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409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409B1
KR102391409B1 KR1020150181317A KR20150181317A KR102391409B1 KR 102391409 B1 KR102391409 B1 KR 102391409B1 KR 1020150181317 A KR1020150181317 A KR 1020150181317A KR 20150181317 A KR20150181317 A KR 20150181317A KR 102391409 B1 KR102391409 B1 KR 102391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ing
refrigerator
magnetic
movab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2750A (ko
Inventor
강대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1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409B1/ko
Priority to PCT/KR2016/012942 priority patent/WO2017104974A1/ko
Priority to US15/348,748 priority patent/US10054360B2/en
Publication of KR20170072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38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using permanent 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46Electric or magnetic means in the striker or on the frame; Operating or controlling the striker plat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42For refrigerators or cold roo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6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 E05C19/163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a movable bolt being held in the striker by a permanent magne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7/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 E05C7/02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6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 E05C19/161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magnetic gas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이 편리한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 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도어; 상기 제1도어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걸림부를 갖는 제2도어;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마그넷; 상기 제1도어에 대한 상기 제2도어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제1도어가 닫히면 상기 마그넷의 자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도어가 열리면 상기 자력의 영향에서 벗어나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이동부재;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의 후방 이동에 의해 상기 걸림부와의 걸림이 해제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전방 이동에 의해 상기 걸림부와의 걸림이 수행되도록 구비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이 편리한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토출하여 고내의 온도를 저하시켜 음식물 등을 냉동시키거나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는 저장실로서 음식물 또는 음료를 얼려서 보관하는 냉동실과, 상기 음식물 또는 음료를 저온에서 보관하는 냉장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냉장고는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된 탑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된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 그리고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냉동실과 냉장실 각각에 도어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를 통하여 냉동실 또는 냉장실에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냉장실과 냉동실이 서로 구분되는 냉장고 외에 하나의 도어를 통해 냉동실과 냉장실에 접근할 수 있는 냉장고도 있다. 이러한 냉장고는 대부분 소형이며, 냉장실 내부의 일정한 공간에 냉동실이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또한, 탑마운트 타입 냉장고 중에서도 상부의 냉장실을 좌우 도어를 통해 개폐하는 형태의 프렌지 타입(French Type) 냉장고도 제공되고 있다. 프렌지 타입 냉장고의 냉동실도 마찬가지로 좌우 도어를 통해 개폐될 수 있다.
최근에는 음식물을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는 본래의 기능에서 냉장고의 기능이 다양화되고 있다. 즉, 냉장고의 도어에 디스펜서를 설치하여 정수와 얼음을 제공하기도 하고, 도어 전면에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냉장고의 상태를 보여주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최근에는 저장실의 일부만 개방되도록 한 형태의 냉장고가 제공되고 있다. 즉, 메인 도어에 제공되는 서브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서브 도어가 구비되는 냉장고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서브 저장실은 메인 저장실의 일부 영역으로 메인 저장실과는 적어도 일부분 구획벽으로 구획되어 있다. 이러한 냉장고를 DID(door in door) 냉장고 또는 이중 도어 냉장고라 할 수 있다. 서브 도어를 개방하면 메인 저장실의 냉기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어 에너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주 이용하는 음료수와 같은 저장물은 서브 저장실에 저장하여 메인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 서브 도어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서브 저장실에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DID 냉장고 또는 이중 도어 냉장고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냉장고는 본체(10)의 상부에 냉장실이 마련되고, 하부에 냉동실이 마련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의 냉장고이다.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은 상기 본체(10) 내부에 구비되는 저장실 또는 메인저장실(11)의 일부라 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로서 좌측 냉장실도어(20)와 우측 냉장실도어(25)가 상기 본체(10)의 좌우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의 아래에 마련되는 냉동실 도어도 상기 본체(10)의 전면 하부 양측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좌측 냉동실 도어(30)와 우측 냉동실 도어(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냉동실 도어는 하나의 도어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고, 전후방향으로 인출/인입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랍식 도어가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좌측 냉동실 도어(30)의 상면에는 손잡이홈(32)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우측 냉동실 도어(40)의 상면에도 손잡이홈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측 냉장실도어(25)는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메인도어힌지(11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메인도어(100)와 상기 메인도어(100) 또는 본체(10)에 서브도어힌지(13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브도어(2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메인도어(100)와 서브도어(200)를 함께 열면 냉장실 접근이 하게 된다.
상기 메인도어(100)의 중앙부 내측에는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메인도어(100)의 배면측에는 서브저장실(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도어(200)를 열면 상기 메인도어(100)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서브저장실에 접근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도어(100)를 열지 않고도 서브도어(200)만 열어서 상기 서브저장실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DID 냉장고 또는 이중 도어 냉장고는 메인도어(100)에 서브도어(200)가 포개지는 형태라 할 수 있다. 즉, 서브도어(200)가 메인도어(100)의 전면을 덮는 형태라 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메인도어(100)의 전면 면적이 서브도어(200)의 전면 면적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냉장고의 사용 형태를 살펴보면, 먼저 메인도어(100)와 서브도어(200)를 함께 열어서 메인 저장실(11)을 이용하는 것과 서브도어(200)만 열어서 서브 저장실을 이용하는 것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도어(100)과 서브도어(200)가 함께 열린 상태에서 상기 메인도어(100)가 닫힐 때, 관성에 의해서 상기 메인도어(100)와 서브도어(200)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도어(100)와 서브도어(200)가 함께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인도어(100)를 세게 닫는 경우, 메인도어(100)에서 서브도어(200)가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메인도어(100)를 개방하기 위하여 회전시킨 후 갑작스럽게 회전이 정지되도록 할 때, 관성에 의해서 상기 메인도어(100)와 서브도어(200)가 분리되어 서브도어(200)만 더욱 회전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100)를 개방할 때 도어가 개방되는 괘적에 벗어나도록 몸을 움직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사용자는 도어(100)를 닫을 때 본체 방향으로 몸을 움직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도어를 닫았다고 생각하면서 몸을 냉장고의 본체 방향으로 이동시킴에도 불구하고 도어가 안 닫혀 사용자의 몸이 도어와 부딪히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사용자가 메인도어(100)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부지불식간에 메인도어(100)의 회전만을 고려하지, 메인도어(100)에 대한 서브도어(200)의 상대적인 회전은 고려하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도어(100)와 서브도어(200)의 회전 괘적 및 회전 반경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 메인도어(100)만 닫히고 서브도어(200)가 열린 상태로 유지될 때, 또는 메인도어(100)가 빠른 속도로 열린 후 정지될 때, 사용자가 상기 서브도어(200)와 부딪히는 문제가 더욱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메인도어(100)가 닫혀 있는 경우에만 메인도어(100)에서 서브도어(200)가 분리, 즉 개방되도록 하고, 메인도어(100)가 열려 있는 경우에는 메인도어(100)에서 서브도어(200)가 분리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잠금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냉장고의 도어의 특성상 이러한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왜냐하면, 냉장고의 도어는 냉장고의 전면에 구비되어 냉장고 전체의 디자인적 요소를 가장 크게 대변하는 구성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잠금장치가 냉장고의 외부에 노출되는 것은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잠금장치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은 별도의 공간이 필요함을 의미하고, 외부 충격이나 외부 사물들에 의해서 이러한 잠금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할 우려가 생기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잠금장치는 안전 구성으로서 사용자가 잠금 설정 및 해제를 조작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면서도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냉장고의 외부 특히 메인도어(100)나 서브도어(200)의 외부로 가시적으로 노출되지 않는 잠금장치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한편, 냉장고의 도어는 냉기를 차단하는 단열벽 기능을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잠금장치로 인해 단열벽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냉장고 외형의 디자인적 요소, 도어의 단열벽 기능, 잠금장치 자체의 신뢰성 그리고 냉장고 도어와의 신뢰성이 있는 연동관계을 만족시킬 수 있는 DID 냉장고 또는 이중 도어 냉장고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관성에 의해서 제2도어가 제1도어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제1도어가 닫힐 때 및/또는 제1도어가 열린 후 급격히 정지할 때, 제2도어가 제1도어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잠금장치에 의한 디자인 훼손을 방지하여 미려한 디자인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잠금장치 및 이의 작동이 사용자의 시야에서 벗어나도록 하여 안전하고 미려한 디자인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제1도어의 닫힘 상태와 열림 상태를 용이하게 기구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잠금장치의 구성이 매우 단순하고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제1도어와 본체 사이의 도어 가스켓에 의한 밀착력을 훼손시키지 않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잠금장치로 인한 제1도어와 제2도어의 단열 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잠금장치로 인해 제1도어와 제2도어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이동부재가 제1도어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이동부재가 이동할 때, 외부 간섭의 영향을 최소화한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제2도어가 제1도어의 도어 프레임에 삽입되어 닫히는 형태의 도어 인 도어 냉장고에서, 자력을 이용하여 이동부재의 이동 메커니즘이 매우 단순하게 구현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제1도어와 제2도어가 모두 개방된 상태에서 제2도어만 닫힐 때, 잠금장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용이하게 제2도어의 회전 구속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제1도어의 개폐 상태가 즉각적으로 잠금장치 전달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자력을 이용하여 필라(pillar) 구조와 잠금장치 구조를 복합적으로 구현하여 필라와 잠금장치의 기능에 신뢰성이 증진된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 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도어; 상기 제1도어에 구비되는 도어 프레임; 상기 제1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에 구비되는 걸림부를 갖는 제2도어;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자성체; 상기 제1도어에 대한 상기 제2도어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장치는,상기 본체의 자성체와 대응되는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어의 개폐상태에 따라 상기 본체의 자성체와의 이격 거리가 달라짐에 따른 자력 변화에 의해서 서로 다른 변위를 갖는 이동부재;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의 변위에 따라 상기 도어 프레임에서 돌출 길이가 달라지는 변위를 갖고, 상기 걸림부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는 걸림부재를 갖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기 제1도어 측벽부의 반경 방향 내측에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도어의 측벽부 전체가 상기 도어 프레임의 개구부에 적어도 일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제1도어가 닫히면 상기 자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1도어가 열리면 상기 자력의 영향에서 벗어나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자력의 영향이 벗어나면 상기 이동부재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여 상기 이동부재가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도어 프레임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 길이가 달라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도어 프레임의 반경 방향 내측 방향으로 선형 변위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는 제1도어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달라지는 선형 변위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프레임이 개구부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달라지도록 선형 변위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의 개구부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증가하면, 상기 걸림부재는 제2도어에 구비되는 걸림부에 걸리게 된다. 반대로, 돌출 길이가 감소하면, 상기 걸림부에서 상기 걸림부재가 벗어나게 된다.
상기 본체의 자성체와 상기 이동부재의 자성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마그넷임이 바람직하다. 물론, 양자 모두 마그넷임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걸림부재 사이에서, 상기 이동부재의 변위를 상기 걸림부재의 변위로 전환시키는 변위 전환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위 변환부는 이동부재 및 걸림부재와는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 및 걸림부재의 일부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변위 전환부는, 상기 이동부재에 구비되는 제1경사부; 상기 제1경사부에 대해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걸림부재에 구비되는 제2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경사부는 상기 제1경사부가 경사지게 관통되도록 구비되는 경사홀일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의 선형 변위가 달라짐에 따라, 상기 제1경사부에 대해 상기 제2경사부가 슬라이딩되어,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선형 변위의 수직 방향으로 선형 변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걸림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걸림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하우징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걸림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출입하는 제1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본체의 자성체와 상기 이동부재의 자성체 사이의 자력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제2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관통부로 인해 두 개의 자성체는 최대한 서로 근접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도어의 캡 데코에 구비되며 상기 제1도어의 도어 다이크까지 연장되어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전체가 상기 제1도어 내부에 매립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마그넷과 상기 걸림부재 사이의 높이 차이를 보상하기 위한 경사 보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에 삽입되는 상기 걸림부재의 말단에는 상기 제2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전후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의 자성체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필라(pillar) 브라켓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라는 하나의 저장실을 양쪽의 도어로 개방하는 형태의 냉장고에 적용되는 구성이다. 즉, 저장실의 좌우 중간 부분에서 양쪽 도어와 밀착되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상기 필라는 어느 하나의 도어와 연결되어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도어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도어가 닫히면 다시 저장실 전방에서 저장실 좌우를 구획하게 된다. 물론, 상기 필라는 저장실을 좌우로 구획하는 단열벽은 아니다.
이러한 필라 구조는 프레치 타입 냉장고에서 일반적인 구조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 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도어; 상기 제1도어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걸림부를 갖는 제2도어;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마그넷; 상기 제1도어에 대한 상기 제2도어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제1도어가 닫히면 상기 마그넷의 자력에 의해 후방(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도어가 열리면 상기 자력의 영향에서 벗어나 전방(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이동부재;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의 후방 이동에 의해 상기 걸림부와의 걸림이 해제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전방 이동에 의해 상기 걸림부와의 걸림이 수행되도록 구비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이동부재와 걸림부재를 수용하고, 전체가 상기 제1도어 내부에 매립되도록 구비되는 하우징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도어의 상부 측면을 형성하는 캡 데코 내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후방 이동에 의해 상기 제1도어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 거리가 감소하고 상기 이동부재의 전방 이동에 의해 상기 제1도어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 거리가 증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걸림부재 사이에서, 상기 이동부재의 변위를 상기 걸림부재의 변위로 전환시키는 변위 전환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마그넷과 대응되는 마그넷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마그넷과 상기 이동부재의 마그넷은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제1도어가 개방되어 상기 마그넷들 사이의 인력이 제거되며, 상기 이동부재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동부재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관성에 의해서 제2도어가 제1도어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제1도어가 닫힐 때 및/또는 제1도어가 열린 후 급격히 정지할 때, 제2도어가 제1도어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잠금장치에 의한 디자인 훼손을 방지하여 미려한 디자인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잠금장치 및 이의 작동이 사용자의 시야에서 벗어나도록 하여 안전하고 미려한 디자인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제1도어의 닫힘 상태와 열림 상태를 용이하게 기구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잠금장치의 구성이 매우 단순하고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제1도어와 본체 사이의 도어 가스켓에 의한 밀착력을 훼손시키지 않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잠금장치로 인한 제1도어와 제2도어의 단열 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잠금장치로 인해 제1도어와 제2도어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이동부재가 제1도어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이동부재가 이동할 때, 외부 간섭의 영향을 최소화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제2도어가 제1도어의 도어 프레임에 삽입되어 닫히는 형태의 도어 인 도어 냉장고에서, 자력을 이용하여 이동부재의 이동 메커니즘이 매우 단순하게 구현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제1도어와 제2도어가 모두 개방된 상태에서 제2도어만 닫힐 때, 잠금장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용이하게 제2도어의 회전 구속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제1도어의 개폐 상태가 즉각적으로 잠금장치 전달될 수 있는 냉장고를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자력을 이용하여 필라(pillar) 구조와 잠금장치 구조를 복합적으로 구현하여 필라와 잠금장치의 기능에 신뢰성이 증진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중 도어 냉장고 또는 DID 도어 냉장고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도어와 제2도어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4는 제1도어, 제2도어 그리고 잠금장치가 분해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5는 본체 자석 및 잠금장치가 분해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고,
도 6은 제1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잠금장치가 제2도어의 회전을 허용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고,
도 7은 제1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잠금장치가 제2도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냉장고 전면을 기준으로 사용자 방향을 전방 방향 그리고 냉장고의 후면 방향을 후방 방향이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물론, 도시된 냉장고 외에 사이드 바이 사이드 냉장고나 하나의 도어를 갖는 냉장고 등 메인도어(제1도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서브도어(제2도어)를 갖는 냉장고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도 1에 도시된 아웃사이드 타입 DID 냉장고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메인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서브도어가 구비되는 냉장고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우측 냉장실도어(25)는 상기 본체(1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내측 중앙부에 개구부(310)가 마련된 메인도어(300, 이하 제1도어라 한다)와 상기 제1도어(300)의 개구부(310) 내에 삽입되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브도어(400, 이하 제2도어라 한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는, 제2도어(400)가 제1도어(300)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2도어(400)가 닫힐 때 제1도어의 개구부(310)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도어(400)의 전후 폭을 기준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도어에 수용된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도어(400)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도어의 개구부(310)에 삽입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제1도어(30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도어(400)가 상기 제1도어(300)에 삽입되어 닫히는 냉장고라 할 수 있으며, 이를 인사이드 타입 DID 냉장고 또는 인사이드 타입 이중 냉장고라 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어 부분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제1도어(300)의 중앙부 내측에는 개구부(315)가 마련되고, 상기 제1도어(300)의 배면측에는 서브저장실(311)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도어(300)에는 서브도어(400)가 삽입되기 위한 개구부(310)와 서브저장실(311)에 접근하기 위한 개구부(315)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의 개구부(310)의 반경 방향 내측에 후자의 개구부(3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도어(300)의 배면 테두리 부분에는 제1도어(300)의 가스켓(38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380)을 통해 상기 제1도어(300)와 본체 내부의 저장실 사이의 냉기가 실링된다.
상기 두 개의 개구부(310, 315)의 사이에는 실링을 위한 평면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가스켓 밀착부(312)라 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 밀착부(312)는 제1도어(300)에 형성되는 가스켓 밀착부(412)와 대응된다.
상기 두 개의 가스켓 밀착부(412, 312)는 서로 대응되며, 어느 하나에 가스켓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스켓 밀착부들(412, 312)을 통해 제1도어(300)와 제2도어(400) 사이의 실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이러한 가스켓 밀착부들(412, 312)의 반경 방향 내측에 서브저장실(311)이 위치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제2도어(400)를 열면 상기 제1도어(300)의 개구부(315)를 통해 상기 서브저장실(311)에 접근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도어(300)를 열지 않고도 제2도어(400)만 열어서 상기 서브저장실(311)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브저장실은 복수의 바스켓이 상하로 장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바스켓(미도시)을 감싸는 커버(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서브저장실(311)과 메인저장실(11)을 구획하는 구획벽으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저장실은 상기 메인저장실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도어(400)의 개구부(315) 후방 내측면에는 상기 복수의 바스켓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돌기(320)가 마련될 수 있다. 미도시된 상기 복수의 바스켓은 상하방향으로 2~3쌍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어(300)가 닫힌 상태에서 제2도어(400)를 개방함으로써 사용자는 서브저장실(311)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도어(300)에는 도어 프레임(305)이 구비된다. 상기 제1도어(300) 자체가 도어 프레임(305)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310)는 상기 도어 프레임(305)에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제2도어(400)가 상기 도어 프레임(305)에 수용되면, 상기 제2도어(400)가 닫힌 상태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도어(400)가 상기 도어 프레임(305)에서 실질적으로 벗어나는 경우에는, 상기 제2도어(400)가 열린 상태라 할 수 있다. 도 3에는 제2도어(400)가 열린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도어(400)에는 손잡이(401)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401)를 잡고 제2도어(400)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도어(300)에도 손잡이(301)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도어(300)의 손잡이(301)는 도어 프레임(305)의 외각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도어 프레임(305)의 측면 외각이나 하면 외각 중 어느 곳에 이러한 제1도어 손잡이(30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들(301, 401)의 형상이나 형태는 매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손잡이들이 서로 개별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도어의 손잡이(301)는 제1도어의 개폐를 위해 그리고 제2도어의 손잡이(401)는 제2도어의 개폐를 위해, 서로 개별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후술하겠지만, 정상적인 제1도어(300)의 개방시 사용자는 제1도어의 손잡이(301)를 잡고 제1도어(300)를 개방한다. 이때, 제1도어(300)와 본체(10) 사이에 발생되는 자력을 이기고 제1도어(300)를 개방하게 된다. 이러한 자력은 일반적으로 고무자석 가스켓에 의해 발생된다. 마찬가지로, 정상적인 제2도어(400)의 개방시 사용자는 제2도어의 손잡이(401)를 잡고 제2도어(400)를 개방한다. 마찬가지로, 고무자석 가스켓에 의해 발생되는 자력을 이기고 제2도어(400)를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정상적인 상태(제1도어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제2도어(400)는 제1도어(300)와 제2도어(400) 사이에서 발생되는 고무자석 가스켓의 자력을 이기고 개방될 수 있다. 즉, 양자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 또는 힘이 배제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전제로 인해, 비정상적으로 제1도어(300)에서 제2도어(400)가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제1도어(300)와 제2도어(400)가 함께 열린 상태에서 제1도어(300)가 세게 닫히면, 제2도어(400)의 관성력이 양자 사이의 자력 내지는 밀착력보다 크기 때문에, 제1도어(300)가 제2도어(400)에서 분리되어 제1도어(300)만 닫히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1도어(300)를 세게 연 후 급속히 정지시키면, 제2도어(400)의 관성력이 양자 사이의 자력 내지는 밀착력보다 크기 때문에, 제2도어(400)가 제1도어(300)에서 분리되어 제2도어(300)만 더욱 열리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제1도어(300)에 대한 제2도어(400)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잠금장치(500)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잠금장치(500)는 제1도어(300)에 대한 제2도어(400)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구성이라 할 수도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도어(300)가 닫혀있는 경우에는 제1도어(300)에 대해서 제2도어(400)의 회동을 허용하고, 제1도어(300)가 열려있는 경우에는 제1도어(300)에 대해서 제2도어(400)의 회동을 제한하는 잠금장치(50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도어(300)가 열려있는 상태에서는 제2도어(400)가 제1도어(300)에 잠긴 상태되어, 제2도어(400)의 개방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 잠금장치(500)라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도어(300)가 닫혀있는 경우에 제2도어(400)의 손잡이(401)를 잡고 제2도어(400)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장치(500)에 의한 구속이 해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제1도어(300)와 제2도어(400) 사이의 가스켓에 의한 자력만을 극복하고 제2도어(400)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물론, 힌지 등에 의한 마찰력 등에 의한 방해 요소는 무시할 수 있을 것이다.
반대로, 사용자는 제1도어(300)가 열려있는 경우에 제2도어(400)의 손잡이(401)를 잡고 제2도어(400)를 개방하려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장치(500)에 의한 구속이 발생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제2도어(400)를 개방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제1도어(300)가 열려있는 상태에서 세게 닫힐 때 제2도어(400)가 제1도어(300)에서 분리되는 상황(제2도어가 제1도어에서 열리는 상황)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제1도어(300)와 제2도어(400)의 개폐 시 회전 방향은 동일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제1도어(300)와 제2도어(400)는 우측에 구비되는 수직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도어(300)는 본체(10)에 대해서 회전축(350)에 의해 회동 가능하고, 제2도어(400)는 제1도어(300)에 대해서 미도시된 회전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도어(300)와 제2도어(400)의 회전 방향 관계에 의해서, 제1도어(300)가 닫힐 때 제2도어(400)가 관성에 의해 제1도어(300)에서 분리될 우려가 발생되는 것이다. 물론, 제1도어(300)를 세게 연 후 급격히 정지시킬 때 제2도어(400)가 관성에 의해 제1도어(300)에서 분리된 우려가 발생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500), 제1도어(300) 그리고 제2도어(400) 사이의 위치 및 결합 관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어(300)는 도어 프레임(305)과 도어 다이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다이크(340)는 도어 배면을 형성하며 도어 라이너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305)은 제1도어(300)의 전면부를 형성하며 상기 도어 다이크(340)는 제1도어(300)의 후면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도어 프레임(305)과 상기 도어 다이크(340)가 서로 결합되며, 이들 사이의 공간에는 발포제가 충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305)은 실질적으로 제1도어(300)의 양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300)는 도어 데코(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데코(350)는 제1도어(300)의 상측면과 하측면을 각각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도어(400)는 상기 제1도어(30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도어(400)는 상기 제1도어(300)의 전면에서 포개지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도어(400)는 제1도어(300)의 개구부(310)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잠금장치(500)는 상기 제1도어(30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도어 프레임(305)과 도어 다이크(34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잠금장치(500)는 상기 제1도어(300)의 상부나 하부에 위치될 수도 있으며,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잠금장치(500)의 위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잠금장치(500)에 대응하는 자성체 또는 마그넷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물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라(pillar) 구조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기 잠금장치(500)는 제1도어(300)의 상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어느 경우나, 실질적으로 상기 잠금장치(500) 전체가 상기 제1도어(300) 내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잠금장치(500)는 상기 도어 데코(350)에 의해 커버되어 상기 제1도어(300) 내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1도어(300)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도어 데코(350)에 의해 커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잠금장치(500) 전체는 제1도어(300) 외부로 가시적으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 다이크(340)의 테두리에는 가스켓(380)이 장착되기 위한 가스켓 슬롯(34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 슬롯(341)의 반경 반향 내측 부분들은 상기 제1도어(300)가 닫힌 상태에서 본체(10) 내부의 저장실로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게 된다.
상기 본체(10)에는 자성체(61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성체(610)는 마그넷일 수 있다.
상기 자성체(610)는 브라켓(600)을 통해서 상기 본체(10)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라켓(600)은 상기 본체(10)의 저장실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브라켓(600)은 본체(10)의 저장실 내부의 상부벽에 장착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브라켓(600)은 필라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필라 브라켓일 수 있다. 이러한 필라 브라켓에 상기 자성체(6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500)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자성체(610)와의 사이에서 자력에 의해서 이동하는 메커니즘을 갖는다. 즉, 자력에 의해 발생되는 인력을 이용하여 잠금장치(500)가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본체에 구비되는 자성체(610)와 상기 잠금장치(500)에 구비되는 자성체(511, 도 5 참조) 사이의 인력의 발생 및 해제를 통해서 잠금장치가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두 개의 자성체(610, 511)는 서로 비접촉될 수 있다. 즉, 양자의 자성체 사이에 물리적인 접촉이 배제되기 때문에, 보다 신뢰성이 담보되는 잠금장치(500)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잠금장치(500)의 구조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잠금장치(500)는 이동부재(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510)는 제1도어(300)의 개폐 상태에 따라 상기 본체의 자성체(610)와의 이격 거리가 달라짐에 따라 서로 다른 변위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자력 변화에 따라 서로 다른 변위를 갖는 이동부재(51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부재(510)는 자성체(51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의 자성체(610)와 대응되도록 상기 이동부재(510)에도 자성체(51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 개의 자성체(511, 6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마그넷임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두 개의 자성체 모두 서로 인력이 작용되도록 구비되는 마그넷임이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매우 큰 자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기 마그넷은 네오디움 마그넷임이 바람직하다.
제1도어(300)가 닫힌 상태에서는 양자의 자성체 사이의 거리는 최소가 될 수 있다. 즉, 인력이 최대로 작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510)의 자성체(511)는 상기 본체의 자성체(610) 방향으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이동부재(510)의 자성체(511)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510)는 상기 본체의 자성체와의 사이의 자력에 의해서 제1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이는 상기 제1도어(300)가 닫혀있는 상태를 의미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도어(300)가 열려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이동부재(510)와 상기 본체 사이의 자력은 제거된다. 왜냐하면 두 개의 자성체 사이의 이격 거리가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본체의 자성체는 더이상 상기 이동부재(510)를 잡아당기지 않게 된다.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이동부재(510)를 후방으로 잡아당기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자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이동부재(51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여 제2위치로 상기 이동부재(510)를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재(510)의 제2위치는 상기 제1도어(300)가 열려있는 상태를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잠금장치(500)는 상기 이동부재(510)의 변위, 즉 제1위치와 제2위치로의 변위에 대응되어 변위가 가변되는 걸림부재(52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상기 이동부재(51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걸림부재(520)는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51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걸림부재(520)은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510)의 변위를 상기 걸림부재(520)의 변위로 전환시키는 변위 전환부재(513, 5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변위 전환부재(513, 521)는 상기 이동부재(510) 및 걸림부재(520)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510) 및 걸림부재(520)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510)은 제1경사부(51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재(520)에는 제2경사부(5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부(513)는 상기 제2경사부(521)에 대해서 슬라이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경사부(521)는 상기 제1경사부(513)가 경사지게 관통되도록 구비되는 경사홀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경사부(513)가 상기 제2경사부(521)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경사부(513)에 의해서 상기 걸림부재(520)는 위로 올려지게 된다. 반대로, 제1경사부(513)가 상기 제2경사부(521)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경사부(513)에 의해서 상기 걸림부재(520)는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변위 전환부재(513, 521)를 통해서, 상기 이동부재(510)의 선형 변위는 상기 이동부재(510)의 선형 변위와 수직 방향인 걸림부재(520)의 선형 변위로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재(520)의 선형 변위는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다. 일례로, 제1위치는 잠금이 해제된 위치로 상기 걸림부재(520)가 상기 제1도어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 길이가 최소가 되는 위치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위치는 잠금이 설정된 위치로 상기 걸림부재(520)가 상기 제1도어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최대가 되는 위치라 할 수 있다.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걸림부재(520)는 후술하는 제2도어(400)의 걸림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도어(400)의 상기 제1도어(300)에 대한 회전이 구속된다. 그리고,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걸림부재는 제2도어(400)의 걸림부를 벗어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제2도어(400)는 상기 제1도어(300)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제2도어의 회전 허용은 제1도어의 닫힌 상태를 의미하고, 상기 제2도어의 회전 구속은 제1도어가 열린 상태를 의미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510)는 제1도어의 내부에서 이동하도록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걸림부재(520)도 상기 제1도어 내부에서 이동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제1도어 내부에 발포되는 발포제와 상기 이동부재와 걸림부재의 이동 사이의 간섭이 배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잠금장치(500)는 하우징(5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30)은 상기 이동부재와 걸림부재를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530) 내부에는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부재 가이드(51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530) 내부에는 상기 걸림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걸림부재 가이드(516)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530)은 복수 개의 하우징들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우징(530)은 일측 하우징(531)과 타측 하우징(5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측 하우징(531)과 타측 하우징(532)이 서로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30) 내부에는 탄성부재(540)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고정부(53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540)의 타단은 상기 이동부재(510)에 구비되는 제2고정부(514)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530)에는 상기 걸림부재(520)가 관통하는 제1관통부(5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520)는 상기 제1관통부(535)를 관통하여 제1도어(300) 내부에서 외부로 더욱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530)에는 제2관통부(5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관통부(534)는 상기 이동부재의 자성체(511)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하우징(530)을 통해서 상기 이동부재의 자성체(511) 후방은 커버하지 않도록 상기 제2관통부(5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관통부(534)는 상기 본체의 자성체(610)과 상기 이동부재의 자성체(511) 사이의 자력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제2관통부(534)에 의해 상기 본체의 자성체(610)와 상기 이동부재의 자성체(511)는 최대한 근접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의 자성체(610)는 도어 다이크(340)의 외면과 접하고 상기 이동부재의 자성체(511)는 상기 도어 다이크(340)의 내면과 접할 수 있다. 즉, 제1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관통부(534)를 통해서 상기 도어 다이크(340)를 사이에 두고 상기 두 개의 자성체는 최대로 근접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30)에는 상기 이동부재의 자성체(511)의 이동을 안내하는 자성체 가이드(5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 가이드(533)의 전후 폭은 상기 자성체의 전후 폭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자성체 가이드(533)의 후방에 상기 제2관통부(53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잠금장치(500)의 메커니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는 잠금장치에서 제2도어의 회전을 허용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잠금장치에서 제2도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어 데코(350)가 제거된 상태에서의 잠금장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어(300)가 완전히 닫힘에 따라 두 개의 자성체(610, 511)는 최대로 근접하게 된다. 그리고, 도어 다이크를 사이에 두고 두 개의 자성체는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즉, 가장 큰 자력이 발생되어 이동부재(510)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1도어(300)가 닫힌 상태에서는 자력에 의해서 제1도어(300)의 밀폐력이 더욱 증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의 자성체(610)도 최대한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부재가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걸림부재(520)는 제1도어(300)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한다. 즉, 제1도어(300)에서 돌출되는 길이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걸림부재(520)는 제2도어(400)에 구비되는 걸림부(420)를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제1도어(300)가 닫힌 상태에서 제2도어(400)의 회전이 허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어(300)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전환되면, 두 개의 자성체 사이의 이격 거리는 증가한다. 자력의 특성상 이격 거리가 증가할수록 자력의 감소는 더욱 크게 발생한다. 따라서, 제1도어(300)가 닫힌 상태에서 조금 열림에도 불구하고 양자 간의 자력 영향은 배제될 수 있다. 이는, 탄성부재(540)에 의해서 상기 이동부재(510)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됨을 의미하게 된다.
상기 이동부재(510)의 후방 이동은 상기 걸림부재(520)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을 일으킨다. 즉, 제1도어(300)에서 돌출되는 길이가 커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는 상기 걸림부재(520)가 상기 제2도어(400)에 구비되는 걸림부(420)와 연결됨을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제1도어(300)가 열리게 되면, 상기 제2도어(400)의 회전이 구속되게 된다.
한편, 상기 걸림부재(520)의 말단에는 제2도어(400)와 걸림부재(520)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경사면(52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면(522)은 상기 걸림부(420)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2도어(400)가 닫히는 방향으로 전후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사면(511)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즉, 상기 제2도어(400)가 닫히면서 상기 경사면(522)과 접촉하면, 상기 제2도어(400)는 상기 경사면(522)를 밀게된다. 이때, 상기 경사면(522)의 특성상 상기 걸림부재(520)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잠금장치(500)는 제1도어(300)가 열린 상태에서 제2도어(400)가 제1도어(300)에 대해서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도어(300)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는 용이하게 제2도어(400)를 개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잠금장치(500)는 제2도어(4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도어(300)의 개방을 구속하지 않는다. 즉, 사용자는 제2도어(400)만 연 상태에서 다시 제1도어(300)를 열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제1도어(300)를 닫고 나서 제2도어(400)를 닫는 경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그러나, 사용자는 제1도어(300)를 닫지 않은 상태에서 제2도어(400)를 닫을 수도 있다. 이때, 제1도어(300) 자체는 열려있기 때문에, 상기 걸림부재(520)는 돌출된 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제2도어(400)가 닫힐 때, 상기 제2도어(400)가 상기 걸림부재(520)에 부딪히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걸림부재(520)의 말단에는 상기 경사면(52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도어(400)가 상기 경사면(522)에 부딪히면 상기 걸림부재(520)의 돌출 길이는 작아지게 된다. 전술한 탄성부재(540)로 인해 상기 걸림부재(520)에 걸리는 충격이 흡수될 수 있으며, 제2도어(400)가 완전히 닫히게 되면, 상기 걸림부재(520)의 돌출 길이는 상기 탄성부재(540)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길어지게 된다. 즉, 제2도어(400)가 다시 구속 상태로 전환된다. 물론, 이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300)가 닫히게 되면 제2도어(400)의 구속 상태는 해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도어(300)와 제2도어(400)를 개방 순서를 비정상적으로 수행하는 경우에도 이에 탄력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잠금장치(500)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냉장실을 양쪽 도어를 통해 완전히 개방하는 형태의 냉장고에는 냉장실 중간을 실링하기 위한 필라 구조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필라는 좌측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우측 도어가 닫히는 경우 필라가 펴져 우측 도어와 실링이 수행되어야 함이 일반적이다. 물론, 우측 도어와 좌측 도어의 구조가 반대로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필라 브라켓(600)에서 우측 도어가 닫히는 경우 필라가 펴지도록 하고 우측 도어가 열리는 경우 필라가 접히도록 하는 자성체(6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성체를 감싸는 자성체 하우징(60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성체는 본체 자성체(610)로서 마찬가지로 제1도어(여기서는 우측 도어, 300)의 닫힘 여부를 기구적으로 파악하게 된다. 일례로, 제1도어(300)가 닫히면 본체 자성체(610)는 자성체 하우징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한다. 즉, 제1도어에 구비되는 자성체(511)와의 인력을 통해, 본체 자성체(61)는 전방으로 이동한다. 반면에 잠금장치(500)의 자성체(511)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즉, 두 개의 자성체는 도어(300)가 닫히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최대로 근접하게 된다.
잠금장치(500)의 자성체(511)의 후방 이동은 잠금 설정을 의미하고, 본체 자성체(610)의 전방 이동은 필라 브라켓(600)을 통해서 필라가 펼쳐지도록 함을 의미한다.
또한, 제1도어가 열리면, 본체 자성체(610)와 잠금장치 자성체(511)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 인력이 제거된다. 따라서, 필라 브라켓(600)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서 본체 자성체(610)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잠금장치 자성체(511)도 탄성부재(540)에 의해서 전방으로 이동한다.
본체 자성체(610)의 후방 이동은 필라 브라켓(600)을 통하여 필라가 접히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잠금장치 자성체의 전방 이동은 잠금설정을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두 개의 자성체를 통해서 잠금장치와 필라 구조를 동시에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본체 또는 캐비닛과 도어(300) 사이에 도어(300)의 개폐 여부를 기구적으로 판단하는 구성 요소들 중 서로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구조가 배제될 수 있다. 즉, 자력에 의한 두 개의 자성체 사이의 상대적 거리를 통해서 비접촉 타입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매우 신뢰성이 있고 즉각적인 반응이 수행되는 잠금장치 및 필라 구조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실질적으로 비접촉 타입이므로 구성들 사이의 마찰이나 마모 등의 문제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10 : 본체(캐비닛) 300 : 제1도어
305 : 도어 프레임 400 : 제2도어
420 : 걸림부 500 : 잠금장치
510 : 이동부재 511 : 잠금장치 자성체(마그넷)
520 : 걸림부재 530 : 하우징
540 : 탄성부재 600 : 필라 브라켓
610 : 본체(필라) 자성체(마그넷)

Claims (26)

  1. 저장 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도어;
    상기 제1도어에 구비되는 도어 프레임;
    상기 제1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의 개구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에 구비되는 걸림부를 갖는 제2도어;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자성체;
    상기 제1도어에 대한 상기 제2도어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본체의 자성체와 대응되는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어의 개폐상태에 따라 상기 본체의 자성체와의 이격 거리가 달라짐에 따른 자력 변화에 의해서 서로 다른 변위를 갖는 이동부재;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의 변위에 따라 상기 도어 프레임에서 돌출 길이가 달라지는 변위를 갖고, 상기 걸림부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는 걸림부재를 갖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의 개구부는, 상기 제1도어 측벽부의 반경 방향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도어의 측벽부 전체가 상기 도어 프레임의 개구부에 적어도 일부 삽입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제1도어가 닫히면 상기 자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1도어가 열리면 상기 자력의 영향에서 벗어나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자력의 영향이 벗어나면 상기 이동부재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여 상기 이동부재가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도어 프레임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 길이가 달라지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도어 프레임의 반경 방향 내측 방향으로 선형 변위를 갖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자성체와 상기 이동부재의 자성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마그넷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걸림부재 사이에서, 상기 이동부재의 변위를 상기 걸림부재의 변위로 전환시키는 변위 전환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전환부는,
    상기 이동부재에 구비되는 제1경사부;
    상기 제1경사부에 대해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걸림부재에 구비되는 제2경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경사부는 상기 제1경사부가 경사지게 관통되도록 구비되는 경사홀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의 선형 변위가 달라짐에 따라, 상기 제1경사부에 대해 상기 제2경사부가 슬라이딩되어,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선형 변위의 수직 방향으로 선형 변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걸림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걸림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하우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걸림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출입하는 제1관통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본체의 자성체와 상기 이동부재의 자성체 사이의 자력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제2관통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도어의 캡 데코에 구비되며 상기 제1도어의 도어 다이크까지 연장되어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전체가 상기 제1도어 내부에 매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자성체와 상기 걸림부재 사이의 높이 차이를 보상하기 위한 경사 보상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에 삽입되는 상기 걸림부재의 말단에는 상기 제2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전후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자성체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필라 브라켓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저장 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도어;
    상기 제1도어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걸림부를 갖는 제2도어;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마그넷;
    상기 제1도어에 대한 상기 제2도어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제1도어가 닫히면 상기 마그넷의 자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도어가 열리면 상기 자력의 영향에서 벗어나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이동부재;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의 후방 이동에 의해 상기 걸림부와의 걸림이 해제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전방 이동에 의해 상기 걸림부와의 걸림이 수행되도록 구비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이동부재와 걸림부재를 수용하고, 전체가 상기 제1도어 내부에 매립되도록 구비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냉장고.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도어의 상부 측면을 형성하는 캡 데코 내부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후방 이동에 의해 상기 제1도어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 거리가 감소하고 상기 이동부재의 전방 이동에 의해 상기 제1도어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 거리가 증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걸림부재 사이에서, 상기 이동부재의 변위를 상기 걸림부재의 변위로 전환시키는 변위 전환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마그넷과 대응되는 마그넷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마그넷과 상기 이동부재의 마그넷은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제1도어가 개방되어 상기 마그넷들 사이의 인력이 제거되면, 상기 이동부재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동부재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마그넷은, 상기 제1도어가 개방되어 상기 마그넷들 사이의 인력이 제거되면, 후방으로 이동하여 필라를 접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50181317A 2015-12-17 2015-12-17 냉장고 KR102391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317A KR102391409B1 (ko) 2015-12-17 2015-12-17 냉장고
PCT/KR2016/012942 WO2017104974A1 (ko) 2015-12-17 2016-11-10 냉장고
US15/348,748 US10054360B2 (en) 2015-12-17 2016-11-10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317A KR102391409B1 (ko) 2015-12-17 2015-12-17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750A KR20170072750A (ko) 2017-06-27
KR102391409B1 true KR102391409B1 (ko) 2022-04-27

Family

ID=59056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317A KR102391409B1 (ko) 2015-12-17 2015-12-17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054360B2 (ko)
KR (1) KR102391409B1 (ko)
WO (1) WO20171049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21210B2 (en) 2012-04-11 2015-12-29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to create vacuum insulated cabinets for refrigerators
US8986483B2 (en) 2012-04-02 2015-03-24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folded vacuum insulated structure
US10052819B2 (en) 2014-02-24 2018-08-21 Whirlpool Corporation Vacuum packaged 3D vacuum insulated door structure and method therefor using a tooling fixture
US9689604B2 (en) 2014-02-24 2017-06-27 Whirlpool Corporation Multi-section core vacuum insulation panels with hybrid barrier film envelope
US9476633B2 (en) 2015-03-02 2016-10-25 Whirlpool Corporation 3D vacuum panel and a folding approach to create the 3D vacuum panel from a 2D vacuum panel of non-uniform thickness
US10161669B2 (en) 2015-03-05 2018-12-25 Whirlpool Corporation Attachment arrangement for vacuum insulated door
US9897370B2 (en) 2015-03-11 2018-02-20 Whirlpool Corporation Self-contained pantry box system for insertion into an appliance
US9441779B1 (en) 2015-07-01 2016-09-13 Whirlpool Corporation Split hybrid insulation structure for an appliance
US11052579B2 (en) 2015-12-08 2021-07-06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preparing a densified insulation material for use in appliance insulated structure
US10422573B2 (en) 2015-12-08 2019-09-24 Whirlpool Corporation Insulation structure for an appliance having a uniformly mixed multi-component insulation material, and a method for even distribution of material combinations therein
US10429125B2 (en) 2015-12-08 2019-10-01 Whirlpool Corporation Insulation structure for an appliance having a uniformly mixed multi-component insulation material, and a method for even distribution of material combinations therein
US10222116B2 (en) 2015-12-08 2019-03-05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vacuum insulated structure for an appliance having a pressing mechanism incorporated within an insulation delivery system
US10041724B2 (en) 2015-12-08 2018-08-07 Whirlpool Corporation Methods for dispensing and compacting insulation materials into a vacuum sealed structure
EP3387351B1 (en) 2015-12-09 2021-10-13 Whirlpool Corporation Vacuum insulation structures with multiple insulators
KR102391404B1 (ko) * 2015-12-17 2022-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0422569B2 (en) 2015-12-21 2019-09-24 Whirlpool Corporation Vacuum insulated door construction
US10018406B2 (en) 2015-12-28 2018-07-10 Whirlpool Corporation Multi-layer gas barrier materials for vacuum insulated structure
US10610985B2 (en) 2015-12-28 2020-04-07 Whirlpool Corporation Multilayer barrier materials with PVD or plasma coating for vacuum insulated structure
US10807298B2 (en) 2015-12-29 2020-10-20 Whirlpool Corporation Molded gas barrier parts for vacuum insulated structure
US10030905B2 (en) 2015-12-29 2018-07-24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a vacuum insulated appliance structure
US11247369B2 (en) 2015-12-30 2022-02-15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3D vacuum insulated refrigerator structure having core material
EP3443285B1 (en) 2016-04-15 2021-03-10 Whirlpool Corporation Vacuum insulated refrigerator cabinet
US11009284B2 (en) 2016-04-15 2021-05-18 Whirlpool Corporation Vacuum insulated refrigerator structure with three dimensional characteristics
KR102567513B1 (ko) * 2016-06-08 2023-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1320193B2 (en) 2016-07-26 2022-05-03 Whirlpool Corporation Vacuum insulated structure trim breaker
WO2018034665A1 (en) 2016-08-18 2018-02-22 Whirlpool Corporation Machine compartment for a vacuum insulated structure
US10598424B2 (en) 2016-12-02 2020-03-24 Whirlpool Corporation Hinge support assembly
US10352613B2 (en) 2016-12-05 2019-07-16 Whirlpool Corporation Pigmented monolayer liner for applianc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1078697B2 (en) 2017-08-28 2021-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me appliance
JP7077569B2 (ja) * 2017-09-29 2022-05-3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真空断熱材が使用された断熱容器
US10907888B2 (en) 2018-06-25 2021-02-02 Whirlpool Corporation Hybrid pigmented hot stitched color liner system
US11359414B2 (en) 2019-01-24 2022-06-14 Whirlpool Corporation Latch assembly
US10907891B2 (en) 2019-02-18 2021-02-02 Whirlpool Corporation Trim breaker for a structural cabinet that incorporates a structural glass contact surface
CN111692828A (zh) * 2019-03-13 2020-09-22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及其控制方法
CN111779372B (zh) * 2019-03-18 2023-08-15 青岛海尔生物医疗科技有限公司 辅助门把手组件及制冷设备
KR20200125307A (ko) 2019-04-26 2020-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11202484B (zh) * 2020-03-11 2021-10-26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家用电器
CN111411861B (zh) * 2020-04-21 2021-05-28 郑州航空工业管理学院 多密级情报分类管理装置
US11668513B2 (en) 2020-12-01 2023-06-06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taged access door for a home appliance
US11215391B1 (en) 2020-12-01 2022-01-04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taged access door for a home appliance
US20230184485A1 (en) * 2021-12-09 2023-06-15 Anthony, Inc. Supporting an electronic display in a display case do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32251A1 (en) 2013-02-21 2014-08-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having double door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84977A (en) * 1934-06-26 1934-12-18 Robert W Forbes Refrigerator
NL145015B (nl) * 1968-12-16 1975-02-17 Nederlanden Staat Deurslot.
US4767139A (en) * 1987-11-16 1988-08-30 Philips Industries Inc. Latch Assembly for recreational vehicle doors
JP2000249462A (ja) 1999-02-26 2000-09-14 Aiwa Co Ltd 冷蔵庫
KR200340005Y1 (ko) * 2003-10-13 2004-01-28 주식회사 씨코 이중도어 연결구조
KR101490184B1 (ko) * 2008-06-23 2015-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639435B1 (ko) * 2009-10-13 2016-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2116554A (zh) * 2010-01-04 2011-07-06 Lg电子株式会社 电冰箱
KR101768698B1 (ko) * 2010-12-07 2017-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이중 도어 개폐 장치
EP4209737A1 (en) * 2011-08-05 2023-07-1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inner door
JP2013053843A (ja) * 2011-08-31 2013-03-21 Lg Electronics Inc 冷蔵庫
EP2613112B1 (en) * 2012-01-03 2019-10-3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having storage container
EP2679750A1 (en) * 2012-06-26 2014-01-01 9Design.be bvba Locking device comprising a deactivation mechanism
EP3851777A1 (en) * 2013-06-14 2021-07-2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O2014200318A1 (en) * 2013-06-14 2014-12-18 Lg Electronics Inc. Fixing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118047B1 (ko) * 2013-09-09 2020-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218309B1 (ko) * 2013-11-18 2021-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104521B1 (ko) * 2014-01-07 2020-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183870B1 (ko) * 2014-02-21 2020-11-27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냉장고
KR101622228B1 (ko) * 2014-02-21 2016-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228916B1 (ko) * 2014-03-11 2021-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9605891B2 (en) * 2014-03-11 2017-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101618129B1 (ko) * 2014-04-28 2016-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643640B1 (ko) * 2014-08-27 2016-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32251A1 (en) 2013-02-21 2014-08-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having double do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04974A1 (ko) 2017-06-22
US20170176086A1 (en) 2017-06-22
KR20170072750A (ko) 2017-06-27
US10054360B2 (en) 2018-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1409B1 (ko) 냉장고
KR102391404B1 (ko) 냉장고
RU2484392C1 (ru) Холодильник
KR102585501B1 (ko) 냉장고
KR102218309B1 (ko) 냉장고
KR100857605B1 (ko) 냉장고
US11231222B2 (en) Refrigerator
KR102245371B1 (ko)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11199033B2 (en) Refrigerator
EP3207319B1 (en) Refrigerator
KR102196314B1 (ko) 냉장고
KR102278844B1 (ko) 냉장고
KR102491969B1 (ko) 냉장고
KR102093448B1 (ko) 냉장고
KR20080035190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