 상기 저장용기(10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스토퍼(533)는 상기 제2래치장치(530)의 하부에 하방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며 봉 또는 롤러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533)의 역할은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도어(30)와 결착된 상태에서 회동하며 움직이되, 상기 저장실(20) 전방을 폐쇄하는 경우,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저장실(20) 방향으로 깊이 들어가지 않도록 움직임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스토퍼(533)가 상기 스토퍼홈(121)의 후면에 접함으로써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저장실(20) 방향으로 일정 깊이 이상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제2래치장치(530)의 하부에는 상기 연결부(1500)가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1500)에 의하여 상기 제2래치장치(530)와 상기 제1래치장치(520)가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래치장치(520)가 동작하여, 상기 연결부(1500)가 움직이면, 상기 제2래치장치(530)도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래치장치(520)는 그 내부가 비어있고 전방이 개방되는 하우징(521)과, 상기 하우징(521)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고정부재(도3참조, 550) 또는 상기 걸림안내홈(도4참조, 112)에 걸리게 되는 걸림부(52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래치장치(520)는 상기 하우징(521)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걸림부(524)보다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걸림부(524)와 상기 고정부재(550)와의 걸림 해제상태 또는 분리상태시 상기 걸림부(524)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524)의 회동을 제한하는 회동제한부(525)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521) 내부에는 상기 걸림부(524)와 제1탄성부재(도6참조,5291)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걸림부(524)의 회동 운동을 안내하는 운동안내부(도6참조, 526)가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521)의 전방에는 상기 운동안내부(526)를 가압하여 상기 운동안내부(526)를 회동시키는 가압부(522)가 마련된다.
상기 가압부(522)는 상기 래치 스위치장치(도3참조, 600)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래치 스위치 장치(600)의 미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521)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운동안내부(526)를 이동시키고 궁극적으로 상기 걸림부(524)를 회동시킨다.
상기 걸림부(524)의 하면에는 상기 걸림핀(5247)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되고, 상기 걸림부(524)의 측단부에는 상기 고정부재(도3참조, 550)가 걸려져 지지되는 걸림홈(5242)이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521)은 그 측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521)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고정부재(도3참조, 55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삽입안내홈(5211)이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521)의 하면에 마련되는 삽입안내홈(521)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핀(5247)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홈(5212)이 마련된다.
상기 걸림부(524)가 회동하면 상기 걸림핀(5247)도 회동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데, 상기 이동안내홈(5212)는 상기 걸림핀(5247)의 이동 궤적에 대응되는 영역을 갖는다.
상기 이동안내홈(5212)의 영역은 도4에서 나타난 상기 걸림안내홈(도4참조, 112)의 평면도 형상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521)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스토퍼(523)가 마련되는데, 상기 스토퍼(523)은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부(1500)는 상기 하우징(521)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부로 연장되고 마련된다. 상기 연결부(1500)는 상하로 연장된 긴 축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1500)에 의하여 상기 제1래치장치와 연결되는 제2래치장치(530) 또한, 내부가 비어있고 전방이 개방되는 하우징(531)과, 상기 하우징(531)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고정부재(도3참조, 550) 또는 상기 걸림안내홈(도4참조, 112)에 걸리게 되는 걸림부(53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래치장치(530)는 상기 하우징(531)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걸림부(534)보다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걸림부(534)와 상기 고정부재(550)와의 걸림 해제상태 또는 분리상태시 상기 걸림부(534)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534)의 회동을 제한하는 회동제한부(535)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531) 내부에는 상기 걸림부(534)와 제1탄성부재(도6참조,5391)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걸림부(534)의 회동 운동을 안내하는 운동안내부(도8참조, 536)가 마련된다.
상기 걸림부(534)의 하면에는 상기 걸림핀(5347)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되고, 상기 걸림부(534)의 측단부에는 상기 고정부재(도3참조, 550)가 걸려져 지지되는 걸림홈(5342)이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531)은 그 측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531)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고정부재(도3참조, 55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삽입안내홈(5311)이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531)의 하면에 마련되는 삽입안내홈(531)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핀(5347)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홈(5312)이 마련된다.
상기 걸림부(534)가 회동하면 상기 걸림핀(5347)도 회동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데, 상기 이동안내홈(5312)는 상기 걸림핀(5347)의 이동 궤적에 대응되는 영역을 갖는다.
상기 이동안내홈(5312)의 영역은 도4에서 나타난 상기 걸림안내홈(도5참조, 122)의 평면도 형상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531)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스토퍼(533)가 마련되는데, 상기 스토퍼(533)은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1500)는 상기 하우징(531)을 관통하여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며, 후술할 운동안내부(도8참조, 5361)와 연결된다.
따라서, 제1래치장치(520)의 운동안내부(도7참조, 5261)와 상기 제2래치장치(530)의 운동안내부(도8참조, 5361)은 상호 연동될 수 있다.
도7은 상기 제1래치장치(520)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하우징(521)은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상면과 하면에 각각 상기 삽입안내홈(5211)이 마련되고, 하면에는 상기 이동안내홈(5212)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521)의 하면에는 상기 걸림부(524)와, 상기 회동제한부(525)와, 상기 이동안내부(526)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5266;5267,5268,5269)들이 삽입되는 삽입공(5213,5214,5215)이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521)의 상면의 전방에는 상기 가압부(522)가 삽입되어 지지되고, 상기 가압부(522)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공(5216)이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521)의 내부에는 제2탄성부재(5292)가 걸려서 지지되는 지지봉(5217)이 마련된다. 상기 제2탄성부재(5292)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탄성부재(5292)는 상기 지지봉(5217)과 상기 회동제한부(525)의 걸림편(5254) 사이를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회동제한부(525)가 외력(상기 고정부재(550)의 가압에 의한 외력)에 의하여 회전한 후 그 외력이 사라지면 상기 회동제한부(525)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 하우징(521)의 후벽에는 소정의 체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공(5218)이 마련된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공(5218)을 통과하여 상기 프레임(도3참조, 110)에 결합된다.
상기 걸림부(524)는 몸체부(5241)와, 상기 몸체부(5241)의 일측에 마련되는 상기 걸림홈(5242)과, 상기 몸체부(5241)의 상면에 마련되는 걸림돌기(5243)와, 상기 걸림홈(5242)의 반대편에 각각 형성되는 제1삽입홈(5244) 및 제2삽입홈(5245)과, 제1회전축(5247)이 삽입되는 제1회전축공(5246)과, 상기 몸체부(5241)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걸림핀(5247)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돌기(5243)에는 제1탄성부재(5291)의 일단부가 걸리고, 상기 제1탄성부재(5291)의 타단부는 상기 운동안내부(526)에 마련되는 걸림돌기(5265)에 걸린다. 상기 제1탄성부재(5291)도 코일 스프링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운동안내부(526)가 상기 가압부(522)에 밀려서 회동운동을 하면 상기 탄성부재(5291)에 의하여 그 운동이 전달되어 상기 걸림부(524)도 회동운동을 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걸림홈(5242)이 측방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전방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제1회전축(5267)은 삽입공(521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524)의 제1회전축공(5246)에 삽입된다.
다만, 상기 걸림부(524)의 상하면에는 제1상부 보스(5271)와, 제1하부보스(5281)가 마련되어 상기 걸림부(524)와 상기 하우징(521)의 상하면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상기 회동제한부(525)는 몸체부(5251)와, 상기 몸체부(5251)로부터 일측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연장되며 상기 고정부재(도3참조, 550)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연장부(5252)와, 상기 제1연장부(5252)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5253)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5251)에는 제2회전축공(5256)이 마련되고, 상기 제2연장부(5253)의 단부에는 상기 제2탄성부재(5292)가 걸리는 걸림돌기(5254)가 마련된다.
상기 제2연장부(5253)의 상면에는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걸림부(524)의 제2삽입홈(5245)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삽입부(5255)가 마련된다.
상기 삽입부(5255)가 상기 제2삽입홈(5245)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524)의 회동이 제한되는데, 이 경우는 상기 고정부재(550)과 상기 걸림부(524)가 분리되는 경우에 해당된다.
제2회전축(5269)는 상기 제2회전축공(5256)에 삽입된 후, 상기 삽입공(5214)를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회동제한부(525)의 상면과 하면에는 제2상부 보스(5272) 및 제2하부 보스(5282)가 마련되어 상기 회동제한부(525)를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520)의 하면과 상면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상기 제2회전축(5269)은 상기 제2상부보스(5272) 및 상기 제2회전축공(5256), 제2하부보스(5282)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상기 제2상부보스(5272) 및 상기 제2하부보스(5282)는 와셔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운동안내부(526)은 몸체부(5261)와, 상기 몸체부(5261)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며 상기 가압부(522)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접촉편(5263)과, 상기 몸체부(5261)으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걸림부(524)의 제1삽입홈(5244)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삽입부(5262)와, 상기 몸체부(5261)의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2탄성부재(5292)가 걸리는 걸림돌기(5265)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5261)의 회동 중심에는 제3회전축공(5264)가 마련된다.
상기 회전축공(5264)의 상부와 하부에는 제3상부 보스(5273)와 제3하부보스(5283)이 마련된다.
그리고, 제3회전축(5268)이 마련되는데, 상기 제3회전축(5268)은 상기 삽입공(5213)을 통과하고, 상기 제3하부보스(5283), 상기 제3회전축공(5264), 상기 제3상부보스(5273)을 통과하여 상기 운동안내부(526)를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제3회전축(5268)은 상기 운동안내부(526)는 같이 움직이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3회전축(5268)은 상기 운동안내부(526)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1500)는 상기 제3회전축(5268)과 연결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제3회전축(5268)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때, 상기 제1회전축(5268)과 상기 연결부(1500)와 상기 운동안내부(526)은 같이 움직일 수 있어서, 상기 운동안내부(526)의 회동운동은 상기 연결부(1500)를 회동시킨다.
한편, 상기 하우징(521)의 상부에는 상기 연결부(1500)가 회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지지되는 연결부공(5219)이 마련된다.
도8은 상기 제2래치장치(530)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하우징(531)은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상면과 하면에 각각 상기 삽입안내홈(5311)이 마련되고, 상면에는 상기 이동안내홈(5312)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531)의 하면에는 상기 걸림부(534)와, 상기 회동제한부(535)와, 상기 이동안내부(536)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5366;5367,5368,5369)들이 삽입되는 삽입공(5313,5314,5315)이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531)의 내부에는 제2탄성부재(5392)가 걸려서 지지되는 지지봉(5317)이 마련된다. 상기 제2탄성부재(5392)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탄성부재(5392)는 상기 지지봉(5317)과 상기 회동제한부(535)의 걸림편(5354) 사이를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회동제한부(535)가 외력(상기 고정부재(550)의 가압에 의한 외력)에 의하여 회전한 후 그 외력이 사라지면 상기 회동제한부(535)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 하우징(531)의 후벽에는 소정의 체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공(5318)이 마련된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공(5318)을 통과하여 상기 프레임(도3참조, 110)에 결합된다.
상기 걸림부(534)는 몸체부(5341)와, 상기 몸체부(5341)의 일측에 마련되는 상기 걸림홈(5342)과, 상기 몸체부(5341)의 상면에 마련되는 걸림돌기(5343)와, 상기 걸림홈(5342)의 반대편에 각각 형성되는 제1삽입홈(5344) 및 제2삽입홈(5345)과, 제1회전축(5347)이 삽입되는 제1회전축공(5346)과, 상기 몸체부(534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걸림핀(5347)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돌기(5343)에는 제1탄성부재(5391)의 일단부가 걸리고, 상기 제1탄성부재(5391)의 타단부는 상기 운동안내부(536)에 마련되는 걸림돌기(5365)에 걸린다. 상기 제1탄성부재(5391)도 코일 스프링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운동안내부(536)가 상기 제1래치장치(520)의 운동안내부(526)와 연결된 상기 연결부(1500)에 의하여 회동운동을 하면 상기 탄성부재(5391)에 의하여 그 운동이 전달되어 상기 걸림부(534)도 회동운동을 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걸림홈(5342)이 측방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전방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제1회전축(5367)은 삽입공(531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534)의 제1회전축공(5346)에 삽입된다.
다만, 상기 걸림부(534)의 상하면에는 제1상부 보스(5371)와, 제1하부보스(5381)가 마련되어 상기 걸림부(534)와 상기 하우징(531)의 상하면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상기 회동제한부(535)는 몸체부(5351)와, 상기 몸체부(5351)로부터 일측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연장되며 상기 고정부재(도3참조, 550)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연장부(5353)와, 상기 제1연장부(5353)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5353)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5351)에는 제2회전축공(5356)이 마련되고, 상기 제2연장부(5353)의 단부에는 상기 제2탄성부재(5392)가 걸리는 걸림돌기(5354)가 마련된다.
상기 제2연장부(5353)의 상면에는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걸림부(534)의 제2삽입홈(5345)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삽입부(5355)가 마련된다.
상기 삽입부(5355)가 상기 제2삽입홈(5345)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534)의 회동이 제한되는데, 이 경우는 상기 고정부재(550)과 상기 걸림부(534)가 분리되는 경우에 해당된다.
제2회전축(5369)는 상기 제2회전축공(5356)에 삽입된 후, 상기 삽입공(5314)를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회동제한부(535)의 상면과 하면에는 제2상부 보스(5372) 및 제2하부 보스(5382)가 마련되어 상기 회동제한부(535)를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530)의 하면과 상면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상기 제2회전축(5369)은 상기 제2상부보스(5372) 및 상기 제2회전축공(5356), 제2하부보스(5382)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상기 제2상부보스(5372) 및 상기 제2하부보스(5382)는 와셔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운동안내부(536)은 몸체부(5361)와, 상기 몸체부(5361)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며 상기 가압부(532)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접촉편(5363)과, 상기 몸체부(5361)으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걸림부(534)의 제1삽입홈(5344)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삽입부(5362)와, 상기 몸체부(5361)의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2탄성부재(5392)가 걸리는 걸림돌기(5365)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5361)의 회동 중심에는 제3회전축공(5364)가 마련된다.
상기 회전축공(5364)의 상부와 하부에는 제3상부 보스(5373)와 제3하부보스(5383)이 마련된다.
그리고, 제3회전축(5368)이 마련되는데, 상기 제3회전축(5368)은 상기 삽입공(5313)을 통과하고, 상기 제3하부보스(5383), 상기 제3회전축공(5364), 상기 제3상부보스(5373)을 통과하여 상기 운동안내부(536)를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제3회전축(5368)은 상기 운동안내부(536)는 같이 움직이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3회전축(5368)은 상기 운동안내부(536)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1500)는 상기 제3회전축(5368)과 결합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제3회전축(5368)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때, 상기 제1회전축(5368)과 상기 연결부(1500)와 상기 운동안내부(536)는 같이 움직일 수 있어서, 상기 연결부(1500)가 회동하면 상기 운동안내부(536)도 회동한다.
상술한 제1,2래치장치(520, 530)는 기계식으로 구현되었으나, 상기 래치장치들은 전기식 또는 전자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는 솔레노이드 장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도어(30)에 마련되는 제어장치인 래치 스위치 장치(600)와 상기 래치장치가 상호 연동되어 상기 래치스위치 장치(600)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래치장치가 상기 저장용기(100)와 상기 본체(10)간의 연결, 또는 상기 저장용기(100)와 상기 도어(30)와의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도9와 도10은 상기 제1래치장치(520)의 걸림부(524) 및 운동안내부(526) 그리고 상기 제2래치장치(530)의 걸림부(535) 및 운동안내부(536)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9와 도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운동안내부(526, 536)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운동 안내부(526, 536)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연결부(1500)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운동안내부(526, 536)는 상기 각각의 걸림부(524, 534)와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운동안내부(526,536)의 회전운동에 따라서 상기 걸림부(524, 534)가 회전하여 상기 고정부재(550)와 선택적으로 연결되거나 연결해제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래치장치(520)에 대응되는 가압부(522)의 동작으로 인하여, 상기 제1래치장치(520)의 운동안내부(526)가 회동하면, 이러한 회동운동은 상기 제2래치장치(530)의 운동안내부(536)에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제1래치장치(520)의 운동안내부(526)가 회동운동 방향은 상기 제2래치장치(530)의 운동안내부(536)와 동일해진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제1래치장치(520)의 걸림부(524)의 운동 방향도 상기 제2래치장치(530)의 걸림부(534)의 운동방향과 동일해진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제1래치장치(520)와 고정부재(550)간의 결합/분리, 그리고, 상기 제2래치장치(530)와 상기 고정부재(550)간의 결합/분리가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 부호 130은 저장용기의 커버이고, 30은 도어이다.
도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30)의 전방에는 손잡이(32)가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32)의 위에는 상기 버튼(610)이 마련된다.
상기 도어(30)의 후면 테두리에는 가스켓(31)이 마련된다.
상기 도어(30)의 후면에는 상기 손잡이(32)와 연결되는 래치 스위치 장치(600)가 마련되는데, 상기 래치 스위치 장치(600)에는 돌출부(630)가 마련된다.
상기 래치 스위치 장치(600) 내부에는 상기 버튼(610)의 동작에 따라 움직이는 링크구조(미도시)가 마련되고, 이 링크 구조의 단부에 상기 돌출부(630)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버튼(610)이 눌러지면 상기 링크구조가 움직이고, 이로 인하여 상기 돌출부(630)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래치장치(520)의 가압부(도6참조, 522)를 누른다.
상기 래치 스위치 장치(600)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부재(550)가 마련되는데, 상기 고정부재(550)는 상기 도어(3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다리(551)와, 상기 연장다리(551)의 단부에 마련되는 고정핀(552)을 포함한다.
상기 연장다리(551)는 상하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고, 상기 고정핀(550)은 상하로 마련되는 연장다리(551)의 단부에 마련된다.
상기 연장다리(551)는 상호 이격되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핀(552)이 상기 제1래치장치(520)의 걸림홈(도6,7참조, 5242)에 걸려서 지지될 수 있다.
도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의 상부 일측, 도어 후방에서 바라볼때 우상측(도어 전방에서 바라볼때 좌상측)에도 상기 고정부재(550)가 마련된다.
상기 고정부재(550)의 구성은 도10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겠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도13(a)는 상기 제1래치장치의 평단면도이고, 도13(b)는 상기 제2래치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도13(a) 및 도13(b)에서는 상기 저장용기가 상기 도어에 결착된 상태를 구현하도록 상기 제1,2래치장치에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13(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550)가 상기 하우징(521)의 삽입 안내홈(5211)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550)의 고정핀(551)이 상기 걸림홈(5242)에 위치하고, 상기 걸림홈(5242)의 측벽이 상기 고정핀(551)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걸림홈(5242)이 상기 고정핀(551)에 대하여 스토퍼 역할을 하여 상기 고정부재(550)가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걸림부(524)의 걸림핀(5247)은 상기 이동안내홈(5244)의 우측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걸림안내홈(도4, 112)에 걸리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저장용기(100)와 상기 본체(1)와의 결착이 해제된다.
상기 걸림부(524)가 상기 고정부재(550)를 확실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이 상태애서 상기 걸림부(524)의 회동이 방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걸림부(524)의 제1삽입홈(5244)에 상기 운동안내부(526)에 마련되는 삽입부(5262)가 삽입되어 회동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회동제한부(525)의 제1연장부(5252)는 상기 고정부재(550)의 지지핀(552)에 의하여 밀려서 상기 삽입안내홈(5211)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서 상기 회동제한부(525)가 전체적으로 회동하여 위치한다.
도13(b)에서도,상기 고정부재(550)가 상기 하우징(531)의 삽입 안내홈(5311)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550)의 고정핀(551)이 상기 걸림홈(5342)에 위치하고, 상기 걸림홈(5342)의 측벽이 상기 고정핀(551)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걸림홈(5342)이 상기 고정핀(551)에 대하여 스토퍼 역할을 하여 상기 고정부재(550)가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걸림부(534)의 걸림핀(5347)은 상기 이동안내홈(5344)의 우측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걸림안내홈(도5, 122)에 걸리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저장용기(100)와 상기 본체(1)와의 결착이 해제된다.
한편, 상기 회동제한부(535)의 제1연장부(5352)는 상기 고정부재(550)의 지지핀(552)에 의하여 밀려서 상기 삽입안내홈(5311)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서 상기 회동제한부(535)가 전체적으로 회동하여 위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래치장치(520)와 상기 제2래치장치(530)는 연결부(도6참조, 1500)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1500)에 의하여 연동되기 때문에, 상기 제1래치장치(520)와 상기 제2래치장치(530)의 상태는 동일할 수 밖에 없다.
도14에서 상기 제1,2래치장치의 걸림부(524,534)의 위치는 도13(a)와 도13(b)의 걸림부(524, 534)의 위치와 동일하며, 이때, 상기 도어(30)는 상기 본체의 저장실(20)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걸림부(524, 534)의 걸림핀(5247, 5347)은 상기 걸림안내홈(112,122)의 우측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걸림안내홈(112,122)에 걸리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스토퍼(111, 121)는 상기 스토퍼홈(523, 533)에 위치하며, 상기 스토퍼홈(523, 533)는 상기 스토퍼(111,121)의 후방과 측방을 둘러싸고 있다.
다만, 이 상태에서 상기 도어(30)와 상기 저장용기(100)가 결착되어 사용자가 도어(30)를 잡아당기면 상기 도어(30)와 상기 저장용기(100)가 동시에 앞으로 회동하고, 상기 저장실(20)이 개방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걸림핀(5247, 5347)은 상기 걸림안내홈(112,122)의 우측에 위치하는데, 상기 걸림안내홈(112,122)는 전방으로 개방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상기 도어(30) 및 상기 저장용기(100)를 따라서 앞으로 이동하여도 상기 걸림안내홈(112,122)에 걸리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30) 및 상기 저장용기(100)의 원활한 개방을 구현할 수 있다.
도15(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2래치장치의 걸림부(524, 534)는 상기 고정부재(550)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부(524, 534)의 걸림홈(5242, 5342)은 상기 고정부재(550)의 고정핀(552)를 둘러싸고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55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상기 도어(30)와 상기 저장용기(100)가 결착될 수 있다.
상기 운동안내부(526)는 상기 가압부(522)의 가압동작에 의하여 움직인다.
상기 운동안내부(526)의 삽입부(5262)는 상기 제1삽입홈(5244)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524)의 회동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운동안내부(526)에 마련되는 상기 접촉편(5263)은 상기 가압부(522)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가압부(522)가 전진하는 경우, 언제든지 회동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524)의 회동을 유발할 수 있다.
도1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2가이드지지부(510, 540)에도 상기 고정부재(550)가 삽입된다.
상기 제1,2가이드 지지부(510, 540)에 마련되는 삽입 안내홈(513, 543)은 사선형태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550)의 고정핀(552)의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고정핀(552)이 상기 삽입안내홈(513, 543)의 최후방에 위치하면, 상기 고정핀(552)의 전방은 상기 하우징(551,541)로부터 연장된 걸림턱(516, 546)이 가리면서 상기 고정핀(552)이 사선방향이 아닌 정면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15(a)는 상기 제1래치장치(520)에서 상기 고정부재(550)가 분리되는 중간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15(b)는 상기 제1래치장치(520)에서 상기 고정부재(550)가 완전하게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11에 개시된 상기 손잡이(32)에 마련되는 버튼(610)을 누르면, 내부의 링크 구조가 동작을 하고, 상기 돌출부(630)가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하여 도15(a)과 도1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630)에 의하여 상기 가압부(522)가 상기 하우징(521) 내부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운동안내부(526)의 연장부(5263)을 가압한다.
상기 접촉편(5263)이 가압되면, 상기 운동안내부(526)가 회동을 하는데, 상기 운동안내부(526)의 회동방향은 본 도면에서 시계방향이다.
이에 의하여 상기 삽입부(5263)는 상기 걸림부(524)의 제1삽입홈(5244)로부터 이탈을 한다.
상기 걸림부(524)는 상기 운동안내부(526)와 상기 제2탄성부재(5292)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운동안내부(526)가 시계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운동안내부(526)에 의하여 잡아당겨져 상기 걸림부(524)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을 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걸림홈(5242)이 측방에서 전방으로 회동을 하고, 이에 듸하여 상기 걸림핀(552)과의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걸림핀(552)이 앞으로 이동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
한편, 상기 걸림부(52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을 하면, 상기 걸림핀(5247)은 상기 이동안내홈(5244)의 좌측으로 이동한다. 후술하겠지만, 이에 이하여 상기 걸림안내홈(도4, 112)의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걸림안내홈(112)의 연장홈의 걸림단차(112a)에 둘러싸이게 된다.
한편, 상기 회동제한부(525)의 제1연장부(5252)는 상기 고정부재(550)의 고정핀(552)와 접촉한 상태를 취하고 있는데, 상기 회동제한부(525)는 상기 제1탄성부재(5291)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5291)은 상기 제2연장부(5292)쪽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연장부(5292)를 잡아당기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회동제한부(525)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려는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550)가 상기 걸림부(524)와 걸림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회동제한부(525)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상기 제1연장부(5252)는 상기 걸림핀(552)를 전방방향으로 밀어낸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도어(도1참조, 30)를 앞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고정부재(550)는 상기 삽입안내홈(5211)으로 부터 앞으로 빠져나온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550)가 완전하게 상기 래치장치(520)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회동제한부(525)가 시계반대방향으로 더 회전하고, 상기 회동제한부(525)에 마련되는 삽입부(5255)가 상기 걸림부(524)에 마련된 상기 제2삽입홈(5245)에 삽입된다.
이로써, 상기 걸림부(524)가 더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도어(30)와 상기 저장용기(100)가 분리가 되어 상기 봅조저장실(100)가 본체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도어(30)를 잡아당겨 개방하면 상기 저장용기(100)의 전면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물품을 수납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제2래치장치(530)는 상기 제1래치장치(520)와 비교하여 그 내부구성의 거의 동일하며, 특히, 걸림부(도13참조, 534)와 고정부재간의 결합 및 분리, 그리고 상기 걸림부(534)와 상기 운동안내부(도13참조, 536) 간의 결합 및 분리 및 운동안내 메커니즘은 상기 제1래치장치(520)와 동일하다.
상기 운동안내부(536)의 경우, 상기 연결부(도6참조, 1500)에 의하여 제1래치장치(520)의 운동안내부(526)과 연결되고, 그 운동방향 및 특성도 상기 제1래치장치(520)의 운동안내부(526)와 동일하다.
다만, 상기 제2래치장치(530)의 운동안내부(534)의 운동의 시작은 상기 제1래치장치(520)의 운동안내부(524)의 회동 및 이에 의한 상기 연결부(1500)의 회동이라는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제2래치장치(530)와 상기 고정부재(550)의 분리 동작은 상술한 상기 제1래치장치(520)와 상기 고정부재(550)간의 분리동작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하도록 하겠다.
도16에서 나타난 제1,2래치장치의 걸림부(524, 534)의 위치는 도15(a)와 도15(b)의 걸림부(524, 534)의 위치와 동일하며, 이때, 상기 도어(30)는 개방상태가 되고, 상기 저장용기(100)는 상기 저장실(20) 입구에 배치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524, 534)의 걸림핀(5247, 5347)은 상기 걸림안내홈(112,122)의 좌측에 위치한 연장홈에 위치하고, 상기 연장홈의 전방 테두리에 형성된 걸림단차(112a, 122a)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한편, 상기 스토퍼(111, 121)는 상기 스토퍼홈(523, 533)에 위치하며, 상기 스토퍼홈(523, 533)는 상기 스토퍼(111,121)의 후방과 측방을 둘러싸고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도어(30)와 상기 저장용기(100)가 분리되어 사용자가 도어(30)를 잡아당기면 상기 도어(30)만 앞으로 회동하고, 상기 저장용기(100)가 개방되는 것이다.
상기 걸림핀(5247, 5347)은 상기 걸림안내홈(112,122)의 좌측에 마련되는 연장홈에 위치하는데, 상기 연장홈은 상기 걸림단차(112a,122a)에 의하여 그 전방이 막혀 있기 때문에, 상기 도어(30)를 앞으로 개방하여도 상기 걸림단차(112a, 122a)에 사상기 걸림핀(5247, 5347)이 걸려서 앞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30)의 원활한 개방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래치장치(520)와 상기 고정부재(550)간이 결합 및 분리 과정은 실질적으로 제2래치장치(520)와 상기 고정부재(550) 간의 결합 분리 과정과 유사하므로 상기 제2래치장치(530)는 상기 연결부(1500)에 의하여 상기 제1래치장치(520)의 동작에 연동될 뿐이므로 제1래치장치(520)에 관한 설명을 통하여 제2래치장치(530)에 대한 설명을 대체하도록 하겠다.
즉. 도15(b)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550)와 상기 제1래치장치(530)가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30)를 밀어서 도15(a)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550)를 상기 래치장치(520)에 진입시킨다.
상기 고정부재(550)는 상기 삽입안내홈(5211)에 삽입되고, 상기 회동제한부(525)의 제1연장부(5252)를 뒤로 밀게 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회동제한부(52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의하여 상기 회동제한부(525)의 삽입부(5255)가 상기 걸림부(524)의 제2삽입홈(5245)의 영역으로 부터 이탈된다.
상기 고정부재(550)의 상기 고정핀(552)은 상기 걸림홈(5242)에 진입하고, 상기 걸림홈(5242)를 뒤로 밀어서 상기 걸림부(524) 자체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걸림부(52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상기 걸림부(524)와 상기 제2탄성부재(5292)에 의하여 연결된 상기 운동안내부(526)가 잡아당겨진다.
이에 의하여 상기 운동안내부(526)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제1삽입홈(5244)와 상기 운동안내부(526)의 삽입부(5262)가 근접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550)가 완전하게 진입을 하면, 상기 걸림부(524)의 걸림홈(5242)는 측방을 바라보게 되고, 상기 고정핀(552)은 상기 걸림홈(5242)에 의하여 둘러싸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운동안내부(526)의 삽입부(5262)가 상기 제1삽입홈(5244)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526)의 회동을 제한한다.
이로써 상기 고정부재(550)가 상기 걸림부(524)에 완전하게 구속되어 전방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 본체 13: 힌지
20: 저장실(냉장실) 30: 도어
31: 개스킷 32: 손잡이
100: 저장용기 110: 프레임
120: 수납선반 130: 커버
520: 제1래치장치 530: 제2래치장치
521, 531: 하우징 522, 532: 가압부
523, 533: 스토퍼 524, 534: 걸림부
525, 535: 회동제한부 526, 536: 운동안내부
1500: 연결부
20: 저장실(냉장실) 30: 도어
31: 개스킷 32: 손잡이
100: 저장용기 110: 프레임
120: 수납선반 130: 커버
520: 제1래치장치 530: 제2래치장치
521, 531: 하우징 522, 532: 가압부
523, 533: 스토퍼 524, 534: 걸림부
525, 535: 회동제한부 526, 536: 운동안내부
1500: 연결부
Claims (18)
-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힌지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가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내면 또는 상기 본체 벽면 또는 상기 저장용기에 각각 구비되어진 저장용기 지지장치와;
상기 저장용기 지지장치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며, 상기 도어에 마련되되, 상기 도어 외부에서 조작이 가능한 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용기 지지장치는;
상기 저장용기에 마련되며 외력 가압에 따라서 동작하여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도어에 선택적으로 걸려지게 되어 상기 저장용기가 상기 저장실 또는 도어 배면에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지지력을 제공하는 제1,2래치장치와;
상기 제1래치장치와 상기 제2래치장치가 동시에 동작하도록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래치장치는
상기 저장용기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저장실 입구에 마련되는 걸림안내홈 또는 상기 도어의 배면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도록 마련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와 연결되고 외력의 가압에 따라 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걸림부의 회동운동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안내부와;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걸림부와 상기 도어 배면의 고정부재와의 걸림 상태 해제시 상기 걸림부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의 회동을 제한하는 회동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래치장치의 운동안내부 및 상기 제2래치장치의 운동 안내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래치장치는 상기 저장용기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래치장치는 상기 저장용기의 상부에 마련되되,
상기 연결부는 상하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2래치장치를 연결하며, 상기 제1,2래치장치 중 어느 하나의 운동을 다른 하나에 전달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저장실 입구의 마련되는 걸림안내홈에 걸려지는 걸림핀과;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 배면에 마련되는 고정부재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걸림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안내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일단에 마련되어 외력을 받는 연장편과;
상기 몸체부 타단에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걸림부에 삽입되되, 상기 걸림부가 상기 도어 배면에 마련되는 고정부재에 걸려진 상태가 된 경우 상기 걸림부의 회동운동을 제한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제한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부재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연장부와;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부에 삽입가능하게 마련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와 상기 운동안내부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연결되되,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운동안내부에 대한 외력 가압시 상기 걸림부를 잡아당겨 회전시킴 으로써 상기 걸림부와 상기 도어 배면의 고정부재 간의 걸림 해제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제한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탄성부재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걸림부에 걸려진 상기 고정부재를 이탈방향으로 밀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제1래치장치 또는 상기 제2래치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외력을 가하는 래치 스위치 장치와;
상기 제1래치장치 또는 상기 제2래치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래치스위치 장치의 운동을 상기 운동안내부로 전달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래치장치는 상기 도어의 회동부 반대 방향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는 외곽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수납선반과;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실에 대향되도록 마련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1,2래치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1대상물에 마련되며 외력 가압에 따라서 동작하여 제2대상물 또는 제3대상물에 선택적으로 걸려지게 되어 상기 제1대상물이 상기 제2대상물 또는 제3대상물에 착탈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지지력을 제공하는 래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치장치는 제1대상물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2래치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1,2래치장치는
상기 제1대상물에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2대상물에 마련되는 걸림안내홈 또는 상기 제3대상물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도록 마련되는 걸림부와;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걸림부와 상기 제3대상물의 고정부재과의 걸림 상태 해제시 상기 걸림부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의 회동을 제한하는 회동제한부와,
상기 걸림부와 연결되고 외력의 가압에 따라 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걸림부의 회동운동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안내부와,
상기 제1래치장치와 상기 제2래치장치를 연결하며 둘 중 어느 하나의 운동동작을 다른 하나에 전달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래치장치의 상기 운동안내부는 상기 연결부에 의하여 연결되되,
상기 운동안내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일단에 마련되어 외력을 받는 연장편과;
상기 몸체부 타단에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걸림부에 삽입되되, 상기 걸림부가 상기 제3대상물에 마련되는 고정부재에 걸려진 상태가 된 경우 상기 걸림부의 회동운동을 제한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와 상기 운동안내부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연결되되,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운동안내부에 대한 외력 가압시 상기 걸림부를 잡아당겨 회전시킴 으로써 상기 걸림부와 상기 제3대상물의 고정부재 간의 걸림 해제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2대상물에 마련되는 걸림안내홈에 걸려지는 걸림핀과;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3대상물에 마련되는 고정부재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걸림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장치는;
상기 회동제한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탄성부재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걸림부에 걸려진 상기 고정부재를 이탈방향으로 밀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대상물에 마련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제1래치장치 또는 제2래치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외력을 가하는 래치 스위치 장치와,
상기 제1래치장치 또는 상기 제2래치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래치스위치 장치의 운동을 상기 운동안내부로 전달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버튼이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래치장치가 상기 제3대상물의 고정부재과 결합되어 상기 제3대상물과 상기 제1대상물이 연동하여 움직일 수 있고,
상기 버튼이 눌려진 상태에서는, 상기 래치 스위치 장치의 외력 가압에 의하여 상기 래치장치와 상기 고정부재가 걸림 해제되는 한편, 상기 제2대상물의 걸림안내홈에 상기 래치장치가 걸려지게 되어 상기 제2대상물에 상기 제1대상물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0)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8600A KR102007838B1 (ko) | 2012-01-27 | 2012-01-27 | 래치장치, 래치장치로 구성되는 저장용기 지지장치와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
EP12168066.4A EP2613112B1 (en) | 2012-01-03 | 2012-05-15 | Refrigerator having storage container |
US13/473,726 US8801124B2 (en) | 2012-01-03 | 2012-05-17 | Refrigerator having storage container |
US13/473,668 US8857930B2 (en) | 2012-01-03 | 2012-05-17 | Refrigerator having storage container |
US13/473,672 US8844983B2 (en) | 2012-01-03 | 2012-05-17 | Connection support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US13/473,686 US8857865B2 (en) | 2012-01-03 | 2012-05-17 | Latch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EP19214793.2A EP3660428A1 (en) | 2012-01-03 | 2012-06-01 | Refrigerator with a connection support device |
EP12170441.5A EP2613113B8 (en) | 2012-01-03 | 2012-06-01 | Connection support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EP12170562.8A EP2613115B1 (en) | 2012-01-03 | 2012-06-01 | Latch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EP12170443.1A EP2613114B1 (en) | 2012-01-03 | 2012-06-01 | Refrigerator having storage container |
JP2012135384A JP5658198B2 (ja) | 2012-01-03 | 2012-06-15 | 貯蔵容器を備える冷蔵庫 |
JP2012135414A JP5658199B2 (ja) | 2012-01-03 | 2012-06-15 | 支持装置 |
JP2012135352A JP5385429B2 (ja) | 2012-01-03 | 2012-06-15 | 冷蔵庫 |
JP2012135349A JP5307918B2 (ja) | 2012-01-03 | 2012-06-15 | ラッチ装置 |
BR102012015110-3A BR102012015110B1 (pt) | 2012-01-03 | 2012-06-19 | refrigerador |
BR102012015111-1A BR102012015111B1 (pt) | 2012-01-03 | 2012-06-19 | refrigerador |
CN201210208992.8A CN103185437B (zh) | 2012-01-03 | 2012-06-20 | 连接支撑装置以及具有该连接支撑装置的冰箱 |
CN201210212528.6A CN103185438B (zh) | 2012-01-03 | 2012-06-21 | 闭锁件及具有该闭锁件的冰箱 |
CN201210212542.6A CN103185433B (zh) | 2012-01-03 | 2012-06-21 | 具有储藏容器的冰箱 |
CN201210211906.9A CN103185432B (zh) | 2012-01-03 | 2012-06-21 | 具有储藏容器的冰箱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8600A KR102007838B1 (ko) | 2012-01-27 | 2012-01-27 | 래치장치, 래치장치로 구성되는 저장용기 지지장치와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7316A true KR20130087316A (ko) | 2013-08-06 |
KR102007838B1 KR102007838B1 (ko) | 2019-10-23 |
Family
ID=49214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8600A KR102007838B1 (ko) | 2012-01-03 | 2012-01-27 | 래치장치, 래치장치로 구성되는 저장용기 지지장치와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07838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164495U (ko) * | 1980-05-10 | 1981-12-05 | ||
KR19990056257A (ko) * | 1997-12-29 | 1999-07-15 | 전주범 | 냉장고의 리버서블도어 |
KR20060135886A (ko) * | 2004-03-19 | 2006-12-29 |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에 사용하기 위한 로크 |
KR20080069434A (ko) * | 2007-01-23 | 2008-07-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양방향 개폐 가능한 도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WO2011081279A1 (en) * | 2010-01-04 | 2011-07-07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including multiple storage compartments |
-
2012
- 2012-01-27 KR KR1020120008600A patent/KR10200783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164495U (ko) * | 1980-05-10 | 1981-12-05 | ||
KR19990056257A (ko) * | 1997-12-29 | 1999-07-15 | 전주범 | 냉장고의 리버서블도어 |
KR20060135886A (ko) * | 2004-03-19 | 2006-12-29 |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에 사용하기 위한 로크 |
KR20080069434A (ko) * | 2007-01-23 | 2008-07-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양방향 개폐 가능한 도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WO2011081279A1 (en) * | 2010-01-04 | 2011-07-07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including multiple storage compartment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07838B1 (ko) | 2019-10-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658198B2 (ja) | 貯蔵容器を備える冷蔵庫 | |
KR102245373B1 (ko) | 냉장고 | |
EP3008409B1 (en) | Refrigerator | |
KR20130087318A (ko) |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 |
KR20130079770A (ko) | 래치장치 및 래치장치와 보조저장실을 구비하는 냉장고 | |
KR102007838B1 (ko) | 래치장치, 래치장치로 구성되는 저장용기 지지장치와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 |
KR101952680B1 (ko) | 냉장고 | |
KR101988307B1 (ko) | 냉장고 | |
KR101952678B1 (ko) | 래치장치, 래치장치로 구성되는 저장용기 지지장치와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 |
KR101988306B1 (ko) | 냉장고 | |
KR101956034B1 (ko) |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 |
KR101952681B1 (ko) | 냉장고 | |
KR20130087323A (ko) | 냉장고 | |
KR20140051601A (ko) | 냉장고 | |
KR20200120053A (ko) | 냉장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