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501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501B1
KR102585501B1 KR1020220049117A KR20220049117A KR102585501B1 KR 102585501 B1 KR102585501 B1 KR 102585501B1 KR 1020220049117 A KR1020220049117 A KR 1020220049117A KR 20220049117 A KR20220049117 A KR 20220049117A KR 102585501 B1 KR102585501 B1 KR 102585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ail
opening
refrigerator
b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9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4275A (ko
Inventor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9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501B1/ko
Publication of KR20220054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4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5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3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07Adjustably or detachably mounted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37Rollers for slides or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73Braking devices, e.g. linear or rotational dampers or friction brakes; Buffers; End stops
    • A47B88/477Buffers; End sto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9Cooling space dividing part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2Bas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25D2201/126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of cellula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제조가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무빙 선반이나 바스켓을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도어의 전면 외형을 형성하는 아웃도어와 상기 아웃도어의 후방에서 도어의 후면 외형을 형성하는 도어 다이크를 갖고, 상기 아웃도어와 도어 다이크 사이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도어; 상기 도어 다이크에 대해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 다이크에서 상기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는 서포터를 포함하는 무빙 프레임; 그리고 상기 내부 공간에 매립되어 상기 서포터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을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제조가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무빙 선반이나 바스켓을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토출하여 고내의 온도를 저하시켜 음식물 등을 냉동시키거나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는 저장실로서 음식물 또는 음료를 얼려서 보관하는 냉동실과, 상기 음식물 또는 음료를 저온에서 보관하는 냉장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냉장고는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된 탑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된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 그리고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냉동실과 냉장실 각각에 도어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를 통하여 냉동실 또는 냉장실에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냉장실과 냉동실이 서로 구분되는 냉장고 외에, 하나의 도어를 통해 냉동실과 냉장실에 접근할 수 있는 냉장고도 있다. 이러한 냉장고는 대부분 소형이며, 냉장실 내부의 일정한 공간에 냉동실이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또한, 탑마운트 타입 냉장고 중에서도 상부의 냉장실을 좌우 도어를 통해 개폐하는 형태의 프렌치 타입(French Type) 냉장고도 제공되고 있다. 프렌치 타입 냉장고의 냉동실도 마찬가지로 좌우 도어를 통해 개폐될 수 있다.
최근에는 냉장고의 도어 배면에 홈 바(home-bar), 아이스 메이커, 선반 또는 바스켓 등이 장착되어, 도어 배면을 별도의 저장 공간으로 활용하거나 별도의 기능 공간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많아지고 있다. 즉, 도어의 기능이 단순히 냉동실이나 냉장실을 개폐하는 것을 넘어서, 도어가 별도의 저장 공간을 형성하거나 얼음이나 냉수의 생성 및 공급 등과 같은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저장실을 개폐하는 메인도어에 보조도어를 장착한 이중 냉장고가 제공되고 있다. 이를 도어 인 도어 냉장고, DID 냉장고라고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메인도어를 개방하여 저장실을 사용할 수 있고, 메인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서브도어만 개방하여 서브저장실을 사용할 수 있는 DID냉장고가 제공되고 있다.
상기 서브저장실은 메인도어의 후방에 구비되며 저장실과는 일부 칸막이를 통해 구획되는 저장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서브저장실 영역이 메인도어의 일부분에만 형성되지 않고 실질적으로 메인도어 전영역에 형성되는 추세에 있다.
한편, 이러한 서브저장실은 물이나 음료수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다양한 저장물을 저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서브저장실에는 하나의 선반이나 바스켓이 구비되지 않고 복수 개의 선반이나 바스켓이 구비되고 있다. 그러나, 저장물의 높이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선반이나 바스켓이 상하 위치가 필요에 따라 가변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서,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11-0118955(이하 "선행발명"이라 한다)를 통해서 홈 바 내에서 상하 이동될 수 있는 무빙 바스켓(moving basket) 구조를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선행발명에서의 무빙 바스켓은 홈 바 케이스를 전제로 한다. 즉, 메인도어의 배면에 장착되어 서브저장실을 형성하는 홈 바 케이스가 구비되고, 무빙 바스켓은 홈 바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무빙 바스켓을 상하로 이동하게 하는 레일이 홈 바 케이스에 장착되어 전체 저장실 공간이 축소되고 상기 레일이 가시적으로 노출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었다.
물론, 선행발명에서는 서브도어를 열었을 때 이러한 레일이 직접 가시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서브저장실의 개구부 후방에 이러한 레일을 위치시켰다. 여기서 서브저장실의 개구부는 메인 도어에 형성된 개구부로 사용자의 손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서브저장실로 출입하기 위한 것이다. 즉, 서브저장실의 입구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레일을 가리기 위하여 개구부의 좌우 폭이 좁아질 수밖에 없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었다. 이는 서브저장실의 좌우 폭에 비해서 서브저장실 입구의 좌우 폭이 좁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서브저장실 내에 구비되는 무빙 바스켓 좌우에 저장된 저장물이 잘 보이지 않거나, 이러한 저장물을 인출하는데 상기 서브저장실의 입구와 부딪히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은 메인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가려질 수 있지만, 반대로 상기 메인도어를 개방한 후에는 상기 레일이 여전히 가시적으로 노출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무빙 바스켓(무빙 프레임, 무빙 선반 포함)으로 인해 저장 공간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무빙 바스켓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미려한 디자인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이동을 위한 조작이 간편한 무빙 바스켓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내구성이 증진된 무빙 바스켓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굽힘 하중에 강한 무빙 바스켓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한 무빙 바스켓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도어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서브도어로 형성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메인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아웃도어; 상기 아웃도어의 후방에서 상기 메인도어의 후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개구부의 양측면을 각각 형성하는 제1평면과 제2평면 및 상기 개부부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제3평면, 그리고 상기 개구부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제4평면이 일체로 형성된 도어 다이크; 상기 아웃도어와 상기 도어 다이크가 상호 결합한 내부 공간에 충진된 충진재; 상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연장 프레임이 상기 제1평면과 제2평면에 각각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 무빙 프레임; 상기 제1평면과 제2평면에 각각 대향하는 양측면에 하향으로 개방된 삽입 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연장프레임이 삽입되어 상기 무빙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바스켓; 상기 제1평면과 제2평면에 각각 함몰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레일 결합 개구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레일 결합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무빙 프레임이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레일; 및 상기 레일 결합 개구부를 각각 덮는 복수개의 결합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커버는 상기 제1평면과 제2평면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도어 다이크에 대해서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는, 상기 도어 다이크의 상측 위치 및 하측 위치에 각각 해당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결합 커버는 상기 레일과 적어도 일부분에서 중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연장 프레임은, 상기 도어 다이크에 대해서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레일에는 상기 롤러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는 롤러 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롤러 가이드의 일측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구비되는 롤러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바스켓은 상기 도어 다이크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되도록 상기 삽입홈은 바스켓의 중앙에서 타측 방향으로 치우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바스켓 내부에 상기 바스켓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구획바가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제1평면과 제2평면에 각각 절개된 형태의 레일 장착부에 상기 레일이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레일 장착부를 커버하도록 레일 커버 브라켓이 상기 도어 다이크에 설치되어 상기 발포제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레일 커버 브라켓은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레일과 결합되고, 상기 레일 커버 브라켓은 상기 내부 공간을 상기 충진재가 충진되는 제1 내부 공간 및 상기 레일 및 상기 레일 장착부가 구비되는 제2 내부 공간으로 격리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레일 커버 브라켓의 외면에는 상기 충진재와의 결합 면적을 높이기 위하여 격자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연장 프레임에 롤러가 설치된 서포터가 결합되고, 상기 롤러는 상기 레일에 삽입되어 상기 무빙 프레임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롤러 개구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가 상기 롤러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기 무빙 프레임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삽입홈과 연결된 개구부가 바스켓 하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삽입홈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결합 커버는 상기 도어 다이크의 후면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레일의 일측 단부는 상기 레일 결합 개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도어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서브도어로 형성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메인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아웃도어; 상기 아웃도어의 후방에서 상기 메인도어의 후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개구부의 양측면을 각각 형성하는 제1평면과 제2평면 및 상기 개구부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제3평면, 그리고 상기 개구부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제4평면이 일체로 형성된 도어 다이크; 상기 아웃도어와 상기 도어 다이크가 상호 결합한 내부 공간에 충진된 발포제; 상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연장 프레임이 상기 제1평면과 제2평면에 각각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에서 제 1 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 무빙 프레임; 상기 제1평면과 제2평면에 각각 대향하는 양측면에 하향으로 개방된 삽입 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연장프레임이 삽입되어 상기 무빙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바스켓; 상기 제1평면과 제2평면에 각각 함몰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레일 결합 개구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레일 결합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무빙 프레임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레일; 및 상기 레일 결합 개구부를 각각 덮는 복수개의 결합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도어 다이크에 대하여 상기 제1평면 또는 제2평면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무빙 바스켓(무빙 프레임, 무빙 선반 포함)으로 인해 저장 공간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무빙 바스켓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미려한 디자인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이동을 위한 조작이 간편한 무빙 바스켓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내구성이 증진된 무빙 바스켓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굽힘 하중에 강한 무빙 바스켓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한 무빙 바스켓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냉장고를 도시하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인도어에 무빙 바스켓이 장착된 모습을 메인도어 전방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하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메인도어에 무빙 바스켓이 장착된 모습을 메인도어 후방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하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메인도어를 분해한 모습을 도시하고,
도 5는 도어 다이크와 레일 사이의 결합 구조의 개략적인 단면을 도시하고,
도 6은 도어 다이크, 레일 그리고 무빙 바스켓의 결합 구조의 단면을 도시하고,
도 7은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무빙 바스켓을 도시하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무빙 바스켓을 분해한 모습을 도시하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무빙 바스켓과 레일의 결합 구조를 하부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하고,
도 10은 무빙 바스켓과 레일의 결합 구조를 측방에서 바라본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냉장고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시된 냉장고는 캐비닛(10)의 상부에 냉장실이 마련되고, 하부에 냉동실이 마련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의 냉장고이다.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은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는 저장실 또는 메인저장실(11)의 일부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타입의 냉장고에 한정되지 않으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냉장고의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라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로서 좌측 냉장실도어(20)와 우측 냉장실도어(25)가 상기 캐비닛(10)의 좌우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물론, 이와 달리 냉장실도어는 하나의 도어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의 아래에 마련되는 냉동실 도어도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하부 양측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좌측 냉동실 도어(30)와 우측 냉동실 도어(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냉동실 도어는 하나의 도어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고, 전후방향으로 인출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랍식 도어가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좌측 냉동실 도어(30)의 상면에는 손잡이홈(32)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우측 냉동실 도어(40)의 상면에도 손잡이홈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측 냉장실도어(25)는 상기 캐비닛(1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메인도어(100)와 상기 메인도어(100) 또는 캐비닛(1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브도어(2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메인도어(100)와 서브도어(200)를 함께 열면 냉장실에 접근할 수 있다.
상기 메인도어(100)의 중앙부 내측에는 개구부(120)가 마련되고, 상기 메인도어(100)의 배면측에는 서브저장실이나 도어 바스켓(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도어(200)를 열면 상기 메인도어(100)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서브저장실이나 도어 바스켓에 접근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도어(100)를 열지 않고도 서브도어(200)만 열어서 상기 서브저장실이나 도어 바스켓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브도어(200)는 상기 패널어셈블리의 좌측에 홈 형태의 핸들(24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핸들(240)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패널의 높이와 같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서브도어(200)는 캐비닛(10)의 좌측에 구비되는 좌측 서브도어일 수도 있다. 이 경우, 핸들(240)의 위치는 반대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서브도어(200)의 회전 방향은 상기 메인도어(100)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에서는 서브도어(200)가 메인도어(100)보다 작게 형성되고 서브도어(200)가 닫힐 때 메인도어의 개구부(110)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메인도어(100)에 장착되는 무빙 바스켓을 포함한다. 이러한 무빙 바스켓은 사용자가 서브도어(200)만 열고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메인도어(100)를 열고 무빙 바스켓을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서브도어(200)가 생략된 상태의 메인도어(100)와 상기 메인도어(100)에 장착되는 무빙 바스켓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무빙 바스켓이 장착된 상태의 메인도어(1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서브도어가 생략된 상태에서 메인도어를 전방에서 본 모습을 도시하고 도 3은 서브도어가 생락된 상태에서 메인도어를 후방에서 본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메인도어(100)는 실질적으로 메인도어(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아웃도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웃도어(130)는 메인도어(100)의 전면과 양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아웃도어(130)의 후방에는 도어 다이크(150)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 다이크(140)는 상기 메인도어(15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다이크(140)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일부분이 저장실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다이크(140)를 도어 라이너(door liner)라 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다이크(140)에는 가스켓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가스켓이 캐비닛에 밀착되어 저장실의 냉기가 실링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메인도어(100)에는 캡 데코(160, 1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캡 데코는 메인도어(100)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상부 캡 데코(170)와 메인도어(100)의 하측면을 형성하는 하부 캡 데코(16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도어(100)는 도어의 전면과 양측면을 형성하는 아웃도어(130), 도어의 후면을 형성하는 도어 다이크 그리고 도어의 상하측면을 형성하는 캡 데코(160, 170)들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들이 서로 결합하여 내부에 단열을 위한 충진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충진 공간에 발포제가 충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따르면, 메인도어(100)는 도어 프레임(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140)은 DID 냉장고에서 사용자가 서브도어를 개방하여 메인도어의 후방에 구비되는 서브저장실이나 도어 바스켓에 접근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메인도어(100)의 전면에서 중앙 부분이 뚫려있는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도어 프레임(140)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도어(100)는 아웃 도어(130), 도어 프레임(140), 도어 다이크(150), 캡 데코(160, 170)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사이의 결합으로 내부에 충진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다이크(150)에 무빙 바스켓(300)이 장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빙 바스켓(300)은 도어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서 두께가 얇은 플라스틱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도어 다이크(150)를 통해 바스켓을 지지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왜냐하면, 바스켓을 지지하는 브라켓이 도어 다이크(150)에 결합되게 되면, 결합된 도어 다이크 부분이 파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무빙 바스켓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레일이 상기 도어 다이크(150)에 장착이 되면, 도어 다이크(150)의 파손뿐만 아니라 레일이 가시적으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레일로 인하여 저장 공간이 축소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빙 바스켓(300)을 지지하는 레일(400)이 도어 다이크(150)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다이크(150)에서 별도로 돌출되는 부분이 발생되지 않고, 기본적인 도어 다이크(150)의 외형을 유지한 채 상기 도어 다이크(150)에 상기 레일(400)을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빙 바스켓(15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다이크(150) 내부에 매립된 레일(400)을 통해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레일(400)이 도아 다이크(150)에 매립되었기 때문에, 무빙 바스켓(300)의 양측면과 도어 다이크(150)의 양측면은 매우 인접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메인도어(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상기 무빙 바스켓(300)을 보았을 때, 가려지는 부분이 없이 실질적으로 무빙 바스켓(300) 전체가 보여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용자에게 있어서, 상기 레일(400)의 구조나 형상은 무의미하다. 즉, 무빙 바스켓(300)을 지지하는 구조는 사용자의 관심 밖의 일이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는 무빙 바스켓(300) 자체와 상기 무빙 바스켓(300) 자체의 이동에만 관심이 있을 뿐이다.
따라서, 레일(400)의 구조나 형상이 최대한 도어 다이크(150) 내부로 매립되어 있기 때문에 미련한 디자인이 제공될 수 있고, 아울러 저장 공간의 축소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메인도어(100)의 전면과 후면 어느 곳에서도 무빙 바스켓(300) 전체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메인도어(100)의 개폐 여부와 무관하게 용이하게 무빙 바스켓(300)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인도어(100)의 구조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메인도어(100)에는 서브도어와 무빙 바스켓이 생략되어 있으며, 무빙 바스켓을 장착하기 위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도어(100)는 아웃 도어(130), 도어 다이크(150) 그리고 캡 데코(160, 170)가 서로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도어(130)와 도어 다이크(150) 사이에 도어 프레임(140)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다이크(150)의 양측에는 레일 장착부(15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 장착부(151)에는 레일(40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레일(400)은 무빙 바스켓(300)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레일(400)은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의 전면 외형을 형성하는 아웃도어(130)와 도어의 후면 외형을 형성하는 도어 다이크(150)가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내부 공간에는 단열을 위한 충진재가 충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일(400)과 레일 커버 브라켓(500)은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상기 레일(400)과 레일 커버 브라켓(500)은 상기 내부 공간에 매립되어 상기 도어 다이크(150)에 장착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상기 레일(400)은 상기 도어 다이크(150) 내부 즉 상기 내부 공간에 매립되어 상기 무빙 바스켓(300)을 지지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다이크(150)에는 절개된 형태의 레일 장착부(15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은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레일 장착부(151)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레일(400) 전체가 상기 도어 다이크(150) 내부, 즉 아웃도어(130)과 도어 다이크(150) 사이의 공간 즉 도어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 다이크(150) 외부로 레일(400)이 돌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레일 장착부의 일측에는 레일 커버 브라켓(5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커버 브라켓(500)은 상기 레일(400)의 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메인도어(100)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레일(400)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일(400)은 채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 커버 브라켓(500)에는 상기 레일(400)이 안착될 수 있는 레일 안착부(54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일 안착부(540)도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400)은 상기 레일 커버 브라켓(500)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레일의 체결홀(410)과 레일 커버 브라켓(500)의 체결홀(510)을 관통하는 스크류(420)를 통해 양자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커버 브라켓(500)은 상기 레일(400) 및 레일 장착부(151)를 모두 완전히 덮도록 상기 레일 및 레일 결합부보다 넓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 커버 브라켓(500)은 상기 내부 공간에 충진재가 충진될 때, 상기 충진재가 충진되는 내부 공간과 상기 레일 및 레일 결합부가 구비되는 내부 공간을 격리시킴이 바람직하다. 즉, 충진재가 충진될 때 충진재가 상기 레일(400)이나 레일 장착부(151)로 침투되는 것이 방지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충진재의 충진 압력은 매우 높다. 그리고, 이러한 압력은 일부에만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내부 공간 전체에 발생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충진재로 인한 레일 커버 브라켓(500)과 도어 다이크(150) 사이의 결합 강도가 매우 증가됨을 의미한다. 무빙 바스켓을 통해 상기 레일(400)에 가해지는 힘이 도어 다이크(150)가 아닌 레일 커버 브라켓(500)에 가해지게 된다. 상기 레일 커버 브라켓(500)은 상기 충진재로 인해 상기 도어 다이크(150)에 매우 강하게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도어 다이크(150)에 가해지는 힘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레일 커버 브라켓(500)에는 상기 충진재와 결합 면적을 높이기 위하여 격자 리브(5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자 리브(530)는 충진재가 충진되는 내부 공간을 향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격자 리브(530)는 레일 커버 브라켓(500)의 외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 다이크(150)에는 레일 결합 개구부(15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레일(400)이 상기 충진재의 발포에 의해서 도어 다이크(150)와 일체로 결합된 후 상기 레일(400)에 무빙 바스켓(300)을 장착해야 하기 때문이다. 즉, 후술하는 서포터를 상기 레일과 결합시키기 위한 레일 결합 개구부(1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레일 결합 개구부(152)로 삽입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포터를 상기 레일의 말단에 끼워 상기 서포트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레일 결합 개구부(152)에는 두 개 레일의 말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부 레일의 말단을 통해 삽입된 서포터는 상부로 이동시키게 되고, 하부 레일의 말단을 통해 삽입된 서포터는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물론, 하나의 레일의 말단이 구비되고 이를 통해 복수 개의 서포터를 삽입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일 결합 개구부(152)를 통해서 하나의 서포터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서포터를 상기 레일과 결합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단일 무빙 바스켓이 아닌 복수 개의 무빙 바스켓을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무빙 바스켓(300)을 상기 레일(400)에 결합시킨 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커버(410)를 통해 상기 레일 결합 개구부(152)를 덮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152)는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상기 무빙 바스켓을 상기 레일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커버(410)를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매우 용이하게 무빙 바스켓(300)의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도어 다이크(150)와 레일(400) 결합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도어(130)와 도어 다이크(150)이 서로 결합되어 내부 공간(S1, S2)를 형성한다. 즉, 도어(100)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내부 공간에 발포제가 충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다이크(150)에는 레일 장착부(1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장착부(151)는 후술하는 서포터(320)가 삽입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 공간(S1, S2)를 통해 상기 레일(400)이 상기 레일 장착부(151)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400)의 일측, 즉 내부 공간 방향에서 상기 레일을 커버하는 레일 커버 브라켓(500)이 구비된다. 상기 레일 커버 브라켓(500)은 상기 레일 전체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일 커버 브라켓(500)은 상기 내부 공간(S1, S2)를 구획한다. 도시된 제1내부 공간(S1)은 발포제가 충진되는 공간이다. 그리고, 제2내부 공간(S2)는 발포제가 충진되지 않는 공간이다. 따라서, 상기 제1 내부공간(S1)에 발포제가 충진되면, 상기 레일 커버 브라켓(500)은 도어 내부에서 상기 도어 다이크(150)와 매우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실질적으로 레일(400) 전체를 감싸기 때문에 레일(400)에 전달되는 하중이나 충격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레일 장착부(151)는 저장실로 삽입되는 도어 다이크(150)의 돌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다이크(150)에는 가스켓 장착부(155)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무빙 바스켓(3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무빙 바스켓(300)은 무빙 프레임(3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빙 바스켓(320)은 상기 무빙 프레임(320)과 결합하는 바스켓(3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빙 바스켓(320)은 상기 무빙 프레임(320)과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빙 바스켓(300)은 상기 무빙 바스켓(300)을 레일(400)에 지지하기 위한 서포터(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330)는 상기 무빙 바스켓(300)을 지지하는 한편 상기 무빙 바스켓(300)이 레일(400)을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무빙 바스켓(30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무빙 프레임(320)은 실질적으로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무빙 프레임(320) 자체가 선반 형태로 구비되어 무빙 선반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무빙 프레임(320)에 바스켓(310)이 결합되어 무빙 바스켓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무빙 바스켓에서 상기 무빙 프레임(320)과 상기 바스켓(310)은 별도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바스켓(310)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굽힘 하중에 매우 취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중이나 굽힘 하중은 상기 무빙 프레임(320)이 지지할 수 있도록 양자가 서로 개별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빙 프레임(320)은 사각 형상의 폐루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바스켓(300)의 좌우전후 골고루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무빙 프레임(320)에 매우 강한 강성을 부여할 수 있다. 특히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으로 무빙 프레임(320)을 형성하여 매우 견고하게 무빙 바스켓(310)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서포터(330)는 상하로 복수 개의 롤러(332)가 구비되는 서포터 프레임(33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빙 프레임(320)에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331)과 결합하는 연장 프레임(3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322)는 레일(400)에 삽입되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400)에서 상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연장 프레임(322)에는 위치결정돌기(324)와 체결홀(32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 프레임(331)에는 상기 위치결정돌기(324)가 삽입되는 홈(333)과 상기 체결홀(323)과 대응되는 체결홀(33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홀들(323, 334)를 관통하도록 스크류(335)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포트 프레임(331)는 상기 연장 프레임(322)를 통해서 무빙 프레임(32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310)에는 상기 연장 프레임(322)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3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311) 부분에는 후술하는 조작부의 조작을 위한 개구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311)은 바스켓(310)의 양쪽 좌우 측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바스켓을 지지하는 지지점이 바스켓의 전단이나 후단이 아닌 측면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굽힘 하중을 지지하는 데 매우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 바스켓(310)에는 바스켓 내부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구획바(3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바(316)은 구획을 위해서 수평으로 위치되고, 구획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바스켓 내부에서 수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구획바(316) 회전 가능하게 바스켓(310)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획바(316)는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로 봉(316a)와 가로 봉 양측에 구비되는 세로 봉(316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바(316)는 세로 봉(316b)의 말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장착봉(316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봉(316c)는 바스켓에 형성된 관통홀(313)을 관통하여 구획바 지지부(31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구획바 지지부(315)와 관통홀(313) 사이에는 와셔(3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획바 지지부(315)에는 복수 개의 슬롯(315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장착봉(316c)의 회전에 따라 상기 세로 봉(316b)가 상기 슬롯(315a)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슬롯(315a)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기 때문에 특정 슬롯에 삽입되면 상기 세로 봉(316b)이 특정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가로 봉(316a)의 각도도 가변되어 고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서포터(330)는 상기 무빙 바스켓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들을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터(330)는 레버(337)을 포함한다. 상기 레버(337)는 상기 서포터(330)가 정지되도록 하는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상기 서포터(330)는 사용자가 무빙 바스켓(300)의 이동을 위해 조작하는 조작부(342)를 포함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면 상기 조작부에서 변위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변위는 상기 레버(337)의 변위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레버(337)과 조작부(324)는 상기 무빙 프레임(32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작부(324)는 회전 중심(342) 후방에 구비되는 돌기(344)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 중심(342)은 홀 형태로 형성되어 부싱(340)을 통해서 스크류(339) 결합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324)의 버튼(324a)를 누르면, 상기 돌기(344)는 회전 변위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회전 변위는 레버(337)의 회전 변위로 전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버(337)는 마찬가지로, 부싱(340)을 통해서 스크류(339) 결합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무빙 프레임(320)에 상기 레버(337)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기(344)가 회전하여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레버(337)는 회전 중심(337a)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돌기(344)가 레버(337)에 형성된 돌출부(337b)를 눌러 상기 레버(337)가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레버(337)의 회전으로 인해 무빙 바스켓이 고정되거나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상기 조작부(324)와 레버(337) 사이에는 스프링(338)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조작이 가해지면 상기 스프링(338)은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조작이 종료되면 상기 스프링(338)은 원위치로 탄성 복원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324)의 변위는 상기 레버(337)의 변위 그리고 스프링의 탄성 변형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스프링의 탄성 복원은 조작부와 레버의 원위치 복귀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상기 조작부(324)와 버튼(324a)는 무빙 프레임(320)의 하부에 위치됨을 알 수 있다. 즉, 무빙 프레임(320)이나 바스켓(310)의 전후로 돌출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조작부와 버튼을 히든 타입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미려한 디자인이 가능하게 되며, 저장 공간의 축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324)의 회전 중심(343), 레버(337)의 회전 중심(337a) 그리고 스프링(337)을 수용하는 서포터 커버(33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커버(336)는 스크류(341)를 통해 상기 무빙 프레임(320)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포트 커버(336)를 통해서 변위가 발생되는 구성들이 보호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서 변위가 발생되는 구성들이 외부 간섭을 통해 구속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레일(400)과 서포터(330)의 결합 구조와 고정 및 지지 메커니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레일(400)에는 상하로 길게 롤러 가이드(40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 가이드(402)를 따라 상기 롤러(332)가 승강될 수 있다.
상기 롤러 가이드(402)의 일측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롤러 개구부(406)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롤러 개구부(40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332)는 롤러 회전축(332a)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롤링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롤러의 외부는 탄성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상태, 즉 롤러(332)가 롤러 개구부(406)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서포터(320)이 고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롤러(332)에서도 굽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332)가 상기 롤러 개구부(406)를 벗어나서 상하로 이동할 때 상기 롤러(332)는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롤러 개구부(406)에 이르러서 다시 탄성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롤러(332)가 다시 롤러 개구부(406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337)는 상기 롤러(332)와 마찬가지로 상기 롤러 가이드(402)에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337)가 상기 롤러 개구부(406)에 삽입되면 상기 서포터(320)이 상기 레일(400)에 고정된다. 즉, 무빙 바스켓(300)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337)가 상기 롤러 개구부(406)에서 벗어나면 상기 무빙 바스켓(300)이 이동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버튼(342a)를 사용자가 누르면, 도 10에 도시된 돌기(344)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레버(337)이 회전하게 된다. 즉, 반시계 방향으로 레버(337)가 회전하여 상기 롤러 개구부(406)에서 레버(337)가 이탈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버튼(342a)를 계속 누르고 있으면 상기 레버(337)도 상기 롤러 개구부(406)에서 이탈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버튼(342a)를 누르면서 무빙 프레임(320)을 위로 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을 통해서 상기 레버(337)는 지속적으로 복귀되려는 경향을 갖는다. 따라서, 특정 롤러 개구부(406) 인근에서 사용자가 버튼(342a)을 누르지 않으며, 상기 레버(337)는 상기 특정 롤러 개구부(406)에 삽입된다. 이를 통해서 다시 무빙 바스켓(30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버(337)가 원활히 롤러 개구부(406)에 삽입되고 이탈될 수 있도록 상기 레버(337)에는 경사 돌출부(337a)와 단턱부(337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턱부(337a)는 상기 롤러 개구부(406)를 통해 상기 레버(337)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레버(337)의 삽입 길이를 제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400)에는 레일 개구부(4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개구부(401)는 실질적으로 도어 다이크(150)와 동일 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일 개구부(401)를 통해서 서포터(320)가 상기 레일(4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레일 개구부(401)의 양쪽에는 레일 플렌지(403)가 형성되어 상기 레일 개구부(40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 플렌지(403)의 후방에는 지지 플렌지(40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렌지(403)는 내부 공간에서 도어 다이크(150)의 내면과 맞닿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일(400)과 도어 다이크(150) 사이의 결합 강도가 더욱 강해질 수 있다.
100 : 도어(메인 도어) 130 : 아웃도어
140 : 도어 프레임 150 : 도어 다이크
160(170) : 도어 데코 300 : 무빙 바스켓
310 : 바스켓 320 : 무빙 프레임
330 : 서포터 400 : 레일

Claims (20)

  1.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도어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서브도어로 형성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메인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아웃도어;
    상기 아웃도어의 후방에서 상기 메인도어의 후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개구부의 양측면을 각각 형성하는 제1평면과 제2평면 및 상기 개구부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제3평면, 그리고 상기 개구부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제4평면이 일체로 형성된 도어 다이크;
    상기 아웃도어와 상기 도어 다이크가 상호 결합한 내부 공간에 충진된 충진재;  
    상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연장 프레임이 상기 제1평면과 제2평면에 각각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 무빙 프레임;
    상기 제1평면과 제2평면에 각각 대향하는 양측면에 하향으로 개방된 삽입 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연장프레임이 삽입되어 상기 무빙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바스켓;
    상기 제1평면과 제2평면에 각각 함몰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레일 결합 개구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레일 결합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무빙 프레임이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레일; 및
    상기 레일 결합 개구부를 각각 덮는 복수개의 결합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커버는 상기 제1평면과 제2평면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도어 다이크에 대해서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는, 상기 도어 다이크의 상측 위치 및 하측 위치에 각각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커버는 상기 레일과 적어도 일부분에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프레임은, 상기 도어 다이크에 대해서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에는 상기 레일에 삽입되는 롤러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는 롤러 가이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가이드의 일측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구비되는 롤러 개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상기 도어 다이크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되도록 상기 삽입홈은 바스켓의 중앙에서 타측 방향으로 치우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 내부에 상기 바스켓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구획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평면과 제2평면에 각각 절개된 형태의 레일 장착부에 상기 레일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장착부를 커버하도록 레일 커버 브라켓이 상기 도어 다이크에 설치되어 상기 발포제의 유입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커버 브라켓은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레일과 결합되고,
    상기 레일 커버 브라켓은 상기 내부 공간을 상기 충진재가 충진되는 제1 내부 공간 및 상기 레일 및 상기 레일 장착부가 구비되는 제2 내부 공간으로 격리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커버 브라켓의 외면에는 상기 충진재와의 결합 면적을 높이기 위하여 격자 리브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프레임에 롤러가 설치된 서포터가 결합되고, 상기 롤러는 상기 레일에 삽입되어 상기 무빙 프레임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롤러 개구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가 상기 롤러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기 무빙 프레임의 이동이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과 연결된 개구부가 바스켓 하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삽입홈보다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커버는 상기 도어 다이크의 후면까지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일측 단부는 상기 레일 결합 개구부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도어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서브도어로 형성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메인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아웃도어;
    상기 아웃도어의 후방에서 상기 메인도어의 후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개구부의 양측면을 각각 형성하는 제1평면과 제2평면 및 상기 개구부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제3평면, 그리고 상기 개구부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제4평면이 일체로 형성된 도어 다이크;
    상기 아웃도어와 상기 도어 다이크가 상호 결합한 내부 공간에 충진된 발포제;  
    상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연장 프레임이 상기 제1평면과 제2평면에 각각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에서 제 1 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 무빙 프레임;
    상기 제1평면과 제2평면에 각각 대향하는 양측면에 하향으로 개방된 삽입 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연장프레임이 삽입되어 상기 무빙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바스켓;
    상기 제1평면과 제2평면에 각각 함몰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레일 결합 개구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레일 결합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무빙 프레임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레일; 및
    상기 레일 결합 개구부를 각각 덮는 복수개의 결합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도어 다이크에 대하여 상기 제1평면 또는 제2평면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220049117A 2016-01-05 2022-04-20 냉장고 KR102585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117A KR102585501B1 (ko) 2016-01-05 2022-04-20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282A KR102391682B1 (ko) 2016-01-05 2016-01-05 냉장고
KR1020220049117A KR102585501B1 (ko) 2016-01-05 2022-04-20 냉장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282A Division KR102391682B1 (ko) 2016-01-05 2016-01-05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275A KR20220054275A (ko) 2022-05-02
KR102585501B1 true KR102585501B1 (ko) 2023-10-06

Family

ID=577145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282A KR102391682B1 (ko) 2016-01-05 2016-01-05 냉장고
KR1020220049117A KR102585501B1 (ko) 2016-01-05 2022-04-20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282A KR102391682B1 (ko) 2016-01-05 2016-01-05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47467B2 (ko)
EP (1) EP3190367B1 (ko)
KR (2) KR1023916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630B1 (ko) * 2013-06-14 2021-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627935B1 (ko) * 2014-10-22 201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396040B1 (ko) * 2016-01-05 202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723415B1 (ko) 2015-09-18 2017-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0495373B2 (en) * 2016-01-05 2019-12-0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2500293B1 (ko) * 2016-03-23 202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67513B1 (ko) * 2016-06-08 2023-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08253706A (zh) * 2016-12-29 2018-07-06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制冷器具
KR102445184B1 (ko) * 2017-07-21 2022-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45201B1 (ko) * 2018-01-16 2022-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22099B1 (ko) * 2018-05-08 2022-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00125305A (ko) * 2019-04-26 2020-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27913A (ko) * 2019-09-03 2021-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31694A1 (en) 2005-05-10 2010-02-1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Inner container for a refrigerating device
US20130081421A1 (en) 2011-10-04 2013-04-04 Hongsik Kwon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08907A (en) * 1933-08-08 1938-02-22 Walter A Frantz Attachment plug
US5388796A (en) * 1992-08-12 1995-02-14 Phoenix Display Corporation Standard and bracket support system
US5577823A (en) * 1995-07-21 1996-11-26 Whirlpool Corporation Lazy susan type pan/carriage assembly
KR100392393B1 (ko) * 2001-03-07 2003-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0700777B1 (ko) * 2005-03-02 200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바스켓 구동장치
AU2007268396B2 (en) * 2006-05-30 2011-02-03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preventing leakage of cooling air for refrigerator
GB0621246D0 (en) * 2006-10-25 2006-12-06 Uvps Environmental Solutions L Photocatalytic reactor
DE102007005951A1 (de) * 2007-02-06 2008-08-0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utterfach für ein Kältegerät
DE102008018008A1 (de) * 2008-04-09 2009-10-1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insbesondere Haushaltskältegerät, mit mehrteiliger Türschiene für einen Türabsteller
JP4710933B2 (ja) * 2008-07-09 2011-06-29 ソニー株式会社 学習装置、学習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052236B2 (en) 2009-01-15 2011-11-0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JP2010185628A (ja) 2009-02-13 2010-08-26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KR101310239B1 (ko) 2010-04-26 2013-09-23 주식회사 엘지화학 포스핀 그룹을 가지는 포스트 메탈로센형 전이금속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올레핀 중합체의 제조방법
US10976784B2 (en) * 2010-07-01 2021-04-13 Cox Communications, Inc. Mobile device user interface change based on motion
EP2410270B1 (en) * 2010-07-20 2022-09-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9429355B2 (en) * 2011-11-15 2016-08-3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EP2662650A3 (de) * 2012-05-08 2014-01-22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US9033437B2 (en) * 2013-03-15 2015-05-19 Whirlpool Corporation Slide assembly for refrigerator storage drawer
US20150026044A1 (en) * 2013-07-07 2015-01-22 Gaonic Ltd. Method, protocol and system for universal sensor communication
KR102238962B1 (ko) * 2014-01-07 2021-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이에 적용되는 도어 어셈블리, 그리고 도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
KR102332723B1 (ko) * 2014-03-11 2021-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9605891B2 (en) * 2014-03-11 2017-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102396040B1 (ko) * 2016-01-05 202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758284B1 (ko) * 2015-09-11 2017-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0495373B2 (en) * 2016-01-05 2019-12-0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1750543B1 (ko) * 2016-01-05 2017-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31694A1 (en) 2005-05-10 2010-02-1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Inner container for a refrigerating device
US20130081421A1 (en) 2011-10-04 2013-04-04 Hongsik Kwon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47467B2 (en) 2019-04-02
EP3190367A1 (en) 2017-07-12
US20170191741A1 (en) 2017-07-06
KR102391682B1 (ko) 2022-04-28
KR20220054275A (ko) 2022-05-02
EP3190367B1 (en) 2019-09-11
KR20170082089A (ko) 2017-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5501B1 (ko) 냉장고
KR102396040B1 (ko) 냉장고
KR101701860B1 (ko) 냉장고
KR101291206B1 (ko) 냉장고
KR102245370B1 (ko) 냉장고
US11112167B2 (en) Refrigerator
KR20120140392A (ko) 냉장고
KR100514910B1 (ko) 벽면매입형 냉장고
KR102285845B1 (ko) 냉장고
EP2893274B1 (e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00079754A (ko) 냉장고
KR102620275B1 (ko) 냉장고
KR101713324B1 (ko) 냉장고
KR102185718B1 (ko) 냉장고
US20230030975A1 (en) Refrigerator
KR100568214B1 (ko) 김치냉장고
JP2008261539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