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5886A -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에 사용하기 위한 로크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에 사용하기 위한 로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5886A
KR20060135886A KR1020067021415A KR20067021415A KR20060135886A KR 20060135886 A KR20060135886 A KR 20060135886A KR 1020067021415 A KR1020067021415 A KR 1020067021415A KR 20067021415 A KR20067021415 A KR 20067021415A KR 20060135886 A KR20060135886 A KR 20060135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vehicle
locking
locks
driv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1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르드 부쉬만
Original Assignee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060135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58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20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for assisting final closing or for initiating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bolt detents, e.g. for unlatching the bolt
    • E05B81/15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bolt detents, e.g. for unlatching the bolt with means preventing the detent to return to its latching position before the bolt has moved to the unlatched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20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for assisting final closing or for initiating opening
    • E05B81/21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for assisting final closing or for initiating opening with means preventing or detecting pinching of objects or body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889For automotive vehicle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비 걸림 위치(pre-catch position)(12) 및 멈춤쇠(30)에 의해 고정되는 주 걸림 위치(main catch position)(11)를 가진 회전 래치(10)를 구비한 로크에 관한 것이다. 동시에 움직일 수 있는 2개의 구동 부재(50, 60), 즉 잠금 부재(50)와 개방 부재(60)에 의한 도어의 폐쇄 또는 개방시 모터 구동식 폐쇄/개방 복합 보조 장치에 의해 편리함이 증가될 수 있다. 로크의 공간 절약형 구조를 위해, 상기 두 구동 부재(50, 60)가 하나의 공통 구동 휠(40)에 축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또한, 잠금 부재(50)는 개방 부재(60)에 대하여 서로 축방향으로 엇갈리게 놓인 2개의 평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잠금 부재(50)의 평면에는 회전 래치(10)에 제공된 캐리어(14)도 배치되는 반면, 멈춤쇠(20)는 개방 부재의 평면에 배치된 릴리스 핑거(23)를 갖는다. 개방 부재(60)는 구동 휠(40) 내에 스프링 가압식으로 수용되어, 안으로 눌려진 위치와 밖으로 배출된 위치 사이를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에 사용하기 위한 로크{LOCK, IN PARTICULAR FOR AUTOMOTIVE DOORS, FLAPS OR THE LIKE}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제시된 유형의 로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제공된 모터 구동식 폐쇄/개방 복합 보조 장치가 도어의 폐쇄 및 개방을 더욱 편리하게 한다. 제어 장치를 통해서 모터를 이용하여 트랜스미션이 작동 방향 및 역 작동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트랜스미션은 2개의 구동 부재를 가지며, 상기 두 구동 부재 중 하나는 폐쇄 보조 장치로서 작용하고, 다른 하나는 개방 보재 장치로서 작용하므로, 하기에서는 각각 "잠금 부재" 및 "개방 부재"로 지칭한다. 상기 두 구동 부재는 지속적으로 트랜스미션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동시에 움직인다.
공지되어 있는 상기 유형의 로크(DE 101 33 092 A1)의 경우, 두 구동 부재는 작동시 항상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서로 분리된 구동 휠을 필요로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공간이 많이 소요된다. 2개의 구동 휠은 충분히 크게 설계되어야 하며, 각각의 구동 휠에 구동 부재들이 서로 회전방향으로 엇갈리게 장착됨으로써 상기 구동 부재들의 운동 경로가 겹치지 않아야 한다. 잠금 과정 및 개방 과정이 실시된 후에는 두 구동 부재가 모터에 의해 그들 각각의 최단 위치로부터 다시 중간 위치로 되돌아가는데, 이는 제어를 더 복잡하게 할 뿐 아니라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 절약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청구항 1의 전제부에 언급된 유형의 신뢰성 있는 로크를 고안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에 언급된 조치들을 통해 달성되며, 상기 조치들이 갖는 의미를 하기에 설명한다.
2개의 구동 부재를 배치하기 위해, 상기 부재들이 공동으로 장착되는 단일 구동 휠을 사용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따라서 지금까지 필요했던 제 2 구동 휠이 절약되고, 그만큼의 공간이 생긴다. 구동 휠의 회전시 두 구동 부재의 운동 경로가 교차하여도,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문제가 되지 않는다.
잠금 과정을 유발하는 잠금 부재는 로크 내에서 "잠금 평면"으로 칭해지는 제 1 회전 평면에 놓이는 반면, 개방 과정을 유발하는 개방 부재는 상기 제 1 회전 평면에 대해 축방향으로 엇갈리게 놓인, "개방 평면"으로 불리는 제 2 회전 평면에 놓인다. 잠금 부재의 경우 회전 래치가 잠금 평면에 배치된 캐리어를 갖는다. 캐리어는 회전 래치의 개방 상태에서는 잠금 부재의 회전 경로 밖에 놓이지만, 회전 래치의 예비 걸림 위치 및 주 걸림 위치에서는 잠금 부재의 회전 경로 내에 놓인다. 멈춤쇠는 개방 평면에 배치된, 개방 부재용 릴리스 핑거를 갖는다. 개방 부재는 구동 휠 내에 스프링 가압식으로 수용되며, 자신의 탄성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릴리스 핑거에 대해 조정된다. 릴리스 핑거가 개방 부재를 누르면, 상기 개방 부재는 안으로 눌린 위치(작용하지 않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릴리스 핑거가 개방 부재를 릴리스시키면, 상기 개방 부재는 밖으로 배출된 위치(작용하는 위치)로 움 직인다. 그럼으로써 공통의 구동 휠이 사용되어도 작동 간섭이 일어날 수 없다. 로크는 계속해서 신뢰성 있게 작동한다.
공통 구동 휠의 제어시 운동 전환점들이 양쪽 최종 지점으로 옮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가 열리면 구동 휠은 한쪽 최종 지점에 놓이고, 그렇기 때문에 이 위치를 "열림 최종 지점"이라고 칭한다. 상기 열림 최종 지점에서 시작하여 구동 휠이 주행 방향으로 구동되면, 상기 구동 휠은 결국 도어 폐쇄시의 다른 최종 지점에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이 두 번째 최종 지점을 "잠금 최종 지점"이라고 칭한다. 상기 두 최종 지점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모터에 의한 구동만 차단하면 되고, 그에 이어서 제어 장치가 상기 두 최종 지점에서 모터에 의한 구동 휠의 회전 및 역회전을 저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조치들과 장점들은 종속 청구항, 하기의 실시예 및 도면을 통해 제시된다. 도면에는 본 발명이 하나의 실시예로서뿐만 아니라 다양한 구동 단계 및 구동예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1a는 회전 래치가 개방 위치에 있을 경우의 로크의 전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와 동일한 구동 단계에 있는 로크의 후면도이다.
도 2는 로크의 주요 구성 부품들의 사시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로크의 한 구성 부품, 즉 캠 플레이트를 도 2의 화살표(III) 방향으로 관찰한 사시도이다.
도 4a+4b는 도 1a 및 도 1b와 유사한 로크의 전면도 및 후면도로서, 여기서 상기 로크가 장착된 차량 트렁크 리드는 회전 래치가 예비 걸림 위치에 도달할 정 도로 폐쇄되어 있다.
도 5a+5b는 로크의 후속 작동 단계의 전면도 및 후면도로서, 여기서는 모터에 의해 구동 휠이 처음의 열림 최종 지점으로부터 작동 방향으로 약간 회전하였다.
도 6a+6b는 구동 휠이 자신의 다른 잠금 최종 지점으로 넘어가 그곳에 멈춰진 작동 단계에 있는 로크의 전면도 및 후면도로서, 여기서는 회전 래치가 주 걸림 위치로 진입되어 있다.
도 7a+7b는 구동 휠이, 소위 "적설 하중(snow load) 상황"에서, 다시 열림 최종 지점으로 역회전한 후의 로크의 전면도 및 후면도로서, 여기서는 회전 래치가 스프링 하중을 받아서가 아니라 회전 래치의 빙결로 인해 또는 트렁크 리드에 작용하는 적설 하중으로 인해 회전 래치가 다시 개방 위치로 이동되었고, 멈춤쇠로부터 릴리스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로크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차량 트렁크 리드에 장착된다. 그러한 로크는 물론 도어에도 고정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서 트렁크 리드는 개방된 상태에 있다. 도 1a의 전면도에만 도시되어 있고, 도 1b의 후면도에는 보이지 않는 하우징(19) 내에 회전축(18) 상에 회전 래치(10)가 장착되어 있다. 회전 래치(10)에는 화살표(32)로 표시된 스프링 하중이 가해지고 있다. 리드가 열리면, 회전 래치(10)는 스프링 하중(32)에 의해 보조선(10.1)으로 표시된 개방 위치에 머무른다.
회전 래치(10)는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차체(33)에 고정 장착된 로킹 섀클 (locking shackle)(30)을 위한 수용부(11)를 갖는다. 도면에서는 섀클 아암이 잘려있기 때문에, 빗금으로 강조된 섀클 릿지(shackle ridge)(31)를 볼 수 있다. 트렁크 리드가 열린 경우, 상기 섀클 릿지(31)는 로크로부터 떨어져 있다. 트렁크 리드가 도 1a의 화살표(34) 방향으로 닫히면, 섀클 릿지(31)가 수용부(11) 내로 이동하고 래치(10)가 도 4a 및 도 4b에 보조선(10.2)으로 도시된 예비 걸림 위치까지 회전하며, 상기 예비 걸림 위치는 멈춤쇠(20)에 의해 정해진다.
도 1a에 도시된 것처럼, 멈춤쇠(20)는 하우징(19) 내 "29"의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의 작용을 받는다. 스프링은 힘 화살표(22)로 표시된 스프링 하중을 멈춤쇠(20)에 가한다. 멈춤쇠(20)는 로킹 지점(21) 외에 자신의 연장부에 배치된 릴리스 핑거(23)도 구비하며 상기 릴리스 핑거는 도 1a 및 도 1b의 개방 위치(10.1)에서 단일 구동 휠(40)의 (더 상세히 기술될) 구동 부재(50)에 지지된다. 이때, 멈춤쇠(20)는 도 1a 및 도 1b에 보조선(20.1)으로 도시된 로킹 준비 위치에 존재한다. 회전 래치(10)의 개방 위치(10.1)는 상기 회전 래치(10)에 배치된 캐리어(14)가 멈춤쇠(20)의 쇼울더(24)에 지지됨으로써 규정된다. 도 2에 가장 잘 나타나 있듯이, 멈춤쇠의 로킹 섹션(21)은 멈춤쇠 쇼울더(24)의 내측 단부에 의해 형성된다.
도 4a 및 도 4b의 예비 걸림 위치(10.2)에서는 로킹 섹션(21)이 회전 래치(20) 내에 제공된 예비 걸림 섹션(12)과 맞물린다. 이때 회전 래치(10)의 수용부(11)를 제한하는 클로(claw)가 (수용부 내로) 진입된 섀클(30)의 섀클 릿지(31)와 맞물린다. 이처럼 섀클(30)이 회전 래치(10)에 맞물려도 트렁크 리드와 차체(33) 사이에 아직 갭이 존재한다. 이어서 이 갭까지도 막히게 되는데, 이는 폐쇄/개방 복합 보조 장치에 의해 모터 구동 방식으로 실시된다.
본 발명에서는 폐쇄 및 개방 보조 장치가 구동 휠(40)에 통합되고, 상기 구동 휠(40)은 더 상세히 기술될 2개의 디스크(41, 42)로 형성된다. 이는 도 2의 분해도에 가장 잘 나타나 있다. 구동 휠(40)은 컴팩트한 구조물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2개의 디스크(41, 42)는 항상 동일 형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별도의 조치 없이도 상호 연관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상기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며, 이 설명은 도시된 실시예, 즉 서로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2개의 디스크(41, 42)가 사용되는 실시예에도 적용된다. 상기 개별 운동에 대해서는 추후에 더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폐쇄 및 개방 보조 장치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모터 및 트랜스미션을 포함하며, 상기 트랜스미션의 단부에는 구동 휠(40)이 장착된다. 회전 래치의 개방 위치(10.1) 및 예비 걸림 위치(10.2)에서는 구동 휠(40)이 자신의 최종 지점에 놓이며, 상기 최종 지점은 보조선 "40.1"로 표시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따른 상기 최종 지점(40.1)은 도어가 열린 경우에 존재하므로, "열림 최종 지점"이라고 칭한다. 구동 휠(40) 내에는 2개의 구동 부재(50, 60)가 통합되며, 상기 두 구동 부재 중 제 1 부재(50)는 잠금 동작시 작용하기 때문에 "잠금 부재(closing element)"라고 칭한다. 센서가 도 4a 및 도 4b의 예비 걸림 위치를 검출하면,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제어 장치에 의해 모터가 한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고, 그로 인해 구동 휠이 도 5a 및 도 5b에 회전 화살표(44)로 표시된 작동 방향으로 회 전한다.
잠금 동작을 규정하는 제 1 구동 부재(50)를 "잠금 부재"라고 칭하는 반면, 개방 동작에 사용되는 제 2 구동 부재(60)는 "개방 부재"라고 칭한다. 잠금 부재(50)는 이미 언급한 구동 휠(40)의 한쪽 디스크(41)에 할당되고, 상기 디스크의 배면에 돌출되어 있는 캠으로 형성되며, 상기 캠을 "로킹 캠"이라고 칭한다. 같은 이유에서 상기 디스크(41)를 "캠 디스크"라고 칭한다. 상기 로킹 캠(50)은 양쪽 디스크(41, 42)의 고유 회전 평면 밖에 존재하며, 이미 언급한 예비 걸림 섹션(12)뿐만 아니라 캐리어 투스(carrier tooth)(14) 및 (추후 기술할) 주 걸림 섹션(13)이 속하는, 회전 래치(10)의 윤곽 부분들과 동일한 평면에 놓인다. 도 5b에는 구동 휠(40)이 회전(44)하는 동안의 로킹 캠(50)의 회전 경로(51)가 화살표(51)로 표시되어 있다. 도 1b의 개방 위치(10.1)에서는 캐리어 투스(14)가 아직 상기 도 1b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로킹 캠(50)의 회전 경로(51) 밖에 존재하는 반면, 도 4b에서는 캐리어 투스(14)가 회전 경로(51) 안으로 진입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44)시,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로킹 캠(50)이 캐리어 투스(14)에 부딪친다. 그로 인해 회전 래치(10)가 종동하고, 상기 회전 래치의 스프링 하중(32)에 대하여 도 5b의 운동 화살표(15) 방향으로 피벗팅한다.
구동 휠(40)이 도 6a 및 6b에 보조선(40.2)으로 도시된 다른 최종 지점에 도달하면 모터가 멈춘다. 상기 최종 지점(40.2)에는, 멈춤쇠가 그의 로킹 섹션(21)에 의해 회전 래치(20)의 주 걸림 섹션(10.3) 뒤로 진입함에 따라 도달된다. 그러면 리드가 닫힌다. 그러므로 상기 최종 지점(10.2)을 "잠금 최종 지점"이라고 칭 한다. 이 경우, 폐쇄 섀클(30)의 섀클 릿지(31)는 로크 안으로 깊숙이 삽입되어 래치(10)에 의해 고정된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주 걸림 섹션(13), 예비 걸림 섹션(12) 및 캐리어 투스(14)에는 회전 래치(10)의 윤곽 내 형상이 각각 할당된다. 잠금 최종 지점(40.2)에서는 모터가 멈춘다. 이는 모터의 구동 방향에 있는 엔드스톱(end stop)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잠금 최종 지점(40.2)을 검출하여 제어 장치를 통해 모터를 멈추는 센서도 사용될 수 있다.
구동 휠(40)에 존재하는 제 2 구동 부재, 즉 개방 부재(60)는 로크 내에서 잠금 부재(50)에 대해 축방향으로 엇갈리게 놓인 제 2 회전 평면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회전 평면을 "개방 평면"이라고 칭한다. 잠금 평면과 개방 평면 사이의 축방향 엇배치는 도 2에 도시된 멈춤쇠(20)를 통해 가장 잘 나타나 있다. 멈춤쇠의 로킹 섹션(21)은 회전 래치(10)의 잠금 평면 내에 배치되는 반면, 멈춤쇠의 릴리스 핑거(23)는 축방향으로 변위되어 개방 평면 내에 놓이며, 상기 개방 평면 내에는 개방 부재(60)도 존재한다. 여기서 개방 부재(60)는 도 2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채널(35) 내에 수용되어 그 안에서 세로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슬라이더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채널(35)은 여기서 제 2 디스크(42) 내에 거의 직경 방향으로 뻗으며, 상기 제 2 디스크는 결과적으로 "슬라이더 디스크"라고 칭한다. 슬라이더(60)는 도 2에 도시된 스프링(62)의 작용을 받으며, 상기 스프링은, 도 5a에 도시된 것처럼, 슬라이더 단부(61)를 슬라이더 디스크(42)의 윤곽(36) 위로 밀어내려고 한다. 이때, 보조선 "61.1"로 표시된, 슬라이더 단부(61)의 배출 위치가 제공된다.
도 1a 및 도 4b의 구동 휠의 열림 최종 지점(40.1)에서는 슬라이더 단부(61)가 멈춤쇠(20)의 릴리스 핑거(23)와 정렬된다. 이때, 릴리스 핑거(23)가 슬라이더(60)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슬라이더(60)가 보조선 "61.2"로 표시된 삽입 위치로 눌려진다. 앞서 언급한 모터 구동에 의한 구동 휠(40)의 회전(44)시 슬라이더 단부(61)가 릴리스 핑거(23)로부터 떨어지고, 이때 상기 릴리스 핑거는 전술한 슬라이더 디스크(42)의 윤곽(36)에, 더 정확히 말하면 도 2에 "37"로 표시된 지지 구역(37)에 지지된다. 도 2에 도시된 스프링(62)은 도 5a에 힘 화살표(63)로 표시된 탄성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탄성력은 슬라이더(60)를 다시 그의 배출 위치(61.1)로 밀어낸다. 출발 위치(61.1)에서 슬라이더 단부(61)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엔드 스톱들에 의해 소정의 부분만큼 밖으로 튀어나온다.
도 5a에서는, 전술한 것처럼, 회전 래치(10)가 아직 예비 걸림 위치(10.2)에 있다. 폐쇄 섀클(30)이 아직 충분한 깊이로 삽입되지 않았기 때문에, 차체(33)와 트렁크 리드 사이에 여전히 갭이 존재한다. 이 경우, 예컨대 상기 갭 내에 이물질이 낄 위험이 있기 때문에 구동 휠(40)의 회전(44)이 멈춰져야 하는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모터의 역회전에 의해 로크가 신속하게 다시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모터의 역회전시 구동 휠(40) 및 슬라이더 디스크(42)는 도 5a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운동 화살표(45)에 따라 진행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생성되는 배출된 슬라이더 단부(61)의 회전 경로가 도 5a에 일점쇄선으로 그려진 회전 화살표(38)로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역회전시 슬라이더 단부(61)의 측면이 릴리스 핑거(23)에 부딪침으로써, 멈춤쇠(20)의 로킹 섹션(21)이 회전 래치(10)의 예비 걸림 섹션(12)으로부터 상승한다. 이때, 회전 래치(10)는 스프링 탄성(32)에 의해 자동으로 다시 도 1a의 개방 위치로 움직인다. 이러한 방식으로 슬라이더(60)가 트렁크 리드의 개방 부재로서 작용한다.
도 7a 및 도 7b는, 이미 설명한 것처럼, 멈춤쇠(20)가 보조선(20.2)으로 표시된 릴리스 위치(이 위치에서는 로킹 섹션(21)이 주 걸림 섹션(13) 및 예비 걸림 섹션(12)의 회전 래치 윤곽 밖에 존재함)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회전 래치(10)를 상기 도 7a 및 도 7b의 주 걸림 위치(10.3)로부터 도 1a 및 도 1b의 개방 위치(10.1)로 이동시키기에 복원력(32)이 충분치 않은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로크가 아무런 방해 없이 작동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상황에서도 로크의 작동이 가능한 원인에는, 이미 설명하였듯이, 회전 래치(10)의 결빙 또는 트렁크 리드에 가해진 적설 하중이 있을 수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작동 상황을 일반적으로 "적설 하중 상황"이라고 칭한다.
이러한 적설 하중 상황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구동 휠(40)을 이미 설명한 2개의 디스크(41, 42)로 형성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두 디스크(41, 42)가 서로에 대해 제한적으로 회전 운동을 하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구동 휠(40)용 회전 구동기는 슬라이더 디스크(42)에 맞물린다. 이를 위해, 도 1a 및 도 7a에 도시된 것처럼, 슬라이더 디스크(42)의 둘레에 투스 세그먼트(39)가 제공된다. 슬라이더 디스크(42)의 회전은 특수 커플링에 의해 캠 디스크(41)로 전달되는데, 상기 특수 커플링의 구조는 도 1b 및 도 2를 참고하여 가장 잘 기술될 수 있다.
커플링은 핀(17) 및 링 세그먼트(ring segment)형 슬롯(47)으로 이루어진 특 수한 회전 가이드로 형성된다. 핀(17)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슬라이더 디스크(42)의 내부면(16)에 장착되고, 상기 내부면(16)은 캠 디스크(41)의 유사한 내부면(26)을 향해 있다. 따라서 핀(17)이 링형 슬롯(47)에 맞물린다. 상기 두 디스크(41, 42) 사이에 배치된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회전 스프링이 상기 핀(17)을 도 1b에 도시된, 슬롯(47)의 한쪽 슬롯 단부로부터 형성된 제 1 회전 스톱(48)에 고정시킨다. 슬라이더 디스크(42)가 도 5a에 따라 회전(44)하면,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 1 회전 스톱(48)에 접촉된 핀(47)을 통해 상기 회전(44)이 캠 디스크(41)에까지 전달된다. 이러한 상태는 구동 휠(40)이 도 6a 및 6b에 도시된 잠금 최종 지점(40.2)에 도달할 때까지 지속된다. 상기 두 디스크(41, 42)가 서로 합일되어 운동하는 한, 이들은 마치 일체로 이루어진 것처럼 작용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하기의 이유에서 상기 두 디스크(41, 42)의 제한된 회전 운동성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잠금 최종 지점(40.2)에서는, 도 6b에 도시된 것처럼, 로킹 캠(50)이 구동 휠(40)에 의해 캐리어 투스(14)의 투스 끝(25) 너머까지 움직인다. 로킹 캠(50)의 전방 단부(52)뿐만 아니라 후방 단부(53)도 캐리어 투스(14)의 투스 끝(25)을 넘어선 곳에 위치한다. 로킹 캠(50)은 도 6b에 구간 "54"로 표기된 "오버트래블(overtravel)"을 발생시킨다. 도 6a에 도시된 것처럼, 이러한 오버트래블 상황에서는 슬라이더(60)도 상기 로크의 실시예에 상응하게 더 많이 움직였다. 슬라이더 단부(61)는 스프링 하중(63)으로 인해 이미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배출 위치(61.1)에 도달해 있다. 이러한 오버트래블(54)로 인해 정상 작동시에도 구동 휠(40)이 역회전(45)하면 상기 작용이 일어나며, 이는 도 7a 및 7b에 따른 적설 하중 상황에서 구동 휠(40)의 개방 최종 지점(40.1)에서도 목격된다. 세부적인 진행 경과는 하기에 설명한다.
모터에 의한 역회전(45)이 실시되면, 도 6a에 도시된 잠금 최종 지점(40.2)에서 시작하여 투스 세그먼트(39)를 통해 먼저 슬라이더 디스크(42)만 역회전 방향(45)으로 움직인다. 그에 따라, 도 6b에 도시된 것처럼, 핀(17)도 필연적으로 상기 역회전(45)을 실행한다. 전술한 두 디스크(41, 42) 간의 스프링 하중 때문에, 캠 디스크(41)도 오버트래블 구간(54)을 넘어서 상기 역회전(45)을 수행한다. 물론 캠 디스크(41)의 회전 지속은 로킹 캠(50)의 후방 단부(53)가 투스 끝(25)에 부딪치자마자 멈춘다. 이때, 도 6b에서 공회전 상태에 있는 핀(17)은 상기 역회전(45)시 링형 슬롯(47) 내에서 계속 회전한다. 이러한 회전 지속시 두 디스크(41, 42) 사이에 있는 회전 스프링이 인장된다.
역회전(45) 과정 중에, 도 5a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한 것처럼, 배출된 슬라이더 단부(61)가 도 5a에 "38"로 표기된 운동 경로를 통해 릴리스 핑거(23)에 부딪치고, 멈춤쇠(20)가 이미 서술한 방식으로 래치(10)로부터 상승한다. 이러한 지식을 앞서 설명한 도 6b에 따른 상황에 적용하면, 스프링 하중(32)에 의한 래치(10)의 역회전시 캐리어 투스(14)의 투스 끝(25)도 캠 후방 단부(53)로부터 멀어진다. 그렇게 되면 로킹 캠(50)이 릴리스됨에 따라 두 디스크(41, 42) 사이에서 작용하는 회전 스프링이 자동으로 캠 디스크(41)를 다시 도 1b에 도시된 정지 위치로 회전시키고, 이때 핀(17)은 다시 스프링 하중을 받아 회전 스톱(48)에 접한다. 그러면 다시 로킹 캠(50)과 디스크(6)가 듀얼 디스크식 구동 휠(40)의 같은 각도 범위 내에서 실질적으로 합동을 이룬다. 도 7a 및 7b에 따른 적설 하중 상황에서는 하기와 같은 특수성도 부가된다.
즉, 도 7a에 따른 적설 하중 상황에서는 릴리스 핑거(23)에 의해 멈춤쇠(20)의 복원력(22)이 디스크 단부(61)에 작용하여도 상기 디스크 단부(61)는 자신의 배출 위치(61.1)에 머무른다. 말하자면 이러한 적설 하중 상황에서는 슬라이더(60)가 세로 방향으로 움직여지지 않고, 배출 위치(61.1)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하기의 간단한 공간 절약형 조작 수단이 이용된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슬라이더 단부(61)는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축(27)의 방향을 향하는 축 돌출부(64)를 갖는다. 상기 축 돌출부(64)의 축방향 단부는 도 2, 5b, 6b 및 7b에 물방울 무늬로 그려져 있다. 슬라이더(60)가 슬라이더 디스크(42)의 가이드 채널(35) 내에 장착되면, 축 돌출부(64)는 상기 슬라이더 디스크의 슬라이더 내부면(16) 위로 인접한 캠 디스크(41) 쪽으로 돌출한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캠 디스크(41)의 내부면(26)은 채널 보완부(28)를 가지며, 상기 채널 보완부 내로 슬라이더 단부(61)의 축 돌출부(64)가 밀어 넣어진다. 슬라이더 디스크(42)의 가이드 채널(35)이 캠 디스크(41)의 채널 보완부(28)와 정렬되는 경우에는 항상 상기와 같은 작용이 이루어진다. 정상 작동에서 잠금 과정시에는 항상 상기 작용이 일어나지만, 개방 과정시에는 오버트래블(54) 때문에 마지막 단계에서만 상기 작용이 일어난다.
도 6b에서 설명한 역회전(45)시, 이미 설명한 것처럼, 캠 후방 단부(53)가 오버트래블(54)을 경과하여 투스 끝(25)에 지지됨으로써 캠 디스크(41)가 멈추었을 때, 회전이 지속(45)되면 도 2의 축(27)을 향하는 축 돌출부(64)의 지지점(65)이 캠 디스크(41)의 원형 둘레에 형성된 가이드 세그먼트(55)로 접근한다. 도 3에 가장 잘 나타나 있듯이, 상기 가이드 세그먼트(55)는 캠 디스크(41) 내 채널 보완부(28)의 개구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축 돌출부(64)의 지지점(65)이 상기 가이드 세그먼트(55)에 부딪치면, 돌출되어 있는 슬라이더 단부(61)가 더 이상 밀어 넣어질 수 없다. 이는 특히 적설 하중을 설명하는 도 7b에 잘 나타나 있다. 채널 보완부(28)가 아직 도 6b에 따른 잠금 최종 지점(40.2)에 있는 동안, 물방울 무늬로 그려진 축 돌출부(64)는 슬라이더 디스크(42) 내에서 강제 종동되어 마지막으로 다른 열림 최종 지점(40.1)으로 이동하였다. 이때 안쪽을 향하는, 상기 축 돌출부의 지지점(65)은 캠 디스크(41)의 둘레 영역에 있는 가이드 세그먼트(55)에 부딪쳐서 슬라이더 단부(61)의 삽입을 차단한다.
도 7a에 따른 적설 하중 상황에서 최종 지점에서는 모터가 자신의 트랜스미션을 통해 슬라이더 디스크(42)의 투스 세그먼트(39)를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더 디스크를 일점쇄선으로 그려진 화살표(45) 방향으로 전술한 열림 최종 지점(40.1)까지 역회전시킨다. 그와 동시에, 도 7b에 도시된 것처럼, 슬라이더 디스크(42)에 장착된 핀(17)이 로킹된 캠 디스크(41)의 링형 슬롯(47) 내에서 반대편 단부(49)를 향해 이동한다. 이때 17과 49 사이에 추가의 회전 스톱이 제공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리드의 적설 하중이 제거됨으로써 섀클 릿지(31)와 회전 래치(10) 사이의 적설 하중 압력이 소멸되어, 복원 스프링(32)이 래치(10)를 도 7b에 도시된 상기 래치의 주 걸림 위치(10.3)로부터 도 1a에 도시된 개방 위치(10.1)로 역회전시킬 수 있게 되면, 두 디스크(41, 42) 사이에서 인장된 회전 스프링이 도 7b의 캠 디스크(41)도 일점쇄선 화살표(45)에 따른 역회전 방향으로 당긴다. 이때, 슬라이더 디스크(42)는 그의 핀(17)에 의해 도 7a 및 7b에 도시된 정지 위치에 머무른다. 캠 디스크(41)는 그의 링형 슬롯(47)의 스톱 단부(48)가 정지해 있는 핀(17)에 부딪칠 때까지 계속 회전한다. 이 경우, 도 7b에서 처음에는 여전히 오프셋되어 있던 채널 보완부(28)도 다시 물방울 무늬로 그려진 축 돌출부(64)와 정렬된다. 축 돌출부(64)의 지지점은 더 이상 지지되지 않고, 릴리스된다. 그러면 멈춤쇠(20)의 복원력(22)이 릴리스 핑거(23)를 통해 슬라이더 단부(61)를 다시 구동 휠(40) 안으로 밀어 넣을 수 있다. 이때, 슬라이더가 도 7a에 파선으로 도시된 가이드 채널(35) 안에서 안쪽으로 이동하고, 축 돌출부(64)가 상기 축 돌출부와 정렬된 채널 보완부(28)에 맞물린다. 그러면 다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작동 상태가 된다. 로크는 다시 작동 준비 상태를 취한다.
*도면 부호 목록*
10: 회전 래치
10.1: 10의 개방 위치 (도 1a)
10.2: 10의 예비 걸림 위치 (도 4a)
10.3: 10의 주 걸림 위치 (도 6a)
11: 10에 제공된 30의 수용부
12: 10의 예비 걸림 섹션
13: 10의 주 걸림 섹션
14: 캐리어, 캐리어 투스
15: 10의 피벗 운동 화살표 (도 5)
16: 42의 내부면 (도 2)
17: 41에 제공된 핀
18: 10의 회전축
19: 로크 하우징
20: 멈춤쇠
20.1: 20의 로킹 준비 위치
20.2: 릴리스 위치, 20의 상승 위치
21: 20의 로킹 지점
22: 20의 스프링 하중의 화살표
23: 릴리스 핑거
24: 20의 쇼울더
25: 14의 투스 끝
26: 41의 내부면
27: 로크의 축 (도 2)
28: 41의 채널 보완부 (도 3)
29: 20의 베어링 축
30: 잠금 섀클
31: 30의 섀클 릿지
32: 10의 스프링 하중의 화살표
33: 차체
34: 트렁크 리드의 닫힘 운동의 화살표
35: 채널, 42에 제공된 60의 가이드 채널 (도 2)
36: 42의 윤곽
37: 42에 23이 지지되는 구역 (도 2)
38: 61의 회전 화살표 (도 5a)
39: 42에 제공된 투스 세그먼트 (도 1a, 도 7a)
40: 구동 휠
40.1: 40의 열림 최종 지점
40.2: 40의 잠금 최종 지점
41: 디스크, 캠 디스크
42: 디스크, 슬라이더 디스크
44: 40의 제 1 작동 방향, 회전
45: 40의 제 2 역 작동 방향, 역회전
46: 41의 단부면
47: 41에 제공된 회전 가이드의 링 세그먼트형 슬롯
48: 47에 제공된 17의 제 1 회전 스톱 (도 1b)
49: 17을 위한 47의 제 2 단부 (도 7b, 도 3)
50: 잠금 과정을 위한 구동 부재, 잠금 부재, 로킹 캠
51: 50의 회전 경로 (도 5b)
52: 50의 전방 단부 (도 6b)
53: 50의 후방 단부 (도 6b)
54: 50의 오버트래블 (도 6b)
55: 가이드 세그먼트, 41의 둘레 (도 2, 도 7)
60: 개방 과정을 위한 구동 부재, 개방 부재, 슬라이더
61: 60의 슬라이더 단부 (도 2, 도 5a)
61.1: 61의 배출 위치 (도 5a)
61.2: 61의 삽입 위치 (도 1a/4a)
62: 스프링
63: 60에 가해지는 62의 탄성력 화살표 (도 6a)
64: 61의 축 돌출부 (도 2)
65: 64의 지지점 (도 2)

Claims (27)

  1.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에 사용하기 위한 로크로서,
    예비 걸림 섹션(12) 및 주 걸림 섹션(31)을 가지며, 스프링 하중(32)에 의해 도어가 열리는 개방 위치(10.1)에 도달하는 회전 래치(1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회전 래치(10) 내로 진입하여, 상기 회전 래치를 예비 걸림 위치(10.2)로 회전시키는 제자리에 고정된 핀을 포함하며, - 상기 예비 걸림 위치에서는 스프링 하중을 받은(22) 멈춤쇠(20)가 상기 회전 래치(10)의 예비 걸림 섹션(12) 내로 진입하고, -
    동시에 움직일 수 있는 2개의 구동 부재(50, 60) 및 제어 장치를 구비한 트랜스미션을 포함하는, 도어의 잠금/개방 복합 보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잠금 과정에서 상기 제 1 구동 부재가 잠금 부재(50)로서 상기 트랜스미션의 한 작동 방향(44)으로 작용하여, 상기 회전 래치(10)를 상기 예비 걸림 위치(10.2)로부터 주 걸림 위치(10.3)로 회전시키며,
    상기 주 걸림 위치에서는 상기 멈춤쇠(20)가 상기 회전 래치(10)의 주 걸림 섹션(13)으로 진입하여 상기 도어가 잠기고,
    상기 제 2 구동 부재는 개방 과정에서 개방 부재(60)로서 상기 트랜스미션의 다른 역 작동 방향(45)으로 작용하여 상기 멈춤쇠(20)를 상기 회전 래치(10)로부터 상승시키며,
    그 결과 릴리스된 상기 회전 래치(10)가 스프링 하중(32)에 의해 개방 위치 (10.1)로 역회전하는,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에 사용하기 위한 로크에 있어서,
    상기 두 구동 부재(50, 60)가 1개의 공통 구동 휠(40)에 축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장착되고,
    상기 잠금 부재(50)를 로크 내에서 제 1 회전 평면, 즉 잠금 평면에 배치되며,
    상기 개방 과정을 유발하는 개방 부재(60)는 상기 로크 내에서 상기 제 1 회전 평면에 대해 축방향으로 엇갈리게 놓인 제 2 평면, 즉 개방 평면에 놓이고,
    상기 회전 래치(10)는 상기 잠금 부재(50)를 위해 상기 잠금 평면 내에 배치된 캐리어(14)를 가지며, 상기 캐리어는 상기 회전 래치(10)의 개방 상태(10.1)에서 상기 잠금 부재(50)의 회전 경로(51) 밖에 놓이고,
    상기 캐리어(14)는 그러나 상기 회전 래치(10)의 예비 걸림 위치(10.2) 및 주 걸림 위치(10.3)에서는 모두 상기 잠금 부재의 회전 경로(51) 내에 놓이며,
    상기 멈춤쇠(20)에는 상기 개방 평면에 배치된, 상기 개방 부재(60)용 릴리스 핑거(23)가 장착되고,
    상기 개방 부재(60)는 상기 구동 휠(40) 내에 탄성(63)을 가하면서 수용되며, 그러한 탄성(63)에 의해 상기 릴리스 핑거(23)에 대해 삽입 위치(비작용 위치)(61.1)와 배출 위치(작용 위치)(61.1) 사이에서 자동으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을 위한 로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휠(40)은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2개의 고정된 최종 지점(40.1, 40.2), 즉 도어 잠금시의 잠금 최종 지점(40.2)과 도어 개방시의 개방 최종 지점(40.1) 사이에서 2개의 작동 방향(44, 45)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을 위한 로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50)는 상기 구동 휠(40)의 회전 평면 밖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을 위한 로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부재(60)의 개방 평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구동 휠(40)의 회전 평면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을 위한 로크.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구동 휠(40)로부터 돌출되는 캠(로킹 캠(50))으로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회전 래치(10)로부터 돌출되는 캐리어 투스(carrier tooth)(14)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을 위한 로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캠(50)은 상기 구동 휠(40)의 단부면(46)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을 위한 로크.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래치(10)는 상기 잠금 평면 내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 래치의 캐리어 투스(14)는 상기 회전 래치(10)의 윤곽 내 한 섹션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을 위한 로크.
  8. 제 5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쇠(20)의, 적어도 상기 회전 래치(10)의 예비 걸림 섹션(12) 또는 주 걸림 섹션(13) 내로 진입하는 로킹 지점(21)이 상기 잠금 평면 내에 배치되는 반면, 상기 멈춤쇠의 릴리스 핑거(23)는 상기 잠금 평면에 대해 엇배치된 개방 평면 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을 위한 로크.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가압식 개방 부재(60)는 상기 구동 휠(40)의 개방 최종 지점(40.1)의 영역에서만 삽입 위치(61.2)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을 위한 로크.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가압식 개방 부재는 상기 구동 휠(40) 내에서 세로방향으로 움직이는 슬라이더(60)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더 단부(61)가 스프링 하중(63)에 의해 상기 배출 위치(61.1)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을 위한 로크.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위치(61.1)에서는 상기 슬라이더 단부(61)가 상기 구동 휠(40)의 윤곽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을 위한 로크.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휠(40)은 상기 슬라이더(60)를 세로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채널(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을 위한 로크.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채널(35)은 상기 구동 휠(40) 내에 직경 방향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을 위한 로크.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적어도 정상 작동시에는 상기 슬라이더 단부(61)와 상기 로킹 캠(50)이 상기 구동 휠(40)의 동일한 회전각 범위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을 위한 로크.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휠(40)은 경우에 따라 서로 제한적으로 회전 운동을 하는 2개의 디스크(41, 42), 즉 개방 부재 또는 슬라이더(60)를 수용하는 슬라이더 디스크(42) 그리고 잠금 부재 또는 로킹 캠(50)을 구비한 디스크, 즉 캠 디스크(41)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을 위한 로크.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휠(40)의 회전 구동기는 상기 슬라이더 디스크(42)에 맞물리고,
    상기 슬라이더 디스크(42)로부터 상기 캠 디스크(41)로의 회전 운동 전달은 상기 두 부품 사이에 놓인 커플링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커플링은 상기 슬라이더 디스크(42)가 상기 잠금 과정을 규정하는 작동 방향(44)으로 회전하는 경우 항상 상기 캠 디스크(41)를 함께 회전시키며,
    상기 슬라이더 디스크(42)가 상기 개방 과정을 규정하는 역 작동 방향(45)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황에 따라 상기 캠 디스크(41)는 분리 및 정지되는 반면, 상기 디커플링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 디스크(42)는 혼자 역회전하는(45)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을 위한 로크.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두 디스크(41, 42) 사이에 상기 분리된 캠 디스크(41)를 상기 슬라이더 디스크(42)에 대해 규정된 최초 회전 위치로 역회전시키려는 회전 스프링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을 위한 로크.
  18. 제 16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회전 가이드(17, 27)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 가이드(17, 27)의 한쪽 단부에는 회전 스톱(48)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을 위한 로크.
  19. 제 17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두 디스크(41, 42)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은 상기 회전 가이드(17, 47)를 상기 회전 스톱(48)에 접촉시키려는 성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을 위한 로크.
  20. 제 18항 또는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는 상기 슬라이더 디스크(42) 또는 상기 캠 디스크에 장착된 핀(17) 그리고 상기 캠 디스크(41) 또는 상기 슬라이더 디스크 내에 형성된 링 세그먼트형 슬롯(47)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롯 안으로 상기 핀(17)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을 위한 로크.
  21. 제 1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모터에 의한 잠금 과정에서 상기 구동 휠(40)은 상기 멈춤쇠(20)의 로킹 지점(21)이 상기 회전 래치(10)의 주 걸림 섹션(13)과 정렬되는 회전 지점을 넘어 상기 잠금 최종 지점(40.2)까지 계속 회전하고, 이때 소위 오버트래블(overtravel)(54)이 발생하며,
    상기 오버트래블(54) 동안 상기 멈춤쇠(20)는 상기 회전 래치(10)의 주 걸림 섹션(13) 뒤로 확실하게 진입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을 위한 로크.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휠(40)의 잠금 최종 지점(40.2)에서 상기 로킹 캠(50)이 상기 회전 래치(10)의 캐리어 투스(14)의 투스 끝(25) 뒤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을 위한 로크.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휠(40)이 역 작동 방향(45)으로 역회전한 후 릴리스된 회전 래치(10)가 자신의 개방 위치(10.1)로 복귀하기에 스프링 하중(32)이 충분치 못한 소위 "적설 하중 상황"에서, 상기 구동 휠(40)의 역회전(45)시 상기 로킹 캠(51)이 상기 캐리어 투스(14)의 투스 끝(25)에 부딪쳐서 상기 캠 디스크(41)가 계속 함께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반면,
    상기 슬라이더 디스크(42)는 개방 최종 지점(40.1)까지 계속 역회전하고, 이때 상기 캠 디스크(41)는 상기 회전 가이드(17, 47) 내에서 분리되어 상기 회전 스프링을 인장시키며,
    그러는 동안 상기 슬라이더 단부(61)는 배출 위치(61.1)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더 디스크(42)의 역회전(45)시 상기 멈춤쇠(40)가 상기 회전 래치(10)로부터 상승하여, 상기 릴리스된 회전 래치(10)가 다시 자신의 개방 위치(10.1)로 복귀할 때까지 상기 상승 위치(20.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을 위한 로크.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래치(10)의 역회전 이후, 상기 슬라이더 단부(61)가 상기 멈춤쇠(20)로부터 다시 상기 슬라이더 디스크(42) 내 삽입 위치(61.2)로 밀어 넣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을 위한 로크.
  25. 제 23항 또는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60)는 자신의 스프링 하중(63)에 대향하는 지지점(65)을 가지며,
    상기 지지점(65)에는 상기 캠 디스크(42)에 형성된 적어도 부분원 형태의 가이드 세그먼트(55)가 할당되며, 상기 부분원은 상기 캠 디스크의 회전축(27)과 동축상에 있고,
    상기 지지점(65)은 보통 상기 가이드 세그먼트(55)의 외부에 놓여 상기 슬라이더(60)가 밀어 넣어질 수 있도록 하고,
    적설 하중 상황에서 상기 슬라이더 디스크(42)가 역회전하면, 상기 지지점(65)은 정지해 있는 캠 디스크(41)의 가이드 세그먼트(55)를 따라 상기 슬라이더 디스크(42)의 개방 최종 지점(40.1)에 도달할 때까지 슬라이딩되고,
    상기 가이드 세그먼트(55)에 접해 있는 지지점(65)은, 스프링 하중을 받은 회전 래치(10)가 개방 위치(10.1)로 역회전할 때까지 상기 슬라이더 단부(61)를 배출 위치(61.1)에 고정시키며,
    상기 슬라이더(60)의 지지점(65)이 상기 캠 디스크(41)의 가이드 세그먼트(55)를 떠날 때까지 상기 회전 가이드(17, 47)의 회전 스프링에 의해 상기 캠 디스크(41)가 역회전된 경우, 개방 상태(10.1)에 있는 상기 슬라이더(60)가 다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을 위한 로크.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세그먼트(55)는 상기 캠 디스크(42)의 디스크 윤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을 위한 로크.
  27. 제 24항 또는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60)의 세로방향 안내에 사용되는 채널(35)이 상기 슬라이더 디스크(42) 내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 단부(61)는 상기 슬라이더 디스크(60)의 높이에 대해 상기 회전축(27)의 방향을 향하는 돌출부(축 돌출부(64))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더 돌출부(64)에는 상기 캠 디스크(41)의 내부면(26)에 형성된 채널 보완부(28)가 할당되고,
    정상 작동시 상기 슬라이더(60)가 삽입 위치(61.2)로 이동하면, 상기 채널 보완부 내로 상기 축 돌출부(64)가 끼워지며,
    상기 캠 디스크(41)는 상기 채널 보완부(28)에 연결되는 상기 부분원 세그먼트(55)를 포함하며,
    상기 축 돌출부(64)와 슬라이더 단부(61) 사이의 쇼울더 면이 상기 지지점(65)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점은 적설 하중 상황에서 상기 캠 디스크(41)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을 위한 로크.
KR1020067021415A 2004-03-19 2005-03-04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에 사용하기 위한 로크 KR200601358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0410013671 DE102004013671B4 (de) 2004-03-19 2004-03-19 Schloss, insbesondere für Fahrzeugtüren oder -klappen
DE102004013671.8 2004-03-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5886A true KR20060135886A (ko) 2006-12-29

Family

ID=34961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1415A KR20060135886A (ko) 2004-03-19 2005-03-04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에 사용하기 위한 로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80271503A1 (ko)
EP (1) EP1727953B1 (ko)
KR (1) KR20060135886A (ko)
CN (1) CN1934328B (ko)
AT (1) ATE371792T1 (ko)
DE (2) DE102004013671B4 (ko)
WO (1) WO2005093195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7324A (ko) * 2012-01-27 2013-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30087318A (ko) * 2012-01-27 2013-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30087316A (ko) * 2012-01-27 2013-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래치장치, 래치장치로 구성되는 저장용기 지지장치와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30087317A (ko) * 2012-01-27 2013-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래치장치, 래치장치로 구성되는 저장용기 지지장치와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46145B (en) 2007-02-05 2012-02-01 Land Rover Uk Ltd A double latch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DE102008048772A1 (de) * 2008-09-24 2010-03-25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202011002661U1 (de) 2011-02-11 2011-05-12 ASTRA Gesellschaft für Asset Management mbH & Co. KG Sicherheitsschloss
CN103485617B (zh) * 2013-09-04 2015-10-28 烟台三环锁业集团有限公司 一种汽车背门锁的雪载结构
DE102013022059A1 (de) 2013-12-23 2015-06-25 Kiekert Aktiengesellschaft Schließvorrichtung für eine Kraftfahrzeughaube und Verfahren
DE102014201799A1 (de) 2014-01-31 2015-08-06 Kiekert Ag Schließvorrichtung für eine Kraftfahrzeughaube und Verfahren
DE102014201808A1 (de) 2014-01-31 2015-08-06 Kiekert Ag Verfahren für ein Schließen einer Kraftfahrzeughaube
DE102014002580A1 (de) 2014-02-26 2015-08-27 Kiekert Aktiengesellschaft Schließvorrichtung für eine Kraftfahrzeughaube
DE102014003737A1 (de) 2014-03-18 2015-09-24 Kiekert Aktiengesellschaft Schließvorrichtung für eine Kraftfahrzeughaube
DE102014006239A1 (de) 2014-04-30 2015-11-05 Kiekert Aktiengesellschaft Schließvorrichtung für eine Kraftfahrzeughaube und Verfahren
DE102014012112A1 (de) 2014-08-19 2016-02-25 Kiekert Aktiengesellschaft Schließvorrichtung für eine Kraftfahrzeughaube und Verfahren
US10723399B2 (en) * 2015-08-05 2020-07-28 Lyft, Inc. Cycle management system with locking mechanism
DE102015118861A1 (de) 2015-11-04 2017-05-04 Kiekert Ag Schließvorrichtung einer Kraftfahrzeughaube
KR101860841B1 (ko) * 2015-12-28 2018-05-28 주식회사 우보테크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101897186B1 (ko) * 2015-12-28 2018-09-12 주식회사 우보테크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CN107178262B (zh) 2016-03-11 2021-07-30 开开特股份公司 闩锁单元
US20180058112A1 (en) * 2016-09-01 2018-03-01 AISIN Technical Center of America, Inc. Vehicle door closing and releasing apparatus
CN107795209B (zh) * 2016-09-06 2019-07-2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前舱盖锁及汽车
KR20180071434A (ko) * 2016-12-19 2018-06-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
DE102017121319A1 (de) * 2017-09-14 2019-03-14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chlossanordnung eines Kraftfahrzeugs
DE102017009902A1 (de) 2017-10-24 2019-04-25 Daimler Ag Schlossbetätigungsvorrichtung mit Notöffnungsfunktion
CA3237141A1 (en) * 2021-11-23 2023-06-01 Manfred Matuschek Lock, in particular rubbish bin lock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9488B2 (ja) * 1994-02-26 2000-07-24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ドアロック装置用のアクチュエータユニット
CN1058068C (zh) * 1994-11-10 2000-11-01 三井金属矿业株式会社 车辆用门锁装置
JP2948491B2 (ja) * 1994-11-21 1999-09-13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ロック装置のアクチュエータ
FR2768761B1 (fr) * 1997-09-19 1999-11-26 Valeo Systemes De Fermetures Serrure electrique pour portiere de vehicule, comportant des moyens d'assistance a la fermeture et a l'ouverture
FR2803619B1 (fr) * 2000-01-07 2002-09-13 Coutier Moulage Gen Ind Module de serrure electrique pour une porte d'un vehicule
JP4474811B2 (ja) * 2000-11-27 2010-06-09 株式会社デンソー ドアロック駆動装置
DE10133092A1 (de) * 2001-07-11 2003-01-30 Huf Huelsbeck & Fuerst Gmbh Schloß,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türen, -klappen od. dgl.
DE10143366A1 (de) * 2001-09-04 2003-03-20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CA2439780C (en) * 2003-09-08 2011-09-20 Intier Automotive Closures Inc. Power actuator for automotive closure latch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7324A (ko) * 2012-01-27 2013-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30087318A (ko) * 2012-01-27 2013-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30087316A (ko) * 2012-01-27 2013-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래치장치, 래치장치로 구성되는 저장용기 지지장치와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30087317A (ko) * 2012-01-27 2013-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래치장치, 래치장치로 구성되는 저장용기 지지장치와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2005001386D1 (de) 2007-10-11
US20080271503A1 (en) 2008-11-06
WO2005093195A2 (de) 2005-10-06
EP1727953B1 (de) 2007-08-29
ATE371792T1 (de) 2007-09-15
DE102004013671A1 (de) 2005-10-20
CN1934328A (zh) 2007-03-21
DE102004013671B4 (de) 2006-07-06
EP1727953A2 (de) 2006-12-06
WO2005093195A3 (de) 2005-12-29
CN1934328B (zh) 201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35886A (ko)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에 사용하기 위한 로크
KR101247421B1 (ko) 자동차 록킹 시스템용의 해제가능한 록
KR101256690B1 (ko) 자동차 록킹 시스템용의 해제가능한 록
KR101273401B1 (ko) 자동차 록킹 시스템용의 해제가능한 록
US5273324A (en) Power door lock device
US6997488B2 (en) Rotary-latch lock
CN108979366B (zh) 车辆的行李箱盖锁栓组件
EP1845223B1 (en) Key cylinder
US6539762B1 (en) Device for receiving and holding an identification provider, such as an electronic key, especially for an ignition-starter switch
JP4267933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CN109484144A (zh) 一种车辆的不管顺序如何都能打开和能关闭的对开门
KR20090014185A (ko) 내장 모니터 장치
CN108474225B (zh) 机动车锁
CN108278052A (zh) 开关锁机构和锁具组件以及车辆
US20210331540A1 (en) Trailer hitch
KR20010031312A (ko) 록킹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수동 푸싱 장치로도사용되는 키 작동 가능한 폐쇄 실린더를 갖춘 폐쇄 장치
KR20200048955A (ko) 파워 랫치 장치
KR20010075463A (ko) 자동차용 클로징 실린더
US11365567B2 (en) Power child lock system for vehicle
JPH0216437B2 (ko)
US20150345178A1 (en) Cylinder lock device
EP1512815B1 (en) Lock for a door of a motor vehicle
KR102327482B1 (ko) 자동차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장치
US20220205287A1 (en) Structure for Operating Striker Capable of Being Fastened to Door Latch Part
CN113818760B (zh) 车辆用门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