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5307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5307A
KR20200125307A KR1020190049390A KR20190049390A KR20200125307A KR 20200125307 A KR20200125307 A KR 20200125307A KR 1020190049390 A KR1020190049390 A KR 1020190049390A KR 20190049390 A KR20190049390 A KR 20190049390A KR 20200125307 A KR20200125307 A KR 20200125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ovable member
housing
refrigerato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05983B1 (ko
Inventor
염태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9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05983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4939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705983B1/ko
Priority to EP20794485.1A priority patent/EP3961132B1/en
Priority to PCT/KR2020/005305 priority patent/WO2020218817A1/ko
Priority to US17/057,447 priority patent/US11435129B2/en
Publication of KR20200125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5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5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42For refrigerators or cold roo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38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using permanent 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38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using permanent magnets
    • E05B47/004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using permanent magnets the magnets acting directly on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17Locks with sliding bolt without provision for latc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6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7/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 E05C7/02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에 힌지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도어; 상기 제 1 도어에 대해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2 도어;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자성체; 및 상기 제 1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자성체와 상호 작용하며, 상기 제 1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도어와 상기 제 2 도어가 록킹 해제 상태가 되고, 상기 제 1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도어와 상기 제 2 도어가 록킹 상태가 되도록 하는 록킹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록킹 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축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자성체와의 인력에 의해서 일 방향 회전되고, 상기 인력이 제거되면 타 방향 회전될 수 있는 가동 부재와, 상기 가동 부재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가동 부재의 타 방향 회전 시 상기 제 1 도어를 관통하여 상기 제 2 도어의 록킹 홈에 수용되는 록킹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명세서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토출하여 고내의 온도를 저하시켜 음식물 등을 냉동시키거나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는 저장실로서 음식물 또는 음료를 얼려서 보관하는 냉동실과, 상기 음식물 또는 음료를 저온에서 보관하는 냉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는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된 탑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된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 그리고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Side By Side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 각각를 개폐하는 도어 들을 포함할 수 있어, 각 도어를 통하여 냉동실 또는 냉장실에 접근할 수 있다.
최근에는 저장실의 일부만 개방되도록 한 형태의 냉장고가 제공되고 있다. 즉, 메인 도어에 제공되는 서브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서브 도어가 구비되는 냉장고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서브 저장실은 메인 저장실의 일부 영역으로 메인 저장실과는 적어도 일부분 구획벽으로 구획되어 있다.
예를 들어, 자주 이용하는 음료수와 같은 저장물은 서브 저장실에 저장하여 메인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 서브 도어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서브 저장실에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2750호에는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고가 개시된다.
선행문헌의 냉장고는, 저장 공간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도어와, 상기 제1도어에 구비되는 도어 프레임과, 상기 제1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의 개구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에 구비되는 걸림부를 갖는 제2도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자성체와, 상기 제1도어에 대한 상기 제2도어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본체의 자성체와 대응되는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어의 개폐상태에 따라 상기 본체의 자성체와의 이격 거리가 달라짐에 따른 자력 변화에 의해서 서로 다른 변위를 갖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변위에 따라 상기 도어 프레임에서 돌출 길이가 달라지는 변위를 갖고, 상기 걸림부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제1도어의 개방 과정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제1도어에서 상기 이동부재의 수평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해야 하므로,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 방지를 위한 설계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걸림부재는 상기 이동부재가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이동부재 중에서 경사부에 걸림부재가 위치되므로, 이동부재가 수평 방향 이동하는 과정에서 걸림부재는 상하 방향 이동할 수 있다.
그런데, 이동부재의 수평 방향 이동 시 경사부에 의해서 방향 전환되므로, 이동부재의 단위 이동 길에 따른 걸림부재의 상하 이동 길이가 짧아, 걸림부재의 상하 이동 길이를 확보하기 위하여 이동부재의 이동 길이가 증가되어야 하는 단점이있다.
또한, 이동부재의 경사부에 의해서 걸림부재가 상하 이동하므로, 경사부에 의한 이동부재의 높이가 증가되어 잠금장치의 크기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동부재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되므로, 제1도어가 개방될 때 이동부재를 수평 방향 이동시키기 위하여 탄성부재가 추가로 구비되므로, 잠금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동부재의 경사부와 걸림부재가 선접촉 또는 면접촉 상태로 이동부재가 수평 방향 이동하고, 걸림부재가 상하 방향 이동하므로, 걸림부재와 이동부재 간에 마찰력이 작용하여, 이동부재와 걸림부재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한 단점이 있고, 지속적인 마찰에 의해서 이동부재 및/또는 걸림부재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본 실시 예는, 록킹 장치가 반복적으로 작동하여도 록킹 장치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는, 록킹 장치가 컴팩트해지면서도 가동 부재와 록킹 부재가 원활히 작동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는, 버튼 조작 과정에서 스위치를 가압할 때 발생되는 소음이 최소화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는, 별도의 외력 없이 제 1 도어의 개방 과정에서 록킹 부재가 자중에 의해서 하강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는, 제 1 도어의 개방 초기에 신속하게 록킹 장치가 록킹 해제 상태에서 록킹 상태로 작동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는, 제 1 도어 내부의 단열재 형성을 위한 발포액이 록킹 부재의 통로를 제공하는 관통홀을 통해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개폐하는 제 1 도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제 2 도어와 제 1 도어 간의 록킹 상태 또는 록킹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한 록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 장치는, 회전 동작하는 가동 부재와, 상기 가동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록킹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가동 부재의 회전 과정에서 록킹 부재와의 마찰이 최소화될 수 있어, 구성 요소 들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가동 부재는 회전 동작을 위한 회전축을 포함하며, 록킹 부재는 상기 가동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회전축의 반대편에서 가동 부재와 연결됨에 따라 가동 부재의 단위 회전 각도 당 록킹 부재의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본체에 구비되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자성체와 상호 작용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자성체와 상호 작용하는 수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체가 상기 회전축 보다 높게 위치되고, 가동 부재의 연결부가 회전축에서 최대한 멀게 위치됨에 따라서, 제 1 도어 개방 과정에서 가동 부재가 원활히 회전되고, 이에 따라서, 록킹 부재가 원활히 하강할 수 있다.
상기 록킹 장치는 상기 제 1 도어에서 상기 제 1 도어의 회전을 위한 힌지의 반대편 측에 위치될 수 있어, 제 1 도어의 개방 초기에 록킹 장치가 록킹 해제 상태에서 록킹 상태로 신속하게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는 인너 프레임과 아우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록킹 장치는 상기 인너 프레임에 안착 및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록킹 장치는, 상기 가동 부재와 록킹 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회전축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 1 바닥벽과, 상기 제 1 바닥벽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2 바닥벽을 포함할 수 있어, 가동 부재의 회전 과정에서 제 2 바닥벽과 가동 부재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회전축을 구비하는 가동 바디와, 상기 가동 부재에서 상기 자성체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록킹 부재와 연결되는 제 1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 부재는 상기 제 1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의 상하 및 좌우 폭은 상기 가동 바디의 상하 및 좌우 폭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회전축 보다 높은 위치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는 결합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결부를 상기 결합 슬롯에 수용되는 결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슬롯은 상기 가동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인너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록킹 부재가 통과하기 위한 제 1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인너 프레임에는 상기 제 1 개구와 정렬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인너 프레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너 프레임은 결합 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결합 보스를 수용하는 보스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보스가 상기 보스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스크류가 상기 보스 수용부의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결합 보스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인너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과 체결되기 위한 복수의 결합 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합 보스 사이에 상기 관통홀이 위치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의 일부는 상기 결합 보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인너 프레임은 테두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에는 제 1 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인너 프레임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고정부에 고정되는 제 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동 바디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제 2 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개구는, 상기 제 1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자성체를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상기 힌지를 커버하는 힌지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성체는 상기 힌지 커버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에 힌지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도어; 상기 제 1 도어에 대해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2 도어;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자성체; 및 상기 제 1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자성체와 상호 작용하며, 상기 제 1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도어와 상기 제 2 도어가 록킹 해제 상태가 되고, 상기 제 1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도어와 상기 제 2 도어가 록킹 상태가 되도록 하는 록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 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축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자성체와의 인력에 의해서 일 방향 회전되고, 상기 인력이 제거되면 타 방향 회전될 수 있는 가동 부재와, 상기 가동 부재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가동 부재의 타 방향 회전 시 상기 제 1 도어를 관통하여 상기 제 2 도어의 록킹 홈에 수용되는 록킹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가동 부재의 제 1 단부 측에 위치되고, 상기 록킹 부재는 상기 가동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 1 단부의 반대편인 제 2 단부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자성체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자성체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수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체는 상기 회전축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어, 상기 제 1 도어의 개방 과정에서 상기 수용체가 수용된 상기 가동 부재가 자중에 의해서 쉽게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제 1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자성체와 바라보도록 배치되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의 반대 면인 제 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체는 상기 제 2 면 보다 제 1 면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수용체는 상기 제 1 면에 접촉하고 상기 제 2 면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제 1 면과 제 2 면의 하측을 연결하는 하면과 상측을 연결하는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체는 상기 가동 부재의 하면 보다 상면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수용체는 상기 상면과 접촉하고 상기 하면과 이격되며,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하면과 이격된 상기 수용체를 지지하는 지지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가동 부재가 회전 동작하고, 록킹 부재가 가동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가동 부재와 록킹 부재 간의 마찰에 의해서 손상이 방지되고, 가동 부재와 록킹 부재가 원활히 작동할 수 있다.
또한, 가동 부재의 연결부가 힌지에서 최대한 멀게 위치됨에 따라 가동 부재의 단위 각도 당 록킹 부재의 상하 이동 길이가 증가되어 가동 부재나 록킹 부재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록킹 장치가 컴팩트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버튼부가 연성 재질로 형성되고, 버튼부의 가아부가 스위치를 가압하므로, 버튼 조작 과정에서 스위치를 가압할 때 발생되는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가동 부재에 수용되는 수용체가 회전축 보다 높게 위치되고, 가동 부재의 연결부가 회전축에서 최대한 멀게 위치됨에 따라서, 제 1 도어 개방 과정에서 가동 부재가 원활히 회전되고, 이에 따라서, 록킹 부재가 원활히 하강하여 록킹 홈에 수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록킹 장치가 제 1 도어의 힌지의 반대편에 위치되므로, 제 1 도어의 개방 초기에 록킹 장치가 록킹 해제 상태에서 록킹 상태로 신속하게 작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록킹 장치가 인너 프레임의 관통홀을 둘러싸도록 배치하므로, 발포액이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록킹 장치의 결합을 위한 결합 보스가 인너 프레임의 관통홀 주변에 위치되므로, 상기 결합 보스에 의해서 발포액이 관통홀 측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가 함께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제 2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도어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제 1 도어의 인너 프레임에 록킹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7 및 도 8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록킹 장치의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록킹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7의 11-11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2는 제 1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록킹 장치에 의한 제 1 도어와 제 2 도어의 록킹 해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제 1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록킹 장치에 의한 제 1 도어와 제 2 도어의 록킹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가 함께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제 2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복수의 저장실로 구분될 수 있으며, 복수의 도어(20)가 상기 복수의 저장실을 개폐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도어(20)는, 회전 동작하는 제 1 저장실 도어(21)와, 슬라이딩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제 2 저장실 도어(22, 2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도어(20)의 작동 방식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도 1에는 일 예로 제 1 저장실 도어(21)가 상측에 위치되고, 제 2 및 제 3 저장실 도어(22, 23)가 제 1 저장실 도어(21)의 하측에 위치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제 1 저장실 도어(21)는 일 예로 냉장실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은 영상의 온도로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 2 및 제 3 저장실 도어(22, 23)는 일 예로 냉동실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냉동실은 영하의 온도로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1 저장실 도어(21)가 냉동실을 개폐하는 것도 가능하고, 냉장고가 상기 제 1 저장실 도어(21) 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회전 동작될 수 있는 제 1 저장실 도어(21)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저장실 도어(21)는, 상기 캐비닛(10)에 힌지(13)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도어(30)와, 상기 제 1 도어(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도어(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30)는, 개구(30a)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도어(40)를 상기 개구(30a)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30)는, 도어 저장실(30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저장실(30e)은 상기 제 1 도어(30)에 결합되는 별도의 프레임에 의해서 형성되거나 도어 바스켓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2 도어(40)를 개방시키면 상기 개구(30a)를 통해 상기 도어 저장실(30e)에 접근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제 1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는 제 2 도어(40)가 상기 제 1 도어(3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제 1 도어(30)가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도어(40)가 상기 제 1 도어(30)에 대해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는 록킹 장치(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도어(40)가 개방될 수 있고, 상기 제 1 도어(30)가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도어(40)의 개방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40)는 일 예로 손잡이(4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손잡이(41)를 잡고 상기 제 2 도어(40)를 열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도어(30)에 대해서 상기 제 2 도어(40)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를 록킹 해제 상태라 할 수 있고, 상기 제 1 도어(30)에 대해서 상기 제 2 도어(40)의 회전이 제한되는 상태를 록킹 상태라 할 수 있다.
상기 록킹 장치(50)는 상기 제 1 도어(3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30)에 구비되는 록킹 장치(5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자력에 의해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에는, 상기 록킹 장치(50)와 상호 작용하는 자성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자성체(120)는 자석일 수 있다. 상기 자성체(120)는 상기 캐비닛(10)의 내측에서 상기 캐비닛(10)의 전면(10a)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120)는 상기 캐비닛(10)에서 상기 록킹 장치(50)를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힌지(13)를 커버하는 힌지 커버(12)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10)의 외측에서 상기 힌지 커버(12)에 상기 자성체(1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커버(12)는 일 예로 상기 캐비닛(10)의 상측에서 힌지(13)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힌지 커버(12)에서 상기 자성체(120)는 상기 록킹 장치(50)를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상기 자성체(12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록킹 장치(50)와 최대한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3O)에는 내부에 자석이 수용되는 가스켓(30b)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가스켓(30b)이 상기 캐비닛(10)의 전면(10a)과 접촉된다.
이때, 상기 자석에 의해서 상기 가스켓(30b)이 상기 캐비닛(10)의 전면(10a)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록킹 장치(50)는 자력에 의해서 제 1 상태(제 1 도어와 제 2 도어의 록킹 해제 상태)로 동작하고, 자력이 제거되면 제 2 상태(제 1 도어와 제 2 도어의 록킹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자성체(120)에 의한 자력에 의해서 상기 록킹 장치(50)가 상기 제 1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30)가 열리는 과정에서 상기 자성체(120)의 자력이 제거되어 상기 록킹 장치(50)가 상기 제 2 상태가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 1 도어(30)의 좌우 길이를 이등분하는 선(L1)을 기준으로 상기 록킹 장치(50)는 상기 힌지(13)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30)의 개방 과정에서 상기 제 1 도어(30)와 상기 캐비닛(10) 간의 간격은 상기 힌지(13)에서 멀수록 크다.
상기 록킹 장치(50)는 상기 제 1 도어(30)에 구비되고, 상기 자성체(120)는 상기 캐비닛(10)에 구비되므로, 상기 제 1 도어(30)의 개방 과정에서 상기 록킹 장치(50)가 신속하게 제 2 상태로 작동하도록, 상기 록킹 장치(50)는 상기 힌지(13)와 최대한 멀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록킹 장치(50)가 상기 힌지(13)와 최대한 멀게 위치되어야, 상기 제 1 도어(30)의 개방 초기에 상기 자성체(120)의 자력이 신속하게 제거되어 상기 록킹 장치(50)가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태로 신속하게 작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도어(30)는 상기 힌지(13)와 인접한 제 1 측면(30c)과, 상기 제 1 측면(30c)과 마주보며 상기 제 1 측면(30c)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 2 측면(30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 장치(50)는 상기 이등분선(L1) 보다 상기 제 2 측면(30d)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120)가 상기 캐비닛(10)의 상측에 위치되므로, 상기 자성체(120)와 상호 작용하기 위하여 상기 록킹 장치(50)는, 상기 제 1 도어(30)의 상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40)는 일 예로 상기 제 1 도어(30)의 개구(30a)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록킹 장치(50)는 상기 제 2 도어(40)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록킹 장치(50)에 의해서 상기 제 1 도어(30)와 제 2 도어(40)가 록킹 상태가 되기 위하여, 상기 제 2 도어(40)의 상면에는 상기 록킹 장치(50)의 일부가 수용되기 위한 록킹 홈(4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록킹 홈(42)이 상기 제 2 도어(40)의 상면에 위치되면 상기 제 2 도어(40)가 개방되더라도, 상기 록킹 홈(42)이 사용자 측으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록킹 장치(5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제 1 도어의 인너 프레임에 록킹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도어(30)는 개구(30a)를 형성하는 인너 프레임(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너 프레임(31)은 사각 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 장치(50)는 상기 인너 프레임(31)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인너 프레임(31)은 한 쌍의 측면부(310)와 상기 한 쌍의 측면부(310)의 상측을 연결하는 상면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 장치(50)는 상기 상면부(311)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인너 프레임(31)의 상면부(311)에는 상기 록킹 장치(50)의 결합을 위한 결합 보스(313, 3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록킹 장치(5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상기 상면부(311)에 복수의 결합 보스(313, 314)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합 보스(313, 314)는 상기 인너 프레임(31)의 상면부(311)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록킹 장치(50)는, 상기 복수의 결합 보스(313, 314)를 수용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체결 부재(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복수의 결합 보스(313, 314)에 체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록킹 장치(50)는 상기 상면부(311)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상면부(311)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록킹 장치(50)가 상기 상면부(311)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복수의 결합 보스(313, 314)가 상기 록킹 장치(5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는 상방에서 상기 록킹 장치(50)의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결합 보스(313, 314)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인너 프레임(31)은, 상기 상면부(31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테두리부(3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316)는 상기 상면부(311)의 전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316)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거나 1회 이상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는 일 예로 상기 테두리부(316)가 1회 이상 절곡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테두리부(316)에는 상기 록킹 장치(50)의 고정을 위한 제 1 고정부(3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부(317)는 상기 록킹 장치(50)가 상기 상면부(311)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록킹 장치(50)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상기 상면부(311)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록킹 장치(50)의 이동을 제한한다.
일 예로 한 쌍의 제 1 고정부(317)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각 제 1 고정부(317)는, "L"과 같이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제 1 고정부(317)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부분(317a)과, 한 쌍의 제 1 부분(317a)의 단부에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317b)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 1 고정부(317) 사이에 상기 록킹 장치(50)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 1 고정부(317)는 레일 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록킹 장치(50)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316)는, 상기 상면부(311)에서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316a)와, 상기 제 1 연장부(316a)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316b)와, 상기 제 2 연장부(316b)에서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연장부(316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 1 고정부(317)는 상기 제 2 연장부(316b) 및 제 3 연장부(316c)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한 쌍의 고정부(317)는 상기 제 2 연장부(316b) 및 제 3 연장부(316c)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317a)은 상기 제 3 연장부(316c)에서 돌출될 수 있고, 상기 제 2 부분(317b)은 상기 제 3 연장부(316c)와 대략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상기 각 제 1 고정부(317)의 제 2 부분(317b)은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 2 부분(317b)은 상기 제 3 연장부(316c)와도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부분(317b)과 상기 제 3 연장부(316c) 사이에 상기 록킹 장치(5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316)는 상기 제 1 고정부(317)에 고정되는 상기 록킹 장치(50)를 가압하는 가압 리브(3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 리브(318)는 일 예로 상기 제 3 연장부(316c)에서 돌출될 수 있다.
제조 과정에서 상기 록킹 장치(50) 및 상기 제 1 고정부(317)의 두께 및 길이 등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가압 리브(318)를 상기 테두리부(316)에 형성하는 경우, 제조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록킹 장치(50)가 상기 제 1 고정부(317)에 고정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30)는 상기 인너 프레임(31)의 외측에서 상기 인너 프레임(31)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아우터 프레임(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프레임(36)은 단일의 프레임거나 복수의 프레임의 결합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프레임(36)은 상기 인너 프레임(31)에 고정된 상기 록킹 장치(50)를 커버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아우터 프레임(36) 중에서 상부 프레임이 상기 록킹 장치(50)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프레임(36)에는, 상기 록킹 장치(50)의 위치를 가이드 하기 위한 위치 가이드 리브(36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 가이드 리브(362)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36)에 대한 상기 록킹 장치(50)의 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아우터 프레임(36)은, 상면부(360a)와, 상기 상면부(360a)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부(36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360b)는 상기 자성체(120)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절곡부(360b)는 상기 힌지 커버(12)의 전면 또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면(10a)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위치 가이드 리브(362)는 상기 절곡부(360b)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 가이드 리브(362)는 상기 록킹 장치(50)에서 후술할 가동 부재가 위치되는 부분을 둘러쌀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위치 가이드 리브(362)는 수평 연장부(362a)와 상기 수평 연장부(362a)의 양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수직 연장부(362b, 36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직 연장부(362b, 362c) 사이에 상기 록킹 장치(50)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수평 연장부(326a)는 상기 록킹 장치(50)에서 상기 가동 부재가 위치되는 부분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연장부(362b, 362c)의 상단은 상기 상면부(360a)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프레임(36)에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36)과 상기 인너 프레임(31) 사이 공간으로 단열재 형성을 위한 발포액을 주입하기 위한 홀(3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가이드 리브(362)는 상기 록킹 장치(50)의 일부를 둘러쌈으로써, 상기 발포액이 상기 록킹 장치(50)의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너 프레임(31)의 상면부(311)에는 상기 록킹 장치(50)가 록킹 상태가 되기 위하여 상기 록킹 장치(50)의 일부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31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312)은 일 예로, 상기 복수의 결합 보스(313, 31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록킹 장치(50)는 상기 인너 프레임(31)의 상면부(311)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312)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관통홀(312)의 주변에 복수의 결합 보스(313, 314)가 구비되므로, 발포액에 관통홀(312)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복수의 결합 보스(313, 314)가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록킹 장치(50)가 상기 관통홀(312)의 둘레를 둘러싸므로, 발포액이 상기 관통홀(312)를 통해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록킹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록킹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7의 11-11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록킹 장치(50)는, 하우징(5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10)은 상기 인너 프레임(3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록킹 장치(50)는, 상기 하우징(510)에 내에 수용되며 상기 자성체(120)과 상호 작용하여 이동하는 가동 유닛(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 유닛(530)은 복수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고, 일 부재는 상기 자성체(120)와의 자력의 유무에 의해서 동작하고, 다른 일 부재는 상기 제 2 도어(40)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동 유닛(530)은, 가동 부재(531)와, 록킹 부재(5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 부재(541)는 상기 가동 부재(531)와 직접 연결되거나 별도의 매개 부재에 의해서 가동 부재(531)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록킹 부재(514)와 상기 가동 부재(531)는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록킹 부재(541)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가동 부재(531)는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10)은 상기 록킹 부재(541)가 통과하기 위한 제 1 개구(51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510)은 상기 가동 부재(531)가 노출되기 위한 제 2 개구(5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개구(518)는 상기 제 1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자성체(120)를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개구(518)에 상기 가동 부재(531)가 위치되면 상기 자성체(120)와의 거리가 줄어들어 상기 자성체(120)의 자력의 영향이 최대화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510)의 두께가 줄어든 만큼, 상기 가동 부재(531)와 상기 자성체(120)의 거리가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제 1 개구(517)는 상기 인너 프레임(31)의 관통홀(312)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개구(517)가 상기 관통홀(312)과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510)이 상기 관통홀(312)의 둘레에 위치되어 발포액이 상기 관통홀(312)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하우징(510)은, 상기 가동 부재(53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하우징(5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개구(518)는 상기 제 1 하우징(511)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10)은, 상기 가동 부재(531)를 수용하고 상기 제 1 하우징(511) 보다 좌우 폭(도 7의 화살표 A 방향으로의 폭)이 작게 형성되는 제 2 하우징(5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하우징(512)은 상기 제 1 하우징(511)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10)은, 상기 제 2 하우징(512)에서 연장되며 상기 록킹 부재(541)를 수용하는 제 3 하우징(5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하우징(513)의 좌우 폭은 상기 제 2 하우징(512)의 좌우 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531)는 회전축(53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하우징(511)은 상기 회전축(533)이 결합되는 회전축 결합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 결합부(522)는 상기 회전축(533)이 수용되는 홀 또는 홈일 수 있다.
상기 회전축 결합부(522)는 상기 제 2 개구(518)와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 결합부(522)는 상기 제 1 하우징(511)에서 바닥벽(511a)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동 부재(531)에서 상기 회전축(533)은 상기 가동 부재(531)의 최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전축(533)의 배치에 의하면, 상기 록킹 장치(50)의 제 1 상태에서 상기 가동 부재(531)가 상기 자성체(120)와 최대한 가깝게 위치되는 것이 가능하면서, 상기 가동 부재(531)가 상기 제 2 개구(518)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록킹 해제 위치에서, 상기 가동 부재(531)가 상기 아우터 프레임(36)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533)은 상기 가동 부재(531)의 제 1 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록킹 부재(541)는 상기 가동 부재(531)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 1 단부의 반대 편에 위치되는 제 2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531)의 길이 방향은 상기 제 1 도어(30)의 전후 방향 또는 두께 방향이다(도 11의 B 방향 참조).
따라서, 상기 회전축(533)을 중심으로 상기 가동 부재(531)의 회전 시 단위 회전 각도당 상기 록킹 부재(541)의 상하 이동 거리가 길어지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가동 부재(531)의 길이를 줄여도 상기 록킹 부재(541)의 상하 이동 거리가 확보될 수 있으므로, 상기 록킹 장치(50)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록킹 장치(50)의 크기를 줄이는 경우 상기 록킹 장치(50)의 무게도 줄어들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록킹 장치(50)가 설치되는 상기 제 1 도어(30)의 무게도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511)의 상측벽(511d)은 수평을 유지하고, 상기 바닥벽(511a)의 일부는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511)의 바닥벽(511a)은, 상기 회전축(533)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 1 바닥벽(511b)과, 상기 제 1 바닥벽(511b)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2 바닥벽(511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닥벽(511b)은 실질적으로 수평면일 수 있다.
상기 회전축 결합부(522)는 상기 제 1 바닥벽(511b)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동 부재(531)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동 부재(531)의 하면(532d)이 상기 제 2 바닥벽(511c)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531)는, 가동 바디(532)와, 상기 가동 바디(532)에서 연장되는 연장부(535)와, 상기 연장부(535)에서 연장되는 제 1 연결부(5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535)는 상기 가동 바디(532)에서 상기 자성체(1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동 바디(532)는 일 예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533)은 상기 가동 바디(532)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회전축(533)은 상기 가동 바디(532)의 하면(532d) 전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동 바디(532)는 일 예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동 바디(532)가 상기 자성체(120)와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도어(30)가 닫히는 과정에서는 상기 가동 바디(532)와 상기 자성체(120) 간의 인력에 의해서 상기 가동 바디(532)의 제 1 면(532a)이 상기 자성체(120)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면(532a)은 상기 제 1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자성체(120)를 바라보는 면이다.
반면, 상기 제 1 도어(30)가 닫히는 과정에서는 상기 가동 바디(532)와 상기 자성체(120) 간의 인력이 제거되어 상기 가동 바디(532)의 제 1 면(532a)이 상기 자성체(1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가동 바디(532)는 일 예로 사출 성형될 수 있으며, 상기 자성체(120)가 상호 작용하는 수용체(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체(550)는 상기 자성체(120)과 다른 극을 가지는 자석이거나 상기 자성체(120)가 상호 작용하는 금속일 수 있다.
상기 가동 바디(532)의 일면은 개구되어 상기 가동 바디(532)에 수용 공간(534)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동 바디(532)의 양측면 중 일 측면이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30)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자성체(120)와 상기 수용체(550) 간의 인력이 증가되도록 상기 수용체(550)는 상기 가동 바디(532)에서 상기 제 1 면(532a)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30)가 개방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가동 부재(531)의 자중에 의해서 상기 가동 부재(531)가 회전될 수 있다(정 방향 회전이라 함). 반면, 상기 제 1 도어(30)가 닫히는 과정에서는 상기 자성체(120)와의 인력에 의해서 상기 가동 부재(531)가 회전된다(역 방향 회전이라 함).
만약, 상기 수용체(550)의 크기가 큰 경우 상기 가동 부재(531) 전체의 무게가 무거워지게 되어, 상기 가동 부재(531)의 정 방향 회전은 원활해지는 반면, 상기 가동 부재(531)의 역 방향 회전이 원활해지지 않거나 역 방향 회전이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동 부재(531)의 정 방향 및 역 방향 회전이 원활해지도록, 상기 수용체(550)는 상기 수용 공간(534)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수용체(550)는 상기 가동 부재(531)의 제 1 면(532a)과 접촉하고, 상기 제 1 면(532a)과 마주보는 제 2 면(532c)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수용체(550)의 전후 수평 길이(화살표 B 방향 길이)는 상기 제 1 면(532a)과 상기 제 2 면(532c) 간의 거리의 1/2 보다 길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531)는 상기 제 1 면(532a)과 상기 제 2 면(532c)의 하측을 연결하는 하면(532d)과 상측을 연결하는 상면(532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체(550)가 상기 가동 부재(531)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 부재(531)의 정 방향 회전이 원활해지도록, 상기 수용체(550)는 상기 가동 부재(531)의 하면(532d) 보다 상면(532b)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체(550)와 상기 회전축(533) 간의 거리가 길수록 모멘트가 커져 상기 가동 부재(531)의 정 방향 회전이 원활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수용체(550)는 상기 가동 부재(531)의 상면(532b)과 접촉하고, 상기 하면(532d)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수용체(550)가 상기 가동 부재(531)의 하면(532b)과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하면(532d)에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체(550)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 리브(534b)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체(550)가 상기 제 1 면(532a)에 접촉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 2 면(532c)에는 상기 수용체(550)와 접촉하는 접촉 리브(534a)가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접촉 리브(534a)는 상기 제 2 면(532c)에서 상기 제 1 면(532a)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535)는 상기 가동 부재(531)의 제 2 면(532a)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535)의 상하 및 좌우 폭은 상기 가동 바디(531)의 상하 및 좌우 폭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535)는 상기 제 2 하우징(51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535)는 상기 회전축(533) 보다 높은 위치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536)는 상기 연장부(535)의 단부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536)에 상기 록킹 부재(541)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록킹 부재(541)는 상기 제 3 하우징(513)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536)에 상기 록킹 부재(541)가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제 1 연결부(536)도 상기 제 3 하우징(513)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536)는 상기 록킹 부재(541)의 결합 돌기(544)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 슬롯(53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슬롯(537)은 상기 가동 부재(531)의 길이 방향(또는 전후 방향)(도 11의 화살표 B참조)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슬롯(537)은 상기 연장부(535)와 가깝게 위치되는 제 2 단부(537b)와 상기 제 2 단부(537b)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 1 단부(537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슬롯(537)에서 상기 제 1 단부(537a)와 상기 제 2 단부(537b) 간의 거리는 상기 결합 슬롯(537)의 높이 보다 크다.
상기 결합 돌기(544)는 상기 결합 슬롯(537)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단부(537a)와 상기 제 2 단부(537b) 사이에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록킹 부재(541)의 좌우 방향 폭은 상기 연장부(535) 및 상기 제 1 연결부(536)의 좌우 방향 폭(화살표 A 방향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 부재(541)는 상기 제 1 연결부(536)와 연결되기 위한 제 2 연결부(5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543)는 상기 록킹 부재(541)의 상면(541a)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543)에 상기 제 1 연결부(536)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연결부(543)와 상기 제 2 연결부(536)가 상기 록킹 부재(541)의 좌우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 2 연결부(536)의 좌우 폭은 상기 록킹 부재(541)의 좌우 폭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 2 연결부(543)의 좌우 폭은 대략 상기 록킹 부재(541)의 좌우 폭의 절반일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543)는 상기 록킹 부재(541)의 상면(541a)에서 좌측 단부 또는 우측 단부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543)에는 상기 결합 돌기(54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544)는 상기 제 2 연결부(543)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돌기(544)는 상기 록킹 부재(541)의 좌우 방향으로 상기 제 2 연결부(543)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544)는 상기 록킹 부재(541)의 상면(541a) 보다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상면(541a)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543)의 측방에서 상기 결합 돌기(544)의 연장 방향으로 상기 결합 돌기(544)가 상기 제 1 연결부(536)의 결합 슬롯(537)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536)와 상기 제 2 결합부(543)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 부재(531)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제 1 연결부(536)와 상기 록킹 부재(541)의 상면(541a)이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제 1 연결부(536)는 상기 록킹 부재(541)의 상면(541a)에서 상방으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하우징(513)의 좌우 폭이 상기 제 2 하우징(512)의 좌우 폭 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제 3 하우징(513)과 제 2 하우징(512)의 폭 크기 차이에 의해서 상기 제 3 하우징(513)은 상기 록킹 부재(541)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513a, 51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513a, 513b)는 상기 록킹 부재(541)의 일부를 수용하는 홈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3 하우징(513)은 상기 록킹 부재(541)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5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529)는 상기 가이드부(513a, 513b)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돌기(529)는 상기 록킹 부재(541)의 상하 이동 경로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529)와 간섭되지 않으면서 상기 가이드 돌기(529)에 의해서 상하 이동이 가이드되기 위하여 상기 록킹 부재(541)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529)가 수용되는 수용홈(546, 54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546, 547)은 상기 록킹 부재(541)의 길이 방향(상하 방향임)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 부재(541)의 하측에는 경사면(54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542)은 상기 제 2 도어(40)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록킹 부재(541)가 하강한 상태로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2 도어(40)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록킹 부재(54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록킹 부재(541)가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경사면(542)은 개방된 상기 제 2 도어(4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2 도어(40)가 닫히게 되면, 상기 제 2 도어(40)가 상기 경사면(542)과 접촉하게 되어 상기 경사면(542)을 가압하고, 이에 따라, 상기 록킹 부재(541)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록킹 부재(541)의 상승에 의해서 상기 록킹 부재(541)가 파손되지 않으면서도 상기 제 2 도어(40)가 닫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510)은, 일 예로, 두 개의 반 하우징(half housing)의 결합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우징(510)은, 제 1 반 하우징(520)과 상기 제 2 반 하우징(521)의 결합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반 하우징(520)은 상기 제 1 하우징(511), 제 2 하우징(512) 및 제 3 하우징(513)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반 하우징(521)은 상기 제 1 하우징(511), 제 2 하우징(512) 및 제 3 하우징(513)의 다른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반 하우징(520)과 상기 제 2 반 하우징(521)은 하나 이상의 스크류(S1, S2, S3)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반 하우징(520)은 제 1 결합부(525)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반 하우징(521)은 제 2 결합부(5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반 하우징(520)과 상기 제 2 반 하우징(521)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S1, S2, S3)가 상기 제 1 결합부(525) 및 제 2 결합부(526)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반 하우징(520)과 상기 제 2 반 하우징(521) 중 어느 하나에는 하우징 결합 돌기(523)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하우징 결합 돌기(523)가 수용되는 돌기 수용홈(52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반 하우징(520)과 상기 제 2 반 하우징(521)이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반 하우징(520)과 상기 제 2 반 하우징(521) 간의 틈새가 줄어들도록, 상기 제 1 반 하우징(521)은 테두리 리브(527)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반 하우징(521)은 상기 테두리 리브(527)가 위치되기 위한 테두리 홈(52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 리브(527)는 상기 제 1 반 하우징(52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 홈(528)은 상기 제 2 반 하우징(521)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테두리 리브(527)가 상기 테두리 홈(528)에 위치 및 접촉하게 되면, 상기 제 1 반 하우징(520)과 상기 제 2 반 하우징(521)은 두께 방향으로 포개어지게 되어 상기 제 1 반 하우징(520)과 상기 제 2 반 하우징(521) 간의 틈새가 최소화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반 하우징(520)과 상기 제 2 반하우징(521) 간의 틈새가 최소화되면, 발포액이 상기 하우징(510) 내부로 인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반 하우징(520, 521) 각각은 상기 각 결합 보스(313, 314)를 수용하기 위한 보스 수용부(5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스 수용부(515)는, 제 1 벽(515a)과, 상기 제 1 벽(515a)에서 전후단부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 2 벽(515b) 및 제 3 벽(515c)과, 상기 제 2 벽(515b)과 상기 제 3 벽(515c)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 4 벽(515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벽(515b)과 상기 제 3 벽(515c)는 도 8의 화살표 B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 2 벽(515b)과 상기 제 3 벽(515c) 사이에 상기 결합 보스(313, 314)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4 벽(515d)은 상기 결합 보스(313, 314)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 4 벽(515d)에는 체결 부재가 관통하기 위한 체결 홀(516)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4 벽(515d)의 상방에서 체결 부재가 상기 체결 홀(516)을 관통한 후에 상기 결합 보스(313, 31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10)은 상기 인너 프레임(31)의 상면부(311)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 벽(5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 벽(514)은 상기 각 반 하우징(520, 521)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일 례로, 상기 안착 벽(514)은 상기 보스 수용부(515)에서 전방 및 후방을 향하여 각각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착 벽(514)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510)과 상기 인너 프레임(31)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상기 하우징(510)이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상기 안착 벽(514)에 의해서 발포액이 상기 제 1 개구(517) 및 상기 관통홀(312) 측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10)은, 상기 제 1 고정부(317)에 고정되기 위한 제 2 고정부(5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부(519)는, 일 예로 상기 제 3 하우징(513)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반 하우징(520)은 상기 제 2 고정부(519)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반 하우징(521)은 상기 제 2 고정부(519)의 다른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제 2 고정부(519)는, 상기 제 3 하우징(513)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519a)와, 상기 수평 연장부(519a)의 단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519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 연장부(519b)는 상기 수평 연장부(519a)의 단부에서 상방 및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직 연장부(519b)의 양단부에서 이격된 위치에 상기 수평 연장부(519a)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연장부(519a)의 좌우 폭은 상기 수직 연장부(519b)의 좌우 폭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510)이 상기 인너 프레임(31)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수직 연장부(519b)는 상기 제 1 고정부(317)의 제 1 부분(317a)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수평 연장부(519a)는 상기 제 1 고정부(317)의 제 2 부분(317b)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압 리브(318)는 상기 수직 연장부(519b)를 가압할 수 있다.
도 12는 제 1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록킹 장치에 의한 제 1 도어와 제 2 도어의 록킹 해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제 1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록킹 장치에 의한 제 1 도어와 제 2 도어의 록킹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제 1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가동 부재(531)는 실질적으로 수평을 이룰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동 부재(531)의 제 1 면(532a)이 실질적으로 수직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수용체(55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자성체(120)를 바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자성체(120)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록킹 부재(541)의 하측 단부는 상기 제 2 도어(40)의 록킹 홈(42)에서 빠져있다.
또한, 상기 록킹 부재(541)의 하단부는 상기 인너 프레임(31)의 관통홀(312)에 위치되거나 상기 관통홀(312)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자성체(120)와의 자력에 의해서 상기 가동 부재(531)는 수평을 이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120)와 상기 수용체(550) 간의 인력은 상기 가동 부재(531)의 하중 및 상기 록킹 부재(541)의 하중의 합 보다 크므로, 상기 제 1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록킹 부재(541)가 자중에 의해서 하강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록킹 부재(541)의 결합 돌기(544)는 상기 결합 슬롯(537)에서 제 2 단부(537b) 보다 제 1 단부(537a)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연결부(536)는 상기 회전축(533)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가스켓(30b)에 의해서 상기 힌지 커버(12)와 상기 제 1 도어(30)가 제 1 간격(D1) 만큼 이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록킹 부재(541)의 하단부가 상기 록킹 홈(42)에서 빠져 있으므로, 상기 제 2 도어(40)가 개방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 1 도어(30)를 개방시키는 과정에서는 상기 힌지 커버(12)에서 상기 제 1 도어(30)가 멀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힌지 커버(12)와 상기 제 1 도어(30)의 간격이 제 2 간격(D2) 이상이 되면, 상기 자성체(120)와 상기 수용체(550) 간의 인력이 제거된다.
그러면, 상기 록킹 부재(541)의 하중 및 상기 가동 부재(531)의 하중에 의해서 상기 가동 부재(531)가 상기 회전축(533)을 중심으로 정 방향으로 회전(도 13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531)가 정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 1 연결부(536)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록킹 부재(541)는 하강하게 된다.
상기 록킹 부재(541)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 돌기(544)는 상기 결합 슬롯(537) 내에서 상기 제 2 단부(537b)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상기 록킹 부재(541)의 하강에 의해서 상기 록킹 부재(541)의 하단부는 상기 인너 프레임(31)의 관통홀(312)을 관통한 후에 상기 제 2 도어(40)의 록킹 홈(42)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도어(30)와 상기 제 2 도어(40)가 록킹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도어(30)와 상기 제 2 도어(40)가 록킹 상태가 되면, 상기 제 1 도어(30)에 대한 상기 제 2 도어(40)의 상대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개방된 제 1 도어(30)를 닫는 과정에서 상기 힌지 커버(12)와 상기 제 1 도어(30)의 간격이 제 2 간격(D2) 미만이 되면, 상기 자성체(120)와 상기 수용체(550) 간의 인력에 의해서 상기 가동 부재(531)가 역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가동 부재(531)의 역 방향 회전에 의해서 상기 록킹 부재(541)가 상승하게 되어 상기 록킹 부재(541)의 하단부가 상기 제 2 도어(40)의 록킹 홈(42)에서 빠지게 되어 상기 제 1 도어(30)와 상기 제 2 도어(40)가 록킹 해제 상태가 된다.
1: 냉장고 10: 캐비닛
30: 제 1 도어 40: 제 2 도어
42: 록킹 홈 50: 록킹 장치
510: 하우징 530: 가동 유닛
531: 가동 부재 541: 록킹 부재

Claims (23)

  1. 저장실을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에 힌지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도어;
    상기 제 1 도어에 대해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2 도어;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자성체; 및
    상기 제 1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자성체와 상호 작용하며, 상기 제 1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도어와 상기 제 2 도어가 록킹 해제 상태가 되고, 상기 제 1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도어와 상기 제 2 도어가 록킹 상태가 되도록 하는 록킹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 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축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자성체와의 인력에 의해서 일 방향 회전되고, 상기 자성체와의 인력이 제거되면 타 방향 회전될 수 있는 가동 부재와,
    상기 가동 부재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가동 부재의 타 방향 회전 시 상기 제 1 도어를 관통하여 상기 제 2 도어의 록킹 홈에 수용되는 록킹 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가동 부재의 제 1 단부 측에 위치되고,
    상기 록킹 부재는 상기 가동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 1 단부의 반대편인 제 2 단부 측에 연결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자성체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냉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자성체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수용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체는 상기 회전축 보다 높게 위치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제 1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자성체와 바라보도록 배치되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의 반대 면인 제 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체는 상기 제 2 면 보다 제 1 면에 가깝게 위치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는 상기 제 1 면에 접촉하고 상기 제 2 면과 이격되는 냉장고.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제 1 면과 제 2 면의 하측을 연결하는 하면과 상측을 연결하는 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체는 상기 가동 부재의 하면 보다 상면에 가깝게 위치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는 상기 상면과 접촉하고 상기 하면과 이격되며,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하면과 이격된 상기 수용체를 지지하는 지지 리브를 포함하는 냉장고.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회전축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 1 바닥벽과,
    상기 제 1 바닥벽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2 바닥벽을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회전축을 구비하는 가동 바디와,
    상기 가동 부재에서 상기 자성체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록킹 부재와 연결되는 제 1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 부재는 상기 제 1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상하 및 좌우 폭은 상기 가동 바디의 상하 및 좌우 폭 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 보다 높은 위치에서 연장되는 냉장고.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는 결합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결부를 상기 결합 슬롯에 수용되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슬롯은 상기 가동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냉장고.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록킹 부재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록킹 부재의 좌우 폭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2 연결부의 측방에서 상기 제 2 연결부에 연결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가 상기 제 2 연결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록킹 부재의 상면에서 이격되는 냉장고.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어는 개구를 형성하는 인너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도어를 상기 개구를 커버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인너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록킹 부재가 통과하기 위한 제 1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인너 프레임에는 상기 제 1 개구와 정렬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인너 프레임에 안착되며, 상기 관통홀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프레임은 결합 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결합 보스를 수용하는 보스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보스가 상기 보스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스크류가 상기 보스 수용부의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결합 보스에 체결되는 냉장고.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과 체결되기 위한 복수의 결합 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결합 보스 사이에 상기 관통홀이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부는 상기 복수의 결합 보스 사이에 위치되는 냉장고.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프레임은 테두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에는 제 1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인너 프레임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고정부에 고정되는 제 2 고정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동 바디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제 2 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개구는, 상기 제 1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자성체를 바라보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힌지를 커버하는 힌지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성체는 상기 힌지 커버에 설치되는 냉장고.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장치는, 상기 제 1 도어의 좌우 길이를 이등분하는 선(L1)을 기준으로 상기 힌지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냉장고.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어는, 상기 힌지와 인접한 제 1 측면과, 상기 제 1 측면과 마주보며 상기 제 1 측면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 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록킹 장치는 상기 이등분선 보다 상기 제 2 측면에 가깝게 위치되는 냉장고.
KR1020190049390A 2019-04-26 2019-04-26 냉장고 KR102705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390A KR102705983B1 (ko) 2019-04-26 냉장고
EP20794485.1A EP3961132B1 (en) 2019-04-26 2020-04-22 Refrigerator
PCT/KR2020/005305 WO2020218817A1 (ko) 2019-04-26 2020-04-22 냉장고
US17/057,447 US11435129B2 (en) 2019-04-26 2020-04-22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390A KR102705983B1 (ko) 2019-04-26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307A true KR20200125307A (ko) 2020-11-04
KR102705983B1 KR102705983B1 (ko) 2024-09-12

Family

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18817A1 (ko) 2020-10-29
US20210364221A1 (en) 2021-11-25
US11435129B2 (en) 2022-09-06
EP3961132A4 (en) 2023-01-25
EP3961132B1 (en) 2024-02-21
EP3961132A1 (en) 2022-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2577B1 (ko) 냉장고
KR102322978B1 (ko) 냉장고
US11768027B2 (en) Refrigerator
EP3961132A1 (en) Refrigerator
US20180202706A1 (en) Refrigerator
KR102396040B1 (ko) 냉장고
KR102391682B1 (ko) 냉장고
US20200300537A1 (en) Refrigerator
US7748804B2 (en) Drawer type receiving device of a refrigerator
US10197327B2 (en) Refrigerator and basket assembly thereof
KR20190010272A (ko)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KR200459216Y1 (ko) 냉장고
KR102705983B1 (ko) 냉장고
KR20210123087A (ko) 냉장고
KR101803625B1 (ko) 냉장고
US20230204282A1 (en) Refrigerator
KR101988306B1 (ko) 냉장고
EP4296596A1 (en) Refrigerator
KR101988308B1 (ko) 냉장고
JPH0519890U (ja) 貯蔵庫
KR19990029399U (ko) 냉장고의 업다운 도어 회동구조
KR20130087324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