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5373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5373B1
KR102245373B1 KR1020167000218A KR20167000218A KR102245373B1 KR 102245373 B1 KR102245373 B1 KR 102245373B1 KR 1020167000218 A KR1020167000218 A KR 1020167000218A KR 20167000218 A KR20167000218 A KR 20167000218A KR 102245373 B1 KR102245373 B1 KR 102245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ntainer
link
refrigerator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0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9489A (ko
Inventor
추아영
김정훈
박래영
임지현
김진동
김현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7011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474B1/ko
Publication of KR20160019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9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8Sliding handles, e.g. push but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42For refrigerators or cold roo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42For refrigerators or cold rooms
    • E05B65/0046For refrigerators or cold rooms with a bifurcated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00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2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 E05C3/3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in the form of a hoo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7/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 E05C7/02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25D23/082Strips
    • F25D23/087Sealing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식품을 저장하는 제1저장 영역을 정의하는 캐비닛과; 상기 제1저장 영역을 개폐하기 위하여, 제1힌지 부재에 의하여,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위치한 제1회전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가스켓과; 상기 제1저장 영역에 수용되는 제2저장 영역을 정의하며, 제2힌지 부재에 의하여, 상기 도어에 위치하는 제2회전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에 설치되는 걸림 부재와; 상기 도어에 마련되고, 상기 걸림 부재에 걸려서 상기 도어와 상기 컨테이너를 선택적으로 체결하는 체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장치는 상기 도어와 상기 컨테이너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 장치를 통해 냉기가 외부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주된 저장실 이외의 별도의 저장실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냉장고에 구비된 저장실의 온도를 소정 온도로 유지하여 음식물 등을 냉동 보관 또는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는 음식물 또는 음료를 얼려서 보관하는 냉동실과, 상기 음식물 또는 음료를 저온에서 보관하는 냉장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의 위치에 따라 구분하기도 한다. 예들 들어,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된 탑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과,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된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과, 냉동실과 냉장실이 격벽에 의해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냉동실과 냉장실은 냉장고의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며, 각각 냉동실 도어와 냉장실 도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냉동실 도어와 냉장실 도어는 전면이 개구된 냉동실과 냉장실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각 도어에는 저장실 내부의 밀폐를 위해 가스켓이 구비된다.
최근에는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고 도어를 자주 개폐함에 따른 냉기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냉장고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의 주된 저장실 이외의 별도의 저장공간(이하 편의상 “보조 저장실”이라 함)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 저장공간을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기 않고도 접근 가능하도록 한 냉장고가 제안되고 있다.
또한 냉장고의 주된 저장실과 보조 저장실에 선택적으로 접근하도록 하는 데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소비전력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도어와 컨테이너를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회전시켜서, 사용자가 각각에 접근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를 통해서 냉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품을 저장하는 제1저장 영역을 정의하는 캐비닛과; 상기 제1저장 영역을 개폐하기 위하여, 제1힌지 부재에 의하여,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위치한 제1회전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가스켓과; 상기 제1저장 영역에 수용되는 제2저장 영역을 정의하며, 제2힌지 부재에 의하여, 상기 도어에 위치하는 제2회전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에 설치되는 걸림 부재와; 상기 도어에 마련되고, 상기 걸림 부재에 걸려서 상기 도어와 상기 컨테이너를 선택적으로 체결하는 체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장치는 상기 도어와 상기 컨테이너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 장치를 통해 냉기가 외부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상기 실링부는 상기 체결 장치 내부로 냉기가 이동되는 유로를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체결 장치는 상기 걸림 부재에 걸려 고정되는 후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는 상기 가스켓에 의해서 둘러싸인 영역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체결 장치는,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레버를 구비하는 조작부와, 상기 레버에 의해서 발생된 변위를 전달하는 제1링크 및 제2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2링크는 상기 후크를 회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는 서로 분리되는 별개의 구성요소를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제1링크가 삽입되어, 상기 제1링크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된 제1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관통공은 상기 제1링크의 단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링크가 삽입되어, 상기 제2링크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된 제2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관통공은 상기 제2링크의 단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후크의 일단에 마련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제2관통공의 일단을 선택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의 이동 방향은 직각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는 상기 컨테이너를 향해서 돌출 형성된 탄성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와 상기 컨테이너가 결합되면 상기 탄성 돌기는 압축 변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도어에 마련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도어의 측면에 마련된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도어에 마련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도어의 전면에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실링부는 상기 체결 장치가 상기 걸림 부재에 걸리지 않은 상태에는 상기 체결 장치 내부로 냉기가 이동되는 유로를 개방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 영역 및 보조 저장 영역을 개폐하기 위해서 하나의 도어 만을 구비하기 때문에, 2개의 도어을 구비하는 경우에 비하여 냉기 손실을 줄일 수 있고 또한 이슬 맺힘 방지를 위한 히터의 설치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소비전력이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보조 저장 영역이 설치된 컨테이너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도어만을 회전시키고, 냉동실 또는 냉장실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컨테이너와 도어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컨테이너와 도어가 체결된 상태에서 컨테이너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에 의해서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로면, 도어와 컨테이너를 체결하는 체결 장치의 구조로 인해서 저장실의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냉장고에서 도어만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냉장고에서 도어 및 컨테이너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손잡이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따른 결합 장치와 걸림 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에서 결합 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결합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도어와 컨테이너가 개별적으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8에서 손잡이부와 결합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8에서 요부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8에서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8에서 결합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컨테이너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4에서 걸림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4에 체결되는 체결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도 16에서 체결 장치와 걸림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도 17에서 전달 부재와 증폭 부재의 연결 부위의 단면도.
도 19는 도 17에서 버튼 부재와 증폭 부재의 연결 부위의 단면도.
도 20은 도 17에서 체결 장치와 걸림 부재가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고정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를 도시한 도면.
도 22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도 22의 좌측면도.
도 24는 도 22의 우측면도.
도 25은 도 22의 분해 사시도.
도 26는 일 실시예에서 도 1의 상태에서 고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27은 일 실시예에서 도 2의 상태에서 고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28는 일 실시예에서 도 3의 상태에서 고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식품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저장실 예들 들어 냉장실이 구비되며, 하부에는 냉동실이 구비된다. 냉장실을 개폐하기 위하여, 캐비닛(10)의 상부에는 도어(20)가 힌지 부재(40)(이하 편의상 “제1힌지 부재”라 함)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냉장실을 개폐하는 2개의 도어(20)를 도시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1개의 도어를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어(20)에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20)를 회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22)가 설치된다. 물론, 상기 손잡이부(22)의 형상이나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것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구조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어(2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물이나 얼음을 공급받을 수 있는 디스펜서(30)가 구비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하부에는 냉동실을 개폐하기 위한 다른 도어(20a)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식품을 보관할 수 있는 저장공간 즉 냉장실(2)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냉장실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지만, 본 실시예는 냉장실에 한정되지 않고 냉동실 등과 같은 식품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저장공간이면 적용가능하므로 이하 편의상 “제1저장 영역”이라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저장 영역(2)과는 다른 저장실(52)(이하 편의상 “제2저장 영역”이라 함)을 정의하는 컨테이너(100)가 구비된다. 컨테이너(100)는 도어(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캐비닛(10) 및 도어(20)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구비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캐비닛(10), 도어(20), 컨테이너(100)의 관계 및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컨테이너(100)가 캐비닛(10)에 수용된 상태이며, 도어(20)만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캐비닛(10)에 대해서 도어(20)는 제1힌지 부재(40)를 통해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힌지 부재(40)는 상기 캐비닛(10)의 일측에 위치한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제1힌지 부재(40)의 회전축(42)(이하 편의상 “제1회전축”)에 대해서 회동하며, 상기 제1저장 영역(2)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의 내측에는 가스켓(26)이 구비된다. 상기 가스켓(26)은 상기 도어(20)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된다. 상기 가스켓(26)은 상기 도어(20)의 사각 형상을 따라 전체적으로 사각띠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도어(20)가 상기 캐비닛(10)를 향해서 회전되어 상기 제1저장 영역(2)이 밀폐되면, 상기 가스켓(26)은 상기 캐비닛(10)의 전면부(12)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제1저장 영역(2)에서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도어(20)에는, 컨테이너(100)가 제2힌지 부재(200)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힌지 부재(200)의 회전축(이하 편의상 “제2회전축”)은 상기 도어(20)에 위치하며, 상기 제1힌지 부재(40)의 제1회전축(42)와는 별도로 구비된 회전축이다. 즉 상기 제1힌지 부재(40)는 캐비닛(10)과 도어(2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2힌지 부재(200)는 도어(20)와 컨테이너(100)의 사이에 구비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이라는 용어을 사용한다. 컨테이너(100)의 크기(좌우방향 길이(폭) 및 상하방향 길이(높이))는 실질적으로 제1저장 영역(2)보다 적어도 크지 않도록 구비되어, 상기 컨테이너(100)가 상기 제1저장 영역(2)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테이너(100)의 깊이(전후방향 길이)는 상기 제1저장 영역(2)의 깊이의 소정 부분을 점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도어(20)가 닫히는 경우에, 컨테이너(100)는 제1저장 영역(2)에 위치하게 되므로, 캐비닛(10)의 전면부(12)와 도어(20)의 내측 테두리부 사이에서만 냉기 누설의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도어(20)의 내측 테두리부에 1개의 가스켓(26) 만을 설치하여도, 냉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컨테이너(100)을 위한 가스켓을 구비하지 않고, 도어(20)를 위한 가스켓(26) 만을 구비하면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가스켓의 설치로 인한 냉기 손실이나 히팅을 위한 에너지 낭비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20)에는, 상기 컨테이너(100)과 상기 도어(20)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체결 장치(6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체결 장치(600)는 상기 도어(20) 및 상기 컨테이너(100)를 함께 개방할 때는 상기 도어(20) 및 상기 컨테이너(100)를 결합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도어(20)만을 개방할 때는 상기 도어(20) 및 상기 컨테이너(100)의 결합을 해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체결 장치(600)에 의한, 상기 도어(20) 및 상기 컨테이너(100)의 결합 및 해제를 위하여, 손잡이부(22)에 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도어(20)의 내측에는 식품이 보관되는 저장부(24)가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20)를 개방한 후에, 사용자가 상기 저장부(24)에 접근해서, 상기 도어(20)의 내측에 설치된 저장부(24)에 식품을 보관하거나 보관된 식품을 꺼낼 수 있다. 물론, 상기 도어(20)의 저장부(24)를 구비하는 대신에, 컨테이너(100)의 깊이를 크게 하여, 상기 도어(20)의 저장부(24)가 점유하는 공간을 상기 컨테이너(100)가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도어(20)와 컨테이너(100)가 함께 개방된 것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제1저장 영역(2)을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도어(20)와 컨테이너(100)를 함께 개방하면, 상기 제1저장 영역(2)이 사용자에게 접근 가능한 상태가 된다. 제1저장 영역(2)의 구조는 일반적인 냉장고의 저장실의 구조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예들 들어, 상기 제1저장 영역(2) 내에는 복수 개의 선반(4), 서랍(6)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100)에는 상기 컨테이너(100)가 상기 캐비닛(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 장치의 결합부(15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정 장치의 결합부(1500)는, 상기 도어(20) 만을 개방할 때는 상기 컨테이너(100)를 상기 캐비닛(10)에 결합시키는 기능을 하며, 상기 도어(20) 및 상기 컨테이너(100)를 함께 개방할 때는 상기 컨테이너(100)과 상기 캐비닛(10)의 결합을 해제하는 기능을 한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손잡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에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20)에 손을 파지해서 상기 도어(2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부(22)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22)는 상기 도어(20)의 전면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22)에서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는 부분에는 조작부(65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부(650)는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작부(650)는 상기 도어(20)가 상기 제1저장 영역(2)을 밀폐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노출되게 배치된다. 사용자는 상기 도어(20)가 상기 제1저장 영역(2)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650)에 접근해서, 상기 조작부(650)를 통해서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도어(20)의 결합관계를 조작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따른 결합 장치와 걸림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4에서 결합 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따른 결합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체결 장치(600)는 상기 도어(20)에 마련되어서 상기 도어(20)를 상기 컨테이너(100)에 선택적으로 체결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체결 장치(600)를 이용해서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를 고정해서 함께 회전시키거나,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를 분리해서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를 개별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100)에는 상기 도어(20)를 바라보는 면에 소정 깊이로 함몰된 리세스(120)가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120)에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바 형상의 걸림 부재(130)가 마련된다.
즉 상기 걸림 부재(130)가 상기 체결 장치(600)에 체결되어서,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가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 장치(600)는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620)를 포함한다. 상기 후크(620)는 케이스(610)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수직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후크(620)는 아래쪽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편(622)이 마련되어서 상기 걸림 부재(130)에 걸릴 수 있다. 즉 돌출편(622)이 상기 걸림 부재(130)에 걸린 상태는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도어(20)가 결합된 상태이다.
한편 상기 후크(620)의 후방에는 실링부(626)가 마련되어서, 상기 후크(620)의 후방에 형성된 통로를 통해서 상기 제1저장 영역(2)에 수용된 냉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즉 상기 실링부(626)는 상기 체결 장치 내부로 냉기가 이동될 수 있는 통로를 막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실링부(626)는 고무 재질 등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가능하고, 상기 실링부(626)가 약간의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통로의 개구된 부분을 밀폐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 장치(600)는 사용자가 조작가능한 조작부(650)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650)의 조작을 상기 후크(620)에 전달하는 제1링크(662) 및 제2링크(6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650)는 사용자가 눌러서 변위를 발생시킬 수 있는 레버(6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버(652)는 사용자가 누를 때에는 도 5를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되었다가. 사용자가 상기 레버(652)의 누름을 해제하게 되면 도 5를 기준으로 우측으로 위치가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체결 장치(600)는 상기 제1링크(662)가 삽입되어, 상기 제1링크(662)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관통공(664)이 형성된 제1하우징(6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관통공(664)은 상기 제1링크(662)의 단면적과 동일한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1관통공(664)을 통해서 상기 제1저장 영역(2)의 냉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상기 제1링크(662)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체결 장치(600)는 상기 제2링크(672)가 삽입되어, 상기 제2링크(672)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관통공(674)이 형성된 제2하우징(6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관통공(674)은 상기 제2링크(672)의 단면적과 동일한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2관통공(674)을 통해서 상기 제1저장 영역(2)의 냉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상기 제2링크(672)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이 용이하다.
상기 제2하우징(670)은 상기 도어(20)에 매립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1하우징(660)은 상기 도어(20)로부터 상기 손잡이부(22)로 연장되는 부분에 매립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링크(662)와 상기 제2링크(672)는 서로 분리되는 별개의 구성요소를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링크(662)와 상기 제2링크(672)가 하나의 부품으로 이루어진다면, 상기 제1링크(662) 및 상기 제2링크(672)를 통해서 전도를 통해서, 열 전달이 쉽게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제1링크(662)와 상기 제2링크(672)가 분리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면, 상기 제1링크(662)와 상기 제2링크(672)가 간헐적으로 접촉이 분리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전도에 의한 열전달을 막아서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에는 상기 컨테이너(100)를 바라보는 면에 상기 컨테이너(100)를 향해서 돌출 형성된 탄성 돌기(68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돌기(680)는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가 결합되면 압축 변형되어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의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도어(2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제조상의 오차로 인해서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도어(20)이 서로 정확하게 접촉하지 않아,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도어(20)가 부딪히면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도어(20)가 결합되었을 때에, 상기 탄성 돌기(680)를 압축시켜서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도어(20)가 일정한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해서,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의 접촉으로 인해서 발생되는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돌기(680)에 의해서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 사이의 진동으로 인한 부품 파손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후크(620)는 상기 가스켓(26)에 의해서 둘러싸인 영역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후크(620)는 상기 가스켓(26)에 의해서 밀폐되는 상기 제1저장 영역(2)에 연통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100)의 크기는 상기 도어(20)의 크기 보다 작고,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제1저장 영역(2)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도어(20)가 접해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부품인 상기 후크(620)도 상기 제1저장 영역(2) 내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체결 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가 상기 레버(652)를 누르게 되면, 상기 레버(652)는 도 5를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1링크(662)와 상기 제2링크(672)는 상기 레버(652)의 이동 거리 만큼 함께 좌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링크(672)는 상기 후크(620)의 실링부(626)를 누르게 된다. 상기 후크(62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편(622)은 상기 걸림 부재(130)의 상측으로 이동되고, 따라서 상기 후크(620)는 상기 걸림 부재(130)로부터 걸림이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의 체결은 해제되어서,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가 분리되어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제1링크(662)와 상기 제1관통공(664)의 단면적은 서로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제1관통공(664)의 내부는 상기 제1링크(662)로 채워져 있는 상태이다. 즉 상기 제1링크(662)의 이동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1관통공(664)을 통해서 냉기가 이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링크(672)와 상기 제2관통공(674)의 단면적이 서로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제2관통공(674)의 내부는 상기 제2링크(672)로 채워져 있는 상태이다. 즉 상기 제2링크(672)의 이동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2관통공(674)을 통해서 냉기가 이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실링부(626)은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2관통공(674)의 일단의 개구된 부분을 밀폐하지 않는다. 즉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의 체결이 해제되면, 상기 제2관통공(674)의 일단은 냉기에 접촉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레버(652)를 누르지 않게 되면, 상기 레버(652)는 원래의 위치, 즉 우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링크(662) 및 상기 제2링크(672)도 우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후크(62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편(622)은 상기 걸림 부재(130)에 걸리게 되고, 상기 후크(620)는 상기 걸림 부재(130)에 걸리게 된다. 그러면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는 결합되게 되어, 사용자는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후크(620)의 상기 실링부(626)는 상기 제2관통공(674)의 일단을 밀폐하게 되어서, 상기 제1저장 영역(2)에 저장된 냉기가 상기 제2관통공(674)으로 누출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도어와 컨테이너가 개별적으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8 및 도 9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1저장 영역(2)을 개폐하는 도어(20)가 하나만 설치된 실시예이다. 즉 사용자는 상기 하나의 도어(20)만을 회전시켜서 상기 제1저장 영역(2)을 전부 개폐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되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을 하기로 한다.
상기 손잡이부(22)는 상기 도어(20)의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 영역(2)을 개폐하는 도어가 상기 도어(20) 하나 뿐이기 때문에, 상술한 실시예와 달리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20)의 측면이 사용자에 접근가능하다.
도 10은 도 8에서 손잡이부와 체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8에서 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22)는 상기 체결 장치(600)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22)에서 발생된 동작은 상기 체결 장치(60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22)는 상기 레버(652)가 설치되는 브라켓(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652)는 상기 브라켓(23)에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버(652)는 상측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브라켓(2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660)과 상기 제2하우징(670)은 하나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1하우징(660)과 상기 제2하우징(670)에는 상기 제1링크(662) 및 상기 제2링크(672)가 삽입되어서, 상기 제1링크(662)와 상기 제2링크(672)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662)와 상기 제2링크(672)는 서로 분리되는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제1링크(662)와 상기 제2링크(672)를 개별적으로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상기 제1링크(662)와 상기 제2링크(672)가 하나의 부품으로 이루어진다면, 상기 제1링크(662) 또는 상기 제2링크(672)에 해당되는 부분이 손상되면, 상기 제1링크(662)와 상기 제2링크(672)를 모두 교환해야 한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부품을 서로 분리가능하도록 마련해서, 제품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링크(662)와 상기 제2링크(672)를 구분해서, 상기 제1링크(662)와 상기 제2링크(672)가 길이가 길어지는 것을 막아 부품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제1링크(662)와 상기 제2링크(672)를 개별적으로 교환 또는 수리하는 데에 있어서 필요로 하는 작업 공간이 줄어들게 되고, 교환 또는 수리를 위한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는 도 8에서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8에서 결합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1링크(662)와 상기 제2링크(672)의 이동 방향은 서로 직각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를 기준으로 상기 제1링크(662)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반면에, 상기 제2링크(672)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링크(662)는 소정 각도의 경사를 이루는 제1경사면(668)을 포함하고, 상기 제2링크(672)는 상기 제1경사면(668)에 접촉해서 안내되는 제2경사면(676)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링크(662)의 수직 방향 이동은 상기 제2링크(672)의 수평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652)와 상기 제1링크(662)의 이동 방향은 서로 직각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를 기준으로 상기 레버(652)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는 반면에, 상기 제2링크(672)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버(652)는 소장 각도의 경사를 이루는 제4경사면(654)을 포함하고, 상기 제1링크(662)는 상기 제4경사면(654)에 접촉해서 안내되는 제3경사면(66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662)는 상기 레버(652)에 인접한 부분에는 상기 제3경사면(666)이 형성되고, 상기 제2링크(672)에 인접한 부분에는 상기 제1경사면(668)이 형성되어서 상기 레버(652)의 운동을 상기 제2링크(672)에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링크(662)가 이동하는 궤적(수직 방향 궤적)과 상기 제2링크(672)가 이동하는 궤적(수평 방향 궤적)이 서로 수직하기 때문에, 상기 제1저장 영역(2)의 냉기가 외부로 쉽게 누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제1저장 영역(2)에 수용된 냉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해서 다른 실시예에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상기 레버(652)를 누르게 되면, 상기 제4경사면(654)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3경사면(666)은 상기 제4경사면(654)과 접촉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4경사면(654)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3경사면(666)도 이동된다.
상기 제2링크(672)가 이동하게 되고, 제1경사면(668)도 상기 제2링크(672)를 따라 직선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1경사면(668)은 상기 제2경사면(676)에 접촉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2링크(672)도 직선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1링크(662)와 상기 제2링크(672)의 이동 방향은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620)는 회전가능하고,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도어(20)는 체결 또는 미체결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크(620)의 일단에는 상기 실링부(626)가 구비되어서, 상기 실링부(626)는 상기 제2관통공(674)의 일단을 밀폐할 수 있어서, 상기 제2관통공(674)으로 상기 제1저장 영역(2)의 냉기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실링부(626)는 상기 체결 장치(600)(구체적으로 상기 후크(620))가 상기 걸림 부재(130)에 걸리면 냉기가 이동하는 통로를 밀폐하고, 상기 체결 장치(600)가 상기 걸림 부재(130)에 걸리지 않으면 통로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실링부(626)가 상기 제2관통공(674)의 일단을 일시적으로 개방하더라도, 상기 제1관통공(664)은 상기 제1링크(662)로 채워져 있고, 상기 제2관통공(674)도 상기 제2링크(672)로 채워져 있기 때문에 냉기가 상기 제1관통공(664) 또는 상기 제2관통공(674)을 통해서 이동할 가능성은 감소될 수 있다.
사용자가 냉장고를 사용하는 시간을 고려해보면, 상기 체결 장치에 의해서 상기 컨테이너와 상기 도어가 결합되어 있는 시간이 그렇지 않은 시간보다 많다. 왜냐하면 상기 체결 장치에 의해서 체결되어 있는 것이 초기 위치이고, 사용자가 상기 레버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도어와 상기 컨테이너의 체결이 해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체결 장치가 상기 도어와 상기 컨테이너를 체결한 상태(상대적으로 더 많은 시간 동안에 유지됨)에서 냉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추가적인 밀폐 구조를 마련해서, 냉장고 사용 시에 누설되는 냉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4는 컨테이너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도 14에서는 상기 걸림 부재만을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분해해서 도시한다. 이하 도 1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컨테이너(100)은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110), 상기 바디(110)에 결합되는 커버(13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130)는 상기 바디(110)의 개구부를 마감해서 상기 바디(110)의 내부 중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100)에는 상기 걸림 부재(161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 부재(1610)는 상기 걸림 부재(1610)의 전방을 마감하는 커버(16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1612)는 상기 걸림 부재(1610)의 일부가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해서, 사용자가 상기 걸림 부재(1610)를 임의로 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걸림 부재(1610)와 상기 커버(1612)는 상기 도어(20)에 접촉가능하도록 상기 컨테이너(100)에 설치된다.
상기 컨테이너(100)의 상측에는 상기 한편, 상기 컨테이너(100)에는 상기 컨테이너(100)가 상기 캐비닛(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 장치의 결합부(15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정 장치의 결합부(1500)는, 상기 도어(20) 만을 개방할 때는 상기 컨테이너(100)를 상기 캐비닛(10)에 결합시키는 기능을 하며, 상기 도어(20) 및 상기 컨테이너(100)를 함께 개방할 때는 상기 컨테이너(100)과 상기 캐비닛(10)의 결합을 해제하는 기능을 한다.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장치의 결합부(1500)는 상기 저장실(2)의 내측 상면과 선택적으로 접촉되어서 상기 컨테이너(100)가 상기 저장실(2)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힌지 부재(200)는 상기 도어(20)에 결합되는 회전축(20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06)은 상기 도어(2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서, 상기 회전축(206)을 중심으로 상기 컨테이너(100)가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힌지 부재(200)는 상기 컨테이너(10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전체가 두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제2힌지 부재(200)는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도어(20)에 설치되는 위치만을 달리할 뿐, 전체적인 형상은 동일하다.
도 15는 도 14에서 걸림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걸림 부재(1610)는 상기 도어(20)에 구비되는 조작부에서 가압될 수 있는 누름편(1620), 상기 누름편(1620)에 가해진 힘을 회전력으로 변환해서 전달하는 구동편(1624), 상기 구동편(1624)에 의해서 회전되는 후크(16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름편(1620)은 상기 컨테이너(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도어(20)에 설치된 구성요소가 상기 누름편(1620)을 누르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편(1624)은 상기 누름편(1620)에 가해지는 수평 방향의 직선 형태의 힘을 회전 방향의 힘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구동편(1624)은 다양한 캠과 스프링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구동편(1624)의 구체적인 구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당업자가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후크(1628)는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전체적으로 ‘ㄷ’자의 형상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구동편(1624)에서 상기 후크(1628)에 힘을 가하지 않으면, 상기 후크(1628)의 개구된 부분은 하방을 향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구동편(1624)이 상기 후크(1628)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ㄷ’자의 개구된 부분이 상기 도어(2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 부재(1610)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1612)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1612)는 상기 걸림 부재(1610)의 내부 구성이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1612)는 상기 후크(1628)와 상기 누름편(1620)만이 노출되도록 해서, 상기 걸림 부재(1610)가 상기 도어(20)와의 접촉에 의해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6은 도 14에 체결되는 체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6은 상기 도어(20)에 매립되도록 설치된 상기 체결 장치(1600)가 용이하게 도시되도록 표현하기 위해서, 상기 도어(20)는 생략했다.
상기 체결 장치(1600)는 사용자가 눌러서 변위를 발생시키는 버튼 부재(1650)와, 상기 버튼 부재(1650)에 의해서 발생된 변위를 증폭하는 증폭 부재(1660)와, 상기 증폭 부재(1660)에 의해서 발생되는 변위를 상기 걸림 부재(1610)에 전달하는 전달 부재(1680)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 부재(1650)는 상기 손잡이부(22)의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 부재(650)는 도 16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손잡이부(22)의 전방에 사용자에게 노출되도록 마련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버튼 부재 하우징(1654)은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버튼 부재(1650)의 일단에는 상기 증폭 부재(1660)가 연결되고, 상기 증폭 부재(1660)의 일단에는 상기 전달 부재(1680)가 연결된다.
상기 전달 부재(1680)의 일단에는 상기 도어(20)의 내측에 노출되도록 마련된 해제 핀(1690)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해제 핀(1690)의 노출된 길이에 따라 상기 누름편(1620)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전달 부재(1680)와 상기 증폭 부재(1660)는 상기 도어(20)의 내측에 매립된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상기 해제 핀(1690)을 제외하고는 사용자에게 전혀 노출되지 않는 구성요소이다.
한편 상기 해제 핀(1690)은 상기 가스켓(26)에 의해서 구획되는 공간 중 상기 제1저장 영역(2)로 구분되는 공간에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해제 핀(1690)을 통해서 상기 제1저장 영역(2)에 수용된 냉기가 이동될 수 있지만, 상기 전달 부재(1680) 및 상기 증폭 부재(1660)는 일직선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서로 높이 차이를 갖는 다단의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이동 경로가 복잡해져서 냉기가 이동되기가 어렵다. 따라서 상기 제1저장 영역(2)의 냉기 유출에 따른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해제 핀(1690)에 인접하게 홀더(1630)가 구비된다. 상기 홀더(1630)는 상기 도어(20)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홀더(1630)에는 중앙에 홀더공(1632)이 형성되어서, 상기 홀더공(1632)으로 상기 후크(1628)의 개구된 부분이 삽입되어, 상기 걸림 부재(1610)와 상기 체결 장치(1600))가 체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컨테이너(100)과 상기 도어(2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17은 도 16에서 체결 장치와 걸림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버튼 부재(1650)는 상기 손잡이부(22)의 전방에 설치되는 버튼(1652), 상기 버튼(1652)에 연결되는 푸쉬 바(16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쉬 바(1656)는 상기 버튼(1652)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상기 푸쉬 바(1656)가 이동되면 상기 증폭 부재(1660)에 상기 버튼(1652)의 변위가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푸쉬 바(1656)는 상기 버튼 부재 하우징(1654)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버튼 부재 하우징(1654)은 상기 도어(20)에서 노출되도록 마련되어서, 상기 손잡이부(22)와 상기 도어(20)를 연결할 수 있다.
도 17을 기준으로 상기 버튼(1652)이 좌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버튼(1652)이 이동된 거리 만큼 상기 푸쉬 바(1656)도 좌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푸쉬 바(1656)의 변위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증폭 부재(1660)는 외관을 형성하는 증폭 부재 하우징(1662)과, 회전축(1666)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동 바(1664)와, 상기 회동 바(1664)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회동 바(1664)의 회동에 따라 이동되는 링크 바(166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 바(1664)는 상기 링크 바(1668)에 접촉하는 부분에 실링부(1626)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7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상기 체결 장치(1600) 내에서 냉기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증폭 부재 하우징(1662)은 상기 회동 바(1664)가 회동될 수 있는 궤적 만큼 빈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폭 부재 하우징(1662)은 상기 푸쉬 바(1656)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푸쉬 바(1656)는 상기 회동 바(1664)를 가압해서, 상기 회동 바(1664)를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회동 바(1664)는 상기 회전축(1666)을 중심으로 회전되는데, 상기 푸쉬 바(1656)는 상기 회전축(1666)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부분을 가압하고, 상기 회동 바(1664)의 끝단을 가압하지는 않는다. 반면에 상기 링크 바(1668)는 상기 회동 바(1664)의 끝단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푸쉬 바(1656)가 상기 회동 바(1664)를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회동 바(1664)는 강체이기 때문에, 상기 회전축(1666)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푸쉬 바(1656)의 의해서 이동되는 거리 보다 상기 링크 바(1668)의 이동 거리는 증가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회동 바(1664)가 상기 회전축(1666)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에 변화되는 각도가 동일하더라도, 회전축(1666)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원호가 증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전달 부재(168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전달 부재 하우징(1682)과 상기 누름편(1620)을 가압할 수 있는 해제 핀(1690)을 포함한다.
상기 전달 부재 하우징(1682)은 상기 링크 바(1668)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링크 바(1668)는 상기 해제 핀(1690)을 이동시켜서 상기 해제 핀(1690)이 상기 도어(20)로부터 노출되는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해제 핀(1690)은 상기 링크 바(1668)에 접촉되는 제1편(1692)과, 상기 도어(2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걸림 부재(1610)를 가압하는 제2편(1696)과, 상기 제1편(1692)과 상기 제2편(1696)을 연결하는 연결편(169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제 핀(1690)은 상기 제1편(1692)과 상기 제2편(1696)이 상기 연결편(1694)에 대해서 절곡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해제 핀(1690)은 전체적으로 ‘ㄷ’자의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편(1692)의 일측에는 스프링(1684)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1684)은 상기 링크 바(1668)가 배치되는 부분의 반대편에 마련되어, 상기 제1편(1692)을 상기 링크 바(1668)를 향해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링크 바(1668)에 의해서 상기 해제 핀(1690)에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스프링(1684)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제1편(1692)은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에 상기 링크 바(1668)에 의해서 상기 해제 핀(1690)이 우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스프링(1684)은 압축될 수 있다.
도 18은 도 17에서 전달 부재와 증폭 부재의 연결 부위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1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링크 바(1668)의 일부는 상기 전달 부재 하우징(1682)에 수용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전달 부재 하우징(1682)에는 관통공(1686)이 형성되어, 상기 링크 바(1668)가 관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1686)에는 상기 전달 부재 하우징(1682)의 내측으로 소정 길이 만큼 돌출된 제1돌출편(1688)이 마련된다. 상기 제1돌출편(1688)은 소정 길이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링크 바(1668)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돌출편(1688)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링크 바(1668)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돌출편(1688)이 상기 제1편(1692)에 의해서 우측 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에 상기 제1편(1692)과 상기 제1돌출편(1688)이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편(1692)에서 상기 관통공(1686)을 바라보는 부분에는 실링부(1698)이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링부(1698)은 상기 제1편(1692)과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링부(1698)이 상기 제1돌출편(1688)에 맞닿게 되면 상기 관통공(1686)이 밀폐되면서, 상기 관통공(1686)을 통해서 냉기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9는 도 17에서 버튼 부재와 증폭 부재의 연결 부위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19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푸쉬 바(1656)의 일부는 상기 증폭 부재 하우징(1662)에 수용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증폭 부재 하우징(1662)에는 연통공(1672)이 형성되어서, 상기 푸쉬 바(1656)가 관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통공(1672)에는 상기 증폭 부재 하우징(1662)의 내측으로 소정 길이 만큼 돌출된 제2돌출편(1670)이 마련된다. 상기 제2돌출편(1670)은 소정 길이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푸쉬 바(1656)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돌출편(1670)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2돌출편(1670)이 상기 회동 바(1664)에 의해서 우측 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에 상기 회동 바(1664)와 상기 제2돌출편(1670)이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동 바(1664)의 일측이 상기 제2돌출편(1670)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증폭 부재 하우징(1662)은 상기 버튼 부재 하우징(1654)과 연통되지 않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증폭 부재 하우징(1662)으로 인입될 수 있는 냉기가 상기 버튼 부재 하우징(1654)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동 바(1664)에는 상기 제2돌출편(1670)에 접하는 부분에 실링부(1626)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1626)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실링부(1626)가 상기 제2돌출편(1670)에 접하게 되면 상기 연통공(1672)를 밀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링부(1626)이 상기 연통공(1672)를 밀폐하면 상기 연통공(1672)을 통해서 냉기가 상기 체결 장치(1600)의 내부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9에 따른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도 1에 도시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버튼(1652)을 가압하지 않는다.
상기 제2편(1696)이 상기 누름편(1620)을 가압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후크(1628)는 회전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후크(1628)의 개구된 부분은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1628)는 상기 홀더공(163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후크(1628)와 상기 홀더(1630)의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기 컨테이너(100)과 상기 도어(20)는 상기 체결 장치(1600)에 의해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체결 장치(1600)는 상기 가스켓(26)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저장 영역(2)이 배치되는 영역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체결 장치(1600)를 통해서 상기 제1저장 영역(2)의 냉기가 상기 도어(20), 즉 상기 버튼(1652)을 통해서 배출될 수 있는 경로가 형성될 여지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도 18에서와 같이 상기 제1편(1692)(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링부(1698))는 상기 제1돌출편(1688)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도 19에서와 같이 상기 회동 바(1664)(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링부(1626))는 상기 제2돌출편(167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전달 부재 하우징(1682), 상기 증폭 부재 하우징(1662) 및 상기 버튼 부재 하우징(1654)이 서로 연통되지 않도록 밀폐된 구조를 유지하기 때문에, 냉기가 이동될 수 있는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을 함께 회전시키기를 원하는 경우에도 상기 버튼(1652)을 가압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술한 방식과 동일하게 작용된다.
도 1 및 도 3과 같은 사용방식에서는 상기 체결 장치(1600)에 의해서 상기 컨테이너(100)과 상기 도어(20)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이 상기 제1힌지 부재(40)에 의해서 상기 캐비닛(10)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는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컨테이너(100)이 상기 도어(20)와 별도로 회전되지는 않는다.
도 20은 도 17에서 체결 장치와 걸림 부재가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0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2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컨테이너(100)를 제외하고 상기 도어(20)만을 개방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도 20에서와 같이 상기 버튼(1652)을 가압한다.
상기 버튼(1652)이 가압되면 도 20을 기준으로 상기 버튼(1652)이 좌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푸쉬 바(1656)도 상기 버튼(1652)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푸쉬 바(1656)의 일단은 상기 회동 바(1664)를 가압하고, 상기 회동 바(1664)는 상기 회전축(1666)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링크 바(1668)를 이동시킨다. 상기 회동 바(1664)의 회전축(1666)으로부터 상기 푸쉬 바(1656)보다 상기 링크 바(1668)가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링크 바(1668)의 변위는 상기 푸쉬 바(656)의 변위 보다 증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1mm만큼 상기 버튼(1652)을 이동시키면, 상기 푸쉬 바(1656)는 1mm만큼 이동하지만 상기 링크 바(1668)는 1.5 또는 2mm만큼 이동될 수 있다. 증폭되는 비율에 대해서는 상기 푸쉬 바(1656)와 상기 링크 바(1668)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링크 바(1668)가 이동되면, 상기 링크 바(1668)는 상기 제1편(1692)을 가압해서 상기 스프링(1684)이 압축될 수 있다. 상기 제1편(1692), 상기 연결편(1694) 및 상기 제2편(1696)은 함께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제1편(1692)의 이동 만큼 상기 제2편(1696)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편(1696)은 좌측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제2편(1696)이 상기 도어(20)의 외측으로 노출된 길이가 증가된다. 따라서 상기 제2편(1696)은 상기 누름편(1620)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누름편(1620)은 상기 구동편(1624)을 가압해서, 상기 후크(1628)를 회전시키고, 상기 후크(1628)의 개구된 부분이 상기 도어(20)를 향하도록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1628)와 상기 홀더(1630)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컨테이너(100)과 상기 도어(20) 사이에 결합이 해제된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제1힌지 부재(40)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반면에, 상기 컨테이너(100)은 상기 제1저장 영역(2)에 그대로 머물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컨테이너(100)를 회전시키기를 원하면 상기 도어(20)의 회전과는 무관하게 상기 컨테이너(100)를 상기 제2힌지 부재(200)에 대해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체결 장치(600)가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의 결합을 해제하면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는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고정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캐비닛(10)의 상측에는 상기 제1저장 영역(2)에 돌출되도록 구비된 걸림부(1012)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1012)는 상기 캐비닛(10)의 상측에서 하방을 향해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1012)는 원통형 형태로 돌출된 가이드 핀(1016)과, 만곡된 형상을 갖는 완곡면(1015)이 형성된 가이드 벽(10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1016)은 곡선 형태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1016)은 원형 단면을 갖는 원통 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소정 크기의 반경을 가지기 때문에 일정 수준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벽(1014)은 일 면에 형성된 상기 완곡면(1015)을 통해서 상기 고정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의 동작을 안내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가 상기 완곡면(1015)에 접촉하면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1016)과 상기 가이드 벽(1014)은 소정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핀(1016)과 상기 가이드 벽(1014)의 사이에는 상기 고정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2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3은 도 22의 좌측면도이고, 도 24는 도 22의 우측면도이며, 도 25는 도 22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 22 내지 도 2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결합부(1500)는 상기 걸림부(1012)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1500)는 상기 컨테이너(100)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결합부(1500)의 위치는 상기 걸림부(1012)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결합부(1500)는 상기 걸림부(1012)의 일측을 감싸는 제1후크(1510)와 상기 걸림부(1012)의 타측을 감싸는 제2후크(15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후크(1510)는 상기 가이드 핀(1016)의 일측을 감싸고, 상기 제2후크(10520)는 상기 가이드 핀(1016)의 타측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500)는 상기 컨테이너(100)에 설치되는 제1하우징(150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하우징(1502)에는 복수 개의 구성요소가 설치되어서, 상기 걸림부(1012)에 접촉되면서 결합 또는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1502)은 상기 컨테이너(100)의 일면에 고정된다. 즉 상기 제1하우징(1502)은 상기 컨테이너(100)의 하나의 면에만 돌출되기 때문에, 상기 컨테이너(100)를 관통하는 방식으로 설치되지 않는다.
상기 제1하우징(1502)에는 상기 제1후크(1510)와 상기 제2후크(1520)가 설치된다.
상기 제1후크(1510)는 상기 제1하우징(1502)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결합부에 외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에 무관하게 상기 제1후크(1510)는 상기 제1하우징(1502)에 대해서 정해진 위치에 정지해 있게 된다.
상기 제1후크(1510)에는 상기 가이드 핀(1016)에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제1안착면(15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안착면(1512)에는 상기 가이드 핀(1016)에 잦은 접촉으로 파손 또는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후크(1510)는 제1스크류(1504)에 의해서 상기 제1하우징(150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스크류(1504)는 상기 제1후크(1510)가 상기 제1하우징(1502)에 대해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제1후크(1510)를 고정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2후크(1520)는 상기 제1하우징(1502)에 선택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하우징(1502)에는 원통형상을 갖도록 돌출 형성된 회전축(1508)이 마련된다. 상기 제2후크(1520)는 상기 회전축(1508)가 삽입가능한 중공(1524)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1524)은 상기 제2후크(15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원통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2후크(1520)는 상기 가이드핀(1016)에 접촉될 수 있도록 돌출형성된 돌출편이 마련되어서, 상기 제2후크(1520)는 전체적으로 ‘ㄱ’ 또는 ‘ㄷ’자 형상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2후크(1520)는 제2스크류(1506)에 의해서 상기 회전축(1508)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스크류(1506)는 상기 제2후크(1520)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상기 회전축(1508)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일정 영역에서 상기 제2후크(1520)가 상기 가이드 핀(1016)을 감싸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 부재(1530)가 설치된다. 상기 제1탄성 부재(1530)는 회전력을 가할 경우에 탄성 변형을 일으키고,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 형태로 복귀되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탄성 부재(1530)의 일단(1534)은 상기 제2후크(1520)에 고정되고, 상기 제1탄성 부재(1530)의 타단(1532)는 상기 제1후크(1510)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1탄성 부재(1530)는 상기 제2후크(1520)의 동작을 한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탄성 부재(1530)는 상기 제2후크(15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제1탄성 부재(1530)의 일단(1534)은 상기 제2후크(1520)에 고정되고, 상기 제1탄성 부재(1530)의 타단(1532)는 상기 제1하우징(1502)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탄성 부재(1530)는 상기 제2후크(1520)의 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제1탄성 부재(1530)의 일단(1534)이 상기 제2후크(1520)에 고정되고, 상기 제1탄성 부재(1530)의 타단(1532)이 고정된 어느 부분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탄성 부재(1530)는 상기 제2후크(1520)가 일정 범위까지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후크(1520)를 회전되기 전의 상태로 돌아가도록 가압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후크(1520)가 해당 범위를 넘어서도록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탄성 부재(1530)는 상기 제2후크(1520)에 원래 상태로 돌아가도록 하는 힘을 가할 수는 없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탄성 부재(1530)는 상기 제2후크(1520)가 일정 각도까지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후크(15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복원력을 가하지만, 상기 제2후크(1520)가 일정 각도를 넘어서도록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후크(1520)에 복원력을 가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제2후크(1520)에는 상기 가이드 핀(1016)에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제2안착면(15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안착면(1521)에는 상기 가이드 핀(1016)에 잦은 접촉으로 파손 또는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2후크(1520)는 상기 컨테이너(100)의 일면에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제2후크(1520)가 상기 도어(20)에는 실질적으로 접촉하지 않는다. 즉 상기 제2후크(1520)는 상기 도어(20)에 접촉되지 않고 작동될 수 있다.
도 26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1의 상태에서 고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6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20)가 상기 제1저장 영역(2)을 밀폐하는 경우에는 상기 컨테이너(100)는 도 2에서와 같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도어(20)에 완전히 가려져 도 1의 상태에서는 도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도어(20)는 서로 맞닿아 있는 상태이다.
상기 걸림부(1500)는 상기 걸림부(1012)에 결합된 상태를 이룬다. 이때 상기 제1후크(1510)와 상기 제2후크(1520)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 핀(1016)이 감싸진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컨테이너(100)가 상기 캐비닛(10)에 고정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20)가 상기 컨테이너(100)에 맞닿아 있고 상기 도어(20)가 상기 컨테이너(100)의 이동을 막기 때문에 상기 컨테이너(100)는 회전될 수 없는 상태이다.
그러나 상기 제2후크(1520)는 상기 제1탄성 부재(530)의 탄성력을 이길 수 있는 힘이 가해지면 회전될 수 있다.
도 27은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2의 상태에서 고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한편 사용자가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100)의 전방을 통해서 상기 컨테이너(100)에 접근하거나, 상기 도어(20) 내측에 저장된 식품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20)만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캐비닛(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술한 체결 장치(600)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도어(20)만을 개방한 경우에는 상기 제2후크(1520)는 회전되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왜냐하면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가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컨테이너(100)를 아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힘을 상기 도어(20)에서 상기 컨테이너(100)에 제공할 수 없다. 즉 상기 제1후크(1510)와 상기 제2후크(1520)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 핀(1016)이 감싸지도록 배치된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캐비닛(10)에 고정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도 26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체결 장치(600)에 의해서 상기 도어(20)만을 회전시킨 경우에는 상기 결합부(1500)가 상기 컨테이너(100)를 상기 캐비닛(10)에 결합시키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도어(20)가 회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10)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8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3의 상태에서 고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8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사용자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도어(20)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도 26에서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가 함께 회전되게 된다.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의 간격은 유지되면서, 함께 상기 제1힌지 부재에 의해서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가 상기 캐비닛(10)에 대해서 회전되기 때문이다.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가 함께 동작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체결 장치(600)를 앞에서 설명한 방식에 따라 조작할 수 있다.
도 26의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1500)는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캐비닛(10)를 약한 힘에 의해서 고정한 상태이다. 즉 사용자가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에 대해 상기 제1탄성 부재(1530)의 회전력을 넘어설 정도의 힘을 가하면, 상기 제2후크(1520)는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핀(1016)은 상기 캐비닛(10)에 일체를 이루면서 정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2후크(1520)는 상기 도어(20)와 컨테이너(100)가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후크(1520)는 상기 가이드 핀(1016)에 접촉해서 상기 가이드 핀(1016)에 의해서 반 시계 방향으로 충분히 회전되게 된다. 특히 상기 제2후크(1520)가 충분히 회전되면 상기 제2후크(1520)는 상기 가이드 핀(1016)에 더 이상 접촉하지 못한다.
즉 상기 결합부(1500)는 상기 가이드 핀(1016)에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도어(20)를 상기 캐비닛(10)에 대해서 회전시켜, 상기 저장실(2)에 저장된 식품에 접근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저장실(2)에 보관된 식품을 꺼내거나, 상기 저장실(2)에 식품을 넣은 후에는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를 도 1에 도시된 형태로 회전시켜야 한다.
이때 상기 제2후크(152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왜냐하면 상기 제1탄성 부재(1530)는 상기 제2후크(1520)가 일정 영역 이상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후크(1520)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1탄성 부재(1530)가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제2후크(1520)는 반 시계 방향을 회전되어 정지되어 있다.
사용자가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를 상기 저장실(2)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2후크(1520)가 상기 가이드 벽(1014)에 구비된 상기 완곡면(1015)에 맞닿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컨테이너(100)를 상측으로 점점 회전시키게 됨에 따라 상기 제2후크(1520)는 상기 완곡면(1015)의 다른 부분에 연속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제2후크(520)는 상기 완곡면(15)에 접촉함에 따라, 상기 제2후크(152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서, 도 26에 도시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후크(1520)가 상기 완곡면(1015)에 소정 시간 동안 접촉해서, 일정 각도 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탄성 부재(15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제2후크(1520)는 시계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물론 도 28의 상태에서는 상기 제1탄성 부재(1530)의 탄성 지지력을 극복할 수 있을 정도의 힘을 가하면 상기 제2후크(1520)는 회전될 수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결합부(1500)는 상기 걸림부(1012)에 결합이 해제된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2)

  1. 식품을 저장하는 제1저장 영역을 정의하는 캐비닛과;
    상기 제1저장 영역을 개폐하기 위하여, 제1힌지 부재에 의하여,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위치한 제1회전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가스켓과;
    상기 제1저장 영역에 수용되는 제2저장 영역을 정의하며, 제2힌지 부재에 의하여, 상기 도어에 위치하는 제2회전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에 설치되는 걸림 부재와;
    상기 도어에 마련되고, 상기 걸림 부재에 걸려서 상기 도어와 상기 컨테이너를 선택적으로 체결하는 체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장치는 상기 도어와 상기 컨테이너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 장치를 통해 냉기가 외부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힌지 부재는 상기 컨테이너에 대해서 회전이 불가하도록 상기 컨테이너에 고정되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도어에 대해서 상기 제2힌지 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체결 장치 내에서 냉기가 이동되는 유로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장치는 상기 가스켓에 의해서 둘러싸인 영역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장치는 상기 걸림 부재에 걸려 고정되는 후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장치는,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레버를 구비하는 조작부와,
    상기 레버에 의해서 발생된 변위를 전달하는 제1링크 및 제2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2링크는 상기 후크를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는 서로 분리되는 별개의 구성요소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가 삽입되어, 상기 제1링크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된 제1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관통공은 상기 제1링크의 단면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가 삽입되어, 상기 제2링크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된 제2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관통공은 상기 제2링크의 단면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후크의 일단에 마련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제2관통공의 일단을 선택적으로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의 이동 방향은 직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서 발생된 변위를 증폭하는 증폭 부재와,
    상기 증폭 부재에 의해서 발생된 변위를 상기 걸림 부재에 전달하는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 부재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동 바와,
    상기 회동 바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회동 바의 회동에 따라 이동되는 링크 바를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회동바에 구비되고, 상기 회동 바에 가해지는 힘이 해제되면 연통공을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부재는,
    상기 링크 바의 일단이 수용되는 전달 부재 하우징과,
    상기 링크 바에 의해서 이동되는 해제 핀을 포함하는 냉장고.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해제 핀에 구비되고, 상기 해제 핀에 가해지는 힘이 해제되면 상기 링크 바가 관통하는 관통공을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컨테이너를 향해서 돌출 형성된 탄성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와 상기 컨테이너가 결합되면 상기 탄성 돌기는 압축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마련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도어의 전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마련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도어의 측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에 설치되고, 상기 컨테이너와 상기 캐비닛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 장치;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가 상기 컨테이너와 상기 캐비닛을 고정하면, 상기 도어는 상기 캐비닛에 대해서 상기 제1힌지 부재에 의해서 회전되고,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제2힌지 부재에 의해 상기 도어에 대해서 회전되며,
    상기 체결 장치가 상기 컨테이너와 상기 도어를 체결하면, 상기 도어와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제1힌지 부재에 의해 상기 캐비닛에 대해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장치가 상기 컨테이너와 상기 도어를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회전되면,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컨테이너와 상기 캐비닛의 고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장치가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도어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회전되면,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컨테이너와 상기 캐비닛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67000218A 2013-06-14 2014-06-16 냉장고 KR102245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11828A KR102461474B1 (ko) 2013-06-14 2014-06-16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184 2013-06-14
KR20130068234 2013-06-14
KR20130068184 2013-06-14
KR1020130068234 2013-06-14
KR1020130124732 2013-10-18
KR20130124732 2013-10-18
PCT/KR2014/005249 WO2014200316A1 (en) 2013-06-14 2014-06-16 Refrigerato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1828A Division KR102461474B1 (ko) 2013-06-14 2014-06-16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489A KR20160019489A (ko) 2016-02-19
KR102245373B1 true KR102245373B1 (ko) 2021-04-28

Family

ID=5202252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0218A KR102245373B1 (ko) 2013-06-14 2014-06-16 냉장고
KR1020217011828A KR102461474B1 (ko) 2013-06-14 2014-06-16 냉장고
KR1020227037470A KR102606132B1 (ko) 2013-06-14 2014-06-16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1828A KR102461474B1 (ko) 2013-06-14 2014-06-16 냉장고
KR1020227037470A KR102606132B1 (ko) 2013-06-14 2014-06-16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81194B2 (ko)
EP (2) EP3851777A1 (ko)
KR (3) KR102245373B1 (ko)
WO (1) WO20142003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980B1 (ko) * 2013-06-14 2021-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651295B2 (en) * 2013-06-14 2017-05-1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1622228B1 (ko) * 2014-02-21 2016-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468313B2 (en) * 2014-10-03 2016-10-18 ATA Retail Services, Inc. Product display tray
KR101646378B1 (ko) * 2014-11-11 2016-08-05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KR102391409B1 (ko) * 2015-12-17 2022-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0087658B2 (en) * 2015-12-22 2018-10-02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door-in-door latch
KR102567513B1 (ko) 2016-06-08 2023-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08253708A (zh) * 2016-12-29 2018-07-06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家用电器
KR101942416B1 (ko) * 2017-01-19 2019-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도어 개폐장치
KR102525816B1 (ko) * 2018-05-02 2023-04-26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냉장고의 홈바 도어 개폐장치
US11359414B2 (en) * 2019-01-24 2022-06-14 Whirlpool Corporation Latch assembly
CN110094927B (zh) * 2019-05-22 2024-01-30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箱体连接结构
KR20200138609A (ko) 2019-06-01 2020-12-10 김상준 냉장고를 이용하기 어려울 때에도 이용이 가능하게 해 주는 IoT 냉장고
CN115992631A (zh) * 2019-08-28 2023-04-21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铰链组件及具有其的制冷装置
US11740006B2 (en) 2019-11-19 2023-08-2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Latching assemblies for door-in-door refrigerator appliances
US20210293468A1 (en) * 2020-03-23 2021-09-23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Mullion structure for an appliance
CN111380285B (zh) * 2020-04-09 2021-12-07 浙江雪村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防断电的冰柜
US11317717B1 (en) * 2020-11-04 2022-05-03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Tilt front drawer with locking slide
US11668513B2 (en) 2020-12-01 2023-06-06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taged access door for a home appliance
US11215391B1 (en) * 2020-12-01 2022-01-04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taged access door for a home appliance
CN113509055B (zh) * 2021-08-27 2022-07-26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门锁装置及烹饪器具
KR20240001019A (ko) 2022-06-24 2024-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40000340A (ko) 2022-06-23 2024-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20230417475A1 (en) 2022-06-23 2023-12-2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N114991603B (zh) * 2022-07-18 2022-11-01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门锁机构及冰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1279A1 (en) * 2010-01-04 2011-07-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including multiple storage compartments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27398A (en) * 1933-01-07 1933-09-19 Harold A Glasser Refrigerator
US2150064A (en) * 1933-02-08 1939-03-07 Boots Refrigerator
US2131680A (en) * 1934-02-05 1938-09-27 Crosley Radio Corp Refrigerator
US2204053A (en) * 1934-03-08 1940-06-11 William F Dart Refrigerator latch
US2051132A (en) * 1934-03-08 1936-08-18 Crosley Radio Corp Refrigerator door
US2122680A (en) * 1934-03-08 1938-07-05 William F Dart Refrigeration means
US1984977A (en) * 1934-06-26 1934-12-18 Robert W Forbes Refrigerator
US2046909A (en) * 1934-09-26 1936-07-07 Merrill H Terry Refrigerator door
US2129923A (en) * 1936-11-18 1938-09-13 Fairbanks Morse & Co Refrigerator cabinet
US2243772A (en) * 1937-10-30 1941-05-27 Philco Corp Latching means for refrigerator doors
US2287446A (en) 1940-07-30 1942-06-23 Stanley Works Refrigerator latch mechanism
US2942438A (en) 1955-11-23 1960-06-28 Gen Motors Corp Refrigerator
US2945733A (en) * 1956-10-26 1960-07-19 John P Malia Compartmentalized refrigerator
US3086830A (en) * 1960-06-09 1963-04-23 Malia John Peter Compartmentalized refrigerator
US3218111A (en) * 1964-01-27 1965-11-16 Gen Motors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JPS5325892Y2 (ko) * 1973-12-05 1978-07-01
CA1126785A (en) * 1978-10-13 1982-06-29 Jose Massana Canals Personal security door arrangement
US4203622A (en) 1978-12-26 1980-05-20 Standard Keil Hardware Manufacturing Company, a Division of Buildex Incorporated Safety latch
JPS5785184U (ko) * 1980-11-14 1982-05-26
JPS5785184A (en) * 1980-11-18 1982-05-27 Toyo Kogyo Co Operability measuring device for machine
DE3205963A1 (de) * 1982-02-19 1983-09-01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Kuehlgeraet
DE3448057A1 (de) * 1984-11-23 1986-06-05 Bosch-Siemens Hausgeräte GmbH, 8000 München Verschlussvorrichtung fuer eine abdeckplatte einer gehaeuseoeffnung an einem haushaltgeraet
KR970011756B1 (en) * 1994-03-22 1997-07-15 Hyundai Electronics Ind A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ram cells
KR100247727B1 (ko) * 1997-09-08 2000-04-01 전주범 냉장고의 도어개방장치
KR19990042339A (ko) * 1997-11-26 1999-06-15 윤종용 냉장고
EP0959208A1 (en) * 1998-05-11 1999-11-24 Ki-Panel Produktion AB Safety release assembly
JP2000249462A (ja) * 1999-02-26 2000-09-14 Aiwa Co Ltd 冷蔵庫
KR100642504B1 (ko) * 2002-06-25 2006-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용 수납장치
JP2004211977A (ja) * 2003-01-06 2004-07-29 Sanyo Electric Co Ltd 内扉付き貯蔵庫
US20050200253A1 (en) * 2004-03-11 2005-09-15 John Wissinger Spring biased latching arrangement for a refrigerator door
JP2006037652A (ja) * 2004-07-29 2006-02-09 Takigen Mfg Co Ltd 庫内側解錠機構付き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DE202007001638U1 (de) * 2007-02-05 2007-04-05 Dometic Gmbh Mobilkühlschrank mit einer Türverriegelung mit Fallensperre
KR101537600B1 (ko) 2008-12-18 2015-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삽입식 힌지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100122155A (ko) * 2009-05-12 2010-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307681B1 (ko) * 2009-06-03 2013-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10032898A (ko) * 2009-09-24 2011-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기 유출방지 부재를 갖는 냉장고
KR101768699B1 (ko) * 2010-12-07 2017-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이중 도어 개폐 장치
EP4209737A1 (en) * 2011-08-05 2023-07-1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inner door
JP2013053843A (ja) * 2011-08-31 2013-03-21 Lg Electronics Inc 冷蔵庫
EP2613112B1 (en) * 2012-01-03 2019-10-3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having storage container
KR101860718B1 (ko) * 2013-02-21 2018-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고
KR102118047B1 (ko) * 2013-09-09 2020-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218309B1 (ko) * 2013-11-18 2021-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ES2671484T3 (es) * 2013-12-23 2018-06-06 Lg Electronics Inc. Nevera
KR101622228B1 (ko) * 2014-02-21 2016-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605891B2 (en) * 2014-03-11 2017-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101643640B1 (ko) * 2014-08-27 2016-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1279A1 (en) * 2010-01-04 2011-07-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including multiple storage compart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08408A4 (en) 2017-03-08
US20160138855A1 (en) 2016-05-19
EP3851777A1 (en) 2021-07-21
KR102461474B1 (ko) 2022-11-03
EP3008408A1 (en) 2016-04-20
KR20210047963A (ko) 2021-04-30
US10281194B2 (en) 2019-05-07
EP3008408B1 (en) 2021-02-24
KR102606132B1 (ko) 2023-11-29
WO2014200316A1 (en) 2014-12-18
KR20160019489A (ko) 2016-02-19
KR20220148338A (ko) 202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5373B1 (ko) 냉장고
KR102245371B1 (ko)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245369B1 (ko) 냉장고
US9568239B2 (en) Refrigerator
US9709316B2 (en) Spring loaded mullion for french door refrigerator
US20090151386A1 (en) Refrigerator
KR102229980B1 (ko) 냉장고
KR102078368B1 (ko)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206239B1 (ko)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090075017A (ko) 콤비 냉장고의 제빙기
KR102078369B1 (ko)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988306B1 (ko) 냉장고
KR20130087324A (ko) 냉장고
KR20130087323A (ko) 냉장고
KR20140075297A (ko) 냉장고용 홈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